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974B1 - Select call receiver - Google Patents

Select call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974B1
KR960012974B1 KR1019940702173A KR19940072173A KR960012974B1 KR 960012974 B1 KR960012974 B1 KR 960012974B1 KR 1019940702173 A KR1019940702173 A KR 1019940702173A KR 19940072173 A KR19940072173 A KR 19940072173A KR 960012974 B1 KR960012974 B1 KR 96001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lody
setting
calling
se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께오 나까자와
하루히꼬 사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또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또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7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없음none

Description

선택호출수신장치Selective Call Receiver

근래, 통신수단으로서 선택호출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선택호출수신장치는, 호출상대방으로부터의 무선통신망을 통한 호출을 수신하여, 그 자기장치로의 호출을, 단속음 등의 특수음, 멜로디,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전화번호나 문자의 화면표시의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휴대자에게 보지하고 있다.Recently, a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has been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receives a cal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call partner, and makes a call to the magnetic apparatus by using a special sound such as an intermittent sound, a melody, a vibration of the vibrator, a phone number or a character screen display, or The combination of these is held by the mobile phone.

제1도는, 종래의 선택호출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공중무선전화회선망 등에 접속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저파를, 안테나(1)로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를 수신회로(2)로, 예를 들면,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한다. 그 후에 복조회로(3)에 복조된 선택호출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이 선택호출신호가 대조회로(4)내의 데코더회로(1)에 입력된다. 이 선택호출신호는, 당해 장치에 부여된 개별번호부와, 메시지부호를 포함한 BCH부호 및 패리티비트로 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In FIG. 1, transmission low frequency from a base station connected to a public wireless telephone network or the like is received by the antenna 1, and the received signal is converted into a reception circuit 2, for example,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Thereafter, the demodulation circuit 3 outputs the demodulated select call signal. This selection call signal is input to the decoder circuit 1 in the matching circuit 4. The selective calling signal is composed of an individual number assigned to the apparatus, a BCH code and a parity bit including a message code.

데코더회로(21)에서는, 선택호출신호의 개별번호부호를 개별번호로 변환하고, 또, 메시지부호를 메시지로 변환한다. 이 변환된 개별번호를 어드레스격납회로(22) 격납하고, 또, 메시지를 메시지격납회로(23) 격납한다. 비교회로(24)는 어드레스격납회로(22)에 격납된 개별번호와 기억회로(5)에 사전에 격납되어 있는 당해 장치의 개별번호를 비교하여, 일치된 경우에 자기장치에의 호출이 행해진 것을 나타낸 신호를 제어회로(12)에 출력한다. 이 신호에 의해서, 제어회로(12)는 메시지격납회로(23)에 격납한 메시지를 독출하여, LCD 구동회로(6)를 통하여 LCD(7)에 송출하고, 그 메시지, 예를 들면, 연락상대방의 전화번호, 코멘트 등의 문자를 화면 표시한다. 이 문자의 화면표시와 동시에, 제어회로(12)는, 멜로디발생회로(13) 또는 톤발생회로(14)를 제어한다. 이 제어로 멜로디발생회로(13)가 발생하는 멜로디 또는 톤발생회로(14)가 발생하는 단속음 등의 특수음을 음신호생성회로(8)에 송출하여, 스피커(9)에서 음을 출력하고 있다. 또, 제어회로(12)는 음신호생성회로(8)를 제어하여, 바이브레이터(11)를 동작시키고, 당해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진동이 발생한다.The decoder circuit 21 converts the individual number code of the selection call signal into an individual number and converts the message code into a message. The converted individual number is stored in the address storing circuit 22 and the message storing circuit 23 is stored. The comparison circuit 24 compares the individual number stored in the address storage circuit 22 with the individual number of the devic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circuit 5, and indicates that a call to the magnetic device has been made when there is a match. The indicated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12. By this signal, the control circuit 12 reads out the message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circuit 23, sends it to the LCD 7 via the LCD drive circuit 6, and the message, for example, the contact party. Displays the phone number, comment, and other characters on the screen. Simultaneously with the screen display of this character, the control circuit 12 controls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or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By this control, a special sound such as a melody generated by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or an intermittent sound generated by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is sent to the sound signal generating circuit 8 and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9. .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12 controls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to operate the vibrator 11, and vibration is generated in part or all of the apparatus.

이들의 LCD(7)에서의 화면표시,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의 멜로디, 톤발생회로(14)에서의 특수음, 바이브레이터(11)에서의 진동의 호출종별은, 사전에 당해 장치의 휴대자가 스위치(15)를 조작하여, 그 하나 또는 조합을 선택하고, 또, 이 선택을 제어회로(12)에 설정하고, 이 설정에 의한 휴대자으로의 호출이 행하여진다.The screen display on the LCD 7, the melody in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the special sound in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and the call type of the vibration in the vibrator 11 are carried out beforehand by the portable device of the apparatus. The self-switch 15 is operated to select on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is selection is set in the control circuit 12, and a call to the mobile user by this setting is made.

이러한 종래의 선택호출수신장치에서는 휴대자가 당해 장치에서의 호출종별을 선택하여 절환할 수 있지만, 호출을 행하는 호출측에서는, 그 호출상대방의 선택호출수신장치에서의 호출종별을 선택해서 지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발호측이 휴대자에게 대하여 타인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호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나, 긴급하게 호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그 밖의 용건을 전하는 호출을 하고자할 때 등의 각종 상황에 대응한 호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the mobile device can select and switch the call type in the apparatus. However, the calling party that makes the call cannot select and specify the call type in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of the call partner. For this reason, for example, the caller may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when a caller wants to make a call so that he is not known to another person, when he / she wants to make an urgent call, or when he wants to make a call for other reasons. There may be times when you want to make one call.

이 경우의 호출종별은, 선택호출수신장치에 휴대자가 사전에 선택한 종별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선택호출수신장치의 휴대자의 근방에 있는 타인에게는 알리고 싶지 않은 호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특수음이나 멜로디음이 출력되어, 그 호출이 타인에게 알려지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 호출시의 종별은, 휴대자가 선택하여 설정한 종별이고, 이 선택된 음에 의한 호출종별로는, 휴대자가 호출측의 의향을 판별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LCD(7)에 화면표시되는 메시지를 보지 않으면, 호출측의 호출의 의향, 예를 들면, 긴급한 전화연락의 요청을 판별할 수 없다. 이 때, 혼잡한 전차내와 같이 LCD(7)의 표시를 눈으로 보는데 곤란한 장소에서는, 휴대자의 호출확인에 부담이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결하는 것이고, 호출대상의 선택호출수신장치로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메시지표시를 보지않고, 발호측으로부터의 호출에 의한 의도를 휴대자가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판명하는 동시에, 주위음 또는 명암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호출음량을 가변할 수 있고, 또한, 호출종별의 멜로디를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편리성이 향상되는 선택호출수신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all type is performed by the type previously selected by the mobile operator in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Therefore, even when a call that is not desired to be notified to another person in the vicinity of the mobile phone of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device is made, a special sound or a melody sound is output, which makes the call known to others. The type at the time of the call is a type selected and set by the mobile phone, and the mobile phone cannot determine the intention of the calling party for each call type by the selected sound. In other words, if the message displayed on the LCD 7 is not viewed, the intention of the calling party, for example, an urgent call request cannot be determined. At this time, in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visually see the display of the LCD 7 such as in a crowded streetcar, there is a drawback that a burden is placed on the call confirmation of the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the mobile device easily and reliably confirms the intention by calling from the calling party without automatically judging by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to be called and viewing the message display. At the same time, the call volume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ambient sound or contrast, and the melody of the call type can be freely checked, and the change can be mad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use. It i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device.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the Invention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기지국에서의 개별번호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선택호출신호에서 얻어지는 개별번호가 자기장치앞의 경우, 호출을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에 있어서, 사전에 정해진 호출절환메시지에 대응한 호출방법의 결정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선택호출신호에서 얻어지는 개별번호가 자기장치 앞의 경우에, 선택호출신호에서 얻어지는 메시지로부터 호출절환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에 의하여 호출절환메시지가 검출된 경우, 검출된 호출절환메시지에 일치되는 호출절환메시지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호출방법의 결정정보에 의해서 소정의 용건을 시사하는 호출을 행하기 위한 호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s defined in advance in a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which makes a call when the individual number obtained from the selective calling signal including the individual number and the message at the base station is in front of the magnetic apparatus. Storage means for storing decis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e call switching message, a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call switching message from the message obtained from the selective calling signal when the individual number obtained from the selective calling signal is located in front of the magnetic apparatus; And, when a call switching messag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 call for making a call suggesting a predetermined event by the decis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method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all switching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all switching message. It is a structure provided with a means.

청구항 2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호출수단이 행하는 소정의 용건을 시사하는 호출이, 멜로디의 송출에 의해서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수동스위치와, 메시지를 기억하기 위한 제2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선택호출신호수신에 의한 최초의 호출동작종료후에 있어서, 수동스위치에 의한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에 의해서 최초의 호출시에 행하여진 것과 동일한 소정의 용건을 시사하는 호출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is configured such that a call indicat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performed by the calling means is made by sending a melody.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includes a manual switch and a second storage means for storing a messag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rst call operation by receiving the selective call signal, there is a predetermined input by the manual switch. In this case, the cal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eans makes a call suggesting the same predetermined condition as that made at the first call.

청구항 4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당해 장치의 주위음을 검출하는 음검출수단과, 음검출수단에서 사전에 정한 임계치 이상의 주위음을 검출하였을 때에 호출수단에서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가변하는 음량자동음량가변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includes sou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ambient sound of the apparatus, and a volume for automatically varying the call volume in the call means when the sound detection means detects an ambient sound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an automatic volume variable stage.

청구항 5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당해 장치의 주위의 명암을 검출하는 명암검출수단과, 명암검출수단에서 사전에 정한 임계치 이상의 밝음 또는 어둠을 검출하였을 때에, 이 밝음 또는 어둠에 대응하여 호출수단에서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가변하는 음량자동음량가변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includes a contras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contrast of the surroundings of the apparatus, and a call means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or darkness when the contrast detection means detects light or darkness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is configured to have a volume automatic volume value variable stage that automatically varies the call volume at.

청구항 6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명암검출수단 및/또는 음량자동음량가변수단에 의한 동작을 설정하고, 또는 설정을 해제하는 설정해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is configured to include setting detection means for setting or canceling the operation by the contrast detecting means and / or the volume automatic volume value variable stage.

청구항 7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음량자동음량가변수단이, 임계치 이상의 밝음을 검출하였을 때의 호출수단에서의 호출을 자동적으로 대음량으로 설정하고, 또, 임계치 이하의 밝음을 검출하였을 때에 호출수단에서의 호출을 자동적으로 소음량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이 설정을 반전시키는 반전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7.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sets the call from the calling means when the volume automatic volume value variable stage detects the brightness higher than the threshold and automatically sets the volume to the loud volume and detects the brightness below the threshold. The call set by the means is automatically set to the amount of noise, and at the same time, the reverse setting means for inverting the setting is provided.

청구항 8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호출수단이 행하는 멜로디의 송출에 멜로디집적회로를 사용하는 동시에, 이 멜로디집적회로를 당해 장치에 교환가능하게 설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is configured to use a melody integrated circuit for sending out the melody performed by the calling means and to install the melody integrated circuit in the apparatus so as to be interchangeable.

청구항 9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호출수단에서의 멜로디를 일정시간 송출하고 정지하는 정지수단과, 정지수단이 멜로디를 송출하고 정지하는 시간의 변경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is configured to include stop means for transmitting and stopping the melody from the calling m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nge in the time at which the stop means sends and stops the melody. .

청구항 10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설정수단이 설정하는 정지수단으로부터의 멜로디송출정지까지의 시간을 화면표시하는 시간화면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is configured to include time screen display means for screen-displaying the time from the stop means set by the setting means to the melody transmission stop.

청구항 11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시각을 계시하는 계수수단과, 시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호출수단에서의 멜로디송출을 개시가능하게 하는 시각설정을 행하는 개시시각설정수단과, 호출수단에서의 멜로디송출의 설정을 정지하는 시각설정을 행하는 정지시각설정수단과, 시각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된 개시시각에서 멜로디송출을 개시가능하게 설정하고, 정지시각에서 멜로디송출의 설정을 해제하는 제어를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11.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includes counting means for counting the tim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time, start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time for enabling the melody transmission from the calling means, and call means. A stop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time to stop the setting of the melody transmission of the melody, a memory means for storing the time, melody transmission is set to be startable at the stored start time, and the melody transmission setting is canceled at the stop time. It i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control means to control.

청구항 12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기억한 멜로디송출의 개시설정의 개시시각 및 정지시각을 독출하여 표시수단에 화면표시하기 위한 표시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is configured to include display setting means for reading out the start time and stop time of the stored start setting of the melody transmission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means.

청구항 13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호출수단의 출력하는 멜로디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멜로디를 호출수단에서 출력하는 설정을 하기 위한 멜로디동작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is configured to include melody operation setting means for setting to output the melody from the calling means in order to confirm the contents of the melody output from the calling means.

청구항 14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호출수단이 출력하는 복수의 멜로디중의 희망하는 멜로디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멜로디선택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is configured to include melody selection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an output of a desired melody among a plurality of melodies output by the calling means.

청구항 15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호출수단이, 메시지의 문자를 화면표시하는 화면표시수단과, 호출을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수단과, 호출을 음출력하여 보지하는 음보지수단과, 호출을 광표시하여 보지하는 광보지수단과, 호출을 멜로디출력하여 보지하는 멜로디보지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15. A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call means comprises: screen display means for screen-displaying a character of a message, vibration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vibrations of a call, sound recording means for sounding out and holding a call, and calling. And a melody holding means for melody outputting and holding a call.

청구항 16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진동전달수단, 음보지수단, 광보지수단 중의 어느 것 또는 조합을 선택하고, 또, 멜로디보지수단에서의 멜로디보지와 함께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16. A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comprising: setting means for selecting any one or a combination of vibration transmission means, sound recording means, and optical holding means, and setting them together with the melody holding in the melody holding means. I am doing it.

이 구성의 청구항 1~3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사전에 정해진 호출절환메시지에 대응하여 호출종별의 결정정보를 기억하고, 선택호출신호에서 얻어지는 개별번호가 자기장치앞의 경우에, 이 선택호출신호에서 얻어지는 메시지에서 호출절환메시지를 검출하고 있다. 이 호출절환메시지와 일치된 호출종별의 기억결정정보에 의해서, 소정의 용건을 시사하는 호출을 행한다. 따라서, 발호측으로부터의 호출의 의도를, 호출대상의 선택호출수신장치로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메시지표시를 보지않고, 휴대자는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판명한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s 1 to 3 of this configuration stores the decision information of the call type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call switching message, and this selection is made when the individual number obtained from the selective call signal is in front of the magnetic apparatus. A call transfer message is detected in a message obtained from a call signal. By the storage decision information of the call type consistent with this call switching message, a call is made to suggest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nd surely prove that the intention of the call from the calling party is automatically judged by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of the call target and the message display is not seen.

청구항 4~7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주위의 음 또는 명암을 검출하여, 그 음량 또는 명암레벨에 대응하여 호출 음량을 자동적으로 가변하고 있다. 따라서, 그 사용성은 향상된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s 4 to 7 detects surrounding sound or contrast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call volu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volume or contrast level. Therefore, the usability is improved.

청구항 8~16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멜리도집적회로(IC)를 교환하여 변경하고, 또, 멜로디의 송출정지시간을 변경하는 동시에, 멜로디를 독출하여 곡목의 확인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호출종별의 멜로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멜로디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그 편리성이 향상된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s 8 to 16 is exchanged and replaced by the melody integrated circuit IC, and the delivery stop time of the melody is changed, and the melody is read to confirm the music piece. Therefore, the melody of the call type can be easily confirmed, and the melody can be changed, and the convenience thereof is improve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에 의한 선택호출수신장치를 제2도~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또, 이하의 문장 및 도면에 있어서, 종전의 제1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In the following, a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optim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and drawing,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s the former 1st figure.

제2도는 본 발명의 선택호출수신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이 제1실시예는,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에서의 송신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와, 이 안테나(1)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주파수변환한 중간주파신호를 출력하는 수신회로(2)와, 수신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복조회로(3)가 설비되어 있다. 또, 수신신호가 자기장치 앞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시에, 호출측에서 지정된 호출종별을 판정하는 대조회로(4)와, 자기장치의 개별번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5)와, LCD에 메시지를 표시할 때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LCD 구동회로(6)와, 메시지를 포함하는 LCD(7)가 설비되어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is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antenna 1 for receiving transmission radio waves from a base station (not shown), and a reception for outputting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btained by frequency converting the reception signal from the antenna 1. The circuit 2 and a demodulation circuit 3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output from the reception circuit 2 are provided.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ceived signal is in front of the magnetic device, and a matching circuit 4 for determining the call type designated by the calling party, a memory circuit 5 for storing the individual number of the magnetic device, and an LCD. The LCD drive circuit 6 which outputs the drive signal at the time of displaying a message, and the LCD 7 containing a message are provided.

또, 이 예는,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음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신호생성회로(8)와, 단속음 등의 특수음이나 멜로디 등을 음출력하는 스피커(9)와, 바이브레이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10)와, 진동을 발생하여, 휴대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바이브레이터(11)가 설비되어 있다. 또, 발호측에서 공중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정된 호출종별의 데이타에 의해서, 당해 장치의 휴대자에게 호출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회로(12)와, 각종의 멜로디데이타를 발생하는 멜로디발생회로(13)와, 단속음 등의 특수음데이타를 발생하는 톤발생회로(14)와, 특수음, 진동, 멜로디, 화면표시의 호출종별의 선택 및 멜로디발생회로(13)에 격납한 멜로디를 확인할 때의 독출지시, 및 호출음의 음량조정 등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15)가 설비되어 있다.This example includes a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ound signal output from a speaker, a speaker 9 for outputting special sounds such as intermittent sounds, melody, and the like, and a drive circuit for driving the vibrator. 10 and a vibrator 11 for generating vibrations and transmitting the vibrations to the portable user.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12 for performing call control to the mobile device of the apparatus by the call type data designated by the calling party through the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for generating various melody data. Reading instruction when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which generates special sound data such as intermittent sound, the selection of the call type of the special sound, vibration, melody, screen display and the melody stored in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are confirmed. And a switch 15 for setting the volume control of the call sound, and the like.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대조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이 대조회로(4)는, 입력되는 선택호출신호를 해석하는 데코더회로(21)와, 수신한 개별번호를 격납하는 어드레스격납회로(22)와, 수신한 메시지를 격납하는 메시지격납회로(23)와, 이 어드레스격납회로(22)의 내용과 기억회로(5)의 기억내용을 비교하는 비교회로(24)가 설비되어 있다. 또, 메시지격납회로(23)에 격납되어 있는 호출절환메시지와 기억회로(26)의 기억내용을 비교하는 비교회로(25) 및 호출절환메시지와 호출종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기억한 기억회로(26)를 갖고 있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tching circuit shown in FIG. In Fig. 3, the matching circuit 4 stores a decoder circuit 21 for analyzing the inputted selection signal, an address storing circuit 22 for storing the received individual number, and a received message. The message storage circuit 23 and the comparison circuit 24 for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address storage circuit 22 and the contents of the storage circuit 5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comparison circuit 25 for comparing the call switching message stored in the message storing circuit 23 with the stored contents of the memory circuit 26, and a memory circuit storing data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l switching message and the call type; Has 26

제4도는 제3도 중의 기억회로에 기억한 호출절환메시지와 호출종별과의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4도에 있어서, 예를 들면, 호출절환메시지가 「-0」은 바이브레이터(11)에 의한 진동에 의한 호출종별을 지정하고, 또, 「-1」은 톤발생회로(14)로부터의 특수음에 의한 호출종별의 지정을 나타내고 있다. 「-2」~「-9」는 멜로디발생회로(13)로부터 발생하는 멜로디에 의한 호출종별의 지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호출절환메시에 의해서 달라지는 곡목의 멜로디의 발생이 지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들의 멜로디는 각각 소정의 용건을 연상하는 데에 있어 충분한 내용으로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돌아가라」라는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에, 곡목이 「돌아오너라」라고 하는 멜로디로 호출을 행하고, 또, 「기다려라」라는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곡목이 「기다린다」라고 하느 멜로디로 호출을 한다. 또, 외곡의 곡목으로 호출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옆에 있어주면 하니 와요」라는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곡목이 「Stand by me(스탠바이미)」라고 하는 멜로디로 호출을 행하고, 「도와줘」라는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곡목이 「Help(헬프)」라고 하는 멜로디로 호출을 행한다. 또, 「전화해요」라는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곡명이 「Call me(콜미)」라고 하는 멜로디로 호출을 행한다.FIG. 4 is a table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all switching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circuit of FIG. 3 and a call type. In Fig. 4, for example, the call switching message " -0 " designates the call type due to vibration by the vibrator 11, and " -1 " is special from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It indicates the call type by sound. "-2" to "-9" indicate the call type designation by the melody generated from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In this way, the generation of the melody of the music piece changed by the call switching message can be specified. In addition, these melodies are determined in sufficient content in association with predetermined case,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a song is called with a melody called "Go back" and you want to send a message "Wait" when you want to send a message "Go back", the song is "Wait". Call with one melody. If you want to send a message, for example, if you want to send a message, "Will you stay next," call the song with a melody of "Stand by me". If you want to send a "help" message, the song will be called with a melody called "Help". If the user wants to send the message "Call me", the song is called with a melody of "Call me".

이와 같이, 당해 장치를 사용하는 나라에 적합한 잘 알려진 멜로디로 호출을 행하는 동시에, 동일국내에서, 그 나라의 사람이나 다른 나라의 사람의 호출에 적합한 멜로디로 구분하여 호출을 행하면, 그 호출은 휴대자가 확실하게 또한 신속하게 판명할 수 있다.In this way, if a call is made with a well-known melody suitable for a country using the apparatus, and a call is made with a melody suitable for a call of a person of that country or a person of another country within the same country, the call is made by the mobile person. It can surely and quickly proved.

다음에, 이 제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에서 송신된 전파는 안테나(1)를 통하여 수신회로(2)에 의해서 수신되어 수신신호로 되고, 이 수신신호가 복조회로(3)로 복조되어, 그 선택호출신호가 출력된다. 또, 이 선택호출신호가 대조회로(4)의 데코더회로(21)에 입력된다. 데코더회로(21)는 입력된 선택호출신호를 해석한 개별번호를 어드레스격납회로(22)에 격납한다. 또, 해석된 메시지를 메시지격납회로(23)에 격납한다. 비교회로(24)는 어드레스격납회로(22)에 격납된 개별번호와 기억회로(5)에 사전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장치의 개별번호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된 경우메나 비교회로(24)에서, 호출이 행하여진 것을 나타낸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메시지격납회로(23)내의 메시지를 LCD 구동회로(6)를 통하여 LCD(7)에 표시한다. 비교회로(24)에서의 식별신호를 제어회로(12)가 취입하면, 호출측으로부터의 호출종별에 대응한 제어를 행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is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not shown)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circuit 2 through the antenna 1 to be a receiving signal. The received signal is demodulated to the demodulation circuit 3, and the selective calling signal is output. . This selection call signal is also input to the decoder circuit 21 of the matching circuit 4. The decoder circuit 21 stores in the address storing circuit 22 the individual number obtained by analyzing the inputted selection signal. In addition, the analyzed message is stored in the message storing circuit 23. The comparison circuit 24 compares the individual numbers stored in the address storage circuit 22 with the individual numbers of the apparatu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circuit 5, and compares them with each other in the mena comparison circuit 24 when they match. And outputs an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 call has been made, and simultaneously displays a message in the message storing circuit 23 on the LCD 7 via the LCD driving circuit 6. When the control circuit 12 accepts the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comparison circuit 24,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all type from the call side is performed.

제5도는 이 호출제어에 의한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5도에 있어서, 우선, 스텝(도면 중, S로 나타냄)400에서, 이제까지 설명한 호출처리동작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스텝401에서 호출을 판단하고, 호출있음의 경우(YES), 즉, 비교회로(25)로부터의 식별번호를 취입한 경우, 스텝402로 진행하여, 메시지격납회로(23)에 입력되어 있는 메시지의 선두의 문자가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인 경우(YES), 다음 스텝403으로 진행한다. 「-」가 없는 경우(NO)는, 스텝404로 진행하고, 이 호출제어동작을 정지하여, 이 처리순서의 처리를 종료한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by this call control. In Fig. 5, first, at step 400 (indicated by S in the figure) 400, the call processing operation described so far is performed. Next, in step 401, the call is judged, and if there is a call (YES), that is, if the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comparison circuit 25 is taken in, it proceeds to step 402 and is entered into the message storing circuit 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character of the message is "-", and if it is "-" (YES), the flow proceeds to the next step 403. If there is no "-" (NO), the flow advances to step 404, the call control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processing of this processing procedure ends.

스텝402에서 메시지의 선두의 문자가 「-」인 경우는 스텝403 이후의 처리순에서, 「-」의 다음 문자가 「0」~「9」중의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우선, 「-」의 다음 문자가 「0」인 경우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여, 스텝405로 진행하여, 구동회로(10)를 통하여 바이브레이터(11)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 구동지시를 행한다.When the first character of the message is "-" in step 4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ext character of "-" is "0"-"9" in the processing sequence after step 403. First, in the case where the next character of "-" is "0",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compar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5, whereby the vibrator 11 is turned on through the drive circuit 10. Vibrator drive instruction to vibrate is performed.

다음에, 스텝406「-1」을 판단하고, 「-1」인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고, 스텝407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2)가 톤발생회로(14)로부터 독출한 단속음 등의 특수음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 스텝460에서 「-1」이 아닌 경우(NO)는, 다음 스텝408에서 「-2」를 판단한다. 이 스텝408에서 「-2」인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고, 스텝409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2)가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한 멜로디(곡목1)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하여, 「-2」가 아닌 경우(NO)는, 다음 스텝410에서 「-3」을 판단한다. 이 스텝410에서 「-3」인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고, 스텝411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2)가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한 멜로디(곡목2)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로부터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 스텝410에서 「-3」이 아닌 경우(NO)는, 다음 스텝412에서 「-4」를 판단한다. 이 스텝412에서 「-4」인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고, 스텝413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2)가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한 멜로디(곡목3)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하고, 「-4」가 아닌 경우(NO)는, 다음 스텝414에서 「-5」를 판단한다. 이 스텝414에서 「-5」인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고, 스텝415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2)가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한 멜로디(곡목4)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로부터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 스텝414에서 「-5」 가 아닌 경우(NO)는, 다음 스텝416에서 「-6」을 판단한다. 이 스텝416에서 「-6」의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여, 스텝417로 진행하고, 제어회로(12)가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한 멜로디(곡목5)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하고, 「-6」아 아닌 경우(NO)는, 다음 스텝418에서 「-7」를 판단한다.Next, in step 406 "-1" is determined, and in the case of "-1" (YES),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match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7, and the control circuit 12 ) Outputs sound from the speaker 9 through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for special sound data such as intermittent sound read out from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If it is not "-1" in step 460 (NO), "-2" is determined in a next step 408. If " -2 " (YES) in this step 408,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match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9, whereby the control circuit 12 in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is performed. If the read-out data of the melody (Song 1) is outputted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nd is not " -2 " (NO), the " -3 " Judge. If " -3 " (YES) in this step 410,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match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1, whereby the control circuit 12 performs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An instruction is made to output the data of the read melody (song 2)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f it is not "-3" in step 410 (NO), "-4" is determined in a next step 412. In the case of " -4 " in step 412 (YES),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match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3, whereby the control circuit 12 in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is performed. If the read-out data of the melody (song 3) is outputted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nd is not " -4 " (NO), " -5 " To judge. In the case of " -5 " (YES) in this step 414,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match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5, where the control circuit 12 in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is performed. An instruction is made to output the data of the read melody (song 4)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f it is not "-5" at step 414 (NO), "-6" is determined at next step 416. In the case of " -6 " (YES) in this step 416,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compar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7, and the control circuit 12 in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If the read-out data of the melody (song 5) is outputted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nd if it is not "-6" (NO), it is "-7" in the next step 418. To judge.

이 스텝418에서 「-7」의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여, 스텝419로 진행하고, 제어회로(12)가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한 멜로디(곡목6)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하고, 「-7」이 아닌 경우(NO)는, 다음 스텝420에서 「-8」을 판단한다. 이 스텝420에서 「-8」인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여, 스텝421로 진행하고, 제어회로(12)가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한 멜로디(곡목7)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하고, 「-8」이 아닌 경우(NO)는, 다음 스텝422에서 「-9」를 판단한다.In the case of " -7 " (YES) in this step 418,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compar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19, where the control circuit 12 performs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If the read-out data of the melody (song 6) is outputted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nd is not " -7 " (NO), the " -8 " Judge. If " -8 " (YES) in this step 420,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compar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1, whereby the control circuit 12 in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is performed. If the read-out data of the melody (Song 7) is outputted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nd is not " -8 " (NO), the " -9 " To judge.

이 스텝422에서 「-9」인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여, 스텝423로 진행하고, 제어회로(12)가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한 멜로디(곡목8)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하여, 이제까지의 처리수순이 종료된다.In the case where " -9 " (YES) in this step 422,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compar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3, where the control circuit 12 in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is performed. The instruction to output the data of the read melody (song 8)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executed, and the processing procedure thus far is completed.

이 호출이 행하여진 후에, 일정시간내에 스위치(15)의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시간 후에 호출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오토리세트가 동작한다. 이 경우에, 미호출메시지로서 어드레스격납회로(22)와 메시지격납회로(23)에 등록된다. 그리고, 스위치(15)가 조작되었을 때에 재차 스피커(9)에서 똑같은 멜로디를 발생시킨다. 또, 임의시에 메시지를 스위치(15)의 조작에 의해서 LCD(7)에 표시시키는 경우, 호출절환메시지를 갖는 메시지에 대해서는, 이 호출절환메시지에 대응하는 멜로디가 스피커(9)에서 발생한다.After the call is made, if the switch 15 is not op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 auto reset operation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call after a certain time is operated. In this case, it is registered in the address storing circuit 22 and the message storing circuit 23 as an uncalled message. Then, when the switch 15 is operated, the same melody is generated in the speaker 9 again. In addition, when a message is displayed on the LCD 7 at any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5, for the message having a call switching message, a melody corresponding to this call switching message is generated in the speaker 9.

이와 같이, 이 제1실시예에 의하면, 호출자가 전화기로 목적하는 번호의 선택호출수신장치에 호출을 행할 때에 입력하는 메시지의 선두에,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에서 사용하는 호출종별을 지정하는 호출절환메시지를 입력하는 것 만으로,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의 호출종별을 지정할 수 있고, 호출자의 의도에 적합한 호출종별에 의해서 휴대자에게 호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자에게 「돌아가라」라는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곡목이 「돌아오라」라고 하는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호출절환메시지를 송출하면,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의 휴대자는, 이 곡목을 청취하는 것 만으로 「돌아가라」라고 하는 호출측의 의도를 알 수 있어서, LCD(7)의 표시를 눈으로 보지않아도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ll switching is provided in which the caller designates the call type to be used in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at the head of the message input when the caller makes a call to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of the desired number by telephone. Only by inputting the message, the call type of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can be specified, and the call can be made to the mobile user by the call type suitable for the intention of the caller.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send the message "Go back", when the song sends a call switching message that generates a melody of "Go back," the user of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listens to the song. Only the caller's intention of "go back" can be known, and the display of the LCD 7 may not be viewed visually.

또, 호출자가 주위의 사람을 알아차리게 하지 않고 휴대자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호출종별로서 바이브레이터(11)에 의한 진동을 지정하고, 긴급한 호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는 특수음을 지정하게 할 수도 있다. 즉, LCD(7)에 표시된 메시지를 눈으로 볼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혼잡한 전차내 등에서 LCD(7)의 표시를 눈으로 보는 것이 번거로운 경우라도, 호출자의 의도를 휴대자에게 전달 할 수 있게 된다. 또, 휴대자가, 예를 들면, 선택호출수신장치를 몸에 지니지 않고 방치해 두고 있었기 때문에 호출을 확인할 수 없고, 호출이 오토리세트로 되어도, 다음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재차 호출시와 동일한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전언을 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메시지표시용의 표시기를 설비하지 않은 선택호출수신장치라도 다수의 다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호측의 전화기 등의 하드워어 스프트워어 등을 전혀 변경하지 않고, 그 실시가 매우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caller wants to call the portable user without noticing a person around him, the vibration by the vibrator 11 can be specified for each call type, and a special sound can be specified when an urgent call is to be made.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visually see the message displayed on the LCD 7. For this reason, even if it is cumbersome to see the display of the LCD 7 visually in a crowded train or the like, for example, the intention of the caller can be conveyed to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mobile device has left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without the body, for example, the call cannot be confirmed, and even if the call is auto reset, the same melody as when the call is made again by the next switch operation is performed. Because it can be printed out, it is possible to reliably convey a message. In this case, even a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that is not equipped with a message display indicator can transmit a number of different messages.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is very easy without changing hardware hardware such as a telephone on the calling side or the like at all.

다음에,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Next,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에서는, 스피커(9)로부터의 멜로디 및 특수음의 호출음량은 스위치(15)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또, 주위의 소음 또는 명암(주야)을 판별하여, 주위의 소음이 높은 경우에는, 스피커(9)로부터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크게 하고, 또, 소음이 낮은 경우에 스피커(9)로부터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작게 하고 있다. 또, 주위가 밝은 경우에는, 스피커(9)로부터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낮게 하고,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 스피커(9)로부터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작게 하고 있다. 또, 이 반대의 설정, 예를 들면,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를 백내 등에 수납하였을 때의 어두운 장소에서는 스피커(9)로부터의 호출음량이 자동적으로 높게 되는 설정을 행한다.In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the call volume of the melody and the special sound from the speaker 9 can be set by the switch 15.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ambient noise or contrast (day and night) is also determined, and when the ambient noise is high, the call volume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increased, and when the noise is low, The call volume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reduced. When the ambient is bright, the call volume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lowered. When the ambient is dark, the call volume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reduced. The reverse setting, for example, is set so that the call volume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increased in a dark place when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is stored in a bag or the like.

제6도는 제2실시예의 호출음량의 자동조정을 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이 제2실시예에는, 주위의 명암을 검출하는 포토센서(30)와, 이 포토센서(3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제어회로(12)에 출력하는 A/D 콘버터(31)가 설비되어 있다. 또, 주위의 소음을 검출하는 마이크로폰(33)과, 이 마이크로폰(33)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디지탈변환하여 제어회로(12)에 출력하는 A/D 콘버터(34)가 설비되어 있다. 이 외의 구성은 제2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똑같다. 다음에, 이 2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겠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all volume in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6,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hotosensor 30 which detects the surrounding light and darkness, and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hotosensor 30 ar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12. In FIG. The A / D converter 31 is provided. A microphone 33 for detecting ambient noise and an A / D converter 34 for digitally convert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microphone 33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12 are provide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Next, the operation of these tw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제7도는, 주위의 소음을 검출하여 스피커(9)로부터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때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우선, 제5도의 스텝400~스텝405와 똑같은 처리를 행한다. 즉, 스텝500에 의해서, 호출처리동작이 행하여진다. 스텝501에서, 이 호출을 판단하고, 호출있음의 경우(YES)는, 스텝502로 진행하여, 메시지격납회로(23)에 입력되어 있는 메시지의 선두의 문자가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인 경우(YES), 다음 스텝503으로 진행한다. 「-」가 없는 경우(NO)는, 스텝504로 진행하고, 호출제어를 정지하여, 이 처리수순을 종료한다. 스텝502에서 메시지의 선두의 문자가 「-」인 경우는 스텝503 이후의 처리수순에서 , 「-」의 다음 문자가 「0」~「9」중의 어느 것인지를 판정하고, 또, 주위소음의 검출에 의한 호출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을 처리한다. 우선, 스텝503에서 「-」의 다음 문자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0」인 경우(YES)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고, 스텝505로 진행하여, 구동회로(10)를 통하여 바이브레이터(11)가 진동하기 위한 바이브레이터 구동지시를 행한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when the ambient noise is detected and the call volume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adjusted. 6 and 7, first, the same processing as in Step 400 to Step 405 in FIG. 5 is performed. That is, in step 500, a call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step 501, this call is determined. If there is a call (YES), the flow proceeds to step 502,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irst character of the message input to the message storing circuit 23 is "-". If "-" (YES),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503. If there is no "-" (NO), the flow advances to step 504, the call control is stopped, and the processing procedure ends. If the first character of the message is "-" in step 5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ext character of "-" is from " 0 " to " 9 " Processes the setting of automatic call volume adjustment. First, in step 50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ext character of "-" is "-0", and if "-0" (YES),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collated, Proceeding to step 505, the vibrator drive instruction for the vibrator 11 to vibrate through the drive circuit 10 is given.

다음에, 스텝506에서 「-1」을 판단하고, 「-1」인 경우(YES)는, 스텝507로 진행하여, 주위소음의 검출에 의한 호출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을 제어회로(12)의 도시하지 않은 RAM 등에서 독출한다. 또, 스텝508에서 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을 판단한다. 이 스텝508에서 소음검출에 의한 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고, 스텝509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2)가 톤발생회로(14)에서 독출한 단속음 등의 특수음을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Next, in step 506, " -1 " is determined, and in the case of " -1, " (YES), the flow advances to step 507, whereby the setting of the call volume automatic adjustment by detecting the ambient noise is performed in the control circuit 12. Read from RAM, not shown. In step 508, the setting of the automatic volume adjustment is determined. If the automatic volume adjustment by noise detection is not made in this step 508 (NO),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match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09, whereby the control circuit 12 A special sound such as intermittent sound read out by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is instructed to output sound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스텝508에서 소음검출에 의한 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YES), 다음에, 스텝510에서, 제어회로(12)가 A/D 콘버터(31)를 통하여 마이크로폰(33)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취입한다. 다음에, 스텝511에서, 이 주위소음의 검출신호의 레벨을, 사전에 제어회로(12)의 도시하지 않은 RAM 등에 설정한 임계치 X와 비교한다. 이 임계치X는, 이 값을 소음검출레벨 m을 초과하는 경우에, 스피커(9)로부터의 음출력을, 주위소음이 있더라도 충분히 알아 들을 수 있는 크기의 음출력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스텝511에서 소음검출레벨m이 임계치X를 초과하는 경우(YES)는, 스텝512에서 제어회로(12)의 제어로 음신호생성회로(8)를 지시하여, 스피커(9)로부터의 특수음을 대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이 설정은 음신호생성회로(8)내의 전자 볼륨 등을 조정하여 행한다. 이 설정 후에 스텝513에서 제어회로(12)가 톤발생회로(14)에서 독출한 단속음 등의 특수음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로부터의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 따라서, 스텝514에서 음신호생성회로(8)에서 대음량출력으로 설정한 특수음이 스피커(9)로부터 출력되어, 이 음출력으로 종료된다.If the automatic volume adjustment by noise detection is set in step 508 (YES), then, in step 510, the control circuit 12 detects from the microphone 33 via the A / D converter 31. Inject the signal. Next, in step 511, the level of this ambient noise detection signal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X previously set in RAM (not shown) of the control circuit 12 or the like. This threshold value X sets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9 so that the sound output of the magnitude | size which can fully hear even if there is ambient noise, when this value exceeds the noise detection level m. If the noise detection level m exceeds the threshold value X in step 511 (YES),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instruc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12 in step 512, and a special sound from the speaker 9 is obtained. Set to output at high volume. This setting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electronic volume and the like in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fter this setting, the control circuit 12 instructs, in step 513, to output special sound data such as intermittent sound read out from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Therefore, in step 514, the special sound set by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s the loud volume output is output from the speaker 9, and the sound output ends.

스텝511에서 소음검출레벨m이 임계치X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NO)는, 스텝515에 의해서, 주위소음이 낮기 때문에, 제어회로(12)의 제어로 음신호생성회로(8)를 지시하고, 스피커(9)로부터의 특수음을 소출력으로 하도록 설정한다. 이 설정은 음신호생성회로(8)내의 전자 볼륨 등을 조정하여 행한다. 이 설정 후에 스텝516에서 제어회로(12)가 톤발생회로(14)로부터 독출한 단속음 등의 특수음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로부터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 따라서, 스텝517에서는 음신호생성회로(8)로 소음량으로 설정된 특수음이 스피커(9)에서 출력된다.If the noise detection level m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X in step 511 (NO), since the ambient noise is low in step 515,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instruc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12, A special sound from the speaker 9 is set to low output. This setting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electronic volume and the like in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fter this setting, the control circuit 12 instructs, in step 516, to output special sound data such as intermittent sound read out from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Therefore, in step 517, the special sound set to the amount of noise by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output from the speaker 9.

또, 이와 같이 2단계의 대소의 움출력 대신, 소음검출레벨m에 대응하여 스피커(9)로부터의 음출력을 단조증가하도록 연소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two-step hum output in this manner, the combustion can be varied so that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9 is monotonically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noise detection level m.

또, 스텝506에 의한 「-1」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1」이 아닌 경우(NO)의 스텝518에 의해서, 「-2」의 판단처리를 실행한다. 이 판단처리에 있어서, 「-2」인 경우는 상기의 「-1」과 같이 하여 「-2」의 처리를 행한다. 즉, 스텝507~스텝517과 똑같은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제4도에 나타낸 멜로디(곡목1)의 데이타를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하고, 또,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대소의 음량으로 음출력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In determining "-1" in Step 506, the judgment processing of "-2" is performed by Step 518 when it is not "-1" (NO). In the judgment processing, in the case of "-2", the processing of "-2"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1" above. That is, the same processing as in Step 507 to Step 517 is carried out, and the data of the melody (Song 1) shown in FIG. 4 is read out by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and the speaker (through the sound signal generating circuit 8). In step 9), a process of outputting sound at a large volume is performed.

다음에, 스텝518에서 「-2」가 아닌 경우는, 스텝519에 의해서, 「-3」의 판단처리를 실행한다. 이 판단처리에 있어서, 「-3」인 경우는, 상기의 「-1」과 똑같이 행하여 「-3」의 처리를 행한다. 즉, 스텝507~스텝517과 똑같은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제4도에 나타낸 멜로디(곡목2)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대소의 음량으로 음출력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마찬가지로 스텝520에서 「-4」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제4도에 나타낸 멜로디(곡목3)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If it is not "-2" in step 518,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3" is performed by step 519. In this judgment process, when it is "-3", it performs similarly to said "-1", and performs the process of "-3". In other words, the same processing as in Step 507 to Step 517 is performed, and the processing for outputting the melody data shown in FIG. 4 through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t the loudspeaker 9 at a large and small volume is performed. Is done. Similarly, in step 520, a judgment process of "-4" is executed, and a process of outputting the melody (song 3) data shown in FIG. 4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performed.

이렇게 하여, 이하 순차로, 스텝521에서 「-5」의 판단처리를 실행하여, 멜로디(곡목4)을 대소의 음량으로 음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스텝522에서 「-6」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5)를 대소의 음량으로 음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스텝523에서 「-7」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6)를 대소의 음량으로 음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524에서 「-8」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7)을 대소의 음량으로 음출력할 것인지의 여부의 처리를 행한다. 이 후에, 스텝525에서 「-9」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8)을 대소의 음량으로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의 처리를 실행하여 종료된다.In this way, in the following steps,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5" is executed in step 521, and a process of outputting the melody (the song 4) at a large volume is performed. In step 522, the judgment processing " -6 " is executed, and a process of outputting the melody (the song 5) at a large volume is performed. In step 523, a judgment process of " -7 " is executed, and a process of outputting the melody (the song 6) at a large volume is performed. Next, in step 524, a judgment process of " -8 " is executed, and a process of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melody (music number 7) at a large volume is performed. After that,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9" is performed in step 525, and the process of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melody (music number 8) at a large volume is completed.

제8도는, 주위의 명암을 검출하여 스피커(9)에서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때의 처리수순의 요부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6도 및 제8도에 있어서, 이 예는, 제7도에 나타낸 스텝500~스텝506을 처리한 후에, 주위의 명암을 검출하여 스피커(9)로부터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제8도 중의 스텝601~스텝614의 처리수순을 실행한다.8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ocessing procedure when the ambient light is detect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call volume in the speaker 9. In FIG. 6 and FIG. 8, in this example, after processing steps 500 to 506 shown in FIG. 7, it is detected that the surrounding contrast is detected and the call volume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adjusted. The processing procedure of step 601 to step 614 shown in FIG.

우선, 제7도에 나타낸 스텝506에서 「-1」을 판단하여, 「-1」인 경우(YES)는, 제8도의 스텝601에 의해서, 주위 명암을 검출에 의한 호출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을 제어회로(12)의 도시하지 않은 RAM 등에서 독출한다. 그리고, 스텝602에서 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을 판단한다. 이 스텝602에서 주위명암검출에 의한 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기억회로(26)내의 제4도에 나타낸 테이블을 대조하여, 스텝603로 진행하고, 제어회로(12)가 톤발생회로(14)에서 독출한 단속음 등의 특수음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First, in step 506 shown in FIG. 7, " -1 " is determined, and in the case of " -1, " (YES), step 601 in FIG. 8 sets the automatic call volume adjustment by detecting the ambient light. The control circuit 12 reads out the RAM and the like not shown. In step 602, the setting of the automatic volume adjustment is determined. If the automatic volume adjustment by ambient contrast detection is not made in step 602 (NO), the table shown in FIG. 4 in the memory circuit 26 is compared to step 603, and the control circuit ( 12 gives an instruction to output the sound from the speaker 9 through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for special sound data such as intermittent sound read out from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스텝602에서 주위명암검출에 의한 음량자동조정의 설정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YES), 다음에, 스텝604에서, 이 명암검출에 의한 음량자동조정의 반전의 설정을 판단한다. 즉, 정상의 경우는, 밝은 경우에 스피커(9)로부터의 음출력을 대음량으로 자동조정하고, 또, 어두운 경우에 스피커(9)로부터의 음출력을 소음량으로 자동조정한다. 이 반대로 반전설정의 경우는, 밝은 경우에 스피커(9)로부터의 음출력을 소음량으로 자동조정하고, 또, 어두운 경우에 스피커(9)로부터의 음출력을 대음량으로 자동조정한다. 이 반전설정은, 예를 들면,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를 백내에 수납하였을 때의 어두운 상황을 검출할 경우, 스피커(9)에서 대음량으로 자동조정하고, 그 호출을 휴대자가 확실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f the automatic volume adjustment by ambient contrast detection is set in step 602 (YES), then in step 604, the setting of the inversion of the automatic volume adjustment by this contrast detection is determined. That is, in the normal cas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loud volume when it is bright,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noise amount when it is dark. On the contrary, in the inversion sett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amount of noise when it is bright,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9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large volume when it is dark. This reversal setting automatically adjusts the loudspeaker 9 to a large volume when detecting a dark situation when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is stored in the bag, and the portable device can reliably listen to the call. It is to ensure that.

스텝604에서 정상설정의 경우(YES)는, 스텝605에서, 제어회로(12)가 A/D 콘버터(31)를 통하여 포토센서(3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취입한다. 다음에, 스텝606에서, 이 주위명암의 검출신호의 레벨을, 사전에 제어회로(12)의 도시하지 않은 RAM 등에 설정한 임계치X와 비교한다.In the case of normal setting in step 604 (YES), in step 605, the control circuit 12 takes i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hotosensor 30 via the A / D converter 31. Next, in step 606,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mbient contrast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X previously set in RAM or the like not shown in the control circuit 12.

스텝606에서 주위명암검출레벨m이 임계치X를 초과하는 경우(YES), 즉, 주위가 밝은 경우는, 스텝607에서 제어회로(12)의 제어로 음신호생성회로(8)를 지시하고, 스피커(9)로부터의 특수음을 대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이 설정은 음신호생성회로(8)내의 전자볼륨 등을 조정하여 행한다. 이 설정 후에 스텝608에서 제어회로(12)가 톤발생회로(14)로부터 독출한 단속음 등의 특수음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로부터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 따라서, 스텝609에서는 음신호생성회로(8)로 대출력으로 설정된 특수음이 스피커(9)로부터 출력되어, 이 음출력으로 종료된다. 스텝606에서 주위명암검출레벨m이 임계치x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NO), 즉, 주위가 어두운 경우는, 스텝610에 의해, 제어회로(12)의 제어로 음신호생성회로(8)를 지시하고, 스피커(9)로부터의 특수음을 소음량의 출력으로 행하도록 설정한다. 이 설정은 음신호생성회로(8)내의 전자볼륨 등을 조정하여 행한다. 이 설정 후에 스텝611에서 제어회로(12)가 톤발생회로(14)로부터 독출한 단속음 등의 특수음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로부터 음출력하는 지시를 행한다. 따라서, 스텝612에서는 음신호생성회로(8)로 소음량으로 설정된 특수음의 스피커(9)로부터 출력된다.If the ambient contrast detection level m exceeds the threshold value X (YES) in step 606 (that is, if the ambient light is bright),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instruc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12 in step 607, and the speaker Set to output the special sound from (9) at high volume. This setting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electronic volume and the like in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fter this setting, the control circuit 12 instructs, in step 608, to output special sound data such as intermittent sound read out from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Therefore, in step 609, the special sound set to the large output to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output from the speaker 9, and ends with this sound output. If the ambient contrast detection level m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x in step 606 (NO), that is, if the ambient is dark,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instruc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12 by step 610. Then, the special sound from the speaker 9 is set to output the amount of noise. This setting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electronic volume and the like in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After this setting, in step 611, the control circuit 12 instructs to output special sound data such as intermittent sound read out from the tone generating circuit 14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Therefore, in step 612,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outputs from the speaker 9 of the special sound set to the amount of noise.

이 때문에, 특히 어두운 야간 등의 조용한 장소에서의 사용시에 작동적으로 특수음이 소음량으로 스피커(9)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그 이용이 편리하게 된다.For this reason, since the special sound is operatively output from the speaker 9 at the time of use especially in a quiet place, such as a dark night, its use becomes convenient.

또, 이와 같이 2단계의 대소음량의 출력으로 바꿔, 주위명암검출레벨m에 대응하여 스피커(9)로부터의 음출력을 단조증가하도록 가변하여도 좋다.In this way,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9 may be monotonically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ambient contrast detection level m.

스텝604에서, 이 명암검출에 의한 음량자동조정의 반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스텝613에서, 제어회로(12)가 A/D 콘버터(31)를 통하여 포토센서(3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취입한다. 다음에, 스텝614에서, 주위명암검출레벨m과 사전에 제어회로(12)의 도시하지 않은 RAM 등에 설정한 임계치x와 비교한다. 이 스텝614에서 소음검출레벨m이 임계치X를 초과하는 경우(YES), 즉, 주위가 밝은 경우는, 스텝610에서 스텝612까지의 처리를 실행하고, 소음량의 특수음이 스피커(9)에서 출력되어, 이 음출력으로 종료된다. 또, 스텝614에서 소음검출레벨m이 임계치X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NO), 주위가 어두운 경우는, 스텝607에서 스텝609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대출력으로 설정된 특수음이 스피커(9)에서 출력되어, 이 음출력으로 종료된다. 따라서, 음량자동조정의 반전의 설정에서는, 정상설정시의, 주위가 밝은 경우에 대하여, 특수음이 스피커(9)에서 소음량으로 출력되고, 또, 어두운 경우에 특수음이 스피커(9)에서 대음량으로 출력된다. 이 때문에, 어두운 백내에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를 수납하여 사용할 때 등에, 호출음을 휴대자가 청취하기 어려운 경우에, 이 반전설정을 이용하면 편리하다.In step 604, when inversion of the volume automatic adjustment by this contrast detection is set, in step 613, the control circuit 12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hotosensor 30 via the A / D converter 31. do. Next, in step 614, the ambient contrast detection level m is compared with a threshold x previously set in RAM (not shown) of the control circuit 12 or the like. In step 614, when the noise detection level m exceeds the threshold value X (YES), that is, when the surroundings are bright, the processing from step 610 to step 612 is executed, and the special sound of the noise level is carried out by the speaker 9; Output, and the sound output ends. If the noise detection level m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X (NO) in step 614, and if the circumference is dark, the processing of step 609 is executed in step 607. That is, the special sound set to a large output is output from the speaker 9, and it ends with this sound output. Therefore, in the setting of the inversion of the volume automatic adjustment, the special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9 as a noise level in the case of the bright surroundings in the normal setting, and the special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9 in the dark case. Output at high volume. For this reason, it is convenient to use this reversal setting when the caller is hard to hear, for example, when storing and using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in a dark bag.

이 스텝601~스텝614의 처리의 실행 후에는, 제7도로써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506에 의한 판단이 「-1」이 아닌 경우(NO)의, 다음 스텝518에 의해, 「-2」의 판단처리를 실행한다. 이 판단처리에 있어서, 「-2」인 경우은, 상기의 「-1」의 YES의 처리와 똑같이 행하여 「-2」의 처리를 행한다. 즉 스텝601~스텝614와 같은 처리를 하는 동시에, 제4도에 나타낸 멜로디(곡목1)의 데이타를 멜로디발생회로(13)에서 독출하고, 또,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대소의 음량으로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주위의 명암을 검출하여 스피커(9)에서 멜로디에 의한 호출 음량이, 통상 설정치 보다 밝은 경우에 대음량으로 출력되고, 또, 통상 설정치 보다 어두운 경우에 소음량으로 출력된다. 또, 반전설정시에는 스피커(9)로부터의 멜로디에 의한 호출음량이, 밝은 경우에 소음량으로 출력되고, 또, 어두운 경우에 대음량으로 출력한다.After the processing of steps 601 to 614,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when the judgment at step 506 is not " -1 " (NO), the next step 518 shows the " -2 " The judgment process is executed. In this judgment process, when it is "-2", it performs similarly to the process of YES of "-1" mentioned above, and performs the process of "-2". In other words, the same processing as in Step 601 to Step 614 is performed, and data of the melody (song 1) shown in FIG. 4 is read out by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and the speaker 9 is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signal generating circuit 8; ), A process for outputting at a large volume is performed. In other words, the ambient light is detected, and the loudspeaker 9 outputs the call volume by the melody at a higher volume than when it is brighter than the normal setting value, and as a noise level when it is darker than the normal setting value. At the inversion setting, the call volume by the melody from the speaker 9 is output as a noise level when it is bright, and as a loud volume when it is dark.

다음에, 스텝518에서 「-2」가 아닌 경우는, 스텝519에 의해, 「-3」의 판단처리를 실행한다. 이 판단처리에 있어서, 「-3」인 경우는, 상기의 「-1」과 똑같이 행하여 「-3」의 처리를 행한다. 즉, 스텝601~스텝614와 같은 처리를 하는 동시에, 제4도에 나타낸 멜로디(곡목2)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마찬가지로 스텝520에서 「-4」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제4도에 나타낸 멜로디(곡목3)의 데이타를 음신호생성회로(8)를 통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If it is not "-2" in step 518,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3" is performed by step 519. In this judgment process, when it is "-3", it performs similarly to said "-1", and performs the process of "-3". In other words, the same processing as in Step 601 to Step 614 is performed, and the processing for outputting the data of the melody shown in FIG. 4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performed. Similarly, in step 520, a judgment process of "-4" is executed, and a process of outputting the melody (song 3) data shown in FIG. 4 from the speaker 9 via the sound signal generation circuit 8 is performed.

이렇게 하여, 이하 순차로, 스텝521에서 「-5」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4)를 음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스텝522에서 「-6」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5)를 음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스텝523에서 「-7」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6)를 음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524에서 「-8」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7)를 음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후에, 스텝525에서 「-9」의 판단처리를 실행하고, 멜로디(곡목8)를 음출력을 행하여, 이제까지의 처리수순이 종료된다.In this way, in the following steps,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5" is executed in step 521, and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melody (song 4) is executed. In step 522, a judgment process of "-6" is executed, and a process of outputting a melody (song 5) is performed. In step 523, a judgment process of " -7 " is executed, and a process of outputting a melody (song 6) is performed. Next, in step 524, a judgment process of "-8" is executed, and a process of outputting a melody (song 7) is performed. Thereafter, the judgment process of "-9" is performed in step 525, and a melody (song 8) is sound-outputted, and the process so far is ended.

제9도는, 멜로디발생회로(13)를 구성하는 멜로디IC를 교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이 예는 멜로디발생회로(13)를 구성하는 멜로디IC(40)를,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41)의 외부에서 교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멜로디IC(40)의 핀을 당해 선택호출수신장치(41)의 도시하지 않은 소케트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즉, 곡목을 변경한 경우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멜로디IC(40)를 떼내고, 또, 새로운 멜로디IC(40)를 장착한다. 이 장착 후에, 새로운 멜로디IC(40)에 격납된 곡목을 스위치(15)의 조작에 의해서, 순차로, 독출하여 스피커(9)에서 음출력하도록 구성하여, 그 멜로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lody ICs constituting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are replaced. In FIG. 9, this examp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elody IC 40 constituting the melody generating circuit 13 can be exchanged outside of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4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pin of the melody IC 40 is inserted into a socket (not shown) of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device 41 and mounted. That is, when the music piece is changed, the melody IC 40 already attached is removed, and the new melody IC 40 is attached. After the mounting, the music pieces stored in the new melody IC 40 are sequentially read out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5, and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9 so that the melody can be confirmed.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호출절환 메시지에 대응하는 호출종별로서는, 음성합성에 의해서 사전에 정해진 구체적인 메시지의 송출, 표시기에 의한 메시지표시만의 사일렌트모드 등의 각종의 것이 생각된다.In this embodiment, as call types corresponding to each call switching message, various kinds of things, such as the transmission of a specific message predetermined by voice synthesis and the silent mode only for displaying a message by an indicator, are considered.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청구항 1~3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발호측에서 선택호출수신장치의 호출종별을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고, 또, 호출을 행하였을 때의 호출종별(멜로디)에 의해서 발호자의 호출의도를 판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can select and specify the call type of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on the calling side, and the call type (melody) when the call is made. This has the effect of determining the caller's intention.

청구항 4~7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주위의 음 또는 명암을 검출하고, 그 음량 또는 명암레벨에 대응하여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가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용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s 4 to 7 detects the surrounding sound or contrast,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call volu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volume or contrast level,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청구항 8~16기재의 선택호출수신장치는, 멜로디집적회로(IC)를 교환하여, 변경하고, 또, 멜로디의 송출정지시간을 변경하는 동시에, 멜로디를 독출하여 곡목의 확인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호출종별의 멜로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멜로디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그 편리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s 8 to 16 exchanges and changes the melody integrated circuit (IC), changes the transmission stop time of the melody, reads the melody, and confirms the music piece. The melody of the type can be easily confirmed, and the melody can be changed, and the convenience thereof is improved.

또,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개시한 실시예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여러가지의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서 규정되는 범위 및 그 균등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is invention demonstrated the exemplary embodiment, it is clear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missions, and additions are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range defined by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산업상의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택호출수신장치는, 특수음, 진동, 멜로디, 화면표시 등의 각종의 호출종별을 선택하여 무선통신회선망을 통하여 휴대자를 호출하는 무선통신장치로서 매우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selects various call types such as special sounds, vibrations, melodies, and screen display and calls a mobile pers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network.

본 발명은, 특수음, 진동, 멜로디, 화면표시 등의 각종 호출방법(이하, 호출종별로 기재함)를 선택하여 휴대자를 호출하기 위한 선택호출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for calling a mobile phone by selecting various calling methods (hereinafter, described by calling type) such as a special sound, vibration, melody, and screen display.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에 의해서, 보다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또,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는, 발명을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면 중,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not intended to identify the invention but merely to facilitat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drawings,

제1도는 종래의 선택호출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제2도는 본 발명의 선택호출수신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 중의 대조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tching circuit in FIG.

제4도는 제3도 중의 기억회로에 기억한 호출절환메시지와 호출종별과의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table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all switching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circuit of FIG. 3 and a call type.

제5도는 제1실시예의 동작에 있어서, 호출제어에 의한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by call control 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제6도는 호출음량의 자동조정을 행하는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all volume.

제7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에 있어서, 주위의 소음을 검출하여 호출음량을 자동적조정하는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call volume by detecting ambient noise i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제8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에 있어서, 주위의 명암을 검출하여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all volume by detecting ambient light and darkness i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제9도는 멜로디 IC의 교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hange state of the melody IC.

Claims (16)

기지국으로부터의 개별번호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선택호출신호에서 얻어지는 개별번호가 자기장치 앞의 경우, 호출을 행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에 있어서, 사전에 정해진 호출절환메시지에 대응한 호출방법결정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선택호출신호에서 얻어지는 개별번호가 자기장치 앞의 경우에, 상기 선택호출신호에 얻어지는 메시지에서 호출절환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호출절환메시지가 검출된 경우, 검출된 호출절환메시지에 일치되는 호출절환메시지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호출방법결정정보에 의해서 소정의 용건을 시사하는 호출을 행하기 위한 호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In a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that makes a call when the individual number obtained from the selective calling signal including the individual number and the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is in front of the own apparatus, storing the call method deci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all switching message. And a storage means for detecting a call switching message in the message obtained in the selective calling signal when the individual number obtained from the selective calling signal is in front of the magnetic device, and the call switching message is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And a calling means for making a call suggesting a predetermined event by calling method decision information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etected call switching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all switching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호출수단이 행하는 소정의 용건을 시사하는 호출이, 멜로디의 송출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A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all suggest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made by the calling means is made by sending a melody.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동스위치와, 메시지를 기억하기 위한 제2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호출신호수신에 의한 최초의 호출동작종료후에 있어서, 상기 수동스위치에 의한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에 의해서 상기 최초의 호출시에 행하여진 것과 동일한 소정의 용건을 시사하는 호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A manual switch and a second storage means for storing a message are provided, and a predetermined input by said manual switch is terminated after completion of an initial call operation by receiving said selective call signal. And, if any, by means of a message stored in said second storage means, making a call suggesting the same predetermined condition as that made at the time of said first call. 제1항에 있어서, 당해 장치의 주위음을 검출하는 음검출수단과, 상기 음검출수단으로 사전에 정한 임계치 이상의 주위음을 검출하였을 때에 호출수단에서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가변하는 음량자동음량가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2. The volume automatic volume vari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ambient sound of the apparatus and the sound volume automatically changing the call volume in the call means when detecting the ambient sound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by the sound detection means.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제1항에 있어서, 당해 장치의 주위의 명암을 검출하는 명암검출수단과, 상기 명암검출수단으로 사전에 정한 임계치 이상이 밝음 또는 어두움을 검출하였을 때에, 이 밝음 또는 어두움에 대응하여 호출수단에서의 호출음량을 자동적으로 가변하는 음량자동음량가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ntrast of the surroundings of the apparatus and the call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light or the dark when detecting the light or the dar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a volume automatic volume variable stage for automatically varying the call volume. 제5항에 있어서, 명암검출수단 및/또는 음량자동음량가변수단에 의한 동작을 설정하고, 또는 설정을 해제하는 설정해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6.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etting release means for setting or canceling the setting by the contrast detecting means and / or the volume automatic volume variable stage. 제5항에 있어서, 음량자동음량가변수단이, 임계치 이상의 밝음을 검출하였을 때의 호출수단에서의 호출을 자동적으로 대음량으로 설정하고, 또, 임계치 이하의 밝음을 검출하였을 때에 호출수단에서의 호출을 자동적으로 소음량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이 설정을 반전시키는 반전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6. The call mean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volume automatic volume value variable stage automatically sets the call from the calling means when detecting brightness above the threshold value to a large volume and detects light below the threshold value. And inverting setting means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noise level to the noise level and inverting the sett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출수단이 행하는 멜로디의 송출에 멜로디집적회로를 사용하는 동시에, 이 멜로디집적회로를 당해 장치에 교환가능하게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melody integrated circuit is used to transmit the melody performed by the calling means, and the melody integrated circuit is provided in the apparatus so as to be interchangeable. 제1항에 있어서, 호출수단에서의 멜로디를 일정시간 송출하고 정지하는 정지수단과, 상기 정지수단이 멜로디를 송출하고 정지하는 시간의 변경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2.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top means for transmitting and stopping the melody from the calling m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hange in the time at which the stop means sends and stops the melody.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설정수단이 설정하는 정지수단으로부터의 멜로디송출정지까지의 시간을 화면표시하는 시간화면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10.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time screen display means for screen-displaying the time from the stop means set by the setting means to the melody transmission stop. 제1항에 있어서, 시각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시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호출수단에서의 멜로디송출을 개시가능하게 하는 시각설정을 행하는 개시시각설정수단과, 호출수단에서의 멜로디송출의 설정을 정지하는 시각설정을 행하는 정지시각설정수단과, 상기 시각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된 개시시각에서 멜로디송출을 개시가능하게 설정하고, 정지시각에서 멜로디송출의 설정을 해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me means for time-keeping, the display means for time-displaying, the start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time for enabling the melody delivery in the calling means, and the melody-delivery in the calling means are made. A stop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time to stop the setting, 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time, a melody transmission setting at the stored start time so as to be startable, and a control for releasing the melody transmission setting at the stop time; Selective call recep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제11항에 있어서, 기억한 멜로디송출의 개시설정의 개시시각 및 정지시각을 독출표시수단에 화면표시하기 위한 표시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12. 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display setting means for screen-displaying the start time and stop time of the start setting of the stored melody transmission on the read display mea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출수단이 출력하는 멜로디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멜로디를 호출수단에서 출력하는 설정을 행하기 위한 멜로디동작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melody operation setting means for setting a melody output from the calling means in order to confirm the contents of the melody output from the calling means.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출수단이 출력하는 복수의 멜로디 중의 희망하는 멜로디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멜로디선택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The selective call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melody selection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an output of a desired melody among the plurality of melodies outputted by the call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호출수단은 메시지의 문자를 화면표시하는 화면표시수단과, 호출을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수단과, 호출을 음출력하여 보지하는 음보지수단과, 호출을 광표시하여 보지하는 광보지수단과, 호출을 멜로디로 출력하여 보지하는 멜로디보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2. The call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ll means comprises: on-scree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text of the message, vibration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vibrations of the call, note-holding means for sound outputting and holding the call, and light display of the call. And a melody holding means for outputting and holding a call as a melody. 제15항에 있어서, 진동전달수단, 음보지수단, 광보지수단 중의 어느 것 또는 조합을 선택하고, 또, 멜로디보지수단에서의 멜로디보지와 함께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호출수신장치.1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setting means for selecting any one or a combination of vibration transmitting means, sound holding means, and light holding means, and setting them together with the melody holding in the melody holding means. Call receiver.
KR1019940702173A 1993-02-04 1994-02-02 Select call receiver KR9600129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17395A JPH0856188A (en) 1993-02-04 1993-02-04 Selective calling receiver
JP93-017395 1993-02-04
PCT/JP1994/000145 WO1994018760A1 (en) 1993-02-04 1994-02-02 Select call rece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974B1 true KR960012974B1 (en) 1996-09-25

Family

ID=119428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173A KR940704087A (en) 1993-02-04 1994-02-02 Selective Call Receiver
KR1019940702173A KR960012974B1 (en) 1993-02-04 1994-02-02 Select call receiv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173A KR940704087A (en) 1993-02-04 1994-02-02 Selective Call Receiv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856188A (en)
KR (2) KR940704087A (en)
CN (1) CN1066595C (en)
WO (1) WO199401876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5720A (en) * 1994-10-28 1996-05-17 Sony Corp Receiver
DE69713190T2 (en) * 1996-03-13 2003-01-16 Nec Corp Call reception message for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ound melody put together by the user
JPH104572A (en) * 1996-06-14 1998-01-06 Nec Shizuoka Ltd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19990057179A (en) * 1997-12-29 1999-07-15 김영환 Method of identifying a caller of a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66267B1 (en) * 1998-12-22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Ringing Method According to Short Message Service Type
JP2000224269A (en) * 1999-01-28 2000-08-11 Feisu:Kk Telephone set and telephone system
JP3489537B2 (en) 2000-05-16 2004-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Function call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by keyword detection
JP2007096581A (en) * 2005-09-28 2007-04-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222534B2 (en) * 2007-11-16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Emergency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emergency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transmission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931A (en) * 1984-10-02 1986-04-30 Nec Corp Receiver for calling individual in radio
JPS63185332U (en) * 1987-05-21 1988-11-29
JPH0227821A (en) * 1988-07-18 1990-0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Radio calling receiver
JPH02130140U (en) * 1989-03-31 1990-10-26
JPH0318136A (en) * 1989-06-15 1991-01-25 Nippondenso Co Ltd Radio paging receiver wtih alarm control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704087A (en) 1994-12-12
JPH0856188A (en) 1996-02-27
CN1066595C (en) 2001-05-30
WO1994018760A1 (en) 1994-08-18
CN1101215A (en) 1995-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9759A (en) Melody paging apparatus
JP2002244686A (en) Voice processing method, and telephone and repeater station using the same
JPH08125720A (en) Receiver
KR960012974B1 (en) Select call receiver
US20030027605A1 (en)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capable of informing with varied contents for ringing
JP433409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1025062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JP450254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JP4093103B2 (en) Telephone equipment
JP2010177961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0184013A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camera
JP2002033790A (en) Telephone equipment
KR100203970B1 (en) Paging system adapted to be called from cordless phone
KR100186712B1 (en) Receiver display device
KR20030018951A (en) Method for soundly outputting Call Number Service
KR100557164B1 (en) Method for serving class schedule in the portable terminal
JP3042819B2 (en) Telephone equipment
KR20010003647A (en) Method for anouncing input telephon number in digital portable telephone
JP2000134322A (en) Telephone set
JPH11205863A (en) Mobile radio equipment with speech state notice function
JP2000013532A (en) Telephone call system
JP2004104550A (en) Communication terminal unit and method of setting incoming mode
JP2000078270A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0197135A (en) Portable telephone set
JPH0795111A (en) Specific small power trans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