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005B1 -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 - Google Patents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005B1
KR970006005B1 KR1019930701744A KR930701744A KR970006005B1 KR 970006005 B1 KR970006005 B1 KR 970006005B1 KR 1019930701744 A KR1019930701744 A KR 1019930701744A KR 930701744 A KR930701744 A KR 930701744A KR 970006005 B1 KR970006005 B1 KR 97000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lement
circumferential surface
shaft
bush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548A (ko
Inventor
랄프 뮐렌베르크
Original Assignee
랄프 뮐렌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9100239U external-priority patent/DE9100239U1/de
Priority claimed from DE4104217A external-priority patent/DE4104217C2/d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뮐렌베르크 filed Critical 랄프 뮐렌베르크
Publication of KR93070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17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rotation along an eccentric surface, e.g. arcuate wedg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connecting two abutting shafts or the like
    • F16D1/0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connecting two abutting shafts or the like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09Rotary binding cam or w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09Rotary binding cam or wedge
    • Y10T403/7011Radially interposed shim or b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47Radially interposed shim or bushing
    • Y10T403/7051Wedging or camming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커플링 요소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축선에 따른 제2도의 I-I선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도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커플링 요소의 다른 일실시예의 종 단면도.
제5도는 두 개의 커플링 요소를 구비한 본래의 커플링의 종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다른 일실시예의 제5도 및 제6도에 상응하는 단면도.
제9도 내지 제11도는 다른 커플링들의 종 단면도 내지 정면도.
제12도는 커플링 요소의 또 다른 실시예의 종 단면도 ; 및
제13도는 변형된 실시예의 제3도에 상응하는 횡 단면도이다.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는 다양한 구성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DE-GM 18 95 907에 개시되어 있는 커플링 요소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직선배열되어 상호 맞닿는 두 개의 축단부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들의 이음부는 축단부들에 끼워지는 내부 원통형의 부시부에 의해 브릿지 연결되며, 이 부시부는 일 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차례로 나사부와 원추면을 구비하며, 원추면의 벽두께는 나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원추면에는 절개되지 아니한 원추링이 안착되고, 이 원추링은 나사부에 나사연결되는 나사링에 의하여 원추면상으로 가압되며, 이 원추면은 링의 긴장력을 받고 부시부를 반경방향으로 죄어 두 축단부와 확고히 연결시킨다.
CH-PS 265 280에 개시되어 있는 커플링 요소는 연결 플랜지를 축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도 역시 외부 원통면과 이에 축방향으로 이어진 나사부를 가진 부시부가 존재한다. 나사링은 연결 플랜지를 원추면 상으로 밀어올린다. FR-PS 13 61 776에 따른 커플링 요소에서는 부시부가 이중원추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이중원추링은 그의 최대 벽두께가 중앙에 있고,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직선배열되는 두 축단부 사이의 이음부를 브릿지 연결한다. 두 외축 원추면상에는 절개되지 아니한 두 개의 외부 원추링이 안착되며, 이들 원추링은 원주에 분배되어 있는 몇 개의 볼트에 의하여 대향하여 조여지고 이에 의해 이중원추링을 축단부에 대해 반경방향에서 확고히 조인다. 또 하나의 구성형태에서는 단일의 원추링만이 존재하고, 이 원추링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는 외부 구성요소가 일체로 연결된다. 외부 원추링은 원주에 걸쳐 분배되어 있고 외부 구성요소내에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부시부의 원추면상으로 끌어올려질 수 있다.
유사한 구성형태가 DE-0S 12 94 751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의 외부 구성요소는 원통형의 축방향 연장부를 가지고, 이 연장부상에 이중원추링으로 형성된 얇은 벽의 압박링의 설치되며, 이 압박링의 원추면들에 두 개의 절개되지 아니한 원추링의 안착되고, 이들 원추링은 원주에 걸쳐 분배된 볼트들에 의해 서로를 향해 끌어당겨져 압박링 및 원통형 연장부를 축에 확고히 조인다.
전술한 모든 구성형태는 공통적으로 원추면외에 나사부를 이용하고 있고, 이에 의하여 원추요소를 사용하여 확고하게 조이기 때문에 축방향의 이동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원추면외에 나사부도 존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큰 회전행정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조립 역시 곤란하며, 더욱이 원주에 걸쳐 분배된 볼트들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전체 수만큼 조립이 힘들에 되고 또 이 경우 비스듬하게 조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와 작동이 간단한,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에 있어서, 부시부의 원주길이의 일부 분 이상에 걸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종방향의 슬롯(6)과 축(1,1′,1″)상에 배열을 하기 위한 내주면을 갖는 원통형상의 부시부(3)와, 종방향 슬롯(6)의 상부에 있는 부시부(3)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회전가능한 원주방향으로 분할되지 않은 조임링(8)과, 상기 조임링(8)이 회전할 때, 부시부(3)가 축(1,1′,1″)상에서 신속한 마찰 클램핑 맞물림을 위하여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부시부(3)의 외주면과 상호작동하는 조임링(8)의 원통형상의 내주면과, 셀프 록킹 범위내의 피치를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내주면의 축(2)에 평행한 모선들에 의하여 형성되고, 부시부의 내주면의 축(2)과 동축이며 종방향 슬롯(6)의 상부에서 축방향으로 부시부(3)의 외주면상에 배열된 부시부(3)에 연결된 나선면(5)과, 조임링의 원통형상의 내주면과 부시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리세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임링(8)의 내주면이 부시부(3)의 나선면(5)과 일치하는 나선면(7)이며, 상기 리세스는 최대 회전각과 일치하는 각 범위에서 나선면(5,7)의 가상 연속선의 내부와 외부로 각각 방사상으로 신장하며, 또한 상기 리세스는 각각의 원주면의 전이점(18,52)에서 조입 해제 방향(61,65)으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에 의하여 해결된다. 조임링은 커플링 요소가 축에 고정될 때 부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이때 나선면들이 겹쳐 활주하고 구배에 의하여 부시부를 반경방향으로 압박하여 그것을 축에 확고히 연결시키게 된다. 허용여유가 적절한 경우에는 조임링에 필요한 회전량은 매우 적어서 예를들어 최대 약 45°정도이며, 즉 커플링 요소를 작동상태로 고정시키는데 있어 조임링에 맞물린 회전공구를 단일의 행정 만큼만 회전시키면 되고 이들 다수회 회전하거나 다수의 개별 나사를 다수회 회전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정면측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없으며, 즉 커플링 요소에 필요한 공간이 거의 조임링의 폭에 한정된다.
확고히 조일때까지 필요한 회전행정은 원주방향에서의 나선의 구배에도 의존한다. 그러나 이 구배는 어떠한 경우에도 장치가 셀프 록킹(self-locking) 가능한 정도로 즉 조입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부가의 멈춤수단이 전혀 필요없을 정도로 작아야 한다.
커플링 요소의 해제는 조임링을 고정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셀프 록킹 상태를 극복하여야 하며, 즉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한 해제모멘트가 가하여지게 된다.
조임상태에서 조임링은 그 나선면이 원주의 대부분에 걸쳐 적어도 135°이상 부시부의 나선면에 전면적으로 접촉한다. 이 접촉은 비교적 적은 균질한 면압으로 이루어지므로 재료의 국부적 과동응력을 방지할 수 있다.
축과 외부 구성요소의 요홈 사이에 있는 사이 공간내에 상호 겹쳐 배치되어 대향한 회전에 의해 확고히 연결되는 두 개의 나선상 링을 구비한 구성은, 그 자체로서 GB-PS 293 122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플링 요소를 취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부시부가 축에 고정됨으로써 전달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는 당연히 조임링이 얼마나 확고히 조여지는가에 의존한다. 이 회전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부시부의 나선면상에(혹은 그에 형성된 다수의 나선면상에) 상호 독립하여 작동가능한 다수의 조임링을 나란히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이들 조임링은 개별적으로 조여질 수 있으므로, 얻을 수 있는 예를들어 손으로 가할 수 있는 조임모멘트를 다수배로 이용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고려된 실시예에서는, 부시부에 커플링 기능요소가 예를들어 커플링 플랜지 혹은 대응치형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치형을 가진 부재가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요소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본래의 커플링을 형성하며, 이에 의하여 직선으로 배열되거나 혹은 거의 직선배열되는 두 개의 축단부는 상호 일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조임링은 그 외주에 육각면 등을 구비함으로써 고정 조임용만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중인 조임링에서 적절한 장치 예를들어 기너아 스프로켓을 통하여 회전 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그 회전모멘트에 상응하는 연결이 도출될 수 있게 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나선면의 반경은 축의 축선에 관하여 원주방향에서 각도 비례적으로 증가하며, 그리하여 어느 일위치에서 원래의 반경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약 360°가 지난후에 일어나지만, 원주에서 볼 때 그 복귀가 다수회 예를들어 180°를 지날때마다 일어나도록 하는 실시형태들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커플링 요소가 조여졌을 때, 상기 복귀위치는 외부 구성부재의 내주면과 축의 외주면에서 더이상 접촉하지 아니하고, 미끄럼 끼워맞춤에 의하여 축상에 고정시키는 때까지 필요한 각도만큼 원주방향에서 상호 이격되어 있다.
외부 구성부재의 내주면과 축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습기 및 공기가 도입될 수 있는 개방부위가 벌어져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그 영역의 외주면에서는 특히 커플링 요소가 침해적인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부식될 수 있다.
그래서 커플링 요소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나선면들에 의해 형성된 두 외주면이 서로에 대해 역회전하게 되고, 이때 전이영역의 모서리들이 그 외주면의 부식된 영역에 이르게 된다. 이에 의하여 커플링 요소의 해제가 곤란하게 되거나 전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모서리들에 인접한 각 외주면의 영역이 대응면의 부식부분에 잠식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해제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종류의 커플링 요소를 구성하여야 하는 또 하나의 과제가 존재한다.
이 과제는 내주면(11,13)들이 각각 큰 반경으로부터 인접한 작은 반경으로 이행하는 위치(18,52)로부터 해제방향(61,65)으로 최대회전각도에 해당하는 각도범위(62,66)내에서 나선면(5,7)의 가상 연장부(54,55)의 반경방향 내측 혹은 외측에 존재하는 절취부(64,60)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여 해결된다.
나선면의 작은쪽 반경으로부터 큰쪽 반경으로의 전이면의 모서리가 대응면에 접촉하지 아니하고 어느 정도 공기중에 드리워져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선면들은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 내향 혹은 외향하여 제거되게 된다. 그리하여 구성부재들을 상호 역회전시킬 때 모서리들은 대응면의 부식영역에 더 이상 접근하지 아니하고 그곳에 존재할 수 있는 표면의 방해물에 의하여 제동되지 아니한다.
전이면의 모서리를 어느정도 자유롭게 유지시키는 절취부들은 축선에 동축적인 원통면을 할 수 있으며, 이 원통면은 구성부재를 해당축선에 대해 회전시키면서 밀링 가공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전체를 100으로 표시한 성형(星形)판은 제1도에 쇄선으로만 나타내어져 있는 축(1)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성형판(100)은 축(1)에 끼워지는 구멍(12)을 구비하고 120°씩 전위되어 있는 세 개의 아암(13)을 가진 플랜지판(11)을 포함하며, 이들 아암(13)에는 축선(2)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나사구멍(14)은 예를들어 탄성 커플링판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플랜지판(11)에는 일종의 보스인 커플링 요소(1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은 상기 플랜지판(11)의 구멍(12)과 직선배열된 원통형의 내주부(14)와, 축선(2)에 평행한 모체로부터 나선면으로서 형성된 외주면(5)을 가지고, 외주방향으로 90°씩 전위된 네개의 위치에 플랜지판(11)의 직전에까지 이르는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종방향슬릿(6)을 구비한다. 나선면(5)상에는 그에 대응하는 나선면(7)으로 형성된 내주면을 가진 외주방향으로 폐쇄된 조임링(8)이 설치되며, 이 조임링(8)은 그 외주부에 육각-렌치면(9)을 구비하고 있다.
부시부(3)는 플랜지판(11)의 후방으로 조임링(8)을 통해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있고 단부영역의 외측에 제1도에는 생략되어 있는 탄성링(제4도)을 수용할 수 있는 원주홈(41)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탄성링(4)에 의하여 조여지지 아니한 상태의 느슨한 조임링(8)이 부시부(3)에 구속되어 있게 된다.
커플링 요소(10)의 구성에 대해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단면도에서는 직경(16)을 갖는 가상 원통면(15)이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조임링(8)의 내부 원통면을 형성하는 나선면(7)의 첫 번째 두사분원이 가상 원통면(15)의 외부에 존재하고 나머지 두 사분원은 그 내부에 존재한다. 나선면(7 및 5)들의 국소반경은 제3도에서의 12시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각도에 비례하여 거의 360°에 걸쳐 감소하며, 최소 반경을 갖는 위치(18)로부터 좁은 전이영역에서 최대 반경을 갖는 상기 위치(17)로 전이한다. 두 위치(17,18)간의 반경차는 축(1)의 직경이 100mm일 때 예를들어 2mm이다. 나선면(5,7)들이 36°의 각도(43)만큼 상호대응하여 회전함으로써 0.2mm의 반경공차도 보상될 수 있으며,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에 충분하다. 이 보상 회전 스트로크를 고려할 때 어떠한 경우에도 45°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조임기능은, 부시부(3)가 위치(20)에서 최대 벽두께 혹은 나선면(5)의 최대반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조임링(8)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위치(20)가 제3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더욱 더 작은 반경을 가지는 나선면(7)의 위치에 차례로 접촉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위치(20)는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가압되어 축(1)에 확고히 조여지게 된다.
조임링(8)의 외주면을 6각 스패너면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른 실시예 뿐만아니라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단지 예로서만 나타내어져 있는 것이다. 이것은 물론 조임링(8)을 회전시키기에 용이한 다른 형상, 예를들어 원통형 표면에 훅크스패너가 걸릴 수 있는 홈이 마련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이 존재할 경우 그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전체를 200으로 표시한 제4도의 커플링 부재에서는,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커플링 요소(10)에 평기어(21)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이 평기어(21)는 그 치형(22)이 대응하는 커플링 케이싱(24)의 치형(23)과 맞물린다.
전체를 300으로 표시한 제5도 및 제6도의 커플링에서는 두 개의 커플링 요소(10)가 존재하고, 이들은 서로 마주보는 쪽에 클로오(claw) 커플링(30)을 가지고 있다. 제5도의 좌측에 있는 커플링 요소(10)는 커플링 기능요소로서 그 우측단부에 클로오(25)를 가지고 있고, 이 클로오(25)는 제5도의 우측 커플링 요소(10)의 좌측단부에 있는 포크다리(27)들 사이의 홈(26)내에 삽입되며 이에 의하여 형상맞춤한 일체회전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7도 및 제8도의 커플링(400)에서는, 커플링 요소(10)들이 원형이 아닌 예를들어 육각면(29)의 형상을 한 외주면을 가진 축방향의 연장부(28)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육각면(29)들은 대응하는 요홈(31)을 가지며 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커플링 통형체(40)내에 그의 양단부로부터 삽입된다. 이러한 커플링(400)에 의하여 두 축단부(1′,1″)는 완충작용을 가지고 상호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제9도의 커플링(500)에서는 역시 두 개의 커플링 요소(10)들이 존재하고, 이들은 해당 축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커플링 기능요소로서 축방향의 연장부(38)들을 가지며, 이들 연장부(38)들은 그 정면측이 상호 대면하고 그 내의 축선에 평행한 상호 직선배열된 구멍(32)들을 구비하며, 이들 구멍내에 핀(33)들이 삽입되어 이음부들을 브릿지 연결하는 동시에 회전모멘트를 전달한다.
제10도의 커플링(600)에서는 두 커플링 요소(10)의 부시부(3)가 중공 원통형 연결부(34)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이 연결부에는 적절한 나선가공에 의해 나선스프링(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선스프링(36)은 두 커플링 요소(10)간의 탄성 커플링(50)을 형성한다. 이러한 커플링(60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두 축단부간에 존재하는 어느 정도의 축선 어긋남이 보상될 수 있다.
제11도의 커플링(700)에서도 두 커플링 요소(10 및 10′)사이에 중공 원통형의 연결요소(44)가 존재하지만 이것은 탄성을 갖지 아니한다.
제11도의 좌측부에는 축단부(1′)상에 얇은 벽의 보스부(39)를 가진 베벨기어(37)가 설치되어 있고, 그 보스부(39)에 커플링 요소(10)가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요소(10)가 작용할 때 커플링(700)은 한편으로는 베벨기어(37)와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단부(1′)와 연결된다.
제11도의 우측부에 있는 커플링 요소(10′)는 부시부(3)의 균일한 나선면(5)상에 두 개의 상호 인접설치된 조임링(8)을 구비하며, 이들 조임링(8) 모두는 한계 회전 모멘트에까지 작용할 수 있고 축단부(1)의 외주면에서 전달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1도의 중앙의 상부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연결부재(44)에서도, 예를들어 이들을 이중롤러체인이 장착될 수 있는 스프로켓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 모멘트가 걸릴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밖에도 커플링(700)에서는 축단부(1″)의 직경이 축단부(1′)의 직경보다 크며, 이것은 다른 모든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2도의 커플링(800)에서도 축단부(1)에 커플링 요소(10)를 개재하여 스프로켓(45)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커플링 요소(10)의 조임링(8)은 나머지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그 본래의 작동개시 및 축(1)의 회전이전에 커플링 요소(10)의 초기 장착에만 사용되는 스패터면을 구비하지 아니하고, 조임링(8)에 스프로켓(45)이 마련되어 이를 통해 작동중 및 축(1)의 회전시 일정한 회전 모멘트가 조임링(8)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조임링(8)은 스프로켓(45)의 보스의 역할을 한다. 회전 모멘트의 회전방향에 관련하여 나선면(5,7)들의 방향설정을 적절히 한 경우, 이들은 회전 모멘트 부하가 증가하는 만큼 그 연결이 더욱 확고하게 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대충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초기의 장착은 손이나 공구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다. 커플링(800)에서는 조임링(8)이 커플링 요소(10)의 작동 중에도 추가로 하나의 기능을 더 갖는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성형판(100)에는 네 개의 종방향 슬릿(6)이 존재하며 이들은 단지 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다른 실시예의 부시부는 일부위에만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중요한 것은 나선면(5,7)이 종방향 슬릿의 영역내에 존재하며 이에 의하여 반경방향의 압착이 매우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영역내에서 이루어지고 큰 힘손실이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것 뿐이다. 제13도에 도시된 나선면(5,7)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커플링 요소들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제3도에 대응하는 제13도의 단면도에서 직경(16)을 갖는 가상 원통면(15)은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조임링의 내주면(13)을 형성하는 나선면(7)은 가장 원통면(15)의 외부에 존재하는 단면의 첫 번째 두 개의 사분면내에 존재하고 나머지 두 사분면은 그 내부에 존재한다. 나선면(5)의 국부반경은 제2도에 따른 최대반경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도 비례적으로 약 360°에 걸쳐 최소반경의 위치(18)에서 전이면(19)을 따라 다시 최대반경으로 복귀하여 올라간다. 전이면(19)은 위치(20)에서 나선면(5)의 최대벽두께의 영역으로 이행한다.
이것은 조임링(8)의 내주면(13)을 형성하는 나선면(7)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것은 최소반경의 위치(51)로부터 전이면(19′)을 다라 최대반경의 영역으로 이행한다. 상기 위치(51)에서는 모서리(50′)가 형성된다.
전이면(19,19′)들이 상호 인접하여 있는 출발위치로부터 조임상태를 나타내느 위치까지는 약 35°의 각도(53)가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조임링(8)의 내주면(13)이 나선면(7)을 따라 전이면(19,19′)사이에서 연속될 때 그것은 가상면(54)을 따라 나타난다. 나선면(5)의 연속은 가상면(55)을 따라 이루어진다. 전이면(19 및 19′)사이의 영역(56)은 조임장치(10)가 장착되었을 때 개방되어 있으며, 즉 이를 통해 외부의 습기나 부식성 있는 대기가 침입할 수 있다. 가상면(54)을 따라 이어지는 내주면(13)이 상황에 따라 영역(57)내에서 부식될 수 있고, 가상면(55)을 따라 이어지는 외주면(11)이 영역(58)내에서 부식될 수 있다.
그래서 조임장치를 해제하고자 하여 부시부(3)를 고정된 조임링(8)에 대해 화살표(59)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모서리(20,20′)가 부식영역(57 및 58)에 들어가게 되며, 이에 의하여 그 부위의 부식물을 긁어내어야 하거나 혹은 그렇지 아니하면 모서리(20,20′)가 부식물상으로 미끄러져 올라가게 되며, 그에 따라 장치가 조여지게 되고 풀림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조임링(8)의 내주면(13)은, 전이면(19′)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선면(7)의 가상 연장부(54)외부에 있는 절취부(60)를 가지고 있다. 이 절취부(60)는 축선(2)에 중심을 둔 원통면으로 형성되고, 이 원통면은 가상면(54)의 외측에 전이면(19′) 혹은 위치(52)로부터 간격을 두고 조임장치의 해제시 필요한 부시부(3)에 대한 상대 이동방향으로 연결되며, 조임시 최대로 회전될 수 있는 부재들(3 및 8)의 회전각도에 해당하는 각도영역(62) 즉 약 45°만큼 연장된다. 이에 상응하여 전이면(19) 내지는 위치(18)에는, 나선면(5)의 가상 연장부(55)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취부(64)가 이어져 있으며, 이 절취부(64)는 상기 위치(18)로부터 해제시 부시부(3)가 고정된 조임링(8)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될 방향(65)으로 각도(66)만큼 연장되고, 이 각도(66)는 최대 조임 각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두 모서리(20,20′)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유로이 있게 되며, 조임방치를 해제할 때 부식된 재료표면에 대한 어떠한 저항도 극복할 필요가 없다.
절취부(60,64)의 반경방향 연장량은 도면에서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실제에 있어서는 0.5 내지 1mm의 반경방향 연장량으로 충분하다.

Claims (6)

  1. 부시부의 원주길이의 일부분 이상에 걸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종방향의 슬롯(6)과 축(1,1′,1″)상에 배열을 하기 위한 내주면을 갖는 원통형상의 부시부(3)와, 종방향 슬롯(6)의 상부에 있는 부시부(3)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회전가능한 원주방향으로 분할되지 않은 조임링(8)과, 상기 조임링(8)이 회전할 때, 부시부(3)가 축(1,1′,1″)상에서 신속한 마찰 클램핑 맞물림을 위하여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부시부(3)의 외주면과 상호작동하는 조임링(8)의 원통형성의 내주면과, 셀프 록킹 범위내의 피치를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내주면의 축(2)에 평행한 모선들에 의하여 형성되고, 부시부의 내주면의 축(2)과 동축이며 종방향 슬롯(6)의 상부에서 축방향으로 부시부(3)의 외주면상에 배열된 부시부(3)에 연결된 나선면(5)과, 조임링의 원통형상의 내주면과 부시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리세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임링(8)의 내주면이 부시부(3)의 나선면(5)과 일치하는 나선면(7)이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최대 회전각과 일치하는 각 범위에서 나선면(5,7)의 가상 연속선의 내부와 외부로 각각 방사상으로 신장하며, 또한 상기 리세스는 각각의 원주면의 전이점(18,52)에서 조임 해제 방향(61,65)으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3)상에는 다수의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조임링(8)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플링 기능요소(11 ; 21 ; 25,27 ; 28 ; 38,34 ; 44)가 상기 부시부(3)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축단부(1′,1″)들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커플링 요소(10)에는 커플링 부재(25,27 ; 40 ; 33 ; 50 ; 44)를 통해 또 하나의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커플링 요소(1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8)에는 작동시 회전 모멘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커플링 요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60,64)들은 공동축선(2)에 해당하는 축선을 갖지만 반경이 상이한 원통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요소.
KR1019930701744A 1991-01-10 1992-01-06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 KR97000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100239.7U 1991-01-10
DE9100239U DE9100239U1 (de) 1991-01-10 1991-01-10 Kupplungselement zum kraftschlüssigen Verbinden eines äußeren Bauteils mit einer Welle
DE4104217A DE4104217C2 (de) 1991-02-12 1991-02-12 Anordnung zum kraftschlüssigen Verspannen eines äußeren Bauteils auf einem inneren Bauteil
DEP4104217.4 1991-02-12
PCT/DE1992/000003 WO1992012355A1 (de) 1991-01-10 1992-01-06 Kupplungselement zum kraftschlüssigen verbinden eines äusseren bauteils mit einer w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548A KR930703548A (ko) 1993-11-30
KR970006005B1 true KR970006005B1 (ko) 1997-04-23

Family

ID=2590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744A KR970006005B1 (ko) 1991-01-10 1992-01-06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427468A (ko)
EP (1) EP0565543B1 (ko)
JP (1) JPH086753B2 (ko)
KR (1) KR970006005B1 (ko)
CN (1) CN1040037C (ko)
AT (1) ATE108521T1 (ko)
CZ (1) CZ279445B6 (ko)
DE (1) DE59200281D1 (ko)
ES (1) ES2057984T3 (ko)
PT (1) PT99992B (ko)
WO (1) WO1992012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7579A1 (de) * 1993-05-27 1994-12-01 Kurt Ehrenberg Spannverbindung zwischen einer Hülse und einer Welle
DE9314821U1 (de) * 1993-09-30 1995-02-02 Müllenberg, Ralph, 41516 Grevenbroich Konusspannanordnung
US5509324A (en) * 1994-11-17 1996-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rmediate steering shaft
DE19625553A1 (de) * 1996-06-26 1998-01-02 Hans Dipl Ing Kuehl Einrichtung zum zentrischen oder/und unwuchtfreien Haltern von Werkstücken oder Werkzeugen
GB2338279B (en) * 1998-02-09 2002-07-10 Mannesmann Sachs Ag Coupling device
US6364781B2 (en) 1998-02-09 2002-04-02 Mannesmann Sachs Ag Installation apparatus for a coupling device having a holder, which is provided on a flywheel mass, for a driver
ES2203866T3 (es) * 1998-10-22 2004-04-16 Electrolux A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 cubo o de un eje.
EP1002593B1 (de) * 1998-10-22 2003-08-27 Electrolux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Nabe durch Stanzen
GB2352017B (en) * 1999-07-14 2004-02-04 Mannesmann Sachs Ag Clutch assembly
FR2862355B1 (fr) * 2003-11-18 2006-02-10 Ecl Systeme de liaison de deux arbres en translation
DE102007038971A1 (de) * 2007-08-17 2009-02-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Maschinenelement für eine Welle-Nabe-Verbi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Welle-Nabe-Verbindung
WO2009059112A2 (en) * 2007-10-31 2009-05-07 Schlage Lock Company Motor driv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adbolt lock
US20100061798A1 (en) * 2008-09-11 2010-03-11 Austin Unsworth Pivot bearing with adjustable resistance
SE535807C2 (sv) * 2011-03-04 2012-12-27 Pluseight Technology Ab Kopplingsanordning
JP6193598B2 (ja) * 2013-03-29 2017-09-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軸の連結構造
DE102013208568A1 (de) * 2013-05-08 2014-11-13 Lenze Drives Gmbh Anordnung mit Hohlwelle, Antriebswelle und Spannvorrichtung
CN103418869A (zh) * 2013-08-20 2013-12-04 昆山瑞钧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电火花线切割机贮丝筒装置
CN104019141A (zh) * 2014-05-15 2014-09-03 何敬丽 一种用于传动轴联轴器的连接装置
DE102015214434A1 (de) * 2015-07-29 2017-02-02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Rotierbares Zerspan-Werkzeug und Schlüssel hierfür
US10100597B2 (en) * 2016-08-22 2018-10-16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blowout preventer
CN109993906A (zh) * 2017-12-29 2019-07-0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离合式联轴器、货物递送装置及自动售货机
US11384828B2 (en) * 2019-11-04 2022-07-12 Laitram, L.L.C. Locking retainer ring for a shaft assembly
DE102020215229A1 (de) 2020-12-02 2022-06-02 Sacs Aerospace Gmbh Koppelanordnung
CN112963376B (zh) * 2021-02-04 2022-12-27 宏洋电机(威海)有限公司 一种耐磨损易更换的给水泵用联轴器
CN113931939B (zh) * 2021-08-31 2024-03-29 江苏泰克曼传动设备有限公司 一种带安全防护功能的联轴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019A (en) * 1895-11-19 Key for connecting shafts to other parts
DE1068956B (ko) * 1959-11-12
US436357A (en) * 1890-09-16 Split ring for cylindrical bodies
US853006A (en) * 1906-04-20 1907-05-07 Joseph B Dunlap Pulley.
US954957A (en) * 1908-11-02 1910-04-12 John Emery Harriman Jr Coupling for pipes, rods, &c.
US1481062A (en) * 1921-08-15 1924-01-15 Johnson Lloyd Pipe coupling
GB293122A (en) * 1927-03-31 1928-07-02 George Constantinesco Means for securing bodies on rotating shafts
CH265280A (de) * 1948-05-18 1949-11-30 Bruellmann Hans Einrichtung zum lösbaren Festklemmen eines auf einer Welle verschiebbaren Teils.
US2729458A (en) * 1952-12-22 1956-01-03 Ruth Gale Sacrey Coupling structure
FR1361776A (fr) * 1963-07-05 1964-05-22 Asea Ab Dispositif d'assemblage ou d'accouplement par frottement dur engendré par contraction ou dilatation radiale
DE1294751B (de) * 1965-10-25 1969-05-08 Winkelhaus Werner Kraftschluessige, loesbare Nabenbefestigung fuer eine Radscheibe
US3419227A (en) * 1966-12-20 1968-12-31 Gottfried W.L. Werkmeister Device for locking a hollow core to a drive shaft
US3825359A (en) * 1972-07-14 1974-07-23 Caterpillar Tractor Co Releasable mounting for cylindrical objects
US3938901A (en) * 1974-10-01 1976-02-17 Textron, Inc. Locking device for a bearing ring or the like
US4160608A (en) * 1978-02-03 1979-07-10 Fmc Corporation Preloading nut for wedge sleeve
DE2852018A1 (de) * 1978-12-01 1980-06-12 Schaeffler Ohg Industriewerk Wellenkupplung
DE3562036D1 (en) * 1984-07-12 1988-05-05 Masanori Mochizuki Shaft coupling
US4585367A (en) * 1985-02-05 1986-04-29 Sears, Roebuck And Co. Releasable locking device
JPH0266307A (ja) * 1988-05-07 1990-03-06 Adalbert Viets 圧縮―ロッククランプブシュ装置
DE3900797A1 (de) * 1988-05-07 1989-11-16 Viets Adalbert Dipl Ing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nabe auf einer w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5543B1 (de) 1994-07-13
ES2057984T3 (es) 1994-10-16
CN1063149A (zh) 1992-07-29
CZ137793A3 (en) 1993-11-17
US5427468A (en) 1995-06-27
JPH06503406A (ja) 1994-04-14
PT99992B (pt) 1999-02-26
EP0565543A1 (de) 1993-10-20
ATE108521T1 (de) 1994-07-15
CZ279445B6 (cs) 1995-04-12
KR930703548A (ko) 1993-11-30
JPH086753B2 (ja) 1996-01-29
WO1992012355A1 (de) 1992-07-23
DE59200281D1 (de) 1994-08-18
CN1040037C (zh) 1998-09-30
PT99992A (pt) 199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005B1 (ko) 외부 구성부재를 축에 마찰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
US5695297A (en) Mounting device
US5586790A (en) Fluid coupling and fastener capture device
US5083819A (en) Fluid coupling and fastener capture device
US5823702A (en) Fluid coupling and fastener capture device
US4872795A (en) Nut assembly with rotatable sleeve for taking up backlash
US4893426A (en) Lugged coupling apparatus
JPS6048651B2 (ja) 装着装置
US8657543B2 (en) Device for mechanically linking at least two parts having coaxial bores
US5947852A (en) Sprocket or gear with metal hub
CA2320781A1 (en) Rotary valve actuator and linkage
US4472075A (en) Pivotable connecting device
US7118300B2 (en) Shaft coupling
US6648763B2 (en) Reduction of axial thrust reaction in toothed shear-type flexible couplings
US20160327084A1 (en) Machine element
US6220415B1 (en) Hold down fastener
JPS5854228A (ja) 軸継手
JPH02217622A (ja) 動力伝達部材を回転軸に装着するための取付構造
US3368833A (en) Hub and bushing structure
JP2004500519A (ja) 固定装置
KR20200014651A (ko) 파이프용 클램프
JP7366039B2 (ja) ねじ付き部材、特にナット用の保持装置
KR20090099018A (ko) 클램핑 갭 너트
CN107636237B (zh) 空间结构
EP0632205B1 (en) Device for joining two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