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462B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462B1
KR0153462B1 KR1019910700539A KR910700539A KR0153462B1 KR 0153462 B1 KR0153462 B1 KR 0153462B1 KR 1019910700539 A KR1019910700539 A KR 1019910700539A KR 910700539 A KR910700539 A KR 910700539A KR 0153462 B1 KR0153462 B1 KR 015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torage member
ink storage
tip holder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934A (ko
Inventor
타카시 다무라
마시미쓰 나가하마
고이치 에누마
요시히로 와다
마시유키 가와사키
가즈오 사카이
가즈노리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호리에 유키오
펜텔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1505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2801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54378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0939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3943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081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5238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8878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4598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4726Y2/ja
Application filed by 호리에 유키오, 펜텔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에 유키오
Publication of KR92070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0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 B43L13/02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automatic
    • B43L13/024Drawing hea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필기구에 관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 사출성형된 제품으로 제작된 일시 잉크저장부재는 펜 팁과 잉크 탱크 사이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장치에 끼워맞춤하기 위한 플랜지부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외부 주변부 둘레에 배치되며, 합성수지 사출성형된 제품으로된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시 잉크 저장부재는 가요성으로 되며, 샤프트는 팁홀더 보다 연한 재료로 제작되고, 팁 홀더는 필기두께 표시부재로 사용된다. 일시 잉크 저장부재는 잉크색 표시부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뚜껑은 응용표시부재로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뚜껑은 필기구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필기구
[기술분야]
본 발명은 펜 팁(tip) 부분과 잉크 탱크 사이에 일시 잉크 저장 부재(temporary ink storage member)를 샌드위치(sandwich)시으로 장착하여 제작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형 작성기(plotter) 또는 바꿔말해, 자동 제도기용 펜 같은 장치에 끼워 사용되는 필기구는 특히, 본 발명의 필기구의 적합한 예이다.
[기술배경]
일시 잉크 저장 부재를 사용하고, 또 만년필에 의해 전형적으로 나타내는 잉크 자유형(ink-free type) 필기구라고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많은 필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잉크 자유형 필기구는 잉크 흡수가(occluder)로 잉크를 저장하는 다른 형태의 필기구 보다 잉크 탱크내의 잉크가 완전히 소모될때까지 잉크 배출능력의 변화가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자동 제도기용 펜의 경우에 크게 유리하다. 왜냐하면, 필기선(written line)의 밀도가 잉크가 완전히 소비되고 잉크를 다시 보충할때인 교체 전후에 크게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동 제도기용 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들이 있다.
첫번째 제한은 장치에 대한 끼워맞춤부가 필기구(fitting portion)에 형성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경우에 전용 어댑터(adaptor)가 사용된다. 환언하면, 나사 결합부가 장치에 끼워맞춤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갖는 어댑터내에 배치되고 또한 나사 결합부가 역시 필기구 몸체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어댑터와 필기구 본체는 이러한 나사 결합부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어댑터 자체는 전, 후방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두 개의부재가 서로 제거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으며, 이러한 전,후방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필기구 본체를 클램핑(clamping)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의 이용은 후술할 두번째 제한의 관점에서 이롭지가 못하다.
두번째 제한은 제동 제도기용 펜의 끼워맞춤부와 펜 팁간의 정렬이 장치에 대하여 극도로 정밀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정렬이 충분히 정밀하지 않으면 펜이 제도작업중에 교체될때 필기선이 이탈되어질 것이며, 또는 동심원을 다른 색상으로 그릴 때 이들의 정렬은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어댑터의 사용은 부속품의 결합된 숫자만큼 치수의 변동와 잘못된 정렬을 야기한다.
첫번째 및 두번째 제한을 동시에 만족할만한 수단의 하나는 필기구 주 몸체에 장치의 끼워맞춤을 일체로 배치하는 것이다. 실제로, 잉크 흡수기를 내장하여 잉크를 저장하는 형태의 몇몇 필기구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샤프트와 일체로 성형되는 플랜지부를 갖는다.
그러나, 샤프트와 장치에 대한 끼워맞춤 플랜지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은 잉크 자유형 필기구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왜냐하면, 자동제도기용 펜은 세번째 제한인 진동 저항이 뛰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이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치수 정확도(dimensional accuracy)는 충분하게 높아야하며, 일시 잉크 저장 부재가 완전히 그 기능을 발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치수 정확도가 역시 충분하게 높아야만 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일시 잉크 저장 부재는 잉크 탱크의 내부 압력이 증가할때 잉크의 누출 발생과 펜 팁으로의 과잉 잉크 공급을 막기 위하여 모세관 힘에 의해 과잉 잉크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과, 잉크 탱크의 내부 압력이 떨어질 때 저장된 잉크를 잉크 탱크내로, 보다 바람작하게는 공기중으로 돌려보내는 기능과, 잉크가 저정되어 있지 않을 때 내부 압력의 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공기를 잉크 탱크내로 원할하게 보내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하여, 잉크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부분과 같은 각각의 부분의 치수 정확도가 충분히 높아야 되며, 각각의 부속품이 샤프트의 내측에 배치될때라도 이러한 높은 치수 정확도는 충분히 유지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전술한 진동 저항성은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기능을 방해하는 인자의 하나이다. 그래서, 치수 정확도는 특히 높게 유지되어야만 한다. 샤프트와 플랜지부의 일체 성형으로 인하여 잉크 저장 부재의 치수 정확도가 손상되지 말아야 하며, 가능하다면, 일체 성형이 전술한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다양한 기능의 성취에 보다 도움이 되는 것이 기대된다.
네번째 제한은 필기구가 종종 극히 많은 제품들로 제작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필기 두께 범위는 작은 두께에서 큰 두께의 범위이며, 잉크의 색은 검정, 빨강, 파랑, 청색, 녹색, 오렌지색, 노란색, 갈색 등 그 숫자가 아주 많다. 더욱이, 전용 필기 표면이 벨럼(vellum)종이, 필름 등으로 다양하므로, 용도의 특성에 따른 요구 사항이 다양하다. 이러한 요구 사항들이 다른 요구 사항과 합쳐지면, 제품 종류의 수는 수십종 이상이 될 것이다.
전술한 네번째 제한으로 인해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제한이 생긴다. 바꿔말해, 다섯번째 제한은 종류의 수가 매우 많더라도, 필기구는 효율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섯 번째 제한은 각각의 제품 종류가 사용할시에 쉽게 식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와 일체로 성형되는 장치용 끼워맞춤 플랜지부를 구비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필기구에 따르면,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가진 모든 문제점이 해결되며, 펜 팁과 장치용 끼워맞춤 사이의 정렬이 충분히 만족되고,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구가 많은 종류의 제품들로 제공될 때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잇는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많은 종류의 제품들로 상용가능하게 제작되더라도 그러한 종류가 쉽게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을 다음 설명에서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ⅰ) 합성수지재의 사출 성형된 제품으로 구성되고, 펜 팁과 잉크 탱크 사이에 샌드위치된 일시 잉크저장 부재를 갖는 필기구로서, 샤프트는 합성 수지재의 사출 성형된 제품으로된 플랜지부와 일체로 되고, 이 플랜지부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외부 주변부 둘레에 위치되는데 특징이 있는 필기구이다.
(ⅱ) 합성 부지재의 사출 성형된 제품으로 구성되고, 펜 팁과 잉크 탱크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방법으로 샤프트는 소직경의 내부 구멍부와 이 소직경의 내부 구멍부의 뒤쪽에 있는 스텝부(step portion)를 가지며, 링형 탄성부재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후방 단부에 끼워맞춤되고, 이 링형 탄성부재는 밀접하게 접촉한 상태로 샤프트의 소직경의 내부 구멍부에 수용되고 내측으로 향하여 변형되어 스텝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는데 특징이 있는 필기구이다.
(ⅲ)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된 제품으로 구성된 샤프트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되고 그로부터 돌출하도록 펜 팁을 고정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된 제품으로 구성된 팁 홀더와, 또한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된 제품으로 구성되고 펜 팁과 잉크 탱크 사에에 샌드위치된 일시 잉크 저장 부재를 갖는 필기구로서, 샤프트에 팁홀더용 끼워맞춤 고정부로 사용되는 내부 벽을 갖는 팁 개구부 및 플랜지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는 팁 홀더 보다 연성인 합성수재지로 제작되는데 특징이 있는 필기구이다.
(ⅳ) 팁 홀더를 통과하여 샤프트로부터 돌출하도록 샤프트의 팁에 고정된 펜팁과 잉크 탱크 사이에 이릿 잉크 저장 부재를 샌드위치식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주몸체와, 이 주 몸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뚜껑을 갖는 필기구로서, 팁 홀더는 필기 두께 표시 부재로 사용되고, 일시 잉크 저장 부재는 잉크 색 표시 부재로 사용되고, 샤프트는 상기 표시들이 투과하여 보여지도록 투명하고, 뚜껑이 끼워맞춰졌을때도 팁 홀더와 일시 잉크 저장 부재가 노출되도록 남겨두며, 이 뚜껑은 용도 표시 부재로 사용되는데 특징이 있는 필기구이다.
(ⅴ) 팁 홀더를 통과하여 샤프트로부터 돌출하도록 샤프트의 팁에 고정된 펜팁과 잉크 탱크 사이에 일시 잉크 저장 부재를 샌드위치식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주몸체와, 주 몸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뚜껑을 갖는 필기구로서, 샤프트와 일시 잉크 저장 부재는 합성수지재의 사출 성형된 제품으로 구성되고 또한 각각의 종류의 제품용 공통 부속품으로 사용되며, 뚜껑은 각 종류에 따라 주 몸체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는 필기구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분해 종단면도.
제2도는 장치에 끼워맞춤된 제1도의 필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Ⅳ-Ⅵ를 따른 부분 분해 단면도.
제5도 내지 제30도는 각각의 제1도의 필기구의 부속품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여기에서;
제5도는 샤프트의 부분 분해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Ⅵ-Ⅵ를 다른 횡단면도;
제7도는 플랜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종단면도.
제8도는 플랜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종단면도.
제9도는 얇은 부재의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에서 90°회전될 때의 얇은 로드 부재의 측면도.
제11도는 얇은 로드부재를 얻기 위해 사용된 노즐의 배출부 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정면도.
제12도는 노즐의 배출부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정면도.
제13도는 노즐의 배출부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정면도.
제14도는 팁 홀더의 종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정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선 ⅩⅥ-ⅩⅥ를 따른 횡단면도.
제17도는 제14도의 선 ⅩⅦ-ⅩⅦ를 따른 횡단면도.
제18도는 샤프트와 팁 홀더 사이에 끼워맞춰진 상태를 도시하는, 제1도의 XⅧ부의 확대도.
제19도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종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선 XX-XX를 따른 횡단면도.
제21도는 샤프트의 내부벽과 일시 잉크 저장 부재 사이의 틈새 상태를 도시하는, 제1도의 XXI부의 확대도.
제22도는 샤프트의 내부벽과 일시 잉크 저장 부재 사이의 틈새 상태를 도시하는, 제21도와 대응하는 도면.
제23도는 링형 탄성부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제1도의 XXⅣ부의 확대도.
제24도는 링형 탄성부재의 배치 상태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3도와 대응하는 도면.
제25도는 링형 탄성부재의 배치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3도와 대응하는 도면.
제26도는 잉크 안내 코어 부재의 측면도.
제27도는 꼬리 플러그의 부분 분해 종단면도.
제28도는 꼬리 플러그가 샤프트에 고정되기 전에 상태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종단면도.
제29도는 꼬리 플러그가 샤프트에 고정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종단면도.
제30도는 뚜껑의 부분 분해 종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 종단면도.
제32도는 내지 제34도는 각각 제31도의 부속품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제32도는 팁 홀더의 부분 분해 종단면도.
제33도는 바늘체 형태의 제품의 종단면도.
제34도는 코일 스프링의 측면도.
제35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 몸체부의 종단면도.
제3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절단 종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제1도의 필기구는 샤프트(1), 소형관의 펜 팁(pen tip, 2), 얇은 로드 부재(3)팁 홀더(tip holder, 4), 일시 잉크 저장 부재(5), 링(ring)형 탄성부재(6), 잉크 안내코어 부재(7), 꼬리 플러그(tail pulg, 8), 뚜껑 주 몸체(9)와 링형 밀봉 부재(10)으로 구성된다. 샤프트(1)에서 꼬리 플러그(8)까지의 8개 부재는 주 몸체를 이루고, 뚜껑 주 몸체(9)와 링형 밀봉 부재(10)는 함께 뚜껑을 구성한다.
여기에 나타난 필기구는 잉크 자유형(ink-free type) 필기구의 하나의 예이다. 그러나, 만년필과 같이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보통의 필기구와는 달라, 이런 필기구는 샤프트(1)에 플랜지부(1a)를 갖는다. 바꿔말해, 이런 필기구는 자동 제도기용 펜의 하나의 예이며, 여기서 장치에 끼워맞춤되는 플랜지부는 전술한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자동 제도기용 펜과 같은 펜(이햐 단지 펜이라 함)의 사용 방식이, 각각의 부분에 대한 설명에 앞서,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될 것이다.
참조부호(11)은 장치 주 몸체의 팬 끼워맞춤부(fitting portion)를 나타낸다.
펜 끼워맞춤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끼워맞춤 구조가 공지되어 있지만, 도면에서 도시된 끼워맞춤부는 4개의 폴(pawl)(11a, 11b, 11c, 11d)를 갖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들 폴(11a, 11b, 11c)는 일체로 되어 있고 플랜지부(1a)의 두께(제2도에서 수직방향으로의 두께)는 폴(11a, 11b) 사이의 간극(gap)과 같다. 수직방향으로의 펜의 이동은 플랜지부(1a)가 폴(11a)와 (11b) 사이로 삽입될 때 제한된다. 폴(11d)는 이동 할 수 있으며, 이것과 폴(11b, 11c) 사이에 펜을 고정하며, 펜의 횡방향 흔들림을 제한한다. 펜은 끼워맞춤부(11)에 고정되어 사용되며, 끼워맞춤부(11)은 필기면에 대해 정확하게 위 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전술한 바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펜이 흔들림없이 장치에 끼워맞춰져 고정되어야 하고 또 다수의 펜이 형태와 치수가 동일하여 비슷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하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은 각각의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를 보면, 샤프트(1)은 양 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이다. 축소되는 직경부인 팁부(tip portion, 1c)를 구비한 스텝부(step portion, 1d)가 외부 벽(1b)에 형성되며, 플랜지부(1a)는 스텝부(1d)의 뒤에 형성된다. 후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배열이 채용되는 이유는, 플랜지부(1a)의 뒤와 전방에 있는 외부벽(1b) 부분이 폴(11a) 또는 이와 같은 것과 면해 있어서 이 부분의 형태와 치수가 특별히 정확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부수적으로, 플랜지부(1a)는 두 개의 평행면을 갖는 5각형의 종방향 단면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플랜지부는 폴(11b)와 (11c) 사이에 삽입될 때 소정의 가요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7도 또는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쉽게 탄성 변형을 받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테이퍼 형태로 연장하는 선단(foremost) 팁부(1f), 3개의 랭형 내부 돌출부(1g, 1h, 1i), 스텝부(1j), 플랜지부(1a)에 위치한 홈부(recess portion, 1k), 내부벽의 후박부(11)를 축소된 직경부로서 이용하는 두 개의 스텝부(1m, 1n), 링형 내부 돌출부(1p)가, 전방측면에서 시작하여 전술한 이름순으로 해서 내부벽(1e)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형 내부 둘출부(1p)는 상기 스텝부(1n)의 뒤에 있는 스텝부(1o)로 되는 전방부와, 내부 돌출부(1p)의 뒤에서 내부벽(1e)의 후방 단부 가까운 부분까지 연장하는 리브(rib)(1q)를 구비한다. 여기서, 맨 안쪽의 팁부(1f)는 팁 홀더(4)가 쉬게 삽입될 수 있게 하고, 팁 벽부(1r)의 두께를 감소시키며, 상기 탭 벽부(1r)가 링형 밀봉 부재(10)가 아니라 뚜껑 주 몸체 내측부와 불필요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텝부(1j)는 내부벽(1e)를 따라 전방 부분에서 우발적으로 잉크가 누출할 때 잉크를 차단하고 막는다. 후방부(1l)는 잉크 탱크의 기능을 한다. 리브(1g)는 잉크가 부드럽게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하는데, 제6도에서 도시된 리브(1q)는 그 안에 두 개가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다. 나버지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각각의 부재는 주 몸체를 형성하도록 상기 샤프트(1)에 직접적이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된다. 이하, 부속품들은 팁측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순서대로 설명될 것이다.
소형관의 펜 팁(2)는 사라믹 또는 스테인레스 강 같은 강성 재료로 제조된다. 내마모성(abrasion-resistant) 필름이 가혹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내마모성 부재가 간혹 팁에 끼워맞춤된다. 필기면에 펜 팁(2)이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팁은 그 모서리가 적당하게 둥글게 형성된다. 펜 팁이 종방향에서 대칭 형태이면, 팁 홀더(4)에 아주 쉽게 끼워맞춤될 수가 있다.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로드 부재(3)의 후방 부분(3a)는 탄성 크랭크부처럼 형성되므로, 소형관의 펜 팁(2)에서 약간 돌출한 얇은 로드 부재(3)의 팁은 앞뒤로 움직일 수가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분(3a)는 평평하게 제작되고 프레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쉽게 그 형상을 만들 수 있다. 후방 부분(3a)가 잉크 안내 코어 부재(7)의 전단부 표면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조립된 상태에서, 후방 부분은 필기시가 아닌때라도 약간의 탄성을 나타내도록 다소 변형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얇은 로드 부재(3)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의 압출 성형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는 압출 성형에 사용되는 노즐의 배출구(discharge port) 형태의 몇가지 예를 도시한다. 만약 얇은 로드부재(3)가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지는 특징의 필기를 위해서 비교적 두껍게 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두께에 대처할 수 있도록 상기 형태가 복잡라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4도를 보면, 팁 홀더(4)는 그 외부 벽부에 다섯 개의 플랜지형 팽창부(4a, 4b, 4c, 4d, 4e)를 갖는다. 이러한 팽창부(4a, 4b, 4c, 4d, 4e)는 또한 공기 통로(4f)를 견고히 한다. 제16도와 제17도는 팽창부(4b, 4e)에 있는 공기 통로(4f)를 도시한다. 이러한 팽창부(4a, 4b, 4c, 4d, 4e)는 또한 샤프트(1)의 내부벽(1e)에 끼워맞춰져 고정되는데 기여한다. 제18도를 보면, 팽창부(4a)와 내부 돌출부(1g)는 가압식(press-in) 끼워맞춤부로서 기능하며, 팽창부(4b, 4c, 4d)와 내부 돌출부(1h, 1i)는 요철식(concabo-convex) 끼워맞춤부로서 기능하다. 팽창부(4e)는 팁 홀더(4)가 이러한 끼워맞춤 및 고정 작동 동안 샤프트(1)내로 끼워맞춤될 때 안내부로서 역할한다. 끼워맞춤식 고정부가 전체로서 길다랗게 때문에, 샤프트(1)과 팁 홀더(4) 사이의 축방향에서의 일치도는 높다. 하지만, 끼워맞춤식 고정부가 전체로서 길 때 비교적 후방부에서의 끼어맞춤 힘이 그리 강하지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끼워맞춤 힘이 샤프트(1)의 외부로의 변형을 유발하는 힘으로서 가능하지만, 만약 이러한 끼워맞춤 힘이 후방부에서 강하면 샤프트(1)의 목적한 정도의 정확도가 방해받게 될 것이다. 이러한 끼워 맞춤은 예를들어 단지 가압식(press-in) 끼워맞춤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비교적 전방부에 있는 팽창부(4a)와 내부 돌출부(1g) 사이의 끼워맞춤이 횡단 흔들림을 충분히 제한하는 가압식으로 이루어지고, 또 만약 비교적 후방부에 있는 팽창부(4b, 4c, 4d)와 내두 돌출부(1h, 1i) 사이의 끼워맞춤이 지면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요철식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면, 요철식 끼워맞춤은 샤프트(1)의외측으로 향하는 작은 변형력을 가지게 되어서, 샤프트(1)에 대한 팁 홀더(4)의위친는 끼워맞춤 힘이 작을 때라도 종방향에서 믿을만하게 놓여질 수 있다. 한층 더, 팽창부(4a)와 내부 돌출부(1g)사이의 끼워맞춤 지역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비교적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록 전체의 끼워맞춤 힘이 크더라도 단위 면적당 끼워맞춤 힘이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1)에 대한 변형력은 그리 크지가 않게 되어, 끼워 맞춤과 고정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딸, 샤프트(1)과 팁 홀더(4) 사이의 정렬이 개선되면, 샤프트(1)에 가해지는 변형력은 바람직하게 균일하게된다.
샤프트(1)은 전술한 끼워맞춤과 고정에 기인하는 변형을 수용하는 부분의 뒤에 스텝(step)부 (1d)를 갖추고 있다. 바꿔 말하면, 샤프트(1)의 외경을 끼워맞춤 고정부에서 줄어든다. 이것은 변형의 영향이 플랜지부(1a)에 작용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아주 바람직하다.
다시 제14도를 보면, 팁 홀더(4)는 통과 구멍(4g)를 갖는다. 참조번호(4h), (4i), (4j), (4k), (4l) 및 (4m)은 전방부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순서로 명명되어 있다. 참조번호(4h)는 소형관의 펜 팁(2)의 끼워맞춤부를 나타내고, (4i)는 얇은 로드 부재(3)의 통과부이고, (4j)는 얇은 로드 부재(3)의 후방 부분(3a)이 가요성 있게 위치되는 잉크 저장부이며, (4k)는 잉크 안내 코어 부재(7)의 팁이 삽입되는 부분이고, (4l)은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팁이 삽입되는 부분이며, (4m)은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와 고정되는 부분이다. 고정부(4m)은 또한 잉크가 일시 잉크 저장 부채(5)를 지내면서 전방으로 뜻하지 않게 누출될 때 사용하는 잉크 저장부이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팁 홀더(4)는 팁 홀더로부터 돌출하는 소형관의 펜 팁(2)을 고정하며, 충분한 강성을 구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소형관의 펜 팁(2)는 필기 압력 또는 필기 표면으로부터의 저항 때문에 불안정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팁 홀더(4)는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 홀더(4)가 그러한 단단한 재료에 의해 제작되면, 샤프트(1)은 비교적 연한 재료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프트(1)와 팁 홀더(4) 사이의 끼워맞춤 고정력의 변화가 다수의 제품이 생산될 때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팁 홀더(4)에 기인하는 샤프트(1)의 변형이 커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샤프트(1)의 변형에 대한 고려는 이미 전술할 것처럼 충분하다.
샤프트(1)과 팁 홀더(4) 양자는 용이한 성형성의 관점에서 볼 때 합성 수지사출 성형 제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관계를 보다 만족시키기 위해서, 일례로, 적당한 재료의 조합은 샤프트(1)에 대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팁 홀더(4)에 대한 폴리아세탈(polyacetal)로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제19도에 도시된 잉크 저장 부재(5)가 설명된다. 상기 잉크 저장부재(5)는 빗살형(combtooth-like)의 종단면을 갖는 일시 저장홈(5a)와, 상기 일시 잉크 저장홈(5a)와 연통하는 슬릿(5b)와, 잉크 안내 부재(7)가 끼워맞춤되는 중심 구멍(5c)와, 슬릿(5b)과 중심구멍(5c) 사이의 연통부(5d, 5e, 5f)를 구비한다. 그러나, 일시 잉크 저장 부재 그자체는 이 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것의 기본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팁 홀더(4)에 끼워맞춤하기 위한 링형 팽창부(5g, 5h, 5i)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끼워맞춤할 때 공기가 빠져나가고 비상시에 잉크의 통로가 되는 홈이 공기 통로(4f)로 형성된다. 잉크 안내 코어 부재(7)의 관통 구멍(5j)와 고정부(5k)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후방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 구멍(5j)는 잉크 탱크에 대한 공기의 이동을 평탄하게 만든다. 이것의 팁이 연통부(5f)의 후방 단부에 배치된채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좀더 뒤쪽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부(5k)는 끝에 있는 스텝부(5l)에서 잉크 안내 코어 부재(7)를 수용하며, 필요할 때마다 후방 부분(5m)에서 잉크 코어 부재(7)에 대한 가열 융융부로서 역할한다. 후방 부분(5m)은 공기의 이동을 막지 않도록 제20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단지 국부적이다.
상기 일시 잉크 저장 부재(5)는 샤프트(1)에 끼워맞춤된다. 플랜지부(1a)는 이런 끼워맞춤 상태에서 외부 주변 위치에 형성된다. 플랜지부(1a)의 형성 위치 자체는 원래 임의적이다. 그러나, 플랜지부(1a)에 가까운 부분들을 특히 전술한 것처럼 고도의 치수 정밀도를 가져야하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시 잉크 저장 부재(5)가 완전한 작동할 수 있게 되도록 최상의 이러한 치수 정확도를 구현하고자 의도하는 것이다.
바꿔말해, 일시 잉크 저장 부재는 잉크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 전체에 걸쳐서 고도의 정확한 치수로 성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모세관 현상이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없으며, 이러한 문제는 심지어 일시 잉크 저장 부재가 샤프트에 끼워맞춤된 후에도 남는다. 샤프트에 끼워맞춰질 때 내부벽과 틈새를 형성하도록 혹은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만약 이러한 틈새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다수의 제품이 제작될 때 항상 이러한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져야만 하며, 게다가 일시 잉크 젖아 부재는 샤프트의 내부벽과 접촉 상태로 될 때 큰 변형을 받지 않는다. 틈새가 형성되는 때에는, 틈새는 설계대로 안정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한 잉크 누출이 일어난다. 물론, 일시 잉크 저장 부재 자체는 가능한 한 고도의 치수 정확도로 제작된다. 그러나, 샤프트와의 관계를 고려해볼 때, 샤프트(1)의 플랜지부(1a)에 가까운 부분의 고도의 치수 정확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시 잉크 저장 부재(5)는 샤프트의 내부벽과 틈새를 형성하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들의 예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틈새를 고려한 것이다. 바꿔말해, 제21도에 도시된 것처럼, 흠부(1k)는 흠부(1k)에서 틈새가 확대되도록 샤프트의 내부벽(1e)에 형성된다. 잉크가 샤프트(1)의 내부벽(1e)를 따라 누출할 경우, 홈부(1k)는 그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틈새는 전방부쪽으로 점전적으로 또는 계단상으로 더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모세관 형태이다.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직경은 전방부쪽으로 점짐적으로 작아지고, 저장 부재(5)는 다수의 단(stage)의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러한 관계를 깨뜨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스텝부가 제22도에 도시된 것처럼 흠부(1k)에 위치되는 배열을 채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홈부(1k)의형성 위치는 플랜지부(1a)에 놓여진다. 왜냐하면, 샤프트(1)의 성형때 융용 수지의 흐름을 이용함으로써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성형된 제품이 성형틀에서 꺼내어질 때 자연스럽게 그리고 유리하게 홈부(1k)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링형 탄성부재(6)은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에 끼워맞춤된다. 링형 탄성부재(6)은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연통부(5f)를 슬릿 형태에서 관통구멍 형태로 변화시킨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탄성부재(6)은 밀접하게 접촉되어 샤프트(1)의 스텝부(1n, 1o) 사이의 축소된 직경의 내측 구멍부로 향하는 내부벽(1e)의 부분 쪽으로 내측으로 변형된 상태로 저장되며, 스텝부(1o)와 탄성 접촉되어 그 어깨부가 변형을 받는다.
물론, 이러한 변형된 상태는 잉크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지만, 이것은 또한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성형시 크기의 비균일성의 어떤 불리한 영향을 방지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바꿔말해, 일시 잉크 저장 부재(5)는 링형 탄성부재(6)을 통하여 샤프트(1)과 팁 홀더(4)로부터 고정력(clamp force)을 받는다. 만약 이런 고정력이 너무 강하면,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치수 정확성이 훼손된다. 따라서, 링형 탄성부재(6)은 스텝부(1o)와 접촉하게 되어서 샤프트(1)의 내부벽(1e)의 내부 돌출부(1p)쪽으로 이탈을 허용하는 변형을 받는다. 이러한 배치는 필기구가 자동 제도기용이 나닌때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샤프트(1)의 플랜지부(1a)에서 소형관의 펜 팁(2)까지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샤프트(1)에 대한 팁 홀더(4)의 위치 설정이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특히 적합하다.
제26도는 잉크 안내부재(7)을 도시한다. 비록 잉크 안내부재(7)은 적합한 출성형 제품이지만, 도면은 특별히 섬유속(束) 제품으로된 안내부재를 도시한다. 안내부부재(7)은 그 끝으로부터 명명된 순서에 따라, 대직경부(7a), 중 직경부(7b), 테이퍼부(7c) 및 원추형 후방단부(7d)를 구비한다. 대 직경부(7a)는 일시 잉크저장 부재(5)의 중심구멍(5c)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을 가지며, 또한 연통부(5d, 5e)가 잉크를 이동시키면서도 공기를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하도록 한다. 중직경부(7b)는 그것과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중심구멍(5c)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고, 제일 후미부에 배치된 연통부(5f)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허용한다. 테이퍼부(7c)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고정부(5k)의 팁에 있는 스텝부(5ℓ)에 의해 지지되며, 원추형 후방 단부(7d)는 잉크 탱크내로 돌출한다.
제27도는 전술한 주 몸체의 맨뒤의 부속품인 꼬리 플러그(8)를 도시한다. 꼬리 플러그(8)은 전방으로 돌출하고 뾰족한 머리를 갖는 링형 부(8a)와, 다수의 볼록부(8b) 및 후방단 홈부(8c)를 구비한다. 이러한 꼬리 플러그(8)는 샤프트(1)의 후방단에 초음파 용점으로 융합된다. 제28도와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부(8a)는 융합부가 된다. 또한, 볼록부(8b)는 꼬리 플러그(8)의 이동을 매끈하게 만드는 부분이며, 샤프트(1)의 내부벽(1e)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흔들림과 미끄럼 없이, 링형부(8a)의 융융이 진행되면서 샤프트(1)쪽으로 전진한다. 후방단 홈부(8c)는 펜의 두께를 나타내는 표시 시이트(sheet)가 필요할 때마다 부착되는 부분이 된다.
제30도는 뚜껑을 도시한다. 팁 홀더(4)용 삽입 안내부로서 그리고 또한 링형 밀봉부재(10)룰 안정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보강부로서 기능하는 리브(9a)가 뚜껑 주몸체(9)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음, 다른 실시예가 제31도 내지 제34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유사한 구성을 나타내는데 유사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는 바늘 부재(11)과, 바늘 부재 끼워맞춤 부재(12)와, 바늘주재 끼워맞춤부재(12)에서 후방으로 둘출한 후방 돌출 부재(13)과, 얇은 로드부재(3)를 대신하는 스프링(14) 및 잉크 안내 코어 부재(7)을 사용한다. 팁 홀더(4)와 뚜껑 주 몸체(9)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의 형태와 약간 다르며, 펜 팁을 밀봉하기 위한 구형 탄성 부재(15)는 뚜껑 주 몸체(9) 내측에 배치된다.
제32도는 실시예의 팁홀더(4)를 도시한다. 조립시에 쉽게 바늘부재(11)를 삽입하기 위하여, 테이퍼 구멍부(4n)이 통과 구멍(4g)내에 형성된다. 이 테이퍼 구멍부(4n)의 후방 단부는 바늘 부재 끼워맞춤 부재(12)의전진 위치를 제한하는 부재이다.
제33도는 바늘 부재(11), 바늘 부재 끼워맞춤부재(12) 및 후방 돌출 부재(13)을 도시한다. 바꿔말해, 도며은 바늘 부재 성형 제품을 도시한다. 바늘 부재(11)은 바늘 부재 끼워맞춤 부재에서 돌출하기 위한 방식으로 바늘 부재 끼워맞춤부재(12)에 고정되며, 바늘 부재 끼워맞춤부재(12)는 팁홀더(4)의 테이퍼 구멍부(4n)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는 스텝부(12a)를 갖는다. 따라서, 소직경 펜 팁(2)에 대한 바늘 부재(11)의 위치 관계는 안정적이 될 수 있다. 소직경 후방단부(12b)는 전술란 실시예의 잉크 안내 코어부재(7)의중직경부(7b)와 같은 방법으로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연통부(5f)에서 공기가 쉽게 유입되도록 하는 틈새를 확보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후방 돌출부재(13)은 스텐인레스강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제작되고, 대 직경 후방부(13a)의 팁부가 바늘 부재 끼워맞춤부재(12)내에 묻혀지도록 배치된다. 바늘 부재 끼워맞춤부재(12)가 합성 수지 사출 성형 제품으로 성형될 때, 예컨대, 만약 이러한 바늘 부재 성형 제품이 바늘 부재(11)과 후방 돌출부재(13)를 삽입 부재로서 사요하여 소위 삽입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바늘 부재(11)와 후방 돌출 부재(13)에 있어서의 가압의 곤란성이 제거될 수 있다.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4)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관통 구멍(5j)의 위치에 놓이며, 스프링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잉크 안내 코어 부재(7)의 지지부로서 역할하는 스텝부(5ℓ)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이기서, 스프링(14)는 관통 구멍(5j)가 배치되어 있지 않을때에도 연통부(5f)의 뒤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공기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스프링(14)는 바늘부재 끼워맞춤 부재(12)의 후방단부와 접촉하며, 바늘부재 성형 제품 전방으로 편향(bias)된다. 제34도는 스프링(14)를 도시한다. 스프링(14)가 놓일대 다수의 스프링(14)가 조립전에 서로 헝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중심에 소피치부(small pitch portion, 14a)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제품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형관 형태의 필기구이다. 이미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필기구가 자동제도기에 사용될 때, 다양한 필기 두께가 잉크 색 외에도 종종 필요하게 된다. 만약 필기구가 소형관 형태의 필기구라면, 다양한 필기 두께에 쉽게 대처할 수있다. 이 실시예에는 물론 본 발명의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하나의 그룹의 제품들을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바람직한 수단을 나타낸다. 바꿔말해, 필기구가 자동제도기용일때는, 필기 표면이 종이 혹은 필름이냐와 같은 적용 분야에 대한 요구 사항이 종종 제기된다. 그러한 경우에, 잉크색과 필기 두께가 같을 지라도, 다른 특성을 갖는 잉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잉크 배출 구조 및 그것에 수반하는 구조는 다를 수있다.
제품이 효과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준비되는 부속품의 수는 가능한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샤프트(1)과 일시 잉크 저장 부재(5)는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인 부속품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샤프트(1)와 일시 잉크 저장 부재(5)를 종이 전용으로 사용하고 이 실시예의 샤프트와 일시 잉크 저장 부재를 필름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팁 홀더(4)와 뚜껑 주 몸체(9)의 형태는 전술한 구조적인 요구때문 뿐만 아니라 잘못된 끼워맞춤을 막기 위하여 약간 변화된다. 바꿔말해, 제품들이 제작될 때, 전술한 실시예의 뚜껑 주 몸체(9)는 전술한 실시예의 팁 홀더(4)에 선택적으로 끼워 맞춤될 수 있고, 이 실시예의 뚜껑 주 몸체(9)는 이 실시예의 팁 홀더(4)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뚜껑 주 몸체(9)가 팁 홀더가 아니라 샤프트에 끼워맞춤되는 형태일때도, 이러한 선택성이 뚜껑에 대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색과, 필기 두께 및 필기 표면에 대한 요구 사항은 다양하며, 다양한 요구사항들은 제품들에 반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을 쉽게 구별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언뜻보아서, 외양과 형태는 비슷하게 보이고, 필기 두께 및 소형관의 펜팁 직경의 차이는 시각적으로 쉽게 구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잉크색은 잉크 자유형 필기구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없으며, 예컨대, 노랑과 오렌지같은 비슷한 색 사이의 색 구별을 할 수 없다.
따라서, 그러한 구별이 쉽게 되도록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전술학 꼬리 플러그(8)에 접착된 사이트가 그러한 예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표시의 특성을 갖는 적합한 필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에 이용되는 부재들로는, 샤프트(1)과, 팁 홀더(4), 일시 잉크 저장 부재(5) 및 뚜껑 주 몸체(9)가 있다. 우선 첫째로, 샤프트(1)은 투명 재료로 제작되므로 팁 홀더(4)와 일시 잉크 저장 부재(5)가 투과하여 볼수가 있게 된다. 이미 전술한 폴리프로필렌은 이러한 투명성 요구조건을 충분하게 만족시킨다. 팁 홀더(4)와 일시 잉크 저장 부재(5)는 단지 투과하여 보이는 것이 필요할 뿐이고, 투명도와 색조는 임의적이다. 일시 잉크 저장부재(5)는 잉크와 접촉하게 되므로, 잉크 색표시 부재로 사용된다. 사출 성형이 예컨대 ABS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될 때, 잉크색의 착색이 함께 사용될 것이며, 보다 쉽게는 일시 잉크 저장 부재(5)가 각각의 잉크에 담겨진다음 거기에서꺼내져 건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시 잉크 저장 부재는 잉크색에 해당하는 색을 가지게 된다. 용도 표시와 필기구 두께의 표시에 관해서는, 뚜껑 주 몸체(9)가 필기 두께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며, 전술한 선택성을 분명히 나타내기 위하여 또한 뚜껑 주몸체(9)가용도 표시 부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말해, 뚜껑 주 몸체(9)는 용도에 따라서 다른 색으로 채색될수 있다. 이것은 또한 첫번째 또는 두번째 실시예의 필기구가 제품들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똑같다. 그러나, 뚜껑 주 몸체 (9)는 끼워맞춤되었을 때 팁 홀더(4)와일시 잉크 저장 부재(5)의 표시를 숨기지 말아야 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뚜껑 주 몸체(9)는 끼워맞춤되더라도 팁 홀더(4)의 후방 부분을 노출된 채로 남겨둔다. 부수적으로, 링형 밀봉 부재(10)가 뚜껑으로 사용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래서, 뚜껑 주몸체(9)보다는 오히려 뚜껑이 용도표시 부재로 사용된다. 따라서, 남은 팁 홀더(4)는 필기 두께 표시 부재로 사용된다. 만약 팁 홀더가 국제 ISO 표준에 따라 0.35㎜ 용 노랑과 0.70㎜ 용청색으로 채색되어 있다면, 팁 홀더(4)는 높은 다양성을 갖는다.
본 발명이 비록 두 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없이 많은 변경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부의 숫자는 사용된 장치와 관련하여 결정될 수 잇으며, 만약 닥수의 플랜지부가 사용되면, 이들 중의 하나는 이미 설명한 플랜지부(1a)와 대응할 것이다. 도며에 도시된 일시 잉크 저장 부재가 빗살형 종단명을 갖는 일시 잉크 저장홈(5a)를 구비하지만, 다양한 공지된 형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에 대해 인쇄(printing)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펜 팁 고정용 보강 금속링이 팁 홀더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샤프트의 내부 구멍은 잉크 탱크로 사용될 필요는 없으나 거기에 끼워맞춤되는 제거가능한 잉크 탱크를 가질 수 있으며, 팁 홀더와 샤프트는 서로 일체로 될 수 있다. 바꿔말해, 적합한 부재가 분리된 부재로서 알맞게 형성되거나, 다른 것에 보조적으로되거나, 또는 다수의 분리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5도는 제거 가능한 잉크 탱크(16)을 사용한 예를 도시하고, 제36도는 샤프트와 팁 홀더가 하나의 부속품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필기구는 다른 종류의 필기구로서 볼펜일 수도 있다.

Claims (11)

  1. 합성수지재 샤프트(1)와,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제품으로 제작된 일시 잉크 저장 부재(5)를 구비하며, 상기 일시 잉크 저장 부재가 상기 샤프트에 수용되어 펜 팁(2)과 잉크 탱크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1a)를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일시 잉크 저장 부재(5)와 상기 샤프트(1)의 내부벽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고, 사익 틈새는 필기구의 전바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더 커지며, 링형 홈부(1k)가 상기 샤프트의 내부벽에 형성되므로, 상기 틈새는 상기 홈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서 보다 상기 홈부가 있는 곳에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내부벽의 상기 홈부(1k)는 상기 플랜지부(1a)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는 소직경 내부 구멍부와 상기 소직경 내부 구멍부의 후방에 있는 스텝부(10)를 구비하고, 링형 탄성부재(6)는 상기 일시 잉크 저장 부재의 후방 단부에 끼워맞춤 되어서, 상기 링형 탄성 부재는 상기 소직경의 내부 구멍부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수용되고 내측으로 변형된 상태이며, 상기 스텝부와 탄성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제품으로 제작되고, 상기 샤프트에 끼워 맞춰져 고정되며, 펜 팁(2)이 돌출하도록 상기 펜 팁을 고정하는 팁홀더(4)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1)의 탭 개구부에 있는 내부벽은 상기 팁홀더(4)에 대하여 끼워맞춤 고정부로 사용되며, 상기 팁 홀더 보다 연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되고, 상기 팁 홀더는 플리아세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고정부는 비교적 큰 끼워맞춤 힘을 갖는 전방 고정부와 비교적 작은 끼워맞춤 힘을 갖는 후방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부는 상기 팁 홀더(4)와 가압식으로 끼워맞춤되는 부분이고, 상기 후방 고정부는 상기 팁홀더와 요철식으로 끼워맞춤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의 외경은 상기 끼워맞춤 고정부에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 몸체와 상기 주 몸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뚜껑(9)을 구비하며, 상기 주 몸체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일시 잉크 저장 부재(5)는 잉크색 표시 부재이며, 상기 시프트(1)는 투명하므로 잉크색을 볼 수 있고, 상기 뚜껑(9)은 끼워맞춤되어 있을때에도 상기 팁 홀더와 상기 일시 잉크 저장부재(5)를 노출된 채로 남겨두며, 상기 뚜껑(9)은 용도 표시 부재로 또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잉크 저장 부재는 잉크 주입과 건조 처리에 의해 각각의 잉크 색으로 채색되고, 상기 팁 홀더와 상기 뚜껑은 사출 성형시 착색제를 함께 사용하여 상이한 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팁 홀더(4)를 관통하여 돌출하도록 상기 샤프트(1)의 팁에 고정된 펜 팁(2)과 잉크 탱크 사이에 일시 잉크 저정 부재를 끼워서 형성된 주 몸체와, 상기 주 몸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와 상기 일시 잉크 저장 부재는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제품으로 제작되고, 상기 뚜껑(9)은 상기 주 몸체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1019910700539A 1989-09-29 1990-09-27 필기구 KR0153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5437 1989-05-08
JP1-115051 1989-09-29
JP1989115051U JP2528018Y2 (ja) 1989-09-29 1989-09-29 自動製図機用ペン
JP11543789U JP2509396Y2 (ja) 1989-09-30 1989-09-30 筆記具
JP1989139439U JP2510815Y2 (ja) 1989-11-30 1989-11-30 筆記具
JP1-139439 1989-11-30
JP1-152382 1989-12-27
JP1989152382U JPH0388784U (ko) 1989-12-27 1989-12-27
JP2-45989 1990-04-28
JP1990045989U JP2554726Y2 (ja) 1990-04-28 1990-04-28 自動製図機用ペ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934A KR920700934A (ko) 1992-08-10
KR0153462B1 true KR0153462B1 (ko) 1998-12-01

Family

ID=2752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539A KR0153462B1 (ko) 1989-09-29 1990-09-27 필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217313A (ko)
EP (1) EP0446371B1 (ko)
KR (1) KR0153462B1 (ko)
DE (1) DE69027421T2 (ko)
WO (1) WO1991004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5796A (ja) * 1992-03-02 1993-11-19 Sakura Color Prod Corp 塗布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5551789A (en) * 1993-10-13 1996-09-03 Kawakami Giken Co Ltd Cosmetic material container
US5702759A (en) * 1994-12-23 1997-12-30 Henkel Corporation Applicator for flowable materials
US5906446A (en) * 1996-10-22 1999-05-25 Bic Corporation Fillerless writing instrument
DE19803622A1 (de) * 1998-01-31 1999-08-12 Staedtler Fa J S Kugelschreiber für Tinte
EP1066981A4 (en) * 1998-03-26 2004-03-31 Mitsubishi Pencil Co WRITER WITH INK TANK
US6428235B1 (en) * 1999-03-26 2002-08-06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Liquid applicator having ink color identification
US6276860B1 (en) * 1999-06-29 2001-08-21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Liquid applicator
US6527365B1 (en) * 2000-10-20 2003-03-0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for pen
JP2003513832A (ja) * 1999-10-25 2003-04-15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センサを有する電子的に制御可能なペン
JP2001224428A (ja) * 2000-02-14 2001-08-21 Tokiwa Corp 鉛筆型化粧品
AU5877701A (en) * 2000-05-18 2001-11-26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Collector type writing implement
KR100552795B1 (ko) * 2000-10-20 2006-02-20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펜을 위한 프린트헤드
AU778400B2 (en) * 2000-10-20 2004-12-0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for pen
US7431449B2 (en) * 2000-10-20 2008-10-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with interactive paper sensor
US6550997B1 (en) * 2000-10-20 2003-04-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ink cartridge for pen
US7456994B2 (en) * 2000-10-20 2008-11-2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with stylus having printhead tip
US6503017B1 (en) * 2002-01-22 2003-01-07 Chen-Chou Liu Ink regulating apparatus in a pen
JP4567029B2 (ja) * 2007-06-22 2010-10-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6309813B2 (ja) * 2013-05-21 2018-04-11 三菱鉛筆株式会社 コレクター式塗布具
CN105848918B (zh) * 2013-10-21 2017-09-05 有限会社V斯帕克 压力变动缓冲机构以及涂敷具
TWI827627B (zh) * 2018-06-29 2024-01-01 日商百樂股份有限公司 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473A (en) * 1904-02-01 1904-08-23 American Steam Gauge And Valve Mfg Company Recording-pen.
US2303373A (en) * 1941-11-03 1942-12-01 Sheaffer W A Pen Co Fountain pen
DE1511375B1 (de) * 1966-12-10 1969-12-18 Montblanc Simplo Gmbh Fuellfederhalter
JPS5248536B2 (ko) * 1973-12-26 1977-12-10
US3951555A (en) * 1975-04-14 1976-04-20 The Parker Pen Company Modular writing pen
JPS5412410Y2 (ko) * 1975-12-10 1979-05-31
US4269529A (en) * 1978-11-13 1981-05-26 Mccollough John D Pen with articulate handle
JPS5650679U (ko) * 1979-09-28 1981-05-06
US4410290A (en) * 1981-01-27 1983-10-18 Pilot Ink Co., Ltd. Composite pen tip
CA1209093A (en) * 1982-03-16 1986-08-05 Thomas D. Hall Writing instruments and their manufacture
JPS5921985U (ja) * 1982-08-03 1984-02-10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JPS59190585U (ja) * 1983-06-03 1984-12-18 株式会社パイロット 筆記具用ペン芯
JPS60186U (ja) * 1983-06-16 1985-01-05 株式会社パイロット 水性インキボ−ルペン
JPS6062986U (ja) * 1983-10-07 1985-05-02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ヤ−プペンシルの口金
JPS60159691U (ja) * 1984-03-30 1985-10-23 三菱鉛筆株式会社 プリンタ−、タイプライタ−等のカラ−ペン
JPS6145191U (ja) * 1984-08-29 1986-03-25 パイロツ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
JPH0327819Y2 (ko) * 1984-12-12 1991-06-17
DE3527694A1 (de) * 1985-08-02 1987-02-12 Rotring Werke Riepe Kg Roehrchenschreiberspitze
US4823148A (en) * 1986-07-07 1989-04-18 Sieber Jonathan D Plotter pen with asymmetric point
DE3709918C1 (en) * 1987-03-26 1988-05-05 Rotring Werke Riepe Kg Writing instrument tip
DE3736954C1 (de) * 1987-10-31 1988-12-15 Montblanc Simplo Gmbh Tintenleiter fuer einen Fuellfederhalter
FR2625465A1 (fr) * 1988-01-06 1989-07-07 Graphoplex Sa Dispositif de tracage, notamment pour traceur automatique
US4881088A (en) * 1988-08-26 1989-11-14 Fisher Jr Paul C Plotter pen ink level detector
US4928121A (en) * 1988-11-16 1990-05-22 Summer & Taylor, Inc. Universal plotter pen having improved marking fluid flow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17313A (en) 1993-06-08
US5352051A (en) 1994-10-04
EP0446371A4 (en) 1993-02-10
KR920700934A (ko) 1992-08-10
EP0446371A1 (en) 1991-09-18
DE69027421T2 (de) 1997-01-09
DE69027421D1 (de) 1996-07-18
WO1991004873A1 (en) 1991-04-18
EP0446371B1 (en) 199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462B1 (ko) 필기구
US7575385B2 (en) Double-head writing instrument
US20060222437A1 (en) Multi-refill writing instrument
US5890830A (en) Universal marking instrument apparatus
WO2011158837A1 (ja) 筆記具
JPH05500932A (ja) 筆記具のキャップ
GB2148199A (en) Multi-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JP6850075B2 (ja) 筆記具
KR100763662B1 (ko) 필기구
JP2017119385A (ja) 筆記具
JP6464231B2 (ja) 筆記具
US6196745B1 (en) Adaptable refill, a collection of writing instruments capable of incorporating same as well as a method for refilling
JP2591066Y2 (ja) ボ−ルペンリフィル
JP4520026B2 (ja) ボールペン用リフィール
JPH0694237B2 (ja) 多角型ペン
JP2517490Y2 (ja) プロッタペン
JP4230015B2 (ja) 直液式筆記具
JP2520375Y2 (ja) 多色筆記具
CA1227769A (en) Multi-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JP2555470Y2 (ja) ボールペン
JPH0716474Y2 (ja) レッドホルダー用芯体
JPH077189Y2 (ja) 多角型ペン
JP2001130187A (ja) 透明ホルダーを有するボールペン
JP2005297450A (ja) マーキングペン
GB2247865A (en) Multiangular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