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442B1 -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442B1
KR100194442B1 KR1019910000688A KR910000688A KR100194442B1 KR 100194442 B1 KR100194442 B1 KR 100194442B1 KR 1019910000688 A KR1019910000688 A KR 1019910000688A KR 910000688 A KR910000688 A KR 910000688A KR 100194442 B1 KR100194442 B1 KR 10019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filler
molded article
matrix
fi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437A (ko
Inventor
귀레이종-루이
Original Assignee
조세 몬테이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39283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1944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세 몬테이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세 몬테이로
Publication of KR91001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llers dispersed in the moulding material, e.g. m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2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 B29C70/021Combinations of fibrous reinforcement and non-fibrous material
    • B29C70/025Combinations of fibrous reinforcement and non-fibrous material with particular fi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8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crystalline structures, pearl effects, or mother-of-pearl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201/00 - B29K2309/00,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201/00 - B29K2309/00, as reinforcement
    • B29K2311/10Natural fibres, e.g. wool or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29K2995/0021Multi-colou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색 또는 무색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의 100 부피부당 다른 입자크기 또는 차원을 갖는 천연섬유, 탄소 섬유 및 광물성 충진재로부터 선택된 2개이상의 충진재 0.2 내지 80 부피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부터 자연석 형태의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트릭스의 색 및 서로 다른 충진재들의 수, 본율, 입자크기 및 색을 선택하여, 자연석의 일반적형태 및 색과 흡사하게 할 수 있다. 조작후에 얻어진 성형품들은 이들의 미적외관때문에 특히 화장품류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성형품
본 발명은 특히 화장품류의 포장에 사용되는 의도하는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형태와 크기가 상이한 사출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사출 이전에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과 톱밥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톱밥의 비율은 10 내지 50중량%이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의 열성형은 열가소성 재료를 성형시키기 위해 설계된 모든 통상적 사출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톱밥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은 표준 사출기의 하나 이상의 가열 챔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에 도입되어,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될 수 있고 이어서 피스톤 또는 엔드리스스크루와 같은 압축 기관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와 톱밥의 혼합물을 실린더의 말단에 있는 사출 헤드를 통해 모울드에 사출 시킨다. 실린더의 전부(front part)온도는 통상 약 160℃로 세팅되고 후부(rear part)온도는 약 180℃로 세팅되며, 이들 수치는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품의 형태 및 크기, 필요한 재료의 양 사출 압력과 같은 그외 성형 파라미터 및 혼합물내 톱밥의 비율 등에 따라서 +/- 15℃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세트의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출기의 실린더의 후부 온도 t1및 상기 실린더의 전부 온도 t2를 최적 사출성형 작업에 일치하게 t1을 t2보다 낮게 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유형의 재료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균일한 외관 및 물리적 특성을 성형품에 제공한다. 더욱이, 모울드에 사출된 재료가 목재의 분해가 시작되는 최저 온도인 21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도 공지되어 있다. 만일 상기 온도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한다면, 이와 같이 가열된 재료는 탈기되고 팽창되어 수득된 성형품이 완전히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프랑스 특허 제 2 413 205호에는, 목재 분해가 시작되는 최저 온도인 210℃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5 내지 15℃의 범위의 △t 만큼 사출기 챔버의 전부 및 후부에서 최적 온도를 증가시켜서, 더 어두운 색의 성형품이 수득되며, 이것의 벽은 마아블링시켜서 나무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이미 기재되어 있다. 어러한 장식적 특징은 성형품의 뒤틀림 없이 수득되고, 완벽하게 재현될 수 있다. 챔버의 전부 및 후부에서 최적 온도의 증가는 혼합물에 함유된 톱밥을 변형시키지만, 이러한 가열온도는 주입된 재료의 분해, 탈기 및 팽창을 일으키기에는 불충분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나무 외관의 성형품이 제조된다.
또한 JP-A 63207610호에는 섬유 및 광물성 충전재를 함유하는 사전함침된 시이트를 제조하고 함침된 사이트를 적층시키고 이것을 열경화시켜 열경화성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마아블 외관의 생성물의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벨기에 특허 BE-A 385 202호에는 열경화성 수지를 건조 상태 또는 용액의 형태로 섬유상 재료와 혼합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고압하에 가열된 모울드중에서 압축시킴으로써 인공 사암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 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사출 성형, 회전 성형 또는 압출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를 처리함으로써 수득된 성형품에 대한 새로운 미적 효과를 연구하던 중에, 상이한 입자 크기 및 치수를 갖는 2개 이상의 충전재를 함유하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이러한 충전재의 특성 및 처리하려는 혼합물의 열가소성 매트릭스의 특성, 이들의 비율 및 색, 및 충전재의 입자 크기 또는 치수를 적절히 선택하여 표면이 놀라울 정도로 플라스틱으로 만든 성형품이라는 느낌을 주지 않으면서 마블링 또는 플레킹 등의 외관 및 색이 전체적으로 표면상에 나타나지 않는 재현성이 우수하면서 자연석과 흡사한 성형품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이들 성형품은 이들의 미적 외관을 위해 사용되고; 특히 뚜껑, 마개, 케이스 등과 같은 화장품용 포장 또는 포장 악세사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조성물을 용융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및/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하나이상의 분획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에 대해서 1회 이상 혼합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 후에 처리함으로써 자연석 외관의 성형품을 제조한는 방법으로서, 조성물이 착색 또는 무색 열가소성 수지 100용적부를 기준으로 하여 천연 섬유, 탄소 섬유 및 광물성 또는 식물성 충전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이한 입자 크기 또는 치수를 갖는 2종 이상의 착색 또는 무색 충전재 0.2 내지 80용적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갖는 3개의 충전재가 사용되는데; 가장 미세한 입자 크기의 충전재는 광물 충전재가 바람직하고, 나머지 2개의 충전재는 천연 섬유이다. 후자의 경우에, 예를 들어, 탈크가 200 내지 300 미크론의 목분(wood dust) 및 더 큰 크기의 목질 섬유를 포함하는 착색되거나 비착색된 천연 섬유와 함께 광물 충전재로서 사용되는, 경우 광물 충전재가 목분으로 플레킹된 바탕을 형성하는 성형품이 수득되고, 성형품의 표면은 더 큰 크기의 목질 섬유에 의해 향상된다.
매트릭스는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 즉 임의의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린 및 폴리프로필렌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나일론,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에틸린과 비닐 아세테이트(EVA)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디엔 단량체(EPDM)의 삼중중합체(tripolymer)와 같은 엘라스토머 0.1 내지 30중량%를 도입시킴으로써 공지된 방법으로 개질될 수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필요하다면, 엘라스토머는 백색, 무색 또는 착색(황토색, 청색, 회색, 갈색, 녹색 등)과립의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예로서 시판되는 착색된 폴리프로필렌 과립이 사용될 수 있다.
섬유에 있어서, 열가소성 매트릭스의 융점, 즉 약 200℃의 온도에 견디는 천연 섬유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섬유는 목질 섬유(목분, 톱밥), 리아나 섬유 및 면섬유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된 천연 섬유는 직경이 0.7 내지 300㎛이고 길이가 1㎛ 내지 5㎜인 것이 유리하다. 필요하다면, 흑색 섬유가 요구되는 경우, 탄소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크기의 섬유를 포함하는 충전재가 사용되는 경우 더 작은 섬유는 1미크론 내지 1.9㎜ 길이가 유리하고 더 큰 섬유는 2㎜ 내지 5㎜ 길이가 유리하다.
충전재에 있어서는,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아연, 탄산아연,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예를 들어 탈크, 운모와 같은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시에나, 클레이 또는 유리 마이크로볼과 같은 광물성 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식물성 충전재, 특히 옥수수 전분 및 쌀가루와 같은 전분이 또한 사용될 수있다. 사용되는 충전재(들)은 약 0.5㎛ 내지 약 0.2㎜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광물성 충전재 및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볼은 플라스틱 재료를 딱딱하게 만드는 것이 장점이다.
매트릭스의 열가소성 수지와 양립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중합체와의 예비혼합물 형태로 충전물을 매트릭스에 도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예비혼합물은 열가소성 중합체 100용적부 당 충전재 0.5 내지 80용적부를 함유할 수도 있다.
도입된 섬유 또는 광물성 충전재는 착색되거나 무색일 수 있다. 충전재는 액체 염료, 특히 수용성 염료를 사용한 함침에 의해 착색되거나, 분말 염료 또는 안료와 혼합하여 착색될 수 있다. 명백하게는, 선택된 염료는 매트릭스의 융점에 견디는 염료이다. 착색은 예비 혼합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비 혼합물의 열가소성 중합체는 동일한 색이 바람직하지만, 충전재로서 동일한 색들이 필수적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착색된 충전재를 착색 또는 무색 열가소성 매트릭스에 도입시킬 경우, 충전재의 색은 변화하지 않으며 매트릭스의 색을 변화시키지 않는다는 것; 즉, 처리시에, 예로서 성형시에 매트릭스가 착색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이것은 매트릭스가 투명하거나 백색이거나 착색되거나 어느 경우에도 적용된다. 유사하게, 무색 충전재를 착색된 매트릭스에 혼입시킬 경우, 충전재는 매트릭스의 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열가소성 중합체가 착색되거나 백색인 예비혼합물을 매트릭스에 도입할 경우, 중합체는 열가소성 매트릭스의 색 또는 색조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된 조성물을 기초로 하여 수득된 인공석의 외관을 예견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릭스의 색, 상이한 충전재의 수, 비율, 입자크기 및 색을 선택하고, 상기된 관찰을 고려함으로써 여러 자연석의 일반적 외관 및 색을 모방할 수 있다. 원한다면, 매트릭스내의 여러 충전재들의 균일한 분포는 재현가능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성형품의 제조를 위해, 그 자체로서 또는 예비 혼합물 형태, 특히 과립 형태의 다양한 충전재와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이 제조되고, 생성된 혼합물은 용융되고, 용융된 생성물은 성형품의 원하는 외관(마블 또는 균질)에 따라 다소 균질하게 혼합된다. 그런 후, 생성물은 널리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 처리 방법(압축, 사출성형, 취입성형, 압축성형 또는 회전성형)에 따라 처리된다. 수득된 성형물의 형태는 나주에 기계적으로 변형될수 있다. 성형은 이동식 압축 기관이 들어있는 하나 이상의 가열 챔버를 포함하는 통상의 사출 성형 장치에서 수행되며, 상기 가열 챔버는 모울드 내부의 하나 이상의 사출 헤드내로 개방되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재료를 혼합시키지 않으면서, 재료를 가열된 챔버내로 단순하게 밀어냄으로써 완전한 혼합에 의한 규칙적인 플레킹으로부터 마블링까지의 작용 범위를 달성시킴으로써 상기 압축 기관은 혼합도를 기준으로 하여 챔버 내부의 성형 조성물에 제공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성형은 적합한 가열 기관을 사용하여 혼합물이 도입되는 챔버의 후부를 온도 t1으로 그리고 혼합물이 모울드에 사출되는 챔버의 전부를 온도 t2로 조절함으로써 가장 잘 수행되며, 상가 두 온도는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품에 대한 최적 성형 온도에 일치하고, 상기 두 온도는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품에 대한 최적 성형 온도에 일치하고, 예를 들어 온도 t1및 t2는 t1t2210℃가 된다. 특히, t1은 170 내지 200℃ 범위이며, t2는 180 내지 210℃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화장품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하기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수득되는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단순히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여러 가지 실시 방법을 기재하였다.
이들 실시예에서, 부 및 %는 용적부 및 용적%이다.
착색되고/거나 필요한 경우 충전재가 첨가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과립은 0.5 내지 7㎜의 크기를 가지며; 이들은 상표명 MOPLEN으로 히몬트(HIMONT) 컴패니에서 시판하고 있다. 과립에 함유된 긴 목질 섬유는 2 내지 5㎜의 크기를 갖고, 짧은 목질 섬유는 1㎛ 내지 1.9㎜이다.
섬유 또는 안료에 수용성 염료를 혼입시키는 경우, 이 염료는 지지물을 상기 염료 5 내지 30중량%의 수용액 중에서 1 내지 15분 동안 연속적으로 침지시킴으로써 지지물상에 고착된다.
[실시예 1]
하기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 백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0부
-암청색으로 착색된 짧은 목질 섬유를 40% 함유하는 담청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부
- 암녹색으로 착색된 긴 목질 섬유를 40% 함유하는 담녹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부
-암베이지색으로 착색된 짧은 목질 섬유를 40% 함유하는 암베이지색 폴리프로필렌 과립…………………………………………………………………………………3부
상기 조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과립과 목질 섬유의 혼합물을 엔드리스 스크루기의 챔버내로 도입시켰다. 혼합물이 도입되는 챔버의 후부 온도는 190℃로 설정하고, 혼합물이 모울드에 사출되는 챔버의 전부 돋도는 20℃가 되게 하였다. 가열 챔버내부의 연화된 혼합물을 고압하에 사출 헤드를 통해 모울드에 사출시키고 ; 회전 엔드리스 스쿠르에 의해 혼합물의 압축 및 사출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자연석 외관의 성형품을 수득하였는데, 이것의 색은 담청색, 녹색 및 베이지색 반점으로 얼룩진 녹색 바탕을 가졌다.
[실시예 2]
엔드리스 스크루와는 달리 성형하고자 하는 매스를 완전히 혼합시키지는 않는 피스톤을 갖는 사출기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제형을 제조하고,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녹색 바탕에 베이지색 및 녹색선 뿐만 아니라 작은 얼룩의 플레킹으로서 베이지색 및 녹색을 갖는 대리석 외관의 성형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하기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50%의 탄산 칼슘 충전재를 갖는 백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8부
-40%의 긴 천연 목질 섬유를 함유하는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과립…………5부
-무색 폴리프로필렌과 혼합된 수용성 염료 에오신의 진한 수용액과 탄산칼슘을 혼합시켜 얻은 적색 안료………………………………………………………………20부
-폴리프로필렌과 혼합된 수용성 염료 메틸렌블루의 진한 수용액과 탄산칼슘을 혼합시켜 얻은 청색 안료………………………………………………………………20부
-무색 폴리프로필렌과 혼합된 수용성 염료 말라카이트 그린의 진한 수용액과 탄산칼슘을 혼합시켜 얻은 녹색 안료……………………………………………………20부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성형을 수행하여 작은 청색, 적색 및 녹색 반점이 산포된 백색 바탕을 갖는 돌 및 자연목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하기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진한 베이지색으로 착색된 40%의 짧은 목질 섬유를 함유하는 베이지색 폴리프로필렌 과립………………………………………………………………………………4부
-40%의 긴 천연 목질 섬유를 함유하는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과립…………4부
-50%의 탄산칼슘 충전재를 갖는 백색 폴리프로필렌 과립…………………2부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성형을 수행하여 짧은 섬유로 인한 밑부분 얼룩 및 긴 섬유에 의해 생성된 윗부분 얼룩을 갖는 담베이지색 바탕을 포함하는 색을 갖는 자연석 외관의 성형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하기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20%의 탄산칼슘 충전재를 갖는 백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8부
-톱밥(크기 : 1.2㎜)………………………………………………………………1부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성형을 수행하여 톱밥에서 생성된 담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얼룩진 백색 바탕을 포함하는 색을 갖는 자연석 외관의 성형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톱밥을 40%의 톱밥을 함유하는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과립으로 대체시켜 실시예 5에 기재된 실시예 5에 기재된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로부터, 실시예 5에서 수득한 것과 거의 동일한 형태의 성형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하기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충전재가 없는 백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0부
-암베이지색으로 착색된 40%의 짧은 목질 섬유를 함유하는 담베이지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부
-암황토색으로 착색된 40%의 긴 목질 섬유를 함유하는 황토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부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성형을 수행하여 불규칙한 크기의 갈색, 황토색 및 암베이지색 반점으로 얼룩진 매우 담베이지색 바탕을 포함하는 색을 갖는 자연석 외관의 성형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하기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백색 폴리프로필렌 과립………………………………………………………10부
-청색으로 착색된 60%의 긴 목질 섬유 충전재를 갖는 청색 폴리프로필렌 과림………………………………………………………………………………………………1부
-담베이지색으로 착색된 40%의 짧은 목질 섬유를 함유하는 담베이지색 폴리프로필렌 과립………………………………………………………………………………2부
-엷은 황토색으로 착색된 40%의 짧은 목질 섬유를 함유하는 엷은 황토색 폴리프로필렌 과립………………………………………………………………………………2부
-녹색으로 착색된 45%의 짧은 목질 섬유를 갖는 녹색 폴리프로필렌 과립……………………………………………………………………………………………………0.5부
-수용성 염료 메틸렌 블루의 진한 수용액과 20%의 탈크를 혼합시켜 얻은 청색 안료……………………………………………………………………………………0.05부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성형을 수행하여 베이지색, 청색, 황토색 및 녹색점 및 반점으로 얼룩진 청회색 바탕을 포함하는 색을 갖는 자연석 외관의 성형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하기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탄산칼슘을 50% 함유하는 백색 ABS 과립…………………………………30부
-짧은 천연 목질 섬유를 40% 함유하는 EVA 과립……………………………5부
-핑크색으로 착색된 긴 목질 섬유를 20%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과립…30부
-갈색으로 착색된 긴 목질 섬유를 40%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과립……35부
상기 과립들을 저온 회전 드럼에서 혼합시켰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로딩 깔대기를 사용하여 후부 온도가 170℃이고 전부 온도가 200℃인 스크루 챔보에 도입시켰다. 챔버는 압출에 의해 성형품을 제공하고; 수득된 성형품은 베이지색 및 갈색 반점으로 얼룩진 백색 매트 바탕을 갖는 매트 바탕을 갖는 성형품이 었다.
[실시예 10]
하기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베이지색 폴리프로필렌 과립…………………………………………………55부
-탄산칼슘을 40% 함유한 베이지색 폴리프로필렌 과립……………………29부
-짧은 천연 목질 섬유………………………………………………………………3부
-핑크색으로 착색된 긴 천연 목질 섬유…………………………………………0부
-갈색으로 착색된 긴 천연 목질 섬유……………………………………………6부
-투명한 파라핀유…………………………………………………………………1부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성형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성형품은 표면이 갈색 및 핑크색 입자로 얼룩진 베이지색`매트 바탕을 가졌다.

Claims (20)

  1.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와 충전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융상태에서, 전체적으로 1회 이상 혼합시키거나 열가소성 수지의 하나 이상의 분획을 함유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1회 이상 혼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단계 후에 처리함으로써 자연석 외관의 성형품을 제조하는방법으로서, 조성물이 착색 또는 무색 열가소성 수지 100용적부를 기준으로 하여 천연 섬유, 탄소 섬유 및 광물성 또는 식물성 충전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이한 입자 크기 또는 차수를 갖는 2종 이상의 착색 또는 무색 충전재 0.2 내지 80용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상이한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가장 미세한 충전재가 광물성 충전재이고 나머지 2개의 충전재가 크기가 다른 천연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선형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수지, 비닐 크롤라이드, 또는 나이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0.1 내지 30%의 엘라스토머에 의해 개질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0℃의 온도에 견디는 천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를 셀룰로오스 섬유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천연 섬유가 직경이 0.7 내지 300㎛이고, 길이가 1㎛내지 5㎜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은 섬유의 길이가 1㎛ 내지 1.9㎜이고 큰 섬유의 길이가 2㎜ 내지 5㎜인 상이한 크기의 섬유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가 100㎛ 내지 3㎜ 길이를 갖는 탄소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물성 충전재가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이연, 탄산이연,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실리코-알루미네이트 또는 유리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충전재로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크기가 0.5㎛ 내지 0.2㎜인 광물성 충전재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물성 충전재가 매트릭스의 열가소성 수지와 양립할 수 있는 열가소성 중합체와의 예비 혼합물 형태로 매트릭스내에 도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예비혼합물이 열가소성 중합체 100용적부 당광물성 충전재 0.5 내지 80용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재가 액체 염료를 사용하여 함침시키거나, 분말 염료와 혼합시킴으로써 착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이 이동식 압축 기관이 들어있는 가열 챔버를 포함하는 통상의 사출 성형장치에서 수행되며, 가열 챔버는 모울드 내부의 하나 이상의 사출헤드내로 개방되어 있고, 압축 기관은 챔버 내부의 성형 조성물에 분배될 수 있는 혼합도로 선택되어, 재료를 혼합시키지 않으면서 재료를 가열 챔버내로 단순하게 밀어냄으로써 균질 혼합에 의한 규칙적인 플레킹으로부터 마블링까지의 작용 범위를 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적합한 가열 기관을 사용하여 혼합물이 도입되는 챔버의 후부를 온도 t1으로 조절하고, 혼합물이 모울드에 사출되는 챔버의 전부를 온도 t2로 조절하여 성형을 수행하며 t1및 t2는 제조하려는 성형품에 대한 최적 성형 온도에 일치며, t1t2210℃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수득되는 자연석 외관의 성형품.
  20. 제14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매트릭스의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00688A 1990-01-17 1991-01-17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성형품 KR100194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000476A FR2657048B1 (fr) 1990-01-17 1990-01-17 Procede d'obtention de pieces ayant l'aspect de pierres naturelles et pieces ainsi obtenues.
FR9000476 1990-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437A KR910014437A (ko) 1991-08-31
KR100194442B1 true KR100194442B1 (ko) 1999-06-15

Family

ID=939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688A KR100194442B1 (ko) 1990-01-17 1991-01-17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438339B1 (ko)
JP (1) JP2512353B2 (ko)
KR (1) KR100194442B1 (ko)
CA (1) CA2034304C (ko)
ES (1) ES2055552T3 (ko)
FR (1) FR2657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991A (en) * 1990-01-17 1993-12-14 L'oreal Process for obtaining mouldings with the appearance of natural stones
KR930019643A (ko) 1991-06-27 1993-10-18 크누트 샤우에르테, 클라우스 대너 2-(4-치환된 페닐히드라지노)-2-티아졸린 및 2-(4-치환된 페닐아조)-2-티아졸린, 이들의 제조방법 및 외부기생층을 구제하기 위한 이들의 용도
US5510398A (en) * 1994-04-07 1996-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ly filled extrud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a speckled surface appearance
FR2725695B1 (fr) * 1994-10-13 1997-01-03 Oreal Conditionnement thermoplastique bicouche,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748416B1 (fr) * 1996-05-09 1998-06-26 Aquaroche Procede de fabrication de plaques de materiau composite notamment pour decor d'aquarium, ainsi que le materiau obtenu
FR2765517B1 (fr) * 1997-07-04 1999-08-27 Oreal Article en matiere plastique, procede de fabrication et composition de moulage
KR100369957B1 (ko) * 1997-10-07 2003-01-29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인공 대리석, 운모편 및(또는) 유리 플레이크 함유 수지경화물, 및 운모편 및(또는) 유리 플레이크 함유 중합성조성물
KR20020089013A (ko) * 2001-05-22 2002-11-29 이무호 마블형상의 무늬를 가지는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및그 합성수지 제품
WO2005123364A1 (en) * 2004-06-08 2005-12-29 Trex Company, Inc. Improved variegated composite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CN101443408A (zh) * 2006-03-08 2009-05-27 阿克马法国公司 制造用于汽车客厢部件的具有带斑点外观的单层蒙皮或复合材料的基于热塑性树脂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001877A (ko) 2014-06-27 2016-01-07 제일모직주식회사 외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98369B1 (ko) * 2019-12-30 2021-09-07 주식회사 삼양사 직물 유사 외관 및 촉감을 구현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85202A (ko) *
JPS4939653A (ko) * 1972-08-24 1974-04-13
US4137215A (en) * 1973-04-26 1979-01-30 Stamicarbon, B.V. Process for preparing decorative plastics articles, as well as product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ss
FR2413205A1 (fr) * 1977-12-29 1979-07-27 Oreal Procede de moulage par injection de pieces a partir d'un melange de polypropylene et de sciure de bois
US4306848A (en) * 1979-05-23 1981-12-22 Hpm Corporatio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low shear screw
JPS58203048A (ja) * 1982-05-22 1983-1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成形物の製造法
JPS59195689A (ja) * 1983-04-22 1984-11-0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製邦楽器部品
BE898289A (fr) * 1983-11-22 1984-05-22 Roulier Daniel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omposite à microbilles de verres, d'objets décoratifs pour l'intérieur et l'extérieur ainsi que pour la décoration et la construction, à forte teneur en charge pour les produits obtenus
CH656117A5 (de) * 1983-12-28 1986-06-13 Victor Alexander Mill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albedelsteinaehnlichen hartmasse und deren verwendung als halbfabrikat zur herstellung von halbedelstein-ersatz und schmucksteinen.
JPS62280012A (ja) * 1986-05-30 1987-12-04 Nippon Carbide Ind Co Ltd メラミン系樹脂成形品
JPS62286716A (ja) * 1986-06-06 1987-12-12 Canon Inc 樹脂成形品
JPH0813450B2 (ja) * 1987-02-24 1996-02-14 株式会社興人 人工大理石の製造方法
JP2543734B2 (ja) * 1987-11-27 1996-10-16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透明感を有する成形品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437A (ko) 1991-08-31
CA2034304A1 (fr) 1991-07-18
ES2055552T3 (es) 1994-08-16
EP0438339B1 (fr) 1994-06-15
JP2512353B2 (ja) 1996-07-03
JPH0679745A (ja) 1994-03-22
CA2034304C (fr) 1998-06-02
FR2657048B1 (fr) 1995-02-17
EP0438339A2 (fr) 1991-07-24
EP0438339A3 (en) 1991-10-02
FR2657048A1 (fr) 199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991A (en) Process for obtaining mouldings with the appearance of natural stones
KR100194442B1 (ko) 자연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성형품
EP0423590B1 (en) Use of crosslinked olefin polymers containing pigment as pattern coloring material for synthetic resins, resins containing such material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0366153B1 (ko) 착색제,착색제품및이들의제조방법
US3655829A (en) Manufactured articles of blends of thermoplastic polymers having different fluidity degrees
JP3074864B2 (ja) 色材および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
US5187202A (en) Concentrates for imparting a simulated stone effect to thermoplastic substrates
US5229439A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component having the appearance of natural stone by mould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heat-setting resin and component obtained by means of the process
US5536763A (en) Staining resin compounds and products therefrom
US5688839A (en) Marbleized resin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WO2002016464A3 (en) Method of producing colored polyester thermoplastic materials through specific solid-state procedures
KR100978676B1 (ko) 인조목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목재의 제조방법
US2154438A (en) Manufacture of decorative plastics
US3371061A (en) Composition of matter for decorative articles using eggshells as fillers
EA005429B1 (ru) Изделие из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кого изделия
CN1051920A (zh) 高安全性色母及其制备方法
AU2002324612B2 (en) Decorative materials having geometric patter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FR2633297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plaques de polyacrylate colorees
KR20000041246A (ko) 종이 또는 목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JP2903420B2 (ja) 石目調乃至布目調の微細斑点模様を形成する方法
JPS61211003A (ja) 模様付成形材料の製造方法
JPS61233041A (ja) アクリロニトリル系熱可塑性樹脂の着色方法
SU1712368A1 (ru) Термопластична полимерна композици , имитирующа перламутр
KR19980048920A (ko) 폐플라스틱과 왕겨를 이용한 인조목재 제조방법
JPS61101552A (ja) 人造大理石用不飽和ポリエステルモ−ルデイングコンパウ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