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583B1 - 접목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접목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583B1
KR0154583B1 KR1019950006485A KR19950006485A KR0154583B1 KR 0154583 B1 KR0154583 B1 KR 0154583B1 KR 1019950006485 A KR1019950006485 A KR 1019950006485A KR 19950006485 A KR19950006485 A KR 19950006485A KR 0154583 B1 KR0154583 B1 KR 015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huck
shaped member
grafting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235A (ko
Inventor
세이지 호시노
다케오 츠지모토
다카미츠 오타니
Original Assignee
다키이 덴이치
다키이슈보가부시키가이샤
츠지모토다케오
가부시키가이샤데이에스 쇼쿠부츠 겐큐죠
다카미츠 오타니
유겐가이샤다이이치세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이 덴이치, 다키이슈보가부시키가이샤, 츠지모토다케오, 가부시키가이샤데이에스 쇼쿠부츠 겐큐죠, 다카미츠 오타니, 유겐가이샤다이이치세라모 filed Critical 다키이 덴이치
Publication of KR96003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2Automatic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척(4,104)을 넓게 열고 수납실(1A , 101A)내의 막대형상 부재(2)를 차례로 척(4, 104)내에 끼워 통하고, 그 선단측을 접목장치의 선단구멍(5D, 105D, 204D)으로부터 돌출시키고, 그후 척(4, 104)을 닫음으로써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의 선단측을 대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끼워 넣고, 이 상태에서 접목장치를 막대형상 부재로부터 떼어내어 막대형상 부재(2)의 타단을 수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끼워 넣고, 대목과 수목의 접목접합단끼리를 맞대어서 접목을 실시하여 매우 간단한 동시에 재빨리 대목에 막대형상 부재를 끼워 넣을 수 있어서 대목과 수목의 접합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목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접목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척(chuck)이 확장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척의 확대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접목장치를 이용하여 막대형상 부재를 접합단으로부터 줄기속으로 끼워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막대형상 부재에 의해 대목에 수목(穗木)을 접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접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접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 척의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누름부재 1A, 101A : 수납실
1, 101B : 플랜지 2 : 막대형상 부재
4, 104 : 척 5, 105, 205 : 조임부재
5D, 105D, 205D : 선단구멍 6 : 리턴스프링
7 : 볼 8 : 홀더
9 : 척스프링 10 : 지그
10C : 바닥이 있는 구멍 11 : 대목
11A, 12A : 접목접합단 12 : 수목
본 발명은 토마토, 가지 또는 오이등의 과채류에 대하여 대목과 수목을 그 접목접합단에서 맞대어 대목상에 접목처리하는 접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목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대목의 접합부와 수목의 접합부에 막대형상 부재를 밀어 넣어서 서로 접목하는 접목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우선 손으로 잡은 막대형상 부재를 대목의 접합단으로 부터 줄기 속으로 대략 절반정도 끼워 넣었었다.
그 후 대목의 접합부를 손으로 잡아서 막대형상 부재를 고정하고, 이 막대형상 부재를 대목의 접합단으로부터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서 대목의 접합단과 수목의 접합단을 맞대어 접목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매우 가는 직경의 막대형상 부재를 손으로 잡아 지탱하거나 손으로 잡은 막대형상 부재를 대목의 접합단으로부터 끼워 넣기 때문에 조작이 매우 복잡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접목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목방법은 접목장치내의 척(4, 104)을 넓게 엶으로써 상기 접목장치의 수납실(1A, 101A)내의 막대형상 부재(2)를 차례로 추종시켜서 척(4, 104)내에 끼워 통하고, 상기 막대형상 부재(2)를 접목장치의 선단구멍(5D, 105D, 205D)으로 부터 적절히 돌출시키고, 그 후 척(4, 104)을 닫음으로써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접목장치의 선단구멍(5D, 105D, 20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11)의 접목접합단(11A)으로부터 줄기속으로 밀어 넣고, 대목(11)에 부착한 상태에서 막대형상 부재(2)를 접목장치로부터 떼어내고, 이 막대형상 부재(2)를 수목(12)의 접목접합단(12A)로부터 밀어 넣어, 대목(11)의 접목접합단(11A)과 수목(12)의 접목접합단(12A)을 맞대어 접목을 실시하는 것이다(특허청구범위 제 1 항)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접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접목장치는 우선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는 척(4, 104)과, 통상의 조임부재(5, 105, 205)이며, 그 선단에 막대형상 부재(2)가 통과하는 구멍(5D, 105D, 205D)을 갖고, 그 내부에서 상기 척(4, 104)이 그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며, 또한 그 후단측에 힘이 가해져 이루어지는 조임부재(5, 105, 205)와, 상기 조임부재(5, 105, 205)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끼워 맞추어서 조임부재(5, 105, 20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통상의 누름부재(1,101)와, 상기 척(4, 104)을 개폐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특허청구범위 제 2 항).
이 접목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누름부재(1,101)를 조임부재(5, 105, 205)에 대하여 전진시키면 척(4, 104)은 누름부재(1, 101)에 의해 눌러지고 조임부재(5, 105, 205)에 대하여 전진하고, 그 결과 척(4, 104)은 넓게 열린다. 이에 따라 막대형상 부재(2)는 척(4, 104)내를 통과하여 그 선단측이 조임부재(5, 105, 205)의 구멍(5D, 105D, 205D)으로부터 장치의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척(4, 104)은 조임부재(5, 105, 205)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상기의 상태에서 누름부재(1, 101)를 후퇴시키면 척(4, 104)도 후퇴하고, 그 결과 척(4, 104)은 닫힌다. 이에 따라 척(4, 104)이 막대형상 부재(2)를 협지하고 막대형상부재(2)의 후퇴가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막대형상 부재(2)의 선단측을 대목의 접합단으로 밀면 막대형상 부재(2)는 척(4)내를 후퇴하는 일 없이 대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진다. 장치를 대목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막대형상 부재(2)의 후단측은 대목의 접합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대목의 접합부를 손으로 유지하고 막대형상 부재(2)의 후단측을 수목의 접합단으로 끼워 넣고 대목과 수목의 접합단끼리를 맞대어서 접목이 완료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및 제 2 항의 접목방법 및 그 장치는 매우 간단하고, 또 한 재빨리 대목의 접합단으로 부터 줄기속으로 막대형상 부재를 끼워 넣을 수 있고 대목과 수목의 접목을 매우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누름부재(1, 101)는 조임부재(5, 105, 205)의 후방측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1, 101)를 누르지 않을때, 즉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누름부재(1, 101)와 조임부재(5, 105, 205)가 상대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간에는 흐트러짐 등이 없고 장치 전체로서의 취급이 편리하다.
척(4)은 막대형상 부재(2)를 단단히 쥐고, 또한 놓을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합성수지와 금속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통상체를 물레방향의 한 곳에서 분리한 것이어도 좋다. 그러나 선단을 둘레방향에서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개폐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척(4)의 개폐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시되며, 막대형상 부재(2)를 단단히 쥐는 것과 놓은 것이 용이하며 확실하다.
상기 척(4)을 조임부재(5)의 후단측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과, 누름부재(1)를 조임부재(5)의 후방측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은 별개의 스프링(9, 6)으로 구성할 수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누름부재(1)와 척(4)을 별개로 형성한 경우에도,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누름부재(1)와 조임부재(5)는 서로 떨어져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누름부재(1)와 조임부재(5)는 사이에 흐트러짐이 없고 장치 전체로서 취급이 편리하다. 상기와는 달리 누름부재(101)와 척(4, 104)을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양 수단과 동일한 스프링(9)으로 구성할수 있다. 즉 한개의 스프링(9)을 누름부재(101)와 조임부재(105, 205)의 사이에 끼우면 좋고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1, 101)의 뒷부분에는 막대형상 부재의 수납실(1A, 101A)의 전단에 있는 플랜지(1B, 101B)에는 막대형상 부재(2)를 위한 끼워통함구멍을 설치할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수납실(1A, 101A)에 다수의 막대형사 부재(2)를 수납해두고 앞서의 막대형상 부재(2)가 사용될 때마다 다음의 막대형상 부재(2)를 플랜지(1B, 101B)의 끼워통함구멍으로부터 척(4, 104)내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한개의 접목장치에 의해 다수의 접목작업을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1B, 101B)의 수납실(1A, 101A)측의 면을 상기 끼워통함 구멍에 이르는 테이퍼면으로 해 두면 윗쪽의 수납실(1A, 101A)내의 막대형상 부재(2)의 하단을 테이퍼면에 의해 안내하여 끼워통함구멍으로 부터 아랫쪽의 척(4, 104)내로 자동적으로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목장치의 전단에는 지그(10)를 착탈 자유롭게 배치하고 상기의 조임부재(5, 105, 205)가 상기 누름부재(1, 101)에 관하여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조임부재(5, 105, 205)의 선단(5C, 105C, 205C)이 지그(10)에 맞붙어 있으며, 상기 지그(10)에는 조임부재(5, 105, 205)의 상기 구멍(5D, 105D, 205D)과 일치하는 축방햐의 바닥이 있는 구멍(10C)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목장치가 지그(1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조임부재(5, 105, 205)의 선단(5C, 105C, 205C)은 지그(10)에 맞붙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누름부재(1, 101)를 지그(10)의 방향으로 끼워 넣으면 누름부재(1, 101)는 척(4, 104)을 동반하여 전진하고 척(4, 104)은 넓게 열려서 척(4, 104)에 단단히 쥐어져 있었던 막대형상 부재(2)가 놓아지고, 그 선단측이 지그(10)의 바닥이 있는 구멍(10C)의 바닥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지그(10)에 의해 막대형상 부재(20의 돌출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지그(10)를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하고 상기 조임부재(5, 105, 205)의 선단(5C, 105C, 205)을 지그(10)의 바닥면(10B)에 맞붙게 하여 상기 바닥이 있는 구멍(10C)을 지그(10)의 바닥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접목장치의 선단측, 즉 조임부재(5, 105, 205)의 측을 통상의 지그(10)속에 삽입함으로써 접목장치에 지그(1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정착하면 조임부재(5, 105, 205)의 선단구멍(5D, 105D, 205D)이 지그(10)의 바닥이 있는 구멍(10C)과 자동적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누름부재(1, 101)를 지그(10)를 향하여 전진시키는, 이른바 원터치동작에 의해 막대형상 부재(2)의 선단측의 소정 길이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척(4)의 진퇴에 따라서 척(4)을 개폐시키는 상기 수단이 조임부재(5, 105, 205)의 내주면에 설치한 선단측일수록 직경이 큰 테이퍼면(5B, 105B)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척(4)을 조임부재(5, 105, 205)의 선단측으로 전진시키면 척(4)은 그 재료가 갖는 탄성 등에 의해 용이하게 넓게 열린다. 또 척(4)을 조임부재(5, 105, 205)에 대하여 후퇴시키면 척(4)은 테이퍼면(5B, 105B)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어 닫힌다. 이때 막대형상 부재(2)는 척(4)에 의해 단단히 쥐어지고 접목장치의 내부로 후퇴하는 일이 없다.
척(4)의 외주면과 상기 테이퍼면(5B, 105B)과 함께 울려서 척(4)의 후퇴시에 척(4)은 쐐기작용을 보다 강하게 받아서 닫히고 막대형상 부재를 단단히 쥔다. 이상태에서 막대형상 부재(2)를 보다 후퇴시키려고 하면 막대형상 부재(2)의 외주면과 척(4)의 내주면의 마찰에 의해 척(4)도 후퇴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볼(7)의 개재에 의해 척(4)은 용이하게 약간 후퇴하고, 이에 따라 척(4)은 더욱 강하게 닫히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의 후퇴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상기 척(4)이 막대형상 부재(2)를 단단히 쥔 상태에서 막대형상 부재(2)를 선단측으로 뽑으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때 볼(7)의 개재에 의해 척(4)은 용이하게 약간 전진하고, 이에 따라 척(4)은 조금 넓게 열리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는 전진한다. 바꾸어 말하면 막대형상 부재(2)는 척내에 대한 후퇴는 저지되지만 전진은 허용된다. 즉 척에 의해 단단히 쥐어진 막대형상 부재는 접목장치로부터 빼내는 것은 가능하지만 막대형상 부재가 척의 내부로 후퇴하는 일은 없다.
상기 볼(7)을 척(4)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머리부 오목부(4A)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7)은 척(4)의 머리부에서 유지되고 척(4)은 테이퍼면(5B, 105B)에 의해 볼(7)을 통하여 확실하게 개폐된다.
척(104)의 진퇴에 따라서 척(4)을 개폐시키는 상기 수단이 척(104)의 외주면에 설치한 선단측일수록 직경이 큰 테이퍼면(104B)과, 조임부재(205)의 내주면에 설치한 선단측이 직경이 큰 내단(205E)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척(104)이 후퇴하면 척(104)의 테이퍼면(104)은 닫혀진다. 이에 따라 막대형상 부재(2)는 척(104)에 의해 단단히 쥐어져 진퇴이동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접목장치는 또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선단구멍(5D, 10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줄기속으로 끼워넣는 접목장치에 있어서, 머리만 반으로 나누어져서 개폐가능한 한 척(4)과, 척(4)의 각 조각의 머리부 오목부(4A)설치된 볼(7)과, 척(4)을 긴쪽방향 후방으로 힘을 가하는 척스프링(9)과, 볼(7)이 테이퍼면(5B, 105B)에 맞붙이어지는 조임부재(5, 105, 205)와, 수납실내(1A, 101A)에 막대형상 부재(2)를 수납한는 누름부재(1, 101)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7)과 조임부재(5, 105)의 테이퍼면(5B, 105B)의 쐐기작용에 의해 척(4)이 닫혀지고, 전진은 허용하지만 후퇴는 저지하여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적절한 깊이의 구멍(10C)을 형성한 지그(10)에 조임부재(5, 105)의 선단(5C, 105C)을 맞붙히고 누름부재(1, 101)를 아랫쪽으로 누름으로써 누름부재(1, 101)와 연동하여 척(4)이 아랫쪽으로 전진하고, 볼(7)이 조임부재(5, 105)의 테이퍼면(5B, 105B)으로부터 떨어져서 척(4)이 넓게 열리고 막대형상 부재(2)가 척(4) 및 조임부재(5, 105)의 선단구멍(5D, 105D)을 끼워 통하여 지그(10)의 구멍(10C)내로 낙하하고, 그후 누름부재(1, 101)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척(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조임부재(5, 105)의 선단구멍(5D, 105D)으로부터 일정량 막대형상 부재(2)가 돌출한다(특허청구범위 제 15 항).
이 접목장치를 이용한 접목방법을 설명하면 누름부재(1)를 아랫쪽으로 눌러서 전진시킴으로써 척(4)을 아랫쪽으로 전진시켜서 넓게 연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1)의 수납실(1A)에 수납된 막대형상 부재(2)가 척(4)내를 통과하고, 막대형상 부재(2)의 선단이 지그(10)의 구멍(10C)내로 낙하한다. 그후 누름부재(1)의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누름부재(1)가 윗쪽으로 후퇴하고 척(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는 전진은 허용하지만 후퇴는 저지하여 유지한다. 따라서 조임부재(5)의 선단구멍(5D)로부터 막대형상 부재(2)의 선단측이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조임부재(5)의 선단구멍(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의 접합단으로부터 끼워 넣으면 막대형상 부재(2)는 후퇴를 저지하여 척(4)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척(4)내를 후퇴하는 일 없이 대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진다. 다음으로 대목으로부터 누름부재(1)를 떨어뜨리면 막대형상 부재(2)는 전진은 허용하여 척(4)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는 전진은 허용하여 척(4)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는 대목으로부터 빠지는 일 없이 척(4)내를 전진하여 조임부재(5)의 선단구멍(5D)으로부터 떨어진다. 다음으로 대목의 접합부를 손으로 유지하고 대목에 부착한 막대형상 부재(2)를 수목의 접목장치삽단으로부터 끼워 넣어서 대목과 수목의 접목접합단끼리를 맞대어서 접목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접목장치는 또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선단구멍(205D)으로 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줄기속으로 끼워 넣는 접목장치에 있어서, 머리부가 수분할되어 개폐가능한 척(104)과, 척(104)을 긴쪽방향 후방으로 힘을 가하는 척스프링(9)과, 척(104)의 머리부가 맞붙어지는 조임부재(205)와, 수납실(101A)내에 막대형상 부재(2)를 수납하는 누름부재(101)로 이루어지고, 척(104)의 머리부와 조임부재(105)의 쐐기작용에 의해 척(10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를 적절한 힘으로 유지하고, 적절한 깊이의 구멍(10C)을 형성한 지그(10)에 조임부재(205)의 선단(205C)을 맞붙이고 누름부재(101)를 아랫쪽으로 누름으로써 척(104)이 넓게 열리고 막대형상 부재(2)가 척(104)및 조임부재(205)의 선단구멍(205D)을 끼워 통하여 지그(10)의 구멍(10C)내로 낙하하고, 그후 누름부재(101)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척(10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조임부재(205)의 선단구멍(205D)으로부터 일정량 막대형상 부재(2)가 돌출한다(특허청구범위 제 16 항)
상기 접목장치를 이용한 접목방법을 설명하면, 누름부재(101)를 아랫쪽으로 눌러서 전진시킴으로써 척(104)을 아랫쪽으로 전진시켜서 넓게 연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101)의 수납실(101A)내의 막대형상 부재(2)가 차례로 척(104)내를 통과하고, 막대형상 부재(2)의 선단이 지그(10)의 구멍(10C)내에 삽입된다. 척(10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한다. 따라서 조임부재(205)의 선단구멍(20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의 접합단으로부터 끼워 넣으면 막대형상 부재(2)는 척(104)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는 척(104)내를 후퇴하는 일 없이 대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진다. 다음으로 조임부재(205)에 대하여 누름부재(101)를 전진시키고, 다시 척(104)을 넓게 연 후 접목장치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상기 막대형상 부재(2)를 끼워 넣고 대목과 수목의 접목접합단끼리를 맞대어서 접목을 실시한다.
상기 수납실(1A, 101A)의 내부에는 막대형상 부재(2)가 수납되어 있으며, 이 막대형상 부재(2)로서 상기 대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대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지는 제 1 막대형상 부분과 상기 제 1 막대형상 부분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 속하고 있고 상기 수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수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지는 제 2 막대형상 부분을 구비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막대기상부분을 접목장치로부터 돌출시키고 이를 대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대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서 제 2 막대형상 부분을 대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이 제 2 막대형상 부분은 수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수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진다.
상기 막대형상 부재의 제 1 막대형상 부분과 제 2 막대형상 부분의 각 선단을 날카롭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각 선단을 대목과 수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기 쉽다.
상기 막대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제 1 막대형상 부분과 제 2 막대기상 부분과의 연결부분에 끼워 넣음 경계를 구획하는 변형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막대형상 부재(1)를 이 변형부분까지 끼워 넣도록 하면 막대형상 부재(1)의 끼워 넣음량이 항상 일정하게 된다.
상기 막대형상 부재에 있어서의 외표면을 거친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막대형상 부재(1)를 대목 및 수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은 후의 정착성이 향상된다.
상기 막대형상 부재를 접목처리식물의 생육을 억제하지 않는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식물성 경질섬유재, 키틴·키토산 섬유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카본재, 세라믹스재, 유리재 및 그들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막대형상 부재에 약제를 함유시키면 가장 적합하며, 접목처리된 후에는 함유되어 있던 약제가 배어나와서 대목과 수목에 침투한다.
상기 막대형상 부재는 다공성 재료로 구성해도 가장 적합하다. 이와 같이 막대형상 부재가 다공성이면 막대형상 부재의 표면과 대목과 수목의 줄기속 식물조직(세포)의 밀착성이 높아져서 대목과 수목의 접합부의 왈착률이 높아진다.
상기 약제가 수용성 합성접착제, 식물성장 촉진제 및 항균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제 3 도는 본 발명의 접목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누름부재(1)와, 조임부재(5)와, 척(4)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름부재(1)는 양단이 개구한 통상이며, 그 후부에 수납실(1A)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실(1A)내에 복수의 막대형상 부재(2)가 수납되어 있다. 누름부재(1)의 후단개구부는 착탈가능한 덮개(3)에 의해 닫혀져 있다. 수납실(1A)의 전부에는 깔때기상의 플랜지(1B)가 형성되고, 수납실(1A)내의 막대형상 부재(2)가 1개씩 플랜지(1B)의 구멍을 끼워 통하여 후술하는 척(4)내로 인도된다. 누름부재(1)의 전반부에는 전단이 폐쇄되어 후단이 개구한 통상의 조임부재(5)가 전후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 통상 조임부재(5)는 조임부재(5) 외주의 다부와 누름부재(1)의 플랜지(1B)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어진 리턴스프링(6)에 의해 전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조임부재(5)내에는 전부가 반으로 나누어져서 개폐가능한 척(4)이 내장되고 척(4)의 각 조각의 머리부 오목부(4A)에는 볼(7)이 설치되어 있다. 조임부재(5)의 내단(5A)과 척(4)의 후부에 고정부착된 홀더(8)의 사이에 비교적 약한 탄력의 척스프링(9)이 팽팽하게 걸어져 있으며, 이 척스프링(9)에 의해 척(4)이 긴쪽방향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따라서 척(4)의 머리부에 설치된 볼(7)이 조임부재(5)의 테이퍼면(5B)에 눌러지고 조임부재(5)의 테이퍼면(5B)과 볼(7)의 쐐기작용에 의해 척(4)은 닫혀진다. 조임부재(5)의 선단측 외주의 단부가 누름부재(1)의 선단에 있는 안쪽을 향하여 플랜지에 맞붙고 조임부재(5)의 선단(5C)은 적절히 누름부재(1)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조임부재(5)의 선단(5C)에는 막대형상 부재(2)가 통과 가능한 선단구멍(5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10은 바닥이 있는 통상의 지그이며 누름부재(1)의 전부에 겉으로 끼워져 있다. 지그(10)의 내부구멍(10A)에 누름부재(1)의 선단(1C)이 삽입되고 바닥면(10B)에 조임부재(5)의 선단(5C)이 맞붙어져 있다. 이때 선단구멍(5D)과 구멍(10C)은 일직선상으로 일치한다.
다음으로 제 1 도~제 3 도에 의해 설명한 접목장치를 이용한 접목방법을 설명하면, 제 1 도의 상태로부터 누름부재(1)를 아랫쪽으로 눌러서 전진시킴으로써 누름부재(1)의 플랜지(1B)에서 홀더(8)를 눌러서 척(4)을 아랫쪽으로 전진시켜서 넓게 연다. 그러면 누름부재(1)의 수납실(1A)에 수납된 막대형상 부재(2)가 플랜지(1B)의 구멍 및 척(4)내를 끼워 통하여 막대형상 부재(2)의 선단이 지그(10)의 구멍(10C)내로 낙하하고 제 2 도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그후 누름부재(1)의 누름력을 해제하면 누름부재(1)가 윗쪽으로 후퇴하고 척(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는 전진은 허용하지만 후퇴는 저지하여 유지한다. 따라서 조임부재(5)의 선단구멍(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11)의 접합단(11A)으로부터 끼워 넣으면 막대형상 부재(2)는 후퇴를 저지하여 척(4)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척(4)내를 전진하여 조임부재(5)의 선단구멍(5D)으로부터 떼어낸다. 다음으로 대목(11)의 접합부를 손으로 유지하여 대목(11)에 부착한 막대형상 부재(2)를 수목(12)의 접합단(12A)으로부터 끼워 넣고 대목(11)이 접목접합단(11A)과 수목(12)의 접목접합단(12A)을 맞대어서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목을 실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척(4)에 의한 막대형상 부재(2)의 유지가 전진은 허용하지만 후퇴는 저지하기 때문에 접목장치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11)에 끼워 넣고, 그후 접목장치를 대목(11)으로부터 떼어내는 간단한 조작으로 대목(11)에 막대형상 부재(2)를 대략 절반정도 끼워 넣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척(4)이 닫혀서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막대형상 부재(2)의 전진은 허용하지만 후퇴는 저지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에 따른다. 즉 막대형상 부재(2)가 척(4)에 의해 단단히 쥐어진 상태에서 막대형상 부재(2)를 척(4)에 대하여 후퇴시키려 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는 막대형상 부재(2)의 외주면과 척(4)의 머리부 내주면의 마찰에 의해 척(4)을 조임부재(5)에 대하여 후퇴시키려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볼(7)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척(4)은 조임부재(5)에 대하여 용이하게 약간 후퇴한다. 이에 따라 척(4)은 더욱 강하게 닫히게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의 그 이상의 후퇴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상기 척(4)이 막대형상 부재(2)를 단단히 쥔 상태에서, 막대형상 부재(2)를 선단측으로 빼내려고 하는 힘이 작용했을때에는 막대형상 부재(2)의 외주면과 척(4)의 머리부의 내주면의 마찰에 의해 척(4)을 조임부재(5)에 대하여 전진시키려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볼(7)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척(4)은 조임부재(5)에 대하여 용이하게 약간 전진한다. 이에 따라 척(4)은 조금 넓게 열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는 전진이 허용된다.
또한 척(4)이 조임부재(5)에 의하여 조여져 있지 않을 때는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그 머리부가 열리도록 힘이 가해진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접목장치의 다른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의 실시예와 동일부재는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구조가 다른 부재는 제 1 도의 부호에 100을 더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의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다음과 같다. 누름부재(101)가 직경이 가늘고 조임부재(105)속에 삽입되어 있으며, 누름부재(101)의 플랜지(101B)에 척(4)의 후반부가 고정부착되고 조임부재(105)의 내단(105A)과 누름부재(101)의 외단(101D)의 사이에는 척스프링(9)이 팽팽하게 걸어지고, 상기 척스프링(9)에 의해 척(4)과 누름부재(101)가 긴쪽방향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 누름부재(101)는 플랜지(101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다.
제 6 도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1 도~제 3 도의 실시예와 똑같이 누름부재(101)를 아랫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막대형상 부재(2)가 조임부재(105)의 선단(105C)으로부터 적절히 돌출하고 제 1 도의 실시예와 완전히 똑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의 접합단으로부터 줄기속으로 끼워 넣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척(4)이 닫혀서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막대형상 부재(2)의 전진은 허용하지만 후퇴는 저지한다.
제 7 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접목장치의 또한 다른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1도~제 3 도와 제 6 도의 실시예와 동일부재는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양 도면의 실시예와 구조가 다른 부재는 양 도면의 부호에 100을 더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제 6 도의 경우와 똑같이 누름부재(101)가 조임부재(205)속으로 끼워 넣어지고 누름부재(101)에 척(104)이 고정부착되며 조임부재(205)의 내단(205A)과 누름부재(101)의 외단(101D)의 사이에는 척스프링(9)이 팽팽하게 걸어져 있다. 그러나 제 1 도~제 3 도 및 제 6 도의 경우와는 달리 척(104)의 전부는 3개로 분할되어 있다. 또 척(104)의 머리부에 형성된 테이퍼면(104B)이 조임부재(205)의 전부 내단(205E)과의 쐐기작용에 의해 척(104)은 닫혀진다. 이에 따라 막대형상 부재(2)가 척(104)에 의해 유지되고 그 전진후퇴가 저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막대형상 부재(2)가 척(104)에 의해 유지된 상테에 있어서 그 후퇴만이 아니라 전진까지도 저지되는 것은 상기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볼(7)이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를 척(4)에 대하여 전진시키려 해도 척(104)이 조임부재(205)에 대하여 용이하게 전진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척(104)이 넓게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제 7 도, 제 8 도의 접목장치를 이용할때에는 조임부재(205)의 선단구멍(20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의 접합단으로부터 끼워 넣으면 막대형상 부재(2)는 척(104)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형상 부재(2)는 척(104)내를 후퇴하는 일 없이 대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진다. 다음으로 조임부재(205)에 대하여 누름부재(101)를 전진시키고, 다시 척(104)을 넓게 연 후 접목장치로부터 막대형상 부재(2)를 떼어낸다. 그후 대목의 접합부를 손으로 유지하여 수목의 접목접합단을 맞대어서 접목을 실시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기의 막대형상 부재(2)로서는 대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지는 제 1 막대형상 부분과, 수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어지는 제 2 막대형상부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양 부분의 경계부에는 끼워 넣음 경계를 구획하는 변형부분을 설치하고, 이 변형부분까지 대목에 끼워 넣도록 하면 막대형상 부재(2)의 끼워 넣음량이 항상 일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부분으로서는 막대형상 부재를 부분적으로 직경을 크게 하거나 비틀거나 편평하게 할 수 있다. 또 막대형상 부재의 외표면을 거친 면상으로 형성해두면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 및 수목의 줄기속으로 끼워 넣은 후의 정착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막대형상 부재를 접목처리식물의 생육을 억제하지 않는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식물성 경질섬유제, 키틴·키토산 섬유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카본재, 세라믹스재, 유리재 및 그들의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샤프펜슬용 심을 이용해도 좋다.
막대형상 부재에 수용성 합성접착제, 식물성장 촉진제, 항균제등의 약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접목처리된 후에 함유되어 있던 약제가 배어나와서 대목과 수목에 침투한다. 막대형상 부재는 다공성의 재료로 구성해 두면 막대형상 부재의 표면과 대목과 수목의 줄기속 식물조직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대목과 수모의 접합부의 활착률이 높아진다.
또한 막대형상 부재는 단면이 환형에 한정된지 않고 육각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이어도 좋다. 또 막대형상 부재의 직경은 대목의 줄기직경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가능한데 통상 0.3mm에서 1.0mm 전후의 것이 생가되고 전체 길이는 15mm정도가 양호하다.

Claims (4)

  1. 접목장치의 척(4,104)을 넓게 엷으로써 상기 접목장치의 수납실(1A, 101A)내의 막대형상 부재(2)를 차례로 따르도록 해서 척(4,104)내에 끼워 통하게 하고, 상기 막대형상 부재(2)를 접목장치의 선단구멍(5D, 105D, 205D)으로부터 적절히 돌출시키며, 그후 척(4,104)을 닫음으로써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접목장치의 선단구멍(5D, 105D, 20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11)의 접목접합단(11A)으로부터 줄기속으로 끼워 넣고, 대목(11)에 부착한 상태로 막대형상 부재(2)를 접목장치로부터 떼어내고, 이 막대형상 부재(2)를 수목(12)의 접목접합단(12A)으로부터 끼워 넣고, 대목(11)의 접목접합단(11A)과 수목 접목접합단(12A)을 맞대어서 접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방법.
  2.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는 척(4,104); 통상의 조임부재(5, 105, 205)로서, 그 선단에 막대형상 부재(2)가 통과하는 구멍(5D, 105D, 205D)을 갖고, 그 내부에 있어서 상기 척(4, 104)이 그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며, 또한 그 후단측에 힘이 가해져서 이루어지는 조임부재(5, 105, 205); 상기 조임부재(5, 105, 205)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끼워 맞추고, 조임부재(5, 105, 20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통상의 누름부재(1, 101); 상기 척(4,104)의 상기 조임부재(5, 105, 205)에 대한 진퇴에 따라서 척(4,104)을 개폐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장치.
  3. 선단구멍(5D, 10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의 접목접합단으로 줄기속으로 끼워 넣은 접목장치에 있어서, 머리부가 반으로 나누어져서 개폐가능한 척(4)과, 척(4)의 각 조각의 머리부 오목부(4A)에 설치된 볼(7)과, 척(4)을 긴쪽방향 후방으로 힘을 가하는 척스프링(9)과, 볼(7)이 테이퍼면(5B, 105B)에 맞붙어지는 조임부재(5, 105)와 수납실내(1A, 101A)에 막대형상 부재(2)를 수납하는 누름부재(1, 101)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7)과 조임부재(5, 105)의 테이퍼면(5B, 105B)과의 쐐기작용에 의해 척(4)이 닫혀지고, 전진은 허용하지만 후퇴는 저지하여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적절한 깊이의 구멍(10C)을 형성한 지그(10)에 조임부재(5, 105)의 선단(5C, 105C)을 맞붙이고, 누름부재(1, 101)를 아랫쪽으로 누름으로써 누름부재(1, 101)와 연동하여 척(4)이 아랫족으로 전진하고, 볼(7)이 조임부재(5, 105)의 테이퍼면(5B, 105B)으로부터 이간하여 척(4)이 넓게 열리고, 막대형상 부재(2)가 척(4)및 조임부재(5, 105)의 선단구멍(5D, 105D)을 끼워 통하여 지그(10)의 구멍(10C)내로 낙하하고, 그후 누름부재(1, 101)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척(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조임부재(5, 105)의 선단구멍(5D, 105D)으로부터 일정량 막대형상 부재(2)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장치
  4. 선단구멍(205D)으로부터 돌출한 막대형상 부재(2)를 대목의 접목접합단으로부터 줄기속으로 끼워 넣은 접목장치에 있어서, 머리부가 수분할되어 개폐가능한 척(104)과, 척(104)을 긴쪽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척스프링(9)과, 척(104)의 머리부가 맞붙어지는 조임부재(205)와, 수납실(101A)내에 막대형상 부재(2)를 수납하는 누름부재(101)로 이루어지고, 척(10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를 적절한 힘으로 유지하고, 절한 깊이의 구멍(10C)을 형성한 지그(10)에 조임부재(205)의 선단(205C)을 맞붙히고, 누름부재(101)를 아랫쪽으로 누름으로써 척(104)이 넓게 열리고, 막대형상 부재(2)가 척(104) 및 조임부재(205)의 선단구멍(205D)을 끼워 통하여 지그(10)의 구멍(10C)내로 낙하하고, 그 후 누름부재(101)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척(104)이 닫혀져서 막대형상 부재(2)를 유지하고, 조임부재(205)의 선단구멍(205D)으로부터 일정량 막대형상 부재(2)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장치.
KR1019950006485A 1994-03-24 1995-03-24 접목방법 및 그 장치 KR0154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53799A JP2719752B2 (ja) 1994-03-24 1994-03-24 接ぎ木方法及び台木と穂木とを接合するための棒状部材の供給装置
JP94-53799 1994-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235A KR960033235A (ko) 1996-10-22
KR0154583B1 true KR0154583B1 (ko) 1998-10-01

Family

ID=1295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485A KR0154583B1 (ko) 1994-03-24 1995-03-24 접목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13167A (ko)
EP (1) EP0673595B1 (ko)
JP (1) JP2719752B2 (ko)
KR (1) KR0154583B1 (ko)
BR (1) BR9501179A (ko)
DE (1) DE69519184T2 (ko)
ES (1) ES2152338T3 (ko)
GR (1) GR3035191T3 (ko)
TW (1) TW2889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60892A1 (en) * 2002-05-07 2003-11-12 Takii Shubyo Kabushiki Kaisha Holding apparatus for a rod-like grafting member
US9237945B2 (en) * 2007-01-30 2016-01-19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Bioerodible wraps and uses therefor
EP2493418B1 (en) * 2009-10-28 2017-03-15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Bioerodible wraps and uses therefor
CA2785989A1 (en) 2009-12-31 2011-07-07 Neograft Technologies, Inc. Graft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9445874B2 (en) 2010-07-19 2016-09-20 Neograft Technologies, Inc. Graft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9579224B2 (en) 2011-07-25 2017-02-28 Neograft Technologies, Inc. Vessel remodeling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a graft device
CN112136531B (zh) * 2020-09-29 2021-11-30 鄢陵县发科梅园生态旅游发展有限公司 一种树木嫁接装置及其嫁接方法
CN112772172A (zh) * 2021-02-19 2021-05-11 张文河 一种果树种植用嫁接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0582A (en) * 1967-08-08 1970-03-17 Robert W Hyde Method of apical grafting
DE7533447U (de) * 1975-10-21 1976-03-04 7056 Weinstadt Vorrichtung zum veredeln von pflanzen, insbesondere von weinreben
SU730326A1 (ru) * 1976-01-22 1980-04-3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Виноделия И Виноградарства "Магарач"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 компонентов прививки растений
SU1184477A1 (ru) * 1984-01-06 1985-10-15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Комитета Винодельче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Рсфср Инструмент дл прививки древесных растений
FR2578148A1 (fr) * 1985-03-01 1986-09-05 Rey Jeanique Dispositif automatique portatif pour la realisation mecanique des greffes vegetales
US4839986A (en) * 1988-03-18 1989-06-20 Grantham Debs E Grafting apparatus
AU599560B3 (en) * 1989-06-09 1990-06-08 Keng Chong Chai Bud grafting apparatus
JP3147507B2 (ja) * 1992-06-23 2001-03-19 井関農機株式会社 接木苗製造機
US5414958A (en) * 1992-09-24 1995-05-16 Iwatani San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uniting a scion to a stock
JP2559323B2 (ja) * 1992-12-28 1996-12-04 タキイ種苗株式会社 接ぎ木用支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9184T2 (de) 2001-06-07
JP2719752B2 (ja) 1998-02-25
US5813167A (en) 1998-09-29
GR3035191T3 (en) 2001-04-30
JPH07255276A (ja) 1995-10-09
EP0673595A1 (en) 1995-09-27
TW288951B (ko) 1996-10-21
KR960033235A (ko) 1996-10-22
EP0673595B1 (en) 2000-10-25
DE69519184D1 (de) 2000-11-30
BR9501179A (pt) 1996-04-23
ES2152338T3 (es)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583B1 (ko) 접목방법 및 그 장치
US5224470A (en) Apparatus for biopsy sampling with needle and stylet moveable in opposite directions
DE4101601C2 (de) Ohrdurchstechvorrichtung
ES2183078T3 (es) Aplicador para grapa guirurgica helicoidal.
WO2005011791A3 (en) Wire guide holder
TW200509876A (en) Insertion tool for ocular implant and method for using same
CA2179516A1 (en) Paint brush with replaceable bristle pack
AU756454B2 (en) Ear piercing cartridge
CA2035908A1 (en) Liquid applicator
CN209006604U (zh) 用于紧固拉铆钉的装置
US6179844B1 (en) Animal tagging system
DE29906201U1 (de) Greif-/Schneid- und Aufnahmeinstrument
JP2001211745A (ja) 台木と穂木とを接合するための接ぎ木用棒状部材の保持装置
JPH01166575U (ko)
EP0307368A1 (fr) Instrument à écrire avec unité écrivante renfermée dans un corps à pince
FR2600880A1 (fr) Dispositif et accessoires pour la realisation de points de suture.
FR2526720A1 (fr) Porte-mine mecanique equipe d'un dispositif d'actionnement perfectionne
WO20210499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a thread loop around a skin tag
JP2001169663A (ja) 台木と穂木とを接合するための接ぎ木用棒状部材の収納装置並びに接ぎ木方法及び棒状部材保持装置
RU1803143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атетеризации сосудов
JP2001218526A (ja) 台木と穂木とを接合するための接ぎ木用棒状部材の保持装置
KR830001796Y1 (ko) 샤프 펜슬
JP2001211746A (ja) 台木と穂木とを接合するための接ぎ木用棒状部材の保持装置
CN110420049A (zh) 一种应用于齿状突切除的夹持器和夹持固定组件
FR2664572A1 (fr) Recipient du type a poussee, notamment pour produit cosme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