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950B1 -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950B1
KR0142950B1 KR1019950017846A KR19950017846A KR0142950B1 KR 0142950 B1 KR0142950 B1 KR 0142950B1 KR 1019950017846 A KR1019950017846 A KR 1019950017846A KR 19950017846 A KR19950017846 A KR 19950017846A KR 0142950 B1 KR0142950 B1 KR 014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battery
vehicle
pow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455A (ko
Inventor
노형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950B1/ko
Publication of KR97000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 전화기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 무선전화기를 차량 전화기로 사용할 시 배터리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 레벨을 검출하여 시동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된 시동 상태에 따라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제어 방법이, 차량 배터리의 출력을 입력하여 배터리의 잡음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잡음레벨과 데이타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 1설정값 이상일 시 시동 온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 통로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 2설정값 이하일 시 시동 오프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통로를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 무선전화기를 차량 전화기로 사용할 시 시동 상태에 따라 시동 온 시 전원을 공급하고 시동 오프 시 전원을 차단하여 차량 전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킴.

Description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및 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 2도는 제 1도중 시동검출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전화기에서 시동 온/오프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의 수행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시동 상태에 따라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전화기에는 차량 무선전화기(mobile phone)와 휴대 무선전화기가 있다. 상기 차량 무선전화기는 자동차에 장착하여 차량의 배터리에서 동작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는 차량 전용으로 사용되는 전화기가 아니므로, 차량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석 주변에 거치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즉,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의 송출 전력은 약하므로, 차량에서 휴대 무선전화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회로에서 휴대 무선전화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 때의 동작전원은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서 사용되는 휴대 무선전화기는 자동차의 시동 온/오프에 따라 휴대 무선전화기의 동작전원도 연동되어 온/오프 되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이다. 이런 기능에 의해 휴대 무선전화기를 장시간 동안 차량에 방치하더라도 차량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 케이블은 (+)라인, (-)라인, 경보라인(horn alert line), 그리고 점화라인(ignition line)의 4라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를 차량 전화기로 사용하는 경우, 차량 시동 시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 시 차량의 시동키 박스를 해체해서 상기 점화라인(ignition line)을 시동키와 연결시켜야 한다. 그러나 차량의 시동키 박스 부위를 해체하는 것은 복잡한 작업 과정을 동반하므로 차량 전문가가 하여야 한다. 따라서 휴대 무선전화기를 차량에 설치 시 시동키 와 점화라인을 연결하는 것은 작업 절차가 복잡해지며,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에 손상 염려에 의해 기피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휴대 무선전화기로 차량에 설치할 시, 차량 배터리의 (+)와 (-)전원에만 연결이 되어서 차량의 시동에 관계없이 항상 켜져 있게 되며,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량 무선전화기의 전원 키를 조작하여 동작전원을 차단시켜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무선전화기로 차량에 설치할 시 차량의 시동 상태에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배터리 전원의 잡음 레벨을 분석하여 차량의 시동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차량 전화기의 동작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에 거치되는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가, 차량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출력 잡음레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배터리의 잡음레벨을 제1 및 제2 설정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시동 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잡음레벨이 제 1설정값 이상일 시 시동 상태로 판단하여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잡음레벨이 제 2설정값 이하일 시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과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로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제어방법이, 차량 배터리의 출력을 입력하여 배터리의 잡음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잡음레벨과 설정 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 1설정값 이상일 시 시동 온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 통로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2설정값 이하일 시 시동 오프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통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도를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 전화기의 구성도로서, 110은 차량용 배터리이고, 150은 휴대 무선전화기이며, 130은 휴대 무선전화기150와 배터리110간의 통로를 제어하는 거치대(hands free adaptor)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거치대130은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이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시동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과 배터리110의 통로 연결을 제어한다. 상기 거치대1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잡음검출부131은 시동 온/오프시 상기 배터리110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신호를 검출하여 DC의 잡음레벨을 발생한다. A/D변환기132는 상기 잡음검출부131에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13은 상기 A/D변환기132의 출력을 입력하여 차량의 시동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3은 시동온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1설정값 및 시동오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2설정값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3은 상기 A/D변환기132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설정값과 비교하며, 상기 잡음레벨이 상기 제1설정값 이상일 시 시동 온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잡음레벨이 상기 제2설정값 이하일 시 시동 오프상태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33은 시동 온시 제 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시동 오프시 제 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전원스위칭부134는 상기 배터리110과 휴대 무선전화기150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단이 상기 제어부133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스위칭부134는 상기 배터리110의 전압을 레귤레이팅하여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전압레벨을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스위칭부134는 상기 제어부133에서 제1전원제어신호 출력시 온 스위칭되어 상기 배터리110의 출력을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에 연결하며, 상기 제 2전원제어신호 출력시 오프 스위칭되어 상기 배터리110과 휴대 무선전화기150간의 통로를 차단한다. UART135는 상기 제어부133과 휴대 무선전화기150사이에 연결되며, 휴대 무선전화기150과 거치대130 간의 데이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은 상기 거치대130과 연결되어 차량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공급부151은 상기 전원스위칭부134와 연결되어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각 부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53은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각종 기능을 제어 처리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롬 및 램 등으로 구성된다. UART152는 상기 거치대130의 UART135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53의 제어하에 상기 거치대130과 데이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로직회로, 표시부(LCD), 키입력수단들의 구성은 154이다. RF부155는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RF 송수신신호를 처리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잡음검출부131의 구체회로도로서, 배터리110의 (+)단자에 연결되는 증폭부211은 시동 온/오프시 상기 배터리110에 포함되는 AC잡음을 검출하여 증폭출력한다. 상기 배터리110의 (+)단자에 연결되는 DC조정부212는 상기 증폭부211의 DC바이어스를 조정한다. 상기 증폭부211의 출력단과 A/D변환기132 사이에 연결되는 정류부213은 상기 증폭부211에서 출력되는 잡음레벨을 정류하여 DC의 전압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도 및 제2도의 구성에 의거 차량 전화기의 전원 제어 동작을 살펴보면, 차량의 시동이 온/오프될 시 차량 배터리110의 (+)단자에 출력되는 전압에는 AC잡음이 포함된다. 이때 증폭부211의 캐패시터C1은 상기 배터리110의 출력전압에 포함된 잡음신호를 커플링하며, 증폭기U1은 상기 잡음신호를 적정레벨로 증폭 출력한다. 이때 DC조정부212는 상기 증폭기U1의 DC레벨을 일정레벨로 오프셋시켜 상기 잡음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증폭할 수 있게한다. 그러면 정류부213의 캐패시터C4는 상기 증폭기U1에서 출력되는 증폭신호에서 DC레벨을 차단하고 증폭된 순수 잡음신호를 통과시키며, 다이오드D1-D2 및 캐패시터C5는 상기 잡음신호를 정류하여 DC레벨을 정류시킨다. 그리고 저항 R5-R6은 상기 정류된 잡음레벨을 적정레벨로 분압하여 상기 A/D변환기132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정류부213을 출력하는 최종적인 신호는 상기 배터리110에 포함된 잡음성분이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110에서 출력되는 잡음레벨은 시동온 및 시동오프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레벨로 출력된다. 즉, 상기 배터리110에 포함되는 잡음레벨은 시동 온 상태에서는 발전기, 점화수단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이 구동됨에 따라 큰 값을 가지며, 시동 오프시에는 상기 수단들의 동작이 중단되므로 잡음레벨은 거의 DC에 가까운 레벨을 갖게된다. 따라서 상기 잡음레벨은 시동 온시 큰 값을 갖게 되고 시동오프시에는 작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제 차량에 제 1도 및 제 2도와 같은 회로를 구성하여 검출되는 DC레벨은 시동 온시 약 1V 이상의 전압이 검출되고, 시동오프시 약 0.5V 이하가 된다. 이런 결과는 소형차 및 중형차를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그러나 대형차량이나 트럭등과 같은 차량에서는 상기와 같은 결과와 다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검출되는 잡음레벨은 A/D변환기132에서 디지털 데이타로 변환된 후 제어부133에 입력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133은 입력되는 잡음레벨을 분석하여 시동온 및 시동오프로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33의 메모리에 기준 데이타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33은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검출되는 잡음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제1설정값과 상기 시동오프상태에서 검출되는 잡음레벨보다 높은 레벨의 제2설정값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A/D변환기 132에서 잡음 데이타가 입력될 시 상기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제1설정값 보다 클 시 시동 온 상태로 판단하여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설정값 보다 작을 시 시동오프 상태로 판단하여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110과 휴대 무선전화기150 사이에 연결되는 전원스위칭부 134는 상기 제 1전원제어신호 수신시 스위칭 되어 상기 배터리110과 휴대 무선전화기 150의 통로를 연결하며, 상기 제2전원제어신호 수신시 오프 스위칭 되어 상기 배터리 110과 휴대 무선전화기 150의 통로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시동 온/오프 상태에 따라 검출되는 잡음레벨을 이용하여 차량전화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동작을 제 3도 및 제 4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제 3도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매 10ms 주기 마다 수행되는 루틴으로서, 상기 제어부 133은 311단계에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 전원이 오프상태인가 검사한다. 이 때 상기 311단계에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 전원이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400단계로 진행하여 제4도와 같은 과정으로 시동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311단계에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 150의 메인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에는 313단계에서 시동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지 않도록 설정한 타이머가 동작 중인 상태인가 검사한다. 이는 실제 차량 배터리110이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사용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실제 휴대 무선전화기150이 사용 중인 상태에서는 시동 온/오프상태를 검사하지 않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휴대 무선전화기150에서 키들을 조작하여 키톤을 발생시키거나, 통화를 위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거치대130이 많은 전류를 필요로 하게된다. 이런 경우, 시동 온/오프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잡음레벨이 크게 흔들려 시동이 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시동 오프 상태로 읽힐 수 있으며, 반대로 시동 오프 상태에서도 시동 온 상태로 읽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313단계-317단계를 수행하여, 시동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일부 키 동작이 끝나는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 전원이 안정될 만큼의 시동 온/오프를 판단하지 않도록 하며, 키톤이 발생되거나 현재 RF송신부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일 시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대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 150의 메인 전원이 오프상태이고 상기 타이머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키톤이나 RF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400단계로 진행하여 시동 상태를 분석한다.
상기 400단계의 동작은 제4도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며, 이때의 동작은 하기 표 1 및 표2와 같다.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를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기 제4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33은 411단계-415단계를 수행하여 100ms 주기로 상기 A/D변환기 132의 출력을 읽어 이전 값과 평균을 취한다. 그리고 417단계에서 300ms 주기가 되면, 상기 제어부133은 421단계에서 이제 까지 구한 잡음 레벨의 평균값을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현재의 차량 상태가 시동 온 상태인지 아니면 시동 오프 상태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421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잡음 레벨이 상기 제1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33은 시동 온상태로 판단하고, 423단계에서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전원이오프상태인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전원이라 함은 휴대 무선전화기의 자체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전원이 온 상태에서 시동이 온상태이면, 425단계에서 현재 시동이 온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 값을 설정하고, 427단계에서 시동 검사를 금지하기 위한 시간을 발생하는 타이머를 구동한 후 리턴한다. 따라서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전원 온 상태 및 시동 온 상태인 경우에는 이전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되며, 이 경우, 상기 전원스위칭부134는 온스위칭되어 상기 배터리110의 출력을 휴대 무선전화기150에 인가한다.
그러나 상기 423단계에서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전원이 오프상태이면, 429단계에서 이전 상태가 시동 오프상태였는가를 검사한다. 즉, 제어부133부은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전원이 오프 상태일 시 이전의 시동플래그가 온 상태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이전의 시동플래그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431단계에서 시동플래그를 온상태의 값으로 설정하고, 433단계에서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110과 휴대 무선전화기150 간의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435단계에서 시동 상태 검사를 일정시간 동안 금지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동한 후 리턴한다. 따라서,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전원이 오프된 상태이고 시동이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천이되는 상기 제어부133은 상기 전원제어신호를 제1전원제어신호로 천이시켜 배터리110과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통로를 연결하여 차량 전화기로 작동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전원이 오프 상태이고 이전 상태에서 시동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33은 429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437단계에서 시동플래그를 온 값을 설정한 후, 429단계에서 핸드프리오프모드를 설정한 후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이는 시동이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전원키를 조작하여 전화기 오프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그러면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제어부153은 UART152를 통해 상기 메인전원의 오프 데이타를 출력하며, 거치대130의 제어부133은 UART135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거치대130를 오프모드로 제어하고 대기모드로 천이한다. 대기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33은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전원키 데이타가 다시 수신될 때 까지 대기한다.
상기 421단계의 비교과정에서 잡음레벨이 제1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133은 현재의 차량 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로 판단한다. 시동 오프 상태일 시 상기 제어부133은 441단계에서 이전의 시동플래그 값을 검사하여 이전 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였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이전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가 아니면 443단계에서 현재 잡음레벨이 제2설정값 이하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잡음레벨이 제2설정값 이상이면 리턴한다. 이는 현재 검출되는 잡음레벨이 상기 제1설정값 보다는 작고 상기 제2설정값 보다는 큰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3은 히스테리시스(hysterisis)를 설정하여 최소한 상기 제2설정값 이하로 떨어져야만 시동 오프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110의 잡음전압이 제1설정값 및 제2설정값 사이에 들면 리턴한다.
그러나 상기 443단계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상기 제2설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3은 445단계에서 시동플래그를 오프 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시동플래그를 오프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제어부133은 447단계에서 혼(horn) 기능이 설정되었는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혼 기능이란 운전자가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착신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상기 혼 기능이 세트되면, 착신시 상기 제어부133은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통보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차량경적을 올려 착신을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혼 기능이 세트된 경우, 배터리110과 휴대 무선전화기150간의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야 하므로 리턴한다. 그러나 혼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33은 UART135에 전원오프 데이타를 통해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에 출력하여,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휴대 무선전화기150과 배터리110 간의 통로를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3은 이전의 시동플래그가 온된 상태에서 검출되는 잡음레벨이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에 존재하면 히스테리시스 동작을 수행하여 전원 공급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며, 상기 검출되는 잡음레벨이 제2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이때 혼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시동 오프 상태에서 관계없이 계속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441단계에서 이전의 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451 단계에서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전원이 오프 상태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메인전원이 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33은 455단계에서 시동플래그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메인전원플래그를 온 값으로 설정한다. 이는 이 후 시동이 다시 켜지는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전원을 다시 공급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휴대 무선전화기150의 메인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453단계에서 거치대130를 핸드프리오프모드로 설정하고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된 전원라인의 잡음성분을 검출하여 시동 유무를 판단하며, 시동 상태에 따라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므로서 차량 전화기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차량에 거치되는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에 있어서, 차량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전압 변동에 따라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검출하는 차량 시동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신 및 비교판단하며, 상기 검출신호가 시동검출신호일시 제1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시동검출신호가 아닐시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베터리의 출력단과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화기의 전원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시동 검출수단이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며 시동시 발생되는 상기 배터리의 잡음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전화기의 전원 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이, 상기 배터리의 출력을 커플링하여 시동시 발생되는 잡음신호를 증폭하는 수단과, 상기 증폭된 잡음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직류전압을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검출신호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4.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배터리의 출력을 입력하여 배터리의 잡음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잡음레벨과 데이타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1설정값 이상일 시 시동 온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 통로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2설정값 이하 일 시 시동 오프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상기 배터리의 출력통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화기의 전원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이, 상기 배터리의 출력을 커플링하여 잡음신호를 검출한 후 증폭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잡음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형태의 잡음 레벨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잡음레벨을 디지털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화기의 전원제어방법.
  6.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배터리의 출력을 입력하여 배터리의 잡음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잡음레벨과 설정 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1설정값 이상일 시 시동 온 상태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이면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배터리의 통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이전 상태가 메인전원 온 상태일 시 현재 형성된 휴대 무선전화기와 배터리의 통로를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이전 상태가 메인전원 오프 상태일 시 휴대 무선전화기와 배터리의 통로를 차단하고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2설정값 이하일 시 시동 오프상태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동 온 상태일 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의 배터리의 형성된 통로를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이전 상태가 메인전원 온 상태일 시 휴대 무선전화기이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이전 상태가 메인전원 오프 상태일 시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화기의 전원제어방법.
  7.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배터리의 출력을 입력하여 배터리의 잡음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잡음레벨과 설정 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1설정값 이상일 시 시동 온 상태로 판단하고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휴대 무선전화기 전원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이 온 상태일 시 상기 휴대무선전화기와 배터리출력 간에 형성된 통로를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의 전원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일 시 이전의 시동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온상태에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이 오프상태이고 이전 상태가 시동 오프상태일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배터리의 통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이 오프상태이고 이전 상태가 시동 온 상태일 시 상가 휴대 무선전화기와 배터리의 통로를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잡음레벨이 제2설정값 이하일 시 시동 오프상태로 판단하고 이전의 시동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오프상태일 시 이전의 시동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이전의 상태가 시동 온 상태일 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와 배터리의 통로를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일 시 이전의 시동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이전의 상태가 시동오프 상태일 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 상태를 검사하며,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일 시 핸드프리오프모드를 설정하고 휴대 무선전화기의 전원이 온 상태일 시 휴대 무선전화기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화기의 전원 제어방법.
KR1019950017846A 1995-06-28 1995-06-28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및 방법 KR014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846A KR0142950B1 (ko) 1995-06-28 1995-06-28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846A KR0142950B1 (ko) 1995-06-28 1995-06-28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55A KR970004455A (ko) 1997-01-29
KR0142950B1 true KR0142950B1 (ko) 1998-08-01

Family

ID=1941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846A KR0142950B1 (ko) 1995-06-28 1995-06-28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9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356B1 (ko) * 2001-12-19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보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61392B1 (ko) * 2002-07-11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즈프리 시스템
WO2006085703A1 (en) * 2004-09-06 2006-08-17 Know-How Bank Co., Ltd. Automatic photographing protable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2443B4 (de) * 1999-05-10 2009-05-28 Panasonic Corp., Kadoma Notfallmeldegerät für ein Fahrzeug
KR100394039B1 (ko) * 2001-01-05 2003-08-21 전기찬 공유 전화번호를 갖는 두 이동전화 단말기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356B1 (ko) * 2001-12-19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보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61392B1 (ko) * 2002-07-11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즈프리 시스템
WO2006085703A1 (en) * 2004-09-06 2006-08-17 Know-How Bank Co., Ltd. Automatic photographing pro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55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137B1 (ko) 휴대용무선전화와차량키트간의작동및비작동접속을지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70068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a portable transceiver in a telematics system
US5995813A (en) Radio telephone and independently controlled booster
US4726052A (en) Radio telephon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0142950B1 (ko) 차량용 전화기의 전원제어회로 및 방법
US6580929B1 (en) Mobile phone charger also functioning as a remote sound monitoring device
JP3492541B2 (ja) 無線通信機
JP3223871B2 (ja) 電話装置
KR100351645B1 (ko) 다중모드 통신단말장치의 통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US20030117114A1 (en)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KR0156857B1 (ko) 무선전화기의 조명제어방법
KR20010044004A (ko)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JP2003018076A (ja) 無線端末機
JP2845810B2 (ja) 携帯電話機
KR200194777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가 충전식 무선 핸드프리킷
JPH0431424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音声ガイダンス装置
KR930010840B1 (ko)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KR100440912B1 (ko)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KR20000044465A (ko) 충전기를 이용한 무선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JP2002033673A (ja) 移動無線通信機の受信装置
KR20000041316A (ko) 핸즈프리 장치에서 무선단말기 전원 오프 방법
KR20000047186A (ko) 배터리 충전시 전원 온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단말기
JPH0637652A (ja) 自動電力制御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KR100353883B1 (ko) Fm수신 및 자동통화 전환이 가능한 배터리팩
CN111432064A (zh) 便携式电子装置及提示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