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127B1 - 방습필름 - Google Patents

방습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127B1
KR960010127B1 KR1019890018001A KR890018001A KR960010127B1 KR 960010127 B1 KR960010127 B1 KR 960010127B1 KR 1019890018001 A KR1019890018001 A KR 1019890018001A KR 890018001 A KR890018001 A KR 890018001A KR 960010127 B1 KR960010127 B1 KR 96001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transparent
thin film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276A (ko
Inventor
즈토무 사와다
신이치 오하시
시게노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미우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미우라 아끼라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73Next to addition polymer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10T428/31576Ester monomer type [polyvinylacet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98Next to silicon-containing [silicone, cement, et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or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2Next to vinyl or vinylidene chloride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방습필름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습필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중심층B : 보호층
C : 밀봉층1 :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2, 4 : 규소산화물박막3, 5 : 보호용층 필름
a : 접착제층
본 발명은 고도의 방습성능을 가지는 플라스틱 방습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투명하고, 수증기 중의 가스를 거의 투과시키지 않으며,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용 EL소자 등의 패키지(package)필름에 적합한 고도의 방습성능을 가지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는 저소비 전력이라는 최대의 특징을 살려서 디지탈워치 및 전자식 탁상계산기 등의 디지탈플레이용 소자로서 정착하여 액정게임이 등장함에 따라 폭발적으로 수요가 확대되었고, 그 후 차재용(車載用), 악기용, OA용, FA용 등 용도가 다양화되고 있었다.
한편, 유기분산용의 엘렉트로라미네센스(EL)소자는 박형(薄型), 경량의 특징을 살려 액정표시소자용의 값싼 평면발광의 백라이트(보조광원)로서 용도가 넓어지고 있었다. 유기분산형의 EL소자는 ZnS, Mn; ZnS; Cu등의 촉광물질의 발광휘도(發光輝度)가 흡수된 습기에 의하여 현저히 손상되기 때문에 방습성능이 우수한 투명한 필름으로 패키지되어 사용되어야 했다.
종래,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로서 사용된 유기분산형의 EL소자의 패키지로는 불소화수지필름, 특히 폴리염화삼불화에틸렌(PCTFE)를 주체로 한 적층필름이 우수한 방습성능, 투명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상응되어 왔었다.
상기 유기분산형의 EL소자용 패키지 필름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70 내지 300㎛정도의 PCTFE 필름에 가열밀봉용 밀봉제로서 두께가 20 내지 100㎛ 정도의 폴리올레핀을 적층시킨 필름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 필름은 수증기를 거의 투과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의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중에서는 가장 방습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또한, 최근에는 투명한 플라스틱기재 필름의 표면의 금속산화물 특히 규소, 또는 알루미늄계의 투명한 산화물 박막을 설치한 투명플라스틱필름이 가스베리어성 포장재로서 상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분산형 EL소자의 종래 패키지용 필름인 불소화수지 필름, 특히 폴리염화삼불에틸렌(PCTFE), 을 주체로 한 적층필름은 지극히 고가이기 때문에 백라이트의 제조코스트가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PCTFE을 주체로 한 적층필름은 분위기의 온도가 50℃를 넘으면, 그의 방습성능이 상당히 열화되기 때문에 고온하에서의 EL소자의 수명이 극단적으로 짧아지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액정디스플레이의 제조코스트를 낮추고, 성능도 상승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백라이트용 유기분산형 EL소자의 패키지필름으로서 PCTFE보다 값이 싸고 방습성능이 우수한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었다.
또한, 투명한 플라스틱기재필름의 표면에 금속산화물의 투명한 박막을 설치한 투명플라스틱필름은 그 상태 그대로는 방습성능이 충분치 못하여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용 유기분리형 EL소자의 패키지 필름으로서는 사용되기에 어려웠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폴리비닐알코올 필름상에 규소산화물박막을 형성시킨 필름이 우수한 투명성 및 방습성을 가짐과 동시에 이 필름을 규소산화물 박막을 갖는 다른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으로 보호시킴에 따라 고온, 다습한 분위기하에서도 안정된 방습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시키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우수한 투명성, 방습성을 가지며, 강도 및 경제성면에서도 우수하고, 특히 고도의 방습성능이 요구되는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용 EL소자등의 패키지필름으로서 적합한 재료로 제공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a) 점화도가 99%몰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로 된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 위에 규소화산화물박막을 갖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중심층(A)와, (b)적어도 한쪽면위에 투명한 규소산화물박막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을 적어도 1개의 층으로 포함하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B)으로 되어 있되 상기의 중심층(A)의 한쪽면 위에 상기의 보호층(B)의 접합되어 있는 적층구조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필름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규화도가 99몰%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로 된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 위에 규소화산화물박막을 갖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중심층(A)와, (b)적어도 한쪽면위에 투명한 규소산화물박막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적어도 1개의 층으로 포함하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B)과, 밀봉가능한 수지로 된 밀봉층(C)으로 되어 있되 상기의 중심층(A)의 한쪽면위에 접합된 보호층(B)중심층(A)의 다른 한쪽면위에 접합된 밀봉층(C)이 적층구조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필름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의 방습필름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제1구현예의 방습필름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은 중심층(A)과 상기 중심층(A)의 한쪽면위에 접합된 보호층(B)으로 이루어진 적층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구현예의 방습필름은 상기 중심층(A)과, 상기 중심층(A)의 한쪽면위에 접합된 보호층(B) 및 상기 중심층(A)의 다른쪽면 위에 접합된 밀봉층(C)으로 이루어진 적층구조로 되어 있다.
(1) 중심층(A)
본 발명에 따른 방습필름에 있어서, 중심층은 감화도가 99몰% 이상의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라 한다)로 된 폴리비닐알코올필름(이하 「PVA 필름」이라 한다)의 적어도 한쪽면 위에 투명한 규소산화물 박막(이하, 「SO 박막」이라 한다)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필름인 것이다.
PVA 필름표면에 형성된 SO 박막중 규소산화물의 규소결합에너지는 이 박막두께 방향에 대하여 특이한 값을 나타내게 되며, PVA필름 근방부에서 표층부나 중앙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PVA필름 이외의 필름표면에 형성된 SO 박막에 비하여 특별히 고도의 방습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층의 PVA 필름은 감화도가 99몰% 이상인 PVA로 이루어지도록하는 것이 필요한 바, 만일 99몰% 미만의 감화도를 갖는 PVA로 형성시킨 필름인 경우에는 이 필름 표면에 SO 박막을 형성시켜도 우수한 방습성능을 얻을 수가 없게 된다.
PVA 필름은 미연신필름이거나, 연신필름이어도 좋은데, 필름강도 및 방습성능면에서 연신필름, 특히 3×3배 정도 연신된 2축연신필름이 바람직하다.
PVA 필름표면에 형성되는 SO 박막은 필름의 한쪽면에만 형성시키거나, 양면에 형성시켜도 상관없으나, 고도의 방습성능을 오랫동안 유지시키시 위해서는 오히려 보호층을 적층시키게 되는 면에만 형성시키는 편이 좋다.
PVA 필름 표면에 SO박막을 형성시키려면, 일산화규소, 이산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증착원료로 하여 진공증착법, 스펏터링법, 또는 이온플레이팅법 중 한가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증착원료로로서 일산화규소, 이산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산소가스를 공급하면서 실시하는 반응증착법도 체용할 수가 있다.
PVA 필름 표면에 SO 박막을 형성시키는데 앞서서 박막과 필름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앵커코트(anchor coat)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앵커코트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틸렌이민계, 유기티탄계등의 접착촉진제 및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등의 접착제들을 들 수가 있다. 또, 앵커코트제로서 폴리에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무용제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해도 좋다.
SO 박막을 형성시킨 PVA로 된 기재필름의 두께는 5 내지 400㎛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1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O 박막은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그속에 불순물로서 칼슘, 마그네슘 또는 그들의 산화물 등이 혼입되어 있어도 목적하는 방습필름의 방습성능이 극단적으로 저하되지는 않게 된다.
PVA로 된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형성된 SO박막의 두께는 100 내지 5000Å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SO 박막의 두께가 100Å 미만으로 되면, 방습성능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고, 5000Å이 넘게되면 필름에 커얼(curl)이 발생하게 되어 투명한 박막 자체가 균열 및 박리가 생기기 쉬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 중심층(A)은 상기 PVA필름의 한쪽면에 투명한 SO 박막을 갖는 투명필름 1매로 된 단층제, 또는 PVA 필름의 한쪽면에 투명한 SO 박막을 갖는 투명필름 2매 이상을 투명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적층시킨 적층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접착제로서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2) 보호층(B)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A)의 한쪽면에, 바람직하게는 SO박막을 갖는 별도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적어도 1개층 포함하는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으로 된 보호층(B)이 적층되게 된다.
보호층(B)을 구성하는 상기 SO 박막을 갖는 플라스틱필름의 SO 박막은 긁히거나 찌그러짐에 의하여 방습성능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적층제 외부표면에 노출되어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B) 중에 적어도 1개층이 함유되는 SO 박막을 가지는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은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의 흡수성이 적은 플라스틱으로 된 2축연신필름을 기재필름으로 하고, 적어도 그 한쪽면에 SO 박막을 설치한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SO 박막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상기의 PVA 필름 표면에 SO 박막을 형성시킬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면 된다.
보호층(B)으로서는 해당 SO 박막을 갖는 투명필름만이 단층체, 해당 필름을 2매이상 적층시킨 적층제 또는 이들 단층제 또는 적층체의 SO 박막면을 SO 박막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투명필름으로 피복시킨 피복적층체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보호층(B)을 상기와 같이 적층체 또는 피적층체인 경우에는 적층용 접착제로서 우레탄계,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3) 밀봉층(C)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필름에 있어서는, 중심층(A)의 다른쪽면, 바람직하게는 PVA 필름측의 면에는 가열 밀봉, 초음파밀봉, 고주파밀봉 등의 종래 공지의 밀봉가능한 밀봉층을 적층시킬 수 있다.
이 밀봉층은 밀봉가능한 수지로 되며, 접착적층된 필름 또는 압출 라미네이트된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특히, 가열밀봉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설치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간단히 밀봉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열밀봉가능한 밀봉층으로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산염 공중합체(아이오노머)등의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EL 소자용 패키지 필름등 고도한 방습의 용도에는 밀봉면으로부터의 투습을 막는다는 뜻에서 에틸렌-아크릴산공중합체(EAA), 에틸렌-아크릴레이트(EEA)가 바람직하다.
(4) 적층구조의 형성
보호층(B) 또는 보호층(B) 및 밀봉층(C)을 중심층(A)면에 접합시킬 경우에는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을 이용하는 드라이라미네이트법 및 압출라메네이트법 등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밀봉층(C)으로서 필름을 접합시키는 경우, 이 필름은 미연신된 것 그리고 일축 또는 2축연신된 것 중 어느것도 좋다. 밀봉층의 적층순서는 중심층(A)의 SO 박막을 형성시키기전이든 후이든 상관없다.
포장하는 내용물에 따라서는 방습필름의 성능으로서 방습성능이외에 자외선 차단성능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 의한 방습필름으로는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차단성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심층(A)에 상기 보호층(B) 또는 보호층(B) 및 밀봉층(C)을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시킬 때 접착제층의 자외선흡수성능을 갖는 물질을 첨가해 둠에 따라 자외선차단성능을 갖는 방습필름을 억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흡수제로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계 등 시판되는 것이 1종 또는 몇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자외선흡수성능에 의해 자외선흡수제의 사용량이 결정되게 된다. 또한, 자외선차단성능은 층(A) 내지 (C)형성필름으로서 자외선흡수층을 가지는 물질을 배합시킨 것을 사용함에 따라 부여시킬 수 있음은 말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습필름의 두께는 강도, 유연성, 경제성등의 점에서 5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μ의 두께가 좋다. 접착제층을 제외한 각층의 두께비는 (A) : (B) : (C)가 1 :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층(A)과 보호층(B)과의 사이 또는 중심층(A)과 밀봉층(C)과의 사이에 전체두께를 조정하기 위하여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개재시키게 되는 플라스틱필름은 투명한 경우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보호층(B)을 형성시키는 플라스틱필름과 동일한 종류의 것이 보통 사용되게 된다. 개재시키는 플라스틱필름의 두께는 방습필름 전체의 두께와의 관계에서 선택되게 된다.
(5) 본 발명에 따른 방습필름의 구체예
예시도면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습필름의 적층구조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방습필름의 기본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중심층(A)은 PVA 필름(1)의 한쪽면위에 투명한 SO 박막(2)을 갖는 투명필름의 단층체로 이루어지며, 그의 SO 박막(2)쪽에는 투명한 플라스틱필름(3)의 한쪽면위에 투명한 SO 박막(4)을 갖는 투명필름의 단층체로된 보호층(B)이 SO 박막(4)을 내측으로 해서 접착제층(a)을 통해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방습 필름의 다른 구조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중심층(A)의 SO 박막(2)쪽에 투명한 플라스틱필름(3)의 한쪽면에 투명한 SO 박막(4)을 갖는 투명필름 2매가 접착적층된 적층제로 된 보호층(B)이 SO 박막(4)을 내측으로 해서 접착제층(a)을 통해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방습필름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중심층(A)의 SO 박막(2)쪽에 투명한 플라스틱필름(3)의 한쪽면에 투명한 SO 박막(4)을 가지는 투명필름의 SO 박막(4)쪽에 SO 박막을 갖지않는 투명필름(5)을 접착적층시킨 적층제로된 보호층(B)이 플라스틱필름(3)을 내측으로 해서 접착제(a)를 통해 적층시켜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구현에 따른 방습필름의 또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중심층(A)은 PVA 필름(1)의 한쪽면에 투명한 SO 박막(2)을 가지는 투명필름을 가지는 투명필름을 2매 접착적층시킨 적층제로 되어 있고, 그 SO 박막(2)쪽에는 투명한 플라스틱필름(3)의 한쪽에 투명한 SO 박막(4)을 가지는 투명필름 2매와 SO 박막을 갖지 않는 투명필름(5)등을 순서대로 접착적층시킨 적층제로 된 보호층(B)이 플라스틱필름을 내측으로 하여 접착제층(a)을 통해서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5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방습필름의 적층구조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5도는 제2구현예에 따른 방습필름의 기본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예시도면 제1도에 나타낸 방습필름의 중심층에 있는 PVA 필름(1)쪽에 접착제층(a)을 통해 밀봉가능한 수지로 된 밀봉층(C)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방습필름의 다른 구조예로서, 제2도에 표시한 방습필름의 중심층의 PVA필름(1) 측면에 접착제층(a)을 통해 밀봉가능한 수지로된 밀봉층(C)이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방습필름의 또다른 구조예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방습필름의 중심층의 PVA필름(1)쪽에 접착제층(a)을 통해 밀봉가능한 수지로 된 밀봉층(C)이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방습필름의 또 다른 구조예로서, 중심층(A)은 PVA 필름(1)의 한쪽면위에 투명한 SO 박막(2)을 가지는 투명필름으로 된 것이며, 그 SO 박막(2)쪽에는 투명한 플라스틱필름(3)의 한족면에 투명한 SO 박막(4)을 가지는 투명필름 2매와 SO박막을 갖지 않는 투명필름(5)등을 순서대로 접착적층시킨 적층제로된 보호층(B)이 플라스틱필름(3)을 내측으로 해서 접착제층(a)을 통해 적층되며, 중심층(A)의 PVA 필름(1)쪽에는 접착제층(a)을 통해 밀봉가능한 수지로 된 밀봉층(C)이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방습필름의 또 다른 구조예로서, 제4도에 표시한 방습필름의 중심층의 PVA 필름(1)쪽에 접착제층(a)을 통해 밀봉가능한 수지로 된 밀봉층(C)이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다.
(6) 본 발명에 따른 방습필름의 기능해석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습필름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설명은 본 발명의 보다 좋은 이해를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다음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습필름에서는 중심층(A), 구체적으로는 중심층(A)의 PVA 필름 표면에 형성된 SO 박막이 보호층(B), 즉, PVA필름과는 다른 필름표면에 SO 박막을 형성시킨 플라스틱필름을 포함한 적층으로 보호시킴에 따라, 고온영역에서도 극히 우수한 방습성이 실현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PVA 필름표면에 형성된 SO 박막의 규소결합 에너지는 필름 근방부에 있어서 표층부나 중앙부 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며, 이러한 SO 박막을 가지는 PVA 필름은 상온하에서는 우수한 방습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고온, 다습한 분위기하에서는 PVA 필름이 흡습하여 칫수변화를 일으킴에 따라 표면의 SO 박막이 파괴되고, 모처럼의 방습성이 손상되게 된다.
이 문제는 PVA 필름을 보호필름으로 보호함에 따라 해결될 수 있으나, 보통의 필름 또는 PVDC 필름, PVDC를 코팅시킨 필름등으로는 고습시의 방습성능의 열화가 현저하여 50℃이상에서는 PVA 필름의 흡습방지 효과는 거의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 보호층(B)으로서 사용되는 규소산화물 박막을 가지는 플라스틱필름을 포함하는 필름은 고온영역에서도 중심층의 투명필름을 유효하게 보호하며, SO 박막을 가지는 PVA 필름이 우수한 방습성능이 고온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 얻어진 필름의 흡습도 및 투명성은 다음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며, 규소산화물의 투명한 박막의 두께는 수정식막두께 게기에 의하여 측정한다.
(1) 필름의 투습도(gr/m2·24H)
방습필름에서 100×100mm의 3방향 밀봉주머니를 작성하고, 주머니속에 흡습제로서 과립상의 무수염화칼슘 30g을 충진시킨 뒤 나머지 한쪽면을 밀봉시켜서 샘플을 만든다.
상기 샘플을 각각 10개씩 40℃×90% RH, 50℃×90% RH, 60℃×90% RH의 분위기하에 약 500시간 방치하여 두고, 전체의 중량변화에서 방습필름의 투습도를 구한다.
(2) 필름의 투명성(%)
히다찌제작소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가시광에 의한 필름의 광선투과율을 측정하여 550nm에서의 광선투과율을 필름의 투명성으로 한다.
실시예 1
감화도 99.9%의 PVA필름(연신배율 3×3배, 2축연신, 두께 12μ)의 표면에 5×10-5토르의 진공하에서 전자빔의 가열방식으로 순도 99.9%의 일산화규소(SiO)를 가열증발시켜 PVA 기재필름의 한쪽면에 두께 1600Å의 규소산화물의 투명한 박막을 형성시켜 투명필름(A)을 얻었다.
한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필름(이하 PET 필름이라 한다)(연신배율 3×3배, 2축연신, 두께 12μ)의 한쪽면에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두께 1000Å의 규소산화물을 형성시켜 투명한 플라스틱필름(B)을 얻었다.
필름(B)의 SO 박막면과 필름(A)의 SO 박막면 끼리를 우레탄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여 제1도에 표시한 투명한 2층형태의 적층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관한 상기 방법에 의거 투습도 및 투명성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감화도 99.9몰%의 PVA필름 대신에 감화도가 99.0%몰의 PVA 필름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2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PVA 필름표면의 SO 박막의 두께를 200Å로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2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투명한 플라스틱필름(B) 대신에 이 투명한 플라스틱필름(B) 2매를 우레탄 접착제에 의해 적층시킨 적층체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3층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얻어진 2층형태의 적층플라스틱필름의 PVA 필름면쪽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필름(이하 EVA 필름이라 한다. 무연신, 두께 60㎛)을 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고,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밀봉층을 접합시켜 3층형태의 투명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서 얻어진 2층형태의 적층플라스틱필름의 PVA 필름면쪽에 EVA필름(무연신, 두께 60㎛)을 우렌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고,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밀봉층을 접합시켜 3층형태의 투명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서서 얻어진 2층형태의 적층플라스틱필름의 PVA 필름면쪽에 EVA필름(무연신, 두께 60㎛)을 우렌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고,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밀봉층을 접합시켜 3층형태의 투명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4에서서 얻어진 2층형태의 적층플라스틱필름의 PVA 필름면쪽에 EVA필름(무연신, 두께 60㎛)을 우렌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고,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밀봉층을 접합시켜 4층형태의 투명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SO 박막을 갖는 PVA 필름(필름 A)의 보호필름으로서 SO 박막을 갖지 않는 PET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2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SO 박막을 갖는 PVA 필름(필름 A) 대신에 SO 박막을 갖지 않는 PVA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2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감화도가 99.9몰%의 PVA필름대신에 감화도가 94.0몰%의 PVA 필름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2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중심층의 PVA 필름 대신에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2층 구조의 투명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5에서 SO 박막을 갖는 PVA 필름(필름 A)의 보호필름으로서 SO 박막을 갖지 않는 PVA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3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5에서 SO 박막을 갖는 PVA 필름 대신에 SO 박막을 갖지 않는 PVA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3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5에서 감화도가 99.9몰%의 PVA 필름 대신에 감화도가 94.0몰%의 PVA 필름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3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실시예 5에서 중심층의 PVA 필름 대신에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5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3층 구조의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폴리염화삼불에틸렌필름(日東電工製 「니트론」, 밀봉부, 총뒤께 250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내지 10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종류의 필름(A), 즉, PVA 필름의 한쪽면위에 SO 박막을 갖는 투명필름(1매)를 중심층으로 하고, 이 중심층의 SO 박막면쪽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종류의 필름(B) 즉, PET필름의 한쪽면에 SO 박막을 가지는 투명필름 2매(실시예 9) 또는 실시예 3매(실시예 10) 및 SO 박막을 갖지 않는 PET 필름(2축연신 두께 10㎛)를 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적층제를 보호층으로 접합하고, 또는 상기 중심층의 PVA 필름면에는 에틸렌-에틸알킬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이하 EEA 필름이라 한다. 무연신, 두께는 40㎛)을 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시키고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밀봉층을 접합시킨 2종류의 투명한 적층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종류의 필름(A)을 중심층으로 하고, 이 중심층의 SO 박막면쪽에 PET 필름(2축연신, 두께 10㎛)의 한쪽면에 SO 박막을 갖는 투명필름을 보호층으로 하여 SO 박막면끼리 접하게 되는 형태로 우레탄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고, 또 상기 중심층의 PVA 필름면쪽에는 실시예 9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여 EEA 필름으로 된 밀봉층을 접합하여 제5도에 나타낸 형태의 투명한 적층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내지 14
실시예 9에서, 중심층의 SO 박막의 두께를 200㎛로 한것(실시예 12), 보호층의 SO 박막 두께를 200㎛로 한것(실시예 13) 또는 밀봉층의 두께를 80㎛로 한것(실시예 14)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밀봉층을 접합시킨 3종류의 투명한 적층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각각의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내지 16
실시예 9에서 PVA 필름 한쪽면에 SO 박막을 갖는 투명필름 2매(실시예 15) 또는 3매(실시예 16)을 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시킨 것을 중심층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제9도와 같은 형태로 각각 밀봉층을 접합시킨 2종류의 투명한 적층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내지 18
실시예 9에서, 한쪽면에 SO 박막을 갖는 PET 필름 대신에 한쪽면에 SO 박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필름(이하 OPP 필름이라 한다. 2축 연신, 두께 20㎛)을 이용한 것(실시예 17) 또는 SO 박막을 갖지 않는 PET 필름 대신에 SO 박막을 갖지 않는 OPP 필름(2축연신, 두께 40㎛)을 이용한 것(실시예 18)외에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의 각 밀봉제층을 접합시킨 2종류의 투명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각각의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내지 20
실시예 9에서의 중심층의 SO 박막의 두께를 50㎛로 한것(실시예 19), 보호층의 SO 박막 두께를 50㎛로 한것(실시예 13)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제8도와 같은 형태의 각 밀봉체층을 접합시킨 2종류의 투명한 적층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각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0 내지 11
실시예 9에서의 PVA 필름 한쪽면에 SO 박막을 갖는 투명필름으로 된 중심층 대신에 PET 필름(2축연신, 두께 12㎛)의 한쪽면에 SO 박막을 가지는 투명필름(비교예 10) 또는 OPP 필름(2축연신 두께 20㎛)의 한쪽면에 SO 박막을 갖는 투명필름(비교예 10), 또는 OPP 필름(2축 연신, 두께 20㎛)의 한쪽면에 SO 박막을 갖는 투명 필름(비교예 10)을 중심층으로 한 것외에는 상기 실시예 9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8도와 같은 형태의 각각 밀봉층을 접합시킨 2종류의 투명한 적층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각각의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내지 13
실시예 9에서 SO 박막을 갖지 않는 PVA 필름을 중심층으로 한 것(비교예 12), 또는 SO 박막을 갖지 않는 PET 필름만으로 된 투명필름을 보호층으로 한것(비교예 13)외에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제8도와 1에서와 같은 형태로 평가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표 1및 표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습필름은 비교예의 필름에 비하여 고온다습한 조건하에서도 우수한 방습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6)

  1. (a) 규화도가 99몰%의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로 된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 위에 규소산화물박막을 가지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중심층(A)와, (b)적어도 한쪽면위에 투명한 규소산화물박막을 가지는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적어도 1개의 층으로 함유하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B)으로 되어 있되, 상기의 중심층(A)의 한쪽면 위에 상기의 보호층(B)이 접합되어 있는 적층구조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규소산화물 박막은 스펏터링법과, 이온플레이팅법중에서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심층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은 그 두께가 5 내지 400㎛의 범위이고, 규소산화물 박막의 두께는 100 내지 5000Å의 범위이고, 이들 전체의 두께는 10 내지 5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필름.
  4. (a) 규화도가 99몰%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로 된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 위에 규소산화물박막을 가지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중심층(A)과, (b)적어도 한쪽면위에 투명한 규소산화물 박막을 가지는 투명한 플라스틱필름을 적어도 1개의 층으로 함유하는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B)과 (C) 밀봉가능한 수지로 된 밀봉층(C)으로 되어 있되, 상기 중심층(A)의 한쪽면 위에 상기의 보호층(B)이 접합되어 있고, 다른쪽면 위에는 상기의 밀봉층(C)이 접합되어 있는 적층구조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규소산화물 박막은 스펏터링법과 이온플레이팅법중에서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중심층의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은 그 두께가 5 내지 400㎛의 범위이고, 규소산화물 박막의 두께는 100 내지 5000Å의 범위이고, 보호층과 밀봉층의 총두께는 5 내지 400㎛의 범위이며, 이들 전체의 두께는 10 내지 5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필름.
KR1019890018001A 1988-12-05 1989-12-05 방습필름 KR960010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759188 1988-12-05
JP63-307591 1988-12-05
JP88-307591 1988-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276A KR900009276A (ko) 1990-07-04
KR960010127B1 true KR960010127B1 (ko) 1996-07-26

Family

ID=1797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001A KR960010127B1 (ko) 1988-12-05 1989-12-05 방습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12673A (ko)
EP (1) EP0372489B1 (ko)
KR (1) KR960010127B1 (ko)
CA (1) CA2004663A1 (ko)
DE (1) DE6892170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5575B1 (en) * 1990-10-17 1997-12-2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Heat-resistant moisture-proof film
CH684069A5 (de) * 1991-11-29 1994-07-15 Alusuisse Lonza Services Ag Verpackungen aus Kunststoffolienverbunden.
EP0550039B1 (en) * 1991-12-26 1998-03-18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A gas barrier film
US5804300A (en) * 1991-12-28 1998-09-08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DE69225315T2 (de) * 1991-12-28 1998-11-19 Toppan Printing Co Lt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laminiertem verpackungsmaterial
CH683683A5 (de) * 1992-05-22 1994-04-29 Alusuisse Lonza Services Ag Kunststoffolienverbunde und Verpackungen.
EP0598922B1 (en) * 1992-06-16 1998-09-02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of manufacturing a package
TW267975B (ko) * 1992-10-20 1996-01-11 Toppan Printing Co Ltd
US5670224A (en) * 1992-11-13 1997-09-23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Modified silicon oxide barrier coatings produced by microwave CVD deposition on polymeric substrates
CH687614A5 (de) * 1994-02-04 1997-01-15 Tetra Pak Suisse Sa Verfahren zum Versehen einer Verpackung mit hervorragenden Sperreigenschaften in bezug auf Gase.
CH687613A5 (de) * 1994-02-04 1997-01-15 Tetra Pak Suisse Sa Verfahren zum Versehen einer Verpackung mit hervorragenden Sperreigenschaften.
ES2112442T3 (es) * 1994-05-04 1998-04-01 Showa Denko Kk Producto estratificado de barrera a los gases y material de envasado termosellable que lo contiene.
WO1997016053A1 (de) * 1995-10-20 1997-05-01 Robert Bosch Gmbh Elektrolumineszierendes schichtsystem
CA2249457A1 (en) * 1996-04-12 1997-10-23 Danisco A/S A packaging material with an o2 barrier
US6432516B1 (en) 1997-04-17 2002-08-13 Kureha Kagaku Kogyo K.K. Moistureproofing film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
US6146225A (en) * 1998-07-30 2000-11-14 Agilent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flexible permeability barrier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DE10025321A1 (de) * 2000-05-22 2002-01-10 Wolff Walsrode Ag Folienlaminate als Hochbarrierefolien und deren Verwendung in Vakuumisolierpaneelen
DE10047043A1 (de) * 2000-09-22 2002-04-11 Wolff Walsrode Ag Folienlaminate als Hochbarrierefolien und deren Verwendung in Vakuumisolierpaneelen
EP1384571B1 (en) * 2001-04-09 2008-12-10 Toppan Printing Co., Ltd. Laminated body
JP2003141719A (ja) * 2001-10-30 2003-05-16 Anelva Corp スパッタリング装置及び薄膜形成方法
US7029734B1 (en) * 2002-08-20 2006-04-18 Curwood, Inc. Packaging film, package and process for aseptic packaging
US7252878B2 (en) * 2002-10-23 2007-08-07 Toray Plastics (America), Inc. High barrier flexible packaging structure
DE10254172B4 (de) * 2002-11-20 2005-07-21 Kuhne Anlagenbau Gmbh Mehrschichtige, flächen- oder schlauchförmige Nahrungsmittelhülle oder -folie
JP4240455B2 (ja) * 2002-12-13 2009-03-18 株式会社細川洋行 包装材料
BRPI0412702A (pt) * 2003-07-18 2006-09-2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laminado para acondicionamento com barreira de gás, recipiente para acondicionamento, e, método de manufatura de um laminado para acondiconamento
DE10343668A1 (de) * 2003-09-18 2005-04-14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rzneimittelblister
US7758936B2 (en) * 2003-09-18 2010-07-20 Boehringer Ingelheim Gmbh Pharmaceutical blister
EP1676700B1 (en) * 2003-10-22 2014-09-10 Toppan Printing Co., Ltd. Multilayer film
US20050123748A1 (en) * 2003-12-03 2005-06-09 Paris Dean S. Laminated sheet for supports
DE102004028756A1 (de) * 2004-06-16 2005-12-29 Wipak Walsrode Gmbh & Co. Kg Folienlaminat mit wenigstens einer Diffusionssperrschicht und deren Verwendung bei Vakuumisolationspaneelen im Baubereich
DE102004028839A1 (de) * 2004-06-16 2005-12-29 Wipak Walsrode Gmbh & Co. Kg Folienlaminat mit wenigstens einer Diffusionssperrschicht und deren Verwendung bei Vakuumisolationspaneelen
SE0402197D0 (sv) * 2004-09-10 2004-09-1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A polymer film, a packaging laminate comprising the polymer film, a packaging container formed from the packaging laminate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film
ES2307110T3 (es) * 2005-03-24 2008-11-16 SCHREINER GROUP GMBH & CO. KG Elemento electroluminiscente.
WO2007026751A1 (ja) * 2005-08-31 2007-03-08 Mitsubishi Plastics, Inc.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US20070254147A1 (en) * 2005-09-05 2007-11-0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olymer Film, a Packaging Laminate Comprising the Polymer Film, a Packaging Container Formed from the Packaging Laminate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Film
EP2008808A4 (en) * 2006-04-14 2010-06-02 Mitsubishi Plastics Inc GAS BARRIER LAMINATE
US20090029147A1 (en) * 2006-06-12 2009-01-29 Aspen Aerogels, Inc. Aerogel-foam composites
DE102009003225A1 (de) * 2009-05-19 2010-11-25 Evonik Degussa Gmbh Transparente, witterungsbeständige Barrierefolie, Herstellung durch Lamination, Extrusionslamination oder Extrusionsbeschichtung
CN102538608A (zh) * 2011-12-26 2012-07-04 苏州工业园区广福汽保机电设备有限公司 汽车用内窥镜探测头标尺
EP3317099B1 (en) 2015-07-03 2021-10-06 Amcor Flexibles Kreuzlingen AG Flexible multilayer packaging film with ultra-high barrier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21928A1 (fr) * 1978-02-13 1979-11-02 Rhone Poulenc Ind Composition polymere de revetement et son emploi pour la fabrication d'emballages stratifies
JPS6151332A (ja) * 1984-08-20 1986-03-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耐透湿性を有する透明合成樹脂体
JPS6183029A (ja) * 1984-09-29 1986-04-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耐透湿性を有する透明合成樹脂体
JPS61158687A (ja) * 1984-12-28 1986-07-18 日本精機株式会社 El素子
DE3576802D1 (de) * 1984-12-30 1990-05-03 Ajinomoto Kk Transparente kunststoffmaterialbuechse.
WO1988002209A1 (en) * 1986-09-19 1988-03-24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Thin-film e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72489B1 (en) 1995-03-15
CA2004663A1 (en) 1990-06-05
EP0372489A2 (en) 1990-06-13
EP0372489A3 (en) 1991-05-08
US5112673A (en) 1992-05-12
KR900009276A (ko) 1990-07-04
DE68921707T2 (de) 1995-08-10
DE68921707D1 (de) 199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127B1 (ko) 방습필름
US6432516B1 (en) Moistureproofing film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
US20040104673A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0175919B1 (ko) 내열성 방습 필름
JP3904523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820469B2 (ja) 防湿フィルム
JP3020692B2 (ja) 耐熱性防湿フィルム
JPH04239634A (ja) 耐候性透明積層フィルム
JP2816998B2 (ja) 高剛性防湿フィルム
JP2816999B2 (ja) 難燃性防湿フィルム
JP3741164B2 (ja) 電子材料用積層フィルム
JPH03193442A (ja) 透明防湿フィルム
JP2010234525A (ja) 積層体
JPS6274648A (ja) ガスバリヤ性の優れたプラスチツク積層物
US20010049014A1 (en) Multilayer film laminates
JP200011456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58023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用パッケージフィルム
JPH11333966A (ja) 高防湿性積層体
JPH0420382B2 (ko)
JP3000484B2 (ja) 透明性を有する包装用積層シート
JPH07153570A (ja) El素子
JP3641325B2 (ja) ラミネート用共押出複合フイルム
JPH0562065B2 (ko)
JP2000301652A (ja) 帯電防止層を含む透明な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H0464435A (ja) 紫外線遮断用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