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510B1 -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510B1
KR100189510B1 KR1019960031818A KR19960031818A KR100189510B1 KR 100189510 B1 KR100189510 B1 KR 100189510B1 KR 1019960031818 A KR1019960031818 A KR 1019960031818A KR 19960031818 A KR19960031818 A KR 19960031818A KR 100189510 B1 KR100189510 B1 KR 10018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contact member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mai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525A (ko
Inventor
시게오 미야베
요시야 노무라
간지 요꼬모리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7000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 및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을 구비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 가능한 현상 장치 홀더에 관한 것이다.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장치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된 때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배치된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프레임에 장착 가능하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해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장치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 (예를 들어, LED 프린터, 레이저 비임 프린터), 전자사진 팩시밀리기, 및 전자 사진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유니트로서 구비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이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유니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유니트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이는 특히 전문 수리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유지 보수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점에 있어서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가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세척 수단 및 감광 드럼을 일체로 갖는 세척 유니트와, 현상 수단 및 토너를 현상 수단에 공급하는 토너 용기를 일체로 갖는 현상 유니트로 구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세척 유니트와 현상 유니트를 결합 부재로 결합함으로써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현상 유니트는 현상 수단에 공급될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프레임과, 현상 수단을 지지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을 포함한다. 토너 프레임 및 현상 장치 프레임은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된다.
현상 장치 홀더는 현상 장치 프레임에 장착된다.
현상 장치 홀더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을 더욱 개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부품들이 현상 장치 프레임에 효율적으로 장착되는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기능을 갖고 고가인 현상 장치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안테나 접촉 부재와 동일 측면 상에 마련되는,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들을 사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해서 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찰하면 더욱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
도2는 도1에 따른 장치의 외관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4는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외관도.
도5는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6은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7은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도.
도8은 바닥에서 본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도.
도9(a)는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세척 유니트의 외관도.
도9(b)는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유니트의 외관도.
도10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1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1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1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15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16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17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작업을 도시한 측면도.
도18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측의 사시도.
도19(a)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측의 사시도.
도19(b)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측의 측면도.
도20은 접촉 부재와 접점간의 접촉을 도시한 도면.
도21은 접촉 부재와 접점간의 접촉을 도시한 도면.
도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23(a)는 현상 홀더의 외관도.
도23(b)는 현상 장치 홀더의 내측의 외관도.
도24는 도23(b)의 선 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25는 도23의 토너 검출점의 확대도.
도26은 현상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27은 현상 장치 프레임 또는 현상 챔버 프레임의 사시도.
도28은 현상 홀더가 없는 현상 유니트의 사시도.
도29는 토너 프레임의 사시도.
도30은 토너 밀봉체를 장착한 후의 토너 프레임의 사시도.
도31은 도30의 토너 밀봉체의 종단면도.
도32는 도30의 선 RO-RO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33은 토너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3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면도.
도35는 도28의 기어열을 도시한 측면도.
도36은 토너 프레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기록 매체 4 : 전사 롤러
5 : 정착 수단 7 : 감광 드럼
8 : 대전 롤러 9 : 현상 수단
9c : 현상 롤러 9d : 현상 블레이드
10 : 토너 세척 수단 11 : 토너 챔버 프레임
11b : 바닥 프레임 12 : 현상 챔버 프레임
13 : 세척 수단 프레임 14 : 장치 주 조립체
40 : 현상 홀더 A : 화상 형성 장치
B : 프로세스 카트리지 C : 세척 유니트
D : 현상 유니트
이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폭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이후, 장치 주 조립체라 한다)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거나 또는 제거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방향은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삽입되거나 또는 제거되는 방향에 대해 (사실상)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 방향을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과 교차한다(방향에 대해 수직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비임 프린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2는 그 외부 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단면도, 도4는 그 외부 사시도, 도5는 그 우측면도, 도6은 그 좌측면도, 도7은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8은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부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있을 때 상부로 향한 표면을 의미하고, 바닥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 수단(14) 내에 있을 때 하부로 향한 표면을 의미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
우선,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었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레이저 비임 프린터를 설명한다.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측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이 레이저 비임 프린터(A)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통해서 기록 매체, 예를 들어 기록 용지, OHP 시트 또는 직물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종류의 것이다. 먼저, 상담지체로서의 드럼형 전자 사진식 감응 부재(이후, 감광 드럼이라 한다)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 드럼은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되고, 그 다음 화상 데이터에 응답해서 광학 수단으로부터 대전된 감광 부재 상으로 레이저 비임이 투사되어, 화상 데이터에 응답해서 감광 부재상에 잠상을 형성한다. 다음에, 이 잠상은 현상 수단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한편, 카세트(3a)에 놓여진 한 장의 기록 매체(2)가 토너 한 쌍의 픽업 롤러(3b, 3c)와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d, 3e) 등을 포함하는 반송 수단(3)에 의해 토너 화상 형성과 동기해서 반송되고 급송된다. 그 다음,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4)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포함하는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다. 그 다음, 수신된 토너 화상을 갖는 기록 매체는 정착 수단(5)으로 전달된다. 이 정착 수단(5)은 히터(5a)를 포함하는 구동 롤러(5c)와 고정 롤러(5b)를 포함하며, 정착 수단(5)을 통과하는 기록 매체(2)에 열과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그 다음, 정착된 토너 화상을 갖는 기록 매체(2)는 일 군의 방출 롤러 쌍(3g, 3h 및 3i)에 의해 시트반전 경로(3j)를 통해서 방출 트레이(6) 내로 반송되어 방출된다. 이 방출 트레이(6)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장치 주 조립체(14)의 상부면 상에 마련된다. 장치(A)는 또한 플래퍼(3k, flapper)와 방출 롤러 쌍(3m)을 포함하고 이 플래퍼(3k)가 작동될때 기록 매체(2)는 방출 롤러 쌍(3m)을 통해 뒤집히거나 시트 반전 경로(3j)를 통과하지 않고 방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픽업 롤러(3b), 반송 롤러 쌍(3c, 3d), 레지스터 롤러(3e), 반송 안내 부재(3f), 방출 롤러 쌍(3g, 3h 및 3i) 및 방출 롤러 쌍(3m)은 반송 수단을 형성한다.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감광층(7e, 도20)을 갖는 상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7)의 표면은 감광 드럼(7)이 회전되는 동안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다음, 노출 개구(1e)를 통해 감광 드럼(7) 상으로 광학 시스템(1)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담지한 레이저 비임을 투사함으로써 감광 드럼 상에 잠상이 형성된다. 이 잠상은 현상 수단(9)에 의해 토너로 현상된다.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도록 감광 드럼(7)과 접촉 상태로 놓여지며, 이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 상에서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현상 수단(9)은 감광 드럼(7)의 현상될 영역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한다. 광학 시스템(1)은 레이저 다이오드(1a), 다각형 미러(1b), 렌즈(1c) 및 전반사 미러(1d)를 포함한다.
전술한 현상 수단(9)의 토너 교반 부재(9b)가 회전됨에 따라서, 현상 수단(9)이 토너 용기(11A) 내에서 토너를 교반시켜서 토너를 현상 롤러(9c) 쪽으로 보내고, 자석이 고정된 현상 롤러(9c)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 블레이드(9d)에 의해 마찰 전기대전된 토너 층이 현상 롤러(9c)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이 토너 층으로부터 감광 드럼(7)의 현상될 영역 상에 토너가 공급된다. 토너가 잠상에 대응하여 감광 드럼(7)상으로 전사됨에 따라 잠상이 시각화된다. 이 현상 블레이드(9d)는 현상 롤러(9c)의 주면 상에 피복되는 토너량을 조절한다. 또한, 토너를 교반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교반 부재(9e,9f)는 현상 롤러(9c)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다음, 토너 화상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전압이 전사 롤러(4)에 인가됨으로써 감광 드럼(7) 상의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다. 그 다음, 감광 드럼(7) 상의 잔여 토너가 세척 수단(10)에 의해 제거된다. 세척 수단(10)은 감광 드럼(7)과 접촉 상태로 배치된 탄성 세척 블레이드(10a)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한 토너는 탄성 세척 블레이드(10a) 긁어내어져서 폐토너 집수기(10b) 안에 수집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용기(11A)(토너 수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토너 챔버 부분(이후, 토너 챔버 프레임)(11)과;현상 롤러(9c)와 같은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현상 챔버 부분(이후,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감광 드럼(7), 세척 블레이드(10a)와 같은 세척 수단, 대전 롤러(8) 등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세척 수단 부분(이후, 세척 수단 프레임)(13)을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작업자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4)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감광 드럼(7) 상으로 화상 데이터를 담지한 광선을 조사시킬 수 있는 노출 개구(1e)와, 감광 드럼(7)을 기록 매체(2)와 직접 대면시키는 전사 개구(13n)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 개구(1e)는 세척 수단 프레임(13)에 마련되며, 전사 개구(13n)는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세척 수단 프레임(13) 사이에 형성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 실시예에 대한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하의 방법으로 조립된다. 먼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접합된다. 그 다음, 전술한 2개의 프레임부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된 구조에 세척 수단 프레임(13)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카트리지 하우징을 완성한다. 그 다음, 전술한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현상 수단(9) 및 세척 수단(10) 등을 하우징 내에 배치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마련된 카트리지 설치 수단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은 토너 챔버 프레임(11), 현상 챔버 프레임(12) 및 세척 수단 프레임(13)을 접합함으로써 구성되고, 이하에 그 구조를 설명한다.
도3 및 도9를 참조하면, 토너 챔버 프레임(11)은 수용된 토너를 교반시키고 급송하기 위한 토너 교반 수단(9b)이 장착된 토너 저장 용기부(11A)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9c)와 현상 블레이드(9d)는 현상 챔버 프레임(12) 상에 장착되고, 현상 챔버 내에서 토너를 순환시키는 교반 부재(9e, 9f)는 현상 롤러(9c)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안테나 로드(9h)가 현상 롤러(9c) 근방에서 그와 사실상 평행하게 배치된다. 전술한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일체식 프레임 부재로서의 현상 유니트(D)[도9(b)]를 형성한다.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및 세척 수단(10)은 세척 수단 프레임(13) 상에 장착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감광 드럼(7)을 덮어서 보호하는 드럼 셔터 프레임(18)이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제1프레임 부재로서의 세척 유니트(C)[도9(a) 참조]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현상 유니트(D)와 세척 유니트(C)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접합 부재(22)에 의해 접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한다. 상세히는 도9를 참조하면,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현상 롤러(2C)의 축 방향으로의 종방향 단부들의 각각에 형성된 아암 부분(19)의 단부에 축(20)이 제공된다. (도9(b) 참조). 한편,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종방향 단부들의 각각에는, 현상 유니트(D)와 세척 유니트(C)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고정시키기 위해 축(20)이 끼워 맞춤된 요홈부(21)가 제공된다[도9(a) 참조]. 축(20)을 요홈부(21) 속으로 삽입함으로써, 접합 부재(22)가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13) 상에 장착되고, 그에 따라, 현상 유니트(D)와 세척 유니트(C)가 축(20)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동하게 되는 방식으로 접합된다. 접합 부재(22)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감광 드럼(7)을 향해 현상 롤러(9)를 확실하게 가압하도록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압축 스프링(22a)을 갖추고 있다. 또한, 현상 롤러(9)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페이스 링(9i)이 현상 롤러(9)의 종방향 단부 부분들의 각각에 제공되고, 이 링(9i)은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 사이에 소정의 간격(약 300㎛)을 유지하도록 감광 드럼(7) 상에 가압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7)의 외주면과 현상 롤러(9c)의 외주면 사이의 위치 관계가 압축 스프링(22a)의 탄성력에 의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안내 수단의 구조]
이제,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때 카트리지(B)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에 대해 도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기술하겠다. 도5는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속으로 삽입되는, 화살표 X방향에 대한 카트리지(B)의 우측면도(현상 유니트(D)측으로부터 볼 때 우측)이고, 도6은 동 좌측면도이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속으로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때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안내 수단이 하우징(100)의 종방향 단부면들의 각각에 제공된다. 안내 수단은 제1안내 부재로서의 원통형 안내 부재(13a), 제2안내 부재로서의 긴 안내 부재(12a) 및 제3안내 부재로서의 짧은 안내 부재(13b)를 구비한다.
원통형 안내 부재(13a), 즉, 원통형 부재가, 감광 드럼(7)과 나란하게,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는 감광 드럼(7)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지지하는 드럼축(7a)을 지지한다. 긴 안내 부재(12a)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종방향 단부면들의 각각에 제공되어, 현상 챔버 프레임(12) 및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표면들을 걸친다. 짧은 안내 부재(13b)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 위쪽에,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각각에 제공된다. 상세히는, 긴 안내 부재(12a)는 후술하는 것처럼 현상 롤러 홀더(40, 41)들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23 참조). 또한, 원통형 안내 부재(13a) 및 짧은 안내 부재(13b)는 세척 수단 프레임(13)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긴 안내 부재(12a)는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각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각도와 사실상 동일하게 설정된다. 원통형 안내 부재(13a)는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긴 안내 부재(12a)의 가상 연장부의 통로에 들어가도록 위치되고, 짧은 안내 부재(13b)는 긴 안내 부재(12a)에 사실상 평행하다. 도6을 참조하면, 또한, 원통형 안내 부재(13a), 제2안내 부재(12a), 제3안내 부재(13b)는 도10에 도시된 것에 대향한 종방향 측면 상에 제공되고, 그 형상 및 위치들은 도5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이들 세 안내 부재들은 동일 평면에 있는 세척 수단 프레임(13)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외부면으로부터 사실상 동일 거리만큼 돌출해 있다.
이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안내 부재로서의 원통형 안내부(B)는 세척 유니트(C)의 측면 C1(우측(13c)) 및 측면 C2(좌측(13d))의 각각에 제공되는데, 측면 C1은 카트리지(B)를 현상 유니트(D)측으로부터 볼 때 [카트리지(B)를 카트리지(B) 삽입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볼 때] 감광 드럼(7)의 축 방향에 대해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우측부(13c)이다.
다른 측면 C2는 감광 드럼(7)의 축 방향에 대해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좌측부이다. 이러한 원통형 안내 부재(13a)는 감광 드럼(7)의 축방향으로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종방향 양 단부면(13c, 13d)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원통형 부재이다. 드럼축(7a)은 드럼축(7a) 주위에 끼워 맞춰진 이러한 원통형 부재(13a)에 의해 지지된다. 달리 말하면, 드럼축(7a)은 후술하는 것처럼 원통형 부재(13a)가 삽입된 안내부(16a)에 의해 안내되고, 그 다음에, 드럼축(7a)의 위치가 홈(16a5)에 의해 고정된다(도10 내지 도17참조).
제2안내 부재로서의 긴 안내 부재(12a)가 현상 유니트(D)의 종방향 단부면 D1[우측부(12C)] 및 D2[좌측부(12d)]의 각각에 제공되는데, 측부의 일면 D1은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 대해, 우측부(12c)이고, 다른 면 D2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 대해, 좌측부(12d)이다. 긴 안내 부재(12a)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로부터 멀리 위치되고, 카트리지 삽입 방향(화살표 X방향)에 대해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상류측에 있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긴 안내 부재(12a)는 삽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외주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부 및 하부 가상선(111, 112)(도5)들 사이에 형성된 영역(L) 내에 배치되고, 이러한 긴 안내 부재(12a)는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세척 수단 프레임 부분(13) 사이를 걸치고 그 삽입 단부 부분(12a1)은 (1mm 내지 3mm의 적절한 간격으로) 세척 프레임 부분의 측면 영역 위로 연장한다.
제3안내부로서의 짧은 안내 부재(13b)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 위쪽에, 세척 유니트(C)의 측면(13c, 13d)들 상에 제공된다. 상세히는, 짧은 안내 부재(13b)는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부터 볼 때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사실상 바로 위쪽에 있게 된다. 달리 말하면, 짧은 안내 부재(13b)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외주면에 접선 방향으로 그리고 카트리지 삽입 방향(화살표 X방향)에 사실상 수직으로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려진 두 평행선(113, 114)을 사이에 형성된 영역(15) 내에 배치된다. 또한, 짧은 안내 부재(13b)는 긴 안내 부재(13a)에 사실상 평행하다.
이제, 안내 부재들의 대표적인 측정치들을 열거하겠다. 이 후, 허용 범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본 실시예에서 채택되는 측정 범위를 의미한다.
원통형 안내 부재(13a)는 직경이 약 10.0mm(허용 범위는 7.5mm 내지 10.0mm)이고, 긴 안내 부재(12a)는 길이가 약 36.0mm(허용 범위는 15.0mm 내지 41.0mm)이고 폭이 약 8.0mm(허용 범위는 1.5mm 내지 10.0mm)이고, 짧은 안내 부재(13b)는 길이가 약 10.0mm(허용 범위는 3.0mm 내지 17.0mm)이고 폭이 약 4.0mm(허용 범위는 1.5mm 내지 7.0mm)이다. 또한,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외주면과 긴 안내 부재(12a)의 삽입 단부 부분(12a1) 사이의 거리는 약 9.0mm이다.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외주면과 짧은 안내 부재(13b)의 하부 단부 선단부(13b1)의 거리는 약 7.5mm(허용 범위는 5.5mm 내지 9.5mm)이다.
이제, 세척 유니트(C)의 상부면(13d) 상에 제공된 조절 접점부(13e)와 분리 접점부(13f)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부면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설치될 때 상방을 향하게 되는 세척 유니트(C) 부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 유니트(C)의 상부면(13i)이 된다.
조절 접점부(13e) 및 분리 접점부(13f)가 상부면(13i)의 우측 단부(13c) 및 좌측 단부(13d)의 각각에 제공된다. 이 조절 접점부(13e)는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장치 주 조립체(14) 속으로 삽입될 때, 접점부(13e)는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제공된 고정 부재(25)와 접촉하게 되어(도10 내지 도17),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가 조절된다. 분리 접점부(13f)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제거될 때 그 기능을 발휘한다. 상세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빼내질 때, 고정 부재(25)와 접촉하게 되어 카트리지(B)를 원활하게 제거하도록 기능하는 모멘트를 제공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착탈하는 단계는 도10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후에 설명된다.
상세히 기술하면, 요홈부(13g)가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해 측면 모서리들의 각각에, 세척 유니트(C)의 상부면(13i) 상에, 세척 유니트(C)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요홈부(13g)는 삽입 방향(화살표 X방향)에 대해 카트리지(B)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1경사면(13g1), 경사면(13g1)의 상단부(13g2)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2경사면(13g3) 및 경사면(13g3)의 하단부(13g4)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방으로 계속 연장하는 제4경사면(13g5)을 갖추고 있다. 경사면(13g5)의 하단부(13g6)에는, 벽(경사진 또는 기울어진 면)(13g7)이 제공된다. 제2경사면(13g3)은 조절 접점부(13e)에 대응하고, 벽(13g7)은 분리 접점부(13f)에 대응한다.
조절 접점부(13e)는 장치 주 조립체(14)의 카트리지(B)의 수평 방향 X(도5)에 대해 0도만큼 각이 져있고, 길이가 약 6.0mm(허용 범위는 4.5mm 내지 8.0mm)이다. 분리 접점부(13f)는 수평 방향ℓ에 대해 θ1(약 45도)만큼 경사져 있고, 길이는 약 10.0mm(허용 범위는 8.5mm 내지 15.0mm)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단계]
이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주 조립체(14) 속으로 장착하거나 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도10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상술한 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수용 수단 내로 장착될 수 있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도18 및 도19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회동 덮개(35)를 지지점(35a)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회동 덮개(35)를 회동시키면, 장치 주 조립체(14)의 대응 면들 상에 장착된 카트리지 수용 공간(S) 및 좌우 카트리지 장착 안내 부재(16)들이 노출된다.
카트리지 장착 안내 부재(16)들의 각각은 자신의 한 쌍의 안내부들, 즉, 제1안내부(16a) 및 반대쪽 상에서 그에 대응하는 제2안내부(16b)를 구비한다. 장치 주 조립체(14) 속으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은 안내부(16a, 16b)들을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삽입하고 덮개(15)를 폐쇄함으로써 완수된다.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은 감광 드럼(7)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이고, 상세하게는, 도10 내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7)의 축선에 사실상 수직인 방향이다. 이 경우, 세척 유니트(C)측은 선단측이고, 현상 유니트(D)측은 후단측이다.
요홈부(17)는 종방향 단부들의 각각에, 카트리지(B) 상에 제공되고, 이는 작업자가, 착탈 중에, 파지하기 쉽게 해주고(도3 참조), 작업자가 착탈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로서, 요홈부들 상으로 양 손을 걸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따라 연계되어 이동하는 드럼 셔터 프레임(18)(도3 참조)을 구비한다. 카트리지(B)가 레이저 비임 프린터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때, 셔터 프레임(18)은 전사 개구부에 대면한 감광 드럼(7)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폐쇄된다. 이러한 셔터 프레임(18)은 도6에 도시한 것처럼 세척 수단 프레임(1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아암(18a) 및 링크 부재(18b)의 선단부들의 각각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도6을 다시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살표 X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4)에 삽입될 때, 기부에 의해 아암(18a)에 고정된 레버(23)의 선단부가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스톱퍼를 치게 되고, 그에 따라, 레버(23)가, 셔터 아암(18a)이 지지된 지지점(18c)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셔터 프레임(18)을 개방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꺼내졌을 때, 셔터프레임(18)은 토션 스프링(23a)의 탄성력으로 인해 폐쇄된다.
제1안내 부재(16a)는 안내 부재(16)의 하부 부분이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측에 제공된 긴 안내 부재(12a) 및 원통형 안내 부재(13a)를 안내한다. 이러한 제1안내부(16a)는, 삽입 방향에 대해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 순서대로 배치된, 주 안내부(16a1), 계단부(16a2), 요홈부(16a3), 보조 안내부(16a4) 및 위치 결정 홈(16a5)을 구비한다. 주 안내부(16a1)는 긴 안내 부재(12a)및 원통형 안내 부재(13a)를 안내한다. 보조 안내부(16a4)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를 위치 결정 홈(16a5)으로 안내한다. 위치 결정 홈(16a5)은 원통형 안내 부재(13a)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서 카트리지(B)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끼워 맞춰지는 것이다. 제2안내부(16b)는 안내 부재(16)의 상부 부분으로서, 삽입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순서대로 배치된 경사면(16b1) 및 요홈부(16b2)를 구비한다.
또한, 장치 주 조립체(14)의 카트리지 수용 공간(S)에는, 고정 부재(25)(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가 좌우측에 제공된다. 이는 스테이(stay, 27)에 고정된다.
이 고정 부재(25)는 카트리지(B)의 시계 방향 회전을 조절하기 위해 전술한 조절 접점부(13e)와 접촉하게 된다(도15). 상세히는, 카트리지(B)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가 홈(16a5)에 끼워 맞춰지고 조절 접점부(13e)가 고정 부재(25)와 접촉할 때, 장치 주 조립체(14)에 정확히 위치된다. 또한, 카트리지(B)가 꺼내질 때, 고정 부재(25)는 카트리지(B)의 원활한 제거를 용이하게 위해 분리 접점부(13f)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 수용 공간(S)에서, 가압 부재(26)가 좌우측에 배치된다. (제10도 내지 19도). 코일 스프링(26a)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 이러한 가압 부재(26)(도10 내지 도17)는 지주(26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카트리지(B)의 상부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어, 장치(A)가 진동 둥을 받게 될 때 카트리지(B)가 진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카트리지(B)의 착탈 중에,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제공된 장착 안내 부재(16)와 카트리지(B) 상에 제공된 안내 부재(12a,13a,13b)들 사이의 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 내지 도15는 카트리지 장착 개시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예정된 위치에 최종적으로 위치한 순간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하는 단계들을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도10 내지 도15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완전한 측면도는 실선으로 도시되고, 장치 주 조립체(14)의 장착 안내 부재가 이점 쇄선(가상선)으로 도시된다. 카트리지 장착의 중간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11 내지 도14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안내 부재들만이 실선으로 도시되고, 다른 부분들을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우선, 도10을 참조하면, 작동자에 의한 장치 주 조립체(14) 속으로의 카트리지(B) 장착의 개시시에,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 부재(13a)와 긴 안내 부재(12a)는 안내부(16a) 위를 활주하는 방식으로 안내부(16a)에 의해 안내된다. 이 순간, 짧은 안내 부재(13b)는 안내부(16b)에 의해 안내되지 않고, 그로부터 소정 간격(E)만큼 이격되어 있다(이 실시예의 경우, 약 2.0mm 내지 4.0mm).
또한, 이 순간에, 가압 부재(26)는 카트리지(B)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경사면(13i)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카트리지 장착과 간섭하지 않는다. 카트리지(B)가 계속 삽입될 때, 가압 부재(26)는 카트리지(B)의 상부면 위로 계속 활주하게 되어, 카트리지(B)의 상향 이동을 체크하게 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A)에 장착된 후에도, 가압 부재(26)는 카트리지(B)가 장치(A) 내에 있는 한 카트리지(B)의 상부면을 계속 가압한다.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계속 삽입되어, 도11에 도시한 상태에 있을 때, 원통형 안내 부재(13a)는 제1장착 안내부(16a) 상에 제공된 계단부(16a2)를 통과하고 역시 제1장착 안내부(16a) 상에 제공된 요홈부(16a3) 상으로 이동시킬 준비가 된다. 이러한 안내부(16a)의 요홈부(16a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소정 지점(도15)까지 삽입될 때, 긴 안내 부재(12a)를 진행시키고, 그 깊이(m)는 전술한 거리(E)보다 크게 설정된다(EM). 이 순간, 안내 부재(13b)는 제2안내부(16b)[상향 경사면(16b1)]와 접촉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다음에, 도12에 도시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계속 삽입될 때,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 부재(13a)가 요홈부(16a3)의 하부에 도달하기전에 짧은 안내 부재(13b)가 안내부(16b)와 접촉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이 때, 긴 안내 부재(12a) 및 짧은 안내 부재(13b) 둘다 삽입 안내부로서 가능하게 되어, 계단부 등에 의해 카트리지(B) 상이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이 감소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됨에 따라, 도13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긴 안내 부재(12a)의 말단부는 제1안내부(16a)의 요홈부(16a3)의 모서리에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 부재(13a)는 보조 안내부(16a4)와 접촉하여 안내부(16a4)를 추종할 준비가 된다.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 부재(13a) 및 짧은 안내 부재(13b)는 제1안내부(16a) 및 제2안내부(16b)에 의해 각각 안내된다(도14).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되어 도14에 도시된 상태가 됨에따라, 짧은 안내 부재(13b)는 제2안내부(16b)의 요홈부(16b2)로 오게 된다. 상기 안내 부재(13b)가 요홈부(16b2) 내로 떨어지는 짧은 시간 동안에, 원통형 안내 부재(13a)만이 보조 안내부(16a4)에서 장치 주 조립체(14)와 접촉하고,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며, 마지막으로 원통형 안내 부재(13a)는 안내부(16a)의 장홈(16a5) 내로 떨어진다(도15). 동시에, 세척 수단 프레임 부분(13) 상에 마련된 조절 접점부(13e)는 장치 주 조립체(14)에 고정된 고정 부재(25)의 회전 조절부(25a)(도15)와 접촉하게 된다. 결국,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전체 위치 및 방향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에 의해서만 고정되고, 다른 안내 부재[긴 안내 부재(12a) 및 짧은 안내 부재(13b)]는 장치 주 조립체(14)의 장착 안내 부재(16)의 어떠한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으며,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정확하게 고정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조절 접점부(13e)와 회전 조절부(25a) 사이의 위치 관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구동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발생하는 모멘트가 조절 접점부(13e)와 회전 조절부(25a) 사이의 접촉에 의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조절 접점부(13e)와 회전 조절부(25a) 사이의 접점으로부터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긴 안내 부재(12a)와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중심 사이의 거리 및 짧은 안내 부재(13b)와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중심 사이의 거리 보다 크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구동될 때 보다 안정하게 유지된다.
도15에 도시된 상태에서, 감광 드럼(7) 상에 마련된 헬리컬 드럼 기어(7b)는 축방향 단부들 중 일 단부에서,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마련된 구동 헬리컬 기어(28)와 맞물린다. 그래서, 구동력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기어(28, 7b)를 통해 감광 드럼으로 전달되며, 구동력이 헬리컬 기어(28)로부터 헬리컬 기어(7b)로 전달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시계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다(도17).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발생된 이동은 조절 접점부(13e)에 의해 조절된다.
가압 부재(2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위로부터 아래로 가압한다. 따라서, 원통형 안내 부재(13a)가 장치 주 조립체(14)의 장홈(16a5) 내로 떨어지지 못했을 지라도, 조절 접점부(13e)와 회전 조절부(25a) 사이의 접점 둘레에서 모멘트가 발생하여 원통형 안내 부재(13a)는 장홈(16a5) 내로 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16 및 도17을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주 조립체(14) 외부로 꺼내는 단계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화살표 Y로 나타낸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거되는 방향이다.
도16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제거되어야 할 때, 조작자는 손잡이(17)[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해 요홈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형성된다]를 파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손잡이(17)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분리 접점부(13f)는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마련된 고정 부재(25)의 분리 접점부(25b)와 접촉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욱 상승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분리 접점부(13f)와 고정 부재(25)의 분리 접점부(25b) 사이의 접점(F)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결국, 원통형 안내 부재(13a)는 장홈(16a5) 외부로 상승된다. 이때, 드럼기어(7b)와 구동 기어(28) 사이의 맞물림은 원활하게 단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A) 외부로 곧바로 잡아 당겨질 수 있으며, 도14, 도13, 도12, 도11 및 도10에 도시된 단계의 순서를 따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안내 부재로서의 긴 안내 부재는 현상 유니트(D) 및 세척 유니트(C)의 측면들을 이격 연결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착탈 중에 흔들리지 않는다. 결국, 카트리지 장착은 보다 신뢰성 있게 되며, 이는 조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될때 안내 부재로서 역할하는 안내 수단은 원통형 안내 부재(13a), 긴 안내 부재(12a) 및 짧은 안내 부재(13b)의 3개의 안내 부재로 구성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착탈 중에 적어도 2개의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고,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14)의 장착 안내 부재 상에 계단부 등이 있을 지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은 완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구동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제어하도록 위치된 회전 조절부(25a) 및 원통형 안내 부재(13a)에 의해 고정되는 반면에, 다른 안내 부재[긴 안내 부재(12a) 및 짧은 안내 부재(13b)]는 장치 주 조립체(14)의 안내 부재들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중에) 구동되는 동안에, 보다 안정되게 유지된다.
카트리지(B)를 착탈하기 위한 안내 수단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 3개의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안내 수단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는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 대신에 적어도 제1안내 부재로서의 원통형 안내 부재와, 제2 안내 부재로서의 긴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안내 수단이거나, 부가적인 안내 부재 또는 전술한 3개의 안내 부재 이외의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안내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도 착탈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안정시켜 조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9(a) 및 도9(b)를 참조하면, 스퍼어 기어(7n)는 드럼 기어(7b)가 배치된 단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대향한 단부에서 감광 드럼(7) 상에 배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장착될 때, 상기 스퍼어 기어(7n)는 전사 롤러(4)와 동일한 축에서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스퍼어 기어(7n)가 도시되지 않은 기어와 맞물림에 따라, 구동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전달되어 전사 롤러(4)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참조 부호 9u는 현상 롤러(9c)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배치된 헬리컬 기어를 나타낸다. 헬리컬 기어(9u)는 상기 스퍼어 기어(7b)와 맞물림으로써 현상 롤러(9c)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헬리컬 드럼 기어(7b)를 통해 전달된다.
[토너 용기 프레임(토너 용기)]
도3, 도29, 도30, 도32 및 도33을 참조하여 토너 용기 프레임(토너 용기)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9는 토너 시일이 용접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30은 토너가 충전된 후의 사시도이며, 도32는 상부 프레임(11a)의 평면도이고, 도33은 분리된 토너 용기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토너 용기 프레임(11)은 2개의 구성 요소, 즉 상부 프레임(11a)(제1프레임) 및 바닥 프레임(11b)(제2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11a)의 길이 방향 단부 각각에는, 요홈부(17)가 마련된다. 요홈부(17)는 상부 프레임의 상부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전술한 손잡이로서 역할을 한다. 바닥 프레임(11b)에는 리브(11c)가 많이 마련된다. 리브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조립될 때 바닥부가 되는 외부면상에 약 5 mm의 간격을 가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파지할 때, 조작자는 양손을 사용하여 요홈부(17) 및 리브(11c)를 파지한다. 이러한 경우에, 리브(11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파지할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프레임(11a) 및 바닥 프레임(11b)은 용접면(U)에서 접합되고, 용접 리브는 강제 진동에 의해 용융되어 프레임(11a, 11b)들을 함께 용접한다. 2개의 프레임들을 접합하는 방법은 강제 진동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프레임들은 열 용접, 초음파 용접 등을 사용하여 용접되거나 간단히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2개의 프레임(11a, 11b)을 접합하기 전에, 교반 부재(9b)가 상부 프레임(11a) 내로 조립되고 나서 결합 부재(11e)가 구멍(11e1)을 관통하여 교반 부재(9b)의 단부에 결합된다(도29에 도시된 상태). 구멍(11e1)은 상부 프레임(11a)의 길이 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위치된다. 상기 구멍(11e1)과 동일한 측에서, 토너를 충전하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11d)가 위치된다. 상기 토너 충전 개구(11d)의 직경은 약30 mm 이다. 바꿔 말하면, 구멍(11e1) 및 토너 충전 개구(11d)는 서로의 옆에 위치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에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현상 챔버 프레임(12)으로 토너를 공급하는 개구(11i)가 마련되고 후술되는 시일이 상기 개구(11i)를 덮도록 용접된다. 시일이 용접된 후에, 토너는 토너 충전 개구(11d)를 통해 충전되고 나서 토너 충천 개구(11d)는 토너 캡(11f)으로 덮여 토너 유니트(J)를 완성한다. 토너 캡(11f)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토너 충전 개구(11d) 내로 가압되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토너 유니트(J)는 완성된 현상 유니트(D)의 일부를 구성하는 후술되는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초음파 용접을 사용하여 접합된다. 접합 방법은 초음파 용접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토너 유니트와 현상 챔버 프레임은 함께 접착제로 접합되거나 이들의 재료의 탄성을 사용하여 스냅 끼워 맞춤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바닥 프레임(11b)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사면(K)의 각도(θ)는 토너 챔버의 깊이가 깊은 단부에 위치된 토너가 토너 소비에 응답하여 자연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하방으로 미끄러지도록 하는 각도이어야 한다. 특히, 각도(θ)는 장치 주 조립체(14)가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경사면(K)과 수평면(Z) 사이에 형성된 각도이다. 각도(θ)에 대한 양호한 값은 약 60°이다. 회전할 때, 교반 부재(9b)는 경사면(K)의 평면을 지나 도달한다. 따라서, 바닥 프레임(11b)에는 회전하는 교반 부재(9b)에 간극을 제공하도록 요홈부(11g)가 마련되고, 바닥 프레임은 외측으로 볼록하다. 교반 부재(9b)의 회전 직경은 약 30mm 이다.(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 프레임(11b)의 바닥면은 약 3.6 mm 침하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의 깊이는 약 2.0mm 내지 10mm이어야만 한다.) 이러한 구조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교반 부재(9b)의 휩쓰는 영역이 경사면(K) 위에 있다면, 토너 공급 (교반) 부재(9b)의 팁과 경사면(K) 사이의 토너 고착물이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공급되지 않아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토너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현상 챔버 프레임(12)으로 신뢰성 있게 공급된다.
도29를 참조하면, 교반 부재(9b)는 강철 등의 재료로 된 로드(rod)로 형성되며, 약 3mm의 직경을 가지고 토너 교반/공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태로 되어 있다. 교반 부재(9b)의 대향한 길이 방향 단부 각각에는 지지축(9b1)이 마련된다. 일단부에서의 지지축(9b1)은 상부 프레임(11a)의 개구에 인접하여 상부 프레임(11a)의 내부면 상에 위치된 구멍(11r) 내에 끼워 맞춤되고, 다른 단부에서의 지지축(9b1)은 결합 부재(11e)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챔버 프레임(11)은 2개의 부재, 즉 상부 프레임(11a) 및 바닥 프레임(11b)으로 구성되며, 바닥 프레임(11b)의 바닥벽에는 토너 공급 부재(9b)를 위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요홈부(11g)가 마련되고, 따라서 비용의 증가 없이 신뢰성 있는 토너 공급 성능을 갖는 대용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것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토너 프레임(토너 용기)(11)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7, 7e)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9)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교환 가능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는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사용된 토너를 현상 수단(9)에 저장하고 또 상부 프레임(11a) 및 상부 프레임(11a)에 접합된 바닥 프레임(11b)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1a)은 저장된 토너를 현상 수단(9)에 공급하는 개구(11i)와, 저장된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 부재(9b)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교반 부재 장착부(9b1)(도29)를 포함한다. 바닥 프레임(11b)에는 교반 부재(9b)의 휩쓰는 영역을 위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내부로부터 볼 때) 요홈부(11g), 즉 (외부로부터 볼 때) 볼록 부분이 마련된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11a)에는바닥 프레임(11b)이 용접되는 용접면(접합면)(U)이 마련된다(도29, 도33 및 도36). 상기 용접면의 각도, 즉 직사각형 개구(11i)(도29)의 짧은 모서리가 수직으로 위치된때 상기 용접면과 수평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약 20 내지 40°이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11a)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있을 때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교반 부재(9b)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결합 부재(전달 부재)(11e)가 관통되는 구멍(전달 개구)(11e1)이 마련된다. 결합 부재(11e)의 일단부는 교반 부재(9b)와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구동력을 받는 토너 공급 기어(9s)와 결합한다. 교반 부재(9b)는 금속제 로드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태로 되어 있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11a)에는 구멍(11e1)(도29)에 인접하여 배치된 토너 충전 개구(11d)가 마련된다. 토너 총전 개구(11d)를 밀봉하는 토너 캡(11f)은 상기 토너 충전 개구(11d)에 부착된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11a)에는 개구(11i)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홈(11n)이 마련된다. 상기 홈(11n)은 현상 수단(9)의 현상 롤러(9c)가 장착되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접합되는 곳에 있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11a)에는 개구(11i)를 밀봉하는 커버 필름(51) 및 개구(11i)의 밀봉을 해제하는 절단 테이프(52)가 부착되는 커버 필름 판(시일 장착부)(53)이 마련된다. 또한, 커버 필름 판(53)은 개구(11i)의 평면과 평행하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11a)에는 손잡이(요홈부)(17)가 마련되고, 손잡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단부면이 손잡이를 제공하도록 만입된 곳에 있다. 바닥 프레임(11b)의 요홈부(볼록 부분)(11g)는 원호형 횡단면을 갖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원통 형태이다. 요홈부는 바닥 프레임(11b)의 폭 방향에 대해 개구(11i)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개구(11i)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개구(11i)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11a)에는 경사면(L)이 마련된다. 경사면(L)의 각도, 즉 개구(11i)의 짧은 모서리가 수직으로 위치된 때 상기 경사면(L)과 수직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약 10°내지 40°이다. 상기 경사면(L)은 개구(11i) 위치에 위치되고, 개구(11i)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개구(11i)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개구(11i)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토너 프레임(토너 용기)(11)은 다음의 방식으로 조립된다. 먼저, 저장된 토너를 현상 수단(9)으로 공급하는 개구(11i)와, 교반 부재(9b)가 장착되는 교반 부재 장착부(9b1)가 마련된 상부 프레임(11a)이 준비된다. 다음에, 교반 부재(9b)의 휩쓰는 영역을 위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된 요홈부(11g)가 마련된 바닥 프레임(11b)이 준비된다. 마지막으로, 2개의 프레임(11a,11b)은 접합되어 토너 프레임(토너 용기)을 완성하도록 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내의 토너가 공장으로부터 사용자에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송 중에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해 갑자기 이동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구획판(11p)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 프레임(11a) 내부에 마련된다.
구획판(11p)은 상부 프레임(11a)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다(도3, 도32 및 도33). 본 실시예에서, 3개의 구획판(11p)이 3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획판(11p)의 형태에 있어서, 토너 공급 부재(9b)와 대면한 모서리(11p1)는 토너 공급 부재(9b)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4분원을 형성하고, 바닥 프레임(11b)과 대면한 모서리(11p2)는 바닥 프레임(11b)으로부터 약간의 간극을 유지한다. 더욱이, 상부 프레임(11a)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모서리(11p1)는 구획판(11p)이 토너 충전 개구(11d)를 부분적으로 막도록 위치된다.
토너가 토너 용기(11A)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획판(11p)은 가능한 한 커야 한다. 그러나, 토너 충전 개구(11d)가 토너를 충전하도록 상방으로 향하고 있을 때 구획판(11p)은 토너 충전 개구(11d) 바로 아래에 위치되며, 구획판(11p)이 토너 층전 개구(11d)를 완전히 막는다면 토너를 토너 용기(11A)의 깊이가 깊은 모퉁이까지 충전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구획판(11p)은 구획판(11d)에 의해 막히지 않은 공간을 통해 토너가 깊이가 깊은 모퉁이까지 완전히 충전될 수 있도록 이 본 실시예에서처럼 형성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판(11p)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횡단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진동, 충격 등을 받을때도 구획판(11p)은 토너가 이동하여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현상 챔버 프레임을 향한 토너 프레임 구조]
도3, 도29 및 도31에서,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 사이의 연결부에,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11i)가 제공된다. 개구(11i)는 덮개 필름 판(53)이 열 용접된 요면(11k)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요면(11k)의 깊이는 덮개 필름 판(53)이 요면(11k)에 용접된 후, 덮개 필름 판(53)의 외향 면이 토너 챔버 프레임(11)[상부 프레임(11a)]의 면(11j)과 대체로 같은 높이로 되도록 된다. 요면(11k) 상에, 다수의 은못(dowel, 11m) 이 개구(11i)의 길이 방향 모서리 중 하나를 따라 직선으로 배치된다(본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은못(11m)이 다섯 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은못(11o)이 개구(11i)의 폭방향 모서리 중 하나를 따라 면(11j) 상에 배치되며, 이들 두 개의 은못(11o)은 요면(11k) 상에는 없다. 또한, 면(11j)의 각 길이 방향 외부 모서리를 따라, 홈(11n)이 대향면 상 중 한 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홈(11n)의 하부면(11n2)은 면(11j)의 높이 위에[면(11j)보다 현상 챔버 프레임(11)에 보다 가까이]있다(도31).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면과 직접 접하게 되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면은 면(12u)이다. 이 면(12a)의 각 길이 방향 모서리를 따라,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홈(11n) 내로 결합되는 설부(12v)가 제공된다. 이 설부(12v)의 단부면에, 초음파 용접을 위해 사용되는 경사 리지(12v1)가 제공되며(도31), 경사 리지(12v1)는 길이 방향 외부 모서리를 따라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을 용접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함으로써 용융된다.
도30에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요면(11k)에 느슨하게 결합되는 덮개 필름판(53)에는 다수의 은못(11m)에 대응하는 구멍(53c)이 제공된다. 대응 단부 은못(11m1)에 정확히 결합되는 구멍(53c1)은 둥글며, 둥근 구멍(53c1) 이외의 구멍(53c)은 단부 은못(11m1) 이외의 대응 은못(11m)에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길게 되어 있다. 특히, 은못(11m)과 구멍(53c) 사이의 위치 관계는 은못(11m1, 11m)이 대응 구멍(53c1, 53c)에 결합될 때 은못(11m)이 긴 구멍(53c)의 길이 방향으로 긴 구멍(53c)의 중앙에 위치된다. 또한, 덮개 필름 판(53)에는 개구(11i)에 대응하는 [개구(11i)와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개구(53b)가 제공된다.
개구(53b)를 밀봉하기 위해, 덮개 필름 판(53) 상에는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파열될 수 있는 덮개 필름(51)이 접착되며, 덮개 필름(51)의 네 개의 외주 면적은 개구(53b)의 네 개의 대응 면적에 접착된다. 덮개 필름(51) 상에, 개구(53b)를 개봉하기 위해 덮개 필름(51)을 파열시키기 위한 파열 테이프(52)가 용접된다. 파열 테이프(52)는, 시작 단부에서 토너 챔버 프레임(11)을 직접 향한 편평한 현상 챔버 프레임면(12u) 상을 지나는 한 조각의 펠트(felt)와 같은 탄성 밀봉 부재(54, 도27)와 토너 챔버 프레임(11) 사이에, 개구(53b)의 하나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연장되며, 파열 테이프는 두겹으로 접혀(doubled back) 시작 단부를 통해 놓인다. 파열 테이프(52)의 두겹으로 접힌 단부는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 사이로부터 노출된다(도6 및 도30). 밀봉 부재(54)의 내측면 상에,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합성 수지 필름 테이프(55)가 접착된다. 또한 편평한 면(12u) 상에, 탄성 밀봉 부재(54)가 접착된 곳으로부터 대향한 길이 방향 단부에서 탄성 밀봉 부재(56)가 접착된다.
두 개의 프레임(11, 12)을 결합할 때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을 보다 용이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면(11j)에는 현상 챔버 프레임(12) 상에 각각 제공된 원통형 은못(12w1) 및 사각 기둥 은못(12w2)과 결합되는 둥근 구멍(11r) 및 사각 구멍(11q)이 제공되며, 둥근 구멍(11r)은 은못(12w1)과 결합되며, 사각 구멍(11q)은 은못(12w2)과 느슨하게 결합된다. 밀봉 부재(56)는 원통형 은못(12w1) 주위에 장착되며, 또한 편평면(12u)에 접착된다. 또한,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직접 접하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편평면(12u)에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은못(11m, 11o)이 느슨하게 장착되는 요부(12y)가 제공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결합되기 전, 각 프레임은 부조립체(subcomponent)로서 독립적으로 조립된다. 그 후,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사각 위치 결정 은못(12w2) 및 원통형 위치 결정 은못(12w1)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사각 위치 결정 구멍(11q) 및 둥근 위치 결정 구멍(11r) 내로 각각 결합된다. 또한,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설부(12v)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홈(11n) 내로 결합된다. 그 후, 토너 프레임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서로 압박되면서, 밀봉 부재(54, 56)가 압축되며, 각 길이 방향 단부에서 현상 챔버 프레임과 스페이서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리지(12z)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면에 접근한다. 리지(12z)는 파열 테이프(52)가 놓일 수 있도록 파열 테이프(52)의 폭과 대체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폭 방향으로 정렬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챔버 프레임(12)이 상술된 바와 같이 서로 압박되면서, 초음파 진동이 설부(12v) 및홈(11n) 사이에 가해지며, 그에 의해 경사 리지(12v1)가 용융되어 마찰 열에 의해 홈(11n)의 하부에 용접된다. 따라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홈(11n)의 모서리(11n1)및 스페이서로서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리지(12z)는 상대 부품과 견고하게 접촉하여,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면(11j)과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편평면(12u) 사이에 남겨진 간격 외에는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 사이의 전체 연결부를 밀봉한다. 덮개 필름(51) 및 파열 테이프(52)는 이 간격 내에 한정된다.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토너 챔버 프레임(11) 내에 저장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작업자는 손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노출된 파열 테이프(52)의 단부 부분(52a, 도6)을 당기기만 하면 된다. 파열 테이프(52)가 당겨지면서, 덮개 필름(51)은 개구(53b)(11i)를 개방하도록 파열되어, 토너가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공급될 수 있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연결 부분이 상술된 바와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즉,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면(11j) 및 덮개 필름 판(53)의 면이 대체로 같은 높이이기 때문에, 파열 테이프(52)는 상술된 바와 같이 덮개 필름(51)을 파열시키기 위한 충분한 크기의 힘을 파열 테이프(52)에 가함으로써 두 개의 프레임(11, 12) 사이로부터 부드럽게 당겨져 나온다. 덮개 필름 판(53)은 하나의 길이 방향 단부, 즉, 파열 테이프(52)가 당겨지는 대향 단부에 은못(11m1)에 의해 위치되며, 또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요면(11k) 상에 배치되어, 위치가 잘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은못(11m)은 길이 방향으로 직선으로 정렬되며, 덮개 필름 판(53)은 이들 은못(11m)에 장착되며, 따라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덮개 필름(51)이 편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조립 프로세스가 순차적인 단계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덮개 필름 판(53)과 토너 챔버 프레임(11) 사이의 용접 연결부가 고화되고 안정화되기 전에, 덮개 필름 판(53)은 제거되지 않는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초음파 용접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될 때, 마찰 열이 발생되어 경사 리지(12v1)를 용융시킨다. 이 마찰 열은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열 응력을 야기시키기 쉬우며, 이는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열 변형을 야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홈(11n)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설부(12v)가 길이 방향으로 대체로 전체 길이에서 결합된다. 즉,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현상 챔버 프레임(12) 사이의 연결 부분은 연결된 프레임(11, 12)에 대해 보강되며, 따라서 열 응력에 의한 열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a)의 홈(11n), 손잡이(요부, 17), 구획판(11p), 토너 충전 개구(11d), 구멍(11e1), 둥근 구멍(11r), 사각 구멍(11q), 및 덮개 필름 판 장착부[요면(11k), 은못(11m) 및 개구(11i)]는 상부 프레임(11a)과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1b)의 리브(11c) 및 요부(11g)는 하부 프레임(11b)과 일체로 성형된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a, 11b)에 대한 재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이다.
도36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사시도이며,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결합되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면(11j)은 수직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토너 챔버 프레임(11)에는 저장 부분(11A) 내에 저장된 토너(단일 성분 토너)가 개구(11i)를 향해 효율적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하는 두 개의 경사면(K, L)이 제공된다. 모든 경사면(K, L)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전체 길이 방향 길이에 대해 연장된다. 경사면(L)은 개구(11i) 위로 위치되며, 경사면(K)은 개구(11i) 바로 뒤에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폭 방향으로 경사져] 위치된다. 경사면(L)은 상부 프레임(11a)에 속하며, 경사면(K)은 하부 프레임(11b)의 구조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수직선(11)[결합면(11j)]에 대한 경사면(L)의 각도(θ2)는 약 10° 내지 40°(본 실시예에서는, θ2는 24°로 설정되었다)이다. 수직선(11)에 수직한 수평면(12)에 대한 경사면(K)의 각도(θ3)는 약 20°내지 40°(본 실시예에서는, θ3은 27°로 설정되었다)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1a)의 형상은 하부 프레임(11b)이 상부 프레임(11a)과 결합될 때 결합된 하부 프레임(11b)이 상술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토너 저장 부분(11A)이 많은 양(예를 들어 800 g 이상)을 담는 토너 저장 부분일 경우에도 토너는 효율적으로 개구(11i)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 현상 챔버 프레임에 대해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현상 챔버 프레임]
도3, 도26, 도27 및 도28을 참조하여 현상 챔버 프레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6은 부품이 조립된 방법을 도시하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27은 교반 부재(9e, 9f)가 프레임(12) 내로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용접될 면의 방향에서 본 토너 교반 부재(9e, 9f)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사시도이며, 도28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를 제거한 현상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9c), 현상 블레이드(9d), 토너 교반 부재(9e, 9f) 및 잔여 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한 안테나 로드(9h)가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조립된다.
현상 블레이드(9d)는 1mm 내지 2mm 두께의 금속 판(9d1) 및 고온 용융 양면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금속 판(9d1)에 고정된 우레탄 고무 블레이드(9d2)를 포함한다. 현상 블레이드는 현상 롤러(9c)의 외주면 상에 피복된 토너량을 조절한다. 블레이드 양으로서 현상 챔버 프레임(12) 상에 제공된 편평면(12i)을 수용하는 블레이드의 편평도는 약 0.05mm로 조절된다. 이 편평면(12i)에는 은못(12i1) 및 나사 구명(12i2)이 제공된다. 은못(12i1)은 금속 판(9d1) 상에 제공된 구멍(9d3) 내로 장착된다. 그 후, 금속 판(9d1)은 금속 판(9d1) 상에 제공된 나사 구멍(9dr) 및 나사구멍(12i2)을 사용하여 편평면(12i)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현상 챔버 프레임(12) 상에, 몰트플레인(MOLTPLANE) 등으로 구성된 탄성 밀봉 부재(12s)가 토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다. 탄성 밀봉 부재는 금속 판(9d1)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금속 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탄성 밀봉 부재(12s1)가 현상 부재 상에 각 길이 방향 단부에 부착되며, 탄성 밀봉 부재(12s)의 양 단부로부터 둥근 면(12j)으로 덮이며, 형상 현상 롤러(9c)에 후속한다. 또한, 맨드렐형 부분(12h) 상에, 얇은탄성 밀봉 부재(12s2)가 부착된다. 이 탄성 밀봉 부재(12s2)는 현상 롤러(9c)의 모선(generatrix)을 수축시킨다.
현상 블레이드(9d)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9d1a)는 약 90°로 굽혀진다. 이 굽힘부(9d1a)는 후술되는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상에서 지지되는 현상 편의 접점(121)[도23(a) 및 도23(b)]을 접함으로써 현상 롤러(9c) 및 금속 판(9d1)의 전압을 동일하게 한다. 이런 배치 구조는 토너량이 잔여 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한 안테나 로드(9h)와 현상 롤러(9c) 사이의 정전 용량 변동을 기초로 하여 검출되고 또 이 정전 용량은 금속 판(9d1)의 영향에 의해 불규칙하게 변동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이루어진다.
다음, 현상 롤러 유니트(G)를 설명하기로 한다. 현상 롤러 유니트(G)는 (가) 현상 롤러(9c)와, (나) 현상 롤러(9c)의 외주면과 감광 드럼(7)의 외주면 사이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롤러(9i)와, (다) 현상 챔버 프레임(12) 상에 현상 롤러(9c)를 위치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 베어링(9j)과, (라) 감광 드럼(7)의 알루미늄 원통형 부분과 현상 롤러(9c)의 알루미늄 원통형 부분 사이에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현상 롤러(9c)의 양 단부 상에 위치된 슬리브 캡(9o)과, (마) 감광 드럼(7) 상에 장착된 헬리컬 기어(7b)로부터 구동력을 받으면서 현상 롤러(9c)를 회전시키는 현상 롤러 기어(9k)(헬리컬 기어)와, (바) 한 단부가 현상 롤러 기어(9k)의 한 단부에 장착된 현상 롤러 기어(9k)와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 접점(91)과, (사) 현상 롤러(9c)의 외주면에 토너를 부착시키도록 현상 롤러(9c)에 내포된 자석(9g)을 포함한다. 현상 유니트(G)는 이하의 방식으로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현상 롤러 장착부(12x)에 부착된다. 우선, 각 현상 롤러 베어링(9j) 상에 제공된 구멍(9j1)은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각 길이 방향 단부에 제공된 구멍(12p)과 정렬되며, 후술될 현상 홀더(40) 상에 제공된 핀은 이들 구멍(9j1, 12p)을 통해 삽입된다. 그 후,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는 나사를 사용하여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고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9c)가 현상 챔버 프레임(12)상에 장착될 때, 현상 롤러 유니트(G)가 우선 조립된다. 그 후, 조립된 현상 롤러 유니트(G)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사용에 의해 현상 챔버 프레임(12)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단계를 거침으로써, 현상 롤러(9c) 만이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직접 장착된 경우에 비해 조립 효율이 향상된다.
현상 롤러 유니트(G)가 이하의 단계를 통해 조립된다. 우선, 현상 롤러(9c)의 각 단부가 슬리브 캡(9o)으로 덮인다. 다음, 스페이서 롤러(9i)가 현상 롤러(9c)의 각 단부 상에 장착되며, 스페이서 롤러(9i)가 슬리브 캡(9o)의 외향 면 상에 위치된다. 그 후, 현상 롤러 베어링(9j)이 스페이서 롤러(9i)의 외향 면 상에 장착된다. 다음, 현상 롤러 기어(9k)가 베어링(9j)의 외향 면 상에 현상 롤러(9c)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에 장착되며, 코일 스프링 접점(91)이 다른 외향 면 상에 장착된다. 조립시 이러한 점에서, D형 단면을 갖는 자석(9g)의 한 단부(9g1)가 현상 롤러(9c)의한 단부, 즉, 현상 롤러 기어(9k)가 장착된 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원통형 자석(9g)의 다른 단부가 현상 롤러(9c)의 다른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이는 현상 롤러 유니트(G)가 조립되는 방식이다.
다음, 잔여 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한 안테나 로드(9h)를 설명하기로 한다. 안테나 로드(9h)의 한 단부는 U형이다. 이 U형 부분(9h1)은 후술되는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상에 장착된 토너 감지 접점과 접하여 (따라서 전기 접속되어) 위치된다. 이 안테나 로드(9h)는 이하의 방식으로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부착된다. 우선, 안테나 로드(9h)의 단부 부분(9h3)은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측판(12A) 상에 제공된 구멍(12b)을 통해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삽입된다. 그 후, 삽입된 단부 부분(9h3)은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다른 측판 상에 제공된 구멍(12k)을 통해 놓여, 그에 의해 지지된다. 즉, 안테나 로드(9h)는 관통 구멍(12b, 12k)에 의해 위치되어 지지된다. 관통 구멍(12b)에서, 펠트, 스펀지 등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토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된다.
또한, U형 부분(9h1)의 팁 부분(9h2)은 축방향으로 안테나 로드(9h)를 위치시키도록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약 5mm 깊이의 구멍(12o) 내로 삽입된다. 또한, 이러한 설계는 후술되는 토너 감지 접점(122)을 접하는 접점으로서 U형 부분(9h1)의 강성을 개선시킨다. 안테나 로드(9h)의 단부 부분(9h3)이 삽입된 관통 구멍(12k)은 열 용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마개로 폐쇄되어, 토너 침투가 방지될 수 있게 한다. 다음, 토너 교반 부재(9e, 9f)를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교반 부재(9e, 9f)는 크랭크와 같은 형상이며, 회전되면서 토너를 교반시킨다. 토너 교반 부재는 토너 용기(11A) 내에 저장된 토너가 현상 롤러(9c)를 향해 공급되면서 통과하는 토너 통로를 지나 현상 롤러(9c) 및 안테나 로드(9h) 근처에 배치된다. 토너 교반 부재(9e, 9f)는 서로 수직하게 고정된다.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토너 교반 부재(9e, 9f) 조립시, 우선, 토너 교반 부재(9e, 9f)의 각 단부 부분(9e3, 9f3)이 안테나 로드(9h)가 삽입되는 면과 같은 면 상의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측판(12A) 상에 제공된 대응 관통 구멍(12t, 12r)을 통해 삽입된다. 그 후, 단부 부분(9e3, 9f3)이 측판(12A)의 대향 측판인 측판(12B) 상에 제공되어 대응 관통 구멍(12m, 12n) 내로 삽입된다. 그 후, 각 관통 구멍(12m, 12n)은 안테나 로드(9h)용 관통 구멍(12k)과 같이 열 용접에 의해 외부로부터 마개로 폐쇄된다. 교반 부재(9e, 9f)가 상술된 바와 같이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삽입된 후, 교반 기어(9m, 9n)가 관통 구멍(12t, 12r) 내로 장착된다. 이 때, 기어(9m, 9n)의 단부 부분에서 축방향으로 절개된 각 노치(9m1, 9n1)가 토너 교반 부재(9e, 9f)의 크랭크 아암(9e2, 9f2)과 각각 결합된다. 또한, 교반 부재(9e, 9f)의 저널(9e1, 9f1)이 기어(9m, 9n)의 노치(9m1, 9n1)의 보다 깊은 단부에 각각 제공된 중심 구명(도시되지 않음) 내로 장착되며, 그에 의해 현상 챔버 프레임(12) 상의 토너 교반 부재(9e, 9f)를 지지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연결될 때, 안테나 로드(9h) 및 토너 교반 부재(9e, 9f)가 삽입되는 측에 위치된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측판(12A)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측판과 중첩하여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 프레임(11a) 상에 마련된 토너 캡(11f)을 덮는다. 또한, 측판(12A) 상에 구멍(12x)이 마련되며, 구멍(12x)에는 구동력을 토너 공급 부재(9b)로 전달하는 토너 공급 기어(9s)(도28)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된다. 토너 공급 기어(9s)는 토너 프레임(1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토너 공급 부재(9b)의 단부와 맞물린 결합 부재(11e)(도29 및 도30)와 연결됨으로써, 구동력은 토너 공급 부재(9b)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구동력이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28 및 도35를 참조하면, 교반 기어(9m, 9n) 및 토너 공급 기어(9s)는 현상 롤러 기어(9k)로부터 구동력을 받는다. 특히, 먼저 교반 기어(9m)는 단차 기어(stepped gear)로서의 아이들러 기어(9q)의 소형 기어(9q1)를 통해 구동력을 받는다. 교반 부재(9e)는 이러한 구동력을 받을 때 회전한다. 아이들러 기어(9q)는 아이들러 기어(9q)의 대형 기어(9q3)가 현상 롤러 기어(9k)와 맞물리므로 현상 롤러 기어(9k)로부터 구동력을 받는다. 전달받은 구동력은 아이들러 기어(9q)의 중간 기어(9q2)로부터 단차 기어로서의 아이들러 기어(9r)로 전달된다. 그리고 나서, 구동력은 아이들러 기어(9r)의 소형 기어(9r1)로부터 토너 공급 기어(9s)로 전달되어 [결합 부재(11e)를 통해] 교반 부재(9b)를 회전시킨다. 더욱이, 구동력은 토너 공급 기어(9s)로부터 아이들러 기어(9t)를 통해 교반 기어(9n)로 전달되어 교반 부재(9f)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여기에서, 모든 아이들러 기어(9q, 9r, 9t)는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일체로 형성된 대응 은못(12e, 12f, 12g)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은못(12e, 12f, 12g)은 직경이 약 2mm 내지 3mm이고, 이들의 단부는 후술하는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은못(12e, 12f, 12g)은 하중으로 인해 변형되지 않는다. 더욱이, 은못(12e, 12f, 12g)의 강성은 이들의 기부에 덧대거나 단차를 둠으로써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해 증가된다.
전술한 기어열은 안테나(9h)의 상기 U자형 부분(9h1)과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구조의 채택으로 인해, 단일 부재[본 실시예에서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는 기어열을 구성하는 기어를 지지할 수 있고 토너 잔류 감지 접점을 위하여 전기 접속을 이룬다. 게다가, 토너 교반 부재(9e, 9f), 안테나 로드(9h), 기어열을 구성하는 기어(9o, 9r, 9t) 및 교반 기어(9m, 9n) 모두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동일 측으로부터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효율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하악골형(mandible-like) 부분(12h)은 기록 종이와 같은 기록 매체(2)를 위한 이송 안내 부재로서 이중 역할을 한다.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이하의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27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12P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를 나타낸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개구(12P)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개구(11i)와 정렬되어, 토너 챔버 프레임(11) 내에 저장된 토너가 현상 롤러(9c)로 공급되게 한다. 전술한 교반 부재(9e, 9f) 및 안테나 로드(9h)는 상기 개구(12P)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장착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 롤러 장착부(12X), 측판(12A), 현상 블레이드 장착부[블레이드 수납 평탄면(12i)], [구멍(12b, 12k, 12o)을 통한] 안테나 로드(9h) 장착부, [구멍(12t, 12r, 12m, 12n)을 통한] 교반 부재 장착부, 기어 장착부[은못(12e, 12f, 12g)] 등을 포함하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이들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 현상 챔버 프레임(12)을 위한 재료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을 위한 전술한 재료와 동일하다.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다음으로,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내지 도9 및 도23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3(a)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외측으로부터 볼 때 구동측에 장착된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23(b)는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내측으로부터 본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24는 도23(b)의 선 I-I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25는 토너 감지 접점의 확대 사시도이다.
현상 유니트(D)는 도28에 도시된 단계까지 완료된 현상 챔버 프레임 조립체의 대응 측방향 단부들에서 현상 홀더(40, 41)를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현상 롤러 유니트(G)는 이하의 방식으로 장착된다. 먼저, 현상 잼버 프레임 홀더의 상이한 위치에 마련된 2개의 핀(40d) 중 하나는 전술한 현상 롤러 베어링의 구멍(9j1)과 결합하고, 다른 핀(40d)은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구멍(12p)과 결합한다.
다음으로,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는 현상 롤러 베어링(9j)이 대응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식으로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나사로 고정된다. 이때, 나사는 홀더(40, 41)의 대응 구멍(401)을 관통한다. 다음에, 현상 롤러(9c) 내에 내장된 자석(9g)(도3 및 도28)의 일단부(9g1)는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상에 마련된 D자형 구멍(40e)과 결합하고, 다른 단부(9g2)는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1) 상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구멍과 결합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의 자석(9g)의 위치가 고정된다. 자석(9g)의 자극들의 각도는 전술한 D자형 단면을 갖는 단부(9g1)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D자형 구멍(40e)과 결합됨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으로,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와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한 회전축(20)은 세척 프레임의 요홈부(21)[도9(b)] 내로 배치되어 접합 부재(22)(도7)로 덮여서, 현상 유니트(D)는 감광 드럼(7)을 지지하는 세척 프레임(1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게다가 접합 부재(22)에 부착된 압축 스프링(22a)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의 스프링 시트(40b)에 대항하여 압축되어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사이의 거리를 안정시킨다(거리가 넓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긴 안내 부재(12a)는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의 외부면 상에 배치된다. 게다가, 잔여 토너량을 검출하는 금속판 토너 감지 접점(122) 및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상에 끼워 맞춤되고, 상기 접점(121, 122)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내부면 상에 마련된 은못이 접점의 로킹 구멍 내로 가압됨에 따라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에 고정된다.
먼저, 토너 감지 접점(122)이 어떻게 부착되는가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4는 도23(b)의 선 I-I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25는 도23(b)에 도시된 토너 감지 접점과 그 부근의 확대도이다. 토너 감지 접점(122)은 외부 접점 부분(122a)과, 내부 접점 부분(122b)을 갖는다. 외부 접점 부분(122a)은 홀더(40)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있을 때 외부 접점 부분은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마련된 토너 감지 접점 부재(126)와 접촉한다. 내부 접점 부분(122b)은 안테나 로드(9h)의 U자형 부분(9h1)에 대고 가압된다. 도24를 참조하면, 외부 접점 부분(122a)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측판(40a)과 대체로 동일한 레벨에 있다. 내부 접점 부분(122b)은 안테나 로드(9h)에 대향하여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내부에 배치된다.
도25를 참조하면, 토너 감지 접점(122)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상에 장착되고, 이때 장착 기부(122c)의 외측으로 절단된 로킹 플랩(122c1)은 측판(40a)으로 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은못(40h) 둘레에 끼워 맞춤되고 장착 기부(122c)는 측판(40a)과 접촉한다. 더욱이, 경사부(122d)는 장착 기부(122c)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고, 내부 접점 부분(122b)은 경사부(122d)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내부 접점 부분(122b)이 측판(40a)과 평행하게 되도록 한다. 더욱이, 장착 기부(122c)로부터 90°각도로 외측으로 절곡된 연결부(122e)는 측판(40a)에 형성된 제1 직사각형 구멍(40c)의 모서리들 중 하나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나서, 연결부(122e)가 이미 절곡되어 있는 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90°각도로 절곡되어 외부 접점 부분(122a)을 구성한다. 외부 접점 부분(122a)은 측판(40a)에 형성된 요홈부(40i)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상기 요홈부(40i)의 깊이는 외부 접점 부분(122a)의 두께와 동일하다(도24). 따라서, 외부 접점 부분(122a)의 외향면 및 측판(40a)의 외향면은 대체로 동일한 레벨에 있다. 더욱이, 외부 접점 부분(122a)의 단부는 측판(40a)에 형성된 제2직사각형 구멍(40j)을 관통하여 측판(40a)의 내부에 도달하며, 단부 고정부(122f)는 제2직사각형 구멍(40j)의 벽들 중 하나로부터 돌출한 은못(40k)과 결합된다. 이러한 것은 토너 감지 접점이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상에 장착되는 방식이다.
도24를 참조하면, 측판(40a)의 제1구멍(40c)의 폭(L2)은 토너 감지 접점(122)의 장착 기부(122c)의 측판을 향한 표면과 외부 접점 부분(122a)의 외향면 사이의 거리(L1)보다 크며, 단부 고정부(122f)의 높이보다도 크다. 더욱이, 토너 감지 접점(122)이 통과되게 하기에 충분히 큰 간극이 제2구멍(40j) 내의 은못(40k)의 단부면과 제2구멍의 대향면 사이에 마련된다.
토너 감지 접점(122)은 이하의 방식으로 장착된다. 먼저, 단부 고정부(122f)는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내부로부터 제1구멍(40c) 내로 삽입된다. 그리고나서, 단부 고정부(122f)는 토너 감지 접점(122)을 도24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구멍(40j) 내로 삽입된다. 후속적으로, 장착 기부(122c)의 구멍(122c)은 은못(40k)과 결합된다. 한편, 단부 고정부(122)는 자체의 탄성으로 인해 은못(40k)을 타고 넘으며, 단부 고정부(122f)의 구멍은 은못(40k)과 결합한다.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을 설명하기로 한다.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내부에 위치된 판 스프링 부분(121a)과, 내부 접점 부분(121b)과, 외향면(40a1) 상에 위치된 외부 접점 부분(121c)을 포함한다.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가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부착됨에 따라, 판 스프링 부분(121a)은 현상 롤러(9c)의 전위와 대체로 동일한 금속판의 절곡부(9d1a)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내부 접점 부분(121b)은 상기 구멍(40e)이 마련된 보스(40f) 둘레에 끼워 맞춤되며, 보스 둘레에 끼워 맞춤된 코일 스프링 접점(91)과 탄성적으로 접촉된다(접촉 압력은 약 100g 내지 300g이다). 내부 접점 부분(121b)의 마찰 면적은 필요하다면 전기 전도성 그리스(grease)로 코팅될 수 있다. 외부 접점 부분(121c)은 측판(40a)의 요홈부 내에 배치되고, 그 외부면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외향면(40a1)과 접촉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있을 때, 외부 접점 부분(121c)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마련된 현상 챔버 프레임 접점 부재(125)와 접촉하고,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현상 롤러(9c)로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받는다.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받은 현상 바이어스는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 및 코일 스프링 접점(91)을 통해 현상 롤러(9c)에 인가된다.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가 현상 챔버 프레임에 부착됨에 따라, 판 스프링 형태의 내부 접점 부분(122b)은 도28에 도시된 안테나 로드(9h)의 U자형 부분(9h1)과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토너 감지 접점(122)은 안테나 로드(9h)에 전기 접속된다.
안테나 로드(9h)와 내부 접점 부분(122b) 사이의 접촉 압력은 약 100g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있을 때,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외향면(40a1) 상에 마련된 외부 접점 부분(122a)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마련된 접점 부재(126)에 전기 접속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9c)와 안테나 로드(9h) 사이의 토너 양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는 안테나 로드(9h) 및 토너 감지 접점(122)을 통해 현상 챔버 프레임(12)으로 전달된다. 접점 부재(126)에 전달된 전기 신호가 설정치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가 검출함에 따라, 제어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교환의 필요성을 신호로 나타낸다.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내부면 내에 마련된 3개의 결합 구멍(40g)은 도35에 도시된 기어(9q, 9r, 9t)를 위한 기어축으로서 역할하는 은못(12e, 12f, 12g)의 대응 단부와 결합된다. 바꿔 말하면, 은못(12e, 12f, 12g)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 사이에 오게 된다.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의 내부면에 마련된 결합 구멍(40m)은 교반 기어(9m)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여러 기능들이 단일 구성 요소(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에 부여된다는 사실은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도 절감시킨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는 회전 가능 축(20)과, 스프링 시트(40b)와, 긴 안내 부재(12a)와, 자석(9g)용 결합 구멍(40a)과,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용 장착부[보스(40f) 등]와, 토너 감지 접점(122)용 장착부[은못(4h), 제1 구멍(40c), 은못(40k) 등]와, 결합 구멍(40m)과, 나사 구멍(40l) 등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들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와 일체로 헝성된다.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1)는 회전 가능 축(20)과, 스프링 시트(40b)와, 긴 안내 부재(12a) 등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들은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1)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는 (20%의 유리 충전재를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의 단일편으로서 형성된다.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의 위치는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의 핀(40d)이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대응 구멍(12p) 내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는 나사 구멍(401)[현상 챔버 프레임 홀더(40, 41)] 및 나사 홀더(12r1)[현상 챔버 프레임(12)]를 관통한 나사를 사용하여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고정된다.
[세척 프레임의 바닥면의 구조]
현상 챔버 프레임(12) 및 세척 프레임(13)에는 상기 프레임들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기록 매체 또는 재료(2)의 이동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안내 리브(121, 13m)가 마련된다. 안내 리브(121, 13m) 모두는 최외각 리브(121, 13m)가 기록 매체(2)의 가장 넓은 부분의 경로 내에 작은 여유를 두고 속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최외각 리브는 기록 매체(2)의 가장 넓은 부분의 경로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약 5mm에 위치된다. 나머지 리브들은 기록 매체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외각 리브들 사이에 분포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이한 크기의 기록 매체(2)를 수용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며, 기록 매체(2)는 크기와 상관없이 중심이 맞춰진다[중심선(CL)은 기록 매체(2)의 중심선과 일치한다). 따라서, 현상 챔버 프레임(12) 및 세척 프레임(13)의 바닥면 상에 마련된 리브 설비는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이다. 리브 높이는 기록 매체(2)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현상 챔버 프레임(12) 및 세척 프레임(13)에 대한 설정치로 설정된다. 전술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예비 정착 토너 화상과 세척 프레임(13)의 바닥면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화상 교란이 방지됨과 동시에 이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34는 기록매체(2)에 대한 표준 크기(일본 산업 표준)에 대응하는 기호와 더불어, 중심선(CL)과 여러 리브 사이에서의 mm 단위로의 측정예를 도시한다. 예컨대, 기호 A3L은 길이 방향으로 공급된 A3 크기의 기록 매체를 나타내고, 기호 A4s는 폭 방향으로 공급된 A4 크기의 기록 매체를 나타낸다. 기호 ENV는 봉투 크기의 기록 매체를 나타내고, EXE는 EXE 크기의 기록 매체에 대응한다. 중심선(CL)으로부터 5.0mm, 13.0mm 및 28mm 멀리 위치된 안내 리브(121 및/또는 13m)는 기록 매체(2)의 중심선과 접촉하는 리브이다.
도34는 시트 이송 방향으로부터 볼 때 세척 프레임(13)의 바닥부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안내 리브(13m)의 높이가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와 관련하여 대칭적으로 증가되므로 상이한 것이며, 기록 매체(2)의 여러 시트 크기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각각의 리브 쌍의 리브 모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상기 리브 설비는 중심선(CL)을 향해 위치된 리브가 기록 매체(2)의 화상 담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여 화상 교란을 신뢰성 있게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평 리브 설비는 리브 높이가 모든 리브에 대해 동일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기 접점의 구조]
도5, 도8, 도9 및 도19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B가 레이저 비임 프린터 주 조립체(14) 안에 설치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 전기 접속을 이루는 접점의 접속 및 변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B는 복수개의 전기 접점, 즉 (가) 감광 드럼(7)을 장치 주 조립체(14)를 통해서 접지시키도록 이 드럼(7)에 전기 접속된 도전성 접지 접점(119)과, (나)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대전 롤러(8)에 대전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해 대전 롤러축(8a)에 전기 접속된 도전성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과, (다)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의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해 현상 롤러(9c)에 전기 접속된 도전성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과, (라) 잔여 토너량을 검출하기 위해 안테나 로드(9h)에 전기 접속된 도전성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을 갖추고 있다. 이들 모든 접점(119 내지 122)은 이들 사이에서의 누전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큰 간격으로 카트리지 프레임의 측면(우측부) 상에 노출된다. 상술한 것처럼 접지 접점(119)과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은 세척 수단 프레임(13)에 배열되고,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과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은 현상 장치 홀더(40)의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배열된다.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검출 접점으로서도 작용하여 2중의 기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지 접점(119)은 감광 드럼(7)의 도전성 축방향 축(7a) 또는 수지제의 축(7)에 주조된 도전성 삽입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 철 등의 금속축(7a)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접점(120, 121, 122)은 약 0.1 내지 0.3mm 두께인 스텐레스강 또는 인동 등의 도전성 금속편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다리들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내부 안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은 세척 유니트(C)의 구동측 표면(측면 C1) 상에 노출되고,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과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은 현상 유니트(D)의 구동측 표면(측면 D1) 상에 노출된다.
특히, 도20의 실시예에서 나선형 드럼 기어(7b)는 상술한 것처럼 감광 드럼(7)의 일단에 드럼(7)의 축방향으로 마련된다. 이 나선형 드럼 기어(7b)는 드럼(7)을 회전시키도록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마련된 나선형 구동기 기어(28)에 맞물린다. 이 나선형 기어(7b)가 회전함으로써 (도20의 화살표 d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켜서 자체의 종방향으로 약간의 유동을 허용하면서 세척 수단 상에 장착된 드럼(7)을 나선형 기어(7b)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나선형 기어(7b)의 측 표면 중 하나(7b1)가 카트리지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부(13)의 측 표면 중 하나(13k)에서의 내측 표면(13k1)에 접촉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써 카트리지(B) 내의 드럼(7)의 축방향 위치가 조정된다. 접지 접점(119)과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은 프레임의 세척수단 프레임(13)의 측 표면 중 하나(13k) 상에 노출되며, 여기에서 접지 접점(119)은 드럼축(7a)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술한 원통형 안내 부재(13a)의 단부를 지나 외향으로 약간(약 0.8mm) 돌출한다. 드럼축(7a)은 감광성 층(7e)으로 피복된 드럼 실린더(7d, 이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실린더)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실린더 안내 부재(13a)에 의해 각 단부에서 지지되고 측벽(13c, 13d) 상에 지지된다. 드럼 실린더(7d)와 축(7a)은 이 드럼 실린더(7d)의 내측 표면(7d1)과 축(7a)의 외주면(7a1) 모두에 접속 상태로 된 접지판(7f)에 접속된다.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은 대전 롤러축(8a)에 접속되어 있는 도전성 부재(120a)를 통해서 대전 롤러축(8a)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과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두 개의 접점(121, 122)은 현상 유니트(D)의 측면 중 하나의 표면(D1), 즉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측면(13k)과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한다.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은 긴 안내 부재(12a) 바로 아래에 그리고 현상 롤러(9c)에 내장된 자석(9g)이 지지되어 있는(도5) 프레임 부분의 우측단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현상 롤러(9c, 도9(b))의 측단에 접속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 접점(91)을 통해서 현상 롤러(9c)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도5에서,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은 카트리지 삽입 방향(도8의 화살표 X방향)에 대하여 긴 안내 부재(12a)의 상류에 위치하고, 토너 용기(11A)의 측면 상에 배열되고 도9(b)에 도시된 것처럼 안테나 로드(9h)에 접속된 도전성 부재(9f)를 통해서 현상 롤러(9c)에 평행하게 이 현상 롤러(9c)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테나 로드(9h)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로드(9h)는 현상 롤러(9c)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배열되어 있다. 안테나 로드(9h)와 현상 롤러(9c)사이의 정전 용량은 이들 두 부재들 사이에 존재하는 토너량에 따라 가변적이며, 따라서 잔여 토너량은 장치 주 조립체(14)의 제어 섹션(도시 생략)을 통한 전위차 변화로서의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검출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잔여 토너량은 현상 롤러(9c)와 안테나 로드(9h)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소정량의 정전 용량을 생성하는 토너량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소정량의 정전 용량을 검출한다고 하는 것은 토너 챔버(11A)에 잔류하는 토너량이 소정량에 도달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14)에 마련되고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을 통해서 카트리지(B)에 연결된 제어 섹션에 의해서 정전 용량이 소정의 제1값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고, 이로써 토너 챔버(11a)에 잔류하는 토너량이 소정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전 용량이 제1소정값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장치 주 조립체(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는 신호(예를 들어, 플래시 점등 또는 부저음)를 내게 된다. 제어 섹션에 의해 검출된 정전 용량이 제1값보다 작은 제2소정값과 일치하면, 검출 회로는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 섹션 회로는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에 설치된 것으로 검출하지 않는 한 장치 주 조립체(14)가 구동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어 섹션은 장치 주 조립체(14)가 화상 형성을 개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장치에 카트리지(B)가 없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려주도록 경고 신호(예를 들어, 점멸등 등)를 내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카트리지(B)에 마련된 접점과 장치 주 조립체(14)에 마련된 접속 부재 사이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9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A)에 설치되었을 때 대응 접점(119 내지 122)과의 접속을 이루는 4개의 접속 부재, 즉 접지 접점(119)에 전기 접속되는 접지 접속 부재(123)와,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에 전기 접속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속 부재(124)와,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에 전기 접속되는 현상 바이어스 접속 부재(125)와,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에 전기 접속되는 토너 검출 접속 부재(126)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카트리지 수용 공간(S)의 측벽 중 하나에 마련된다.
도19(a) 및 도19(b)에 도시된 것처럼 접지 접속 부재(123)는 홈(16a5)에 대응되게 배열된다. 현상 바이어스 접속 부재(125) 및 토너 검출 접속 부재(126)는 제1안내부(16a) 아래에 배열된다. 대전 바이어스 접속 부재(124)는 제2안내부(16b) 위에 배열된다.
여기서, 접점들과 안내 부재들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평 방향에서 취한)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관계를 알기 위하여 도5를 보면,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은 최하부에 있고,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과 안내 부재(12a) 및 원통형 안내 부재(133a, 접지 접점(119))는 거의 같은 높이로 상기 바이어스 접점(121) 위에 배열되고, 최상부에는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이 있다. 카트리지 삽입 방향(화살표 X방향)으로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은 최상류에 있고, 그 다음에는 긴 안내 부재(12a)가 있고, 최하류에는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과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이 있으며, 최상류 위치에는 짧은 안내 부재(13b)와 원통형 안내 부재(13a)[접지 접점(119)]가 있다. 상술한 것처럼 배열하면,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이 대전 롤러(8) 가까이에,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이 현상 롤러(9c) 가까이에,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이 안테나 로드(9h) 가까이에, 그리고 접지 접점(119)이 감광 드럼(7)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접점으로의 배선이 짧아지게 된다.
접점들의 치수로는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은 높이 및 폭이 약 10.0mm (허용 범위 8.0mm 내지 12.0mm)이고,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은 높이가 약 9.0mm(허용 범위 6.0mm 내지 12.0mm)이고 폭이 약 8.0mm (허용 범위 5.0mm 내지 11.0mm)이고,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은 높이가 약 8.0mm (허용 범위 6.0mm 내지 10.0mm)이고 폭이 약 9.0mm (허용 범위 7.0mm 내지 11.0mm)이고, 접지접점(119)은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직경은 약 7.0 mm이다.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과 현상 바이어스(121) 및 토너 잔류 검출 접점(122)은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접지 접속 부재(123)는 도전성 판 스프링 부재이고, 카트리지(B)의 안내 부재접점(119)이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감광 드럼(7)의 드럼축(7a)이 끼워져 있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가 카트리지(B)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는 홈(16a5)에 장착되며, 이로써 접지 접속 부재(123)는 장치 주 조립체(도19 및 도26)의 샤시를통해서 접지된다. 다른 접속 부재(124, 125, 126)는 대응 압축 스프링(129)에 의해 그로부터 돌출되는 방식으로 대응 홀더 커버(127)에 장착된다. 이러한 배열은 대전바이어스 접속 부재(124)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도20에서, 대전 바이어스 접속 부재(124)는 돌출하기는 하지만 밖으로 나오지는 않도록 홀더 커버 아래에 위치하고, 이 홀더 커버(127)는 장치 주 조립체의 측벽 중 하나에 장착된 회로 기판(128)에 고겅되고 이로써 접속 부재들은 도전성 압축 스프링(129)에 의해 대응 배선 패턴들에 각기 전기 접속된다.
다음에, 도21을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 안에 설치되었을 때 카트리지측 상의 접점들이 화상 형성 장치측 상의 대응 접속 부재들에 어떻게 접속되는지에 대하여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의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21은 화상 형성 장치(A)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여기서 화살표 H는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 안에 설치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대한 장치 주 조립체 상의 대전 바이어스 접점(124)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도21은 도5에서 선 O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안내 부재로서의 안내부(16a, 16b)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 안에 설치하는 동안에 대전 바이어스 접점(124)은 고정 배치되는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도21에 도시된 상태(a)에 있게 된다. 이때에, 대전 바이어스 접점(124)은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편평면(20)에 접속된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되면 대전 바이어스 접속 부재(124)는 도21의 위치(b)로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속 부재는 프레임의 세척 수단 프레임(13)의 우측벽(13c) 상에 형성된 경사 표면(31, 도5)에 접속 상태로 유지되고, 이 경사 표면(31)상에서 활주하여 점차 가압 및 압축되어 압축 스프링(129)을 점차 가압하게 되고, 대전 바어어스 접점(120)이 노출되게 되는 편평면(32) 상으로 매끄럽게 이동하게 된다. 삽입된 카트리지(B)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접속 부재(124)는 도21의 위치(c)에 있게 되고 여기에서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과의 접속을 이룬다. 다른 접속 부재(125,126)도 동일한 방식으로 접점(121,122)에 각기 접속된다.
상술한 배열을 취함으로써, 카트리지(B)가 안내 부재(16)에 의해 소정의 카트리지 수용 위치로 안내되면 접점들과 대응 접속 부재들은 서로 접속된 위치에 신뢰성 있게 위치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면, 판 스프링 형태의 접지 접속 부재(123)는 원통형 안내 부재(13a, 도20)로부터 돌출하는 접지 접점(119)과의 접속을 이룬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안에 설치됨으로써 접지 접점(119)과 접지 접속 부재(123)는 서로 전기 접속되어 감광 드럼(7)을 접지시키게 된다. 대전 바이어스 접점(120)과 대전 바이어스 접속 부재(124)는 서로 전기 접속되어 있어서 대전 롤러(8)에 (AC와 DC 전압이 중첩된 전압인)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허용한다.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과 현상 접속 부재는 서로 전기 접속되어 현상 롤러(9c)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허용한다. 토너잔류 검출 접점(122)과 토너 잔류 검출 접속 부재(126)는 서로 전기 접속되어 정전용량을 반영하는 정보를 장치 주 조립체(14)에 전달되게 해준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A)를 구동함으로써 감광 드럼(7)이 회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광 드럼(7)은 축방향으로 약 2mm 내지 3mm의 유격을 갖고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 안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대전 바이어스 접속 부재(124) 등을 상기 유격보다 큰 거리로 돌출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에 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주 조립체의 [접속 부재(123 내지 126)가 위치하는] 일측면 쪽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45)이 마련되어 있다. 판 스프링(45)은 접속 부재들이 위치하여 있는 제1설치 안내부(16a) 위인 측면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접점(119 내지 122)이 상기 실시예에서처럼 나선형 드럼 기어(7b)가 배치된 쪽(구동측 상의 측벽)에 배치되면, 나선형 드럼 기어(7b)를 통해서 장치 주 조립체에 의해 카트리지(B)를 기계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연결 및 접점(119 내지 122)을 통한 카트리지(B)와 장치 주 조립체 사이의 전기 접속은 카트리지(B)의 동일 측면 상에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B)의 상술한 측면이 기준 측면으로서 사용되면, 부품 크기에서의 전체적인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접점들과 나선형 기어를 더욱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선형 드럼 기어가 위치하는 측면 쪽으로의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형성된 톱니 절결부를 갖춘 나선형 드럼 기어가 사용되면, 축방향을 취하는 감광 드럼(7)의 위치는 접점들이 위치하는 측면 상에 고정되며, 따라서 이 경우에 감광 드럼(7)과 접점들 사이의 위치 관계의 정확도는 상기 효과에 더하여 더욱 개선된다. 또한, 드럼 셔터 프레임(18)을 개폐하기 위한 레버(23, 도6)가 상술한 실시예에서처럼 접점(119 내지 122)이 위치하게 되는 측면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하면,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 안에 삽입됨으로써 접점(119 내지 122)에 의해 카트리지의 일측면 상에 생성된 마찰 저항 및 드럼 셔터 프레임(18)을 개폐하기 위한 레버(23, 도6)에 의해 발생한 저항(또는 압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 안에 삽입되었을 때 카트리지(B)의 종단부들 쪽으로 분포하는데, 즉 카트리지(B)가 삽입되었을 때 생성된 저항은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한다. 따라서, 카트리지(B)는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처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모든 접점들이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동일 측벽 상에 위치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판 스프링에 의해 생성된 탄성력 하에 위치하면, 접점들과 장치 주 조립체측 상의 대응 접속 부재들 사이에 안정된 전기 접속을 마련할 수 있다.
도22는 상기 레버(23)가 위치된 측면 상에 접점들이 위치하여 있는 배열을 도시한다. 이 배열에서도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현상 수단을 포함하며 다색 화상(2색 화상, 3색 화상 또는 전색 화상)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다색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감광 드럼(7)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도 있다. 우선, 광전도성 재료를 감광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광전도성 재료로서 비결정 실리콘, 비결정 셀레늄, 산화 아연, 산화 티타늄, 유기 광전도체(OP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광 재료가 배치되는 기부 부재의 형상에 있어서, 드럼 또는 벨트 형태의 기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드럼 형태의 기부 부재의 경우에 있어서, 광전도성 재료를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조된 실린더 상에 유사한 수단에 의해 피복, 부착 또는 위치시킬 있다.
현상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2중 구성 부재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 캐스케이드(cascade) 현상 방법, 터치 다운(touch down) 현상 방법, 클라우드(cloud) 현상 방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공지의 방법과 호환성이 있다.
또한, 대전 수단의 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는 소위 접촉식 대전 방법이 채택되었지만, 본 발명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차폐체가 텅스텐 와이어의 3개의 측면상에 배치되어서 텅스텐 와이어에 고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생성되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감광 드럼의 표면 상에 전달되어 균일하게 대전되게 되는 방법과 같은 기타 다른 종래의 대전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대전 수단은 이미 설명한 롤러형 외에도 블레이드형, (대전 블레이드), 패드형, 블럭형, 봉형, 와이어형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감광 드럼 상의 잔류 토너 세척 방법에 있어서, 세척 수단은 블레이드, 털 브러시, 자기 브러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기재되어 있는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의 범위를 개량할 목적의 범위 내 또는 그 범주 내에서의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복수의 전기 접점 모두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만 배치되므로 이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간의 전기 접속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탄성 수단에 의해 전기 접점이 배치되어 있는 측면 쪽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시킴으로써 신뢰성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간의 구동 기구 접속뿐만 아니라 전기 접속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구동력을 감광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헬리컬기어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 상에 헬리컬 기어와 전기 접점을 배치함으로써 신뢰성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경로가 정해지는 배선 거리는 접점 각각을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짧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 접점들이 연결되게 되는 장치 주 조립체의 전기 회로 기판을 장치 주 조립체의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의 크기가 감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너량이 많은 경우라 해도 토너 공급 성능이 높다.
본 발명에 따라, 조립이 용이한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마련된다.

Claims (30)

  1.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 및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을 구비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 가능한 현상 장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장치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배치된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프레임에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의 측면 상에 장착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치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도 포함하며,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는 상기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에 퇴적된 토너량을 조절하는 현상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판에 바이어스를 인가하기에도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장치에 송신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인가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내에서의 토너량의 감소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장치에 송신하기에도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7.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 내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자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8.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나)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다)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장치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부재가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된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의 측면 상에 장착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도 포함하며,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정정)제8항,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는 상기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에 퇴적된 토너량을 조절하는 현상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판에 바이어스를 인가하기에도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정정)제8항,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장치에 송신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인가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내에서의 토너량의 감소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장치에 송신하기에도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정정)제8항,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 내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자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8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주 조립체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장치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된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 홀더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나) 기록재를 급송하는 급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 및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을 구비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 가능한 현상 장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부재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된 안내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의 측면 상에 장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며, 상기 현상 롤러 내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자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프레임에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는 상기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에 퇴적된 토너량을 조절하는 현상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판에 바이어스를 인가하기에도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부재에 송신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인가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내에서의 토너량의 감소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부재에 송신하기에도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22.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나)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다)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라) 상기 감광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와, (마)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부재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된 안내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의 측면 상에 장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며, 상기 현상 롤러 내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자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는 상기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에 퇴적된 토너량을 조절하는 현상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판에 바이어스를 인가하기에도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부재에 송신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인가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내에서의 토너량의 감소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부재에 송신하기에도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부재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주 조립체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가) ㉠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 상기 감광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와, ㉤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부재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된 안내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의 측면 상에 장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며, 상기 현상 롤러 내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자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나) 기록재를 급송하는 급송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 및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을 구비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 가능한 현상 장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접촉 부재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된 안내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의 측면 상에 장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접촉 부재에 송신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인가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내에서의 토너량의 감소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접촉 부재에 송신하기에도 효과적이며,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며,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는 상기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에 퇴적된 토너량을 조절하는 현상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판에 바이어스를 인가하기에도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 내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자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프레임에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홀더.
  29.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나)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다)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라)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마)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바)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접촉 부재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된 안내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의 측면 상에 장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접촉 부재에 송신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내에서의 토너량의 감소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접촉 부재에 송신하기에도 효과적이며,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며,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는 상기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에 퇴적된 토너량을 조절하는 현상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판에 바이어스를 인가하기에도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 내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자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를 가지는 현상 장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주 조립체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검출 접촉 부재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가 노출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된 안내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의 측면 상에 장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접촉 부재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접촉 부재에 송신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내에서의 토너량의 감소를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표시하는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접촉 부재에 송신하기에도 효과적이며,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 장착부는 상기 현상 장치 홀더가 상기 현상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장치 홀더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를 장착하며,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는 상기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하기에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에 퇴적된 토너량을 조절하는 현상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판에 바이어스를 인가하기에도 효과적이고, 상기 현상 롤러 내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 장치 홀더는 상기 자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자석 지지부를 가지는 현상 장치 홀더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나) 기록재를 급송하는 급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60031818A 1995-07-31 1996-07-31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189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544595A JP3359194B2 (ja) 1995-07-31 1995-07-31 現像ホルダ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95-215445 1995-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25A KR970007525A (ko) 1997-02-21
KR100189510B1 true KR100189510B1 (ko) 1999-06-01

Family

ID=1667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818A KR100189510B1 (ko) 1995-07-31 1996-07-31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26476B1 (ko)
EP (1) EP0757303B1 (ko)
JP (1) JP3359194B2 (ko)
KR (1) KR100189510B1 (ko)
CN (1) CN1091526C (ko)
AU (1) AU6081296A (ko)
DE (1) DE69630087T2 (ko)
HK (1) HK1012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0752B2 (ja) *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現像剤供給容器及び測定部品
JP3363873B2 (ja) * 1999-07-13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量逐次表示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66871A (ja) * 1999-08-30 2001-03-16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231B2 (ja) * 2000-01-1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83501B2 (ja) * 2000-06-28 2002-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697168B2 (ja) * 2001-03-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77113B2 (ja) * 2001-03-16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40063B2 (ja)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48124B2 (ja) * 2001-10-18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307992A (ja) * 2002-04-17 2003-10-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482385A3 (en) * 2003-05-20 2005-04-0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25308B2 (ja) * 2003-07-25 2009-09-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136608B2 (en) * 2003-12-19 2006-11-14 Steven Miller Removable toner cartridge universal adapter
JP4639638B2 (ja) * 2004-05-14 2011-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ユニット
EP1640814B1 (en) 2004-08-06 2011-10-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developer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handle interlocking elements
US7778567B2 (en) 2004-09-29 2010-08-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JP4803994B2 (ja) * 2004-11-12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272328B2 (en) * 2005-03-29 2007-09-18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elopment component detection in an electrophotographic device
EP2363752B1 (en) 2005-04-26 2012-10-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for image-forming device
JP4830403B2 (ja) * 2005-08-26 2011-12-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328230B2 (ja)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251435B2 (en) * 2010-07-19 2012-08-28 Inoac Corporation Spoiler
JP5307200B2 (ja) * 2011-07-28 2013-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支持装置と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支持方法
CN103716490A (zh) * 2013-12-15 2014-04-09 苏州市峰之火数码科技有限公司 进纸扫描式打印机
JP6379585B2 (ja) * 2014-03-31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02126B2 (ja) 2015-09-16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部材
JP6589630B2 (ja) 2015-12-25 2019-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9989917B1 (en) * 2017-05-17 2018-06-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10649399B1 (en) *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9985A5 (ko) * 1973-07-16 1976-09-30 Hell Rudolf Dr Ing Gmbh
JPH03114089A (ja) * 1989-09-28 1991-05-15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
JP2749953B2 (ja) 1990-05-22 1998-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272505A (en) 1990-10-24 1993-12-21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process unit having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process unit
US5294960A (en)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0501497B1 (en) 1991-03-01 1996-01-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and process cartridge removably mountable on same
US5283619A (en) 1991-12-20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same
EP0586044B1 (en) 1992-09-04 1997-03-2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ethod for assembling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59985B2 (ja) *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87636B2 (ja) 1992-09-04 2002-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77921A (ja) 1993-09-09 1995-03-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3869868B2 (ja) 1994-04-27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U3426895A (en) 1994-10-17 1996-05-0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57303A2 (en) 1997-02-05
DE69630087T2 (de) 2004-07-08
US6226476B1 (en) 2001-05-01
CN1167281A (zh) 1997-12-10
JP3359194B2 (ja) 2002-12-24
CN1091526C (zh) 2002-09-25
JPH0943925A (ja) 1997-02-14
AU6081296A (en) 1997-03-06
EP0757303A3 (en) 2000-09-06
DE69630087D1 (de) 2003-10-30
EP0757303B1 (en) 2003-09-24
KR970007525A (ko) 1997-02-21
HK1012078A1 (en) 199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510B1 (ko) 현상 장치 홀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267047B1 (ko) 현상 장치 프레임,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216437B1 (ko) 토너 용기, 토너 용기 조립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6029031A (en) Process cartridge and remanufacturing method
US5839028A (en) Process cartridge and refilling method therefor
KR100270670B1 (ko) 감광 드럼 장착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US6070028A (en)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upling therebetween
KR100294101B1 (ko) 베어링,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295082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39970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제조 방법
KR100408619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한 재생 방법
US6115565A (en) Sealing member, clean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152300B1 (en) 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EP0851313A2 (en) Magnetic seal mounting method, developing blade exchanging method and process cartridge
JP348648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43926A (ja) トナー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43924A (ja) クリーニング枠体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U737797B2 (en) A developing device hold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U750347B2 (en)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10173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