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486B1 - 전류 변환기 급속 교환장치 및 전동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전류 변환기 급속 교환장치 및 전동 스페이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486B1
KR0148486B1 KR1019900015996A KR900015996A KR0148486B1 KR 0148486 B1 KR0148486 B1 KR 0148486B1 KR 1019900015996 A KR1019900015996 A KR 1019900015996A KR 900015996 A KR900015996 A KR 900015996A KR 0148486 B1 KR0148486 B1 KR 014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contact
assembly
downward leg
sh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765A (ko
Inventor
리 맥키 지어
구라 랜스
로버트 토마스 글렌
엘스워스 비티 2세 월리암
Original Assignee
카스퍼 래슬리 제이
이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스퍼 래슬리 제이, 이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카스퍼 래슬리 제이
Publication of KR91000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01H71/125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characterised by sensing elements, e.g. 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7/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 H01H77/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 H01H77/1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7/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 H01H77/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 H01H77/1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 H01H77/107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the blow-off force generating means, e.g. current lo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22Flexible connections between movable contact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 H01H1/221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 H01H1/2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contact bars
    • H01H2001/228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contact bars with insulating spacers between the contact 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22Flexible connections between movable contact and terminal
    • H01H2001/5827Laminated connections, i.e. the flexible conducto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lexible condu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42Venting arrangements for arc chu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피봇운동가능한 접점아암(114)과 부하측 도체(46)사이에 연결된 분로기(118)의 절곡부(402)근방에는 전동스페이서(4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스페이서(400)는 부하측 도체(46)와 이 부하측 도체 근방의 분로기의 하향레그(170)사이에서 발생된 자기 반발력을 상기 분로기의 하향레그(158)로 전달한다. 이와같이 분로기(118)의 절곡부(402)내에 전동스페이서(400)를 배치하면, 분로기의 하향레그사이에서 압축작용을 유발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이 결과 접점의 개방시간이 상당히 단축된다.

Description

전류변환기 급속 교환장치 및 전동 스페이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울드 케이스 회로차단기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 단면도.
제3도는 외측 폴을 도시하는 제1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 단면도.
제5도는 외측폴에 사용되는 충격흡수기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의 6-6선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7-7선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선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9-9선 단면도.
제10도는 캡 로울러 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적층 구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크로스바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제2도의 13-13선을 따라 취한 저면도.
제14도는 제2도의 14-14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15-15선 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16-16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도의 17-17선 단면도.
제18도는 모듈형 옵션 데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19도는 제7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도 스페이서를 도시함.
제20도는 제19도의 20-20선 단면도.
제21도는 제19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개방위치에 있는 회로차단기를 도시함.
제22도는 제19도의 일부에 대한 부분단면도로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회로차단기 22 : 베이스
24 : 커버 28 : 프레임
30 : 주접점 32 : 고정 주접점
34 : 가동 주접점 36 : 라인측 도체
본 발명의 모울드 케이스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전류 변환기를 현장에서 신속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급속 교환장치와 소정레벨의 과전류하에서 주접점의 개방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모울드 케이스 회로차단기는 과거부터 사용되어온 것으로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회로차단기의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489,295 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은 회로차단기는 과부하 및 비교적 높은 레벨의 단락등과 같은 과전류 상태로 인해 전기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과부하 상태라 함은 회로차단기의 정격전류의 약 200~300% 에 상당하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말한다. 높은 레벨의 단락상태에서는 회로차단과 정격전류의 1,000% 이상에 상당하는 전류가 흐를 수도 있다.
모울드 케이스 회로차단기는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핸들을 이용해서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고 과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는 적어도 한쌍의 분리 가능한 접점을 구비하고 있다. 자동 작동 모우드에 있어서, 상기 접점은 작동기구 또는 자기 반발부재에 의해서 개방될 수 있다. 자기 반발부재는 비교적 높은 레벨의 단락상태하에서 접점을 분리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자기 반발부재는 피봇운동가능하게 장착된 접점아암과 고정상태의 도체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자기 반발부재는 하나의 굴곡부와 평행한 전류통로를 규장하는 2개의 하향 레그부를 포함하는 대략 V자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높은 레벨의 단락 상태가 발생하면, 평행한 전류통로에서 전류가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결과, 자기 반발부재의 하향 레그사이에서 자기 반발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 반발력은 피봇운동 가능한 접점아암을 개방위치로 선회시키게 된다.
3극 회로차단기등과 같은 다극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자기 반발부재를 갖는 3개의 개별적인 접점 조립체가 각 극에 대하여 하나씩 제공된다. 이러한 접점아암 조립체는 자기 반발부재에 의해서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예를들어, A상에 높은 레벨의 단락이 발생하면, 오로지 A상의 접점만이 그것의 자기 반발부재에 의해서 개방되는 것이다. B상 및 C상의 자기 반발부재는 A상 접점조립체의 작동에 따른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이와같은 상황하에서 나머지 2개의 전극을 트립시키는데에는 회로차단기 작동기구가 이용된다. 이러한 조작을 행하는 이유는 모터등과 같은 회전부하에 접속된 회로차단기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단상상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은 상황하에서 모든 상을 트립시키지 않으면, 모터가 발전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고장이 발생한다.
기타 자동 작동모우드에 있어서, 접점조립체는 3개의 전극 모두가 전류감지회로 및 기계적 작동기구에 의해서 동시에 트립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회로차단기의 하우징에는 전류변환기가 내장되어서 과전류 상태를 감지한다. 과전류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전류 변환기는 전자식 트립유닛 또는 전자-기계식 트립유닛에 신호를 전송하고, 당해 트립유닛을 작동기구를 동작시켜서 접점이 분리되도록 한다.
회로차단기의 조립후에 전류변환기를 분해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전류변환기를 교체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첫번째 이유로서는 최초에 설치된 전류변환기에 결함이 생긴 경우를 들 수 있다. 전류변환기를 교체하는 두번째 이유는 불량 전류변환기를 설치하였을 경우이다. 또한, 이중정격 회로차단기, 예를들면 1600/2000A 회로차단기의 정격치를 하나로부터 다른 것으로 변환하고자 할 때에는, 전류변환기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회로차단기중 어떤 것은 전류변환기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는 스위치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전류변환기를 현장에서 교체하는 작업은 매우 힘들고 많은 시간을 필요한다. 다시 말해서, 이와같은 교체작업을 하려면,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차단기를 대폭적으로 분해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인건비와 작업시간이 요구되는 것이다.
공지의 회로차단기가 안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분리가능한 접점을 개방시키는데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켜야 하는 점이다.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한쌍의 하향 레그부를 규정하는 대략 V자형 자기 반발부재 또는 분로기는 가동접점과 부하측 도제사이에 되어 있다. 이러한 V자형 분로기는 가요성을 갖는 것으로서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한다.
비교적 높은 레벨의 과전류 상태에서는 전류가 하향레그부를 반대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본로기의 하향 레그부사이에는 자기 반발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자기 반발력은 분로기의 하향레그부사이의 거리 및 이들 레그부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른 함수이다. 분로기를 구성하는 2개의 레그부사이에서 충분한 크기의 자기 반발력을 발생시키려면, 분로기를 압축하여, 예를들면 하향레그부사이의 거리를 감소시켜서 2개의 하향레그부사이에 접점을 개방시키기에 충분한 자기 반발력이 발생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분로기는 그것의 부하측 도체에 인접한 하향레그와 부하측 도체와의 사이에서 발생된 자기 반발력에 의해서 압축된다. 이러한 압축력은 하향레그를 서로 근접시켜서 2개의 하향레그사이에서 접점아암을 개방시키기에 충분한 자기 반발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피봇장착된 접점아암의 개방동작은 부하측 도체와 이 부하측 도체에 인접한 분로기의 하향레그사이에 충분한 압축력이 발생될 때까지 지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전류변환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로차단기의 조립후 신속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전류변환기를 갖춘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봇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접점아암을 개방시키는데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급속교환형 전류변환기 조립체를 갖는 모울드 케이스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류변환기는 과전류 상태를 검출하여 전자식 트립유닛에 신호를 공급하므로써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는데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급속 교환장치는 전류변환기가 내장된 하우징의 개방 공간부근에 설치된 착탈가능한 절연판을 포함한다. 전류변환기는 회로차단기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부착된 부하측 도체를 중심으로 도너츠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전류변환기와 바하측 도체는 일측이 개방된 회로차단기내의 일체형 캐비티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전류변환기를 교체하려면, 착탈판을 분리해야 한다. 이어서, 부하측 도체를 풀고, 회로차단기의 하우징으로부터 도체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부하측 도체를 분리한다. 그후, 회로차단기의 하우징으로부터 전류변환기를 분리해 낸다. 새로운 전류변환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상술한 단계를 역순으로 실행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봇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접점아암과 부하측 도체사이에 연결된 V자형 분로기의 절곡부에 인접배치된 전동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스페이서는 부하측 도체와 그것에 인접한 분로기의 하향레그사이에서 발생된 반발력을 분로기의 다른 레그로 전달한다. 분로기의 절곡부근방에 상기 전동스페이서를 배치하면, 분로기의 하향레그를 압축시킬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접점의 개방시간이 상당히 단축된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도면을 보면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20)으로 일괄해서 나타낸 모울드 케이스 회로차단기는 이형선(26)에서 조립된 모울드 베이스(22)와 이것과 나란히 연장된 모울드 커버(24)를 갖는 전기절연 하우징(21)을 포함한다. 베이스(22)의 내부 캐비터는 회로차단기의 각종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28)으로서 형성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웨스팅 하우스 시리이즈 C, R-프레임 모울드 케이스 회로차단기에 관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원리는 다른 형태의 각종 모울드 케이스 회로차단기에도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한쌍의 분리가능한 접점(30)이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주접점(32)과 가동 주접점(34)을 포함하는 한쌍의 주접점(30)이 제공되는 것이다. 고정 주접점(32)은 복수개의 고정구(38)에 의해서 프레임(28)에 부착된 라인측 도체(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라인측 도체(36)에는 T자형 스탭(40)이 복수개의 고정구(42)에 의해서 부착된다. 스탭(40)의 하향레그(44)는 회로차단기 하우징(21)의 후방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하향레그(44)는 판넬 보드(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된 라인측 도체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가동 주접점(34)은 복수개의 고정구(48)에 의해 프레임(28)에 고정된 부하측 도체(4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바하측 도체(46)에는 다른 하나의 T자형 스탭(50)이 복수개의 고정구(52)에 의해서 부착된다. 스탭(50)의 하향레그(53)는 회로차단기 하우징(21)의 후방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판넬보드의 부하측 도체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도너츠형 전류변환기(54)는 부하측 도체(46)의 둘레에 배치된다. 이러한 전류변환기(54)는 회로차단기(20)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자식 트립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특정상태, 예를들면 과부하 상태에서 회로차단기(20)를 트립시킨다. 상기 전자식 트립유닛은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다.
작동기구(58)는 주접점(30)을 개방 및 패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작동기구는 토글조립체(6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토글조립체는 한쌍의 상측 토글링크(62)와 한쌍의 하측토글링크(64)로 구성된다. 각각의 상측토글링크(62)는 그것의 일단부가 피봇핀(66)을 중심으로 하여 하측토글링크(64)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하측토글링크(64)는 피봇점(70)에서 접점아암 캐리어(68)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접점아암 캐리어(68)는 크로스바 조립체(72)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토글 링크(62)는 피봇점(76)에서 크레들(74)의 하향아암(73)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바이어스 스프링(78)은 피봇점(766)과 작동핸들(80)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78)은 토글조립체(60)를 가압하여, 크레둘(74)이 래치조립체(82)로부터 해제될 경우에는 언제든지 토글조립체를 절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자동 주접점(34)은 피봇점(8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주접점(30)을 분리시킨다.
래치조립체(82)는 크레들(74)과 토글조립체(60)를 개합시킨다. 이러한 래치조립체(82)는 피봇점(88)에서 끝을 맞대고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래치링크(84)(86)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래치링크(84)의 자유단부는 피봇점(90)에서 프레임(28)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래치링크(86)의 자유단부는 피봇점(94)에서 래치레버(92)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래치레버(92)의 타단부는 피봇점(96)을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28)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래치조립체(82)의 동작은 외측으로 연장된 하향레버(100)를 갖는 트립바(98)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 하향레버(100)는 래치조립체(82)가 래치위치에 있을 때 상측 래치링크(86)의 피봇연결단부에 된 캠면(102)과 접촉한다. 트립바(98)는 과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하향레버(100)를 래치면(102)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일단 래치레버(92)가 캠면(102)으로부터 이탈되면, 하측래치링크(84)와 프레임(28)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 스프링(104)은 하측래치링크(84)를 좌측으로 토글운동시켜서 래치레버(9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크레들(74)을 해방시킨다. 일단 크레들(74)은 바이어스 스프링(78)의 영향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토글조립체(60)는 절첩되고 주접점(30)은 분리된다. 핸들(80)을 폐쇄위치로 돌리면 회로는 리세트된다. 상기 핸들(80)은 피봇점(108)을 중심으로 피봇운동하는 역 U자형 작동레버(10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트립바(98)는 전자식 트립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트립유닛은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버(100)와 접촉하는 플런저를 갖춘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을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트립바(78)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조립체(82)를 해제한다. 전자식 트립유닛은 전류변환기(54)에 의해 검출되는 과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킨다.
복수개의 개별적인 가동 주접점 조립체(110)를 이용해서 적층 접점조립체(109)를 제조한다. 상기 각각의 주접점 조립체(110)는 상호 고정되어서 적층접점조립체(109)를 형성한다. 각각의 접점조립체(110)는 길다란 전기도체부(111)와 접점아암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점아암부(114)중 일부는 가동 주접점(34)을 장착하고 있으며, 다른 일부는 아아크 접점(116)을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접점아암부(114)는 반발부재 또는 가요성 분로기(118)에 의해서 고정도체부(111)에 접속된다.
접점조립체(109)를 형성시키는데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접점조립체(110)를 사용한다. 첫 번째 형태(119)에 있어서는, L자형 도체부(111)가 제공되는바, 이 도체부는 그것의 짧은 다리(124)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원호형 슬롯 또는 키홀(122)을 갖추고 있다. 키홀(122)은 자기 반발부재(118)의 단부를 수용하는데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접점조립체(110)는 일단부에는 가동 주접점(34)또는 아아크 접점(116)을 장착하는 불규칙한 형상의 접점아암(114)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주접점(34) 또는 아아크 접점(116)은 반대쪽에 배치된 접점아암부(114)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원호형 슬롯 또는 키홀(122)은 자기 반발부재(118)의 타단부를 수용하는데에 이용된다. 자기 반발부재(118)의 양단부는 키홀(122)에 삽입되기에 앞서서 절첩된다. 접점아암부(114)의 상측 연부(128)에는 바이어스 스프링(130)을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요입부(129)가 상측연부(128)에는 바이어스 스프링(130)을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요입부(129)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30)의 타단부는 피봇운동가능하게 설치된 브래킷(132)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접점아암부(114)의 상측연부(128)는 일체형 스톱퍼(13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톱퍼(134)는 피봇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브래킷(132)에 대하여 접점아암(114)이 상대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130)은 접점아암부(114)에 하향 압력 또는 힘을 가하여 그것을 고정 주접점(32)쪽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힘의 크기는 4 내지 5 파운드이다. 스프링(130)의 접촉압력은 자기 반발부재 또는 분로기(1189)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 반발력과 조화를 이루어서 회로차단기의 분리저항력을 제어한다. 회로차단기의 분리저항력이라 함은 주접점(30)이 분리되기 시작하는 전류값을 말한다. 자기 반발부재(118)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은 그것을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에 관한 함수이므로, 바이어스 스프링(130)은 상기 반발력에 대향하여 특정상황하에서 회로차단기의 분리저항력을 제어한다.
각각의 접점아암부(114)는 그것을 결합시키기 위한 핀(139)을 수용하는 통공(136)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핀은 접점조립체(109)에 대한 피봇점을 규정한다. 각 접점조립체(110)의 고정 도체부(111)는 그것을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리벳 또는 고정구(138)를 수용하는 3개의 이격 통공(137)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중 하나는 접점조립체(190)를 회로차단기 하우징(21)의 베이스(22)에 접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접점조립체(109)는 그것의 베이스부에 구멍을 형성시킨 다음 탭작업을 하여 회로차단기의 베이스에 부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탭구멍에 고정구를 나사결합하여 접점아암 조립체를 회로차단기의 베이스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탭구멍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회로차단기내의 동적인 힘으로 인하여 점차 헐겁게 된다. 본 발명은 접점아암 조립체(56)의 하부에 상기 조립체(109)내에 수납되는 사각헤드 보울트를 수용하기 위한 T자형슬롯을 형성시키므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따라서, 제2형식의 하나의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40)가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의 고정 도체부(111)의 바닥 모서리부(144)에는 T형 슬롯(142)이 형성되어 진다. 이 T형 슬롯(142)은 사각 볼트(147)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40)의 접촉 아암부(114)와 자기 반발부재(118)는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T형 슬롯이 되어 있는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40)들은 바닥 모서리부에 형성된 T형 슬롯(142)을 갖고 있지 않는 인접한 접촉 아암조립체들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사각 볼트(112)가 T형 슬롯(142)내에 끼워져 결합되어진다.
다른 형식의 하나의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46)에 있어서, 고정 도체부(111)는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19)에 제공된 것과 동일하다. 각각의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19)(146)사이의 주요한 차이는 조립체(146)의 접촉 아암부(114)가 호형 접촉아암(148)을 한정하는 주전기 접점부재(30)대신에 호형 전기 접점부재(116)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호형 전기 접점부재(116)는 주전기 접점부재(30)들이 분리되어지는 경우 발생하는 아아크를 소멸시킨다. 아아크 억제 슈트(152)가 회로 차단기 하우징(21)내에 제공되어 아아크의 소멸을 용이하게 해준다. 각각의 호형 접촉아암(148)에는 평행하게 매달린 종속아암(158)이 구비된 브래킷트(156)를 수용하기 위한 사각홈(129)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트(156)는 상기 사각홈(129)만으로 수용된다. 브래킷트(156)는 또한 수직하게 설치된 브래킷트(132)의 하부(163)와 브래킷트(160)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62)을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돌기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주접촉 아암부(114)와 유사한 호형 접촉아암(146)은 피봇지점(137)에 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형식의 각각의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19)(140)(146)는 L형 도체부(111)내의 구멍(137)이 정렬되도록 함께 겹쳐져 형성된다. 그 다음 리벳 또는 고정부재(138)가 상기 구멍(136)안으로 끼워져 L형 도체부(111)전체가 함께 고정된다. 피봇지점을 이루는 핀 또는 리벳(139)이 접촉 아암부(114)와 호형 접촉아암(148)내의 구멍(136)을 통하여 끼워져 모든 접촉 아암부(114)를 함께 연결시키고 피봇작용 가능한 브래킷트(132)와 결합된다. 격판(166)이 각각의 접촉아암 조립체의 고정도체부(111)와 슈트(118)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각각의 접촉 아암부(114)(148)사이에도 제공된다. 따라서 완전하게 결합된 조립체는 전기 접점부재 조립체(109)를 형성하게 된다.
분로 또는 자기 반발부재(118)는 구리와 같은 연이어진 얇은 적기 전도물질을 감아 적층자기 반발부재를 형성하는 적층부재이다. 자기 반발부재(118)는 한쌍의 래그(168)(170)를 한정하는 V형 부재로 형성된다. 래그(168)(170)를 통하여 전류가 흐름으로써 래그(168)(170)를 상호간에 밀쳐내어 이격시키는 자기력이 발생된다.
일정 레벨의 과전류(예를들어, 저항값)이상에서는 발생된 자기 반발력이 주전기 접점부재(30)를 보다 빠르게 개방시키기에 충분하게 될 것이다. 바이어스 스프링(130)이 자기 반발부재(118)에 의해 발생된 자기 반발력에 맞서 전류 변환기(54)와 전기 트립 유니트가 과정류 상태를 감지하고 회로차단기의 저항값 보다 낮은 과전류용의 작동 장치(58)를 통해 전기 접점부재들을 트립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도록 한다.
자기 반발부재의 유연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자기 반발부재(118)의 정점부(172)가 제7도에 잘 나타내진 벨브등과 같은 형상으로 새로 형성되거나 변형된다.
자기 반발부재(118)의 래그(168)(170)는 고정 도체부(111)와 각각의 주접촉 아암 조립체와 호형 접촉 아암조립체의 접촉 아암부(114)의 키이호올(122)안으로 끼워지고 오그라 뜨려진다. 일단 분로 래그의 끝이 키이호올(122)안으로 끼워지면, 조립체는 양쪽에서 받쳐지게 된다. 받침 공정은 키이호올(122)에 인접한 조립체내에 홈(174)을 제공하여 분로 래그(168)(170)를 고정 도체부(110)와 접촉 아암부(114)또는 (148)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결합 땜납부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 해준다.
캠 롤러 핀 조립체(176)는 일정 조건하에서 가동 전기 접점부재(34)와 고정 전기 접점부재(32)사이의 힘을 유지하여 지속시키고 기계적 작동 장치(58)에 의해 회로차단기가 트립될 때 까지 블로우 오픈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전기 접점부재 사이의 접촉분리를 지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중 목적의 조립체이다. 정상 작동상태에서는, 과전류가 회로차단기(20)의 저항 값보다 적은 경우 캠롤러 핀(178)이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브래킷트(132)내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아암조립체(109)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캠표면(180)에 대해 지지된다. 이로서, 크로스바와 조립체(72)를 접촉아암 조립체(109)와 결합시키게 된다. 토글조립체(60)가 크로스 바아조립체(72)와 결합되기 때문에 주전기 접점부재(30)의 작용이 기계적 작동 장치(58)에 의해 제어 되어지도록 해준다. 전술한 바와같이, 접촉 조립체(109)내의 바이어스 스프링(130)이 고정된 주전기 접점부재(32)에 대하여 가동 전기 접점부재(34)상에 아랫방향으로의 압력 또는 힘을 발생시킨다. 회로차단기(20)의 저항 값보다 작은 과전류 상태를 위해 접촉아암(114)(148)이 축(137)에 관해 피봇운동한다. 이와 같이 과전류 상태에서, 자기 반발부재(118)의 연장된 래그(168)(17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 반발력이 접촉아암(114)(118)을 축(139)에 관해 주전기 접점부재(30)에 힘을 가하게 되는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전시키게 되어 작동장치(58)가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도록 한다.
이 상황에서, 축(137)에 관한 접촉아암(114)(118)의 피봇 운동으로 인하여 자기 반발부재(118)는 주전기 접점부재(30)를 폐쇄 또는 블로우 온상태가 되도록 작용한다.
회로차단기의 저항 값이하의 과전류 상태에서는, 캠 롤러 핀(178)은 캠 표면(180)에 안착하여 접촉 조립체(109)가 크로스 바아 조립체(72)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변환기(54)는 과전류 상태를 감지하여 차례로 작동 장치(58)가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고 주전기 접점부재(30)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전기 트립유니트로 신호를 만들어 보내게 된다. 그러나, 저항 값보다 높은 비교적 높은 과전류 상태에서는, 접촉 아암 조립체(109)용의 피봇지점이 변화하여 접촉 조립체(109)가 블로우 오픈 상태가 되도록 해준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기 반발 부재(118)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 반발력이 캠 롤러 핀(178)을 캠 표면(180)으로부터 떨어져 제2캠 표면(182)으로 이동시켜 가동 접촉 조립체(109)가 다른 축(183)에 관해 피봇 운동하도록 해준다. 이 상태에서, 자기 반발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 반발력이 주전기 접점부재(30)을 블로우 오픈시킨다. 블로우 오픈된 후, 일단 캠 롤러 핀(178)이 캠 표면(182)에 도달하면, 주전기 접점부재(30)가 분리되어 유지된다. 한편, 과전류 상태가 중단된 후에는 주전기 접점부재(30)를 분리시켜 유지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자기 반발력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바깥쪽 극상의 캠 롤러 핀(178)의 각 단부에는 두개의 접촉점이 있다. 하나의 접촉점(184)은 단부중간지점에 배치되고, 이 접촉점은 캠 롤러 핀(178)이 피봇운동 혼합물하게 설치된 브래킷트(132)의 캠 표면(180)(182)을 따라 얹혀지게 되는 점이다. 다른 하나의 접촉점(186)은 캠 롤러 핀(178)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캠 롤러 핀은 크로스 바아 조립체(72)부분을 형성하는 전기 절연 슬리브내의 한쌍의 슬로트(188)내에 수용된다. 블로우 오픈 상태가 발생하게 되면, 접촉점(184)(186)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같은 상황에서, 비교적 큰 회전력 및 마찰력이 캠 롤러 핀(178)상에서 발생하여 블로우 오픈 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되거나 또는 회로차단기가 블로우 오픈 상태가 발생한 후에도 트립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따라서, 캠 롤러 핀(178)에는 로우 오픈 상태중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력 및 회전력을 감소시키도록 각 단부에서 각 접촉점(184)(186)을 위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캠 롤러 핀 조립체(176)는 각 단부에 배치된 연장축(194)을 갖는 원통부(192)를 포함하고 있다. 작은 롤러(196)와 큰 롤러(198)가 각 축(194)상에 배치된다. 롤러(196)(198)가 각 축(194)에 위치된 후, 지지링(197)이 롤러(196)(198)를 축(194)에 지지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작은 롤러(196)는 캠 표면(180)(182)을 피봇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래킷트(132)상에 접촉 결합되는데 사용되고, 이 때 큰 롤러(198)는 전기 절연 슬리브(190)의 슬로트(188)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롤러가 공통축에 지지되어 각 접촉점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양 롤러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접촉점이 힘을 받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황, 즉, 블로우 오픈 상태와 같은 경우에 마찰력이 상당히 크게 감소되며, 따라서, 회로차단기(20)의 보다 부드러운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캠 롤러 핀 조립체(176)는 다수개의 스프링(200)을 통하여 피봇작동 가능하게 브래킷트(132)가 회전되도록 하는 축을 형성하는 핀(139)과 결합되어 있다. 캠 롤러 핀 조립체(176)의 원통형부(192)내에 형성된 반경 방향 홈(204)들이 후크 형상의 스프링(200)단부들을 수용한다. 유사한 형식의 홈들이 핀(139)상에 형성되어져(도시되지 않음) 스프링(200)의 타단부를 수용함으로써 핀(139)에 캠 롤러 핀 조립체(176)를 결합시키기 위한 스프링(200)의 축 방향운동을 방지해 주게 된다.
크로스 바아 조립체(72)는 캠 롤러 핀 조립체(176)를 통해 각 극마다 접촉 조립체(109)와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크로스 바아 조립체(72)는 사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긴 축(206)을 포함하고 있다. 긴 축(206)은 토글 조립체(60)의 하부 토글 링크(64)에 결합된 접촉아암 캐리어(68)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두개의 접촉아암 캐리어(68)는 다중극을 갖는 회로차단기의 중심극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각 접촉아암 캐리어(68)는 짧은 래그(212)내에 구멍(210)을 갖고 있는 대체로 L자 형상을 이룬다. 구멍(210)은 사각형상이고, 축(206)의 횡단면적보다 다소 큰 형태로서 접촉아암 캐리어(68)가 축(206)에 미끄럼 작용으로 수용되어 함께 회전 될 수 있도록 된다. 접촉아암 캐리어(68)는 토글 조립체(60)로부터 하부 토글링크(64)를 수용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한쌍의 L자형 브래킷트(214)로 형성된 적층 조립체이다. 피봇점(70)을 형성하는 하부 토글링크(64)내의 구멍들은 L자형상 부재(214)내의 구멍(215)들과 정렬 배치된다. 금속핀(216)이 구멍들을 통해 끼워져 접촉아암 캐리어(68)와 하부 토글 링크(64)사이의 피봇 이음을 형성하게 된다. 대체로 사각 단면형상의 구멍을 구비한 절연 슬리브(218)들이 크로스 바아측(206)의 단부에 미끄럼 작용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절연 슬리브(218)들은 외측극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마주보며 상반되어 배치된 플레이트부(200)(222)가 전기 절연재료로써 절연 슬리브(218)와 일체로 형성된다. 플레이트부(220)(222)는 절연슬리브(218)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한쌍의 내측으로 면접한 사각형상 슬로트(188)를 포함하고 있다. 한쌍의 슬로트(188)는 캠 롤러 핀(176)의 롤러(198)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마주보며 상반되어 배치된 플레이트부(220)(222)에는 또한 한쌍의 정렬된 구멍(226)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멍(226)은 피봇작동 브래킷트(132)내의 구멍(228)들과 정렬된다. 핀(230)이 구멍안으로 수용되어져 회전 가능한 브래킷트(132)와 일체로 형성된 절연 슬리브 조립체(218)사이에서 피봇 결합을 제공한다.
절연 슬리브(218)의 플레이트부(220)들 사이의 간격은 피봇 작용 가능하도록 설치된 브래킷트(132)를 잡아줄 수 있는 만큼의 크기이다. 따라서, 과전류 상태로 인해 접촉아암 조립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어떠한 자기 반발력이 접촉아암 조립체(109)를 반발시키고, 이어서 절연 슬리브부(218)가 축(206)에 힘을 제거하도록 해준다. 자기 반발력이 축(206)을 따라 접촉아암 캐리어(68)의 운동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이 접촉아암 캐리어(68)는 축(206)에 용접되어진다. 절연슬리브 조립체(281)는 축(206)에 성형되거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로써 축(20)에 분리 및 결합 성형되고 축(206)에 관해 슬리브(218)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슬리브(218)와 축(206)내의 구멍안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 핀(232)을 횡단하여 끼움으로써 축(206)에 편결합 될 수 있다. 금속핀(232)은 절연 슬리브(218)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안으로 정확히 끼워 맞추어지고 전기 절연물질로 덮혀 진다.
고무 정지 부재 조립체(234)가 각각의 외측 극상에 제공되어져 접촉 조립체(109)가 고정 주전기 접점부재(32)로부터 분리되어지는 경우 회로차단기의 덮개(24)에 손상이 없도록 해준다. 비교적 높은 과전류 상태에서는, 특히 접촉아암 조립체(109)가 자기 반발부재(118)에 의해 블로우 오픈되는 경우 상당한 힘이 발생된다.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충격 흡수물질이 덮개의 내측에 아교 접착되어서 접촉 조립체(109) 가 커버(24)를 때리게 되는 것을 정지 또는 방지해 주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덮개(24)에 손상을 입히게 될 가능성이 계속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중용한 특징으로서 접촉 조립체(109)가 덮개(24)를 때리게 되는 경우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외측 극용의 고무 정지부재 조립체(234)가 제공된다. 고무 정지부재 조립체(234)는 회로차단기 하우징(21)의 덮개(24)로부터 이격배치된 충격 흡수부재(236)를 구비하고 있다. 충격 흡수부재(236)를 덮개(24)로부터 이격 배치시킴으로서, 덮개(24)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무 정지부재 조립체(234)의 중요한 하나의 특징은 두개의 평행하게 이격된 종속아암(240)(242)이 구비된 이중 목적 브래킷트(23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비교적 긴 세트의 종속아암(240)의 자유단부(244)에는 핀(246)을 수용하기 위한 정렬 배치된 구멍(243)들이 형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부재(236)는 중심구멍을 갖고 있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그의 중심구멍의 크기는 핀(246)에 미끄러져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핀(246)은 핀의 단부들이 아암(240)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연통형 충격 흡수부재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이와같은 편의 연장부분은 프레임(28)내에 형성된 일체로 성형된 구멍(248)안으로 끼워져 고무 정지부재 조립체(234)의 보조지지부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비교적 짧은 세트의 연장된 종속아암(242)들은 크로스바아 조립체(42)의 피봇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브래킷트(238)의 만곡부(219)에는 구멍(250)이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연장된 손잡이(254)에도 브래킷트(238)의 구멍(250)들과 정렬되어 배치된 한쌍의 구멍(256)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멍(250)(256)들에는 고무 정지 부재 조립체(234)를 회로차단기의 프레임에 설치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끼워지게 된다.
토글 조립체(60)를 포함하고 있는 작동장치(58)가 중심극에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별개의 고무 정지부재 조립체(257)가 중심극 용으로 사용된다. 보다 상세히는, 충격 흡수부재(260)지지용의 긴 금속 바아(258)가 제공된다. 충격 흡수부재(260)는 대체로 긴 L자형상 부재로서 긴 금속 바아(258)에 고정 설치된다. 긴 금속바아의 길이는 이 금속바아가 충격 흡수부재(260)이상으로 연장되고, 중심극에 인접배치되고 프레임(28)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며 양쪽으로 상반되게 배치된 측면플레이트(262)내의 슬로트(도시되지 않음)안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만큼의 길이가 된다. 중심극 조립체(257)의 마운팅은 이 마운팅이 중심극 접촉 조립체(109)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장치(58)로부터 이격 설치된다.
전류변환기(CT)신속 교체 조립체(264)는 주전류변환기(54)가 보다 신속하고 보다 용이하게 공장 또는 현장으로 교체되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CT급속 교체 조립체(264)는 회로차단기의 값비싼 해제 작업없이 전류변환기(54)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전류변환기(54)를 교체하는 하나의 이유는 전류변환기(54)의 고장의 경우이다. 전류변환기(54)교체의 다른 이유는 1600/2000 암페어의 전류값을 갖는 회로차단기에서와 같이 이중값을 갖는 회로차단기의 전류값을 변환시키고자 하는 경우이다. 보다 상세히는, 1600 암페어값에서 회로차단기에 사용되는 전류변환기(54)는 2000 암페어값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한 것이다.
CT급속 교체 조립체(264)는 부하측 도체(46)와 가동 플레이트(266)에 대해 배치된 주전류 변환기(54)를 포함하고 있다. 주전류 변환기(54)는 최초 와인딩으로서 부하측 도체(46)를 이용하는 도우넛 형식의 전류변환기이다.
주전류 변환기(54)는 하우징(21)으로부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쪽 측면에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28)내의 일체로 형성된 공동부(267)내에 배치된다. 부하측도체는 프레임(28)내의 일체로 형성된 공동부(269)내에 배치되어 부하측 도체(46)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우징(21)으로부터 제거되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하우징(21)으로부터 전류변환기(54)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가동 플레이트(266)가 제거되고, 그 다음 여섯개의 고정부재(48)를 풀어 부하측 도체(46)를 해제시켜야 하며, 상기 고정부재들을 제거한 다음에는 4개이상의 고정부재(49)를 풀어 부하측 도체(46)로부터 스탭(50)을 풀어 해제시켜야 한다. 일단 스탭(50)이 부하측 도체(46)로부터 해제되면, 도체(46)는 도체의 길이 방향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밖으로 미끄러져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도체(46)가 제거된 후에는, 전류변환기(54)가 회로차단기 하우징(2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다른 전류변환기와 교체된다. 전류변환기(54)를 교체하여 설치하기 위하여는 상기 단계들이 간단하게 역순으로 반복된다. 따라서, CT급속 교체 조립체가 현장에서 전류변환기의 신속하고 용이한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복합 베리어(combination barrier)와 보조 전류변환기 판(268)이 제공된다. 보조전류 변환기 판(268)은 몇가지의 사용 목적을 갖고 있다. 그 하나의 목적은 회로차단기 내측 구성요소들과의 접촉을 방지해주기 위한 베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보조전류 변환기 판(268)은 하우징(21)의 개방부(271)를 패쇄시키게 된다. 다른 사용 목적은 보조 변환기(270)의 설치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 번째 사용 목적은 보조 변환기(270)를 주전류 변환기(54)와 전자 트립유니트와 연결접속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복합 베리어와 보조 CT판(268)은 회로차단기(20)내에 발생되는 열을 대기중으로 발산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복합베리어와 보조 CT판(268)은 E형상으로 프린트된 회로 판(27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린트된 회로판(272)은 베이스(22)의 측벽(276)에 형성된 상반되게 배치된 슬로트(274)안으로 끼워진다. 프린트된 회로판(272)의 바닥부는 프레임(28)의 직립 래그부(278)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E형상의 프린트된 회로판(272)은 래치 조립체(82)와 하우징의 개방부(271)사이에 배치된다. 프린트된 회로판(272)에는 E형상에 구획되는 한쌍의 이격된 슬로트(2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로트(282)는 프레임(28)내에 형성된 직립 측벽(284)이 수용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세개의 보조 변환기(270)는 완전한 제1와인딩 및 완전한 제2와인딩을 갖고 있고 전자 트립 유니트에 가해지는 전류를 강하(스텝다운)시키는데 사용된다. 보다 상세히는 각 주전류 변환기(54)의 제2와인딩이 해당 보조 전류변환기(270)의 제1와인딩에 가해진다. 보조 변환기(270)의 제2와인딩은 그 다음 트립 유니트에 가해진다.
프린트된 회로판(272)은 보조 변환기(272)와 전자 트립 유니트 사이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교체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상세히는, 전기회로가 프린트된 회로판(270)상에 제공되어 보조 변환기(272)의 제1와인딩과 주전류 변환기(45)의 제2와인딩사이에 필요로 하는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전기회로가 종래의 방식으로 프린트된 회로판(272)에 형성되고, 주컨넥터(286)가 프린트된 회로판(272)의 상부 우측 코너부분에 제공된다. 이 컨넥터(286)는 프린트된 회로판(272)상에 형성된 전기 회로망에 의해 보조 전류 변환기(272)의 제2와인딩에 전기접속된다. 양단부(도시되지 않음)에 컨넥터를 구비한 와이어링 하네스가 그 다음 프린트된 회로판(272)을 전자트립유니트와 연결접속시키고자 사용된다. 보조 변환기(270)는 프린트된 회로판(272)에 바로 설치된다. 제2컨넥터(288)는 프린트된 회로판(272)상의 각 보조 변환기(27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 제2컨넥터(288)는 보조 변환기(270)의 제1와인딩에 접속된다. 보조 변환기(270)의 제1와인딩의 각각을 주보조 변환기(54)에 제2와인딩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다른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한쪽 단부에 컨넥터를 구비하여 제공되어, 주전류 변환기(54)를 보조변환기(270)에 접속시키게 되어 있다. 방출구멍(290)이 프린트된 회로판(270)의 연장된 래그부(292)에 제공되어 있어, 하우징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대기중으로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복합 베리어와 보조 CT판(268)은 따라서 회로차단기의 조립을 단순화하고, 따라서 제조경비를 경감시키고 회로차단기(20)의 내측 배선을 단순화 시킨다.
모듈형 선택 덱크 조립체가 회로차단기에 적용되는 과소전압 해제장치, 분로트립기구와 기타 다양한 선택사양들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과소전압 해제장치는 라인 전압이 소정값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적으로 주전기 접점부재(30)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것은 모터와 같은 소정부하가 감소된 전압하에서 작용하여 모터가 과열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사용한다. 과소전압 해제장치의 예가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되어진 미합중국 특허 제4,489,295호에 개시되어 있다. 분로 트립 기구(도시되지 않음)는 필수적으로 트립바아(98)에 인접하여 배치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를 구비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분로 트립 기구는 회로차단기(20)가 원격 위치로부터 트립되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과소전압 해제 장치 또는 분로 트립기구의 어느 것도 모든 회로차단기(20)에는 필요치 않다. 이 품목들은 소비 품목이고 대체로 공장설치품이다. 제조 공정중에 회로차단기(20)에 상기 소비품목들의 부가설치에 따른 제조시간과 경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택 덱크 조립체(294)가 제공된다. 선택 덱크 조립체(294)는 트립 바아(98)와의 연락이 가능하도록 구멍(296)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28)에 의해 지지된 회로차단기 덮개(24)아래에 배치된 사각판을 포함하고 있다. 이 사각판(294)은 또한 브래킷트(302)와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아랫쪽으로 길게 연장된 L자형 아암(300)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세트의 슬롯을 포함하고 있다. 아암(300)을 수용하기 위한 브래킷트(302)내의 다수개의 세트의 슬롯(298)은 L자형상 아암(300)과 결합되도록 하여 사각판(294)에 고정 설치되어질 여러가지 선택사양들이 사각판(294)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트립 바아(98)와 정렬되는 것을 방지한다. L자형상 아암(300)에는 브래킷트(302)의 정반대의 상반된 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다수개의 세트의 슬롯(298)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브래킷트(302)는 어떠한 한 세트의 정반대로 상반된 슬롯(304)(306)또는 슬롯(308)안으로 수용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예를들어 세가지의 선택사양까지 주어진 회로차단기(20)에 제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해준다.
브래킷트(302)에는 다수개의 구멍(310)이 제공되어 있어 선택사양들이 다수개의 고정설치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브래킷트(302)에 부착되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홈(312)들이 사각판(294)내에 브래킷트(302)내의 구멍(310)들과 정렬되어 배치 제공된다. 이 홈(312)은 선택사양들이 브래킷트(302)에 부착 설치되는데 사용되어지는 고정 설치부재용의 공간을 제공하여 브래킷트(302)가 사각판(294)상에 미끄럼작용으로 수용되어 질 수 있도록 해준다.
여러가지의 선택사양들은 각각 회로차단기(20)가 트립되도록 하는 트립바아(98)와 접촉 결합하도록 된 아랫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선택사양이 브래킷트(302)에 조립된 후, 아랫방향으로 늘리어진 레버들이 브래킷트(302)의 후면에지부로부터 구멍(296)을 통하여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트립바아(95)와 연결된다. 브래킷트(302)는 그 다음 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선택 덱크 조립체는 회로차단기의 주문생산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해준다. 피봇작용 가능하게 설치된 접촉아암 조립체(109)가 비교적 놓은 과전류 상태하에서 블로우 오픈시키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힘 전달 스페이서(400)가 분로(118)의 만곡부(40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하나의 힘 전달 스페이서(400)가 하나의 극마다 사용된다. 따라서, 각각의 힘 전달 스페이서(400)가 접촉아암 조립체(109)마다 사용되는 개개의 분로 전체와 결합 작용하는데, 접촉아암 조립체(109)내의 개개의 분로(118)의 전체가 힘 전달 스페이서(400)로부터 비교적 동일한 크기의 힘을 받게 된다.
비교적 높은 과전류 상태에서 접촉아암 조립체(109)가 블로우 오픈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행한 전류 흐름 경로를 한정하는 회로차단기 부재들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 반발력의 기능이다. V자형상의 유연성있는 분로(118)들이 가동 전기 접점부재(34)와 고정 도체부(111)사이에서 사용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회로차단기와 같은 회로차단기에서, 블로우 오프 시간은 분로(118)의 압착에 소요되는 시간에 의해 증가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발생되는 자기 반발력이 분로(118)의 종속래그(168)(170)사이와 접촉 조립체(110)의 고정도체부(111)와 종속 래그(170)사이에서 한정되는 평행한 회로경로사이의 거리에 관련된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적 높은 레벨의 과전류 상태에서는, 전류가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반대방향으로 흐른다. 결과적으로, 자기 반발력은 분로(118)의 압착을 일으키게 되는 분로(118)의 종속래그(170)와 고정 도체부(111)사이에서 나타내게 된다. 분로(118)의 종속래그(168)(170)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분로(118)의 압착은 블로우 오픈 상태를 일으키기 위하여 종속래그(168)(170)사이에서 충분한 자기 반발력이 발생되기 전에 이루어지도록 요구된다. 일단, 분로(118)의 종속래그(168)(170)가 소정의 양만큼 압착되면, 두 종속래그(168)(170)사이의 거리는 접촉아암 조립체(119)가 블로우 오픈되어지게 되도록 분로(118)의 두 종속래그(168)(170)사이에서 자기 반발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압착시간을 없애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힘 전달 스페이서(400)가 분로(118)의 만곡부(40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힘 전달 스페이서(400)는 비교적 강직한 유전물체로써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분로(118)의 스프링 작용을 제거하여 따라서 압착시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힘 전달 스페이서(400)는 정상작동상태(예를들어, 블로우 오픈 상태를 야기하는 정상적인 레벨 보다 낮은 전류 레벨)중에는 분로(118)의 양 종속래그(168)(170)와 결합된다. 이와같은 형태에서, 접촉 조립체(110)의 고정 도체부(111)와 종속래그(170)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 반발력은 종속래그(168)로 전달될 것이다. 이와같은 작용은 분로(118)를 압착하기 위하여 기다리게 되는 지연상태가 실질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접촉아암 조립체(110)가 블로우 오픈 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준다. 그 결과로서, 비교적 높은 과전류 상태하에서 흐르는 전류는 상당히 감소되며, 이로써 하부 설비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황에 따라서는, 분로(118)의 스프링 작용을 전부 제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도 하다. 이때에는, 힘 전달 스페이서(400)가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종속래그(168)(170)와 접촉하거나 또는 정상 상태하에서 어떠한 종속래그와도 접속하지 않거나 하여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힘 전달 스페이서는 약간 탄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분로(118)의 압착이 힘 전달 스페이서(400)없이 필요한 양만큼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분로(118)의 부분적인 압착이 이루어진 후, 분로(118)의 종속래그(168)(170)는 힘 전달 스페이서(400)에 의해 접촉 결합되어 자기 반발력이 종속래그(168)로 전달되어지도록 해준다.
다양한 힘 전달 스페이서(400)의 변형 실시예가 본 발명의 원리내에서 예상될 수 있지만, 힘 전달 스페이서(400)는 만곡부(402)에 인접한 소정의 지점에서 분로(118)의 종속래그(168)(170)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설명되고 도시된다.
본 기술분야에 있어 숙련된 자에 의해 분명해질 것으로서, 힘 전달 스페이서(400)를 분로(118)의 만곡부에 관하여 고정시키는데 있어 다양한 수단과 방법이 있다. 예를들어, 제19도와 제20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스트랩(404)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스트랩(404)이 하나의 극마다 사용된다. 이러한 스트랩은 일반적으로 분로(118)의 종속래그(170)와 수직으로 배치되고 힘 전달 스페이서(400)의 축과는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분로(118)의 종속래그(170)에 관한 종속래그(168)의 상대 운동 때문에, 힘 전달 스페이서(400)는 종속래그(168)(170)의 어느 한 곳에만 고정되어지게 된다. 또한, 전달 스페이서(400)는 축방향과 횡단방향의 양쪽으로 분로(118)에 관한 이동이 방지되도록 충분하게 고정설치되어야 한다.
분명한 것은, 본 발명에 관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전술한 기술원리내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된 것에 의해서 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1)

  1. 폴을 형성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규정하게 되는 한쌍 또는 2쌍이상의 분리가능한 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나 또는 그이상의 라인측 도체와; 하나 또는 그 이상외 부하측 도체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 상기 각각의 가동접점과 상기 부하측 도체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요성 분로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분로기는 절곡부와, 상기 가동접점에 연결된 제1의 하향레그와, 상기 바하측 도체에 연결된 제2의 하향레그를 규정하는 V자형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의 하향레그와 제2의 하향레그와 상기 바하측 도체사이에서 제2의 평행 전류통로를 규정하고, 상기 제2의 평행전류통로는 소정의 전류값에서 상기 제1의 하향레그가 상기 제2의 하향레그쪽으로 압축되도록 하고, 상기 하향레그들과 협동하여 과전류 상태하에서 상기 분로기의 압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소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장치가, 상기 제2의 평행전류 통로로부터 상기 제1의 하향레그로 힘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회로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가 강성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회로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가 상기 제1의 하향레그와 상기 제2의 하향레그 근방에 배치된 회로차단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가 상기 절곡부의 근방에 하나만 배지된 회로차단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가 폴 하나당 1개씩 사용되는 회로차단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가 원형의 부재로 구성된 회로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부재의 직경이,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제1의 하향레그와 상기 제2의 하향레그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회로차단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가 평상시에 상기 제1의 하향레그 및 상기 제2의 하향레그와 접촉하는 회로차단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가 평상시에 상기 제1의 하향레그와 접촉하는 회로차단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재가 평상시에 상기 제1의 하향레그와 접촉하는 회로차단기.
KR1019900015996A 1989-10-11 1990-10-10 전류 변환기 급속 교환장치 및 전동 스페이서 KR0148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20,088 US4996507A (en) 1988-08-01 1989-10-11 CT quick change assembly and force transmitting spacer
US420,088 1989-10-11
US420088 1989-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765A KR910008765A (ko) 1991-05-31
KR0148486B1 true KR0148486B1 (ko) 1998-11-16

Family

ID=2366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996A KR0148486B1 (ko) 1989-10-11 1990-10-10 전류 변환기 급속 교환장치 및 전동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996507A (ko)
EP (1) EP0422868B1 (ko)
JP (1) JPH03208223A (ko)
KR (1) KR0148486B1 (ko)
CN (1) CN1026372C (ko)
AU (1) AU639262B2 (ko)
BR (1) BR9005070A (ko)
CA (1) CA2027009C (ko)
DE (1) DE69021485T2 (ko)
IE (1) IE903409A1 (ko)
MX (1) MX166971B (ko)
NZ (1) NZ235609A (ko)
PH (1) PH27423A (ko)
ZA (1) ZA9079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77B1 (ko) * 2005-04-20 2008-07-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0434B1 (fr) * 1989-07-26 1995-11-24 Merlin Gerin Disjoncteur basse tension a contacts multiples et a fortes intensites
US5160817A (en) * 1990-11-21 1992-11-03 Automatic Switch Company Electrical switch contact arrangement having quick break arcing contacts
US5430420A (en) * 1994-01-24 1995-07-04 Eaton Corporation Contact arrangement for a circuit breaker using magnetic attraction for high current trip
DE19522603A1 (de) * 1995-06-19 1997-01-09 Siemens Ag Schutzeinrichtung gegen Überlastung der Schaltkontakte eines Schaltgerätes
US6225884B1 (en) 1999-12-21 2001-05-01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with mechanical trip load terminal/magnet barrier
US7016171B2 (en) * 2001-02-01 2006-03-21 Hydro-Aire, Inc. Current fault detector and circuit interrupter and packaging thereof
JP4224301B2 (ja) * 2001-04-04 2009-02-1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電力遮断器用開閉接触子装置
US7211750B2 (en) * 2004-12-22 2007-05-01 Square D Company Switching mechanism with shock absorber
JP2008041252A (ja) * 2005-12-13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US7351927B1 (en) * 2006-10-13 2008-04-01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 conductor assembly, and independent flexible conductive elements therefor
US7646269B2 (en) * 2007-03-07 2010-01-12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onductor assembly and shunt assembly therefor
GB201200331D0 (en) * 2012-01-09 2012-02-22 Dialight Europ Ltd Improvements in switching contactors (II)
JP6244269B2 (ja) * 2014-06-27 2017-1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遮断器
DE102018113534B4 (de) * 2018-06-06 2021-10-07 Song Chuan Precision Co., Ltd. Hochspannungs- und Hochstromrelais
CN117242655A (zh) * 2021-04-12 2023-12-15 康达科提斯公司 内部弹簧分流器
CN113903633B (zh) * 2021-09-24 2023-10-20 江苏佰瑞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错误接线断电保护的接地故障断路保护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3936A (ko) * 1964-08-01
US4489295A (en) * 1982-12-17 1984-12-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electro-mechanical undervoltage release mechanism
JPH0658785B2 (ja) * 1985-06-12 1994-08-03 株式会社東芝 回路しや断器
US4656444A (en) * 1985-08-16 1987-04-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force generating shunt
US4638277A (en) * 1985-10-01 1987-01-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blow open latch
DE3536112A1 (de) * 1985-10-07 1987-04-09 Siemens Ag Kontaktanordnung fuer niederspannungs-leistungsschalter mit einem biegsamen stromband
US4679018A (en) * 1986-01-15 1987-07-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shock resistant latch trip mechanism
DE3708807A1 (de) * 1987-03-18 1988-10-06 Licentia Gmbh Elektrischer leistungsschalter mit einem elektro-dynamisch oeffnenden kontakt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77B1 (ko) * 2005-04-20 2008-07-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08223A (ja) 1991-09-11
EP0422868A3 (en) 1992-03-04
EP0422868B1 (en) 1995-08-09
MX166971B (es) 1993-02-16
CN1026372C (zh) 1994-10-26
KR910008765A (ko) 1991-05-31
BR9005070A (pt) 1991-09-17
AU639262B2 (en) 1993-07-22
DE69021485D1 (de) 1995-09-14
NZ235609A (en) 1994-01-26
CA2027009C (en) 2000-08-22
DE69021485T2 (de) 1996-03-21
ZA907940B (en) 1992-06-24
IE903409A1 (en) 1991-04-24
CN1050945A (zh) 1991-04-24
CA2027009A1 (en) 1991-04-12
PH27423A (en) 1993-06-21
EP0422868A2 (en) 1991-04-17
AU6370590A (en) 1991-04-18
US4996507A (en)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486B1 (ko) 전류 변환기 급속 교환장치 및 전동 스페이서
KR0132776B1 (ko) 고무 스톱 조립체를 갖는 다극 회로차단기
KR0147295B1 (ko) 적층형 구리조립체를 갖는 회로차단기
EP0353940B1 (en) Crossbar assembly
KR0137872B1 (ko) 전류변성기의 급변경 어셈블리를 갖는 회로차단기
KR0162076B1 (ko) 복합 배리어/보조전류 변성기 기판을 갖는 회로 차단기
EP0353949B1 (en) Modular option deck assembly
KR0134633B1 (ko) 조립식 선택장치 덱 조립체를 갖는 회로 차단기
NZ229872A (en) Circuit breaker cross ba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