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57B1 -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57B1
KR0130457B1 KR1019930021269A KR930021269A KR0130457B1 KR 0130457 B1 KR0130457 B1 KR 0130457B1 KR 1019930021269 A KR1019930021269 A KR 1019930021269A KR 930021269 A KR930021269 A KR 930021269A KR 0130457 B1 KR0130457 B1 KR 0130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thermoplastic resin
group
fib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408A (ko
Inventor
후사오 도쿠히로
Original Assignee
사이카와 겐조오
니혼 세키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카와 겐조오, 니혼 세키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이카와 겐조오
Publication of KR94000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04H13/02Production of non-woven fabrics by partial defibrillation of oriented thermoplastics fil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의 일례의 부분평면도.
제2도는 상기 분할섬유 부직포(A)를 구성하는 다층구조로 된 분할섬유의 부분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군의 연신테이프로 된 부직포(B)의 일례의 부분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군의 연신테이프로 된 직포(C)의 일례의 부분사시도.
제5도는 상기 부직포(B) 및 직포(C)를 구성하는 다층구조로 된 연신테이프의 부분확대사시도.
제6도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공정도.
제7도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의 열가소성 수지층 2,2' :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
10,11,11',20,30 : 원단의 공급수단 12 : 호퍼
13,40 : 가열수단 14,50 : 통기성 부직표의 권취수단
15 : 닥터나이프(doctor knife)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연신된 다층필름을 분리하여 쪼개진 분할섬유 필름을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經緯)적층하여 이루어진 분할섬유 부직포 연신테이프를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 적층하여 이루어진 부직포 및 그의 연신테이프를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직성(織成)하여 이루어진 직포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재료와, 랜덤 부직포, 접착성 섬유 또는 그의 웨브 및 그들의 혼합물로 된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재료를 열융착에 의해 일체화하여 형성한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의 통기성 강화부직포는 농업용 피복재료, 골프장의 그린커버, 필터, 물가름팩(cutwater bag), 그밖의 각종의 자루류, 오일흡착 재료, 플라워랩, 하우스랩 등의 농업용이나 원예용 자재, 건축용 자재 등에 이용된다.
(종래의 기술)
종래 부직포로서는 레진본드법, 스팃치본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우법, 니들펀치법, 습식법 등에 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에서 대표적인 부직포로서는 핫트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한 레진본드법이나 스팃치본드를 사용한 스팃치본드법, 또는 용융방사한 미연신 필라멘트다발을 아스피 레이터제트에 도입하여 가압공기에 의해 흡입분사해서 연신과 동시에 정전기를 부여하고 그 반발력에 의해 단섬유상으로 개섬하는 동시에 필라멘트와 반대의 전하를 가지는 콘베이어상에 집적하는 스펀본드법 등에 의한 것이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국 특공소 37-4993호, 특공소 43-26559호, 특공소 44-14913호, 특공소 44-21817호, 특공소 45-1941호, 특공소 45-1942호, 특공소 45-10779호, 특공소 45-33876호, 특공소 46-3317호, 등의 각 공보를 그것들의 예로서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진본드법, 스팃치본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우법 등에 의한 부직포는 섬유가 서로 교락함으로써 형성되나 눈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핫트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통례이며, 눈이 섬세하여 필터 등의 용도로서는 유용하나 충분한 연신이 되어 있지 않고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낮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연신된 부직포로서는 용융수지를 T다이 또는 관상 다이로 필름형성하여 연신한후 섬유를 분할하여 얻어진 망상조직의 분할섬유(스픗릿 파이버)를 일정한폭으로 전개하여 고정하고,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적층하여 얻어지는 분할 섬유 부직포(특공소 47-2786호, 특공소 47-4738호 및 특공소 52-4672호)가 있다. 그러나 이 부직포는 기계적 강도는 있으나 부직포의 눈이 거칠고 필터나 보온성 농업피복재 등의 용도는 사용할 수 없는 등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눈이 섬세하고 필터, 가제, 시이트, 마스크, 복지의 심재, 배터리 세퍼레이터, 오일흡착재, 와이퍼, 루필기재, 하우스랩, 농업용 피복재, 골프장 그린커버, 물가름백, 각종의 백류, 플라워랩, 광공업용 자재나 농림업용 자재, 토목건축용 자재 등의 많은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의 저렴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기의 목적에 따라서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다층 1축연신필름을 분할한 필름으로 된 분할섬유 부직포, 다층 1축연신 테이프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직포와 섬유상 랜덤부직포, 접착성 섬유,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와를 열융착한 통기성 강화 부직포가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제1의 발명은 하기 제Ⅰ군의 (A),(B) 및 (C)중에서 선택된 1종의 재료와, 제Ⅱ군의 (D),(E),(F) 및 (G)중에서 선택된 1종의 재료를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통하여 열융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이다.
[제Ⅰ군]
(A)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 필름을 분할한 망상 분할섬유 필름의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적층하여 구성한 분할섬유 부직포;
(B)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 테이프를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적층하여 구성한 부직포;
(C)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 테이프를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직성하여 구성한 직포;
[제 Ⅱ군]
(D) 섬유상 랜덤 부직포;
(E) 접착성 섬유;
(F)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
(G) 섬유상 랜덤 부직포, 접착성 섬유, 접착성 유로, 이루어진 웨브중의 어느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된 부직포;
제2의 발명은 제Ⅰ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 연신테이프로 된 부직포(B), 및 연신테이프로 된 직포(C), 중의 1종의 재료로 양면에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부직포(D), 접착성 섬유(E),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또는 그들중의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G)에서 선택된 1종의 재료를 상기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통하여 용융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이다.
제3의 발명은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부직포(D), 접착성 섬유(E),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또는 그들중의 2이상의 혼합물로 된 부직포(G)에서 선택된 1종의 재료의 양측에, 제1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 연신테이프로 된 부직포(B) 및 연신테이프로이루어진 직포(C)로부터 선택된 1종의 재료를 상기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통하여 열융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이다. 제4의 발명은 상기의 제1발명, 제2발명 및 제3발명의 통기성 강화 부직포 제조방법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Ⅰ군의 다층 1축연신 필름을 분할하여 구성한 분할섬유 부직포(A)또는 다층 1축연신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직포(B) 및 직포(C)는 고융점의 제1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들의 다층 1축연신 필름 또는 테이프로서는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양면에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부여한 3층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Ⅰ군의 대층 1축연신 필름을 분할하여 구성한 분할섬유 부직포(A)는 제1도에 예시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제1의 열가소성 수지와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다층인플레이션법, 다층 T다이법 등의 압출성형에 의해서 제조한 2층 이상의 다층필름에 열날(熱刀)등으로 세로 또는 가로로 슬릿(slit)을 넣어서,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신장배율 1.1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3내지 10배로 1축 또는 2축 배향하여 얻은 분할섬유 필름(제2도참조)을 소망에 따라 폭을 확대해서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적층하여 열고정한 것이다.
제2도중 부호(1)은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이며, 부호(2) 및 (2')는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이다. 또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신테이프의 배향축을 교차시켜서 경위 적층한 부직포(B) 또는 직성한 직포(C)는 제1의 열가소성 수지와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다층인 플레이션법, 다층 T다이법 등의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한 2층 이상의 다층필름을 재단 전 및/ 또는 후에, 세로 및/ 또는 가로방향으로 신장배율 1.1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3내지 10배로 1축 또는 2축배향하고 재단하여 다층연신테이프(제5도)를 제조하고, 이 다층연신테이프를 배향축에 대하여 직각 또는 경사방향으로 경위적층 또는 직성해서 열고정하여 부직포(B) 또는 직포(C)로 한 것이다. 상기 열고정의 방법으로는 가열실린더 드럼에 감으면서 연속적으로 가열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연신 필름 또는 테이프의 구체적인 제법으로는 우선 제 1열가소성 수지와 제 1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 2열가소성 수지를 다층인플레이션법, 다층 T다이법 등의 압출성형에 의해서 성형하여 적어도 2층으로 된 필름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연신배향한다. 배향배율(연신배율)은 1.1 내지 15배이나 바람직하게는 다단으로 배향하는 것이 연신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 1단에서 1.1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배로 1차배향시키고, 다시 제2단 이후에 초기치수에 대하여 연신배율 5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배로 2차, 3차의 배향을 행한다. 상기 다층 1축연신 필름의 연신배율이 1.1배 미만일 경우에는 직포나 부직포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한편, 연신배율이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방법을 연신시키는 것이 어렵고 고가의 장치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연신테이프의 경우에는 상기의 필름을 폭 3mm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30mm의 테이프상으로 재단한 후 길이방향으로 압연 및 /또는 연신에 의하여 1축배향하든가, 또는 1축배향한 후에 테이프상으로 재단하여도 좋다. 배향방법으로서는 로울 압연법 또는 로울 연신법중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나, 연신법에 있어서는 특히 의 1축연신법(擬一軸延伸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압연법이란 열가소성 수지필름을 그 두께보다 작은 간극을 가지는 2개의 가열로울 사이를 통과시켜서 동 수지필름의 융점(연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압축하여 두께의 감소분 만큼 길이를 신장하는 방법을 말한다. 또 의 1축연신법이란 열가소성 수지필름을 로울 간극을 될 수록 작게 한 저속로울과 고속로울(근점로울)사이를 통과시켜서 폭방향의 수축을 될 수록 작게 억제하고 주로 두께만을 감소시켜 연신하는 방법이다. 미연신 필름의 폭을 W', 1축연신 필름의 폭을 W, 연신배율을 V로 할 때, 하기의 식: X = 1(V-1/2)×(W'/W) 으로부터 구해지는 X는 연신의 1축성(擬一軸性)을 표시하는 지수이며, X(0 X 1)의 값이 클수록 의 1축연신성이 크다.
상기 다층필름의 제 1의 열가소성 수지층과 제 2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두께비율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저융점의 제 2의 열가소성 수지가 접착층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두께를 다층필름 전체두께의 50%이하, 바람직하게는 40%이하로 한다. 제 2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두께는 5μm이상이면 열융착시의 접착강도 등의 제물성을 만족하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m 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융점의 제 1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고·중밀도 폴리에틸렌층, 폴리프로필렌, 폴리부덴 -1, 폴리-4-메틸펜텐-1, 폴리헥신-1 등의 α-오레핀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α- 올레핀 끼리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결정성 수지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융점의 제 2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고·중·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등의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에틸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텔렌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변성한 폴리올레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가 있다. 제조상의 이유에서 상기 제1의 열가소성 수지와의 융점의 차는 5℃가 필요하며, 10 내지 50℃의 차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연신 필름의 구체적인 수지의 구성으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텔렌(HDPE)/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DPE/HDPE/LDPE, HDPE/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EVA/HDPE/EVA. 폴리프로필렌(PP), 프로필렌-에텔렌공중합체(PEC), PEC/PP/PEC, 폴리에스테르(PEs)/ 공중합 폴리에스테르(CPEs), CPEs/PEs/CPE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섬유상 랜덤 부직포(D)로는 멀티필라멘트를 집적한 것, 스테이플 파이버를 집적한 것 등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고융점의 제1의 섬유와 저융점의 제2의 섬유를 사용한 섬유상 랜덤 부직포이다. 섬유상 랜덤 부직포(D)의 구체예로서는 ① 고융점의 제 1의 섬유 또는 그의 웨브와 저융점의 제2섬유 또는 그의 웨브 또는 접착수지와의 혼합물을 집적하여 얻어지는 랜덤 부직포, ② 심성분을 형성하는 고융점의 제1의 섬유와 외장 성분을 형성하는 저융점의 제2섬유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를 집적하여 얻어지는 랜덤부직포, ③ 고융점의 제 1의 섬유와 저융점의 제 2의 섬유로 된 병렬형복합섬유를 집적하여 얻어지는 랜덤부직포, ④ 멜트블로우 필라멘트를 집적하여 얻어지는 랜덤 부직포, ⑤ 고융점의 합성펄프 및/ 또는 섬유 또는 그의 웨브와 저융점의 합성펄프 및 /또는 섬유 또는 그의 웨브를 초지하여 얻어지는 랜덤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융점의 제1섬유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등의 함성섬유, 면, 양모, 마 등의 천연섬유 등을 들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암면(rock wool), 금속섬유, 유리섬유, 휘스커 등의 광물섬유를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저융점의 제2의 섬유로는 상기 고융점의 제1섬유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저융점의 제 2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성 섬유(E) 및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란 바람직하게는 고융점의 제1섬유와 저융점의 제 2섬유를 사용한 복합섬유 및 이 섬유로 이루어지는 웨브를 의미하여, 심형(芯型) 또는 병렬형 등의 콘쥬게이트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심형 또는 병렬형 복합섬유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HDPE/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EVA), 폴리프로필렌(PP), 프로필렌-에텔렌공중합체(PEC), PP/HD, 폴리에스테르(PEs)/ 공중합 폴리에스테르(CPEs), PEs/HDPE, PEs/PP, PA, PA/HDPE 등의 여러 가지를 조합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상품으로는 「NBF」,「ES파이버」「UC파이버」, 「엘베스」, 「산모아」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상 랜덤 부직포, 접착성 섬유 또는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중의 2이상의 혼함물로 된 부직포(G), 란 상기 섬유상 랜덤부직포(D)와 접착성 섬유(E)와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이며, 섬유상 랜덤 부직포의 제조시에 그 접착성 섬유 또는 그의 웨브를 동시에 교락하여도 좋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서 통기성 강화 부직포의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1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공정도이다. 부호(11) 및 (11')는 제Ⅰ군의 통기성 다층연신 부직포 또는 직포(이하 부직포라함)의 공급수단이며, 미리 제조한 다층연신 부직포를 감은 원단을 표시한다. 동 공급수단은 다층연신 부직포의 제조공정과 연속적으로 접속하여 있어도 좋다. 부호(12)는 콘쥬게이트 파이버를 공급하는 호퍼, 부호(13)은 집적한 콘쥬게이트 파이버를 열융착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서의 가열실린더, 부호(14)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의 권취수단을 표시한다. 원단의 공급수단(11)으로부터 통기성 다층연신 부직포를 풀러내어 미리 호퍼(12)에 충전한 콘쥬게이트 파이버를 상기 통기성 다층 연신부직포의 상면에 공급한다. 이동하는 통기성 다층연신 부직포상에 집적한 콘쥬게이트 파이버를 닥터나이프(15)를 사용하여 고르게 하면서, 그의 하류에서 원단의 공급수단(11')으로부터 다른 통기성 다층연신 부직포를 공급하여 스테이블 파이버의 상면에 적층한다. 형성한 적층물을 가열수단(13)의 가열실린더 사이를 통하여 열융착에 의해서 일제화하여 통기성 강화부직포를 제조한다. 얻어진 통기성 강화부직포는 권취수단(14)에 의해서 권취되어 제품으로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공정도이다. 호퍼 및 닥터나이프 대신에 통기성 다층연신 부직포의 공급수단(30)을 하나 증설한 점외는 제6도에 도시한 장치의 예와 같다. 즉 부호(10),(20) 및 (30)은 통기성 다층연신 부직포 또는 섬유상 랜덤 부직포의 공급수단을 표시한 것이며, 부호(40)은 부직포의 열융착하기 위한 가열수단인 가열실린더를 , 또 부호(50)은 통기성 부직포의 권취수단을 표시한 것이다. 부호(10),(20) 및 (30)의 통기성 다층연신막 또는 섬유상 랜덤 부직포의 공급수단은, 다층 연신 부직포간에 랜덤 부직포를 협지하는 경우에는 부호(10) 및 (20)의 공급수단은, 다층연신 부직포와 랜덤부직포 각 1종 만의 경우에는 부호(10) 및 (20)의 공급수단을 사용하고, 다층연신 부직포용으로 하고 부호(30)은 랜덤부직포의 공급수단으로 한다. 또 랜덤부직포간에 다층연신 부직포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부호(10),(20)의 공급수단을 랜덤부직포용으로 하고, 부호(30)을 다층연신 부직포의 공급수단으로서 사용하면 좋다.
상기 제Ⅰ군의 부직포와 제Ⅱ군의 부직포 또는 섬유 또는 그의 웨브의 접착층으로 된 제2의 열가소성 수지와 제2섬유는 동종의 수지인 것이 접착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 보온성을 부여한 농업용 피복재로서는 콘쥬게이트 섬유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사용수지)
제1의 열가소성 수지 : 고밀도 폴리에틸렌(MFR 1.0g/10min, 밀도 0.956g/㎤, 융점 129℃; 상품명: 닛세키스타프렌 E710, 니혼세케유 가가쿠(주)제)
제2의 열가소성 수지 : 저밀도 폴리에틸렌(MFR 3.0g/10min, 밀도 0.924g/㎤, 융점 109℃; 상품명: 닛세키레쿠스론 F30, 니혼세케유 가가쿠(주)제)
(다층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의 제조예)
다층수냉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내부층으로하여 그 양면에 상기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배치하여 두께가 15μm(LDPE)/100μm(HDPE)/15μ(LDPE), 평량18g/㎡, 폭 1m의 3층구조로 된 분할 섬유 부직포(A)(연신배율 : 8배)를 제조하였다.
제7도의 장치에 있어서, 부호(10)의 원단으로서 분할섬유 부직포(A)를 사용하고, 부호(20)의 원단으로서 레이온 섬유 50 중량%와 ES파이버(심이 폴리에스테르수지, 외장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복합섬유) 50중량%로 된 랜덤부직포를 사용하여 각각 라인 스피드 40m/min으로 공급해서 가열온도 105 내지 125℃ 및 압력 2.0 내지 4.0㎏/㎠에서 열융착하였다. 제품은 평량 35g/㎡, 두께 110μm, 인장강도(JIS L-1068준거) 17/15㎏/50mm(세로/가로), 인장신도(JIS L-1068 준거) 20/23%(가로/세로), 인열강도(JIS P-8116 준거) 0.5/0.4㎏(세로/가로)이 되었다.
(실시예 2)
제6도에 있어서 부호(11)의 원단으로서 분할섬유 부직포(A)를 사용하여, 레이온 섬유 50중량%와 파이버(심이 폴리에스테르수지, 외장이 폴리에틸렌으로된 복합섬유) 50중량% 로 된 스테이플파이버를 호퍼(12)에 충전하여 제품의 평량이 35g/㎡로 되도록 각각 동급해서 닥터나이프(15)로 고르게 하면서 부호(11')의 원단은 사용하지 않고 열융착하였다. 베품은 두께 120μm, 인장강도(JIS L-1068 준거) 13/11㎏/50mm(세로/가로), 인장신도(JIS L-1068 준거) 18/20%(가로/세로), 인열강도(JIS P-8116 준거) 0.4/0.3㎏(세로/가로)이 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하여 제조한 분할섬유 부직포(A')(평량23g/㎡)를 주행시키면서, 섬유 또는 그의 웨브로서 직접 방사구조로부터 방출된(멜트블로우법)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단섬유군을 상기 분할섬유 부직포( B)상에 공급하여 집적하고, 이어서 얻어진 다층연신 부직포와 집적한 섬유 또는 그의 웨브로 된 적층물을 가열로울 사이에 통하여 열융착하여 통기성 강화 부직포를 얻었다. 다층연신 부직포(A')와 섬유상 랜덤부직포 사이는 전혀 박리하지 않았다.
(실시예 4)
제7도의 장치에 있어서, 부호(10),(20)의 원단으로서 실시예 1의 분할섬유 부직포(A)를 사용하고, 부호(30)의 원단으로서 레이온 섬유 50 중량%와 ES파이버(심이 폴리에스테르수지, 외장이 폴리에틸렌으로 된 콘쥬게이트 섬유) 50중량%로 된 랜덤 부직포를 사용하여 각각 라인 스피드 40m/min으로 공급해서 가열온도 105 내지 125℃, 압력 2.0 내지 4.0㎏/㎠에서 열융착하고, 섬유상 랜덤 부직포를 분할섬유 부직포(A)사이에 협지한 분할섬유 부직포(A)/섬유상 랜덤부직포/분할섬유 부직포(A)의 3층구조를 가지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를 얻었다. 제품은 평량 53g/㎡이며, 분할섬유 부직포(A)와 섬유상 랜덤부직포 사이는 전혀 박리하지 않았다.
(실시예 5)
제7도의 장치에 있어서, 부호(10),(20)의 원단으로서 레이온 섬유 50 중량%와 ES파이버(심이 폴리에스테르수지, 외장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복합섬유) 50중량%로 된 랜덤부직포를 사용하고, 부호(30) 은 원단으로서 분할섬유 부직포를 사용하여 각각 라인 스피드 40m/min으로 공급해서 가열온도 105 내지 125℃, 압력 2.0 내지 4.0㎏/㎠에서 열융착하여, 분할섬유 부직포(A)를 섬유상 랜덤부직포 사이에 협지한 섬유상 랜덤 부직포/분할섬유 부직포(A)/섬유상 랜덤부직포의 3층구조를 가지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를 얻었다. 제품은 평량 52g/㎡이며, 분할섬유 부직포(A)와 섬유상 랜덤부직포 사이는 전혀 박리하지 않았다.
(실시예 6)
제7도의 장치에 있어서, 부호(10)의 원단으로서 분할섬유 부직포(A)를, 부호(20)의 원단으로서 직접 방사구로부터 방출시킨(멜트블로우법)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단섬유군을 집적하여 얻어진 섬유상 랜덤부직포를 압연한 배향섬유상 랜덤부직포를 사용하고, 또한 부호(30)의 원단으로서 ES파이버 사용하여 각각 라인 스피드 40m/min으로 공급해서 가열온도 105 내지 125℃, 압력 2.0 내지 4.0㎏/㎠에서 열융착하였다. 분할섬유 부직포(A)와 섬유상 랜덤부직포 사이는 전혀 박리하지 않았다.
(발명의 효과)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기성 강화 부직포는 열융착에 의해서 간단하게 접착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한 값싸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 섬유상 랜덤부직포의 기계적 강도가 높기 때문에, 부직포의 박육화(薄肉化)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통기성 강화부직포는 농업용피복재, 골프장 그린커버, 필터, 물가름 백 각종 백류 오일흡착 재료, 플라워랩, 하우스랩 등의 농업·원예용 자재, 토목건축자재, 물자유통자재 등에 적합하다.

Claims (14)

  1. 하기 제Ⅰ군의 (A),(B) 및 (C)중에서 선택된 1종의 재료와, 제Ⅱ군의 (D),(E),(F) 및 (G)중에서 선택된 제1종의 재료를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통하여 열융착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제Ⅰ군]
    (A)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 필름을 분할한 망상 분할섬유 필름의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적층하여 구성한 분할섬유 부직포;
    (B)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 테이프를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적층하여 구성한 부직포;
    (C)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테이프를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직성하여 구성한 직포;
    [제 Ⅱ군]
    (D) 섬유상 랜덤 부직포;
    (E) 접착성 섬유;
    (F)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
    (G) 섬유상 랜덤 부직포, 접착성 섬유, 접착성 유로,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중의 어느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된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제Ⅰ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부직포(B), 및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직포(C), 중의 1종의 재료의 양면에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부직포(D), 접착성 섬유(E),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또는 그들중의 어느 2종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G)로부터 선택된 1종의 재료를 그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통하여 용융착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3. 제1항에 있어서,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부직포(D), 접착성 섬유(E),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또는 그들중의 2이상의 혼합물로 된 부직포(G)로부터 선택된 1종의 재료의 양측에, 제1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부직포(B) 및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직포(C)로부터 선택된 1종의 재료를 그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통하여 열융착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제Ⅰ군의 다층 1축연신 필름 또는 테이프의 연신배율 1.1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제Ⅰ군의 다층 1축연신 필름 또는 테이프를 형성하는 제 1열가소성 수지와 저융점의 제 2의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차가 적어도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6. 제5항에 있어서, 제Ⅰ군의 다층 1축연신 필름 또는 테이프를 형성하는 제 1열가소성 수지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며,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저용점인 제 2의 열가성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7. 제1항에 있어서, 제Ⅰ군의 다층 1축연신 필름 또는 테이프의 저융점의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이 다층연신 필름 또는 테이프 전체 두께의 50%이하이며, 또한 두께가 5μm 내지 100μ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8. 제1항에 있어서,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 부직포(D), 접착성 섬유(E),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또는 그들중의 어느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G)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고융점의 제 1섬유와 저융점의 제 2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9. 제 8항에 있어서, 고융점의 제1섬유와 저융점의 제2의 섬유가 콘쥬게이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10. 제1항에 있어서, 제Ⅰ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부직포(B) 및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직포(C), 중의 1종의 재료를 구성하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과,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부직포(D), 접착성 섬유(E),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또는 그들중의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G)중의 1종의 재료의 저융점의 제 2의 섬유가 동종의 열가소성 수지고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11. 제10항에 있어서, 제Ⅰ군의 다층 1축연신 필름 또는 테이프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호모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중의 어느 1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
  12. 하기 제Ⅰ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부직포(B)및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직포(C) 중의 1종의 재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단과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부직포(D), 접착성 섬유(E),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및 그들중의 어느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G)중 1종의 재료를 공급하는 수단, 그 제Ⅰ군의 재료와 제 Ⅱ군의 재료를 적층하여 열융착하는 수단, 및 영융착한 통기성 강화 부직포를 권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의 제조방법.
    [제Ⅰ군]
    (A)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 필름을 분할한 망상 분할섬유 필름의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적층하여 구성한 분할섬유 부직포;
    (B)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 테이프를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적층하여 구성한 부직포;
    (C) 제1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제1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1축연신테이프를 배향축이 교차하도록 경위직성하여 구성한 직포;
    [제 Ⅱ군]
    (D) 섬유상 랜덤 부직포;
    (E) 접착성 섬유;
    (F)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
    (G) 섬유상 랜덤 부직포,접착성 섬유,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중 어느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
  13. 제 12항에 있어서, 제Ⅰ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부직포(B),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직포(C)중에서 선택된 재료를 주행시키고, 그 양면에는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부직포(D), 접착성 섬유(E),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또는 그들중의 어느 2종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G)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공급한 후,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통하여 제 2의 열가소성 수지의융점 이상, 제1의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하에서 열융착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제Ⅱ군의 섬유상 랜덤부직포(D), 접착성 섬유(E),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F), 또는 그들중의 2종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G)로부터 선택된 재료의 양면에, 제1군의 분할섬유 부직포(A), 연신테이프로 된 부직포(B) 및 연신테이프로 이루어진 직포(C)로부터 선택된 1종의 재료를 공급하여, 그 제2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통해 제2의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이상, 제1의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하에서 열융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강화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9930021269A 1992-10-14 1993-10-14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0130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292392 1992-10-14
JP92-302923 1992-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408A KR940009408A (ko) 1994-05-20
KR0130457B1 true KR0130457B1 (ko) 1998-04-08

Family

ID=1791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269A KR0130457B1 (ko) 1992-10-14 1993-10-14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30457B1 (ko)
TW (1) TW2479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184B1 (ko) * 2023-07-19 2023-12-20 주식회사 칠보 친환경 초배지 및 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226B1 (ko) * 2002-10-30 2004-04-14 홍인건설(주)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100644140B1 (ko) * 2005-08-16 2006-11-10 영성산업 주식회사 이중구조를 갖는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735827B1 (ko) * 2006-07-31 2007-07-06 지정환 인장력을 갖는 부직포 및 그의 제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184B1 (ko) * 2023-07-19 2023-12-20 주식회사 칠보 친환경 초배지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408A (ko) 1994-05-20
TW247918B (ko) 199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907A (en) Barrier fabrics which incorporate multicomponent fiber support webs
JPH06207359A (ja) 通気性強化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071705A (en) Composite fibres, water-absorbing material using the composite fibres as a bas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S5849227A (ja) 網目構造物の製造方法
RU2008102372A (ru) Травмозащитный пакет
US4348445A (en) Reinforced film of a combination of thermoplastic netting and oriented film
TWI687314B (zh) 網狀構造體
JPH10130991A (ja) 経緯交差部を熱接着した不織布又は織編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0130457B1 (ko)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WO2017171036A1 (ja) シート材及びこのシート材を用いたアルコール蒸散剤包材
US4144368A (en) Network structure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s
JP2588843B2 (ja) 粘着テ−プ
JP2997404B2 (ja) 強化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H11156986A (ja) 偏平網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19158B2 (ja) 薄手軽量強化熱融着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117801A1 (en) Fabric for making bags
JP2883133B2 (ja) 耐候性織布・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59404B2 (ja) 直交不織布及び直交不織布製の袋
JPH06344484A (ja) 透湿性強化積層体
JPH04352861A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54991A (ja) 強化不織布
WO2019230263A1 (ja) 透明網状構造体
SU1692864A1 (ru) Трехслойный футер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JPS5949915B2 (ja) ラミネ−ト物の製造方法
JP2007118229A (ja) 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