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980B1 -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980B1
KR960013980B1 KR1019910024784A KR910024784A KR960013980B1 KR 960013980 B1 KR960013980 B1 KR 960013980B1 KR 1019910024784 A KR1019910024784 A KR 1019910024784A KR 910024784 A KR910024784 A KR 910024784A KR 960013980 B1 KR960013980 B1 KR 96001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hannel
signal
mode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922A (ko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980B1/ko
Publication of KR93001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제1도는 종래의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제어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블럭도.
제3도는 제1도의 접속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블럭도.
제4도는 제1도의 휴대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의 동작 순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의 동작 순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장치의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₁∼1n : 휴대장치 2₁∼2n : 접속장치
3 : 제어장치 4 : 사설교환기
5 : 가입자 루프 6 :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
31 : 스위치부 32,70,80 : 제어부
33 :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부 34 : 메모리
35,71 : 사용자 인터페이스 42,92 : 듀플렉서
43,93 : 송신부 44,94 : 수신부
45,46,95,96 : 주파수합성기 47,97 : 데이터 변조기
48,98 : 데이터 복조기 49,99 : EEPROM
100,200 : A/D 변환기
본 발명은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채널이 일부채널범위로 집중되어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내무선전화시스템의 통화로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내무선전화시스템은 무선전화기 휴대자가 시스템 구역내의 임의의 장소에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장치와, 무선통신회선을 구성하고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접속장치와, 이들 접속장치와 유선통화 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다수의 가입자 루프를 통해 사설교환기와 연결되어 스위치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구내무선전화시스템의 블럭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의 휴대장치(1₁∼1n)는 무선통신회선을 통해 다수의 접속장치(2₁∼2n)와 연결되고, 각 접속장치는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제어장치(3)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3)는 다수의 가입자루프(5)를 통해 사설교환기(4)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3)의 보다 구체적인 블럭도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는 사설교환기로 연결되는 다수의 가입자루프(5)와 다수의 접속장치로 연결되는 유선통화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부(31)와, 각 접속장치와 데이터 교신을 하기 위한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부(33)와,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시스템제어 및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와, 그룹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 위치정보, 가입자 번호 및 그 밖의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34)와, 전술한 각 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2)를 구비하고 있었다.
제3도에는 하나의 접속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속장치(2₁∼2n)는 하이브리드(81), 데이터 인터페이스(82) 및 고주파 유니트(RF)로 이루어지는데, 각 접속장치(2₁∼2n)에는 다수의 고주파 유니트(RF)가 구비되어 있다.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들은 휴대장치와 무선통신시 데이터와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신부(93) 및 수신부(94)를 갖고 있으며, 이들 송신부 및 수신부는 듀플렉서(92)를 거쳐 안테타(9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93) 및 수신부(94)의 채널은 각각의 주파수 합성기(95,96)로 부터 공급되는 국부발진신호에 의해 설정된다. 접속장치에 구비된 고주파 유니트(RF)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는 휴대장치와 데이터 교신을 위한 데이터 변조기(97) 및 데이터 복조기(98)와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변조기(97)는 송신부(93)와 연결되고 데이터 복조기(98)는 수신부(94)와 연결되어 휴대장치와의 데이터 교신이 이루어진다. 하이브리드(81)는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제어장치(3)와 음성 및 DTMF신호를 교신하고, 송신부(93)의 입력 및 수신부(94)의 출력과 각각 연결되어 휴대장치와의 교신을 하는 경우 음성신호와 DTMF 신호를 입출력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82)는 마찬가지로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장치(3)와 데이터 신호의 전계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A/D 변환기(100)가 수신부(94)와 제어부(80)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EEPROM(99)은 그룹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및 휴대장치 식별코드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제4도에는 하나의 휴대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장치는 전술한 접속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응하는 안테나(41), 듀플렉서(42), 송신부(43), 수신부(44), 2개의 주파수 합성기(45,46), 데이터 변조기(47), 데이터 복조기(48), 제2A/D 변환기(200) 및 제어부(70)를 구비하고 있으며, 송수화기, 키패드, LCD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71)가 송,수신부(43,44) 및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음성 및 DTMF 신호와 데이터를 변복조하여 접속장치와 교신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의 동작은 대략 다음과 같다.
각각의 접속장치와 휴대장치는 대기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의 시그날링신호를 수신하고, 필요시 상태방에게 시그날링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빈 채널을 찾기 위해 접속장치에 구비된 고주파 유니트(RF)와 휴대장치 각각의 제어부(70,80)는 각각의 주파수 합성기(45,46,95,96)를 주어진 각 채널의 주파수로 세팅시키고, 시그날링신호의 유부 및 전계강도크기를 측정하는 채널 스캔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하지 않는 빈 채널의 정보를 각각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스캔동작이 수행되는 도중에 휴대장치는 제어장치로 부터 위치등록을 위한 위치등록신호를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이때, 휴대장치는 수신된 접속장치 식별코드와 저장된 접속장치 식별코드가 다른 경우 제어부(70)는 수신된 접속장치 식별코드와 저장된 접속장치 식별코드와 저장된 접속장치 식별코드가 다른 경우 제어부(70)는 수신된 접속장치 식별코드와 저장된 접속장치 식별코드를 교체하여 저장한 후, 휴대장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청 신호를 접속장치로 송신한다. 그러면, 대기상태에 있던 접속장치들은 수신부(94)를 통해 위치등록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한다. 제어부(80)는 다시 휴대장치 식별코드 및 접속장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위치등록정보를 유선통화회로 및 데이터 네트워크(6)를 통해 제어장치(3)로 전송한다. 대기상태에 있던 제어장치(3)는 위치등록정보를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부(33)에서 받아들여 제어장치의 제어부(32)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32)는 입력된 위치등록정보를 메모리(34)에 저장하므로써 위치등록정보가 갱신된다.
한편,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페이징모드의 동작은 대략 다음과 같다. 외부, 즉 사설교환기(4)로 부터 걸려온 전화는 가입자루프(5)를 거쳐 제어장치의 스위치부(31)에 수신된다. 제어부(32)는 외부로 부터 걸려온 전화에 의해 호출된 가입자 번호에 대응하는 휴대장치 식별코드와 해당 휴대장치의 위치정보를 메모리(34)로 부터 읽어들여 휴대장치 식별코드를 포함한 호출정보를 접속장치로 전송한다. 이 호출정보를 메모리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송신부(93)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한다. 대기상태에 있던 휴대장치는 수신부(44)를 통해 호출신호를 수신한 후, 송신부(43)를 통해 호출응답신호를 접속장치로 송신한다.
호출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접속장치는 휴대장치가 호출에 응답했음을 알리는 호출응답신호를 제어장치(3)로 다시 전송한다. 이때, 휴대장치의 제어부(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1)이 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호출을을 출력하므로써 사용자에게 호출이 있음을 알린다. 호출음이 울릴 때 사용자가 휴대장치의 후크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오프후크하면 오프후크신호가 휴대장치의 송신부(43)와 접속장치를 통해 제어장치(3)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접속장치와 제어장치에 통화로가 설정되므로써 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휴대장치(1₁∼1n)가 호출신호를 발신하는 호출모드의 경우는 대략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휴대장치의 후크스위치를 오프후크하면, 제어부(70)는 주파수합성기(45,46)를 이용하여 사용하지 않고 있는 임의의 빈채널을 선택한 후, 이 선택된 채널을 통해 휴대장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호출신호를 송신부(43)를 거쳐 송신한다. 그러면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에서는 수신부(94)를 통해 수신된 호출신호를 제어부(8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호출응답신호를 송신부(93)를 통해 휴대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80)는 호출신호를 발송한 휴대장치 식별코드가 포함된 호출신호를 제어장치(3)로 전송한다. 호출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3)는 호출한 휴대장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입자번호를 메모리(34)로 전송한다. 호출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3)는 호출한 휴대장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입자번호를 메모리(34)로 부터 확인하고, 가입자번호에 해당되는 가입자 루프가 호출신호를 전송한 접속장치와 연결되도록 스위치부(31)를 통해 유선통화회로(6)와 가입자 루프(5)를 연결하므로써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71)의 수화기를 통해 사설교환기(4)로 부터의 발신음, 즉 다이알 톤을 수신하게 되고, 이어서 사용자가 다이얼링 작동을 실시하면 이 다이알신호는 접속장치 및 제어장치를 경유하여 서설교환기로 입력된다. 이후, 휴대장치는 사설교환기(4)로부터 통화중음 또는 호출음을 수신하게 되는데, 호출음을 수신하게 되면 호출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가입자의 오프후크작동에 의해 통화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 부토의 페이징신호 또는 휴대장치가 발신되는 호출신호에 의해 접속장치(2₁∼2n), 제어장치(3) 및 사설교환기(4)간에 통화로가 설정된 후 동일한 접속장치에서 제2, 제3의 휴대장치가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접속장치는 사용중이 아닌 모든 채널이 빈채널로 각 접속장치의 메모리와 각 휴대장치의 메모리에 기록된다. 따라서, 하나의 무선통신회선이 설정된 후 제2, 제3등 다수의 휴대장치가 통신을 개시할 때 현재 통화중인 무선통신회선 채널에 인접하여 다수의 통신회선이 집중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써 각 휴대장치들의 통화채널간에 상호간섭이 발생하여 통화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일한 접속장치에서 다수의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인접된 통화채널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통화 품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의 통화로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들에게 소정의 채널영역을 할당하여 빈 채널을 스캐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가 빈 채널을 스캐닝하는 중 휴대장치에 대한 호출이 발생되는 경우 호출이 소정 채널영역의 고유 통화 채널 모드에 속하는 채널을 통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호출이 상기 고유 통화 채널 모드에 속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고유 통화 채널 모드로 변경하여 고유 통화 채널 모드에 속하는 빈 채널을 통해 통화를 진행시키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은 전술한 바와같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종래의 구내무선 전화시스템의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제5도 내지 제7도에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 접속장치 및 휴대장치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은 동일한 접속장치에서 다수의 통화가 이루어질 때 통화가 일부 범위의 채널로 집중되어서 발생되는 상호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화채널 할당모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통화채널할당모드가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접속장치(2₁∼2n)의 각 고주파 유니트(RF)에 소정 채널영역이 통화채널모드를 할당하여 통화채널을 설정한다. 아래의 표 1은 각 접속장치(2₁∼2n)에 4개의 고주파 유니트(RF)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설정되는 통화채널할당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6도는 및 제7도에 나타나 있는 접속장치 및 휴대장치의 동작 순서도에서 각 접속장치와 휴대장치의 빈채널 스캔동작은 다음과 같다.
각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와 휴대장치는 각각의 주파수합성기(45,46,95,96)로 첫 번째 채널을 세팅시키고(단계 203,301), 주파수 안정이 이루어진 후(단계 204,302),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 강도세기를 각각의 A/D 변환기(100,200)로 측정하여(단계 205,303), 전계강도가 기준치보다 작으면 빈채널로 등록하고(단계 206,305), 전계강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동기신호가 검출되는가를 판단하여(단계 211,304),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다음 채널로 스캔모드를 이동하고(단계 207,306),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각각 호출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단계 212,307), 호출신호가 발생되면 모드 내 빈 채널로 호출신호를 송신하고(단계 223,314), 호출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다음 채널을 스캔한다. 이와 같은 채널스캔동작을 휴대장치 및 접속장치는 반복해서 수행한다.
각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전술한 채널스캔과정에서 선택된 채널이 마지막 채널인가를 판단한다(단계 208). 마지막 채널이면 할당된 채널모드 내에 사용 채널이 있는가를 확인하여(단계 209), 사용 채널이 없는 경우에 고유 통화채널 모드가 아니면(단계 235), 제어장치(3)로 통화채널모드 변경 요청을 한 후(단계 210) 일정시간 기다린다. 통화채널모드 변경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3)는 표 1의 통화채널할당모드에 따라 새로운 통화채널을 송신한다(단계 102). 새로운 통화채널을 수신한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통화채널 모드를 변경한다(단계 202). 앞에서 할당된 채널모드 내에 사용 채널이 있으면 변경채널 모드인가를 판단하여(단계 228), 변경채널모드 이면 고유통화채널모드로 변경하고(단계 229) 전술한 첫 번째 채널선택단계(단계 203)로 진행되고, 채널모드가 고유통화채널모드이면 고유 통화채널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단계 229)를 거치지 않고 첫 번째 채널선택단계(단계 203)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접속장치와 휴대장치는 채널모드 할당과 빈채널을 스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반복하게 된다.
이번에는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호출신호일 때 통화채널 할당모드는 다음과 같다. 사설교환기(4)로 부터 걸려온 판단하여(단계 103), 해당 접속장치로 호출신호를 송신한다(단계 104). 그러면,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채널할당모드내의 빈채널로 호출신호를 송신하고(단계 223), 이를 수신한 휴대장치는 외부로부터의 호출신호 인가를 판단하여(단계 308), 외부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아니면, 다음 채널 스캔모드로 넘어가고(단계 310), 외부로 부터의 호출신호 이면 사용자인터페이스(71)를 통해 호출음을 발생시켜(단계 309)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때,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오프후크 하지 않으면(단계 312), 전술한 외부로 부터의 호출신호 판단 단계(단계 308)로 진행하고, 사용자가 오프후크를 하게 되면(단계 311) 통화채널모드의 채널로 통화가 이루어 진다(단계 313).
한편, 휴대장치가 발신하는 경우에서의 통화채널관리는 다음과 같다. 휴대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1)내의 오프후크키를 누르므로써 호출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그러면,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빈 채널로 호출신호를 송신(단계 314)하게 되고, 이때 채널스캔을 하던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이 호출신호를 수신한다.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수신된 호출신호가 휴대장치가 발신하는 호출신호인가를 판단하여(단계 213), 휴대장치가 발신하는 호출신호가 아니면 다음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단계 207)로 이동하고, 휴대장치가 발신하는 호출신호이면 호출에 대한 호출응답신호를 휴대장치로 송신하고(단계 214), 제어장치(3)로 휴대장치의 호출신호를 송신한다(단계 215).
그러면, 제어장치(3)는 휴대장치가 발신하는 호출신호인가를 판단하여(단계 105), 호출신호를 가입자 루프를 통해 사설교환기에 송신하고(단계 106), 교환기로 부터의 통화중음 또는 호출음을 수신하여 해당 접속장치로 송신한다.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수신된 신호를 휴대장치로 송신하므로써 사용자 휴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71)내의 수화기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이때, 호출된 가입자 오프후크를 하면 제어장치(3)는 이를 수신하여 단계(107), 해당 접속장치로 송신한다. 이를 수신한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호출된 가입자의 오프후크신호인가를 판단하여(단계 216), 오프후크신호이면 통화채널할당모드내에 상태로 들어가고(단계 227), 통화채널이 할당모드 내이면 오프후크신호를 송신하여(단계 226) 통화상태로 들어가고(단계 227), 통화채널이 할당모드 밖이며 현재 사용중인 채널을 통해 할당모드내의 빈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채널절환신호를 휴대장치로 송신한다(단계 219). 휴대장치는 채널절환신호인가를 판단하여(단계 317), 채널절환에 대한 응답신호를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로 송신하며(단계 318), 이어서 채널절환단계(단계 319)로 들어간다. 접속장치이 고주파 유니트(RF)는 채널절환신호에 대한 휴대장치의 응답신호 인가를 판단하여(단계 220), 응답신호이면 채널절환을 실행하고(단계 222), 오프후크신호를 휴대장치로 송신하여(단계 226) 통화모드로 들어간다. 한편, 휴대장치의 호출에 의해 호출된 호출된 가입자의 오프후크신호가 휴대장치로 수신되지 않으면(단계 320), 휴대장치의 온 후크 신호인가를 판단하여(단계 321), 휴대장치가 온 후크이면 휴대장치의 온후크신호를 접속장치로 송신하고(단계 323), 다음 채널선택단계(단계 306)로 이동한다. 그러면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RF)는 수신된 신호가 휴대장치의 온 후크신호인가를 판단하여(단계 217), 휴대장치의 온 후크신호를 제어장치(3)로 송신하고(단계 228), 다음 채널을 스캔하는 단계(단계 207)로 이동한다. 제어장치(3)는 접속장치로부터의 온 후크 신호를 수신하여(단계 109) 사설교환기(4)로 송신하므로써 통화채널이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은 동일한 접속장치에서 다수의 휴대장치와 다수의 통화가 이루어질 때 할당된 고유통화채널모드 내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므로 통화채널이 일부 통화채널범위로 집중되어 상호 채널 간섭 함에 기인하여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구내 무선 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들에게 소정의 채널영역을 할당하여 빈 채널을 스캐닝 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접속장치의 고주파 유니트가 빈 채널을 스캐닝 하는 중에 휴대장치에 대한 호출이 발생되는 경우 호출이 소정 채널영역의 고유 통화 채널 모드에 속하는 채널을 통해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호출이 상기 고유 통화 채널 모드에 속하는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통화를 진행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호출이 상기 고유 통화 채널 모드에 속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고유 통화 채널 모드로 변경하여 고유 통화 채널 모드에 속하는 빈 채널을 통해 통화를 진행시키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방법.
KR1019910024784A 1991-12-28 1991-12-28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KR96001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784A KR960013980B1 (ko) 1991-12-28 1991-12-28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784A KR960013980B1 (ko) 1991-12-28 1991-12-28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922A KR930015922A (ko) 1993-07-24
KR960013980B1 true KR960013980B1 (ko) 1996-10-10

Family

ID=1932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784A KR960013980B1 (ko) 1991-12-28 1991-12-28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993B1 (ko) * 1994-10-13 2002-09-1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이동무선결합기에있어서채널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922A (ko) 199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052A (en) Base storage of handset's base registrations
US4955050A (en) System configuration of wireless PBX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US6205338B1 (en) Inter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ortable units in TDMA cordless telephone system
KR960013980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로 형성 방법
US6208868B1 (en) Expanded communication method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0162828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선택적 이동국 호출방법 및 그 장치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AU727365B2 (en)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KR970011432B1 (ko)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방법
EP0932968B1 (en)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KR100464488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내선 직접 호출 방법
KR100389833B1 (ko) 디지탈 무선 전화기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 제어 방법
KR100194456B1 (ko) 하나의 가입자선로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선택 호출방법
JP277799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1998020662A9 (en)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KR100299029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 접속방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EP0897237A2 (en) TDM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19990020322A (ko) 무선팩시밀리에서 선택적으로 특정휴대장치를 호출하는 장치및 방법
KR970008774A (ko)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KR960004811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 채널 스캔 방법
KR100207973B1 (ko) 코드없는 전화 시스템
KR100591892B1 (ko) 부가 번호를 서비스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47389B1 (ko) 더블유엘엘 단말기시스템의 스페셜메시지 송출방법
KR10020827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국설/센트릭스/사설 수용에 따른 호 처리 타이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6201001242;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