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322B1 -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322B1
KR0178322B1 KR1019960700147A KR19960700147A KR0178322B1 KR 0178322 B1 KR0178322 B1 KR 0178322B1 KR 1019960700147 A KR1019960700147 A KR 1019960700147A KR 19960700147 A KR19960700147 A KR 19960700147A KR 0178322 B1 KR0178322 B1 KR 017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value
sets
group management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792A (ko
Inventor
신타로 쓰지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70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2Travel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6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22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assengers present in the elevator car to be al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1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time of the d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3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real-time traffic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군관리알고리즘에 따라서,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는 시스템, 이 시스템은 최적세트를 탐색하는 탐색장치를 포함하고, 최적세트는 군관리알고리즘에 부여하는 파라미터의 조합 중에서 최적인 것을 말한다.
교차 또는 돌연변이에 의하여, 신규세트가 생성된다.
기억부로의 우량세트의 추가등록과, 기억부로부터의 열악세트의 삭제가 이용되고 우수한 세트가 기억부에 저장되며, 그 중에서 최적세트가 선택된다.
따라서 최적세트의 탐색을 효율좋게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어파라미터치의 최적조합을 효과적으로 탐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은 빌딩 내의 가지각색의 교통상태에 따라서,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 좋게 운전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 내의 군관리장치는 군관리알고리즘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할당 등의 운행제어를 한다.
여기서, 군관리알고리즘은 엘리베이터의 할당제어를 위시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관련되는 모든 기능, 동작을 실행, 제어하는 것이다.
이 군관리알고리즘에는 각종의 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운전을 실행하려면, 빌딩 내의 가지각색의 교통상태 등에 따라서, 그들의 파라미터에 적절한 수치를 대입할 필요가 있다.
군관리의 기본기능의 하나인 승강장호출(엘리베이터홀에서의 호출)의 할당제어에 있어서, 새롭게 승강장호출이 등록되면, 그의 신규의 승강장호출과 이미 등록되여 있는 승강장호출에 대해서, 대기시간 및 예보 등의 서비스상태의 평가를 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할당평가함수에 따라서 각 엘리베이터(카)마다 평가치(Em)를 구한다.
그리고, 그의 평가치(Em)가 최소로되는 엘리베이터를 할당한 엘리베이터로서 선택한다.
그리고, 승강장에 구비된 홀램프 등을 점등시켜, 할당된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기 전애 대기승객에게 그 엘리베이터카를 안내표시(이것을 예보라 함)한다.
상기의 할당평가치(Em)을 구하는 함수로서는, 예컨데, 이하의 (1)식 같은 것이 있다.
단, i는 승강장호출의 번호이고, m은 엘리베이터의 호기번호이다.
Em=Z{W(i)2+Ca×M(i)+Cb×Y(i)}+Pm-Bm………[1]
단, Em; 엘리베이터(m)에 신규 승강장호출을 할당한 때의 할당평가치.
W(i); 엘리베이터(m)에 신규 승강장호출을 할당한 때의 승강장호출(i)의 예측대기 시간.
M(i); 엘리베이터(m)에 신규 승강장호출을 할당할 때의 승강장호출(i)의 예보오차확률(0≤M(i)≤1)
Y(i); 엘리베이터(m)에 신규 승강장호출을 할당할 때의 승강장호출(i)의 예보오차확률(0≤Y(i)≤1), 예보오차라 함은 예보한 엘리베이터이외의 엘리베이터가 선착하는 현상을 말함.
pm: 엘리베이터(m)에 신규승강장호출을 할당할 때의 페널티.
Bm: 엘리베이터(m)에 신규승강장호출을 할당할 때의 보너스.
Ca: 만원평가계수
Cb: 예보오차평가계수
여기서, 만원평가계수(Ca)는, 대기시간 평가치 W(i)2에 대한 만원평가치M(i)의 가중계수이며, 그의 치를 크게 차면, 대기시간보다도 만원통과 등을 중시한 운행을 할 수가 있다.
또, 예보오차평가계수(Cb)는, 대기시간평가치W(i)2에 대한 예보오차평가치Y(i)의 가중계수이며, 그의 치를 크게 하면 대기시간보다도 예보오차방지를 중시한 할당을 할 수 있다.
상기 [1]에 있는 페널티 Pm을 이용한 우선 할당기능에는 예컨데, 다음과 같은 [2] 승차시간 우선할당기능과 [3] 전력절약 우선할당기능이 있다.
[2] 승차시간 우선할당기능은, 엘리베이터카의 호출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는, 도중의 승강장에서의 호출을 할당되기 어렵게 하는 기능이다.
예컨대, 페널티 Pm에, (승차시간 우선도 Pa)×(호출수 Nm)으로 산출되는 치가 설정된다.
[3] 전력절약 우선 할당기능은, 휴지 중의 엘리베이터에 신규의 호출을 할당하기 어렵게 하는 기능이다.
예컨대, 휴지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전력절약우선도(Pb)가 표시하는 치가 페널티(Pm)로 설정되여, 다른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페널티(Pm)에 0이 설정된다.
또, 상기 [1] 식에 있는 보너스(Em)를 이용한 우선할당 기능에는, 예컨대,[4] 근접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 [5] 경부하 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 및 [6] 특정 엘리베이터 우선할달기능이 있다.
[4] 근접 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은, 조작된 버튼에 가까운 엘리베이터(근접엘리베이터)를 할당하기 쉽게 하는 기능이다.
예컨대, 근접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근접 엘리베이터 우선도(Ba)로서 표시되는 지가 보너스(Bm)에 설정되며, 그 이외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보너스(Bm)에 0이 설정된다.
[5] 경부하 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은, 승객이 없는 엘리베이터 또는 부하가 적은 엘리베이터(경부하 엘리베이터)를 할당하기 쉽게 하는 기능이다.
예컨대, 경부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경부하하 엘리베이터 우선도(Pb)로 표시되는 치가 보너스(Bm)에 설정되고, 그 이외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보너스(Bm)에 0이 설정된다.
[6] 특정 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은, 특정 엘리베이터를 할당하기 쉽게하는 기능이다.
예컨대, 지하행 엘리베이터, 옥상행 엘리베이터, 전망 엘리베이터 등에 대해서는 특정 엘리베이터 우선도(Bc)가 표시하는 치가 보너스(Bm)에 설정되고, 그 이외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보너스(Bm)에 0이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Ca, Cb, Pa, Pb, Ba, Bb, Bc는 할당평가함수 (1)에 관련하는 군관리를 위한 파러미터이다.
상기의 할당 평가함수 [1]를 사용하여 할당을 실행하여도, 그후에 예측하지 않은 호출이 발생하여 긴 대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군관리시스템은, [7] 추가할당기능과 [8] 할당변경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7] 긴 대기호출에 대한 추가할당기능은, 현재 할당된 엘리베이터보다도 신속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다른 엘리베이터에 구원을 시키는 추가할당을 하는 기능이다.
[8] 긴 대기호출에 대한 할당변경기능은, 긴 대기상태에 있는 호출의 할당(및 예보)을 구원엘리베이터에 전부 이행하는 것이다.
긴 대기인가 어떤가를 검출하기 위해, 판정기준치(DL)가 설정되어 있다.
[9] 군관리시스템에 있는 각 엘리베이터는, 만원자동통과기능을 보유하고있으며, 카의 부하가 기준치(DB)를 초과하면, 이미 할당이 되어 있어도, 그 승강장를 자동적으로 통과한다.
또한, 만원으로 자동통과로 된 호출에 대해서는 할당변경기능에 의한 구원운전이 시행된다.
[10] 만원통과호출에 대한 할당변경기능은, 만원으로 자동통과된 승강장호출의 할당 및 예보를 다른 구원엘리베이터에 이행하는 것이다.
또, 새로운 할당엘리베이터카에 예보가 변경되는 것을 예보변경이라 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DL, DB도, 군관리를 위한 파라미터이다.
상기 승강장호출에 관한 동작 이외의 동작에도, 각종의 제어파라미터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다음의 운전패턴을 선택하고 또는 그의 선택을 취소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각종의 제어 파라미터가 사용되고 있다.
[11] 출근시 운전의 선택·취소
출근시 운전은, 출근시간대의 개시시각을 경과하고, 또, 주승강장에서, 선발엘리베이터에 대해서 등록된 엘리베이터카의 호출수가 판정기준치(DIUPC) 이상으로 되었을 때 선택되고, 한편, 출근시간대의 종료시각을 경과했을 때 취소된다.
[12] 업 피크(UP-PEAK)운전의 선택, 취소
업 피크 운전은, 주승강장에서의 승차인원이 제1판정기준치(DUP1)를 초과하여 출발하는 엘리베이터가 생겼을 때 선택되고, 한편, 주승강장에서의 승차인원이 제2판정기준치(DUP2)를 초과하여 출발하는 엘리베이터가, 판정시간(DUPT) 동안에, 한대도 생기지 않을 때 취소된다.
[13] 다운피크(DOWN-PEAK)운전의 선택, 취소
다운피크운전은, 제1판정기준치(DDR1) 이상의 인원수의 승객을 태우고 하강하는 엘리베이터가 생겼을 때 선택되며, 한편, 제2판정기준치(DDR2) 이상의 승객을 태우고 하강하는 엘리베이터가 판정시간(DDPT) 동안에, 한대도 생기지 않았을 때 취소된다.
또, 각 운전패턴은, 다음과 같은 제어를 포함하며, 여기서도 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있다.
[14] 출근시간운전
주승강장에 배차대수(DIUPN)으로서 지정된 대수의 엘리베이터를 배차한다.
주승강장의 선발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응답하여야 할 호출이 생겨도 도어개방상태대로 출발을 지연시키는 출발조정동작에 있어서, 출발타임(도어개방상태를 계속시키는 시간을 말함)을 기준치(DIUPT)에 설정한다.
주승강장에서는 도어개방대기대수(DIUPW)로서 지정된 대수의 엘리베이터를 도어를 개방하여 대기시키고, 다른 엘리베이터는 도어를 닫고 대기시킨다.
[15] 업 피크 운전
주승강장에 대해서 배차대수(DUPN)로서 지정된 대수의 엘리베이터를 배차한다.
[16] 다운피크3운전
대기시간의 예측연산을 할 때, 주승강장으로 향하는 방향의 승강장호출에 대하여는 우선도(DDFE)에 상당하는 분만큼, 예측 대기시간을 겉보기로 길게 계산한다.
[17] 분산대기운전
승객이 없는 빈 엘리베이터가 생겼을 때, 다음의 호출이 발생할 것이 예상되는 층에 엘리베이터를 미리 대기시켜 대기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운전이며, 혼잡시 운전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 선택된다.
규정대수(DOHN) 이상의 승객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있는 상태가 규정시간(DOHT) 이상 계속될 때, 분산대기운전이 실행된다.
엘리베이터를 대기시키는 층(대기층)과 대기시키는 대수 등도 제어파라미터로서 사용될 때도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부가적 제어에서도, 운전대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18] 전력절약운전
서비스상황에 따가서 자동적으로 운전대수를 감소시저 전력의 절약을 도모하는 운전이며, 최근 5분간의 평균대기시간이 제1서비스기준치(DESW1) 이하인 경우에는, 현재의 운전대수를 1대 감소시키고, 제2서비스기준치(DESW2) 이상인 경우에는, 운전대수를 1대 증가시킨다.
이상과 같이, 군관리알고리즘에는 많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파라미터는, 대기시간단축, 예보 정밀도향상, 이용객의 쾌적성향상, 전력절약 등의 여러 제어목적을 만족하기 위하여 준비된 것이다.
그러나, 제어목적이 상반하는 파라미터도 혼재하고 있음으로, 각 파라미터에 대입되는 수치의 조합여하에 따라, 군관리의 성능은 크게 좌우된다.
다시 말하면, 시시각각 변화하는 빌딩의 각양각색의 교통상태와 이용객의 여러 가지 희망에 맞추어 효율이 좋은 군관리운전을 하기 위하여는, 최적인 파라미터치의 조합을 신속하게 탐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파라미터치의 조합(수열)을 파라미터치 세트 또는 간단히 세트(set)로 부른다.
종전의 최적세트 탐색방법으로서는, 파라미터치의 모든 조합(즉, 모든 세트)에 대해서 검토를 하는 총체적 방식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공평 4-51475호, 특개소 57-57168호 참조).
이 총체적 방식에 의한 방법에서는, 파라미터의 종류가 작을 때에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파라미터의 종류가 많아지면, 검토하여야 할 파라미터치의 조합수가 비약적으로 증대하고, 그 때문에, 모든 조합에 대한 검토를 하여, 최적세트를 선택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게 된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총제적 방식에서는, 파라미터의 종류가 M개이고, 파라미터가 취할 수 있는 치의 개수를 L로 한다.
가령, M=3, L=6일 때, 전체의 시뮬레이션 회수는 LM=216 회로 된다.
따라서, 파라미터의 종류 및 취할 수 있는 치의 수가 많을 때에는, 시뮬레이션을 한다하여도, 또 실제의 군관리장치에서 엘리베이터를 시운전하여 보더라도, 최적인 파라미터의 조합을 결정할 때까지 대단히 긴 시간을 요하여, 실제적이 아니다.
여기서, 일본국 특공평 5-24067호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시뮬레이션 회수를 감소시키는 제안이 되여 있다.
즉, 이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2개의 파라미터가 있을 때, 먼저 제1파라미터의 최적치를 구하고, 다음에 제1파라미터의 치를 최적치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2파라미터의 최적치를 구한다는 방법이다. 이것을 축차방식이라 한다.
이 축차방식에 의하면, 가령, M=3, L=6일 때의 모든 시뮬레이션회수는, L×M=18 회로도이며, 상기 총체적 방식에 비하면 시뮬레이션 회수는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상기 축차방식은, 파라미터간에 상환관계가 없는 경우에만 유효한 방법이며, 군관리 제어용의 파라미터군과 같이, 상관관계가 강한 파라미터가 많이 포함된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 발명은 상기 종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관관계가 강한 특수한 성질을 갖는 군관리용 파라미터에 대해서, 파라미터치 세트가 방대할지라도 최적세트를 효과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발명은, 유전적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이라는 일반적 기술을 기초로 하여, 최적세트 탐색을 위한 고유의 탐색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의한 탐색장치는, 복수의 세트를 기러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모체로 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세트를 선택하고, 그의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한 하나 또는 복수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신규세트를 사용하여 군관리알고리즘을 실행시킨 때에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서 구하는 평가수단과, 기억수단으로의 신규세트의 추가와, 기억수단으로부터의 열악세트의 삭제를 병용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복수의 세트를 우량화하는 선별수단과,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우량화된 복수의 세트 중에서, 군관리 성능치에 기준하여 최적세트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전적 세트생성과 우량세트의 선별에 의해 우수한 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모체세트의 좋은 성질만을 계승한 자세트(신규세트)만을 기억수단에 축적할 수 있다.
즉, 일련의 사이클의 반복에 의해, 기억수단 내에 기억된 복수의 세트를 순차 갱신하여 우량화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군관리성능치에 기준하여, 기억수단 중에서 최적세트가 추출된다.
이 최적세트를 구성하는 각 수치는, 군관리 알고리즘 내의 각 파라미터에 대입되고, 엘리베이터의 할당 등의 군관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가장 우수한 세트 또는 그것에 대단히 가까운 내용을 갖는 세트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가 있다.
즉, 연산량의 저감 및 시뮬레이션 회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탐색을 빠르게 할 수 있다.
(2) 이 발명에 있어서, 생성수단은, 기억수단에서 선출된 2개의 세트간에서, 일부의 수치를 상호 교환하므로서, 2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수치교환수단과, 기억수단에서 선출된 1개의 세트 중의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랜덤하게 발생된 새로운 수치로 바꿔놓음으로서, 1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신치대치수단과, 수치교환과 신치대치를 확률적으로 선택하는 생성방법 선택수단과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신규세트의 생성은, 수치교환수단에 의한 교차(crossover)와, 신피대치수단에 의한 돌연변이(mutation)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이루어진다.
요약하면, 교차는 해답을 수렴하는 성질을 가지며, 돌연변이는 해답에 다양성을 생성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교차는 기억수단에 기억된 세트집단의 내용을 수렴시킬 수 있으나, 그 반면, 세트집단의 다양성이 조기에 소실되어, 시스템은 국소해(local solution)에 떨어지게 되여, 진의해답(최적세트)을 상실한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돌연변이는 국소해에서의 탈피를 도모할 수 있다.
그 의미에서는, 교차와 돌연변이는 상보관계에 있게 된다.
한편, 돌연변이는, 교차에 의해 탐색한 양호한 해답을 파괴해 버릴 성질을 갖고 있다.
이 의미에는 교차와 돌연변이는 경합관계에 있다.
따라서, 교차가 선택되는 확률(crossover rate)과 돌연변이가 선택되는 확률(mutation rate)과의 비율을 적절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교차 및 돌연변이의 양자를 적절히 병용하므서, 양자의 이점을 충분히 살려, 우수한 신규세트의 생성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교차만에 또는 돌연변이만에 의하여, 최적세트의 탐색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이 발명에 있어서, 생성수단은, 기억수단에서 적어도 1개 또는 2개의 세트를 선택하는 모체선택수단과, 상기 1개 또는 2개의 세트에 대하여 수치교환 또는 신치대치가 시행되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파라미터 선택수단과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모체선택수단은, 교차가 선택된 경우에는, 기억수단에서 2개의 모체세트(세트쌍)를 선택하고, 돌연변이가 선택된 경우에는 기억수단에서 1개의 모체세트를 선택한다.
파라미터 선택수단은, 교차 및 돌연변이에 있어서 파라미터차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파라미터의 위치(교차위치 또는 돌연변이위치)를 선택한다.
(4) 모체선택수단은, 우수한 신규세트의 생성확률을 높이기 위한 모체선택기준정보에 따라서, 모체의 선택을 한다. 모체선택 기준정보를 이용함으로서,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울을 높이게 된다.
(5) 모체선택기준정보로서 세트간 거리를 사용하면, 세트간의 유사성을 선택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신규세트의 다양성을 우선시키며, 또는 생성되는 신규세트의 수렴성을 우선시킬 수 있다.
(6) 모체선택기준정보로서 군관리성능치를 사용하면, 각 세트의 우수성에 따라서 모체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우수한 모체세트를 선택시키는 확률을 높이고, 결과로서, 보다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가 있다.
(7) 모체선택기준정보로서 유사세트를 사용하면, 각 세트의 독자성을 선택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로 특성이 다른 세트 쌍을 선택하는 확률을 높이고, 생성되는 신규세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8) 모체 선택수단에서의 모체선택의 조건은, 탐색의 진행상황에 따라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복수의 모체 선택조건을 준비하고 진행상황에 따라서 전환하거나, 모체선택조건의 기준치를 진행상황에 따라서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가 있다.
(9) 파라미터 선택수단은, 우수한 신규세트의 생성확률을 높이기 위한 파라미터 선택기준정보에 기준하여 파라미터의 선택을 한다.
이것에 의해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10) 파라미터 선택기준정보로서 파라미터치의 차이를 사용하면, 파라미터간의 유사성을 선택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신규세트의 다양성을 우선시키거나 또는 생성된 신규세트의 수렴성을 우선시킬 수 있다.
(11) 파라미터 선택기준정보로서, 엘리베이터 이용상황과의 관련정도를 사용하면, 엘리베이터이용 상황에 관련하는 정도가 큰 파라미터가 선택되는 확률을 높이고, 보다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이게 된다.
(12) 파라미터 선택기준정보로서, 성능평가치의 내용과의 연관정도를 사용하면 성능평가치의 내용에 연관하는 정도가 큰 파라미터가 선택되는 확률을 높혀, 보다 우수한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확률을 높이게 된다.
(13) 파라미터 선택수단에 있어서, 파라미터 선택의 조건은, 탐색의 진행상황에 따라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복수의 파라미터 선택조건을 준비하고, 진행상황에 따라서 전환하거나, 파라미터 선택조건의 기준치를 진행상황에 따라서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가 있다.
(14) 각 생성방법의 선택확률은, 확률수정수단에 의해, 탐색의 진행상황에 따라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돌연변이에 의한 광역적 탐색과 교차에 의한 국소적 탐색의 양자의 특징을 살릴 수 있어 탐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5) 이와 같이 시스템이 구성되면, 확률수정수단에 의해, 예컨대, 성공지표에 따라서, 선택확률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탐색의 수렴도에서 탐색의 진행도를 판단할 수 있고, 그의 진행도에 맞는 선택확률을 설정할 수 있다.
(16)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의한 탐색장치는, 복수의 세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서 모체로서 선출된 2개의 세트 사이에서,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서로 교환함으로서, 그의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한 2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수치교환수단과, 기억수단에서 모체로서 선택된 1개의 세트 중의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랜덤하게 발생된 새로운 수치로 대치함으로서 그의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한 1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신치대치수단과, 수치교환과 신치대치를 확률적으로 선택하는 생성방법 선택수단과, 신규세트를 사용하여 군관리알고리즘을 실행시킬 때의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서 구하는 평가수단과, 소정의 추가조건을 만족하는 우수 신규세트만을 기억수단에 추가로 기억시키는 추가수단과, 소정의 삭제조건을 충족하는 열악세트를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수단과,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우량화된 복수의 세트 중에서, 군관리성능치에 기준하여 최적세트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치교환에 의한 세트생성(교차)과, 신치대치에 의한 세트생성(돌연변이)이 랜덤하게 선택되어, 신규세트가 생성된다.
생성된 신규세트 중, 소정의 추가조건을 충족하는 신규세트만이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한편, 기억수단 중에서 열악세트는 삭제된다.
이와 같은 사이클이 순차 반복되면, 기억수단에는 우수한 세트만이 축적되게 되며, 여기에서 최적세트가 추출된다.
그리고 그의 최적세트를 구성하는 각 수치는 군관리알고리즘의 각 파라미터에 대입된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가장 우수한 세트 또는 그에 매우 가까운 내용을 보유한 세트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가 있다.
즉, 연산량의 저감 및 시뮬레이션 회수의 저감이 도모되므로 탐색을 빨리 할 수 있다.
(17) 이 발명에 의한 탐색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추가조건 수정수단을 포함한다.
(18) 추가조건은, 예컨대,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세트의 군관리성능치에 기준하여 결정되고, 추가조건은 탐색의 진행상황에 따라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항상 우량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19) 삭제수단은, 예컨대, 군관리성능치에 기준하여 삭제를 함으로서, 우수한 세트만을 남기고, 기억된 복수의 모체세트 전체로서의 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0) 또, 삭제수단은, 예컨대, 세트간 거리에 기준하여 삭제를 함으로서, 기억수단 내의 복수의 세트에 관하여 동일한 세트가 중복하여 존재하는 상태를 피하여, 세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21) 이 발명에 의한 탐색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초기설정수단을 보유한다.
탐색조건에 될 수 있는 대로 맞는 초기세트군을 이용하여 초기설정하면, 탐색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22) 초기 설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포함한다.
제1모드에서는 초기세트군으로서, 미리 준비된 복수의 세트가 이용되고 제2모드에서는, 초기세트군으로서, 전회의 탐색에서 우량화된 복수의 세트가 이용된다.
탐색개시시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면, 탐색의 수렴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23) 이 발명에 의한 탐색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탐색종료 판정수단을 포함한다.
이 수단은, 탐색이 진행되어 충분한 우량화가 기대되는 상태로 된 경우에는, 탐색종료를 판정한다.
탐색이 불충한 상태에서의 종료를 회피할 수 있으며, 또 불필요한 탐색을 피할 수 있다.
(24) 평가된 세트의 개수는 우량화 사이클의 실행회수에 관련되며, 그것을 종료판정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25) 추가된 세트의 개수는, 기억부내의 우량화정도를 나타내며, 이것을 종료판정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26) 성공지표는, 평가한 세트의 개수와 추가한 세트의 개수의 비이며, 탐색의 수렴성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임으로, 이것을 종료판정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27) 세트간거리는, 기억부 내의 복수세트 전체고서의 유사성을 표명하는 것임으로, 이것을 종료판정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28) 이 발명에 의한 탐색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재탐색 판정수단을 포함한다.
이 수단은 탐색개시시에 주어진 전제조건이 변화한 것에 따라서, 재탐색을 판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새로운 조건 하에서 자동적으로 최적세트를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전제조건이란, 예컨대, 엘리베이터사양, 교통흐름사양, 성능기준치/제어기준치 등을 말한다.
(29) 이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기억수단에, 또한 군관리성능치를 기억할 수도 있다.
(30) 이 발명에 있어서, 탐색장치에 탐색에 관한 목표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목표치 설정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제어목표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그의 설정목표에 맞는 최적세트를 탐색할 수 있다.
(31) 이 발명에 있어서, 시뮬레이션전용의 장치를 사용하여 신규세트의 평가를 할 경우에는, 군관리장치 외에 탐색장치를 시뮬레이션장치에 접속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장치는, 군관리장치에 포함되는 군관리알고리즘과 동일한 군알고리즘을 포함한다.
그리고, 평가수단은 시뮬레이션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 한다.
시뮬레이션장치를 이용하면 군관리를 중단하는 일없이, 신규세트의 평가를 할 수 있다.
(32) 이 발명에 있어서, 군관리장치는, 예컨대, 탐색장치(및 시뮬레이션장치)와 함께 동일빌딩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군관리장치에서 떨어져서 탐색장치(및 시뮬레이션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군관리장치와 탐색장치사이가 통신회선에 접속된다.
복수의 군관리장치에서, 1개의 탐색장치(및 시뮬레이션장치)를 공용하면, 시스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33) 이 발명에 있어서, 탐색장치에 접속된 실제 기기로서 군관리장치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장치가 불필요함으로 시스템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34) 이 발명에 있어서, 군관리장치에서 떨어져서 탐색장치를 배치하는 경우, 군관리장치와 탐색장치가 통신회선에 접속된다.
복수의 군관리장치에서 1개의 탐색장치를 공용하면, 시스템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35) 이 발명에 있어서, 시뮬레이션장치와 탐색장치를 접속하고, 군관리알고리즘의 평가 등에 이 발명을 확장 적용할 수 있다.
이 발명과 GA(Genetic Algorithm)과의 관련성-유전적 알고리즘(GA)은, 종전부터 각종의 문헌에 설명되어 있다(예컨대, 「계측과 제어」(제32권, 제1호, 1993년 1월)에 기재된 「유전적 알고리즘의 현상과 과제」 참조), 또, 기본적인 GA는, 초기화, 모체선택, 교차, 돌연변이, 세대교대의 일련의 사이클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4회 자동제어 연합강연회(1991년 11월 20일∼22일) 예고집의「확정호출에 대한 엘리베이터 군관리 엘리베이터카 할당문제의 Genetic Algorithm에 의한 해법」에는 GA를 엘리베이터 군관리에 적용시킨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종전의 시스템은, GA를 사용하여, 호출의 순열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의 최적할당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과 종전 시스템에서는 GA에 관련된 시스템인 점에서는 공통이나, 탐색하는 대상이 다르며, 또 근본적 구성 등이 상이하다.
요컨대, 이 발명은 다만 GA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최적파라미터치 세트의 탐색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파라미터치 세트의 특유의 성질에 기인하는 이 발명의 특유의 구성에 의해 명백히 되어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실시예 1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탐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3도는 제2도의 RAM 1OC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4도는 제2도의 ROM 1OB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5도는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EL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6도는 교통흐름사망 데이터(TR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7도는 군관리성능데이터(PRF)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8도는 파라미터치 세트(EP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9도는 실시예 1에 있는 제어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0도는 실시예 1에 있는 탐색지령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1도는 실시예 1에 있는 탐색주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2도는 실시예 1에 있는 탐색개시판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3도는 실시예 1에 있는 초기 설치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4도는 실시예 1에 있는 신규세트 생성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5도는 실시예 1에 있는 평가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6도는 실시예 1에 있는 추가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7도는 일 실시예 1에 있는 삭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8도는 실시예 1에 있는 추가기준 수정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9도는 실시예 1에 있는 탐색종료 판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20도는 실시예 1에 있는 최적 세트추출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21도는 실시예 2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2도는 실시예 2에 있는 R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23도는 실시예 2에 있는 주가기준치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24도는 실시예 2에 있는 탐색개시판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25도는 실시예 2에 있는 초기설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26도는 실시예 3에 있는 삭제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27도는 실시예 5에 있는 탐색종료판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28도는 실시예 6에 있는 탐색종료판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29도는 실시예 7에 있는 최적치추출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30도는 실시예 8에 있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1도는 실시예 8에 있는 탐색주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32도는 실시예 9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3도는 실시예 9에 있는 탐색주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34도는 실시예 9에 있는 출현율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35도는 실시예 10에 있는 출현율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36도는 실시예 11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7도는 실시예 11에 있는 연산주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38도는 실시예 11에 있는 신규세트생성프로그램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39도는 실시예 11에 있는 선택조건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0도는 실시예 12에 있는 선택조건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1도는 실시예 13에 있는 신규세트생성프로그램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2도는 실시예 13에 있는 선택조건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3도는 실시예 14에 있는 선택조건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4도는 실시예 14에 있는 신규세트생성프로그램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5도는 실시예 15에 있는 각 파라미터 마다의 출현율을 나타내는 도.
제46도는 실시예 16에 있는 신규세트생성프로그램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7도는 실시예 17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48도는 실시예 18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49도는 실시예 19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
제50도는 이 발명에 의한 최적세트탐색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실시예]
[기본원리]
상기한 것 같이, 군관리알고리즘은, 복수종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군관리하기 위해서는, 교통상황에 따라서 최적인 파라미터치의 조합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장치가 최적세트 탐색장치이며, 제50도에는, 이 발명에 의한 탐색장치의 기본원리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치의 조합(수열)을 파라미터치 세트 또는 간단히 세트로 칭한다.
제50도에서와 같이, 최적세트는 신규세트의 생성과 우량한 세트의 선별과를 반복함으로서 탐색된다.
이하, 그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기억부(A2)에 대해서, 초기 설명이 이루어진다(A1).
예컨대, 미리 준비된 복수의 초기세트가 기억부에 기억된다(A2).
다음, 신규세트의 생성이 실행된다(A4).
여기서, 신규세트는, 수치교환(교차) 또는 신치대치(돌연변이) 중에서 생성방법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생성된다.
교차가 선택되는 경우, 기억부(A2)에서 2개의 세트(모체세트쌍)가 꺼내지고, 그의 2개의 세트사이에서, 일부의 파라미터치가 서로 교환되어, 2개의 신규세트가 생성된다.
돌연변이가 선택되는 경우, 기억부(A2)에서 1개의 세트(모체세트)가 꺼내지고, 그의 세트 중의 일부의 파라미터치가, 랜덤하게 발생된 새로운 수치로 대치되어, 1개의 신규세트가 생성된다.
또한, 생성방법의 선택, 모체세트의 선택, 수치의 교환을 하는 파라미터의 선택은, 근본적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진다.
또, 각각 선택조건을 정할 수도 있고, 또 각 선택요소에 대해서 선택확률의 가중치부여를 할 수도 있다.
생성된 신규세트(A5)에 대해서는, 다음에 평가가 이루어진다(A6).
즉, 신규세트가 대입된 군관리알고리즘이 가상적으로 또는 실제로 실행되고, 그의 실행결과가 구해진다.
그 실행결과는, 신규세트의 성능을 나타내는 군관리성능치로서 구해지고,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보유한 신규세트가 기억부(A2)에 기억된다(A8). 또한, 열악한 세트는 기억되지 않고, 버려지며(A9), 또는 기억 후에 삭제된다(A1O).
이와 같이 우량세트의 선별에 의해(A7), 기억부(A2) 내에는, 항상 우수한 세트만을 축적하게 된다.
이상의 우량화 사이클이 순차 반복되면, 기억부(A2)에 축적된 복수의 세트(A3)는, 점차로 엄선되고, 보다 우량화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기억된 복수의 세트(A3) 중에서, 1개의 가장 우수한 세트가 최적세트로 추출되며(A11), 그의 최적세트가 군관리알고리즘에 공급되어, 군관리가 이루어진다.
이상의 최적세트 탐색방법에 의하면, 모체세트의 좋은 성질을 계승한 자세트는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우수한 모체세트에서 우수한 자세트를 생성하는 확률을 높이고, 탐색을 조속히 할 수가 있다.
여기서, 교차와 돌연변이의 한쪽만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한 것은, 양자를 랜덤하게 선택되도록 하여, 축적된 복수의 세트에 대해서, 수렴성 및 다양성의 양자가 적절히 만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1]
[구성의 설명]
제1도∼제2모드는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1도에는 시스템의 전체구성이 표시되고, 그의 시스템은 공지의 군관리장치(1)와, 공지의 시뮬레이션장치(2)와, 탐색장치(10)와를 포함한다.
군관리장치(1)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그의 예에 있어서는 10층의 사무실 빌딩에 설치된 4대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군관리장치(1)는, 복수종류의 제어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군관리알고리즘(제9도 참조)을 보유하고 있다.
군관리장치(1)에는, 통신케이블을 통하여, 4대의 엘리베이터카 제어장치(1A∼1D)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카 제어장치(1A∼1D)는 각각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담당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여러가지 제어를 하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카 제어장치(1A∼1D)는, 엘리베이터카 호출의 등록기능, 운행제어기능, 도어 제어기능, 교시제어기능 등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카 등록기능은, 호출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기억부에 등록하는 기능이다.
운행제어기능은, 응답되어야 할 호출(엘리베이터카 호출,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엘리베이터를 응답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주행, 정지, 운행방향의 결정 등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도어 제어기능은, 엘리베이터 도어 및 승강장측 도어에 대해서 개폐시기 및 도어개방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표시제어장치는, 승강장의 대기승객에 대해서, 홀 램프를 점등시켜, 할당된 엘리베이터블 미리 통지하던가, 엘리베이터의 도착을 홀 램프의 점멸로 통지하는 기능이다.
엘리베이터카 제어장치(1A∼1D)는, 운행상태(엘리베이터카 위치, 운행방향, 도어개폐상태, 엘리베이터카 호출 등)를 표시하는 신호를 군관리장치(1)로 송신한다.
한편, 군관리장치(1)는, 각종지령(승강장호출의 할당지령, 만원통과기준치 DB, 도어개방시간의 설정치 등)을 표시하는 신호를 엘리베이터카 제어장치(1A∼1D)에 송신한다.
군관리장치(1)는, 최적세트를 탐색할 때의 조건을 표시하는 탐색조건신호(1a)를 탐색장치(10)에 출력한다.
이 탐색조건신호(1a)는, 군관리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컴퓨터 상에서 모의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와, 빌딩 내의 교통흐름을 컴퓨터 상에서 모의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교통흐름 사양데이터와 최적세트의 탐색을 지령하는 탐색지령데이터와를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는, 예컨대, 엘리베이터의 대수, 속도, 정원, 정지층, 도어형태 및 전력절약운전이나 출근시 운전 등의 부가동작의 유무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로 구성된다.
교통흐름 사양데이터는, 예컨대, 빌eld 내 교통흐름을 간접적으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1시간당의 승객수와 층간교통흐름비율 등의 특성치를 조합한 데이터와, 층별·방향별의 단위시간당의 전체 승객수 등의 특성치를 조합한 데이터로 구성되며, 한편, 빌딩 내 교통흐름을 직접적으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모든 승객에 대찬 승객데이터(발생시각, 발생층, 목적층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시뮬레이션장치(2)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군관리장치(1)와 동일한 군관리알고리즘을 보유하고 있다.
시뮬레이션장치(2)에는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교통흐름사양데이터 및 파라미터치 세트로 구성된 시뮬레이션조건신호(13a)가 입력되어 있다.
이 신호(13a)에 의해, 시뮬레이션장치(2)는 군관리알고리즘 하에서, 실제와 동일한 조건에서 가상적으로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운전시킨다.
그리고, 실행 후에, 군관리의 성능을 표시하는 통계결과(평균대기시간, 장시간대기율 등)를 표시하는 군관리성능데이터를 군관리성능치신호(2a)로서 출력한다.
탐색장치(10)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최적세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탐색장치(10)에서, 기억부(11)는, 파라미터치 세트를 복수기억하는 것이며, 또, 각 새트에 대응하여 상기의 군관리성능데이터도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11)에서의 출력신호(11a)는, 파라미터치 세트의 데이터와 군관리데이터와로 구성되어 있다.
생성부(12)는, 상기한 교차 및 돌연변이에 의하여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신규세트는, 다음 설명하는 평가부(13)에 의해 평가되기까지, 그의 생성부(12)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또, 생성부(12)에서 신규세트신호(12a)가 출력된다.
평가부(13)는, 탐색조건신호(1a)와, 신규세트신호(12a)와에 기준하여, 시뮬레이션조건신호(13a)를 작성하여, 그것을 시뮬레이션장치(2)에 출력한다.
또, 평가부(13)는, 군관리시뮬레이션 실행 후에, 시뮬레이션장치(2)에서 출력되는 군관리성능신호(2a)에 기준하여, 평가결과신호(13a)를 작성하고, 그것을 추가부(15)에 출력한다.
추가기준치메모리(14)는 이상과 같이 평가한 신규세트를 기억부(11)에 추가 등록하든가 또는 버리든가를 판정하기 위한 추가기준치를 기억하는 것이다.
그의 추가기준치메모리(14)에서, 추가기준치신호(14a)가 출력되고 있다.
추가부(15)는, 평가결과신호(13b)에 포함되는 군관리성능데이터에서 추가등록 판정용의 성능평가치를 작성하고, 이것과 추가기준치와를 비교한다.
성능평가차가 추가기준치보다 좋을 경우, 신규세트 및 그의 군관리성능치를 포함하는 신호(15a)가 작성되고, 기억부(11)로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기억부(11)에는 우수한 신규세트가 추가 등록된다.
삭제부(16)는, 세트등록상황에 관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군관리데이터에 기준하여, 각 세트마다 삭제판정용의 성능평가치를 구한다.
그리고, 삭제부(16)는 성능평가치가 나쁜 세트를 선택하여, 그의 세트번호를 표시하는 삭제지령신호(16a)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기억부(11) 중에서, 지정된 세트의 등록이 말소된다.
종료판정부(17)는, 탐색을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탐색종료의 판정을 한 경우에는, 탐색종료신호(17a)를 생성부(12)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신규세트의 생성이 종료된다.
추가기준치수정부(18)는, 수정신호(18a)에 의해, 추가기준치 메모리(14) 내에 기억된 추가기준치를 수정한다.
이의 수정정도는, 기억부(11)내의 각 세트의 군관리성능데이터에 기준하여 정해진다.
재탐색판정부(19)는, 탐색지령신호(1a)를 감시하고, 엘리베이터 사양이나 교통 흐름사양이 변화한 경우에, 최적세트의 탐색을 재차 실행시키기 위만 재탐색지령신호(19a)를 출력한다.
이 신호(19a)가 출력되면, 탐색종료신호(17a)에 의한 탐색종료지령은 무효로 되고, 재자 최초부터 탐색이 개시되며, 또, 탐색 도중에도 재차 최초부터 탐색이 개시된다.
추출부(20)는, 기억부(11) 내의 각 세트의 군관리성능데이터에 기준하여, 최적세트 판정용의 선응평가치를 구하고, 그것이 최량으로 되는 세트를 1개 추출한다.
즉, 최적세트의 추출을 한다.
또, 추출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20a)는, 최적세트와,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와, 교통흐름사양데이터와, 탐색상태 데이터로 구성된다.
초기설정부(21)는, 복수의 초기세트군을 포함하고, 탐색개시시에, 탐색조건신호(1a) 또는 재탐색지령신호(19a)에 따라서, 미리 기억된 복수의 초기세트군 중에서, 초기설정에 사용되는 적절한 세트군을 특정하고, 기억부(11)에 출력한다.
제2도에는, 제1도에 표시된 탐색장치(10)의 하드웨어구성이 나타나있다.
제2도에 있어서, 그의 탐색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A)와, 판독전용메모리(ROM)(1OB)와, 판독기록 가능한 메모리(RAM)(1OC)와, 입력인터페이스회로(10D)와, 출력인터페이스(10E)로 구성된다.
여기서, ROM(10B)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A)의 동작수순을 기술한 탐색프로그램과 고정데이터를 기억한 것이다.
또, RAM(1OC)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0A)에 의한 연산결과(연산데이터)와, 외부에서 입력된 탐색조건신호(1a) 및 군관리성능치신호(2a)의 내용(입력데이터)과, 외부에 출력하는 시뮬레이션조건신호(13a) 및 최적세트신호(20a)의 내용(출력데이터)과를 기억하는 것이다.
제3도에는, 제2도의 RAM(1OC)의 기억내용이 표시되고 있으며, 또, 제4도에는, ROM(1OB)의 기억내용 중 고정데이터 부분이 표시되고 있다.
제3도에 있어서, ELS는 엘리베이터의 사양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TRS는 교통흐름의 사양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SCM은 탐색지령을 나타낸 데이터이다.
이들의 입력데이터는, 제1도에 표시된 탐색조건신호(1a)에 포함되어 있다.
제5도에는,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의 구체적 구성이 표시되어 있다. 제5도에 표시된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대수는 4대, 속도는 120m/분, 정원은 20인, 정지층은 최하층이 1층이고 최상층이 10층의 10정지, 도어폭은 1000mm로 설정되어 있다.
우선 할당동작 중에서, [2] 승차시간우선할당기능, [3] 전력절약할당기능, [4] 근접 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 및, [5] 경부하 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은, 어느 것이나 유효로 설정되며, [6] 특정 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은 무효로 설정되고, 각종의 운전패턴 중에서, [11], [14] 출근시간운전, [12], [15] 업·피크운전, [13], [16] 다운·피크운전 및 [17] 분산대기운전은 어느 것이나 유효로 설정되고, 기타의 부가운동동작인 [18] 전력절약운전도 유효로 설정되어 있다(도시되어있지 않으나, [8] 장시간 대기호출에 대한 할당변경동작, [9] 만원자동통과기능 및 [10] 만원통과된 승강장호출에 대한 할당변경동작은, 기본적으로, 항상 유효로 된다.).
제6도에는,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의 구체적 구성이 표시되고 있다.
제6도에 표시된 예는, 업무시간(14:00∼15:00)의 시간대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군관리장치(1)를 사용하여 미리 교통흐름을 실측한 경과에 기준하여, 1시간당의 전승객수는 500명, 전체의 교통량에 대한 1층과 지상층(2∼10층)간의 교통량비율(=현관층교통비율)은 80%, 전체의 교통량에 대한 올라가는 방향의 교통량의 비율(=올라가는 교통비율)은 50%, 내려가는 방향의 교통량의 비율(=내려가는 교통비율)은 50%로 설정되어 있다.
제3도 좌상에 있는, PRF는, 개개의 세트의 우수성을 나타내는 군관리성능을 표시하는 데이터로, 제1도의 군관리성능신호(2a)에 상당한다.
제7도에는, 군관리성능데이터 PRF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군관리성능데이터 PRF는, 평균대기시간 AWT, 긴 대기율 RLW, 최대대기시간 MWT, 예보오차율 RPE, 예보변경율 RPC, 만원통과발생율 RBP, 평균승차시간 ABT, 최대승차시간 MBT, 소치전력량 PWC, 근접엘리베이터 응답율 RNR(승강장의 버튼을 조작했을 때, 그의 버튼 근처에 위치한 엘리베이터가 응답하는 비율). 경부하 엘리베이터응답율 PLR(승강장호출을 등록했을 때, 경부하 엘리베이터가 할당되는 비율) 및 특정 엘리베이터응답율 RSR(승강장호출을 등록했을 때, 특정 엘리베이터가 할당되는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로 돌아가, 제3도 우상에 있는 P는, 기억부(11)에 등록된 세트(우량세트로 부를 수 있음)의 개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EPS(1)∼EPS(Pmax)는 세트번호 1에서 Pmax까지의 세트를 나타내는 데이터, PRE(1)∼PRE(Pmax)는 EPS(1)∼EPS(Pmax)에 대응하는 군관리성능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여기서, 세트수 p, 세트데이터 EPS(1)∼EPS(Pmax) 및 군관리성능데이더PRE(1)∼PRE(Pmax)는, 제1도의 신호(1a)에 상당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Pmax는 등록 가능한 세트수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제8도에는, 1예로서, 파라미터치 세트의 구체적 구성이 나타나 있다. 제8도에서, 그의 세트는, 25종류의 제어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3도에 표시된 각 세트데이터 EPS(1)∼EPS(Pmax)는 제8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도의 군관리성능데이터 PRF(1)∼PRF(Fmax)는, 제3도의 군관리성능데이터 PRF(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제7도 참조)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3도 우측중단에 있는, Pn은 생성된 신규세트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NPS(1)∼NPS(Nmax)는, 세트번호 1∼Nmax의 신규세트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신규세트 수 Pn 및 신규세트 NPS(1)∼NPS(Nmax)는 제1도의 신호(12a)에 상당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Nmax는 생성 가능한 신규세트수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제3도 우상에 있는, SIM은, 제1 의 시뮬레이션 조건신호(13a)에 상당하는 출력데이터로, 평가용 세트데이터 NPSX,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X, 및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X로 구성된다.
평가용 세트데이터 NPSX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군관리성능을 평가할 신규세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제8도의 EPS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 ELSX 및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X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때의 엘리베이터사양, 및 교통흐름사양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각각 제5도의 ELS 및 제6도의 TRS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3도 좌상에 있는 RES는, 제1도의 평가결과신호(13b)에 상당하는 데이터로, 평가회수 NE, 평가용세트 NPSY 및 군관리성능데이터 PRFY로 구성되었다. 평가회수 NE는 평가의 누적회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 평가용세트 NPSY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군관리성능을 평가한 후의 신규세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제8도의 EPS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군관리성능데이터 PRFY는, 시뮬레이션에 의한 군관리성능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제7도의 PRF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BX는 평가한 신규세트를 추가 등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추가기준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제1도의 추가기준치 신호(14a)에 상당하는 데이터이다.
RAP는, 제1도의 추가등록신호(15a)에 상당하는 데이터로, 추가 등록회수NR, 평가용 세트 NPSZ, 및 군관리성능데이터 PRFZ로 구성된다.
추가등록회수 NR은 추가등록을 판정한 회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그의 평가용 세트 UPSZ는, 기억부(11)에 등록하는 우수한 신규세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제8도의 EPS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 군관리성능데이터 PRFZ는, 평가용 세트 NPSZ를 사용하여 군관리시뮬레이션을 할 때의 군관리성능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제7도의 PRF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3도 좌측중단의 RP는, 등록된 P개의 세트 EPS(1)∼EPS(P)에 관한 열악세트로서, 등록을 삭제하여야 할 세트의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제1도의 삭제지령신호(16a)에 상당하는 데이터이다.
FLAG는, 최적세트 탐색을 계속하는가, 또는 탐색을 종료하는 가를 지시하는 데이터(탐색허가 플래그)로, 제1도의 탐색종료신호(17a)에 상당하는 데이터이다.
CBX는, 추가기준치 BX를 새로 수정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로, 제1도의 수정신호(18a)에 상당하는 데이터이다.
STR은, 최적세트 탐색의 재탐색을 지시하는 데이터로, 제1도의 재탐색지령신호(19a)에 상당하는 데이터이다.
BPD는, 제1도의 최적세트신호(20a)에 상당하는 출력데이터로, 최적세트BPS,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Y,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Y 및 탐색상태데이터 SS로 구성된다.
최적세트 BPS는 등록된 세트 중에서, 가장 좋은 성능평가치를 갖는 세트이며, 제8도의 EPS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 ELSY, 교통흐름 사양데이터 TRSY는, 최적세트 BPS를 사용하여 군관리시뮬레이션을 실시했을 때의 엘리베이터사양 및 교통흐름사양을 표시하는 데이터고, 각각 제5도의 ELS 및 제6도의 TRS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탐색상태데이터 SS는, 최적세트 BPS를 선택했을 때의 탐색상황을 표시하는 데이터로, 이 실시예에서는, 평가회수 NE를 표시하는 치가 설정되어 있다.
제3도 좌측하단의 GPS0는, 제1도의 초기설정신호(21a)에 상당하는 데이터로, 초기 세트수 Pk, 복수의 초기 세트 IPS(1)∼IPS(Pk) 및 복수의 군관리성능데이터 PRI(1)∼PRI(Pk)로 구성된다.
초기 세트수 Pk는, 탐색개시시의 세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통상 삭제의 종료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치 Pe와 동일한 치가 설정된다.
또 복수의 초기세트 IPS(1)∼IPS(Pk)는, 탐색개시시에 세트군으로서 미리 준비하여 놓은 것으로, 제8도의 EPS와 동일한 구성이다.
군관리성능데이터 PRI(1)∼PRI(Pk)는 초기세트 IPS(1)∼IPS(Pk)를 사용하여 군관리 시뮬레이션을 실시했을 때의 군관기성능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제7도의 PRF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3도 우측의 VPD(1)∼VPD(Pmax)는, 삭제 판정용의 성능평가치이며, VPE(1)∼VPE(Pmax)는, 추가기준치 BX를 수정할 때에 사용하는 추가기준치 설정용의 성능평가치, VPS(1)∼VPS(Pmax)는, 최적세트 BPS를 선택할 때에 사용하는 최적세트 판정용의 성능평가치, 제3도 좌측하단의 VPN은 평가용세트 NPSY를 추가 등록하는가 여부를 판정할 때에 사용하는 추가판정용의 성능평가치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군관리성능데이터 중에서 빼낸 평균대기시간 AWT가, 각각의 성능치에 그대로 대입되어 있다.
NP는 신규세트 NPS(1)∼NPS(Nmax) 중에서, 군관리성능을 평가할 세트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WVPE는 성능평가치 중에서의 최악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BVPE는 성능평가치 중에서 최량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RC는 최악치 WVPE와 최량치 BVPE를 탐색할 때에 사용하는 세트번호를 카운트하는 검색용 카운터, BP는 최량치 BVPE를 보유하는 등록세트의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PS1는 신규세트생성을 위한 모체세트의 번호를 나타내는 제1모체세트번호, PS2는 그것과 동일한 제2모체세트번호, PX는 교차나 돌연변이의 대상으로 되는 파라미터의 번호(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CR은 교차의 선택확률(출현율)을 나타내는 데이터, MR은 돌연변이의 선택확률(출현율)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제4도에 있어서, Pmax는 등록 가능한 세트수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Nmax는 생성 가능한 신규세트수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그의 실시예 1에서는, 각각 Pmax=50개, Nmax=20개로 설정되어 있다.
NEa는, 최적세트의 탐색이 수렴되었는가 여부를 탐색회수 NE로 판단할 때에 사용하는 탐색종료판단치이다.
이 실시예 1에서는, NEa가 1,000회로 설정되어 있다.
또, PS는 열악세트를 삭제하는가 여부를 세트등록수 P로 판단할 때에 사용하는 삭제개시판정치, Pe는 열악세트의 삭제처리를 종료하는가 여부를 판단할 때에 사용하는 삭제종료판정치로, 그의 실시예 1에서는, 각각 Ps=50개, Pe=30개에 설정되어 있다.
AVPE는, 추가기준치 CBX를 설정할 때에, 성능평가치의 최악치 WVPE에 가산되는 보정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최악치 WVPE에 대해서, 보정치 AVPE를 가산한 치로 하여, 추가기준치가 수정된다.
그의 보정치로서는, 일반적으로 0초 이상의 치가 설정되며, 이 실시예 1에서는, AVPE=1초로 설정되어 있다.
GPS1-GPS4는, 평상시 운전(업무시간), 출근시운전, 업·피크운전, 및 다운피크시운전에 대응하는 초기설정용 세트군이다.
각각의 초기설정용 세트군 GPS1∼GPS4는, 제3도의 초기설정용 세트군 GPS0과 동일한 구성이다.
[동작의 설명]
이 실시예 1 의 동작을 제9도∼제2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9도에는, 군관리장치(1)가 보유한 제어프로그램의 주요구성이 표시되어 있다.
이 제어프로그램은 군관리알고리즘을 포함하고, 군관리장치(1)는, 그의 제어프로그램에 기준하여 제어를 한다.
또, 군관리알고리즘 자체는 공지되어 있다.
제9도에서, 스텝 221에서는 승강장호출 등록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승객에 의해 승강장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승강장호출이 메모리에 등록된다.
또, 어느 엘리베이터가 그의 호출에 대처하면, 호출의 등록은 소거된다.
스텝 222에서는, 할당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 식의 할당평가함수가 사용되고 각 엘리베이터마다에 할당 평가치가 연산된다.
그리고, 그의 평가치가 최소가 되는 엘리베이터가 호출에 대해서 할당된다.
또, 이 스텝에서는, 상기 평가함수에 의한 기본적인 할당연산 이외에, [2] 승차시간우선할당기능, [3] 전력절약할당기능, [4] 근접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 [5] 경부하 엘리베이터우선할당기능, 및 [6] 특정 엘리베이터 우선할당기능에 기준한 처리도 포함된다.
스텝 223에서는, 할당변경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하여 할당된 승강장호출의 서비스가 악화된 것이 검출되고, 이것을 구원하기 위한 할당이 시행된다.
또, 이 스텝에서는, [8] 긴 시간 대기호출에 대한 할당 변경동작과 [10] 만원통과된 승강장호출에 대한 할당변경동작에 기준한 처리도 포함된다.
스텝 224에서는, 출근시 운전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11] 출근시운전의 선택·해소조건에 따라 그의 운전모드의 선택·해소가 시행되는 동시에, 출근시 운전이 선택된 경우에는 [14] 출근시운전동작에 따라 운전제어가 시행된다.
스텝 225에서는, 업·피크운전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12] 업·피크운전의 선택·해소조건에 따라 그의 운전모드의 선택·해소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업·피크운전이 선택된 경우에는, [15] 업·피크운전동작에 따라 운전제어가 이루어진다.
스텝 226에서는, 다운·피크운전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13] 다운·피크운전의 선택·해소조건에 따라 그의 운전모드의 선택·해소가 시행되는 동시에, 다운·피크가 선택된 경우에는 [16] 다운피크운전동작에 따른 운전제어가 이루어진다.
스텝 227에서는, 분산대기운전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구제적으로는, 출근시운전, 업·피크운전 및 다운·피크운전 중 어느 것도 선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분산대기운전이 선택된다.
분산대기운전이 선택된 경우에는, [17 분산대기운전에 따라 운전제어가 이루어진다.
스텝 228에서는 전력절약운전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서비스상황을 고려하면서 전력절약을 도모하기 위하여,[18] 전력절약운전에 따라 운전대수를 증감하면서 운전제어가 이루어진다.
최후의 스텝 229는, 출력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군관리장치(1)에 접속된 4대의 엘리베이터카 제어장치(1A∼1D)로, [9] 만원자동통과기능에서 필요로 하는 만원통과기준치 DB가 송출된다.
또, 각 엘리베이터카 제어장치(1A∼1D)는, 엘리베이터카의 부하와 만원통과기준치 DB에 기준하여, 만원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만원이면, 호출발생층을 자동적으로 통과시킨다.
여기서, 그의 만원통과기준치 DB는 군관리성능에 주는 영향이 크므로, 탐색대상으로서의 제어파라미터로서 취급하고 있다.
또한, 군관리프고그램전체(제9도의 제어프로그램과 다음에 표시되는 제10도의 탐색지령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주기적(예컨대, 100ms마다)으로 반복되어 실행된다.
제10도에는, 군관리장치(1)가 보유한 탐색지령프로그램이 나타내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탐색장치(10)로 탐색지령을 내는 프로그램이다.
제10도에서, 스텝 231은 어느 교통흐름에 대해서 이미 최적세트가 구하여진 경우에 실행되는 것이며, 탐색장치(10)에서 최적세트신호(20a)를 도입하여, 군관리장치(1)의 메모리에, 그의 교통흐름 TRS에 대응한 최적세트 BPS를 기억한다.
이 경우, 최적세트신호(20a)에 포함하고 있는 탐색상태데이터 SS도 기억된다.
스텝 232 및 233에서는, 탐색상태데이터 SS에 의해 탐색의 진행정도를 판정한다.
만일 탐색상태데이터 SS가 NEa(=1,000)에 일치하면, 탐색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스텝 234에서, 다음에 최적세트를 탐색하여야 할 교통흐름을 특정하고, 그의 교통흐름의 사양데이터 TRS와, 엘리베이터사향데이터 ELS와, 1에 설정한 탐색지령데이터 SCM로 구성되는 탐색조건신호(1a)를 신규로 작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스텝 233에서, 탐색상태데이터 SS가 1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탐색이 이미 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므로, 스텝 235에서, 탐색조건신호(1a) 중의 탐색지령데이터 SCM의 치를 0으로 바꾸어, 새롭게 탐색조건신호(1a)를 출력한다.
각 교통흐름마다 최적세트를 탐색하기 위하여, 평상시 운전(업무시간) 출근시운전, 업·피크운전 및 다운·피크운전에 대응하는 4종류의 교통흐름이 순번으로 선택된다.
스텝 234에서는, 군관리장치(1)의 실측결과에 기준하여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를 작성했으나, 예컨대, 군관리장치(1)에 주지의 교통실측장치를 접속하고, 거기에서 수집한 교통상태데이터(승가자수 및 호출수 등)를 집계하여, 그 데이터를 군관리장치(1)에 입력하고, 그것에 기준하여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를 작성하여도 좋다.
또, 탐색장치(10)에 있어서, 탐색도중에도 최적세트가 수시 출력되는 모드가 채용되어 있는 경우, 스텝 231에서 기억한 탐색상태데이터 S에 따라서, 현재까지 얻은 최적세트가 어느 정도 신뢰되는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예컨대, 탐색상태데이터 SS가 탐색의 초기단계를 표시하고 있으면, 실제로 사용되는 세트로서, 탐색장치(10)에서 입력된 세트를 사용하지 않고, 과거에 사용한 실적의 어느 세트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시스템의 군관리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탐색상태데이터 SS가 탐색의 중반이나 종반단계를 표시하고 있으면, 탐색장치(10)에서 출력되는 최적세트는,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그 세트를 사용하여, 탐색이 완전히 종료하기 전부터, 군관리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11도에는, 탐색장치(10)에 기억된 탐색프로그램(주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ROM(1OB)에 기억되고 있다.
제11도에 있어서, 스텝 25에서는, 제1도의 재탐색부(19)의 기능을 보유한 재탐색판정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스텝 26에서는, 탈색개시판정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최적세트의 탐색을 재개하는 시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2도를 사용하며, 그의 재탐색판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탐색장치(10)는, 스텝 261에서는, 탐색조건신호(1a)를 군관리장치(1)에서 입력하고,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 및 탐색지령 데이터 SCM을 RAM(10C)에 기억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262에서, 탐색지령데이터 SCM이 0에 1로 변화한 것을 검출하고, 그것이 검출된 경우, 스텝 265에서 탐색개시플래그 SFR을 1로 설정한다.
한편, 탐색지령데이터 SCM이 0에서 1로 변화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검출스텝 263에서,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이 여기까지 탐색하여 온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SSX와 상이한가 아닌가를 판단하며, 또, 스텝 264에서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가 여기까지 탐색해온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X와 상이한가 아닌가 판단한다.
ELS와 ELSX와가 상이할 경우, 또는 TRS와 TRSX가 상이할 경우에는, 스텝 265에서 탐색개시 플래그 STR이 1에 설정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266에서 탐색개시플래그 STR이 0에 설정된다.
스텝 263~265에서 재탐색을 판단한 것은, 탐색의 전제조건이 이전과 비하여, 변화하며, 현재 등록되어 있는 최적세트가 더 이상 최적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다시 최적세트를 검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임차인이 교체되어 빌딩 내의 교통흐름이 변화한 경우나, 기능 향상을 위하여 군관리알고리즘의 일부를 변경한 경우에는, 재탐색을 실행하게 된다.
제11도에 돌아가, 스텝 27에서는, 스텝 26의 처리결과에 기준하여, 초기 설정을 다시 시행할 필요가 있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STR=0은, 탐색도중임을 의미한다.
한편, STR≠0은, 탐색을 도중에서 중단하고 최초부터 탐색을 다시 하던가, 또는, 탐색을 종료한 후에서의 재탐색개시를 의미한다.
따라서, STR=0일 때에는, 그대로 생성프로그램(29)으로 진행되나, STR≠0인 경우에는, 스텝 28의 초기 설정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데이터의 초기설정을 한 후에, 생성프로그램(29)으로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13도를 사용하여, 초기 설정프로그램(28)에 의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3도에 있어서, 스텝 281에서는, 미리 기억된 복수종류의 초기 데이터군에서, 지정된 교통흐름에 적합한 초기데이터군이 선택된다.
여기서, 각 초기데이터군은, 초기 세트수(Pk)와, Pk개의 초기세트와, Pk개의 군관리성능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에 의해, 평상시간대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초기 데이터군(GPS1∼GPS4) 중에서, 평상시운전에 적합한 초기데이티군이 선택되고. 그 초기데이터군이, 제3도의 초기설정용 데이터군 GPSO으로서 등록된다.
여기서, 제3도의 초기설정용 데이터군 GPSO은 초기 세트수(Pk)와, 복수의 초기세트 IPS(1)∼IPS(Pk)와 군관리성능데이터 PRl(1)∼PRI(Pk)로 구성된다.
초기세트수(Pk)에는 삭제 종fy판정치(Pe)와 동일한 치(=30개)가 설정된다.
그 다음 스텝 282에서는, 초기세트수(Pk)가 세트수(P)에, 초기세트 IPS(1)∼IPS(Pk)가 등록세트 IPS(1)∼EPS(P)에, 군관리성능 데이터 PRI(1)∼PRI(Pk)가 군관리성능데이터 PRE(1)∼PRE(P)에, 각각 대입된다.
즉, 제50도에 표시된 것 같이, 기억부(A2)에 초기설정(A1)이 실행된다.
그리고, 스텝 283에서는, 평가회수 NR를 0으로, 추가등록회수 NR이 0으로, 평가대상 세트번호 NP가 0으로, 탐색허가 플래그 FLAG가 1로, 교차확률 CR이 1.0으로, 돌연변이확률 MR이 0.01로, 각각 초기 설정되어, 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제11도로 돌아가, 스텝 29에서는, 제1도의 생성부(12)에 상당하는 생성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먼저, 스텝 30에서, 탐색을 계속할 것인가 여부를 판단된다.
여기서, 탐색허가 플래그 FLAG가 0이면, 스텝 26의 탐색개시판정프로그램으로 돌아가며, 한편, 탐색허가 플래그 FLAG가 1이면, 스텝 31의 신규세트생성프로그램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제14도를 사용하여, 신규세트생성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4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 311에서는, 평가가 아직 되어 있지 않은 신규세트가 남아있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평가대상세트번호 NP가 최대치 Nmax 미만이면, 평가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의 신규세트가 있으므로, 그 신규세트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 프로그램(31)을 즉시 정지한다.
한편, 평가대상 세트번호 NP가 최대치 Nmax 이상 즉, 모든 신규세트에 대해서 평가를 완료했을 때에는, 스텝 312로 진행하고, 여기서 생성종료세트수(Pn)를 0에 초기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 313h에서는, P개의 등록세트 EPS(1)∼EPS(P)에 대한 군관리성능데이터 PRE(1)∼PRE(P) 중에서, 각각 평균대기시간 AWT(1)∼AWT(P)를 꺼내서, 이것들의 최적치판정용의 성능평가치 VPS(1)∼VPS(P)에 대입한다.
또, 이들의 성능평가치 VPS(1)∼VPS(P)의 역수에 기준하여, 각 세트가 모체세트로서 선택되는 확률(출현율)이 설정된다.
그리고, 다음에 설명하는 스텝 314∼324의 처리를 반복하여 최대치 Nmax까지의 신규세트를 생성한다.
먼저, 스텝 314에서는, 생성완료세트수(Pn)를 1만큼 증가시킨다.
다음의 스텝 315에서는 0에서 [CR+MR](교차율과 돌연변이의 합)까지의 사이의 치를 갖는 난수(random number)를 발생시켜, 그의 난수의 치가 CR(=1.0) 미만의 치이면 교차, CR(=1.0) 이상의 치이면 돌연변이라고 하는 것과 같이, 랜덤하게 생성방법을 선택한다.
단, 교차율(교차가 선택되는 확률) CR과, 돌연변이율(돌연변이가 선택되는 확률) MR의 비를 소정의 기준에 의해 수정할 수도 있다.
스텝 316에서 교차가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317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먼저, 각 세트마다, 가중치로서 그의 성능평가치 VPS의 역수의 치를 부여 한다.
그의 가중치의 크기는, 자기가 선택되는 확률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0을 하한으로 하고, 성능평가치 VPS(1)∼VPS(P)의 각 역수를 합계한 치를 상한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난수를 2개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된 난수의 치에 의해, 2개의 세트를 선택한다.
여기서, 2개의 모체세트(교자세트쌍)는, PS1번째의 세트 EPS(PS1)과 PS2번째의 세트 EPS(PS2)라고 한다.
다음의 스텝 318에서, 0에서 25까지의 사이의 치를 갖는 난수를 1개 발생시켜, 그의 난수의 치로 특정되는 파라미터번호 Px를 선택한다.
그의 파라미터번호는 2개의 모체세트에서 공통인 번호이며, 수치교환이 시행되는 파라미터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스텝 319에서, 모체세트 EPS(PS1)에서의 Px번째의 수치와, 모체세트 EPS(PU2)에서의 Px번째의 수치를 서로 교환한다.
이에 따라, 2개의 신구세트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2개의 세트를 [Pn]번째의 신규세트 NPS(Pn)와 [Pn+1]번째의 신규세트 NPS(Pn+1)로서 설정한다.
최후로, 스텝 320에서 생성완료의 신규세트의 개수 Pn의 치를 1만큼 증가시킨다.
한편, 스텝 316에서 돌연변이로 판정했을 때는, 스텝 321로 진행하고, 여기서, 먼저, 각 세트마다, 가중치로서, 그의 성능평가치 VPS의 역수의 치를 부여한다.
그의 가중치의 크기는, 자기가 선택되는 확률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0을 하한으로 하고, 성능평가치 VPS(1)∼VPS(P)의 각 역수를 합계한 치를 상한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난수를 1개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한 난수의 치에 의해, 1개의 세트를 선택한다.
또, 스텝 322에서는, 스텝 318과 동일하게 난수를 발생시켜, 돌연변이의 대상으로 되는 파라미터번호 Px를 선택한다.
스텝 323에서는, 번호 Px로 특정되는 파라미터가 취할 수 있는 [최소치]와 [최대치] 간에 있어서, 난수를 1개 발생시킨다.
PS1번째의 우량세트 EPS(PS1)의 Px번째의 수치를, 난수의 치로 대치한다.
이것에 의해 생성된 세트를 Pn번째의 신규세트 Nps(Pn)로서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 324에서는, 필요한 수만큼 신규세트가 생성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는 교차에 의해 한번에 2개의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것을 고려하여,Pn+2Nmax 때에 신규세트생성을 종료한다.
여기까지는, 스텝 314∼324의 처리를 반복하여 최대 Nmax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한다.
신규세트의 생성이 종료되면, 스텝 325에서, 최초에 평가할 신규세트의 세트번호, 즉 평가대상 세트번호 NP가 1에 초기 설정된다.
교차는, 해답의 수렴성을 갖는 탐색방법이며, 한편, 돌연변이는 해답의 다양성을 갖는 탐색방법이다.
즉, 교차만에 의하면, 탐색의 지향이 국소적으로 되고, 최적해를 잊어버리는 가능성이 높아지나, 돌연변이를 적의 병용함으로서, 국소적 탐색으로부터 탈출을 도모할 수가 있다.
그 의미에서는, 양자가 상보적 관계에 있다.
그러나, 역으로 돌연변이에 의해 어렵게 탐색한 최적해를 파괴해버릴 위험성도 있다.
그 의미에서는 양자는 경합관계에 있다.
따라서, 상보관계를 이용하면서 경합관계로 되는 위험성을 될 수 있는 한 피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 1에서는, 돌연변이율 MR은 교차율 CR에 비하여 매우 작은 치로 설정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0(=Nmax)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한 후에, 각 신규세트에 대해서의 군관리성능의 평가를 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최대치 Nmax를 1개로 설정함으로서, 교차 또는 돌연변이를 1회할 때마다, 신규세트에 대한 군관리성능의 평가를 실시하며, 그것을 반복할 수도 있다.
이에 관련하여, 최대치 Nmax의 치가 커지면, 하나로 모아서 신규세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연산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가 있다.
그러나, 그 경우, RAM(1OC)의 용량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연산시간과 메모리량과의 균형으로 최대치 Nmax의 치를 적의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도로 돌아가, 스텝 33의 평가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평가프로그램은, 제1도의 평가부(13)에 상당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장치에 신규세트를 부여하여 군관리알고리즘을 실행시켜, 그의 실행결과를 얻는 것이다.
이 평가프로그램에 대해서, 제15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5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 331에서는, 평가용 세트 NPSX,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X, 및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X로 되는 시뮬레이션 조건데이터 SIM을 작성한다.
즉, 평가용 세트 NPSX에는 신규세트 NPS(NP)를 설정하고,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X, 및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X에는 엘리베이터 사양신호(1a)에 포함되는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와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를 설정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332에서, 시뮬레이션조건데이터 SIM을 시뮬레이션조건신호(13a)로서 시뮬레이션장치(2)에 출력하고, 시뮬레이션장치(2)에 가상적인 군관리운전을 시킨다.
그리고, 스텝 333에서, 그의 시뮬레이션의 종료를 기다린다.
시뮬레이션장치(2)는, 시뮬레이션조건신호(13a)에 따라서 시뮬레이션을 하고, 시뮬레이션을 종료하면, 군관리성능신호(2a)를 탐색장치(10)에 출력한다.
스텝 333에서는, 군관리성능치신호(2a)글 수신하면 시뮬레이션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하여, 스텝 334에서, 군관리성능치신호(2a)에 포함되는 군관리성능데이터 PRF를 RAM(1OC)에 기억하고, 다음 스텝 335로 진행한다.
스텝 335에서는, 평가회수 NE의 치에 1만큼 증가시켜 갱신을 하며, 평가회수 NE, 평가용세트 NPSY(=NPSX), 및 군관리성능데이터 PRFY(=PRF)로 되는 평가결과 데이터 RES를 작성한다.
그리고, 스텝 336에서, 신규세트에 패한 평가대상세트번호 NP의 치를 1만큼 증가하천 갱신을 한다.
제11도에 돌아가, 스텝 34의 추가프로그램은, 제1도의 추가부(15)에 상당한 것이며, 신규세트(유닛번호 NP)를 등록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추가프로그램에 대해서, 제16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6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 341에서는, 군관리성능데이터 PREY에서 평균대기시간 AWT를 빼내어, 이것을 추가등록판정용의 성능평가치 NPN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342에서, 그의 성능평가치 UPN과 추가기준치 BX와를 비교하여, 기억부에 등록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VPN≥BX이면 등록을 허가하지 않고, 바로 이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한편, VPNBX이면, 스텝 343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추가등록 회수 NR의 치를 1만큼 증가시켜 갱신하고, 추가등록회수 NR, 평가용세트 NPSZ(=NPSY) 및 군관리성능데이터 PRFZ(=PRFY)로 된 추가등록용데이터 RAP를 작성한다.
그리고, 스텝 344에서 [P+l] 번째의 세트로서 추가등록하고, 그와 동시에, 등록완료세트수(P)의 치를 1만큼 증가하여 갱신한다.
제11도에 돌아가, 스텝 35의 삭제프로그램은, 제1도의 삭제부(16)에 상당하며, 성능평가치가 나쁜 세트의 삭제를 하는 것이다.
제17도를 사용하여 삭제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멸한다.
제17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 351에서, 등록완료의 세트수(P)와 삭제개시판정치(Ps)와를 비교하여, 세트의 삭제를 하여야할 시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PPs이면, 우량세트의 삭제를 하여야 할 시기가 아니라고 판정하고, 바로 그의 프로그램 35부터 정지한다.
P≥Ps 이면, 우량세트의 삭제를 하여야 할 시기로 판정하고, 다음의 스텝 352∼359의 수순을 반복하여 세트수(P)가 삭제 종료판정치(Pe)가 될 때까지 열악세트를 삭제한다.
스텝 352에서는, 군관리성능데이터 PRE(1)∼PRE(P) 중에서 각각 평균대기시간 AWT(1)∼AWP(P)를 빼내고, 그들을 삭제용의 성능평가치 VPD(1)∼VPD(P)로서 각각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353에서는, 삭제할 열악세트를 검출하기 위한 초기설정을 한다.
즉, 검색용 카운터 RC를 1에, 성능평가치의 최악치 WVPE를 0에, 삭제세트번호 RP를 0으로 설정한다.
스텝 354∼357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서, 가장 나쁜 성능평가치를 갖는 세트(세트번호 RP)의 특정이 이루어진다.
즉, 스텝 354에서는, 최악치 WVPE보다 성능평가치 VPD(RC)가 나쁜 세트를 검출할 때마다, 스텝 355에서, 그의 성능평가치 VPD(RC)를 최악치 WVPE에 설정한다.
또, 삭제세트번호 RP에, 검색용 카운터 RC의 치를 실정한다.
스텝 356에서는, 검색용 카운터 RC를 1만큼 진행시키고, 스텝 357에서, 모든 세트트에 대해서 검색을 종료했는가를 판정한다.
스텝 358에서는, 최악치 WVPE를 갖는 세트(삭제세트번호 RP)의 등록을 삭하며, 아울러 군관리성능데이터 RPE(RP)의 등록도 삭제한다.
또, 등록완료세트수(P)의 치도 1만큼 감산하여 갱신을 한다.
그리고, 남은 세트에 대해서, 다시 세트번호를 1부터 순차로 부여하여 기억갱신하고, 스텝 358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359에서는, 삭제한 후의 세트수(P)가 삭제종료판정치(Pe) 이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하로 되어있지 않으면, 상기의 스텝 352∼358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P≤Pe로 된 시점에서, 그의 삭제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한다.
스텝 351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삭제개시판정치(Ps)를 50개, 삭제종료판정치(Pe)를 30개로 설정하고 있으나, 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개시판정치(Ps)는, RAM(1OC)에 기억할 수 있는 세트의 최대수 Pmax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하면 된다.
또, 삭제개시판정치(Ps)를 Ps=Pe+l으로 되게 설정하여 놓으면, 「세트를 1개 추가 등록할 때마다, 대신하는 세트의 1개를 삭제한다.」라는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방법은 RAM(1OC)의 기억내용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 편리하다.
스텝 359에 있는 삭제종료판정치(Pe)는, 모체되는 세트의 잔존수를 의미한다.
그의 삭제종료판정치(Pe)가 작으면, 생성되는 신규세트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곤란하게 되므로, 우수한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확률이 감소한다.
역으로, 삭제종료판정치(Pe)가 크면, 생성되는 신규세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어, 그의 결과, 보다 우수한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생성을 위한 연산량이 증가하므로, 효율적인 탐색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삭제종료판정치(Pe)를 너무 크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교차를 하는 2개의 세트를 조합하는 수와, 제어파라미터의 종류·개수 등에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시행착오적으로, 삭제종료판정치(Pe)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실시예 1에서는, Pe=30임으로, 30×29÷2=435가지의 조합이 확보되어 있다.
제11도에 돌아가, 스텝 36의 추가기준치수정프로그램은, 제11도의 추가기준치수정부(18)에 상당하며, 기억부(11)의 세트등록상황에 따라서 추가기준치 BX를 수정한다.
이 추가기준치수정프로그램에 대해서, 제18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8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 361에서는, 군관리성능데이터 PRE(1)∼PRE(P) 중에서, 각각 평균대기시간 AWT(1)∼AWT(P)를 빼내고, 그것을 기준치설정용의 성능평가치 VPE(1)∼VPE(P)에 대입한다.
다음에, 스텝 362에서는 기준치 설정의 성능평가치 VPE(1)∼VPE(9) 중에서의, 최악치 WVPE를 특정하기 위한 연산을 한다.
또, 그 연산은, 제16도의 스텝 353∼357의 처리도 동일하다.
그리고, 스텝 363에서, [최악치 WVPE-보정치 AVPE]를 연산하여 수정치 CBX를 구하고, 다시 스텝 364에서 그의 수정치 CBX를 추가기준치 BX에 대입하여 수정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검색의 최초로부터 최후까지 보정치 AVPE를 1초로 고정설정하고 있다.
즉, 펑균대기시간을 의미있는 추가기준치 BX가, 1초씩 작게되도록 설정되어있다.
그러나, 기타의 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정치 AVPE의 치를 크게하면, 점차로 추가등록하기 위한 조건이 엄격하게 되므로, 한정된 평가회수 중에서, 가능한 한 많은 우수한 세트를 얻을 것을 중시하는 경우는, 너무 큰 치로 하지 않는다.
역으로, 보정치 AVPE를 0초로 설정하면, 성능의 차가 거의 없는 특성이 유사한 세트가 많이 추가등록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탐색조건에 따라서, 적의 그의 치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1도에 돌아가, 스텝 37의 탐색종료판정프로그램은, 제1도의 탐색종료판정부(17)에 상당하는 것이며, 최적세트의 탐색이 종료하였는가 여부의 판정을 한다.
여기에 대해서 제1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9도에 있어서, 스텝 371에서는, 평가회수 NE와 탐색종료판정치 NEa에 기준하여, 탐색을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NENEa이면, 아직 충분히 탐색이 시행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372에서 탐색을 계속하기 위하여 탐색허락플래그 FLAG를 1로 설정한다.
또, NE≥NEa로 되어 충분히 탐색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373에서, 탐색을 종료하기 위하여 탐색허가 플래그 FLAG를 0으로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탐색종료판정치 NEa의 치를 1,000회로 설정했으나, 판정치 NEa의 치를 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평가회수를 어느 정도로 설정하면 충분한가를 일률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왜냐하면, 탐색의 수렴의 정도는 제어파라미터의종류·개수·초기세트의 내용, 신규세트의 생성방법, 추가등록의 조건 등의 탐색조건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조금이라도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발휘하는 우량한 세트를 다수 얻기 위하여는, 탐색종료판정치 NEa를 될 수 있는 대로 큰 치로 설정하면 된다.
그러나, 탐색회수의 누적치 NE가 어느 정도 크게 되면, 탐색종료까지에 많은 시간이 걸려, 탐색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우량한 세트를 효율 좋게 얻기 위하여는, 탐색종료판정치 NEa를 탐색조건에 따라서 적의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제11도에 돌아가, 스텝 38의 최적세트 추출프로그램은, 제1도의 추출부(20)에 상당하는 것이며, 복수의 세트 중에서 최적세트를 1개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 제20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20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 381에서는, 군관리성능데이터 PRE(1)~PRE(P) 중에서, 각각 평균대기시간 AWT(1)∼AWT(P)가 빼내어져, 이것들이 최적치판정용의 성능평가치 VPS(1)∼VPS(P)에 대입된다.
그리고, 스텝 382에서는, 최적세트를 검출하기 위한 초기설정을 한다. 즉, 검색용 카운터 RC를 1로, 성능평가치의 최량치 BVPE를 9.999로, 세트번호 BP를 0에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 383∼386의 처리의 반복에 의하여, 가장 좋은 성능평가치를 갖는 최적세트(세트번호 BP)의 특정이 이루어진다.
즉, 스텝 383에서는, 성능평가치 VPS(RC)와, 지금까지 조사한 최고치 BVPE와를 비교한다.
최고치 BVPE보다 좋은 성능평가치 VPS(RC)가 검출되면, 스텝 384에서, 최고치 BVPE에 그의 성능평가치 VPS(RC)를 대입하고, 또, 세트번호 CP에 검색용 카운터 RC의 치를 설정한다.
스텝 385에서는, 검색용 카운터 RC가 1개씩 진행되고, 스텝 386에서, 모든 세트에 대해서 조사가 종료되었나 여부를 판정된다.
스텝 387에서는, 최적세트 BPS,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Y, 교통흐름사양데이터TRSY, 및 탐색상태데이터 SS로 구성되는 최적세트데이터 BPD를 작성한다.
즉, 최적세트 BPS에 최고치 BVPE를 보유한 세트의 내용을 대입하고,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 ELSY와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Y에는, 시뮬레이션조건데이터 SIM에서의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X 및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X와 동일한 내용을 설정한다.
또, 탐색상태데이터 SS에는, 그때까지의 평가회수 NE의 치를 설정한다.
최후로, 스텝 388에서는, 최적세트데이터 BPD를 포함하는 최적세트신호(20a)를 군관리장치(1)에 출력한다.
제11도에 돌아가, 이상과 같이, 최적세트의 탐색이 완료되면, 다시 스텝 26에 돌아가, 탐색종료판정프로그램에서 탐색허가 플래그 FLAG 가 0으로 재설정되어 탐색종료가 판정될 때까지, 스텝 26, 27, 30∼38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만일 탐색도중에,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및 교통흐름사양데이터의 내용에 변경이 있으면, 재탐색이 실행된다.
즉, 탐색허가 플래그 FLAG가 1로 변경되고, 스텝 31로부터의 각 스텝이 실행된다.
[실시예 1의 이점]
이상의 실명과 같이, 이 실시예 1에 의하면, 우수한 세트를 능률적으로 생성하여, 최적세트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군관리장치(1)와는 별도의 군관리시뮬레이션장치(2)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본래의 군관리운전에 지장을 주지 않고, 최적세트의 탐색을 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교차와 돌연변이라는 2종류의 생성방법에 의하여 신규세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양자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즉, 생성되는 신규세트에 관해서, 적절한 다양성과 적절한 수렴성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고, 광역적 탐색과 국소적 탐색을 조합하여, 최적세트를 조속히 탐색 가능하다.
또, 실시예 1에서는, 각 모체세트에 대해서, 성능평가치의 크기에 따라 선택확률의 가중치부여를 행한 후에, 모체세트의 선택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우수한 모체를 선택하는 확률을 높일 수가 있고, 다시 말하면, 모체의 좋은 성질을 계승한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실시에 1에서는, 복수의 성능평가치중의 최악치를 기초로 하여, 추가기준치를 수정하고, 수가기준치가 점차 엄격하게 되도록 하였으므로, 추가등록 후에 바로 삭제한다는 불필요한 처리를 피할 수가 있다.
또한, 추가등록회수에 기준하여, 탐색종료의 판정, 모체세트선택조건의 수정, 및 파라미터선택조건의 수정을 하면 탐색의 진행정도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에서의, 삭제처리에 의하여, 등록된 세트의 수를 일정치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기억용량을 고려한 합리적인 세트의 등록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될 수 있는 한 많은 세트 중에서, 보다 우수한 세트를 선별할 수가 있다.
또, 실시예 1에서는, 성능평가치가 나쁜 세트부터 순차로 삭제되므로, 성능평가치가 좋은 세트만을 남길 수 있고, 신규세트를 생성할 때, 항상 우수한 세트를 모체세트로 할 수가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추출부는, 탐색도중에서도 각 시점에서의 최적세트를 탐색하고, 그의 최전세트를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군관리장치(1)에 있어서, 탐색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탐색도중에서도 최적세트를 얻을 수가 있고, 그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탐색도중에 있어서, 최적세트에 부가된 탐색상태 데이터(평가회수 NE)를 얻을 수 있으므로, 탐색도중에 출력되고 있는 최적세트의 이용가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가 있다.
또, 실시예 1에서는, 탐색회수가 소정회수에 달할 때까지 탐색이 계속되므로, 탐색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전에 탐색종료로 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에서는, 재탐색의 기능이 있으므로, 탐색종료후 일지라도,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또는 교통흐름사양데이터의 어느 것이 변화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우량세트의 탐색을 재개한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군관리장치에서의 탐색개시의 지령이 나오는 것이 지연되어도, 조기에 탐색을 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최신의 군관리조건에 대응한 최적세트를 조기에 얻을 수 있다.
또, 재탐색의 기능에 의하여, 탐색도중일지라도,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와 교통흐름사양데이터가 변화한 시점에서 새로운 군관리 조건 하에 자동적으로 탐색을 최초부터 다시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에서는, 미리 각 교통흐름사양에 대응하는 초기세트군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탐색을 개시할 때, 그 시점에서의 교통흐름에 가장 합치하는 초기세트군을 선택하여, 초기설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당초부터 어느 정도 우수만 세트를 모체세트로 할 수 있고, 조속한 탐색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탐색도중에 있어서, 최적세트로서 출력된 세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탐색초기 일지라도, 어느 정도 좋은 군관리성능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시뮬레이션장치(2)에서 얻어진 군관리성능데이터 PRF가 기억부(11)에 기억된다.
여기서, 군관리성능데이터 PRF는, 제7도에 표시된 것 같이, 복수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추가등록용의 성능평가치 VPN, 기준치 설전용의 성능평가치 VPE(1)∼VPE(P), 삭제판정용의 성능평가치 VPD(1)∼VPD(P), 최적치판정용의 성능평가치 VPS(1)∼VPS(P)에는, 군관리데이터 PRF에 포함되는 어느 데이터가 대입된다.
따라서, 각 성능평가치의 취득의 필요성이 생길 때마다, 시뮬레이션을 할 필요는 없다.
물론, 각 성능평가치가 공통의 데이터(예컨대, 평균대기시간 AWT)로 구성된 경우에는, 그 공통의 데이터만을 군관리성능데이터 PRF로서 기억하면 된다.
[생성방법 및 선별방법의 일반론]
n 세대의 개체군(모체)에서 n+1 세대의 새로운 개체(자)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대별하여 2종류가 있다.
제1의 방법은 그의 새롭게 생성된 개체(자)를 이것과 동세대(n+1 세대)로 되는 다음의 신개체(자)를 생성하기 위한 모체로서 이용하는 방법이며, 한편, 제2의 방법은 이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즉,
Gn(Mn); 집단크기가 Mn개의 제n세대의 개체군.
Gn*(j): 집단크기가 j개로, 적어도 개체군 Gn(Mn)에 따라서 생성된 j개의 새로운 개체에서 되는 신개체군.
gn(i): 제n세대의 i번째의 개체를 gn(i).
gn*(j): 신개체춘 Gn*(j)의 j번째의 신개체.
로 할 때, 새롭게 (j+1)번째의 신개체 gn*(j+1)을 발생하여 추가하며, 신개체군 GN*(j+1)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음의 2가지가 있다.
[생성방법 A]:현세대개체군 Gn(Mn)만을 모체로서 사용하고, 교차 또는 돌연변이에 의해 신개체 gn*(j+1)을 자로서 생성하는 방법.
[생성방법 B]: 현세대개체군 Gn(Mn)와, 신개체군 Gn*(j)의 전부 또는 1부를 모체로서 사용하고, 교차 또는 돌연변이에 의해 신개체 gn*(j+1)을 자로서 생성하는 방법.
단, Gn(Mn)={gn(1), gn(2)………, gn(Mn)}
Gn*(j)={gn*(1), gn*(2)………, gn(j)}
Gn*(j+1)={gn*(1), gn*(2)………, gn*(j), gn*(j+1)}
또한, 상기 [생성방법 B]의 변형으로서, 신개체군 Gn*(j)의 1부를 모체로 하는 경우에, 모체로서 적합한 자격을 갖는 것만에 한정하는 방법(이후, [생성방법 Ba라 함]이 있다.
한편, 차세대개체군의 선별방법은, 현세대의 개체를 차세대의 개체로서 남기느냐 남기지 않느냐로, 분류할 수가 있다.
즉,
Gn*(Mn*):집단크기가 Mn*개의 신개체군.
Gn+l(Mn+l):집단크기가 Mn+l개의 자세대개체군.
으로 할 때,
[선별방법 A]:신개체군 Gn*(Mn*)중만에서, 소정의 기준으로 Mn+l개의 신개체 gn+1(i)(i=1,……,Mn+1)을 선택하여, 차세대개체군 Gn+1(Mn+1)로서 이용하는 방법(현세대개체군 Gn(Mn)은, 차세대개체로서 일체 남기지 않음).
[선별방법 B]:현세대개체군 Gn(Mn)과, 신개체군 Gn*(Mn*)의 전부 또는 1부중에서, 소정의 기준으로 Mn+1개의 신개체 gn1+1(i)(i=1,……,Mn+1)을 선택하여, 차세대개체군 Gn+l(Mn+l)로서 이용하는 방법.
단, Gn*(Mn*)={Gn*(1), Gn*(2),……,Gn*(Mn*)}
Gn+l(Mn+1)={gn+1(1), gn+1(2),……,gn+1(Mn+1)}
또한, [선별방법 B]의 변형예로서, 현세대개체군 Gn(Mn) 중에서, 신개체군 Gn*(Mn*)의 모체가 되지 않은 개체를 차세대개체로서 남기지 않는 방법(이후,[선별방범 Ba]로 함)도 있다.
또, 신개체군 Gn*(Mn*) 중에서, 모체로서 적합한 자격을 갖지 않은 신개체를 자세대개체로서 남기지 않는 방법(이후, [선변방법 Bb]라 함)도 있다.
[생성방법과 선별방법의 조합예]
(A) 상기의 「생성방법 B」와 「선별방법 B」와를 조합한 최적세트 탐색방법으로 실현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한다.
즉, 기억부(11)는, 현세대의 세트군용 영역과, 새로 추가 등록하는 세트군용 역역과의 2개로 분할한다.
그리고, 생성부(12)에 의해, 현세대세트군과 추가등록세트군를 이용하여 신규세트군을 생성한다.
그리고, 추가부(15)에 의해, 신규
세트군 중에서 소정의 기준으로(모든 신규세트를 무조건 선택하는 방법도 포함). 새로운 세트를 선택하여 추가 등록한다.
한편, 삭제부(16)에 의해, 추가등록수가 소정치(예컨대, (Ps-Pe+1)개)로 될 때마다, 현세대세트군과 추가등록세트군 중에서, 소정의 기준으로 일정수의 세트를 선택하여 그의 세트군을 새롭게 현세대 세트군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들 스텝을 반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합의 경우에는, 생성부(12)와 추가부(15)에 [생성방법 B]의 기능을 갖게 하고, 추가부(15)와 삭제부(16)에 [선별방법 B]의 기능을 갖게 한다.
실시예 1에서는, [생성방법 B]의 변형인 [생성방법 Ba」와 [선별방법B]의 변형인 [선별방법 Bb]와를 사용하고 있다.
이 실시예 1의 추가부(15)가, 신규 세트 중에서 모체로서 적합한 자격을 갖는 것만을 추가 등록하여, 다음의 신규세트의 모체의 하나로서 이용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면, 추가부(15)는 생성부(12)와 함께 [생성방법 Ba]의 기능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말할 수 있다.
동시에, 실시예의 추가부(15)가 모체로서 적합한 자격을 갖는 것만을 추가 등록하여, 차세대의 모체의 후보로 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면, 추가부(15)는 삭제부(16)와 함께 [선별방법 Bb]의 기능의 일부를 담당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B) [생성방법 A]와 [선별방법 A]를 조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한다.
즉, 기억부(11)를 현세대세트군용의 영역과, 새로 추가 등록하는 세트군용의 영역의 2개로 분할한다.
그리고, 생성부(12)에 의해, 현세대의 우량세트군에서, 신규세트군을 생성한다.
그리고, 추가부(15)에 의해, 신규세트군중에서, 소정의 기준으로 복수의 세트를 선택하여 추가 등록한다.
한편, 삭제부(16)에 의해서, 추가등록수가 소정치(예컨대, Pe개)로 될 때까지, 현세대의 세트군을 모두 삭제하고, 거기에 추가 등록한 세트군을 전부 이동시켜서 세대의 갱신을 하고, 이들 스텝을 반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합의 경우에는, 실시예 1의 생성부(12)에 [생성방법 A]의 기능을 갖게 하고, 추가부(15)와 삭제부(16)에 [선별방법 A]의 기능을 갖게 한다.
(C) [생성방법 A]와 [선별방법 B C(또는 Bb)]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즉, 기억부(11)를, 현세대세트군용의 영역과, 새로 등록하는 세트군용의 영역의 2개로 분할하고, 생성부(12)에 의해, 현세대의 세트군에서 신규세트군을 생성한다.
그리고, 추가부(15)에 의해 신규세트군 중에서 소정의 기준으로 새로운 세트군을 선택하여 추가 등록한다.
한편, 삭제부(16)에 의해, 추가등록수가 소정치(예컨대, (Ps-Pe+1)개)로 될 때마다, 현세대의 우랑세트군과 추가 등록한 우량세트군 중에서, 소정의 기준으로 세트군을 선택하고, 그 세트군을 현세대의 우량세트군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이들 스텝을 반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합의 경우에는, 실시예 1의 생성부(12)에 [생성방법 A]의 기능을 갖게 하고, 추가부(15)와 삭제부(16)에 [선별방법 B(또는 Bb)]의 기능을 갖게 한다.
(D) [생성방법 B(특히 Ba)] 와 [선별방법 A]와를 조합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즉, 기억부(11)를 현세대세트군용의 영역과, 새로 추가 등록하는 세트군용의 영역의 2개로 분할한다.
그리고, 생성부(12)에 의해, 현세대의 우량세트군과 추가 등록한 우량세트군에서, 신규세트군을 생성한다.
추가부(15)에 의해, 신규세트군 중에서, 소정의 기준으로 새로운 우량세트군을 선택하고, 추가 등록한다.
한편, 삭제부(16)에 의해, 추가등록수가 소정치(예컨대, Pe개)로 될 때마다, 현세대의 우량세트군을 모두 삭제하고, 거기에 추가 등록한 세트군을 전부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들 스텝을 반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합의 경우에는, 실시예 1의 생성부(12)와 추가부(15)에 [생성방법 B(특히 Ba)]의 기능을 갖게 하고, 추가부(15)와 삭제부(16)에 [선별방법 A]의 기능을 갖게 한다.
[성능평가치]
참고로서, 다음에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각 성능평가치에 관해서, 그의 사용수단 및 그의 사용목적에 대하여 종합한다.
[19] 최적세트 판정용의 성능평가치:VPS(1)∼VPS(P)
사용수단; 추출부 20
사용목적; 최적세트의 선택을 위하여 사용
[20] 추가등록판정용의 성능평가치:WN
사용수단; 추가부 15
사용목적; 신규세트의 추가등록의 판정을 위하여 사용
[21] 삭제판정용의 성능평가치:VPD(1)∼VPD(P)
사용수단; 삭제부 16
사용목적; 등록된 세트에 대해서 삭제판정을 위하여 사용
[22] 추가기준치 설정용의 성능평가치:VPE(1)∼VPE(P)
사용수단; 기준치 수정부 18
사용목적; 추가기준치 BX를 수정시의 기준으로서 사용
[23] 모체선택확률설정용의 성능평가치:VPS(1)∼VPS(P)
사용수단; 생성부 12
사용목적; 모체세트선택을 위하여 사용
여기서, 각 세트에 관해서, 그의 우수성은 여러 가지 각도에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군관리장치에 요구된 제어목표를 어느 정도 만족시킬 수가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성능평가치로서는, 요구된 제어목표에 직접관계하는 성능치(제7도 참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교차에 관해서, 각 세트의 모체로서의 우수성은, 기억부에의 다양성이라는 관점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왜냐하면, 상이한 특성을 갖는 세트끼리 교차하는 것이, 보다 우수한 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성을 나타내는 성능평가치로서는, 분포지표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분포지표는 예컨대, 각 세트를 중심으로 하여, 세트간 거리가 소정치 이내에 있는 다른 세트의 개수로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세트간 거리는, 복수의 세트구성요소로 정의되는 자차원 공간에서 정의되는 것이다.
분포지표는, 세트간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의 치가 작을수록, 모체로서의 성능이 높다.
분포지표는 다른 세트와의 거리의 총합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그의 치가 클수록, 모체로서의 성능이 높다.
또, 분포지표는 거리가 소정치 이상 떨어진 다른 세트의 개수로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치가 클수록 모체로서의 성능이 높다.
다음, 성능평가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는, 어느 성능평가치도 평균대기시간(AWT)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목적에 따라, 각 성능평가치의 내용을 달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로 다른 성능평가함수를 사용하여, 각 성능평가치(E)를 연산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군관리성능에 관한 성능평가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단, F(x)는, X의 함수임을 나타낸다.
E=F(X, X ......, Xn, T1, T2 ......, Ti, ......, Tn)---(24)
단, n:군관리 성능의 평가항목의 수
Xi:평가항목 i에 있는 성능치(i=1, 2‥‥‥n)
Ti:평가항목 i의 성능기준치(i=1, 2‥‥‥n)
여기서, 성능기준치(Ti)는, 군관리성능으로서 최종적으로 도달하여야 할 [목표치]를 나타내는 경우, 또는 최소한 만족하지 않으면 않 될 [한계치]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한계치]에는 [상한치]와, [하한치]가 있다.
성능기준치를 [목표치]로서 부여하는가, [상한치] 또는 [하한치]로서 부여하는가는, 군관리제어의 목적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다르다.
또, 성능평가함수[24]에 있어서, 성능기준치(Ti)가, [목표치]를 의미할 때에는, 0↔Xi-Ti0↔가 작을수록 성능이 좋다.
성능기준치(Ti)가 [상한치]를 의미할 때에는, (Ti-Xi)가 클수록 성능이 좋고, 성능기준치(Ti)가 [하한치]를 의미할 때에는, (Xi-Ti)가 클수록 성능이 좋다.
요컨대, 상기 [19]∼[23]에서 나타낸 성능평가치는, 성능평가함수와, 그 중의 평가항목 및 성능기준치로 정해진다.
다음, 몇 개의 구체적 예를 늘어, 성능평가치의 연산방법을 설명한다.
[25] 성능평가함수예 1(실시예 1의 경우)
*제어목적적:[평균대기시간을 될 수 있는 대로 작게 함)
*성능기준치:T1=0초(T1: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
*성능평가함수:E=0↔AWT-T10↔= AWI(AWT:평균대기시간)
*추가등록의 판정:EBX(BX:추가기준치, 예컨대 BX=15초)
[26] 성능평가함수예 2(후술하는 실시예 2의 경우)
*제어목적:[평균대기시간을 소정치에 될 수 있는 한 접근시킴]
*성능기준치:T1=20초(T1: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
*성능평가함수:E=0↔AWT-T0↔(AWT: 평균대기시간)
*추가등록의 판정:EBx(Bx:추가기준치, 예컨대 BX=3초)
[27] 성능평가함수예 3
*제어목적:[평균대기시간 AWT, 긴 대기율 RLW, 및 예보오차율 RPE를 각각의 목표치에 될 수 있는 한 접근시킴]
*성능기준치:T1=15초, T2=2%, T3=3%
(단, T1: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
T2:긴 대기율의 [목표치],
T3:예보오차율의 [목표치])
*성능평가함수:
E=Ap x|AWT-T1|+Aq x|RLW+T|+Ar x|RPE-T3|
(단, Ap, Aq 및 Ar은 가중계수)
*추가등록의 판정:EBY(BY:종합평가기준치, 예컨대 BY=10)
[28] 성능평가함수예 4
*제어목적:[평균대기시간 AWT, 긴 대기율 RLW 및 예보오차율 RPE를 종합적으로 될 수 있는 한 작게 함]
*성능능기준치:T1=0초, T2=0%, T3=0%,
(단, T1: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 T2:긴 대기율의 [목표치], T3:예비오차율의 [목표치])
*성능평가함수:E=AP x AWr+Aq x RLW+Ar x RPE
(단, Ap, Aq 및 Ar는 가중계수)
*추가등록의 판정:EBY(BY:종합평가기준치, 예컨대 BY=1000)
[29] 성능평가 함수예 5
*제어목적:[평균대기시간 AWT, 긴 대기율 RLW, 및 예보오차율 RPE가 각각의 허용범위 내에 머무르는 평가항목수를 될 수 있는 한 많게 함]
*성능기준치:T1a=15초, T1b=3초, T2=2%, T3=3%,
(단, T1a, 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 T1b:평균대기시간편차의 허용범위, T2:긴 대기율의 [상한차], T3:예보오차의 [상한치]
*성능평가함수:E=f(0↔AWT-T1a0↔-T1b)+f(RLW-T2)+f(RPE-T3)
(단, f(x)는, x≥일 때 f(X)=1, x0일 때 f(X)=0으로 되는 함수를 나타냄)
*추가등록의 판정:EBY(BY:통합평가기준치, 예컨대 BY=1)
[30] 성능평가함수예 6
*제어목적:[평균대기시간 AWT가, 그들 중의 최량치(최소치) BVPE에서 소정의 허용범위에 머무르고, 긴 대기율 RLW가 될 수 있는 한 작게 되도록 하는 것]
*성능기준치:T1a=BVPE(초), T1b=2초, T2=0%,
(단, T1a: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 T1b:평균대기시간편차의 허용범위, T2:긴 대기율의 [목표치]
*성능평가함수:E=(100-RLW) x f(T1b- 0↔AWT-BVPE0↔)
(단, f(x)는 X≥0일 때 f(x)=1, X0일 때 f(x)=0으로 되는 함수를 나타냄)
*최적치의 판정:Max{e}
상기의 성능평가함수예 1 [25] 및 성능평가함수예 2[26]은, 평가항목이 평균대기시간의 1개의 경우이며, 그의 제어목적도 단순하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평가함수를 구성할 수 가 있다.
따라서, 평균대기시간 대신에, 제7도 표시된 것 같은 평가항목(물론, 제7도에 표시된 이외의 평가항목도)을 사용하는 것은 대단히 용이하다.
한편, 평가항목이 복수개로 되면, 제어목적도 다종다양하게 되므로, 성능평가함수의 구성방법은 복잡하게 된다.
상기의 제3 및 제4의 성능평가함수예 [27], [28]의 경우는, 평가항목과 목표치와의 편차에 의한 가중치를 부가한 총합으로 성능평가함수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각 편파항목의 우선도를 가미하여, 목표달성정도를 총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잘 사용된다.
특히, 제어목표가 상반하는 평가항목이 그 중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대단히 편리한 방법이다.
또, 성능평가함수예 5[29]에 표시된 것 같이, 각 평가항목마다, 설정된 허용범위 내(예컨대, 상한치이하, 또는 하한치 이상, 혹은 목표치와의 편차가 소정치 이내 등)에 군관리성능치에 머무른 평가항목의 수를 구하고, 그의 수로 군관리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또, 2개 이상이 상이한 성능평가함수에 의해 각각의 평가치를 연산하고, 그의 복수좌 평가치의 조합에 따라, 추가등록판정, 삭제판정, 최적세트판정 등을 할 수가 있다.
또, 성능평가함수예 6[30]과 같이, 평균대기시간이 최소치에서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있을 것(E1=0↔AWt-BVPE0↔, E1≤T1b) 및, 긴 대기율이 그 중에서 최소일 것(E2=RLW, Min{E2}), 인 2개의 조건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최초로, 성능평가함수(E1)에 의하여 최적치의 후보를 선택하고, 다음에 성능평가함수(E2)에 의해 최종적으로 최적치를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성능평가함수예 6[30]에 표시된 것 같이, 2개의 성능평가함수 및 판정조건을 합성하여, 1개의 성능평가함수 및 판정조건에 기록하고, 그의 성능평가함수와 판정조건에 의해 최적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모체세트의 선택확률은, 성능평가치에 기준하여 설정하였다.
그러나, 여기에 한하지 않고, 선택확률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사한 특성을 갖는 신규세트가 생성되기 쉽고, 그 때문에 기억부(11) 내의 세트의 다양성이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다양성을 잃어버릴 경우, 탐색초기부터, 국소해답으로 수렴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그래서, 그의 초기수렴의 문제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연산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모체세트의 선택확률을 균등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해서 제21도∼제25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 2의 설명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1도는 제1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실시예 2의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제21도에서, 성능기준치 설정장치(3)는, PC(Personal Computer)로 구성되고, 군관리장치(1)에 대하여 기준치신호(3a)를 출력한다.
여기서, 기준치신호(3a)는, 군관리성능에 대해서의 [성능기준치]와, 탐색장치제어를 위한 [제어기준치]로 되어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성능기준치는 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이며, 제어기준치는, 추가기준치(BX)에 부여되는 [지정치]이다.
또한, 탐색장치(10), (평가수단(13), 기준치갱신수단(18), 재탐색수단(19), 초기설정수단(21))으로 기준치신호(3a)를 직접 입력하여도 된다.
제22도는, 제3도에 상당하며, 동도면에는, RAM(1OC)의 기억내용이 교시되어 있다.
제22도에서, TGT는, 탐색조건신호(1a)의 내용을 이루는 데이터의 하나이며, 평균대기시간 AWT의 [목표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TAW(대기시간 목표치)와, 추가기준치 BX로의 지정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TCB(추가기준지정치)로 구성된다.
예컨대, 대기시간 목표치 TAW는 5초로 설정되고, 추가기준지정치 TCB는 3초로 설정된다.
TAWX는, 입력한 대기시간목표치 TAW를 전기한 데이터로, 성능평가치를 연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기준치신호(3a)가 입력되면, 군관리장치(1)는, 기준치신호(3a) 중에 포함되어 있는 성능기준치(대기시판 목표치 TAW)와 제어기준치(추가기준지정치 TCB)와를 끄집어 낸다.
그리고 제10도의 스텝 234의 동작과 동일하게,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 ELS,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 탐색지령데이터 SCM, 대기시간목표치 TAW ,추가기준지정치 TCB, 및 탐색조건신호(1a)로 구성되는 탐색조건신호(1a)를 탐색장치(10)에 출력한다.
탐색장치(10)에서, 탐색이 개시되면(제11도 참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생성, 평가, 추가, 삭제, 추가기준치 수정이 순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탐색개시판정프로그램(26)(제25도 참조)에 기준하여, 탐색조건신호(1a)이 입력되면, 제22도에 표시된 것 같이,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 ELS,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 탐색지령데이터 SCM, 대기시간목표치 TAW, 및 추가기준지정치 TCB가 RAM(1OC)에 기억된다.
실시예 2에서는, 추가프로그램(34)과 삭제프로그램(35)의 내용에 특징이 있다.
실시예 2에서는, 상기의 성능평가함수예 2[26]에 표시된 성능평가함수(E=0↔AWT-T10↔)에 기준하여 성능평가치(E)가 연산되고, 그의 성능평가치(E)와 추가기준치(BX)가 비교된다.
그리고, 성능평가치(E)가 추가기준치(BX)보다 작을 경우는, 추가등록이 판정된다.
즉, 실제의 치와 목표치와의 차이와 지정치가 비교되고, 차이가 지정치보다도 작은 경우에 신규세트의 추가등록이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추가프로그램(34)(제16도 참조)의 스텝(341)에서, [VPN←0↔AWT-TAWX0↔]라는 연산이 시행되고, 추가등록판정용의 성능평가치 VPN이 설정된다.
또, 삭제프로그램(35)(제17도 참조)의 스텝 352에서, [VPO(P)←0↔AET(P)-TAWX0↔]라는 연산이 시행되고, 삭제판정용의 성능평가치 VPD(1)∼VPD(P)가 설정된다.
제23도는, 실시예 2에서의 추가기준치 수정프로그램(36)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제23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 401에서, 추가 기준치 TCB가 판독되고 이것을 수정치 CBX에 대입한다.
그리고, 다음 스텝 402에서 추가기준치 BX를 수정치 CBX로 바꾸어 기록한다.
또, 스텝 403에서는, 대기시간 목표치 TAW를 판독하고, 그의 치에 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성능기준치(대기시간 목표치 TAWX)를 바꾸어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추가기준치의 수정이 완료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탐색종료판정 및 최적세트추출의 처리가 시행된다(제11도 참조).
단, 최적세트추출 프로그램(38)에서는, 성능평가치의 연산방법이 실시예 1과는 상이하다.
즉, 최적세트추출프로그램(38)(제20도 참조)의 스텝 381에서는, 최적세트 판정용의 성능평가치 VPS(1)∼VPS(P)가 [VPS(1)←0↔AWT(1)-TAWX0↔, ‥‥‥,VPS(P)←0↔AWP(P)-TAXW0↔]와 같이 연산된다.
상기의 최적세트 추출프로그램(38)의 처리 후, 재탐색판정프로그램(25)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 재탐색판정프로그램(25) 중의 탐색개시판정프로그램(26)의 동작수순을 제24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4도는, 실시예 1의 제12도에 상당한다.
제24도에서, 스텝 261에서는, 탐색조건신호(1a)를 군관리장치(1)에서 입력하고,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 탐색지명데이터 SCM, 대기시간목표치 TAW, 추가기준지정치 TCB를 RAM(1OC)에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 262∼264에서는, 실시예 1의 탐색개시판정프로그램(26)(제12도 참조)과 동일하게, 탐색지령데이터 SCM의 [0]에서 [1]로의 변화, 엘리베이터 사양 ELS의 변화, 또는 교통흐름사양 TRS의 변화가 검출된다.
스텝 265에서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 탐색개시플래그 STR을 (1)에 설정하고, 후술하는 모드 1의 초기설정을 한 후에 탐색을 개시할 것을 지령한다.
한편, 탐색지령데이터 SCM, 엘리베이터사양데이터 ELS,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 중의 어느 것에도 변화가 없을 때에는, 스텝 267에서, 대기시간 목표치 TAW의 변화의 유무가 판정된다.
즉, 대기시간 목표치 TAW와 현재 설정되고 있는 대기시간 목표치 TAWX가 비교되어, 변화의 유무가 판정된다.
만일, TAW≠TAWX이면 [변화 있음]으로 판정하고, 스텝 265에서, 탐색개시 플래그 STR을 (1)로 설정한다.
한편, TAW=TAWX이면 [변화 없음]으로 판정하고, 스텝 269를 실행한다.
스텝 269에서는, 추가기준지정치 TCB의 변화의 유무가 판단된다.
즉, 추가기준지정치 TCB와 현재 설정되어있는 추가기준치 BX가 비교되어, 변화의 유무가 판정된다.
만일, BX=TCB이면 [변화 없음]으로 판정하여, 스텝 266에서, 탐색개시플래그 STR을 [0]으로 설정하고, 최적세트 탐색 중이면 계속상태를 유지하며, 탐색의 종료상태이면, 그대로 종료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BX≠TCB이면 [변화 있음]으로 판정하고, 스텝 268에서, 탐색개시플래그 STR을 (2)로 설정하고, 모드 2의 초기설정을 행한 후에 탐색을 개시할 것을 지령한다.
여기서, 모드 1의 초기설정은, 기억부로의 초기설정과 일반적 초기설정(평가회수 NE와 추가등록회수 NR등의 초기치설정)을 하는 처리를 말한다.
또, 모드 2의 초기설정은 기억부로의 초기설정을 하지 않고, 일반적 초기설정만을 하는 처리를 말한다.
상기의 스텝 269에서, 추가기준치 BX가 변경되었을 때에 모드 2의 초기설정을 행하는 것은, 그의 추가기준치 BX가 이전보다도 엄격한(즉, 작은) 치로, 변경되었다하여도, 이전의 탐색의 연장선상에서 탐색을 진행하여도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수렴성의 관점에서 말하면, 그때까지 생성, 선별된 세트를 초기세트로서 사용하고, 탐색을 재개하는 쪽이 탐색효율은 좋다.
특히, 성능평가함수가 단독의 평가항목만을 포함한 경우로서, 추가기준치 BX만이 변경된 것과 같은 때에는, 모드 2의 초기설정이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최적세트의 탐색을 현상(계속상태 또는 종료상태) 그대로 두는가, 또는 최초부터 다시 시작하는가의 판정이 시행된 결과, 탐색개시플래그 STR=[0]으로 설정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 제11도에서, 스텝 27에서 스텝 3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탐색도중인가 탐색종료인가를 탐색허가 플래그의 치에 의해 판단한다.
탐색도중이라면 FLAG=[1]이므로, 다시 스텝 31로 진행하고, 탐색종료판정 프로그램(37)에서 탐색허가 플래그 FLAG를 [0]으로 리세트하며, 스텝 27에서 탐색종료로 판단될 때까지, 스텝 31∼38, 스텝 26, 27의 수순을 반복한다.
탈색을 완료하면, 탐색종료판정프로그램(37)에 의해 탐색허가 플래그 FLAG 가 (1)에 세트되므로, 이번에는 스텝 26→27→30→26의 수순을 반복하여, 재탐색을 대기한다.
만일, 탐색도중 혹은 탐색종료 후에, 엘리베이터 사양데이터 FLS, 교통흐름사양데이터 TRS, 성능기준치 TAW, 제어기준치 TCB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탐색개시판정프로그램(26)에 의해, 탐색개시플래그 STR이 [1] 또는 [2]에 세트되고, 스텝 27에서 초기설정 프로그램(28)으로 처리가 진행한다.
제25도에는, 초기설정프로그램(28)이 표시되고있으며, 제25도는 실시예 1의 제13도에 상당한다.
제25도에 있어서, 스텝 284에서는, 탐색개시플래그 SIR의 치에 따라서, 기억부의 초기설정이 필요한지 어떤지가 판정된다.
모드 1의 초기설정이 지정되어있으면, 즉 탐색개시 플래그 STR이 (1)이면, 실시예 1의 초기설정 프로그램(28)(제13도 참조)과 동일하게, 스텝 201에서, 교통흐름 사양데이터TRS에 대응한 초기세트군과 군관리성능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282에서, 초기세트군과 군관리성능데이터를 사용하여 조기설정을 한다.
이상이 모드 1의 초기설정이다.
스텝 285에서, 추가기준치 수정프로그램은 기동시킨다.
스텝 285와 추가기준치 수정프로그램은, 제23도 표시하는 프로그램(36)과 동일한 내용을 갖고 있다.
스텝 285에서, 새로운 추가기준치(BX)와 성능기준치(대기시간목표치TAX)가 설정된다.
그리고, 실시예 1의 초기설정프로그램(제13도 참조)과 동일하게, 스텝 283에서 일반적 초기설정을 한다.
이상이 모드 1의 초기설정이다.
한편, 스텝 284에서 탐색개시플래그 STR이 「2」일 때는, 즉 모드 2의 초기 설정이 지정되어 있으면, 스텝 283의 일반적 초기설정만이 실행된다.
즉, 스텝 281 및 282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고 금회의 탐색개시이전에 기억부에 등록된 세트군이 초기세트군으로서 사용된다.
즉, 전회의 탐색의 종료시점에서, 기억부(11) 내에 남은 우수한 세트EPS(1)∼EPS(P)와, 군관리성능데이터 PRE(1)∼PRE(P)가 이용된다.
이상이, 모드 2의 초기설정이다.
살기 설명과 같이, 실시예 2에서는, 성능기준치 설정장치(3)에 의하여 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 TAWX와, 추가기준치의 지정치 BX를 외부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희망하는 군관리제어방침 또는 탐색방침에 합치된 최적세트를 탐색할 수 있다.
또, 실시예 2에서는, 탐색도중이나 탐색종료 후에 있어서, 기준치 TFT(대기시간목표치 TAW, 추가기준치 BX)의 변화를 검출하면, 재탐색을 실행한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군관리의 제어방침이 변경되는 경우, 또는 인위적으로 기준치 TGT가 변경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재탐색을 실행할 수 있어, 신속하게 최적세트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는, 모드 1의 초기설정과 모드 2의 초기설정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탐색개시시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초기설정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기준치 BX의 미소한 수정이 실행된 경우에는, 모드 2의 초기설정에 의해, 재탐색을 신속하게 완료시킬 수 있다.
물론, 추가기준치 BX의 변경량이 큰 경우에는, 모드 1의 초기설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는 반대로, 실시예 2에서는, 성능평가함수(평가항목, 성능, 기준치, 구성)의 변경이 검출된 경우에는, 모드 1의 초기설정이 적용되나, 그의 변경량이 작을 경우에는, 모드 2의 초기설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요컨대, 모드 1의 초기설정을 적용할 것인가, 모드 2의 초기설정을 적용할 것인가의 모드선택의 문제는, 새로운 탐색조건 하에서, 그 시점까지 얻어진 세트군과, 초기설정세트군 GPSO 중에서, 어느 쪽이 효율적인 탐색을 실현할 수 있는가 라는 문제에 귀착한다.
그러나, 그의 판단은 대단히 많은 연산시간 및 연산량을 요하므로, 실제적인 방법은 아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변경항목과 변경랑에 따라서,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성능평가함수는, 1예이며, 성능평가함수(24)와 성능평가함수예 1∼6([25]∼[30])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성능평가치는, 상기의 추가등록판정용의 성능평가치에 한하지 않고, 최적세트판정용의 성능평가치(19), 삭제판정용의 성능평가치(21),기준치판정용의 성능평가치 (22) 등이라도 좋다.
[실시예 3(삭제부의 다른 실시예)]
삭제부(16)의 다른 실시예를 제26도에 따라 설명하며,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26도에는, 실시예 3의 삭제프로그램(35)이 표시되어 있다.
이 플로차트는 실시예 1의 제16도에 상당한다.
먼저, 스텝 411에서, NRH=NR-NRX라는 식을 실행하고, 신규등록회수 NRH를 연산한다.
또한, 신규등록회수 NRH는, 전회의 삭제처리를 한 후에, 새로 세트를 추가등록한 회수이다.
전회판정시의 등록회수 NRX는, 전회삭제처리를 실행했을 때, 추가등록회수 NR가 표시한 치이다.
다음, 스텝 412에서, 신규등록회수 NRH와 삭제개시판정치 NRa와를 비교하여, 삭제를 하여야할 시기가 되었나 여부를 판정한다.
삭제개시 판정치 NRa에는, 예컨대 10회가 설정되어 있다.
만약 NRHNRa이면, 세트의 삭제를 하여야할 시기가 아니라고 판정하고, 곧 그의 프로그램(35)을 빠져 나온다.
한편, NRH≥NRa이면, 삭제를 하여야할 시기라고 판정하고, 스텝 413에서, 현시점에서의 추가등록회수 NR의 치를 전회판정시의 등록회수 NRX로 설정하며, 갱신을 한다.
그리고, 스텝 414∼422를 반복하여, 유닛(UNIT)수 (P)가 삭제종료판정치(re)로 될 때까지, 세트를 삭제한다.
또한, NRX의 초기치는, 초기설정프로그램(28)(제13도 참조)의 스텝 283에서, 0으로 초기 설정되어 있다(도면생략).
스텝 414에서는, 각 세트간의 거리 DST(i,j)의 연산을 한다.
(단, i, j=1,2‥‥‥‥‥P, i≠j)
이 거리는 DST (i,j), 다음과 같이, 2개의 세트 i, j에 대해서의 표준이다.
DST(i,j)=0↔0↔EPU(i)-EPU(j)0↔0↔ ‥‥‥[31]
단, i, j=1,2‥‥‥‥‥‥P, 1≠j
여기서, 각 세트 EPS(i)(i=1,2 ‥‥‥‥‥P)를 구성하는 각 파라미터치는, 각 파라미티마다, 정규화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각 파라미터치는, 각 파라미터가 취할 수 있는 최대치에 대한 비율로서, 0에서 100사이의 어느 치로 표현된다.
예컨대, 파라미터의 하나인 만원평가계수(Ca)가 취할 수 있는 최대치를 50,000으로 하면, 제8도의 세트 EPS(1)에 대해서, 만원평가계수(Ca)의 파라미터치를 정규화한 치는 (10,000÷50,000)X1000=20으로 연산된다.
마찬가지로, 예보오차계수(Cb)(최대치:1,600)의 파라미터치를 정규화한 경우에는, (400÷1,600)x100=25로 연산된다.
따라서, 전부 25개의 제어파라미터가 있으므로, 0≤DST(i,j)≤500으로 된다.
정규화된 각 파라미터치는, 최적세트추출프로그램(38)(제20도 참조)의 스텝 387에서, 최적세트데이터 BPD를 작성할 때, 원래의 치로 재변환된다(예컨대, 만원평가계수 Ca의 경우, 20×50,000=10,000으로 재변환된다).
다음에, 스텝 415에서는, 거리 DST(i,j)가 최소로되는 세트쌍(Pd1,Pd2)이 선택된다.
그리고, 스텝 416에서, 2개의 세트(Pd1,Pd2)간에서 양자의 특성이 유사한가 어떤가가 판단된다.
즉, 거리 DST(Pd1,Pd2)와, 판단치 DSTa와가 비교되어, 그의 결과에서, 유사점이 판단된다.
그의 판정치 DSTa로서는, 예컨대 25가 설정된다.
만일, DST(Pd1,Pd2)≤DSTa이면, 스텝 417로 진행하고, 여기서 2개의 세트(Pd1,Pd2)의 군관리성능데이터 PRE(Pd1), PRE(PD2) 중에서, 각각 평균대기시간 AWT(Pd1), AWT(Pd1), AWT(Pd2)를 끄집어내어, 이들을 삭제용의 성능평가치(VPD1, VPD2)로서 설정한다.
스텝 418에서는, 성능평가치 VPD1 과 VPD2를 비교하여, 삭제할 세트를 결정한다.
만일, VPD1VPD2이면, 삭제하는 것은 세트번호 DP2라고 판정하고, 스텝 419에 진행한다.
그리고, 세트 EPS(PD2) 및 군관리성능데이터 PRE(Pd2)의 등록을 삭제한다.
또한, 등록이 끝난 유닛수(P)의 치도 1만큼 작게 한다.
남겨진 세트에 대해서, 새로 세트번호를 다시 부여하고, 스텝 419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418에서, 만일 VPD≥VPD2이면, 삭제하는 것은 세트번호 Pd1이라고 판정하고, 스텝 42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세트 EPS(Pd1) 및 군관리성능데이터 PRE(Pd1)의 등록을 삭제한다.
또한 등록이 끝난 유닛수(P)의 치도 1만큼 작게 한다.
그리고 남겨진 세트에 대해서, 새로 세트번호를 다시 부여하고, 스텝 420의 처리를 종료한다.
만일, 스텝 416에서, DST(Pd1,Pd2)) DSTa이면, 특성이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스텝 421로 진행하며, 여기서, 모든 유닛번호(1∼P)에 대한 삭제판정용의 성능평가치 VPD(1)∼VPD(P)를 구하고, 이들 중에서, 최악치를 갖는 세트를 특정하여, 그의 세트번호를 Pd1로 설정한다.
또한, 스텝 421은, 실시예 1의 삭제프로그램(35)(제17도 참조)에서의 스텝 352∼357과 통일함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17도의 삭제세트번호 RP가 세트번호 Pd1에 상당한다.
스텝 422에서는, 삭제한 후의 세트수(P)가 삭제종료 판정치(Pe)이하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의 스텝 414∼422의 처리를 반복하고, P≤Pe로 된 시점에서, 그의 삭제프로그램(35)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3에서는, 세트간의 거리 DST에 기준하여, 유사한 특성을 갖은 쌍을 특정하고, 그 쌍의 한쪽 세트를 삭제하도록 하였으므로, 특성이 다른 복수의 세트를 기억부(11)에 남길 수 있으며, 기억부(11) 내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쌍을 선택할 때, 유사도가 가장 높은(거리가 가장 가까운)쌍부터 우선하여 선택토록 하였으므로, 가능한 한 특성이 다른 복수의 세트를 남길 수 있다.
실시예 3에서는, 쌍의 한쪽을 삭제할 때, 성능평가치가 좋은 쪽의 세트를 남기고, 나쁜 쪽의 세트를 삭제했으므로, 기억부(11) 내의 복수의 세트의 군관리성능을 전체로서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또,실시예 3에서는, 삭제하여야 할 유사쌍이 없어졌을 때에는, 성능평가치가 가장 나쁜 세트부터 순차로 삭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항상삭제종료판정치(Pe)까지, 불필요한 세트를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 4(탐색종료판정의 다른 실시예)]
다음, 탐색종료판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제1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의 설명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9도의 스텝 371에 있어서는, 평가회수(NE) 대신에 추가등록회수(NR)가 사용되고, 탐색종료판정치(NEa) 대신에 탐색종료판정치(NRb)가 사용된다.
추가등록회수(NR)로서는, 예컨대 200회가 설정되어 있다.
즉, NRNRb일 때에는, 스텝 372에서 탐색허기 플래그 FLAG를 [1]에 설정하여 탐색을 계속시키며, NR≥NRb로 되면, 스텝 373에서 탐색허가 플래그 FLAG를 [0]으로 설정하여 탐색을 종료시킨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탐색회수(NE)가 큰 치로 되며, 탐색이 어느 정도 수렴된 경우에는, 탐색회수에 대한 추가등록회수의 비율은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탐색을 하기 위하여는 탐색이라는 처리에 대한 성과, 즉 추가 등록된 세트의 개수를 고려하여 탐색송료의 판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시예 4에서는, 추가 등록한 회수를 나타내는 추가등록회수(NR)가 탐색종료판정치(NRb)로 될 때까지 탐색을 계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과 같이, 실시예 4에 의하면, 탐색이 충분히 실행되기 전에, 탐색이 종료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5(탐색종료판정의 다른 실시예)]
다음, 탐색종료판정의 다른 실시예를 제27도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5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중심을 설명한다.
제27도는, 실시예 5의 탐색종료프로그램(37)을 나타내며, 실시예 1의 제19도에 상당한다.
스텝 431에 있어서, NEH=NE-NFX의 식에 의하여, 경과평가회수(NEH)를 연산한다.
여기서, 경과평가회수(NEH)는 전회의 종료판정을 한 후의 새로이 평가한 회수이다.
전회의 판정시 평가회수(NEX)는, 전회의 종료판정을 하였을 때의 평가회수(NE)의 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스텝 432에서, 전회부터 소정회수이상의 평가를 행하였나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경과평가회수 NEH가 소정치 NEb 미만이면, 스텝 433에서 탐색을 계속하기 위하여 탐색허가 플래그 FLAG를 「1」에 설정한다.
또한, 경과 평가회수 NEH로서는 예컨대 20회가 설정된다.
만일, 경과평가 회수(NEH)가 소정치(NEH) 이상이면, 스텝 434로 진행하고, 여기서 성공지표(RSC)의 연산을 한다.
먼저, NRH=NR-NRX 식에 의하여, 신규등록회수(NRH)를 연산한다.
여기서, 신규등록회수(NRH)는, 전회의 종료판정을 한 후 새로이 세트를 추가 등록한 회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성공지표(RSC)를, RSC=NRH÷NEH의 식에서 연산한다.
여기서, 전회의 판정시 등록회수(NRX)는, 전회의 종료판정을 하였을 때의 추가등록회수(NR)의 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의 스텝 435에서는, 현시점에서의 평가회수(NE)와 추가등록회수(NR)에 기준하여, 전회의 판전시 평가회수(NEX)및 전회의 판정시 등록회수(NRX)의 갱신을 한다.
스텝 436에서는, 평가회수(NE), 탐색종반판정치(NEc), 성공지표(RSC), 탐색종료판정치(RSCa)에 기준하여, 탐색을 종료할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탐색종반 판정치(NEc)로서는, 예컨대 600회가 설정된다. 또, 탐색종료판정치(RSCa)로서는, 예컨대 0.05가 설정된다.
만일, NENEC 또는 RSC≥RSCa이면, 아직 충분히 탐색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스텝 433에서, 탐색을 계속하기 위하여 탐색허가 플래그 FLAG를 [1]로 설정한다.
또, NE≥NEC, 및 RSCRSCa이면, 탐색이 충분히 되였다고 판단하고, 스텝 437에서, 탐색을 종료하기 위차여 탐색허가 플래그 FLAG를 [0]에 설정한다.
스텝 436에서, 평가회로(NE)에 관한 조건을 포함한 것은, 탐색의 초기에 있어서, 초기세트 SPS0, 교차율 CP, 돌연변이율 MR의 크기에 따라, 성공지표가 낮게 되어 충분한 회수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탐색이 종료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가 없으면, 탐색종료의 판정조건에 평가회수(NE)에 관한 조건은 필요 없으며, 성공지표(RSC)에 관한 조건으로 충분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실시예 5에서는, 평가회수와 추가등록회수에 기준한 성공지표(RSC)에 의하여, 탐색의 종료판정을 하였으므로, 탐색이 충분히 수렴하였나 어떤가를 정도 좋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탐색을 반복할 필요가 없이, 최적세트의 효율적인 탐색을 할 수 있다.
실시예 5에서는, 평가회수(NE)에 의해 탐색의 초기기간인 것을 검출하고, 초기기간 내에서는, 성공지표(RSC)가 탐색종료판정치(RSCa) 미만이 되어도 탐색을 종료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충분한 회수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대로 탐색이 종료될 우려가 없어진다.
[실시예 6(탐색종료판정의 다른 실시예)]
탐색종료판정부(17)의 다른 실시예를 제28도에 따라 설명한다.
또, 실시예 6의 설명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28도는, 실시예 6의 탐색종료판정프로그램(37)을 나타내며, 제19도에 상당한다.
스텝 451에서는, 각 세트간의 거리 DST(i,j)가 연산된다.
이 거리 DST(i,j)는, 상기 [31] 식에 따라 연산되므로, 이 연산은 실시예 3의 삭제프로그램(35)(제26도 참조)의 스텝 414와 동일하다.
스텝 452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한 거리 DST(i,j)에 기준하여, 유사세트, 즉 DST(i,j)≤DSTa로 되는 세트의 수 NHST(유사세트의 수)를 계수한다.
또한, DSTa는 세트가 유사한가 어떤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치이며,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25도에 설정되어 있다.
다음의 스텝 453에서는, 탐색종료판정치 NDSTa를 연산한다.
일반적으로, 탐색이 수렴하여지면, 최적세트의 주위에는, 많은 세트가 집중하여 오는 경향이 있다.
이 경향을 파악하는 지표의 하나로서, 상기의 유사세트수 NDST를 사용하고 모든 세트의 조합수에 대한 유사세트수 NDST의 비율로 탐색의 수렴을 판정한다.
그 비율에 대한 판정기준을 80%로 하면, 등록완료세트수가 P일 때, 모든 조합한 수는 {Px(P-1)÷2)로 되므로, 탐색종fy판정치 NDSTa는
NDSTa={Px(P-1)÷2)X0.8
로 연산된다.
여기서, 추가 등록된 세트좌 수가 최대치(Pmax)에 달하면, 불필요한 세트가 소절의 기준으로 삭제되나, 이때, 어떻게 삭제하는가로, 유사세트수 NDST는 변화한다.
마찬가지로, 세트생성방법이나 추가 등록방법에 의하여도, 유사유닛수 NDST는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의 판정기준은 80%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요인에 따라 식의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스텝 454에서는, 유사유닛수 NDST와 탐색종료판정치 NDSTa에 기준하여, 탐색을 종료하는가 어떤가를 판정한다.
만일, NDSTNDSTa이면, 아직 충분한 탐색이 되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스텝 455에서 탐색을 계속하기 위하여 탐색허가 플래그 FLAG를 [1]로 설정하고, 탐색종료 프로그램(37)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NDST≤NDSTa로 되어 충분히 탐색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456에서 탐색을 종료하기 위하여 탐색허가플래그 FLAG를 [O]에 설정하고, 탐색종료 판정프로그램(37)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실시예 6에서는, 세트간거리 DST에 기준하여 탐색의 종료를 판단하므로, 탐색의 수렴을 정도 높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탐색을 반복할 필요가 없으며, 효율적인 탐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탐색종료 판정조건은 상기의 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조건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7(최적세트추출의 다른 실시예)]
다음에, 추출부(20)의 다른 실시예를 제29도에 의거 설명한다.
이 실시예 7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9도는, 실시예 7의 최적세트 추출프로그램(38)을 나타낸 것이며, 실시예 1의 제20도에 상당한다.
스텝 471에서는, 군관리성능데이터 PRE(1)∼PRE(P) 중에서 각각 평균대기시판 AWT(1)∼AWT(P)를 끄집어내고, 이들을 제1성능평가치 VPS1(1)∼VPS1(P)로 한다.
스텝 472에서는, 군관리성능데이터PRE(1)∼PRE(P)중에서, 긴 대기율RLW(1)∼RLW(P)를 끄집어내어, 이들을 제2성능평가치 VPS2(1)∼VPS2(P)로 한다.
스텝 473에서, 제1성능평가치 VPS1(1)∼VPS1(P)의 최소치를 구하고, 이것을 최량치 BVPE로서 설정한다.
스텝 474에서는, 성능평가치에 기준하여 최적세트(BP)를 선택한다.
즉, 기억부(11)에서, [(VPSI(1)∼BVPE)≤BZ]로 되는 복수의 세트 i를 찾아낸다.
또한, 그들 중에서, 제2성능평가치 VPS2(i)가 최소로되는 세트를 최적세트(RP)로서 선택한다.
즉, 2단계선발을 행한다.
또한, BZ는 최량체 BVPE에서의 허용범위를 나타내는 기준치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2초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최적세트 데이터 BPD를 작성하고, 다음의 스텝 388에서, 최적세트데이터 BPD를 군관리장치(1)에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실시예 7에서는, 최적세트추출에 2단계 선발을 적용하였으므로, 2개의 평가항목 중에서, 우선도가 정해진 경우에는, 그 우선도에 따른 추출을 실현할 수 있다.
물론, 3단계이상의 선발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7은, 상기의 성능평가함수예 6[30]가 의미하는 내용과 동일하다.
[실시예 8 (군관리성능치의 다른연산방법)]
실시예 1의 시뮬레이션장치(2) 대신에, 일본국 특개소 57-57168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실제의 군관리장치(1)를 이용하여, 신규세트에 관한 군관리성능을 구할 수도 있다.
이것을 제30도 및 제31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0도는, 실시예 8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실시예 1의 제1도에 상당한다.
제31도는, 군관리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실시예 1의 제9도에 상당한다.
다음에,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실시예 8을 설명한다.
제30도에서는, 군관리장치(1)에서 탐색장치(10)로 탐색조건신호(1a)가 입력되고, 탐색지령이 출력되면, 탐색장치(10)는, 연산프로그램에서의 스텝 33의 평가프로그램(제15도 참조)은 실행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뮬레이션조건데이터를 작성하며, 이것을 시뮬레이션조건신호(13a)로서 출력한다.
그러나, 제30도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신호(13)는 군관리장치(10)에 출력된다.
한편, 군관리장치(1)는 신호(13a)를 수신하면, 시운전모드에 들어간다.
이 동작을 제31도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1도에 있어서, 스텝 491에서, 시운전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스텝 492에서 시운전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시운전 플래그FLG가 [0]이고, 신호(13a) 내에 시운전개시의 지시가 없는 경우는, 스텝 221∼229에 따라서, 정상적 군관리운전을 실행한다.
한편, 스텝 492에서는, 신호(13a)의 내용에 의해, 시운전모드의 개시를 검출하면, 스텝 493에서, 시운전플래그 FLG를 [1]에 설정하고, 스텝 494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파라미터치 세트를 일시적으로 대피시킨다.
그리고, 그 대신에, 신호(13a)에 포함되어 있는 평가용세트(신규세트) NPSX를 기록한다.
그리고, 평상시의 군관리운전과 동일하게, 스텝 221∼229에 의하여 군관리운전을 시행한다.
시운전 중에서는, 시운전플래그FLG가 [1]이므로, 스텝 491에서 스텝 495를 경유하여 스텝 21-229에 의해 군관리운전을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군관리운전을 소정기간(예컨대 1시간)하면, 스텝 495에서 시운전의 종료를 검출하고, 스텝 496에서 시운전 플래그 FLG를 [0]으로 리셋하여, 스텝 497에서 대피시킨 파라미터세트를 복귀시키고, 동시에, 시운전에 관한 군관리성능데이터 PRF(평균대기시간, 긴 대기율 등)을 연산한다.
그리고, 스텝 498에서, 군관리성능데이터 PRF를 군관리성능신호(2a)로서, 탐색장치(10)에 출력한다.
이후, 평상의 상태로 돌아가, 스텝 221∼229에 의해 군관리운전을 한다.
이상과 같이, 시운전에 의해 군관리성능신호(2a)가 얻어지면, 제30도의 탐색장치(10)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군관리성능치신호(2a)에 기준하여 성능평가치 VPN을 취득하고, 이것을 평가기준치(BX)와 비교하여, 신규세트를 추가 등록할 것인가 여부를 판정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실시예 8에서는, 신규세트의 평가를 실제 장치에서 시행하므로서, 최적세트를 획득하는데 까지에 요하는 시간이 길게된다는 결점은 있으나, 시뮬레이션장치(2)가 불필요하게 되어, 시스템을 저가로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9(신규세트생성의 다른 실시예)]
실시예 1에서는, 교차율(CR)및 돌연변이율(MR)이 고정되어 있었다.
실시예 9는, 탐색상황에 따라 CR및 MR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를 제32도∼제34도를 사용하여 설명하여,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한다
제32도는, 실시예 9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며, 실시예 1의 제1도에 상당한다.
제32도에서는, 출현율수정부(4)에서, 교차율(CR)과 돌연변이율(MR)(각 생성방법의 선택율)을 탐색상황에 따라 수정하는 것이다.
제33도는, 실시예 9의 연산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실시예 1의 제11도에 상당한다.
스텝 50에 제32도의 출연율 수정부(4)의 기능에 상당하는 출현율 수정프로그램이 추가되는 이외에는, 제11도의 연사프로그램(100)과 동일하다.
제34도는, 출현율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텝 501에서는, 전회의 종료판정을 한 후에 새로이 평가한 회수를 나타내는 경과평가회수 NEH를, NEH=NE=NIX의 식으로 연산한다.
여기서, 전회의 판정시 평가회수NEX에는, 전회의 종료판정을 하였을 때의 평가회수(NE)와 통일한 치가 설정된다.
스텝 502에서는, 전회부터 소정회수 이상의 평가를 하였는가 어떤가를 판정한다.
만일, 경과평가회수 N가 소정치 NEb(예컨대, 20회)미만이면, 출현율수정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502에서, 경과 평가회수 NEH가 소정치 이상이면, 스텝 503에 진행하고, 여기서 성공지표 RSC의 연산을 한다.
먼저, 전회종료판정을 한 후에 새로 신규세트를 추가 등록한 회수를 나타내는 신규등록회수 NRH를 NRH=NR-NRX의 식으로 연산한다.
rm리고, 성공지표 RSC를 RSC=NRH÷NEH라는 식으로 연산한다.
여기서, 전회판정시등록회수 NRX에는, 전회종료판정을 하였을 때의 추가등록회수(NR)와 동일한 치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의 스텝 504에서는, 현시점에서의 평가회수(NE)와 추가등록회수(NR)에 기준하여, 전회판정시평가회수 NEX와 전회판정시등록회수 NRX를 갱신한다.
스텝 505∼510에서는, 평가회수 NE, 제1판정치 NEd1, 제2판정치NEd2, 성공지표 RSC, 성공율판정치 RSCb, 성공율판정치 RSCc에 기준하여, 교차율 CR와 돌인변이율 MR를 수정한다.
예컨대, NEd1=500, NEd2=800, RSCb=0.10, RSCc=0.05이다.
만일, NE≤NEd1, 그리고 RSC≤RSCb이면, 또는 탐색의 전반에 있어서 성공지표가 기대한 치보다도 낮은 상태이면, 현재 설정되어있는 교차율 CR과 돌연변이율 MR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스텝 505→507→509로 진행하며, 교차율(CR)을 현재치보다 조금만(예컨대 0.001) 작게 하고, 또, 돌연변이율(MR)을 현재 치보다 조금만(예컨대 0.001) 크게한다.
또한, 스텝 509에서는, 상기의 수정과는 반대로, 교차율(CR)을 현재 치보다 약간(예컨대, 0.001) 크게 설정하고, 돌연변이율(MR)을 현재 치보다 약간(예컨대 0.001)작게 설정할 수 도 있다.
부진한 성공지표의 타개에는, 기본적으로, 어느 방법도 적용할 수 있다.
즉, 교차율(CR)이 사용하기에 너무 크면, 교차율(CR)을 작게 하고, 또 돌연변이율(MR)을 크게하면 된다.
한편, 교차율(CR)이 사용하기에 너무 작으면, 교차율(CR)을 크게 하고, 또, 돌연변이율(MR)을 작게 하면 된다.
결국, 탐색이 여의치 않은 상태이면, 각 생성방법의 선택 확율의 비를 변화시켜, 여의치 않은 상태를 타개하도록 하면 된다.
만일 NE≥NEd2, 그리고 RSC≤RSC이면은, 즉 탐색의 종반에 있어 성공지표가 기대한 치보다 낮은 상태로 되면, 우량세트의 탐색이 거의 수렴되어 가고 있다고 판단하고, 스텝 505→506→508→510으로 진행하며, 교차율(CR)을 현재 치보다 약간(예컨대 0.001) 크게 하며, 돌연변이율(MR)을 현재 치보다 약간(예컨대, 0.001) 작게 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치 않으면, 현재 설정되어있는 교차율(CR) 및 돌연변이율(MR)을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이들의 치의 수정을 하지 않고, 출현율 수정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실시예 9에서는, 평가회수(NE)와 성공지표(RSC)에 기준하여 탐색의 직행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교차율(CR) 및 돌연변이율(MR)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교차율(CR) 및 돌연변이율(MR)을 고정 설정한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세트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또 탐색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탐색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9에서는, 특히, 탐색의 초기(전반)에 있어서, 성공지표가 기대한 치보다 낮은 상태로 되면, 교차율(CR)을 현재의 치보다 낮게, 또 돌연변이율(MR)을 현재의 치보다 높게 설정하였으므로, 돌연변이에 의한 광역적 탐색을 중시하여, 보다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은 세트가 생성될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탐색의 부진 상태를 타개할 수 있다.
실시예 9에서는, 탐색의 종반(후반)에 있어서, 성공지표가 기대한 치보다 낮은 상태로 되면, 교차율(CR)을 현재의 치보다 높게, 돌연변이율(MR)을 현재의 치보다 낮게 설정하였으므로 국부적 탐색을 중시하여, 탐색을 초기에 수렴시킬 수 있다.
또, 탐색의 부진상태를 타개할 수 가 있다.
[실시예 10(출현율 수정의 다른 실시예]
출현율 수정부(4)의 다른 실시예를 제35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35도는 출현율 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실시예 9의 출현율 수정프로그램(제34도 참조)을 일부 수정한 것이다.
제35도에 있어서, 스텝 502에서는, 일정한 평가회수NEb(예컨대, 40회)에 도달한 것을 판정한다.
스텝 506에서는, 탐색의 종반인 것(즉, NE≥NEd2)을 판정한다.
그리고, 최후에, 스텝 510에서 교차율(CR)을 현재치보다 약간(예컨대,0.001) 크게 설정하고, 돌연변이율(MR)을 현재치보다 약간(예컨대, 0.001)작게 설정한다.
따라서, 탐색의 종반에서는, 탐색이 진행함에 따라서 점차로 교차율(CR)의 치는 커지며, 돌연변이율(MR)의 치는 반대로 작게 되어간다.
또한, 상기 이외의 동작은, 실시예 9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실시예 10에서 큰 탐색의 진행에 맞추어, 돌연변이를 중시한 생성에서 교차를 주제로 하는 생성으로 전환하므로, 탐색의 초기(전반)에서는, 군 관리 성능의 다양성을 확보하며, 한편, 탐색의 종반(후반)에서는, 탐색의 조기수렴을 도모할 수 가 있다.
그 결과, 보다 우수한 군 관리 성능을 갖는 세트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실시예 11(교차쌍 선택의 다른 실시예)]
다음, 실시예 11을 제36도∼제3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36도에는, 실시예 1의 시스템 구성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교차대상으로 되는 세트의 쌍(교차쌍)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세트간 거리가 이용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세트간거리에 대한조건(이하, 거리조건이라 함)을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제36도의 모체선택조건 수정부(5)는, 탐색상황에 따라, 거리조건을 수정하는 것이다.
제37도는 실시예 11의 연산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실시예 1의 제11도에 상당한다.
제37도에서, 스텝 31에서는, 신규 세트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그의 동작은, 실시예 1에 관한 제14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으나, 실시예 11에서는, 교차쌍 PS1, PS2를 선택하는 처리(스텝 317)가 실시예 1과 크게 다르다.
또, 스텝 52에서는, 모체선택조건 수정부(5)(제36도 참조)에 상당하는 모체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이 추가되고, 상기한 거리조건의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제38도는, 신규 세트 생성프로그램(31)(제14도 참조)에 포함된 스텝 317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8도에 있어서, 스텝 317a에서는, 카운터(RC)의 치가 0으로 초기 설정된다.
이 카운터(RC)는, 이 실시예에서는, 세트간 거리조건을 사용하여 쌍의 선택을 한 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또한, 세트간 거리는, 상기의 [31]식으로 계산된다.
다음의 스텝 317b에서는, 성능 평가치의 크기에 기준하여 선택 확율에 가중치를 준 다음, 쌍으로 되는 2개의 세트(PS1,PS2)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다음의 스텝 317c에서는 거리조건을 사용한 세트선택이 소정회수(예컨대, 10회)이상, 이루어졌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3176∼317h를 소정 회수이상 반복하여도, 거리조건을 만족하는 2개의 세트(PS1,PS2)를 선택할 수 없을 때에는, 스텝 317b에서 선택된 2개의 세트(PS1,PS2)를 교차시키는 쌍으로 결정한다.
한편, 거리조건을 이용한 세트선택의 회수가 소정 회수미만(RC10)일 경우에는, 스텝 317c→317d로 진행하고, 먼저, 카운터(RC)를 1만큼 증가시킨다.
그리고, 스텝 317e에서는, 스텝 317e에서 선택된 2개의 세트(PS1,PS2)간의 거리(DST)를 연산한다.
즉, [31]식과 동일하게
DSF=∥EPS(PS1)-EPS(PS2) ∥
를 연산한다.
각 파라미터치는, 상기와 동일하게, 0과 100사이의 수치로 정규화되어있다.
스텝 317e에서, 거리(DST)가 연산되면, 스텝 317f∼317h에서는, 교차쌍의 선택조건의 하나인 거리조건을 만족하는가의 여부 판정이 행하여진다.
만일, 조건 선택 플래그 SELS가 (1)에 설정되고, 제1선택조건이 거리 조건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317f→317g로 진행하고, 여기서, 거리(DST)가 제1선택기준치 DSTb1 이상인가 어떤가를 판정한다.
DST〈DSTb1일 때에는, 거리 조건을 만족치 않은 2개의 세트(PS1,PS2)는 파기되고, 다시 스텝 317b로 돌아가서, 최초부터 동일한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조건선택플래그 SELS가 (2)에 설정되어있고, 제2선택조건이 거리조건으로서 지정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통일하게, 스텝 317h에서 거리(DST)가 제2선택기준치 DSTb2이하인가 여부를 판정하고, DST〉DST2일 때에는, 선택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스텝 317b에 돌아가 처음부터 다시 한다.
이와 같이, 거리조건의 판정을 소정회수(10회)이상 하든가, 또는, 여기까지에 거리조건을 만족하는 2개의 세트를 발견할 때까지, 스텝 317b∼317h의 동작이 반복된다.
도중에, DST≥ DSTb1, 또는 DST≤ DSTb2로 되는 2개의 세트가 생성되면, 이 2개의 세트를 정규의 교차쌍 PS1, PS2로 하고, 다음의 스텝 318로 진행한다.
스텝 318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거리조건을 이용하여 교차쌍의 선택을 할 수 있다.
이 거리조건은, 선택조건수정 프로그램(52)에 의하여, 탐색상황에 따라 수정된다.
제39도에는, 스텝 52의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제37도 참조)의 상세한 내용이 표시되어있다.
스텝 521∼534에서는, 실시예 9의 출현율 수정프로그램(50)(제34도 참조)의 스텝 501∼504와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지며, 성공지표 RSC가 연산된다.
이 성공지표는, 일반적으로 추가등록회수/평가회수로서 정의된다.
스텝 525∼536에서는, 평가회수 NE, 제1판정치 NEd1, 제2판정치 NEd2, 성공지표 RSC, 성공율판정치 RSCd, RSCe, RSCf를 이용하여, 선택기준치 DSTb1 및 DSTb2의 수정을 한다.
예컨대, NEdl=500, NEd2=800, RSCd=0.10, RSCe=0.05, RSCf=0.05이다.
또한, 초기 설정프로그램(28)(제13도)의 스텝 283에서, 예컨대, SELS=1, DSTb1=250, DSTb=2로 설정되어있다.
스텝 525에 있어서, NE≤ NEd1 즉, 탐색이 아직[전반]으로 판단되면, 스텝 527에서 SELS에 [1]을 설정하고, 교차쌍 선택조건으로서 제1선택조건을 지정한다.
그리고, 스텝 529에서, 성공지표 RSC와 성공율판정치 RSCd를 비교한다.
성공지표 RSC가 성공율판정치 RSCd보다 낮은 경우에는 (RSC≤ RSCd),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제1선택기준치 DSTb1의 치가 너무 제한되므로, 조건에 맞는 세트수가 작으며 성공지표 RSC가 높게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며, 스텝 531에서, 제1선택기준치 DSTB1의 치를 약간(예컨대, 5%)작게 설정한다.
한편, NE≥ NEd2 즉 탐색이 [종반]인 경우에는, 스텝 525→526→528로 진행하고, SELS에 [2]를 설정하여, 교차쌍 선택조건으로서 제2선택조건을 지정한다.
스텝 529에서 성공지표 RSC와 성공율판정치 RSCf를 비교한다.
성공률 판정치 RSCf보다 낮을 때는 (RSC ≤ RSCf) 현재 설정되어있는 제2선택기준치 DSTb2의 치가 너무 제한되어 있으므로, 조건에 맞는 교차세트의 수가 작고 성공율지표 RSC가 높게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스텝 532에서, 제2선택기준치 DSTb2의 치를 약간(예컨대, 5%)크게 설정한다.
성공지표 RSC가 성공율판정치 RSCf보다 높을 때는, 현재 선택중의 교차쌍 선택조건의 선택기준치는 현상의 치로서도 문제없다고 판단하고, 그대로 그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52)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525 및 526에서, NEd1〈 NE 〈 NEd2, 즉 「중반」 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533에서 성공지표 RSC가 성공판 정치 RSCe와 비교된다.
성공지표 RSC 가 성공판정치 RSCe보다 낮을 경우에는 (RSC≤ RSCe), 현재의 선택조건이 부적절하다고 생각되므로, 선택조건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스텝 534에서 현재의 선택조건이 제1, 제2인가를 판단한 후, 스텝 535에서, 선택조건을 제2선택조건으로 변경하고(SELS=2), 또는, 스텝 536에서, 선택조건을 제1 선택조건으로 변경한다(SELS=1).
성공지표 RSC가 성공판정치 RSCe보다 높을 때에는, 현재 선택중인 선택조건은 문제 없다고 판단하여 그대로 그의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52)의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실시예 11에서는, 2개의 세트사이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세트간거리를 교차쌍의 선택기준으로 하였으므로, 광역적인 탐색과 국소적인 탐색의 양쪽 성질을 활용하여 신규 세트생성을 할 수 있다.
즉, 세트간 거리가 제1선택기준치 DSTb1 이상으로 되는 쌍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될 수 있는 한 특성이 다른 2개의 세트간에서 교차를 시키도록 하면, 벗어남이 많고 수렴성은 나쁘게 되나, 보다 우수한 군 관리성능을 갖는 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세트간 거리가 제2선택기준치 DSTb2 이하로 되는 쌍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될 수 있는 한 특성이 비슷한 세트간에서 교차를 하도록 하면, 대단히 우수만 군관리성능을 갖는 세트가 생성되는 가능성은 낮아지나, 아주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는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가 있다.
실시예 11에서는, 특히, 평가회수에 의해, 탐색의 초기 또는 종반을 판단하고, 탐색의 초기에는, 세트간 거리가 제1선택기준치 DSTb1 이상으로 되는 쌍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광역적긴 탐색을 중시하고, 한편, 탐색의 종반에는, 세트간거리가 제2선택기준치 DSTb2이하로 되는 쌍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탐색의 수렴성을 중시하였으므로, 탐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에서는, 특히, 세트간 거리가 제1선택기준치 DSTb1 이상으로 되는 쌍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교차쌍 선택조건을 사용하여 탐색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탐색포기에, 성공지표 RSC가 기대하고 있는 치보다도 낮아지면, 교차쌍 선택조건이 현재보다도 부드럽게 되도록 제1선택기준치 DSTb1을 현재 치보다 작게 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설정된 제1선택기준치 DSTb1이 부적절하기 때문에 탐색이 부진한 경우에, 적절한 제1선택기준치 DSTb1을 자동적으로 설정하여 그의 부진상태를 타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1에서는, 특히, 세트간거리가 제2선택기준치 DSTb2 이하로 되는 쌍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고 하는 교차쌍 선택조건을 사용하여 탐색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탐색의 종반에서, 성공지표의 치 RSC의 치가 기대하고 있는 치보다도 낫게 되면, 교차쌍 선택조건이 현재보다도 부드럽게 되도록 제2선택기준치 DSTb2를 현재의 치보다 크게 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설정된 제2선택기준치 DSTb2가 부적절하기 때문에 탐색이 부진한 경우에, 적절한 제2선택기준치 DSTb2를 자동적으로 설정하여, 그의 부진상태를 타개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1에서는, 특히, 탐색의 중반에서, 제1교차쌍 선택조건을 사용하여 탐색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성공지표 RSC의 치가 기대하고 있는 치보다도 낮게 되면, 제2교차쌍 선택조건으로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선택조건이 현재의 상황에 적응되지 않고 탐색이 부진한 경우, 자동적으로 적절한 선택조건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또, 실시에 11에서는, 특히, 탐색의 종반에서, 제2교차쌍 선택조건을 사용하여 탐색을 할 경우에, 성공지표 RSC의 치가 기대하고 있는 치보다 낮게 되면, 제1교차쌍 선택조건으로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선택조건이 현재의 상황에 적응되지 않고 탐색이 부진하고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적절한 선택조건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실시예 12(교차쌍선택의 다른 실시예)]
선택조건수정부(5)의 다른 실시예를 제40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40도는, 선택조건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예 11의 선택조건수성프로그램(52)(제39도 참조)의 일부를 수정한 것이다.
제40도에 있어서, 스텝 522에서는, 평가회수가 일정수 NEb(예컨대 50회)인 것을 판정한다.
스텝 526에서는, 제2기간(종반)인가 어떤가를 판정하고, 제2기간이 외(NENEd2)이면, 스텝 527에서 교차쌍 선택조건으로서 제1조건을 지정하고, 스텝 531에서 제1선택기준치 DSTb1을 약간 작게(예컨대, 2%) 설정한다.
한편, 스텝 526에서, 제2기간(즉, NE≤NEd2)이라고 판정되면, 스텝 528에서, 교차세트선택조건으로서 제2조건을 지정하고, 스텝 532에서 제2선택기준이 DSFb2를 약간 작게(예컨대, 2%)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12에서는, 제1선택기준치 DSTb1을 사용한 교차쌍선택조건이 사용되는 기간 내에 있어서, 탐색진행도에 따라, 그의 교차쌍선택조건을 전환할 수가 있다.
즉, 그 기간의 초기에서의 제1선택기준치 DSTb1의 치를 그 기간의 종반에서의 치보다도 크게 설정했으므로, 그 기간의 초기에 있어서는 군관리성능치의 다양성을 중시하고, 그 기간의 종반에 있어서는 탐색의 수렴성을 중시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실시예 12 에서는, 제2선택기준치 DSTb2를 사용한 교자쌍 선택조건이 사용되는 기간 내에 있어서, 탐색진행도에 따라, 그의 교차쌍선택조건을 전환할 수 있다.
즉, 그 기간의 초기에서의 제2선택기준치 DSTb2의 치를 그 기간의 종반에서의 치보다 작게 설정하였으므로, 그 기간의 초기에 있어서는 군관리성능의 다양성을 중시하고, 그 기간의 종반에 있어서는 탐색의 수렴성을 중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선택조건을 전환함으로서, 탐색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3(교차쌍 파라미터선택의 다른 실시예)]
실시에 1에서는, 2개의 모체세트에 관해서, 파라미터치의 교환이 시행되는 교차파라미터(파라미터위치)를 랜덤으로 선택했다.
실시예 13의 생성부는, 파라미터의 차(파라미터 편차)를 파라미터 선택조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탐색상황에 따라, 그의 파라미터선택조건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성부에 대해서, 제41도 및 제42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실시예 11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1도는, 실시예 13의 신규세트 생성프로그램(31)(제14도 참조)에 있는 스텝 318의 내용이 표시되고 있다.
제41도에 있어서, 스텝 318a에서는, 카운터 RC의 치가 0으로 초기 설정된다.
카운터 RC는, 이 실시예에서는, 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의 하나인 파라미터편차 조건을 판정만 회수의 카운트를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스텝 318b에서는, 0에서 25까지의 사이에서, 난수를 1개 발생시켜, 그의 난수의 치에 의하여 파라미터번호(PX)를 특정화한다.
이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스텝 381c에서는, 파라미터 편차조건을 판정한 회수와 소정회수를 비교한다
스텝 318d∼318h를 소정회수(예컨대, 10회) 이상 반복하여도, 파라미터 편차조건을 만족하는 교차파라미터(PX)를 발견하지 못할 때에는, 파라미터 편차조건을 고려한 선택을 충분히 하였다고 판단차고, 스텝 318의 처리를 종료하며 스텝 318b에서 선택한 파라미터 번호(PX)를 교차파라미터의 번호로서 결정한다.
한편, 스텝 318c에서, 파라미터 편차조건을 판정한 회수가 소정회수 미만(RC10)일 때는, 스텝 318c→318d로 진행하고, 카운터(RC)를 1만큼 증가시킨다.
다음의 스텝 318e에서는, 선택된 2개의 세트(PS1,PS2)에서의 각각 PX번째의 수치의 차[0↔EPS(PS1)PX-EPS(PS2)PX1]를 연산하고, 이것을 거리 DSTP로 한다.
각 파라미티치는, 0에서 100까지 사이의 수치를 변환하고, 정규화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최적세트추줄프로그램(38)(제20도 참조)의 스텝 387에서, 최적세트데이터 BPD를 작성할 때에, 군관리장치(1)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치로 재변환된다.
상기와 같이, 스텝 318e에서, 2개의 세트(PS1,PS2)의 PX번째의 파라미터치의 차 DSTP가 연산되어, 다음에 스텝 3181∼318h에서, 선택 지정된 편차조건이 만족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파라미터 편차조건으로서 제1선택조건이 지정(SELS=1)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318f→318g로 진행하고, 편차 DSTP가 제1선택기준치 DSTC1 이상인가 어떤가를 판정한다.
DSTPDSTC1일 때에는, 파라미터 편차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교자파라미터(PX)가 파기되고, 다시 스텝 318b에 돌아가, 최초부터 동일한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파라미터편차조건으로서 제2선택조건이 지정(SELS=2)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스텝 318h에서, 편차 DSTP가 제2선택기준치 DSTC2 이하인가 어떤가를 판정하고, 선택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DSTP) DSK2), 스텝 318b로 돌아가 최초부터 다시 시작한다.
파라미터편차조건을 소정회수(10회)이상을 판정하던가 또는 파라미터 편차조건을 만족하는 교차파라미터가 발견될 때까지, 스텝 318b∼318h의 동작이 반복된다.
도중에서 DSTP≥DSTc1, 또는 DSTP≤DSTC2로 되는 교차파라미터(PX)가 검출되면, 그것이 정규의 교차파라미터(PX)로 결정되고, 다음의 스텝 319로 실행한다.
스텝 319 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탐색상황에 따라, 상기의 선택조건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제42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42도는, 연산프로그램(100)(제37도 참조)의 스텝 52의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13에서의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은, 스텝 531과 532 이외는, 실시예 11에서의 선택조긴 수정프로그램(52)(제39도)과 동일하다.
여기서, 선택기준치 DSTc1 및 DSTc2의 보정을 하는 스텝 529∼532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초기설정프로그램(28)(제13도 참조)의 스텝 283에서, 지정데이터 SELS=1, 선택기준치 DSTc1=50, 선택기준치 DSTC2=5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탐색의 초기(NE≤NEd1)에 있어서, 제1선택조건을 선택 중(SELS=1)에, 성공지표 RSC가 기대한 치 RSCd보다 낮은(RSC≤RSCd)경우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제1선택기준치 NSTc1의 치가 제한되어 부적절하기 때문에, 조건에 맞는 교차파라미터의 수가 작고 성공지표 RSC가 높게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스텝 529→ 531로 진행하며, 제1선택기준치 DSTc1의 치를 약간(예컨대, 5%) 작게 설정하고, 이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52)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탐색의 종반(NE≥NEd2)에 있어서, 제2선택조건을 현재 선택 중(SELS=2)이고, 성공지표 RSC가 기대한 치 RSCf보다도 낮은(RSC≤RSCf) 경우에는, 현재 설정되어있는 제2선택기준치 DSTc2의 치가 제한되어 부적절하기 때문에 조건에 맞는 교차파라미터의 수가 작고 성공지표 RSC가 높게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스텝 530→532로 진행하며, 제2선택기준치 DSTC2의 치를 약간(예컨대, 5%) 크게 설정한다.
또한, 성공지표 RSC가 기대한 치 RSCd보다도 높을 때에는, 현재 선택 중의 선택조건의 선택기준치는, 현상의 치로서도 문제없다고 판단하여, 그대로 그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52)의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실시예 13에서는, 선택된 2개의 세트의 유사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편차를 구하고, 그 파라미터편차에 기준하여 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이 설정되므로, 군관리성능의 다양성과 탐색의 수렴성의 양쪽을 고려한 생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파라미터편차가 제1선택기준치 DSTc1 이상으로 되는 제어파라미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될 수 있는 한 특성이 다른 파라미터를 교차시키면, 벗어남이 많고 탐색의 수렴성은 나쁘게 되나, 대단히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는 신규세트가 생성된 가능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상기 파라미터 편차가 제2선택기준치 DSTC2 이하로 되는 제어파라미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될 수 있는 한 특성이 비슷한 파라미터를 교차시키면, 대단히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는 신규세트가 생성될 가능성은 낮아지나,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는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 13에서는, 평가회수에 의해, 탐색의 초기 또는 종반을 판단하고, 탐색의 초기에는, 파라미터 편차가 제1선택기준치 DSTc1 이상으로 되는 제어파라미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군관리성능의 다양성을 중시한 탐색을 할 수 있으며, 한편, 탐색의 종반에서는, 파라미터 편차가 제2선택기준치 Dsrc2 이하로 되는 제어파라미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탐색의 수렴성을 중시한 탐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탐색시기에 따라 군관리성능의 다양성과 탐색의 수렴성의 양쪽을 고려한 신규세트의 생성을 할 수 있다.
실시예 13에서는, 제1선택기준치 DSFc1을 사용한 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을 사용하여 탐색을 하고 있을 때, 탐색의 초기에 있어서, 성공지표 RSC의 치가 기대하고 있는 치보다도 낮게되면, 상기 선택조건이 현재보다 부드럽게 되도록 제1선택기준치 DSFc1를 현재 치보다 작게 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제1선택기준치 DSTc1의 설정치가 부적절하기 때문에 탐색이 부진한 경우, 그의 치를 자동적으로 적절한 치로 수정할 수 있다.
실시예 13에서는, 제2선택기준치 DSFC2를 이용한 교차파라미터선택조건을 사용하여 탐색을 하고 있을 때, 탐색의 종반에서, 성공지표 RSC의 치가 기대하고 있는 치보다도 낮게되면, 상기 선택조건이 현재보다 부드럽게 되도록 제2선택기준치 DSTC2를 현재 치보다 크게 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제2선택기준치 DSTC2의 실정치가 부적절하기 때문에 탐색이 부진할 경우, 그의 치를 자동적으로 적절한 치로 수정할 수 있다.
실시예 13에서는, 탐색의 중반에 있어서, 제1선택기준치 DSTc1을 이용한 제1교자파라미터선택조건을 사용하여 탐색을 할 때, 성공지표 RSC의 치가 기대하고 있는 치보다도 낮게 되면, 제2선택기준치 Dsrc2를 이용한 제2교차파라미터선택조건으로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제1교차 파라미터 선택조건이 현재의 상황에 부적절하여 탐색이 부진한 경우, 자동적으로 적절한 선택조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13에서는, 탐색의 중반에 있어서, 제2선택기준치 DSTC2를 이용한 제2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을 사용하여 탐색을 하고 있을 때, 성공지표 RSC의 치가 기대하고 있는 치보다도 낮아지면, 제1선택기준치 DSTc1을 이용한 제1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으로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제2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이 현재의 상황에 부적절하여 탐색이 부진할 경우, 자동적으로 적절한 선택조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탐색상황에 따라 선택기준치의 변경이나 선택조건의 전환을 하므로, 탐색부진상태에서의 타개를 하여, 탐색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14(선택조건수정의 다른 실시예)]
선택조건수정부(5)의 다른 실시예를 제4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43도는,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52)의 동작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실시예 13의 선택조건 수정프로그램(52)(제42도 참조)의 일부를 수정한 것이다.
제43도에서, 스텝 522에서는, 평가한 회수가 소정치 NEb(예컨대, 5O회)로 된 것을 판정한다.
스텝 526에서는, 제2기간(종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제2기관 이외(NE≥NEd2)이면, 스텝 527에서 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으로서 제1조건을 지정하고, 스텝 531에서, 제1선택기준치 DSTc1을 약간(예컨대, 2%) 작게 설정한다.
한편, 스텝 526에서, 제2기간(즉, NE≥NEd2)이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528에서, 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으로서 제2조건을 지정하고, 스텝 532에서, 제2선택기준치 DSTc2를 약간(예컨대, 2%) 작게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파라미터편차에 관한 조건을 탐색상황에 따라 변경한다.
또한, 상기 이외의 동작은, 실시예 13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파라미터 편차에 관한 조건을 탐색상황에 따라 변경한다.
또한, 상기 이외의 동작은, 실시예 13과 동일하다.
상기에 설명한 것 같이, 실시예 14에서는, 제1선택기준치 DSTc1을 이용한 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을 사용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그 기간의 초기에서의 제1선택기준이 Dsrc1의 치를 종반에서의 치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그 기간의 초기 쪽이 종반보다 엄격하게 되도록 상기 선택조건을 설정하였으므로, 그 기간의 초기에 있어서는 군관리성능의 다양성을 중시할 수 있으며, 종반에 있어서는 탐색의 수렴성을 중시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4에서는, 제 2선택기준치 DSTC2를 이용한 교차파라미터 선택조건을 사용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그 기간의 종반에서의 제2선택기준치 DSTc2의 치를 초기에서의 치보다도 작게 실정하고, 그 기간의 종반 쪽이 초기보다 엄격하게 되도록 상기 선택조건을 설정하였으므로, 그 기간의 초기에 있어서는 군관리성능의 다양성을 중시할 수 있으며, 종반에 있어서는 탐색의 수렴성을 중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9∼실시예 14에서는, 평가회수 NE에 따라 탐색의 전반/후반, 또는 초기/종반 등을 판정하였다. 그의 평가회수 NE 대신에, 추가등록회수 NR을 사용하여, 탐색의 전반/후반, 또는 초기/후반 등을 판정하여도 좋다.
[실시예 15(파라미터선택의 다른 실시예)]
다음, 제44도 및 제45도를 이용하여, 생성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5에서는, 교통흐름 특성과의 관련정도 및 군관리성능의 평가항목과의 관련정도의 양쪽에 기준하여, 각 파라미터마다의 선택확률(출현율)이 설정된다.
실시예 15의 기본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므로, 실시예 2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을 설명한다.
제44도에는, 신규세트 생성프로그램(31)(제14도 참조)에서의 스텝 318의 내용이 표시되고 있다.
제44도에 있어서, 스텝 318j∼318q에서, 교통흐름사양에 따라, 25개의 파라미터에 대한 파라미터 출현율 RPA(1)∼RPA(25)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스텝 318j∼3181에서, 교동흐름사양데이터 TRS에 포함되는 전승객수, 현관층 교통비율, 상향교통비율, 하향교통비율 등의 내용에 따라, 교통흐름의 종류를 판단한다.
즉, 현재의 교통상황이 출근시간대, 업피크, 다운피크 및 평상시간대 중에서, 어느 상황에 있는가를 판정한다.
평상시간대로 판정하면, 스텝 318m에서, 미리 평상시간대용으로 준비하여놓는 각 파라미터마다의 출현율 RPA1(1)∼RPA1(25)를 파라미터 출현율 RPA(1)∼RPA2(25)로서 설정한다.
이것과 동일하게, 출근시간대일 때에는, 스텝 318n에서, RPA2(1)∼RPA2(25)를 파라미터 출현율 RPA(1)∼RAP(25)로서 설정하며, 업피크시에는, 스텝318p에서, RPA3(1)∼RPA3(25)를 파라미터 출현율 RPA(1)-RPA(25)로서 설정하며, 다운피크시에는 스텝 318q에서 RPA4(1)∼RPA4(25)를 파라미터 출현율 RPA(1)∼RPA(25)에서 설정한다.
제45도의 1OB에는, 교통흐름마다에 준비된 파라미터 출현율 RPA1(1)~RPA1(25), RPA2(1)∼RPA2(25), RPA3(1)∼RPA3(25) 및 RPA4(1)∼RA4(25)가 표시되어 있다.
제45도에서는, 교통흐름의 특성이 평상시간대인 경우에 있어서는, 파라미터 출현율 RPA1(1)∼RPA1(2)에 관하여, 그의 교통흐름과의 관련성이 높은 파라미터(파라미터 번호=1∼9.22∼25)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10으로 설정되고, 거의 관련성이 없는 파라미터(파라미터 번호=18∼21)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중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0∼17)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5로 설정되어 있다.
교통흐름의 특성이 출근시간대의 경우에 있어서는, 파라미터 출현율 RPA2(2)∼RPA2(25)에 관해서, 그의 교통흐름과의 관련성이 높은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9, 18∼21)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10으로 설정되고, 거의 관련이 없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0∼17)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중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22∼25)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5로 설정되어 있다.
교통흐름의 특성이 업피크의 경우에 있어서는, 파라미터 출현율 RPA3(1)∼RPA3(25)에 관해서, 그의 교통흐름과의 관련성이 높은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3)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10으로 설정되고, 거의 관련이 없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 14∼21)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중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22∼25)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5로 설정되어 있다.
교통흐름의 특성이 다운피크의 경우에는, 파라미터 출현율 RPA4(1)∼RPA4(25)에 관해서, 그의 교통흐름과의 관련성이 높은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9, 14∼17)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10으로 설정되고, 거의 관련이 없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8∼21)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중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22∼25)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5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스텝 318j∼318q에서, 교통흐름사양에 따라, 25개의 제어파라미터에 대한 파라미터 출현율 RPA(1)∼RPA(25)를 설정한다.
또한, 교통흐름마다에 출현율 RPA1(1)∼RPA1(25), RPA2(1)∼RPA2(25) 및 RPA3(1)∼RPA3(25), RPA4(1)∼RPA4(25)의 치는 제45도에 표시된 치에 한하지 않는다.
각 교통흐름특성과의 관련정도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면 어떠한 치를 설정하여도 된다.
또, 제어파라미터간을 보다 세분하여 출현율에 차를 부여해도 된다.
제44도에서, 다음에, 스텝 318r에서, 군관리성능의 평가항목(예컨대 평균대기시간)에의 관련정도에 비례한 보정치 RPAA(1)∼RPAA(25)에 의하여, 상기 파라미터 출현율 RPA(1)∼RPA(25) 보정된다.
여기서, 보정치 RPAA(1)∼EPAA(25)는, 상기한 성능기준치 설정장치(3)에 의하aus 설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성능기준 설정장치(3)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평균대기시간에 대한 [목표치]와, 평가기준치 BX에 대한 [지정치]와를 출력하는 것이며, 실시예 2에서는, 여기에 추가하며, 평가항목인 평균대기시간과의 [관련정도]가 보정치로서 출력되고 있다.
따라서, 군관리장치(1)에서 탐색장치(10)에 입력되는 탐색조건신호(1a) 중의 기준치데이터 TGT에는, 대기시간목표치 TAW, 추가기준지정치 TCB 및 보정치 RPAA(1)∼RPAA(25)가 포함된다.
제45도의 RPAA(1)∼RPAA(25)는, 평균대기시간의 목표치에 대한 보정치를 나타낸다.
제45도의 보정치 RPAA(1)∼RPAA(25)에 있어서, 평가항목으로서의 평균대기시간에 관련성이 높은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8,22,23)에 대해서는 보정치가 10으로 설정되고, 거의 관련성이 없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0∼21)에 대해서는 보정치가 0으로 설정되고 있다.
또, 중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7,9,24,25)에 대해서는 출현율이 5에 설정되어 있다.
한편, 평가항목이 평균대기시간이 아니고 전력절약에 관한 것이면, 보정치 RPAA(1)∼RPAA(25)에 있어서, 관련성이 높은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4∼7,22∼25)에 대해서는 보정치가 10으로 설정되며, 거의 관련성이 없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9∼21)에 대해서는, 보정치가 0으로 설정된다.
또, 중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제어파라미터(파라미터번호=1∼3,8)에 대해서는 보정치가 5로 설정된다.
상기 이외의 평가항목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관련정도에 따라 보정치 RPAA(1)∼RPAA(25)가 설정된다.
또한, 보정치 RPAA(1)∼RPAA(25)는, 평가항목과의 관련정도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면 어떤 치를 설정하여도 된다.
또, 제어파라미터간을 보다 세분하여 보정치에 차를 부여하여,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스텝 318s에서, [O]에서 [파라미터 출현율 RPA(1)∼RPA(25)의 합계치]간의 치를 갖는 난수를 1개 발생시켜, 그 난수 치에 의하여, 교차 또는 돌연변이가 실행되는 파라미터번호 PX를 결정한다.
그리고 다음 스텝 319로 진행한다.
스텝 319 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실시예 15에서는, 파라미터와 교통흐름특성과의 관련정도를 파라미터 선택조건으로 하였으므로, 특정의 교통흐름특성에 관련이 깊은 파라미터의 치를 우선적으로 변화시킬 수 가 있으며,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는 신규세트가 생성될 가능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실시예 15에서는, 파라미터마다, 교통흐름특성과의 관련정도에 비례한 출현율을 설정하고, 그 출현율에 따라 파라미터를 선택하므로, 특정의 교통흐름특성에 관련이 깊은 군관리성능에 영향을 주기 쉬운 파라미터일수록 선택하기 용이하게 되며, 보다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는 신규세트를 생성할 가능성을 높일 수가 있다.
실시예 15에서는, 군관리를 할 때의 교통흐름특성에 관련이 없는 제어파라미터에 대해서는, 출현율을 0으로 설정하여 선택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관계가 없는 파라미터에 대해서 교차 또는 돌연변이가 적용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5에서는, 파라미터와 평가대상으로 되는 평가항목과의 관련정도를 파라미터선택조건으로 하였으므로, 그의 평가항목에 관련이 깊은 파라미터의 치를 우선적으로 변화시키게 되며,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는 신규세트를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5에 의하면, 불필요한 신규세트의 생성, 평가, 주가등록판정 등을 감소할 수 있으며, 탐색을 효율적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군관리성능의 평가함수에 복수의 평가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때는 각각의 평가항목의 중요도에 따라, 출현율의 가중치를 붙이거나 보정치를 설정하면 된다.
[실시예 16(교차쌍선택의 다른 실시예)]
다음, 생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유사세트수에 기준하여, 교차세트가 선택된다.
이하, 실시예 16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신규세트 생성프로그램(31)(제11도 참조)에 있어서, 실시예 16에서는, 스텝 317(제14도 참조)에서, 교차쌍(PS1,PS2)을 선택하는 처리가 실시예 1과는 크게 다르며, 그것을 제46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46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 317j에서는, 상기 식(31)에 따라 각 세트간의 거리 DST(i,j)(단, i,j=1,2‥‥‥‥ P, i≠j)의 연산을 한다.
이 연산은, 상기 실시예 3의 삭제 프로그램(35)(제26도)의 스텝 414와 동일한 연산이다.
또한, 각 파라미터치는, 0부터 100간의 치로 정규화된 것으로 한다.
스텝 317k에서, 세트번호(i)를 1에 초기설정하고, 스텝 317p에서 모든 세트(i=1,2,‥‥‥p)에 대해서, 출현율 RSA(1)∼RSA(P)의 설정을 완료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 스텝 317l∼317n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317l에서는, j≠i인 모든 j=1,2‥‥‥P에 대해서, DST(i,j)≤DSTa로 되는 세트의 개수 MDST(1)(유사세트수)를 구한다. 여기서, DSTa는 2개의 세트가 서로 유사한지 어떤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치이며, 실시예 16에서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25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 스텝 317m에서, 유사세트개수 MDST(i)에 기준하여, 세트(i)의 출현율 RSA(i)를, RSA(i)=1÷{MDST(i)+1}인 식으로 연산한다.
즉, 유사세트수가 작을수록, 출현율을 높게 설정한다.
그리고, 다음 세트에 대해서 출현율을 연산하기 위해, 스텝 317n에서 세트번호(i)를 1만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세트의 출현율 RSA(1)∼RSA(P)를 설정하면, 최후에 스텝 317q에서, [0]부터 [출현율 RSA(1)∼RSA(P)의 합계치]간의 난수를 2개 발생시켜, 각각의 난수의 치와 출현율 RYA(1)∼ RYA(P)와에 따라, 2개의 모체세트(PS1,PS2)를 선택한다.
여기서, 스텝 317의 처리를 완료하고, 2개의 세트(PS1,PS2)를 그대로 정규의 교차쌍으로 결정하면, 다음의 스텝 318로 진행한다.
스텝 318 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실시예 16에서는, 유사세트수에 기준하여 교차쌍의 선택을 하였으므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쌍을 교차시키는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우수한 군관리성능을 갖는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교차파라미터를 1개만 선택하였으나(이와 같은 파라미터의 선택방법은, 일반적으로 일점교차라 함), 그것에 한하지 않는다.
교차파라미터를 동시에 2개 이상 선택하는 방법(다점 교차(Multi-point scrossover))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미리 파라미터의 개수와 동일한 크기의 비트열(마스크)을 준비하여 놓고, 그 마스크에서 지정되는 각 비트의 치에 의해, 어느 쪽의 모체의 유전자(파라미터치)를 자(Children)에게 계승시킬가를 결정하는 일정교차(uniform crossover)라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돌연변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의 세트는, 25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되어있었으나, 그의 개수 및 내용은 1예이며, 군관리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파라미터치 세트에 대해서 이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7(다름 시스템 구성예)]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빌딩의 엘리베이터기계실에, 군관리장치(1)와 탐색장치(10)를 설치하고, 최적세트를 온라인으로 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 1∼6 및 8∼15에 관해서는, 제47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탐색장치(10)와 시뮬레이션장치(2)와를 엘리베이터 보수회사의 감시센터에 설치하고, 탐색장치(10)와 군관리장치(1)간을 통신장치(4A)와 통신장치(4B)를 이용하여 전화회전으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통신장치(4A)는, 통신장치(4B)를 갖는 다른 빌딩에 대해서도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1조의 탐색장치 및 시뮬레이션장치를 복수의 군관리장치에서 공용할 수 있다.
또한, 빌딩의 관리인실이나 방재센터에 탐색장치(10), 시뮬레이션장치(2) 및 통신장치(4A)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7에서는, 고가인 탐색장치(10)와 시뮬레이션장치(2)를 공용하여, 시스템을 저가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8에 관해서는, 제48에 표시된 것과 같이, 탐색장치(10)를 빌딩의 관리인 실이나 엘리베이터보수회수의 감시센터에 설치하고, 탐색장치(10)와 군관리장치(1)간을 통신장치(4A)와 통신장치(4B)를 이용하여 전화회전으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탐색장치(10)는, 군관리알고리즘의 개발용으로서, 즉 복수의 군관리알고리즘 안중에서 최적인 군관리알고리즘 안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군관리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경우, 시뮬레이션장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고, 그때에 얻은 군관리성능데이터(PRF)에 기준하여, 군관리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든가, 최적세트를 구한다는 것을 시행한다.
이 경우, 제49도에 표시된 것 같이, 시뮬레이션장치(2)에 탐색장치(10)를 접속한다.
또, 탐색장치(10)는, 군관리장치(1)를 공장에 출하할 때에, 제49도의시뮬레이션장치(2)에 의해 최적세트를 탐색하여 등록하는 경우와, 초기설정용세트군 GPS1∼GPS4를 등록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탐색장치(10)와 시뮬레이션장치(2)를 별체로 구성하지 않고, 양자를 1개의 마이크로컴퓨터로 실현할 수도 있으며, 또, 군관리장치(1), 탐색장치(10), 시뮬레이션장치(2)를 1개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Claims (37)

  1.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군관리알고리즘에 따라서,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는 시스템이며, 군관리알고리즘에 부여하는 파라미터치의 조합인 세트 중에서, 최적 세트를 탐색하는 탐색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는, 복수의 세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모체로서 1 또는 복수의 세트를 선출하고, 그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는 1 또는 복수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신규세트를 이용하여 군관리알고리즘을 실행시켰을 때의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서 구하는 평가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신규세트의 추가와,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의 열악세트의 삭제를 병용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복수의 세트를 우량화하는 선별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우량화된 복수의 세트 중에서, 상기 군관리성능치에 기준하여 상기 최적세트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선출된 2개의 세트간에서, 일부의 수치를 서로 교환함으로서, 2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수치교화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선택된 1개의 세트 중의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랜덤하게 발생된 새로운 수치로 대치로서, 1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신치대치수단과, 상기 교환과 상기 대치를 확률적으로 선택하는 생성방법 선택수단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서 1 또는 2개의 세트를 선출하는 모체선택수단과, 상기 1 또는 2개의 세트에 대해서, 수치의 교환 또는 신치의 대치가 실행되는 파라미터를 선출하는 파라미터 선택수단과, 상기 모체선택수단에 의해 선출된 2개의 세트간에서, 상기 파라미터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라미터치를 서로 교환함으로서, 2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수치교환수단과, 상기 모체선택수단에 의해 1개의 세트 중의 상기 파라미터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파라미터치를, 랜덤하게 발생된 새로운 수치로 대치하므로서, 1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신치대치수단과, 상기 교환과 상기 대치를 확률적으로 선택하는 생성방법 선택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선택수단은,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이기 위한 모체선택기준정보에 기준하여, 모체의 선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선택기준정보는, 세트간 거리이며, 상기 모체선택수단 상기 세트간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기억수단에서 세트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세트쌍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선택기준정보는, 상기 군관리성능치이며, 모체선택수단은, 상기 군관리성능치에 따라 각 세트에 선택확률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기억수단에서 1 또는 2개의 세트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선택기준정보는 유사세트수이며, 상기 모체선택수단은, 각 세트마다 상기 유사세트수를 연산하고, 그 유사세트수에 기준하는 세트에 선택확률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기억수단에서 1 또는 2개의 세트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탐색의 진행상황에 따라 모체선택조건을 수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선택수단은, 우수한 신규세트가 생성되는 확률을 높이기위한 파라미터선택기준정보에 기준하여, 파라미터의 선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선택기준정보는, 2개의 세트간에 있어서 서로 교환하는 2개의 파라미터치의 차이이며, 상기 파라미터선택은, 상기 차이를 연산하고, 그 차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파라미터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선택기준정보는, 엘리베이터 이용상황과 각 파라미터와의 관련정도이며, 상기 파라미터선택수단은, 상기 관련 정도에 따라, 각 파라미터에 선택확율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선택기준정보는, 상기 성능평가치의 내용과 각 파라미터와의 관련정도이며, 상기 파라미터선택수단은, 상기 관련정도에 따라, 각 파라미터에 선택확율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파라미터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탐색의 진행상황에 따라 파라미터선택조건을 수정하는 수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탐색의 진행상황에 따라 각 생성방법의 선택확율을 수정하는 확율수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수정수단은, 평가한 세트수와, 상기 기억수단에 추가한 세트수와의 비에서 성공지표를 연산하고, 그의 성공지표에 기준하여 상기 선택확률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6.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군관리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군관리알고리즘에 부여하는 파라미터의 조합인 세트 중에서, 최적 세트를 탐색하는 탐색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는, 복수의 세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모체로서 선출한 2개의 세트간에서,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서로 교환함으로서, 그의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는 2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수치교환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모체로서 선출된 1개의 세트 중의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랜덤하게 발생하는 새로운 수치로 대치함으로서, 그의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는 1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신치대치수단과, 상기 수치교환과 상기 신치대치를 확율적으로 선택하는 생성방법선택수단과, 상기 신규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을 실행할 때의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서 구하는 평가수단과, 소정의 추가조건을 만족하는 우량한 신규세트만을 기억수단에 추가 기억시키는 추가수단과, 소정의 삭제조건을 만족하는 열악세트를 상기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우량화된 복수의 세트 중에서, 상기 군관리성능치에 기준하여 최적세트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조건을 수정하는 수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조건은 각 세트의 군관리성능치에 기준하여 결정되고, 추가조건이 탐색의 진행상황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성능평가치가 열악한 세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삭제수단은 세트간 거리에 기준하여, 다른 세트와 유사한 세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탐색의 초기설정을 하는 초기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설정수단은, 제1초기설정모드와 제2초기설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드에서는, 미리 준비한 복수의 세트를 이용하여 초기설정이 시행되고, 제2모드에서는, 전회의 탐색에서 우량화된 복수의 세트를 이용하여 초기설정이 시행되며, 탐색개시조건에 따라 제1초기설정모드와 제2초기설정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3. 제10항에 있어서, 탐색상황에 따라 탐색종료를 판정하는 종료판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종료판정수단은 평가한 세트의 개수에 기준하여, 탐색의 종료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판정수단은 추가한 세트의 개수에 기준하여, 탐색의 종료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판정수단은, 평가한 세트의 개수와 추가한 세트의 개수와의 비율인 성공지표에 기준하여 탐색의 종료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판정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세트에 대해서 세트간 거리를 연산하고, 그 세트간 거리에 기준하여 탐색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8. 제16항에 있어서, 탐색개시시에 주어진 전제조건이 변화한 것에 기준하여 재탐색을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는, 각 세트에 대응하여, 군관리성능치도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에는, 탐색에 관한 목표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목표설치장치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에는,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을 포함하고,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장치와, 상기 군관리장치에 포함되는 군관리알고리즘과 동일한 군관리알고리즘을 포함한 시뮬레이션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평가수단은 상기 시뮬레이션장치의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 및 상기 시뮬레이션장치는, 상기 군관리장치에 대해서 원격 배치되고, 상기 탐색장치와 상기 군관리장치는 통신회선에 의하여 상호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에는,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을 포함하고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장치가 접속되며, 상기 평가수단은 상기 군관리장치에서 군관리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한 경우의 실행결과를 상기 군관리성능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는 상기 군관리장치에 대해서 원격 배치되고, 그들간을 통신회선에 의하여 상호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5.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기 위한 군관리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시뮬레이터장치와, 상기 시뮬레이션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에 대해 최적의 파라미터치의 세트를 탐색하는 탐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탐색장치는, 복수의 세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모체로서 선출된 2개의 세트간에서,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서로 교환하므로서, 그의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는 2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수치교환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모체로서 선출된 1개의 세트 중의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랜덤하게 발생된 새로운 수치로 대치함으로서, 그의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는 1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신치대치수단과, 상기 수치교환과 상기 신치대치를 확률적으로 선택하는 생성방법선택수단과, 상기 신규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을 실행시킨 때의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서 구하는 평가수단과, 소정의 추가조건을 만족하는 우량한 신규세트만을 기억수단에 추가 기억시키는 추가수단과, 소정의 삭제조건을 만족하는 열악세트를 상기 기억수단에서 삭제하는 삭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우량화된 복수의 세트 중에서, 상기 군관리성능치에 기준하여 최적세트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6.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군관리알고리즘에 따라서,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는 시스템이며,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에 부여하는 파라미터치의 조합인 세트 중에서, 최적세트를 탐색하는 탐색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는, 복수의 세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모체로서 선출된 2개의 세트 사이에서, 일부의 수치를 서로 교환함으로서, 그의 모체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는 2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교차형 생성수단과, 상기 신규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을 실행할 때의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서 구하는 평가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상기 신규세트의 추가와,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의 열악세트의 삭제를 이용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복수의 세트를 우량화하는 선별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우량화된 복수의 세트 중에서, 상기 군관리성능치가 가장 좋은 최적세트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37. 복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군관리알고리즘에 따라서,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에 부여하는 파라미터치의 조합인 세트 중에서, 최적세트를 탐색하는 탐색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탐색장치는, 복수의 세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선출된 모체로서의 1개의 세트 중의 일부의 파라미터치를 랜덤하게 발생된 새로운 수치로 대치함으로서, 그의 모체의 성질을 계승한 1개의 신규세트를 생성하는 돌연변이형 생성수단과, 상기 신규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군관리알고리즘을 실행시킬 때의 실행결과를 군관리성능치로서 구하는 평가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신규세트의 추가와,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의 열악세트의 삭제를 이용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복수의 세트를 우량화하는 선별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우량화된 복수세트 중에서, 상기 군관리성능치가 가장 좋은 최적세트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KR1019960700147A 1994-05-17 1994-05-17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KR0178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4/000795 WO1995031393A1 (fr) 1994-05-17 1994-05-17 Systeme de commande d'un groupe d'ascenseu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792A KR960704792A (ko) 1996-10-09
KR0178322B1 true KR0178322B1 (ko) 1999-04-15

Family

ID=1409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147A KR0178322B1 (ko) 1994-05-17 1994-05-17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709332B1 (ko)
JP (1) JP3215426B2 (ko)
KR (1) KR0178322B1 (ko)
DE (1) DE69426420T2 (ko)
WO (1) WO19950313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806B1 (ko) * 2003-03-10 2011-12-27 인벤티오 아게 리프트 장치의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2268B1 (fi) * 1995-04-21 1998-11-13 Kone Corp Menetelmä hissiryhmän ulkokutsujen allokoimiseksi
FI107379B (fi) * 1997-12-23 2001-07-31 Kone Corp Geneettinen menetelmä hissiryhmän ulkokutsujen allokoimiseksi
US6439349B1 (en) 2000-12-21 2002-08-27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new hall calls to one of a plurality of elevator cars
JP4837992B2 (ja) * 2003-12-05 2011-12-14 学校法人東海大学 蛋白修飾物生成抑制剤
DE102006046059B4 (de) * 2006-09-27 2020-11-1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ufzug- oder ähnlichen Beförderungssystems
US8534426B2 (en) 2007-08-06 2013-09-17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Control for limiting elevator passenger tympanic pressure and method for the same
TWI430789B (zh) 2007-11-22 2014-03-21 Mitsubishi Plastics Inc Plastic containers containing cyclic polyolefin layers
JP5004133B2 (ja) * 2008-03-13 2012-08-2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群管理制御装置
AU2013316924B2 (en) * 2012-09-11 2018-02-22 Kone Corporation Elevator system
WO2014198302A1 (en) 2013-06-11 2014-12-18 Kone Corporation Method for allocating and serving destination calls in an elevator group
US10207895B2 (en) 2016-04-28 2019-02-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emergency power feeder balancing
JP7031770B1 (ja) * 2021-03-18 2022-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群管理装置
CN117657906B (zh) * 2024-02-02 2024-05-03 通用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群控调度方法、装置、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345A (en) * 1988-02-17 1993-10-19 The Rowland Institute For Science, Inc. Genetic algorithm
JPH01226678A (ja) * 1988-03-04 1989-09-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US4935877A (en) * 1988-05-20 1990-06-19 Koza John R Non-linear genetic algorithms for solving probl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806B1 (ko) * 2003-03-10 2011-12-27 인벤티오 아게 리프트 장치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5426B2 (ja) 2001-10-09
EP0709332A1 (en) 1996-05-01
EP0709332B1 (en) 2000-12-13
KR960704792A (ko) 1996-10-09
DE69426420D1 (de) 2001-01-18
WO1995031393A1 (fr) 1995-11-23
EP0709332A4 (en) 1996-03-13
DE69426420T2 (de) 200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8322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
JP2860261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方法
US5780789A (en) Group managing system for elevator cars
US5307903A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elevators and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requests to the control system
Fujino et al. A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with floor-attribute control method and system optim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s
JP4870863B2 (ja) エレベータ群最適管理方法、及び最適管理システム
Wang et al. Smart dispatching and optimal elevator group control through real-time occupancy-aware deep learning of usage patterns
Imasaki et al.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tuned by a fuzzy neural network applied method
CN113608855B (zh) 一种边缘计算中服务功能链放置的强化学习方法
GB2276470A (en) Group supervisory control device for elevators
Cortés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 tool for planning and simulating dynamic vertical transport
Beamurgia et al. Improving waiting time and energy consumption performance of a bi-objective genetic algorithm embedded in a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through passenger flow estimation
CN116663748A (zh) 基于循环神经网络的电梯调度决策方法及***
JP3498632B2 (ja) エレベータ管理装置
CN115865914A (zh) 车辆边缘计算中基于联邦深度强化学习的任务卸载方法
JP2574855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H0126117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570208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Kaneko et al. Supervisory control for elevator group by using fuzzy expert system
JP4454979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エレベータ群管理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群管理プログラム
Turhanlar et al. Aisle-to-aisle design for SBS/RS under smart deadlock control policies
GB2240641A (en) Elevator group control responding to subjective feelings of users
CN113344225B (zh) 面向多台电梯的维保计划生成方法与***、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KR102136022B1 (ko) 강화학습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Zhou et al.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system using genetic network programming with reinforcement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