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533Y1 -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533Y1
KR960008533Y1 KR2019930018330U KR930018330U KR960008533Y1 KR 960008533 Y1 KR960008533 Y1 KR 960008533Y1 KR 2019930018330 U KR2019930018330 U KR 2019930018330U KR 930018330 U KR930018330 U KR 930018330U KR 960008533 Y1 KR960008533 Y1 KR 960008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threshold
blocking plate
door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894U (ko
Inventor
유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8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533Y1/ko
Publication of KR950008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부분 단면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 간격 보상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제2도는 본 고안 간격 보상장치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간격 보상장치의 요부 사시도.
제4도 (a)(b)는 본 고안 간격 보상장치의 작용 설명도로서, (a)는 막음판이 틈새를 막은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b)는 막음판이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승장 문턱 3a, 12a : 안내홈
7 : 막음판 7a, 7b : 안내돌조
9 : 고정쇠 12 : 카 문턱
13 : 스프링 14 : 안내판
15 : 브래키트 16 : 카
17 : 승장 18 : 고정판
19 : 프레임 20 : 롤러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장 문턱과 카 문턱 간격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가 승장에 도착하여 카도어가 열리는 경우 카 문턱과 승장 문턱의 간격을 카 도어의 열림 동작에 의하여 막음판으로 보상하고 닫힘시에는 막음판의 선단에 연결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카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장 문턱과 카 문턱 간격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어서 병원의 경우 승강기에 침대를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승장과 카의 문턱 사이가 30cm 정도 떨어져 있으므로 침대 바퀴가 승강기에 출입시 문턱에 부딪혀 침대에 있는 환자에게 충격을 주게 되는 결함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장도어(1)의 하단부에 승장도어슈(2)가 고정되어 벽체(4) 상부에 고정된 승장 문턱(3)의 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카 도어(5)의 하단부에 고정된 카도어 슈(10)가 카 프레임(6)에 설치된 카 문턱(12)의 홈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8은 라이너, 11은 에이프런, 16은 카, 17은 승장을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한 종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 문턱(12)은 카 도어(5)의 하부에 고정된 카도어 슈(10)를 안내하는 홈에 의해 카 도어(5)의 열림 동작과 닫힘 동작을 안내하고, 승장 문턱(3)은 승장도어(1)의 하부에 고정된 승장도어슈(2)를 안내하는 홈에 의해 승장도어(1)의 열림, 닫힘 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카(16)가 승장(17)에 도착하면 카 프레임(6)에 설치된 카 문턱(12)과 벽체(4)에 설치된 승장 문턱(3)과는 카(16)의 운행시 카(16)와 승장(17)의 간섭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시킨 간격(A)이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이용승객이 승하차시 상기 카 문턱(12)과 승강 문턱(3) 사이의 간격(A)으로 신발굽이 걸리거나 물건을 떨어뜨린 경우 승강로로 추락하여 분실되는 경우도 있고, 특히 침대가 들어오고 나갈 때 바퀴가 간격(A)에 걸려 덜컹거리므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게되는 결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브래키트의 상부에 설치된 카 문턱과 벽체에 설치된 승장 문턱사이의 간격을 승객 출입시 막아주기 위한 막음수단을 설치하여 안전한 이용을 가하도록 한 것인바, 이러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간격 보상장치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 간격 보상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제4도 (a)(b)는 본 고안 간격 보상장치의 작용 설명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장 문턱과 카 문턱 간격 보상장치은 브래키트(15)의 상부에 설치된 카 문턱(12)과 벽체(4)에 설치된 승장문턱(3) 사이의 간격(A)을 승객 출입시 막기 위한 막음판(7)과, 카(16)가 승장(17)에 도착시 막음판(7)이 간격(A)을 막고 카(16)이동시에는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하는 막음판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막음판(7)은 제3도와 같이 ㄴ자형의 이동 궤적을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이동될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장 문턱(3)과 카 문턱(12)에는 상기 막음판(7)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3a)(12a)이 형성되고, 상기 막음판(7)에는 상기 안내홈(3a)(12a)에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돌조(7a)(7b)가 형성된다.
상기 막음판 구동수단은 카(16)의 프레임(19)에 상기 막음판(7)을 지지하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14)을 설치하고, 상기 카 도어(5)의 하단부에 막음판(7)의 하단부를 고정쇠(9)를 개재하여 고정하며, 막음판(7)의 상단부는 프레임(19)의 상단부에 고정한 고정판(18)에 스프링(13)으로 연결하고, 안내판(19)의 하단에는 막음판(7)을 안내하는 롤러(20)를 굴대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막음판(7)은 제3도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부재를 절철 가능하게 연결한 형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연질 플라스틱판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16)가 승장(17)에 도착하면 카 도어(5)와 승장도어(1)가 같이 열리게 되는바, 이때 카 프레임(6)에 고정된 브래키트(15)의 상부에 설치된 카 문턱(12)과 벽체(4)에 설치된 승장 문턱(3) 사이에는 간격(A)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으나, 이 간격(A)은 본 고안에 의한 막음판(7)에 의해 막혀진다.
즉, 제3도 및 제4도 (b)와 같은 상태에서 카 도어(5)와 승장도어(1)가 열리게 되면 카 도어(5)에 고정된 고정쇠(9)가 막음판(7)을 이끌고 전진함에 따라 막음판(7)이 승장 문턱(3)과 카 문턱(12)의 안내홈(3a)(12a)을 타고 전진하여 제2도 및 제4도 (a)와 같이, 간격(A)을 막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롤러(20)가 막음판(7)의 진행에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막음판(7)이 원활하게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카 도어(5)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브래키트(15)의 상부에 설치된 카 문턱(12)과 벽체(4)에 설치된 승장 문턱(3) 사이에는 간격(A)이 완전히 가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막음판(7)은 그 안내돌조(7a)(7b)가 승장 문턱(3)과 카문턱(12)에 형성된 안내홈(3a)(12a)에 끼워져 지지되는 상태로 되므로 막음판(7)의 버팀강도가 매우 높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막음판(7)이 변형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카 도어(5)가 닫히게 되면 고정판(18)에 고정된 스프링(13)의 복원력과 카 도어(5)의 밀어주는 힘으로 막음판(7)이 롤러(20)를 지나 안내판(14)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3도 및 제4도 (b)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막음판(7)의 작동에서 막음판(7)은 두루마리식으로 완전히 권회되는 것이 아니고 대략 90°범위내에서 가동되는 것이므로 가요성이 높지 않거나 비교적 두꺼운 재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체적으로도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승객 출입시 승장 문턱(3)과 카 문턱(12) 사이의 간격(A)이 막음판(7)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승객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고, 침대 출입시에도 덜컹거림을 방지하여 환자가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카(16)가 승장에 도착하고 도어의 개방에 연동하여 승장 문턱(3)과 카 문턱(12)사이의 간격(A)를 막는 막음판(7)과 이 막음판(7)을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구동시키는 막음판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승장문턱(3)과 카 문턱(12)에는 각각 안내홈(3a, 12a)를 형성하고, 상기 막음판(7)에는 상기 안내홈(3a, 12a)에 각각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돌조(7a, 7b)를 형성하며, 상기 막음판 구동수단은 상기 카(16)의 프레임(19)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막음판(7)을 안내하는 안내판(14)과, 상기카 도어(5)의 하단부에 막음판(7)의 하단부를 고정쇠(9)를 개재하여 고정하고, 막음판(7)의 상단부는 프레임(19)의 상단부에 고정한 고정판(18)에 스프링(13)으로 연결하며, 상기 안내판(14)의 하단측에는 막음판(7)을 안내하는 롤러(20)를 굴대설치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 문턱과 카 문턱 간격 보상장치.
KR2019930018330U 1993-09-13 1993-09-13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KR960008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330U KR960008533Y1 (ko) 1993-09-13 1993-09-13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330U KR960008533Y1 (ko) 1993-09-13 1993-09-13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94U KR950008894U (ko) 1995-04-17
KR960008533Y1 true KR960008533Y1 (ko) 1996-10-04

Family

ID=1936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330U KR960008533Y1 (ko) 1993-09-13 1993-09-13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5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94U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8626B1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US6142260A (en) Apparatus for closing hatch doors of an elevator
CA1135201A (en) Car door safety interlock
JP3942346B2 (ja) 扉装置
EP0771755A2 (en) Guide assembly for an elevator door
KR101013823B1 (ko) 전락 방지 장치
FI72703B (fi) Dubbelpanelad gliddoerr, saerskilt foer hissar.
JP200924203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出入口装置
KR960008533Y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JP2002104758A (ja) エレベータ乗場のドア装置
JPH06239574A (ja) エレベータ片開きドア装置
US9643820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JP272918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H058312Y2 (ko)
KR101977184B1 (ko) 탑승 안전 유도형 엘리베이터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JP2008114979A (ja) エレベータの敷居間隙間閉塞装置
JPH05301692A (ja) エレベータ出入口扉の安全装置
JP2713673B2 (ja) エレベータの扉安全装置
JP4220787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220766226U (zh) 一种电梯门防夹手装置
JPH0238292A (ja) 車両用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11098837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IT201900013872A1 (it) Sistema a scalino retraibile per la salita e la discesa in un veicolo, e gruppo porta di veicolo provvisto di tale sistema
JPH06156953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