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530B1 - 카메라의 캠기구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530B1
KR0156530B1 KR1019920700194A KR920700194A KR0156530B1 KR 0156530 B1 KR0156530 B1 KR 0156530B1 KR 1019920700194 A KR1019920700194 A KR 1019920700194A KR 920700194 A KR920700194 A KR 920700194A KR 0156530 B1 KR0156530 B1 KR 015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
camera
zoom
f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께 하라구찌
신스께 고모또
다께오 고바야시
시게루 곤도오
히데끼 오꾸보
노리오 누마꼬
사부로오 스가와라
스사오 나까무라
히로후미 마쓰오
가쓰히꼬 노무라
에쓰로오 니시오
하루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마쓰모도 도오루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10827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640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0827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640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8393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266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27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843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4547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0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50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53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9691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521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3265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2806Y2/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모도 도오루,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모도 도오루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7/000293 external-priority patent/WO198700703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530B1/ko

Links

Landscapes

  • Viewf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셔터식 줌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줌렌즈가 렌즈블럭(1)내에 위치하고, 렌즈블럭(1)은 이 렌즈블럭 및 회전가능캠링(14)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섹터기어(15)를 구비한다. 캠링과 섹터기어는 일정한 축상위치에서 회전가능하다.
가동파인터 광학조립체(8)와 가동스트로보조립체(9)는 줌렌즈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줌렌즈는 망원단위치 및 광각단 위치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광각단위치를 지난 완전렌즈접힘위치, 그리고 망원단위치를 지난 매크로 또는 클로우즈업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카메라가 매크로모드에 있을때 프리즘(P1)이 파인더 광학조립체속으로 삽입되어 시차를 보정한다. 스트로보조립체는 그 조사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이동가능하며, 광학쐐기(4e)는 수광기(4)와 발광기(3e) 사이의 경로속으로 피봇선회된다.
단일캠판(53)이 파인더조립체와 스트로보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촬영개구부(22b)는 줌렌즈가 완전접힘위치로 이동할 때 배리어판(31a)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된다. 차광부재(210)가 구비되어 캠홈(20,21)을 통해 촬영광학조립체내로 빛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 차광조립체는 가요성 코드판(90)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캠링(14)의 외주부를 둘러싸며 줌렌즈의 위치에 관련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카메라의 캠기구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줌렌즈를 구비한 렌즈셔터식 카메라의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본 발명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렌즈경통블럭, 발광기, 수광기, 및 줌작동 모터와 함께 거리측정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매크로 보정광학부재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lV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V-V선에 따른 제2도의 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렌즈경통블럭과 2개의 촬영광학렌즈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촬영광학시스템의 전방 및 후방 렌즈군들을 둘러싸도록 사용된 평평한 캠링의 캠홈들의 전개도.
제8도는 제1도의 카메라에 사용된 렌즈경통블럭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카메라가 매크로모드에 있을 때 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기 하기 위한 광학배열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시스템의 프리즘, 프레임(즉, 마스크(Mask)) 및 하나의 수광기 렌즈의 확대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
제12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2개의 렌즈군의 줌렌즈에 사용된 광학배열의 단면도.
제13도는 제1도의 카메라에 사용된 거리측정장치의 발광기와 수광기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도.
제14도는 카메라가 매크로모드에 있을 때 피사체거리측정시스템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시스템의 광학배열의 단면도.
제15a도 내지 제17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인더광학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수직단면도로서.
제15a도는 광시야, 소배율 위치에 있을 때의 파인더광학시스템의 측면도.
제16a도는 카메라가 협시야, 대배율 모드에 있을 때의 제15a도의 조립체의 평면도.
제17a도는 카메라가 매크로모드에서 협시야 대배율 위치에 있을 때의 제15도의 조립체의 평면도.
제15b도, 제16b도 및 제17b도는 제15a도, 제16a도 및 제17a도의 각각의 광학시스템의 수차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18a도 내지 제20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수직단면도로서.
제18a도는 카메라가 광시야, 소배율 모드에 있을 때의 광학시스템의 평면도.
제19a도는 카메라가 협시야, 대배율 모드에 있을 때의 광학시스템의 평면도.
제20a도는 카메라가 협시야, 대배율 매크로 모드에 있을 때의 광학시스템의 평면도.
제18b도, 제19b도 및 제20b도는 제18a도, 제19a도 및 제20a도의 각각의 위치에 있을 때의 파인더광학조립체에 대한 수차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파인더블럭부분과 스트로보발광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는 캠판의 평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XXII-XXII 선에 따른 단면도.
제23도는 제21도의 캠판의 저면도.
제24도는 캠판이 제거된 상태의 제21도의 장치의 평면도.
제25도는 제21도의 XXV-XXV선에 따른 단면도.
제26도는 제1위치에서의 파인더판을 도시하고 있는 제25도의XXVI-XXVI 선에 따른 단면도.
제27도는 제2작동 위치에서의 파인더판을 도시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6도의 그것과 유사한 단면도.
제28도는 편의상 굴절프리즘 작동판이 제거된 제26도의 도면과 유사한 단면도.
제29도는 굴절프리즘 작동판이 삽입되어 있는 위치에서 도시된 제25도의 장치의 정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XXX-XXX선에 따른 단면도.
제31도 및 제32도는 중앙 렌즈 프레임 개구부가 개방된 개방위치에 있을때,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따른 광학배리어장치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32도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 광학배리어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1도의 그것과 유사한 단면도.
제33도는 제31도에 도시된 광학배리어장치의 제1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배리어장치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34도는 제32도의 실시예의 도면과 유사한, 폐쇄위치에서의 제33도의 광학배리어장치의 단면도.
제35도는 렌즈경통블럭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차광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6도는 차광링의 사시도.
제37도는 제36도의 XXXVII-XXXVII 선에 따른 단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도면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차광링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제39도는 캠링이 부분절단된 채로의 가요성 프린트회로기판(FPC) 안내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40도는 제39도의 FPC기판 안내부재의 사시도.
제41도는 캠링과 전방렌즈군 프레임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대하여 FPC기판 안내판의 기계적 배열의 단면도.
제42도는 신장시(이점쇄선) 와 변형시(실선)를 도시하고 있는 FPC기판의 측면도.
제43도는 FPC기판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차광장치의 측면도.
제44도는 코드판의 렌드와 캠홈들이 평평한 캠링상에 도시된 채로, 코드판상의 도전랜드(land)들과 캠(링과 판)홈들 사이의 기능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코드판의 전개 또는 개략도.
제45도는 코드판상에 위치되어 있는 고정위치들과 제44도의 코드상의 줌 코드를 도시하고 있는 도표.
제4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조작스위치들의 정면도.
제4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줌렌즈 조작스위치를 도시하고 있는 배면도.
제48도는 제46도 및 제47도의 카메라의 부가적인 조작스위치들을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
제4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스위치를 제1, 비작동위치로 도시하고 있는 개략단면도.
제50도는 제2,작동위치로 도시되어 있는 모드전환스위치와 매크로버튼의 단면도.
제51도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망원-광각 선택스위치의 개략도.
제52도는 복수개의 브라이트프레임들을 구비하고 있는 파인더광학시스템 렌즈의 정면도.
제53a도는 본 발명의 파인더광학시스템에 사용된 이중쐐기형상 프리즘의 사시도.
제53b도는 제53a도의 프리즘의 평면도. 그리고,
제53c도는 제53a도의 프리즘의 우측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개시의 배경]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렌즈셔터식(lens shutter type)의 자동초점 카메라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히는 줌렌즈시스템이 촬영광학시스템으로서 사용되고, 파인더광학시스템 및 전자플래시장치(스트로보)가 줌렌즈시스템의 줌조작과 관련되어 작동되는 줌렌즈식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파인더광학시스템과 스트로보는 렌즈의 줌작용과 협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본 출원은 같은 일자로 출원되고 같이 양도된 렌즈셔터식 카메라용 줌렌즈 구동시스템이라는 명칭의 1988년 1월 7일자 출원된 출원번호 제143,946호와 관련된다.
2.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종래의 렌즈셔터식(즉, 렌즈사이에 셔터가 있는) 자동초점카메라에 있어서, 촬영광학시스템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른 렌즈셔터식 자동초점카메라들은, 하나의 렌즈가 초점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구비되어 촬영광학시스템 안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이중 초점거리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2개의 초점거리가 구비되어 있지만 그것은 단지 2개의 초점거리, 예를들면 광각 및 망원촬영범위, 또는 예를들면 표준 및 망원촬영범위에 사용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이러한 카메라는 이중초점거리의 잇점에도 불구하고, 2개의 극단 초점거리들 사이의 초점거리의 범위, 또는 광각과 중간망원촬영초점거리와의 사이 초점거리의 범위를 커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한 상황하에서 이전에는 줌렌즈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단지 일안리프렉스식(SLR)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만이 가능했었다.
그러나, 일안 리프렉스식 카메라는 렌즈셔터식 카메라보다 훨씬 비싸고 무겁기 때문에, 카메라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그러한 일안 리프렉스식 카메라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일안 리프렉스식 카메라는 무겁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카메라로 찍은 고품질 사진들의 진가를 인정한다 할지라도, 휴대한 짐의 무게와 양을 줄이기 원하는 여행자들과 여성들을 그러한 일안 리프렉스식 카메라의 사용을 망설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크고 무거운 일안 리프렉스식 카메라의 사용을 망설이는 사용자들은 단지 2개의 선택만을 가지고 있다:
즉, (a)지금까지 촬영광학시스템의 초점거리를 제어할 수 없었던 비교적 작고, 가벼운 렌즈셔터식 자동카메라를 선택하거나 (b)단지 2개의 초점거리만을 사용할 수 있는 이중초점거리식 자동초점카메라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주된 목적은 초점조절제어와 전자플래시 또는 스트로보제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줌렌즈를 구비한 작고 가벼우며, 콤팩트한 렌즈셔터식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매우 크고, 상세한 상을 촬영할 수 있는 부가적인 매크로(macro)(즉, 클로즈업)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파인터광학시스템과 전자플래시장치가 정상 작동시 (예를들면, 광각, 망원 또는 표준작동시)에는 물론 매크로 모드에서 줌렌즈의 줌작동에 따라 조정되도록 된 렌즈셔터식 자동초점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이동가능한 매크로 보정광학부재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 부재는 정상 촬영방식의 광학 기선길이(base length)를 정상촬영방식의 기선길이보다 연장시켜서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할 때 위치검지센서상의 실질적으로 똑같은 영역으로 하여금 빛을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거리측정장치 또는 레인지 파인더(ranee finder)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매크로 모드에서 시차(parallax)를 최소로 한 시야를 가지고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가 매크로 촬영모드에 있을 때 시야를 촬영광학시스템의 축을 향해서 우하방으로 굴절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프리즘(Prism)을 파인더광학시스템의 경로안에 제공함으로써 렌즈셔터식 카메라의 시차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로보램프를 줌렌즈의 동작에 따라 광축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광학쐐기(wedge)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발광기와 거리측정장치를 구비한 수광기 사이의 광학기선길이를 연장시키는 자동초점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사용되는 거리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야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단지 하나의 렌즈만을 동작시키는 파인더광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촬영광학렌즈시스템으로 들어오는 광선을 최소화시키는 차광장치를 구비한 렌즈셔터식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사각(illumination angle)이 가동 줌렌즈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스트로보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셔터식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가요성 프린트회로기판(FPC)이 동작상태에서 캠링과 줌렌즈의 일측면을 따라 안내되고, 가요성 프린트회로기판으로부터 촬영광학조립체 안으로의 내부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셔터식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피사체 거리측정장치, 거리측정장치에 의하여 검지되는 피사체거리의 측정량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촬영광학시스템, 촬영광학시스템으로부터 독립하여 있는 파인더광학시스템, 그리고 스트로보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셔터식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광학시스템은 이 광학시스템의 초점거리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줌렌즈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파인더 광학시스템은 촬영광학시스템으로부터 독립하여, 어느 시점에서의 줌렌즈시스템의 특정의 초점거리에 따라, 파인더렌즈조립체의 시야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배율 파인더광학 렌즈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줌렌즈시스템과 가변배율 파인더광학시스템은 단일 줌작동모터(single zooming motor)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러한 구성을 사용하면, 줌조작과 셔터 릴리즈 조작만이 수동으로 이루어져서, 결과로서 고품질의 콤팩트한 자동카메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렌즈셔터식 카메라는 스트로보장치와 결합하는 한에 있어서는 일안리프렉스 카메라와 기능상 동등하거나 더 우수하여 이로써 고도로 체계화되고,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한 자동초점카메라를 제공하고 있다.
스트로보장치는 예를들어, 조사각이 고정되는 형식일 수 있지만, 줌렌즈시스템의 가변초점거리에 따라서, 또는 그것에 응답하여 조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조사각 스트로보장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로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줌렌즈 시스템은 초점거리의 하나의 극단범위을 넘어서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파인더광학시스템이 시야를 변화시킬 수 있는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가변배율 파인더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인데, 광학부재는 줌렌즈시스템의 특정한 초점거리에 따라서 또는 그것에 응답하여 시야를 변화시킨다.
파인더시스템은 카메라의 매크로 모드시에 시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을 향하여 파인더광축을 굴절시킬 수 있는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스트로보장치는 줌렌즈시스템의 초점거리에 따라서 그리고 줌렌즈(촬영렌즈)시스템을 매크로 모드로 이동 또는 전환 시키는 것에 관련하여 또는 그것에 응답하여 스트로보조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조사각 스트로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피사체거리측정장치는 종래의 삼각측량원리에 의하여 피사체거리를 검지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 있을 경우라도 피사체거리의 정확한 검지를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거리측정장치는 줌렌즈시스템을 매크로 모드로 이동 또는 전환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측정장치의 기선길이를 광학적으로 연장시키기 위하여 거리측정광선을 굴절시킬 수 있는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으로, 렌즈셔터식 자동초점카메라는 광각단 위치와 망원단 위치와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이동가능한 줌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는 망원단 위치의 범위를 넘어서 매크로 또는 클로즈업 촬영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광각단 위치의 범위를 넘어서 촬영렌즈가 완전히 접혀지고 렌즈배리어(barrier)들이 렌즈배리어 블럭의 개구부에 근접하게 되는 근접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카메라의 파인더시야와 스트로보조사각은 피사체가 매크로 모드로 근접거리에서 촬영될 때에는 물론이고, 렌즈의 줌작동에 따라 변화한다.
초점조절은 매크로 모드시와 줌렌즈의 임의의 범위에서도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광학쐐기는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시스템을 형성하는 거리측정장치의 광로를 따라 위치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프리즘은 매크로 모드에서 시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파인더광학시스템의 광로속으로 피봇선회되도록 되어 있다.
첨판은 단일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또한 캠링을 통하여 줌렌즈를 구동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캠판은 줌렌즈의 줌작동에 따라 파인더광학시스템과 스트로보 발광조립체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두번째 특징으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줌렌즈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셔터식 카메라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서, 카메라는 파인더광학조립체와 파인더를 통한 시야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렌즈의 줌동작에 따라 파인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세번째 특징으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줌렌즈, 가변조사각을 가진 가동스트로보발광조립체, 그리고 줌렌즈의 줌동작에 따라 스트로보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셔터식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네번째 특징으로, 렌즈셔터식 카메라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줌렌즈, 클로즈업 또는 매크로 촬영을 위하여 망원단 위치의 범위를 넘어서 줌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물론, 광각단 위치와 망원단 위치와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줌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는 카메라의 필름면으로 부터 피사체의 거리를 삼각 측량에 의하여 측정하는 피사체 거리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초점조절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거리측정장치는 카메라가 클로즈업 모드에 지정되어 있을 때 피사체거리측정 장치의 기선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발광기와 수광기와의 사이의 경로에서 이동가능한 광학쐐기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광학조립체를 수납하는 회전가능한 캠링은 줌렌즈에 부착되어 있고, 회전가능한 기어(gear)는 캠링의 근방에 위치가 정해져 있다.
캠링은 광학부재의 하단을 맞물리게 하며, 거리측정장치의 수광기의 앞에서 광학부재를 이 광학부재에 부착된 스프링의 가압력에 반하여 피봇시키도록 된 오목부와 인접돌출부를 포함한다.
파인더광학조립체 및 스트로보조립체는 무수한 위치에 걸친 렌즈의 연속이동에 따라 또는 이에 응답하여 복수의 위치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망원단위치와 광각단위치를 포함한 13개의 위치를 결정하는 코드판을 사용하므로써 달성된다.
다섯번째 특징으로, 본 발명은 매크로 위치도 이동가능한 렌즈를 가진 자동초점 카메라를 개시한다.
이 카메라는 카메라내의 필름면으로부터의 피사체 거리를 결정하는 장치로 구성된 피사체거리측정장치를 포함한다.
이 카메라는 검지된 피사체거리를 따라 자동으로 초점이 맞춰지는 촬영광학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이 광학시스템은 망원단위치로 그리고 이 망원단위치를 지나 매크로위치나 클로즈업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피사체거리측정장치는 광학부재와 이 광학부재를 피사체거리측정장치의 광로에 선택적으로 끼워넣는 장치를 포함한다.
이 광학부재는 가요성 보정플래그(flag)가 부착되는 프레임 또는 마스크 내에 위치되며 이 플래그는 일단에서 카메라기판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며 보정광학부재가 위치되는 제2의 자유단을 가지고 있다.
캠링은 회전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며, 보정플래그를 거리측정장치의 수광부재의 광로로부터 멀어지는 후퇴위치로 계속 가압하는 스프링의 가압력을 극복하도록 플래그를 피봇선회시키도록 된 오목부와 인접돌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징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내에 위치되도록 된 줌렌즈를 제공한다.
이 렌즈는 적어도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그리고 광각단위치 및 망원단위치에 줌렌즈의 촬영광학시스템을 위치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줌렌즈는 또한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 있을 때 촬영광학시스템의 클로즈업 초점조절을 제공하기 위하여 망원단위치를 지난 위치로 제1렌즈군만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광각단위치, 망원단위치, 및 이 2개의 극단위치사이에 있는 복수의 가변배율위치뿐만 아니라, 망원단위치를 지난 클로즈업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줌작동렌즈를 가진 카메라가 제공된다.
이 카메라는 발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된 자동초점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수광기는 매크로 위치를 제외한 모든 렌즈위치에 대한 자동초점조절시에 피사체의 위치를 검지하는데 사용되는 제1영역과, 이 제1영역에 근접하며 카메라의 매크로 초점조절시에 피사체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제2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영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중첩될 수도 있다.
카메라는 광각단위치 및 망원단위치, 이 2개의 위치 사이의 복수의 가변배율위치들 뿐만아니라, 망원단위치를 지나서 위치된 초점조절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줌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는 수광기 및 발광기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필름면으로부터 피사체거리를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광학부재는 수광기와 발광기 사이의 광로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모터가 렌즈구동을 위해 구비되어 있다.
이 모터를 렌즈에 구동연결시키며, 렌즈가 클로즈업위치나 매크로 초점조절위치로 이동될 때 광학부재를 발광기와 수광기 사이에 위치시키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렌즈셔터식 카메라는 줌기능과 매크로기능을 가진 촬영광학시스템을 포함하며, 정렌즈와 부렌즈로 구성되어 부굴절율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부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군과, 정굴절율을 가지는 제3 렌즈군과, 제1렌즈군의 2개의 렌즈 사이의 광로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된 프리즘으로 구성되는 독립된 파인더광학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이 프리즘은 제1렌즈군의 렌즈사이에 위치될 때 파인더광학시스템의 광학경로를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쪽으로 굴절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 파인더광학시스템은 매크로 위치를 가질 수 있는 촬영광학시스템을 가진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구비되어 있다.
파인더광학시스템은 촬영광학시스템과는 독립적이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촬영광학시스템 즉 줌렌즈가 매크로 모드에 있을 때 파인더광학시스템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광학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부재는 파인더광학시스템의 광축을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 쪽으로 굴절시킴에 의해 시차를 보정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가동 캠판이 이 카메라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것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캠판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주부분과 이 주부분의 후단에 부착되어 아랫쪽으로 뻗어있는 랙과 이 주부분에 있는 복수의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홈들은 비돌출구간과 전방 매크로이송구간과 매크로고정구간을 가진 시차보정 캠홈, 광각구간과 가변배율구간과 망원구간을 가진 스트로보조립체 안내홈 및, 광각구간과 망원구간과 가변배율구간을 가진 가변렌즈 안내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 렌즈셔터식 카메라는 이 광학시스템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가동가변배율 렌즈군을 가진 줌렌즈를 포함하는 촬영광학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줌렌즈시스템의 변화하는 초점거리에 따라 파인더의 시야를 변화시키기 위한 가변배율렌즈군을 가진 독립된 파인더광학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가변조사각 스트로보조립체는 줌렌즈시스템의 초점거리에 따라 이동가능한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는 줌렌즈시스템의 가변배율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어 있으며, 단일의 캠판이 줌렌즈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캠판이 이동함으로써 캠판의 하나의 홈에 맞물려 있는 제1종동핀에 의해 파인더광학시스템이 이동되며, 스트로보조립체는 이 스트로보조립체에 부착되고 캠판의 제2홈에 맞물려 있는 핀에 의해 이동된다.
외주, 중앙개구부, 및 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barrier)판을 가진 렌즈지지프레임용 렌즈캡개방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장치는 프레임의 외주개구부에 위치된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판과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판으로 개구부를 덮기 위하여 부재를 프레임의 안쪽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광각단렌즈위치의 후방의 렌즈수납위치(collapsed lens Position)로 이동될 수 있는 줌렌즈를 포함한다.
이 렌즈는 중앙 촬영개구부를 가진 외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리어판이 중앙개구부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는 렌즈가 렌즈수납위치로 이동될 때 개구부를 덮기 위해 배리어판을 이동시키며 모든 다른 렌즈위치에서는 배리어판을 열게 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차광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캠홈을 가진 캠링을 구비한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사용된다.
이 캠링은 일정한 축상 위치에서 회전가능하며, 차광장치는 이 캠링의 주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광부재를 포함한다.
이 차광부재는 각각의 캠링홈을 덮으며 이에 따라 빛이 캠링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일정한 축상 위치에서 회전가능한 캠링과 이 캠링이 회전함에 따라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렌즈경통을 구비하고 있는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있어서, 캠링 지지부재의 전방단부와 렌즈경통이 이동하도록 된 개구부를 가진 전방덮개와의 사이의 공간에 어느 부재에도 고정되지 않게 위치되는 차광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가요성 프린트회로기판(FPC)이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구비되어 있어서 카메라 몸체로부터 카메라내에서 축상으로 이동가능한 렌즈경통에 부착된 셔터블럭으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진 전방단부와, 제2굴곡 안내부를 가지고 카메라 몸체에 부착된 후방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FPC용 안내판이 구치되어 있다.
안내판의 전방단부는 셔터블럭에 부착되어 있다.
렌즈셔터식 카메라는 또한 가요성 프린트회로기판에 부착되는 반사방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 렌즈셔터식 카메라는 캠링의 회전운동에 따라 촬영광학시스템의 광학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촬영광학시스템의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줌렌즈안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군에 의해 맞물리는 캠홈을 가진 회전가능 캠링을 구비한 그러한 줌렌즈 촬영광학시스템을 제공한다.
캠링은 줌렌즈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코드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그밖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잇점들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인 바, 같은 참조부호는 수개의 도면에서 같은 종류의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식]
본 발명은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특징들을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설명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일반적인 부재목에 따라 제공될 것이다:
A : 렌즈셔터식 카메라의 전체 카메라 구조
B : 거리측정장치, 즉 레인지파인더와 그것의 카메라 매크로 기능
C : 파인더 광학시스템
D : 파인더와 스트로보구동장치
I : 배리어, 즉 렌즈캡장치
P : 차광장치와 기구
G : FPC기판 안내 및 반사방지기구
H : 줌렌즈 위치정보 검지기구
(A. 렌즈셔터식 카메라의 전체 카메라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렌즈셔터식 카메라의 전체구조는 제1도 내지 제8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셔터식 카메라는 줌렌즈 경통블럭(1), 파인더 및 스트로보블럭(2) (이하에서는 파인더블럭으로 언급함), 거리측정, 즉 AF,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발광기(3)와 수광기(4), 그리고 촬영광학시스템의 줌작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줌작동 모터(5) 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재들의 모두는 카메라 몸체의 비가동 부분을 이루는 기판(6)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6)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평면에 놓여있는 렌즈경통 지지판부(6a)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판부(6b)는 렌즈경통지지판부(6a)로부터 직각으로 뻗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파인터조립체(8)와 스트로보조립체(9)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판부(6b)는 판(6a) 의 측면에지를 넘어서 뻗어있다.
또한 기판은 수평평지지판부(6b)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된 모터지지판부(6c)들을 구비하고 있다.
경통블럭(1)은 경통지지판부(6a)상에 지지되어 있는데, 이 판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통블럭을 수납하기 위하여 중앙개구부(번호표시 안됨)를 구비하고 있다.
줌작동모터(5)는 모터 지지판부(6c)에 부착되어 있고 경통블럭(1)의 중앙부분 위에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그러한 단일 모터(예를 들면, DC모터)만이 시스템의 가동부재들 전체를 구동적으로 결합하는 사용된다.
거리측정장치는 발광기(3) 와 수광기(4)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들은 기판(6)의 수평지지판부(6b)에 고정되어 있고, 줌작동모터(5)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어 있다(제2도 및 제3도 참조).
파인더블럭(2)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지지판부(6b)의 우측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열지지판부(6e)는 제3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6f)를 통하여 모터지지판부(6c)에 연결되어 있다.
경통블럭(1)은 줌작동모터(5)에 의하여 작동되며, 이 블럭의 구조는 제6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후방고정판(11)은 제6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경통지지판(6a)에 체결나사(1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후방고정판(11)은 안내판의 후방부에 있는 구멍들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는 4개의 안내로드(12)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안내로드들은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의 둘레에 이 축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전방고정판(13)은 안내로드(12)들의 정방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안내로드들과 판은 렌즈경통블럭(1)의 주고정부재들이다.
회전가능 캠링(14)은 전방고정판(13)과 후방고정판(11)과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섹터기어(15)는 캠링(14)의 외주의 상당한 부분(그러나 바람직하게 전체 360°는 아님)의 둘레에 제공되어 있고; 이 기어는 제6도에 보인 바와 같이 통상적인 장치, 예를들면 나사(15a)로 캠링에 부착될 수 있고; 이 기어는 제3도와 제5도(부분적으로)에 보인 바와같이 기어열지지판(6e)과 모터지지판부(6c)과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제1피니언(7: 제1도)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기어(15)는 캠링(14)의 회전운동의 소정의 범위를 커버하는 섹터기어일 수 있다.
회전오목부(44a)와 캠표면(44)은 기어(의 평평면부분)상에 서로 인접하여 구비된다.
캠링은 전방 및 후방렌즈군과 각각 맞물리게 사용되는 줌작동캠홈(20및 21)(제7도 참조)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7도는 링(14)의 줌작동캠홈(20및21)들의 개략도 또는 전개도이다.
후방렌즈군과 맞물리는 캠홈(21)은 광각단고정구간(21a), 구간(21a)으로부터(제7도에 보인 바와같이)위쪽으로 경사진 가변배율구간(21b), 그리고 망원단고정구간(21c)을 포함하고 있다.
전방렌즈군용으로 사용되는 캠홈(20)은 배리어블럭(30)개폐구간(20a), 렌즈수납구간(20b), 광각단고정구간(20c), 가변배율구간(20d), 망원단고정구간(20e), 매크로전환구간(20f), 그리고 매크로단고정구간(20g)을 포함하고 있다.
매크로라는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경우에, 그것은 카메라의 클로즈업 촬영방식을 언급하는 것이다. 이전에는, 매크로 라는 용어는 때때로 실물크기보다 더 큰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왔지만, 매크로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클로즈업과 같은 의미로서 사용될 것이며, 이 용어가 사용될 때 반드시 여기에 반대의 뜻을 나타내지 않으면 그것은 그러한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는 것이다.
줌작동캠홈(20)의 캠링개폐구간(20a), 렌즈수납구간(20b), 그리고 광각단고정구간(20c)의 회전변위의 전체각(θ1)은 줌작동캠홈(21)의 광각단고정구간(21a)의 각(θ1)과 동일하다.
줌작동캠홈(20)의 가변배율구간(20d)의 각(θ2)은 줌작동캠홈(21)의 가변배율구간(21b)의 각(θ2)과 동일하다.
더 나아가서, 망원단고정구간(20e), 매크로단고정구간(20g), 그리고 매크로전환구간(20f)의 전체각(θ3)은 망원단고정구간(21c)의 각(θ3)과 똑같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줌작동범위는 약35mm와 약70mm와의 사이에 있다.
제6도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울러(17)는 줌작동 캠홈(20)안에 위치되어 있는데; 이 로울러는 전방렌즈군 프레임(16)에 부착되어 있다.
후방렌즈군 프레임(18)의 로울러(19)는, 제6도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줌작동캠홈(21)안에 위치되어 있다.
전방렌즈군 프레임(16)과 후방 렌즈군 프레임(18)은 안내로드(12)들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외장프레임(22)과 셔터블럭(23)은, 제6도의 단면도는 물론, 제8도의 분해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나사(22a)를 통하여 전방렌즈군 프레임(16)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렌즈군(Ll)을 지지해고 있는 전방렌즈프레임(24)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나선체(25)를 통하여 셔터블럭(23)으로 맞물려 있다.
전방렌즈 프레임(24)은 셔터블럭(23)의 렌즈이송레버(23a)와 맞물리는 아암(24a)을 포함하고 있으므로(제6도 참조), 렌즈이송레버(23a)가 전방렌즈 프레임(2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방렌즈 프레임(24)은 나선체(25)의 안내로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것이다.
후방렌즈군(L2)은, 제6도에 보인 바와같이, 후방렌즈군 프레임(18)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즈군(Ll 및 L2)들의 바람직한 한 형태는 1986년 11월 28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번호 제935,882호에 개시된다.
셔터블럭(23)의 구조는 원래 알려져 있다.
이 셔터블럭은 거리측정장치로부터 셔터블럭에 수신되는 검지신호에 따라, 이후에 기술된 바와같이, 펄스모터를 통하여 렌즈이송레버(23a)를 소정의 각변위로 회전시키는데, 이 펄스모터는 카메라 몸체안에 결합되어 있으며, 소정의 시간동안 폐쇄되어 있던 셔터섹터(23b)를 개방시키고 그후에는,셔터가 다시 패쇄된 후에, 렌즈이송레버(23a)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식의 셔터블럭은 예를들어, 1985년 11월 21일자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60-235,12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는 거기에 개시되어 있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그러한 셔터블럭을 사용한다.
파인더블럭(2)은 파인더장치(8)와 스트로보장치(9)를 포함하고 있다.
파인더장치와 스트로보장치는 각각 렌즈경통블럭(1)의 초점거리의 변화에 따라 각각 파인더시야 및 조사각 즉, 스트로보의 세기를 변화시키도록 되어있다.
줌작동모터(5)는 파인더 제어와 스트로보제어의 양자를 위하여 동력원으로서 사용되는데; 단지 하나의 모터만이 그것을 위하여 사용된다.
제1도에 보인 바와같이, 캠링(14)의 섹터기어(15)는 앞에 언급된 제1피니언(7)과 다른 제2피니언(50)으로 맞물려져 있다.
제2피니언(50)이 부착되어 있는 축(51)은 기판(6)의 후방부분을 향하여 뒤쪽으로 뻗어있고, 축의 후방단부에 인접한 감속기어열(52)을 구비하고 있다.
감속기어열은 가동캠판(53)의 랙(53a)과 맞물리는 최종기어(52a)를 포함하고 있다.
이 대체로 평평한 캠판(53)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방향으로 미끄럼 운동가능하며, 제1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하방굴곡부(53b)를 그것의 후방단부에 포함하고 있다.
랙(53a)은 캠판(53)의 굴곡부(53b)의 하부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다.
감속기어열(52)은 캠판(53)의 횡방향이동을 구속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기어(15)를 감속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캠판은 파인더장치(8) 안내용 가변배율캠홈(55), 시차보정용 캠홈(56) 그리고 스트로보장치(9) 안내용 스트로보 캠홈(57)을 구비하고 있다.
파인더 광학조립체(8)에 사용되는 렌즈시스템은 본질적으로 피사체측 렌즈군(L3), 접안렌즈군(L4), 그리고 가동가변배율렌즈군(L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서, 카메라가 매크로 또는 클로즈업 모드에 놓여 있을 때 사용되는 굴절프리즘(P1)을 구비하고 있다.
가변배율렌즈군(L5)은 경통블럭(1)의 가변배율조작에 따라 변화하도록 된 화면을 파인더장치(8)의 시야와 일치하도록 한다.
굴절프리즘(P1)은 매크로 모드에서만 파인더렌즈 시스템의 광로에 들어가는데, 이는 매크로 모드에서 발생하는 시차를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보다 명확히 말하면, 렌즈셔터식 카메라를 사용할 때의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시차는 피사체가 카메라에 가까와짐에 따라 증가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큰 시차가 매크로 모드에서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매크로 모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큰 시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굴절프리즘(P1)이 두꺼운 하단부와 얇은 상단부를 가진 쐐기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굴절프리즘(P1)은 파인더광학시스템의 광축을 따라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카메라에 극도로 근접해 위치되어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광선들을 하방으로 굴절시킨다.
제28도는 굴절프리즘(P1)이 카메라의 광축에 따라 위치되어 있을 때의 광선들의 광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쐐기프리즘은 바람직하게 이중쐐기 프리즘으로 선택되는데, 이것은 제53a도, 제53b도 및 제53c도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양쪽으로 폭이 변화한다.
그러한 프리즘은 광선들을 우하방으로 굴절시켜서 촬영광학축과 실질상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이동시킨다.
스트로보장치(9)는 촬영렌즈의 초점거리가 클 때, 즉 줌렌즈가 앞쪽으로 이송될 때 조사각을 구속하거나 제한하며; 또한 스트로보장치(9)는 피사체에 도달하는 광량을 감소시키키 위하여 매크로 모드에서 조사각을 증가시키도록 이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로보장치(9)는 고정프레넬(Fresnel) 렌즈(L6), 가동오목반사경(59), 그리고 스트로보의 광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크새논(xenon)램프(58)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에 따라서는, 단순스트로보가 조사각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로보 구조가 가능하다 할지라도, 줌렌즈의 촬영광학시스템이 자리잡은 위치에 따라서, 사진촬영시에 피사체에 주어진 광량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줌렌즈의 이동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램프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거리측정장치, 즉 레인지파인더와 카메라의 매크로기능)
본 발명의 거리측정장치의 상세한 구성과 카메라의 매크로기능과의 관계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피사체로 부터 2개의 렌즈군의 줌렌즈까지의 거리와 줌렌즈의 변위 또는 전진이송과의 관계를 먼저 설명한다.
제12도는 2개의 렌즈군의 줌렌즈에 대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구조에 있어서, 피사체거리와 줌렌즈의 변위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단, U는 피사체의 대한 필름면으로부터의 거리;
f1은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 ;
X 는 줌렌즈의 변위;
HH는 주점(Principal Point) 거리 ;
△는 제1렌즈군의 초점과 제2렌즈군의 줌렌즈의 초점사이의 거리이다.
식(1)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제13도는 피사체거리(U)와 위치검지부재(4a)상의 위치편차(t)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부재(4a)는 삼각측량의 원리를 기초로하여 피사체에 대한 필름면으로 부터의 거리를 검지하는 거리측정장치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삼각측량방식 거리측정장치는 광원(3a)과 발광렌즈(3b)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기(3); 그리고 수광렌즈(4b)와 위치검지부재(4a), 예를들면, 감광검지기(이하, PSD라함)를 구비하고 있는 수광기(4)를 포함하고 있다.
광원(3a)으로부터 나온 광선들은 피사체에 의하여 반사되고, 그것으로부터 반사된 광선은 필름면(P)으로부터의 피사체의 거리를 검지하기 위하여 위치 검지센서(4a)에 의하여 수광된다.
위치검지센서(4a)상의 기준점이 되는 무한거리에 있는 피사체의 필름면(F)에서의 영상위치와 필름면(F)으로 부터의 거리(U)인 피사체의 필름면에서의 영상 위치의 편차(t)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단, L은 거리측정장치의 기선길이;
f 는 수광렌즈의 초점거리;: 그리고
d는 필름면(P)와 수광렌즈의 초점면과의 사이의 거리이다.
편차(t)는, 공지의 방법으로 위치검지센서(4a)에 의하여 수광된 광량에 따른 위치검지센서(4a)의 전류, 즉 출력에 의하여 검지될 수 있다.
카메라의 촬영광학시스템은, 식(2)와 식(3)을 기본으로 하여, 위치검지센서(4a)의 출력신호, 즉 전류에 따라 영상평면의 초점상에 영상을 형성하도록 조정되므로, 자동초점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광학시스템의 작동 또는 구동장치는 위에 언급되어 있다.
카메라의 매크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거리측정장치에 의한 피사체거리의 측정범위를 근접피사체거리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매크로 모드에서, 촬영광학시스템은 표준위치로부터 피사체를 향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변위되는 것은 잘 알려진 바와 같다.
제1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렌즈의 제1렌즈군은, 매크로 모드에서, 피사체를 향하여 소정의 변위까지 전진이동되는데, 이것은 정상적인 촬영시 자동초점조절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변위에 대하여 독립적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매크로 모드에서 피사체 거리의 측정범위를 변환시키기 위한 하나의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제14도에 있어서, 꼭지각(δ)을 가지고 있는 통상적인 프리즘(P)은 피사체거리의 측정범위를 촬영되는 피사체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광렌즈(4b)의 앞에 삽입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줌렌즈식 카메라 시스템은 수광기(4) 앞에 위치되는 피봇선회 가능한 프리즘 또는 쐐기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프리즘(P)의 꼭지각과 굴절율이 각각 δ와 n이라 가정하면, 피사체거리(U1)에 대한 위치검지센서(4a)상의 영상의 편차(t1)는 다음과 같이 얻어질 수 있다:
우선, 피사체에 근접한 프리즘(P)의 평면상의 광선들의 입사각(α)는 다음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α= tan- 1{L/U1-f-d)} + δ
입사각 α로 꼭지각 δ의 프리즘(P) 상에 입사하는 광선들의 굴절각 β는 다음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β= α - δ + sin -1[n sin{ δ-sin( α/n)}]
그러므로 γ = α- δ- β.
따라서, 위치검지센서(4a)상에서의 영상의 편차(t1)는
t1= f x tan γ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수광렌즈(4b)의 광축과 일치하는 광선이 발광렌즈(3b)의 광축에 교차할 때 얻어지는 피사체거리(Umf1)는, 프리즘(P)의 두께를 무시한다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Umf1 = L/tan{ sin -1(n sin δ)-δ}+f +d.
하나의 예에 있어서, 본원의 발명자들은 2개의 렌즈군의 줌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촬영광학시스템이 있는 카메라에 있어서, U,U1,t,t1, 그리고 t-t1의 값들을 계산하였는데 여기에서, f1, 즉 제1군의 초점거리는 24.68mm; HH, 즉 주점거리는 7.02mm; △,즉 제1렌즈군의 초점과 줌렌즈의 초점사이의 거리는 30.04mm; d, 즉 필름면과 수광렌즈의 초점면사이의 거리는 6.292mm; 매크로 설정시 제1군의 변위는 0.5502mm; L, 즉 거리측정장치의 기선길이는 30mm; f, 즉 수광렌즈의 초점거리는 20mm; δ, 즉 프리즘(P)의 꼭지각은 2.826°; n, 즉 프리즘(P)의 굴절율은 1.483; 측정가능한 거리범위는 0.973m ∼무한대; 그리고 줌렌즈의 전진이송이동의 찬계수는 0.973m ∼6m의 범위가 줌렌즈의 17전진이송이동단계로 분할되도록 18이다.
이들의 계산결과는 아래의 도표1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계산에 있어서, 0.973m∼6m 의 거리범위는 0.580m ∼1.020m의 범위로 전이되어 있다.
아래의 도표1에 있어서, 제17-18단계는 제17단계가 제18단계로 변하는 전이점을 나타내며; 유사하게, 제0-1 단계는 0과 제1단계사이의 전이점을 나타낸다.
도표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프리즘(P)에 의한 보정의 결과로서, 측정가능한 피사체거리의 측정범위의 양극단에서 위치검지센서(4a)에 0.027mm의 영상편차가 발생한다.
그러한 편차는 줌렌즈의 이송단계수에서 대략 1단계와 사실상 일치한다.
따라서, 위치검지센서(4a)의 출력에 응답하여 촬영광학시스템의 변위를 직업 제어함으로써 촬영렌즈를 정확한 초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그결과 초짐흐림(out of focus)의 상태가 발생한다.
바꾸어 말하면, 피사체거리(111)에 대한 위치검지센서(4a)상의 영상편차(t1)의 변화율이 프리즘(P)에 의하여 변화될 수 없으므로, 단지 프리즘(P)만을 사용함으로써 영상의 편차를 완전히 보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프리즘은 영상 편차를 보정하기 시작하지만, 단독으로 그렇게 할 수는 없다.
그러한 결과들을 고려하여, 제17-18 단계와 제 0-1단계사이의 편차(t와 t1)들의 감소량이 각각 0.5334mm와 0.4794mm이므로, 편차(11)의 비율에 제0-1단계와 제17-18단계사이의 편차(t1)의 변화량으로 나누어진 제0-1단계로부터 제17-18단계까지의 편차(t)의 변화량과 같은 1.1130(0.5334를 0.4794로 나누어 계산된 값)으로 곱해서 이 편차(t1)의 비율이 조정된다면 그러한 편차의 완전한 보정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매크로 모드 보정광학부재는 거리측정광학시스템의 발광기와 수광기사이의 기선길이를 광학적으로 연장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발광기의 광축과 수광기의 장축을 유한거리로서 교차시키기 위하여,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 놓여있을 때에만 선택적으로 거리측정광학장치의 앞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광학시스템, 즉 줌렌즈를 정상 촬영모드로부터 매크로 모드로 전환 또는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매크로 보정광학부재를 수광기의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기구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앞으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자동초점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 있을 때 거리측정장치의 광학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매크로 보정부재(4e)는, 제14도의 단지 광학쐐기만이 아니라 프리즘(4c)과 마스크 또는 프레임(4d)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재(4e)는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거리측정장치의 수광렌즈(4b)의 앞으로 이동된다.
정상촬영모드에서, 부재(4e)는 수광렌즈(4b)의 광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후퇴되어 있다.
보정부재(4e)를 작동시키는 기계적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매크로보정부재(4e)의 실제구조와, 측정정밀도가 매크로 모드에서 개량되거나 증대되는 이유가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부재는 거리측정장치의 기선길이를 광학적으로 연장시키고 입사되는 광선을 굴절시키도록 된 프리즘(4c)을 포함하고 있다.
제10도는 프리즘(4c), 마스크(4d), 그리고 수광렌즈(4b)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11도는 제10도의 정면도인데; 이 두 도면은 마스크 또는 프레임(4d)이 프리즘에 접근하는 광로를 벗어난 광선들을 어떻게 차단할 수 있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마스크(4d)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기다란 슬롯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 전방개구부(4f)를 피사체에 매우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프레임의 전방에, 후방개구부(49)(제10도 참조)를 수광렌즈(4b)에 근접한 프레임 또는 마스크쪽에 포함하고 있다.
개구부(4f)는 발광렌즈(3b)로부터 광축의 반대쪽으로 측정되는 거리( ℓ)만큼 수광렌즈(4b)의 광축(0)으로부터 이격된 슬릿형상을 이루고 있다.
후방개구부(49)도 또한 수광렌즈(4b)의 광축(0)을 따라 위치되어 있는 기다란 슬릿형상을 이루고 있다.
마스크(4d)와 함께, 프리즘(4c)이 수광렌즈(4b)의 앞으로 이동될때, 즉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 있을때, 촬영렌즈의 제1렌즈군은 자동초점조절장치에 의한 정상 촬영 모드시 전진이송되는 렌즈의 변위와는 관계없이 일정변위만큼 전진이송된다.
제9도와 제10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4c)이 수광렌즈(4b)의 앞에 위치되어 있을 때, 피사체거리의 측정범위는 매크로 모드범위로 전이될 수 있다.
프리즘(4c)은 평평하게 입사하는 광선을 기선길이의 방향으로 변위( ℓ)만큼 떨어진 곳으로 이동시키므로 기선길이(L)는 길이(L + ℓ)로 광학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리즘(4c)의 각과 굴절율이 각각 δ과 n 이고, 프리즘(4c)에 의한 광선의 평행이동을 길이(ℓ)로 표시한다면, 피사체거리(U)에 대한 위치검지부재(4a)상의 보이는 대로의 영상의 편차(t)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얻어질 수 있다.
피사체에 인접해 있는 프리즘(4c)의 평면에 대한 광선의 입사각(α)은 다음식으로 제공된다 :
α= tan - {(L +ℓ)/(U2-f-d)} +δ
이 식은 삼각측량식 거리측정장치의 기선길이가 수광렌즈(4b)의 앞으로의 프리즘(4c)의 삽입에 의하여 L로부터 L +ℓ로 확장되는 것을 표시한다.
각(δ)을 가진 프리즘상에 입사각(α)으로 입사되는 광선의 굴절각( β)은 다음식에 따라 계산된다:
β= α- δi +sin - [n sin{ δ-sin(α/n)}],
그러므로, γ=α- δ- β.
따라서, 위치검지센서(4a)상의 영상의 편차(t)는 f × tan γ,
즉, t= f × tan γ이다.
수광렌즈(4b)의 광축과 일치하는 광선이 발광렌즈(3b)의 광축과 교차할 때 얻어지는 피사체거리(Umf)는, 프리즘(4c)의 두께를 무시한다면, 다음식을 사용함으로써 산출된다.
Um=(L + ℓ)/ tan(sin - (n x sin δ) - δ}+f+d.
아래의 도표2는 계산결과들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제10도와 제11도의 거리측정장치가 제14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언급된 바와 똑같은 기본조건을 만족하는 촬영렌즈에 적용된 경우이다.
즉 그 조건은 다음과 같다.
(a) 촬영렌즈는 2 군렌즈이고;
(b) f1, 즉 제1군의 초점거리는 24.68mm;
(c) HH, 즉 주점거리는 7.02mm;
(d) △,즉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와 줌렌즈의 초점거리사이의 거리는 30.04mm;
(e) d,즉 필름면과 수광렌즈의 초점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6.292mm;
(f) 매크로 설정시 제1렌즈군의 변위는 0.5502mm;
(s) L, 즉 거리측정장치의 기선길이는 30mm;
(h) f, 즉 수광렌즈의 초점거리는 20mm;
(i) δ, 즉 프리즘(4c)의 각은 3.39°;
(j) n, 즉 프리즘(4c)의 굴절율은 1.483;
(k) ℓ, 즉 광선들의 평행이동변위를 나타내는 거리는 3.39mm ;
(1) 측정가능한 피사체거리의 측정범위는 0.973m ~무한대;
(m) 줌렌즈의 전진이송운동의 단계수는 18;
(n) 0.973m-6m의 범위는 17 단계들로 분할되고; 그리고
(o) 0.873m∼6m의 촬영범위는 0.580m ~ 1.020m의 범위로 전이된다.
정상촬영 모드와 매크로 모드사이의 여러 단계들에서 위치검지센서(4a)상의 영상들의 편차는 도표2로부터 +/- 0.0001mm 이내라는 것이 명확하게 이해될것 이다.
이것은 도표2의 마지막 컬럼의 값(t-t)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검지센서(4a)의 출력에 따라 촬영광학시스템을 조정함으로써 초점에 영상을 거의 완전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표2 는 프리즘(4c)이 정상촬영모드에서는 보통 30mm 인 기선길이를 매크로 모드에서는 정상기선길이의 1.113배가 되도록 광학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 있을 때 기선길이가 93.39mm 가 된다; 결과적으로 위치검지센서(4a)의 변위가 1.113배로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작동시에, 위치검지센서(4a)에 의하여 전달된 출력신호, 즉 측정데이터에 따라 전술한 셔터유닛(23)을 작동시킴으로써, 카메라의 매크로 모드를 포함하여, 줌작동범위내에서, 카메라를 자동적으로 초점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지센서(4a)로부터 수신된 측정데이타에 따라 구동펄스가 셔터 유닛(23)의 펄스모터에 인가될 때, 렌즈작동 또는 이송레버(23a)는, 제8도에 보인 바와 같이, 그것과 함께 전방렌즈프레임(2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수신한 구동펄스들에 해당하는 각 만큼 회전한다. 전방렌즈프레임(24)의 이러한 회전의 결과로서, 전방렌즈군(L1)은 촬영렌즈조립체의 초점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나선체(25)의 작동을 통해서 촬영광축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렌즈경통블럭(1)은 줌작동모터(5)가 구동될 때 캠링(14)을 회전시킨다.
캠링(14)의 회전은 전방프레임(16)의 로울러(17)가 캠홈(20)의 매크로단위치 고정구간(209)과 맞물리게 한다.
즉, 로울러가 캠링(14)의 매크로전환구간(20f)으로부터 구간(20g)으로 이동해서 전방렌즈군(L1)이 카메라의 매크로 모드작동을 위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보다 더 전방으로 이송된다.
제1도및 제2도에서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보정부재(4e)는 수광기(4) 밑에 위치되어 있는 축(41)을 통하여 그 기단에서 카메라의 기판(6)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 가요성 보정플래그(42)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있다.
플래그(42)는 외력이 플래그에 작용되지 않을 때에는 실질적으로 직립위치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외턱이 플래그에 작용될 경우에도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축(41)에 부착되어 있고 플래그로의 반대방향으로 뽀족한 표면을 구비하고 있는 돌출부(43)는 플래그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41)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플래그와 분리되어 형성되어 돌출부의 중앙구멍에서 축(41)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매크로보정부재(4e)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46)에 의하여 수광기(4)의 광축으로 부터 멀리 후퇴되는 후퇴위치로 계속해서 회전가능하게 가압되어 있다.
제1도에 더 잘 그리고 제2도에 보인 바와같이, 캠링(14)은 캠링(14)이 매크로 설정위치로 회전할 때에는 언제나 매크로 보정광학부재(4e)를 거리측정장치의 광축의 수광기(4)의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플래그 돌출부(43)와 맞물리는 셔터기어(15)(또는 캠링)상에 돌출부(44)를 포함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모양의 오목부(44a)(또는 다른 오목부 형상)는 캠면 또는 돌출부(44)에 인접하여 기어(15)상에 제공되어 있다.
이 오목부는 캠링이 회전함에 따라 플래그 돌출부(43)의 피봇선회 또는 회전운동을 용이하게 제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44a)는 돌출부의 회전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그러므로 제2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의 수광기(4)의 앞으로 광학부재(4e)를 피봇 또는 회전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선택에 따라서, 링(14) 또는 기어(15)는 돌출부(43)용 피봇선회공간을 충분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캠돌출부(44)는 돌출부(43)와의 맞물림을 통하여 매크로 보정광학부재(4e)의 회전 또는 전진운동을 일으키는데, 광학부재(4e)가 수광기(4)의 광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위치를 약간 지나서 회전하도록 위치되고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판(6)에 일체로 부착되어있는 지지판(6e)에 매우 근접하는 부재(4e)의 평평단부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너브(nub) 또는 버튼(49)을 통하여(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플레이트(6e)의 좌측면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44)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부재(4e)의 과도한 회전운동은 탄성플라스틱, 고무, 또는 기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플래그(42)와/또는 판(6e)의 측면에지와 맞물리는 러브(49)에 의하여 흡수된다.
그래서, 캠링(14)이 매크로 설정위치로 이동할 때에, 매크로 보정광학부재(4e)는 발광기(3)와 수광기(4)사이의 기선길이를 광학적으로 연장시키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수광기(4)의 광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수광기의 전방 위치로 들어가게 될 수 있다.
(c. 파인더 광학시스템)
파인더 광학시스템은 제1도와 제15도 내지 제20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파인더 광학시스템은 촬영렌즈시스템의 줌작동에 따라 소배율 광시야와 대배율협시야와의 사이에서 배율을 변화시킬 뿐만아니라,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서 사용될 때 시차가 보다 더 작은 시야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인더 시스템의 모든 필요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촬영렌즈의 매크로설정 상태로의 이동과 그것의 줌작동의 양자와 연동되어 파인더 광학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파인더들이 여러가지 크기의 파인더시야를 가진 복수개의 브라이트 프레임들을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상기 언급된 문제들에 대하여 만족한 해결 방안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단지 그러한 프레임들의 사용만으로는 본 발명의 카메라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정도로 매크로 모드에서 시차를 최소화시킬 수 없다.
그러한 사정하에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서, 개량된 역갈릴레이식 파인더(inverted Galiean Finder)를 구비하고 있는 파인더장치가 줌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 셔터식 카메라에 제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파인더 광학시스템은 고정렌즈(L3)형태의 정렌즈(Positive lens)와 가변배율렌즈(L5)형태의 가동 부렌즈(negative lens)로 구성되어 있는 부굴절율의 제1렌즈군, 고정 접안렌즈군(L4)와 하나의 렌즈인 부렌즈(L4-1)를 구비하고 있는 제2렌즈군, 그리고 고정접안렌즈군(L4)의 제2렌즈인 정굴절율의 렌즈(L4-2)를 구비하고 있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고 있다.
프리즘(P1)은 광선을 광축을 향하여 굴절시키기 위하여 제1렌즈군의 정렌즈(L3)와 부렌즈(L5)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1렌즈군의 부렌즈(L5)는 소배율 광시야로부터 대배율 협시야로 배율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피사체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촬영자의 눈에 인접한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장축과 선택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프리즘(P1)은 촬영광학시스템이 매크로설정상태에 있을 때와 제1군의 부렌즈(L5)가 광축을 따라 찰영자의 눈에 가장 근접하도록 이동할 때 시차를 감소시킨다.
제52도에 대쉬라인으로 도시되어 있는 브라이트 프레임들은 촬영범위를 형성하고, 피사체에 최근 접한 제3군의 렌즈의 면, 즉 제15a도, 제16a도, 제17a도, 제18a도 및 제19a도 및 제20a도 각각의 고정 접안렌즈(L4-2)의 좌측면(A)에 형성되어 있다.
렌즈면(A)상에 놓여있는 이들 황색 프레임들은 중앙 자동초점조절점(피사체의 주요부상에 위치됨), 큰 영상면적프레임(줌렌즈를 사용하는 보통 사진촬영용), 그리고 보다 더 작은 시차보정프레임(매크로 모드에서 영상면적이 약간 좁아지기 때문에 사용됨)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촬영자의 눈에 가장 가까이 인접해 있는 제2렌즈군(L4-1)의 면(B)은 반투명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는 브라이트 프레임의 허상은 제3렌즈군(L4-2)의 정렌즈를 통하여 확대되어 보일 수 있다.
황색 브라이트 프레임들은, 예를들어,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하여 고정접안렌즈(L4-2)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으며 ; 접안렌즈부재(L4-1)의 후방, 즉 표면(B 또는 r6)은 반투명, 반반사(semi- reflective)의 오목거울의 형태일 수 있다.
브라이트 프레임들로부터 나온(즉, 그것들에 의하여 반사된) 광선은 오목면(R6)에 의하여 뒤쪽으로 반사되어 관찰자의 눈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눈은 멀리 전경(far foreground)의 위치에 있는 프레임들의 확대된 허상을 인지하는데, 그 허상들은 렌즈(L4-1및 L4-2)들의 광학적 효과를 통하여 형성된다.
제1군의 부렌즈(L5)는,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이동가능하므로, 배율이 소배율 광시야로부터 대배율 협시야로 변화될 수 있도록, 정상 줌작동시 촬영광학시스템의 초점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것은 피사체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촬영자의 눈에 더욱 근접한 위치로 이동한다.
협시야 대배율을 가진 매크로(망원범위를 넘어) 모드에서 사진촬영될 때에, 프리즘은 시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동렌즈(L5)와 고정렌즈(L3)사이에 삽입되므로, 광선은 촬영광학시스템의 축위치를 향하여 굴절된다.
제16a도, 제17a도, 제19a도 및 제2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초점 조절을 위해 프리즘(P1)을 피봇 또는 회전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즉 충분한 거리만큼 렌즈(L5)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프리즘을 위쪽으로 선회하도록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어 있다.
본 시스템의 장점은 복수개의 렌즈 또는 모든 렌즈들을 줌작동하지 않고 단일의 이동렌즈(L5)로만 줌작동하므로 모든 렌즈들의 줌작동이동을 보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단일 렌즈만의 이동이 파인더 영상의 배율을 변화시키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이것은 줌작동 캠판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게 된다.
제5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부프레임은 부조정을 해야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있는 2개의 후방 접안렌즈군(L4-1 및 L4-2)들은 고정되어 있으며, 그들의 각각의 표면들의 곡률들은 반사된 프레임들이 촬영렌즈의 줌작동의 전체범위에 걸쳐서 영상배율과 양립할 수 있는 소정의 배율을 가지도록 제어된다.
선택적으로 삽입가능한 프리즘의 꼭지각은 파인더시스템과 촬영광학시스템의 위치들에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에 의한 합성각에 의하여 정의된다.
프리즘은 단일쐐기형 프리즘일 수 있으며, 또는 제53a도, 제53b도 및 제5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을 향하여 광선을 우하방으로 굴곡시키기 편리한 이중쐐기형 프리즘(P1)일 수 있다.
제5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쐐기형 프리즘(P1)은 상부에서 화살표(A)의 방향(제53a도 및 제53b도 참조)으로 보았을 때 확장하는, 그리고 촬영광축에 대하여 카메라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화살표(B)에 의하여 도시된 경우(제53a도 및 제53c도)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또한 확장하는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θ)는 2.8° , 각(θ)는 4.2°, 각(θ)는 4.2°, 그리고 각(θ)이다.
쐐기형 프리즘은 제1단일 볼록렌즈부재(L3)와 가동단일렌즈부재(L5)와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것은 파인더장치가 콤팩트하게 만들어질 수 있게 하며, 프리즘이 이들 두 부재들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피사체의 허상의 조망거리와 브라이트 프레임들은 촬영렌즈의 줌작동 범위에 걸쳐서 일정한 체로 남아 있고, 시차보정은 매크로 또는 클로즈업 모드에서 프리즘을 렌즈들 사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제공된다.
브라이트 프레임 영상들의 조망배율 또는 크기는 고정렌즈부재(L4-2)상의 브라이트 프레임들의 배치때문에 매크로 설정시는 물론이고 촬영렌즈의 줌작동 범위에 걸쳐서 역시 일정하게 유지된다.
촬영자의 눈과 영상거리(image distance)사이의 거리, 즉 파인터의 디옵터는 줌작동 오목렌즈부재가 IX의 영상배율 즉, 실물크기를 넘어서 이동하기 때문에 사실상 변화하지 않는다.
매크로 또는 클로즈업 촬영모드에서 시차보정은 제52도에 도시된 보정 프레임용 표시(뷰파인더식 카메라의 근접초점조절방식에서의 일반적인 시차보정 장치임)의 사용과 더불어 렌즈부재들사이의 쐐기형 프리즘을 위치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쐐기형 프리즘의 가장자리들은 매크로 또는 클로즈업 모드에서의 촬영영역을 도시하고 있는 프레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연록색(tinted green)이다.
이론상, 프리즘은 제1렌즈군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지만, 프리즘을 그렇게 배열한다면, 그것은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전체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프리즘은 제2및 제3렌즈군들의 사이에 위치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프리즘이 이들의 사이에 삽입되면, 브라이트 프레임과 피사체의 허상위치가 프리즘의 이동에 따라 변할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대로 프리즘이 제1렌즈군의 정렌즈와 부렌즈사이에 후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을 때, 프리즘은 그러한 문제점들로부터 자유롭고, 피사체의 허상에 대한 디옵터의 변화는 본질적으로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몇가지 실시예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제15a도, 제15b도, 제16a도, 제16b도, 제17a도 및 제17b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파인더장치의 제1실시예의 여러 위치들을 도시하고 있다.
제15a도는 소배율 광시야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의 파인더 광학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16a도는 대배율 협시야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의 파인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17a도는 대배율 협시야가 제공되어 있는 동시에 매크로 모드에 있을 때의 파인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15b도, 제16b도 및 제17b도는 각각 제15a도, 제16a도 및 제17a도의 각각의 위치들에 있어서의 파인더 렌즈시스템의 수차들을 도시하고 있다.
파인더 광학시스템은 제1렌즈군을 형성하고 있는 단일 정렌즈(L3) 및 단일 부렌즈(L5); 제2렌즈군을 형성하고 있는 단일 접안부렌즈(L4-1); 그리고 제3렌즈군을 형성하고 있는 단일 접안정렌즈(L4-2) 및, 선택적으로 위치설정가능한 프리즘(P1)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광학부재들 사이에서, 단지 단일 부렌즈(L5)만이 광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프리즘(P1)은 이 광축에 일직선으로 정렬되게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고; 기타 다른 모든 렌즈들은 고정상태로 남아 있다.
다음의 도표3과 도표4는 광학부재(L3,L5,L4-1,L4-2 및 P1(도표4에만))들 각각의 대향면들의 곡률(r), 거리(d), 굴절율(Nd) 및 아베수(Abbe's number: γd)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표3과 도표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치들(r,d,Nd및 γd)은, 피사체에 최근 접해 있는 단일 정렌즈(L3)쪽에서 볼 때, 즉 도면들의 좌측부분으로 부터 눈 또는 도면들의 우측부분을 향하여, 번호 1내지 8과 1 내지 10 중의 어느 하나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도표 3은 소배율(0.38 x ), 광시야위치에 있을 때와 대배율(0.70 x), 협시야 위치에 있을 때의 렌즈의 위치를 표시하며, 도표4는 매크로 모드에 있을때의 렌즈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모드에서 사용된 이중쐐기형 프리즘을 이루고 있는 프리즘(P1)의 꼭지각들은, 예를들어, 수평부분에서 2.8° 이고 수직부분에서 4.2° 이다.
사진촬영범위를 형성하고 있는 브라이트 프레임은 피사체에 가장 근접하여 있는 제3렌즈군의 단일 정렌즈(L4-2)의 표면(A)에 표시되어 있고, 촬영자눈에 가장 근접해 있는 제2렌즈군의 단일 부렌즈(L4-1)의 표면(B)은 반투명하다.
결과로서, 단일 정렌즈(L4-2)의 표면(A)에 표시된 브라이트 프레임의 허상은 면(B)에 형성되고 반사되며, 그후에 단일 정렌즈(L4-2)를 통하여 확대되어 보여진다.
[실시예 2]
제18a도는 광시야, 소배율위치에 있는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제19a도는 협시야, 대배율 위치에 있는 이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20a도는 협시야, 대배율, 매크로 모드에 있는 파인터 광학조립체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리고, 제18b도, 제19b도 및 제20b도는 각각 제18a도, 제19a도 및 제20a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3개의 다른 위치들에 있어서의 파인더 렌즈시스템의 수차들을 도시하고 있다.
파인더 광학장치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3렌즈군이 정렌즈(L4-2및 L4-3)들의 형태를 이루는 2개의 렌즈들로 구성되어 있는 한에 있어서, 렌즈시스템은 실시예 1에서 검토된 제1실시예의 그것과 다르다.
도표5와 도표6은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이전에 검토된 도표3과 도표4와 유사한 도표들로서 파인더 렌즈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모든 부재들에 대한 곡률(r), 거리(d), 굴절율(Nd),그러고 아베수(γd)들을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의 광시야, 소배율(0.35x) 위치, 그리고 시스템의 협시야, 대배율(0.648x)위치를 표시하고 있는 도표5와, 매크로 모드에 있을 때의 시스템을 표시하고 있는 도표6 에 있어서, 프리즘(P1)의 꼭지각은, 예를 들어, 수평방향에서 3.0° 그리고 수직방향에서 5.0° 이다.
촬영범위를 한정하는 브라이트 프레임은 또한 제3군의 정렌즈(L4-2)의 면(A)에 형성되어 있고, 제2군의 단일 부렌즈(L4-1)의 면(B)은 또한 제1실시예의 파인더 시스템에서와 같이 반투명하다.
제1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인더 광학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한다:
(1) 0.3 dP 0.5;
(2) f1 + 1.8; 그리고
(3) 0.45 f3/LD 0.7;
단, LD = 파인더의 총길이;
dP = 프리즘의(P1)에 가장 근접해 있는 렌즈(L3)의 면과 프리즘(P1)에 가장 근접해 있는 렌즈(L5)의 면과의 사이의 거리;
f1+ =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초점거리;
그리고,
f3 = 제3 렌즈군의 초점거리이다.
이들 조건은 프리즘(P1)으로 하여금 제1렌즈군의 가동렌즈(L3)와 제1렌즈군의 부렌즈(L5)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기에 적합하며, 광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놓여있을 때의 프리즘의 유효직경을 최소화시키기에 편리하다.
제1조건, 즉 0.3 dP 0.5 는, dP의 값이 그 상한값을 초과한다면, 렌즈(L3)의 유효직경이 커져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콤팩트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어렵게 하며; 그와 반대로, dP의 값이 0.3보다 작다면, 프리즘(P1)이 렌즈(L3 및 L5)들 사이의 위치에서의 광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고, 그 축으로 부터 멀리 후퇴할 수 있도록 그것을 부드럽고 용이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극히 어려워진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제2조건 및 제3조건들, 즉 f1 + 1.8 및 0.45 f3/LD 0.7은 프리즘(P1)의 유효직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언급된 제2조건은 프리즘이 파인더 광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 프리즘(P1)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렌즈시스템의 초점거리(PR)를 설정하여 위치시키는 것과 대체로 대응한다. 즉, f1+ 가 상기 언급된 상한값, 1.8을 초과한다면, 프리즘의 유효직경은 커지고, 그것에 의하여 콤팩트한 프리즘과 파인더를 실현하기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제3조건은 프리즘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3렌즈군에 대한 필요조건과 기본적으로 동등하다. 즉, f3/LD가 하한값, 0.45보다 더 작다면, 시스템의 공차가 매우 작아진다.
그와 반대로, f3/LD의 값이 상한값, 0.7을 초과한다면, 프리즘의 유효직경이 증가한다.
상기의 제1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dP, f1 +, 그리고 f3/LD의 값들은 아래표에 실려 있는데 이들 모든 값들은 상기 언급된 제1, 제2, 및 제3조건을 만족시키게 되었다.
(D. 파인더 및 스트로보장치 구동장치)
파인더 광학조립체(8)와 스트로보 조립체(9)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는 제21도 내지 제30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모판(Bother plate: 60)은 수평지지판 확장부(6b)를 통하여 기판(6)에 장착되어 있는 파인더블럭(54)에 부착되어 있다.
모판에 일체로 부착되어 캠판(53)의 대체도 직선인 안내홈(61)안에 끼워지도록 된 안내핀(62)들을 구비하고 있다.
캠판(53)은 카메라의 광축에 관하여 횡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고, 안내홈(61)들과 안내핀(62)들 사이의 맞물림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으며; 안내돌출부 또는 플랜지(60a)(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됨)는 모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캠판(53)이 모판의 전면으로부터, 특히 플랜지가 캠판을 맞물고 있는 캠판(53)의 전방단부에서, 멀리 부유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파인더 모판(60)은 가변배율렌즈 안내홈(63), 굴절프리즘 안내홈(64),그리고 스트로보 조립체 안내홈(65)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각각의 안내홈들은 카메라의 촬영광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파인더 가변배율 렌즈군(L5)을 지지하는 파인더 가연배율렌즈프레임(66)의 안내돌출부(66A)는 가변배율렌즈 안내홈(63)안에 끼워져 있다.
굴절프리즘 작동판(67)의 안내돌출부(67a)는 굴절프리즘 안내홈(64)안에 미끄럼가능하게 위치되어 있거나 끼워져 있으며; 오목반사경(59)이 부착된 스트로보 조립체 케이스(68)의 안내 돌출부(68a)는 스트로보 안내홈(65)안에 끼워져 위치되어 있다.
가변배율 렌즈프레임(66), 굴절프리즘 작동판(67), 그리고 스트로보 조립체 케이스(68)는 광축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의 안내홈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안내돌출부(66a,67a 및 68a)들은 가변배율캠홈(55), 시차보정캠홈(56), 그리고 스트로보 캠홈(57)안에 각각 끼워지는 종동핀(68,70및 71)들을 구비하고 있다.
가변배율캠홈(55), 시차보정캠홈(56), 그리고 스트로보 캠홈(57)의 구간들은 제7도에 도시된 캠링(14)의 줌작동캠홈(20및 21)들의 구간들에 대0응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변배율캠홈(55)은 광각단 고정구간(55a), 가변배율구간(55b), 그리고 망원단 고정구간(55c)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세구간들의 각각의 각(θ, θ, 및θ)등은 제7도의 캠링에서의 유사한 각들과 일치한다.
시차보정캠홈(56)은 비돌출구간(56a), 돌출이동구간(56), 즉 매크로 모드에 사용되는 전진이송구간, 그리고 돌출위치 고정구간(56c), 즉 매크로단 고정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로보 캠홈(57)은 광각단 고정구간(57a), 가변배율구간(57b), 망원단 고정구간(57c), 매크로이송구간(570). 그리고 매크로단 고정구간(57e)을 포함하고 있다.
캠홈(55,56 및 57)들과 줌작동캠홈(20및 21)들 사이의 관계는 제44도의 개략도 또는 평면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가변배율렌즈군(L5)을 지지하고 있는 가변배율렌즈 프레임(66)은 파인더블럭(54)의 안내면(54a)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프레임(66)은 제25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으로 부터 매달려 있다.
프레임은, 때를 들어서 파인더블럭에 대하여 대체로 마찰없이 미끄러질 수 있는 수지계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배율렌즈 프레임(66)이 가변배율캠홈(55)을 따라 움직일 때, 렌즈군(L3), 접안렌즈군(L4), 그리고 가변배율 렌즈군(L5)을 포함하고 있는 파인더광학시스템의 배율은 렌즈경통블럭(1)이 움직이는 범위에 걸친 촬영범위가 파인더의 시야와 대체로 일치하도록 변화한다.
굴절프리즘 작동판(67)은 제26도 내지 제28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아래에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굴절프리즘(P1)은 프리즘의 하부의 2개의 대향 프리즘 지지핀(74)들을 통해서 파인더블럭(5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지지핀들은 그것들을 둘러싸고 있는 비틀림스프링(75)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 스프링의 일단은 굴절프리즘(P1)의 측면들을 따라 제공되어 있는 각각의 위치규제편(76)에 지지되어, 굴절프리즘(P1)은 프리즘(P1)이 파인더렌즈(L3 내지 L5)들의 광축과 일직선으로 정렬하도록 이동하는 위치로 계속해서 가압된다
위치규제편(76)은 제26도 내지 제28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파인더 블럭(54)에 형성된 원호상의 홈(79)들 안에 위치되어 있다.
굴절프리즘 작동판(67)은 파인더블럭(54)의 극면에 위치되어 있는 안내핀(81)이 안내판(80)의 직선안내홈(82)안에 꼭 맞도록 파인더블럭(54)과 파인더블럭에 연결되어 있는 안내판(80)(제25도 참조)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프리즘상에 있는 위치규제편(75)들은 굴절프리즘 작동판(67)의 회동저지면(77)과 안내면(78)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서, 프리즘 위치규제편(76)들은 판(67)의 홈(79)의 단부면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굴절프리즘 작동판(67)은, 핀(79)이 시차보정캠홈(56)의 비돌출구간(56a)안에 위치되어 있을 때, 판의 회동저지면(77)이 위치규제편(76)과 맞물리게 될때까지 굴절프리즘을 렌즈(L3내지L5)들의 광축으로부터 스프링(75)의 가압에 대항하여 후퇴시킨다(제26도 참조).
핀(70)이 돌출이동구간(56b)으로 움직일 때, 안내면(78)은 위치규제편(76)과 접촉하게 되므로, 굴절프리즘(P1)은 그것이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광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비틀림스프링(75)의 도움에 의하여 회전한다.
그러한 동작중에 위치규제편(76)들은 면(78)상에서 그 면을 따라 움직이고, 굴절프리즘(P1)이 제27도 및 제2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로안으로 이동하므로, 파인더의 광로는 제28도의 화살표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P1)에 의하여 하방으로 굴절된다.
이러한 동작의 결과로서, 파인더 광축보다 아래에 위치되었을 피사체는 카메라의 시야안으로 들어오고, 카메라의 매크로 모드에서의 시차는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인더 광학시스템을 하방으로 촬영광학시스템의 광축을 향하여(우측으로) 굴절시키기 위하여 2중쐐기형 프리즘(제53A도)이 사용될때, 시차는 더욱 더 감소된다.
안내블럭(85)은 스트로보 케이스(68)의 측면을 따라 제공되어 있으며, 제3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판(80)안에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의 광축과 평행한 직선안내홈(84)안에 끼워져 있다.
더 나아가서, 높이 조정핀(86)(제23도 및 제29도 참조)들은 스트로보 케이스(68)의 상부 및 하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스트로보 케이스가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스트로보 케이스(68)는 캠판(53)이 횡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스트로보 캠홈(57)을 따라 움직인다.
스트로보 캠홈(57)의 가변배율구간(57b)은 크세논램프(58)를 프레넬렌즈(L6)로 부터 멀어지게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크세논 램프(58)의 후방이동은 프레넬렌즈(L6)로 부터 방출된 광선의 조사각이 감소되어 초점거리의 증가에 따라 가이드넘버를 증가시킨다.
그와 반대로, 매크로 이송구간(57d)에 있어서는, 조사각은 증가되고, 따라서 가이드 넘버는 매크로 모드에서 감소된다.
(E. 배리어 즉, 렌즈캡장치)
배리어 렌즈캡장치는 제6도, 제8도 및 제31도 내지 제34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배리어장치(30)는 한쌍의 배리어(31)들을 개폐시키는데(제8도 참조), 그것들은 촬영(줌작동) 렌즈시스템의 전방렌즈군(L1)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으며, 렌즈가 접히는 수축 또는 수납용 캠구간(20b)(제7도 참조) 안에서 캠링(14)이 회전할 때에 발생되는 회전력의 도움으로 폐쇄된다.
제31도 및 제32도는 배리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배리어 장치(30)는 피봇선회되는 배리어부재(31)들을 통하여 프레임(22)의 개구에 있는 촬영개구부(22b)를 개폐시킨다.
배리어부재들은 핀(32)들을 통하여 전방렌즈군 지지프레임(22)의 촬영개구부(22b)에 대하여 대칭으로 피봇선회된다.
배리어(31)들은 서로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반대위치에 배치되어 촬영광축의 경로안으로 돌출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각각의 배리어판부(31a)와, 배리어판부(31a)들이 위치되어 있는 쪽에서 배리어들의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는 구동 아암부(31b)들을 포함하고 있다.
구동아암부(31b)들은 일반적으로 핀(33)들에 의하여 배리어 조립체의 내부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아암부(31b)들은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스프링(34)들의 작동아암(34a)들에 의하여 맞물려 있는 핀(33)들을 포함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핀(33)들은 구동아암들의 각각의 포크(fork)형의 단부들 안에서 미끄러지거나 그것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개폐스프링(34)들은 때를 들어서,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핀(33)들을 맞물고 있는 포크형의 작동아암부분(34a)에 부가되어 Y자형의 스프링 아암(34b) 및 구동아암부(34c) 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스프링은 각각의 핀(35)에 의하여 배리어장치(30)에 대하여 피봇선회 된다.
스프링아암(34b)들은, 배리어판부(31a)들을 계속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전방렌즈군 지지프레임(22)을 작동아암을 통해서, 배리어판부(31a)들이 촬영 광학조립제의 광축으로부터 멀어지고, 프레임(22)의 전방개구부(22b)가 개방위치로 남아 있는 위치로 누른다.
구동아암(34c)들은 전방렌즈군 지지프레임(22)안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핀(36)의 대향 플랜지부(36a)들과 맞물리게 된다.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36)은 핀(37)을 통하여 전방 고정판(13)에 대하여 피봇선회되는 작동레버(38)의 자유단에 의해 전방렌즈군 지지 프레임(22)의 작동구멍(39)을 통하여 맞물려 있다.
선회가능한 작동레버가 제31도 내지 제34도의 실시예들에 도시되어 있다하더라도, 핀(36)을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핀(36)은 제3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외력이 전혀 핀(36)에 작용되지 않을 때에는 탄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의 돌출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배리어판부(31a)들은 촬영광축으로 부터 멀리에 위치되어 있으며, 구멍(22b)은 개방위치에 남아 있다.
위치규제편 또는 돌출부(40)는 캠링(14)의 내벽상에 제공되어 있는데, 그것은 캡링이 그것의 고정된 축방향위치에서 소정의 위치로 회전할 때 핀(36)을 반경상의 안쪽으로 누르기 위하여 작동레버(또는 기타 유사한 구조)의 외부 단부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 이것은 캠링(14)(핀(17))이 줌작용 캠홈(20)의 개폐구간(20a) 안에서 회전할 때에 일어난다.
그러한 배리어 장치의 구조를 사용하여, 돌출부(40)가 작동레버(38)와 맞물려 있지 않을때, 배리어(31)들의 배리어판(31a)들은 촬영개구부(22b)를 개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캠링(14)은 로울러 또는 핀(11)들로 하여금 줌작동 캠홈(20)의 개폐구간(20a) 이외의 다른 홈 구간과 맞물게하고, 이리하여 배리어(31)들이 개방된다.
그와 반대로, 로울러(17)가 렌즈수납 또는 후퇴구간(20b)으로부터 줌작동 캠홈(20)의 개폐구간(20a)으로 이동해서 그 부분을 맞물도록, 줌작동 모터(5)가 캠링(1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로크스위치(도면에 도시안됨)에 의하여 구동될 때에, 돌출부(40)는 작동레버(38)를 통하여 개폐핀(36)을 반경방향으로 밀고, 배리어(31)들은 배리어판부(31a)들을 렌즈시스템의 광로안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구동아암(34c)들 및 작동아암(34a)들과의 맞물림을 통하여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촬영개구부(22b)는 전방렌즈군(L1)을 보호하기 위하여 폐쇄되게된다.
즉, 전방렌즈군 지지프레임22)은 프레임이 사진이 촬영될 수 있는 최후방위치에서 수납후 배리어(31)들을 폐쇄시킨다.
사진이 촬영될 때에는 개폐구간(20a)이 로울러(17)(들)에 의하여 맞물리는 위치에서 렌즈수납구간(20b)이 맞물리는 위치를 향하여 줌작동 캠홈(20)이 회전되도록 캡링(1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줌작동 모터(5)는 역전된다.
제33도 및 제3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사용되는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배리어장치(30)는 기본적으로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제33도 및 제34도의 배리어장치도 역시 전방렌즈군 지지프레임(22)의 촬영개구부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위치되어 있는 한쌍의 배리어(31,31)들을 포함하고 있다.
배리어(31,31)들은 촬영개구부(22b)를 개페시키기 위하여 핀(32)들은 통해서 프레임(22)에 대하여 피봇선회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배리어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상기 제1실시때의 그것과 다르다.
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배리어(31.31)들은 서로에 대하여 대칭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촬영광축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 배리어판부(31a)들과 배리어판부(31a)들의 대향 측면들상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아암(31b)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배리어들은 핀(32)들에 의하여 프레임에 피봇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동아암(31b)들은 탄성지주부(134a)들을 구비하고 있는 단선 스프링(134)과 맞물려서 접촉하도록 된 작동핀(133)틀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탄성지주부(134a)들의 자유단은 촬영개구부(22b)가 개방되어 있고 배리어들이 광축과 개구부로 부터 멀리에 위치되어 있는 개방위치로 배리어판부(31a)들이 개속해서 가압되도록 각각의 핀(133)과 접촉된다.
이리하여 외력이 전혀 배리어들에 작용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그것들을 항상 촬영개구부를 개방위치로 유지하고 있다.
선스프링(134)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전방렌즈군 지지프레임(22)상에 제공되어 있는 지지핀(135)을 누르는 중앙의 U자형부(134b)을 구비하고 있다.
선스프링(134)은 스프링력이 온도, 습도 또는 기타 주위의 인자들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스프링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결과 촬영구멍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스프링력에 의하여 개방위치로 유지되는 방향으로 배리어(31)들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핀(133)들은 한쌍의 좌우 구동아암(136)들의 각각의 구동용 자유단(136a)들에 의하여 맞물려 있는데, 그 아암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선스프링(134)에 의하여 가해진 가압력을 극복함으로써 배리어(31)들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구동이암(136)들의 자유단(136a)들은 각각의 작동핀(133)의 각각의 내측을 누르는데, 그것은 한쪽의 탄성지주부(134a)가 누르는 각핀의 외측으로 부터 멀리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아암(136)들은 핀(137)들을 통해서 렌즈지지프레임(22)에 대하여 피봇선회 된다.
구동아암들은 자유단(136a)들로 부터 구동아암들의 대향측면들상에 위치되어 있는 작동아암부(136b)들과 프레임에 대하여 아암들을 피봇선회시키기 위하여 그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핀(137)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하여 작동아암부(136b)들은 프레임(22)의 개구부(39)안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있는 핀(128)의 플렌지부(138a)들을 맞물고 있다.
핀(138)은 작동레버(141)의 자유단을 누르도록 된 헤드(도시안됨)를 포함 하고 있고; 레버는 핀(140)에 의하여 전방 고정판(13)에 대하여 피봇선회되며; 헤드는 내리눌려질 때, 프레임(22)의 개구부(39)를 통하여 뻗을수 있다.
개폐핀(138)은 정상상태에서 프레임(22)의 내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레버(141)에 의하여 핀(138)의 헤드가 선스프링(134)의 영향을 극복하면서 개구부(39)를 통하여 안쪽으로 가압된 위치로 반경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리하여 외력이 핀(138)에 작용할 때, 그것은 제34도에 보여진 바와같이 스프링(134)의 힘에 대항하여 반경상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로울러(17)가 줌작동 캠홈(20)의 개폐구간(20a)안에 위치되도록 캠링(14)이 회전할 때 , 작동레버(141)가 (핀플랜지(138a)들을 통하여 ) 작동아암부(136a)들을 맞물도록 그것을 안쪽으로 밀도록 되어 있고, 캠링(14)은 캠링의 내부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폭이 좁은 돌출부를 그 내벽을 따라 구비하고 있다.
기타 적절한 작동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조의 배리어장치를 사용하면, 배리어(31)들은 위치규제편 또는 돌출부(40)가 작동레버(141)를 맞물고 있지 않을 때에는 촬영구멍을 개방시키게된다.
구체적으로는, 배리어(31)들은 로울러(17)가 개폐홈구간(20a)이외의 다른 줌작동 캠홈구간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 열린다.
그와 반대로, 로울러(17)가 (줌작동 모터(5)에 의하여 동작되는 캠링(14)의 회전작동을 통하여)줌작동 캠홈(20)의 렌즈 수납구간(20b)안에 위치되어진 후에, 그것이 개폐구간(20a)에 맞물리기 위하여 이동될 때, 돌출부(40)는 구동아암(136)들과 작동핀(133)들을 통하여 배리어(31)들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동레버(141)를 통하여 개폐핀(138)을 반경상의 안쪽방향으로 밀기때문에, 배리어판부(31a)들은 렌즈시스템의 광로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 있어서, 촬영개구부는 전방렌즈군(L1)을 보호하기 위하여 폐쇄된다.
즉, 전방렌즈군 지지프레임(22)이 최후방위치, 즉 사진촬영될 수 있는 광각단 위치로 부터 접혀진 후, 촬영구멍은 배리어(31)들에 의하여 폐쇄된다.
사진이 촬영될 때에, 줌작동 모터(5)는 배리어(31)들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개폐구간(20a)이 로울러(17)에 의하여 맞물리는 위치로부터 렌즈수납구간(20b)이 맞물리는 위치로 캠링(1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역전되므로, 전방렌즈군(Ll)은 사진이 촬영될 수 있는 위치안으로 이동한다.
(F. 차광장치 및 기구)
차광장치들은 제6도 및 제35도 내지 제38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언급된 바와같은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렌즈군들은 렌즈의 줌조작을 달성하기 위하여 촬영광축을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방렌즈군 프레임(16)과 후방렌즈군 프레임(18)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으므로, 그리고 렌즈프레임(16및 18)들의 이동을 작동시키기 위한 캠홈(20및 21)들을 포함하고 있는 캠링(14)이 렌즈프레임들의 외주둘레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광선들이 전방 및 후방렌즈군 프레임들 사이의 간극과 캠홈(20및 21)들을 통해서 촬영광학시스템안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서, 전방렌즈군 프레임(22)은 전방덮개(200)의 개구부(201)(제6도 참조)를 통하여 움직이므로, 광선들은 또한 개구부(201)를 통하여 카메라에 들어갈 수 있다.
전방덮개(200)는 렌즈경통블럭(1)의 저면을 덮고 있으며, 스트로보블럭(2)과 파인더의 렌즈(L3및 L6)을 지지하고 있다.
개구부(201)는 전방렌즈군 프레임(16)을 포함하고 있는 가동외장프레임(22)이 카메라가 줌작동상태에 있을때 개구부(201)를 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전방 덮개(200)의 내측 플랜지(202)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비교적 작은 폭(W)을 가지고 있는 고리모양의 공간(203)이 내측 플랜지(202)와 전방 고정판(13)과의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전방 고정판(13)은 고리모양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안으로 들어오는 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차광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광장치(210)는 캠링(14)의 외주에 제공되어 있으며, 렌즈경통블럭(1)의 내부로 들어오는 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캠홈(20및 21)들을 완전히 또는 연속해서 덮도록 되어 있다.
제3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장치(210)는 기어링(15), 기어부재의 한쪽면을 따라 기어부재(15)에 인접한 가요성 코드판(90), 그리고 기어부재(15)의 반대쪽면상에 뻗어있는 차광테이프(211)로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고리모양의 기어부재는 캠홈(20및21)들의 위에 렌즈경통블럭(1)을 감싸고 있는 가요성 코드판(90)과, 또한 가요성이며 렌즈경통블럭(1)을 감싸고 있어서 캠홈(20및 21)들을 덮고 있는 차광테이프(211)와의 사지에 위치되어 있다.
코드판(90)은 캠링(14)의 각도 위치를 검지해서 줌렌즈의 초점거리의 변화, 줌렌즈의 초점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는 F수의 변화, 줌렌즈의 광각단위치, 줌렌즈의 망원단위치, 줌렌즈의 수납위치, 줌렌즈의 매크로단 위치를 자동적으로 검지하기 위한, 즉 줌렌즈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장치,및 줌렌즈의 위치와 관련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개시될 다양한 제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코드판(90)은 광선차단성을 가지고 있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테이프(211)는 또한 그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가요성재료, 예를들면 무광택 흑지(dull-finish black Paper)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판과 차광(종이)테이프는 줌작동 캠홈(20및 21)들의 주요부분들을 덮기 위하여 기어부재(15)의 대향측면들을 따라 캠링(14)의 원통형 외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기어(15)는 광선차단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판과 차광테이프의 측면에지위에 포개지거나 겹쳐져 있다.
차광장치의 부가적인 부분을 형성하는 고리모양의 차광부재(220)는 제6도에 가장 잘 보여진 바와 같이 캠링(14)의 전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전방고정판(13)과 전방 덮개(200)와의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고리모양의 공간(203) 안에 제공되어 있다.
고리모양의 공간(203) 안에 위치되어 있는 고리모양의 차광부재(220)는 고무와 같은 고리모양탄성체(221),와 고리모양의 보강판(222)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차광부재(220)는 제36도 및 제37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고리모양의 링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차광부재(220)의 두께(W)는 고리모양의 공간(203)의 폭(W)보다 약간 더 작기 때문에, 차광부재(220)는 공간(203)안에서 촬영광축의 방향을 따라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다.
차광부재(220)의 탄성체(221)는 외장 프레임(220)의 외주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미소폭을 가진 차광 립(liP)을 그것의 내주를 따라 구비하고 있다.
보강판(222)은 탄성체(22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탄성체(221)를 보강판(222)안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용 오목부, 구멍 또는 개구부(224)들안에 부분적으로 매입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는데, 보강판은 예를 들어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내부의 립(223)은 상당한 가요성을 가져서, 그것이 둘러싸고 위치되어 있는 렌즈경통블럭의 축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그리하여, 립은 그것이 제1축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춘 후의 배리어블럭의 반발을 감소시키는 작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8도는 제36도 및 제37도에 도시된 고리모양의 링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거기에는(단지 하나가 아니라) 2개의 이격된 차광립(223)들이 광선차단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리모양의 차광부재(220)의 내주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립들은 서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차광부재에 대하여 안쪽으로 향하여진, 일반적으로 고리모양의 H자형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체(221)는 그러한 구조로 보강판(222)의 외주를 덮기 위하여 사용된다.
선택에 따라, 고리모양의 차광부재(220)를 카메라안의 원하지 않는 영역으로 들어오는 광선을 차단시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인 종래의 0-링 구조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차광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광선이 전방렌즈군 프레임(16) 그리고/ 또는 후방렌즈군 프레임(18)의 주변을 통하여서도, 또한 렌즈경통과 카메라 덮개사이의 전방고리모양의 개구부를 통하여서도 카메라 렌즈시스템에 들어가지 않는다.
(G. FPC기판 안내 및 반사방지장치)
FPC기판 안내 및 그와 관련된 반사방지장치는 제39도 내지 제4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있어서, 작동신호들을 카메라의 몸체로부터 렌즈경통블럭(1)상의 셔터블럭(23)으로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셔터블럭(23)은 전방렌즈군(L1)의 지지프레임(2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어서 이에 따라 전방렌즈군(L1)과 함께 장축의 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거리측정장치, 즉 레인지 파인더와 그리고, 때를 들어서, 카메라몸체상의 노출 제어장치의 출력들에 응답하여, 작동신호들을 카메라몸체로부터 상기 광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셔터블럭(23)으로 보내기 위하여, 가요성 프린트회로기판 (이하에서 FPC기판으로서 언급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FPC기판과 상기 기판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반사방지장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장치는 제39도 내지 제43도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아래에 기술된다.
FPC기판(160)(제39도 및 제40도 참조)은 작동신호들을 카메라 몸체의 한쪽으로부터 셔터블럭(23)으로 공급한다.
이 기판은 소정의 프린트 회로패턴을 구비하고 있는 가요성합성수지시트로 만들어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FPC기판은 잘 알려져 있다.
제3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FPC기판(160)은 셔터블럭(23)이 전기적으로 접속 되어 있는 기판의 전방단부에 접속패턴(161)과, 카메라몸체내에 제공되어 있는 CPU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중앙처리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후방접속패턴(162)을 구비하고 있다.
FPC 기판(160)을 안내하는 FPC기판안내판(153)은 카메라몸체의 기판 또는 후방부에서 카메라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캠링(14)과 외장프레임(22) 사이의 공간안에서 렌즈경통블럭(1)의 전방으로 뻗어있다.
고정클립(166)들은 FPC기판(160)을 안내판(163)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고, 체결부재(167)(제 41 도 참조)는 FPC기판(160)을, 예를 들어서, 다이캐스팅 되어 있는 카메라몸체 프레임의 전방부에 또는 렌즈경통프레임 (기판(6))의 후방부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굴곡가이드(165)는 FPC기판안내판(163)의 전방끝부분상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 굴곡가이드는 한쌍의 전방 및 후방안내핀(158 및 169)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안내핀들은 바람직하게는 고정되어 있으며 (로울러들이 대신 사용될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FPC기판(160)의 곡률을 기판의 고정굴곡부(160a)를 따라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점에서 기판은 카메라몸체로부터 뻗으며, 또한 카메라몸체를 향하여 뻗기위해 반대방향으로 전방으로 휘어진다.
안내핀(168)을 둘러싸고 휘어진 FPC기판(160)은 안내핀(169)과 FPC기판안내판(163)사이의 간극안에서 후방으로 뻗어서, 가동굴곡부(160b)에서 다시 자유롭게 전방으로 휘어진다.
안내핀(168 및 169)들과 FPC기판(160)사이의 상대위치는 셔터블럭(23)의 축 방향으로의 전후방 이동에 상관없이 일정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안내핀(168 및 169)들은 바람직하게는 회전불가능한 고정핀들이다.
선택적으로, 이 핀들을 안내로드 또는 축들로 교체하여 FPC기판이 그것들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셔터블럭(23)이 전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FPC기판의 가동굴곡부(160)도 역시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제39도 및 제4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기판(160)의 신장부가 기판안내판(163)으로부터 후방으로 뻗는다 할지라도, 실제로는 FPC기판(160)의 후방 신장부는 카메라의 앞부분을 향하여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안내판(163)의 굴곡가이드(170)를 따라, 그리고 그것에 의하여 전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FPC기판(160)의 내측표면은 전방렌즈군 프레임(16)(외장프레임(22)은 물론 이고)과 후방렌즈군 프레임(18)의 사이의 간극에 면해 있으며,그리하여 렌즈 시스템에 입사하는 광선이 FPC기판에 의하여 반사되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내부반사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내부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방지재료 또는 장치가 FPC기판상에 제공된다.
FPC기판(160)상에 반사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몇개의 선택적인 해결 방안이 사용될 수 있다. 그 하나의 해결방안으로서, FPC기판(160)은 무광택의 흑색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FPC 기판(160)은, 제4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사방지시트(171)들 기판의 내측면을 따라,즉 카메라의 광축에 인접해 있는 표면상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는, 예를 들어서, 무광택 흑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FPC기판(160)상에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사방지시트(171)는 재료의 팽창 및 수축에 기인한 변형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일없이 FPC기판상에 단지 느슨하게 포개져 있다.
시트(171)는 FPC기판(160)의 굴곡부(160a및 160b)들 사이에서는 FPC기판위에 위치하고 있다.
세번째의 해결방안으로서는 적어도 FPC 기판(160)의 내측표면을 반사방지층으로 코팅하는 것이다.
FPC기판의 안내장치와 상기 언급된 반사방지장치를 사용해서, 캠링(14)을 회전시키기 위해 줌작동모터(5)가 구동될때, 전방렌즈군 프레임(16)과 후방렌즈군 프레임(18)은 줌작동 조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축을 따라서 캠링(14)상의 캠홈(20및 21)들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 있는 위치로 이동될수 있다.
전방렌즈군 프레임(16)의 이동은 셔터블럭(23)으로 하여금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므로, FPC기판(160)은 셔터블럭(23)의 이동에 따라 신장된다.
기판의 신장은 가동굴곡기판부(160b)의 변위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FPC기판(160)은 후단접속패턴 또는 부분(162)(제39도 참조에서 카메라 몸체에 있는 CPU에 일체로 접속되어 있고, FPC기판의 중간부는 FPC기판 안내판(163)에 의하여 안내된다.
FPC기판(160)의 고정굴곡부(160a)는 안내핀(168 및 169)들에 의하여 고정되어 안내되며, 따라서, FPC기판(160)의 선단접속패턴(161)이 셔터블럭(23)의 이동에 따라서 또는 이에 응답하여 움직일 때, 제40도 및 제4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지 가동굴곡기판부(160b)만이 셔터블럭(23)의 이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FPC기판(160)은 캠링(14)과 외장프레임(22)사이에 위치한 고리모양의 공간(164)안에서 확실하게 안내될 수 있다(제4도 참조).
FPC기판(160)은 상기 개시된 바와같은 반사방지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 예를들면, 플레어(flare) 또는 고스트 등을 일으키는 내부반사는 발생하지 않는다.
(H. 줌렌즈의 위치정보검지장치 )
앞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광학시스템은 캠링(14)의 회전에 의하여 광축을 따라서 이동되므로, 촬영 광학시스템의 초점거리가 변해서, 광학시스템은 캠링의 하나의 극단 각도위치로부터 매크로 설정위치로, 그리고 캠링의 다른 각위치로부터 렌즈의(완전한) 수납위치로 이동한다.
줌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그러한 렌즈셔터식 카메라에 있어서, 예를 들어서, 초점거리를 표시하고 F수에 따라 변하는 노출을 제어하고, 또한 캠링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촬영광학시스템의 초점거리, 매크로설정위치, 그리고 캠링의 2개의 극단위치들을 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즉 줌렌즈의 초점거리와 2개의 극단위치에 대한 정보는 캠링(14)에 구비되어 있는 단일의 가요성 코드관(90)상의 코드신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코드판(90)은, 제4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링(14)(제1도에 도시됨)에 구비되어 있으며, 캠링(14)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고정프레임(91)에 기판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브러시(92)(제44도 참조)와 미끄럼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제1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제44도는 개량된 코드판(90)을 전개상태로 도시하고 있는데, 도면의 상반부는 캠링(14)의 줌작동 캠홈(20 및 21)들과 캠판(53)의 캠홈(55, 56 및 57)들의 캡형상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브러시(92)는 공통단자(C)와 독립(bristle)단자(T0, T1. T2 그리고 T3)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단자(T0 내지 T3)는 코드판(90)의 전도랜드(93: conductive lan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신호 0 가 나오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신호 1이 나온다.
캠링(14)의 각도위치는 신호 0과 1의 조합에 의하여 검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더미(dummy)단자(94)는 전도랜드(93)들안에 형성되어 있다.
전도랜드(93)들과 똑같은 제질로 형성되어 있는 더미단자(84)들의 목적은 가요성 코드판 캠링주위에 휘어져 있고, 그 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전기접촉되지 않는 영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더미단자들이 그렇게 위치되어서 유연성을 증가시키면서 강도를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 더미단자들은 캠링이 회전됨에 따라 브러시의 단자(T0 내지 T3)들이 올라타는(비전도)랜드부분들을 제공한다.
단자(T0내지 T3)들로부터 수신된 4비트(bit)정보는, 제4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코드 인코더(encoder)의 줌코드 데이터(ZP0, ZP1, ZP2.그리고 ZP3)로서 제공된다.
이 도면은 신호 0와 1의 조합표로 구성되어 있는데, 거기서 캠링(14)의 각도 위치, 즉 POS는 0 와 9 및 16진수인 A, B,그리고 C의 13 단계로 분할되어 있다.
숫자 0는 잠김위치를 나타내며, C 위치는 카메라가 매크로 모드에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로크위치와 매크로위치 사이에는 9개의 초점거리위치(f0 내지 f7')들이 있다.
로크위치와 매크로위치는 캠링(14)의 2개의 극단 각도위치들에 해당한다.
줌작동 모터(5)는 캠링(14)이 2개의 극단위치들의 범위를 넘어서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들 각도위치 또는 회전위치는 제44도의 코드판상에 도시되어 있다.
캠링(14)의 회전은 제47도 내지 제50도에 도시되어 있는 모드절환스위치(101)와 줌스위치(102)에 의하여 코드판(90)에 의해 결정되는 캠링(14)의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된다.
카메라 몸체상의 모드절환스위치(101)와 줌스위치(102)의 배열은 제46도 내지 제48도에 도시되어 있다.
릴리즈버튼(99)은 카메라의 상부면상에 제공되어 있는데, 그것은 측광스위치를 온(ON)위치로 변환시키도록 1단계로 눌려질 수 있으며, 릴리즈스위치를 온위치로 변환시키도록 2단계로 눌려질 수 있다(그러나, 이들 2개의 스위치들의 어느것도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모드절환스위치(101)는 3개의 위치들, 즉 로크위치(LOCK), 줌작동위치(ZOOM), 그리고 매크로위치(MACRO)를 점유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이다.
제49도와 제5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버튼(101a)이 눌려져 있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레버(101b)가 LOCK 와 ZOOM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매크로버튼(101a)이 눌려져 있을 때에, 스위치레버(101b)가 매크로버튼(101a)의 당부면 위로 미끄러지면, 카메라의 매크로모드가 설정된다.
제49도와 제50도는 각각 MACRO와 ZOOM-LOCK스위치들의 단면도들이다.
LOCK위치에 있을 때에는, 릴리즈작동도 줌렌즈의 줌작동도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나, 줌위치에서는, 릴리즈작동과 줌작동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MACRO위치에서는, 릴리즈작동은 수행될 수 있지만, 줌작동은 이루어질 수 없다.
제51도는 줌스위치의 또다른 배열을 도시하고 있는데, 거기에서 망원버튼(T)이 눌려지면 줌렌즈가 망원위치를 향하여 이동되고, 광각(W)이 눌려지면 광각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줌스위치(102)는 외력이 스위치에 작용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중립위치 즉, 오프(OFF)위치에 놓이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은 중립의 OFF위치의 대향측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광각위치, 즉 WIDE위치와, 망원위치, 즉 TELE 위치로 수동조작으로 이동될 수 있다.
줌작동모터(5)는 줌스위치(102)의 위치를 WIDE 와 TELE 위치들사이에서 전환시킴으로써 전진과 후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모드절환스위치(101)와 줌스위치(102)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작동시킨다.
실제사용에 있어서, 코드판(90)에 의하여 표시되는 캠링(14)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가 사용된다.
1. 모드절환스위치(101)의 LOCK위치에 이어서는, 줌작동 모터(5)는 캠링(1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역회전된다. 캠링(14)의 각도위치(POS)가 코드판(90)과 브러시(82)에 의하여 검지된 바와 같이 0이 될 때에(제44도 및 제45도 참조), 줌작동 모터(5)는 회전을 정지한다.
2. 모드절환스위치(101)의 MACRO위치에 있어서는, 줌작동 모터(5)는 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POS가 C위치에 도달하면 회전을 정지한다.
3. 모드절환스위치(101)의 200M 위치에 있어서는, 줌작동 모터(5)는 줌스위치(102)가 WIDE위치에 있을때 역회전하고 줌작동 스위치가 TELE 위치에 있을 때 전진방향으로 회전한다.
줌작동모터(5)는 POS가 A위치에 도달하고, 줌스위치가 TELE위치에 있을때 회전을 정지한다.
줌스위치가 WIDE 위치에 있을때, 줌작동모터(5)는 POS가 1위치에 도달한 후에 소정의 짧은 시간동안 역회전을 계속한다.
이 시간 후에, 줌작동모터(5)는 전진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하고, POS가 2위치에 도달하면 회전을 정지한다.
줌스위치(102)가 OFF,즉 중립위치로 전환될 때, 줌작동모터(5)의 회전동안 줌스위치가 TELE위치에 있을 때에는 줌작동모터(5)는 즉시 회전을 정지하고, 줌스위치가 WIDE위치에 있을 때에는 소정의 짧은 주기동안 전진회전한 후에 정지한다.
몇개의 상세한 위치들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POS 1: 코드신호들은 LOCK위치에서 그리고 WIDE단위치에서 변하기 때문에, 이들 극단위치들이 검지된다. 보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LOCK위치는 POS 0이 아니지만 대신 POS 0 와 POS 1 사이에서 위치되어 있는 지점에 있다.
그러나, 카메라가 LOCK위치에 있을 때, 브러시는 POS 1에 아주 근접한 위치에 있는 POS 0에 있다.
유사하게, WIDE단위치는 POS 1과 POS 2 사이의 한 지점이다.
그러나, 카메라가 WIDE단위치에 있을 때(그것이 와이드영역은 아님), 브러시(92)는 POS 1에 아주 근접해 있는 POS 2에 있다.
따라서, POS 1은 캠링(14)이 WIDE단위치에서 LOCK위치로 또는 그역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표시한다.
POS f7': 이 영역은 캠링(14)의 반발(backlash)를 흡수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즉 렌즈시스템의 이동으로부터의 반발을 흡수). 명확하게 말하면, 제4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링(14)이 POS 0에서 POS C를 향하여 회전하는 동안에, 캠링은 정지신호가 주어지면, 즉 줌스위치가 OFF위치로 전환되면 즉시 정지한다. 그와 반대로, 캠링의 POS C에서 POS 0을 향한 회전은 캠링(14)으로 하여금 그것이 소정의 변위에 의해 소요의 위치를 지나친 후에 약간 역회전하게 하고 나서, 캠링을 바로 첫번째 변환 POS지점에서 정지시킨다.
PQS f7'은 TELE단위치이며, 따라서, 캠링이 TELE단위치에 있을 때(TELE영역은 캠링이 TELE노출에서 작동하는 영역임)브러시는 POS 9 와 아주 근접해 있는 위치 POS A에 위치된다.
초점거리정보 또는 F수정보는 코드판과 브러시에 의하여 셔터로 전달된다.
따라서, 동일 초점거리정보는 TELE영역과 TELE단위치에서 전달된다.
이것은 POS 9가 f7 로 표시되고, POS A 가 f7 과 구별하기 위하여 f7'로 표시되고 있는 이유이다.
영역 f7'는 매우 작으며, 따라서 영역 F7'는 본질적으로 TELE단 위치와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POS B: POS 1 과 유사하게, 이 영역은 MACRO단과 TELE 단 위치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POS 1과 상이점은, POS 1 에서는 WIDE 단위치가 POS 1과 WIDE단위치 사이에서 변화하는 지점인 반면에, POS B는 POS 9와 POS A 사이에서 변화하는 지점을 표시하는 TELE단 위치라는 것이다.
POS 2~ POS A: 이것들은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9단계들로 구성되어 있는 중간초점거리들이다.
그래서 CPU는 여러 스위치들이 ON위치로 절환될 때 그것들에 대하여 코드정보와 설정위치들을 검사한다.
모드절환스위치가 줌위치에 있다면, 캠링이 POS 2 와 POS A를 포함하는 그 사이의 어느위치에 있을 때에는 줌작동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모드절환스위치가 줌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들, 즉 LOCK위치, LOCK와 WIDE사이의 중간위치, TELE와 MACRO사이의 중간위치, 또는 MACRO위치에 있을 때에는 렌즈의 줌작동조작이 즉시 이루어진다.
이것은 또한 줌작동 모터가 전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스위치가 줌위치로 될 때도, 그리고 줌작동 모터가 역회전하는 동안에 스위치가 줌위치로 될 때도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줌위치에 있을 때에는, 줌코드가 POS 2와 POS A를 포함하여 그사이의 영역내에(줌작동이 이루어지는 영역내에)있는가 없는가가 CPU에 의하여 검사된다. 줌코드가 그 영역밖에 있다면, 사진촬영될 수 없고,
따라서, 캠링은 줌작동위치로 이동된다.
바꾸어 말하면, POS 1과 POS B는 캠링이 정지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고 사진이 촬영될 수 없는 영역이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실시예들로 국한되어 있는 것도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것들로 국한되어 있는 것도 아니며, 본 발명이 특허청구된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된 카메라내에 위치된 가동캠판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줌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캠판은 대체로 평평한 주부분, 상기 주부분의 후방에지에 부착된 톱니부, 및 상기 주부분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캠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줌렌즈는 기어열을 통해 상기 캠판의 톱니부에 맞물리는 회전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판.
  2. 광축을 형성하는 렌즈와,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렌즈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작동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가동렌즈군의 운동을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캠면과 톱니부를 가진 판을 포함하며, 상기 톱니부는 상기 렌즈군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며, 상기 각각의 캠면은 각각의 카메라 작동기구의 운동을 규제하며, 상기 렌즈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렌즈군은 고리상 링안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링은 상기 렌즈의 광축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기어편이 상기 고리상 링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톱니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셔터식 카메라.
  3. 각각 평평부를 구비한 제1 및 제2캠부재를 구비한 캠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재는 상기 카메라 내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며, 그 위에 적어도 하나의 가동적으로 위치설정되는 카메라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2캠부재는 가동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2캠부재 평평부의 에지에 부착된 톱니상의 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캠부재의 상기 평평부는 서로 평행하게 중복배치되어 상기 제1캠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캠부재가 미끄럼운동하게 하며, 상기 각각의 캠부재는 복수개의 캠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면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캠부재에 대해 상기 제2캠부재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제2캠부재상의 상기 캠면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톱니상 랙은 상기 제1캠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캠부재가 미끄러지도록 하는 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부재를 가동적으로 위치설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캠 조립체.
  4. 제1 및 제2의 중복된 평평한 캠부재로 구성된 카메라의 캠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서로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캠부재는 상기 제2캠부재의 이동안내용 안내핀과, 상기 카메라의 작동부재의 운동안내용 적어도 하나의 캠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캠부재는 상기 제1캠부재의 안내핀을 지지하는 제1캠슬롯과, 상기 카메라 작동부재의 운동안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제 2캠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조립체.
KR1019920700194A 1986-05-12 1987-05-12 카메라의 캠기구 KR0156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08279A JPS62264030A (ja) 1986-05-12 1986-05-12 近接撮影可能な自動焦点式カメラ
JP61108278A JPS62264034A (ja) 1986-05-12 1986-05-12 レンズシヤツタ式ズ−ムレンズカメラ
JP61-108279 1986-05-12
JP61-108278 1986-05-12
JP61-127496 1986-06-02
JP1986083932U JPH0722660Y2 (ja) 1986-06-02 1986-06-02 レンズシャッタ式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61-83932 1986-06-02
JP61127496A JPS62284336A (ja) 1986-06-02 1986-06-02 マクロ撮影機能を有するレンズシヤツタ式カメラのフアインダ装置
JP61145470A JPS632030A (ja) 1986-06-21 1986-06-21 レンズシャッタ式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61-145470 1986-06-21
JP61150995A JPS636532A (ja) 1986-06-26 1986-06-26 近接撮影可能な自動焦点式カメラ
JP61-150995 1986-06-26
JP61-196911 1986-08-22
JP61196911A JPS6352114A (ja) 1986-08-22 1986-08-22 ズ−ムレンズを備えたレンズシヤツタ式カメラのフアインダ光学装置
JP1986132658U JPH0532806Y2 (ko) 1986-08-29 1986-08-29
JP61-132658 1986-08-29
PCT/JP1987/000293 WO1987007038A1 (en) 1986-05-12 1987-05-12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KR1019880700027A KR0165530B1 (en) 1986-05-12 1988-01-12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le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027A Division KR0165530B1 (en) 1986-05-12 1988-01-12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l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6530B1 true KR0156530B1 (ko) 1999-02-18

Family

ID=746257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194A KR0156530B1 (ko) 1986-05-12 1987-05-12 카메라의 캠기구
KR1019920700192A KR100232279B1 (en) 1986-05-12 1992-01-28 Zoom lens with the ability of operating in the mode tele, wide macro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192A KR100232279B1 (en) 1986-05-12 1992-01-28 Zoom lens with the ability of operating in the mode tele, wide macr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01565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2279B1 (en)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590B1 (ko) 스토로보조정 줌타입카메라
US4944030A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5214462A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and barrier mechanisms
US4914461A (en) Camera having variable illumination angle strobe device and zoom lens
US5016032A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5157429A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5034762A (en) Light interception device
US5150145A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4942414A (en) Front conversion adapter for lens shutter type of zoom lens camera
KR0156530B1 (ko) 카메라의 캠기구
KR0131680B1 (ko) 카메라의 파인더 광학 시스템
JPH0422332Y2 (ko)
KR0156267B1 (ko) 카메라의 차광장치
KR100232479B1 (ko) 렌즈경통수납구조
JPH0478974B2 (ko)
CA1332527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CA1337712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CA1333016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CA1330402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JP2855550B2 (ja) カメラ用連動装置
CA1325547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CA1331925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JPH048774B2 (ko)
CA1329886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CA1329887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