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4740A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14740A1
WO2022014740A1 PCT/KR2020/009277 KR2020009277W WO2022014740A1 WO 2022014740 A1 WO2022014740 A1 WO 2022014740A1 KR 2020009277 W KR2020009277 W KR 2020009277W WO 2022014740 A1 WO2022014740 A1 WO 20220147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con
area
sign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92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경신
강동완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92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14740A1/ko
Priority to US17/033,519 priority patent/US11416114B2/en
Priority to EP20214131.3A priority patent/EP3940522A1/en
Publication of WO20220147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147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a selected area based on a signal for an icon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applications are running in a divided area of a displa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ill be.
  • terminals are diversified in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Multimedia player)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is being implemented.
  • Multimedia player Multimedia player
  •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output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d function to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function is controlled.
  • the body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wherein the second frame is expandable or contractible from the first frame, and as the second frame is expanded, the extended display mode and to operate in the reduced display mode as the second frame is contracted.
  •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wo or more of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broadcast channel switching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driven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controller 180 .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191,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so,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becomes a flat surface.
  • the display area may be a curved surface.
  •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deformed state may be visual information output on the curved surface.
  • Such visual information is implement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emission of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 the unit pixel means a minimum unit for realizing one color.
  •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frame 101 and the second frame 102 . As shown in FIG. 2 , since the bent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first frame 101 and the second frame instead of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re 2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rame 102 , the bending deformation position and the front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be calculated.
  • the first front portion 1011 and the first rear portion 10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first side portion (101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first side portion 10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rear portion 1012 or the first front portion 1011 .
  • a camera 121, a sound output unit 152, an input/output terminal 161,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accommodated as par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pace within the first frame 101.
  • the control unit 180 may be a circuit board 181 including a processor and an electronic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the battery 191 and related components.
  • the driving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10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frame 101 .
  • FIG. 6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viewed from the third direction, showing a first side portion 1013 of the first frame 101 and a second side portion 1023 of the second frame 102 .
  • the end of the second frame 102 in the first direc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located, and the end of the second frame 102 in the second direction should be ope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frame 101 .
  • the second side portion 1023 of the second frame 102 positioned in the third direction (meaning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in the drawing, or may include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the second side portion 1023 of the first frame in the first state. It overlaps with the first side 1013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ut in the second state, since the second frame 102 is drawn out, 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second region ( 151b), located between the first area 151a and the second area 151b, and wrapped around the roller 210, and moves to the front or the back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may include three regions 151c.
  • the slide frame 103 may be made of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rd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eformable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that is, the portion wound around the roller 210 may vary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tat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at is, the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102 . .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deformation and fatigue repeatedly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unit 151 from being damaged.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may output the line indicator 1030 to indicate the divided area of the display on the icon 1000 .
  • the mobile terminal may output the line indicator 1030 on the icon 1000 based on the divided regions of the display. For example, when the divided regions in the extended display mode are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the mobile terminal may divide the icon 1000 into three regions and output the divided regions.
  •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first area 1110 from among the divided areas that the mobile terminal is outputting on the display in the extended display mode. ) may be determined as the selected or deselected first applicat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 the mobile terminal may select or deselect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display based on a signal for selecting an area of the icon 1100 .
  • the mobile terminal touches the first area 1110 of the icon 1100 and then outputs it on the display in the extended display mode based on the second signal 1140 that is dragged to the third area 113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application, and the third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1110 to the third area 1130 among the divided areas being selected or deselected are selected.
  • the mobile terminal may divide the extended display into preset regions and output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o the divided regions, respectively.
  • the mobile terminal may control to output the icon 1220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1210 .
  • the icon 1220 may correspond to the icon described above in FIGS. 10 and 11 .
  • the user may touch the second area 1312 and the third area 1313 divided by a line indicator inside the icon 1310 ,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selects the second application 130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1312 of the icon 1310 and the third application 1303 corresponding to the third area 1313 of the icon 1310, or It can be considered deselected.
  • the mobile terminal has the second application 1302 and the third application ( 1303) can be blurred.
  • the second area 1312 and the second area 1312 of the icon 1310 3 areas 1313 may be output in black and white.
  • the user may touch the first dial indicator 1521 and then drag it to the second dial indicator 1522 .
  • the region adjacent to the second line indicator 1551 is the first region 1511 and the second region 1512 and the third area 1513
  • the first application 15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1511, the second application 1532 and the third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151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hird application 1533 corresponding to 1513 is selected.
  • the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value 1621a may include a touch-drag input signal or a touch input sig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value 1621a may correspond to an input signal for releasing the touch from the first value 1621a by touch-draging points included in the first dial indicator 1621 .
  • the mobile terminal selects the second value 1622a among the second dial indicators 1622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second application 1632. You can change the brightness to 75%.
  •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controlled through the icon 161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brightness, it is of course applicable to the sound control function, the resolution control function, the FPS control function, and the system resource control function.
  • the mobile terminal may control sounds of the first application 1701 , the second application 1702 , and the third application 1703 using the icon 1710 .
  • the mobile terminal may detect the first input signal 1720 for selecting the second area 1712 of the icon 1710 .
  • the user may touch the second area 1712 of the icon 1710 .
  • the user can know that the first application 1701 and the third application 1703 are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icon 1710 .
  • the user can maintain the output of the sound of the desired application and quickly mute the sound of the other applications. This feature can be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a call in a hurry.
  • FIG.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function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a divided area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executes a first application 1801 in a first area among the divided display areas, a second application 1802 in a second area, and a second application 1802 in a third area.
  • An application 1803 may be executed.
  •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second area 1912 of the icon 1910 and the second application 190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1912 . You can control to output the same visual effect to
  • 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while at least two or more applications are running in the divided area of the display. That is, the mobile terminal may execut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the extended display in the extended display mode.
  • the mobile terminal may output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d function to at least one of an icon inside or an application in which the function is controlled. Also, the mobile terminal may end the output of the numerical value after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numerical value is output.
  • the mobile terminal may control the display to output the selected area and the remaining area other than the selected area differently.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a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및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전환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전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아이콘에 대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동영상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나 동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동영상이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트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특히, 확장 디스플레이의 출현으로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분할된 영역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실시예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여러 개의 영역으로 화면이 분할된 경우, 원하는 영역의 설정을 하나씩 조절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아이콘에 대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및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전환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전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상기 선택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선택된 영역과 상기 선택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이 제 1 영역인 경우, 상기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3 신호는 상기 아이콘과 함께 출력된 다이얼(dial) 인디케이터를 터치하거나 터치-드래그(touch-drag)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능은 밝기 조절 기능, 소리 조절 기능, 화면 온/오프 전환 기능, 해상도 조절 기능, FPS(frame per second) 조절 기능 및 시스템 리소스 분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에 상기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4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이 제어하는 기능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에 상기 분할된 영역을 구분하는 라인(line)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라인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라인 인디케이터에 인접한 영역을 선택된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이 두 개 이상의 영역인 경우, 상기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기능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에 상기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이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치가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치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이 결정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과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 영역에 동일한 비주얼 효과(visual effect)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이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아이콘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으로부터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측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상기 바디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상기 바디의 측면을 거쳐 상기 바디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이 수축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상기 바디의 측면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바디의 측면을 거쳐 상기 후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 2 프레임을 확장하거나 수축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및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간에 전환됨에 따라 바디의 전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여러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원하는 영역의 설정을 한번에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여러 개로 분할된 영역의 밝기, 소리 및 자원 등 원하는 설정 값을 한번에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도 1은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이동 단말기를 제3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이다.
도 7은 이동 단말기의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A-A 및 B-B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에서 영역을 선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아이콘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영역과 선택되지 않은 영역을 구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영역과 아이콘의 내부 영역에 동일한 비주얼 효과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191)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전면도이고, 도 3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2의 (a) 및 도 3의 (a)는 이동 단말기가 축소된 제1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 및 도 3의 (b)는 이동 단말기가 확대된 제2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축소된 상태이며, 제 2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151)의 크기도 제 2 상태보다 작아진다. 제 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방향(D1)으로 확장되어 제 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 및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제1 상태보다 더 커지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는 축소된다. 즉, 제1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51)의 배면에 위치하던 디스플레이부(151) 중 일부는 제2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이의 디스플레이(151)가 확장(extend or enlarge)되는 방향은 제 1 방향(D1),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수축(contact or retract) 또는 축소(reduce)되는 방향은 제2 방향(D2)이라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들(D1, D2)에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한다. 제1 및 제2 방향은 수평방향이고 제3 방향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동 단말기(100)의 배치에 따라 제1 및 제2 방향이 수직방향이 될 수 있고, 제3 방향이 수평방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같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이다.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종이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제1 방향으로 곡률이 변화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기본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기본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변형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인 상기 기본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기본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변형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케이스(후술되는 제 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101, 102))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은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꺾어진 위치가 결정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 감지수단 대신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휨변형 위치와 전면에 위치하는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전환(제 1 또는 제 2 상태), 즉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의 크기 변화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러한 수동적인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없이 변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력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자동적으로 변형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는 후술되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방향의 측부를 감싸며 감겨지면서(roll) 180도 꺾어진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측부를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다른 부분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전면부라 하고 배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배면부라 한다. 이동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확장되거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이 변화한다. 즉, 전면부와 배면부의 크기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101)의 전면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에 배면에 위치하는 이의 다른 부분은 상기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방향의 측부에서 감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의 이동 단말기(100) 배면에 배치되는 부분을 이동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 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되는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은 정해져 있고 하나의 연속적인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면부 면적이 늘어나면 배면부 면적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후술되는 제 1 프레임(101)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프레임(102)내에, 정확하게는 상기 제 2 프레임(102)의 제1 방향의 측부에 감겨질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제 2 프레임(102)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 2 프레임(102)에 감겨지면서 상기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인출(withdraw or pulled out)되거나 이에 인입(insert or pushed into)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관련 구성요소들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다.
통상적으로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제공되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비롯하여 배면까지 커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의해 상기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부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안테나가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AOD: Antenna on Display)는 패턴이 새겨진 전극층과 유전층이 겹겹이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형태의 안테나이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기존의 구리 니켈도금 방식으로 구현하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기술보다 더 얇게 구현할 수 있어 두께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직접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양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도 3은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부품이 실장되는 프레임(101, 102)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프레임(101, 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101, 102)이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제1 방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프레임(101, 102)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외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레임(101, 102)의 전면과 배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은 제1 프레임(101)과 제1 프레임(101)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프레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은 전방부, 후방부 및 측부를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다.
먼저, 제 1 프레임(101)은 이동 단말기(100)의 메인 바디에 해당되며, 제1 전방부(1011)와 제1 후방부(1012) 사이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101)은 이와 같은 공간 내에 상기 제 1 프레임(1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프레임(102)를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프레임(101)은 도 2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부를 지지하는 제 1 전방부(1011) 및 이동 단말기의 후방에 배치되며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제 1 후방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전방부(1011), 제 1 후방부(1012)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1 전방부(1011)와 제 1 후방부(1012)는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1 측부(101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부(1013)는 제1 후방부(1012) 또는 제1 전방부(10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101)내의 공간내에 이동 단말기(100)의 부품으로서 카메라(121), 음향출력부(152), 입출력 단자(161),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전자회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181)이 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191) 및 관련 부품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제 2 프레임(10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200)도 제 1 프레임(10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연속적인 몸체를 가지며 이동 단말기(100)내에 감기면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부 및 전면부와 배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와 배면부는 평평하고 측면부는 디스플레이부(151)가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각을 이루며 꺾어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파손될 수 있는 바, 측면부는 소정곡률을 가지고 꺾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고정부와 가변부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부는 프레임에 고정된 부분을 의미한다.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휨정도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 가변부는 휘어진 부분의 각도가 가변하거나 휘어진 부분의 위치가 변화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휘어지는 위치나 각도가 달라지는 가변부는 상기 변화에 상응하여 가변부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고정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제1 프레임에 결합되어 항상 전면에 위치하여 전면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가변부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측면부의 위치가 달라진다. 측면부를 기준으로 전면에 위치하는 영역과 배면에 위치하는 영역의 면적이 달라진다. 즉 가변부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 따라 일부는 전면부가 될 수 있고, 일부는 배면부가 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기준으로 고정부(151a, 151b)에 대해 제1 방향에 가변부가 위치하며, 가변부의 단부는 이동 단말기의 배면 방향으로 꺾어지며 제2 프레임의 배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디스플레이부의 가변부의 단부는 제2 프레임의 배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프레임이 결합되며 슬라이드 프레임은 제2 프레임이 제1 방향으로 이동시 동시에 제2 프레임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드 프레임의 이동 거리는 제1 프레임에 대해 제2 프레임 대비 2배의 거리를 이동한다. 다른 한편,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후방부(1012)는 제1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151)가 커버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후방부(101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 후방부(1015)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각종 버튼, 스위치, 카메라(121), 플래쉬와 같은 물리적 입력부(120) 및 근접센서(141) 나 지문센서와 같은 센서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노출 후방부(1015)를 제외한 제1 후방부(1012)는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커버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는 배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통상의 바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단말기의 전면에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면서 반대편의 사물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메인 카메라가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된다. 다른 한편 사용자 자신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면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보조 카메라가 단말기의 전면에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의 전면 및 배면 둘 다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때는 카메라(121)와 동일 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부,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반대편의 사물을 촬영할 때는 카메라(121)와 반대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카메라(121)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을 촬영할 수도 있고 사용자를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광각, 초광각, 망원 등 화각이 다른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노출 후방부(1015)상에 카메라 이외에 근접센서 음향출력부 등이 위치할 수 있으며, 안테나(116)가 설치될 수도 있다. 노출 후방부(1015)의 카메라나 센서 등을 보호하고 외관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노출 데코(1015)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노출 데코(1015)는 카메라(121)나 센서(140) 등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명하게 구성하고 다른 부분은 내부 부품이 노출되지 않고 디자인 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소정의 패턴이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부(1013)는 제 1 프레임(101)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 1 전방부(1011)와 제 1 후방부 (10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2)이 제 1 프레임(101)에 수용되며 또한 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이러한 제 2 프레임(102)의 제 1 프레임(101)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제 1 프레임(101)의 일부는 개방될 필요가 있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서, 제 2 프레임(102)은 제 1 프레임(101)의 제1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 측부(1013)는 제1 방향의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아 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측부(1013)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전원 포트나 이어잭이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60)나 음량버튼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12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측부(1013)는 안테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2 전방부(1021) 및 이동 단말기(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후방부(1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전방부(1011), 제 1 후방부(1012)과 마찬가지로, 제 2 전방부(1021) 및 제2 후방부(1022)은 대체적으로 평평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도 다양한 부품을 수용하며, 이동중에 제 1 프레임(101)내에 수용된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 2 전방부(1021) 및 제2 후방부(1022)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 1 프레임(101)내의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이동 단말기(100)를 제3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로서, 제1 프레임(101)의 제1 측부(1013)와 제2 프레임(102)의 제2 측부(1023)를 도시하고 있다. 제2 프레임(102)의 제1 방향의 단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2 방향의 단부는 제1 프레임(101)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제3 방향(도면상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의미하며 혹은 상측과 하측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102)의 제2 측부(1023)는 제1 상태에서는 제1 프레임의 제1 측부(1013)와 중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제2 상태에서는 제2 프레임(102)이 인출되므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에 배치되도록 제 2 프레임(102)내에서 감겨지면서 180도로 꺽어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51)의 배열(arrangement)를 위해, 제 2 프레임(102)은 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210)은 제 2 프레임(102)의 내부에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151)는 사용자에게 좋은 품질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 평평하게 전개(spread)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개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151)에 적절한 장력이 제공되어야 한다. 적절한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롤러(210)은 제 2 프레임(102)의 제1 방향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210)은 제2 방향 연장되며, 제 2 프레임(1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소정 곡률을 가지고 완만하게 휘어지면서 롤러(210)에 감길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이 출력되고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면과 그 반대편으로 프레임을 향하는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제 2 프레임(102)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210)은 디스플레이부(151)을 실제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측방향(lateral direction), 즉,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이 슬라이드할 때, 상기 제 2 프레임(102)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는 서로 다른 방향들(즉,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로 제 2 프레임(102)에 상대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을 롤러(210)는 회전하면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롤러(210)은 제 2 프레임(102)의 제1 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하며, 롤러(210)에 감긴 디스플레이부(15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프레임(102)의 제 1 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02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024)은 제 2 프레임(102)의 길이방향(제3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 1 방향의 측부를 커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210) 및 이에 감긴 디스플레이부(151)을 보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측면부는 롤러에 의해 감겨 있으므로 측면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휘어지고,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은 측부의 곡률에 상응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024)는 제 1 프레임(101)의 제1 측부(1013)와 함께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중에 제 1 프레임(101)내의 부품들과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2 프레임(102)은 제2 방향 측부는 생략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방향(D1, D2)으로의 확장 및 수축동안, 제 2 프레임(102)은 제 1 프레임(101)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프레임(101), 정확하게는 이의 제 1 전방부(1011), 제 1 후방부(1012)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전방부(1011)에 의해 결합되어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프레임(102)의 제 2 전방부(1021)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제 2 전방부(1021)가 제 1 전방부(1011)과 디스플레이부(151)사이에 개재되면,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제 2 전방부(1021)과의 마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방부(1021)는 제 1 전방부(1011) 아래(below)에 배치되거나 두 장으로 이루어진 제1 전방부(101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2)의 제2 후방부(1022)는 제 1 프레임(101)의 제 1 후방부(1012)의 배면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후방부(1022)의 전면은 제 1 후방부(1012)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 1후방부(1012)의 배면은 제2 후방부(1022)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2 후방부(1022)는 제 1 프레임, 정확하게는 제 1 후방부(1012)의 외부로 노출되며, 디스플레이부(15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은 제 1 및 제 2 방향(D1, D2)으로의 확장 및 수축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 자체의 크기, 특히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확장 및 축소 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는 의도된 제 1 및 제 2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확장 또는 축소된 전면만큼 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 2 프레임(102)에 고정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확장 또는 축소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맞게 원활하게 이동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플레이부(151)는 제 2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 1 영역(151a)과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프레임(103)게 결합된 제2 영역(151b)를 포함하고, 제1 영역(151a)과 제2 영역(151b)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210)를 감싸며 꺾어지며,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전면 또는 배면으로 이동 하는 제3 영역(151c)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103)은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제3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후방부(1022)에 제 1 및 제 2 방향(D1, D2)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3 영역들(151a, 151b, 151c)은 서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연속적인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3 영역(151c)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1 영역(151a)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이동되지 않게 고정되며, 제2 영역(151b)이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이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 영역(151a)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전방부(101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151a)은 제 2 프레임(102)의 이동 시에도 이동되지 않도록 제 1 프레임(101), 즉 제 1 전방부(1011)의 전면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항상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3 영역(151c)은 제1 영역(151a)에 제2 단부(151e) 방향으로 인접하며, 제 2 프레임(102)내로 연장되어 들어가(extend into) 롤러(210)에 감길 수 있다. 제3 영역(151c)은 연속적으로 다시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연장되어 나와(extend out) 부분적으로 제2 프레임(102), 즉 제2 후방부(1022)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2 프레임(102), 즉 제2 후방부(1022)는 제 1 프레임(101), 즉 제 1 후방부(1012)에 인접하며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리어 케이스를 형성하므로, 제3 영역(151c)은 제 1 프레임(101)의 배면에도 배치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제2 영역(151b)은 제3 영역(151c)에 인접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프레임(102)의 제2 후방부(102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151b)는 제2 프레임(102)에 직접 결합하지 않고 슬라이드 프레임(103)에 결합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
결과적으로, 제1 영역(151a)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전면에 항상 노출되며, 제2 영역(151b)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배면에 항상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151c)은 제 1 및 제2 영역(151a, 151b)사이에 배치되어, 제 2 프레임(102)의 이동 방향(D1, D2)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영역(151c)의 선택적인 배치로 인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01)의 제1 후방부(1012)는 제 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2 및 제3 영역(151b, 151c) 및 제2 후방부(1022)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이 제 2 상태에서는 제3 영역(151c)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하고, 제2 후방부(1022)도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므로, 이동 단말기(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102)의 제 2 전방부(1021)는 제 1 상태에서는 제 1 프레임(101)의 제 1 전방부(1011)에 의해 숨겨져 배치되나 제 2 상태에서는 제 1 프레임(101)으로부터 이동되어 나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3 영역(151c)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전방부(1021)이 슬라이드 이동시 내부의 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2 전방부(1021)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분리판(1017)을 더 구비하여 제1 전방부(1011)와 체결할 수 있다. 제2 전방부(1021)는 제2 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1 전방부(1011)와 분리판(1017)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영역(151c)은 제2 프레임(102)내에서 롤러(210)에 감기어 절곡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시 제3 영역(151c)은 롤러(210)에 어느 한 방향으로 감기면서 제 2 프레임(102)으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확장될 수 있다. 반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전환시 제3 영역(151c)은 롤러(210)에 반대방향으로 감기면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부터 제 2 프레임(102)으로 수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책처럼 펼쳐지는 형태의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특정위치만 반복적으로 접히기 때문에 상기 특정위치가 파손되기 쉽다. 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부위, 즉 롤러(210)에 감기는 부위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및 제 2 상태, 즉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부위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변형 및 피로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15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구성(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태전환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동상태 전환동안의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이 설명된다. 그러나, 다음에서 설명되는 제 1-3 프레임(101-103)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작동은 사용자의 힘이 아닌 다른 동력원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후술되는 구동부(200)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2 후방부(1022)의 배면에 후면커버(10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후면 커버(1025)는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면 제1 상태에서 후면부도 이용가능하고 불투명한 소재를 이용하면 슬라이드 프레임(103)이 이동하는 모습이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프레임(103)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제2 후방부(1022)와 후면커버(1025) 사이의 이격공간 사이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0)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제1 상태를 (b)는 제2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2 프레임(102)을 제1 프레임(101)에 대해 제1 "눰*(D1)으로 당기거나 제2 방향(D2)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수동방식은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과도하게 힘을 가하는 경우 파손 우려가 있어, 뒤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제2 프레임(102)이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201)를 이용하는 구동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2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01)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직선 운동하는 리니어 모터(201)를 이용할 수도 있다.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01)는 큰 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터(201)의 지름이 커야 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약된 공간에서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소정 크기 이상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모터(201)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02)의 이동속도가 너무 빠르면 파손이나 오작동 우려가 있으므로 안정적인 속도로 이동하도록 모터(201)의 속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유성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성기어(202)는 톱니의 개수가 다른 복수 개의 원판 기어를 이용하여 모터(201)의 회전 수를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201)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1)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제2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제2 프레임(102)은 제1 프레임(101)에 대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기 때문에 모터(20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 피니언 기어를 이용할 수 있다. 모터(20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피니언 기어는 제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톱니로 구성된 랙기어(205)와 맞물리도록 배치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는 모터(201)와 함께 제1 프레임(101)에 고정되고 랙기어(205)는 제2 프레임(102)에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프레임(101)에 랙기어(205)가 위치하고 제2 프레임(102)에 모터(201)와 피니언 기어가 배치될 수도 있다.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지 않도록 모터(201)가 피니언 기어를 잡고 있으므로 제2 프레임(102)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피니언기어가 회전하면서 제2 프레임(102)의 위치가 어긋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고정되도록 제2 프레임(102) 또는 랙기어(205)와 제1 프레임(101) 사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모터(201)에 전류가 흘러 구동하는 경우 해제되어 제2 프레임(102)의 이동을 허용하고, 모터(20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모터(201)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제2 프레임(102)과 제2 프레임(102)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구동부(200)를 상하방향(제3 방향)으로 대칭으로 한 쌍 구비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이동 단말기(100)의 제한된 실장공간을 고려하여 배터리 등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구동부(200)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해야 한다. 이와 같은 비대칭적인 구동부(200)의 위치에 따라 제2 프레임(102)이 이동 중에 상단부와 하단부의 이동속도가 달라 뒤틀려 이동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리니어 가이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230)는 제3 방향으로 일측에 치우친 하나의 구동부(200)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제3 방향 양단, 즉 상측과 하측에 배치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23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231)과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2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1)을 제1 프레임(101)에 배치하고 가이드 블록(232)을 제2 프레임(102)에 배치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제2 프레임(102)에 가이드 레일(231)을 배치하여 제2 상태에서 제2 프레임(102)의 확장된 부분의 상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32)을 제1 프레임(101)에 결합하고 가이드 레일(231)을 제2 프레임(102)에 결합한 후에 가이드 블록(232)과 가이드 레일(231)을 슬라이드 체결할 수도 있으나 체결의 편의성을 위해 가이드 블록(232)과 가이드 레일(231)이 체결된 상태에서 먼저 가이드 블록(232)을 제1 프레임(101)에 고정하고 이후 제2 프레임(102)과 가이드 레일(231)을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32)은 가이드 레일(231)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가이드 레일(231)에 가이드 블록(232)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1)과 가이드 블록(232)의 체결부는 요철이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32)과 가이드 레일(231)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이나 폴리옥시메틸렌(POM:Poly Oxil Metilen)과 같이 내마모성이 강하고 마찰저항이 적으며 자기윤활성이 있는 부재를 가이드 홈 내측에 부가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A-A 및 B-B의 단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에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배면방향에 위치하던 제3 영역(151c)이 전면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으로 이동된 제3 영역(151c)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제2 프레임(102)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2 전방부(1021)는 제2 상태에서 제3 영역(151c)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제1 상태에서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와 중첩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전방부(1011)와 제2 전방부(1021)는 단차를 이루게 된다. 제1 전방부(1011)와 제2 전방부(1021)의 단차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영역(151a)과 제3 영역(151c)에 경계가 발생하게 된다. 제2 전방부(102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3 영역(151c)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우기 위한 지지구조로서 롤링 플레이트(104)를 이용할 수 있다.
롤링 플레이트(10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위치하며, 제2 상태에서 제2 전방부(102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의 이격 공간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 롤링 플레이트(104)는 롤러(210)에 감겨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및 배면 방향에 위치하고, 제2 프레임(102)의 제2 후방부와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부를 커버하는 후면커버(1025) 사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롤링 플레이트(104)가 위치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로 전환시 롤링 플레이트(104)는 전면으로 이동하며, 롤링 플레이트(104)는 제2 프레임(102)의 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롤링 플레이트(104)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3 영역(151c)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시 휨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이므로, 롤링 플레이트(104) 또한 제3 영역(151c)의 변형에 상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롤링 플레이트(10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전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는 경우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즉, 롤링 플레이트(104)는 제3 방향으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방향으로는 휨변형이 가능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하 후술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900)는 바디(910), 디스플레이(920), 입력부(930) 및 제어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910)는 이동 단말기(900)를 이루고 있는 하드웨어로써,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프레임은 제 1 프레임으로부터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조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 2 프레임이 제 1 프레임으로부터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900)는 제 2 프레임을 확장하거나 수축할 수 있게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부는 도 7의 구동부(20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900)는 제 2 프레임이 확장됨에 따라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고, 제 2 프레임이 수축됨에 따라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는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제 1 상태에 대응할 수 있고,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 2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20)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및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전환됨에 따라 바디(910)의 전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될 수 있도록 바디(9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920)는 바디(910)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감쌀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920)는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프레임이 확장됨에 따라 바디(9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바디(910)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바디(910)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바디(910)의 측면을 거쳐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이 수축됨에 따라 바디(910)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바디(910)의 측면으로 이동하거나 바디(910)의 측면을 거쳐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 즉, 이동 단말기(900)가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인 상태를 기본(default)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20)는 비주얼(visual)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얼 정보는 텍스트(text), 인디케이터(indicator), 아이콘(icon), 컨텐트(content),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미지(image) 및 동영상(vide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920)는 제어부(94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920)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는(920)는 분할된 영역에 각각 다른 비주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920)는 제 1 영역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고, 제 2 영역에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920)는 비주얼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920)는 단순히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아닌, 출력된 비주얼 정보에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920)는 출력된 애플리케이션을 흑백 처리하거나, 블러(blur) 처리 또는 디밍(dimming)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920)는 도 1 에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출력 기능과 터치 기능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입력부(930)는 이동 단말기(900)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94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입력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93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940)가 제 1 영역을 선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입력 결과를 제어부(94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930)는 디스플레이(920)에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930)는 디스플레이(920)에 구비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920)의 출력 기능과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930)는 도 1의 입력부(120)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93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93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 터치된 면적 및 터치된 압력 등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930)는 단순히 사용자로부터 아이콘 또는 인디케이터를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입력부(930)는 아이콘 또는 인디케이터를 터치한 후, 다른 위치까지 드래그하는 터치 드래그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94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이동 단말기(9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940)는 도 1의 제어부(18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900)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어부(9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이동 단말기(900)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 및 이해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이 참고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1000)은 다이얼 인디케이터(1010), 기능 인디케이터(1020) 및 라인 인디케이터(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1000)은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000)에 포함된 다이얼 인디케이터(1010), 기능 인디케이터(1020) 및 라인 인디케이터(1030)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이얼 인디케이터(1010)는 아이콘(1000)을 둘러싸는 모양으로 출력될 수 있고, 여러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이얼 인디케이터(1010)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설정 받을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인디케이터(1010)를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실시예는 이하 도면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기능 인디케이터(1020)는 아이콘(1000)의 내부에 출력될 수 있으며,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아이콘(100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밝기를 조절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000)의 내부에 밝기를 나타내는 기능 인디케이터(1020)를 출력할 수 있다.
라인 인디케이터(1030)는 아이콘(1000)의 내부에 출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에 분할된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를 왼쪽 영역과, 오른쪽 위 영역, 오른쪽 아래 영역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라인 인디케이터(1031),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032) 및 제 3 라인 인디케이터(1033)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을 아이콘(1000) 상에 나타내기 위하여 라인 인디케이터(103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 기초하여 아이콘(1000) 상에 라인 인디케이터(103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분할된 영역이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인 경우, 아이콘(1000)을 3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라인 인디케이터(1030)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실시예는 이하 도면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000)에 다이얼 인디케이터(1010), 기능 인디케이터(1020) 및 라인 인디케이터(1030)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제어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영역이 어디인지,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어느 정도 제어할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000)에 대한 신호에 기초하여 아이콘(1000)이 제어하는 기능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의 (b)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아이콘(1000)은 밝기 인디케이터(1020a)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아이콘(1000)이 제어하는 기능이 애플리케이션의 밝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아이콘(1000)에 대한 신호(1040)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000)이 제어하는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의 (b)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신호(1040)에 기초하여 아이콘(1000)이 밝기 기능을 조절하는 것이 아닌 리소스(resource)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000)에 포함된 기능 인디케이터를 밝기 인디케이터(1020a)에서 리소스 인디케이터(1020b)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신호(1040)는 아이콘(1000)을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터치 드래그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아이콘(1000)을 터치한 후 오른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000)이 제어하는 기능을 밝기 기능에서 리소스 기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1040)에 기초하여 아이콘(1000)이 제어하는 기능이 변경되는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에서 영역을 선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를 확장하게 되면서,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에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 중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는지,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도 11의 (a) 및 (b)는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1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콘(1100)은 라인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영역이 나뉘어질 수 있다. 이때, 나뉘어진 영역은 이동 단말기가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상에 출력 중인 분할된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120)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가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 중인 분할된 영역 중 제 1 영역(1110)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미도시)을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신호(1120)는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을 한번 터치하는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120)에 대응하여 제 1 영역(1110)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을 터치함에 따라, 제 1 영역(1110)의 선택 및 선택 해제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이 선택 해제된 상태에서, 제 1 영역(1110)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영역(1110)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 1 영역(1110)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영역(1110)이 선택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제 1 신호(1120)에 기초하여 제 1 영역(1110)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에 대한 추가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가 제 1 신호(1120)에 기초하여 제 1 영역(1110)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선택 해제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10)에 대한 추가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실행 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일부를 선택하거나 선택 해제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여러 개의 영역을 한번에 선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을 터치한 뒤 제 3 영역(1130)까지 드래그하는 제 2 신호(1140)에 기초하여,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 중인 분할된 영역 중 제 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제 1 영역(1110)을 터치한 뒤, 제 2 영역을 지나 제 3 영역(1130)에서 터치 해제하는 제 2 신호(1140)를 입력한 경우, 제 1 영역(1110)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영역(1130)에 대응하는 제 3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의 (a)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이 선택 해제된 상태에서,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이 선택된 상태에서, 아이콘(1100)의 제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아이콘(1100)의 제 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이 선택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제 2 신호(1140)에 기초하여 제 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에 대한 추가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한번에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신호(1140)에 기초하여 제 1 영역(1110) 내지 제 3 영역(1130)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이 선택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100)에 대한 추가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실행 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 중 여러 개를 한번에 선택하거나 선택 해제하여 편리하게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아이콘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 1 신호(1210)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의 이동 단말기는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를 가지기 때문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실시예 이외에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확장된 디스플레이를 기 설정된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에 각각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신호(1210)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영역에 한정하여 제 1 신호(1210)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분할된 영역의 중심점(1201)을 사용자가 롱-터치하는 경우, 제 1 신호(1210)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210)에 따라 아이콘(1220)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이콘(1220)은 도 10 및 도 11에서 상술한 아이콘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분할된 영역의 중심점(1201)을 롱-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아이콘(122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1220)은 디스플레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에서는 분할된 영역의 중심점(1201)에 아이콘(1220)이 출력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아이콘(1220)이 다른 위치에 출력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동 단말기는 출력된 아이콘(1220)에 대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분할된 영역 중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220)을 선택하는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분할된 영역을 선택하거나 선택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220)이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아이콘(1220)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220)에 대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영역과 선택되지 않은 영역을 구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왼쪽 도면은 도 12의 오른쪽 도면의 이후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310)에 대한 신호에 기초하여 분할된 영역 중 선택된 영역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영역과 선택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310)을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아이콘(1310)에 대한 제 1 신호(1320)에 기초하여 분할된 영역 중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거나 선택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를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제 1 애플리케이션(1301), 제 2 애플리케이션(13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303)을 실행 중인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310)의 제 2 영역(1312) 및 제 3 영역(1313)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32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 중 이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3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303)을 선택 또는 선택 해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아이콘(1310)의 내부에 라인 인디케이터로 구분되는 제 2 영역(1312)와 제 3 영역(1313)을 각각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310)의 제 2 영역(13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302), 아이콘(1310)의 제 3 영역(1313)에 대응하는 제 3 애플리케이션(1303)을 선택하거나 선택 해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의 왼쪽 도면은 제 1 신호(1320) 이전에 제 1 애플리케이션(1301), 제 2 애플리케이션(13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303)이 모두 선택된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320)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13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303)을 선택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32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실행 중인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선택 해제되는 경우 비주얼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320)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선택 해제되는 경우, 선택 해제된 애플리케이션을 흑백, 블러(blur) 또는 디밍(dimming)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 해제된 애플리케이션은 흑백으로 출력되거나, 흐릿하게 출력되거나 어둡게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320)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13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303)이 선택 해제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13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303)을 흐릿하게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애플리케이션(1301)을 그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1301)이 선택되었고, 제 2 애플리케이션(13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303)은 선택이 해제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하여 상이한 비주얼 효과를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콘(1310) 내부의 영역도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하여도 상이한 비주얼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320)에 따라 아이콘(1310)의 제 2 영역(1312) 및 제 3 영역(1313)을 선택 해제하는 경우, 아이콘(1310)의 제 2 영역(1312) 및 제 3 영역(1313)을 흑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통하여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영역이 제 1 영역인 경우, 아이콘을 제어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아이콘을 제어하는 입력 신호는 아이콘과 함께 출력된 다이얼(dial) 인디케이터(1411)를 터치하거나 터치-드래그(touch-drag)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 1 영역에 제 1 애플리케이션(1401)을 실행하고, 제 2 영역에 제 2 애플리케이션(1402)을 실행하고, 제 3 영역에 제 3 애플리케이션(1403)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아이콘(1410)의 제 1 영역은 선택 해제되고,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은 선택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1401)을 선택 해제하고,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2 애플리케이션(14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403)을 선택할 수 있다.
제 2 애플리케이션(14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403)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410)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410)과 함께 출력된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를 터치하거나 터치-드래그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를 조작하는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2 애플리케이션(14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403)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영역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아이콘을 조작하는 하나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두 개 이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아이콘(1410)이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은 밝기 조절 기능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410)을 조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14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403)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1410)의 모양이 원형인 경우,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는 아이콘(1410)의 외곽을 따라 복수 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터치-드래그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밝기를 밝게 또는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410)의 내부에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141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를 터치-드래그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되는 밝기의 수치(1412)를 아이콘(1412) 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되는 기능의 수치(1412)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와 달리 다른 영역이 선택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 해제하는 실시예는 상술한 도면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아이콘(1410)의 제 1 영역은 선택되고,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은 선택 해제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1401)을 선택하고, 제 2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2 애플리케이션(14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403)을 선택 해제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1401)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410)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410)과 함께 출력된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를 조작하는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애플리케이션(140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아이콘(1410)이 제어하는 기능이 밝기 조절 기능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터치-드래그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1401)의 밝기를 밝게 또는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는 사용자의 터치-드래그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경우와 선택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색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밝기 조절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어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밝기가 100%인 경우, 모든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는 주황색으로 출력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터치-드래그 신호에 따라 밝기가 50%로 변경된 경우, 터치-드래그된 절반의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는 검정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드래그 신호에 기초하여 다이얼 인디케이터(1411)의 색상을 즉각적으로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가능한 기능은 밝기 조절 기능, 소리 조절 기능, 화면 온/오프 전환 기능, 해상도 조절 기능, FPS(frame per second) 조절 기능 및 시스템 리소스 분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의 제 1 영역(1511)을 선택한 뒤,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521)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아이콘(1510)의 제 1 영역(1511)을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521)로 터치-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1510)이 제어하는 기능은 밝기 조절 기능에 대응할 수 있고,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521)는 밝기가 75%인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의 제 1 영역(151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서 실행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1531)의 밝기를 75%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의 제 1 영역(1511)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521)를 선택한 후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522)까지 터치-드래그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521)를 터치한 후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522)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제 1 애플리케이션(1531)의 밝기를 75%에서 50%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동 단말기는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521)를 터치한 후,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522)까지 드래그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1531)의 밝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드래그 속도에 맞추어 밝기를 75%에서 50%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순히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521)를 선택한 경우와 달리,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521)에서부터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522)까지 드래그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153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제어되는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상에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1540)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14에서 상술한 바와 달리, 이동 단말기는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1540)를 아이콘 내부에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에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의 제 1 라인 인디케이터(1550)를 선택한 뒤, 제 3 다이얼 인디케이터(1523)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아이콘(1510)의 제 1 라인 인디케이터(1550)를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 3 다이얼 인디케이터(1523)로 터치-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 인디케이터(1550)는 아이콘(1510) 내에서 제 1 영역(1511)과 제 2 영역(1512)을 구분하는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에 포함된 제 1 라인 인디케이터(1550)를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라인 인디케이터(1550)와 인접한 영역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의 제 1 라인 인디케이터(1550)를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영역(1511)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및 제 2 영역(15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532)을 선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라인 인디케이터(1550)를 터치한 후, 제 3 다이얼 인디케이터(1523)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및 제 2 애플리케이션(153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 3 다이얼 인디케이터(1523)가 밝기가 59%인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및 제 2 애플리케이션(1532)의 밝기를 59%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라인 인디케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인접한 영역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으며, 라인 인디케이터를 선택한 후 다이얼 인디케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인접한 영역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기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15a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154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5b에서는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두 개이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는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및 제 2 애플리케이션(1532) 상에 수치(154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의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551)를 선택한 뒤, 제 4 다이얼 인디케이터(1524)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아이콘(1510)의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551)를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 4 다이얼 인디케이터(1524)로 터치-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551)는 아이콘(1510) 내에서 제 1 영역(1511), 제 2 영역(1512) 및 제 3 영역(1513)을 구분하는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551)는 제 1 영역(1511), 제 2 영역(1512) 및 제 3 영역(1513)의 중심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에 포함된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551)를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551)와 인접한 영역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510)의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551)를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2라인 인디케이터(1551)에 인접한 영역이 제 1 영역(1511), 제 2 영역(1512) 및 제 3 영역(1513)에 해당하므로, 제 1 영역(1511)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제 2 영역(15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532) 및 제 3 영역(1513)에 대응하는 제 3 애플리케이션(1533)을 선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 2 라인 인디케이터(1551)를 터치한 후, 제 4 다이얼 인디케이터(1524)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제 2 애플리케이션(153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533)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다이얼 인디케이터(1524)가 밝기가 75%인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제 2 애플리케이션(153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533)의 밝기를 59%로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모든 영역에 인접한 중심 라인 인디케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모든 영역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154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5c에서는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세 개이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는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제 2 애플리케이션(153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533) 상에 수치(1540)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가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치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기능에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제 1 애플리케이션(1531), 제 2 애플리케이션(153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533) 상에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1540)를 출력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치(1540)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실행 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아이콘에 대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아이콘(1610)의 제 1 영역(1611) 주위에 위치하는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는 제 1 영역(1611)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163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아이콘(1610)의 제 2 영역(1612) 주위에 위치하는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622)는 제 2 영역(16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63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5a 내지 도 15c와 달리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아이콘(1610)에 포함된 제 1 영역(1611) 내지 제 3 영역이 다이얼 인디케이터를 공유하지 않으며, 제 1 영역(1611)에 인접한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만이 제 1 애플리케이션(1631)의 기능을 제어하고, 제 2 영역(1612)에 인접한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622)만이 제 2 애플리케이션(163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의 다이얼 인디케이터는 도 15a 내지 도 15c의 다이얼 인디케이터와는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는 제 1 영역(1611)에 인접하며 복수 개의 점(do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622)는 제 2 영역(1612)에 인접하며 복수 개의 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만이 제 1 애플리케이션(1631)을 제어하기 때문에,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는 복수 개의 점으로 수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가 10개의 점으로 구성된 경우, 10개의 점이 100%를 의미하기 때문에 점 하나에 할당된 수치는 10%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622)가 4개의 점으로 구성된 경우, 4개의 점이 100%를 의미하기 때문에 점 하나에 할당된 수치는 25%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 중 제 1 값(1621a)을 선택하는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제 1 영역(1611)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1631)의 기능을 제 1 값(1621a)에 대응하는 수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값(1621a)를 선택하는 신호는 일정 방향으로의 터치-드래그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값(1621a)를 선택하는 신호는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에 포함된 점들을 터치-드래그하여 제 1 값(1621a)에서 터치 해제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값(1621a)이 밝기가 50%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다이얼 인디케이터(1621) 중 제 1 값(1621a)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제 1 애플리케이션(1631)의 밝기를 50%로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622) 중 제 2 값(1622a)을 선택하는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제 2 영역(16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632)의 기능을 제 2 값(1622a)에 대응하는 수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값(1622a)이 밝기가 75%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2 다이얼 인디케이터(1622) 중 제 2 값(1622a)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제 2 애플리케이션(1632)의 밝기를 75%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1610)을 통하여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밝기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소리 조절 기능, 해상도 조절 기능, FPS 조절 기능 및 시스템 리소스 조절 기능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출력된 아이콘이 분할된 영역에서 각각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소리 볼륨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 1 영역에 제 1 애플리케이션(1701)을 실행하고, 제 2 영역에 제 2 애플리케이션(1702)을 실행하고, 제 3 영역에 제 3 애플리케이션(1703)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애플리케이션(1701), 제 2 애플리케이션(17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703)은 모두 소리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제 1 애플리케이션(1701), 제 2 애플리케이션(17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703)의 소리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1701)은 게임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1702)은 통화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703)은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710)을 이용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1701), 제 2 애플리케이션(17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703)의 소리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710)을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아이콘(1710)은 확장된 디스플레이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대응하여 내부 영역이 분할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710)의 제 2 영역(1712)을 선택하는 제 1 입력 신호(172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이콘(1710)의 제 2 영역(1712)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1710)의 제 1 영역(1711), 제 2 영역(1712) 및 제 3 영역(1713)은 선택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는 이동 단말기가 아이콘(1710)을 통하여 제 1 영역(1711), 제 2 영역(1712) 및 제 3 영역(1713)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720)에 기초하여 아이콘(1710)의 제 2 영역(1712)을 선택되지 않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가 아이콘(1710)을 통하여 제 2 영역(1712)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7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720)를 감지함에 따라, 제 2 영역(1712)을 선택되지 않은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영역(17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702)을 흑백으로 출력하거나, 어둡게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이콘(1710)을 통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1701)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703)을 제어할 것을 알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710)의 제 1 영역(1711) 및 제 3 영역(1713)이 선택되고, 제 2 영역(1712)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콘(1710)의 다이얼 인디케이터를 조작하는 제 2 입력 신호(173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이콘(1710)의 다이얼 인디케이터를 기 설정된 방향(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터치-드래그할 수 있다.
아이콘(1710)이 애플리케이션이 출력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아이콘(1710)의 다이얼 인디케이터는 복수 개의 점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점이 소리 볼륨의 수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 인디케이터가 20개의 점으로 구성된 경우, 20번째 점은 이동 단말기가 출력할 수 있는 가장 큰 소리를 나타낼 수 있고, 1번째 점은 아무 소리도 출력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730)를 감지함에 따라, 선택된 제 1 영역(1711) 및 제 3 영역(1713)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1701)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703)이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2 입력 신호(1730)가 다이얼 인디케이터의 20번째 점을 따라 1번째 점으로 터치-드래그하는 입력 신호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730)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1701)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703)이 출력하는 소리의 볼륨을 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710)의 선택되지 않은 영역인 제 2 영역(17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702)의 소리 볼륨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선택된 영역인 제 1 영역(1711) 및 제 3 영역(1713)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1701) 및 제 3 영역(1703)의 소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소리가 출력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리의 출력을 유지하고,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의 소리는 빠르게 음소거(mute)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특히 사용자가 급하게 전화를 수신하고자 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의 실시예에서는 아이콘을 이용하여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개별적으로 켜거나 끄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화면이 켜진 상태를 온(on) 상태로 지칭하고, 화면이 꺼진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지칭할 수 있다.
도 18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 1 영역에 제 1 애플리케이션(1801)을 실행하고, 제 2 영역에 제 2 애플리케이션(1802)을 실행하고, 제 3 영역에 제 3 애플리케이션(1803)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810)을 이용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1801), 제 2 애플리케이션(18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8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1810)이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은 화면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810)의 제 2 영역(1812)을 선택하는 제 1 입력 신호(1820)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이콘(1810)의 제 2 영역(1812)을 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애플리케이션(1802)의 화면이 켜져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820)에 기초하여 제 2 영역(18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802)의 화면을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면을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는 것은 단순히 애플리케이션이 출력 중인 디스플레이를 끄는 경우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출력 중인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끔과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을 절전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애플리케이션(1802)의 화면이 꺼져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820)에 기초하여 제 2 영역(18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802)의 화면을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2 애플리케이션(1802)의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아이콘(1810)의 제 1 영역(1811)을 선택하는 제 2 입력 신호(183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이콘(1810)의 제 1 영역(1811)을 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1801)의 화면이 켜져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2 입력 신호(1830)에 기초하여 제 1 영역(1811)에 대응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1801)의 화면을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애플리케이션(1801)의 화면이 꺼져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다시 한번 아이콘(1801)의 제 1 영역(1811)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1801)의 화면을 켤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영역과 아이콘의 내부 영역에 동일한 비주얼 효과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91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미도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서 선택된 영역이 결정된 경우, 선택된 영역과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내부 영역에 동일한 비주얼 효과(visual effect)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콘(1910)의 제 2 영역(1912)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910)의 제 2 영역(1912)과 제 2 영역(1912)에 대응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1902)에 동일한 비주얼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이콘(1910)의 제 3 영역(1913)이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910)의 제 3 영역(1913)과 제 3 영역(1913)에 대응하는 제 3 애플리케이션(1903)에 동일한 비주얼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일한 비주얼 효과로써, 이동 단말기는 제 2 영역(1912)과 제 2 애플리케이션(1902)을 동일한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제 2 영역(1912)과 제 2 애플리케이션(1902)을 제 1 색상으로 출력하고, 제 3 영역(1913)과 제 3 애플리케이션(1903)을 제 2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콘(1910) 내부의 색상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아이콘(1910)에 기초하여 제어된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 2 영역(1912) 및 제 3 영역(1913)이 선택된 상태에서, 아이콘(1910)의 다이얼 인디케이터를 조절하는 제 1 입력 신호(1920)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1910)이 제어하는 기능은 밝기 조절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1902)의 밝기가 60%고, 제 3 애플리케이션(1903)의 밝기가 50%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920)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 2 애플리케이션(19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903)의 밝기가 다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920)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9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920)를 감지함에 따라, 제 2 애플리케이션(19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903)의 제어 기능을 동일한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애플리케이션(1902)의 밝기가 60%이고, 제 3 애플리케이션(1903)의 밝기가 50%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영역의 밝기를 25%로 제어하는 제 1 입력 신호(1920)를 감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 1 입력 신호(1920)에 따라, 제 2 애플리케이션(1902) 및 제 3 애플리케이션(1903)의 밝기를 모두 25%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9의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설정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아이콘(1910)을 제어하여 동일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20의 각 단계는 도 1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0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및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전환됨에 따라 바디의 전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될 수 있도록 바디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S2010)에서,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확장된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S2020)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에 따라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은 디스플레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의 내부에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출력된 아이콘에 대한 기 설정된 신호에 기초하여 아이콘이 제어하는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의 내부에 분할된 영역을 구분하는 라인 인디케이터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의 내부 또는 기능이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수치가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치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S2030)에서, 이동 단말기는 출력된 아이콘에 대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이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아이콘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신호가 라인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신호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라인 인디케이터에 인접한 영역을 선택된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가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분할된 영역 중 선택된 영역을 결정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영역과 선택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영역과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내부 영역에 동일한 비주얼 효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S2040)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에 대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영역이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인 경우,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영역이 두 개 이상의 영역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두 개 이상의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기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가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은 밝기 조절 기능, 소리 조절 기능, 화면 온/오프 전환 기능, 해상도 조절 기능, FPS 조절 기능 및 시스템 리소스 분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동 단말기가 제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3 신호는 아이콘과 함께 출력된 다이얼 인디케이터를 터치하거나 터치-드래그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도 10 내지 도 19를 통해 상술한 실시예들은 도 20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으며, 반복적으로 적용가능하다.

Claims (20)

  1. 바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및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전환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전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상기 선택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선택된 영역과 상기 선택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이 제 1 영역인 경우, 상기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역에서 실행 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는 상기 아이콘과 함께 출력된 다이얼(dial) 인디케이터를 터치하거나 터치-드래그(touch-drag)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밝기 조절 기능, 소리 조절 기능, 화면 온/오프 전환 기능, 해상도 조절 기능, FPS(frame per second) 조절 기능 및 시스템 리소스 분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에 상기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4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이 제어하는 기능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에 상기 분할된 영역을 구분하는 라인(line)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라인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라인 인디케이터에 인접한 영역을 선택된 영역으로 결정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이 두 개 이상의 영역인 경우, 상기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기능을 동시에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에 상기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이 제어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어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수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치가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치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이 결정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과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의 내부 영역에 동일한 비주얼 효과(visual effect)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이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아이콘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으로부터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측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상기 바디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상기 바디의 측면을 거쳐 상기 바디의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프레임이 수축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상기 바디의 측면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바디의 측면을 거쳐 상기 후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 2 프레임을 확장하거나 수축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및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간에 전환됨에 따라 바디의 전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CT/KR2020/009277 2020-07-15 2020-07-15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1474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9277 WO2022014740A1 (ko) 2020-07-15 2020-07-15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7/033,519 US11416114B2 (en) 2020-07-15 2020-09-2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0214131.3A EP3940522A1 (en) 2020-07-15 2020-12-1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9277 WO2022014740A1 (ko) 2020-07-15 2020-07-15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740A1 true WO2022014740A1 (ko) 2022-01-20

Family

ID=7385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9277 WO2022014740A1 (ko) 2020-07-15 2020-07-15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6114B2 (ko)
EP (1) EP3940522A1 (ko)
WO (1) WO2022014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6248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66247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66246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7468S1 (en) * 2020-03-31 2023-0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1001788S1 (en) * 2020-04-02 2023-10-1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9055S1 (en) * 2020-04-02 2023-06-1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849S1 (en) * 2020-04-06 2023-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997S1 (en) * 2020-04-0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4343S1 (en) * 2020-04-06 2023-0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996S1 (en) * 2020-04-0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848S1 (en) * 2020-04-06 2023-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123S1 (en) * 2020-04-06 2023-02-14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384S1 (en) * 2020-04-06 2023-03-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6846S1 (en) * 2020-05-18 2023-05-2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N114780001B (zh) * 2022-04-19 2023-04-25 青岛海信智慧生活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路开关设备的控制方法、终端设备及服务器
KR20240041634A (ko) * 2022-09-23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5511A1 (en) * 2014-01-17 2015-07-2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70038308A (ko) * 2015-09-30 2017-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01389A (ko) * 2017-06-27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US20190272091A1 (en) * 2011-02-10 2019-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90141518A (ko) * 2018-06-14 2019-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08090902A1 (ja) * 2007-01-25 2008-07-31 Sharp Kabushiki Kaisha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2008250804A (ja) * 2007-03-30 2008-10-16 Kyocera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変更制御装置及び画像変更プログラム
US8302026B2 (en) * 2008-11-28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anel user interface
KR20100081577A (ko) * 2009-01-06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오브젝트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JP5588844B2 (ja) * 2010-11-26 2014-09-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383775B2 (en) * 2012-02-0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Icon display method for a pull-out display device
KR102053315B1 (ko) * 2012-06-29 2019-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21021B1 (ko) * 2012-11-12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팅 값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585553B2 (en) * 2012-12-06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I466089B (zh) * 2012-12-24 2014-12-21 Ind Tech Res Inst 軟性顯示裝置的顯示方法與軟性顯示裝置
KR102066716B1 (ko) * 2013-06-20 2020-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91972B1 (ko) * 2013-08-22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CN105683894B (zh) * 2013-08-22 2021-09-21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的应用执行方法及其显示设备
JP6151157B2 (ja) * 2013-10-29 2017-06-2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の動作方法
KR20150055275A (ko) * 2013-11-13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팜 터치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13212B1 (ko) * 2014-01-02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19843B1 (ko) *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53766B1 (ko) * 2014-04-15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132918A (ko) * 2014-05-19 2015-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20738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60114413A (ko) 2015-03-24 2016-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222840B2 (en) * 2014-10-15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42555B1 (ko) * 2014-11-10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462856B1 (ko) * 2015-06-24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37922B1 (ko) 2015-09-11 2023-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EP3374231A4 (en) * 2015-11-13 2019-05-2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USER INTERFACE FOR ON-BOARD SYSTEM
US20170329467A1 (en) * 2016-05-13 2017-11-16 Google Inc. Coalesc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Interactive Digital Content
KR102246777B1 (ko) * 2018-05-09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20042417A (ja) * 2018-09-07 2020-03-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KR102599383B1 (ko) * 2018-10-26 2023-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JP2020112730A (ja) * 2019-01-15 2020-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11835893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以及伸缩机械部件
KR20200124989A (ko) * 2019-04-25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WO2021112272A1 (ko) * 2019-12-03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164312B (zh) * 2020-09-28 2023-03-2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滑卷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2091A1 (en) * 2011-02-10 2019-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50205511A1 (en) * 2014-01-17 2015-07-2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70038308A (ko) * 2015-09-30 2017-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01389A (ko) * 2017-06-27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190141518A (ko) * 2018-06-14 2019-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0522A1 (en) 2022-01-19
US11416114B2 (en) 2022-08-16
US20220019336A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14740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21184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251525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025320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25308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10710A1 (ko) 이동 단말기
WO2021201316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04860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WO2017099276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8213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57803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25311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34126A1 (ko) 이동단말기
WO2015093667A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21246801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7086538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246802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162139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3380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21045265A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8034376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19488A1 (ko)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241774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1192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054970A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452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452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