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538B1 -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 - Google Patents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538B1
KR100202538B1 KR1019940036436A KR19940036436A KR100202538B1 KR 100202538 B1 KR100202538 B1 KR 100202538B1 KR 1019940036436 A KR1019940036436 A KR 1019940036436A KR 19940036436 A KR19940036436 A KR 19940036436A KR 100202538 B1 KR100202538 B1 KR 10020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er
encoder
mode
unit
mod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462A (ko
Inventor
김형석
신광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3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538B1/ko
Priority to US08/577,226 priority patent/US5703651A/en
Publication of KR96002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6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for a given display mode, e.g. for interlaced or progressive displa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2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 given display mode, e.g. for interlaced or progressive displa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엠펙-2 프로파일에 준하는 비디오 부호화기에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화기를 첨가하고 복호화기 모드와 부호화기 모드로 기능이 전환될 경우 이에 맞도록 신호흐흠과 입,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부가하여 단일 시스템으로 엠펙-2 비디오 부호화기와 복호화기를 구현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신호가 부호화기 또는 복호화기의 모드신호인지를 판별하여 그에 따른 모드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과;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입럭된 부호화 비트 스트림의 경로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주는 복호기/부호기 선택수단과; 상기 복호기/부호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되어 얻어진 전송 비트 스트림을 부호호화 및 복호화 처리하여 저장매체에 전송하거나 또는 표시수단 전송하는 부호화/복호화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엠펙 비디오 코덱(CODEC) 장치
제1도는 종래 엠펙-2 비디오 부호화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엠펙-2 비디오 복호화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엠펙-2 비디오 코덱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 엠펙-2 비디오 캠코더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제 1 프레임 재구성부 106 : 이산 코사인 변환부
107 : 양자화부 109 :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
121 : 움직임 보상부 203 :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
300 :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 401 : 광학계
본 발명은 엠펙-2(MPEG-2 : Motion Picture Expert Group) 비디오 코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엠펙-2 프로파일에 준하는 비디오 부호기와 복호기를 단일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많은 부분의 하드웨어를 공유 하도록 하는 엠꿱 비디오 코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화상 압축 및 재생에 있어서의 국제 표준 방식인 엠펙-2는 영상의 공간적인 상관관계(correlation)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정보를 압축하게 된다.
움직임보상(motion-compensation)을 이용하여 시간적 중복성(redundancy)을 없애고 이산 코사인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이용하여 공간적 중복성을 없애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 엠펙-2 비디오 부호화기는 첨부된 도면 제 1 도와 같다.
상기 엠펙-2에서 영상의 부호화 형식(coding-type)(118)은 움직임 예측기법에 따라 I-프레임 영상, P-프레임 영상, B-프레임 경상의 3가지 프레임 영상(Picture)으로 분류된다.
상기 I-프레임 영상은 움직임 예측없이 영상자체를 주파수성분 신호로 이산 코사인 변환부(106)를 통해 이산 코사인 변환하여 부호화하며 P-프레임 영상은 전방향(forward) 예측만을 하고 B-프레임 영상은 전방향 및 후방향 예측을 하게 된다.
따라서, B-프레임 영상이 존재할 경우 제1 입력단자(101)를 통해 입력된 영상은 부호화 순서에 맞추어 재 구성되어야 하며 이는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2)에서 수행된다.
상기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2)를 통과한 입력영상은 움직임 추정부(122)에서 움직임 예측을 하게 된다.
이때, 찾아진 움직임 벡터(123)를 이용하여 제1 움직임 보상부(121)에서 움직임 보상을 하게 된다.
상기 움직임 보상된 영상값을 이용하여 현재 처리중인 매크로 블럭을 움직임 보상모드(Inter Mode)로 할 것인지, 움직임 보상없이 자체를 이산 코사인 변환하는 모드(Intra Mode)로 할 것인지가 인터/인트라 분석부(124)에서 결정되어 제1 스위칭부(125)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1 입력단자(101)를 통해 입력된 영상과 움직임 보상된 영상은 감산기(103)를 통해 차영상으로 출력된다.
상기 차영상은 프레임/필드 분석부(104)에서 이산 코사인 변환 타입을 결정하고 프레임/필드 포매트부(105)는 프레임/필드 분석부(104)에서 결정된 이산 코사인 타입에 맞게 데이터 포매트를 변환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필드 포매트부(105)의 출력은 이산 코사인 변환부(106)에서 주파수성분 신호로 이산 코사인 변환되고 그 이산 코사인 변환된 주파수성분 신호는 양자화부(107)를 통해 양자화 계수값으로 양자화되어 ZZ스캔 변환부(108)에 입력된다.
상기 양자화부(107)에서 출력된 양자화 계수값은 ZZ스캔 변환부(108)에서 ZZ스캔 순서대로 제로 런(Zero run)과 레벨(level)쌍으로 검출된다.
이때, 양자화부(107)는 제1 버퍼부(110)의 상태에 따른 되먹임 제어를 받게 된다.
즉, 출력 비트열의 양이 많아 제1 버퍼부(110)에 많은 양의 비트열이 저장되면 양자화 제어부(111)는 양자화 스케일 값을 높여 양자화부(107)에 전달하여 발생되는 비트량을 감소시키고, 반대로 제1 버퍼부(110)에 적은 양의 비트열이 저장되면 양자화 스케일 값이 낮아져 발생되는 비트량은 증가된다.
상기 ZZ스캔 변환부(108)에서 구해진 런, 레벨 쌍은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109)에서 움직임 벡터(123) 등의 다른 부가적인 정보들과 함께 엠펙-2 메인 프로파일에 준하는 비트열로 변환되어 제1 버퍼부(110)를 통해 일정한 비트율로 출력단자(126)로 출력 된다.
이때, ZZ스캔 번환부(108)의 출력은 제1 역 ZZ스캔 변환부(112), 제1 역 양자화부(113), 제1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114), 제1 역 프레임/필드 포매트부(115)와 같은 복호화 과정을 거쳐 복호화되고 제1 가산기(116)에서 움직임 보상된 영상과 더해져서 복원된다.
상기 복원된 영상은 움직임 추정부(122)와 제1 움직임 보상부(121)의 기준영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제2 입력단자(118)를 통한 영상의 부호화 타입이 I-프레임 영상, P-프레임 영상일 경우에만 제2 스위칭부(117)를 통과하여 제1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메모리(120)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I-프레임 영상 혹은 P-프레임 영상이 부호화될 때 제1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20)에서 제1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19)로 옮겨진다.
그리고, 제 2 도는 종래 엠펙-2 비디오 복호화기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 엠펙-2 비디오 복호화기는 제 1 도와 같은 엠펙-2 부호화기에서 송출되어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을 원래의 영상으로 복원하여 모니터에 표시하거나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 입력단자(201)를 통해 입력된 비트 스트림은 제2 버퍼부(202)에 저장되었다가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정보와 움직임 벡터, 인트라/인터, 부호화 타입 등의 부가정보로 복호화 된다.
복호화된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정보는 제2 역 ZZ스캔 변환부(204)에서 ZZ스캔변환 이전의 값으로 복원되며, 제2 역양자화부(205), 제2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206) 및 제2 역프레임/필드 포매트부(207)를 거쳐 I-프레임 영상(인트라 모드)의 경우 영상으로 복원되고, P-프레임 영상 및 B-프레임 영상(인터 모드)의 경우 차영상으로 복원된다.
복원된 차영상은 제2 가산기(208)에서 움직임 보상된 영상과 더해져서 영상으로 복원되고 제2 프레임 재구성부(209)에서 디스플레이 순서대로 재구성되어 출력단자(218)로 출력된다.
복원된 영상은 제2 움직임 보상부(212)의 기준영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제6 입력단자(217)를 통한 영상의 부호화 타입이 I-프레임 영상, P-프레임 영상일 경우에만 제4 스위칭부(216)를 통과하여 제2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215)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I-프레임 영상 혹은 P-프레임 영상이 복호화될 때 제2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215)에서 제2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214)로 옮겨진다.
상기 제2 움직임 보상부(212)는 제2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214) 및 제 2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215)에 저장된 기준영상과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구해져 제5 입력단자(213)를 통해 입력되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한다.
상기 제2 움직임 보상부(212)에서 움직임 보상된 영상은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발생된 인트라/인터(211)에 의해 인터모드일 경우에만 제3스위칭부(210)를 통과하여 제2 가산기(208)로 전달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엠펙-2 비디오 부호화기와 복호화기가 공전할 경우 상당히 많은 하드웨어를 공유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호화기와 복호화기가 개별적으로 존재해야 하고 특히,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단일 칩으로 구현되는 엠펙-2 비디오 부호화기와 복호화기가 개발될 경우 최대한의 하드웨어를 공유하며, 단일 시스템으로 부호화기와 복호화기를 구현할 경우 하드웨어의 분량이 줄어들 수 있어 엠펙-2 비디오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의 단일 칩 구현이 용이해 질 것이나 현 상태에서는 비디오 부호화기와 복호화기가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되어 있으므로 하드웨어의 분량이 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중량과 사이즈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엠펙-2 프로파일에 준하는 비디오 부호화기에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화기를 첨가하고 복호화기 모드와 부호화기 모드로 기능이 전환될 경우 이에 맞도록 신호흐름과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부가하여 단일 시스템으로 엠펙-2 비디오 부호화기와 복호화기를 구현하도록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엠펙 비트 스트림으로 부호화 할 수 있는 부호화 수단과, 엠펙 비트 스트림으로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복원된 디지탈 영상신호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이 동시에 구비된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에 있어서, 신호처리의 대상이 부호기 모드인지 복호기 모드인지를 판별하여 그에 따른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발생수단과;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수단과 복호화 수단의 신호처리 경로를 선택하는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발명 엠펙-2 비디오 코덱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신호가 부호화기 또는 복호화기의 모드신호인지를 판별하여 그에 따른 제1 내지 제9 모드제어신호(S1 내지 S9)를 생성하는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과,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1 내지 제9 모드제어신호(S1 내지 S9)에 의해 제1 입력단자(101)를 통해 입력된 부호영상 비트 스트림의 경로 방향을 각각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주는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과; 상기 복호기/부호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되어 방향 전환된 송신 영상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하여 저장매체에 전송하거나 또는 부호기의 영상 비트 스트림을 복원처리하여 표시수단에 전송하는 엠펙 부호화/엠펙 복호화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은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4 모드제어신호(S4)에 의해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109)로 부터 가변장 부호화된 비트열을 선택하여 버퍼부(110)를 통해 제1 출력단자(126)로 출력함과 아울러 제2 입력단자(201)를 통해 입력되는 비트열을 선택하여 버퍼부(110)를 통해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로 제공하는 제2 멀티플렉서(304)와,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복호화된 이산 코사인계수 정보와 ZZ스캔 변환부(108)에서 ZZ스캔 변환된 런, 레벨쌍을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3모드제어신호(53)에 의해 선택하여 역ZZ스캔 변환부(112)에 제공하는 제1 멀티플렉서(303)와,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5 모드제어신호(S5)에 의해 가산기(116)를 통해 움직임 보상된 영상정보를 제2 프레임 재구성부(209)를 통해 제2 출력단자(218)로 출력하는 제3 스위칭부(308)와,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6 모드제어신호(S6)에 의해 제3 입력단자(118)를 통한 부호화 타입과 제6 입력단자(217)를 통한 복원 부호화 타입을 선택하여 제6스위칭부(117)로 공급하는 제3멀티플렉서(305)와, 상기 복호기/부호기 도트 제어수단(300)에서 얻어진 제7 모드제어신호(S7)에 의해 인터/인트라 분석부(124)에서 얻어진 인터/인트라 또는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복원되어 제5 입력단자(211)를 통해 입력되는 인터/인트라를 선택하여 제5 스위칭부(125)를 제어하는 제4 멀티플렉서(306)와,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얻어진 제8 모드제어신호(S8)에 따라 움직임 추정부(122)에서 찾아진 움직임벡터(123) 또는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복원되어 제6 입력단자(213)를 통해 입력되는 복원 움직임벡터를 선택하여 움직임 보상부(121)에 제공하는 제5 멀티플렉서(307)와,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9 모드제어신호(S9)에 의해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19),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20)의 기준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움직임 추정부(122)로 제공하는 제4 스위칭부(309)와,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2 모드제어신호(52)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제5 스위칭부(125)를 통한 움직임 보상된 영상정보를 감산기(103)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302)와,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1 모드제어신호(S1)에 의해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2)에서 발생된 입력 영상정보를 움직임 추정부(122)로 제공하는 제1 스위칭부(100)로 구성한 것으로서, 제 1 도 및 제 2 도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의 동작 일부를 생략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입력단자(101)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정보의 비트 스트림이 입력되고 제7 입력단자(301)로 전송하고자 하는 모드(즉, 부호화 및 복호하 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2)는 제1 입력단자(101)를 통해 입력된 영상 정보의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 순서에 맞추어 재구성하여 감산기(103)에 입력하게 되고,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은 상기 제7 입력단자(301)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신호가 복호기 모드인지 부호기 모드 신호인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된 복호기 또는 부호기 모드에 따라 각각 제1 내지 제9 모드 제어신호(S1 내지 S9)를 발생하여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의 제1 내지 제5 멀티플렉서(303 내지 307) 및 제1 내지 제4 스위칭부(301)(302)(308)(309)를 모드에 맞게 제어하게 된다.
상기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의 제1 스위칭부(100)는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1 모드 제어신호(S1)가 부호기 모드일때만 도통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2)에서 재구성된 영상정보 비트 스트림을 움직임 추정부(122)에 전달하여 움직임 추정하고 예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칭부(302)는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2 모드제어신호(S2)가 부호기 모드일때만 도통되어 제 5 스위칭부(125)를 통해 입력되는 움직임 보상된 영상정보를 감산기(103)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산기(103)는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2)를 통해 재구성된 입력 영상정보의 비트 스트림과 제2 스위칭부(302)를 통해 입력되는 움직임 보상된 영상정보와의 차를 구하여 프레임/필드 분석부(104)와 프레임/필드 포매트부(105)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프레잉/필드 분석부(104)는 입력된 차신호를 가지고 이산 코사인 변환 타입을 결정하여 상기 프레임/필드 포매트부(105)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필드 포매트부(105)는 상기 프레임/필드 분석부(104)에서 결정된 이산 코사인 변환 타입에 맞게 상기 감산기(103)의 차신호를 데이터 포매트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필드 포매트부(105)에서 출력된 영상정보는 전술한 이산 코사인 변환부(106)를 통해 주파수성분 신호로 이산 코사인 변환되고 양자화부(107)를 통해 양자화되어 ZZ스캔 변환부(108)에 입력된다.
상기 ZZ스캔 변환부(108)는 양자화부(107)로 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계수의 입력순서대로 제로 런(zero run)과 레벨(level)쌍을 검출하여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의 제1 멀티플렉서(303)에 제공함과 아울러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109)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ZZ스캔 변환부(108)에서 검출된 런, 레벨 쌍은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109)에서 움직임 벡터(123) 등의 다른 부가적인 정보들과 함께 엠펙-2(MPEG-2) 메인 프로파일에 준하는 비트열로 변환되어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의 제2 멀티플렉서(304)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의 제2 멀티플렉서(304)는 상기 복호기/부호기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4 모드제어신호(S4)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109)에서 부호화된 영상정보의 비트열을 선택하여 버퍼부(110) 및 제1 출력단자(126)를 통해 일정한 비트 스트림으로 송출하고, 제4 모드제어신호(S4)가 복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제2 입력단자(201), 즉 복호기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의 비트열을 선택하여 버퍼부(110)를 통해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자화부(107)는 부호기 모드시 상기 버퍼부(110)의 상태에 따른 되먹임 제어를 받는다.
즉, 부호기와 제1 출력단자(126)의 출력 비트열의 양이 많아 버퍼부(110)에 많은 양의 비트열이 저장되면 양자화 제어부(111)는 양자화 스케일 값을 높여 양자화부(107)에 전달하여 발생되는 비트량을 감소시키고, 반대로 버퍼부(110)에 적은 양의 비트열이 저장되면 양자화 스케일 값이 낮아져 발생되는 비트량을 증가시켜 양자화부(107)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는 전술한 바와같이, 복호기 모드시 버퍼부(110)로 부터 입력되는 비트열을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정보와 움길임벡터, 인트라/인터, 부호화 타입 등의 부가정보로 복호화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정보는 부호기/복호부 선택수단의 제1 멀티플렉서(303)로, 움직임 벡터는 제4 입력단자(211)로, 인트라/인터는 제5 입력단자(213), 부호화 타입은 제6 입력단자(217)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의 제1 멀티플렉서(303)는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3 모드제어신호(S3)가 복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복호화된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정보를 선택하여 역 ZZ스캔 변환부(112)에 제공하고 부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ZZ스캔 변환부(108)에서 입력되는 런, 레벨 쌍을 선택하여 역ZZ 스캔 변환부(112)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의 제1 멀티플렉서(303)에서 선택된 런, 레벨 쌍 또는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정보는 역ZZ 스캔 변환부(112), 역양자화부(113), 역이산코사인 변환부(114) 및 역프레임/필드 포매트부(115)를 통해 복호화되어 가산기(116)에 제공된다.
상기 가산기(116)는 제5 스위칭부(125)를 통해 입력되는 움직임 보상된 영상신호와 역프레임/필드 포매트부(115)를 통해 복호화된 영상정보를 가산하여 복원된 영상신호를 제6 스위칭부(117) 및 부호기/복호기 선택수단의 제3 스위칭부(308)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스위칭부(308)는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5 모드제어신호(S5)가 복호기 모드일 때만 도통되어 상기 가산기(116)를 통해 복원된 영상정보를 제2 프레임 재구성부(209)를 통해 제2 출력단자(218), 즉 복호기 출력단자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2 프레임 재구성부(209)는 부호기 모드에 사용되는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5)와 동일한 하드웨어이나 그 동작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복호기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2 프레임 재구성부(209)는 I-영상, P-영상의 경우에는 부호화된 비트열에서 다음에 오는 I-영상, P-영상이 복원되었을 때 출력시키고, B-영상은 한 프레임 지연하여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부호기 모드로 사용되는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2)는 사용된 B-영상의 수만큼 부호기의 입력, 즉 제1 입력단자(101)를 통해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을 지연시켜서 부호화 순서에 맞도록 재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6 스위칭부(117)는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의 제6모드제어신호(S6)에 따라 상기 가산기(116)의 출력신호를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20)에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6 모드제어신호(S6)가 복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제3 멀티플렉서(305)는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복호화되어 제6 입력단자(217)를 통해 입력되는 복원 부호화 타입을 선택하여 제6스위칭부(117)에 제공하고, 제6 모드제어신호(S6)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제3 멀티플렉서(305)는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109)에서 부호화되어 제3 입력단자(118)를 통해 입력되는 부호화 타입을 선택하여 제6 스위칭부(117)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6 스위칭부(117)는 상기 제3 멀티플렉서(305)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부호화 타입 또는 복원 부호화 타입에 의해 도통되어 상기 가산기(116)에서 가산되어 입력되는 I-영상 혹은 P-영상을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2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20)에 저장된 I-영상 또는 P-영상은 부호화 또는 복호화시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19), 제4 스위칭부(309) 및 움직임 보상부(121)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19)는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을 움직임 보상부(121) 및 제4 스위칭부(309)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4 스위칭부(309)는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으로 발생된 제9 제어신호(S9)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통되어 상기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메모리(119)의 기준영상과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20)의 기준영상을 움직임 추정부(122)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움직임 추정부(122)는 상기 제4 스위칭부(309)를 통한 기준영상신호를 가지고 제1 스위칭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움직임을 추종하여 움직임 벡터(123)를 제5 멀티플렉서(307)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5 멀티플렉서(307)는 상기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8 모드제어신호(S8)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 추정부(122)에서 찾아진 움직임 벡터(123)를 선택하여 움직임 보상부(121)에 제공하고 제8 모드제어신호(S8)가 복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복호화되어 제5 입력단자(213)를 통해 입력되는 복원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여 움직임 보상부(12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움직임 보상부(121)는 상기 제5 멀티플렉서(307)로 부터 제공된 움직임 벡터(123) 및 복원 움직임 벡터와 전,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119)(120)에서 제공된 기준영상을 가지고 움직임을 보상하여 인터/인트라 분석부(124)와 제5 스위칭부(125)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인터/인트라 분석부(124)는 상기 움직임 보상부(121)에서 보상된 영상값을 이용하여 현재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을 움직임 보상모드(인터모드)로 할 것인지 또는 움직임 보상없이 자체를 이산 코사인 변환하는 모드(인트라모드)로 할 것인지 결정하여 제4 멀티플렉서(306)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4 멀티플렉서(306)는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에서 발생된 제7 모드제어신호(S7)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인터/인트라 분석부(124)에서 결정된 인터/인트라 모드를 제5 스위칭부(125)에 전달하고 제7 모드제어신호(S7)가 복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에서 복호화되어 제4 입력단자(211)를 통해 입력되는 인터/인트라모드를 선택하여 제5 스위칭부(125)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5 스위칭부(125)는 상기 제4 멀티플렉서(306)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인터/인트라모드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움직임 보상부(121)를 통해 움직임 보상된 영상신호를 전술한 제2 스위칭부(302)를 통해, 즉 부호기 모드일 때만 제2 스위칭부(302)를 통해 감산기(103)에 제공하게 된다.
즉, 이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제7 입력단자(301)를 통해 부호기 모드가 입력되면 복호기/부호기 모드 제어수단(300)은 전술한 바와같은 제1 내지 제9 모드제어신호(S1 내지 S9)를 발생하여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203), 제2 프레임 재구성부(209), 복원 부호화 타입, 인터/인트라 등과 같이, 복호기 모드일 때만 필요한 부분을 동작중지 시키게 된다.
반대로 제7 입력단자(301)를 통해 복호기 모드가 입력되면 제1 프레임 재구성부(102), 감산기(103), 프레임/필드 분석부(104), 프레임/필드 포매트부(105), 이산 코사인 변환부(106), 인터/인트라 분석부(124), 움직임 추정부(122)등 부호기 모드일 때만 필요한 부분을 동작중지 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4도는 제3도를 적용한 본 발명 엠펙-2 비디오 캠코더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사체를 촬상하는 광하계(401)와; 상기 광학계(401)를 통해 촬상된 영상신호와 제1 입력단자(402)를 통해 입력되는 또다른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심플링하여 엠펙-2 메인 프로파일에 준하는 디지탈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번환부(404)와; 디지탈 저장매체(409)로 부터 부호화된 엠펙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오피오 비트 스트림과 비디오 비트 스트림으로 분리하여, 상기 오디오 비트 스트림을 제1 출력단자(411)로 출력하는 엠펙 시스템 복호기(410)와; 상기 엠펙시스템 복호기(410)로부터 분리된 부호화된 비디오 비트 스트림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404)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제2 입력단자(403)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되지 않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제4 입력단자(406)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모드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제2 출력단자(412)로 출력하거나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를 부호화하여 비디오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하는 엠펙 비디오 복호/부호수단(405)과; 상기 엠펙 비디오 복호/부호수단(405)에서 부호화되어 출력되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과 제3 입력단자(408)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비트 스트림을 혼합하여 엠펙 비트 스트림으로 만들어 상기 디지탈 저장매체(409)에 저장하는 엠펙 시스텝 부호기(407)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디오 캠코더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학계(401)로 부터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신호 또는 제1 입력단자(40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404)에 입력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404)는 광학계(401) 또는 제1 입력단자(402)를 통해 입력되는 또다른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엠펙-2 메인 기준파일에 준하는 디지탈 영상신호로 엠펙 비디오 복호/부호수단(405)에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입력단자(4O3)를 통헤 입력된 엠펙-2 메인 프로파일에 준하는 디지탈 영상신호는 상기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404)를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한 엠펙 비디오 복호/부호수단(405)에 입력된다.
또한 디지탈 저장매체(409)에 저장된 엠펙 비트 스트림은 엠펙 시스템 복호기(410)를 통해 오디오 비트 스트림과 비디오 비트 스트림으로 분리되어, 상기 오디오 비트 스트림은 제1 출력단자(411)를 통해 출력되고, 비디오 비트 스트림은 상기한 엠펙 비디오 복호/부호수단(405)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엠펙 비디오 복호/부호수단(405)은 제4 입력단자(406)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신호가 부호기 모드, 즉 영상을 녹화하고자 하는 기록모드일 경우에는 부호기로 동작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404)에서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제2 입력단자(403)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부호화 하여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엠펙 시스템 부호기(407)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엠펙 시스템 부호기(407)는 상기 엠펙 비디오 복호/부호수단(405)에서 부호화되어 입력되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과 제3 입력단자(408)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비트 스트림을 혼합하여 상기한 디지탈 저장매체(409)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4 입력단자(406)를 통해 입력된 모드신호가 복호기 모드일 경우에는, 즉 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모드일 경우에는 엠펙 비디오 복호/부호수단(405)은 복호기로 동작하여, 상기 엠펙 시스템 복호기(410)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여 그 복원된 영상신호를 제2 출력단자(41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엠펙-2메인 프로파일에 준하는 비디오 복호화기와 부호화기를 단일 시스템으로 구현함으로써 많은 부분의 하드웨어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비디오 복호화기와 부호화기가 따로 존재해야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엠펙-2 메인 프로파일 비디오 캠코더와 같이 복호화기와 부호화기가 동시에 존재해야 하는 제품의 경우 하드웨어의 분량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경박, 소형화가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엠펙 비트 스트림으로 부호화 할 수 있는 부호화수단과, 엠펙 비트 스트림으로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복원된 디지탈 영상신호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이 동시에 구비된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에 있어서, 신호처리의 대상이 부호기 모드인지 복호기 모드인지를 판별하여 그에따른 모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과,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로부터 가변장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버퍼부를 통해 전송함과 아울러 복호화 하고자 하는 비트 스트림을 선택하여 상기 버퍼부를 통해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로 제공하는 제2 멀티플렉서와;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에서 복호화된 이산 코사인계수 정보와 ZZ스캔 변환부에서 ZZ스캔 변환된 런, 레벨쌍을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선택하여 역ZZ스캔 변환부에 제공하는 제1 멀티플렉서와;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가산기를 통해 움직임 보상된 영상정보를 제2 프레임 재구성부를 통해 복호기의 출력으로서 전송하는 제3 스위칭부와;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의 부호화 타입과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의 복원 부호화 타입을 선택하여 제6 스위칭부로 공급하는 제3 멀티플렉서와;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인터/인트라 분석부에서 얻어진 인터/인트라 또는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에서 복원되어 입력되는 인터/인트라를 선택하여 제5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4 멀티플렉서와;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따라 움직임 추정부에서 찾아진 움직임벡터 또는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에서 복원된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여 움직임 보상부에 제공하는 제5 멀티플렉서와;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 후방향 예측 기준영상 메모리의 기준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움직임 추정부로 제공하는 제4 스위칭부와;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제5 스위칭부를 통한 움직임 보상된 영상정보를 감산기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와;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제1프레임 재구성부에서 발생된 입력 영상정보를 움직임 추정부로 제공하는 제1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CODEC)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위칭부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부호기 모드일 때만 동작하여 제1 프레임 재구성부의 영상정보를 움직임 추정부에 전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스위칭부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부호기 모드일 때만 동작하여 움직임 보상된 영상정보를 감산기에 제공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멀티플렉서는 상기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복호기 모드일 경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에서 복호화된 값을 선택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멀티플렉서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 가변 및 고정길이 부호기의 출력 비트 스트림을 버퍼부에 제공하고 복호기 모드일 경우 복호기 입력 비트 스트림을 선택하여 버퍼부에 제공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3 스위칭부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복호기 모드일 때만 동작하여 가산기에서 가산된 영상정보를 제2프레임 재구성부를 통해 복원된 영상신호로 출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3 멀티플렉서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 부호화 타입을 선택하고 복호기 모드일 경우 복원된 복원 부호화 타입을 선택하여 제6 스위칭부를 제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4 멀티플렉서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 인터/인트라 분석부의 인터/인트라 모드를 선택하고 복호기 모드일 경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의 복원된 인터/인트라 모드를 선택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5 멀티플렉서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보호기 모드일 경우 움직임 추정부에서 찾아진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고 복호기 모드일 경우 가변 및 고정길이 복호기의 복원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여 움직임 보상부에 전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4 스위칭부는 부호기/복호기 모드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모드가 부호기 모드일 경우에만 움직임 추정부로 기준영상 데이터를 전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펙 비디오 코덱장치.
KR1019940036436A 1994-12-23 1994-12-23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 KR10020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436A KR100202538B1 (ko) 1994-12-23 1994-12-23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
US08/577,226 US5703651A (en) 1994-12-23 1995-12-22 Motion picture expert group (MPEG) video coder/decod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436A KR100202538B1 (ko) 1994-12-23 1994-12-23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62A KR960028462A (ko) 1996-07-22
KR100202538B1 true KR100202538B1 (ko) 1999-06-15

Family

ID=1940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436A KR100202538B1 (ko) 1994-12-23 1994-12-23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703651A (ko)
KR (1) KR100202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133B1 (ko) * 1997-06-06 2005-11-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화상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5258B1 (it) * 1996-02-26 1998-06-03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Dispositivo di manipolazione di sequenze video compresse.
GB2369518B (en) * 1997-07-18 2002-07-17 British Broadcasting Corp Switching compressed video bitstreams
JP3099809B2 (ja) * 1998-06-04 2000-10-16 日本電気株式会社 片フィールドデータによるフレーム表示方法および装置
TW425769B (en) * 1999-07-08 2001-03-11 Via Tech Inc Mapping register structure of codec controller and powering down and suspending method using the same
US6738424B1 (en) 1999-12-27 2004-05-18 Objectvideo, Inc. Scene model generation from video for use in video processing
JP2003519990A (ja) * 1999-12-29 2003-06-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画像を符号化及び復号化する装置
JP4655191B2 (ja) * 2004-09-02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918374B2 (en) 2007-01-29 2011-04-05 Halex/Scott Fetzer Company Portable fastener driving device
US8711901B2 (en) * 2007-03-12 2014-04-29 Vixs Systems, Inc. Video processing system and device with encoding and decoding modes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JP5286805B2 (ja) * 2008-01-31 2013-09-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動画像復号化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8622A (ja) * 1992-04-28 1993-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
US5289577A (en) * 1992-06-04 1994-0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Incorporated Process-pipeline architecture for image/video processing
US5450599A (en) * 1992-06-04 1995-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quential pipelined processing for the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image data
JPH06150568A (ja) * 1992-11-06 1994-05-31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
JP3358835B2 (ja) * 1992-12-14 2002-12-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US5563961A (en) * 1994-03-03 1996-10-08 Radius Inc. Video data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which measures compressed data storage time to optimize compression rate
US5563593A (en) * 1994-03-18 1996-10-08 Lucent Technologies Inc. Video coding with optimized low complexity variable length codes
US5537155A (en) * 1994-04-29 1996-07-16 Motorola, Inc. Method for estimating motion in a video sequence
US5510842A (en) * 1994-05-04 1996-04-23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Parallel architecture for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video decoder having multiple independent frame memories
US5550643A (en) * 1994-12-22 1996-08-27 Kabushiki Kaisha Toshiba Trick-play VCR for digitally coded vide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133B1 (ko) * 1997-06-06 2005-11-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화상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03651A (en) 1997-12-30
KR960028462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2458A1 (en) Spatial scalable compression
KR0161551B1 (ko) 압축화상의 편집 또는 합성방법 및 장치
KR100592651B1 (ko) 트랜스코딩 방법 및 장치
EP0637893B1 (en) Transcoding device
EP105981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xt-based inter/intra coding mode selection
US20060133475A1 (en) Video coding
KR100202538B1 (ko)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
US6271774B1 (en) Picture data processor, picture data decoder and picture data encoder, and methods thereof
US20070025438A1 (en) Elastic storage
KR100203281B1 (ko) 강제적 한방향 운동보상에 근거한 동화상 복호화장치
KR20000039731A (ko) 영역분할기반동영상압축부호화방법및장치
JPH08307860A (ja) シーン再エンコード装置
JPH0951538A (ja) 画像信号の符号化方法
KR100317355B1 (ko) 동화상비디오부호화장치
KR0181067B1 (ko) 호환성을 갖는 동영상 부호화기
JP3188081B2 (ja)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JPH1175198A (ja) 画像信号圧縮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213283B1 (ko) 동영상 부호화기
KR0148146B1 (ko) 중요영상데이타의 손실방지장치
JPH07298270A (ja) 動き補償フレーム間予測符号化装置
KR0130167B1 (ko) 동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JPH08340540A (ja) 画像フレームの符号化又は復号化の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268571A (ja) 動画像再符号化装置
JPH07170522A (ja) 動画像圧縮データ切り換え装置
JPH10308898A (ja) 映像信号切換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