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176B1 -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176B1
KR960002176B1 KR1019920024096A KR920024096A KR960002176B1 KR 960002176 B1 KR960002176 B1 KR 960002176B1 KR 1019920024096 A KR1019920024096 A KR 1019920024096A KR 920024096 A KR920024096 A KR 920024096A KR 960002176 B1 KR960002176 B1 KR 96000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fatty acid
cosmetic composition
pufa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487A (ko
Inventor
문권기
조완구
남상인
Original Assignee
엘지화학주식회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화학주식회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엘지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176B1/ko
Publication of KR94001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다중 불포화 지방산(Poly Unsaturated Fatty Acid : 이하 PUFA라함)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중결합을 여러개 함유하고 있어 산폐되기 쉬운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를 다량 함유한 화장료에 정향추출물, 천연토코페롤 및 자몽 종자 추출물을 병행 함유 시켜 장기간 경시변화 없이 현저히 안정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문헌 등에 따르면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은 인체의 필수지방산으로서, 2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고 있는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이며, n-6형 지방산과 n-3형 지방산으로 구별된다. n-6형 지방산은 식물의 잎이나 종자에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모체가 리놀렌산으로서-리놀렌산(18:3, n-6)을 거쳐서 아라키돈산(20:4, n-60으로 전환되었다가 최종적으로 에이코사이드가 된다. 이와 같은 에이코사노이드는 여러가지 대사물을 만들어 세포의 메신저와 신진대사를 조절하고 혈전증, 면역반응, 염증등에 관여하기도 한다. n-3형 지방산은 아마인유, 들깨유에 많이 함유된-리놀렌산과 고등어, 꽁치, 정어리 등과 같은 등푸른생선의 어유에 많이 함유된 에이코사 펜타논산 및 도코헥산논산 등이 있으며, 이들은 트리글리세라이드 혈청을 억제시키고 혈소판 응집을 감소시켜 동맥혈전증에 효과가 있으며, 동맥경화증을 완화시키고, 만성 심장병 치유을 위하여 사용되는 최근에 건강식품과 의약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피부 미용차원에서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는 생체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주성분으로 세포를 견고하게 하여 주며, 수분의 투과성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이 부족하면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고, 세포가 불완전하게 성장되어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게 되며, 손상된 피부조직의 재생기능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다중 불포화지방산(PUFA)을 화장품에 적절히 사용하면 피부수분 증발량(TEWL)을 줄일 수 있으며, 피부의 수화작용을 촉진시켜 피부탄력, 유연작용은 물론 염증을 일으키는 생체 대사에도 관여하여 염증억제, 자극완화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는 불포화도가 높기 때문에 분리, 정제시 자동산화되기 쉬우며, 화장료에 적용시 변색, 변취를 일으키는 등 장기간 안정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어 실용에 제약을 받아왔다.
특히, 이들은 보존중이나 피부에 사용시 공기중의 산소에 의하여 산화되어 과산화물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과산화물은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노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서는 본래의 효능을 떨어뜨려 그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또한, 과산화물에 의한 피부장해는 화장품에 의한 것도 있을 수 있으나, 피부가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과산화물에 의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화장품 자체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장해를 일으키게 하는 등 화장품의 안정성 개선을 위하여 종래에는 화장품에 화학물질의 산화방지제를 함유시켜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항산화제로는 BHT, BHA, 몰식자산 프로필, 초산토코페롤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물질이 함유된 항산화제를 함유함으로 인하여 자극성, 피부에 대한 안정성 및 안정성이 문제가 되어 이를 개선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학물질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를 다량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자극성이 없으면서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들인 정향추출물, 천연토코페롤, 자몽종자 추출물을 병행 사용하였을 때 장기간 산폐, 변색, 변취 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를 다량 함유함으로서 피부에 탄력 미 유연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화학물질이 함유된 항산화제를 사용함이 없이 정향추출물, 천연토코페롤, 자몽종자 추출물을 병행 사용하여 자극성이 없고, 황산화효과를 갖도록 하였으므로 피부에 대한 안정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며, 화장품 자체의 안정성도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으로는 이중결합이 2개 이상 있으며, 탄소원자가 18 내지 22인 n-6형 또는 n-3형 불포화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n-6형 불포화 지방산으로는-6형 불포화 지방산으로는-리놀렌산, 디호모--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이들을 함유하고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물유로서 월견초유 또는 서양자초유 등이 바람직하고, n-3형 불포화 지방산으로는-리놀렌산, 옥타데카테트라에논산, 에이코사 테트라에논산, 에이코사펜타에논산, 도코헥사에논산, 이들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물유, 어유 예컨대 고등어, 꽁치, 정어리류 등과 같은 어유 또는 아마인유등의 식물유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은 위에서 설명한 지방산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전체 피부 화장료 조성물중에 1.0 내지 30.0 중량%의 함량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0중량% 이상이면 화장료가 변질 또는 변취되기 쉽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향 추출물은 일국 정향 나무를 건조시켜 잘게 자른 후 그 10㎏에 50v/v% 에탄올을 가하여 침적시켜 압착분리하여 추출액을 얻어 여과한 것을 사용한다. 천연 토코페롤은 항산화력을 나타내는및 δ-토코페롤이 60%이상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며, 독일 헨켈사의 제품인 코비페롤 T-75(Covipherol T-75)등과 같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자몽종사 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은 80% 자몽종자 추출물과 20%의 자몽과육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늘게 잘라 프로필렌 글리콜로 추출한 것은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이들의 배합량은 정향 추출물의 경우는 0.001% 내지 2.0%가 바람직하며, 0.005% 내지 0.5%가 더욱 바람직하다. 천연 토코페롤의 경우는 0.01% 내지 1.0%이 바람직하며, 0.02% 내지 0.5%가 더욱 바람직하다. 자몽 종자 추출물은 0.001% 내지 3.0%이 바람직하며, 0.05% 내지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본 발명은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에 대한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이 모두 천연물질임에 따라 자극이 거의 없고, 특히 색상, 냄새 등에서 장시간 변화없이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험예의 표 2와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화방지제가 함유되지 아니한 비교예는 산화방지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해서 과산화물가의 증가와 함께 경시변화가 심함을 볼 수 있고, 비교예 1-3의 경우보다는 실시예 1의 장기 안정에서 훨씬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4℃에서 5개월간의 보존중에도 냄새 및 색상이 변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 1]
[실시예 1]
표 1에 기재된 함량대로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각각 교반하면서 78℃까지 가온하여 용해한 후 유성성분을 수성성분에 넣어 3500rpm으로 30분간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50℃정도에서 산화방지 성분 및 향료를 투입하여 다시 1분간 유화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비교예]
표 1에 기재된 함량대로 유성성분, 수성성분, 산화방지조성물 및 향료를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1,2,3,4를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4 제품을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 안정성 시험결과와 과산화물가측정 및 경시변화 관찰결과를 시험하였다.
이하 측정결과를 시험예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시험예 1]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소비자 30명의 팔뚝에 각 시료의 일정량을 핀 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시험을 실시한 후 핀 챔버를 떼어내고 4시간 경과 후 판독하였다. 판정기준 및 판정값은 피부색상 측정기에 의한 측정값 및 육안 판정으로 판정한 결과를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표준자극 농도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만들어 놓은 기준표에 의거하여 판정하여 아래에 제품들의 자극정도를 나타내었다.
(1) 0.08 : 비교예(1)
(2) 0.11 : 실시예1(1)
(3) 0.15 : 비교예(2)
(4) 0.19 : 비교예(3)
(5) 0.20 : 비교예(4)
<판정기준>
0.2 이하... 자극이 거의 없음
0.2-0.5... 약간의 자극
0.5-2.0... 보통의 부작용
2.0-5.0... 약간 심한 부작용
5.0이상... 아주 심한 부작용
위 측정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제품은 산화 방지성분인 정향 추출물, 천연토코페롤, 자몽추출물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4에 비하여 자극이 거의 없으며, 피부장해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다.
[시험예 2]
[과산화물가 측정]
삼각 플라스크에 실시예 및 비교예 1-4의 시료를 약 5.0g을 정확히 달아 용매(아세트산 : 클로로포름=3 : 2) 50㎖를 넣어 흔들어 준 후 요오드화칼륨 10%용액 1㎖를 넣고, 약 5초 동안 흔들어 준 다음 혼합물이든 플라스크를 암소에 1분간 방치하고, 증류수 100㎖로 플라스크의 혼합물을 적정할 비이커로 씻어낸 후 0.01mole 치오황산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했다. 측정기로는 670 티프로프로세서(670 Titroprocessor, Metrohm 社)를 사용했다. 측정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6산화 효과 평가
상기 표 2의 결과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과산화물가 생성량에서 산화방지제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4에 비하여, 또한 산화방지제가 한가지씩 함유된 비교예 1-3에 비해 매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경시변화 관찰]
화장료 조성물 60g을 유기용기에 넣어 밀봉 차광한 상태로 40℃ 항온조에서 5개월 동안 방치하면서 1개월, 3개월 5개월 후에서 각각 그 색상과 냄새의 경시변화를 다음에 따라 판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판정>
◎ : 변화가 없었다.
○ : 변화가 거의 없었다.
× : 변화가 조금 있었다.
×× : 변화가 심하였다.
[표 3]
경시변화 관찰

Claims (2)

  1. 다중 불포화 지방산 1.0% 내지 30.0% 및 정향 추출물 0.001% 내지 2.0%, 천연토코페롤 0.01% 내지 1.0%, 자몽 종자 추출물 0.001% 내지 3.0%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가지며 탄소원자수가 18 내지 22인 n-6형 또는 n-3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9920024096A 1992-12-12 1992-12-12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96000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096A KR960002176B1 (ko) 1992-12-12 1992-12-12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096A KR960002176B1 (ko) 1992-12-12 1992-12-12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487A KR940013487A (ko) 1994-07-15
KR960002176B1 true KR960002176B1 (ko) 1996-02-13

Family

ID=1934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096A KR960002176B1 (ko) 1992-12-12 1992-12-12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045B1 (ko) * 1994-07-07 2000-08-01 윤종용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보이스 코일 모터 체결 방법 및 장치
KR20010018666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487A (ko) 199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1757A (en) Stabilization of polyunsaturates
CA2506611A1 (e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or its salt or ester
RU2332445C2 (ru) Антиоксидантная жировая или мас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 стабильным вкусом
EP0477825A2 (en) Edible fats and oils stabilized with sesame oil as a constituent
AU9178191A (en) Composi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or the stabilization of polyunsaturated oils
JP3338075B2 (ja) 多価不飽和脂肪酸配合油脂の臭気抑制方法
JP2007056181A (ja) 機能性オリーブ油、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930001378B1 (ko) 탈지미강으로부터 보존성이 우수한 수용성 항산화 물질의 추출방법
JPH02189394A (ja) 油脂組成物
JP2014237680A (ja) 植物抽出物およびpufaの組合せ
DE69024321T2 (de) Oxydationsschutz eines Nahrungsmittels, eines kosmetischen Produktes oder eines pharmazeutischen Produktes
KR960002176B1 (ko)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2017500429A (ja) 海産油、動物油または植物油の酸化安定化のための抗酸化組成物
Tohma et al. Efficacy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powder and extracts in the protection of refined and stripped hazelnut oil
Oyedeji et al. Physicochemical and fatty acid profile analysis of Polyalthia longifolia seed oil
CA2098942A1 (en) Antioxidant compositions
JP2006333792A (ja) 高度不飽和脂肪酸食品の酸化防止用組成物及び及びそれを使用した酸化防止方法
Rahman et al.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id from Pangus fish (P. Pangasius) available in Bangladesh by solvent extraction method
Temelkovska et al. Reducing the oxidation of cold pressed sunflower oil by adding rosemary or parsley
Alfin-Slater et al. Dietary fat composition and tocopherol requirement: IV. Safety of polyunsaturated fats
WO2004002233A1 (fr) Corps gras vegetal et son utilisation dans des preparations alimentaires
US2511802A (en) Synergistic antioxidant
RU2169478C1 (ru) Пищевой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родукт на основе растительных масел
JPS6049747A (ja) リン脂質組成物
JP2003052305A (ja) 肝油入り可塑性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