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28116A1 -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28116A1
WO2023128116A1 PCT/KR2022/012022 KR2022012022W WO2023128116A1 WO 2023128116 A1 WO2023128116 A1 WO 2023128116A1 KR 2022012022 W KR2022012022 W KR 2022012022W WO 2023128116 A1 WO2023128116 A1 WO 20231281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bag
garbage
filter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20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성희
홍수정
Original Assignee
(주)씨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씨앤씨솔루션
Publication of WO20231281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281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bage collection device, and relates to a garbage collection device using a bag capable of collecting garbage through the bag by inserting a commercially available bag into a collection container.
  • a vacuum cleaner refers to a cleaning device manufactured to suck dust or the like by a difference in air pressure. Specifically, the vacuum cleaner sucks and cleans dust and the like on the floor of a living room where a carpet is laid by a difference in air pressure.
  •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suction device composed of a suction port, a drive motor, and a rotary blade, a separator, a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like.
  •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vacuum cleaner is as follows.
  • a driving motor rotates the rotary blades at a preset rotational speed to convert the inside of the vacuum cleaner into a vacuum state. After that, dust, debris and air are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 the separator filters out garbage such as dust or debris sucked in by the pressure difference. After that, garbage such as dust or debris i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bin.
  •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vacuum suction device.
  • the user has to separate the collection box in which garbage such as dust and debris is collected from the vacuum cleaner, and then shake off the garbage collected in the collection box in a separate trash box and throw it awa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garbage using a bag capable of collecting garbage through the bag by inserting a bag distributed in the general market in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ox. device is provid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bage collection device using a bag capable of disposing of the bag and garbage in a trash can at once, thereby forming a collection bin, a trash can, and the surroundings of the trash can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using a bag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15 through which garbage and air in the room are sucked, and the suction port 15 A separator 16 for separating garbage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parator 16, and a vacuum suction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or 16 and sucking garbage and air in the room through the suction port 15 and the separator 16 ( 25),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device 16 and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respectively, the passage portion 28 connecting the separation device 16 and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to each other, the separation A collection container 3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device 16, a bag support container 35 provided inside the collection container 30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es 36 formed through the inner and bottom surfaces, A collection bag 40 that is inserted into the bag support box 35 and accommodates garbage, and the passage part 28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ion box 30 and the separation device 16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 and a suction conduit 45 through which the air contained in the flow space 41 is s
  • the collection tube 30 has a first connection portion 33 into which one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is inser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side, and the passage portion 28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9 into which the other side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 a pressure drop occur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16, so that the suction pressure P1 is lower than the internal pressure P2 by the pressure drop value ⁇ P.
  • the suction conduit 45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 part 28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ion container 30 and the separator 16, respectively, so that the space pressure P3 ) is formed equal to the suction pressure (P1), the space pressure (P3) is formed lower than the internal pressure (P2) by the pressure drop value ( ⁇ P), and the collecting bag (40)
  • the air having pressure P2 completely adhere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g support cylinder 35, and the suction pressure P1 is included in the passage part 28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or 16
  • the pressure of air, the internal pressure (P2) is the pressure of air inside the collecting bag (40), and the space pressure (P3) is the flow between the bag support cylinder (35) and the collecting cylinder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of air in the space (41).
  • the separator 16 includes a cyclone separator 20 in which garbage is separated from the ai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to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 the cyclone type separator 2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yclone type separator 20, and the body portion 21 in which the garbage and air sucked from the inlet 15 are accommodated, and A basket 22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body part 21 to move air sucked in from the body part 21, and the inside of the body part 21 is empty, and the lower part has a separator plate.
  • the basket 2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a passing through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yclone type separa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plate 2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holes 23a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20 and the collection box 30, respectively, and through which the garbage passing through the cyclone separator 20 moves.
  • the separator 16 is a filter type separator in which garbage is separated from the air by moving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to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after filtering. 50,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type separation device 50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5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30, respectively, so that the air and garbage passing through the inlet 15 move
  • a plurality of hollows 53a through which air passes ar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support plate 53 and the filter support plate 53, and in the air moving from the collecting container 30 to the filter support plate 53.
  • It includes a filter 54 for filtering out fine dust and a filter cleaning film 54a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ilter 54 to keep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54 clean,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 51)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15, the inlet 15 is tangentially connected to the separation cylinder 51, and in the separation cylinder 51, the inlet 15 The air and waste sucked in through the centrifugal force rotate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container 51 and move toward the collection container 30,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30 i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container 51. And it is characterized by accommodating garbage.
  • the collection container 30 collects the garb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paration container 51, and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removes the air receiv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30 and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 the filter 54 filters out a plurality of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cleaning film 54a, and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remov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5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53 of the filter support plate 53 and the passage part 28.
  • the user can insert a bag distributed on the market in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to collect garbage through the bag.
  • the user can throw the bag and the trash together in the trash can, so that the collection bin, the trash can, and the surroundings of the trash can are always kept clean.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clean the collecting bin and the trash can, and also does not need to additionally clean the periphery of the trash can.
  • a commercially available bag can be used as a garbage collection bag,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forming the garbage collection bag.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arbage collection device using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arbage collection device to which a 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4 is a detailed view of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shown in Figure 3;
  • FIG. 5 is a flow chart of air and garbage in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shown in FIG. 4 .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arbage collection device to which a filter typ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7 is a detailed view of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shown in FIG. 6;
  • FIG. 8 is a flow chart of air and garbage in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shown in FIG. 7 .
  • FIG. 9 is a flow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separation container and air and garbage in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shown in FIG. 8 .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arbage collection device 10 using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0 using a bag includes a suction port 15, a separation device 16, a vacuum suction device 25, a passage part 28, a collection container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g support cylinder 35, a collecting bag 40, and a suction conduit 45.
  • the inlet 15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garbage and air in the room are sucked. At this time, the inlet 15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 the separation device 16 communicates with the inlet 15 and serves to separate trash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5 .
  • the separator 16 is formed as a cylindrical or elliptical cylinder with an empty inside.
  •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or 16 and sucks in the garbage and air in the room through the suction port 15 and the separator 16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15. At this time,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is installed on top of the separator 16.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part 28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device 16 and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respectively, to connect the separation device 16 and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to each other.
  • the collection container 3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device 16 .
  • the collection tube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ner side and an open upper side.
  •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inlet 15 passes through the separator 16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 Then, the garbage sucked through the inlet 15 passes through the separator 16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30 by centrifugal force.
  • the bag support tube 35 is provided inside the collection tube 30, and a plurality of pores 36 are formed through the inner and bottom surfaces of the bag support tube 35.
  • the bag support cylinder 3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ner side and an open top. Also, the outer diameter of the bag support cylinder 35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llecting cylinder 30 .
  • the collection bag 40 is inserted into the bag support cylinder 35, and the garbage introduced through the separator 16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llection bag 40.
  • the packaging bag 40 may be formed of vinyl, paper or other materials.
  • a flow space 41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collection bag 40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30 .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 part 28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ing cylinder 30 and the separation device 16, respectively. Therefore, the suction conduit 45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cluded in the flow space 41 between the collecting bag 40 and the collecting container 30 is sucked.
  • the suction conduit 45 is bent twice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with an empty inner side.
  • the suction conduit 45 may be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pipe.
  • the air contained in the flow space 41 between the collecting bag 40 and the collecting container 30 passes through the suction conduit 45 and the passage part 28 and moves to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do.
  • one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communicates with the collecting cylinder 30 and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flow space 41 moves.
  •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communicates with the passage part 28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on device 16, respectively, and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flow space 41 is discharged.
  • the air introduced from the flow space 41 passes through the suction conduit 45 and the passage 28 and is discharged to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
  • a first connection portion 33 into which one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tube 30.
  •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9 in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on one out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28.
  • the other side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is provided with an outlet filter 46 for filtering fine dust includ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 the separator 16 includes a cyclone separator 20 and a filter separator 50.
  • the filter-type separation device 50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is filtered and then moved to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whereby garbage is separated from the air.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arbage collection device 11 to which the cyclone separato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4 is a detailed view of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1 shown in FIG. 3
  • FIG. 5 is a flow chart of air and garbage in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1 shown in FIG.
  • the cyclone separator 20 includes a body 21 , a basket 22 and a separator plate 23 .
  • the body part 21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yclone separator 20, and the inside of the body part 21 accommodates garbage and air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 15.
  •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21 is hollow, the separator plate 23 is formed fla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21,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21 is formed in a circular or oval shape.
  • the basket 22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body part 21, and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from the body part 21 moves.
  • the basket 22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n empty inner side and decreasing in diameter from top to bottom, or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onstant diameter.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a through which air suck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pass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ket 22 .
  •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15 passes through the body portion 21 ,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a of the basket 22 and the passage portion 28 , and is discharged to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
  • the separation plate 23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yclone type separation device 20, and separates the cyclone type separation device 20 from the collection container 30. At this time, the separating plate 2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or elliptic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garbage sucked in through the inlet 15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3a of the cyclone separator 20 and the separator 23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bag 40 by centrifugal force.
  • the pressure of the air inside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is the suction pressure (P1)
  • the pressure of the air inside the collecting bag 40 is the internal pressure (P2)
  • the bag support cylinder 35 and the collecting cylinder 30 The pressure of air in the flow space 41 between the spaces is defined as the space pressure (P3).
  • the garbage suck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passes through the inlet 15, the cyclone separator 20, and the through hole 23a of the cyclone separator 20. It passes through and is accommodated in a package bag inserted inside the bag support cylinder 35.
  •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passes through the suction port 15, the cyclone separator 20, the through hole 22a of the basket 22 and the passage 28, and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filter (46).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conduit 45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 part 28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ing cylinder 30 and the cyclone separator 20, respectively, so that the space pressure P3 is suction It is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pressure P1.
  • the space pressure P3 is formed lower than the internal pressure P2 by the pressure drop value ⁇ P.
  • the collection bag 40 is complet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g support cylinder 35 by the air having the internal pressure P2. Accordingly, the collection bag 40 is converted into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bag support cylinder 35 .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arbage collection device 12 to which the bag and filter type separation device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7 is a detailed view of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2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flow chart of air and garbage in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2 shown in FIG.
  • FIG. 9 is a flow diagram of the structure of the separator container 51 and air and garbage in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2 shown in FIG. 8 .
  •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2 to which the bag and filter type sepa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filter type separator 50.
  • the filter-type separation device 50 includes a separation cylinder 51, a body portion 52, a filter support plate 53, a filter 54, and a filter cleaning film 54a.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container 51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15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30, respectively, and becom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 waste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15 move.
  • the separation cylinder 5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ner side.
  • the inner diameter of the separation cylinder 51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15 , and the inlet 15 is tangentially connected to the separation cylinder 51 .
  • the body portion 5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type separation device 50.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5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ner side.
  • the filter support plate 53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2, and a plurality of hollow holes 53a through which air suck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pass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support plate 53. do. At this time, the filter support plate 5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filter 54 is provided under the filter support plate 53 to filter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moving from the collecting container 30 to the body 52 .
  • the filter cleaning film 54a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54 to keep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54 clean.
  • the separation container 51 air and waste sucked through the inlet 15 rotate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51 by centrifugal force and move toward the collecting container 30. And, the collection box 30 accommodates the air and waste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paration box 51 .
  • the collection bin 30 collects the garb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paration bin 51 . Then,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moves the air contain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30 and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oward the filter cleaning film 54a.
  •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discharg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54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53 and the passage part 28 of the filter support plate 53.
  • the air contain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30 and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 through the filter cleaning film 54a and the filter 54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
  • Most of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cleaning film 54a, and the remaining fine dust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54.
  •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cleaning film 54a and the filter 54 is filtered by the vacuum suction device 25 through the plurality of hollows 53a of the filter support plate 53 and the body portion 52 An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portion 2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ilter 54 can always be kept clean by separately separating and cleaning only the filter cleaning film 51a.
  • the basic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other than the filter type separation device 50 is the cyclone type separation device shown in FIG. 3 ( 20) is the same as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1 applied.
  • a user can insert a bag distributed on the market into the collection container 30 and collect trash through the bag.
  • the user can throw the bag and the garbage together in the trash can, so that the collection container 30, the trash can, and the surroundings of the trash can always be formed in a clean stat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clean the collecting container 30 and the garbage can, and also does not need to additionally clean the periphery of the garbage can.
  • a bag circulated on the market can be used as a garbage collection bag, so that the cost of forming the garbage collection bag 40 can be reduced. there is.
  • the main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bage collection device 10 using a bag
  •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a tru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ope is based on the claims, but will extend to equivalent embodiments that may exist in various ways.
  • outlet filter 50 filter type sepa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yclon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및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장치(16), 상기 분리장치(16)와 연통되어,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16)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5),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16)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면 및 밑면에 다수의 기공(36)이 관통 형성되는 봉지지지통(35),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부에 삽입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도관(45)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본 발명은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집통의 내부에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삽입하여, 상기 봉지를 통해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먼지 등이 흡입되도록 제작된 청소 기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카펫이 깔려 있는 거실 바닥의 먼지 등을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흡입하여, 청소한다.
도 1은 기존의 진공청소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는 흡입구, 구동모터 및 회전날개로 구성된 진공흡입장치, 분리장치, 포집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공청소기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Driving Motor)는 회전날개를 사전에 설정된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진공청소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환시킨다. 그 이후, 먼지, 찌꺼기 및 공기는 압력차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다.
그 이후, 분리장치는 압력차에 의해 흡입된 먼지 또는 찌꺼기 등의 쓰레기를 걸러낸다. 그 이후, 먼지 또는 찌꺼기 등의 쓰레기는 포집통에 포집된다.
그 이후, 공기는 진공흡입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기존의 진공청소기에서는 사용자가 먼지 및 찌꺼기 등의 쓰레기가 포집된 포집통을 진공청소기와 분리한 후, 별도의 쓰레기통에 포집통에 포집된 쓰레기를 털어서 버려야 한다.
이로 인해, 포집통의 내부가 잔존하는 먼지 및 찌꺼기로 인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쓰레기통 및 그 주변이 공중에 비산하는 다수의 먼지 및 찌꺼기로 인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쓰레기 배출 시, 포집통 및 쓰레기통을 깨끗하게 세척해야 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의 주변까지 추가로 청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의 내부에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삽입하여, 상기 봉지를 통해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한번에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는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및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장치(16), 상기 분리장치(16)와 연통되어,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16)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5),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16)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면 및 밑면에 다수의 기공(36)이 관통 형성되는 봉지지지통(35),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부에 삽입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도관(45)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통(30)은 외부 일측에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연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28)는 외부 일측에 상기 흡입도관(45)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연결부(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16)에서는 상기 분리장치(16)를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흡입압(P1)이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도관(45)에서는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공간압(P3)이 상기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내부압(P2)보다 상기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봉지(40)는 상기 내부압(P2)를 갖는 공기에 의해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흡입압(P1)은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에 포함되는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내부압(P2)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봉지지지통(35) 및 포집통(30) 사이의 상기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16)는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되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는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및 공기가 수용되는 바디부(21) 및 상기 바디부(2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바스켓(22)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1)는 내측이 비어 있고, 하부에 분리판(23)이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22)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또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22)은 외주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23)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통과한 쓰레기가 이동하는 관통홀(23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16)는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되는 필터형 분리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분리장치(50)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흡입구(15) 및 포집통(30)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가 이동하는 분리통(51), 상기 필터형 분리장치(50)의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부(52), 상기 몸체부(52)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중공(53a)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지지판(53) 및 상기 필터지지판(5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통(30)에서 상기 필터지지판(53)으로 이동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4) 및 상기 필터(54)의 하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54)의 저면에 부착되는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통(51)의 내경 치수는 상기 흡입구(15)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는 상기 분리통(51)에 접선 방향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리통(51)에서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쓰레기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리통(51)의 내측을 회전하며, 상기 포집통(30)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분리통(51)을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분리통(51)을 통과한 쓰레기를 포집하고, 상기 진공흡입장치(25)는 상기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 및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의 표면에는 상기 포집통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 시, 상기 공기에 포함된 다수의 미세먼지가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4)는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다수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상기 진공흡입장치(25)는 상기 필터(54)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필터지지판(53)의 다수의 중공(53), 상기 통로부(28)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포집통의 내부에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삽입하여, 상기 봉지를 통해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같이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집통 및 쓰레기통을 세척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의 주변도 추가로 청소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는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쓰레기 포집용 봉지로 사용할 수 있어, 쓰레기 포집용봉지에 대한 형성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진공청소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 공기 및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 공기 및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 분리통의 구조 및 공기,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는 흡입구(15), 분리장치(16), 진공흡입장치(25), 통로부(28), 포집통(30), 봉지지지통(35), 포집용봉지(40) 및 흡입도관(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흡입구(15)는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된다. 이때, 흡입구(15)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장치(16)는 흡입구(15)와 연통되어,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및 공기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분리장치(16)는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 또는 타원형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5)는 분리장치(16)와 연통되어,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를 흡입구(15) 및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된 분리장치(16)를 통해 흡입한다. 이때, 진공흡입장치(25)는 분리장치(16)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통로부(28)는 일측 및 타측이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와 각각 연통되어,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포집통(30)은 분리장치(16)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포집통(30)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분리장치(16)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쓰레기는 분리장치(16)를 통과하여, 원심력에 의해 포집통(30)에 수용된다.
그리고, 봉지지지통(35)은 포집통(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봉지지지통(35)의 내측면 및 밑면에는 다수의 기공(36)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봉지지지통(35)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봉지지지통(35)의 외경 치수는 포집통(30)의 내경 치수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포집용봉지(40)는 봉지지지통(35)의 내부에 삽입되고, 포집용봉지(40)의 내측에는 분리장치(16)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가 수용된다. 이때, 포장용봉지(40)는 비닐, 종이 또는 기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41)이 형성된다.
한편, 흡입도관(45)의 일측 및 타측은 포집통(30) 및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흡입도관(45)은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된다.
이때, 흡입도관(45)은 2번 절곡되고, 내측이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흡입도관(45)은 원형 파이프가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는 흡입도관(45)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한다.
그리고, 흡입도관(45)의 일측은 포집통(30)과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흡입도관(45)의 타측은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는 흡입도관(45)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로 배출된다.
한편, 포집통(30)의 외부 일측에는 흡입도관(45)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연결부(33)가 형성된다.
그리고, 통로부(28)의 외부 일측에는 흡입도관(45)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연결부(29)가 형성된다.
한편, 진공흡입장치(25)의 타측에는 진공흡입장치(25)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출구필터(46)가 구비된다.
한편, 분리장치(16)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필터형 분리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에서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바로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된다.
그리고, 필터형 분리장치(50)에서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1)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1)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1)에서 공기 및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는 바디부(21), 바스켓(22) 및 분리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바디부(21)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되고, 바디부(21)의 내측에는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및 공기가 수용된다. 이때, 바디부(21)는 내측이 비어 있고, 바디부(21)의 하부에는 분리판(23)이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바디부(21)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스켓(22)은 바디부(2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바디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바스켓(22)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또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스켓(22)의 외주면에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바디부(21), 바스켓(22)의 다수의 통공(22a)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로 배출된다.
그리고, 분리판(23)은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집통(30)으로부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분리한다. 이때, 분리판(2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또는 타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판(23)의 상면 일측에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통과한 쓰레기가 이동하는 관통홀(23a)이 관통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쓰레기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분리판(23)의 관통홀(23a)을 통과하여, 원심력에 의해 포집용봉지(40)에 수용된다.
한편, 진공흡입장치(25)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흡입압(P1),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내부압(P2), 봉지지지통(35)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을 공간압(P3)으로 정의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쓰레기는 흡입구(15),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관통홀(23a)을 통과하여, 봉지지지통(35)의 내측에 삽입된 포장의 봉지에 수용된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15),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바스켓(22)의 통공(22a)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 및 출구필터(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바스켓(22)에서 상기 바스켓(22)의 통공(22a)을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압(P1)은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도관(45)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포집통(30) 및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상부에 구비된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있어, 공간압(P3)은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공간압(P3)은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포집용봉지(40)는 내부압(P2)을 갖는 공기에 의해 봉지지지통(35)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따라서, 포집용봉지(40)는 봉지지지통(35)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필터형 분리장치(5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지 및 필터형 분리장치(5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2)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2)의 상세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2)에서 공기 및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2)에서 분리통(51)의 구조 및 공기,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봉지 및 필터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2)는 필터형 분리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필터형 분리장치(50)는 분리통(51), 몸체부(52), 필터지지판(53), 필터(54),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분리통(51)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흡입구(15) 및 포집통(30)과 연통되어, 흡입구(15)를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분리통(51)은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분리통(51)의 내경 치수는 흡입구(15)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흡입구(15)는 분리통(51)에 접선 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몸체부(52)는 필터형 분리장치(50)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때, 몸체부(52)는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지지판(53)은 몸체부(52)의 상부에 부착되고, 필터지지판(53)의 상면에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중공(53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필터지지판(5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54)는 필터지지판(53)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집통(30)에서 몸체부(52)로 이동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그리고, 필터 소제용 필름(54a)은 필터(54)의 하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터(54)의 저면에 부착된다.
한편, 분리통(51)에서는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쓰레기가 원심력에 의해 분리통(51)의 내측을 회전하며, 포집통(30)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포집통(30)은 분리통(51)을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를 수용한다.
그리고, 포집통(30)은 분리통(51)을 통과한 쓰레기를 포집한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5)는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 및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가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 시, 필터 소제용 필름(54a)의 표면에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대부분의 미세먼지가 쌓이게 된다. 그리고, 필터(54)는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나머지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5)는 필터(54)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지지판(53)의 다수의 중공(53), 통로부(28)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 및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필터 소제용 필름(54a) 및 필터(54)를 통과한다.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대부분의 미세먼지는 필터 소제용 필름(54a)의 표면에 쌓이게 되고, 나머지 미세먼지는 필터(54)를 통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필터 소제용 필름(54a) 및 필터(54)를 통해 다수의 미세먼지가 걸러진 공기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필터지지판(53)의 다수의 중공(53a), 몸체부(52)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54)를 소제하지 않더라도 필터 소제용 필름(51a)만 별도로 분리하여 소제함으로써, 필터(54)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필터형 분리장치(5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2)에서는 필터형 분리장치(50)를 제외한 쓰레기 포집장치의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1)와 각각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에서는 사용자가 포집통(30)의 내부에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삽입하여, 상기 봉지를 통해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같이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30),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집통(30) 및 쓰레기통을 세척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의 주변도 추가로 청소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에서는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쓰레기 포집용 봉지로 사용할 수 있어, 쓰레기 포집용봉지(40)에 대한 형성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11: 싸이클론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12: 필터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15: 흡입구 16: 분리장치
20: 싸이클론형 분리장치 21: 바디부
22: 바스켓 22a: 통공
23: 분리판 23a: 관통홀
25: 진공흡입장치 28: 통로부
29: 제2 연결부 30: 포집통
33: 제1 연결부 35: 봉지지지통
36: 기공 40: 포집용봉지
41: 유동공간 45: 흡입도관
46: 출구필터 50: 필터형 분리장치
51: 분리통 52: 몸체부
53: 필터지지판 53a: 중공
54: 필터 54a: 필터 소제용 필름
P1: 흡입압 P2: 내부압
P3: 공간압 ΔP: 압력강하값

Claims (6)

  1.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는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및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장치(16);
    상기 분리장치(16)와 연통되어,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16)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5);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16)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면 및 밑면에 다수의 기공(36)이 관통 형성되는 봉지지지통(35);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부에 삽입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도관(45);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30)은
    외부 일측에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연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28)는
    외부 일측에 상기 흡입도관(45)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연결부(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16)에서는
    상기 분리장치(16)를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흡입압(P1)이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도관(45)에서는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공간압(P3)이 상기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내부압(P2)보다 상기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봉지(40)는
    상기 내부압(P2)를 갖는 공기에 의해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흡입압(P1)은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에 포함되는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내부압(P2)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봉지지지통(35) 및 포집통(30) 사이의 상기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16)는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되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는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및 공기가 수용되는 바디부(21); 및
    상기 바디부(2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바스켓(22);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1)는
    내측이 비어 있고, 하부에 분리판(23)이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22)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또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22)은
    외주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23)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통과한 쓰레기가 이동하는 관통홀(23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16)는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되는 필터형 분리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분리장치(50)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흡입구(15) 및 포집통(30)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가 이동하는 분리통(51);
    상기 필터형 분리장치(50)의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부(52);
    상기 몸체부(52)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중공(53a)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지지판(53); 및
    상기 필터지지판(5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통(30)에서 상기 필터지지판(53)으로 이동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4); 및
    상기 필터(54)의 하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54)의 저면에 부착되는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통(51)의 내경 치수는
    상기 흡입구(15)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는
    상기 분리통(51)에 접선 방향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리통(51)에서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쓰레기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리통(51)의 내측을 회전하며, 상기 포집통(30)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분리통(51)을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분리통(51)을 통과한 쓰레기를 포집하고,
    상기 진공흡입장치(25)는
    상기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 및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의 표면에는
    상기 포집통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 시, 상기 공기에 포함된 다수의 미세먼지가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4)는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다수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상기 진공흡입장치(25)는
    상기 필터(54)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필터지지판(53)의 다수의 중공(53), 상기 통로부(28)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PCT/KR2022/012022 2021-12-30 2022-08-11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WO202312811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11A KR102372980B1 (ko) 2021-12-30 2021-12-30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KR10-2021-0192011 2021-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116A1 true WO2023128116A1 (ko) 2023-07-06

Family

ID=8081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2022 WO2023128116A1 (ko) 2021-12-30 2022-08-11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2980B1 (ko)
WO (1) WO2023128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980B1 (ko) * 2021-12-30 2022-03-11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KR102583939B1 (ko) * 2022-09-08 2023-09-27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494A (en) * 1982-04-19 1984-08-28 Jones Judson O Industrial vacuum cleaner
KR20020028498A (ko) * 2000-10-10 2002-04-17 구자홍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343679Y1 (ko) * 2003-11-28 2004-03-04 (주)신영프레시젼 미세먼지 필터링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KR20050056817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미세 먼지 제거장치
KR100809776B1 (ko) * 2007-03-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2372980B1 (ko) * 2021-12-30 2022-03-11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23U (ko) 2020-05-19 2021-11-26 이정용 음압표시장치가 구비된 무소음 청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494A (en) * 1982-04-19 1984-08-28 Jones Judson O Industrial vacuum cleaner
KR20020028498A (ko) * 2000-10-10 2002-04-17 구자홍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343679Y1 (ko) * 2003-11-28 2004-03-04 (주)신영프레시젼 미세먼지 필터링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KR20050056817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미세 먼지 제거장치
KR100809776B1 (ko) * 2007-03-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2372980B1 (ko) * 2021-12-30 2022-03-11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980B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128116A1 (ko)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WO2016099040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20122473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18034419A1 (ko) 공기청정기
KR100645376B1 (ko) 멀티사이클론 집진장치
WO2010131833A1 (ko) 제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WO2011065638A1 (ko) 제진유닛을 구비한 집진장치
WO2011010787A1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WO2011118861A1 (ko) 대용량 여과집진기 탈진 장치 및 방법
EP3866660A1 (en) Dust container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WO2010147320A2 (ko) 제진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WO2016028096A1 (ko) 로봇 청소기
AU2016340619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1055862A1 (ko) 진공청소기
EP3247251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17131462A1 (ko) 진공청소기
WO2016114580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19231158A1 (ko) 청소기
WO2019013378A1 (ko) 진공 청소기
WO201811091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20045809A1 (ko) 진공청소기
WO2021215844A1 (ko) 청소기거치대
WO2017069473A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10085050A2 (en)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U2020432829B2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162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