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727B1 -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727B1
KR100202727B1 KR1019960044860A KR19960044860A KR100202727B1 KR 100202727 B1 KR100202727 B1 KR 100202727B1 KR 1019960044860 A KR1019960044860 A KR 1019960044860A KR 19960044860 A KR19960044860 A KR 19960044860A KR 100202727 B1 KR100202727 B1 KR 10020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edetermined
time
temperatur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453A (ko
Inventor
다쯔또 다찌바나
가오루 사또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7002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5Low-paper indication, i.e. indicating the state when copy material has been used up nearly or comple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03G2215/00552Purge of recording medium at j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82Architecture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 G06K2215/0085Error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기록 장치는, 예를 들어 전원이 온되거나, 상기 기록 장치가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되거나, 도어가 폐쇄되거나, 전원이 리세트될 때 등에 장치 내에 잔류지가 있는 경우에 대기 상태로 시프트되는 시각을 갖기도 한다. 이러한 시각에 장치 내에 잔류지가 있는 것으로 검지되면 상기 장치는 잔류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적절한 대기 상태로 제어된 후에 외부로부터의 지시를 기다리게 된다. 외부로부터의 배지 지시에 반응하여 잔류지의 배지 작동이 수행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본 발명은 절지(cut sheet)를 기록 장치 내에 연속적으로 급송하고 프린트하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절지를 기록 장치 내에 연속적으로 급송하고 프린트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 장치를 프린트 대기 상태로 가동시키기 전에 기록 장치 내에 종이가 잔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잼(jam)(종이 잼)으로 간주함으로써 일정 프로세스가 즉시 실행되거나, 장치 내의 잔류지가 외부로부터의 지시와 무관하게 기록 장치의 외부로 자동적으로 바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록 장치의 구동을 외부에서 강제로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기능을 갖는 기록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종이 반송 작동 중에 비상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잼으로 간주함으로써 일정 프로세스가 즉시 실행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 배지 기능이 없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 장치가 프린트 대기 상태로 가동되기 전에 또는 비상 정지시에 종이가 잔류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복잡한 구성의 장치 내부로부터 잔류지를 스스로 제거하여야 한다.
기록 장치가 프린트 대기 상태로 들어가기 전에 자동 배지 작동이 실행될 때, 급지 장치, 배지 수단 등의 선택 장치가 기록 장치 주변에 연결되면, 주변 장치와 작동이 부합되지 않을 수 있어, 종이 잼이 발생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장치가 손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이가 기록 장치 내에 잔류할 때 배지 작동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기록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선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수직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상태 관리 수단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선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상태 관리 수단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상태 관리 수단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7은 실시예 3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1: 주 제어 장치 003: 외부 인터페이스
004: 잔류지 검지 수단 005: 정착 기구 제어 수단
006: 상태 관리 수단 012: 온도 검지 수단
013: 정착 롤러 014: 자동 배지 제어 수단
106: 타이머 201: 프린터
202: 카세트 203: 픽업 롤러
204: 급지 롤러 205: 반송 롤러
207: 화상 형성 유닛 209: 정착 기구
214: 배지 트레이
본 명세서에서, 외부로부터의 지시를 기초로 잔류지를 배출하는 작동을 자동 배지라 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프린트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기록 장치 내의 잔류지의 유무를 점검하는 장치 내 잔류지 점검 수단과; 장치 내에 잔류지가 있는 경우에 기록 장치를 배지 대기 상태로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지시가 있을 때까지 기록 장치를 대기시키며, 외부로부터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종이 반송 시스템을 구동하고 장치 내 잔류지를 기록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배지 수단과; 잔류지 유무 정보를 외부에 알려주고 외부로부터의 배지 지시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며; 외부 장치로부터 지시가 있을 때 자동 배지가 즉시 실행되고 외부 장치가 주변 상태에 따라 배지를 실행할 수 있는 기록 장치가 마련된다.
프린트 장치가 소정의 자동 배지 대기 상태로 진입할 때까지 외부로부터의 배지 지시를 무시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프로세싱 수단이 기록 장치에 마련됨으로써, 기록 장치 자체가 자동 배지 불능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자동 배지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프린트 장치가 소정의 자동 배지 대기 상태로 진입할 시점에서 자동 배지가 수행될 수 있음을 외부에 알려주는 외부 인터페이스 프로세싱 수단이 기록 장치에 마련됨으로써, 기록 장치가 자동 배지 가능 상태로 진입해 있음을 외부 제어 장치(또는 조작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록 장치의 자동 배지 대기 시간은 제한되며, 소정 시간 내에 배지 지시가 발생되지 않을 때 잼이 발생되었다고 결정됨으로써, 자동 배지 불능 상태에서 자동 배지를 수행함으로써 야기되는 불편함 또는 위험 상태로 기록 장치가 진입되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특히, 자동 배지 대기의 제한 시간(잼의 발생이 판단되는 시간)을, 종이가 반송 경로에 계속 잔류하기 때문에 종이가 둥글게 말려서 반송되지 않게 하는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종이 잼, 또는 반송될 수 없는 종이를 배출하려고 함으로써 발생하는 장치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열 정착식 기록 장치에 대해서는, 자동 배지 대기 상태를 위한 조건으로서, 정착 기구의 자동 배지 대기 온도를, 현상제가 정착 기구에 퇴적되지 않는 최저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정착되지 않은 현상제가 자동 배지에 의해 정착 기구에 퇴적되게 하는 상황이 방지된다. 정착 기구의 자동 배지 대기 온도를, 종이가 정착 기구 내에 잔류하는 경우에 종이로부터 발화 또는 연기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화 흔적이 종이에 형성되지 않는 최대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장치가 자동 배지 대기 상태에서 위험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 정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기록 장치에 대해서는, 자동 배지 대기 상태에서의 제한 시간(잼의 발생이 판단되는 시간)을, 종이가 정착 기구 내에 잔류하는 경우에 설정된 자동 배지 대기 온도에서 종이로부터 발화 또는 연기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화 흔적이 종이에 형성되지 않게 하는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장치가 자동 배지 대기 상태에서 위험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반응하여 구동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수단과; 비상 정지의 실행 완료 후에 장치 내 잔류지의 유무를 점검하는 장치 내 잔류지 점검 수단과; 장치 내에 잔류지가 있는 경우에 종이 반송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외부로부터 지시가 있을 때까지 대기하며, 외부로부터의 지시가 수신된 경우에 종이 반송 시스템을 구동하고 장치 내의 잔류지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배지 수단과; 잔류지 유무 정보를 외부에 아려주고 외부로부터의 배지 지시 또는 비상 정지 지시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며; 종이 반송 중에 비상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도, 장치 내 잔류지는 잼의 발생으로 간주되면서 처리되지는 않지만 자동 배지의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는 기록 장치가 마련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지 수단을 갖는 레이저 빔 프린터(201)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 프린터(201)는 기록지(S)를 넣기 위한 카세트(202)를 가지며 또한 기록지를 상기 카세트(202)에서 하나씩 집어 올리기 위한 픽업 롤러(pick up roller)(203) 및 픽업된 기록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롤러(204)를 갖는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것으로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공급된 기록지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205)는 급지 롤러(204)의 하류에 배열된다. 기록지를 동시적으로 반송하기 위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06)는 반송 롤러(205)의 하류에 배열된다. 사전 레지스트레이션 센서(008)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바로 앞에 배열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으로부터 레이저 빔에 의해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유닛(207)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06)의 하류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정착 롤러(013)에 의해서 제작된 정착 기구(209), 하기에서 설명되는 것으로서, 정착 가열기(011), 온도 검지 수단(012)(도1) 등은 화상 형성 유닛(207)의 하류에 배열된다. 정착 배지 센서(009) 및 배지 반송 롤러(210, 211, 212, 213)는 정착 롤러(013)의 하류에 배열되어서 기록지를 배지 트레이(214)에 반송한다. 배지구 센서(010)는 상기 배지 반송 롤러(212, 213)들 사이에 배열된다.
도1은 레이저 빔 프린터(201)의 전기 구조에 대한 블럭 선도이다. 상기 레이저 빔 프린터(201)는 전체 프린터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 장치(001)를 갖는다. 상기 주 제어 장치(001)는 CPU, ROM, RAM, 게이트 요소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의 주요부는 ROM에 기록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된다.
상기 주 제어 장치(001)는 외부 인터페이스(003)를 통해서 외부 개구(002)에 연결된다. 주 제어 장치(001)의 기능 구조는 장치 내 잔류지 검지 수단(004), 정착 기구 제어 수단(005), 및 외부 장치 연통 제어 수단(007)으로 구성된다. 상태 관리 수단(006)은 그 내부에 자동 배지 제어 수단(014)을 갖는다. 각각의 종이 반송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종이 반송 기구(015), 상기 사전 레지스트레이션 센서(008), 배지구 센서(010), 정착 가열기(011), 온도 검지 수단(012) 등은 주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 제어 장치는 이들 주변 장치를 사용해서 프린트 작업을 제어한다. 레이저 빔 프린터는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주 제어 장치(001)의 각 유닛의 프로세싱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치 내 잔류지 검지 수단(004)은 사전 레지스트레이션 센서(008), 정착 배지 센서(009) 및 배지구 센서(010)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해서 종이가 장치 내에 잔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정착 기구 제어 수단(005)은 정착 롤러(013)의 온도가 하기에서 설명된 상태 관리 수단(006)에 의해 설정된 제어 목표 온도와 같아지고, 상태 관리 수단(006)에 정착 롤러의 온도값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온도 검지 수단(012)의 정보에 기초해서 정착 가열기(011)를 온시키거나 오프시킨다.
상태 관리 수단(006)은 워밍업, 대기(프린트 준비), 프린트, 잼 등과 같은 레이저 빔 프린터(201)의 상태를 관리한다. 특히, 워밍업 단계에서 본 발명의 자동 배지 과정을 고려한 대기 단계로의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도3은 상태 관리 수단(006)의 워밍업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프린트를 끝낸 후에 도어가 닫히면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력 공급원이 온되거나 리세트된 후의 초기화, 또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각 유닛의 구동이 잼 또는 슬립 모드의 경우에서와 같이 중단된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에 대한 과정으로서, 워밍업 과정이 시작된다. 워밍업 과정이 시작되면, 우선 S001 단계에서, 정착 기구의 온도 조정이 시작된다. 그 후에, S002 단계에서, 장치 내 잔류지의 유무가 장치 내 잔류지 검지 수단(004)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해서 판단된다. 장치 내에 잔류지가 있으면, 진행 순서는 S005 단계의 자동 배지 과정으로 진행되어서 다음 단계로 간다. 장치 내에 잔류지가 없으면, S003 단계가 진행되고 초기 회전이 실행된다. 각각의 구동 시스템은 짧은 시간 동안 구동되며 각 유닛의 작업이 검사된다. 초기 회전 동안에서도, 장치 내 잔류지 검지 수단(004)은 장치 내의 잔류지의 유무를 모니터한다. 상기의 과정은 S001 단계에서 잔류지가 상기의 종이 센서의 전방에 동시에 있지 않도록 된 상태를 고려할 때의 과정이다.
그후에는, 초기 회전 동안에 장치 내에서 잔류지가 검지되는지 여부는 S004에서 판단된다. 여기에서 장치 내 잔류지가 검지되면, 진행 순서는 S005에서 자동 배지 처리로 진행되어서 다음 단계로 간다. 장치 내 잔류지가 검지되지 않으면, 제어 목표 온도는 S013에서 대기 온도에 설정되고 그후, 진행 순서는 S014 단계 및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S005 이후의 자동 배지 과정에서는, 우선, 자동 배지 대기 상태로의 준비로서, 정착 기구의 제어 목표 온도가 S005에서 자동 배지 대기 온도로 설정된다. 비정착 종이가 정착 기구(209)에 반송되면, 자동 배지 대기 온도는 어떠한 토너도 정착 롤러(013)에 놓이지 않는 온도인 최하 한계 온도로서 사전 설정된다. 자동 배지 수단이 준비 과정에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외부 장치 연통 제어 수단(007)에 알려지게 된다. 상기 외부 장치 연통 제어 수단(007)은 장치 내 잔류지의 존재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정보를 기초로 해서 외부 장치에 반송하고 또한 장치가 자동 배지 대기 상태로 들어갈 때까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자동 배지 지시를 취소한다. 그후에, 상기 장치는 정착 롤러의 온도가 S006에서 자동 배지 대기 온도에 설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정착 롤러의 온도가 자동 배지 대기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장치가 자동 배지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는 사실은 S007에서 외부 장치 연통 제어 수단(007)에 전해진다. 이와 같은 정보를 기초로 해서, 상기 외부 장치 연통 제어 수단(007)은 상기 외부 장치에 자동 배지가 사전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그후에, 상기 장치는 S008에서 외부 장치로부터의 자동 배지 지시를 기다린다. 자동 배지 지시가 외부 장치로부터 발생되면, 제어 목표 온도는 S009에서 대기 온도로 설정되고, 이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종이를 배출시킨다. 자동 배지 작업이 소정 시간 동안에 수행된 후에는, S011이 진행되어서 장치 내 잔류지의 유무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장치 내 잔류지가 존재하면, 각각의 구동 시스템(정착 가열기 포함)은 정지되고 상기 장치는 S012에서 잼 상태로 옮겨진다. 장치 내에 잔류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진행 순서는 S014 및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상기 장치는 정착 롤러의 온도가 S105에서 대기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것이 대기 온도에 도달하면, 진행 순서는 S015에서 대기 온도에 도달한다. S009에서 대기 온도에 설정하는 것은 자동 배지가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 배지 과정은 정착 롤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가 주변 장치로서 연결되는 때에도,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외부 장치는 자동 배지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상태에 따르는 자동 배지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정착 롤러가 비정착 토너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는 온도는 자동 배지 대기 온도로서 설정될 수 있다. 그렇지만, 장치 내의 잔류지가 정착 롤러에 의해서 끼워지게 되는 경우에도, 자동 배지 대기 온도를 발화 또는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온도에 설정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안전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S005에서 상태 관리 수단(006)의 제어 흐름에서 설정된 제어 목표 온도는 종이가 정착 롤러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경우에도 종이로부터의 발화 또는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온도에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 배지 지시의 대기 상태가 장시간 동안 계속되는 때의 안전은 향상될 수 있다.
안전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치 내의 잔류지가 정착 롤러에 의해서 끼워지게 되는 경우에도 종이 상에 발화 흔적이 형성되지 않는 온도에 자동 배지 대기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자동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S005에서 상태 관리 수단(006)의 제어 흐름에서 설정된 제어 목표 온도는 종이가 정착 롤러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경우에도 종이 상에 발화 흔적이 형성되지 않는 온도에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 배지 지시의 대기 시간이 긴 때의 안전도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실시예 2
상술한 실시예에서, 자동 배지 대기 온도는 종이가 정착 롤러에 의해서 끼워지는 때에도, 종이 상에 발화 흔적이 형성되지 않거나 종이로부터 발화 또는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온도에 설정되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종이가 정착 롤러에 의해서 장시간 동안에 끼워지게 되는 때에는, 배지 순간에 잼의 원인이 되며, 따라서 적합하지 않다.
종이가 자동 배지 지시에 의해서 반송될 때, 비정착 토너가 정착 롤러 상에 놓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자동 배지 대기 온도를 10℃ 내지 40℃의 정착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를 들어, 일반 종이의 정착 온도를 190℃와 같다고 한다면, 약 150℃ 내지 180℃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지시 대기 상태가 외부에서 장시간 동안 종이가 정착 롤러에 의해서 끼워져 있는 상태로 계속되면, 종이로부터의 발화 또는 연기의 발생에 대한 우려는 장치가 설치된 환경에 좌우된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는, 자동 배지 지시에 대한 대기 시간이 제한된다. 도4는 실시예 2의 기능적 구조를 도시한 블럭 선도이다. 비록 상기 구조는 도1에서 도시된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자동 배지 대기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타이머(016)가 새로 부가되어 있다. 상태 관리 수단(006)(특히, 자동 배지 수단(014))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도5는 실시예 2에서 상태 관리 수단(006)의 워밍업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101 내지 S104 및 S113 내지 S115의 처리 단계는 실시예 3의 처리 단계 S001 내지 S004 및 S013 내지 S015에서와 유사하다. S005 내지 S011에서의 자동 배지 제어는 하기의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S105에서 제어 목표 온도로서 설정되는 자동 배지 대기 온도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비정착 종이가 정착 기구로 반송될 때 정착 롤러(013)에 위치하지 않는 최하 한계 온도에 설정된다. 그렇지만, 또한 최하 한계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도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 상기 장치가 S107에서 자동 배지 대기 상태로 들어가면, 타이머(016)의 계수 작업이 시작된다. 그후에, 타이머(016)의 계수값은 상기 장치가 S108-1에서 자동 배지 지시를 기다리는 동안의 시간 간격 동안에 S108-2에서 점검된다. 계수값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잼의 발생이 인식되고 모든 구동 시스템(정착 가열기 포함)이 정지된다. 진행 순서는 S112에서 잼 상태로 진행된다. 자동 배지 지시가 S108-1에서 소정 시간 내에서 수신되면, 진행 순서는 S109 및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그후의 과정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장치가 자동 배지 지시의 대기 상태에서 자동 배지 지시를 수신하고 즉시 자동 배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정착 롤러는 오염되지 않으며 종이가 정착 롤러에 의해서 장시간 동안 끼워지는 때 야기되는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 3은 프린트 장치의 주 본체로서 도7에 도시된 레이저 빔 프린터의 구성 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7에서, 레이저 빔 프린터(1)는 기록지를 넣은 카세트(7)와, 기록지를 카세트(7)로부터 한장씩 뽑아 내는 픽업 롤러(8), 및 뽑아낸 기록지를 반송하는 종이 급송 롤러(9)를 갖는다. 반송 롤러(10)는 종이 급송 롤러(9)의 하방에 배치된다. 기록지(S)를 적절히 반송하기 위한 한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는 반송 롤러(10)의 하방에 배치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19)으로부터의 레이저 빔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12)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 쌍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정착 기구(13)는 화상 형성 유닛(12)의 하방에 배치된다. 정착 배지 롤러(14)는 정착 장치(13)의 하방에 배치된다.
FU 플래퍼(15)는 정착 배지 롤러(14)의 하방에 배치된다. FU 플래퍼(15)는 프린트 용지(기록지)를 FU(페이스-업) 배지구의 양방향 중 한 방향으로 또는 FD(페이스-다운) 배지구로 분배한다. 한쌍의 FU 배지 반송 롤러(16)는 FU 플래퍼의 FU 측면 상의 하방에 배치되고 종이를 FU 배지구(B)로 반송한다. 한편, 한쌍의 FD 배지 반송 롤러(17)와 FD 배지구 롤러(18)는 FU 플래퍼의 FD 측면 상의 하방에 배치되어, 종이를 FD 배지구(A)로 반송한다.
일례로, 선택적인 배지 장치(2)로서의 외부 장치는 레이저 빔 프린터(1)에 접속된다. 선택적인 배지 장치(2)는 레이저 빔 프린터(1)의 FU 배지구(B)로부터 배출되는 종이를 수용하고 프린트 기록지(S)를 플래퍼(20)에 의해 4개의 배지 트레이(C, D, E, F) 중 임의의 트레이로 배출시킨다.
레이저 빔 프린터(1)와 선택 배지 장치(2)는 엔진 제어기(3)와 장치 내의 각각의 유닛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선택 제어기(4)를 갖는다. 하나의 전체 프린트 장치로서 엔진 제어기(3)와 선택 제어기(4)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제어 장치로서의 비디오 제어기(5)는 이에 접속된다. 또한, 주 컴퓨터(6)는 비디오 제어기(5)에 접속된다. 비디오 신호 등과 같은 간단한 신호는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엔진 제어기(3)와 선택 제어기(4) 사이에서 수용될 수 있다.
프린트 데이타를 주 컴퓨터(6)로부터 보낼 때, 비디오 제어기(5)는 프린트 데이타를 작은 조각의 맵으로 현상하고 엔진 제어기(3)와 선택 제어기(4)를 통해 레이저 빔 프린터(1)와 선택 배지 장치(2)를 구동시켜 프린트를 실행한다. 그 후에, 프린트 종이는 소정 배지구로 배출된다.
일례로, 프린트 종이가 선택 배지 장치(2)의 배지 트레이(D)로 배출될 때, 비디오 제어기(5)는 엔진 제어기(3)의 FU 배지구(B)로 배지를 나타내고 프린트 지시를 발생시킨다. 비디오 제어기(5)는 또한 종이를 배지 트레이(D)로 배출시키기 위해 선택 배지 장치에 지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엔진 제어기(3)는 레이저 빔 프린터(1)의 위의 유닛의 각각을 제어하고, 종이를 반송하며, 공지된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따라 비디오 제어기(5)로부터 보내진 비디오 신호에 따라 프린트하고, 프린트 종이를 FU 배지구로 반송한다. 또한, 엔진 제어기(3)는 프린트 종이가 FU 배지구에 도달하기 전에 배지 사전 주의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선택 제어기(4)에 출력시킨다.
한편, 비디오 제어기(5)로부터 배지 신호를 수용할 때, 선택 제어기(4)는 배지 사전 주의 신호가 엔진 제어기(3)로부터 발생될 때까지 대기한다. 배지 사전 주의 신호가 발생될 때, 비디오 제어기(5)는 플래퍼(20)를 구동하고 종이의 방향을 배지 트레이(D)로 설정하여, 종이를 트레이(D)로 반송한다.
전술된 작동에서, 일례로, 잼이 선택 배지 장치(2)에서 발생할 때, 선택 제어기(4)는 즉시 선택 배지 장치(2)의 구동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잼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비디오 제어기(5)로 보낸다. 이러한 예에서, FU 배지구(B)로 반송된 종이는 레이저 빔 프린터(1)에 존재하게 되면, 선택 배지 장치(2)는 종이를 더 이상 수용할 수 없는 상태에 있게 되어, 종이 반송이 즉시 정지되어야 한다. 비디오 제어기(5)가 또한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레이저 빔 프린터(1)를 지시할 필요가 있다 하더라도, 통상의 레이저 빔 프린터는 외부 장치로부터 비상 정지를 실행하기 위해 엔진 제어기(3)를 지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지 않기 때문에, 프린터는 그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이저 빔 프린터(1)는 프린터가 비디오 제어기(5)로부터 엔진 제어기(3)로 비상 정지를 위한 지시를 보내는 명령을 갖고, 그러한 명령을 받을 때 레이저 빔 프린터(1)의 구동 시스템이 즉시 멈추도록 제조된다.
이 실시예에서, 프린트 중에 외부 장치로부터 구동을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기능을 갖는 프린트 장치에서, 프린트 작업 중에 비상 정지 명령을 받더라도, 잼은 발생되지 않고 그 장치는 자동 배지 명령의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실시예 3에서, 실시예 2의 도4의 구성 내의 상태 관리 수단(006)의 공정을 제외한 부분은 실시예 2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의 상태 관리 수단(006)이 워밍업 공정에 대해 실시예 2의 도5에 도시된 공정도와 동일한 공정을 실행하더라도, 상이한 공정이 프린트 상태에서 실행된다. 도7의 비디오 제어기(5)는 도4의 외부 장치(002)에 대응하고 엔진 제어기(3)는 도4의 주 제어 장치(001)에 대응한다.
도6은 실시예 3의 상태 관리 수단(006)의 프린트 상태의 제어를 위한 공정도이다. 우선 S201에서, 프린트 작업이 시작될 때, 조정 온도는 S202 내의 프린트 온도로 설정된다. 프린트 작업의 말기는 S203에서 구별된다. 프린트 작업이 종결될 때, 프로세싱 순서는 S207 내의 대기 상태로 진행한다. 프린트 작업이 S203에서 계속되는 시간 동안, 비상 정지 명령을 수용할 것인지의 여부가 S204에서 판단되며 잼이 발생할 것인지의 여부는 S206에서 판단된다. 비상 정지 명령이 S204에서 발생될 때, 장치 내의 잔류지의 유무는 S205에서 판별된다. 장치 내에 잔류지가 존재하지 않을 때, 프로세싱 순서는 S207 내의 대기 상태로 진행한다. 장치 내에 잔류지가 존재할 때, 프로세싱 순서는 S208 내의 워밍업 상태(도5의 공정)로 진행한다. 잼이 S206 내에 발생할 때, 프로세싱 순서는 S209 내의 잼 상태로 진행한다. 잼이 발생하지 않을 때, 프로세싱 순서는 S203으로 복귀된다.
장치 내의 잔류지가 S205 내에 존재할 때, 프로세싱 순서는 S208 내의 워밍업 상태로 진행하고 그것은 도5와 유사한 공정이다. 장치 내에 잔류지가 존재할 때, 종이는 자동 배지를 위한 목표가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프린트 작업 중에 비상 정지 명령을 받을 때, 종이가 장치 내에 남아 있게 되면, 잼이 바로 발생하지 않고 장치 내의 잔류지가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입, 출력 장치가 주변 장치에 연결될 때, 주변 장치에 이상이 일어나고 외부 장치로부터 비상 정지 명령을 받는 경우조차도, 장치 내의 잔류지의 처리는 사용자 개입 없이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배지 장치(2)가 전술된 선택 장치와 같이 접속되는 경우에도, 종이 반송 장치는 또한 접속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일례로 잼이 종이 반송 장치와 프린트 장치의 양쪽에 발생할 때, 비디오 제어기(5)는 비상 정지를 엔진 제어기(3)에 지시하여, 그들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첫번째로 다수의 주변 장치가 기록 장치에 연결될 때, 외부 장치(또는 작업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체 장치의 상황에 따라 자동 배지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내의 잔류지는 장치에 종이 잼이 발생함에 의한 장치의 손상 없이 장치의 외부로 확실히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번째로 프린트 장치가 소정의 자동 배지 대기 상태로 들어갈 때까지 외부로부터의 배지 명령을 무시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프로세싱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기록 장치가 자동 배지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적절하지 않은 종이 반송을 수행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기록 장치는 자연스럽게 자동 배지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번째로 자동 배지는 프린트 장치가 소정의 자동 배지 대기 상태로 들어가는 시간에 실행될 수 있는 사실을 알리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 프로세싱 수단은 기록 장치를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외부 제어 장치(또는 작업자)는 기록 장치가 자동 배지 가능 상태로 들어갈 때 자동 배지 명령을 발생시켜, 기록 장치의 제어가 외부 장치로부터 더 용이하게 실행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번째로 기록 장치의 자동 배지 대기 시간을 제한하고 배지 명령이 소정의 시간 내에 발생되지 않을 때 잼의 발생을 고려함으로써, 기록 장치의 안전도가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섯번째로 열 정착식 기록 장치에 대해 자동 배지 대기를 위한 상태로서 정착 장치의 자동 배지 대기 온도에 소정의 제한을 가함으로서, 기록 장치는 또한 즉시 안전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자동 배지 명령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섯번째로 종이 반송 중에 비상 정지 명령을 받을 때에도, 잼은 발생되지 않고 잔류지는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스스로 복잡한 구조의 장치로부터 잔류지를 제거하는 불편함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앞서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많은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 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20)

  1. 기록 장치에 있어서, 소정 시각에 장치 내의 잔류지 유무를 점검하는 장치 내 잔류지 점검 수단과, 장치 내에 잔류지가 있을 때 상기 장치를 소정 대기 상태에 설정하는 제어 수단과, 소정 대기 상태 동안에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반응하여 장치 내의 잔류지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보를 알려주는 통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가 소정 상태에 들어갈 때까지는 외부로부터의 배지 지시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소정 상태에 들어간 후에 이를 외부에 알려주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내에 외부로부터 배지 지시가 없으면 상기 기록 장치가 잼의 발생 및 처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배지 지시가 소정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기록 장치는 프린트 대기 상태로 여기된 후에 장치 내의 잔류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열 정착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정 상태는 열 정착 기구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기구가 소정 온도 이상에 설정될 때까지 상기 기록 장치가 외부로부터의 배지 지시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기구가 소정 온도에 설정되었을 때 상기 기록 장치가 자동 배지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외부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장치 내에 잔류지가 있을 때 상기 기록 장치가 정착 기구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조정하고 대기하며, 소정 시간 내에 배지 지시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록 장치가 잼의 발생을 판단하여 정착 기구의 구동(가열)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온도는 현상제가 정착 기구에 부착되지 않는 최저 온도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온도는 종이가 정착 기구에 잔류할 때 발화 또는 연기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 최고 온도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온도는 종이가 정착 기구에 잔류할 때 종이 상에 발화 흔적이 형성되지 않는 최고 온도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소정 온도로 제어된 후의 정착 기구에 종이가 잔류할 때 발화 또는 연기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소정 온도로 제어된 후의 정착 기구에 종이가 잔류할 때 종이 상에 발화 흔적이 형성되지 않는 시간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종이가 반송 통로 상에 계속적으로 잔류하기 때문에 종이가 말려서 반송될 수 없게 되는 시간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종이가 반송 통로 상에 계속적으로 잔류하기 때문에 종이가 말려서 반송될 수 없게 되는 시간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각은 상기 기록 장치의 전원이 온되거나 리세트되는 것에 반응하는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각은 적어도 도어의 폐쇄, 잼 또는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반응하는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각은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반응하는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60044860A 1995-10-09 1996-10-09 기록 장치 KR100202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92895A JP3673572B2 (ja) 1995-10-09 1995-10-09 記録装置
JP95-287928 1995-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453A KR970020453A (ko) 1997-05-28
KR100202727B1 true KR100202727B1 (ko) 1999-06-15

Family

ID=1772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860A KR100202727B1 (ko) 1995-10-09 1996-10-09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05297B1 (ko)
EP (2) EP0768186B1 (ko)
JP (1) JP3673572B2 (ko)
KR (1) KR100202727B1 (ko)
DE (1) DE69627775T2 (ko)
HK (1) HK1011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183B1 (en) * 1998-12-21 2001-09-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2173252A (ja) * 2000-12-08 2002-06-2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649052B2 (ja) * 2001-03-30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
JP4698099B2 (ja) * 2001-09-28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2003241583A (ja) * 2002-02-14 2003-08-29 Oki Data Corp 画像記録装置
JP3950727B2 (ja) * 2002-04-10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排出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37897B2 (ja) 2002-04-10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排出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27184B2 (en) * 2003-12-05 2006-10-24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device for clearing media jams from an image forming device
US7398968B2 (en) * 2004-11-01 2008-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apparatus
JP4883767B2 (ja) * 2005-05-13 201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US7595912B2 (en) 2005-05-13 2009-09-29 Canon Kabusi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JP2009014812A (ja) * 2007-07-02 2009-01-2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4670954B2 (ja) 2008-12-25 2011-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515924B2 (ja) * 2010-03-24 2014-06-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29426B2 (ja) * 2012-03-30 2016-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760051B2 (en) 2016-01-26 2017-09-12 Kabushiki Kaisha Toshiba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22102485A (ja) 2020-12-25 2022-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2024003996A (ja) * 2022-06-28 2024-01-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0787A (en) * 1976-02-25 1978-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copier mode controls
JPS5683775A (en) * 1979-12-12 1981-07-08 Minolta Camera Co Ltd Waiting time display device for copier or the like
JPS6031156A (ja) * 1983-07-29 1985-02-16 Sharp Corp 複写機
JPS6093472A (ja) * 1983-10-27 1985-05-25 Ricoh Co Ltd 複写機
JPS61109069A (ja) * 1984-11-02 1986-05-27 Fuji Xerox Co Ltd 複写機の制御方式
JPH0658582B2 (ja) * 1985-05-30 1994-08-03 三田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の温度制御方法
JPS62235960A (ja) * 1986-04-07 1987-10-16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S643673A (en) * 1987-06-26 1989-01-09 Canon Kk Picture recorder
JP2758003B2 (ja) * 1988-09-30 1998-05-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764816B2 (ja) * 1988-12-28 1998-06-11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合成・両面複写機
JPH03252670A (ja) * 1990-03-02 1991-11-11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JPH06135597A (ja) * 1992-10-27 1994-05-17 Sharp Corp 電子写真複写機
KR0132039B1 (ko) * 1993-05-24 1998-10-01 김광호 전자사진 현상방식 프린터의 잼 제거방법
KR0141676B1 (ko) * 1993-05-24 1998-07-15 김광호 전자사진현상방식을 이용한 장치의 잼제거방법
KR0122535B1 (ko) * 1993-10-20 1997-11-17 윤종용 전자사진 현상방식 프린터의 잼 제거방법 및 장치
US5489968A (en) * 1994-01-04 1996-02-06 Xerox Corporation Copy sheet purge processing device
KR0149197B1 (ko) * 1994-06-14 1998-12-15 우석형 잼 자동제거를 위한 잼용지 자동배출 제어방법
KR0173344B1 (ko) * 1995-08-14 1999-04-01 김광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잼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7775D1 (de) 2003-06-05
EP1318022A2 (en) 2003-06-11
KR970020453A (ko) 1997-05-28
EP0768186B1 (en) 2003-05-02
EP1318022A3 (en) 2003-10-29
EP0768186A3 (en) 1998-10-28
EP0768186A2 (en) 1997-04-16
JPH09104141A (ja) 1997-04-22
US6205297B1 (en) 2001-03-20
HK1011641A1 (en) 1999-07-16
JP3673572B2 (ja) 2005-07-20
DE69627775T2 (de)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727B1 (ko) 기록 장치
US5455659A (en) Apparatus with detector for detecting object to be detected
EP2457736B1 (en) Printing apparatus
EP2463107B1 (en) Color era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color erasing apparatus
US73824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240681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排紙搬送装置
JP4938964B2 (ja) 画像形成装置
JP3876775B2 (ja) プリンタ
US6374063B1 (en) Fixing device use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84160A (ja) 電子写真装置
US5461460A (en) Method for eliminating a paper jam in an image forming system
JP3212154B2 (ja) プリンタの搬送装置
JP3466708B2 (ja) 印字装置
JP4649052B2 (ja) 記録システム
JPH1019452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4154657B2 (ja) 画像形成装置
JP299881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287425A (ja) 画像形成装置
JPH0665498B2 (ja) 記録装置
JPH1184955A (ja) 画像形成装置
JPH03164754A (ja) 印字装置
JPH0911559A (ja) 記録装置
JP200226830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JPH0916030A (ja) プリンタ装置
JP2002302297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