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919B1 - 육상차랑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 - Google Patents

육상차랑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919B1
KR0141919B1 KR1019890017029A KR890017029A KR0141919B1 KR 0141919 B1 KR0141919 B1 KR 0141919B1 KR 1019890017029 A KR1019890017029 A KR 1019890017029A KR 890017029 A KR890017029 A KR 890017029A KR 0141919 B1 KR0141919 B1 KR 0141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ub
loaded
casing
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664A (ko
Inventor
노엘 발레트 장
Original Assignee
피에르 조페
에시아-이퀴프먼트 에트 콤포산츠 푸우르 린더스트리에 오토모빌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르 조페, 에시아-이퀴프먼트 에트 콤포산츠 푸우르 린더스트리에 오토모빌레 filed Critical 피에르 조페
Publication of KR90000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pring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육상차량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
제 1 도는 제 1a 도는 제1b도에서 일부를 상세히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장전통의 한 실시형태의 분리사시도.
제 2a 도, 제 2b 도 및 제 2c 도는 본 발명 스프링장전통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케이싱11... 기부
20... 커어버판21... 통공
30... 후브40... 스프링
50... 후브잠정고정장치51... 웅형부재
52... 자형부재100... 챔버
본 발명은 육상차량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에 관한 것이다.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육상차량에는 사용이 간편하고 안락함과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벨트를 당기어 감아드리는 권취기를 갖는 시이트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형태의 권취기는 두가지 목적을 갖는다. 즉, 한편으로는 벨트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 권취기가 벨트를 차내 측벽에 근접하여 팽팽하게 유지되도록하여 벨트가 시이트나 바닥에 어지럽게 늘어지지 않도록 하여 취급이 용이하도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벨트가 사용될 때에 벨트가 탑승자의 허리와 가슴부분에 밀착되도록하되 탑승자의 느리고 점진적인 움직임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하는 동시에 전후로 급격한 이동이 있는 경우 관성조절형 잠금효과로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시이트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벨트를 언제나 팽팽하게 유지하도록하는 권취기에서 이러한 형태의 작동에 기여하는 부분이 스프링을 사전에 감아 넣은 스프링장전통이다.
이러한 형태의 스프링장전통은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장설되는 후브로 구성되며, 이 후브는 그 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스프링이 이에 감겨 있도록 착설되며 스프링의 일측단부는 케이싱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후브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한 후브를 통하여 복귀토오크를 부여하기 위하여 스프링은 이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키므로서 후브상에서 어느 정도 감겨진다. 케이싱과 장력이 부여된 스프링이 감겨 있는 후브는 스프링장전통의 스프링 토오크에 따라서 벨트가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기의 릴에 스프링장전통의 후브를 연결하므로서 스프링 장전통을 권취에 연결하기 전에 상대측에 대하여 잠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형태의 스프링장전통, 즉 스프링이 사전에 감기어 장전되는 스프링장전통을 취급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스프링이 먼저 감기어져 장력이 부여되어 초기 장력상태에서 이 스프링은 선택된 토오크를 가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적용된 작동형태에 따라서, 벨트가 풀리는 회전방향에 연결되어 스프링이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서 복귀토오크의 증가 또는 감소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스프링이 후브상에서 구심방향으로 스프링권회부 사이가 완전히 밀착되기전에, 또는 스프링이 케이싱에 대하여 원심방향으로 스프링 권취부사이가 넓어져 완전히 느슨하게 되기전에 벨트의 최대연장이 허용될 수 있도록 후브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프링의 장력이 순간적으로 느슨해지는 위험없이 필요한 경우 초기토오크의 반대방향으로 스프링이 자유롭게 되어 스프링이 작용하게 되는 완전한 결합시까지 미리 장력이 부여된, 즉 예장(預張)된 스프링을 선택된 초기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로 장전되고 이 장전되 스프링장전통을 극복 될 초기토오크가 사용예비단계중에 가하여진 상태로 설치하는 과정은 쉬운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랑스특허 제 2 482 863호는 한 해결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에 따르면, 후브와 이에 대하여 예장된 스프링이 장전된 스프링장전통의 케이싱을 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처음에는 상호 연결되어 후브나 케이싱의 다른 부분에 형성된 보상적형태의 요구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 분리형의 키가 사용된다.
이 해결안은 많은 결점을 갖는다. 이들은 후브와 케이싱의 요구가 연결되어 있을 때에 양방향 회전으로 잠겨지도록하는 키가 이에 삽입되어야 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삽입은 위험없이 되지 않는다.
키는 사용자의 손에서 미끌어져 빠질 수도 있고 실제의 삽입과정에서 후브가 예장된 스프링의 토오크작용하에 풀릴 수도 있다. 더욱이 스프링장전통이 설치될 때에 후브는 이 후브가 케이싱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케이싱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어야하며 이러한 작동과정에는 키의 분리를 요구한다. 즉, 부가적이고 비자동적인 작동이 수행되어야 하는바, 이는 스프링이 순간적으로 풀어질 수도 있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형태의 결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기부를 갖는 케이싱, 이 기부와 함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부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게된 커어버판, 챔버내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챔버측으로 개방된 통공,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그 축선이 기부와 커어버판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연결부재가 외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하도록 통공에 대하여 수직이 되게 챔버내에 장성될 수 있게 된 후브와, 챔버내에 놓일 수 있게 되어 있고 일측단부는 후브에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게 후브의 둘레에 감기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스프링장전통에 있다.
특히 이 스프링장전통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 챔버와 후브에 형성된 보상적 형태의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로 구성되고 웅형부재는 취약하게 되어 있어 케이싱에 대하여 후브를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통공을 통하여 후브에 작용을 가할 때에 파단될 수 있게된 챔버내의 후브잠정고정을 위한 장치가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장된 스프링이 장전되는 스프링장전통은 특히 시이트벨트 권취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다음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것만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다른 내용에 대하여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특정의 문제에 대하여서는 현행 기술로서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형태에 관계없이 동일부분에 대하여서는 언제나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장전통은 케이싱(10), 커어버판(20), 후브(30), 스프링(40) 및 케이싱에 후브를 잠정고정하기 위한 장치(50)로 구성된다.
설명을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장전통의 각 부분은 이것이 사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각각 별도로 설명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은 돌출리브(110)가 형성된 기부(11)로 구성된다. 또한 이 케이싱은 축벽(12)과 격벽(13)으로 구성된다. 이 격벽(13)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은 권취기(도시하지 않았음)에 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하는 고정수단(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수단(14)(제1a도)은 팽창형탄편(140)으로 구성되고 이 탄편의 단부에는 턱 (142)의 전방으로서 경사면(141)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4개로 되어 있는 탄편은 스로트로 각각 분리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축방향 채널(143)을 형성한다. 예를들어 기부와 연결되는 플러그(도시하지 않았음)가 채널에 삽입되어 스프링장전통과 권취기가 결합된 후에 탄편이 원심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턱(142)은 권취기 동체의 보상적 형태로 되어있는 요구(도시하지 않았음)에 결합된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수단과 그 이용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케이싱(10)에 조합될 수 있게 된 커어버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구멍처럼 기다란 형태로 되어 있는 통공(21)에 의하여 삽입된다. 이 커어버판에는 단단한 고정을 위하여 적당한 지지단봉과밀페스트립(도시하지 않았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어버판은 케이싱에 배치되고 챔버(100)를 형성하도록 기부(11)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커어버판은 측벽(12)과 격벽(13)의 지지편상에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지지부로 작용하는 지지편은 도시하지 않고 설명만 한다. 이 커어버판은 예를들어 접착제 접착이나 초음파 용접등의 공지된 기술로 고정될 수 있다. 설명을 간편히하기 위하여 이 커어버판은 투명한 것으로 가정한다.
챔버(100)에는 후브(30)가 삽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브(30)은 원통형 주면(31)과 단변부면(32)을 갖는다. 축선(300)을 중심으로하여 원통형의 형태인 이 후브에는 주면에 슬로트(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로트의 역할에 대하여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를들어 비원형인 사각단면의 내부형태를 갖는 사각공 형태의 연결부재(320)가 후브의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이 후브는 소켓트(33)까지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40)은 챔버(100)내에 장설되고, 이 스프링의 일측단부(42)는 절결부(130)를 통하여 케이싱(10)에 고정되고 타측단부(42)는 슬로토(310)를 통하여 후브에 고정된다. 이 스프링은 권회부(41)를 구성토록 후브의 둘레에 감겨 있다.
케이싱(10)의 챔버(100)내에 후브(30)를 잠정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함께 단단히 조립될 수 있게 된 상호 보상적인 형태의 웅형부재(51)와 자형부재(52)로 구성된다. 예를들어 웅형부재(51)는 자유단부(511)와 파단되는 부분인 연결각부(512)를 갖는 취약한 테이퍼형 롯드로 되어 있다. 자형단부(52)는 예를들어 길고 가는 하우징(520)이고 그 단면은 이에 삽입되는 롯드(510)의 단면에 보상적인 형태로 되어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들 웅형부재(51)와 자형부재(52)는 서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웅형부재(51)는 케이싱(10)의 기부(11)에 형성되어 있고 자형부재(52)는 기부(11)측으로 향하는 후브(30)의 변부면(32)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웅형부재가 후브에 형성되고자 형부재가 케이싱의 기부에 형성되게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웅형부재(51)와 자형부재(52)는 케이싱 기부의 일부분과 후브 변부면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브에 형성된 부재는 사각공의 둘레에 배설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웅형부재(51)와 자형부재(52)가 각각 두 개씩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수는 제한이 없다. 특히, 자형부재(52)의 수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이유에서 웅형부재(51)의 수보다 많을 수도 있다.
사각공(320)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에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장전통이 착설되거나 보완될 때에 외측으로부터의 보상적 형태인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커어버판(20)의 통공에 대하여 수직으로 놓이는 후브(30)의 사각공(320)에는 스프링에 초기장역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는 공구(60), 특히 키(61)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키는 연결부재의 보상적인 형태로 되어 있다. 사각공(320)은 육각형일 수 있으며 보상적 형태의 키(61)가 삽입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이들 보상적 형태의 연결부재의 결합은 기계적인 결합상의 통상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용어로 유동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각공(320)은 이후에 스프링이 장전된 스프링장전통이 사용될 때에 벨트드럼(70)의 스핀들(71)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 스핀들이 보상적인 연결부재가 된다. 사각공(320)내에 스핀들(71)이 결합될 때에도 유동결합되거나 밀착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장전통의 사용상태가 여러단계로 나누어 도시된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에서 설명된다.
제2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후브(30)는 스프링(4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인 공구(60)의 키(61)에 착설되며, 스프링은 그 일측단이 사전에 후브의 슬로트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케이싱 격벽의 절결부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부재가 형성된 후브의 변부면이 케이싱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웅형부재의 자유단부가 자형부재에 근접하거나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의 원형궤적이 차단되지 않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직은 커어버판이 결합되지 않았다. 스프링은 공지된 바와 같이 요구된 초기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공구의 회전으로 감기게 된다. 이때의 장력은 예를들어 공구(60)에 결합된 다이나모메타로 측정될 수 있다. 요구된 장력에 이르렀을 때에 후브를 예를 들어 회전축을 따라서 병진운도할 수 있는 공구를 이용하여 케이싱의 기부측으로 밀어 하우징(520)이 롯드(510)에 삽입되게 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의 결합은 확고하게 이루어진다.
이들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의 결합과 공구의 분리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4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이외의 다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후브(39)가 먼저 하우징(520)과 롯드(510)의 결합으로 케이싱(10)의 기부(11)에 착설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40)의 내측단부(42)가 후브(30)의 슬로트(3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스프링은 그 외측단부(42)를 케이싱(10)의 격벽(13)에 형성된 절결부(130)에 고정하기 전에 수회 감아서 장력을 부여받게 된다.
케이싱과 그 이외의 부품들은 이제 후브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기부상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었으므로 스프링에 장력을 부여한 기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커어버판이 케이싱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케이싱에 커어버판을 착설하여 고정하는 것은 공구를 후브의 사가공으로부터 뽑기 전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커어버판에는 통공에 결합되는 소켓트가 관통하게 된다.
스프링장전통은 이제 제2b도와 제2c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게 준비되었다. 스프링은 챔버내에서 감긴 상태로 예장되어있으며 후브와 케이싱을 연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잠정고정장치(50)에 의하여 예장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링이 장전된 스프링장전통이 시이트벨트용 벨트권취기와 같은 장치에 조합되며 권취기는 이미 언급된 바 있는 고정수단(14)으로 연결되고 벨트드럼(70)의 스핀들(71)이 사각공(32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이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다.
처음 시이트 벨트를 취급시에 벨트를 당기어 챔버내에서 움직이지않게 잠정고정되어 있는 후브를 움직인다. 이러한 작용은 제2c도에서 곡선 및 직선의 화살표로 보인 바와 같이 회전 또는 병진 운동 또는 이들의 조합된 운동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작용이 후브에 전달되고 이로써 취약한 웅형부재(51)가 그 연결각부(512)부분에서 파단된다. 따라서 후브는 자유롭게 되어 후브가 상기 작용을 가하게 된다.
예장된 스프링에 의하여 생성된 토오크는 시이트벨트를 항상 팽팽하게 유지되게 한다.
케이싱의 기부에 형성된 리브(110)는 스프링의 회전마찰을 줄여준다. 동일한 목적으로 커어버판에도 유사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자형부재의 수가 웅형부재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단 두 개씩의 웅형부재와 자형부재가 사용된 경우에 비하여 후브의 반 회전에 해당하는 값이상으로 스프링의 초기장력을 보다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스프링에 장력이 부여되었을 때에 보상적 형태인 웅형 및 자형부재의 삽입을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웅형 및 자형부재의 결합전에 케이싱에 대한 후브의 정확한 위치를 정하므로서 취약부의 조기 파단위험이 방지될 수 있도록 오배열방지장치를 갖추어 스프링에 장력을 부여하는 기구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서, 챔버(10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21)이 커어버판(2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케이싱(10)의 기부(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용도의 다양성을 위하여 이러한 통공이 커어버판과 케이싱에 모든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 커어버판 및 후브는 적당한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얻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장전통은 비록 그 구성이 간단하나 매우 효과적이며 제작비용이 적절한 잇점이 있다.

Claims (15)

  1. 기부(11)를 갖는 케이싱(10), 이 기부(11)와 함께 챔버(100)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부(11)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게 된 커어버판(20), 챔버(100)내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챔버측으로 개방된 통공(21), 연결부재(320)가 구비되고 그 축선(300)이 기부(11)와 커어버판(2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연결부재가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통공에 대하여 수직이 되게 챔버(100)내에 장설될 수 있게 된 후브(30)와, 챔버(100)내에 놓일 수 있게 되어 있고 일측단부(42)는 후브(30)에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케이싱(10)에 고정될 수 있게 후브(30)의 둘레에 감기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되는 육상차량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에 있어서, 이 스프링장전통이 서로 결합될수 있으며 각각 챔버(100)와 후브(30)에 형성된 보상적 형태의 웅형부재(51)와 자형부재(52)로 구성되고 웅형부재(51)는 취약하게 되어 있어 스프링에 장력이 부여되었을 때에 통공(21)을 통하여 후브(30)에 작용을 가하여 파단될 수 있게 챔버(100)내에 구성된 후브(30)의 잠정고정장치(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차량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웅형부재(51)와 자형부재(52)가 단단히 함께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3. 청구범위 1 또는 2항에 있어서, 자형부재(52)는 길고 가는 하우징(520)으로 되어 있고 웅형부재(51)는 자유단부(511)와 취약한 연결각부(512)를 갖는 테이퍼형롯드(510)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장전통.
  4.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자형부재(52)가 기부(11)에 면하는 후브(30)의 단변부면(32)에 형성되고 웅형부재(51)가 케이싱의 기부(11)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5.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자형부재(52)가 케이싱(10)의 기부(11)에 형성되고 웅형부재(51)가 케이싱(10)의 기부(11)에 면하는 후브(30)의 단변부면(32)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장전통.
  6.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자형부재(52)가 케이싱(10)의 기부(11)와 후브(30)의 단변부면(32)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웅형부재(51)가 케이싱(10)의 기부(11)와 후브(30)의 단변부면(32)의 일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7.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후브(30)에 형성된 부재(51)(52)가 연결부재(320)의 둘레에 배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8.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자형부재(52)의 수가 웅형부재(51)의 수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9.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통공(21)이 기다란 장공의 형태이거나 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10.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후브(30)에 소켓트(33)가 구비되어 있고 이 소켓트(33)가 통공(21)을 관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11.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후브(30)가 챔버(100)내에서 잠정고정장치(50)로 고정되고 취약한 웅형부재(51)가 파단된 후에는 자유롭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1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통공(21)이 커어버판(20)에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13.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20)가 스프링(40)에 장력을 부여하고 웅형부재(51)와 자형부재(52)가 결합될수 있도록 유동되게 결합되는 공구(60)의 키(61)나 취약한 웅형부재(51)를 파단시킬 수 있도록 후브(30)에 작용하는 장치(70)의 스핀들(71)과 같은 보상적 형태의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14. 청구범위 13항에 있어서, 장치(70)가 시이트벨트 권취기의 드럼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15. 청구범위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취약한 웅형부재(51)를 파단시키는 작용이 후브(30)의 회전운동 또는 병진 운동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전통.
KR1019890017029A 1988-11-30 1989-11-23 육상차랑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 KR0141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15720A FR2639590B1 (fr) 1988-11-30 1988-11-30 Barillet arme a ressort notamment pour enrouleur de ceinture de securite
FR8815720 1988-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664A KR900007664A (ko) 1990-06-01
KR0141919B1 true KR0141919B1 (ko) 1998-06-01

Family

ID=937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029A KR0141919B1 (ko) 1988-11-30 1989-11-23 육상차랑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95567A (ko)
EP (1) EP0371843B1 (ko)
KR (1) KR0141919B1 (ko)
DE (1) DE68900161D1 (ko)
ES (1) ES2025372B3 (ko)
FR (1) FR2639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51B1 (ko) * 2009-12-21 2012-04-09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스파이럴 스프링 제조장치용 초기 토크 상승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389A (ja) * 1992-03-16 1993-10-05 Takata Kk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における付勢力付与手段の付勢状態保持装置
DE4318161A1 (de) * 1993-06-01 1994-12-08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Sicherheitsgurt-Rückhaltesysteme in Fahrzeugen
GB2302682A (en) * 1995-06-28 1997-01-29 Europ Component Co Ltd A seat belt retractor spring cassette
GB2325898B (en) * 1997-06-04 1999-09-08 Alliedsignal Ltd Retractor
GB2360019B (en) * 1999-03-31 2001-11-28 Breed Automotive Tech Retractor
US7543625B2 (en) * 2002-03-19 2009-06-09 Canimex Inc. Brake device for garage doors and the like, and do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E102004008278A1 (de) * 2004-02-18 2005-09-08 Autoliv Development Ab Aufwickelautomat, beispielsweise für einen Sicherheitsgurt in einem Kraftfahrzeug
US20050211099A1 (en) * 2004-03-23 2005-09-29 Doughty David T Spiral composite adsorbent material
JP5546963B2 (ja) * 2010-06-16 2014-07-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6542298B2 (ja) * 2017-06-28 2019-07-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2264A (en) * 1947-10-22 1950-11-28 Gen Electric Tank type vacuum cleaner
US3033488A (en) * 1961-04-24 1962-05-08 Gleason Reel Corp Take-up reel
DE2540671A1 (de) * 1975-09-12 1977-03-17 Volkswagenwerk Ag Aufwickelvorrichtung fuer sicherheitsgurte
US4159809A (en) * 1978-01-06 1979-07-03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oration Prewound retractor spring housing assembly
GB2076635B (en) * 1980-05-20 1983-11-23 Barnes Group Inc Seat belt retractor spring assembly
US4340191A (en) * 1980-09-26 1982-07-20 Barnes Group Inc. Seat belt retractor spring assembly
US4487379A (en) * 1982-12-07 1984-12-11 The Stanley Works Coilable tape rule with shifting hub, reel assembly therefor, and method of assembling
FR2600602B1 (fr) * 1986-06-24 1990-03-09 Peugeot Aciers Et Outillage Barillet pour ressort spiral prebande et son application a un enrouleur de ceinture de securi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terrest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51B1 (ko) * 2009-12-21 2012-04-09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스파이럴 스프링 제조장치용 초기 토크 상승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0161D1 (de) 1991-08-29
FR2639590B1 (fr) 1991-02-22
ES2025372B3 (es) 1992-03-16
EP0371843A1 (fr) 1990-06-06
FR2639590A1 (fr) 1990-06-01
KR900007664A (ko) 1990-06-01
EP0371843B1 (fr) 1991-07-24
US4995567A (en)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1919B1 (ko) 육상차랑용 시이트벨트권취기의 스프링장전통
US6318662B1 (en) Webbing winding device
KR950001610Y1 (ko) 끈 조정구
US5887814A (en) Seat belt retrac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6513747B1 (en) Pretensioner integrated with a force transferring apparatus of a seat belt retractor
US6866250B2 (en) Tensioning device for cable inserted through flexible tube
EP0341656A2 (en) Cylindrical and permutation lock arrangements
US4967976A (en) Take-up spindle
US4502226A (en) Measure tape and key chain combined device
KR100580924B1 (ko) 웨빙 권취장치
KR970061648A (ko)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900001552A (ko)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
JPH0534555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バックルプリテンショナ
KR960002434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와인더의 복귀긴장장치
US5553600A (en) Cable guard slide
US3291416A (en) Retracting device
JP2007106407A (ja) 交換可能なアダプタ部分を有する保護装置
GB2076635A (en) Seat belt retractor spring assembly
US4549704A (en) Coupling device for the winding shaft of a safety belt roll-up device with retightening device
JP200030201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208702B1 (ko) 리트랙터축회전식 프리텐셔너
US3432115A (en) Belt securing means
KR100439789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너 구조
EP0246210A2 (en) Device in strap tensioners
KR960002435B1 (ko) 안전벨트 와인더용 배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