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714B1 - 대편향각 로우터리 변조 스티어링 밸브 - Google Patents

대편향각 로우터리 변조 스티어링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714B1
KR960015714B1 KR1019910018655A KR910018655A KR960015714B1 KR 960015714 B1 KR960015714 B1 KR 960015714B1 KR 1019910018655 A KR1019910018655 A KR 1019910018655A KR 910018655 A KR910018655 A KR 910018655A KR 960015714 B1 KR960015714 B1 KR 960015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alve
controller
subsequent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스 스테펜손 드와이트
Original Assignee
이턴 코오포레이숀
프랑크 엠 사죠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오포레이숀, 프랑크 엠 사죠벡 filed Critical 이턴 코오포레이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62D5/093Telemotor driven by steering wheel movement
    • B62D5/097Telemotor driven by steering wheel movement geroto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38Rotary valve
    • Y10T137/86646Plug type
    • Y10T137/86662Axial and radial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대편향각 로우터리 변조 스티어링 밸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형의 유체제어기의 축방향 단면도.
제2도는 스티어링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제1도의 유체제어기를 예시하는 단일방향의 오리피스(orifice)도표.
제3도는 관련 중립위치에 스풀(spool)과 슬리이브(sleeve)가 있는 제1도의 3-3선에서 자른 확대 단편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와 실질적으로 같은 치수인 제3도의 4-4선에서 자른 축방향 단면도.
제5도는 상당히 변위된 위치에서의 스풀과 슬리이브를 예시하는 제3도와 유사한 횡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6-6선에서 자른 확대 단편 횡 단면도.
제7도는 제1도 보다는 큰 치수이고 관계중립위치에 스풀과 슬리이브가 있는 제1도의 유체제어기에 쓰인 스풀과 슬리이브 밸브부품의 부감도(overlay).
제8도는 스풀과 슬리이브가 중간 조작위치에 있는 제7도와 유사한 더한층 확대 단편 부감도.
제9도는 스풀과 슬리이브가 완전히 변위된 조작위치에 있음을 보여주는 제7,제8도에 유사한 부감도.
제10도는 제8도의 10-10선에서 자른 스풀과 슬리이브를 보여주는 단편 횡 단면도.
제11도는 스풀과 슬리이브가 관련 중립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를 예시하는 스풀과 슬리이브의 단편 부감도.
제12도는 완전 변위된 조작위치에서의 기타 실시예와 스풀과 슬리이브를 보여주는 제11도와 유사한 부감도.
제13도는 제2도에서 예시된 몇몇 가변 흐름 제어 오리피스에 대한 흐름 면적 대비 밸브 변위의 도표.
제14도는 본 발명의 것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시간 대비인 초당 g's의 회전 저어크(jerk)의 도표.
본 발명은 차량 스테어링 실린더 같은 유체압력 조작장치에 가압유체원(source)으로부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쓰인 형식의 유체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한 형식의 대표적 유체제어기는 여러가지 유체개구 역할을 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또한 유체계기를 통과하는 흐름에 따른 밸브조절에 대한 후속운동을 알리는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기 밸브장치를 통하는 흐름은, 주가변 흐름제어 오리피스의 면적에 직접 비례하며, 또한 제어기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밸브부품들 사이의 관련 변위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형식인 유체제어기는 대형, 중량차량에 흔히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그러한 제어기들은 회전조인트(joint)로부터 차륜의 반대쪽에 높은 관성 하중이 있는 관절형 차량에 흔히 쓰인다.
그러한 차량의 중량, 그리고 관성하중들은 원활한 운전동작을 곤란하게 하며, 결국은 그런 차량들에게 유체제어기나 스테어링 실린더를 내부연결하는 라인에 있어서 완충밸브를 마련하게 하는 것이 실제로 보편화되어 있다.
어느 장치에서는 축적기(accumulator)가 쿠숀(cushion) 밸브 대신에 사용된다.
쿠숀 밸브나 축적기 같은 것을 사용하는 목적의 하나는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가 한 방향으로 운전하다가 스티어링 바퀴를 중심위치에 복귀시켜 제어기 밸브장치를 폐쇄할때 일어나는 "횡저어크(lateral jork)"를 감소하는데 있다.
횡저어크(횡적급동)는 차량의 관성적 구동압력 맥동 결과로서 일어나는데 즉 그 맥동은 차량 운전자가 제어기 밸브 조절을 하나의 운전상태에서 그 장치가 차량의 횡적운동을 감속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다른(즉, 한방향에서 최대변위에서 중립으로) 쪽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본 발명이 여러가지 밸브 조절구조를 가진 제어기로서 여러가지 형식으로 사용가능하다고는 하나 로우터리 스풀-슬리이브 형식의 밸브장치를 가진 제어기로서 쓰인때, 특별한 유리한 점이 있으며 그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형적으로 선행기술에서의 스풀-슬리이브 제어기는 제어기 밸브장치내의 여러가지 흐름 오리피스들이 각기 스풀에 의하여 구실을 하는 다수의 통로가 중복되이 있는 슬리이브에서 다수의 개구를 구성하고, 그들의 축적된 중복이 특수한 흐름제어 오리피스를 구성하고 있다.
종전의 스풀-슬리이브 제어기에 있어서는 실제로 각기 6개의 슬리이브 개구와 각 스풀 통로의 각기 6개를 마련하는 것을 수용하게 되어 있었다.
이러한 것은 적절한 슬리이브의 균형이라든가 관련 스풀의 균형은 관심밖에 것으로 믿어져 있다.
하여간 결과적으로 선행기술의 스풀-슬리이브 제어기에 있어서는 스풀과 슬리이브 사이의 관련변위는 제한받아 왔다.
전형적으로 중립에서 최대 변위로 가는 과정에서 스풀과 슬리이브 사이의 관련변위는 단지 10도 또는 12도 뿐이였고, 더욱 최근의 제어기에서 좀 큰 것이라도 스풀과 슬리이브 사이의 최대 관련 변위는 약 19도였다.
상기한 형의 제어기 밸브장치가 일반적으로 만족스럽다하더라도 그러한 제어기가 큰 관절형 차량에 사용될때 과도한 횡저어크 결과를 흔히 내게 되며 그리하여 그 장치에서 쿠숀 밸브나 축적기 사용의 필요성을 가져오게 한다.
축적기의 사용은 보통 만족스런 달성을 맺는데 그러나 축적기라는 것은 실질적으로 장치에 대한 비용을 가중하며 실질적인 추가적 수선량을 요구한다.
다른 한편으로 쿠숀 밸브는 일반적으로 최소한 1차적인 압력 스파이크(spike)의 만족스런 완충작용을 하는데 그러나 항상 성공적인 압력 스파이크 노릇은 못한다.
더욱이 전형적인 쿠숀 밸브는 실질적으로 그 장치의 가격을 추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어링 장치에 사용되는 유체제어기로서 그 제어기는 스티어링 장치내에서 쿠숀 밸브나 축적기의 필요없이 관절형 차량에 횡저어크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것과 기타 목적은 가압 유체원과 연결된 입구역할을 하는 하우징수단을 포함하는 형의 개량된 제어기를 마련함으로서 달성되며, 그것은 저장기에 연결된 복귀구, 그리고 유체압 조작장치에 연결된 제1,제2제어유체구가 있다.
밸브수단은 하우징내에 배설되어 1차적 회전가능 밸브부품을 구성하며 비교적 회전가능한 후속 밸브부품과 협동하게 된다.
그 1차적 후속 밸브부품은 중립위치 구실을 하고, 제1조작위치 구실하며 그 안에서 1차 밸브부품은 중립위치로부터 후속 밸브부품에 연결되게 회전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1차 밸브부품은 제1의 유체 통로 구실을 하고 후속 밸브부품이 입구를 가진 연속 유체연통의 제1유체구 수단 구실을 한다.
제1유체구 수단은 그 밸브부품들이 중립위치에 있을때 제1유체 통로와 유체연통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제1유체구 수단은 제1유체통로와 유체연통하여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위치에 있을때 제1흐름제어 오리피스 구실을 하게 된다.
하우징수단과 밸브부품들은 협력하여 제1가변 흐름제어 오리피스를 통한 입구에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위치에 있을때 제1제어유체구까지 연통을 마련하는 제1주유체 통로 구실을 한다.
그 개량된 제어기는 1차 밸브부품의 외부 원통형 면 역할을 하는 축방향으로 제1유체통로가 방향을 같이하는 구성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유체구 수단은 중립위치에서 제1조작위치까지 후속 밸브부품에 관련하여 1차 밸브부품이 회전함에 따라 입구와 제1유체통로 수단 사이의 계속적 유체연통을 마련하도록 조작가능한 원주방향으로 확대한 개구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그 1차 밸브부품의 관련회전은 최소한 45도로 확장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한정할 생각은 없으며 제1도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제작된 유체제어기를 예시한다.
그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11)로 표시되는데 미국 특허 25,126호에 개시되고 예시된 일반형으로 미국 특허 4,862,690호에 더욱 상세하게 예시되고 개시된 형이며 둘다 본 발명의 양수자에게 양도된 것으로 참조하여 여기에 종합되어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유체제어기(11)는 몇몇 구분을 구성하는데 밸브하우징(13), 개구판(15), 유체계기를 구성하는 부분(17), 그리고 끝캡(19)을 포함한다.
이들 구분들은 밸브하우징(13)과 나사연결이 된 다수의 보울트(21) 수단에 의하여 빡빡한 밀봉 연결로 서로 서로 확보 유지되어 있다. 밸브하우징(13)은 유체입구(23)(제2도에만 도시됨) 구실을 하고 유체복귀구(25)(역시 제2도에만 도시됨) 그리고 한쌍의 제어(실린더)유체구(27),(29) 구실을 한다.
또한 밸브하우징(13)은 밸브보어(bore)(31) 구실을 하고 그 안에는 밸브장치들이 회전가능하게 배설되어서 1차 회전가능 밸브부품(33)(이후 스풀로 표시함)을 구성하고 관련회전 가능 후속 밸브부품(35)(이후 슬리이브로 표시함)과 협동하고 있다.
스풀(33)의 앞끝은 감소된 직경을 가진 부분이며, 스풀(33)과 스티어링 바퀴(도시않음) 사이의 직접 기계 연결을 한 세트의 내부 스플라인(spline)(37)인 것이다.
그 스풀(33)과 슬리이브(35)는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유체계기(17)는 기술적으로 공지의 형인 것이며 주체실시예에서 내부로 이빨이선 링부품(39)을 포함하고 외부로 이빨이선 스타(star) 부품(41)으로 링부품(39)내에 편심되게 배설되어 있고, 그와 관련하여 궤도적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있다.
그 스타부품(41)은 내부 스플라인(B) 세트 구실을 하며 주구동축(47)의 뒤끝에 형성된 외부 스플라인(45) 세트가 함께 스플라인 연결을 하고 있다.
그 구동축(47)은 양 갈래진 앞끝 부분(49)이 있어서 구동핀(51) 수단에 의하여 축(47)과 슬리이브(35) 사이의 구동연결을 하게 한다.
그 핀(51)의 끝은 스풀(33) 구실을 하는 한쌍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된 핀구멍(53)(제6도를 볼것)을 관통하고, 슬리이브(35)내에 비교적 근접 맞춤 구멍안에 닫혀져 있다.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공지인대로 스풀(33)과 슬리이브(35) 구실을 하는 여러가지 통로를 통하여 입구(23)로부터 흐르는 가압 유체는 유체계기(17)를 통하여 흐르고 링(39)내에서 스타(41)의 궤도적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한다.
그러한 스타(41)의 운동은 구동축(47)과 구동핀(51)의 수단으로 슬리이브(35)의 후속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스티어링 바퀴의 회전비에 비례한 스풀(33)과 슬리이브(35) 사이에 특수한 관련 회전변위를 유지하게 한다. 그 스풀과 슬리이브는 관련 중립위치쪽으로 세력붙임되어서 제3,6,7도에서 보여주는 대로 헬리칼(helical) 방식인 제3-5도에서 보여주는 코일(coil) 중심 스프링(55) 수단에 의하여 세력붙임되게 되는데다음에 그것들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1차적으로 제1도를 참조하면 하우징(13)의 밸브보어(31)는 슬리이브(35)를 둘러싼 다수의 고리형 유체실 구실을 하고 여러가지 개구와 슬리이브(35)의 외면 사이의 유체연통을 마련하게 한다.
고리형 실(57)은 입구(23)로부터 가압유체를 받아들이고, 한편 고리형 실(59)이 복귀구(25)로 돌아오는 유체를 연통하게 한다.
더욱이 고리형 실(61)은 제어구(27)로부터의 왕복 연통을 마련하며 한편 고리형 실(63)은 제어구(29)로부터의 왕복연통을 마련하게 된다. 스타(41)의 이빨이선 부분의 상호작용은 링(39)내에서 궤도적으로 회전을 하여 유체용량실(65)의 다양한 팽창, 수축구실을 하며, 인접한 각 용량실(65)과 개구판(15)이 유체구(67) 구실을 하게 한다. 밸브하우징(13)은 다수의 축방향 보어(bores)(69)(단지 그중 하나만이 제1도에 보임) 구실을 하며 각각 유체구(67)의 하나와 공개연통되어 있다.
또한 밸브하우징(13)은 한쌍의 방사형 보어(71L),(71R) 구실을 하여 각 축방향 보이(69)와 밸브보어(31)사이의 연통을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1차로 제2도를 참조하면, 유체 제어기(11)가 스티어링 장치내에서 예시되어 있는데 제어기(11)의 입구(23)는 가압유체를 가압유체원(73)으로부터 받으며 복귀구(25)는 장치 저장기(75)와 유체연통하고 있다. 그 유체원(83)은 원칙적으로 수력 펌프로 되나 용어 "원(source)"은 여기서 용어로서 쓰이며 역시 여러가지 다른 성분들을 구성하는데 예를들어 하중감지 우선 흐름제어밸브나 본 발명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4,043,419호에 설명되고 예시된 형의 펌프합성 같은 것으로 참조하여 여기에 종합되어 있다.
제어구(27),(29)는 스테어링 실린더(77)의 반대쪽끝에 연결되어 있다. 그 제어기(11)가 하중 감지구를 가진 것으로 제1도와 연관하여 개시되지 않았지만 제2도에서의 제어기(11)는 기술적으로 이제는 공지인 방법으로 그 원(73)에 연결된 것으로 하중 감지구(79)가 있게 개략 예시되어 있어서 하중 감지구(79)에서 하중신호의 레벨에 대한 원(73)의 출력을 조절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계속하여 제어기(11)내에서의 여러가지 흐름통로나 오리피스들의 설명과 관련하여, 다시 제2도를 참조한다.
다음에 제3도에서 제5도까지를 1차로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중심 스프링 장치를 설면한다.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공지인 대로 종전의 로우터리 스풀-슬리이브 유체제어기에 있어서 스풀과 슬리이브 사이의 가능한 관련회전변위는 하여간 약 10도에서 약 19도이다.
그러한 제한된 관계변위에 대하여는 스풀과 슬리이브내의 직경적으로 반대되는 개구를 통하여 뻗은 다수의 평판 스프링부품을 구성하고 있는 중심스프링 장치를 마련하는 것으로 충분한 것이였다.
그러한 장치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3,819,307호에서 개시되고, 예시되어 있으며 참조하여 여기에 종합되어 있다.
스풀(33)과 슬리이브(35) 사이의 관계 회전변위가 실질적으로 선행기술에서 전형적으로 발생한 것보다 더 크다는 사실이 본 발명의 하나의 중요한 개념인 것이다.
따라서 중심 스프링 장치는 선행기술에서의 공지인 것에서 실질적으로 상이한 것이 요구되게 된다.
제3도에 제5도까지를 참조하면 슬리이브(35)는 제1도에서 우측끝쪽 즉 슬리이브(35)의 뒤쪽끝에 인접한 일반적으로 V자형 단면을 한 고리형 홈(81)을 구실을 한다.
그 홈(81)에 인접하여 스풀(33)이 일반적으로 직각형 단면을 한 리세스(recess)(83) 구실을 한다.
홈(81)과 리세스(83)에 앞서 설명한 헬리칼 코일 중심 스프링(55)이 배설되어 있다.
제3도와 제5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대로 우드러프(wood ruff) 키이(85)가 슬리이브(35)의 끝에 있는 슬럿(slot)에 끼워지고 유사한 우드러프 키이(87)가 스풀(33)의 끝에 있는 슬럿에 끼워진다.
키이(85)(87)는 스프링(55) 같은 스프링에 관하여 이미 일반적으로 공지인 방식으로 스프링(55)에 대한 자리로서 역할을 한다.
그 스프링 장치를 조성하기 위하영 양 키이(85),(87)는 각각 슬리이브(35)와 스풀(33)에 끼워져서 스프링(55)은 슬리이브내의 홈(81)안에 자리잡게 된다.
다음에 스풀(33)은 슬리이브속에 끼워지고 스풀의 뒤쪽끝과 함께 슬리이브의 앞쪽끝(제1도에 좌측끝)에 끼워지게 되어서 제1도에서 보여준 관계위치에 이동되게 된다.
한편 이런것들이 이루어지게 되면 스풀과 슬리이브는 그들의 관련 중립위치(제3도에 도시됨)에 있어야 함으로 키이(87)는 키이(85)와 나란히 되어서 스프링(55)의 끝 사이를 미끄러져서 제3도에서 보여준 위치까지 미끄러져간다.
다음에 제5도를 1차로 참조하면 스티어링 바퀴와 스풀(33)이 시계반대방향 위치(제5도에서 화살표를 보시오)로 회전되게 되면 스프링(55)의 한 끝(55a)은 키이(85)에 항거하여 자리하고 남게 되며, 한편 스프링의 다른 끝(55b)은 키이(87)에 항거하여 자리하고 남게 되며, 그리하여 스프링(55)은 스풀(33)이 제3도에서 보여준 관계 중립위치에서 제5도에서 보여준 그의 완전 변위한 조작 위치까지 회전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압력을 받게 되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이미 그들 기술사항이 알려진 대로 한번 스티어링 바퀴가 풀려지면 중심스프링(55)은 그 변위된데서 스풀(33)을 세력붙임하여 제5도에 보여준 조작위치로 세력붙임되게 하고 그것이 제3도에서 보여준 관련 중립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게 한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55)은 스풀과 슬리이브의 뒤쪽끝 즉 제1도에서의 우측끝쪽에 위치한다.
하여간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제1도나 제3도, 그리고 제5도를 통하여 예시된 이상한 중심 스프링 장치였다는 것이 명백하여야 했고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는 스풀과 슬리이브의 앞쪽끝에 인접한 것같은 즉 구동핀(51)에 인접할 수 있어야만 했다.
다음에 제6도를 참조하면 스풀(33)은 슬리이브(35)에 관련하여 그 중심위치에 있음이 예시되어 있고 구동핀(51)의 반대쪽 끝은 원주방향으로 뻗은 핀 개구(53)에 관계하여 중심위치로 되어 있다.
제6도에 예시된 일반적 장치는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공지의 것이다.
하여간 스풀과 슬리이브(제5도를 보시오) 사이의 비교적 큰 각 변위를 확보하기 위하여는 핀 개구(53)는 그 핀(51)의 각 끝의 어느쪽이건 유사한 각의 량을 확대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스티어링 바퀴나 스풀(33)의 회전이 스풀이나 슬리이브 사이가 일으킨 완전 60도 변위까지 "핀상에" 조작결과가 아님을 제6도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알 수 있는 대로 중심 스프링(55)의 압축 그리고 슬리이브(35)에 관련한 스풀(3)의 회전은 신장된 핀 개구(53)내에서 움직이는 구동핀(51)에 의하여 제한당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5도에서 보여준 위치에서 스풀(33)은 그런 위치이기 때문에 한쌍의 개구끝 벽(53')(제6도를 보시오)은 구동핀(51)과 연결되어 있다. 앞서 말했고, 제5도와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대로 본 발명의 주체실시예는 슬리이브(35)와 관련하여 스풀(33)의 약 60도 회전을 하게 한다.
제7도-밸브 조절
다음에 제7도를 1차로 참조하면서, 스풀(33)과 슬리이브(35)를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밸브 조절 개념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음 설명과 관련하여 많은 개구와 통로들은 일반적으로 중앙 참조 장소 RP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러한 부품들은 각각 참조 장소 RP의 좌측 또는 우측 어느곳에나 위치한 부품을 지칭하도록 L와 R에 따라 부호로서 설명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더욱이 제7도에서의(역시 제8도와 제9도에서도) 부감도는 스풀(33)과 슬리이브(35) 사이의 접촉면을 1차적으로 예시하며 즉 스풀(33)(점선)의 외면(89)(제6도 참조) 구실을 하는 홈과 통로를 예시하며, 슬리이브(35)(실선)의 인접 내부면에서 구실을 하는 개구구멍을 예시하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7도의 부감도는 양 스풀과 슬리이브의 원주방향, 총 360도의 확대를 예시하며 동시에 확대되고 단편적인 제8,9도의 도면으로 스풀과 슬리이브의 원주방향 확대로 180도 이상을 약간만 예시하며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예시를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다시 1차적으로 제7도를 참조하면 스풀(33)은 한쌍의 원주방향 계기홈(91L),(91R) 구실을 하며 그들은 참조평면 RP 언저리에 거의 반대쪽으로 그리고 동등하게 배설되어 있고, 각각(제8도를 참조) 방사형 보어(71L),(71R)와 축방향으로 나란히 되게 배설되어 있다.
그 계기홈(91L)과 유체연통되어 있는 가운데에는 한쌍의 압력통로(93L)가 있고 계기홈(91R)과 유체연통된 안에는 한쌍의 압력통로(93R)가 있다. 또한 계기홈(91L)과 유체연통된 안에는 한쌍의 조작통로(95L)가 있으며 계기홈(91R)과 유체연통된 안에는 한쌍의 조각통로(95R)가 있다.
상기한 스풀(33)의 외면에만 형성된 홈들과 통로들에 추가하여, 그 스풀은 각각 조작통로(95L),(95R)의 끝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배설된 한쌍의 탱크개구(97L),(97R) 구실을 하고 있다.
그 탱크개구(97L),(97R)는 스풀(33)의 내부와 유체연통내인 것임으로 복귀유체는 스풀의 내부를 통과하며 복귀구(25)와 유체연통한 고리형 실(59)로 핀개구(53)를 통하여 방사형으로 외부쪽을 통과한다.
그 슬리이브(35)는 한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 개구(10L) 무리 구실을 하며 한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개구(101R) 무리의 구실을 하고 있다. 모든 압력개구(101L),(101R)들은 고리형 실(57) 수단에 의하여 입구(23)와 계속적 유체연통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대략 참조평면 RP 언저리에 동등하고 반대되게 다수의 계기구(103L)들이 배설되어 있고 다수의 계기구(103R)들이 배설되어 있다.
그 계기구(103L)는 방사형 보어(71L)와의 유체연통을 정류하게 배설되어 있고, 동시에 계기홈(91L)과 연속 유체연통을 하게 되어 있다.
유사하게 계기구(103R)는 방사형 보어(71R)와의 유체연통을 정류하게 배설되어 있고, 한편 계기홈(91R)과 연속 유체연통이 되게 되어 있다.
또한, 대략 동등하고 반대되게 참조평면(RP) 언저리에 배설되어 있고 계기구들 보다도 더욱이 한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작개구(105L) 무리들이 있고, 한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작구(105R)들이 배설되어 있다. 조작구(105L)는 고리형 실(61) 수단에 의하여 제어유체구(27)와 계속적인 유체연통이 되게 배설되어 있으며 한편 조작구(105R)는 고리형 실(63) 수단에 의하여 제어유체구(29)와 계속적 유체연통이 되게 배설되어 있다.
역시 대략 동등하고 반대되게 참조평면 RP 언저리에 배설되어 있고 또한 조작구보다도 더욱이 한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복귀구(107L) 무리라든가 한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복귀구(107R) 무리들이 배설되어 있다.
그 복귀구들(107L),(107R)은 제8도나 제9도에서 예시된 대로 스풀과 슬리이브가 제7도에서 보여준 중립위치에서 조작위치로 변위된때 각각 탱크구(97L),(97R)와 유체연통이 되게 축방향으로 배설되어 있다. 각 압력구(101L) 무리에 인접하여 증폭구(109R)의 무리가 배설되고 각 압력구(101R) 무리에 인접하여 증폭구(109L)의 무리가 배설되어 있다.
증폭구의 기능은 제8도와 제9도를 연관하여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제2도의 오리피스 도표에 돌아가서 관계 설명을 하겠다.
탱크구(97L) 언저리에는 복귀구(107L) 무리의 하나로부터 실린더 댐핑(damping)구(111L) 무리가 반대쪽으로 배설되어 있다.
유사하게 탱크구(97R) 언저리에는 복귀구(107R)의 무리의 하나로부터 실린더 댐핑구(111R)의 무리가 배설되어 있다.
댐핑구(111L),(111R)의 기능은 제8도, 제9도, 그리고 제2도의 오리피스 도표와 연관하여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8도와 제9도-조작위치
다시 제7도를 참조하면 스풀과 슬리이브가 그들의 관계중립위치에 있을때(스티어링 바퀴는 회전않음) 가압유체는 고리형 실(57)에 입구(23)로부터 연통되게 되는데 모든 압력구(101L),(101R)를 통하게 된다. 하여간 스풀과 슬리이브를 중립위치로 하고 압력구를 통하는 흐름은 스풀의 외부면에 의하여 폐쇄되며, 따라서 제7도에서 제9도까지의 예시된 밸브조절장치는 "폐쇄중심(closed center)"이고 그것이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명백하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폐쇄중심 밸브조절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유체제어기(11)의 기본적인 조작이란 그리 설명된 스풀과 슬리이브의 밸브조절로서 상기한 종합된 미국특허의 교시의 관점에서 이미 명백해져야 했다.
하여간 제어기의 조작이나 밸브조절은 제7도에서 제9도까지와 제2도의 오리피스 도표에 대하여 예시된 구조에 일부 관련하여 간단하게 설명된다.
앞서 유의하였던대로 제어기(11)는 본 발명의 근본적인 특성은 아니며, 제7도에서 제9도까지에 관련하여 예시되거나,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제2도의 하중 감지구(79)에 대한 하중신호를 통신할 수 있는 스풀과 슬리이브에 의한 특수 구조라 하더라도 하중 감지를 하는 것으로 제2도의 오리피스 도표에 예시되어 있다. 스티어링 바퀴가 특수한 회전속도로 회전될때는 스풀(33)은 변위되고, 슬리이브(35)에 관련되며 스티어링 바퀴의 회전속도에 일치하는 특수회전변위가 된다. 그럼으로, 스티어링 바퀴의 연속회전으로 유체계기(17)를 통하는 흐름이 후속하는 슬리이브(35)의 운동결과를 가져와서 특수한 회전변위를 지속하게 하는 것이다. 제8도는 슬리이브(35)에 관련하여 변위되고 있는 스풀(33)을 예시하는데 우회전 상태에 일치하는 방법인 것이다. 제8도에 보여준대로의 변위된 스풀(33)로서 가압유체는 고리형 실(57)로부터 2개의 압력구(101R) 무리를 통하고, 압력통로(93R)로 흘러가며, 주가변 흐름제어 오리피스 A1(제2도를 참조)을 중첩하여 구성하는 겹쳐진 곳으로 흘러간다.
이러한 가압유체는 계기홈(91R)으로 흘러가서 계기구(103R)를 통하고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공지인 방법으로 방사형 보어(71R)와의 유체연통을 정류하는 연결을 하게 되어 있다. 그 가압유체(이러한 지점에서 "비계량(unmetered)"으로 생각됨)는 그리하여 유체계기(17)(이제는 "계량(metered)" 유체)를 통하여 흐르고 계기구(103L)와의 유체연통을 정류하게 연결한 방사형 보어(71L)를 통하여 흐른다.
이러한 계량된 유체는 계기홈(91L)에 들어가고 조작통로(95L)로 흘러간다. 주가변 흐름 제어 오리피스(A1)를 통하여 흐르는 그리고 유체계기(17)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는 주유체통로(113)를 구성한다.
동시에 가압유체는 고리형 실(57)을 통하여 흘러 증폭구(109L)를 통하고 그들이 가변증폭 오리피스 Aga(제2도를 보시오)를 중첩하여 구성하는 중복된 곳으로 흐른다.
이러한 "증폭" 유체는 조작통로(95L)로 흐르는 앞서 말한 계량된 유체흐름과 합성된다. 더 한층의 설명을 위하여 배경, 목적, 구조에 관하여는 그리고 증폭 오리피스 Aga의 기능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4,759,182호를 보기 바라며 그들은 참조하여 여기에 종합되어 있다.
"계량된" 그리고 "증폭" 유체의 합성된 것은 조작통로(95L)로부터 조작구(105L)를 통하여 흐르고 그들이 가변 흐름제어 오리피스 A4(제2도를 보시오)를 중첩하여 구성하는 증폭된 곳으로 흐른다.
A4오리피스를 통한 흐름은 고리형 실(61)로 들어가서 제어구(27)(제어구 27,29의 관계 위치는 제1도의 단면도와 비교할때 제2도의 오리피스 도표와 반대되게 나타남을 주의할 것)로 흐른다. 개구(27)로부터의 유체는 스테어링 실린더(77)로 흘러서 제어구(29)로 복귀하고 고리형 실(63)로 흐르는 스테어링 실린더(77)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가지고 차량의 우회전 효력을 내게 한다.
그 고리형 실(8)내의 저압인 배출유체는 복귀구(107R)를 통하여 흐르고 탱크구(97R)를 흘러 가변 흐름 제어 오리피스 A5를 중첩하여 구성하는 중복된 곳으로 흐른다.
복귀 유체는 탱크구(97R)를 통하여 스풀(33)의 내부로 흘러서 핀개구(53)를 통하여 나와서 고리형 실(59)로 흘러들어가고 앞서 말한대로 복귀구(25)로 흐른다.
이러한 배출 유체흐름은 주유체통로(115)를 구성한다.
동시에 실린더 댐핑구(111L)는 조작구(105L)와 같이 고리형 실(61)과 유에 연통되어 있고 또한 가변 실린더 댐핑 오리피스 Acd(제4도를 보시오)를 중첩 구성하는 중복된 곳인 탱크구(97L)(제8도에서 도시안됨)의 하나와 유체 연통되어 있다.
그 실린더 댐핑 오리피스 Acd는 차량의 스티어링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내는 고리형 실(61)이나 제어구(27)에서 일어날 수 있었든 압력 맥동을 완화한다.
가일층의 배경, 목적, 구성 그리고 실린더 댐핑 오리피스 Acd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4,781,219호를 보면 되게 여기에 참조하여 종합되어 있다.
제8도에서 스풀(33)은 슬리이브(35)에 관련하여 약 22도의 회전변위가 되어 있음이 예시되어 있는데 가변오리피스 A1,A4,A5의 부분적 개구만이 구성되어 있음을 예시한다.
다음에 제9도를 참조하면, 스풀(33)이 슬리이브(35)에 관련하여 약 60도로 회전 변위되어 있는데 앞서 설명한대로이고 슬리이브와 관련하여 스풀의 최대 변위부분을 구성하며, 역시 여러가지 흐름 제어 오리피스 A1,A4,A5에 대한 최대 흐름의 곳안에 있는 결과를 만든다.
본 발명의 중요한 개념에 따르면 스풀과 슬리이브 사이의 비교적 큰량의 회전변위가 실질적으로 스티어링 장치내의 쿠숀밸브나 축적기 사용없이도 스티어링 조작중 일어나는 횡적급 충동의 량을 감소한다는 것을 것을 알게 되었다.
횡적급충동에서의 감소의 1차적 이유는 차량 운전자가 밸브조정장치를 폐쇄하는데 많은 시간을 사용함에 따라 60도의 변위에서부터 차량이 감속되게 되며 밸브장치가 폐쇄되기전에 그 관성이나 기계적 에너지를 감소시킨다고 믿어지는 것이다.
제11도와 제12-기타 실시예
다음에 제11도와 제1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는데 거기서는 슬리이브내에 뚫리게 되는 구멍의 수가 대단히 감소되어 있다.
제7도에서의 부감도와 관련하여 표시되어 있는대로 제11도는 또한 소풀과 슬리이브 사이의 접측면을 1차적으로 예시하도록 되어 있다.
스풀의 외면구실을 하는 홈들이나 통로들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슬리이브의 인접한 내면구실을 하는 개구구멍들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7도의 경우와 같이 제11도의 부감도는 스풀과 슬리이브 모두의 완전 360도 원주방향 확대를 예시하며 동시에 제12도의 확대되고, 단편적 도시가 스풀과 슬리이브의 원주방향 확대인 180도를 넘어선 약간만을 예시한다. 또 다른 유사성은 기타 실시예가 제3-5도에서 예시된 중심스프링(35)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그러나 그 기타 실시예에서는 스프링(55)이 제1도에서 보여준대로 뒤쪽 끝에 향한다기 보다는 스풀과 슬리이브의 앞쪽 끝에 향하게 배설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11도에서는 우드러프 키이(85)의 위치에 유의하기 바란다. 제11도를 우선 참조하면, 스풀은 한쌍의 원주방향 계기홈(121L),(121R) 구실을 하는데 그들은 참조 평면 RP 언저리에 반대되게 그리고 동등하게 되어있다.
계기홈(121L)과 유체연통된 안에는 한쌍의 압력통로(123L)가 있고 계기홈(121R)과 유체연통된 안에는 한쌍의 압력통로(123R)가 있다. 또한, 계기홈(121L)과 유체연통된 안에는 한쌍의 조작통로(125L)가 있고 계기홈(121R)과 유체연통된 안에는 한쌍의 조작통로(125R)가 있다. 또한 스풀은 한쌍의 탱크부(127L)와 한상의 탱크구(l27R) 구실을 한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탱크구(127L),(127R)는 스풀의 내부와 유체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복귀유체는 스풀의 내부를 통과하고 결국은 복귀구(25)와 연통하게 된다.
슬리이브는 2쌍의 압력부(131L),(131R) 구실을 한다. 압력구에 관하여는 표시 "L"과 "R"이 참조 평면 RP의 반대쪽에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있지 않으나 대신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에서이 당초 연루함을 표시하는데 각각 사용되고 있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든 개구들은 압력구(131L),(131R)를 구성하고 있으며 입구(23)와 계속적인 유체연통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슬리이브는 다수의 계기구(131L)와 계기구(133R) 구실을 하며 각각 계기홈(121L),(121R)과 계속적 유체연통을 하고 있다. 2쌍의 조직구(135L)와 2쌍의 조작구(135R)들이 참조 평면 RP 언저리에 대략 동등하고 반대되게 배설되어 있다.
조작구(135L)는 제어구(27)와 계속적인 유체연통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고, 한편 조작구(135R)는 제어구(29)와 계속적인 연통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슬리이브는 다수의 복귀구(137) 구실을 하는데 그것은 한쌍의 원주형으로 신장한 판개구(129) 수단에 의하여 스풀의 내부와 공개연통이 되어 있는 것이다.
복귀구(137)는 또한 제7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복귀구(25)와 유체연통되어 있다. 예시의 편의를 위하여 제11도와 제12도의 실시예는 흐름 증폭 특성이나 또는 제7도의 실시예내에 포함된 실린더 댐핑특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하여간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에 의하여 제11도와 제12도의 실시예내에 예시된 구조에는 그들 특성의 어느것도, 또는 둘다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1도를 다시 참조하면 스풀은 원주방향통로(141L)구실을 하는데 그것은 압력통로(123L)와 유체연통이 되어있으며 더욱이 압력통로(123R)와 계속적인 유체연통을 한 원주방향통로(141R)를 포함한다. 통로(141L),(141R)의 목적은 다음에 설명한다. 하중신호 배출보어(143L),(143R)가 각각 통로(142L)(141R) 끝에 인접하여 배설되어 있다.
슬리이브는 한쌍의 하중신호통로(145L),(145R) 구실을 하는데 그들은 제11도에는 도시안되어 있으나 대신에 제12도에만 도시되어 있다. 하중신호통로(145L)(145R)는 제11도에는 도시안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제11도에서 도시된 관련 중립위치에서의 스풀과 슬리이브로서는 하중신호통로(145L),(145R)는 각각 하중신호배출보어(143L),(143R)와 나란히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하중신호(145L),(145R)는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공지인 방법으로 슬리이브나 하우징 구실을 하는, 하중 신호홈(도시않음)과 바람직하게도 연통되어 있다.
그하중 신호홈은 제2도에서 개략적으로 보여준 하중감지개구(79)와 연통되어 있다. 스테어링 바퀴가 회전되게 되면 스풀은 앞서 말한대로 슬리이브와 관련하여 변위되며 다음 제12도에 표시하겠지만 우회전 상태에 일치하는 슬리이브와 관련하여 변위되어 있는 스풀로서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는 것이다.
제12도에는 스풀과 슬리이브가 최대변위위치에 일치하게 약 60도 관련변위 또는 회전되어 있다.
다음 밸브장치조작의 설명과 관련하여 스풀과 슬리이브의 관련 변위의 기능대로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 A1,A4,A5의 흐름의 곳을 예시하는 제13도에 대하여 동시에 참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회전 상태에 대하여 압력통로(123L)는 약 5도와 관련변위 후 압력구(131R)의 더욱 작은 연통을 시작하여 A1오리피스를 형성하는 곳이다. 거의 동시에 조작통로(125R)가 조작구(135R)의 더욱 작은 연통을 시작하여 A4오리피스를 형성하게 된다.
A4오리피스를 통하여 흐르는 가압되고, 계량된 유체는 스티어링 실린더에 흘러가서 실린더로 부터 복귀하며 조작구(135L)를 통하여 흘러서 탱크구(127L)와 연통을 시작하였던 것으로 A5오리피스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스풀과 슬리이브의 관련 변위가 증대함에 따라 A1,A4,A5오리피스의 흐름면적은 증가(제7도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를 계속한다. 스풀과 슬리이브가 그들의 관련 중립위치로부터 회전됨에 따라 하중신호배출보어(143L),(143R) 사이의 유체 연통은 각각 중단되게 되고 우회전 상태를 위하여 하중신호통로(145R)는 원주방향통로(14R)와 연통을 시작하고 따라서 기술적으로 이제는 공지인 방법으로 하중감지구(79)에게 A1오리피스의 압력신호 하류가 연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제12도를 참조하면 스풀과 슬리이브의 관련변위가 대략 60도에 달했을때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과 슬리이브의 최대관련변위이지만 그때 A1,A4,A5오리피스는 다시 제7도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그들 최대 흐름 면적에 달하게 되었다.
다음에 제14도를 참조하게 되면 본 발명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인 제어기의 비교가 예시되어 있다.
제14도는 관철형 차량에서 차량운전자의 위치에서 횡적저어크(급충동)가 측정된 것으로 시간의 함수에 따른 횡저어크(초당 g's)의 도표이다.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일반적으로 공지인 것으로서 "횡저어크"는 가속의 변화(제1파생)비인 것이다. 제14도의 도포는 제1도에서 도시된 형의 제어기의 산수적 모델에 기본한 컴퓨터 발생도포인 것이다.
"선행기술"이라고 표시된 도표에서 제어기는 스풀과 슬리이브가 대략 19도의 최대변위를 한"orb 25" 표하의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하여 상거래적으로 팔린 제어기에서 나타난 형의 밸브장치로 시설되어 있는 것이다. "발명"이란 표시의 도포에서 밸브장치는 상기한 제11도와 제12도에서 예시된 윤곽의 것이다.
쿠숀이나 축적기의 어느것이건 간에 포함한 장치의 경우도 아니고 산수적 모델로서 스풀이나 슬리이브의 밸브조절 고려나 최대변위에 있어서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그 자치나 제어기는 동일한 것이다. 제14도에서의 도표의 종좌표는 중앙영역 "만족" 표지, 상하, 한쌍의 "불만"표지영역으로 세분되어 있다.
이러한 표지 "만족", "불만"은 경험에 의하여 발견된 횡저어크의 레벨을 표시하며 차량 생산지나 고객들에게 만족 또는 불만 어느것이건 되도록 된 것이다.
제14도에서 알수 있는 대로 "선행기술"의 도표에 대하여는 "발명"의 도표에 대한 것보다 "불만" 영역으로의 더욱 많은 행정(excursions)이 있는 것이다. 제7도에서 제9도까지의 실시예에서는 각 5개 또는 6개의 개개개구들로 조성된 개구들의 무리들과, 동시에 제11도와 제12도의 실시예에서의 각 개구들의 무리들이 2개의 개객의 출입구들을 조성하고 있다.
각 개구들을 구성하는 특별한 수의 개구들은 본 발명의 근본적 특성은 아닌 것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알아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스풀의 표면에 있는 여러가지 슬럿(slots)이나 통로를 그려내게 하여 스풀과 슬리이브의 더욱 넓은 각 변위를 넘어서 연통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말한 개시에서 대단히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고, 본 발명의 여러가지 기타 사항이나, 수정들이 그 개시를 읽고 이해함으로서 기술적으로 그들 기술사항이 명백해지며 그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내에 들어 있는 한 본 발명의 일부로서 모든 기타사항과 수정사항들이 포함되게 된다는 것을 믿어쥐 바란다.

Claims (27)

  1. 가압유체의 원(source)(73)에서 부터 유체압력 조작장치(77)까지의 유흐름을 제어하도록 조작 가능한 제어기(11)로서 ; 상기한 제어기는 가압유체원에 연결된 입구(23) 구실을 하는 하우징수단 (13)을 포함하는 형으로 되어 있으며 저장기(75)에 연결된 복귀구(25)와 유체압력 조작장치에 연결된 제1(27), 제2(29) 제어유체구가 있고 ; 일차적으로 회전 밸브부품(33)을 구성하고 있어 관련 회전 후속밸브부품(35)과 협동하여 상기한 1차 ; 후속밸브부품들을 상기한 후속밸브부품에 관련하여 1차 밸브부품이 중립위치에서 회전 변위가 된 가운데 중립위치(제7도,제11도)와 제1조작위치(제9도,제12도) 구실을 하고 있으며 ;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이 제1유체통로(93R, 123L)구실을 하고 상기한 후속밸브부품이 상기한 입구(23)와 계속적인 제1유체구 수단(101R,131R)구실을 하고 있으며 ; 상기한 제1유출구 수단은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중립위치(제7도,제11도)에 있을때 제1유체통로(93R,123L)와 유체연통하는 것을 폐쇄되게 하고 있고 ; 상기한 제1유체구수단(101R,131R)은 제1유체통로(93R,123L)와 유체연통되어 있어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상기한 제1조작위치(제9도,제12도)에 있을때 제1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 구실을 하게 하며 ; 상기한 하우징수단(13)과 밸브부품들이 협동하여 상기한 밸브 부품들이 제1조작 위치에 있을때 입구(23)로부터 제1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를 통하여 제1제어유체구(27)까지 유체연통을 마련하는 제1주 유체연통(113) 구실을 하게 되어 있어 ; 다음 특징을 하고 있는데 ; (가) 상기한 제1유체통로(93R,123L)가 상기한 1차밸브부품의 외부 원통면(89) 구실을 하는 축방향으로된 통로를 구성하며 ; (나) 상기한 제1유체구 수단(101R,131R)이 조작가능한 원주방향으로 확대한 개구수단을 구성하여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에 관현하여 상기한 1차 밸브부품(33)이 회전함에 따라 입구(3)와 상기한 제1유체통로(93R,123L) 사이에 계속적인 유체연통을 마련하게 하고, 상기한 중립위치로부터 제1조작 위치로 가서 최소한 약 45도로 확대한 1차 밸브부품의 관련회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련 회전이 최소한 약 60도로 확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유체구 수단(101R)이 최소한 후속밸브부품(35)의 약 45도 이상 확대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 난 개구들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유체구 수단(101R,131R)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 60도 이상 확대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나 개구를 구성하고 상기한 개구들은 그러한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제1가변 흐름 제어 오리피스(Al)의 흐름면적은 상기한 밸브부품이 중립위치(제7도,제11도)에서 제1조작위치(제9도,제12도)까지 변위됨에 따라 점차로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밸브부품들(33,35)이 상기한 제1조작 위치(제9도,제12도)에 있을때 제1주유체통로(113)를 통한 유체흐름의 량이 비례하여 후속밸브부품(35)에 대하여 후속운동을 나누어 주게 된 유체작동수단(17)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체작동슈던이 제1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의 하류인 제1주유체통로(113)안에 일련의 흐름 관계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1차 밸브부품(33)이 제2유체통로(95L,125R) 구실을 하고 있고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이 상기한 제1제어유체구(27)와 계속적인 유체연통을 한 제2유체구 수단(105L,135R) 구실을 하고 있으며 ; 상기한 제2유체구 수단은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중립위치(제7도,제11도)에 있을때 제2유체통로와 유체연통하는 것으로부터 폐쇄되어 있으며 ; 상기한 제2유체구 수단은 제2유체통로와 유체연통되어 있어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위치(제9도,제12)도에 있을때 제2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4) 구실을 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유체통로(95L,125R)가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의 원통형면(89)인 외부구실을 하는 축 방향으로 된 통로를 구성하고, 제2유체구수단(105L,135R)이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이 회전함에 따라 제2유체통로와 제1제어유체구(27) 사이의 계속적인 유체연통을 마련하도록 조작가능한 원주방향으로 확대된 개구수단을 구성하고, 후속밸브부품에 관련하여 중립위치에서 제1조작 위치까지 회전하고 상기한 관련 회전은 최소한 약 45도이상 확대하는 구성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이 최소한 약 60도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유체구 수단(105L,135R)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 45도 이상 확대하는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 난 개구들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유체구 수단(105L,135R)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 60도이상 확대하는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난 개구들을 구성하고 상기한 개구들은 그런 크기로 되어 있음으로 제2가변 흐름 제어 오리피스(A4)의 흐를 면적은 상기한 밸브부품이 중립위치(제7도,제11도)로부터 제1조작위치(제9도,제12도)까지 변위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게 되어 있는 구성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수단(13)과 밸브부품들(33,35)이 협동하여서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위치(제9도,제12도)에 있을때 상기한 제2제어 유체구(29)로부터 복귀구(25)까지 유체연통을 마련하는 제2주유체통로(115) 구실을 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1차 밸브부품(33)이 제3의 유체통로(97R,127L) 구실을 하며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은 제2유체구(29)와 계속적인 유체연통을 한 제3의 유체구수단(107R,135L) 구실을 하고 있고 ; 상기한 제3의 유체구수단은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중립위치(제7도,제11도)에 있을때 상기한 제3의 유체통로와 유체연통하는 것을 폐쇄하게 되어 있으며 ; 상기한 제3의 유체구수단은 제3의 유체통로와 유체연통이 되어 있어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 위치(제9도,제12도)에 있을때 제3의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5) 구실을 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3의 유체통로(97R,127L)가 상기한 1차 밸브부품구실을 한 보어를 구성하고, 제3의 유체구수단(107R,135L)은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이 회전함에 따라 제2제어유체구(29)와 제3의 유체통로(97R,127L) 사이에 계속적인 유체연통을 마련토록 조작가능한 원주방향으로 확대한 개구수단을 구성하여 후속밸브부품에 관련하고 중립위치로부터 제1조작 위치까지 회전하고 상기한 회전은 최소한 약 45도 이상을 확대하는 구성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련회전이 최소한 약 60도이상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3의 유체구수단(107R,135L)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 45도이상 확대하는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나 개구들을 구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3의 유체구수단(107R,135L)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 60도이상 확대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나 개구들을 구성하며 상기한 개구들은 그러한 크기로 되어 있음으로 제3의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5)의 흐름면적은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중립위치(제7도,제11도)로부터 제1조작위치(제9도,제12도)까지 변위됨에 따라 점차로 증대되는 구성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8. 가압유체의 원(source)(73)으로부터 유체압력 조작장치(77)까지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게 조작가능한 제어기(11)로 ; 상기한 제어기는 가압유체의 원에 연결된 입구(23) 구실을 하는 하우징 수단(13)을 포함하는 형이되어 있으며 ; 저장기(75)에 연결된 복귀구(25)와 유체압력 조작장치에 연결된 제1(27), 제2(29)제어유체구들을 포함하며 ; 상기한 하우징 수단내에는 밸브수단들이 배설되어 있고, 1차적이고 회전가능한 밸브부품(33)과 관련 회전가능 후속밸브부품(35)이 협동하고 있는 구성을 하고 있으며 상기한 1차와 후속밸브부품들은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이 후속밸브부품과 관련하여 제1,제2반대방향으로 중립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변위된 중립위치(제7도,제11도)와 제1,제2조작위치(제7도,제11도) 구실을 하고 있으며 ; 상기한 1차밸브부품은 제1유체통로(93R,123L)과 제2유체통로(3L,123R) 구실을 하고 상기한 후속밸브부품은 제1유체구수단(101R,131R)과 제2유체구수단(101L,131L) 구실을 하고 있어, 상기한 제1,제2유체구 수단 모두가 상기한 입구(23)와 계속적인 유체연통이 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유체구 수단들은 제1유체통로와 유체연통되는 것이 폐쇄되어 있고 제2유체구 수단들은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중립위치(제7도,제11도)에 있을때 제2유체연통이 폐쇄되어 있으며 ; 상기한 제1유체구 수단(101R,131R)들은 제1유체통로(93R,123L)와 유체연통이 되어 있고 ;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위치에 있을때 하나의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 구실을 하게 되어 있고 ; 상기한 제2유체구수단(101L,131L)들은 상기한 제2유체통로(93L,123R)와 유체연통되어 있는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2조작위치에 있을때 또다른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 구실을 하게 되어 있고 ; 상기한 하우징수단(13)과 밸브부푸들은 협동하여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위치에 있을때 제1제어유체구(27)로 입구(23)에서 하나의 흐름제어 오리피스(A1)를 통하여 유체연통을 마련하고 있고 제1주유체통로(113) 구실이 되며, 제2주유체통로(113)는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2의 조작위치에 있을때 또 다른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를 통하여 상기한 입구에서 부터 제2제어유체구(29)로 유체연통을 마련하고 있으며 ; 다음과 같은 특징을 하고 있는데 ; (가) 상기한 제1(93R,123L) 제2(93L,123R) 유체통로가 상기한 1차밸브부품의 외부 연통면(89) 구성을 한 축방향으로된 통로들을 구성하고 ; (나) 상기한 유체구 수단(101R,131R)들은 상기한 1차 밸브부품(33)이 후속밸브부품(35)가 관련하여 중심위치에서 제1조작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한 입구(23)와 제1유체통로(93R,123L) 사이에 계속적인 유체연통을 마련케 되며, 상기한 제2유체구 수단들(101L,131L)은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이 후속밸브부품과 관련하여 상기한 중립위치에서 제2조작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한 입구(23)와 제2유제통로(93L,123R) 사이에 계속적인 유체연통을 마련하게 조작가능한 원주방향으로 확대한 개구수단들을 구성하며 ; 그리고 (다) 상기한 중립위치에서 제1조작위치로의 상기한 1차 밸브부품(33)의 관련회전은 상기한 제1방향으로 최소한 약 45도 확대하고 있으며 중립위치에서 부터 조작위치로 관련회전은 상기한 제2방향으로 최소한 약 45도 확대되어 있는 구성을 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련 회전이 제1방향에서는 최소한 약 60도로 확대되어 있으며 제2방향으로 최소한 약 60도로 확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유체구수단(101R,131R)이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 45도이상 확대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 난 개구들을 구성하며 상기한 제2유체구수단(101L,131L)들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의 최소한 약 45도이상 확대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나 개구들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유체구수단(101R,131R)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 60도이상 확대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 난 제1개구들을 구성하며, 상기한 제2유체구수단(101L,131L)들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의 최소한 약 60도이상 확대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 난 제2개구들을 구성하고, 상기한 제1,제2개구들이 그런 크기임으로 상기한 하나, 또는 기타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의 흐름면적은 상기한 밸브부품이 중립위치에서 제1조작위치와 제2조작위치로 각각 변위됨에 따라 점차로 증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유체작동수단들(17)이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각각 제1,제2조작위치에 있을때 제1,제2주유체 통로(113)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량에 비례하게 후속밸브부품(35)에게 후속운동을 분배하여 주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체작동수단들은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위치에 있을때 하나의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의 하류인 제1주유체통로(113)내에서 일련의 흐름관게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한 밸브 부품들이 제2조작위치에 있을때 또 다른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의 하류인 제2주유체통로(113) 내에서 일련의 흐름관계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4. 가압유체의 원으로 부터 유체압력 조작장치(77)까지의 유체흐름을 제어하도록 조작가능한 제어기로 상기한 제어기는 가압 유체의 원에 연결된 입구(23) 구실을 하는 하우징 수단(13)을 포함하고 있고, 저장기(75)에 연결된 복귀구(25)와 유체압조작장치에 연결된 제1(27),제2(29)제어유체구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1차이고 회전가능한 밸브부품(33)을 구성하고, 협동하여 관련회전가능한 후속밸브부품(35)을 구성하며 상기한 1차이며 후속밸브부품들은 상기한 후속밸브부품들에 관련하여 상기한 중립위치로부터 회전가능하게 변위된 상기한 1차 밸브부품내에서 중립위치(제7도,제11도)와 제1조작위치(제9도,제12도)도 구실을 하고 있으며 ;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 위치(제9도,제12도)에 있을때 상기한 유체작동수단을 통한 유체흐름의 량에 비례하여 후속밸브부품에서 후속운동을 갈라주는 유체작동수단(17)들이 있고 ; 상기한 1차(33)이며 후속밸브(35) 부품들은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제1조작위치에 있을때 제1(A1),제2(A4),제3(A5)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 구실을 하도록 협동하며 ; 상기한 하우징수단과 밸브부품들은 상기한 제1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1)를 통하여 입구(23)로부터 유체연통을 마련하는 제1주유체통로(113,115) 구실을 하게 협동하고 있으며, 상기한 유체작동수단(17)들을 통하여, 제2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4)를 통하여 상기한 제1제어유체구(27)까지 연통하게 하며 제2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A5)를 통하여 상기한 복귀구(25)까지 상기한 제2제어 흐름 개구(29)로부터 연통되게 하고 ; 다음과 같은 특징을 하고 있는데 ; (가) 각 상기한 제1(A1),제2(A4),제3(A5) 가변흐름 제어 오리피스는 상기한 입구(23)와 계속적 유체연통을 하는 원주방향으로 확대한 제1개구수단(101R,131R)의 부분적 구실을 하고 있으며 제2개구수단(105L,135R)은 제1제어유체구(27)와 계속적 유체연통을 그리고 제3개구수단(107R,135L)은 상기한 제2제어유체구(29)와 계속적인 유체연통의 부분구실을 하고 있으며 ; 그리고 (나) 상기한 1차 밸브부품(33)은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의 원통형 면(89) 구실을 한 제1(93R,123L), 제2(95L,125R), 제3(97R,127L), 유체통로구실을 하고 있고, 상기한 제1,제2,제3유체통로는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이 후속밸브부품에 관련하여 중립위치에서 제1조작위치까지 회전함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확대한 제1,제2,제3개구 수단과 유체연통이 되어 있으며 관련회전은 최소한 약 45도로 확대되어 있게 된 특징을 하고 있는 제어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한 1차 밸브부품은 관련회전이 최소한 약 60도로 확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6. 제24항에 있어서, 각 제1(101R,131R), 제2(105L,135R), 그리고 제3(107R,135R) 유체구수단들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45도이상 확대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나 개구들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7. 제24항에 있어서, 각 상이한 제1(101R,131R), 제2(105L,135R), 그리고 제3(107R,135L) 유체구수단들이 상기한 후속밸브부품(35)의 최소한 약 60도이상 확대한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나 개구들을 구성하고 상기한 개구들은 그러한 크기로 되어 있음으로 상기한 제1(A1), 제2(A4) 그리고 제3(A5) 가변 흐름 제어 오리피스들은 점차로 상기한 밸브부품들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조작위치까지 변위됨에 따라 증대하는 구성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KR1019910018655A 1990-10-24 1991-10-23 대편향각 로우터리 변조 스티어링 밸브 KR960015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2,829 1990-10-24
US07/602,829 US5080135A (en) 1990-10-24 1990-10-24 Large deflection angle rotary modulation steering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714B1 true KR960015714B1 (ko) 1996-11-20

Family

ID=2441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655A KR960015714B1 (ko) 1990-10-24 1991-10-23 대편향각 로우터리 변조 스티어링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80135A (ko)
EP (1) EP0482440B1 (ko)
JP (1) JP2574713B2 (ko)
KR (1) KR960015714B1 (ko)
DE (1) DE69117862T2 (ko)
DK (1) DK048244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577A (en) * 1990-04-23 1992-11-10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ler having rotary/axial valving, and spring arrangement therefor
US5186211A (en) * 1991-05-20 1993-02-16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led having variable ancillary control functions
US5329969A (en) 1991-05-20 1994-07-19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ler with joystick capability and actuator therefor
US5634495A (en) * 1996-01-18 1997-06-03 Eaton Corporation Wide angle controller with dual function check valves
US5732789A (en) * 1996-06-24 1998-03-31 Eaton Corporation Articulated vehicle steering with bogie feedback
DE19963344C1 (de) * 1999-12-27 2001-09-20 Sauer Danfoss Nordborg As Nord Verfahren zum Lenken eines Fahrzeugs
US6318078B1 (en) 2000-05-12 2001-11-20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ler and fluid meter bypass arrangement
US7283900B1 (en) * 2006-03-14 2007-10-16 Deere & Company Work vehicle steering system with flow-metering curve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7913800B2 (en) * 2006-10-30 2011-03-29 Deere & Company Steering system with variable flow rate amplification ratio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4215A (en) * 1958-11-25 1961-05-16 Controller for fluid pressure operated devices
US3819307A (en) * 1972-10-24 1974-06-25 Eaton Corp Stability means for a controller for fluid pressure operated devices
US4212229A (en) * 1978-10-25 1980-07-15 Eaton Corporation Controller for fluid pressure operated devices
DE2906183C2 (de) * 1979-02-17 1986-09-1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Hydrostatische Lenk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4232708A (en) * 1979-06-25 1980-11-11 Trw Inc. Fluid controller
JPS6110349A (ja) * 1984-06-26 1986-01-17 Fujitsu Ltd 通信制御方式
US4759182A (en) * 1987-07-24 1988-07-26 Eaton Corporation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US4862690A (en) * 1988-10-06 1989-09-05 Eaton Corporation Steering control unit with both flow amplification and manual steering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2440A1 (en) 1992-04-29
DK0482440T3 (da) 1996-04-01
JPH04271961A (ja) 1992-09-28
DE69117862T2 (de) 1996-10-31
DE69117862D1 (de) 1996-04-18
EP0482440B1 (en) 1996-03-13
JP2574713B2 (ja) 1997-01-22
US5080135A (en) 199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9182A (en)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KR960015714B1 (ko) 대편향각 로우터리 변조 스티어링 밸브
GB1444019A (en) Stability means for a controller for fluid pressure operated de vices
EP0388711B1 (en) Open-center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DE2447544B2 (de) Steuer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Druckmittelzufuhr zu einer hydraulischen Antriebsvorrichtung über einen Richtungssteuerschieber
US4781219A (en) Fluid controller and dampening fluid path
US5638864A (en)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for unequal area cylinder
JP3156188B2 (ja) 流体コントローラ
US4862690A (en) Steering control unit with both flow amplification and manual steering capability
US4558720A (en) Closed-center controller for use with unequal area cylinder
US5186212A (en) Fluid controller having axial modulation
US4033377A (en) Controller for fluid pressure operated devices
JPS58124802A (ja) 流体サ−ボ装置用分配装置
US3939756A (en) Rotary type hydraulic servo-mechanism
US4716815A (en) Fluid-pressure-operated actuators
EP0545113B1 (en) Fluid controller with integral auxiliary valving
US20030196711A1 (en) Power beyond steering unit with bypass
EP0264613B1 (en) Improved fluid controller and dampening fluid path
US3875966A (en) Power assistance control device
CA1059440A (en) Controller for fluid pressure operated devices
US3757886A (en) Power steering mechanism for vehicles
US5634495A (en) Wide angle controller with dual function check valves
JPS6338138Y2 (ko)
EP0854074A2 (en) Power steering control valve with noise reduction
EP0362597A2 (en) Fluid controller with reduced steering wheel prec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