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25942A1 -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25942A1
WO2019225942A1 PCT/KR2019/006057 KR2019006057W WO2019225942A1 WO 2019225942 A1 WO2019225942 A1 WO 2019225942A1 KR 2019006057 W KR2019006057 W KR 2019006057W WO 2019225942 A1 WO2019225942 A1 WO 20192259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lkworm
dementia
cooked
silkworms
alzhe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60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지상덕
김수배
손종곤
김성완
조유영
김종길
김영국
김기영
김남숙
고영호
김아영
최보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ublication of WO20192259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259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or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comprising a cooked silkworm processed product having a silk protein, and more particularly, a difference in efficacy exhibited by various varieties among silkworm varieties.
  •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including a silkworm, which has a silkworm protein, by selecting varieties that enhance memory, improve synaptic structure, protect nerve cells, and enhance mitochondrial activity,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 Alzheimer's dementia due to an aging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solution, but there are few food ingredients or medicines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it.
  • Dementia is a neurological disorder in which more than 10% of the 65-year-old population suffers. About 70% of dementia has been reported as Alzheimer's dementia. To date, there is no way to prevent or treat Alzheimer's dementia. As of 2018, the elderly population has surpassed 7.3 million, 14% of the population, and is expected to increase to 41.0% by 2060. In addit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mentia reached 750 thousand as of 2018, and as the aging progresses,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1.16 million in 2040 and 212.7 million in 2050.
  • the national management costs of dementia patients are expected to surge from 10 trillion 300 billion won in 2012 to 78 trillion 400 billion won in 2040 and 134 trillion won in 2050.
  • the prevalence of dementia decreased by 20% after 40 years of onset of dementia. It is expected to be alleviated.
  • the current treatment of dementia is a treatment for symptomatic relief rather than a solution of the root caus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bstance for suppressing, delaying or treating the onset.
  • Korean Patent No. 10-0575229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rain diseases
  • Korean Patent No. 10-1430387 Siliconk fibroin-derived peptide and memory,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of cognition or dementia including the same Prophylactic or therapeutic compos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mitochondrial activity of brain cells, increase the amount of ATP production, improve the synapse, protect neurons, inhibit beta-amyloid production, increase sociality, targeting the cooked silkworm processed material having various components of silkworm and silk protein as above.
  • the functional effect on memory improvement or Alzheimer's treatment effect using silkworms from the 5th and 4th days from this period Is not know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memory of cooked silkworm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unctional material derived from silk thread and mulberry leaves, and to investigate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effect of Alzheimer's dementia, especially among various silkworm varieties. Improving the synaptic structure, enhancing the activity of the mitochondria, and selecting a variety excellent in neuronal neuroprotective effect,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including a silkworm processed product having a silkworm protein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And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silkworm varieties of the silkworm processing are white dog breeds, yellow dog bree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f a soft green dog breed, a red dog breed, and more preferably the silkworm breed is a yellow dog breed.
  • the cooked silkworm proces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hole silkworm having a silk protein is cooked for 100 to 150 minutes with the heat of steam at 80 ⁇ 125 °C can be ingested for diet in the state containing silk protein.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and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by cooked silkworm processing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ilk protein and mulberry leaf-derived functional substance, and among them, various varieties of silkworm with different color of silk protein Among them, the neurosynthetic structure is improved, mitochondrial activity is enhanced and the neuronal protective effect is selected for the color varieties with the best, and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including cooked silkworm processing having a silk protein containing this as an active ingredient, or prevent Alzheimer's dementia And as the therapeutic composition is provide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health supplements or medicine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veloped and market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heep sleep industry by creating utilization and high value-added cooked silkworm processing having a silk gland.
  • the aging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reducing soaring social costs (health care costs, etc.)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 it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reducing the burden on learning and grades of students and job candidates by improving memory.
  • 1 is a graph showing the protein content of silkworms cooked by the production stage and silkworm varieties (cooked simmer; red yam) of silkworms.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neurosynaptic improvement effect of the normal Drosophila when ingested silkworm processing by silkworm varieties.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ynaptic structure of Alzheimer's dementia Drosophila model when ingested cooked silkworms (Hwangsae cooked snooze).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life expectancy increase effect of the Alzheimer's dementia fruit flies model when ingested cooked silkworms (hwangjong breed cooked sleep).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ife span of the Alzheimer's dementia fruit fly model when ingested cooked silkworms (hwang-jong cooked snooze).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memory enhancement effect upon ingestion of cooked silkworms (hwangjong breed cooked sleep) for the short-term memory loss treated mice.
  • Figure 7a is a graph comparing the memory enhancement effect of ingested silkworm processing of white dog breed and yellow dog breed for short-term memory loss treated mice.
  • Figure 7b shows the effect of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cooked silkworms (yellow breed cooked silkworms) 0.1g, 0.2g and 0.5g in various ways.
  • Figure 8a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patial memory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cooked silkworms (hwangsae ripened silk) in the dementia model.
  • Figure 8b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postural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cooked silkworms (hwangjong breed cooked sleep) in the dementia model.
  • Figure 8c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cognition ability for a new object by the treatment of cooked silkworms (hallowed breed silkworm) in the dementia model.
  • Figure 8d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sociality by the treatment of cooked silkworms (hallowed breed silkworm) in the dementia model.
  • FIG. 8E show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duction of toxic beta amyloid polymers in the brain following treatment of cooked silkworms (hwang jong-sook).
  • Figure 9a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ctivity of the mitochondrial ATP production complex of the control group and dementia model brain when ingested cooked silkworms (hwangsaeng cooked snooze).
  • 9b show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activity of mitochondrial complexes by the treatment of cooked silkworms (hwang-jong cooked silkworms).
  • Figure 9c show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creased with aging by the treatment of cooked silkworms (hwangsae ripening sleep).
  • Figure 9d show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ATP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mitochondrial complexes enhanced by the treatment of cooked silkworms (yellow varieties cooked sleep).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cell division promoting effect (neural cell protective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the silkworm processed varieties of silkworm varieti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comprising a cooked silkworm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silk silk protei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Or i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zheimer's dementia.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comprising a silkworm protein and a mulberry leaf-derived functional material as an active ingredient, or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wherein the silkworm varieties of silkworm processing are white dog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ny one of a breed, a yellow dog breed, a soft green dog breed, a light red dog breed, and more preferably the silkworm breed is a yellow dog breed.
  • the silkworms cooked containing the silk protein means that all silkworms having a silk protein, such as three-sided nap, four-sided nap is prepared through the process, and i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ixed with a snooze or red silk .
  • silkworms having silk protein may be preferably selected from silkworms after 5 days and 3 days of silkworm silkworms or silkworms to sleep.
  • the silkworm after 5 days and 3 days is preferably used from the silkworm of 5 days and 4 days, more preferably it is best to use silkworms of the sleeping period. This is because it can be used for silkworms of 5 days and 3 days, but the silkworm has less silk protein than silkworms after 5 days and 4 days, and the content of silkworm dung is higher.
  • silkworm of snooze is a silkworm filled with silk protein in the silkworm body, which means silkworms until the cocoon is produced. Since silkworms of snooze are mostly discharg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r food compositions ( It is most suitable for use as an active ingredi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 the silkworm in order to be able to eat all the silk protein contained in the silkworm as described above, the silkworm is processed into a processed form to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health functional food), wherein
  • the silkworm is cooked and used as heat of steam, and preferably cooked for 100 to 150 minutes with heat of steam at 80 to 125 ° C. so as to contain all silk protein.
  • the production time is over 150 minutes with steam heat of less than 80 °C, the manufacturing time is too long, rather, the active ingredients that silkworm itself contains silk silk protein may be destroyed, more than 125 minutes less than 100 minutes If manufactured by the temperature is too high,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dversely affect the active ingredients that silkworm itself contains silk silk protein.
  • the cooked process may be dried and used in a conventional manner to prepare a powder form, and preferably, it may be dried and powdered by any one selected from hot air drying or vacuum freeze drying, and loss of active ingredients. In order to minimize the vacuum freeze drying method is most suitable.
  • the powdering may be performed using any method such as a domestic mixer, a hammer mill, a roller mill, an air jet mill (freeze grinding), but a roller mill method may be used to minimize sample loss, prevent component distortion, and fine powder. good.
  • a domestic mixer or hammer mill it is very difficult to grind the powder particles to about 0.1 mm or less.However, if the powder is repeatedly milled several times with a roller mill, the powdered particles can be micropowdered to an average of about 10 ⁇ m. It is expected to work in favor of the product.
  • the silkworm processed powder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n extract, in which case it may b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and isobutanol.
  • the water,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ution thereof may use 1 to 40 times the volume (1 to 40 L based on 1 kg) based on the weight of the cooked silkworm powder, and preferably 5 to 40 times the volume. Can be used.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extract may be 1 to 48 hours at 20 ⁇ 100 °C, the process may be repeated 1 to 4 times.
  • the silkworm processed powder obtained by extracting and concentrating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nd concentrating with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is preferably suspended by adding water, preferably 1 to 1 to the weight of the extract. Suspended by adding 1000 times, more preferably 1 to 500 times, most preferably 1 to 50 times water, and then adding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to the suspension. It can be prepared from the fraction obtained.
  • the preparation temperature of the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may be 20 to 10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traction or fractionation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extracted within 10 minutes to 2 days, it is possible to use a conventional extraction device, ultrasonic mill extractor or fractionator as the extraction device.
  • the extract or fraction thus prepared can be removed by hot air drying, reduced pressure drying or lyophilization.
  • the extract or fractions may be purified using column chromatography.
  • the chromatography may include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LH-20 column chromatography, 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and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the cooked silkworms have the following effects: Alzheimer's dementia, reduced life expectancy and health life recovery effect, short-term memory loss recovery effect, mitochondrial dysfunction recovery effect in the brain, neurosynaptic recovery effect,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short-term memory reduction Inhibitory effect, aggression reduction effect, social enhancement effect, curiosity enhancement effect, spatial memory increase effect, postural control ability, beta-amyloid reduction effect is excellent,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memory or preventing and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r food composition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n particular, silkworm varieties of the silkworm processed material may be used as any type of silkworm, but among them, white dog breed, yellow dog breed and lotus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either the green dog breed or the red dog breed.
  • the recovery effect as described above is most excellent in the yellow dog breed, and for improving memory, including a selected silkworm processed product using the selected variety as an active ingredient, or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It is best to provide a composition.
  • Alzheimer's dementia begins with a decrease in neurosynaptic prior to detecting the onset of the disease, and thus the memory gradually decreases. At some point, severe Alzheimer's dementia develops.
  • the two types of normal and Alzheimer's dementia fruit fl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male and female, using the silkworms of the yellow dog breed to determine whether the neurosynaptic structure is abnormal and the improvement and prevention effect of the synaptic structure before dementia symptoms.
  • the normal model, Alzheimer's dementia model and the male and female model showed excellent neurosynaptic effect.
  • the processed silkwor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memory and preventing Alzheimer's dementia. there was.
  • the HT22 cell line a mouse hippocampal nerve cell line
  • the silkworms of the breed white jade
  • up to 159.5% increased, showing an excellent cell division promoting effect
  • the silkworms of the varieties of the silkworm Golden silk
  • Alzheimer's dementia using the silkworm-processed silkworms showed the best synaptic improvement and cell division promoting effect on life expectancy.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fruit flies and found that life expectancy was increased.
  • Alzheimer's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experien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ir lifespan.
  •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tested the effects of increasing the life expectancy on normal fruit flies and Alzheimer's dementia fruit flies.
  • normal fruit flies and Alzheimer's dementia fruit flies were found to have increased health life.
  •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t the molecular level which are common in Alzheimer's dementia due to memory deterioration and aging,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bility of ATP to be deteriorat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complexes that generate the transi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of mitochondria.
  • This study confirmed the function of mitochondrial complexes I to IV using normal fruit flies and Alzheimer's dementia fruit flies while ingesting silkworms that had been found to have the best synaptic recovery and short-term memory loss.
  • the mitochondrial complexes of normal fruit flies and dementia model fruit flies ingeste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beta-amyloid polymer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lzheimer's dementia
  • ingested silkworm processed powders of wild-breed varieties in dementia mice and confirming the level of beta-amyloid polymer in the brain the beta produced by Alzheimer's dementia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very good effect in reducing the production of amyloid polymers.
  • test mice without ingested silkworm processing showed dementia symptoms and changed their aggressiveness, making them very quarreled with each other and making new friends.
  • Test mice that consumed cooked silkworms showed no dementia symptoms, so they made good interests with new friends, showed peaceful societies, such as not fighting and staying peacefully.
  • test mice that did not consume much less interest in new items whereas test mice that received cooked silkworms had the same curiosity as new test mice that did not have dementia genes.
  • the test mice that did not consume cooked silkworms were new compared to normal test mice that did not have Alzheimer's dementia gene.
  • the test mice fed the cooked silkworm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untreated dementia gene-bearing test mice, and the spatial memory was improved to be close to that of the normal test mice.
  • the dementia test mice that did not consume the cooked silkworms by holding the tails of the test mice in order to lift their hands and feet with little movement due to the damage to the nerve cells, while the test mice ingested cooked silkworms on I could see the same widely observed moving vigorously hanba attitude control ability is also excellent pyeolchimyeonseo hands and feet with normal test mouse.
  • the processed silkworms were excellent in improving memory and preventing Alzheimer's dementia.
  • the silkworms exhibited the most excellent efficacy in the cooked silkworms of the yellow dog breed.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a cooked silkworm processed material produced in a variety of varieties of silkworm cocoons of various color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and among them, a yellow silk protein It was found that it is best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a silkworm processed materia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oked silkworm processed material may be added as 0.001 to 100% by weight to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ay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accharin, naphtha extract (mongroside), stevia,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Can be.
  • Solid form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form preparations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It is prepared by mixing lactose and gelatin.
  •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It is prepared by mixing lactose and gelatin.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age, sex, weight of the subject to be treated, the specific disease or pathology to be treate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or patholog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judgment of the prescriber. Dosage determination based on these factors is within the level of skill in the art and generally dosages range from 0.01 mg / kg / day to approximately 2000 mg / kg / day. More preferred dosage is 1 mg / kg / day to 500 mg / kg / day.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Th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aspect.
  • Subjects to whic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clude all mammals such as rats, livestock, humans,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desired effect is exerted from the subjects to be administered.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can be expected, for example, by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cerebrovascular injections. Since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lmost no toxicity and side effects, it is a drug that can be used safely even when taken for long periods of time.
  • the cooked silkworm is an effective content for showing the desired efficac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tain 0.01 to 10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n terms of powder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90 weight It is good to contain in%.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memory or preventing and improving Alzheimer's dementia by including the silkworm processed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oked silkworm processed material may be used as 0.01 to 100% by weight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ablets, capsules, pills, liquids, and the like, and includes various drinks, meat, sausages, breads, candy, snacks, noodles, ice cream, dairy products, soups, ionic drinks, beverages, and alcoholic beverages. , Gum, tea and vitamin complexes.
  • the effective amount of the above-described memory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memor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 an effective amou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described above And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o the subject, the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 of ripening the silkworm whole as a heat of steam, as described above, a memory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memory comprising a cooked silkworm processed material containing silk silk protein as an active ingredient Or food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Or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lzheimer's dementia.
  •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greatly improve the memory function of the brains of all citizens, including the students of various schools suffering from academic stress, and the elderly, and it is expected to greatly improve memory, and also effectively prevent the development of neurological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ementia.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living in an aging age, and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costs.
  • FIG. 1 Before the ripening and cooked silkworms were subjected to the main component analysis through a hammer mill mill having a particle size of 0.1mm, respectively,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FIG.
  • composition analysis of silkworm processed by silkworm varieties was compared through the grinding method of roller mill, which is a grinding method with less material loss and less change in composition.
  • the cooked silkworms contain large amounts of crude proteins, amino acids such as glycine, alanine and serine, linolenic acid, unsaturated fatty acids and vitamins such as beta-carotene, and are harmful to humans. Heavy metals such as trans fat and mercury, and five sugars such as sucrose were not detected.
  • the cooked silkworms were found to have a very high amino acid content of crude protein, glycine, alanine, and serine.
  • the immobilized samples were washed three times at 10-minute intervals using 0.01M 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aining 0.1% Triton X-100, and then stained by neurosynthesis using anti-HRP-FITC. The number of neurosynthesis was confirmed by.
  • the number of neurosynthesis in the test group ingested cooked silkworms of the yellow dog breed increased to 25% (137.2 + 5.76%) compared to the neurosynthesis in the test group that consumed only normal diet (109.9 + 2.97). It was found that P (0.005) increased, white breeds increased 13% (124.5 + 4.64), and soft green breeds increased 5%. .
  • APP Amyloid precusor protein
  • BACE1 Beta site amyloid precusor protein cleaving eznyme 1
  • MAT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tau
  • Two independent Alzheimer's dementia model fruit flies and normal control fruit flies were cultured using cooked silkworms prepared by adding 10% of the total amount of yeast, the main protein source, among the components of normal feed. .
  • the larval stage which is the stage of adulthood, the 3rd homeless larvae were dissected in Ca 2+ -free anatomical solution and fixed using 0.1M phosphate buffer solution with pH 7.2 containing 4% paraformaldehyde.
  • the immobilized samples were washed three times at 10-minute intervals using 0.01M 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aining 0.1% Triton X-100, and then stained by neurosynthesis using anti-HRP-FITC. The number of neurosynthesis was confirmed by.
  • the normal model, the Alzheimer's dementia model, and the male and female model confirmed the effect that the synaptic was improved.
  • the cooked silkworms can effectively improve memory and prevent Alzheimer's dementia. Confirmed.
  • the neurosynaptic of the test group ingested cooked silkworms increased significantly to 42% compared to the test group in which dementia model 1 only consumed normal diet (81.7 + 0.895) (116.2 + 2.34).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5), and in the case of dementia model 2, the test group ingested cooked silkworms increased 33% compared to the test group (79.7 + 1.613) who consumed only normal feed ( 113.4 + 1.71)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5) increased, and even in the normal test group, the test group ingested cooked silkworms (114.0) compared to the test group (111 + 2.45) that consumed only normal feed (114.0). + 2.45) showed a synapse growth rate of 2.7%.
  • dementia model 1 significantly increased (103.2 + 2.342) the synapse of the test group ingested cooked silkworms (63.2 + 2.342) compared to the test group ingesting only normal diet (63.2 + 0.645). (P ⁇ 0.005), and dementia model 2 also increased by 24% (94.4 + 1.80) in the test group that consumed cooked silkworms compared to the test group (76.0 + 2.39) that consumed only normal fee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5), and even in the normal test group, the test group ingesting cooked silkworms increased 24% (115.7 +) compared to the test group (93.7 + 2.40) that consumed only normal feed. 2.29)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 ⁇ 0.005), indicating that cooked silkworms effectively prevent Alzheimer's dementia and significantly increase memory of normal individuals.
  • Alzheimer's dementia fruit flies were tested using the silkworm-processed silkworm varieties that showed the best synaptic improvement effect on life expectancy.
  • the Drosophila model expressing both human amyloid precusor protein (APP) and beta site amyloid precusor protein cleaving eznyme 1 (BACE1) and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tau (MAPT) in humans with Alzheimer's dementia can be normal or 10% cooked silkworm. Cultiv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feed containing the processed product. After culturing more than 100 adult fruit flies into 10 vials, the number of living fruit flies was checked until all fruit flies disappeared at three-day intervals. Drosophila were bred at 28 ° C and 60% RH.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Kaplan-Meyer survival analysis to identify statistical differences.
  • APP human amyloid precusor protein
  • BACE1 beta site amyloid precusor protein cleaving eznyme 1
  • MTT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tau
  •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also experienced a de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ir life expectancy.
  •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were tested fo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ifespan on Alzheimer's dementia and normal fruit flies.
  • Two normal control fruit flies and two Alzheimer's dementia model fruit flies were bred from feed containing silkworm-derived silkworm powder, which accounted for 10% of the amount of yeasts of protein in normal feed and normal feed.
  • behavioral control ability was evaluated at 3 day intervals.
  • the vial containing fruit flies was shaken at 2000 rpm for 10 seconds in a vortex mixer, followed by a 20 second rest period.
  • fruit fly-controlled fruit flies were counted as being considered fruit fly-controlled fruit flies. Measurements were made every three days until all the fruit flies remained on the ground after vibration. The fruit life of fruit flies is defined as the period during which 50% of fruit flies have behavioral control ability.
  • the normal test group who consumed the feed containing the cooked silkworm powder powder had a healthy lifespan of 17.9 to 20.5 days compared to the normal test group that consumed only normal feed.
  • the risk index was increased by 14.5% and the risk index was 0.6674 (95% CI, 0.5153 ⁇ 0.8643),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p ⁇ 0.01).
  • the Alzheimer's dementia model test group that consumed the feed containing the cooked silkworm powder powder increased the life expectancy of Alzheimer's dementia compared to the Alzheimer's dementia model test group that consumed only normal feed.
  • the index was 0.7513 (95% CI, 0.5801-0.973)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 p ⁇ 0.05) lowered (Fig. 5C).
  • Alzheimer's dementia model test group 2 showed a 14.3% increase in health life from 14.7 days to 16.8 days and a risk index of 0.7532 (95% CI, 0.582 ⁇ 0.9746),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p ⁇ 0.05). It is believed that this is because ingestion of cooked silkworms effectively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lzheimer's dementia (FIG. 5D).
  • mice were treated with scopolamine, which is a short-term memory loss agent, while ingesting silkworm processed powders in experimental mice.
  • Silkworms cooked in male mice 4 weeks old were administered for 3 weeks at a ratio of 1.0 g / Kg body weight.
  • the mice were transported to the laboratory 30 minutes before the experiment on the first day of the experiment, and then acclimated for 2 minutes in a bright room of a passive avoidance apparatus.
  • mice were injected with scopolamine dissolved in saline at a rate of 0.75 mg / kg body weight 30 minutes before starting the experiment.
  • the control group was injected with the same amount of saline. After placing the mouse in the bright room of the passive evacuation device, 30 seconds later, the passage to the dark room was opened, and when the mouse enters the tail of the mouse, an electric shock of 0.4 mA was given for 4 seconds. After that, the period of entry into the dark room was measured. On the third day of the experiment, the mice were transferred to the bright room, the passage to the dark room was opened, and the period of entry to the tail was measured. After the exper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erformed by ANOVA and T-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 the time required to enter the dark room of his favorite room was 52.3 + 5.0 seconds on the first day before the electric shock, but it was 222.7 on the second day after the electric shock. + Increasing the time to 41.8 seconds to suppress the instincts because of the previous scared memory, but the long time to restrained, but in the case of mice that lost short-term memory with scopolamine administration, the first day of the experiment before the electric shock Even though it took 50.9 + 4.1 seconds to enter the dark room, on the second day, despite the serious electric shock, I could not remember it at all and confirmed entering the dark room in 40.0 + 8.18 seconds.
  • the silkworm powder and the silkworm processed powder of silkworm varieties were studied. Ingestion was performed by treating scopolamine, a short-term memory loss agent.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Hwangsam varieties of red silk was variously applied to 0.1g, 0.2g and 0.5g / Kg body weight, confirming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 mice Four-week-old male mice were ingested with yellow or white breed silkworms at a rate of 0.5 g / kg body weight for three weeks. After 3 weeks of administration, the mice were transported to the laboratory 30 minutes before the experiment on the first day of the experiment, and then acclimated for 2 minutes in a bright room of a passive avoidance apparatus. On the second day of the experiment, mice were injected with scopolamine dissolved in saline at a rate of 0.75 mg / kg body weight 30 minutes before starting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was injected with the same amount of saline.
  • mice After the mouse was placed in the bright room of the passive evacuation apparatus, 30 seconds later, the passage into the dark room was opened, and when the mouse enters the tail of the mouse, the electric shock of 0.4 mA was given for 4 seconds, and the duration of entering the dark room was measured at the same time.
  • the mice On the third day of the experiment, the mice were moved to a bright room, the passage to the dark room was opened, and the period of entry to the tail was measured. After the experi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performing ANOVA and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 mice fed the white silkworm cooked silkworms were allowed to enter the dark room on the first day at 20.5 + 7.61 seconds, and then dark room on the second day. While the time taken to enter was 42.0 + 14.16 seconds, mice fed the silkworm cooked silkworms were increased to 81.75 + 37.98 seconds after being shocked at 38.0 + 14.79 seconds on the first day.
  • the silkworms were cooked in 5xFAD dementia mice, a dementia-induced transgenic mouse model. Spatial memory was tested after ingestion of feed containing snooze or red yam) powder. Dementia mice received cooked slums at a ratio of 1 g / kg body weight.
  • the Y-maze test is a method of evaluating spatial cognition and the Y-maze consists of three channels. The passage is 34 cm long, 15 cm high, 3 cm wide at the bottom, and 9 cm wide at the top.
  • the three passages are each connected at an angle of 120 degrees, allowing the experimental mouse to move freely through the three passages. After placing the experiment mouse in the middle of the Y-maze, the movement path was recorded for 10 minutes. When the experimental mouse moved to another passage, it was considered to have moved only if it completely entered the tail. The number and order of entry into each passage shall be measured. If entering three passages sequentially, one point shall be regarded as one point. The ratio of spontaneous alteration in the new direction was converted to% by dividing the number of consecutive passages in all three passages by subtracting 2 from the total passage entry times.
  • the 23-week-old dementia mice ingested cooked silkworm processed feed had a spatial memory at a level similar to the normal control mice ingested the general feed.
  • the average mouse had 66.77 + 2.43% of spatial memory, but the normal feed demented mouse had 50.78 + 2.54%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 p ⁇ 0.05).
  • Dementia mice fed cooked silkworm feed at 1g / Kg body weight ratio were 60.29 + 3.38, which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mice. ( p ⁇ 0.05) was confirmed. This result shows that even when Alzheimer's dementia develops, the effect of improving spatial memory of cooked silkworms is excellent.
  • 5xFAD dementia mouse a dementia-induced transgenic mouse model, to compare the effects on the loss of postural control, which is one of the abnormal behaviors seen in Alzheimer's dementia mice, by using a silkworm-derived silkworm processed product that showed excellent effects in the experimental examples.
  • a rat clasping test was performed on rats 32 and 36 weeks old after the feed containing the silkworm processed powder at a ratio of 1 g / kg body weight.
  • the video was recorded for 10 seconds after catching the tail of the subject, and the video was scored from 0 to 4 depending on how many legs each of the two researchers observed. If all four legs could not be extended, four points were given. If all four legs could be extended, zero points were given. The results of the two analyzes were averaged. The better the posture control, the lower the score near zero.
  • the postural control ability after 4 weeks of the same mice showed that the postural control ability was 0.45 + 0.16 and 1.61 + 0.09, respectively.
  • the demented mice fed cooked silkwor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trol group, with postural control ability of 0.18 + 0.13, similar to 32 weeks.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d silkworm postural control ability improved even when dementia developed.
  • the first and second days allowed the experimental mouse to move freely for 10 minutes in an empty 50 cm wide x 50 cm wide x 50 cm high.
  • On the third day two identical objects were put in, and the movement of the mouse was recorded for 10 minutes, and the time of staying in each object was measured.
  • On the last day one old and one new item was put in, and after 10 minutes of recording, the time spent on the old and new items was measured.
  • the 23-week-old mouse was 65.1 + 2.12% of the time spent in the space with the new mous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 p ⁇ 0.05) than the 34.9 + 2.12% of the time spent in the empty cage.
  • the percentage of time to stay in the space with the new mouse was 59.7 + 1.73%,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io of time to stay in the space with the mouse once met (40.3 + 1.73%) ( p ⁇ 0.05).
  •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in the space with an empty cage was 49.2 + 2.37%, which was no different from 50.7 + 2.37% of time spent in the space with a new mouse.
  • the retention time ratio was 44.4 + 2.57%,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55.6 + 2.57% time spent in the space where the mice had already met ( p ⁇ 0.05).
  • the time spent in an empty cage (36.5 + 3.06%) was statistically greater than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in a new mouse (63.5 + 3.06%), as in normal mice.
  •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in the space where the mouse was already met (40.1 + 2.49%)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atio of time spent in the space with the new mouse (55.6 + 2.57%). ( p ⁇ 0.05).
  • the dementia mice fed cooked slums had significantly fewer aggressions compared to the normal feed demented mice, indicating that their aggressiveness was significantly reduced.
  • mice Toxicity in the brain that is characteristic of Alzheimer's dementia using the silkworm-treated silkworms that showed excellent effects in the experimental examples.
  • Beta amyloid polymer production level was confirmed.
  • the extracted brain is fixed with the same fixative for at least 24 hours, and then sections are made to a thickness of 1 mm using a mouse brain matrix.
  • the prepared sections were clarified in CUBIC-L solution for 24 hours, and then stained beta amyloid polymer using ethanol containing 0.05% Thioflvin-S. This is followed by clearing again in CUBIC-R solution for 24 hours. Stained brain sections were determined for distribution of beta amyloid polymer using LSM700 confocal laser microscopy.
  • mitochondrial complex I to IV The effects of mitochondrial complex I to IV were verified using normal fruit flies and Alzheimer's dementia fruit flies while ingesting silkworms processed by the yellow dog breed, which showed the best synaptic improvement and neuronal protection among the silkworm varieties.
  • the main function of mitochondria is to produce ATP, the cell's main energy substance, which is produced by five respiratory complexes in the inner membrane of the mitochondria.
  • Complex I to IV produce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mitochondrial lining by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Complex V actually produces ATP. Therefore, a study comparing the activity of mitochondrial complex 1 to 4 was conducted.
  • mitochondrial extract 10 in 80 ml of activity assay buffer (50 mM Tris-HCl pH 7.5, 4 mM NaN3, 0.1 mM decylubiquinone, 80 mM Succinate, 2 mM KCN, 3 mM rotenone, 40 mM Cytochrome C) After adding ml and 10 ml of enzyme reaction solution, the mixture was measured at 25 ° C. and 550 nm for 30 minutes at 30 second intervals.
  • activity assay buffer 50 mM Tris-HCl pH 7.5, 4 mM NaN3, 0.1 mM decylubiquinone, 80 mM Succinate, 2 mM KCN, 3 mM rotenone, 40 mM Cytochrome C
  • the amount of ATP present in the supernatant was measured in 83.5 ⁇ l of ATP activity measurement solution (20 mM Tris-HCl pH8.0, 1 mM DTT, 10% glycerol, 0.1% BSA). 5 ⁇ l 1 mM Luciferin, 0.5 ⁇ l 250 ⁇ g / ml Luciferase, 1 After adding 10 ⁇ l of the supernatant to 100 ⁇ l DTT, the change in fluorescence was measured using a Luminometer.
  • the short-term memory loss mouse model was subjected to a short-term memory change behavior study after treating scopolamine, which is a short-term memory loss agent, while ingesting silkworm (powder) powder cooked in the experimental mouse, as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 7a. Thereafter, the concentration of ATP in the brain tissue of the experimental mouse was examined. In addition, by apply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silkworms cooked,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was confirmed.
  • the brain was divided in half, homogenized in 0.5 ml, 2.5% HClO 4 , and 0.1 ml of 2.5 M KOH was added thereto. The supernatant was secured by refrigeration centrifugation at 13,000 rpm. The amount of ATP present in the supernatant was measured in 83.5 ⁇ l of ATP activity measurement solution (20 mM Tris-HCl pH8.0, 1 mM DTT, 10% glycerol, 0.1% BSA).
  • the saline-treated control mice that received silkworm powder powder cooked at 0.1 g, 0.2 g, or 0.5 g / kg body weight increased the amount of ATP from 33.1 to 51.1% compared to the normal feed-ingested mice.
  • the brains of short-term memory loss mice had only 52.9% of ATP compared to the normal-fed control mice.
  • the brains of short-term memory loss model mice fed silkworms cooked at 0.1 g, 0.2 g, or 0.5 g / kg body weight contained 122.1 to 166.9% more ATP than the brains of normal-feeding short-term memory mice. Was doing.
  • the silkworm processing extract of 0.1% / ml of silkworm or yellow varieties of silkworms did not have a cell proliferation effect.
  • HT22 cells were treated with whiteworm varieties. It was confirmed that 40,7% and 91.2% of yellow varieties were extracted.
  • 0.1 mg / ml treatment resulted in cell proliferation of 7.20%, yellow dog extract 98.2%, and 1.0mg / ml treatment of white dog extract 159.9% Was increased by 253.0%, and the silkworm processed extracts of H. dog varieties showed better neuroprotective effect than that of B. dog varieti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or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zheimer's dementia comprising a cooked silkworm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silk silk protein and a cooked silkworm processed product having a silk protein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expected that various health supplements or medicines will be developed and marke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of cooked silkworms with silk lines and the high value adde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sleep industr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reducing social costs (health care costs, etc.)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In addition, improving memory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reducing the burden on students' learning and 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다양한 누에 품종들 중에서도 신경연접구조 개선, 신경세포 보호 및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증진효과가 가장 우수한 품종을 선별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한 각종 건강보조식품 또는 의약품이 개발되어 시판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에 의해 견사선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의 활용도 창출 및 고부가가치화로 양잠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고령화로 인해 치솟는 사회적 비용(보건의료 비용 등)의 감소 및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Description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누에품종 중에서도 품종별로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내는 효능에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기억력을 증진시키고, 신경연접 구조를 개선시키며,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품종을 선별하여,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도에 학령인구가 887만 명에 달할 정도로 많은 사람이 학업을 수행하고 있고, 이들 대부분의 학생을 포함한 청장년층 등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은 기억력이 좋아져서 학습의 성과가 올라가고 사회에서도 높은 성취도를 올리기를 염원하고 있다. 이에 호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기억력 개선용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아직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킬 만한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은 찾기 어려운 상황으로, 초ㆍ중ㆍ고등학생을 비롯한 대학생과 취업준비생들이 노력에 비해 미흡한 성적때문에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고령화로 인한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인 해결과제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식품원료나 의약품은 거의 존재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치매는 65세 노인 인구의 10% 이상이 고통을 받는 신경계질환으로, 치매 중 70% 정도가 알츠하이머 치매로 보고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을 억제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미개발 상태이다. 2018년 현재 노인 인구비율은 전 인구의 14%인 730만 명을 넘어 섰고, 2060년도에는 41.0%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치매 환자 수는 2018년도 기준 750천명에 달하고 있고, 고령화가 진전됨에 따라 2040년도에는 168만 명, 2050년도에는 212.7만 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의 분석자료에 의하면 치매 환자의 국가 관리비용이 2012년도 기준 10조 3천억 원에서 2040년도에는 78조 4천억 원, 2050년도에는 134조 6천억 원으로 급증이 예상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2008년에 실시한 치매 유병율 조사결과에 따르면 치매 발병을 2년 늦추면 40년 후에는 유병율이 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2040년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15조 6천억 원의 국가치매관리비용이 경감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현재 치매의 치료방법은 근본 원인의 해결이 아닌 증상 완화 목적의 처치로서, 발병의 억제, 지연 또는 치료를 위한 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현재까지 치매 치료와 관련되어 하기와 같은 여러 연구들이 시행된 바 있으며, 특히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치매예방과 관련하여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고자 누에유래물질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공지된 바 있으며,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5229호(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0387호(실크 피브로인 유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학습력, 인지력의 향상 또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누에에 함유된 모든 유용 활성물질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아닌 실크단백질만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누에고치만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섭취를 위한 누에고치의 가수분해 시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고, 유용성분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크단백질과 더불어 누에에 함유된 모든 성분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누에의 경우에는 5령3일이 지나면 견사단백질의 강도가 강해져서 섭취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누에몸속에 들어있는 견사단백질의 강도가 강해지기 전인 5령3일의 건조누에만을 식품원료로 사용해 왔던바, 농촌진흥청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5령4일 이후부터 숙잠기까지의 누에인 견사단백질 함량이 높은 누에를 섭취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바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누에의 다양한 성분과 실크단백질을 갖는 식이 가능한 익힌 누에가공물을 대상으로 뇌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활성증가, ATP 생성량 증대, 신경연접개선, 신경세포 보호,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억제, 사회성 증대, 호기심 증대, 공간기억력 증대, 단기기억력 증대 등의 효과를 통한 기억력 개선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효과에 대한 결과로서, 이와 같이 5령4일부터 숙잠기의 누에를 이용하여 기억력 개선 또는 알츠하이머 치료효과에 대한 기능성에 대해서는 공지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견사단백질과 뽕잎 유래 기능성 물질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익힌 누에의 기억력 개선과 알츠하이머 치매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특히 여러 가지의 누에 품종들 중에서도 뇌의 신경연접 구조를 개선시키고,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증진시키며, 뇌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한 품종을 선별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견사 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치료 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억력 개선,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누에가공물의 누에 품종은 백견품종, 황견품종, 연녹견품종, 홍견품종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에 품종은 황견품종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은 견사단백질을 갖고 있는 누에전체를 80~125℃의 증기의 열로 100~150분 동안 익혀 견사단백질이 포함된 상태에서 식이용으로 섭취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견사단백질과 뽕잎 유래 기능성물질이 다량 함유된 익힌 누에가공물에 의한 기억력 개선 및 알츠하이머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 중에서도 견사단백질의 색깔이 다른 누에 여러 품종들 중에서도 신경연접구조 개선,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증진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가장 우수한 색깔의 품종을 선별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됨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한 각종 건강보조식품 또는 의약품이 개발되어 시판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로 인하여 견사선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의 활용도 창출 및 고부가가치화로 양잠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고령화로 인해 치솟는 사회적 비용(보건의료 비용 등)의 감소 및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기억력을 증진시킴으로 인해 학생들과 취업준비생들의 학습 및 성적에 대한 부담감 완화에도 큰 기여가 예상된다.
도 1은 누에의 생산단계별 및 누에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익힌 숙잠; 홍잠)의 단백질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누에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 섭취시 정상 초파리의 신경연접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섭취 시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모델의 신경연접구조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섭취 시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모델의 기대수명 증대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섭취 시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모델의 건강수명 증대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단기 기억상실제 처리 마우스에 대한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섭취 시 기억력 증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은 단기 기억상실제 처리 마우스에 대한 백견품종과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 가공물 섭취 시의 기억력 증진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의 농도를 0.1g, 0.2g 및 0.5g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보여준다.
도 8a는 치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처리에 따른 공간기억력 증진 효과를 보여준다. 도 8b는 치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처리에 따른 자세조절능력 증진 효과를 보여준다. 도 8c는 치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처리에 따른 새로운 물건에 대한 인식능력 증진 효과를 보여준다. 도 8d는 치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처리에 따른 사회성 증진 효과를 보여준다. 도 8e는 치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처리에 따른 뇌 내 독성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생성 감소 효과를 보여준다.
도 9a는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섭취 시 대조군과 치매모델 뇌의 미토콘드리아 ATP 생성 콤플렉스의 활성 증진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b는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처리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컴플랙스의 활성 증진 효과를 나타낸다. 도 9c는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처리에 의하여 노화에 따라 증가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양이 감소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9d는 익힌 누에가공물(황견품종 익힌 숙잠) 처리에 의해 증진된 미토콘드리아 컴플랙스의 활성에 따른 ATP 농도 증가 효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누에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 품종별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 분열 촉진 효과(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및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견사단백질과 뽕잎 유래 기능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누에가공물의 누에 품종은 백견품종, 황견품종, 연녹견품종, 연홍견품종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에 품종은 황견품종인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은, 3면잠, 4면잠 등의 견사단백질을 갖는 모든 누에를 익힌 과정을 통해 제조한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 내에서 익힌 숙잠 또는 홍잠과 혼용된다.
즉, 견사단백질을 갖는 누에는 바람직하게는 4면잠 누에 중 5령3일 이후의 누에부터 또는 숙잠기까지의 누에 중 선택될 수 있다. 이때, 5령3일 이후의 누에로서 바람직하게는 5령4일의 누에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숙잠기의 누에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5령3일의 누에도 사용할 수는 있으나 5령4일 이후의 누에에 비해서 누에가 갖는 견사단백질은 적으면서도 누에똥의 함량은 더 많기 때문이다. 한편, 숙잠기의 누에라 함은 누에 몸속에 견사단백질이 가득 차 있는 누에로서 고치를 짓기 전까지의 누에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숙잠기의 누에는 누에똥이 대부분 배출되어 있기 때문에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누에에 함유되어 있는 견사단백질까지 모두 식이섭취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누에를 가공하여 가공물 형태로 제조하여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누에를 증기의 열로 익혀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80~125℃의 증기의 열로 100~150분 동안 익혀 견사단백질이 모두 함유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80℃ 미만의 증기 열로 150분을 초과하여 제조할 경우에는 제조시간이 너무 길어 오히려 견사단백질이 포함된 누에 자체가 갖고 있는 유효성분들이 파괴될 우려가 있으며, 125℃를 초과하여 100분 미만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온도가 너무 높아 이 또한, 견사단백질이 포함된 누에 자체가 갖고 있는 유효성분들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익힌 과정 후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풍건조 또는 진공동결건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것이 좋으며,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진공동결건조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 분말화는 가정용 믹서기, 해머밀, 롤러밀, 에어제트밀(동결분쇄) 등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무관하지만, 시료유실의 최소화, 성분 왜곡현상 방지 및 미세분말화를 위해서는 롤러밀에 의한 방법이 좋다. 보통 가정용 믹서기나 해머밀로 분쇄하면 분말입자의 크기가 0.1㎜정도 이하로 분쇄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비하여, 롤러밀로 수차례 반복 분쇄하면 분말화된 입자의 크기가 평균 10㎛ 정도까지 미세분말화가 가능하여 섭취와 제품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기 분말형태 제조 후에는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추출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의 중량을 기준 1~40배 부피(1kg 기준 1~40ℓ)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48시간일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바람직하게는 추출물의 중량의 1~1000배, 더 바람직하게는 1~500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배의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가하여 얻은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온도는 20 내지 1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또는 분획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분 내지 2일 이내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은 알츠하이머 치매에 의한 기대수명 및 건강수명 감소 회복 효과, 단기기억력 상실회복 효과, 뇌에서 나타나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저하 회복효과, 신경연접의 구조이상 회복 효과, 신경세포 보호효과, 단기기억력 감소 억제효과, 공격성 감소효과, 사회성 증진효과, 호기심 증진효과, 공간기억력 증가효과, 자세조절능력증진효과, 베타-아밀로이드 감소효과가 뛰어나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억력 개선용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으로써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특히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의 누에 품종으로는 어떠한 품종의 누에를 사용하여도 무관하나, 그 중에서도 백견품종, 황견품종, 연녹견품종, 홍견품종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더욱 바람직하게 황견품종에서 상기와 같은 회복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바, 특정 품종을 선별하여 이를 이용한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다.
설명하면, 첫째 모든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점차 기억력이 감퇴하는데 이는 뇌에 존재하는 신경연접의 구조와 크게 상관관계가 있다. 뇌의 기억력을 담당하는 부위의 신경세포 간의 신경연접의 숫자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며 이에 따라 사람의 기억력도 감퇴하고, 시간이 지나 신경연접이 일정수준 이하로 감소하면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알츠하이머치매는 발병을 감지하기 전에 이미 신경연접의 감소로부터 시작되며, 이에 따라 기억력이 점진적으로 감퇴하다 어느 순간부터 심각한 알츠하이머 치매 증세가 나타나는 바, 기억력의 감퇴를 막고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뇌 신경연접의 감소를 막거나 증대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하기 실험 예들에도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정상초파리에 황견품종, 백견품종, 연녹견품종, 홍견품종 등으로 제조된 익힌누에 분말로 사료를 제조하여 사육하여 신경연접의 숫자를 확인한 결과, 황견품종과 백견품종 및 연녹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에서 우수한 신경연접 숫자 증진 효과를 나타냈으며, 그중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에서 가장 뛰어난 신경연접 숫자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정상모델과 알츠하이머치매 초파리 모델 2종류를 암ㆍ수로 나누어 치매증상이 나타나기 전 단계에 신경연접의 구조 이상이 나타나는지 여부와 신경연접 구조 개선 및 예방효과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정상모델과 알츠하이머 치매 모델 및 암ㆍ수 모델 모두 우수하게 신경연접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한 바, 이로서 익힌 누에 가공물이 기억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알츠하이머치매를 예방하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경연접 개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백견품종과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의 알코올 추출물을 마우스 해마 신경세포주인 HT22 세포주에 처리하여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규명한 결과, 처리 72시간 후 세포 증가율이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백옥잠)의 경우 최대 159.5%가 증가하여 우수한 세포 분열 촉진효과를 보였으며,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골든실크)의 경우에는 253.0%라는 놀라운 세포 분열 촉진효과를 나타내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이 가장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알츠하이머치매환자들은 대부분 기대수명이 저하되는데 이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대수명 증대효과에 대하여 신경연접 개선효과와 세포 분열 촉진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기대수명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알츠하이머치매환자들은 기대수명 저하와 더불어 건강수명도 크게 저하되는데 이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정상 초파리와 알츠하이머치매 초파리를 대상으로 건강수명 증대효과를 실험한 결과, 정상 초파리와 알츠하이머치매 초파리 모두 건강수명이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넷째, 알츠하이머치매의 초기 단계에 나타나는 임상 특징인 단기기억력 상실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용 마우스에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섭취시키면서 단기기억력 상실제인 스코폴아민을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단기 기억을 살리는데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황견품종과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의 단기기억력 상실에 대한 예방효과를 비교한 결과,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과 황견품종 익힌 누에 가공물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에서 더 우수한 기억력 회복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기억력 저하와 노화로 인한 알츠하이머치매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분자세포 수준에서의 병리학적인 특징은 미토콘드리아의 내막과 외막 사이에 전이차를 생성하는 컴플랙스들의 기능 저하로 ATP 생성 능력이 저하되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이에 신경연접 회복과 단기기억력 상실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밝혀진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키면서 정상 초파리와 알츠하이머치매 초파리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컴플랙스 I에서 IV까지의 기능을 확인한 결과,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정상 초파리와 치매모델 초파리의 미토콘드리아 컴플랙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세포의 노화와 질병의 발병, 진전과 관련이 높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양이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한 정상 초파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인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생성에 대한 감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치매 마우스에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섭취시키고 뇌 내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수준을 확인한 결과, 알츠하이머 치매로 인하여 생성되는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데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알츠하이머 치매 유전자를 가진 시험 마우스의 행동학적 특성을 시험한 결과,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하지 않은 시험 마우스는 치매 증세가 나타나 성격이 공격적으로 변해서 서로간의 다툼이 매우 심하고 새로운 친구도 사귀지 못하는데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 마우스는 치매 증세가 나타나지 않아 새로운 친구에게 관심을 가지고 잘 사귀면서, 싸우지 않고 평화롭게 지내는 등 원만한 사회성을 보임을 확인하였고, 새로운 물건에 대한 호기심을 알기 위한 시험에서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하지 않은 시험 마우스는 새로운 물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떨어지는데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 마우스의 경우에는 새로운 물건에 대한 호기심이 치매 유전자를 보유하지 않은 정상 시험 마우스와 동일할 정도로 매우 왕성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고, 특정 공간에서 새로운 목적지를 잘 찾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공간기억력 시험에서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하지 않은 시험 마우스의 경우 알츠하이머 치매 유전자를 보유하지 않은 정상 시험 마우스에 비해 새로운 목적지를 찾는 빈도가 크게 감소하였지만,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 마우스의 경우에는 미 섭취시킨 치매 유전자 보유 시험 마우스에 비해서 크게 증가하여 공간기억력이 정상 시험 마우스에 가까울 정도로 향상되었으며, 자세 조절능력을 보기 위하여 시험 마우스의 꼬리를 잡고 들어 올리면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하지 않은 치매 시험 마우스는 신경세포에 손상을 받은 결과를 인해 손과 발을 모두 오므리고 움직임이 적은데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 마우스의 경우에는 정상 시험 마우스와 동일하게 손과 발을 넓게 펼치면서 왕성하게 움직이는 것을 관찰한바 자세 조절 능력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익힌 누에의 가공물이 기억력 개선과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한 바, 본 발명에서는 기억력 개선용 소재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소재로 다양한 색상의 누에고치를 짓는 다양한 종류의 품종으로 제조한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그 중에서도 황색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사카린, 나한과 추출물(몬그로사이드), 스테비아,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 받는 대상은 쥐, 가축, 인간 등의 모든 포유동물을 포함하나, 투여 대상에게서 목적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이때,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은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나타내기 위한 유효한 함량으로, 분말 중량면에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9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기억력 개선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개선효과를 위한 식품 조성물로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0.01~100 중량%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기억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누에전체를 증기의 열로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및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상술한 조성물을 이용하므로, 중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학업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각급 학교의 학생을 비롯한 청장년층과 노인층을 망라한 모든 국민들의 뇌 기능을 개선함으로서 기억력 개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아울러 알츠하이머 치매를 포함한 신경계질환의 발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서 고령화시대를 살고 있는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도 큰 도움을 주고, 나아가서는 국가 치매관리비용 절감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누에 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들 제조>
1)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익힌 숙잠; 홍잠) 제조
황색 견사 단백질을 갖는 골든실크(일본종계 원종 잠311과 중국종계 원종 잠312를 교배하여 생산한 교배종)(황견품종)을 사육하여 5령7일경, 즉 숙잠이 되면 100℃ 수증기로 110 ~ 130분 동안 익혀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제조한 후, 상기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진공동결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하기의 실험들의 시료로 적용하였다.
2) 연홍견품종(홍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제조
상기 1)의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황견품종 대신 연한 홍색의 견사단백질을 갖는 연홍견품종(일본종계 원종 잠325와 중국종계 원종 잠326을 교배하여 생산한 교배종)(주황잠)을 사육하여 연홍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제조하였다.
3)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제조
상기 1)의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황견품종 대신 백색 견사단백질을 갖는 백옥잠(흰색고치를 짓는 일본종계 원종 잠123과 흰색고치를 짓는 중국종계 원종 잠124를 교배하여 생산한 교배종)을 사육하여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제조하였다.
4) 연녹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제조
상기 1)의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황견품종 대신 연녹색 견사단백질을 갖는 연녹잠(녹색고치를 짓는 일본종계 원종 잠315와 흰색고치를 짓는 중국종계 원종 잠316을 교배하여 생산한 교배종)을 사육하여 연녹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익히기 전 숙잠 및 익힌 누에가공물 또는 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의 성분 분석 비교>
1) 익히기 전 숙잠 및 익힌 누에가공물 성분 분석 비교
익히기 전 숙잠 및 익힌 누에가공물을 각각 0.1mm 입자크기를 갖는 해머밀 분쇄물을 통해 주요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하기 표 1 및 표 2, 도 1과 같이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1
[표 2]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2
상기 결과를 통해, 익히기 전의 숙잠 내에 있던 각종 구성성분의 함량이 익힌 누에가공물이 되면서 다양하게 변화된 것으로 확인되며, 이러한 익힌 누에가공물의 성분 변화로 인해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이 갖는 약리학적 효과에도 변화가 있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2) 누에 품종별 롤러밀 분쇄법을 통한 성분분석 비교
원료 유실이 적으면서도 성분변화가 적은 분쇄방법인 롤러밀 분쇄법을 통해 누에 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의 성분분석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도 1 및, 하기 표 3 내지 표 9와 같이 나타났다.
[표 3]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3
[표 4]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4
[표 5]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5
[표 6]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6
[표 7]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7
[표 8]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8
[표 9]
Figure PCTKR2019006057-appb-img-000009
상기 실험결과, 누에 품종별로 익힌 누에분말에 함유된 성분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하기와 같은 기억력 개선 및 알츠하이머치매 예방효과에서도 품종별로 달리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명하면, 익힌 누에가공물에 대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익힌 누에가공물에는 조단백질과 글리신, 알라닌, 세린 등의 아미노산과 리놀렌산을 비롯한 불포화지방산 및 베타카로틴 등의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돼 있고, 인체에 유해한 트랜스지방, 수은 등의 중금속 및 Sucrose 등 5종의 당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5령3일 건조누에 및 익히지 않은 숙잠에 비하여 익힌 숙잠이 조단백질과 글리신, 알라닌, 세린 등의 아미노산 함량이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에품종별로는 백옥잠, 골든실크, 연녹잠 및 홍견품종 등 모든 품종에서 동일한 모든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각 성분별 함량비교에서는 각 품종별로 상이하게 함유되어 있어 각 누에품종별 기능성에서는 차별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누에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신경연접의 구조이상 여부 확인>
1. 실험방법
누에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을 대상으로 정상 초파리의 신경연접 구조 개선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누에품종별 익힌 누에 분말을 정상 사료의 구성성분 중 주 단백질원인 효모 총 양의 10%에 달하는 양을 정상사료에 첨가하여 제조한 익힌 숙잠 사료를 이용하여 정상 대조군 초파리를 배양하였다. 성충이 되기 전 단계인 유충단계에서 3령 노숙 유충을 Ca 2+이 없는 해부용액에서 해부를 한 후, 4% 파라포말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산도 7.2의 0.1M 인산완충용액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고정된 시료는 0.1% 트리톤 엑스-100을 포함한 0.01M 인산완충식염수를 이용하여 3회 10분 간격으로 세척을 진행 한 후, anti-HRP-FITC를 이용하여 신경연접을 염색을 한 후, 형광 현미경으로 신경연접의 수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황견품종과 백견품종 및 연녹견 품종 익힌 숙잠을 포함한 사료를 섭취한 정상초파리 시험군에서 신경연접구조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억력개선과 알츠하이머 치매의 예방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 면에서 검토한 결과 여러 가지 색상의 고치를 나타내는 누에 품종 중에서도 황견품종과 백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견품종으로 제조한 익힌 누에가공물이 백견품종으로 제조한 익힌 누에가공물에 비하여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상사료만 섭취시킨 시험군의 신경연접수(109.9 + 2.97)에 비하여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군의 신경연접수가 25%로 증가(137.2 + 5.76%)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05)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백견품종은 13% 증가(124.5 + 4.64)하였으며, 연녹견품종은 5%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바,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이 가장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후 실험은 상기 실험예에서 나타난 신경연접 개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1)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신경연접의 구조이상 여부 확인>
1. 실험방법
익힌 누에 가공물을 이용하여 정상모델과 알츠하이머 치매 유전자인 Amyloid precusor protein (APP)과 Beta site amyloid precusor protein cleaving eznyme 1 (BACE1)과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tau (MAPT)를 발현하는 초파리 모델 2종류를 암ㆍ수로 나누어 치매증상이 나타나기 전 단계에 신경연접의 구조 이상이 나타나는지 여부와 신경연접 구조 개선 및 예방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익힌 숙잠을 정상 사료의 구성성분 중 주 단백질원인 효모 총 양의 10%에 달하는 양을 정상사료에 첨가하여 제조한 익힌 누에 가공물을 이용하여 2가지 독립적인 알츠하이머 치매 모델 초파리와 정상 대조군 초파리를 배양하였다. 성충이 되기 전 단계인 유충단계에서 3령 노숙 유충을 Ca 2+이 없는 해부용액에서 해부를 한 후, 4% 파라포말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산도 7.2의 0.1M 인산완충용액을 이용하여 고정을 하였다. 고정된 시료는 0.1% 트리톤 엑스-100을 포함한 0.01M 인산완충식염수를 이용하여 3회 10분 간격으로 세척을 진행 한 후, anti-HRP-FITC를 이용하여 신경연접을 염색을 한 후, 형광 현미경으로 신경연접의 수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정상모델과 알츠하이머 치매 모델 및 암ㆍ수 모델 모두 우수하게 신경연접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한 바, 이로서 익힌 누에가공물이 기억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암컷의 경우 치매모델1이 정상사료만 섭취시킨 시험군(81.7 + 0.895)과 비교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군의 신경연접이 42%로 매우 크게 증가(116.2 + 2.34)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05)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치매모델2의 경우도 일반사료만 섭취시킨 시험군(79.7 + 1.613)에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군이 33% 증가하여(113.4 + 1.7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05)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정상시험군의 경우에도 일반사료만 섭취시킨 시험군(111 + 2.45)에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군이(114.0 + 2.45) 2.7%의 신경연접 증가율을 나타냈다.
수컷의 경우에는 치매모델1이 일반사료만 섭취시킨 시험군(63.2 + 0.645)과 비교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군의 신경연접이 63%로 매우 크게 증가(103.2 + 2.342)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05)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치매모델2의 경우에도 일반사료만 섭취시킨 시험군(76.0 + 2.39)에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군이 24% 증가(94.4 + 1.80)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05)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정상시험군의 경우에도 일반사료만 섭취시킨 시험군(93.7 + 2.40)에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킨 시험군이 24% 증가(115.7 + 2.29)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05) 증가함을 확인하였는바, 이로서 익힌 누에가공물이 알츠하이머 치매를 효과적으로 예방함은 물론, 정상인의 기억력도 크게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기대수명 증대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들은 대부분 기대수명이 저하되는데 이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대수명 증대효과에 대하여 신경연접 개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설명하면, 인간의 알츠하이머치매 원인 유전자인 Amyloid precusor protein (APP)과 Beta site amyloid precusor protein cleaving eznyme 1 (BACE1)과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tau (MAPT)를 동시에 발현시키는 초파리 모델을 정상사료 또는 10%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사료를 이용하여 배양을 하였다. 배양된 100마리 이상의 성충 초파리를 하나의 바이알에 10마리씩 나누어 넣은 후에 3일 간격으로 모든 초파리가 소멸할 때 까지 살아있는 초파리의 수를 확인하였다. 초파리는 28℃, 상대습도 60%의 조건에서 사육을 하였다. 통계분석은 카플란-메이어 생존분석을 수행하여 통계학적인 차이를 구명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한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의 경우 일반사료만을 섭취한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에 비하여 기대수명이 23.97일에서 28.35일로 18.3% 증가하였고, 카플란-메이어 생존분석을 이용한 통계분석결과 위험지수는 0.47(95% 신뢰 구간: 0.35~0.64)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 value < 0.0001) 기대수명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건강수명 증대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들은 기대수명 저하와 더불어 건강수명도 크게 저하되는데 이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와 정상 초파리를 대상으로 건강수명 증대효과를 실험하였다. 정상 대조군 초파리와 알츠하이머치매 모델 초파리 2 종류를 정상사료와 정상사료에 포함된 단백질 원인 효모 양의 10%에 달하는 황견품종 익힌 누에 분말을 포함한 사료에서 사육하였다. 100마리 이상의 성충 초파리를 하나의 바이알에 10마리씩 나눈 후에, 3일 간격으로 행동조절 능력을 평가하였다. 행동조절 능력을 평가 하기 위해서는 초파리를 포함하고 있는 바이알을 볼텍스믹서에서 2000rpm으로 10초간 진동을 준 후, 20초 간 휴식 시간을 주었다. 그 후, 바이알의 바닥이 아니라 바이알의 벽면이나 입구 쪽으로 이동한 초파리를 운동 조절 능력이 있는 초파리로 간주를 하여 그 수를 세었다. 모든 초파리가 진동 후에 바닥에 남을 때 까지 3일 간격으로 측정을 진행하였다. 초파리의 건강수명은 50%의 초파리가 행동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는 기간으로 정의가 되어서, 이를 기준으로 판정을 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하지 않고 일반 사료만 섭취한 알츠하이머 모델 초파리는 정상 모델 초파리에 비하여 건강수명이 단축된 바(일반초파리 = 17.9일, 치매모델1 = 15.3일, 치매모델 2 = 14.7일), 통계분석 결과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시험군의 경우, 위험지수가 2.8050(치매모델1)과 2.1795(치매모델2)로 모두 정상모델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1) 알츠하이머 치매에 의하여 건강수명이 악화됨을 확인한데 비하여(도5A),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한 정상 시험군은 일반사료만 섭취한 정상 시험군에 비하여 건강수명이 17.9일에서 20.5일로 14.5%증가하였고 위험지수도 0.6674(95% CI, 0.5153~0.864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1)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5B).
또한,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한 알츠하이머 치매모델 시험군의 경우에는 일반사료만을 섭취한 알츠하이머 치매모델 시험군에 비하여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렸더라도 건강수명이 증대되었는 바, 구체적으로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한 알츠하이머 치매모델 시험군1의 경우는 일반사료만을 섭취한 알츠하이머 치매모델 시험군1에 비하여 15.3일에서 17.5일로 14.4% 건강수명이 증가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통계분석 결과 위험지수가 0.7513 (95% CI, 0.5801 - 0.97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5) 낮아짐을 확인하였다(도5C).
또한, 알츠하이머 치매모델 시험군2의 경우도 건강수명이 14.7일에서 16.8일로 14.3% 증가하고, 위험지수가 0.7532(95% CI, 0.582~0.974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5) 낮아짐을 확인하였는바, 이는 익힌 누에가공물의 섭취가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원인이라 판단된다(도 5D).
<실험예 6.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단기기억력 상실에 대한 예방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인 단기기억력 상실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용 마우스에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섭취시키면서 단기기억력 상실제인 스코폴아민을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태어난지 4주된 수컷 마우스에 익힌 누에가공물을 1.0 g/Kg체중의 비율로 3주간 투여를 하였다. 3주간의 투여가 종료된 후, 마우스는 실험 1일차에는 실험 30분 전에 마우스를 실험실로 운반을 하여 적응과정을 거친 후, 수동회피(Passive avoidance)실험기구의 밝은 방에서 2분간 적응을 시켰다. 실험 2일차에는 마우스에 실험을 시작하기 30분 전에 식염수에 녹인 스코폴아민을 0.75mg/Kg체중 비율로 주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동일 량의 식염수를 주사를 하였다. 수동회피 기구의 밝은 방에 마우스를 넣은 후, 30초 후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 통로를 열어 주고, 마우스의 꼬리까지 들어가면 0.4mA의 전기충격을 4초간 주었다. 이후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 기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3일째에는 마우스를 밝은 방으로 옮겨 준 후, 어두운 방으로의 통로를 열은 후, 꼬리까지 들어가는 기간을 측정을 하였다. 실험이 끝나면,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차이를 ANOVA와 T-test를 수행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일반 사료만 섭취시킨 마우스의 경우에는 스코폴아민을 투여시 단기 기억력 상실이 관찰되었지만,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한 실험군에서는 스코폴아민에 의한 단기기억력 상실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사료만 섭취한 정상마우스 실험군의 경우에는 전기충격을 받기 전인 실험 1일차에는 자기가 좋아하는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52.3 + 5.0초인데 비하여 전기 충격을 받은 2일차에는 222.7 + 41.8초로 증가되어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고는 싶어도 이전의 무서웠던 기억 때문에 본능을 억제하고 참는 시간이 길었지만, 스코폴아민 투여로 단기기억력을 상실한 마우스의 경우에는 전기충격 전인 실험1일차에 자기가 좋아하는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50.9 + 4.1초가 걸렸는데도 불구하고, 2일차에는 무서운 전기 충격을 받았음에도 이를 전혀 기억하지 못하고 40.0 + 8.18초 만에 어두운 방으로 들어감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섭취한 정상실험군의 경우에는 전기충격 전 실험 1일 차에는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46.4 + 6.82초가 소요되었는데, 전기충격 후에는 그 기간이 300.0초로 증가되어 섭취하지 않을 때에 비해서 더 오랫동안 그 충격을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코폴아민을 투여한 시험 군에서도 전기 충격 전 1일차에는 49.5 + 10.9초가 걸리는데 비하여 전기충격을 받은 후인 2일차에는 어두운 상자로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136.4 + 22.7초로 176% 증가하였는바, 본 결과로 인해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의 섭취가 정상마우스는 물론 단기기억상실제를 처리하였더라도 단기기억을 살리는데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황견품종과 백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단기기억력 상실 억제효과 비교>
1. 실험방법
신경연접 개선효과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황견품종과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인 단기기억력 상실에 대한 예방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용 마우스에 황견품종 또는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섭취시키면서 단기기억력 상실제인 스코폴아민을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이때, 추가적으로 황견품종 홍잠의 농도를 0.1g, 0.2g 및 0.5g/Kg체중으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다.
태어난지 4주된 수컷 마우스에 황견품종 또는 백견품종 익힌누에를 0.5 g/Kg체중의 비율로 3주간 섭취를 하게 하였다. 3주간의 투여가 종료된 후, 마우스는 실험 1일차에는 실험 30분 전에 마우스를 실험실로 운반을 하여 적응과정을 거친 후, 수동회피(Passive avoidance)실험기구의 밝은 방에서 2분간 적응을 시켰다. 실험 2일차에는 마우스에 실험을 시작하기 30분 전에 식염수에 녹인 스코폴아민을 0.75mg/Kg체중 비율로 주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동일 량의 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수동회피 기구의 밝은 방에 마우스를 넣은 후, 30초 후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 통로를 열어 주고, 마우스의 꼬리까지 들어가면 0.4mA의 전기충격을 4초간 주고 동시에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 기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3일째에는 마우스를 밝은 방으로 옮겨 준 후, 어두운 방으로의 통로를 열은 후, 꼬리까지 들어가는 기간을 측정을 하였다. 실험이 끝나면,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차이를 ANOVA와 T-test를 수행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7a에 나타나 있듯이 백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을 섭취한 마우스와 황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을 섭취한 마우스를 비교하면 식염수를 투여받은 백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 섭취 실험군은 1일차에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린 시간이 15.0 + 6.99초였다. 그런데, 전기충격을 받은 후 어두운 방으로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은 205.75 + 64.4초로 전기충격에 대한 기억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비교를 하여 식염수를 투여받은 황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 섭취 실험군은 1일차에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린 시간이 34.0 + 21.17 초였는데, 전기충격을 받은 후에는 300.0 초로 전혀 들어가지를 않았다. 이 결과는 단기기억상실을 유도하지 않은 실험에서도 백견품종 및 황견품종 모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황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의 기억력증진 효과가 더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스코폴아민을 투여하여 단기기억력 상실을 유도한 실험군의 경우를 보면 백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을 섭취한 마우스들은 1일차에 어두운방으로 들어가는 시간이 20.5 + 7.61 초에서 전기 충격 후, 2일차에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린 시간이 42.0 + 14.16 초로 인데 반하여 황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을 섭취한 마우스들은 1일차에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 시간이 38.0 + 14.79 초에서 전기충격을 받은 후에는 81.75 + 37.98초로 증가됨을 확인 하였다. 이 결과 역시 단기기억상실을 유도할 경우에도 백견품종과 황견품종 모두 우수한 단기 기억력상실 억제효과가 있으며, 그중에서도 황견품종으로 제조된 익힌누에 가공물의 단기기억력상실 억제효과가 더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익힌 누에가공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단기기억력상실 억제효과가 더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황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을 0.1g/Kg체중의 비율로 섭취한 마우스들은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 비교하여 단기기억력이 66.8초로 33.3%로 증가를 하였다. 황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을 0.2g/Kg체중의 비율로 섭취한 마우스들은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 비교하여 단기기억력이 88.1초로 75.8% 증가하였다. 황견품종 익힌누에 가공물을 0.5g/Kg체중의 비율로 섭취한 마우스들은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 비교하여 단기기억력이 136.8초로 173% 증가하였다.
<실험예 8.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의 효과 비교>
1)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공간기억력 증진 효과 비교
1. 실험방법
앞서 실험 예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인 공간기억력 상실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치매-유발 형질전환 마우스 모델인 5xFAD 치매 마우스에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익힌 숙잠 또는 홍잠) 분말을 포함한 사료를 섭취시킨 후 공간기억력을 실험하였다. 치매 마우스들은 1g/Kg체중의 비율로 익힌 숙잠을 섭취하였다. Y-미로 시험은 공간인지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Y-미로는 3개의 통로로 구성이 되어있다. 통로의 길이는 34cm, 높이는 15cm이고 바닥의 폭은 3cm, 맨 위쪽의 폭은 9cm로 마우스가 올라갈 수 없게 기울어져 있다. 세 통로는 각각 120도 각도로 연결이 되어져 있어서, 실험 마우스가 자유로이 세 통로를 이동을 할 수 있다. 실험 마우스를 Y-미로의 가운데에 넣어 준 후, 10분간 이동 경로를 녹화기록 하였다. 실험마우스가 다른 통로로 이동할때 꼬리까지 완전히 들어간 경우에 한하여 이동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각 통로에 들어간 횟수 및 순서를 측정하여 세 통로를 순차적으로 들어간 경우 1점으로 인정 하고 연속되게 들어가지 않는 경우는 점수로 인정을 하지 않는다. 새로운 방향으로 가는 비율 (spontaneous alteration)의 비율은 총 3개의 통로에 연속적으로 들어간 수를 총 통로 입장 회수에서 2를 뺀 후 나누어서 %로 환산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익힌 누에가공물 포함 사료를 섭취한 23주된 치매 마우스는 일반사료를 섭취한 정상 대조군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공간기억력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마우스의 경우는 66.77 + 2.43 %의 공간기억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일반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50.78 + 2.54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p < 0.05)의 공간기억력을 가지고 있었다.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를 1g/Kg체중의 비율로 섭취한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공간기억력이 60.29 + 3.38으로 일반마우스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일반사료섭취 치매 마우스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p < 0.05) 확인 하였다. 이 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가 발병한 경우에도 익힌누에 가공물의 공간 기억력 증진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2)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자세조절능력 증진 효과 비교
1. 실험방법
앞서 실험예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마우스에서 보여지는 이상 행동 중 하나인 자세조절능력 상실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치매-유발 형질전환 마우스 모델인 5xFAD 치매 마우스에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포함한 사료를 1g/Kg체중의 비율로 섭취시킨 후 태어 난지 32주와 36주된 마우스들에 대하여 자세조절능력 실험(mouse clasping test)을 실시하였다.
자세조절능력실험은 실험대상 마우스의 꼬리를 잡은 후에 10초간 동영상을 녹화를 한 후, 동영상을 두 명의 연구원들이 각각 관찰을 하여 몇 개의 다리를 펼 수 있냐에 따라서 0에서 4까지로 점수를 주었다. 4개의 다리를 모두 펼 수 없으면 4점을 주고, 모두 펼 수 있으면 0점을 주었다. 두 명의 분석 결과를 평균화하였다. 자세조절 능력이 좋을수록 0에 가까운 낮은 점수를 받는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를 섭취한 32중 령 대조군 마우스는 자세조절능력이 0.1 + 0.1 로서 문제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일반사료를 섭취한 치매 마우스는 1.36 + 0.41로서 하나나 두 개의 다리를 펴지를 못하였다. 하지만,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를 섭취한 치매 마우스는 자세조절능력이 0.16 + 0.16으로 대조군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자세조절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비슷하게 동일한 마우스들의 4 주 후 자세 조절 능력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 마우스와 일반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자세조절 능력이 각각 0.45 + 0.16와 1.61 + 0.09로서 32주에 비하여 악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자세조절능력이 0.18 + 0.13으로 32주와 비슷하게 유지되면서 정상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치매가 발병한 경우에도 익힌 누에가공물의 자세조절능력 증진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3 )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새로운 물건에 대한 인식능력 증진 효과 비교
1. 실험방법
앞서 실험예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이 알츠하이머 치매 마우스의 이상 행동 중의 하나인 새로운 물건에 대한 인식능력 악화를 억제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치매 마우스에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를 섭취시킨 후 새로운 물건에 대한 인식능력확인 연구(Novel objective recognition assay)를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첫 날과 둘째 날은 비어있는 가로 50 cm x 세로 50 cm x높이 50 cm인 실험 공간에 실험 마우스를 10분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었다. 세 번째 날에는 동일한 두 개의 물건을 넣어 준 후, 마우스의 이동을 10분 동안 녹화하여, 각각의 물건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마지막 날에는 오래된 물건과 새로운 물건을 각각 하나 씩 넣어 준 후, 10분 동안 녹화를 한 후, 오래된 물건과 새로운 물건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익힌누에 가공물을 섭취한 치매 마우스는 일반사료를 섭취한 정상 대조군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새로운 물건에 대한 인식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22주된 일반사료 섭취 대조군 마우스의 경우는 동일한 물건 두 개의 근처에 머무는 시간이 각각 47.4 + 1.1 %와 52.6 + 1.1 %로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그런데 새로운 모양의 물건으로 하나를 바꾸어 주면 새로운 물건에 대해서는 60.2 + 2.2 %로서 오래된 물건의 39.8 + 2.22 %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5) 많은 시간을 머물렀다. 하지만 일반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새로운 물건이나 오래된 물건에 대한 관심도가 각각 48.1 + 3.0 %와 51.7 + 1.9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반하여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새로운 물건과 오래된 물건에 대한 관심도가 각각 67.7 + 3.4 %와 32.3 + 3.4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5) 새로운 물건에 대한 흥미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정상 마우스보다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동일한 마우스를 8주 동안 사육한 후 실시한 행동분석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일반사료 섭취 정상 마우스는 새로운 물건과 오래된 물건에 대해서 각각 63.8 + 2.2 %와 36.2 + 2.2 %의 비율로 새로운 물건에 대한 관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 p < 0.05), 일반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새로운 물건에 관심을 보이는 시간의 비율이 37.0 + 4.6 %로서 오래된 물건에 관심을 보이는 시간의 비율인 57.8 + 5.2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 < 0.05).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새로운 물건에 대한 관심시간 비율이 71.2 + 2.7 %이고 오래된 물건에 대한 비율은 28.8 + 2.7 %로서 정상 마우스보다도 새로운 물건에 대한 관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이러한 결과는 익힌 누에가공물의 섭취가 치매 마우스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물건에 대한 호기심의 감소를 억제하여 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사회성 증진 효과 비교
1. 실험방법
앞서 실험 예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인 사회성 상실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치매 마우스에 익힌 누에가공물을 1g/Kg체중의 비율로 섭취시킨 후 사회성(Social interaction assay)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사회성 분석은 3개의 공간으로 나뉘어진 마우스 사회성 분석 장치(가로 60cm x 세로 40cm x 높이 40cm)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3개의 공간은 마우스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투명한 아크릴판 2개로 나누어 주었다. 양쪽의 공간에는 마우스를 넣을 수 있는 철망으로 된 지름 10cm 높이 6cm의 케이지가 있다. 처음에는 양쪽의 케이지에 마우스가 없는 상황에서 실험 마우스를 넣어서 5분 동안 자유롭게 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적응이 종료되면 한쪽의 케이지에 한 번도 만나지 않았던 마우스를 넣어 주고 다른 쪽은 빈 케이지로 둔 상태에서 마우스를 가운데 공간에 넣어준 후 행동을 10분간 녹화하였다. 마지막에는 새로운 마우스를 빈 케이지에 넣어 준 후, 행동을 10분간 녹화하였다. 녹화된 행동을 분석하여 각각의 실험 마우스가 빈 케이지가 있는 공간이나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과 이미 만났던 마우스와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한 치매 마우스는 일반사료를 섭취한 정상 대조군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사회성을 가지고 있었다.
23주 된 일반마우스는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의 비율이 65.1 + 2.12 %로 빈 케이지 머무는 시간의 비율인 34.9 + 2.12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5) 높았다. 그리고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의 비율이 59.7 + 1.73 %로서 이미 한번 만난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의 비율인 40.3 + 1.73 %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5) 높았다. 하지만, 일반사료 섭취 마우스의 경우는 빈 케이지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의 비율이 49.2 + 2.37 %로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인 50.7 + 2.37 %와 차이가 없었고,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 비율이 44.4 + 2.57 %로서 이미 한번 만난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인 55.6 + 2.57 %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 < 0.05). 하지만,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정상 마우스와 동일하게 빈 케이지가 있는 공간 (36.5 + 3.06 %)에 머무는 시간이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의 비율 (63.5 + 3.06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p < 0.05), 이미 만났던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40.1 + 2.49 %)이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의 비율 (55.6 + 2.57 %)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 < 0.05).
이러한 경향은 동일한 마우스들에 대하여 31주에 실험을 진행하여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정상 마우스의 경우는 빈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43.9 + 2.09 %)이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56.1 + 2.09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p < 0.05), 동시에 이미 만난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46.9 + 2.24 %)보다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53.1 + 2.24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하지만 일반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는 빈 케이지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42.9 + 4.14 %)은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 비율(57.1 + 4.15 %)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지만( p < 0.05), 새로운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38.4 + 3.76 %)은 한번 만난 마우스가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비율(61.6 + 3.76 %)이 매우 높아서( p < 0.05) 사회성이 악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반하여 익힌 누에가공물 섭취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빈케이지(36.6 + 2.82 %)보다는 새로운 마우스(63.4 + 2.82 %)가 있는 공간을 선호하였고, 한번 만난 마우스가 있는 공간(39.0 + 3.02 %)보다는 새로운 마우스(60.9 + 3.02 %)가 있는 공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5) 오래 머물렀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 마우스가 보이는 사회성 결핍을 익힌 누에가공물의 섭취가 고쳐 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회성 증진 효과 이외에도 익힌 숙잠사료를 섭취한 치매 마우스들의 경우는 일반사료 섭취 치매 마우스와 비교하여 서로간 싸움의 횟수가 매우 적게 나타나 공격성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치매 마우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뇌 내 독성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생성 감소 효과 비교
1. 실험방법
앞서 실험 예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인 뇌에서의 독성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치매 마우스에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를 섭취시킨 후 뇌에서의 독성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생성 수준을 확인하였다. 50주된 치매 마우스를 CO 2 gas를 이용하여 고통없이 희생 시킨 후에 차가운 4.0 % Paraformaldehyde를 포함하는 산도 7.2의 인산완충용액으로 1시간 동안 관류를 시킨다. 적출한 뇌는 동일한 고정액으로 24시간 이상 고정을 한 후, 마우스 뇌 메트릭스를 이용하여 1mm의 두께로 절편을 만든다. 만들어진 절편은 CUBIC-L 용액에서 24시간 투명화 과정을 거친 후, 0.05 % Thioflvin-S를 포함한 에탄올을 이용하여 베타 아밀로이드 중합체를 염색하였다. 이 후에 CUBIC-R용액에서 24시간 동안 다시 투명화를 시킨다. 염색된 뇌 절편은LSM700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베타 아밀로이드 중합체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어난지 50주된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를 섭취한 치매 마우스는 일반사료를 섭취한 치매 마우스보다 뇌에서의 독성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의 생성 수준이 현저하게 낮았다. 일반 사료 섭취 마우스의 경우는 뇌의 모든 부위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가 관찰이 되었는데,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를 섭취한 치매 마우스의 경우는 Thioflavin-S와 결합하는 베타 아밀로이드 중합체가 거의 없어졌음을 확인 하였다. 이 결과는, 치매 마우스에서 익힌 누에가공물이 베타아밀로이드 중합체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예 9.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기능 증가효과 확인>
1)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컴플랙스 활성 비교
1. 실험방법
여러 누에품종 중 신경연접 개선효과와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탄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키면서 정상 초파리와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컴플랙스 I에서 IV까지의 기능을 확인하였다. 미토콘드리아의 주요 기능은 세포의 주요 에너지 물질인 ATP를 생산하는 것으로,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 존재하는 5개의 respiratory complex들에 의하여 생성이 된다. Complex I에서 IV까지는 산화적 인산화 과정(Oxidative phosphorylation)에 의하여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전위차를 생성하고 Complex V는 실제로 ATP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미토콘드리아 complex 1에서 4까지의 활성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토콘드리아 complex I의 활성검정을 위해서는 초파리 성충의 뇌에서 추출한 미토콘드리아 10 ml를 182ml의 활성 검정용 완충용액(25mM PB, 0.35% BSA, 0.06mM DCIP, 0.07mM decylubiquinone, 1mM AA)과 섞어 준 후, 5mM NADH 8 ml와 섞은 후에 37℃에서 30분간 반응을 시킨 후, 600nm에서 4분간 30초 간격으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활성을 5개의 반복시료에서 측정하였다. 미토콘드리아 complex II의 활성검정을 위해서는 184ml의 활성 검정용 완충용액(80mM PB pH 7.8, 0.1% BSA, 2mM EDTA, 0.2mM ATP, 80mM DCIP, 50 mM decylubiquinone, 1 mM AA, 3 mM rotenone)에 1 ml malonate와 미토콘드리아 추출액 10 ml를 추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을 시킨 후, 600nm에서 4분간 30초 간격으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활성을 5개의 반복시료에서 측정하였다. 미토콘드리아 complex III의 활성검정을 위해서는 80ml의 활성 검정용 완충용액(50mM Tris-HCl pH 7.5, 4mM NaN3, 0.1mM decylubiquinone, 80 mM Succinate, 2mM KCN, 3 mM rotenone, 40 mM Cytochrome C)에 미토콘드리아 추출액 10 ml과 효소반응액 10 ml를 추가한 후, 25℃에서 550nm로 30초 간격으로 3분간 측정을 하였다. 미토콘드리아 complex IV의 활성검정을 위해서는 188ml의 활성 검정용 완충용액(10mM Tris-HCl pH 7.0, 120mM KCl)에 10 ml Ferrocytochrome C substrate (0.22mM Ferrocytochrome과 0.5 mM DTT)와 효소반응액 2 ml 와 마이토콘드리이아 추출액 2 ml를 추가한 후, 25℃에서 550nm로 10초 간격으로 1분간 측정을 함. 5개의 반복시료에서 측정하였다. 군집간의 차이를 ANOVA로 확인 후, Tukey-Kramer post hoc분석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9a에 나타나 있듯이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를 섭취시키면서 정상 초파리와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컴플랙스 I에서 IV까지의 기능을 확인한 결과, 정상 초파리 및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모두 일반 사료만 섭취시킨 초파리에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시킨 초파리의 미토콘드리아 컴플랙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됨을( p < 0.05)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할 경우 섭취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컴플랙스I의 활성이 정상 초파리는 50.9% 증가하였고, 치매모델 초파리는 70.2% 증가하였으며, 컴플랙스Ⅱ의 활성은 정상 초파리는 23.1% 증가하였고, 치매모델 초파리는 106.9% 증가하였다. 컴플랙스Ⅲ의 경우 정상 초파리는 57.7% 증가하였고, 치매모델 초파리는 263% 증가하였으며, 컴플랙스Ⅳ의 활성은 정상 초파리는 43.7%증가하였고, 치매모델 초파리는 126.6% 증가하는 등 정상 초파리 실험군과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실험군 모두 미토콘드리아 콤플렉스가 매우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익힌 누에가공물의 섭취가 정상인과 알츠하이머 치매인 모두에게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2)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ATP 농도 비교
1. 실험방법
누에품종 중 신경연접 개선효과와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의해 증진된 미토콘드리아 활성에 따라 실제 뇌세포에서 ATP의 양이 증가 하였나를 확인하기 위하여, ATP 농도를 검사하였다. 정상 대조군 초파리와 인간의 알츠하이머질환 유전자인 APP, BACE1, MAPT를 발현하는 치매모델 초파리를 20일간 일반사료 또는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로 배양을 한 후, 10마리를 ATP측정완충용액 (250mM Tricine, 50mM MgSO4, 1mM EDTA, 1mM Sodium Azide)을 이용하여 균질화시킨 후, 13,000rpm에서 냉장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상층액을 확보하였다. 상층액에 존재하는 ATP의 양은 ATP활성 측정 용액(20 mM Tris-HCl pH8.0, 1mM DTT, 10% glycerol, 0.1% BSA) 83.5 ㎕에 5 ㎕ 1mM Luciferin, 0.5 ㎕ 250 ㎍/ml Luciferase, 1 ㎕ 100 mM DTT에 상등액 10 ㎕를 추가 한 후, Luminometer를 이용하여 형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9b에 나타나 있듯이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시키면서 정상 초파리와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모델을 이용하여 ATP양을 확인한 결과, 정상 초파리 및 알츠하이머 치매 초파리 모두 일반 사료만 섭취시킨 초파리에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이 포함된 사료를 섭취시킨 초파리의 ATP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됨을( p < 0.05)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반사료 배양 정상 초파리의 경우는 ATP의 양이 7일째에 비하여 20일째에는 31.0 %감소한데 비하여 익힌 누에가공물 배양 초파리는 3.9 % 감소하는데 그쳤다. 이 결과는 정상적인 노화에 따라서 나타나는 ATP의 생성양의 감소를 황견품종 익힌누에가 억제함을 보여주고 있다.
20일동안 일반사료 또는 익힌 누에가공물 배지 배양 정상 초파리와 알츠하이머 치매모델 초파리의 ATP양을 비교를 하면, 익힌 누에가공물 배지 배양 정상 초파리는 일반배지 배양 정상 초파리 보다 ATP양이 26.2 %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배지 배양 치매 초파리모델의 경우는 정상초파리와 비교하여 48.9 %의 ATP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 배양 알츠하이머 치매모델 초파리의 경우는 일반사료 배양 알츠하이머 치매모델 초파리에 대비하여 45.0 % 증가된 ATP양을 가지고 있었다. 이 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에 의하여 나타나는 ATP의 감소를 익힌 누에가공물이 억제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결과는 익힌 누에가공물의 섭취가 정상인과 알츠하이머 치매인 모두에게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ATP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서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을 증대시키고 기억력을 크게 증진시키며 알츠하이머 치매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것으로 주목된다.
3) 익힌 누에가공물 섭취에 의한 노화된 정상 초파리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감소 효과
1. 실험방법
5일 또는 20일동안 일반사료 또는 여러 누에품종중 신경연접 개선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가장 우수한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사료 섭취 10마리의 초파리를 냉장된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 완충용액(0.04 M Tris-HCl buffer, pH 7.4)으로 균질화시킨 후, 13,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확보하였다. 20 ㎕의 상층액을 200 ㎕의 ROS완충용액을 섞은 후에 1 ㎕의 10 mM 2, 7, dichlorofluorescein diacetate를 섞어주었다. 37℃에서 30분간 반응을 시킨 후, 형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3반복의 실험을 실시한 후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2. 실험결과
노화가 이루어지면 정상 초파리에서는 활성산소종의 양이 증가를 하는데,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한 정상 초파리에서는 활성산소종의 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를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일된 일반사료 섭취 정상 초파리는 1.23 x 10 9의 활성산소종을 가지고 있다. 일반사료 섭취 정상 초파리의 활성산소종은 20일 째에는 3.58 x 10 9으로 증가를 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한 5일째 정상 초파리는 1.05 x 10 9의 통계적으로 감소된 활성산소종( p < 0.05)을 가지고 있었고, 20일째 정상 초파리는 3.05 x 10 9의 통계적으로 감소된 활성산소종(p < 0.05)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익힌 누에가공물이 ATP의 생성을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미토콘드리아의 활성 증진으로 증가되는 활성산소종의 양을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4) 단기기억 상실 마우스 모델에서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따른 ATP 농도 비교
1. 실험방법
앞서 실시 예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 처리에 의해 증진된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따라 실제 단기기억 상실 마우스 모델의 뇌조직에서 ATP의 양이 증가하였는 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ATP 농도를 검사하였다.
이 때, 단기기억 상실 마우스 모델은 실험예 7a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실험용 마우스에 익힌 누에가공물(홍잠) 분말을 섭취시키면서 단기기억력 상실제인 스코폴아민을 처리한 후 단기기억력 변화 행동연구를 수행 한 후, 실험 마우스의 뇌 조직에서의 ATP 농도를 검사하였다. 또한, 익힌 누에가공물의 농도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우스뇌조직의 ATP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뇌를 반으로 나누어서 0.5 ml, 2.5 % HClO 4에서 균질화 시킨 후 2.5 M KOH 0.1 ml을 넣어주었다. 13,000 rpm에서 냉장원심분리를 하여 상층액을 확보하였다. 상층액에 존재하는 ATP의 양은 ATP활성 측정 용액(20 mM Tris-HCl pH8.0, 1mM DTT, 10% glycerol, 0.1% BSA) 83.5 ㎕에 5 ㎕ 1mM Luciferin, 0.5 ㎕ 250 ㎍/ml Luciferase, 1 ㎕ 100 mM DTT에 상등액 10 ㎕를 추가 한 후, Luminometer를 이용하여 형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9d에 나타나 있듯이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한 정상마우스들은 일반사료 섭취 정상 마우스와 비교를 하여 뇌조직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은 ATP를 가지고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0.1 g, 0.2 g, 또는 0.5 g/체중 Kg로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을 섭취한 식염수 처리 대조군 마우스는 일반사료 섭취 마우스에 비하여 33.1 ~ 51.1 %까지 ATP의 양이 증가를 하였다. 일반사료 섭취 단기기억력상실 마우스의 뇌에는 일반사료 섭취 대조군 마우스와 비교를 하여 단지 52.9 %에 달하는 ATP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0.1 g, 0.2 g, 또는 0.5 g/체중 Kg로 익힌 누에가공물을 섭취한 단기기억력상실모델 마우스의 뇌에는 일반사료 섭취 단기기억력상실 마우스의 뇌 보다 122.1 ~ 166.9 % 만큼 많은 양의 ATP가 존재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 결과는 익힌 누에가공물 섭취가 정상과 단기기억력 상실 모델 모두에게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ATP의 생성을 증가시킴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예 10.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누에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 메탄올 추출물의 신경세포 분열 촉진 비교>
1. 실험방법
신경연접 개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과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구명하고 품종간 비교를 하기 위하여 누에품종별 익힌 누에가공물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HT22세포주를 이용하여 신경세포 분열 촉진효과를 시험하였다.
먼저 백견품종과 황견품종으로 제조된 익힌 누에가공물 10.0 g을 80.0% 메탄놀 2.0 L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를 진행하였다. 건조 중량을 확인 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회수 하여 10.0 mg/ml의 비율로 농도를 조정하였다. 뇌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 하기 위하여 마우스 해마 신경세포 주인 HT22세포 주를 이용하여 MTT 세포 분열실험을 진행 하면서 24시간과 72시간 경과 후 세포의 수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뇌 해마 세포주인 HT22 세포에 익힌 누에가공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해마 세포의 세포 분열 및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황견품종으로 제조한 익힌 누에가공물 추출물이 백견품종으로 제조한 익힌 누에가공물 메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24시간 경과 시 까지는 백견품종 또는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 추출물 0.1 mg/ml에서는 세포 증식 효과가 없었지만, 1.0 mg/ml의 비율로 처리된 경우에는 HT22세포가 백견품종 추출물의 경우는 40,7 %, 황견품종 추출물의 경우는 91.2 % 증가 됨을 확인 하였다. 더욱이, 72시간 경과 시에는 0.1 mg/ml 처리시 백견품종 추출물은 7.20 %, 황견품종 추출물은 98.2 %의 세포 증식 효과가 있었고, 1.0 mg/ml 처리시에는 백견품종 추출물은 159.9 %, 황견품종 추출물은 253.0 % 증가함을 확인 한바, 황견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 추출물이 백견품종 추출물보다 뇌신경세포 보호효과가 뛰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결과는 뇌 기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 세포의 증식에 우수한효과를 발휘하는데 있어서, 백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도 우수한 효과가 있지만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바, 신경연접 개선효과, 단기기억력 감소 억제효과와 더불어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다양한 색상의 고치를 짓는 여러 품종의 익힌 누에가공물 중 황견품종 익힌 누에가공물이 가장 우수한 기억력 증진 및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 누에 가공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됨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한 각종 건강보조식품 또는 의약품이 개발되어 시판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로 인하여 견사선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의 활용도 창출 및 고부가가치화로 양잠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고령화로 인해 치솟는 사회적 비용(보건의료 비용 등)의 감소 및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기억력을 개선시킴으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및 성적상승에 대한 부담감 완화에도 큰 기여가 예상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조>
익힌 누에가공물 분말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익힌 누에가공물 1 중량%를 조리용 양념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익힌 누에가공물 0.1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야채주스 제조
익힌 누에가공물 0.5 중량%를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가공물의 누에 품종은 백견품종, 황견품종, 연녹견품종, 홍견품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 품종은 황견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은 누에전체를 80~125℃의 증기의 열로 100~150분 동안 익히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
  5.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가공물의 누에 품종은 백견품종, 황견품종, 연녹견품종, 홍견품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 품종은 황견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은 누에전체를 80~125℃의 증기의 열로 100~150분 동안 익히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가공물의 누에 품종은 백견품종, 황견품종, 연녹견품종, 홍견품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 품종은 황견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은 누에전체를 80~125℃의 증기의 열로 100~150분 동안 익히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가공물의 누에 품종은 백견품종, 황견품종, 연녹견품종, 홍견품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누에 품종은 황견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익힌 누에가공물은 누에전체를 80~125℃의 증기의 열로 100~150분 동안 익히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기억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방법.
  18. 제5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9. 누에전체를 증기의 열로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0. 누에전체를 증기의 열로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견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CT/KR2019/006057 2018-05-23 2019-05-21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2259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24 2018-05-23
KR1020180058424A KR102092586B1 (ko) 2018-05-23 2018-05-23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942A1 true WO2019225942A1 (ko) 2019-11-28

Family

ID=6861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6057 WO2019225942A1 (ko) 2018-05-23 2019-05-21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2586B1 (ko)
WO (1) WO2019225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57B1 (ko) * 2020-12-18 2021-09-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퇴 억제 및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천연 혼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211A (ja) * 2002-04-24 2003-11-05 Heart:Kk カイコおよび野蚕のシルクパウダーを含有させ抗痴呆効果ならびに記憶学習向上を目的とする食品および医薬品
KR101430387B1 (ko) * 2014-04-08 2014-08-13 강용구 실크 피브로인 유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학습력, 인지력의 향상 또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3552B1 (ko) * 2016-05-31 2017-11-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누에를 함유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902A (ko) * 2002-03-27 2003-10-04 대한민국(부경대학교 총장) 누에산물을 이용한 항치매환자식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211A (ja) * 2002-04-24 2003-11-05 Heart:Kk カイコおよび野蚕のシルクパウダーを含有させ抗痴呆効果ならびに記憶学習向上を目的とする食品および医薬品
KR101430387B1 (ko) * 2014-04-08 2014-08-13 강용구 실크 피브로인 유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학습력, 인지력의 향상 또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3552B1 (ko) * 2016-05-31 2017-11-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누에를 함유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vestigation of the health functioning effect of boiled sikworm larvae. Agricultural policy support technology development business, final repor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HALLYM UNIVERSITY, February 2018 (2018-02-01), pages 1 - 176 *
1 June 2017 (2017-06-0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naas.go.kr> *
1 May 2017 (2017-05-01), pages 1 - 384,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rda.go.kr/board/board.do?boardId=openinfoboard&prgId=opp_openinfoboard&menu_id=opp&currPage=1&dataNo=100000734225&mode=updateCnt#script> *
4 May 2018 (2018-05-04),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2680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586B1 (ko) 2020-03-24
KR20190133457A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39581A2 (ko) 주목의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16060525A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0095911A2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WO2019226002A1 (ko)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kbl693 균주 및 그 용도
WO2020218781A1 (ko) 불멸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풍부 배양액 및 장미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WO2020080736A1 (en) Probiotic strain for ageing, muscle and bone, gut, hyperlipidemia, skin and brain
WO2013172640A1 (ko) 두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충격단백질 유도 활성을 갖는 조성물
WO2020122360A1 (ko) 트리신 함량이 증가된 고장초 효소 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미백, 주름 개선, 항염증, 항알러지, 보습용 조성물
WO2016032249A1 (ko) 모새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136573A2 (ko) 비만 치료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효모 가수분해물
WO2018034492A1 (ko)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th17-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01442A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 및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225942A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5111832A1 (ko)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11111A4 (ko) 뎁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조절용 및/또는 수명연장용 조성물
WO2016006947A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51253A1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바이탈 멜론 및 이의 추출물
WO2020256464A1 (ko) 항염 활성을 갖는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분획물의 알코올성 위염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89176A1 (ko) 체중 감소용 감태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231211A1 (ko) 세신, 길경 및 계지 중 2종 이상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92919A1 (ko)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z1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18106009A1 (ko)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39421A1 (ko) 아베마시클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3024960A1 (ko) 멀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WO2016175589A2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077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077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