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461B1 -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부재 - Google Patents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461B1
KR0141461B1 KR1019930005085A KR930005085A KR0141461B1 KR 0141461 B1 KR0141461 B1 KR 0141461B1 KR 1019930005085 A KR1019930005085 A KR 1019930005085A KR 930005085 A KR930005085 A KR 930005085A KR 0141461 B1 KR0141461 B1 KR 014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case
floor
hanger
stai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319A (ko
Inventor
세이분 요꼬모리
Original Assignee
세이분 요꼬모리
가부시끼가이샤 요꼬모리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분 요꼬모리, 가부시끼가이샤 요꼬모리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세이분 요꼬모리
Publication of KR94000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stairs or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작업인원을 삭감하여 공기의 단축을 도모하고, 보다 안전한 계단을 구축한다.
기준층(F1)의 계단설치위치(10) 양측에 각각 지지레버(16, 17)를 수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세워 설치하고, 가설 계단부재(A1)의 계단참(3), A2의 계단참(2) 위에 지지간의 권양기(22, 23)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지지간(16, 17)에 행거(24, 25)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지지간(16, 17)을 다음층 계단부재의 높이까지 상승시켜 행거(24, 25)에 계단부재(B2, A3)를 임시부착하여 가설하고, 콘크리트 타설예정층(F2) 구체의 구축에 선행하여 1층 반분의 계단부재(A2, B2, A3)를 구축하고 계단부재의 받침도리 및 계단참 끝면에 각각 내형틀을 고정한다.
다음에 내형틀의 외면측에 소정간격을 두어 철근을 배근하고, 내형틀에 대응하는 외형틀을 구축하며 양 형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형틀을 제거한다. 이후 순차적으로 소정층까지 계단 및 계단실을 구축한다.

Description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부재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계단구축도중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C-C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계단구축도중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계단구축도중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D-D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E-E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계단구축도중에서 내형틀을 부착시킨 상태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F-F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9도(a)는 내형틀과 걸림금구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정면도, (b)는 제9도(a)의 H-H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0도는 내형틀과 외형틀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횡단면도,
제11도(a), (b)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계단부재의 사시도,
제12도(a)는 본 발명 실시예에 사용하는 내형틀의 사시도이며, (b)는 동일하게 다른 내형틀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내형틀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판 2 : 중간계단참
3 : 플로어계단참 4 : 받침도리(바깥쪽)
5 : 받침도리(안쪽) 6 : 계단부재
7, 8 : 걸림금구(掛止金具) 10 : 계단구축 예정위치
14 : 중간계단참가대(受架台) 15 : 플로어계단참가대
16 : 제1승강간(杆) 17 : 제2승강간
18, 24, 25 : 행거 19 : 잭
21, 22 : 권양기 26, 27, 28 : 내형틀
30 : 외형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체의 구축에 선행하여 계단 및 계단실을 구축하는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실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체의 구축에 선행하여 계단을 구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있으며, 예컨데 선행하는 계단재를 지지하는 지지간을 크레인 혹은 다른 특수중기로 매달아 중복해서 쌓으면서 계단을 구축하고 있었다(일본국 특개평3-180657호). 또 종래 계단실은 계단의 주위에 종래공법으로 안쪽 및 바깥쪽에 형틀을 짜서 구축하고, 계단실의 구축후에 형틀을 제거하여 형틀을 폐기하고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지지간을 매달기 위한 특수중기 혹은 크레인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계단설치 예정위치 이외의 장소에서의 지지간을 매달기 위해 크레인조작 작업을 필요로 하며, 작업효율이 나쁜 동시에 정확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품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지간 및 수주재(受柱材)는 설치현장마다 한 번 쓰고 버리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가 생기는 동시에, 실시때마다 지지간을 제작해야 하는 품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 계단실은 종래공법에서 형틀을 짜서 구축하고 있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후에 형틀을 제거하는 품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계단과 계단실벽과의 사이에 형틀의 두께몫만큼만 틈이 생겨 계단실내의 미관이 나쁜 동시에 계단실의 내장마감에 품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승간 가능한 승강간에 행거를 착탈자유로이 부착하고, 이것을 이미 설치된 계단부재의 참위로 지지되는 지지수단(파이프잭)으로 지지하고, 상위층의 계단을 구축하고, 그 후 상기 행거를 상기 승강간에서 떼어내며, 상기 승강간을 다음에 계단을 구축해야 할 위치까지 상승시킨다고 하는 공법을 채용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또한, 계단부재 외측의 받침도리의 외면에 계단실용의 내형틀을 걸림할 수 있는 걸림금구를 고정시켜, 이 걸림금구에 상기 내형틀의 상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체를 구축하는 것에 선행하여, 이 구축예정의 구체보다 위에 적어도 1층반분의 높이에 계단부재(A1, B1, A2, B2, A3)를 선행하여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계단부재(A1, B1, A2, B3, A3)의 외측의 받침도리(4) 및 계단참(2, 3)의 끝면에 각각 내형틀(26, 27)을 고정하고, 이 내형틀(26, 27)의 외면측에 소정간격을 두어 철근(31)을 배치하고, 이 내형틀(26, 27)에 대응하는 외형틀(30)을 설치하고, 이들 내형틀(26, 27)과 외형틀(30)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시켜서 구체를 구축함으로써, 항상 구축된 구체에 선행하여 적어도 1층반분의 계단이 구축되어 있도록 하면서, 소정층까지 계단 및 계단실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이다.
상기에 있어서, 계딴부재(A1, B1, A2, B2, A3)는 각각 그 외측의 받침도리(4, 4, 4, 4, 4)의 외면에 계단실용의 내형틀(26, 27, 28)을 걸림할 수 있는 걸림금구(7, 8)를 구비하고 있고, 이 걸림금구(7, 8)에 상기 내형틀(26, 27, 28)의 상하 양끝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a) 기준층(F1)의 계단구축위치(10)의 중간참측(11)에 중간참을 지지하는 제1가대(14)를 설치하고, 플로어참측(12)에 플로어참을 지지하는 제2가대(15)를 설치하는 공정, (b) 제1계단부재(A1)를 기준층(F1)의 바닥과 제1가대(14)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1계단부재(A1)의 중간참측을 제1가대(14)에 고정하고, 다른쪽의 측면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고정하는 공정, (c) 제2계단부재(B1)를 제1계단부재(A1)와 평행으로 하고, 양자간에 소정 간격을 열어 제1가대(14)와 제2가대(15)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2계단부재(B1)의 중간참측을 제1가대(14)에 고정하고, 플로어참측을 제2가대(15)에 고정하는 공정, (d) 기준층(F1)의 중간참측(11)의 제1계단부재(A1)과 제2계단부재(B1)와의 사이에 제1승강간(16)을 입설시켜, 그 하단(16a)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가고정함과 동시에 기준층(F1)의 플로어참측(12)의 제1계단부재(A1)와 제2계단부재(B1)와의 사이에 제2승강간(17)을 입설시켜 그 하단(17a)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가고정하는 공정, (e) 제1승강간(16)에 있어서 기준층(F1)부터 1층반위의 중간참의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18)를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하고, 이 행거(18)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파이프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파이프잭(19)의 하단을 제1계단부재(A1)와 제2계단부재(B1)의 중간참(2, 2)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f) 제1계단부재(A1)의 상방향으로 제3계단부재(A2)을 행거(18)와 제2가대(15)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 측을 행거(18)에 걸어 고정하고, 플로어참(3) 측을 제2가대(15)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g)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의 위에 제1승강간(16)의 권양기(21)를 떼어낼 수 있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제3계단부재(A2) 또는 제2계단부재(B1)의 플로어참(3) 위에 제2승강간(17)의 권양기(22)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설치하는 공정, (h)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을 각각 기준층(F1)의 바닥에서 떼어냄과 동시에, 상기 행거(18)를 제1승강간(16)에서 떼어내고, 권양기(21), 권양기(22)를 각각 작동시켜서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이 각각 기준층(F1) 보다 1층 위의 층(F2)의 바닥위의 위치로 오기까지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을 상승시키는 공정, (i) 제2승강간(17)에 있어서, 기준층(F1)에서 2층위의 플로어참(3)와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25)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행거(25)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행거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행거잭(19)의 하단을 제2계단부재(B1)와 제3계단부재(A2)의 플로어참(3)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j) 제2계단부재(B1)의 상방향으로 제4계단부재(B2)를 상기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과 행거(25)에 가설하고, 제4계단부재(B2)의 중간참(2)측을 상기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에 걸어고정하고, 플로어참(3)측을 행거(25)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k) 제1승강간(16)에 있어 기준층(F1)에서 2층 반위의 중간참의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24)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행거(24)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행거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행거잭(19)의 하단을 제3계단부재(A2)와 제4계단부재(B2)의 중간참(2)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l) 제3계단부재(A2)의 상방향에 있어서, 제5계단부재(A3)를 제4계단부재(B2)의 플로어참(3)과 행거(24)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5계단부재(A3)의 중간참(2)측을 행거(24)에 걸어 고정하고, 플로어참(3)측을 제4계단부재(B2)의 중간참(2)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m) 권양기(21, 22)를 떼어내어 각각 하나위의 층의 중간참(2) 및 플로어참(3) 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이설함과 동시에 상기 행거(24) 및 상기 행거(25)를 각각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서 떼어내고, 권양기(21), 권양기(22)를 각각 작동시켜,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이 각각 기준층(F1) 보다 2층 위의 층(F3)의 바닥위의 위치로 오기까지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을 상승시켜 이후, 상기 (i) 내지 (l)의 공정을 되풀이함으로써 계단을 구축하는 한편, 계단구축에 이어서 1층분씩 구체를 구축해야 할 계단부재(A1, B1, A2, B2, A3)의 외측의 받침도리(4) 및 참(2, 3)의 끝면에 각각 내형틀(26, 27)을 고정하고, 이 내형틀(26, 27)의 외면측에 소정간격을 두어 철근(31)을 배치하고, 이 내형틀(26, 27)에 대응하는 외형틀(30)을 설치하고, 이들 내형틀(26, 27)과 외형틀(30)안에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시켜서 기준층(F1)보다 1층위(F2)까지 구체를 구축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며, 1층분의 구체 구축에 선행하여 적어도 2층반분의 계단을 구축하고, 항상 구축된 구체에 선행하여 적어도 1층 반분의 계단이 구축되어 있도록 하면서 순차 소정층까지 계단 및 계단실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방법에 있어서, 권양기(21, 22)는 각각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 끼워 장착되어 사용되는 권양기로써, 축이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있어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 구비되어 있는 랙(3)에 맞물리는 피니언(4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계단부재(A1, B1, A2, B2, A3)는 각각 그 외측의 받침도리(4, 4, 4, 4, 4)의 외면에 계단실용의 내형틀(26, 27, 28)을 걸 수 있는 걸림금구(7, 8)를 구비하고 있고, 이 걸림금구(7, 8)에 상기 내형틀(26, 27, 28)의 상하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내측 받침도리(5)와 계단실 형성용의 내형틀(26, 27, 28)을 걸림할 수 있는 걸림금구(7, 8)를 외측면에 구비하고 있는 외측받침도리(4)와의 사이에 소정수의 발판(1)의 양단부가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부재를 제안하는 것이다.
[작용]
이상의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기설된 계단부재의 참위에 설치한 승강수단(권양기)에 의해 승강간을 상승시키고, 이 승강간에 행거를 착탈자유로이 부착함과 동시에, 이 행거를 상기 계단부재의 참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지지수단(행거잭)에 의해 지지하면서, 이 행거에 상기 계단부재보다 위의 층의 계단부재를 가설하여 구축하고, 그 후 상기 행거를 상기 승강간에서 떼어내어 승강간을 상승시켜, 더 위의 계단과 계단실을 순차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계단실용의 내형틀은 받침도리의 걸림금구에 상하 양단을 걸림고정시켜서 구축될 수 있다.
[실시예]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계단부재의 구성]
소정수의 발판(1) 상하에 중간계단참(2), 플로어계단참(3)을 연결하고, 발판(1), 중간계단참(2) 및 플로어계단참(3)을 받침도리(4, 5)로 끼워, 서로 연결고정시켜 반층분의 계단부재(6)를 구성한다. 상기 계단부재(6)의 외측 받침도리(4)(계단을 구축할 때에 바깥측에 위치하는 받침도리를 지칭한다. 다른쪽을 내측의 받침도리(5)로 한다)의 외면(4a)에 계단실 형성용의 내형틀 상단부를 걸 수 있는 걸림금구(7) 및, 계단실 형성용의 다른 내형틀의 하단부를 걸 수 있는 걸림금구(8)를 각각 고착시킨다(제11도(a)).
상기 걸림금구(7, 8) 각각의 선단부(7a, 8a)는 받침도리(4)와는 반대측에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계단부재(6)는 1층 바닥으로부터 2층 바닥을 구성하는 계단부재를 A1, B1으로 하고, 2층 바닥으로부터 3층 바닥을 구성하는 계단부재(6)를 A2, B2로 하며, 다시 n층 바닥으로부터 n+1층 바닥을 구성하는 계단부재를 An, Bn로 한다.
각 계단부재는 층높이에 따라 소정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최하단용의 계단부재(A1)는 플로어계단참(2)을 생략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제11도(b)).
[내형틀의 구성]
계단부재의 받침도리형상에 따른 소정형상의 경량콘크리트판(41)의 소정위치에 부착구멍(41a, 41a)을 뚫어 설치하여 내형틀(26)을 형성한다(제12도(a)).
[기준부분의 계단구축방법]
(1) 기준층(F1)의 계단구축위치(10)의 중간계단참측(11)에 슬래브(13)상에 계단참의 전체쪽에 걸치는 길이의 중간계단참 가대(제1가대)(14)를 설치한다.
상기 계단구축위치(10)의 플로어계딴참측(제2가대)(12)에 플로어계단참가대(15)를 설치한다.
(2) 상기 계단구축위치(10)에 맞추어서 중간계단참가대(14)에 계단부재(A1)(제1계단부재)의 중간계단참측을 걸어 고정한다. 상기 계단부재(A1)의 중간계단참측의 다른쪽 단부를 슬래브(13)상에 돌출한 앵커볼트(도시하고 있지 않음)에 고정한다.
(3) 중간계단참가대(14)와 플로어측 계단참가대(15)에 계단부재(B1)(제2의 계단부재)의 중간계단참(2)측과 플로어계단참(3)측을 각각 걸어 고정한다.
상기 계단부재(A1)와 계단부재(B1)는 평면상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4) 상기 계단구축위치(10)의 중간계단참(11)의 상기 계단부재(A1)와 계단부재(B1)와의 사이에 제1승강간(16)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이 제1승강간(16)의 하단(16a)을 슬래브(13)에 임시 고정한다. 동일하게 상기 계단구축위치(10)의 플로어계단참측(12)의 상기 계단부재(A2)와 계단부재(B1)와의 사이에 제2승강간(17)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이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을 슬래브(13)에 임시 고정한다.
상기 제1승강간(16)과 제2승강간(17)에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 들보로 연결하고 있다.
(5) 상기 제1승강간의 소정높이위치(바로 위의 계단부재 하면높이에 맞추어서)에 바로 위의 계단부재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행거(18)를 볼트 및 너트로 임시 고정하고, 이 행거(18)의 양 단부에 승강이 자유로운 파이프잭(19, 19)의 상단부를 부착하고, 이 파이프잭(19) 하단을 각각 계단부재(A1, B1)의 중간계단참(2, 2) 위에 지지한다.
상기 행거(18)와 파이프잭(19)으로 제3가대를 구성한다.
(6) 상기 계단부재(A1) 윗쪽에 계단부재(A2)(제3의 계단부재)를 배치하고, 이 계단부재(A2)의 중간계단참(2) 측을 상기 행거(18)에 걸어서 고정하며, 플로어측 계단참(3) 측을 플로어계단참가대(15)에 걸어서 고정한다(제1도).
(7) 상기 계단부재(A2)의 중간계단참(2) 위에 승강간의 권양기(21)를 제거할 수 있게 설치하고, 이 권양기(21a)를 상기 제1승강간(16)에 끼워 장착한다. 동일하게 상기 계단부재(A2)의 플로어측 계단참(3) 위에 승강간의 권양기(22)를 제거할 수 있게 설치하고, 이 권양부(22a)를 상기 제2승강간(17)에 끼워 장착한다.
상기 승강간(16, 17)에는 상하방향으로 랙(20)이 설치되며, 상기 권양기(21, 22)의 권양부(21a, 22a)에는 상기 랙(20)에 맞물리는 피니언(40)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40)의 축은 모터 등의 동력에 연결되며 또한 반전방지용의 스토퍼가 부착되어 있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8) 제1승강간(16)과 행거(18)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및 너트를 떼어내고, 제1승강간(16)과 슬래브(13)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및 너트를 떼어내고, 마찬가지로 제2숭강간(17)과 슬래브(13)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및 너트를 떼어낸다.
(9) 권양기(21, 22)를 작동시켜,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을 상승시키고,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이 구축예정의 2층 바닥(F2)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한 시점에서 권양기(21, 22)를 정시시킨다(제3도).
제2승강간(17)에 있어서, 기준층(F1)보다 2층 위의 층(F2)의 계단부재의 플로어참의 하면을 지지하는 위치에 행거(25)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한다. 제1승강간(16)에 있어서, 기준층(F1)보다 2층 반위의 계단부재의 중간참의 하면을 지지하는 위치에 행거(24)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한다(제3도).
(10) 행거(25)에 파이프잭(19, 19)의 상단부를 부착시켜 파이프잭(19, 19)을 아래쪽으로 뻗게 하고, 이 하단을 각각 계단부재(B1)의 플로어계단참(3), 계단부재(A2)의 플로어계단참(3)에 지지한다.
다음에 계단부재(B1) 윗쪽에 계단부재(B2)를 배치하고, 이 계단부재(B2)의 중간계단참(2) 측을 상기 계단부재(A2)의 중감참측에 걸어서 고정하며 이 계단부재(B2)의 플로어 계단참(3) 측을 행거(25)에 걸어서 고정한다.
(11) 행거(24)에 파이프잭(19, 19)의 상단부를 부착하여 파이프잭(19, 19)을 아래쪽으로 뻗고, 그 하단을 각각 계단부재(A2)의 중간계단참(2), 계단부재(B2)의 중간계단참(2)에 지지한다(제4도).
(12) 계단부재(A2) 윗쪽에 계단부재(A3)을 배치하고, 계단부재(A3)의 중간계단참(2)을 행거(24)에 걸어서 고정하고, 계단부재(A3)의 플로어계단참(3)을 행거(25)에 걸어서 고정한다.
다음에 권양기(21)를 상기 계단부재(A2)의 중간계단참(2)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계단부재(A3)의 중간계단참(2)에 제거할 수 있게 설치한다.
동일하게 권양기(22)를 상기 계단부재(A2)의 플로어측계단참(3)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계단부재(A3)의 플로어계단참(3)을 떼어내기 가능하게 설치한다(제4도 쇄선 도시).
(13) 계단부재(A1) 및 계단부재(B1)의 걸림금구(7, 7)와 슬래브(13)와의 사이에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계단실의 내형틀(26, 26)을 걸어서 고정한다.
동일하게 계단부재(A1)의 걸림금구(8, 8)와 계단부재(A2)의 걸림금구(7, 7)간 및 계단부재(B1)의 걸림금구(8, 8)와 계단부재(B2)의 걸림금구(7, 7)간에 각각 내형틀(27)을 걸어서 고정한다.
또 계단부재(A2)의 걸림금구(8, 8)와 계단부재(A3)의 걸림금구(7, 7)간에 각각 내형틀(28)을 걸어서 고정한다(제7, 8도). 도면중 29는 계단실로부터 실내에의 출입구를 구성하는 개구이다.
(14) 상기 내형틀(26, 27, 28)에 따라 철근(31, 31)을 소정대로 배근하고, 상기 내형틀에 대응하는 계단실의 외형틀(30)을 배치하는 동시에, 내형틀과 외형틀(30)을 종래의 체결금구(세퍼레이터(32), 폼타이(33), 와이프(34) 등)로 일체로 연결한다(제10도).
또 다른 구체구축용 형틀도 동일하게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2층 바닥(F2)까지 구체를 구축한다.
(15) (8)∼(14)를 반복하여 소정의 층까지 계단부재를 쌓아 올리는 동시에 계단실용의 내형틀을 구축하여 계단 및 계단실을 구축한다.
(16) 콘크리트가 고화된 후, 권양장치(21, 22), 제1승강간(16), 제2승강간(17), 각 행거, 잭 및 외형틀(30)을 제거한다. 여기서 내형틀(26, 27, 28, …)은 존치식 형틀이며, 제거하지 않고 도장 등으로 내면을 마감하거나 또는 마감하지 않고 계단실 내벽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경량콘크리트판(41)으로부터 내형틀(26)을 형성하였으나, 내형틀(26)은 길이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친 오목홈(42, 42) 및 볼록홈(43, 43)을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제12도(b)).
또 내형틀(26)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배치한 파형굴곡철근(45, 45)의 상단부를 상부 철근(46)을 통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파형굴곡철근(45, 45)의 하단부를 콘크리트판(44)안에 매설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제13도(a), (b), (c)). 또한 내형틀은 콘크리트계의 재질로 하였으나, 강판, 목판, 석판 그외 존치식형틀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이면 재질은 따지지 않는다. 또한 내형틀형상도 계단실내의 마감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계단부재(A1), 중간계단참가대(14), 플로어계단참가대(15)는 직접 슬래브(13)에 고정하였으나, 제1도의 쇄선도시와 같이 슬래브(13)에 지지틀(36)을 고정 혹은 매설하여 이 지지틀(36)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6도의 쇄선도시와 같이 평면위치에서 계단구축위치(10)의 외주에 연하여, 즉 계단실벽내에 매설되는 위치에 또는 계단부재(A2)의 플로어계단참 하부의 높이에서 둘러싸기틀(37)을 구축한 후에 각 계단부재를 구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계단부재 바깥측의 받침도리(4) 외면(4a)에 계단실형성용의 내형틀 상단부를 걸 수 있는 걸림금구(7) 및 계단실형성용의 다른 내형틀의 하단부를 걸 수 있는 걸림금구를 각각 고착하고, 걸림금구(7, 8)를 고착한 계단부재를 사용하면, 다른 방법에 의해 계단을 구축할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도시하고 있지 않음).
다만 이때의 계단구축방법은 콘크리트타설예정의 구체구축에 선행하여, 적어도 1층 반분의 계단을 구축할 수 없으면 안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금구(7, 8)를 부착하고 있지 않는 계단부재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계단부재를 순타적으로 적층하고, 계단부재의 받침도리 및 중간계단참 및 플로어계단참에 존치식 형틀로 하는 내형틀을 접착시켜 고정할 수도 있으며, 또 접착 이외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금구(7, 8)를 부착하고 있지 않는 계단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1) 내지 (12)의 방법으로 계단부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계단을 구성하고, 종래의 방법으로 내형틀 및 외형틀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실을 구축한 후에 내외 양 형틀을 제거한다.
[발명의 효과]
기설 계단부재상에 설치한 승강수단에 의해 수직으로 배치된 기지간을 승강시켜 행거를 붙이거나 떼면서 계단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계단구축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고, 지지간을 승강시키기 위한 다른 중기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인원을 삭감하고, 공기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계단의 계단참만의 작업으로 지지간은 인양할 수 있으므로, 다른 구축작업에 지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걸림금구에 내형틀을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계단실용의 내형틀을 계단부재의 구축과 같은 공정으로 구축할 수 있는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후에 내형틀을 제거하는 품이 생략되므로 형틀구축작업을 간략화하여 숙련공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계단실용의 내형틀은 존치식 형틀로 하여 계단부재에 밀착고정되므로 계단실벽과 계단간에 틈이 생기는 일이 없이 보다 안전한 계단을 구축할 수 있고 다양한 내장마감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존치식 형틀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어 목재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체를 구축하는 것에 선행하여, 이 구축예정의 구체보다 위에 적어도 1층반분의 높이에 계단부재(A1, B1, A2, B2, A3)를 선행하여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계단부재(A1, B1, A2, B3, A3)의 외측의 받침도리(4) 및 계단참(2, 3)의 끝면에 각각 내형틀(26, 27)을 고정하고, 이 내형틀(26, 27)의 외면측에 소정간격을 두어 철근(31)을 배치하고, 이 내형틀(26, 27)에 대응하는 외형틀(30)을 설치하고, 이들 내형틀(26, 27)과 외형틀(30)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시켜서 구체를 구축함으로써, 항상 구축된 구체에 선행하여 적어도 1층반분의 계단이 구축되어 있도록 하면서, 소정층까지 계단 및 계단실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계단부재(A1, B1, A2, B2, A3)는 각각 그 외측의 받침도리(4, 4, 4, 4, 4)의 외면에 계단실용의 내형틀(26, 27, 28)을 걸림할 수 있는 걸림금구(7, 8)를 구비하고 있고, 이 걸림금구(7, 8)에 상기 내형틀(26, 27, 28)의 상하 양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3. (a) 기준층(F1)의 계단구축위치(10)의 중간참측(11)에 중간참을 지지하는 제1가대(14)를 설치하고, 플로어참측(12)에 플로어참을 지지하는 제2가대(15)를 설치하는 공정, (b) 제1계단부재(A1)를 기준층(F1)의 바닥과 제1가대(14)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1계단부재(A1)의 중간참측을 제1가대(14)에 고정하고, 다른쪽의 측면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고정하는 공정, (c) 제2계단부재(B1)를 제1계단부재(A1)와 평행으로 하고, 양자간에 소정 간격을 열어 제1가대(14)와 제2가대(15)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2계단부재(B1)의 중간참측을 제1가대(14)에 고정하고, 플로어참측을 제2가대(15)에 고정하는 공정, (d) 기준층(F1)의 중간참측(11)의 제1계단부재(A1)과 제2계단부재(B1)와의 사이에 제1승강간(16)을 입설시켜, 그 하단(16a)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가고정함과 동시에 기준층(F1)의 플로어참측(12)의 제1계단부재(A1)와 제2계단부재(B1)와의 사이에 제2승강간(17)을 입설시켜 그 하단(17a)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가고정하는 공정, (e) 제1승강간(16)에 있어서 기준층(F1)부터 1층반위의 중간참의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18)를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하고, 이 행거(18)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파이프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파이프잭(19)의 하단을 제1계단부재(A1)와 제2계단부재(B1)의 중간참(2, 2)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f) 제1계단부재(A1)의 상방향으로 제3계단부재(A2)을 행거(18)와 제2가대(15)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 측을 행거(18)에 걸어 고정하고, 플로어참(3) 측을 제2가대(15)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g)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의 위에 제1승강간(16)의 권양기(21)를 떼어낼 수 있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제3계단부재(A2) 또는 제2계단부재(B1)의 플로어참(3) 위에 제2승강간(17)의 권양기(22)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설치하는 공정, (h)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을 각각 기준층(F1)의 바닥에서 떼어냄과 동시에, 상기 행거(18)를 제1승강간(16)에서 떼어내고, 권양기(21), 권양기(22)를 각각 작동시켜서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이 각각 기준층(F1) 보다 1층 위의 층(F2)의 바닥위의 위치로 오기까지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을 상승시키는 공정, (i) 제2승강간(17)에 있어서, 기준층(F1)에서 2층 위에 플로어참(3)의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25)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행거(25)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행거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행거잭(19)의 하단을 제2계단부재(B1)와 제3계단부재(A2)의 플로어참(3)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j) 제2계단부재(B1)의 상방향으로 제4계단부재(B2)를 상기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과 행거(25)에 가설하고, 제4계단부재(B2)의 중간참(2)측을 상기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에 걸어고정하고, 플로어참(3)측을 행거(25)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k) 제1승강간(16)에 있어 기준층(F1)에서 2층 반위의 중간참의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24)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행거(24)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행거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행거잭(19)의 하단을 제3계단부재(A2)와 제2계단부재(B2)의 중간참(2)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l) 제3계단부재(A3)의 상방향에 있어서, 제5계단부재(A3)를 제4계단부재(B2)의 플로어참(3)과 행거(24)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5계단부재(A3)의 중간참(2)측을 행거(24)에 걸어 고정하고, 플로어참(3)측을 제4계단부재(B2)의 중간참(2)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m) 권양기(21, 22)를 떼어내어 각각 하나위의 층의 중간참(2) 및 플로어참(3) 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이설함과 동시에 상기 행거(24) 및 상기 행거(25)를 각각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서 떼어내고, 권양기(21), 권양기(22)를 각각 작동시켜,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이 각각 기준층(F1) 보다 2층 위의 층(F3)의 바닥위의 위치로 오기까지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을 상승시켜 이후, 상기 (i) 내지 (l)의 공정을 되풀이함으로써 계단을 구축하는 한편, 계단구축에 이어서 1층분씩 구체를 구축해야 할 계단부재(A1, B1, A2, B2, A3)의 외측의 받침도리(4) 및 참(2, 3)의 끝면에 각각 내형틀(26, 27)을 고정하고, 이 내형틀(26, 27)의 외면측에 소정간격을 두어 철근(31)을 배치하고, 이 내형틀(26, 27)에 대응하는 외형틀(30)을 설치하고, 이들 내형틀(26, 27)과 외형틀(30)안에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시켜서 기준층(F1)보다 1층위(F2)까지 구체를 구축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며, 1층분의 구체 구축에 선행하여 적어도 2층반분의 계단을 구축하고, 항상 구축된 구체에 선행하여 적어도 1층 반본의 계단이 구축되어 있도록 하면서 순차 소정층까지 계단 및 계단실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권양기(21, 22)는 각각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 끼워 장착되어 사용되는 권양기로써, 축이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있어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 구비되어 있는 랙(3)에 맞물리는 피니언(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계단부재(A1, B1, A2, B2, A3)는 각각 그 외측의 받침도리(4, 4, 4, 4, 4)의 외면에 계단실용의 내형틀(26, 27, 28)을 걸 수 있는 걸림금구(7, 8)를 구비하고 있고, 이 걸림금구(7, 8)에 상기 내형틀(26, 27, 28)의 상하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6. (a) 기준층(F1)의 계단구축위치(10)의 중간참측(11)에 중간참을 지지하는 제1가대(14)를 설치하고, 플로어참측(12)에 플로어참을 지지하는 제2가대(15)를 설치하는 공정, (b) 제1계단부재(A1)를 기준층(F1)의 바닥과 제1가대(14)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1계단부재(A1)의 중간참측을 제1가대(14)에 고정하고, 다른쪽의 측면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고정하는 공정, (c) 제2계단부재(B1)를 제1계단부재(A1)와 평행으로 하고, 양자간에 소정 간격을 열어 제1가대(14)와 제2가대(15)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2계단부재(B1)의 중간참측을 제1가대(14)에 고정하고, 플로어참측을 제2가대(15)에 고정하는 공정, (d) 기준층(F1)의 중간참측(11)의 제1계단부재(A1)과 제2계단부재(B1)와의 사이에 제1승강간(16)을 입설시켜, 그 하단(16a)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가고정함과 동시에 기준층(F1)의 플로어참측(12)의 제1계단부재(A1)와 제2계단부재(B1)와의 사이에 제2승강간(17)을 입설시켜 그 하단(17a)을 기준층(F1)의 바닥에 가고정하는 공정, (e) 제1승강간(16)에 있어서 기준층(F1)부터 1층반위의 중간참의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18)를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하고, 이 행거(18)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파이프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파이프잭(19)의 하단을 제1계단부재(A1)와 제2계단부재(B1)의 중간참(2, 2)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f) 제1계단부재(A1)의 상방향으로 제3계단부재(A2)을 행거(18)와 제2가대(15)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 측을 행거(18)에 걸어 고정하고, 플로어참(3) 측을 제2가대(15)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g)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의 위에 제1승강간(16)의 권양기(21)를 떼어낼 수 있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제3계단부재(A2) 또는 제2계단부재(B1)의 플로어참(3) 위에 제2승강간(17)의 권양기(22)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설치하는 공정, (h)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을 각각 기준층(F1)의 바닥에서 떼어냄과 동시에, 상기 행거(18)를 제1승강간(16)에서 떼어내고, 권양기(21), 권양기(22)를 각각 작동시켜서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이 각각 기준층(F1) 보다 1층 위의 층(F2)의 바닥위의 위치로 오기까지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을 상승시키는 공정, (i) 제2승강간(17)에 있어서, 기준층(F1)에서 2층 위에 플로어참(3)의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25)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행거(25)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행거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행거잭(19)의 하단을 제2계단부재(B1)와 제3계단부재(A2)의 플로어참(3)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j) 제2계단부재(B1)의 상방향으로 제4계단부재(B2)를 상기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과 행거(25)에 가설하고, 제4계단부재(B2)의 중간참(2)측을 상기 제3계단부재(A2)의 중간참(2)에 걸어고정하고, 플로어참(3)측을 행거(25)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k) 제1승강간(16)에 있어 기준층(F1)에서 2층 반위의 중간참의 하면에 위치하는 높이에 행거(24)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행거(24)의 하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행거잭(19)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행거잭(19)의 하단을 제3계단부재(A2)와 제4계단부재(B2)의 중간참(2) 위에서 지지하는 공정, (l) 제3계단부재(A3)의 상방향에 있어서, 제5계단부재(A3)를 제4계단부재(B2)의 플로어참(3)과 행거(24)에 가설함과 동시에 제5계단부재(A3)의 중간참(2)측을 행거(24)에 걸어 고정하고, 플로어참(3)측을 제4계단부재(B2)의 중간참(2)에 걸어 고정하는 공정, (m) 권양기(21, 22)를 떼어내어 각각 하나위의 층의 중간참(2) 및 플로어참(3) 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이설함과 동시에 상기 행거(24) 및 상기 행거(25)를 각각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서 떼어내고, 권양기(21), 권양기(22)를 각각 작동시켜, 제1승강간(16)의 하단(16a) 및 제2승강간(17)의 하단(17a)이 각각 기준층(F1) 보다 2층 위의 층(F3)의 바닥위의 위치로 오기까지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을 상승시켜 이후, 상기 (i) 내지 (l)의 공정을 되풀이함으로써 계단을 구축하는 한편, 계단구축에 이어서 1층분씩 구체를 구축해야 할 소정의 형틀(26, 27, 30)을 구축하고, 기준층(F1)보다 1층위(F2)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부재(A1, B1, A2)의 구체측을 콘크리트안에 매설시켜 이 구체에 고정하는 공정을 되출이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권양기(21, 22)는 각각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 끼워 장착되어 사용되는 권양기로써, 축이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있어 제1승강간(16) 및 제2승강간(17)에 구비되어 있는 랙(3)에 맞물리는 피니언(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계단부재(A1, B1, A2, B2, A3)는 각각 그 외측의 받침도리(4, 4, 4, 4, 4)의 외면에 계단실용의 내형틀(26, 27, 28)을 걸 수 있는 걸림금구(7, 8)를 구비하고 있고, 이 걸림금구(7, 8)에 상기 내형틀(26, 27, 28)의 상하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9. 내측 받침도리(5)와 계단실 형성용의 내형틀(26, 27, 28)을 걸림할 수 있는 걸림금구(7, 8)를 외측면에 구비하고 있는 외측받침도리(4)와의 사이에 소정수의 발판(1)의 양단부가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부재(A1, B1, A2, B2, A3).
KR1019930005085A 1992-09-11 1993-03-30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부재 KR0141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69327 1992-09-11
JP26932792A JP3196043B2 (ja) 1992-09-11 1992-09-11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構築方法並びに階段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19A KR940007319A (ko) 1994-04-27
KR0141461B1 true KR0141461B1 (ko) 1999-02-18

Family

ID=1747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085A KR0141461B1 (ko) 1992-09-11 1993-03-30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96043B2 (ko)
KR (1) KR0141461B1 (ko)
CN (1) CN105948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990A (ko) 2019-10-22 2021-05-03 김진곤 건축물 계단실 작업발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6130B2 (ja) * 2002-04-02 2007-12-05 株式会社横森製作所 階段構造及び階段の構築方法
KR100707872B1 (ko) * 2005-07-19 2007-04-16 정민선 고강도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프리캐스트 계단 단위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계단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계단과 그 시공방법
CN102383609B (zh) * 2011-08-18 2013-08-14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半刚性楼梯间及钢楼梯施工方法
CN102864928B (zh) * 2012-10-10 2013-11-27 南通大学 大跨度空间螺旋楼梯施工方法
CN104164951B (zh) * 2014-07-04 2016-05-25 中建一局集团第三建筑有限公司 楼梯休息平台及其施工方法
CN104972551A (zh) * 2015-06-24 2015-10-14 中民筑友有限公司 一种楼梯模具的踏步组件及楼梯模具
CN106193595A (zh) * 2016-08-30 2016-12-07 平煤神马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可抽板条式楼梯支模方法
CN106869421A (zh) * 2017-01-10 2017-06-20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组装式楼梯结构及其安装方法
CN108930402B (zh) * 2018-07-23 2020-06-26 中建铝新材料河南有限公司 一种铝合金模板在楼梯梯段后置一层施工中的工艺
CN111663724A (zh) * 2020-05-12 2020-09-15 中建科技有限公司 一种地铁风井用装配式楼梯及其安装方法
CN112523527B (zh) * 2020-12-04 2024-06-21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楼梯间预设平台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513154A (zh) * 2021-06-29 2021-10-19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踏板、台阶模板单元及台阶模板框架
CN113445544A (zh) * 2021-08-04 2021-09-28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综合管廊节点***及综合管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990A (ko) 2019-10-22 2021-05-03 김진곤 건축물 계단실 작업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19A (ko) 1994-04-27
JPH0693726A (ja) 1994-04-05
CN1083889A (zh) 1994-03-16
JP3196043B2 (ja) 2001-08-06
CN1059483C (zh) 200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1461B1 (ko)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부재
JP4886286B2 (ja) 仮設足場ユニット
SG187296A1 (en) A multi-storey building with prefabricated members and a semi-prefabricat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179045B2 (ja) 作業足場による壁工事方法
KR100695275B1 (ko)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KR102386775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JP3579816B2 (ja) 躯体構築用多目的ステージ
US3805464A (en) Precast staircase
JPH0220354Y2 (ko)
JP270674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階段の施工法とこれに用いる階段手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及び階段段型枠
EP1181423B1 (en) Inner stairs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it
KR200169528Y1 (ko)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JP4011722B2 (ja) 吊り階段
KR101031313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KR100539829B1 (ko) 형강을 이용한 거푸집용 갱폼 인양방법
KR200270297Y1 (ko) 계단 거푸집
JPH0681463A (ja) 階段の構築方法
CN211447419U (zh) 一种节能环保钢结构混凝土预制板及其加装电梯连廊
JP2844096B2 (ja) 建造物における階段の構築方法
JPH05171809A (ja) 鉄骨造建物におけるエレベータシャフトの施工法
JP2649057B2 (ja) 建造物における階段の構築方法
JPH0642184A (ja) ハーフpc床板を用いた躯体の構築方法
JPH10280555A (ja) ユニット型エレベータ
KR20100076167A (ko) 건식 계단참 시스템
JPH075577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および据付用作業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