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51213A1 -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 Google Patents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51213A1
WO2013151213A1 PCT/KR2012/006481 KR2012006481W WO2013151213A1 WO 2013151213 A1 WO2013151213 A1 WO 2013151213A1 KR 2012006481 W KR2012006481 W KR 2012006481W WO 2013151213 A1 WO2013151213 A1 WO 20131512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acrylate
weight
vinyl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4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윤호
김건수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850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9776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 엘지화학
Priority to US14/115,047 priority Critical patent/US9150720B2/en
Priority to CN201280047989.0A priority patent/CN103890085B/zh
Publication of WO20131512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51213A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copolymer, and a foamable moldable reinforced vinyl chloride resin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copolymer therefrom, which are added to a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vinylchloride, PVC) to provide a vinyl chloride resin with improved foam moldability, and a foam including the obtained copolymer.
  • PVC polyvinyl chloride resi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ability-reinforced vinyl chloride resin.
  • Vinyl chloride-based resin is a polymer containing 50% or more of vinyl chloride, it is inexpensive, easy to control the hardness, and can be applied to most processing equipment has a variety of applic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it provides a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 This widely used vinyl chloride resin has several disadvantages in impact strength, process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heat deflection temperature. Therefore, additives to compensate for thi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 the additives of such vinyl chloride-based resins include impact modifiers, processing aids, stabilizers, fillers, and the like, and have been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 U. S. Patent No. 6,140, 417 discloses a process for preparing a compound selected from methyl methacrylate, alkyl acrylate and alkyl methacrylate and copolymerizable vinyl monomers in a total three-stage polymerization process for improved processability and foamability. It consists of a one-stage polymerization to contro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low, a two-stage polymerization to contro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stage and a three-stage polymerization to contro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the two stages.
  •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US Patent No. 6,221,966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two-stage polymer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cessability, transparency, and foamability of vinyl chloride resin, the size of the particle size is adjusted to a small size, the inner layer is methyl methacryl By lowering the rate of conten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was lowered, and the outer layer, on the contrary, had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US Patent No. 6,391,976 discloses a method of adding a small amount of a processing aid consisting of methyl methacrylate and alkyl methacrylate having 3 to 5 carbon atoms, but does not satisfy the processability and foaming propertie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which is added to a vinyl chloride resin to provide an excellent foaming vinyl chloride resi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opolymer from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amable reinforcement vinyl chloride resin containing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polymer.
  •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 2 to 20% by weight of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verage particle size 40 to 100 nm); and (b) vinyl copolymer It provides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comprising: 80 to 98% by weight.
  •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0 to 100 nm.
  •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polymer sequentially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2 to 20% by weight of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nd 80 to 98% by weight of a vinyl copolymer in a latex state.
  • the copolymer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provides a foaming-formation-reinforced vinyl chloride resin, characterized in that blended in the range of 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monomer.
  •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polymer is prepared from a co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 non-crosslinked, linear vinyl copolymer and a nonlinear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 and then added to the vinyl chloride resin to increase foam formability and processability. It has technical features to provide a reinforced vinyl chloride resin.
  •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0 to 100 nm and (b) vinyl copolymer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 refers to a particle phase having a mean particle size of nano size as a crosslinked vinyl monomer-based polymer.
  •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foam moldability as satisfy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40 to 100 nm, as is clear from the following examples.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a value measured using a submicron particle sizer and a NICOMP 380 manufactured by PSS (Particle Sizing Systems).
  • the copolymer composition is a powder obtained from a mixed phase between (a) latex of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nd latex of (b) vinyl-based copolymer, or (a) latex of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nd (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der obtained from the initial intermixing phase for the vinyl copolymer.
  • the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re (a1) vinyl monomer-based polymer containing a specific amount of (a2) crosslinking agent, the (a1) vinyl monomer is not limited thereto,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 Butyl acrylate, lauryl acrylate, stear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i-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cyclohexyl methacrylate.
  • the (a1) vinyl monomer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butyl acrylate, lauryl acrylate, stear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and cyclohexyl acrylate 4.8 to 25% by weight of at least one alkyl acrylate monomer selected; and meth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i-butyl methacrylate It may comprise; 70 to 95% by weight of at least one alkyl methacrylat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cyclohexyl methacrylate.
  • the (a1) vinyl monomer may be used in the range of 95 to 99.8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monomer for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95 to 98 wt%.
  • the (a1) vinyl monomer is less than 95% by weight or more than 99.8% by weight, 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s 7 and 8, it is confirmed that foaming moldability is deteriorated, such as an increase in cell size due to uneven foaming during foaming processing. there was.
  • the (a2) crosslinking agent is divinylbenzene, 3-butanediol di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1,4-butanediol dimethacrylate, allyl acryl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tex, allyl 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and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the crosslinking agent (a2) may be used in the range of 0.2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for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5 wt%.
  •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0 to 100 nm, preferably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0 to 80 nm is 2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for the composition processing aid containing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It can be used in the range, more preferably used in 3 to 15% by weight.
  • the (b) vinyl-based copoly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10 to 70% by weight alkyl (meth) acrylate monomer; 12 to 72% by weight aromatic vinyl monomer; and vinyl cyanated monomer 6 To 36% by weight of the copolymer;
  • the initial material of the (b) vinyl copolymer may also be the same.
  • the alkyl (meth) acrylate monomer is not limited thereto, but m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acrylate, ethyl methacrylate, n-butyl 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lauryl acrylate, lauryl methacrylate, stearyl 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tridecyl 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 2-ethylhexyl methacrylate, cyclohexyl acrylate and cyclohexyl methacryla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70% by weight, and is used in the range of 20 to 60% by weight. More preferred.
  • the aromatic vinyl monomer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 -methyl styrene, t-butyl styrene, chloro styrene, and p-methyl styrene, and may range from 12 to 72 wt%. It may be tomorrow, more preferably used in the 28 to 56% by weight range.
  • the vinyl cyanated monomer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fumaronitrile, ⁇ -chloronitrile, and ⁇ -cyano ethyl acrylonitrile, It may be in the range of 6 to 36% by weight, more preferably used in the range of 12 to 21% by weight.
  • the (b) vinyl copolymer may be used in the range of 80 to 9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for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for example, may be used in 85 to 97% by weight.
  • the above-mentioned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may be prepared to be used as a processing aid for foam molding of vinyl chloride resin, and an example of the preparation method is as follows:
  • step 1a Polymerizing 95 to 99.8 wt% of the vinyl monomer and 0.2 to 5 wt% of the crosslinking agent to obtain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 latex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0 to 100 nm (step 1a), and
  • step 1a is carried out polymerization of 95 to 99.8% by weight of the vinyl monomer and 0.2 to 5% by weight of the crosslinking agent by emulsion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or solution polymerization.
  •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 latex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0 to 100 nm is prepared.
  • step 1b 80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mixture of monomers consisting of 10 to 70% by weight of the alkyl (meth) acrylate monomer; 12 to 72% by weight of aromatic vinyl monomer; and 6 to 36% by weight of vinyl cyanide monomer.
  •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re added in an amount of 2 to 20% by weight to 98% by weight, and then polymeriz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or solution polymerization.
  • it may be mixed in an amount ratio of 90 to 95% by weight and 5 to 10% by weight of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in the total 100%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 initiators such as a well-known organic peroxide, inorganic peroxide, nitrogen oxide
  • organic peroxides such as inorganic peroxides, such as potassium persulfate and sodium persulfate
  • oil-soluble initiators such as azobis isobutyronitrile
  • Such initiators include sodium sulfite, sodium thiornate, sodium metabisulfite, sodium bisulfite, sodium dithionite, sodium 2-hydroxy-2-sulfinatoacetic acid, ascorbic acid, hydroxyacetone, ferrous sulfate It can also be used as a normal redox-type initiator combined with the reducing agent of the complex of ferrous sulfate and EDTA.
  • surfactant used can also use well-known surfactant.
  • anionic surfactants such as sodium alkyl sulfonate, sodium alkylbenzene sulfonate, sodium dioctyl sulfonate, sodium lauryl sulfate, and fatty acid sodium, or alkyl phenols, aliphatic alcohols, propylene oxide, and ethylene oxide;
  •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the reaction product, can be used.
  • the composition may be combined with one or more kinds of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ultraviolet stabilizers, lubricants and the like.
  • step 1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re obtained, at the same time or sequentially, 10 to 70% by weight of alkyl (meth) acrylate monomers; 12 to 72% by weight of aromatic vinyl monomers; and vinyl cyanide.
  • the monomer mixture consisting of 6 to 36% by weight of the monomer is polymeriz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or solution polymerization to obtain a vinyl copolymer (step 2a).
  • step 2b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obtained in step 2b and the vinyl copolymer are mixed in a latex state.
  • coagulation drying or spray drying it can be obtained a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polymer powder.
  • the thus obtained powder-typ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containing copolymer is blended in a range of 1 to 20 parts by weight, for example,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monomer, and kneaded and extruded to form a foamed reinforced vinyl chloride resin. Will be provided.
  • the process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blended with the vinyl chloride resin,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oamability and processability of the vinyl chloride resin during foam molding.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corresponds to a value measured using a submicron particle sizer manufactured by PSS (Particle Sizing Systems), NICOMP 380.
  • the latex obtained was aggregated with calcium chloride,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obtain a copolymer powder.
  • step 1b the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step 1b), except that 10 wt% of the crosslinked nanoparticle latex was added to obtain (b) a vinyl copolymer.
  • Example 1 except that (a) 3% by weight of crosslinked nanoparticle latex was adde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to obtain (b) vinyl copolymer of (b), and the obtained latex alone By coagulation drying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copolymer powder.
  • Example 1 except that 15% by weight of crosslinked nanoparticle latex was adde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to obtain (b) vinyl-based copolymer of (1b), and the obtained latex alone By coagulation drying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copolymer powder.
  • Example 1 in the presence of 10% by weight of the (a) crosslinked nanoparticle latex of (1a), (b) 20%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56% by weight of styrene as an initial monomer for the vinyl copolymer The same process was repeated except that 24 wt% of ronitrile was added.
  • Example 1 in the presence of 10% by weight of the (a) cross-linked nanoparticle latex of (1a), (b) 60% by weight methyl methacrylate and 28% by weight styrene as an initial monomer for the vinyl-based copolymer, and acryl The same process was repeated except that 12 wt% of ronitrile was added.
  • Example 1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5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and 1.2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were obtained in Example 1 (Step 1a), except that 8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was obtained. The process was repeated.
  • the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crosslinked nanoparticle latex was not added, thereby obtaining (b) vinyl copolymer of (1b), and the obtained latex was performed alone. Coagulation drying was performed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copolymer powder.
  • Example 1 in the presence of 1% by weight of the crosslinked nanoparticle latex of (a) of step (1a), (b) 29.7%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48.5% by weight of styrene as an initial monomer for the vinyl copolymer The same process was repeated except that 20.8% by weight of ronitrile was added.
  • Example 1 in the presence of 25% by weight of the crosslinked nanoparticle latex of (a) in step (1a), (b) 22.5%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36.75% by weight of styrene and acryl as the initial monomer for the vinyl copolymer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15.75 wt% of nitrile was added.
  • Example 2 (a) step (a) of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0nm alone to prepare a powder phase, in step (2b) (b) vinyl-based copolymer alone agglomeration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powder phase was prepared and then the powder phases were mixed.
  • Example 1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75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and 1.0 part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were obtained in Example 1 (Step 1a), except that the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form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10 nm. The process was repeated.
  • Example 1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except that 30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and 2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were obtained in Example 1 (Step 1a), except that the resultant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form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35 nm. Was repeated.
  • Extrusion amount during foam extrusion (g / min): Mass of the molded product processed in the extruder in 1 minute during foam molding.
  • Foam specific gravity during foam extrusion (g / cm 3 ): Value measured using a specific gravity meter.
  • Foam cell size (mm) in foam extrusion Average value of 50 cell sizes measur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 Comparative Example 1 does not include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nd even if used in Comparative Example 2 is a small amount of foaming does not occur during the foaming molding foam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gravity was high, and in Comparative Example 3 (a) in which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were excessively used, the foam size was not uniform during the foaming process, thereby increasing the cell size.
  •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a)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and (b) the vinyl copolymer were mixed in powder rather than latex,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were not evenly dispersed, and thus the foaming specific gravity was not achieved. It was high, and (a) the foaming ratio was low even in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in which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was inappropriate.
  • Comparative Example 7 in which the crosslinking agent was under-used and in Comparative Example 8 in which the cross-linking agent was used too much, the specific gravity of foaming was relatively low, but it was also confirmed that foaming moldability was deteriorated, such as an increase in cell size due to uneven foa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은 평균 입경 40 내지 100 nm의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와 비닐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의한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를 염화비닐 수지에 첨가하는 경우 발포 성형성 및 나아가 가공성이 보강된 염화비닐 수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본 발명은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염화비닐 수지(Polyvinylchloride, PVC)에 첨가되어 발포 성형성이 개선된 염화비닐 수지를 제공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과 이로부터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수득된 공중합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경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부분의 가공기기에 적용 가능하여 응용 분야가 다양하다. 게다가,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공하므로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염화비닐수지는 충격강도, 가공성, 열안정성, 열변형온도에 있어서 여러 단점들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첨가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염화비닐계 수지의 첨가제로는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안정제, 충진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되었다.
근래에는 염화비닐계 수지를 경량화하고, 성형품 가격을 저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발포성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염화비닐계 수지만으로 발포성형하면 충분한 연신 및 용융강도를 얻을 수 없어 성형품의 외관이 불량하고, 발포 셀이 크고 균일하지 않아 발포배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염화비닐계 수지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발포제와 혼합하여 첨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미국특허 제6,140,417호는 가공성 향상과 발포성 개선을 위하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및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를 전체 3단계 중합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게재하고 있는데, 유리전이 온도(Tg)를 낮게 조절하는 1단계 중합, 1단계 대비 유리전이 온도를 보다 높게 조절하는 2단계 중합 및 2단계 대비 유리전이 온도를 보다 낮게 조절하는 3단계 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6,221,966호는 염화비닐수지의 가공성 향상과 투명성, 발포성의 개선을 위하여 전체 2단계 중합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게재하고 있는데, 입경의 크기를 작게 조절하고, 안쪽 층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을 적게하여 유리전이 온도(Tg)를 낮게 하였으며, 바깥층은 이와 반대로 유리전이 온도를 높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가공성 향상과 발포 셀의 균일성이 다소 미흡하다.
또한, 미국특허 제6,391,976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탄소수가 3~5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가공조제를 소량 첨가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나, 가공성과 발포 특성을 충족하고 있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화비닐 수지에 첨가되어 우수한 발포성의 염화비닐 수지를 제공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로부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a)평균 입경 40 내지 100 nm의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 2 내지 20 중량%;와 (b)비닐계 공중합체 80 내지 9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 단량체 95 내지 99.8 중량%와 가교제 0.2 내지 5 중량%를 중합하여, 평균 입경 40 내지 100nm 내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라텍스를 수득하는 단계,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라텍스 2 내지 20 중량%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단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 단량체 95 내지 99.8 중량%와 가교제 0.2 내지 5 중량%를 중합하여, 평균 입경 40 내지 100nm 내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를 수득하고,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를 중합하여, 비닐계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2 내지 20 중량%와 비닐계 공중합체 80 내지 98 중량%를 라텍스 상태로 혼합하는 단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 범위 내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비가교 타입이면서 선형인 비닐계 공중합체와 비선형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를 제조해낸 다음 이를 염화비닐 수지에 첨가하여 발포 성형성 및 가공성이 보강된 염화비닐 수지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a)평균 입경 40 내지 100 nm의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와 (b)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고분자 나노입자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란 가교된 비닐계 단량체 기반 폴리머로서 나노 사이즈의 평균 입경을 갖는 입자 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는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평균 입경이 40 내지 100 nm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발포 성형성이 우수하다. 이때 평균 입경이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후술한 바와 같이, PSS(Particle Sizing Systems) 사의 Submicron Particle Sizer, NICOMP 380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특히, 상기 공중합체 조성물은,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의 라텍스와 (b)비닐계 공중합체의 라텍스간 혼합 상으로부터 수득된 분체이거나, 혹은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의 라텍스와 (b)비닐계 공중합체용 초기 물질간 혼합 상으로부터 수득된 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는 (a2)가교제를 특정량 포함한 (a1)비닐 단량체 기반 중합체로서, 상기 (a1)비닐 단량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a1) 비닐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4.8 내지 25 중량%;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70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a1)비닐 단량체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용 전체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하여 95 내지 99.8 중량%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으며, 95내지 98 중량%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a1)비닐 단량체가 95 중량% 미만이거나 99.8 중량%를 초과시엔 비교예 7과 8에서 보듯이, 발포 가공 시 발포가 균일하지 않아 cell size가 증가하는 등 발포 성형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a2)가교제는 디비닐벤젠, 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때 (a2)가교제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용 전체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하여 0.2 내지 5 중량%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으며, 2 내지 5 중량%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같이 하여 수득된 (a)평균 입경 40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 60 내지 80 nm의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가공조제용 전체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하여 2 내지 20 중량%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으며, 3 내지 15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비닐계 공중합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기 (b)비닐계 공중합체의 초기 물질 또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10 내지 70 중량% 범위 내일 수 있으며, 20 내지 60 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12 내지 72 중량% 범위 내일 수 있으며, 28 내지 56 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닐 시안화 단량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 에틸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6 내지 36 중량% 범위 내일 수 있으며, 12 내지 21 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b)비닐계 공중합체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용 전체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하여 80 내지 98 중량%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85 내지 97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은 염화비닐 수지의 발포 성형용 가공조제로서 사용가능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에 대한 일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비닐 단량체 95 내지 99.8 중량%와 가교제 0.2 내지 5 중량%를 중합하여, 평균 입경 40 내지 100nm 내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라텍스를 수득하는 단계(1a 단계),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총 100 중량% 중 80 내지 98 중량%에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라텍스 2 내지 20 중량%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단계(1b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1a 단계는 비닐 단량체 95 내지 99.8 중량%와 가교제 0.2 내지 5 중량%의 중합을 유화 중합, 현탁 중합, 혹은 용액 중합 방식으로 수행하고 평균 입경 40 내지 100nm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라텍스를 제조하게 된다.
이어서 1b 단계로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총 100 중량% 중 80 내지 98 중량%에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를 2 내지 20 중량%의 함량비로 투입하고 유화 중합, 현탁 중합, 혹은 용액 중합 방식으로 중합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단량체 혼합물 총 100 중량% 중 90 내지 95 중량%와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5 내지 10 중량%의 함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중합에 있어 개시제로는 공지의 유기계 과산화물, 무기계 과산화물, 질소 산화물 등의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숙신산 퍼옥사이드, 퍼옥시말레산 t-부틸 에스테르,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이나,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등의 무기 과산화물, 또는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유용성 개시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시제는 아황산 나트륨, 티오류산 나트륨, 소디움 메타비술파이트, 소디움 비술파이트, 소디움 디티오나이트, 소디움 2-히드록시-2-술피나토아세트산, 아스코르빈산, 히드록시아세톤, 황산 제1철, 황산 제1철과 EDTA의 착체의 환원제와 조합시킨 통상의 레독스형 개시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유화 중합으로 제조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또한 공지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알킬술폰산 나트륨, 알킬벤젠 술폰산 나트륨, 디옥틸술폰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지방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혹은 알킬 페놀류, 지방족 알코올류, 프로필렌 옥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반응 생성물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열이나 빛에 대한 안정성을 또한 향상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윤활제 등을 1종 이상 조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응집건조 또는 분무건조시켜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 분체를 수득하게 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대한 다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1a 단계로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게,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를 수득하되, 이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 현탁 중합, 혹은 용액 중합 방식으로 중합하여, 비닐계 공중합체를 수득한다(2a 단계).
그런 다음 2b 단계로서 얻어진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와 비닐계 공중합체를 라텍스 상태로 혼합하게 된다. 이를 응집건조 또는 분무건조시켜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 분체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와 비닐계 공중합체를 라텍스 상태가 아닌 분체로 각각 수득한 다음 혼합할 경우 비교예 4에서 보듯이, 발포 특성이 악화되어 발포 비중이 저하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같이 수득된 분체 타입의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는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 일례로 2 내지 10 중량부 범위 내로 배합하고, 혼련 및 압출하여 발포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공조제는 염화비닐 수지에 배합하면 발포 성형시 염화비닐 수지의 발포 성형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8
[실시예 1]
(1a 단계)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의 제조
교반기 부착된 8L 중합 반응기에 탈수이온수 200 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1.5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 초산염 0.03 중량부, 황산 제1철 0.002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반응기 내부를 질소 가스로 충분히 치환하고, 온도를 60 ℃로 승온 후, 비닐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78 중량%와 부틸 아크릴레이트(BA) 20 중량% 및 가교제로서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MA) 2 중량%를 첨가하였다.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술폭시산 0.2 중량부와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2 중량부를 투입하고 6시간동안 중합을 계속하여, 평균 입경이 60 nm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라텍스를 수득하였다(중합 전환율: 99.5%).
이때 평균 입경은 PSS(Particle Sizing Systems) 사의 Submicron Particle Sizer, NICOMP 380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에 해당한다.
(1b 단계)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b)비닐계 공중합체의 공중합체 조성물 제조
상기 반응기에 유화제(KAO사, Latemul ASK) 0.2 중량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2 중량부, 황산 제1 철 0.001 중량부, 상기 (a) 가교 나노입자 라텍스를 고형분 기준으로 10 중량% 투입 후 온도를 60 ℃로 승온한 다음, (b) 비닐계 공중합체용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7 중량%와 스티렌 44.1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8.9 중량%를 투입하고,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술폭시산 0.04 중량부와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004 중량부를 투입하여 6시간동안 중합을 계속하여 가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하였다(중합 전환율: 98.5%).
수득된 라텍스를 염화 칼슘으로 응집하고, 수세 및 건조하여 공중합체 분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2a 단계)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와 (b)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1a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균 입경 60 nm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1b 단계)에서 가교 나노입자 라텍스 10 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중합을 진행하여 (b)비닐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2b 단계)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b)비닐계 공중합체의 공중합체 조성물 제조
반응기에 상기 (a)가교 나노입자 10 중량% 존재하에, (b)비닐계 공중합체 90 중량%를 라텍스 상태로 혼합하였다. 수득된 조성물을 응집 건조하여 공중합체 분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1b 단계)에서 반응기에 상기 (a)가교 나노입자 5 중량% 존재하에, (b)비닐계 공중합체용 초기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8.5 중량%와 스티렌 46.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여 가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조성물을 분무 건조하여 공중합체 분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a)가교 나노입자 라텍스3 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중합을 진행하여 (1b단계)의 (b)비닐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고, 수득된 라텍스를 단독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응집 건조하여 공중합체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a)가교 나노입자 라텍스15 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중합을 진행하여 (1b단계)의 (b)비닐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고, 수득된 라텍스를 단독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응집 건조하여 공중합체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의 상기 (a)가교 나노입자 라텍스 10 중량% 존재하에, (b)비닐계 공중합체용 초기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와 스티렌 56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4 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의 상기 (a)가교 나노입자 라텍스 10 중량% 존재하에, (b)비닐계 공중합체용 초기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0 중량%와 스티렌 28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2 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 에서 (1a 단계)의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의 제조, 에서 비닐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75 중량%와 부틸 아크릴레이트(BA) 20 중량% 및 가교제로서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MA) 5 중량% 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에서 탈이온수 150 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1.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진행하여 입경이 80 nm인 입자상으로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a)가교 나노입자 라텍스를 미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중합을 진행하여 (1b단계)의 (b)비닐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고, 수득된 라텍스를 단독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응집 건조하여 공중합체 분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의 상기 (a)가교 나노입자 라텍스 1 중량% 존재하에, (b)비닐계 공중합체용 초기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9.7 중량%와 스티렌 48.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0.8 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의 상기 (a)가교 나노입자 라텍스 25 중량% 존재하에, (b)비닐계 공중합체용 초기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2.5 중량%와 스티렌 36.7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5.75 중량%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2a 단계)의 (a)평균 입경이 60nm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를 단독으로 응집하여 분체 상으로 제조하고, (2b 단계)에서 (b)비닐계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응집하여 분체 상으로 제조한 다음 이들 분체 상들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에서 탈이온수 175 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진행하여 입경이 110 nm인 입자상으로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에서 탈이온수 300 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진행하여 입경이 35nm인 입자상으로 수득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의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제조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79.9 중량%로, 그리고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를 0.1 중량%로 대체하여 평균 입경 60nm로 제조해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1a 단계)의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제조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8중량%로 그리고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를 12 중량%로 대체하여 평균 입경 60 nm로 제조해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8에서 수득된 공중합체 분체 5 중량부를 염화비닐 수지(LG080, LG화학 제조) 100 중량부, 열안정제(OTL-9, 선경 화성) 4 중량부, 탄산칼슘 7 중량부, 윤활제 2 중량부, TiO2 2 중량부, 발포제(아조디카르본아미드) 0.7 중량부와 함께 헨셀 믹서기를 이용하여 115 ℃까지 승온하면서 혼합하고 렉텡귤러 슬릿 다이(rectangular slit die)를 장착한 30mm 싱글 스핀들 압출기(single spindle extruder)를 이용하여 180 ℃의 실린더 온도와 30 rpm의 스크류 속도에서 발포 성형을 진행하여 두께 5 mm, 넓이 30 mm의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시험 항목에 따라 측정된 물성치를 하기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발포 압출시 토크(Torque)(%), 용융압(bar), 용융온도(℃) : Klauss Maffei 발포 압출기(C1/C2/A/D=170/178/180/178℃, 가공조제 4phr)에서 측정되어진 수치.
발포 압출시 압출량(g/min) : 발포 성형시 1분에 압출기에서 가공되어 나오는 성형물의 질량.
발포 압출시 발포 비중(g/cm3) : 비중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수치.
발포 압출시 발포셀 사이즈(mm) :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된 셀 사이즈 50개의 평균값.
표 1
실시예 No.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b)비닐계 공중합체 함량비a/a+b 비고 발포 특성(공중합체 5 중량부)
Torque 용융압 용융온도 압출량 발포 비중 발포셀사이즈
1 MMA78, BA20,AMA2 MMA30,SM49,AN21 10% (a)중합->(b)중합->응집 74 187 182 142 0.72 0.14
2 MMA78, BA20,AMA2 MMA30,SM49,AN21 10% (a)(b)각각 중합->라텍스혼합->응집 71 178 182 136 0.75 0.11
3 MMA78, BA20,AMA2 MMA30,SM49,AN21 5% (a)중합->(b)중합->응집 76 173 183 150 0.77 0.11
4 MMA78, BA20,AMA2 MMA30,SM49,AN21 3% (a)중합->(b)중합->응집 76 174 183 152 0.75 0.12
5 MMA78, BA20,AMA2 MMA30,SM49,AN21 15% (a)중합->(b)중합->응집 79 187 182 140 0.74 0.13
6 MMA78, BA20,AMA2 MMA20,SM56,AN24 10% (a)중합->(b)중합->응집 74 183 182 150 0.76 0.11
7 MMA78, BA20,AMA2 MMA60,SM28,AN12 10% (a)중합->(b)중합->응집 76 189 183 152 0.70 0.14
8 MMA75,BA20,AMA5 MMA30,SM49,AN21 10% (a)중합->(b)중합->응집 75 183 182 142 0.73 0.10
9 MMA78, BA20,AMA2 MMA30,SM49,AN21 10% (a)입경 80 nm. 72 187 183 139 0.77 0.11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BA: 부틸 아크릴레이트
AMA: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SM: 스티렌
AN: 아크릴로니트릴
표 2
비교예 No.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b)비닐계 공중합체 함량비a/a+b 비고 발포 특성(공중합체 5 중량부)
Torque 용융압 용융온도 압출량 발포 비중 발포셀사이즈
1 NA MMA 30,SM 49,AN 21 0% (b)만중합->응집 68 180 183 127 0.86 0.15
2 MMA 78, BA 20,AMA 2 MMA 30,SM 49,AN 21 1% 실시예1내(a)를 1% 사용 67 178 183 127 0.85 0.13
3 MMA 78, BA 20,AMA 2 MMA 30,SM 49,AN 21 25% 실시예1내(a)를 25%사용 70 181 183 131 0.78 0.20
4 MMA 78, BA 20,AMA 2 MMA 30,SM 49,AN 21 10% (a)중합응집,(b)중 중응집->분체혼합 74 184 183 135 0.83 0.13
5 MMA 78, BA 20,AMA 2 MMA 30,SM 49,AN 21 10% (a)입경 110 nm. 71 188 183 129 0.83 0.17
6 MMA 78, BA 20,AMA 2 MMA 30,SM 49,AN 21 10% (a)입경35 nm. 72 184 183 131 0.82 0.16
7 MMA79.9,BA 20,AMA 0.1 MMA 30,SM 49,AN 21 10% (a)AMA 0.1% 70 181 183 131 0.78 0.20
8 MMA 68, BA 20,AMA 12 MMA 30,SM 49,AN 21 10% (a)AMA 12% 76 188 183 138 0.78 0.17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BA: 부틸 아크릴레이트
AMA: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SM: 스티렌
AN: 아크릴로니트릴
상기 표 1 및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9 대비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록 사용하더라도 함량이 미량인 비교예 2에서는 발포 성형시 발포가 잘 일어나지 않아 발포 비중이 높았고,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를 과다하게 사용한 비교예 3에서는 발포 가공시 발포가 균일하지 않아 셀 사이즈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와 (b)비닐계 공중합체를 라텍스 혼합이 아닌 분체 상 혼합한 비교예 4에서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발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발포 비중이 높았고,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의 입경이 부적절한 비교예 5와 6에서도 발포 비중이 낮은 결과를 보였다. 가교제가 과소 사용된 비교예 7과 과다 사용된 비교예 8에서는 발포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나 발포가 균일하지 않아 셀 사이즈가 증가하는 등 발포 성형성이 저하되는 것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a)평균 입경 40 내지 100 nm의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 2 내지 20 중량%;와 (b)비닐계 공중합체 80 내지 9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조성물은,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의 라텍스와 (b)비닐계 공중합체의 라텍스간 혼합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조성물은,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의 라텍스와 (b)비닐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초기 물질로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화 단량체와의 혼합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a)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는 (a1)비닐 단량체 95 내지 99.8 중량%와 (a2)가교제 0.2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1)비닐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1) 비닐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4.8 내지 25 중량%;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70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2)가교제는 디비닐벤젠, 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비닐계 공중합체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시안화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 에틸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12. 비닐 단량체 95 내지 99.8 중량%와 가교제 0.2 내지 5 중량%를 중합하여, 평균 입경 40 내지 100nm 내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라텍스를 수득하는 단계,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라텍스 2 내지 20 중량%를 투입하고 중합하는 단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물을 분무 건조 혹은 응집 건조에 의해 분체 상으로 수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4. 비닐 단량체 95 내지 99.8 중량%와 가교제 0.2 내지 5 중량%를 중합하여, 평균 입경 40 내지 100nm 내인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를 수득하고,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내지 70 중량%;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2 내지 72 중량%;와 비닐 시안화 단량체 6 내지 36 중량%;를 중합하여, 비닐계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2 내지 20 중량%와 비닐계 공중합체 80 내지 98 중량%를 라텍스 상태로 혼합하는 단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분무 건조 혹은 응집 건조에 의해 분체 상으로 수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 분체를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 범위 내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PCT/KR2012/006481 2012-04-03 2012-08-14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WO201315121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15,047 US9150720B2 (en) 2012-04-03 2012-08-14 Crosslinked polymer nanoparticles containing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a copolymer using the composition, and vinyl chloride with improved foam molding properties
CN201280047989.0A CN103890085B (zh) 2012-04-03 2012-08-14 包含交联的聚合物纳米粒子的组合物,使用该组合物制备共聚物的方法和具有改进的泡沫成型性能的氯乙烯树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4193 2012-04-03
KR10-2012-0034193 2012-04-03
KR10-2012-0085018 2012-08-03
KR1020120085018A KR101497766B1 (ko) 2012-04-03 2012-08-03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1213A1 true WO2013151213A1 (ko) 2013-10-10

Family

ID=4930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481 WO2013151213A1 (ko) 2012-04-03 2012-08-14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15121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739B1 (ko) * 1998-02-0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트레이트 가공용 염화 비닐계 수지의제조 방법
KR20070047464A (ko) * 2005-11-02 2007-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04388B1 (ko) * 2005-10-10 200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염화비닐수지 조성물
KR20080060731A (ko) * 2006-12-27 2008-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739B1 (ko) * 1998-02-0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트레이트 가공용 염화 비닐계 수지의제조 방법
KR100804388B1 (ko) * 2005-10-10 200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염화비닐수지 조성물
KR20070047464A (ko) * 2005-11-02 2007-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80060731A (ko) * 2006-12-27 2008-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84558A2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8084486A2 (ko) Asa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asa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asa계 성형품의 제조방법
WO2017039157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15610A1 (ko) Asa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조성물
WO2017099409A1 (ko)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8174395A1 (ko) Asa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의 제조방법
WO2019225827A1 (ko)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22010053A1 (ko) 열가소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95436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6182338A1 (ko)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WO2017082649A1 (ko) 저광 특성, 내후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출 물품
WO2013077614A1 (ko) 내후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12655A (ko)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WO2013022205A2 (ko)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내스크래치성과 황색도가 조절된 열가소성 수지
WO2016204485A1 (ko)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2091295A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1101101A1 (ko) 공중합체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0101182A1 (ko) 코어-쉘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3151213A1 (ko)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WO2014133254A1 (ko) Pvc 발포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WO2021015485A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응집제 및 이를 이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3105737A1 (ko) 열 안정화제 프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013605A1 (ko) 코어-쉘 공중합체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WO2019098753A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20076023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중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15047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73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73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