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418B1 -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 물체 - Google Patents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 물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418B1
KR950014418B1 KR1019880002746A KR880002746A KR950014418B1 KR 950014418 B1 KR950014418 B1 KR 950014418B1 KR 1019880002746 A KR1019880002746 A KR 1019880002746A KR 880002746 A KR880002746 A KR 880002746A KR 950014418 B1 KR950014418 B1 KR 950014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downstream
end surface
pai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23A (ko
Inventor
제이. 월 마이클
쥬니어 월터 마이클 프레즈
더블류. 패터슨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코오포레이숀
스테판 이. 레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코오포레이숀, 스테판 이. 레비스 filed Critical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코오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88000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418B1/ko
Publication of KR89001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 물체
제 1도는 유체 흐륨에 대하여 움직이는 뭉툭한 몸체에 관련한 유체 역학을 도시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한 뭉툭한 물건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4도는 제 3도의 선 4-4의 방향에서 일반적으로 취한 도면.
제 5도는 제 4도의 선 5-5의 방향에서 일반적으로 취한 단면도.
제 6도는 제 4도에서 Y로 지시한 구역의 확대도.0
제 7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자동차의 사시도.
제 8도는 제 7도의 선 8-8의 방향에서 일반적으로 취한 자동차의 배면도.
제 9도는 제 8도의 선 9-9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제 10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트랙터 트레일러의 측면도.
제 11도는 제 10도의 선 11-11의 방향에서 일반적으로 취한 트렉터 트레일러의 배면도.
제 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뭉툭한 끝을 가진 몸체의 부분 사시도.
제 13도는 제 12도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4도는 제 13도의 선 14-14의 방향에서 취한 배면도.
제 15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발사체의 측면도.
제 16도는 제 15도의 선 16-16의 방향에서 일반적으로 취한 제15도의 발사체의 배면도.
제 17도는 날개 후부에서 본 발명을 이용한 에어포일(alrfoil)의 부분 사시도.
제 18도는 제 17도의 선 18-l8의 방향에서 일반적으로 취한 도면.
제 19도는 제 18도의 선 19-19의 방향에서 일반적으로 취한 도면.
제 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에어포일의 사시도.
제 2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날개"의 사시도.
제 22도는 종래 기술의 제 21도의 선 22-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23도는 종래 기술의 제 21도의 선 23-23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하류 방향 28 : 유선
20 : 뭉툭한 끝표면 22 : 상부 모서리
24 : 하부 모서리 36 : 상류 방향
40 : 골 43 : 골입구
45 : 골출부 46 : 측벽표면
48 : 옆 모서리 300 : 탄피
302 : 탄피축 304 : 탄피끝
306 : 탄피 표면, 402 : 고압표면,
404 : 저압표면, 406 : 날개후부.
본 발명은 베이스드래그(Base drag)를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항력(Drag)은 점성의 영향 특히 분리기포 또는 분리기포에 기인하여 생기는 표면마찰과 표면압력 변화의결과로 생기고 항력은 점성의 영향 특히 분리기포 또는 분리구역(저압력 구역)에 기인하여 생기는 표면마찰과 표면 압력 변화의 결과로 생긴다. 분리구역은 2차원 또는 3차원 경계층이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이탈할때 발생한다. 각이지거나 뭉툭한 몸체는 표면으로부터 흐름을 분리시킬 수 있는 몸체 주위로 흐르는 유선에서 급격한 하류 방향 압력구배를 촉진시키려는 형상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자동차와 트랙터 트레일러 그리고 뭉툭한 끝을 가진 발사체 같은 뭉툭한 끝면을 가진 몸체 대하여 사실이다. 이들 물체가 공기를 통과하면서 이물체 뒤에 생긴 분리기포는 높은 베이스 드래그를 만든다.
항공기 날개, 방향타, 돛 그리고 가스터어빈의 로터 날개와 고정자날개 같은 에어포일형 몸제는 적당한받음각(angIes of attack)(약 15°이하)에서 전표면에 걸쳐 흐름방향의 2차원 경계층 분리를 피하는 유선형을 갖는다. 더욱 큰 받음각(또는 증가된 부하)에서 분리가 생기고 제순환 유동 구역(또는 저압 후류)이 생기며 항력을 크게 증가시키고 양력(lift)을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흐름방향의 2차원 경계층 분리"하는 것은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유체가 분리하고 결국 유체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벽 근처 흐름을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력을 감소시키고 양력과 유체 흐름속에 놓여있는 몸제에서의 실속특성(Stall Characteristics)을 개선하는 것(만일 적당하다면)은 공기역학의 일정한 목표이다. 에어포일(또는 다른 유선형 몸제)에서 경계층 분리를 피하거나 가능한 항력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에어포일의 표면을 따라 하류까지 발생하는 분리를 적어도줄이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유체 흐름 방향으로 에어포일의 길이를 따라 표면 윤곽을 만듬으로 하류 방향의 압력상승을 줄이는 것이다.
에어포일에서 항력을 줄이기 위한 잘 알려진 다른 방법은 역압력 구때에 대항하여 표면을 따라 더욱 하류를 만드는 경계층 유체의 더콘 평균운동량을 주기위하여 분리점을 지연시킴으로 경계층에서 교환을 만드는것이다. 예로 미합중국 특허 제4,455,045호는 유동 표면에 있는 늘어나고 확장된 채널(Channel)을 서술한다. 이 채널은 날카로운 길이 방향의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표면위의 경계충은 이 채널속으로 흐르고 이채널 모서리를 정상적인 유동표면 아래 유동방향 소용돌이를 만들고 이 소용돌이는 채널속의 유동을 활성화시켜 채널바닥을 따라 유동의 경계층 부착을 지속시킨다.
유사하게 스티븐스(stephens)는 유동표면 속에 다수개의 인접하여 유동방향으로 뻗는 채널을 만들었다.이 채널은 좁은 입구로부터 넓은 출구로 연속적으로 측면으로 뻗는다. 일반적으로 삼각형 램프가 인접채널사이에 형성된다. 스티븐스는 이 경계층 유동이 램프(ramp)와 채널 사이에서 갈라진다고 설명한다. 이 채널 사이의 유동은 퍼지고 이 경계층은 더욱 얇아지고 표면에 더욱 길게 부착되어 유지된다. 이 램프 유동은 일반적인 유동으로 전환된다. 하나의 응용(스티븐스의 제 6도)이 정상보다 더 큰 거리 정도로 유동이 곡면에 부작되어 지속되기 위하여 자동차의 지붕과 후면창 사이에 만들어졌다.
미합중국 특허 제1,773,280호에서, 날개의 앞쪽으로부터 날개후부로 날개의 상부를 따라 다수개의 나란한 익현쪽으로 뻗는 마루를 설치함으로 항공기 날개에 항력은 증가되지 않고 양력이 증가되었으며 이 마루들은 날개의 가장 두꺼운 근처에 최고점을 갖는다 이 마루들은 암에서 볼때 에어 포일 형상을 가지며 날개 후부의 어느점까지 레이퍼가 되어 있다. 이 개념은 경계층 분리를 일으키는 점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며 따라서 높은 양력 조건에서 분리를 피할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없다.
미합중국 특허 제3,588,005호에서는 "경계층에 에너지를 더해주고 정상적인 역 압력구배의 구역에서 층류(laminar flow)를 지속하기 위한 자유 유동 방향으로 가속화된 유동의 채널"을 제공함으로 분리의 시작을지연시키기 위하여 에어포일의 상부면에 익현 방향으로 뻗는 마루를 사용한다. 이 마루들은 "경계층 두께정도의 높이까지"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가로유동(cross flow)성분은 "마루에 걸쳐 가속화되고 뭉툭한 후미끝에 의하여 생기는 자유 유동방향으로 돌연적인 역합력 구배와 마주치기 보다는 후미끝에서부터 부드립게 '코크스크루'(corkscrew)하는 유동을 주어 몸체의 후미끝 근처에서 분리의 가능성을 줄일 수도 있다"위에 논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1,773,280호의 마루에 관하여 유동은 또한 마루 사이에서 가속되어서 에어포일 표면에 걸쳐 층류를 더욱 지속하도록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741,235호와 제3,578,264호에서는 유동방향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횡방향으로 뻗는 일련의 블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을 사용하여 소용돌이를 만들어 분리를 지연시킨다. 여기서 볼록하거나 오목한형상의 최고높이는 되도록 경계층 두께보다 작아야 한다고 제시한다.
디 엘.화이트 헤드(DL Whltehead), 엠 코즈(M kodz)와 피 엠 힐드(P M Hield)에 의해 저술되고1982년 영국 캔브리지 대학에서 간행된 "날개 후부의 주름에 의한 항력의 감소"라고 제목이 불여진 논문에서 뭉툭한 날개(폭 50,8cm, 익현길이 50.8cm,3 81cm의 일정한 두께 그리고 뭉툭한 날개 후부를 가진)에의한 항력은 익현 방향 길이의 마지막 17.78cm를 유동방향으로 뻗는 골과 마루(주름)를 교대로 형성시켜감소된다. 이 날개후보와 이 주름을 가로지르는 상루 방향의 단면은 파장 20,32cm의 사인 곡선을 갖는다이 날개 재로의 두께는 비록 골 깊이 또는 마루높이 (진폭)가 날개후부에서 최고 5. 08cm으로부터 상류로 0까지 변하지만 각 골과 마루의 길이 걸쳐 일정하게 유지한다 전체 골 출구 구역은 뭉툭한 구역의 50% 이상이다. 제 21도 내지 제 23도는 여기서 서술한 날개를 보여주며 단위길이 "a"로 주어진 크기를 갖는다 주름이 없는 날개에 비교할때 약 1/3의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름이 없는 날개 상부와 바닥 후부 모서리로부터 교대로 분산되는 날개폭 방향의 소용돌이는 주름에 의하여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의 분리지연 장치에서는 정상상태에서 상당한 항력이 생겼고 따라서 이 지연장치가줄 수 있는 약간의 이익이 없었다고 믿어진다. 이것은 때때로 효용을 제한한다. 종래 기술의 많은 장치가항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증명되었지만 뭉툭한 물체에서 베이스 드레그를 감소시키는 것 같이 더욱 진보된 개선이 여전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뭉툭하게 끝나는 몸체에서 항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뭉툭하게 끝나는 몸체의 분리기포의 하류 방향 유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물체에 대하여 하류로 이동하는 유체 유동속에 놓여진 물체는 뭉툭하고 일반적으로 하류로 향하는 표면으로 끝나는 하류 방향으로 뻗는 표면을 가지며 여기서 다수의 골은 하류로 뻗는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끝표면에서 골출구를 형성하는 유체 유동의 방향으로 뭉툭한 끝표면까지 골출구를 형성하는 유체 유동의 방향으로 뭉둑한 끝표면까지 연장되고 이골은 유동을 완전하게 하고 유체유동을 뭉툭한 끝표면바로뒤의 공간속으로 흐르게 하여 형성되는 분리기포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제작되고 설계된다. 바꿔말하면 본 발명은 뭉툭한 끝표면 바로뒤에 형성되는 저압구역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이음융에서 물체의 뭉툭한 끝표면은 보통 유동방향으로 뻗는 표면의 급격한 곡률증가에 의하여 형성된 하류 방향의 끝표면 또는 끝포면이 유동방향 표면에 근본적으로 수직할때와 같이 유동방향으로 뻗는 표면이 갑자기 끝나는 곳에서 하류 방향의 끝표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은 완전하게 흐르도륵 경사지거나 헝성되어야 한다(골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동방향의 2차원 경계층 분리가 없는) 따라서 이골은 경계층 분리가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상류의 한점으로부터 뻗어야 한다. 이골은 하루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에서손실을 최소화 하기위해 되도록 U헝을 취하며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고 있다 (골의 측벽 표면과 골 바닥이만나는 곳에 날카로운 각이 없는) 되도륵 대부분의 골은 부드럽게 물결치는 표면을 형성하고 이 표면은 하류방향에 수식한 단면에서 파형을 이룬다.
윌터 엠 프레즈, 쥬니어(WaIter M Presz, Jr)등에 공동 소유하고 1986년 4읠 30일에 출원한 "에어포일형 몸체"라고 제목이 붙여진 미합중국 특허 제857,907호는 물결형상의 얇은 날개 후부를 형성하는 유동방향의 골과 마루를 가진 에어프일형 닐개후부 구익을 설명한다. 한 표면에서 골은 반대표면에서 마루를 만든다. 이골과 마루는 낮은 운농량의 경계층 유동을 위한 3차원 릴리프(rellef)를 제공함으로 에어포일의 저압면에서의 2차원 경계층 분리의 엄청난 영향을 방시하거나 지연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뭉툭한 물체 뒤에생기는 베이스 드래그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857,907호와 본 발명 사이의 차이는 본 발명에서 이골은 오직 한표면에만 형성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추가로 이골은 심지어 뭉툭한 끝표면 구역이 충골출구 구역보나 20배 이상 휠씬 클때 상당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 유체를 뭉툭한 끝표면에 걸쳐 정상적으로 뭉툭한 끝표면 뒤의 침체 구역 속으로 들어가게 하는 운동량의 방향으로 이유체는 골을 떠난. 다운워시(down wash)가 생긴다고 생각된다. 추가로 각 골은 골 출구에시 각 측벽표면으로부터 하나의 대규모의 축방향 소용돌이를 만든다고 생각된다.여기서 대규모라는 것은소용돌이가 골의 깊이정도의 지름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무개의 소용돌이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골과 또한 유체 근처로부터 유체를 뭉툭한 표면 뒤 구역 속으로 이동하게 하는 유동장(flow fleld)를 만든다. 이 현상 흘로 또는 다운워시 효과와 결합한 순수한 효과는 뭉툭한 끝표면 뒤에 정상적으로 생기는 침체 기포의 크기를 감소시켜 베이스 드래그를 감소시킨다. 추가로 날개폭 방향의 소용돌이의 분산이 베이스 드래그의 형성을 돕는 경우 이골은 이런분산을 막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접한 골들은 이들 측벽표면으로부터 발생되는 반대로 회전하는 소용돌이가 완전히 발달되도륵 충분한 간격을 갖는것 처럼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한다. 만일 이골들이 서로 너무 밀집되어 있으면 반대로 회전하는 소용돌이들은 서로 방해하거나 서로 소멸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이 유체는 되도록 제2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속도의 가능한 최소의 측방향 성분을 가지고 각 골로부터 떠난다. 이런 이유로 출구의 상류로 상당한 거리에 있는 골의 측벽은 골근처에 있는 표면에 인접한 유체 유동 방향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 출구에서 이골의 측벽은 가파르고 유동 방향으로 뻗는 표면에 대체로 수직한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측벽에 의하여 생기는 소용돌이의 강도를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 여기와 특허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가파른"이라는 것은 골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각 측벽에서 가장 가파른 점에 접하는 선들이 교차하여 l20에 지나지 않는 각을 만든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유동 방향에 수직하고 뭉툭한 하류 방향 끝표면과 만나는 서로 반대로 향하고 하류방향 또는 유동 방향으로 뻗는 표면을 가진 몸체에서 사용되기 특히 적합하다. 이 경우 다수의 하류로 뻗는골은 뭉툭한 끝표면에 골출구를 가지고 서로 반대로 향하는 양표면으로 성형될 수 있다. 골들이 하나 또는두개의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에 관계없이 이골들은 출구에서 깊이를 가져야 하며 정상적으로 생기는 분리기포에 상당한 효과를 갖기 위하여 뭉툭한 끝표면의 전체구역에 비하여 충분한 단면 유동구역을 가져야 한다. 골 출구에서 서로 반대로 향하는 표면사이 거리의 오직 수 %의 최소 골 출구 깊이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각 표면에서 골은 반대표면에 이골과 정반대 위치에 대응하는 골을 가질 수 있거나(대칭적인 골출구형) 또는 이골 출구는 끝표면의 가로 길이를 따라 옆으로 엇갈려 교대로 될 수도 있다. (비대칭적인 골출 구형)반대로 향하는 골들의 각각은 뭉툭한 끝표면을 가로질러 반대쪽으로 향하는 유체 유동을 만든다. 만일 반대로 향하는 표면들이 서로 밀접하여 골로부터 유동이 상호 작용한다면 업워시(upwash)와 다운워시(downwash)의 교내 구역이 서로 보강하기 때문에 비대칭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과 특징 그리고 잇점은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한 것 같은 우선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하여질 것이다.
제 1도는 뭉툭한 하류방향 끝으로 끝나는 물체의 표면위에 유체가 유동할때 무엇이 생기는 가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몸체는 참고번호(10)으로 나타내고 유체가 위로 흐르는 부드럽고 편평한 상부면(12)과 하부면(14)을 갖는다. 넓은 화살표(16)는 하류 방향을 나타내는 반면 선(18)은 표면(12)와 (14)에 인접하여흐르는 유체의 유선을 나타낸다. 기술상 잘 알려진 것처럼 유체는 넓은 범위의 상황하에 부드러운 표면(12)과 (14)에 부착하여 머무를 수도 있지만 유체가 뭉툭한 끝표면(20)에 도달할때 코너를 들 수 없고 결국 상부 모서리(22)와 하부 모서리(24)나 그 근처에서 분리가 생기게 된다. 상부와 하부면을 떠나는 유동은 표면(20)의 하류 방향의 어느점에서 서로 만난다. 이점의 상류에는 뭉툭한 끝 면(20)의 하류에 이어서 상부와 하류 유선사이에 저압구역(21)(또는 "분리기포")이 있다 만일 유체 유동이 상류방향으로 몸체(10)가 유제를 통하여 이동하여 생긴다면 이 저압 침체구역은 상류 방향으로 물체를 움직이게 하는 어떤힘에 저항하는하류 방향으로의 힘이 된다. 이 힘은 베이스드래그라고 언급되며 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소된 베이스드래그의 이익에 반대하는 다른 손실을 최소로 하고 베이스드래그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제 2도 내지 제 6도에 관하여 도식적으로 나타냈고 설명된다. 제 2도에 보여진 것처럼 본 발명을 이용한 물체는 일반적으로 번호(30)로 나타냈다. 이 물체는 상부표면(32)과 하부표면(34)을 갖고 있다. 이물체는 일반적으로 화살표(36)로 나타낸 상류 방향으로 공기같은 유체를 통하여 움직이고 있다고 가정한다. 하류 방향은 화살표(38)로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하류 방향으로 뻗는 골(40)은 상부 표면(32)에형성되고 다수의 하류 방향으로 뻗는 골(42)은 하부표면(34)에 형성되었다. 이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일반적으로 μ형을 갖는다. 입구(43)에서 뭉툭한 끝표면(44)으로 뻗는 각 골은 상부표면(32)과 하부표면(34)과 만나며 대체적으로 하류로 향한다.
이골들은 흐름방향의 경계층 분리가 골 사이에서 생기지 않는 것처럼 그 전길이에 걸쳐 유동이 완전하도록 적당한 크기와 형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 관점에서 표면(32)과 (34)를 따라 흐르는 유체는 입구를통해 들어가면서 이 표면들에 부착되어야 한다.(유동방향의 경계충 분리가 없는). 끝표면(44)에 있는 이골출구(45)는 폭 또는 깊이(A)를 갖는다(제 6도). 이골들은 상류끝에서 깊이가 0이 되고 상류 끝과 그 길이를 따라 상부표면과 하부표면 속으로 완만하게 섞인다. 이 우선 실시예에서 각 골은 상류 끝에서 출구로 깊이가 증가된다. 그러나 이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 깊이는 골 출구의 상류에서 최대이고 출구까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골들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그 길이를 따라 부드럽게 U형을 취하며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파형인 부드럽게 주름잡힌 표면을 갖는다. 각 골들은 골출구(45)의 옆 모서리(48)로 끝나는 한쌍의 측벽으로 향하는 표면(46)을 갖는다 되도록 측벽 표면(46)은 골 길이의 연속부분에 걸쳐 놓여진 표면 위로 흐르는 유체의 방향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고 이골은 골 출구를 갖는다. 이 측벽표면(48)의 평행단 특성은 제 5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측벽이 갈라지는 것은 올사이에 유동방향 분리를 돕고 골을 떠나는 유체의 측방향 속도 성분을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제2의 유동손실을 만든다.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감소된 베이스 드래그에 기인한 두개의 다른 유체역학기구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이 기구들은 완전히 이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골을 떠난 유체는 뭉툭한 끝표면에 인접한 공간과 바로뒤공간 속으로 들어가며 말하자면 유체가 골을 떠난후 물체의 뭉툭한 끝표면에 부착되어 어느 정도 유지된다고 생각된다. 두번째로 각골은 한쌍의 대규모 축방향 소용돌이를 만믈며 이 축 방향은 하류 방향이 된다고 생각된다. 각 소용돌이는 두개의 골측 모서리(48)의 각각 하나로부터 발생된다. 한쌍의 소용돌이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들 소용돌이는 골과 유체근처로부터 뭉툭한 표면 뒤의 구역과 인접한 구역속으로 유체를 움직이게 하는 유동장을 만든다.
한 출구의 옆모서리로부터 생기는 소용돌이는 다음의 인접한 골의 옆모서리로부터 생기는 상호작용하는소용돌이에 의하여 방해(소멸) 받지 않기 위하여 인접한 골의 옆모서리는 충분한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뭉툭한 끝표면(44)의 부분은 각각의 옆모서리의 전제 길이에 걸쳐 각 골출구의 옆모서리(48)로부터 인접한 골출구의 옆모서리(48)까지 측면으로 뻗는 것이 필요하다. 이 뭉툭한 끝표면의 구역은 참고번호(48A)와 (48B)로 나타낸 골의 옆모서리 사이에 놓인 제 6도의 빗금친 구역으로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인접한 골의 옆모서리 사이의 하류 방향으로 투영된 구역(50)은 적어도 골의 하류 방향으로 투영된 출구의 약 1/4이 되어야 한다.
출구에서 측벽 표면(48)이 가파를때 최고의 결과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하류 방향은 골길이 방향이며 옆모서리(48)를 따라 가장 가파른 점에 접하는 선(53)은 약 120°보다 적은 각을 형성하여야 한다. 더 작은 각기 0°까지 될수록 더욱 좋다. 이골은 베이스드래그에 영향을 주는 뭉툭한 끝표면의 전체 하류 방향으로 투영된 구역에 비하여 그 출구에서 하류로 투영된 단면이 충분히 커야한다. 어떤 경우에서는 전체 골출구구역이 전체 뭉툭한 구역의 오직 수 %되는 것이 적당한 베이스 드래그 감소를만들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전제 뭉툭한 구역의 30% 이하의 골 출구구역이 실제적인 고려에 기인하여 사용될 것이다.
또한 올은 그 깊이에 비하여 너무 좁아서는 안되며 골사이의 적당한 유동형태가 베이스드래그를 발달시키지 않을 것이며 바람직한 베이스 드래그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제 6도에 관하여 출구에서 골의 폭은 정점 파형길이(P)로 최내가 되고 출구에서 골깊이는 정점 파형폭(A)로 최대가 된다. 이 비율 P/A는 약 0.25보다 켜야하며 적어도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이비율 P/A는 약 4.0보다 작아야 한다.
만일 이골이 출구깊이(폭)에 비하여 너무 길면 골사이에 발생하는 적당한 유동장이 출구에 도달하기 전에약화되기 때문에 효과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출구폭에 내한 골길이의 비율은 약 12에서 1.0까지 보다 작아야한다.
제 2도 내지 제 6도에 끝표면(44)은 편평하고 하류 방향에 수직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뭉툭한 끝(제 12도 내지 제 14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 7도 내지 제 9도에서 제 2도 내지 제 6도에 보여진 것과 유사한 골 형상이 참고번호 (100)로 나타낸 자동차의 후방 끝에 이용되었다. 이골(101)은 차량의 상부 트렁크 면(102)과 하부 트렁크면(104)에 형성되었다. 이골은 후방으로 향하는 뭉툭한 끝표면(106)과 교차 한다. 제 7도 내지 제 9도의 실시예와 제 2도 내지 제 6도의 실시예 사이의 한 차이점은 골(101)은 선(l12)과 (114)로 나타낸 본래 차량의 외형에 돌출부(110)을 붙여 형성된 것이다.
시험으로서 폰티악 파이어버드 트란스암(Pontiac Fireblrd Tra11s-Am)의 1/25 축척한 모델이 구입되고 골은 절단하고 남은것 같은 제료를 차의 트렁크 뚜껑표면과 하부 표면에 붙여 만들어졌다. 이것은 결국 자동차에 추가의 뭉툭한 구역을 더한 것이다. 각골의 바닥은 차량의 본래 표면의 형상에 기의 비슷한 형상을갖는다. 제 8도와 제 9도에 관하여 뭉툭한 끝표면의 전체크기는 H=3.56cm와 W=7.37cm이다 골의 길이는 3 56cm이다. 이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파형인 완만하게 주름진 표면을 갖는다 이 파형은1.52cm의 주기를 갖고 정점폭 0.76cm를 갖는다. 제 6도의 각 (C)에 대응하는 각은 90°이다. 표면(112)과(114)는 각각 수평면과 약 12°의 각으로 형성된다.
속도 22.86m/sec의 풍동시험(Wlnd tunnel test)에서 본 발명을 이용한 변형된 모델은 그 표면이 대략12.5% 증가함에 불구하고 종래 모델에서 생기는 전체 항력 보다 16% 작은 전체 항력을 갖는다. 오직 차량의 후방끝만이 변형되었기 때문에 전체 항력 감소는 근본적으로 감소된 베이스 드래그에 기인한다고 생각할수있다.
제 10도와 제 11도는 참고번호(150)로 나타낸 트래일리 트럭에 적용된 본 발명을 보여준다. 골(152)은 트래일러의 편평한 상부표면과 바닥표면 그리고 옆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었다. 이골 출구(154)는 뭉툭한 후방끝표면(156)의 면에 있고 끝표면(156)의 네모서리를 따라 부드러운 파형을 이룬다. 이골은 오목하게 헝성되지만 마찬가지로 제 7도 내지 제 9도에서 보여지는 자동차(100)에 한것같이 트래일러 표면에 재료를 붙여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 12도 내지 제 14도에 도시되었다. 여기에는 골(200)이 한 표면에만 있는 것에 주목하라 또한 이골은 그 길이를 따라 모든점에서 단면이 반원형이고 이골이 놓여있는 부드럽고 편평한 도면(104)과 비교적 날카로운 모서리(202)를 갖는다. 날카로운 모서리가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이 모서리는 손실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당한 순이점이 이런 형상으로 여전히 얻어질 수 있다. 제 13도에서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각골의 바닥표면(206)은 골의 상류끝(205)에서 표면(204)과 완만하게 연결되며 굽어진 뭉툭한 끝표면(209)에서 출구(210)을 갖는다. 이 출구(210)는 표면(204)으로부터 경계층 분리가 생기는 곳(골이 없는곳)의 상류에 위치한다. 제 2도 내지 제 6도의 실시예에 관하여 논의한 것처럼 한쌍의 인접한 골 사이에 측면으로 위치한 뭉툭한 표면부(211)(빗금친)의 하류 방향으로 투영 부분은 골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적어도 1/4이 되는 구역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골 형상은 또한 제 15도와 16도에서 보여진 탄피(300) 같은 발사체의 베이스 드래그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형의 발사체는 공기 역학적으로 안정하기 위하여 탄피(300)의 축(302)같은 길이방향축에 대하여 비행중 회전한다. 회전의 방향은 화살표(R)로 나다냈다 이 탄피(300)은 벡터 V1으로 나타낸 축방향 속도 V를 갖는다. 벡터 V2는 탄피표면(306)에 접하고 탄긔의 하류끈(304)에서 탄괴 외부표면(306)의 회전속도를 나타낸다. 각 골은 벡터 V1과 벡터 V2의 합성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뻗는다. 유체가 골길이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골속으로 유동하기 위하여 이골의 방향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먼저 바이포울러 펄스가, Xn에 인가되고 나서, 시간 Tl후에 신호선 Xn에 2회찌의 펄스가 인가되었을 때에는, Ym 및 Ym+l은, 각각 비전압상태, 전압상태이기 때문에, 화소 Zn,n1은 비전압 상태로,화소 Zn,m+l은 전압상태로 각각 상태가 변화한다 또한, Xn+1에 필스가 인가된다. 이때에는 Ym도 Ym+1도 전압상태이기 때문에, 화소 Zn+1,m도 화소 Zn+1,m+1도 설명한 것 같은)이 이 실시예에서 보여지지만 이골은 제 4도 내지 제 6도의 실시예에서 보여진 것 같은 형상(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파형이고 부드럽게 주름진 U형의 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7도 내지 제 13도에서 보여진 가스터어빈 엔진의 압축기 로터 날개같은 에어포일의 얇은 날개후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에어포일은 일반적으로 참고번호(400)으로 나타냈다. 엔진축의 방향은 제 19도에서 화살표(401)로 나타냈으며 이것은 하류 방향이다. 이 에어포일(400)은 서로 얇은 날개후부(406)를 형성하는 쪽으로 모이는 고압표면(402)과 저압표면(404)를 갖는디. 에어포일형의 얇은 날개 후부는 정상적으로 뭉툭하다로 생각되지 않지만 고압표면과 저압 표면에 부착되어 에어포일의 끝까지 유지되는 유체 경계층은 날개 후부의 인접한 바로 뒤 하루에 좁고 무시할 수 없는 분리구역을 만드는 방법이므로 날개 후부로부터 분리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목적을 위하여 이끝표면(407)은 뭉툭한 끝표면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골은 저압표면(404) (골 408)과 고압표면(404)(골 410) 양쪽에 형성되어 있지만이 표면중 오직 한 표면에만 있는 골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만일 고압표면과 저압표면 양쪽에 골이 있다면 한 표면에 있는 골의 출구는 다른 표면의 골로부터 측면으로 옵셋(offset)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대칭적인 골 형태) 이 출구에서 깊이는 날개후부 두께(T)의 약 50%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각 골은 이골의 놓여있는 표면의 인접한 근처의 유체 유동의 방향에 대락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다. 이것의 목적은 유체 유동이 골길이의 방향에 근본적으로 평행한 각 골속으로 들어가도록 골의 방향을 잡는 것이다. 날개의 회전에 기인하여 날개표면에 인접한 국부적인 유체 유동방향은 날개 길이를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골의 방향은 유체 속도의 방사상 성분이 하는 것처럼 날개 길이를 따라서 변화할 것이다. 이 방향은 최대한의 이점을 얻기 위하여 비행 조건에 기초하여 선댁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고압 표면과 저압 표면의 양면은 인접한 골의 모서리(412) 사이의 표면(407)으로 뻗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처럼 각 표면의 인접한 골출구 사이의 측방 거리는 각 표면의 인접한 골의 출구 모서리 사이에 측면으로 놓인 뭉툭한 끝표면(407)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이 적어도 한골의 출구 구역의 약 1/4이 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제 20도의 다른 에어포일 실시예에서 보인 것처럼 골(500)은 또한 날개후부 구역(506)에 에어포일 고압표면(502)과 저압표면(504)를 만들거나 고압표면(502) 또는 저압표면(504)을 만들어 형성될 수 있다. 점선으로 보여지는 면(512)에서와 같이 골의 입구를 따른 날개 후부 표면의 상류로 취한 길이방향의 단면(510)의구역보다 크도록 이 실시예는 뭉툭한 날개 후부(508)의 하류로 투영된 표면 구역을 사실상 증가시킨다. 이뭉툭한 구역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베이스드대그는 감소된다.
본 발명은 우선 실시예에 관하여 보여지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형태와 세부적인 면에서 다른 다양한 변화와 생략이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기술상 숙련가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Claims (40)

  1. 물체에 대하여 하류로 흐르는 유체속에 놓인 물체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일반적으로 하류로 뻗는 제 1표면을 갖고, 상기 제 1표면의 하류로 바로뒤에 있는 뭉툭한 끝표면은 상기 제 1면과 만나고 일반적으로하류에 면하고, 상기 제 1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인접한 골들은 축방향으로 뻗고, 이 방향은 상기 골들이 놓여있는 상기 표면에 인접한 유체유동의 유선의 방향이고, 이 골들은 상기 끝표면까지 연속되어 상기 끝표면에 다수의 인접한 골출구를 만믈고, 상기 각 골은 상기 끝표면과 교차하여 상기 골출구의 옆 모서리를 만드는 한쌍의 하류로 뻗는 측벽표면을 갖고, 여기서 상기 뭉툭한 끝표면의 구역은 상기 다수의 골출구의 각각의 옆 모서리로부터 상기 각각의 옆모서리의 전길이에 걸쳐 인접한 골출구의 옆모서리까지 옆으로 뻗으며, 각각의 상기 골은 입구를 갖고 상기 입구의 깊이로부터 최고깊이까지 점차 증가하고, 상기 골의 크기와 형상 그리고 상기 제 1구역의 크기는 각 골이 그 전길이에 걸쳐 유체를 상기 뭉툭한 끝표면의 하류로 바로 뒤공간속으로 완전하게 흐르게 하여 베이스 드래그를 감소시키도륵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2. 제 1항에 있어서, 한쌍의 인접한 골출구 사이에 측방으로 놓인 뭉툭한 끝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은 상기 인접한 하나의 골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적어도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3. 제 1항에 있어서, 각 골의 상기 한쌍의 측벽표면은 상기 골 길이의 대체로 연속적인 부분에 걸친 상기 골의 근처에서 상기 제 1표면에 걸쳐 흐르는 유체의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연속적인 부분은 상기골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4.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그 길이를 따라 부드럽게 U형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골들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파형인 부드럽게 주름진 표면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6. 제 2항에 있어서,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골출구의 가장 기파른 점에서 상기 한쌍의 골측벽의 각 측벽에 접하는 선들은 대제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총구역은 상기 뭉툭한 끝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약 30%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일반적으로 하류로 뻗는 제 2표면을 갖고, 이 표면은 상기 제 1표면과 떨어져 있고 대체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뭉툭한 끝표면은 상기 제 2표면의 하류로 바로 뒤에 위치하고 상기 제 2표면과 만나고 다수의 상기 골은 상기 제 2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뭉툭한 끝표면의 구역은 상기 제 2표면에 있는 골의 각각의 옆모서리로부터 각각의 상기 옆모서리의 전길이에 걸쳐 인접한 골의 옆모서리까지 옆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면과 제 2표면의 각 표면에서 한쌍의 인접한 골출구 사이에 옆으로 배치된 뭉툭한 끝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은 상기 한쌍의 골출구 중 한 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적어도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0. 제 8항에 있어서, 각골의 상기 한쌍의 측면 표면은 상기 골길이의 대체로 연속적인 부분에 걸쳐 상기골이 배치된 표면위의 유체 유동방향에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그 길이를 따라 부드럽게 U형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골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총구역은 상기 뭉툭한 끝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약 3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면과 제 2표면의 각 표면에서 다수의 상기 골 중 각각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파형인 부드럽게 주름진 표면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4. 제 12항에 있어서,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골출구의 가장 가파른 점에서 상기 한쌍의 골측벽의 각 측벽에 접하는 선들은 대체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5. 제 12항에 있어서, 뭉툭한 끝표면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대체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6. 제 12항에 있어서, 물체는 차량이고 이 뭉툭한 끝표면은 상기 차량의 후방 끝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물체.
  17. 차량에 대하여 하류로 흐르는 유체속에 놓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뭉툭한 후방 끝면을 갖고 제 1표면은 제 1의 다수의 인접한 하류로 뻗는 골을 갖고, 상기 골들 중 각 골은 상기 후방 끝표면에서 끝나 상기 끝표면의 골출구로부터 떨어져 다수개를 형성하고, 상기 골의 각각은 상기 후방끝 표면과 교차하는 한쌍의 하루로 뻗는 측벽표면을 가지므로 상기 골출구의 옆모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끝표면의 제 1부분은 각각의 상기 옆모서리의 전길이에 걸쳐 각각의 상기 옆모서리로부터 인접한 골출구의 옆모서리까지 옆으로 뻗고, 각각의 상기 골은 입구를 갖고 상기 입구의 깊이 0으로부터 최고 깊이까지 점차 증가하고, 상기골의 형태와 크기 그리고 상기 제 1부분의 크기는 각 골이 그 길이를 통하여 완전히 유동하고 상기 후방 끝표면의 하류 바로 뒤의 공간속으로 유체를 흐르게 하여 베이스드레그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차량.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다수골의 한쌍 인접한 끝출구 사이에 옆으로 배치된 후방끝 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은 한쌍의 인접한 골출구중 한 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적어도 1/4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l의 다수골 중 각 골의 한쌍의 측벽 표면은 상기 골기링의 대체로 연속적인 부분에 걸쳐 상기 골의 근처에서 상기 제 1표면 위에 흐르는 유체의 방향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고 상기연속적인 부분은 상기 골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다수골 중 각 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그 길이를 따라 부드럽게 U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다수의 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파형인 부드럽게 주름진 표면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2. 제 18항에 있어서,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골출구의 가장 가파른 점에서 상기 한쌍의 골중각각의 측벽에 접하는 선들은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골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총구역은 상기 후방끝 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약 30%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제 1표면과 떨어져 있고 상기 제 1표면에 대체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하류로 뻗는 제2의 다수골을 만드는 제 2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다수꼴과 제2의 다수골의 한쌍의 인접한 골출구 사이에 옆으로 배치된 상기 후방끝 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은 상기 한쌍의 골출구중 한 골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적어도 1/4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다수골과 제2의 다수골의 각 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골길이를 따라서 부드럽게 U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골출구의 하루로 투영된 총구역은 상기 후방 끝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약 30%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다수골과 제2의 다수골의 각 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파형인 부드럽게 주름진 표면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9. 제 25항에 있어서,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골출구의 가장 가파른 점에서 상기 한쌍의 골측벽의 각 측벽에 접하는 선들은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끝 표면은 하류 방향에 수직하고 대체로 편평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차량.
  31. 제 24항에 있어서, 각 골의 한쌍의 측벽표면은 상기 골길이의 대체로 연속적인 부분에 걸쳐 상기 골이 배치된 표면위로 흐르는 유체의 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2. 제 17항에 있어서, 각 골은 각 측벽표면으로부터 하나의 대규모 소용돌이를 만들고, 각각의 상기 소용돌이는 하류로 뻗는 축을 갖고, 각골로부터 상기 한쌍의 소용돌이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
  33. 제 1항에 있어서, 각 골은 상기 각각의 측벽 표면으로부터 하나의 대규모 축방향 소용돌이를 만들고 각 골로부터 상기 한쌍의 소용돌이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4. 하류로 향하는 얇은 날개 후부표면까지 뻗는 고압표면과 저압표면을 갖는 가스터어빈 엔진의 압축기에어포일에 있어서, 상기 고압표면과 저압표면의 적어도 하나에서 제1의 다수의 인접하고 하류로 뻗는 골을 갖고, 각각의 상기 골은 날개후부 표면에서 끝나서 상기 날개 후부표면 골출구와 떨어져 다수개의 골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골은 상기 날개 후부표면과 교차하는 한쌍의 하류로 뻗는 측벽표면을 구비하여 상기골출구의 옆모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후부 표면의 제1부분은 각각의 상기 옆모서리의 전길이에 걸쳐상기 각각의 골 옆모서리로부더 인접한 골출구의 옆모서리까지 옆으로 뻗고, 각각의 상기 골은 입구를 갖고상기 입구의 깊이 0에서 최고 깊이까지 점차 증가되고, 이 출구에서 상기 골깊이는 날개 후부표면 두께의50% 보다 작고, 상기 골의 형태와 크기 그리고 상기 제l부분의 크기는 각 골이 그 길이 전체에 걸쳐 유동을 완전하게 하고, 상기 날개 후부표면의 하류로 바로 뒤 공간속으로 유체가 들어가게 하여 베이스 드래그를 감소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이빈 엔진의 압축기 에어포일.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다수골 중 한쌍의 인접한 골출구 사이에서 옆으로 배치된 날개후부 표면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은 상기 한쌍의 인접한 골출구의 하류로 투영된 구역의 적어도 1/4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어빈 엔진의 압축기 에어포일.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다수골 중 각 골의 한쌍의 측벽 표면은 상기 골길이의 대체로 연속적인 부분에 걸쳐 상기 골의 근처에서 상기 골이 배치된 상기 표면위에 흐르는 유체의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연속적인 부분은 상기 골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어빈 엔진의 압축기 에어포일.
  3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다수골 중 각각의 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그 길이를 따라부드럽게 U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어빈 엔진의 압축기 에어프일.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다수골은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파형인 부드럽게 주름진 표면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어빈 엔진의 압축기 에어포일.
  39. 제 34항에 있어서, 하류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골출구의 가장 가파른 점에서 상기 한쌍의 골측벽의 각벽에 접하는 선들은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어빈 엔진의 압축기 에어포일.
  40.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표면과 저압표면은 다수의 하류로 뻗는 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어빈 엔진의 압축기 에어포일.
KR1019880002746A 1988-03-15 1988-03-15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 물체 KR950014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2746A KR950014418B1 (ko) 1988-03-15 1988-03-15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 물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2746A KR950014418B1 (ko) 1988-03-15 1988-03-15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 물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23A KR890014323A (ko) 1989-10-23
KR950014418B1 true KR950014418B1 (ko) 1995-11-27

Family

ID=1927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746A KR950014418B1 (ko) 1988-03-15 1988-03-15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 물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44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23A (ko) 198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419B1 (ko) 베이스드래그를 감소하기 위한 회선상 판
US4789117A (en) Bodies with reduced base drag
US4813635A (en) Projectile with reduced base drag
US4813633A (en) Airfoil trailing edge
US5395071A (en) Airfoil with bicambered surface
US4455045A (en) Means for maintaining attached flow of a flowing medium
US4786016A (en) Bodies with reduced surface drag
US4830315A (en) Airfoil-shaped body
US5058837A (en) Low drag vortex generators
WO2003086856A2 (en) Airlifting surface division
EP0244334A2 (en) Airfoil-shaped body
CN110546067A (zh) 飞机的空气动力表面
CA2890775C (en) Submerged vortex generator
US5871174A (en) Foils
US5161953A (en) Aircraft propeller and blade element
KR950014418B1 (ko) 베이스 드래그가 감소된 물체
Myose et al. A parametric study on the effect of gurney flaps on single and multielement airfoils, three-dimensional wings, and reflection plane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