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010B1 - 태퍼기구 - Google Patents

태퍼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010B1
KR0140010B1 KR1019950000106A KR19950000106A KR0140010B1 KR 0140010 B1 KR0140010 B1 KR 0140010B1 KR 1019950000106 A KR1019950000106 A KR 1019950000106A KR 19950000106 A KR19950000106 A KR 19950000106A KR 0140010 B1 KR0140010 B1 KR 014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iven shaft
engaging piece
tapp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015A (ko
Inventor
하루아키 구보
Original Assignee
기타구치 료이치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구치 료이치,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구치 료이치
Priority to KR101995000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010B1/ko
Publication of KR96002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회전구동하는 태퍼본체에 설치된 클러치에 피구동축에 부착된 걸어맞춤편이 걸어 맞춤하여 태퍼본체의 회전력이 피구동축에 전달되고, 소정 스트로우크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걸어맞춤편이 클러치로부터 이탈하여 태퍼본체로부터의 전달력이 차단되고, 피구동축이 뉴트럴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태퍼기구에 있어서, 피구동축이 뉴트럴 상태로 전환될 때에, 걸어맞춤편이 클러치로부터 빠르게 이탈하기 위한 미끄럼수단이 설정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태퍼기구
제 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의 일부 종단 정면도,
제 2도는 주요부의 작동상태의 제1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 3도는 동 주요부의 작동상태의 제2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 4도는 동 주요부의 작동상태의 제3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 5도는 동 주요부의 작동상태의 최종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 6도는 동 주요부의 다른 주요부의 설명도,
제 7도는 비교예의 주요부의 설명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그중 (a)는 종단정면도, (b)는 종단 측면도, (c)는 다른 실시예의 종단 측면도,
제 9도는 종래예의 종단 정면도,
제 10도는 다른 종래예의 종단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탭30 : 태퍼본체
31,42 : 크러치32 : 피구동축
33 : 걸어맞춤편34 : 미끄럼수단
37 : 클러치 스프링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금속피가공물에 대하여 나사내기가공, 즉 태핑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태핑 어태치먼트(태퍼; tapper)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제 9도 및 제10도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제 9도에 있어서, 1 은 태퍼본체로, 그 기단부측에 공작기계측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축에 장착되는 섕크부(2) 와 머니퓰레이터에 잡혀지는 칼라부(3) 가 형성되고, 태퍼본체(1) 의 내부에는 직경이 큰 부착구멍(4) 이 축방향으로 뚫어 설치되고, 이것에 피구동축(5) 이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피구동축(5) 의 기단측 각축부(角軸部)(5a)에 걸어맞춤편(6) 이 그 각구멍(6a)을 끼워맞춤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한 상태로 직경방향에 돌출설치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태퍼본체(1) 의 내주측에 상기 걸어맞춤편(6)을 정회전시에 걸어맞춤하는 정회전용 클러치(7)가 돌출설치되는 동시에, 이 클러치(7)에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걸어맞춤편(6)이 걸어맞춤하지 않는 뉴트럴용 공간부(8)가 설치되고, 다시 이 공간부(8)로부터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걸어맞춤편(6)을 역전시에 걸어맞춤하는 역전용 클러치(9)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전용 클러치(9)는 태퍼본체(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나 완충 소스프링(10)에 지지되면서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피구동축(5) 의 단면(5b)측에는 태퍼본체(1)의 부착구멍(4)의 기단부측 바닥벽과, 상기 단면(5b)에 분리접촉가능하게 접촉되는 스프링받이(11)와의 사이에 공작기계측과 탭측과의 축방향의 이송오차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스프링(12) (콤프레션 스프링)을 설치하고 있다. 또, 피구동축(5)의 외주측에 돌출설치되는 상기 걸어맞춤편(6)과, 부착구멍(4)의 선단부측 바닥벽과의 사이에 피구동축(5)을 기단부측에 가압하는 복귀스프링(14) (텐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구동축(5)의 선단부측에는 착탈장치(15)가 설치되고, 탭(13)을 유지하는 탭홀더(16)가 상기 착탈장치(15)에 의해 피구동축(5)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태퍼본체(1)의 외주측에 돌출설치된 칼라부(3)를 머니퓰레이터로 잡아 섕크부(2)를 공작기계의 구동축에 장착하고 태퍼본체(1)를 회전시킨다.
태퍼본체(1)의 회전에 의해 정회전용 클러치(7)에 걸어맞춤편(6)이 걸어맞춤되어 피구동축(5)은 정회전하고, 그 선단부측의 탭(13)에 의해 탭구멍이 형성되나, 탭구멍형성 도중에 있어서, 피구동축(5)은 탭구멍자체에 안내되어서, 즉 자기추진력에 의해 태퍼본체 (1)로부터 독립하여 피구동축(5) 이 전진하며, 그리하여 탭구멍형성완료시에 피구동축(5)의 걸어맞춤편(6)은 정회전용 클러치(7)로부터 빠져서 뉴트럴용 공간부(8)에 이르러 태퍼본체(1)로부터의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고, 피구동축(5)이 뉴트럴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구동축에 의해 태퍼본체(1)를 역전시키고, 또한 이것을 기단부측에 약간 이동시킴으로써 뉴트럴용 공간부(8)로부터 걸어맞춤편(6)은 역전용 크러치(9)에 걸어맞춤되고, 피구동축(5)은 역전한다. 그리고, 피구동축(5)의 역전에 의해 동일하게 탭구멍자체에 안내되고, 탭(13)은 탭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제10도는 제 9도에 도시하는 구성요소와 동일부호를 붙인 바와 같이 제8도에 도시한 구조와 거의 동일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다만 제 9도에 도시하는 종래예에 있어서는 역전시에는 공작기계측의 구동축을 역전시키지 않으면 안되나, 제10도에 도시한 종래예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역전기구(17)를 내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축을 역전시킴이없이 일정방향에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역전용 클러치(18)는 항상 역전상태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태퍼본체(1) 의 외주측에 본체커버(19)가 축받이(20)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이 본체커버(19)는 회전방지아암(21)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유지되고, 이 본체커버(19)에 역전용 베벨기어(22)를 축방향으로 직교하여 축지지하고, 이 베벨기어(22)를 사이에 두고 정회전용 클러치(23)에 설치된 기어(24)와, 역전용 클러치(18)에 설치된 기어(25)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정회전용 클러치(23)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역전용 클러치(18)을 향상 역전상태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역전 기구 내장태퍼에 의하면, 공작기계측의 구동축을 하나하나 역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공작기계측의 제어가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느쪽의 종래예도, 클러치(7,23)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6)은, 피구동축(5)과 일체로 축방향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피구동축(5)이 태퍼본체(1)의 회전력의 전달상태로부터 걸어맞춤편(6)이 클러치(7,23)로 부터 이탈되어 비전달상태로, 즉 뉴트럴의 상태로 전환할 때에, 각종 요인에 의한 순간적으로 이탈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고, 이것때문에 전환하기 직전에 걸어맞춤편(6)과 클러치(7,23)와의 사이에 채터링 현상이 생기고, 이 현상에 의함 마모와 태핑 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다분히 있었다. 이 채터링 현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걸어맞춤편(6)과 클러치(7,23)와의 이탈걸어맞춤을 반복하는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이 종류의 장치는 보통 자동기에 장착되고, 태퍼본체(1)의 하강 스트로크는 미리 일정치에 설정되어서 사용되기 때문에, 채터링 현상의 발생은 그만큼 가공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걸어맞춤편이 클러치로부터 이탈하여 전환될 때에, 그 전환 직전의 양자간에 발생하는 채터링 현상의 발생을 불식으로하는 것, 즉 걸어맞춤편이 클러치로부터 이탈하여 전환될 때에, 걸어맞춤편이 클러치로부터 순간적으로 이탈하여 그후에 걸어맞춤이탈을반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걸어맞춤편이 클러치로부터 이탈할 때에, 순간적으로 걸어맞춤편은 클러치로부터 충분한 거리사이가 떨어져서 재차 맞닿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채터링 현상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고, 채터링 발생에 의한 클러치와 걸어 맞춤편과의 걸어맞춤부분의 마모에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클러치와 걸어맞춤편과의 사이의 채터링 현상의 불식에 의해 피구동축의 고속회전에 의하기는 하나 회전전달력의 전환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이것때문에 나사내기 가공작업의 능률을 훨씬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NC 공작기계등 작동기에 적용함으로써 채터링 발생현상을 불식함으로써 자동기의 제어에 따라 정확하게 작동하여 가공정밀도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이 특히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설명되어 있는 한편,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특징 및 장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면들은 예시할 목적으로 개략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도시된 요소의 상대위치 및 크기는 적시할 필요는 없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예시하는 종단면도이며, 태퍼본체(30)의 기단부측에 공작기계측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축에 장차되는 섕크부(38)와 머니퓰레이터로 잡게되는 파지칼라부(39)가 설치되고, 태퍼본체(30) 내부에는 직경이 큰 부착구멍(40)이 축방향으로 뚫어설치되고, 이것에 피구동축(32)이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피구동축(32)의 기단측 축부(32a)에 링형상부재(32b)가 끼워맞춤되어서 이것에 걸어맞춤편(33)이 돌출설치되고, 걸어맞춤편(33)은 피구동축(32)의 외주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단측 축부(32a)와 이것에 끼워맞춤되는 링형상부재(33b)는, 가공이 용이한 환축(丸軸)과 환구멍으로 형성된다. 걸어맞춤편(33)에 대응하여 태퍼본체(30)의 내주측에 상기 걸어맞춤편(33)을 정회전시에 걸어맞춤하는 정회전용 클러치(31)가 일체로, 또는 일체적으로(즉, 이 클러치(31)가 태퍼본체(30)와는 별체이나 걸음링 등으로 일체적으로 고정부착하여) 돌출설치되는 동시에, 이 클러치(31)에 축방향으로 인접되어 상기 걸어맞춤편(33)이 걸어맞춤하지 않는 뉴트럴용 공간부(41)가 설치되고, 다시 이 공간부(41)로부터 축방향에 인접하여 상기 걸어맞춤편(33)을 역전시에 걸어맞춤하는 역전용 클러치(4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전용 클러치(42)는 태퍼본체(30)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나, 완충 소스프링 (43)으로 받쳐지면서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회전용 클러치(31)와 역전용 클러치(42)의 축방향 끝가장자리(31a, 42a)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경사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편(33)의 축방향 양끝가장자리((33a, 33d)(제 2도))도 직경방향으로 경사하여 설치된다.
또한, 이들의 경상끝 가장자리(31a, 42a, 33a, 33d)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약간 원호형상의 경사 끝가장자리에 형성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피구동축(32)의 기단부 외주측에는 고정링(44)에 의해 걸음되는 스프링받이 (45)와 걸음편(33)의 기단편(33c)과의 사이에 클러치 스프링(37) 이 끼워장착되고, 걸어맞춤편(33)는 이 클러치 스프링(37)에 의해 정회전용 클러치(31)와의 걸어맞춤 상태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에 항상 가압되어 있다.
걸어맞춤편(33)과 이것이 끼워맞춤되는 피구동축(32)과의 사이에는, 걸어맞춤편(33)과 피구동축(32)과는 서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나, 양자는 서로 독립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종의 미끄럼수단(34)이 끼워장착된다.
이 미끄럼수단(34)의 1예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피구동축(32)의 서로의 대향면에는 볼의 전동에 적합한 단면 U자형상의 볼전동홈(35a, 35b)이 축방향의 일정길이로 뚫어설치되고, 이 볼전동홈(35a, 35b) 사이에 클러치볼(36)이 끼워장착되어 있다. 이것때문에, 걸어맞춤편(33)과 피구동축(32)과는 클러치볼(36)에 걸어맞춤되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나, 걸어맞춤편(33)과 피구동축(32)과는 클러치볼(36)에 안내되어서 상대적으로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구동축(32)의 외주측에 고정링(46)으로 걸리게 되는 스프링받이(47)와 부착구멍(40)의 선단부측 바닥벽과의 사이에 피구동축(32)을 기단부측에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48)(텐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피구동축(32)의 끝면에 분리접촉가능하게 접촉되어 스프링받이를 설치하고, 태퍼본체(30)의 부착구멍(40)의 기단부측 바닥벽과 스프링받이와의 사이에 흡수스프링 (컴플레션 스프링)을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공작기계측과 탭(13)측과의 이송오차를 흡수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 피구동축(32)의 외주며에는 그 작용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완충용링(49)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피구동축(32)의 선단부측에는 착탈 장치가 설치되어, 제 8도는 도시하는 탭(13)을 유지하는 탭홀더가 착탈장치에 의해 피구동축(32)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종래예와 동일하다.
또한, 태퍼본체(30)의 외주측에는 본체커버(50)를 설치하고, 이 커버(50)는 태퍼본체(30)에 키고정되는 키부재(51)와 고무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재(52)에 의해 태퍼본체(30)에 부착되어 있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태퍼본체(30)의 외주측에 돌출설치된 칼라부(39)를 머니퓰레이터로 잡고 섕크부(38)를 공장기계측의 구동축에 장착하여 태퍼본체(30)를 회전시킨다.
태퍼본체(30)의 회전에 의해, 정회전용 클러치(31)에 걸어맞춤편(33)이 걸어맞춤하여 피구동축(32)은 정회전하고, 그 선단부측의 탭(13)에 의해 탭구멍이 형성된다. 제 1도 및 제 2도는 탭구멍형성개시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 1도, 특히,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31)에 걸어맞춤편(33)이 끼워맞춤하는 피구동축(32)의 기단부(32a)는 도면중 좌측끝에 위치되고, 따라서 이 피구동축(32)의 스프링받이(45)와 걸어맞춤편(33)과의 사이의 클러치 스프링(37)은 가장 멀리 뻗은 탄발력이 약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편(33)의 볼전동홈(35a)의 도면중 좌단우치와 피구동축(32)의 볼전동홈(35b)의 도면중 우측끝위치와의 사이에 클러치볼(36)이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31), 걸어맞춤편(33) 및 클러치 볼(36)을 통해 피구동축(32)이 회전해서 탭구멍 형성작업이 개시되면, 피구동축(32)의 선단부의 도시하지 않은 탭에 의해 피가공물에 나사내기 작업을 행하지만, 이 나사내기 작업에 따라 나사구멍 자체에 안내되고 탭(나사내기 공구)은 외부에서 누르지 않더라도 탭자체가 나사내기 방향으로 전진한다. 탭을 선단부에 설치한 피구동축(32)의 외주에는 클러치 볼(36)을 통해서 걸어맞춤편(33)이 부착되어 있고, 걸어맞춤편(33)은 클러치 스프링(37)으로 가압되지만, 상기한 바와같이 제2도의 상태에서는 피구동축(32)은 도면중 좌측끝에 위치하기 때문에, 클러치 스프링(37)은 가장 늘어진 탄발력이 약한 상태에 있고, 따라서 걸어맞춤편(33)을 도면중 좌측으로 가압하는 힘은 그 시점에서 약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탭자신,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탭과 일체의 피구동축(32)는 그 자기추진력(自己推進力)에 의해 도면중 우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이 피구동축(32)의 자기추진단계에 있어서 클러치(31)와 이것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33)과의 걸어맞춤은 소위 면접촉이며 당연히 양자간의 마찰저항은 크다. 이것에 대하여 걸어맞춤편(33)과 피구동축(32)과의 사이에는 크러치볼(36)이 개재되어있고, 양자간은 마찰계수가 작은 회전마찰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피구동축(32)만이 걸어맞춤편(33)으로부터 독립하여 우선 전진한다.
이것에 의해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받이(45)와 걸어맞춤편(33)과의 사이의 클러치 스프링(37)은 압축되고, 그 탄발력은 증대한다.
그리고, 피구동축(32)이 전진함으로써,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구동축(32)라 일체로 이동하는 스프링받이(45)가 걸어맞춤편(33)의 후단부 단면(33e)에 맞닿을 시점에서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편(33)은 피구동축(32)과 일체적으로 전진하고, 양자는 이탈측 끝가장자리(31a, 33a)에 달한다.
그리하여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어맞품편(33)이 클러치(31)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양자간의 미끄럼움직임 마찰로부터 개방되기 때문에, 걸어맞춤편(33)은 클러치블(36)을 개재한 마찰계수가 작은 회전마찰에 의해, 또한 클러치 스프링(37)에 가압되어서 피구동축(32)위를 순간에 이동하여 걸어맞춤편(33)은 클러치(31)로부터 확실하게 이반되며, 가령 피구동축(32)의 축방향에의 이동이 늦어도 재차 클러치(31)에 맞닿는 일이 없다.
걸어맞품편(33)의 이동끝에서는 양자의 볼전동홈(34, 35)의 끝가장자리에 클러치볼(36)이 위치하기 때문에, 이 클러치볼(36)에 규제되어서 걸어맞춤편(33)은 그 이상 이동하는 일이 없다. 또 걸어맞춤편(33)의 이동끝은 적절히 고무등의 탄성재로 되는 완충용링(49)으로 받쳐져, 이동끝에 있어서의 충격을 적절히 완화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편(33) 및 피구동축(32)의 축방향에의 이동거리에 대하여 클러치볼(36)은 이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클러치볼(36)의 축방향에의 이동량은 대략 1/2 이면 되고, 그것때문에 이 클러치볼(36)이 전동하는 볼전동홈(34, 35)의 축방향길이는, 피구동축(32)의 이동량의 대략 1/2이면 된다.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31)와 이것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33)에 있어서, 양자의 이탈측 끝가장자리(31a, 33a)는 직경방향으로 경사하여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때문에 제 7도에 도시한 종래의 축방향에 직교하여 설치되는 클러치(7) 와, 이것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6)의 서로의 끝가장자리거리(L1)에 비하여, 제 6도에 도시한 끝가장자리(31a, 33a)의 거리(L2)를 길게 취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양자의 이탈직전의 걸어맞춤끝가장자리(31a, 33a)의 서로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 양자간의 국부마찰을 경감하여 양자의 마모발생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끝가장자리(31a, 33a)는 약간 원호형상으로 블록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로서 탭구멍형성완료시에, 걸어맞춤편(33)은 정회전용 클러치(31)로부터 이탈하여 뉴트럴 공간부(41)에 이르고, 피구동축(32)은 태퍼본체(30)로부터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어 뉴트럴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구동축에 의해 태퍼본체(30)을 역전시키고, 또한 이것을 기단부측에 약간 이동함으로써 뉴트럴용 공간부(41)로부터 걸어맞춤편(33)은 역전용 클러치(42)에 걸어맞춤되며 피구동축(32)은 역전한다.
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편(33)과 역전용 클러치(42)의 서로의 걸어맞춤 끝가장자리(33d, 42a)도 직경방향에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양자의 마모발생을 최소한으로 멈추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피구동축(32)의 역전에 의해 동일하게 탭구멍자체에 안내되고, 탭(13)은 탭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걸어맞춤편(33)은 링형상부재(33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 8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편(33A)을 링형상부재(33b)에 설치한 끼워맞춤홈(33c)에 밀접하게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춤하여 부착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걸어맞춤편(33A)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축형상의 것이거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편(33A, 33b)을 링형상부재(33b)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므로써 교환이 용이하다. 또 걸어맞춤편(33A, 33b)만을 내모마성의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공작기계측의 구동축을 정역회점함으로써 작동하는 타입의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역전기구 내장형의 태퍼에 대해서도 전혀 동일하게 적용할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개시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한정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여러가지 개변을 당업자라면 상기 설명으로부터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서 해석된다.

Claims (4)

  1. 회전구동하는 태퍼본체에 설치된 클러치에 피구동축에 부착된 걸어맞춤편이 걸어맞춤되어 태퍼본체의 회전력이 피구동축에 전달되고, 소정 스트로우크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걸어맞춤편이 클러치로부터 이탈하여 태퍼본체로부터의 전달력이 차단되며, 피구동축이 뉴트럴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고, 이 피구동축의 선단부에 탭을 부착하도록 되어 있는 태퍼기구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편과 이것이 부착되는 피구동축하고는 서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나, 걸어맞춤편과 피구동축과는 상대적으로 독립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양자간에는 미끄럼수단이 끼워 장착되고, 또한 걸어맞춤편을 클러치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클러치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미끄럼수단은 상기 걸어맞춤편과 이것이 부착되는 피구동축과의 서로의 대향면에 볼이 축방향에만 전동가능하게 형성된 볼전동홈과, 양 전동홈 사이를 전동하는 클러치볼로 이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퍼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클러치와 이것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편과의 서로의 걸어맞춤 끝가장자리를 직경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끝가장자리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퍼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걸어맞춤편의 미끄럼움직임 종단부에는, 이 걸어맞춤편의 미끄럼 움직임을 완충적으로 받아내는 안충부재가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퍼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은 피구동축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퍼기구.
KR1019950000106A 1995-01-05 1995-01-05 태퍼기구 KR014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106A KR0140010B1 (ko) 1995-01-05 1995-01-05 태퍼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106A KR0140010B1 (ko) 1995-01-05 1995-01-05 태퍼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15A KR960029015A (ko) 1996-08-17
KR0140010B1 true KR0140010B1 (ko) 1998-06-01

Family

ID=1940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106A KR0140010B1 (ko) 1995-01-05 1995-01-05 태퍼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0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15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9572A (en) Power driven screwdriver
US5711380A (en) Rotate percussion hammer/drill shift device
US4967888A (en) Safety clutch for motor-operated hand tool
US5138916A (en) Power operated screwdriver
US6090026A (en) Automatic tool exchanging machine
US4832542A (en) Clutching means adapted for tapping attachment
US5263799A (en) Threading apparatus
KR0140010B1 (ko) 태퍼기구
US6038947A (en) Quick return feed for machine tool
US4029429A (en) Ball drive non-reversing tapping attachment
US5538371A (en) Tapper mechanism
EP0618034B1 (en) Tapping attachment for radial tapping
EP0520771B1 (en) Improved drive in tapping attachment
US4810138A (en) Tap holder
DE3068882D1 (en) Drilling and tapping machine
JP6105445B2 (ja) 作業工具
EP1092896B1 (en) Automatic variable transmission for a power tool
JP2523713Y2 (ja) タッパー機構
EP0720886B1 (en) Tapper mechanism
US11396052B2 (en) Turret tool holder
CN212061005U (zh) 一种联锁调整手柄
US2568785A (en) Rocking type of drilling and tapping appliance for automatic lathes
SU1726172A1 (ru) Резьбонарезна головка
JP3724850B2 (ja) タッパー機構
JP2000061729A (ja) タッパー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