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023B1 -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023B1
KR0173023B1 KR1019950048686A KR19950048686A KR0173023B1 KR 0173023 B1 KR0173023 B1 KR 0173023B1 KR 1019950048686 A KR1019950048686 A KR 1019950048686A KR 19950048686 A KR19950048686 A KR 19950048686A KR 0173023 B1 KR0173023 B1 KR 017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se
propylene resin
group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829A (ko
Inventor
김문선
음영태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주식회사에스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주식회사에스케이씨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5004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023B1/ko
Publication of KR97003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1.0중량%의 카르복실산염계 화합물과 설폰산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무연신 프로필렌계 수지 쉬트와 프로필렌계 수지 쉬트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의 무기활제를 함유하는 일축 또는 이축연신된 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 합지되어 있는 케이스용 기재쉬트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고급스럽고, 먼지 등의 이물이 잘 부착되지 않으며, 케이스로 제조시 케이스와 내용물의 분리 및 합침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파손이나 흠집이 나지 않고 포장공정의 고속화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고급스럽고, 먼지 등의 이물이 잘 부착되지 않으며, 케이스로 제조시 케이스와 내용물의 분리 및 합침을 반복하는과정에서 파손이나 흠집이 나지 않고 포장공정의 고속화가 용이한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포장재와 문구, 사무용품, 전기제품, 공구류, 완구류 등에 걸쳐 많은 포장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플로피디스크, 오디오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 기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포장 케이스들은 다른 용도에 사용되는 포장 케이스들과는 달리 다양한 인쇄가 가능하고, 고급스럽고, 먼지 등의 이물이 잘 부착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케이스와 내용물의 분리 및 합침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파손이나 흠집이 나지 않음과 동시에 촉감이 부드러워야 되는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어느 정도 만족하는 소재로서는 종이가 있는데, 종이는 제작과 인쇄가 용이하지만 습기 및 장기 보관에 따른 황색 현상이 심하고 인쇄의 선명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이의 문제점에 따라, 현재 이산화티타늄 등의 무기입자를 고층진시킨 백색 폴리프로필렌 쉬트가 종이를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를 제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400~500㎛의 두께를 갖는 쉬트를 3도 이상으로 일차 인쇄한 후, 절단과 봉합 공정을 거쳐야 되는데, 그 과정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컬링 현상 등에 의해 공정 불량율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더미로 포장하는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여 고속 공정을 어렵게 하는 등 개선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투명성이 우수하고 고급스럽고, 먼지 등의 이물이 잘 부착되지 않으며, 케이스로 제조시 케이스와 내용물의 분리 및 합침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파손이나 흠집이 나지 않고 포장공정의 고속화가 용이한 케이스용 기재 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1.0중량%의 카르복실산염계 화합물과 설폰산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무연신 프로필렌계 수지 필름과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의 무기 활제를 함유하는 일축 또는 이축연신된 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 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쉬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포장공정의 고속화가 용이하며, 인쇄, 합지, 절단, 봉합등 후가공성이 향호한 케이스용 기재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융지수가 1-10(g/10분)인 프로필렌계 수지에 소디움 벤조에이트계 화합물과 소디움 설폰에이트계 화합물을 첨가한 다음, 프로필렌계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용융지수가 10-20(g/10분)인 프로필렌계 수지에 무기활제를 첨가하고, 용융압출한 다음, 일축 또는 이축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시트와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하고 표면에 다양한 광택과 무늬를 갖는 무연신 쉬트와 이활성이 우수하고 인쇄작업이 용이한 적어도 일축연신 필름을 각각 제조한 다음, 이를 합지하므로써 케이스용 기재 쉬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기타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분)이고, 용융 온도가 130 내지 180℃ 것을 사용하되, 그 구성 비율은 프로필렌 80 내지 97몰%, 프로필렌 이외의 올레핀 3 내지 2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로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필렌계 수지 중에는 공지의 첨가제들 예를 들면 대전방지제, 기핵제, 분산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등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층을 구성하는 시트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그 표면이 다양한 광택과 무늬를 가질 수 있고, 내부층을 구성하는 필름은 이활성이 우수하고 인쇄작업이 용이한 표면특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내부층과 외부층을 이루는 필름은 그 조성과 비율이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외부층용 쉬트에는 카르복실산염계 화합물을 첨가하는데, 이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제조공정중 벨트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사용가능한 카르복실산염계 화합물은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분산성이 양호한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히드록시p-(t-부틸)벤젠카르복실산 알루미늄, 옥틸벤젠카르복실산 나트륨, 옥틸벤젠카르복실산 칼륨 등이 있다. 또한, 그 첨가량은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며, 이는 0.01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롤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쉬트 표면에서 회색반점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는 또한 쉬트 표면에 이물질 부착의 주요 원인이 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폰산염계 화합물, 인산염계 화합물과 같은 음이온계 제전제를 첨가한다. 이중, 바람직한 음이온 제전제는 설폰산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옥틸벤젠설폰산 나트륨, 노닐벤젠설폰산 칼륨, 온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 첨가량은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0.01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이물질 부착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층 쉬트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우선, 용융지수가 1-10(g/10분)인 프로필렌계 수지, 상술한 카르복실산염계 화합물, 음이온계 제전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한다. 혼합 방법은 건상 혼합이나 용융혼합 방법이 모두 적용 가능하나, 균일하게 섞일 수 있는 용융 혼합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혼합 수지를 압출기 내에서 용융하고, 그 전면에 설치된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여 급냉한 다음, 성형하는 과정을 거쳐 무연신 쉬트가 제조된다. 이 경우, 압출 온도는 200 내지 240℃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압출온도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미용융수지가 내포되어 쉬트 표면에 기포가 형성되며, 2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분해 현상이 촉진되어 필름의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압출기 내의 스크루는 이축 스크루가 바람직하고, 회전에 의하여 용융수지가 혼련되고 마찰열을 발생시키므로 가능한한 그 회전 속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 내지 150rpm이 적절하다.
이러한 스크루 속도 및 압출 온도의 조건하에서 압출양은 시간당 250 내지 300kg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다이의 내부면과 주위는 연마상태가 양호해야 쉬트 두께가 균일해지고 무늬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는 압출기 하부에서 수직하게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수평이나, 또는 수직과 수평 사이의 경사진 각도로 위치할 수도 있다.
압출된 수지는 냉각롤(캐스팅 롤)에 밀착되면서 급냉되어 쉬트형태로 성형되는데, 이 때 롤의 표면온도는 15 내지 40℃가 바람직하다. 이는 15℃ 미만의 온도에서는 온도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쉬트의 휨 현상이 발생하고,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급냉이 어려워 결정성이 커지면서 불투명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롤 표면 온도는 전체적으로 균일하여, 편차가 최대 3℃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되어야 된다.
일반적으로 프로필렌계 수지에는 정전기를 인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압출된 수지를 냉각롤에 밀착시키는 방법은 정전기 인가법보다는 에어나이프법에 의하여 공기를 쉬트에 대하여 불어주거나 롤폴리싱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기는 기존에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특히 삼각형(△)벨트식 쉬트 성형기가 바람직하다.
한편, 쉬트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쉬트 표면의 고광택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며, 이는 쉬트와 접촉하는 롤이나 벨트 표면을 경면화시키고, 쉬트를 경면에 충분히 밀착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지의 고임현상(뱅킹 현상)을 유도하면서 쉬트로 성형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너무 커서 쉬트의 징이 저급스러워보이고, 경면 수트간의 부착 현상(블러킹 현상)을 개선하고, 마찰력을 낮추기 위하여, 요철이 성형된 롤을 이용하여 수트표면을 엠보깅처리할수 있다. 이 경우, 요철의 형상, 깊이 등은 제조되는 쉬트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요철은 단위 평면적 1-500㎛2, 깊이 0.1~5.0㎛의 형상을 0.01 내지 0.1㎜ 간격이 되도록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의 형태는 피라밋, 다이아몬드, 원추, 구, 타원 등과 같이 다양한 모양이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중 양각 현상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롤을 이용하여 쉬트를 재열처리하면 그 과정에서 쉬트의 표면이 엠보싱 처리되는 것이다. 이 경우, 재열처리 조건을 롤 표면 온도 50 내지 70℃에서 쉬트가 1 내지 10kg/㎠의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50℃미만의 경우에는 쉬트 표면으로 형상 전이가 어려우며,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롤에 수지가 부착되므로 오히려 표면 광택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열처리 공정은 쉬트 제조 공정중 어느 위치에서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다른 구성 요소인 내부층용 필름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우선, 용융지수가 10-20(g/10분)인 프로필렌계 수지에 이활성을 개선하고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활제를 첨가혼합한다. 이 경우, 바람직한 무기활제의 종류는 실리카, 탄산칼슘, 카오린 등이 있으며, 그 첨가량은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0.1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이활성 개선과 블로킹현상 방지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어, 상기 외부층용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 혼합 수지를 압출기 내에서 용융하고, 그 전면에 설치된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여 급냉한 다음, 적어도 일축연신하는 과정을 거치면 내부층용 필름이 제조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외부층용 무연신 쉬트와 내부층용 필름이 제조되면, 케이스의 용도에 따라 시트와 필름중 어느 하나의 표면을 잉크로서 적절하게 도안할 수 있다. 이 경우, 롤 상태에서 고속 인쇄가 가능하므로 무연신 필름보다는 적어도 일축연신된 내부층용 필름에 도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케이스 쉬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잉크의 주성분은 종래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아미드, 초산비닐, 아크릴, 에틸셀롤로즈 등이 있다.
또한, 필름 표면의 잉크 적성을 높이기 위하여 방전처리를 해줄 수 있으며, 인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중합체나 유기물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해줄 수도 있다.
이상의 과정을 거치면, 인쇄층이 중간에 위치하도록 무연신 쉬트와 연신 필름을 합치시킨다. 이 경우, 생산성의 측면에서 롤 상태로 합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전분, 카세인, 폴리비닐아세테이트등의 수용액, 초산비닐, 아크릴계의 에멀젼, 왁스 등을 중간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름의 투명성과 인쇄상태를 해치지 않는다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복합층으로 구성된 프로필렌계 쉬트는 고속으로 제반공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 기존 기재 보다 공정단계가 단축되어 많은 경제적인 이득은 물론 선명한 인쇄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을 반드시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쉬트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1) 헤이즈
가드너 네오텍사(미국)의 헤이즈미터를 사용하여, c-광원을 이용하여 산란광과 투과광 값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2) 광택도
가드너 네오텍사(미국)의 광택도 측정기(모델명 : GC-4010)를 이용하여 측정아였다(기준경 : 흑색경,측정강도 : 60도).
3) 마찰 계수
아이크호-엔지니어링사(일본)의 표면성 시험기(모델명 : 4002)를 이용하여, 하중 1.0kg, 속도 150(mm/분)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4) 제전 특성(대전방지성)
미국 휴렛사의 절연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필름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20℃,상대습도 65%, 인가전압 500V)
5) 표면 조도
코사카사(일본)의 열구배 시험기(Heat Gradient Tester)(모델명 : HG-100)를 이용하여, 3kg/㎠의 압력으로 2초 동안 봉합한 후 10g/cm 이상의 봉합 강도를 갖는 온도를 초기 봉합 온도로 설정하였다.
7) 인쇄성 평가
필름 표면에 39dyne/cm 이상의 표면 장력을 부여한 후, 산화중화용 잉크(상품명 : POP-K), 자외선 경화용 잉크(상품명 : RT-7)를 바코딩한후, 산화 중화용 잉크의 경우 상온 상태에서 12시간 자연 경화 후, 자외선 경하용 잉크는 자외선 경화 시험기(모델명 : U.V 151, 삼릉판금공업사)를 이용하여 4-5초 동안 경화시킨 후, 테이프를 이용하여 잉크층 박리상태를 관찰한 다음,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되었다.
전혀 잉크층이 떨어지지 않음 : ◎
약간 떨어짐(20% 이내) : ○
보통 떨어짐(20~50% 이내) : △
많이 떨어짐(50% 이상) : ×
8) 이물 부착성 평가(경시성)
30℃, 상대습도 50%의 조건하에서 24시간 경과한 다음, 외부에 노출시킨 후 이물의 부착상태를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전혀 이물이 없음 : ◎
이물 약간 발생 : ○
이물 보통 발생 : △
이물 많이 발생 : ×
9) 공정성
쉬트 절단에 따른 부스럼 발생 현상과 봉합 작업상의 공정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용융지수 4.5(g/10분)이고, 용융온도가 165℃인 호모폴리프로필렌수지 100g, 히드록시 p-(t-부틸) 벤젠카르복실산 알루미늄 0.03g, 옥틸벤젠설폰산 나트륨 0.03g을 혼합하였다. 얻어진 수지 혼합물을 스크루 rpm 135, 압출 온도 210℃의 조선하에서 시간당 275kg의 속도로 토출하고, 30℃의 냉각롤에 냉각시킨 다음, 18(m/분)의 속도로 회전하는 금속 벨트에 밀착성성형시키는 과정을 거쳐 300㎛ 두께의 무연신 쉬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쉬트의 최종 권취전에 요철 단위면적 250㎛2, 높이 4㎛의 피라밋 양각 형상이 0.07mm의 간격으로 형성된 롤을 이용하여, 그 표면 온도 60℃, 암력 4kg/㎠의 조건하에서 재열처리하였다. 제조된 쉬트에 대한 각종 물성을 측정하였는데, 헤이즈 3.5%로 내부 내용물이 선명하게 보였고, 표면저항은 1015Ω을 유지하였다.
용융지수 12.1(g/10분)이고 용융온도가 140℃인 랜덤 폴리프로필렌수지 100g에 평균입경 0.3㎛인 실리카 0.5g을 첨가한 다음, 압출 온도 230℃, 스크루 rpm 120의 조건하에서 시간당 250kg의 속도로 토출하고, 25℃의 냉각롤에 공기로 밀착시켰다. 이어, 120℃에서 종방향으로 6배, 150℃에서 횡방향으로 9.5배 연신하고, 200℃에서 열고정한 다음, 필름 표면에 방전처리한 후, 인쇄성이 우수한 20㎛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 대한 각종 물성을 측정하였는데, 표면조도 0.021㎛, 초기 실링 온도 200℃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투명성이 우수한 무연신 필름과 인쇄처리된 연신필름을 롤 상태로 고속으로 합지시키되, 인쇄층이 중간부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용 기재 쉬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 대한 각종 물성을 측정하였는데, 표면광택도 45%, 마찰계수 0.35, 먼지 부착 방지성, 절단과 봉합 등 제반 작업 공정이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제조 조건을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화시키며 케이스용 기재 시트를 제조하였는데, 제조된 쉬트의 물성은 대체로 양호했다.
[비교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제조 조건을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하여 케이스용 기재 쉬트를 제조하였는데, 제조된 쉬트의 물성은 대체로 좋지 않았다.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쉬트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고급스럽고, 먼지 등의 이물이 잘 부착되지 않으며, 케이스로 제조시 케이스와 내용물의 분리 및 합침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파손이나 흠집이 나지 않고 포장공정의 고속화가 용이하다.

Claims (15)

  1.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1.0중량%의 카르복실산염계 화합물과 설폰산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무연신 프로필렌계 수지 쉬트와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의 무기활제를 함유하는 일축 또는 이축연신된 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 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는 에틸렌 및 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레핀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하여 80 내지 97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염계 화합물은 히드록시p-(t-부틸)벤젠카르복실산 알루미늄, 옥틸벤젠카르복실산 나트륨 및 옥틸벤젠카르복실산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염계 화합물은 옥틸벤젠설폰산나트륨, 노닐벤젠설폰산 칼륨 및 운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활제는 실리카, 탄산칼슘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
  7. 용융지수가 1-10(g/10분)인 프로필렌계 수지에 소디움 벤조에이트계 화합물과 소디움 설폰에이트계 화합물을 첨가한 다음, 프로필렌계 수지 쉬트를 제조하는 단계; 용융지수가 10-20(g/10분)인 프로필렌계 수지에 무기활제를 첨가하고, 용융압축한 다음, 일축 또는 이축연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쉬트와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염계 화합물은 히드록시 p-(t-부틸)벤젠카르복실산 알루미늄, 옥틸벤젠카르복실산 나트륨 및 옥틸벤젠카르복실산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염계 화합물은 옥틸벤젠설폰산 나트륨, 노닐벤젠설폰산 칼륨 및 운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활제는 실리카, 탄산칼슘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와 부착하는 연신필름의 표면을 잉크로서 도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하는 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의 주성분은 아미드, 초산비닐, 아크릴 및 에틸셀롤로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단위 면적 1-500㎛2, 깊이 0.1-5.0㎛인 양각 요철이 0.01 내지 0.1mm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롤 표면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된 쉬트를 열처리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롤 표면 온도 50 내지 70℃, 압력 1 내지 10kg/㎠의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용 기재 쉬트의 제조 방법.
KR1019950048686A 1995-12-12 1995-12-12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KR017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686A KR0173023B1 (ko) 1995-12-12 1995-12-12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686A KR0173023B1 (ko) 1995-12-12 1995-12-12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829A KR970033829A (ko) 1997-07-22
KR0173023B1 true KR0173023B1 (ko) 1999-03-20

Family

ID=1943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686A KR0173023B1 (ko) 1995-12-12 1995-12-12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7000A1 (de) 2015-12-07 2017-06-08 Hyundai Motor Company Blockeinsatz und Zylinderstruktur eines Fahrzeugmotors, der diesen aufwei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7000A1 (de) 2015-12-07 2017-06-08 Hyundai Motor Company Blockeinsatz und Zylinderstruktur eines Fahrzeugmotors, der diesen aufwe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829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5466A (en) Non-sealable, biaxially oriented multi-layer polypropylene film
US6291053B1 (en) Multilaye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the use thereof,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0871567B1 (en) Clear conformable oriented films and labels
US5468527A (en) Transparent, non-heat-sealable, oriented, multilayer polyolefin film,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US3773608A (en) Paper-like polymeric films and production thereof
US20160002418A1 (en) Graphic article
EP1116745A1 (en)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label sheet comprising the same
US5811185A (en) Low temperature heat seal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comprising propylene/butylene resin
CA2226770C (en) Polymeric films
WO2022059580A1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6540325B2 (ja) 半透明性延伸フィルム
US5693414A (en) Heat-sealable or non-heat-sealable, oriented, layered olefin polymer film comprising amorphous polymer particles
KR0173023B1 (ko) 케이스용 기재 쉬트 및 그 제조 방법
US4912091A (en) Non-sealable polypropylene multi-layer film
JPS63168441A (ja)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565349A (ja) 感圧接着ラベル用片面艶消しポリオレフインベースフイルム
US5683802A (en) Heat-seatable or non-heat-sealable, oriented, multilayer polyolefin film comprising ceramic particles
JP4927615B2 (ja) 成形同時転写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674342B2 (ja) 感熱記録用受容シート基材
AU748319B2 (en) Polymeric films
JP6514473B2 (ja) 積層体、成形体、成形物、および、成形物の製造方法
JP2611752B2 (ja) 微細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およびその製法
JPH02175248A (ja) 半調印刷性包装材料
JPH0859855A (ja) 二軸延伸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2759426B2 (ja) 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