KR100204665B1 - 개선된 스프링작용을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스프링작용을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665B1
KR100204665B1 KR1019920014741A KR920014741A KR100204665B1 KR 100204665 B1 KR100204665 B1 KR 100204665B1 KR 1019920014741 A KR1019920014741 A KR 1019920014741A KR 920014741 A KR920014741 A KR 920014741A KR 100204665 B1 KR100204665 B1 KR 10020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and
auxiliary spring
auxiliary
spr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223A (ko
Inventor
외티커 한스
Original Assignee
게르트루드 외티커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트루드 외티커,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filed Critical 게르트루드 외티커
Priority to KR101992001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665B1/ko
Publication of KR94000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개방식 클램프에 사용하는 보조 스프링 구조물내에는 바깥쪽 밴드부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지 안에 보조 스프링 부재가 포함되어 있어서, 보조 스프링 부재의 자유다리부들이 케이지에 제공된 슬롯형 구멍을 관통하며 연장하여서 케이지의 바깥쪽에서 결합되며, 이에 따라서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 그 크기를 확대시키는 탄성력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스프링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판스프링은 안쪽 밴드부가 시작되는 지역에서 바깥쪽 밴드부의 단부지역과 체결밴드의 사이로 연결되어 있다.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어떠한 틈새도 안쪽 밴드부의 전체밴도폭에 의해서 덮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스프링 구조물은 하나의 귀가 있는 클램프, 귀가 없는 클램프 및 나사식 클램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스프링작용을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
제1도는 분리 스프링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지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개방된 상태를 축선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부분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4도는 클램프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힘이 작용했을때의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도시한, 제1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5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갖추고 있는, 하나의 귀가 있는 클램프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제8도는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 그 크기를 확대시키는 힘이 가해졌을때의 클램프를 도시한, 제6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구조물을 갖추고 있는, 소위 귀가 없는 클램프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클램프의 바깥쪽 밴드부의 단부지역의 부분 평면도.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된 클램프의 안쪽 밴드부의 부분평면도.
제13도는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 그 크기를 증가시키는 힘이 작용했을때 제10도에 도시된 귀가 없는 클램프를 나타낸, 제10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클램프의 우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갖추고 있는 소위 나사식 클램프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때를 도시한 정면도.
제16도는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 그 크기를 증가시키는 힘이 작용했을때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나사식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제15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갖추고 있는, 소위 하나의 귀가 있는 클램프의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을 따라서 절단한 다면도.
제19도는 화살표(H) 지역내에서 제17도에 도시된 클램프의 부분평면도.
제20도는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 그 크기를 증가시키는 힘이 작용했을때, 제17도에 도시된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21도는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 그 크기를 증가시키는 힘이 작용했을때 보조 스프링 구조물(110)을 포함한 평면상에서 클램프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절단한 부분단면도.
제22도는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최대신장 위치에서 각각의 부품을 나타내기 위해 화살표(H')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평면도.
제23도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보조 스프링 구조물 및 케이지에서, 케이지가 변형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정면도.
본 발명은 개방식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부분 혹은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가지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갖추고 있는 개방식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관형 재료로 제조되는 밀폐식 클램프, 및 소성변형 가능한 소위 외티커(Oetiker)의 귀를 이용한 기계적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개방식 클램프는 모두가 30년 이상을 사용되어온 것들이다.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2,614,304호, 제2,847,742, 제3,082,498호 및 제3,402,436호에는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여러가지 유형의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액슬 부츠(axle boots)와 같은 물품에 사용되는 새롭고 비교적 단단하며 소성을 가지는 호오스 재료의 출현으로 인하여, 액슬 부츠를 완전하게 조여줄 수 있도록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혹은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면에 대한 요구가 절대적이다. 또한,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3,457,7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체결 밴든의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U자형으로 굽혀진 하나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개방식 클램프에 사용되어 있는 기계적 연결부는, 개방되는 힘에 대한 저항력 즉, 특히 큰 조임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개방식 클램프의 서로 겹쳐져 있는 밴드단부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힘이 있어서 한계가 있다.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299,012호, 제4,315,348호 및 제4,622,720호에는 각각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실제로 사용가능한 해결책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 3,475,793호에서 제안된 비교적 폭이 좁은 카누모양의 보강홈은, 적어도 연결부의 길이 및 폭의 1/2 만큼 뻗어있는 측부를 가지는 비교적 얕은 장방형 구조에 의해서, 소위 외티커(Oetiker)의 귀를 이어주는 연결부에 상당한 개선을 제공하였다.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06/622,764호에 개선된 보강부에 대해서 상세히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 출원의 대응 영국출원은 영국특허 제2,160,577호로 공고되었다.
본 출원인의 상기 미합중국 특허들에 개시된 발명이 상업적으로 성공할수 있었던 여러가지 이유들중 하나는, 소성변형되어서 클램프를 체결될 목적물의 둘레로 조여주는 소위 외티커의 귀가 자동적인 스프링 작용을 제공하여서 온도 및 압력변화를 보상하기 때문에, 뚜렷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상작용은 마찬가지로 소성변형 가능한 귀가 제공되어 있는 체결밴드재료의 항복력에 의해서 제한을 받는다. 체결밴드재료가 일단 탄성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소성 변형되는 소위 외티커의 귀의 자동적인 스프링 작용은 어려워진다. 다시 말해서, 외티커의 귀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스프링 경로, 즉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의 최대크기는 체결밴드재료의 탄성 한계에 따라서 제한된다. 예를 들어서 라디에이터 관에 의해서 운반되는 냉매의 온도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탄성한계가 초과되면, 클램프는 동일한 체결력으로는 그 원래의 크기로 탄성복원될 수가 없기 때문에, 냉매가 냉각되었을때 심각한 누출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체결밴드재료 보다 더 큰 항복력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는 별도의 연결부재 안으로 소성 변형되는 외티커의 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에 의해서 해결되어 왔다.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2,847,742호는 이러한 접근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설치면에서 뿐만 아니라 경비면에서도, 체결밴드와 일체로 소성변형 가능한 귀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3,475,793호는 체결밴드 자체에 인장 스프링 부재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는데, 체결밴드는 연강과 확실히 대비되는 적절한 스프링강 재료로 제조된다. 하나이상의 인장스프링 부재에 더하여, 소성 변형가능한 외티커의 귀가 그러한 개방식 클램프에 더 제공된다면, 외티커의 귀의 지역에 소성변형 가능한 재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체결밴드에 추가의 열처리를 가해야 할 것이다.
자동차 산업분야에서 밀봉 냉각시스템은 냉각 유체의 과열된 온도상태를 허용하고 있으며, 새로운 연결관의 재료는 홈이나 채널등이 형성된 체결밴드 지역에 보다 큰 외적인 변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체결밴드의 최대스프링 경로 즉, 관의 연결부를 밀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다 탄력적인 자동보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유럽특허 제0 280 598호는 이미 이러한 문제에 접근해 있는데, 스프링 슬리이브로 둘러싸인 체결밴드에 고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가역성을 제공하는 것이 개시되었다. 고리부의 밑에 있는 틈새를 덮어주고 고리부와 그 외부의 원통형 슬리이브의 탄성변형을 제한하기 위해서, 체결밴드 밑으로 그리고 스프링 슬리이브 전체로 연장하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배열은, 제조비 및 조립비를 증가시키는 여러 부품들을 필요로 하며, 또한 고리부의 밑에 있는 틈새를 덮어주는 별개의 부품을 필요로 한다. 또한,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의 사이에 있는 기계적 연결부에는 계단형태의 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클램프에서 발생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제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한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프의 최대 스프링 경로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또는 계단부도 없는 매우 만족스러운 내부체결면을 지극히 간단한 수단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는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한 문제점들이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데, 체결밴드의 일부가 분리스프링 부재에 대한 케이지 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스프링 부재는 케이지 안에 수용되어서, 클램프를 보조 스프링 부재에 원방향으로 크기를 증가시키는 힘을 작용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볼록한 형상의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폭이 좁은 다리부들이 케이지에 제공된 구멍을 관통하며 연장하여서 케이지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보조 스프링 부재의 다리부들이 케이지의 안쪽부분과 바깥쪽으로 부터 결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케이지 밑에 있는 틈새가 안쪽 밴드부의 전체 밴드폭으로 덮어져서,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또는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적절한 스프링 재료로 제조된 스프링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서 볼록한 다수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안쪽 밴드부가 바깥쪽 밴드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할때 마찰력이 상당히 감소된다. 이는, 안쪽 밴드부의 바깥쪽 표면을 따라서 제공되어 서로 이격된 리브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들 리브는 안쪽 밴드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뻗어있다. 그 결과,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외티커의 귀가 밀폐되는 중에 발생하게 되는 마찰력이 최소화 되어서, 클램프의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탄성변형의 크기를 제한하는 수단이 서로 걸쳐지는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에 제공된다. 이들 수단은 바깥쪽 밴드부에 제공된 큰 구멍 또는 구멍들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나이상의 외향연장돌기 또는 안쪽 밴드부에 제공된 고리부에 의해서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 그 크기를 증가시키는 힘이 발생했을때 돌기 또는 고리부의 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스프링 구조물은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 다수의 볼록한 판 스프링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판 스프링 부재는 바깥쪽 밴드부의 단부지역과 체결밴드의 상응하는 부분 사이로 끼워져 있으며, 상기 체결밴드의 상응하는 부분에서는 판 스프링 부재가 안쪽 밴드부 안으로 관통한다. 보조 스프링 부재의 기계적인 연결은, 바깥쪽 밴드부 및 안쪽 밴드를 형성하는 인접한 체결 밴드부의 내부에 제공된 외향연장 고리부들에 의해서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고리부는 각각 다수의 판 스프링 부재내에 그리고 보조 스프링 부재내에 제공된 상응하는 구멍안으로 결합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2가지 중요한 잇점이 제공된다. 즉, 한편으로는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안쪽 및 바깥쪽 연결부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고, 판 스프링 부재의 적절하게 서로 이결된 안쪽 단부들과 관련하여 구성된 고리부를 사용함으로써 원주방향의 상당한 인장력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동시에, 볼록한 형상의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밑에 있는 틈새가 체결밴드의 전체 밴드폭에 의해 자동적으로 덮여진다.
보조 스프링 부재의 탄성신장을 제한하는 감마용 리브 또는 제한수단이 이 실시예에서도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다른 중요한 특징은, 예를 들어서 소위 하나의 귀가 있는 클램프, 귀가 없는 클램프 및 나사식 클램프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혹은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면이 지극히 간단한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부품에 대해서는 각각 동일한 참조부호를 지정하였다.
먼저,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 보조스프링구조물(10)은 케이지(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케이지(20)는 바깥쪽 고리밴드부(1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지(20)는 지붕모양의 상부(21)를 갖추고 있으며, 상부(21)는 볼록한 머리부(23)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직선형 측부(22a 및 22b)를 포함하고 있다. 직선형 측부(22a 및 22b)는 볼록한 연결부(25a 및 25b)를 통해서 직선형 후퇴부(22a 및 22b)와 연결되어 있다. 후퇴부(24a 및 24b)는 오목한 연결부(26a 및 26b)를 통해서 바깥쪽 밴드부(11a)의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볼록한 연결부(25a 및 25b)의 곡률반경은 볼록한 크라운부(23)의 곡률반경 보다 작으며, 오목한 연결부(26a 및 26b)의 곡률반경은 볼록한 연결부(25a 및 25b)의 곡률반경 보다 작다. 케이지(20)내에는 장방형 슬롯형태의 구멍(27a 및 27b)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구멍(27a 및 27b)은 직선형 측부(22a 및 22b)로부터 볼록한 연결부(25a 및 25b) 안쪽으로 향하는 중간지역에서 시작하여, 후퇴부(24a 및 24b)에서 오목한 연결부(26a 및 26b)로 향하는 중간지역까지 연장한다.
볼록한 보조스프링부재(30)는 체결밴드와 동일한 폭의 머리부(31)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일정한 폭을 가지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32a 및 32b)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한쌍의 다리부(32a 및 32b)의 폭은 슬롯형태의 구멍(27a 및 27b)의 폭 보다 작다(제3도 참조). 한쌍의 다리부(32a 및 32b)는,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면(34a,34b,34c 및 34d)을 가지는 경사부(33a 및 33b)을 통해서, 볼록한 머리부(31)와 연결되어 있다. 머리부(31)의 바깥쪽 표면(31')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의 머리부(23)의 바깥쪽 표면과 평해하게 뻗어있다. 보조스프링부재(30)가 케이지(20)의 안쪽에 수용되어 있지만, 그 다리부(32a 및 32b)는 구멍(27a 및 27b)을 관통하여 연장하여서, 케이지의 바깥쪽에서 오목한 연결부(26a 및 26b)와 접한다. 원주방향으로 클램프를 늘어나게 하는 힘(A 및 A')(제4도 참조)이 가해지면, 보조스프링 구조물의 각각의 부분들이 제4도에 화살표(B 및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는 상태로 놓여진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보조스프링부재(30)는 클램프의 작동조건에 따라서 스프링의 특성 및 두께를 고려하여 선택되는, 스프링강과 같은 단단한 스프링 재료로 제조되었지만, 이러한 보조스프링부재(30)를 여러겹으로 쌓여진 판스프링으로 구성하여서 적어도 그 다리부들이 판스프링의 연결부와 함께 서로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보조스프링부재의 또다른 특징은, 케이지(20)의 아랫쪽으로 바깥쪽 밴드부(11a)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가 안쪽 밴드부(11b)의 전체밴드폭에 의해서 메워져 있다는 점이다.
보조스프링부재(30)가 변형되지않은 케이지(20) 안쪽으로 설치되면, 다리부(32a 및 32b)가 슬롯형태의 구멍(27a 및27b)을 관통하여 케이지의 바깥쪽으로부터 오목한 연결부(26a 및 26b)와 결합할때까지 케이지(20)는 변형된다. 이는, 뺀찌등의 적절한 공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케이지와 보조스프링부재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한가지 방법을 제23도에 참고로 도시하였다.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299,0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체결면에 아무런 틈새, 불연속 부분 또는 계단부도 없는 방식의, 소위 한쪽 귀를 갖춘 클램프(one-ear clamp)에 대해서,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체결밴드(11)는 그 바깥쪽 밴드부내에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원형의 보조스프링 구조물(10)을 포함하고 있으며, 바깥쪽 밴드부(11a)에는 소위 외티커의 귀(Oetiker ear)(41) 및 바깥쪽으로 뻗은 다리부(42a 및 42b)가 제공되어 있고, 이들 다리부(42a 및 42b)는 연결부(4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43)에는 본 출원인의 상기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6/622/764호에 상세히 개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얕은 남비모양의 보강부(44)가 제공되어 있다. 안쪽 및 바깥쪽 밴드(11b 및 11a)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고리부(46)와 같은 종래의 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리부(46)는 안쪽 밴드부(11b)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정하여서 바깥쪽 밴드부(11a)에 제공되어 있는 상응하는 구멍안으로 결합되어 있다.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 3,082,498호에 개시된 리벳 연결부와 같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299,0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안내고리 및 하나이상의 지지고리를 포함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2,622,7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안내 및 지지고리와 결합된 하나이상의 지지고리를 포함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거나, 마찬가지로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 4,622,720호에 개시된 하나의 안내 및 지지고리만을 이용한 연결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리부(46)의 기계적인 연결이 용접연결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어떠한 틈새, 불연속부 또는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표면을 얻기 위해서, 안쪽 밴드부(11b)에 설형부(47)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설형부(47)는 중앙에 제공되어 있는 채널(48)안에서 이 채널(48)의 양쪽에 위치된 측방향 밴드부(11a' 및 11a'')와 이격된 채로 결합되어 있다. 채널(48)은 제1계단부(49) 부근에서 시작하여 제2단계부(45)까지 연장하여 있는데, 제1계단부(49)에 의해서 측방향 밴드부(11a' 및 11a'')가 채널(48)의 높이까지 상승하여 있고, 제2계단부(49)는 제1계단부(49)로부터 설형부(47)쪽으로 즉, 보조 스프링 구조물(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들 수단(45,47,48 및 49)은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또는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299,012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귀모양의 구조물(41)을 밀폐시키는중에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최소의 마찰로 작동시켜서 서로 겹쳐지는 밴드지역을 제공하기 위해서, 한쪽 밴드부(11b)에는 서로 이격된 리브(12 및 13)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리브(12 및 13)는 횡단면으로 보았을때 (제17도 참조) 체결밴드의 바깥쪽 단부지역 근처에 위치한다. 이들 리브(12 및 13)는 비교적 작은 곡률 반경의 동그런 단부에 의해서, 밴드가 서로 겹쳐지는 도중에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브(12 및 13)는 기계적 연결이 고리부(46)와 귀모양의 구조물(41)의 사이에 있는 지역으로부터 보조 스프링 구조물(10)의 윗쪽으로 설형부가 시작하는 지역까지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어서, 클램크가 설치된 상태에서 귀모양의 구조물(41) 및 보조 스프링 구조물(10) 아랫쪽의 틈새들이 안쪽 밴드부(11b)의 전체 밴드 폭으로 덮여진다. 제6도 내지 제9도로부터, 최대 스프링 경로를 증가시키는 보조 스프링 구조물(10) 뿐만아니라 탄성적으로 변경가능한 귀모양의 구조물(41)도 제공된 클램프가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또는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갖춘 상태로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클램프 구조물은, 편평한 체결밴드를 스탬핑(stamping)에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보조 스프링을 케이지 내부로 삽입하고 그리고나서 상기한 방법에 따라서 케이지를 변형시킴으로써, 고정되는 목적물의 둘레로 하나의 귀를 갖춘 클램크가 조여지면서, 귀모양의 구조물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단단히 고정된다.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클램프는 제조시에 예비조립되는 2개의 부품만을 필요로 하며, 이들 부품은 고정되는 목적물 둘레로 클램프를 고정시켜서 조여준다.
제6도 내지 제9도에서는 하나의 귀모양의 구조물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귀모양의 구조물에도 사용가능함은 몰론이다.
제10도 내지 제14도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492,004호에 개시된 유형의 소위 귀가 없는 클램프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귀가 없는 클램프(50)는 바깥쪽 밴드부(11a)(제11도 참조)에 제공된 공구결합용 양각부(51)와, 안쪽 밴드부(제12도 참조)에 제공된 공구결합용 양각부(52)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공구결합용 양각부에는 공구결합면(51' 및 52')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492,0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체결밴드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클램프를 조일때 상당한 강도를 제공한다. 양각부(52)는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양각부(51) 아랫쪽으로 연장하도록, 양각부(51) 보다 작은 칫수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들 양각부(51 및 52)는 대체로 비슷한 크기로 제조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제10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밴드부에 제공된 양갹부(52)가 바깥쪽 밴드부에 있는 장방형 구멍(53)을 관통하고 있으며,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밴드부에 있는 외향연장 고리부(55)가 구멍(53)의 단부면(53')에 제공된 중앙돌기(54)와 접하며 그 너머로 뻗어있다. 제11도는 제10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깥쪽 체결밴드부를 도시한 것이며, 제12도는 역시 제10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깥쪽 밴드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안쪽 밴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2도에는 감마용 리브(12 및 13)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감마용 리브(12 및 13)는 양각부(52)로부터 설형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연장하여 있다.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부분 또는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제공하는 수단(45,47,48 및 49)은 제6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0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각부 대신에,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712,2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밴드부내에 제공된 냉각변형식 양각부 및 안쪽 밴드부내에 제공된 2개의 탭형부재에 의해서 공구 결합면이 구성될 수도 있다.
클램프를 고정될 목적물의 둘레로 설치하기 위해서, 냉각 변형식 고리부(55)가 바깥쪽 밴드부(11a)에 제공된 장방형 구멍(53)의 횡방향 단부면(53')내에 설치된 돌기(54)와 결합할때까지, 뺀찌와 같은 공구로 공구결합면(51' 및 52')에 조이는 힘을 가함으로써 클램프가 조여진다.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의 설치된 상태에서 여러부품들을 도시한 것인데, 이들 부품은 클램프를 원주방향으로 늘리는 힘이 가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잇다. 제12도에는 서로 이격된 2개의 감마용 리브(12 및 13)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서 각각의 계단형 연결부(49 및 45) 사이로 연장하는 채널(48)안으로 설형부(47)가 결합됨으로써,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혹은 계단부가 없는 내부체결면이 얻어진다.
보조 스프링 구조물(10)은 제10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귀가 없는 클램프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492,004호, 제4,712,278호 및 제4,987,65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나 이들의 특징을 결합시킨 어떠한 클램프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가 있다. 그 밖에도, 공구결합용 양각부(51 및 52)와 같은 여러 부분들을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492,0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조물에 적용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고리부도 발명의 명칭 예비조립된 구조를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로서 1986년 12월 22일 출원된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6/942,6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예비조립식 고리부로 변경시킬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안쪽 밴드부(11b)의 전체 밴드폭에 의해서 보조스프링 구조물 아랫쪽의 틈새가 덮여지며, 또한 바깥쪽 밴드부(11A)안에 제공된 장방형 구멍(53)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보조 스프링 구조물(10)을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521,940호에 개시된 소위 나사식 클램프에 적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제1도 내지 제14도에서 설명한 부분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지저하였다. 제6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 및 제10도 내지 제14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은,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나사식 클램프가 고정될 목적물의 둘레로 클램프를 조여주는 나사부재(70)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조 스프링 구조물(10)과 일체로 형성된 바깥쪽 밴드부(11a)는 굽힘부(11a')에서 굽혀져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적어도 부분원통형의 밴드조임부재(62)를 수용하는 고리형 포켓(61)이 형성되어 있고, 밴드조임부재(62)에는 나사부재(79)의 자루부(71)와 나사결합하는 나사보어(도시안됨)가 제공되어 있다. 바깥쪽 밴드부의 굽힘부(11a')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고리부(46)와 같은 종래의 수단에 의해서 바깥쪽 밴드부(11a) 밑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리부(46)는 밑에 있는 바깥쪽 밴드부(11a)와 굽힘부(11a')에 제공된 구멍을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깥쪽 밴드부(11a)와 굽힘부(11a')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은 리셋이음, 용접연결 혹은 하나이상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고리부와 같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리밴드부(65)는 안쪽 밴드부(65a) 및 굽힙부(65b)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사이에는 고리형 포켓(66)이 형성되어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밴드조임부재(67)를 수용하고 있으며, 밴드조임부재(67)에는 나사부재(70)의 자루부(71)가 관통하도록 나사산이 없는 보어가 형성되어 있다. 밴드부(65a) 및 굽힘부(65b)는 마찬가지로 고리부(46)에 의해서 체결밴드(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리부(46)를 리벳이음이나 용접연결등과 같은 다른 종래의 수단으로 바꿀 수도 있고, 또는 밴드부(65a 및 65b)내에 있는 상응하는 구멍안으로 결합되는 체결밴드(11)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하나이상의 고리부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는,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521,94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를 종래의 연결수단에 의해서 밴드부(65a) 및 굽힘부(65b)에 각각 별도로 연결시킨 후에, 밴드부(65a)와 체결밴드(11)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제15도와 제16도의 차이는, 제15도의 실시예에서는 슬리이브(68)가 나사머리부(69)와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부재(67) 사이로 직접 끼워지는 반면에, 제16도에 있어서는 스프링(75)이 나사머리부(69)와 슬리이브 부재(68) 사이에 끼워져서 추가의 스프링 작용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제15도는 나사식 클램프가 설치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인 반면에, 제16도는 클램프의 원주 방향으로 칫수를 증가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나사식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제16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 및 제10도 내지 제14도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또는 계단부도 포함되지 않고 있는 내부체결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설형부(47)가 채널(48)안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2개의 감마용 리브(12 및 13)가 서로 겹쳐지는 밴드부분으로 뻗어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6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 및 제10도 내지 제14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7도 내지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보조 스프링 구조물(110)을 도시한 도면들이며, 보조 스프링 구조물(110)은 다수의 볼록한 판스프링부재(111 및 112)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판스프링 부재(111 및 112)는 오메가(Ω)자 모양의 체결밴드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다. 판스프링부재(111 및 112)는 하나이상의 편평한 상부(111b 및 112b)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 상부(111b 및 112b)는 볼록한 측부(111c 및 112c)를 관통하여서, 서로 이격된 단부(111a 및 112a)에서 종결되어 있다. 판스프링부재(111 및 112)의 서로 이격된 단부(111a 및 112a)는 대체로 직선형인 상부(111b 및 112b)쪽을 향하여 굽혀져 있다.
바깥쪽 밴드부(11a)의 단부지역에는 에스(S)자형 고리부(118)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고리부(118)는 판스프링부재(111 및 112)의 오른쪽 단부(111a 및 112b)(제21도 참조)에 제공되어 있는 구멍(111d 및 112d) 안으로 결합되며, 안쪽 밴드부(11b) 안으로 약간 들어가 있는 체결밴드(11)에 형성된 에스(S)자형 고리부(119)는 판스프링부재(111 및 112)의 좌측 단부(11a 및 112a)에 제공되어 있는 구멍(111d 및 112d) 안으로 결합된다. 이들 고리부(118 및 119)는, 각각 안쪽 단부(111a 및 112a)의 단부지역으로 개방되어 있는 구멍(111d 및 112d)쪽으로 향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뻗어있어서,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11b 및 11a)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스프링부재(111 및 112)의 밑에있는 틈새(117)가 체결밴드의 전체 밴드폭으로 덮여져 있다. 또한,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11b 및 11a)에는, 보조스프링구조물(110)의 탄성병형을 제한하는 수단(120 및 130)이 각각 제공되어 있다. 이들 수단(120 및 130)은 각각 고리부(121 및 131)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고리부(121 및 131)는 안쪽 밴드부(11b)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서 바깥쪽 밴드부(11a)에 각각 제공된 큰 구멍(122 및 132)과 결합하는데, 이들 큰 구멍(122 및 132)에 의해서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11b 및 11a)의 상대적인 이동량의 크기 및 이에 따라서 보조 스프링 구조물(110)에 가해지는 신장력이 크기가 결정된다.
안쪽 밴드부(11a)에는, 앞서 설명한 감마용 리브(12 및 13)가 제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단계부(49)에서 시작하여 제2계단부(45)에서 종료되는 채널(48)안으로 설형부(47)가 결합함으로써, 아무런 틈새나 불연속부분 또는 계단부도 없는 내부체결면이 제공된다.
제6도 내지 제9도, 제10도 내지 제14도, 그리고 제15도 및 제16도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사항들이 제17도 내지 제22도의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제17도 내지 제22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수단(120 및 130)이 제6도 내지 제16도의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23도는 보조스프링부재(30)를 케이지(20) 안에 설치하여서, 이 케이지(20)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제23도에 도시된 케이지(20)는, 체결밴드가 편평한 모재로부터 밀려 나왔을때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둥그런 단면을 포함하여서, 볼록한 연결부(25a 및 25b)와 오목한 연결부(26a 및 26b)를 형성하고 있다. 보조스프링부재(30)도 제23도에 도시되어 잇다. 보조 스프링 부재(30)가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순간에, 케이지(20)는 압력을 받아서 변형되며, 동시에 편평한 모재는 안쪽으로 지지된다. 다리부(32a 및 32b)는 체결밴드의 바깥쪽으로 접촉할때까지 2개의 슬롯형 구멍(27a 및 27b)을 통해서 안내되며, 이에 따라서 케이지는 더 이상 변형되지 못한다. 이는 바로 제1도에 도시된 상태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보다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되거나 개조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기존의 발명에 따른 여러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장치들에 적용되면서 클램프 자체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스프링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소위 외티커의 귀(Oetiker ear)를 가지는 개방식 클램프에도 적용될 뿐만 아니라, 또한 계단부가 없는(STEPLESS) 유형의 클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9)

  1. 서로 겹쳐지는 밴드부들을 갖춘 체결밴드 수단과, 그리고 체결되는적물의 둘레로 클램프를 조여주는 각각의 상기 밴드부들을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개방식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최대 스프링 경로를 증가시키도록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상기 체결밴드 수단 내에 형성된 케이지 수단과, 그리고 상기 클램프의 직경을 확대시키는 힘이 작용했을때 상기 케이지 수단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지 수단안에 제공된 보조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 있는 상기 밴드부들의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가 각각 그 원주방향으로 어떠한 틈새, 계단부 혹은 불연속 부분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제공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상기 안쪽 밴드부 안에 제공된 설형부, 및 상기 바깥쪽 밴드부에 제공되어서 상기 클램프가 상기 채결되는 목적물의 둘레로 설치되었을때 상기 설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설형부 수용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설형부 수용수단이 바깥쪽으로 향해있는 제1계단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설형부와 동일하게 원주방향으로 뻗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형부 수용수단이, 상기 서로 겹쳐지는 밴드부 중앙지역에서 눌려지지 않는 측방향 밴드부들과 양측면이 떨어진 상태로 제공된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측방향 밴드부들이 상기 제1계단부 지역에서 상기 채널의 높이만큼 상승하여 있고, 상기 채널이 상기 케이지 수단과 원주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제2계단부의 지역에서 종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형부 수용수단이, 상기 제1계단부의 지역에서 시작되어 상기 케이지 수단과 원주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바깥쪽 밴드부내에 제공된 구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수단이 상기 안쪽 밴드부의 전체 밴드폭으로 덮여지는 원주방향 틈새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수단이 원주방향 틈새를 형성하며, 상기 틈새가 상기 안쪽 밴드부의 전체 밴드폭으로 덮여지고, 어떠한 틈새나 계단부, 또는 불연속 부분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수단이 상기 서로 겹쳐지는 밴드부들내에 제공된 설형부 수단 및 설형부 수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소성변형 가능한 귀모양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귀모양의 수단이 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바깥쪽으로 뻗은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귀모양의 수단이 상기 케이지형 수단으로부터 상기 보조수단의 반대쪽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귀모양의 수단의 밑에 있는 틈새가 상기 안쪽 밴드부의 전체 밴드폭으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평면도로 보았을때 장방형인 얕게 들어가 있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보강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수단의 양측면이 상기 연결부의 폭 및 길이의 적어도 ½정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상기 안쪽 밴드부로 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고리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고리수단이 상기 바깥쪽 밴드부의 단부지역에 제공된 상응하는 구멍안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밴드부에는 상기 보조스프링 구조물과 상기 귀모양의 수단이 제공된 지역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리브형수단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귀모양의 수단이 소성변형할때에 마찰력을 감소시켜주고, 상기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최소의 마찰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의 일부로서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와 일체로 공구 결합용 수단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클램프를 상기 체결되는 목적물의 둘레로 조여줄 수 있으며, 상기 안쪽 밴드부에 제공된 공구 결합용수단이 상기 바깥쪽 밴드부에 제공된 기다란 구멍을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클램프가 상기 체결되는 목적물의 둘레로 조여져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를 상대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이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결합용 수단이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체결밴드 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의 일부로서 상기 바깥쪽 밴드부의 단부지역이 굽혀져서 제1고리형 포켓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다른 일부가 마찬가지로 굽혀져서 제2고리형 포켓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고리형 포켓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밴드조임 피봇부재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피봇부재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있으며 나사산을 가지지 않은 보어를 관통하는 나사부재가, 상기 피봇부재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나사산이 있는 보어와 나사결합 하여서 상기 클램프를 조일 수 있으며, 상기 바깥쪽 밴드부의 굽힘부를 그 밑에 있는 상기 바깥쪽 밴드부와 연결하고 상기 다른 체결밴드부의 겹쳐져 있는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상기 체결밴드 수단과 서로 연결하는 기계적 연결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분이 분리 체결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6. 제15항에 잇어서, 상기 하나의 피봇부재와 상기 나사부재상에 제공된 접촉부 사이로 끼워져 있으며 상기 클램프가 개방되는 것을 탄성적으로 방지하는 스프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수단이 상기 보조 스프링 수단의 둥근 상부면과 결합하는 지붕모양의 상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8. 제17항에 잇어서, 상기 케이지 수단이 볼록한 머리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직선형 측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직선형 측부들이 상기 머리부로 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직선형 측부들이 볼록한 연결부를 지나서 적어도 직선형 후퇴부 부근에서 종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퇴부가 오목한 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체결밴드 수단 안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9. 제18항에 잇어서, 상기 볼록한 연결부의 곡률반경이 상기 복록한 머리부의 곡률반경보다 작고, 상기 오목한 연결부의 곡률반경이 상기 볼록한 연결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수단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볼록한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의 단부지역의 폭이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케이지 수단에는 상기 보조스프링 수단의 상기 다리부의 단부지역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폭을 가지는 슬롯형 구멍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스프링 수단의 상기 다리부가 상기 슬롯형 구멍을 관통하며 뻗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다리부가 상기 케이지 수단과 바깥쪽으로 결합하여서 상기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직경을 확대시키는 힘이 작용할때 상기 케이지 수단의 밑에 있는 틈새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구멍이 상기 측부가 상기 볼록한 연결부 안으로 관통하는 지역으로 부터 상기 후퇴부가 상기 오목한 연결부 안으로 관통하는 지역까지 뻗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수단의 상기 다리부들이 서로를 향하여 연장하여서, 상기 오목한 연결부가 상기 케이지 수단과 상기 체결밴드 수단을 연결하는 지점에서 상기 다리부의 자유단부들이 바깥쪽으로 부터 함께 결합되도록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수단의 상부가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폭과 상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보조스프링 수단이 상기 상부로 부터 상기 다리부의 단부지역의 폭이 좁은 곳까지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프링 수단이 단단한 스프링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프링 수단이 서로 결합된 다수의 판 스프링 부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6. 제20항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 있는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들이 그 원주방향으로 어떠한 틈새나 계단부 혹은 불연속 부분도 없는 내부체결면을 제공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쪽 밴드부의 전체 밴드폭이 어떠한 틈새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상기 안쪽 밴드부에 제공된 설형부 및 상기 바깥쪽 밴드부에 제공된 설형부 수용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체결되는 목적물의 둘레로 설치되었을때 상기 설형부 수용수단이 상기 설형부를 수용하며, 상기 설형부 수용수단이 바깥쪽을 향해있는 제1계단부의 지역에서 시작되어 상기 설형부와 동일한 원주방향을 향해서 상기 제1계단부로 부터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소성 변형 가능한 귀모양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귀모양의 수단이 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바깥쪽으로 뻗은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귀모양의 수단이 상기 케이지 수단으로 부터 상기 보조수단의 반대쪽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귀모양의 수단의 밑에 있는 틈새가 상기 안쪽 밴드부의 전체 밴드폭으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밴드부에는 상기 보조스프링 구조물과 상기 귀모양의 수단내에 원주방향으로 뻗은 2개의 리브형 수단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귀모양의 수단의 소성변형 중에 마찰력을 감소시켜 주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최소의 마찰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의 일부로서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와 일체로 공구결합용 수단이 제공되어서 상기 클램프가 상기 체결되는 목적물의 둘레로 조여질 수 있으며, 상기 안쪽 밴드부에 제공된 상기 공구결합용 수단이 상기 바깥쪽 밴드부에 제공된 기다란 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에 연결수단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상기 목적물의 둘레로 조여져 있을때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를 서로 상대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밴드부에는 상기 보조스프링 구조물과 상기 보조수단의 지역내에서 원주방향으로 뻗은 2개의 리브형 수단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귀모양의 수단의 소성 변형중에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상기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최소의 마찰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의 일부로서 상기 바깥쪽 밴드부의 단부지역이 굽혀져서 제1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다른 부분이 마찬가지로 굽혀져서 제2포켓을 형성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밴드조임 피봇부재들이 상기 제1 및 제2포켓안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피봇부재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나사산이 없는 보어를 관통하는 나사부재가 상기 피봇부재의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나사산이 있는 보어와 나사결합하여서 상기 클램프를 조일 수가 있으며, 상기 바깥쪽 밴드부의 굽힘부와 상기 바깥쪽 밴드부를 함께 연결하고 다른 체결밴드부의 서로 겹쳐져 있는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상기 체결밴드 수단과 연결해주는 기계적 연결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분이 분리체결 밴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밴드부에는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과 상기 보조수단의 지역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리브형 수단이 제공되어서, 상기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스프링 구조물의 최소의 마찰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5. 서로 겹쳐져 있는 밴드부들 및 어떠한 틈새나 계단부 또는 불연속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 내부체결면을 갖추고 있는 체결밴드 수단과, 그리고 체결되는 목적물의 둘레로 클램프를 각각 조여주는 상기 서로 겹쳐져 있는 밴드부들을 연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방식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틈새를 형성하면서 안쪽을 향해 서로 이격된 다리부 및 상기 내부체결면의 어떠한 틈새나 불연속 부분 또는 계단부도 제거시키는 보조수단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틈새가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일부의 전체 밴드폭에 의해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상기 안쪽 밴드부에 제공된 설형부 및 상기 바깥쪽 밴드부에 제공된 설형부 수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이 소성 변형 가능한 귀모양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귀모양의 수단이 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2개의 다리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연결부에는 보강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원주방향으로 귀모양의 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귀모양의 수단에 상기 보조수단이 달려있어서, 상기 귀모양의 수단의 밑에 있는 틈새가 상기 안쪽 단부의 전체 밴드폭에 의해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과 상기 귀모양의 수단의 사이에 있는 지역에는 상기 서로 겹쳐지는 밴드부들내에 제한수단이 제공되어있고, 상기 제한수단이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과잉의 산장력에 대해서 보호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상기 바깥쪽 밴드부와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일부의 사이로 연결되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상기 바깥쪽 밴드부 및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상기 일부에 제공되어 있는 외향 연장 고리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쪽 밴드부 안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상기 일부가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다리부의 단부에 제공된 상응하는 구멍수단 안으로 결합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상기 체결밴드 수단에 의해서 형성된 케이지 수단 및 상기 케이지 수단안에 수용된 보조 스프링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수단의 지붕모양의 상부가 직선형 측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가 볼록한 머리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로 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측부가 볼록한 연결부를 통해서 적어도 직선형 후퇴부에서 종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퇴부가 오목한 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체결밴드 수단안으로 관통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단부지역을 갖춘 서로 이격된 다리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 수단에는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상기 다리부의 단부지역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폭을 가지는 슬롯형 구멍들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수단의 다리부의 단부지역이 상기 슬롯형 구멍을 관통하여 연장하여서 상기 케이지 수단의 바깥쪽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직경을 확대시키는 힘이 작용할때 상기 케이지 수단의 밑에 있는 틈새가 증가하는 것을 탄성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수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개방식 판스프링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된 그 다리부들에는 상기 구멍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수단의 상기 볼록한 다리부들이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의 상부를 향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수단이 상기 다리부들의 단부로 개방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수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는 에스(S)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 및 상기 바깥쪽 밴드부의 단부지역과 상기 체결밴드 수단의 상기 일부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서로 겹쳐서 있는 밴드부를 연결하는 보조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밴드부에는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밴드부의 사이로 겹쳐있는 지역의 적어도 일부에 2개의 원주방향으로 뻗은 리브가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스프링 구조물이 최소의 마찰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19920014741A 1992-08-17 1992-08-17 개선된 스프링작용을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 KR10020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741A KR100204665B1 (ko) 1992-08-17 1992-08-17 개선된 스프링작용을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741A KR100204665B1 (ko) 1992-08-17 1992-08-17 개선된 스프링작용을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223A KR940004223A (ko) 1994-03-14
KR100204665B1 true KR100204665B1 (ko) 1999-06-15

Family

ID=1933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741A KR100204665B1 (ko) 1992-08-17 1992-08-17 개선된 스프링작용을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6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223A (ko) 199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054B1 (ko) 조절가능한 나사식클램프
EP0499819B1 (en) Insert member for use with hose clamp arrangements
JP3731561B2 (ja) 管締め付け具、特に管継手
RU2726974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жимным хомутом и манжетой
JP5222305B2 (ja) 段付きボールジョイントパイプクランプおよびその予め取り付ける構成部品
US4627645A (en) Flexible pipe coupling
RU2450199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0697554B2 (en) Tolerance-compensating hose clamp
JP3403741B2 (ja) ばね作用を改良したクランプ構造体
EP0616163B1 (en) High strength clamp structure
KR19980081171A (ko) 도관부품 사이의 차단접합부와 이러한 접합부 내에 사용가능한금속제의 긴 틈새가 있는 밴드
KR20100096080A (ko) 호스 클램프
KR102285857B1 (ko) 프로파일된 클램프
JP3513238B2 (ja) 耳無しおよび段無しクランプ構造体
EP0591648B1 (en) Expandable clamp structure of the earless type
EP0730116B1 (en) Clamp structure with spring element
KR100629297B1 (ko) 개방 클램프용 기계식 연결체
KR100204665B1 (ko) 개선된 스프링작용을 가지는 클램프 구조물
KR100625140B1 (ko) 호스 클램프용 조임 수단
CA3127425C (en) Hose clamp
KR100422888B1 (ko) 재사용가능한공차보상용클램프구조물및그제조방법
US20230313927A1 (en) Visual and tactile indicator
CZ286948B6 (cs) Otevřená svor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