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24782A1 - 청소기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청소기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24782A1
WO2022124782A1 PCT/KR2021/018504 KR2021018504W WO2022124782A1 WO 2022124782 A1 WO2022124782 A1 WO 2022124782A1 KR 2021018504 W KR2021018504 W KR 2021018504W WO 2022124782 A1 WO2022124782 A1 WO 20221247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leaner
cleaning module
dust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5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현섭
이승진
하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1247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247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Definition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side on which the cleaner 20 is docked to the cleaner station 10 may be defined as a front side.
  •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becomes the rear.
  •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axis A1 of the station body 120 may be defined as an up-down direction.
  • the main housing 1210 may accommodate and protect various parts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 the main housing 1210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station body 120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 the main housing 12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square pillar.
  • the outer shape of the main housing 1210 may be variously changed within a range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protecting the parts by form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er station 10 .
  • the station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odule 125 .
  • the power module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220 .
  • connection tube 128 may be provided to have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so that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tube 128 .
  •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128 may have only a minimum difference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128 engage and fit.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128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 the drawer unit 132 is connected to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and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defi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unit 132 , and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module 30 together with the drawer bottom plate 1321 .
  • )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wer side walls 1322 form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More specifically, the drawer sidewall 1322 includes a first drawer sidewall 1322a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131a, a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connected to the first drawer sidewall 1322a, and a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connected to the first drawer sidewall 1322a. A third drawer sidewall 1322c connected to the second drawer sidewall 1322b may be included.
  • the fixing groove 1323a may include a fixing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and a fixing groove flat portion 1323ab.
  • the fixed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rc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30 , and may be provided to form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formed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module 30 .
  • the fixed groove flat portion 1323ab is connected at the end of the fixed groove curved portion 1323aa and extend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21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sufficiently inserted and supported. have.
  • the cleaning module 30 can be stored inside the housing 121 through the cleaning module accommodating part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cleaning module ( 30) can be taken out and used, so that the cleaner 20 and the cleaner station 10 can be more hygienically man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청소기가 등반하여 도킹되는 도킹부 및 상기 도킹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흡입되는 스테이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 본체는, 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포집부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도킹부에 결합되고 상기 먼지 포집부의 내부로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과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별도의 청소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스테이션
본 발명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에 의해,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로봇 청소기로 집진된 먼지를 처리하도록 발명된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미국등록특허공보 제10463215호가 있다.
상기 미국등록특허 제10463215호의 특허문헌에서는 베이스, 베이스와 연결된 캐니스터(canister)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로봇 청소기를 수용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과 연결되도록 배치된 배출 흡입구가 마련되도록 구성된 배출 스테이션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등록특허 제10463215호에 개시된 배출 스테이션은, 로봇 청소기가 상기 배출 스테이션과의 결합을 위해 경사면을 등반하는 도중 브러쉬에 붙어있던 먼지가 베이스 주변으로 떨어져 나올 수 있다. 이는 충전대의 주변에 쌓이게 된다. 또한, 로봇 청소기는 쇼파, 침대 등의 가구 밑을 청소하기 위해 주행하면서 그 자신의 외부에 먼지가 쌓일 수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에 개시된 배출 스테이션은 상기 배출 흡입구를 통해 로봇 청소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먼지통의 먼지를 흡입할 수는 있지만, 로봇 청소기 자신과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에 쌓이는 먼지를 흡입할 수는 없으므로, 로봇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 충전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되어 있는 핸드스틱 청소기를 가져와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로봇 청소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로봇 청소기 자신에게 붙은 먼지 또는 청소기 스테이션 주변(충전대 주변)에 지속적으로 쌓이는 먼지를 쉽게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로 제공되는 청소모듈을 결합하여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부터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로 연결되는 유로와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갖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제공되는 청소모듈을 내부에 보관하는 구조를 갖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청소기가 등반하여 도킹되는 도킹부; 및 상기 도킹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흡입되는 스테이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 본체는, 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포집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킹부에 결합되고 상기 먼지 포집부의 내부로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과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별도의 청소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연결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 커버가 개방되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먼지 포집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은, 길이 방향 축이 상기 하우징의 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흡입관; 및 상기 제1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도킹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청소기가 상기 도킹부에 도킹되면 상기 먼지통에 연결되는 제2 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관은, 상기 제1 흡입관의 길이 방향 축이 상기 연결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관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먼지 포집부에 결합되면, 상기 집진 모터의 흡입력이 상기 청소모듈에만 제공되도록 상기 흡입관의 상측 단부가 폐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모듈을 보관하도록 구비된 청소모듈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소모듈 수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형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수납부 커버; 및 상기 수납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장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 커버는, 일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경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부는, 상기 연결관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부는, 상기 서랍부의 저면을 정의하는 서랍부 바닥판; 및상기 서랍부 바닥판에 연결되며, 상기 청소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청소모듈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청소모듈 지지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부는, 상기 청소모듈 지지벽에서 상기 서랍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청소모듈 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청소모듈 고정대에는 상기 청소모듈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청소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의 형태로 구비되는 고정홈 곡면부; 및 상기 고정홈 곡면부의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홈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모듈이 연결관에 결합되어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부터 먼지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의류에 붙은 먼지의 제거. 애완동물의 털 관리 또는 청소기 스테이션 주변의 먼지 제거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되는 부품이 없이 청소모듈이 연결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로 연결되는 유로와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소기 스테이션의 구조 및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모듈 수납부를 통해 청소모듈을 하우징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서랍부를 인출하여 청소모듈을 꺼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와 청소기 스테이션을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청소기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청소기의 먼지통과 흡입관이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연결관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연결관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청소모듈이 청소모듈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청소모듈 수납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청소모듈 수납부를 단독으로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청소모듈 수납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1)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는 청소기(20)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청소기 시스템(1)은 청소기 스테이션(10), 청소기(20) 및 청소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청소기 스테이션(10)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러한 먼지 흡입 동작을 위해 위해 청소기(20)가 도킹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 스테이션(10)과 도킹되는 청소기(20)는 자율로 주행하는 청소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일 수 있다.
청소기(20)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청소기(20)에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이동을 위한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docking)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로 흡입된 먼지는 후술할 흡입홀(113)을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내부로 수집될 수 있다.
청소기(20)는 먼지 배출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배출홀(220)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0)과 후술할 흡입관(126)이 연통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배출홀(220)은 사각홀의 형태일 수 있다.
청소기(20)는 배출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 커버(230)는 먼지 배출홀(2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먼지 배출홀(220)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커버(230)는 먼지 배출홀(2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30)는 일측이 먼지 배출홀(220)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타측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을 향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고정단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자유단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먼지 배출홀(220)이 개방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을 향하던 흡입력이 사라지면 배출 커버(230)의 상기 자유단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먼지 배출홀(220)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자유단의 이동방향에 따라 배출 커버(230)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0)과 흡입관(126)을 연통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청소기(2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대응 단자(24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 단자(240)는 청소기(20)가 도킹된 상태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충전 단자에 접속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대응 단자(240)는 청소기(20)의 저면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응 단자(240)와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청소기 스테이션(10)으로부터 청소기(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청소기(20)가 충전될 수 있다.
청소모듈(30)은 원통형의 관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청소기 스테이션(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청소모듈(30)은 후술할 흡입관(126)을 하우징(121)의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노즐로서 여분으로 제공되는 청소도구를 의미할 수 있다. 청소모듈(30)이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청소모듈(30)의 일측은 후술할 연결관(128)에 삽입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고 청소모듈(30)의 타측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 구조에는 브러쉬가 구비되어 의류, 애완동물의 털 등을 빗어내리는 동작을 통해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청소모듈(30)의 길이가 허용하는 영역에서 공간적인 이동이 자유롭도록 청소모듈(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주름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정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에 있어서 청소기(20)의 먼지통(210)과 흡입관(126)이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청소기 스테이션(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하게 될 방향에 대해서 먼저 정의하자면,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되는 일측을 전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방의 반대편은 후방이 된다. 또한, 스테이션 본체(120)의 장축(A1)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은, 도킹부(110)와 스테이션 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부(110)는 청소기(20)가 등반하여 도킹되는 구성이다. 청소기(20)는 도킹부(110)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도킹부(110)를 등반하며 도킹부(11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킹부(110)의 상기 상부면은 청소기(20)의 외형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사각형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킹부(110)의 형상은 이에 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청소기(20)의 외형과 유사하지 않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킹부(110)는 청소기(20)가 등반하는 상기 상부면과 함께 상기 상부면의 모서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 및 청소기 스테이션(10)이 설치되는 지면과 맞닿는 하부면에 의해 도킹부(1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도킹부(110)의 내부 공간에는 흡입관(126)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도킹부(110)는 청소기(20)가 도킹을 위해 이동할 때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지나가는 구름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부(111)는, 도킹부(110)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했을 때 도킹부(110)의 좌우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좌우측 구름부(111)의 간격은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간격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름부(111)는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도킹시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도킹부(110)의 상기 상부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즉, 구름부(111)와 인접하는 도킹부(110)의 다른 영역 대비 구름부(111)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구름부(111)에는 청소기(20)가 도킹 완료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 안착부(111a)가 마련될 수 있다. 바퀴 안착부(111a)는 구름부(111) 상에서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어 패인 오목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름부(111)는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돌기는 구름부(111)에 요철을 형성하여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도킹부(110)는, 도킹부(110)의 중심에 배치되는 경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12)는 도킹부(110)의 상기 상부면이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12)는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경사면 각각은 청소기(20)의 저면의 외형에 따라 그 경사의 정도가 정해질 수 있다.
도킹부(110)는 청소기(20)가 도킹부(110)에 도킹된 상태를 기준으로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흡입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홀(113)은 경사부(112)에 배치될 수 있고 청소기(20)가 도킹되었을 때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홀(113)은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홀(113)은 사각홀 형태일 수 있다.
도킹부(110)는 청소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청소기(20)가 충전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14)는 도킹부(110)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 1개씩 마련된 충전단자(114a, 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가 도킹부(110)에 도킹되면 청소기(20)의 대응 단자(240)와 충전단자(114a, 114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스테이션 본체(12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모듈(125)이 청소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청소기(20)가 충전될 수 있다. 좌우측 충전단자(114a, 114b)의 간격은 청소기(20)의 대응 단자(240)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120)는 도킹부(110)의 일측에서 도킹부(110)와 연결되며 청소기(20)의 먼지통(210)의 먼지를 내부로 흡입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 본체(120)는 도킹부(110)의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 본체(120)는 상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 배치되는 장축(A1)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120)는 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포집부(122)가 배치되는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다수의 외벽으로 구성된 메인 하우징(1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하우징(1210)은 상기 다수의 외벽으로 둘러쌓인 내부 공간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1210)은 상기 다수의 외벽을 통해 스테이션 본체(1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하우징(1210)은 사각 기둥에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메인 하우징(1210)의 외형은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부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120)는 먼지 포집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포집부(122)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먼지 포집부(122)는 메인 하우징(1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먼지 포집부(122)는 집진 모터(127)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부피가 늘어나면서 먼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지 포집부(122)는 공기는 투과되지만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포집부(122)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피가 늘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4 참고)
한편, 상기 메인 하우징(1210)을 구성하는 다수의 외벽은 상부벽(1210a)과 본체 측벽(1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1210a)은 스테이션 본체(120)의 상측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벽(1210a)은 스테이션 본체(120)의 장축(A1) 방향 최상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면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부벽(1210a)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벽(1210a)은 일부 영역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테이션 본체(120)는 먼지 포집부 커버(12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포집부(122) 커버(123)는,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먼지 포집부(12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상부벽(1210a)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먼지 포집부(122)를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먼지 포집부(122)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먼지 포집부(122)는 소모성 부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체 측벽(1210b)은 메인 하우징(1210)의 측면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하우징(1210)이 사각기둥 형태인 경우 본체 측벽(1210b)은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본체 측벽(121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본체 측벽(1211)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2 본체 측벽(1212), 제3 본체 측벽(1213) 및 제4 본체 측벽(1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a 참고)
본체 측벽(1210b)은 일부 영역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테이션 본체(120)는 헤파 필터 커버(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파 필터 커버(124)는,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헤파 필터(미도시)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제1 본체 측벽(1211)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헤파 필터를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헤파 필터를 교체하거나 세척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우징(121)은 연결부 하우징(1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 하우징(1220)의 전면은 제1 본체 측벽(1211)이 후방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단을 형성한 형태로 구비되어 도킹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20)가 도킹부(110)에 도킹되는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전후방향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연결부 하우징(1220)의 양 측면은 제2 본체 측벽(1212) 및 제4 본체 측벽(121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 하우징(1220)의 후면은 제3 본체 측벽(12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하우징(1220)은 전면, 양 측면 및 후면으로 둘러쌓인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120)는 전원 모듈(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모듈은 연결부 하우징(1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원모듈(125)과 충전부(114)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연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테이션 본체(120)는 흡입관(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126)은 도킹부(110)에 결합되며 먼지 포집부(122)의 내부로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유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흡입관(126)의 일측 단부는 도킹부(110)의 흡입홀(113)과 결합되어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도킹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0)과 흡입관(126)이 연통될 수 있다.
흡입관(126)은 제1 흡입관(1261) 및 제2 흡입관(1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관(1261)은 길이 방향 축이 하우징(121)의 장축(A1, 메인 하우징(1210)의 장축 또는 스테이션 본체(120)의 장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고) 제2 흡입관(1262)은 제1 흡입관(1261)에 연결되고 도킹부(1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연장되어 청소기(20)가 도킹부(110)에 도킹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흡입관(1261)은 하우징(12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120)는 집진 모터(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진 모터(127)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27)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의 먼지가 흡입관(126)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 모터(127)는 메인 하우징(1210)의 내부에서 먼지 포집부(1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27)가 구동하면 먼지 포집부(122)로부터 집진 모터(127)로 향하는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입관(1261)의 하측 단부는 제2 흡입관(1262)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고 제2 흡입관(1262)의 타측 단부는 도킹부(110)의 먼지 배출홀(220)과 연결되므로, 집진 모터(127)가 구동하면 연결관(128), 제1 흡입관(1261) 및 제2 흡입관(1262)으로 이어지는 유로를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의 먼지가 흡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연결관(128) 및 연결관 커버(129)에 대해 설명한다.
스테이션 본체(120)는 연결관(128) 및 연결관 커버(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연결관 커버(129)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연결관(128)은 흡입관(126)과 결합되며 청소모듈(30)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관(128)의 일측 단부는 제1 흡입관(12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연결관(128)의 다른 일측 단부는 먼지 포집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128)의 또 다른 일측 단부는 후술할 연결관 커버(129)에 결합되어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되면 연결관(128)이 하우징(12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관(128)은, 제1 흡입관(1261)의 길이 방향 축(L1)이 연결관(128)의 길이 방향 축(L2)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1 흡입관(1261)과 결합할 수 있다.(도 6, 도 7 참고) 일 예로, 연결관(128)의 형상은 ‘T’형 배관의 형상에 유사할 수 있고, 연결관(128)의 수평방향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128a)는 먼지 포집부(122)에 결합되고 수평방향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128b)는 연결관 커버(129)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128c)는 제1 흡입관(12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관(128)은,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청소모듈(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청소모듈(30)의 외경과 연결관(128)의 내경의 크기 차이는 청소모듈(30)의 외경과 연결관(128)의 내경이 맞물려서 끼움 결합되도록 최소한의 차이만을 가질 수 있다. 즉, 청소모듈(30)의 외경과 연결관(128)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연결관 커버(129)는 하우징(121)에 배치되며 연결관(128)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 커버(129)는 하우징(121)의 일부 영역 즉, 내부에 연결관(128)이 배치되는 하우징(121)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관 커버(129)는 제2 본체 측벽(1212)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관 커버(129)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우징(121)의 외측 상부를 향해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연결관 커버(129)가 폐쇄된 상태인 경우, 연결관(128)의 제2 개구부(128b)는 연결관 커버(129)에 결합되어 폐쇄된다. 제2 개구부(128b)가 연결관 커버(129)에 결합된다는 것은 제2 개구부(128b)가 연결관 커버(129)에 직접 맞닿아 결합하거나 중간에 별도의 구성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관 커버(129)에 제2 개구부(128b)의 크기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실링부(129a)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개구부(128b)는 실링부(129a)에 결합되어 연결관 커버(129)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개구부(128b)가 완전히 밀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집진 모터(12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를 향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도 6의 화살표 방향 참고)
도 7을 참고하면,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연결관(128)의 제2 개구부(128b)는 하우징(121)의 외부로 노출되어 연결관(128)이 하우징(12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2 개구부(128b)를 통해 청소모듈(3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모듈(30)은 제2 개구부(128b)를 통해 연결관(128)의 길이 방향 축(L2)과 청소모듈(30)의 길이 방향 축이 나란하도록 연결관(128)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의 내부에 삽입되면 청소모듈(30)의 삽입된 일단은 먼지 포집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청소모듈(30)의 외주면에 의해 제1 흡입관(1261)의 상측 단부가 폐쇄된다. 즉, 이 경우 집진 모터(12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은 청소모듈(30)에만 제공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 방향 참고)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를 향해서는 흡입력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로 전환 밸브 등의 추가되는 부품이 없이도 연결관(128)에 청소모듈(30)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유로가 전환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되고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에 결합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0) 내부로부터 흡입관(126) 및 먼지 포집부(122)로 이동하는 먼지의 흡입 경로(제1 흡입 경로, 도 6의 화살표 방향 경로)는 폐쇄되고 하우징(121) 외부로부터 청소모듈(30) 및 먼지 포집부(122)로 이동하는 먼지의 흡입 경로(제2 흡입 경로, 도 7의 화살표 방향 경로)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에서 분리되고 연결관 커버(129)가 폐쇄되면 상기 제1 흡입 경로는 개방되고 상기 제2 흡입 경로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 커버(129)가 개방된 상태에서 청소모듈(30)이 연결관(128)에 결합되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외부로부터 먼지가 흡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의류에 붙은 먼지의 제거. 애완동물의 털 관리 또는 청소기 스테이션(10) 주변의 먼지제거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도 8 참고)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청소모듈 수납부(1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스테이션 본체(120)는 청소모듈 수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청소기 스테이션(10)에 있어서 청소모듈 수납부(130)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청소모듈 수납부(130)를 단독으로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청소모듈 수납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청소모듈 수납부(130)는, 하우징(121)에 배치될 수 있고 청소모듈(30)을 보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모듈 수납부(130)는 하우징(121)의 외형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수납부 커버(131) 및 수납부 커버(131)에 결합되고 하우징(121)의 장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 커버(131)는 제1 커버(131a)와 제2 커버(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131a)와 제2 커버(131b)는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고, 청소모듈 수납부(130)가 하우징(12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21)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 하우징(121)의 외형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 커버(131)는 일부 영역이 하우징(121)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경사홈(131c)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홈(131c)은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쥔 상태에서 서랍부(132)를 인출할 수 있도록 제1 커버(131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홈(131c)은 사용자가 경사홈(131c)에 손을 넣어 서랍부(132)를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전방 상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서랍부(132)는 연결관 커버(129)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서랍부(132)를 인출하여 청소모듈(30)을 꺼내는 동작, 연결관 커버(129)를 개방하는 동작 및 청소모듈(30)을 연결관에 결합시키는 동작이 한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동선이 최소화되어 청소모듈(30)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서랍부(132)는 서랍부(132)의 저면을 정의하는 서랍부 바닥판(1321) 및 상기 서랍부 바닥판(1321)에 연결되며 상기 서랍부 바닥판(1321)과 함께 상기 청소모듈(30)을 보관하는 보관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서랍부 측벽(132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랍부 측벽(1322)은 제1 커버(131a)와 연결되는 제1 서랍부 측벽(1322a), 제1 서랍부 측벽(1322a)과 연결되는 제2 서랍부 측벽(1322b) 및 제2 서랍부 측벽(1322b)과 연결되는 제3 서랍부 측벽(132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랍부 측벽(1322a)은 전방에 배치되고 제3 서랍부 측벽(1322c)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서랍부 측벽(13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은 일부 영역의 높이가 청소모듈(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청소모듈(3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서랍부 측벽(1322)은 청소모듈(30)이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쓰러지지 않고 기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서랍부 측벽(1322c)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부 영역(1322cc)을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으로도 칭할 수 있다.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은 제2 커버(131b)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의 외면은 제2 커버(131b)의 내면에 대해 하우징(121b)의 내부를 향하는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단은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의 외면과 제2 커버(131b)의 내면이 실질적으로 맞닿아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형성된 단의 깊이는, 하우징(121)의 내부로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은 인입되되 제2 커버(131b)는 메인 하우징(1210)의 제3 본체 측벽(1213)과 함께 스테이션 본체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3 본체 측벽(1213)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은 스테이션 본체(120)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우징(12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제2 커버(121)는 자연스럽게 스테이션 본체(120)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게 되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설치시 후방측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랍부(132)가 완전히 하우징(121)의 내부로 인입되므로 이물질이 달라붙은 상태의 청소모듈(30)이 스테이션 본체(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서랍부 측벽(1322)의 일부 영역(청소모듈 지지벽, 1322cc)은 청소모듈(30)의 길이보다 긴 높이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수납부 커버(13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랍부 측벽(1322)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121)에 서랍부(132)가 인입되었을 때 수납부 커버(13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서랍부 측벽(1322)의 상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서랍부(132)는 청소모듈 고정대(1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모듈 고정대(1323)는 제3 서랍부 측벽(1322c)에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청소모듈 고정대(1323)는 청소모듈(30)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모듈 고정대(1323)는 청소모듈 지지벽(1322cc)에서 서랍부(132)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청소모듈(30)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홈(1323a)이 마련될 수 있다.(도 11 참고) 청소모듈 고정대(1323)의 일측 단부는 수납부 커버(131)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홈(1323a)은 고정홈 곡면부(1323aa)와 고정홈 평면부(1323a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홈 곡면부(1323aa)는 청소모듈(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청소모듈(30)의 외경이 이루는 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 평면부(1323ab)는 고정홈 곡면부(1323aa)의 단부에서 연결되며 청소모듈(30)이 충분히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121)의 내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홈(1323a)은, 사용자가 청소모듈(30)을 고정홈(1323a)에 삽입하는 동작을 할 때 고정홈(1323a)의 모서리에 청소모듈(30)이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홈 평면부(1323ab)의 단부에 고정홈(1323a)의 내측과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고정홈 경사부(1323a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랍부(132)는 청소모듈 고정대(1323)와 결합되어 청소모듈 고정대(1323)를 지지하는 리브(1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1324)는 청소모듈 고정대(1323)가 수납부 커버(131)와 연결되지 않는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모듈 고정대(1323)는 청소모듈(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서랍부 바닥판(1321)에서 적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청소모듈 수납부(130)를 통해 청소모듈(30)을 하우징(121)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서랍부(132)를 인출하여 청소모듈(30)을 꺼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20)와 청소기 스테이션(10)을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부 커버(131)가 하우징(121)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서랍부(132)가 하우징(121)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청소모듈(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깔끔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소모듈(30)을 연결관과 결합하여 사용한 후 바로 보관할 수 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소모듈(30)은 사용한 후 먼지 등의 오염원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달라붙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오염원은 청소모듈(30)을 보관하는 중에 청소모듈(30)로부터 떨어져 나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서랍부(132)가 인출되는 구조의 청소모듈 수납부(130)를 채용하여 서랍부(132)에 청소모듈(30)을 보관할 수 있게 되면, 청소모듈(30)의 보관 중 떨어져 나온 오염원은 하우징(121)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고 서랍부(132)의 보관 공간에 모이게 된다. 또한, 서랍부(132)에 모인 이러한 오염원은 사용자가 서랍부(132)를 인출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청소모듈(30)을 하우징(121)의 내부에 직접 넣어 보관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을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일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가 등반하여 도킹되는 도킹부; 및
    상기 도킹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흡입되는 스테이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 본체는,
    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포집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킹부에 결합되고 상기 먼지 포집부의 내부로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과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별도의 청소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 커버가 개방되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먼지 포집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길이 방향 축이 상기 하우징의 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흡입관; 및
    상기 제1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도킹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청소기가 상기 도킹부에 도킹되면 상기 먼지통에 연결되는 제2 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관은, 상기 제1 흡입관의 길이 방향 축이 상기 연결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먼지 포집부에 결합되면, 상기 집진 모터의 흡입력이 상기 청소모듈에만 제공되도록 상기 흡입관의 상측 단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모듈을 보관하도록 구비된 청소모듈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 수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형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수납부 커버; 및
    상기 수납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장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커버는,
    일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경사홈;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랍부는, 상기 연결관 커버가 배치된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서랍부의 저면을 정의하는 서랍부 바닥판; 및
    상기 서랍부 바닥판에 연결되며, 상기 청소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청소모듈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청소모듈 지지벽;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청소모듈 지지벽에서 상기 서랍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청소모듈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 고정대에는 상기 청소모듈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청소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의 형태로 구비되는 고정홈 곡면부; 및
    상기 고정홈 곡면부의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홈 평면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PCT/KR2021/018504 2020-12-09 2021-12-08 청소기 스테이션 WO202212478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95 2020-12-09
KR1020200171495A KR20220081703A (ko) 2020-12-09 2020-12-09 청소기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782A1 true WO2022124782A1 (ko) 2022-06-16

Family

ID=8197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504 WO2022124782A1 (ko) 2020-12-09 2021-12-08 청소기 스테이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1703A (ko)
WO (1) WO20221247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41284A1 (en) * 2022-08-03 2024-02-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ocking unit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381A (ja) * 1991-11-29 1993-06-1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16116850A (ja) * 2014-12-19 2016-06-30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真空掃除機用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
US9492048B2 (en) * 2006-05-19 2016-11-15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KR20200073677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JP2020185379A (ja) * 2019-04-18 2020-11-19 フォアベルク ウント コー. 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清掃システムの操作方法、ベースステーション、及びフィル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6321B2 (ja) 2001-01-31 2009-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異形断面を有する管材の押出成形方法および管材押出成形用ダイ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381A (ja) * 1991-11-29 1993-06-1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US9492048B2 (en) * 2006-05-19 2016-11-15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JP2016116850A (ja) * 2014-12-19 2016-06-30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真空掃除機用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
KR20200073677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JP2020185379A (ja) * 2019-04-18 2020-11-19 フォアベルク ウント コー. 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清掃システムの操作方法、ベースステーション、及びフィル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41284A1 (en) * 2022-08-03 2024-02-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ocking unit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03A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5999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21002625A1 (en) Robot cleaner station
WO2017196027A1 (ko) 청소기 거치대
US20080105278A1 (en) Method for vacuum cleaning
KR20200025527A (ko) 진공청소기
WO2017196005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17196004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22124782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22075570A1 (ko) 청소 시스템과 도킹장치
WO2021215844A1 (ko) 청소기거치대
KR102295181B1 (ko)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CN113317716A (zh) 一种吸尘器泊接装置
JP2016131793A (ja) 電気掃除装置
CN113749550A (zh) 一种手持式吸尘器
WO2019146924A1 (ko) 청소기
WO2022131481A1 (ko) 청소기
JP2022116462A (ja) 電気掃除機
WO2022177185A1 (ko) 청소기 스테이션
CN210697474U (zh) 一种支撑架
CN113317715A (zh) 一种吸尘器泊接装置
KR101823240B1 (ko) 진공 청소기
WO2022080925A1 (ko) 청소기
WO2023003267A2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22092573A1 (ko) 무선 스틱 청소기 탈착식 차량용 청소 보조 장치
CN211432699U (zh) 一种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3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03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