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45245A1 -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45245A1
WO2019245245A1 PCT/KR2019/007278 KR2019007278W WO2019245245A1 WO 2019245245 A1 WO2019245245 A1 WO 2019245245A1 KR 2019007278 W KR2019007278 W KR 2019007278W WO 2019245245 A1 WO2019245245 A1 WO 201924524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liver damage
prevent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2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섭
이대영
김금숙
최두진
이재원
진잉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만방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만방바이오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ublication of WO201924524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4524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2Curcumin, turmeric

Definitions

  • the liver is the most active organ of the human body in vivo metabolism is also the largest organ of the human body.
  • the liver is located between the digestive system and the systemic circulatory system and serves to defend the whole body from in vitro substances from outside.
  • the liver is also a very important organ responsible for various metabolism, detoxification, degradation, synthesis and secretion.
  • the liver has a function of managing the energy metabolism, all the nutrients absorbed from the food is metabolized into a substance capable of producing energy in the liver is supplied or stored throughout the body, about 2,000 kinds of enzymes, albumin, coagulation Serum proteins, bile acids, phospholipids, and fats such as cholesterol are synthesized, stored and distributed in the liver.
  • the liver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our lives because it has the ability to excrete various metabolites into the duodenum through the bile ducts and immune function.
  • the liver detoxifies drugs, alcohol, toxic substances and the like as a detoxifying and degrading function, hepatocytes are susceptible to damage and therefore drug, toxic, alcoholic liver diseases, and the like can frequently occur.
  • the ex vivo substance enters the liver the liver has a higher risk of being exposed to many toxic substances in addition to the nutrients, which is more likely to be damaged.
  • acetaminophen is an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drug known as Tylenol and is the most commonly used in the world, but it is reported to cause acute liver damage (liver necrosis, neurotoxins, liver cirrhosis, etc.) when overdose. have.
  • turmeric is a kind of Zingiberaceae and its scientific name is Curcuma longa . It is used as a spice in tropical regions of Southeast Asia, and has been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due to its stro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Curcuma longa has antifungal activity (Apisariyakul Amphawan et al., 1995, Antifungal activity of turmeric oil extracted from Curcuma long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49, No. 3, pp.163 ⁇ 169), anti-inflammatory, anti-HIV Biological activities (CAC Araujo et al., 2001, Biolog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L., MEMORIAS DO INSTITUTO OSWALDO CRUZ, pp. 723-728) have been reported. There have been no studies showing that turmeric extracts are effective in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amage caused by liver toxici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treat liver damage by improving the liver cell protection effect according to liver toxicity, liver composi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liver damage comprising turmeric extract and functional ingredients o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iver damag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amage comprising turmeric ( Curcuma longa )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through water, C1 ⁇ C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fraction may be a fraction of the turmeric extract through a solvent roll containing ethyl acetate.
  • liver damage may be due to acetaminophen (Acetaminophen) drug.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may be derived from Curcuma longa .
  • the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or a mixture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iver damage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salt thereof,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or a salt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pre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action that inhibits liver delay or delays the onset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 treatment means any action that improves or advantageously changes the symptoms caused by liver damage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prevent, treat or improve liver damage by protecting the liver cells from liver damage caused by liver toxicity, in particular, liver toxicity caused by the drug, and thus preventing, treating and improving liver damage. It can be widely applied as a functional food.
  • Figure 1 is a graph of liver ce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ed to human liver cell line induced liver damage by acetaminophen.
  • Figure 2 is a graph of the AST activity of liver cel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treated with human liver cell line induced liver damage by acetaminophe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amage or a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amage, which comprises Curcuma longa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includ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Formula 2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amage includes Curcuma longa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urmeric (Cu rcuma longa) to be extracted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or may be one that is collected or grown in nature.
  • the turmeric may use any one or more portions of the root, stem, and leaves, preferably root.
  • the turmeric is not limited to whether the object is dried or pulverized during extraction, but preferably dried and pulverized may be used.
  • the turmeric extract may be extracted using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in the art, and may be, for example, ultrasonic extraction, filtration and reflux extraction.
  • the turmeric pulverized pulverized turmeric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by washing and drying may be extracted through water, C1 ⁇ C4 alcohol or an extraction solvent that is a mixed solvent thereof. More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extracted using ethanol or ethanol aqueous solution. At this time,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for 15 to 36 hours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20 ⁇ 30 °C.
  • the extract is filtered and the remaining extract is extracted again 2 to 4 times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obtain an extract.
  • the obtained extrac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as it is, o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the decompression concentration can be carried out under conditions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fraction may be a fraction of the turmeric extract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using water, ethyl acetate and any one or more fractions of n-butanol using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method in the art, preferably preventing liver damage , Ethylacetate fraction for turmeric ethanol extract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for treatment.
  • the turmeric ethanol extract is partitioned and extracted through water and ethyl acetate, and then the aqueous layer is partitioned and extracted with n-butanol, and each layer i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thyl acetate fraction, n-butanol. Fractions and water fractions can be obtaine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have an effect of inhibiting liver toxicity induced by acetaminophen treatment to improve cell survival rate of human liver cancer cell line (HepG2), and particularly, silymarin, a positive control group. Even if treated at a lower concentration it can be seen that hepatocellular protective effect is more excellent.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or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may be referred to as an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urmeric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to prevent and treat liver damage, and the compound may be, for example, a turmeric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 the obtained ethyl acetate fractions may be separat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inner diameter 10 ⁇ 20 cm, eluent CHCl 3 and volume ratio 40-60: 1), and each aliquot is thin layer chromatography ( After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each of the five fractions obtained was subjected to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inner diameter 5 ⁇ 20 cm, eluting solvent CHCl 3 and a volume ratio of MeOH 10-30: 1). Refractions can be obtained for each fraction.
  • the yield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about 30 mg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ased on 100 g of ethyl acetate fraction,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is about 15 mg.
  • ODS cc octadecyl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separated and purifi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nclud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 acid addition salts formed b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free acid are useful.
  • Acid addition salts include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hydrobromic acid, hydroiodic acid, nitrous acid or phosphorous acid and aliphatic mono and dicarboxylates, phenyl-substituted alkanoates, hydroxy alkanoates and alkanes. Obtained from non-toxic organic acids such as dioates, aromatic acids, aliphatic and aromatic sulfonic acids.
  • Such pharmaceutically toxic salts include sulfate, pyrosulfate, bisulfate, sulfite, bisulfite, nitrate, phosphate, monohydrogen phosphate, dihydrogen phosphate, metaphosphate, pyrophosphate chloride, bromide and iodide.
  • the acid addition salt is dissolved in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in an excess of an aqueous acid solution, and the salt is a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It can be prepared by precipitation with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 a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tal salt using a base.
  •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dissolving the compound in an excess of alkali metal hydroxide 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solution, filtering the insoluble compound salt, and evaporating and drying the filtrate. At this time, it is pharmaceutically suitable to prepare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as the metal salt.
  • Corresponding silver salts can also be obtained by reacting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with a suitable silver salt (eg, silver nitrate).
  • composi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be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formulations.
  • Solid form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form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at least one compound). lactose) and gelatin.
  •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at least one compound). lactose) and gelatin.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liquid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liquid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It can have either formulation.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degree of liver damage, the cause of liver damage, age, sex ,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sensitivity to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rate of release, th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the drug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0.0001 to 100 mg / kg, preferably at 0.001 to 100 mg / kg,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2, or a mixture thereof is preferably administered at 0.0001 to 100 mg / kg, preferably at 0.001 to 10 mg / kg .
  •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individual therapeutic agents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Tak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by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rectal administ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may be derived from Curcuma longa .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a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amage caused by various causes, and in particular, may express excellent efficacy on liver damage caused by acetaminophen drugs.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iver damage comprising turmeric (Cu rcuma longa)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urmeric Cu rcuma longa
  • turmeric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may be added to the food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 improving liver damage.
  • the extract and fractions thereof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a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or a mixture thereof.
  •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usu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weight.
  • Others may contain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 proportion of such pulp is not critical but is usu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weight.
  • the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iver damage inclu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salt thereof,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or a salt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 Example 1 Turmeric, n-butanol and water fractions obtained in Example 1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separate and purify each fraction. As a result,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s 1 and 2 were not detected.
  •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 1 according to Example 1 and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 2 according to Example 2 were each 10 ⁇ M in hepatocytes. After 2 hours of treatment with concentration, acetaminophen 10 mM treatment was used to measure cell viability after inducing hepatotoxicity for 24 hours.
  • hepatic cancer cell line treated with acetaminophen was not treated as a normal control group, and hepatic cancer cell line treated with only acetaminophen as a negative control group was used.
  • MTT assay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and the cells after the reaction were reacted with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reagent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 mg / ml for 1 hour.
  • MTT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ell survival rate of the human liver cancer cell line (HepG2) by inhibiting liver toxicity induced by acetaminophen treatment, In particular, even when treated at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positive control silymarin can be confirmed that the hepatocellular protective effect is more excellent.
  • AST activity level was evaluated, not the cell viability. Specifically, the AST activity was measured at 450 nm using a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assay kit (Sigma). After quantified by the following AST activity calculation metho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2 below.
  •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is markedly through the treatmen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AST activity value elevated by acetaminophen treat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egrada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AST activity level than silymarin treated at a higher concentration.
  •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but the change in LDH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stead of cell viability. That is, when hepatocytes are killed by injury, LDH (Lactate dehydrogenase) enzymes present in hepatocytes are released from the cells and the concentration is increased. Therefore, if the LDH concentration can be reduced, it can be regarded as an inhibitory effect on hepatocyte death.
  • LDH Lacate dehydrogenase
  • Example 1 Turmeric Ethyl Acetate Fraction of Example 1 1000 mg, Vitamin A Acetate 70 ⁇ g, Vitamin E 1.0 mg, Vitamin B1 0.13 mg, Vitamin B2 0.15 mg, Vitamin B6 0.5 mg, Vitamin B12 0.2 ⁇ g, Vitamin C 10 mg, Biotin 10 ⁇ g , Nicotinic acid amide 1.7 mg, folic acid 50 ug, calcium pantothenate 0.5 mg, ferrous sulfate 1.75 mg, zinc oxide 0.82 mg, magnesium carbonate 25.3 mg, potassium monophosphate 15 mg, dicalcium phosphate 55 mg, potassium citrate 90 mg , 100 mg of calcium carbonate and 24.8 mg of magnesium chloride may be mixed, and the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간 독성에 따른 간세포 보호효과를 향상시켜 간손상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간 독성에 따른 간세포 보호효과를 향상시켜 간손상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강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성분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간의 신체 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로 인체 내 장기 중 가장 큰 장기이기도 하다. 상기 간은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간은 각종 대사작용, 해독, 분해, 합성 및 분비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은 에너지 대사를 관리하는 기능이 있어, 음식물에서 흡수된 모든 영양소들이 간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물질로 대사되어 전신에 공급되거나 저장되며, 약 2,000 여종의 효소, 알부민, 응고인자들의 혈청단백, 담즙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 등이 간에서 합성되고 저장되며 분배된다. 또한 간은 각종 대사산물을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설하는 기능 및 면역기능이 있어 우리의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해독 및 분해 기능으로서 간에서 약물, 술, 독성물질 등을 해독시키므로, 간세포는 손상되기 쉽고 따라서 약물성, 독성, 알코올성 간질환 등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은 일단 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 보다 많아 그 만큼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간 질환의 원인 중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AAP)은 타이레놀로 잘 알려져 있는 진통 및 항염증치료제로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과량 복용시 급성 간 손상 (간 괴사, 신경독소, 간 경화 등)을 야기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화학물질 특히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시킬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강황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일종으로 학명은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 이다. 동남아시아 열대지역에서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항산화 및 항염작용이 강하여 전통 의약품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강황(Curcuma longa)은 항진균 활성(Apisariyakul Amphawan외 2인, 1995, Antifungal activity of turmeric oil extracted from Curcuma long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49권, 3호, pp.163~169), 항염증, 항-HIV, 항균, 항산화, 항선충 활성, 항암 등의 생물학적 활성(CAC Araujo외 1명, 2001, Biological activities of Curcuma longa L., MEMORIAS DO INSTITUTO OSWALDO CRUZ, pp.723 ~ 728) 등은 이미 보고되고 있으나, 강황을 이용한 추출물이 간 독성에 의한 간손상의 예방,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보고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간 독성에 따른 간세포 보호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간손상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강황 추출물 및 기능성분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황(Curcuma longa)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통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강황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한 용매롤 통해 분획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2
또한, 상기 간손상은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약물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3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강황(Curcuma longa)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5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6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7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강황(Curcuma longa)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로서,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간 손상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간 손상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따르면, 간 독성, 특히 약제에 기인한 간 독성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하여 간손상을 현저히 예방 및 치료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간 손상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도의 약제나 기능성 식품으로 널리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간 손상이 유도된 인간 간 세포주에 처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한 간 세포생존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간 손상이 유도된 인간 간 세포주에 처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한 간 세포의 AST 활성 그래프이다.
도 3은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해 간 손상이 유도된 인간 간 세포주에 처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한 간 세포의 LDH 농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09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0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먼저, 강황 추출물에 대해 설명한다.
추출대상이 되는 상기 강황(Curcuma longa)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황은 뿌리, 줄기, 잎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뿌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황은 추출 시 대상의 건조여부, 분쇄여부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후 분쇄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강황 추출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고, 일예로 초음파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일 수 있다. 구체적 일실시예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강황을 분쇄한 강황 분쇄물을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추출용매를 통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20 ~ 30℃의 온도조건에서 15 ~ 36시간동안 추출할 수 있다. 또한, 1회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고 남은 추출대상을 다시 동일조건으로 2 ~ 4회 더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수득된 추출물은 그대로 조성물에 포함되거나 또는 감압농축 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감압농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강황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분획물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된 강황 추출물을 물,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획용매를 통해 당업계 통상적인 분획방법을 이용하여 분획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간손상 예방, 치료용 유효성분의 함량 측면에서 강황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을 수득하는 일예시를 설명하면, 강황 에탄올 추출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통해 분배 추출하고, 이후 다시 물층을 n-부탄올로 분배추출한 뒤, 각 층을 감압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 및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간 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현저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1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2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간 독성을 억제하여 인간 간암 세포주(HepG2)의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양성대조군인 실리마린 보다 낮은 농도로 처리했음에도 간세포 보호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상승한 AST 활성 수치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처리를 통해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더 높은 농도로 처리된 실리마린보다도 AST 활성수치 감소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간세포가 손상에 의해 사멸되면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LDH (Lactate dehydrogenase) 효소가 세포 밖으로 방출되어 농도가 증가하는데,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증가된 LDH 농도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처리를 통해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약제의 의해 손상되는 간세포에 대한 사멸억제 효과가 있을 알 수 있다. 또한, 더 높은 농도로 처리된 실리마린보다도 LDH 농도 감소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강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포함되어 간손상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활성성분이라 할 것인데, 상기 화합물은 일예로 강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하고 정제하는 단계를 통해 수득될 수 있고, 단일 화합물이 정제될 때까지 1회 내지 수회를 거쳐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재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일예로써, 수득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내경 10 × 20 cm, 용출용매 CHCl3와 MeOH의 부피비율 40~60:1)를 이용해 분취할 수 있고, 각 분취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로 확인한 뒤, 수득된 5개의 분획물들 각각에 대하여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내경 5 × 20 cm, 용출용매 CHCl3와 및 MeOH의 부피비율 10~30:1)를 실시하여 각각의 분획물들에 대한 재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재분획물에 대해 옥타데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octadecyl column chromatograph(ODS c.c), 내경 4 × 10 cm, MeOH와 H2O의 부피비율 5~20:1)를 실시하여 각각의 재분획물에 대한 재재분획물(CUE-2-3-1 ~ CUE-2-3-10)을 얻을 수 있고, 이들 재재분획물중에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수득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율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g을 기준으로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 30mg 일 수 있고,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 15mg일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분리, 정제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이때,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간 손상의 정도, 간 손상의 원인,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으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여러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일예로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술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3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4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강황(Curcuma longa)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등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여 이하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여러 원인에 의한 간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으나, 특히 아세트아미노펜 약물에 의한 간손상에 탁월한 효능을 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포함한다.
즉, 간손상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강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식품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출물,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강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원료 조성물 중 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3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섭취기간 등을 고려하여 변경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건강음료 조성물일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호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기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 0.1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육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 1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5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6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강황(Curcuma longa)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등 식품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여 이하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시품조성물은 여러 원인에 의한 간손상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으나, 특히 아세트아미노펜 약물에 의한 간손상에 탁월한 효능을 발현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1>
건조하여 분쇄된 강황 시료 5kg에 대하여 70% 에탄올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를 여과한 뒤, 남은 시료를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더 추출하였다. 이후 수득된 여액을 합쳐서 감압농축 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3ℓ×2) / H2O(3ℓ)로 분배 추출하였고, 다시 H2O층을 n-BuOH(2.5ℓ×2)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후 수득된 각층을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250g) n-부탄올 분획물(100g) 및 H2O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CUE) 100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내경 10 × 20 cm, 용출용매 CHCl3와 MeOH의 부피비 50:1)를 실시하였고, 각 분취액(200 ml)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로 확인하여 5개의 분획물(CUE-1 ~ CUE-5)을 얻었다. 그 중, CUE-2 분획물 10g 에 대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내경 5 × 20 cm, CHCl3 및 MeOH의 20:1 비율로 실시)를 실시하여 12개의 분획물(CUE-2-1 ~ CUE-2-12)로 나누었고, CUE-2-3 분획물 1g에 대해 옥타데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octadecyl column chromatograph(ODS c.c), 내경 4 × 10 cm, MeOH와 H2O의 부피비 10:1)를 실시하여 10개의 분획물(CUE-2-3-1 ~ CUE-2-3-10)을 얻었으며, 이 중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CUE-2-3-1-5, 30mg)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CUE-2-3-1-5, 15mg)를 수득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7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8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강황,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각 분획물을 분리하고 정제하였다. 그 결과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예 1>
먼저 인간 간암 세포주(HepG2 cell)를 이용하여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간세포 보호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간암 세포주(HepG2 cell)를 10% (v/v) fetal bovine serum(FBS), 페니실린(100 U/mL), 스트렙토마이신(100 ㎍/mL) 첨가한 DMEM 배지로 37℃의 온도에서 5% CO2가 유지된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인간 간암 세포주를 2×105 cells/ml 농도로 24시간 배양한 후, 간세포에 실시예1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실시예2에 따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각각 10 μM의 농도로 2시간 전 처리한 후, 아세트아미노펜 10 mM 처리하여 24시간동안 간독성 유발 후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하였다.
이때, 정상대조군(Control)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이 무처리된 간암 세포주, 음성 대조군으로 아세트아미노펜만을 처리한 간암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현재 간질환 및 간경변 보조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실리마린(Silymarin)을 각각 20μM, 50μM, 100μM의 농도로 2시간 전처리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리한 간암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한편, 세포 생존율의 측정을 위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였고, 반응이 종료된 세포는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시약을 최종 농도 1 mg/ml로 처리한 후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포 배양액 제거 후, DMSO를 첨가하여 형성된 formazan을 녹인 후 Microplate reader(Synergy H1, BioTek)로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세포 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비의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간 독성을 억제하여 인간 간암 세포주(HepG2)의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양성대조군인 실리마린 보다 낮은 농도로 처리했음에도 간세포 보호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험예1과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되, 세포생존율이 아닌, AST 활성 수치를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AST 활성 수치는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assay kit (Sigm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아래의 AST 활성 계산법에 의해 수치화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AST activity (Unit/L) = (B × 시료의 희석배수) / (반응시간 (min) × 반응한 시료의 부피 (mL))
* B = 생성된 글루타메이트 (glutamate) 양 (nmole)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상승한 AST 활성 수치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처리를 통해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더 높은 농도로 처리된 실리마린보다도 AST 활성수치 감소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3>
실험예1과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되, 세포생존율이 아닌 LDH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즉, 간세포가 손상에 의해 사멸되면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LDH (Lactate dehydrogenase) 효소가 세포 밖으로 방출되어 농도가 증가하므로, 만일 LDH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간세포 사멸에 억제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LDH 활성은 LDH Cytotoxicity Detection Kit (TAKAR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비의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증가된 LDH 농도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처리를 통해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약제의 의해 손상되는 간세포에 대한 사멸억제 효과가 있을 알 수 있다. 또한, 더 높은 농도로 처리된 실리마린보다도 LDH 농도 감소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1] - 의약품
<제조예 1-1> - 산제
실시예 1의 강황 에탄올 추출물 50 mg, 결정셀룰로오즈 2 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산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 정제
실시예 1의 강황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 캡슐제
실시예 2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 mg, 유청단백질 10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식품
<제조예 2-1> - 건강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강황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0 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ug, 판토텐산 칼슘 0.5 mg,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였다.
<제조예 2-2> - 건강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강황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로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통해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강황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한 용매롤 통해 분획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19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손상은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약물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1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강황(Curcuma longa)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8.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3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4
  10.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5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6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강황(Curcuma longa)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12.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방법.
  1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7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07278-appb-I000028
PCT/KR2019/007278 2018-06-18 2019-06-17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924524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00 2018-06-18
KR1020180069900A KR102092729B1 (ko) 2018-06-18 2018-06-18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245A1 true WO2019245245A1 (ko) 2019-12-26

Family

ID=6898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278 WO2019245245A1 (ko) 2018-06-18 2019-06-17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2729B1 (ko)
WO (1) WO2019245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323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팜스킨 강황 초음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509A (ko) * 2016-04-21 2017-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34B1 (ko) * 2013-03-08 2015-03-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509A (ko) * 2016-04-21 2017-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LANTARI, H. ET AL.: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Curcuma longa extract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JUNDISHAPUR JOURNAL OF NATURAL PHARMACEUTICAL PRODUCTS, vol. 2, no. 1, 2007, pages 7 - 12, XP055665672 *
KHORSANDI, L. ET AL.: "Protective effect of Curcuma longa extract on acetaminophen induced nephrotoxicity in mice", DARU, vol. 16, no. 3, 1 January 2008 (2008-01-01), pages 155 - 159, XP055665677 *
XIAO, Y. C. ET AL.: "Bisabocurcumin, a new skeleton curcuminoid from the rhizomes of Curcuma longa L", CHINESE CHEMICAL LETTERS, vol. 22, no. 12, 6 September 2011 (2011-09-06), pages 1457 - 1460, ISSN: 1001-8417, DOI: :10.1016/j.cclet.2011.09.002 *
YUAN, T. ET AL.: "Chemical constituents from Curcuma longa L.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NATURAL PRODUCT RESEARCH, vol. 32, no. 16, 20 July 2017 (2017-07-20), pages 1887 - 1892, XP055665676, ISSN: 1478-6419, DOI: 10.1080/14786419.2017.135418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72A (ko) 2019-12-27
KR102092729B1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9402A1 (ko) 돌외의 지페노사이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형 당뇨병,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0137846A2 (ko)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WO2010036052A2 (ko)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86349A2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06002A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이리도이드 유도체로 구성된 화합물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245245A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3047958A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WO2020218727A9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단백가수분해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5360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out comprising morinda citrifolia extract or scopoletin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WO201301211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phytosterol compound
WO2018105998A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245243A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7111429A1 (ko)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WO2012138076A2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298A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33329A2 (ko)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학습능력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040416A1 (ko) 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성 질환으로 유발된 골소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8190638A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02642A1 (ko)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56380A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1019153A2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04989A1 (ko) 김치를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69836A1 (ko) 폴리코사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225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225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