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259B1 - An image search method and device in video tape recorder - Google Patents

An image search method and device in video tape rec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259B1
KR950013259B1 KR1019920020379A KR920020379A KR950013259B1 KR 950013259 B1 KR950013259 B1 KR 950013259B1 KR 1019920020379 A KR1019920020379 A KR 1019920020379A KR 920020379 A KR920020379 A KR 920020379A KR 950013259 B1 KR950013259 B1 KR 95001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video tape
screen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09839A (en
Inventor
유재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윤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윤종용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0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259B1/en
Publication of KR94000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8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2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selecting a plurality of images among the images displayed; recording the selected images and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image in the serial images on a video tape on an audio area of the video tape; reproducing at least one selected image recorded in the audio area of the video tape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and storing the reproduced image;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among the stored images; reselecting a single image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and running the video tape and starting image reproduction at a video tape position on which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corresponds to a head running position due to the running of the video tape.

Description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를 위한 화상검색방법 및 그 장치Image retrieval method and video device for video tape recorder

제 1 도는 일반적인 HD-VCR의 데이터 기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recording method of a general HD-VCR.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현한 HD-VCR의 장치블록도.2 is a device block diagram of an HD-VCR implementing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HD-VCR의 오디오 데이터 기록영역의 상세구조도.3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an audio data recording area of an HD-VC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검색방법을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showing an image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 도는 OSD를 이용한 화상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mage identification using an OSD.

제 6 도는 펄스발생기의 상세 회로도.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ulse generato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신호추출수단 11 : 헤드10 signal extraction means 11 head

15 : 제 1 메모리 17 : 제어부15: first memory 17: control unit

19 : 펄스발생기 22 : 디코더19: pulse generator 22: decoder

27 : 제 2 메모리 29 : OSD 블록27: second memory 29: OSD block

본 발명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상검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비데어 테이프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원하는 화상을 읽어내는 화상검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retrieval method and apparatus for a video tape re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retriev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 desired image from a recording medium using positional information on a video tape on which images are stored.

정보처리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대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들이 등장하였으며, 아울러 기록매체에 저장된 정보에 보다 빨리 접근하는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기록 매체에 저장된 특정 정보에 접근하는 종래의 비데오 비데오 인덱스 검색(video index search)방법을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recording media for stor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ave emerged, and methods for acces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rding media faster have been devised. A conventional video index search method for accessing specific inform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 1 도는 일반적인 HD-VCR의 데이터기록영역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데오데이타영역, 오디오데이타영역 및 제어데이타영역으로 구분되는 HD- VCR의 데이터기록영역들을 나타낸 것이다. 비데오데이타영역 및 오디오 데이터 영역은 동일한 헤드에 의해 대각선방향으로 기록되며, 제어데이타영역은 테이프 주행방향으로 제어데이타가 기록된다. 그리고, HD-VCR의 제어데이타영역에는 데이터블록들의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인덱스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덱스데이타를 이용하여 비데오 테이프상의 원하는 데이터블록에 접근할 수 있으나, 복수개의 화상들로 이루어진 데이터블록내의 특정화상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블록내의 전체 정보를 화면상에서 재생시켜 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인덱스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블록의 내용이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는 화면상에 나타나는 화상을 계속 주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FIG. 1 shows data recording areas of a general HD-VCR, and shows data recording areas of an HD-VCR divided into a video data area, an audio data area and a control data area. The video data area and the audio data area are recorded in the diagonal direction by the same head, and the control data area is recorded in the tape travel direction. In the control data area of the HD-VCR, index data indicating start positions of data blocks is stored. Therefore, the user can access the desired data block on the video tape by using the index data, but in order to access a specific image in the data block composed of a plurality of images, the entire information in the data block designated by the index is reproduced on the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you should try. Moreover,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keep an eye on the image appearing on the screen while the contents of the data block designated by the index are reproduced.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화상들 및 그 화상들이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기록매체의 특정영역에 재저장하며 사용자가 원할때마다 기록매체의 특정영역에 재저장된 선택화상들을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빠른시간 내에 재생할 수 있으며, 화면상에 표시된 다수의 선택화상들중 다시 선택되는 화상이 갖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원래 테이프 위치부터 화상재생을 할 수 있는 화상 검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re-store a plurality of images selected by a user in a playback state and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mages are recorded in a specific area of the recording medium and to specify the recording medium whenever the user desires. By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s re-stored in the area on the screen, a desired image can be reproduced quickly, and the original tape position of the recording medium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selecte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reproduc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retrieval method capable of reproducing an im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생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화상들 및 그 화상들이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기록매체의 특정영역에 재저장하며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기로매체의 특정 영역에 재저장된 선택화상들을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빠른 시간내에 재생할 수 있으며, 화면상에 표시된 다수의 선택화상들중 다시 선택되는 화상이 갖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원래 테이프 위치부터 화상재생을 할 수 있는 화상 검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save a plurality of image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layback stat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mages are recorded in a specific area of the recording medium, and re-save in a specific area of the cross media whenever the user desires. By displaying the images on the screen, a desired image can be reproduced quickly and the image can be reproduced from the original tape position of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selected again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to provide an image retrieval apparatus that ca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데오 테이프 플레이어를 위한 화상검색방법은, 재생모드중에 화면상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들중에서 복수개의 화상들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화상 및 그 화상들이 기록된 비데오 테이프상의 연속화상중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비데오 테이프의 소정영역에 기록하는 선택화상기록단계, 상기 선택화상기록단계에 의해 비데오 테이프의 소정영역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화상 및 그 선택화상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재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정보들중에서 복수개의 선택화상들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개의 선택된 화상들중 하나를 다시 선택하는 단계 및 비데오 테이프를 주행시키며, 상기 다시 선택된 화상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와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에 의한 헤드주행위치가 일치하는 비데오 테이프위치로부터의 화상재생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retrieval method for a video tape player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plurality of images among image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during a playback mode, selecting the selected image and the images recorded therein; A selective image recording step of recording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in a continuous image on the video tap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video tape; at least one selected image record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video tape by the selective image recording step, and its Reproducing and storing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on the screen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storing step, and re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Selecting and driving the video tape to the selected image again. And starting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from the video tape position at which the corresponding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head running position by running the video tape coinc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데오 테이프 플레이어를 위한 화상검색장치는, 오디오영역과 비데오영역으로 구분되는 정보기록영역을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들에 대한 선택화상신호들 및 각 선택화상이 갖는 비데오 테이프상의 연속화상에 관련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화상위치정보가 오디오 영역에 기록된 비데오 테이프, 상기 비데오 테이프에 기록된 화상신호를 재생출력하는 신호재생수단, 상기 신호재생수단의 출력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신호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신호로부터 선택화상신호 및 선택화상의 선택화상위치정보를 추출 및 저장하는 신호추출수단, 재생모드, 기록모드, 상기 선택화상신호 및 선택화상이 갖는 연속화상상의 위치정보를 기록매체에 삽입하는 삽입모드, 선택화상이 갖는 연속화상상의 위치를 찾아가는 화상검색모드 및 화면상에 나타난 소정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키들을 갖는 명령 입력수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신호 기록수단 및 상기 명령입력수단의 키 입력에 응답하여, 재생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중 연속화상에 관한 화상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삽입모드의 경우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신호 및 그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비데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화상검색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이 갖는 상기 연속화상상의 비데오 테이프의 연속화상들에 관련한 기록위치로부터 재생동작을 시작하도록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An image retrieval apparatus for a video tape player,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formation recording area divided into an audio area and a video area, and selects image signals and respective selected images for images selected by a user. A video tape in which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the continuous image on the video tape is reproduced in the audio area,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recorded on the video tape,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A memory for storing, signal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and storing the selected image signal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signal reproduced by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the reproducing mode, the recording mode, the selected image signal and the selected image Insertion mode for inser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continuous images into a recording medium; Command input means having an image search mode for locating an image and input keys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mag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on the screen, and the imag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In response to the key input of the signal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on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mand input means, in the reproducing mode, an image signal relating to the continuous image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ame image signal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re recorded on the video tape, and in the image retrieval mode, recording relating to the continuous images of the video tape of the continuous image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said means to start a playback operation from a position;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검색방법 및 그 장치를 제 2 도 내지 제 5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retrieval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현한 HD-VCR을 위한 화상검색장치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제 2 도의 장치는, 신호재생수단, 신호기록수단, 테이프구동수단, 신호추출수단(10),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함)블록(29) 및 이러한 블록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신호재생수단은 헤드(11)에 연결되는 재생앰프(12), 재생앰프(12)의 출력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13), 복조부(13)에 연결되며 압축된 영상신호를 신장(expansion)시키는 데이터 신장부(14) 및 제 1 메모리(15)를 포함한다. 신호기록수단은 A/D변환기(3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영상신호를 압축시키는 데이터압축부(30), 변조부(31) 및 헤드(11)에 연결된 기록용 앰프(32)를 포함한다. 데이터압축부(30)와 A/D변환기(33)사이에 설치된 제 1 멀티플렉서(MUX1)는 제어부(19)의 제어신호(SEL1)에 따라 제 1 메모리(15)의 출력신호와 A/D 변환기(33) 출력신호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데이터압축부(30)로 출력한다. 테이프 구동수단은 모터(21)와, 제어부(17)로부터의 구동제어신호(C1)에 응답하여 모터(21)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20)로 구성된다. 신호추출수단(10)은 펄스발생기(19), 디코더(22) 및 제 2 메모리(27)로 구성된다. 펄스발생기(19)는 복조부(13)의 출력신호에 헤드전환펄스(Head switching pulse) 및 제어부 (17)로부터의 제어신호(C2)를 인가받아 클럭신호(CLK) 및 윈도우신호(SUB_WIND)를 발생한다. 펄스발생기(19)에 의해 발생된 클럭신호(CLK)는 데이터신장부(14), 제 1 메모리(15) 및 디코더(22)로 인가된다. 디코더(22)는 데이터 신장부(14)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오디오윈도우신호(AUDIO_WIND)를 발생하며, 윈도우신호(SUB_WIND)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동안의 신호를 추출한다. 오디오윈도우신호(AUDIO_WIND)는 제어부(17)로 공급된다. 제 2 메모리(27)는 디코더(22)의 출력신호를 저장하며,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고 있던 신호를 제 2 D/A 변환기(28)로 출력한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retrieval apparatus for HD-VCR implementing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of FIG. 2 controls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the signal recording means, the tape driving means, the signal extracting means 10, the On Screen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OSD") block 29 and these blocks. It includes a control unit 17 for the.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includes a reproducing amplifier 12 connected to the head 11, a demodulation unit 13 for demodula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eproducing amplifier 12, and a demodulation unit 13 to extend the compressed video signal ( a data expansion section 14 and a first memory 15 to expand. The signal recording means includes a data compression section 30, a modulation section 31, and a recording amplifier 32 connected to the head 11 for compressing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 / D converter 33. . The first multiplexer MUX1 provided between the data compression unit 30 and the A / D converter 33 has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memory 15 and an A / D convert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EL1 of the controller 19. (33) One of the output signals is selectively outputted to the data compression unit 30. The tape drive means is composed of a motor 21 and a driver 20 for driving the motor 21 in response to a drive control signal C1 from the control unit 17. The signal extraction means 10 is composed of a pulse generator 19, a decoder 22 and a second memory 27. The pulse generator 19 receives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window signal SUB_WIND by receiving a head switching pulse and a control signal C2 from the controller 17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modulator 13. Occurs. The clock signal CLK generated by the pulse generator 19 is applied to the data extension 14, the first memory 15, and the decoder 22. The decoder 22 generates an audio window signal AUDIO_WIND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data extension 14, and extracts a signal for a period determined by the window signal SUB_WIND. The audio window signal AUDIO_WIND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17. The second memory 27 stores the output signal of the decoder 22, and outputs the stored signal to the second D / A converter 28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

한편, 제 2 멀티플렉서(MUX2)는 제 1 D/A 변환기(16)의 출력신호와 제 2 A/D 변환기(28)의 출력신호를 제어부(17)로부터 인가되는 선택 제어신호(SLE2)에 따라 선택하여 신호 합성기(18)로 출력한다. 신호합성기(18)는 OSD 블록(29)의 출력신호와 제 2 멀티플렉서(MUX2)의 출력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출력한다. OSD 블록(29)은 제어부(17)의 제어서 신호(C3)에 따라 화면상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OSD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도의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7)는 키입력부(34)를 통하여 입력하는 사용자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들(C1, C2, INS, SEL1, SEL2, PB_ON, REC _ON)을 발생한다. 기록제어신호(REC_ON)는 기록용 앰프(32)로 인가되며, 재생제어신호(PB_ON)는 재생앰프(12)로 인가된다. 키입력부(34)는 기존의 재생 및 기록동작을 위한 키들에 더하여, 화상검색키, 화상삽입키, 화상삭제키, 숫자입력키 및 방향선택키들을 구비한다.Meanwhile, the second multiplexer MUX2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D / A converter 16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A / D converter 28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ntrol signal SLE2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7. Select and output to the signal synthesizer 18. The signal synthesizer 18 synthesizes the output signal of the OSD block 29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multiplexer MUX2 and outputs the synthesized signal to a display (not shown). The OSD block 29 generates an OSD signal for displaying characters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3 of the controller 17. The controller 17 for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of FIG. 2 generates control signals C1, C2, INS, SEL1, SEL2, PB_ON, and REC_ON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34. FIG. The recording control signal REC_ON is applied to the recording amplifier 32 and the reproduction control signal PB_ON is applied to the reproduction amplifier 12. The key input section 34 includes image search keys, image insertion keys, image deletion keys, numeric input keys, and direction selection keys, in addition to the keys for existing reproduction and recording operations.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 2 도 장치의 동작설명에 앞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의 선택화상데이타가 기록되는 구간을 제 3 (a)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FIG. 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section in which the selected image data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record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제 3 (a)도는 테이프의 오디오데이타영역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HD-VCR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기존의 오디오데이타영역에 선택된 화상데이타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오디오데이타영역"이란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제 3 (a)도의 오디오데이타영역은 전측대부(Preamble), 서브코드영역, 오디오정보영역, 후측대부(plstamble)와 같은 소영역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소영역들은 제 3 도(가)에 도시된 순서로 배열된다. 각각의 소영역들은 동기신호와 번지데이타 및 식별자데이타 등을 각 소영역내의 선단에 구비한다. 전측대부(Preamble) 및 후측대부(plst amble)는 오디오데이타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된다. 서브코드(Sub-Code)구간은 통상의 헤드데이타인 동기신호 및 번지에 더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데이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데이타로 이루어진다. 서브코드부내의 제어데이타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의 테이프상의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선택화상위치정보 및 선택된 화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화상식별정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브코드부의 선택화상위치정보 및 화상식별정보를 이용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이 기록된 테이프 위치부터 재생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Figure 3 (a) shows the structure of the audio data area of the tap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lected image data is stored in the existing audio data area used in the HD-VCR system, the term "audio data area" is used as it is. The audio data area of FIG. 3 (a) is composed of small areas such as a preamble, a subcode area, an audio information area, and a plstamble. These small areas are shown in FIG. Are arranged in order. Each of the small areas includes a synchronization signal, address data, identifier data, and the like at the leading end of each small area. A preamble and a plst amble are used for synchronizing audio data. The sub-code section consists of control data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mage data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ddress, which are normal head data. The control data in the sub code section is composed of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recording position on a tape of an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selected images from each other. Therefore, by using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b code section, the playback operation can be started from the tape position where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recorded.

제 3 (a)도의 데이터구조를 갖는 비데오테이프를 사용하는 제 2 도 장치의 동작을 제 3 (b)도 내지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G. 2 apparatus using the video tape having the data structure of FIG. 3 (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키입력부(34)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응답하여 제 2 도의 장치가 재생동작을 시작하면, 제어부(17)는 제어신호들(PB_ON, C1, SEL2)을 발생한다. 드라이버(20)는 구동제어신호(C1)에 따라 모터(21)의 구동을 제어하며, 재생제어신호(PB_ON)에 따라 동작하는 재생앰프(12)는 헤드(1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복조부(13)로 출력한다. 복조부(13)에 의해 복조된 신호는 데이터신장부(14) 및 펄스발생기(19)로 공급된다. 펄스발생기(19)는 재생동작에 사용된 헤드전환펄스와 복조부(13)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클럭신호(CLK)를 발생한다. 클럭신호(CLK)의 발생은 제 6 도에 도시된 펄스발생기(19) 내부의 위상동기루프(Phase Lock Loop : 이하, "PLL"이라 함) 회로(23)에 의해 이루어진다. PLL 회로(23)는 복조부(13)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데이타의 전측대부에 들어있는 클럭데이타(clocking data)를 이용하여 클럭신호(CLK)를 발생한다. 클럭발생에 사용되는 클럭데이타(clocking data)는 제 3 도에 관련하여 설명되지 않았으나, 통상의 디지털-VCR에서 사용된 일반적인 데이터포맷에서 언급되는 내용이므로, 그에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펄스발생기(19)에 의해 발생된 클럭신호(CLK)는 데이터신장부(14), 제 1 메모리(15) 및 디코더(22)의 동작을 위한 기준 클럭신호로 사용된다. 이 경우, 제어부(17)는 제어신호(C2)를 펄스발생기(19)로 공급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펄스발생기(19)는 윈도우신호(SUB_WIND)를 발생하지 않는다. 펄스발생기(14)에 의해 발생된 클럭신호(CLK)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데이터신장부(14)는 복조부(13)의 출력신호를 신장(expansion)하여 제 1 메모리(15) 및 디코더(22)로 출력한다. 제 1 메모리(15)는 데이터신장부(14)로부터 인가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어부(17)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를 제 1 D/A 변환기(16)로 출력한다. 이때, 디코더(22)는 데이터신장부(14)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오디오윈도우신호(AUDIO WIND)를 발생한다. 제 2 멀티플렉서(MUX2)는 제어부(17)의 선택제어신호(SEL2)에 따라 제 1 D/A 변환기 (16)부터 출력되는 재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신호합성기(18)로 출력한다. 신호합성기(1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하여 화면상에 현시된다.When the apparatus of FIG. 2 starts the playback operation in response to a user's key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34, the controller 17 generates control signals PB_ON, C1, and SEL2. The driver 2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21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C1, and the regeneration amplifier 12 operating according to the regeneration control signal PB_ON amplifies a signal applied from the head 11. Output to the demodulator 13.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13 is supplied to the data extension 14 and the pulse generator 19. The pulse generator 19 generates a clock signal CLK based on the head change pulse used in the regeneration operation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emodulator 13. The clock signal CLK is generated by a phase lock lo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LL ") circuit 23 inside the pulse generator 19 shown in FIG. The PLL circuit 23 generates a clock signal CLK by using clock data contained in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audio data transmitted from the demodulator 13. Clocking data used for clock generation has not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but is referred to in a general data format used in a general digital-VCR,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lock signal CLK generated by the pulse generator 19 is used as a reference clock signal for the operations of the data extension 14, the first memory 15, and the decoder 22. In this case, since the controller 17 does not supply the control signal C2 to the pulse generator 19, the pulse generator 19 does not generate the window signal SUB_WIND. The data extension unit 14, which operates on the basis of the clock signal CLK generated by the pulse generator 14, expands the output signal of the demodulator 13 so as to expand the first memory 15 and the decoder 22. ) The first memory 15 stores data applied from the data expansion unit 14 and outputs the data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7 to the first D / A converter 16. At this time, the decoder 22 decodes the data from the data extension 14 and generates an audio window signal AUDIO WIND. The second multiplexer MUX2 outputs the reproduced analog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 / A converter 16 to the signal synthesizer 18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ntrol signal SEL2 of the controller 17.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ynthesizer 18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a display (not shown).

제 2 도 장치가 상술한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제어부(17)는 키입력부(34)의 화상검색키가 눌러졌는지를 계속 점검한다(제 4 도의 단계 41). 화상검색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는 저장하고 있던 토글키데이타가 "1"인지를 판단한다(단계 42). 이 토글키데이타는 화상검색키의 누름에 의해 그 값이 변경되는 것이다. 단계 42에서 토글키데이타가 "1"이 아니면 제어부(17)는 토글키데이타를 "1"로 변경하여 저장하고(단계 43). 화상검색모드를 온시켜 제어신호들(C2, INS)을 발생한다(단계 44). 제어신호 (C2)가 인가되는 경우의 펄스발생기(19)의 동작을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While the apparatus of FIG. 2 performs the above-described reproduction operation, the controller 17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 image search key of the key input unit 34 has been pressed (step 41 in FIG. 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retrieval key has been pressed, the control unit 17 determines whether the stored toggle key data is "1" (step 42). This toggle key data is changed by pressing an image search key. If the toggle key data is not "1" in step 42, the controller 17 changes the toggle key data to "1" and stores it (step 43). The image search mode is turned on to generate control signals C2 and INS (step 44). The operation of the pulse generator 19 when the control signal C2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 6 도의 펄스발생기(19)에서, 직렬입력/병렬출력형 시프트레지스터(24)는 복조부(13)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PLL 회로(23)에 의해 발생된 클럭신호(CLK)에 따라 자리이동(shifting)시켜 XOR 게이트들로 출력한다. 각각의 XOR게이트는 제 6 도에서 "⊙"로 표시되었다. 시프트레지스터(24)의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이진데이타는 펄스발생기(19)에 기저장된 기준동기신호 및 기준서브코드번지데이타와 배타적 논리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펄스발생기(19)에 기저장된 기준동기신호는 10비트 데이터 "1100110011"이며, 기준서브코드번지데이타는 "0011000101"이다. NOR 게이트(NOR1)는 기준동기신호의 각 자리의 비트값들과 시프트레지스터(24)로부터 출력하는 대응 비트값을 배타적논리합한 결과들을 다시 부정논리합하여 래치(25)로 출력한다. 그리고, NOR게이트(NOR2)는 기준서브코드번지데이타의 각 자리의 비트값들과 시프트레지스터(24)로부터 출력하는 대응 비트값을 배타적 논리합한 결과들을 다시 부정논리합하여 앤드게이트로 출력한다. 동기신호와 번지데이타가 시프트레지스터(24)에 저장되는 순서는 제 3(a)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기신호 다음에 번지데이타가 된다. 따라서, 시프트레지스터(24)로부터 제 3(a) 도의 동기 신호와 동일한 동기 데이터가 출력되면, NOR 게이트(NOR1)는 제 3(b) 도 형태의 동기신호(SYNC)를 출력한다. 그리고, 시프트레지스터(24)로부터 제 3(a) 도의 NOR게이트(NOR2)는 제 3(c)도의 신호(SUB)ADDR)를 발생한다. 래치(25)는 신호(SYNC)를 그 신호가 갖는 하이레벨펄스간격만큼 지연시켜 출력한다. 논리곱회로(AND)는 래치(25)의 출력과 NOR 게이트(NOR2)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플립플롭(26)으로 출력한다. 플립플롭(26)은 논리곱회로(AND)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서브코드영역의 제어데이타 및 선택화상데이타의 구간임을 나타내는 윈도우신호(SUB_WIND)를 발생하는 것으로, 제어부(17)의 제어신호(C2)에 의해 활성화된다. 따라서, 플립플롭(26)은, 제어부(17)로부터 제어신호(C2)가 인가되면, 제 3(d) 도 형태의 신호를 디코더(2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윈도우신호(SUB_WIND)는 펄스발생기(19)로 헤드전환펄스가 입력할때마다 발생된다.In the pulse generator 19 of FIG. 6, the serial input / parallel output shift register 24 shifts the data applied from the demodulator 13 according to the clock signal CLK generated by the PLL circuit 23. FIG. (shifting) to output to XOR gates. Each XOR gate is marked with "⊙" in FIG. The binary data output through each output terminal of the shift register 24 is exclusively ORed with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signal and reference subcode address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pulse generator 19.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signal previously stored in the pulse generator 19 is 10-bit data "1100110011", and the reference subcode address data is "0011000101". The NOR gate NOR1 negatively sums the results of the exclusive logical sum of the bit values of each digit of the referenc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bit value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24,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latch 25. The NOR gate NOR2 negatively logically sums the results of the exclusive OR of the bit values of each digit of the reference subcode address data and the corresponding bit value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24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AND gate. The order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address data are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24 is the address data after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 shown in FIG. 3 (a). Therefore, when the same synchronous data as the synchronous signal of FIG. 3 (a) is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24, the NOR gate NOR1 outputs the synchronous signal SYNC of FIG. 3 (b). From the shift register 24, the NOR gate NOR2 of FIG. 3 (a) generates the signal SUB ADDR of FIG. 3 (c). The latch 25 delays and outputs the signal SYNC by the high level pulse interval that the signal has. The AND circuit AND performs an AND operation on the output of the latch 25 and the output of the NOR gate NOR2,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flip-flop 26. The flip-flop 26 generates a window signal SUB_WIND indicating the section of the control data and the selected image data of the subcode area,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AND circuit,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7. Activated by (C2). Therefore, when the control signal C2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7, the flip-flop 26 outputs the signal of FIG. 3 (d) to the decoder 22. FIG. The window signal SUB_WIND is generated whenever the head change pulse is input to the pulse generator 19.

다시 제 2 도 장치의 동작설명으로 돌아가서, 펄스발생기(19)가 윈도우신호(SUB_WIND)를 발생하면, 디코더(22)는 데이터신장부(1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중의 오디오데이타영역내의 제어데이타 및 선택화상데이타(제 3 (a) 도 참조)를 추출한다. 디코더(22)는 제어부(17)로부터 인가되는 삽입제어신호(INS)에 응답하여, 추출된 선택화상데이타에 제어신호(INS)내에 들어있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를 각각의 선택화상데이타에 대한 번지로 부여한다. 여기서, 디코더(22)는 선택된 화상들 각각에 부여되는 화상식별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상마다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를 부여한다. 제 2 메모리(27)는 디코더(22)로부터 출력되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를 번지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타 및 선택 화상데이타를 기록영역에 저장한다. 제어부(17)는 제 2 D/A 변환기(28)의 출력을 신호합성기(18)로 공급하기 위한 선택제어신호(SEL2)를 발생하며, 제 2 메모리(22)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 2 D/A 변환기(28)로 출력되도록 제 2 메모리(22)를 제어한다.(단계 45). 제 2 메모리(27)는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를 제 2 D/A 변환기(28)로 공급한다. 제 2 멀티플렉서(MUX2)는 제어부(17)로부터의 제어신호(SEL2)에 응답하여 제 2 D/A 변환기(28)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신호합성기(18)로 공급한다. 신호합성기(18)로부터 출력되어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는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9개의 정지화상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아직은 OSD 모드가 오프(OFF)상태이므로 제 5 도의 화면상에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가 표시되지 않는다.Returning to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FIG. 2 again, when the pulse generator 19 generates the window signal SUB_WIND, the decoder 22 controls the control data in the audio data area of the data supplied from the data extension 14 and Selected image data (see also third (a)) is extracted. In response to the insertion control signal INS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7, the decoder 22 adds the page number and the image number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INS to the extracted selected image data for each selected image data. To give. Here, the decoder 22 assigns a page number and a picture number to each picture based on the pict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each of the selected pictures. The second memory 27 stores the control data and the selecte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page number and the image number output from the decoder 22 in the recording area. The controller 17 generates a selection control signal SEL2 for supplying the output of the second D / A converter 28 to the signal synthesizer 18, and the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2 is stored in the second D / A. The second memory 22 is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A converter 28 (step 45). The second memory 27 supplies the stored data to the second D / A converter 28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 The second multiplexer MUX2 supplies an image signal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second D / A converter 28 to the signal synthesizer 18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SEL2 from the controller 17.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ynthesizer 18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is composed of nine still pictures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age number and the image number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5 since the OSD mode is still OFF.

이러한 단계 45의 수행에 의해 선택된 화상들이 화면상에 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OSD 모드를 온시키기 위해 키입력부(34)를 조작하면, 제어부(17)는 OSD 모드를 온 시키며(단계 46), OSD 제어신호(C3)를 발생한다. 이러한 OSD 모드 온/오프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대신에 제어부(17)에서 자동으로 결정하는 변형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범주내에서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OSD 블록(29)은 제어신호(C3)에 따라 화면상에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를 현시하기 위한 OSD 신호를 발생하여 신호 합성기(18)로 출력한다. 이때 발생된 OSD 신호는 제 2 메모리(27)로부터 신호 합성기(18)로 공급되는 선택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로 이루어진다. 신호합성기(18)는 제 2 멀티플렉서(MUX2)로부터 인가된 신호와 OSD 블록(29)으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출력한다. 따라서, 화면상에는 비데오테이프로부터 재생된 선택된 화상들이 디스플레이되며, 화상들 각각에는 대응하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가 OSD 문자형태로 부여된다. 선택된 화상들과 함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들은 제 5 도에서 보여졌다.In the state where the images selected by performing the step 45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 input unit 34 to turn on the OSD mode, the controller 17 turns on the OSD mode (step 46), The OSD control signal C3 is generat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ed embodiments of the OSD mode on / off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7 instead of being determined by the user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SD block 29 generates an OSD signal for displaying the page number and the image numbe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3 and outputs the OSD signal to the signal synthesizer 18. The generated OSD signal is composed of a page number and an imag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data supplied from the second memory 27 to the signal synthesizer 18. The signal synthesizer 18 synthesizes a signal applied from the second multiplexer MUX2 and a signal from the OSD block 29 and outputs the synthesized signal to a display (not shown). Therefore, the selected images reproduced from the video tap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respective page numbers and image numbers are given in the form of OSD characters. The page numbers and picture numbers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selected pictures are shown in FIG.

제 5 도는 OSD를 통해 화면상에 현시되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를 보여준다. 페이지번호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동시에 현시할 수 있는 9개의 부화상들마다 하나씩 부여되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중앙부에 현시된다. 화상번호는 동일한 페이지번호를 갖는 9개의 부화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각 부화상의 우측하단에 현시된다. 하나의 화면상에 동시에 현시되는 부화상의 개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부화상의 갯수는 사용자가 부화상들을 제대로 인식 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적절히 선택된다.5 shows page numbers and image number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OSD. One page number is assigned to each of the nine sub-pictures that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nd is displayed at the top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The picture number is used to distinguish nine sub-pictures having the same page number from each other, and is displayed at the bottom right of each sub-picture. Since the number of sub-picture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screen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such sub-pictures is appropriately selected within the limit that the user can properly recognize the sub-pictures.

단계 46이 완료되면, 제어부(17)는 화상검색키의 입력을 다시 판단하며(단계 41), 그 결과에 의해 화상검색키가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50을 수행한다. 단계 50에서, 저장된 토글키데이타가 "1"이면 제어부(17)는 페이지업키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1). 이때, 사용자는 화면상에 현시된 9개의 선택화상중에 찾고자 하는 화상이 없는 경우, 페이지업(page up)키 또는 페이지다운(page down)키를 누르게 된다. 키입력부(34)의 페이지업키가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17)는 페이지번호는 "1"만큼 증가시켜 저장한(단계 52)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 45이후의 신호처리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51에서 페이지업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7)는 페이지다운키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하여(단계 53), 페이지다운키신호가 입력되면 페이지번호 "1"만큼 감소시킨다(단계 54). 키입력부(34)를 통해 페이지업키 또는 페이지다운키가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17)는 페이지업/다운키에 의해 선택된 페이지에 해당하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를 제 2 메모리(27)의 번지데이타로 공급한다. 제 2 메모리(27)는 제어부(17)로부터 인가되는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를 번지로 하는 선택화상데이타를 제 2 D/A 변환기(28)로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화상을 화면상에서 볼 수 있게 된다.When the step 46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7 judges the input of the image search key again (step 41), a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result that the image search key has not been pressed, performs step 50. In step 50, if the stored toggle key data is "1",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whether a page up key is input (step 51). At this time, if there are no images to be found among the nine selected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presses a page up key or a page down key. When the page up key of the key input unit 34 is pressed, the controller 17 increases and stores the page number by " 1 " (step 52), and then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operation after step 45 as described above. If the page up key signal is not input in step 51,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whether the page down key signal is input (step 53), and decreases by the page number "1" when the page down key signal is input (step 54). . When the page up key or the page down key is press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34, the controller 17 inputs the page number and the imag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age selected by the page up / down key, and the address data of the second memory 27. To supply. The second memory 27 outputs, to the second D / A converter 28, the selected image data including the page number and the image number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7 as addresses.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an view a desired image on the screen.

단계 53에서 키입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7)는 숫자키(또는 커서(cusor)이동키 및 엔터키(enter key)의 조합)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5). 숫자키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7)는 키입력에 의해 선택된 페이지번호 및 화상번호에 대응하는 선택화상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하여 주변기기들을 제어한다(단계 56). 그리고, 제어부(17)는 선택된 화상이 저장된 테이프위치를 찾아가는 비데오번지검색(video address search)모드를 온상태로 전환한다(단계 57). 단계 58에 의해 비데오번지검색모드가 온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는 재생앰프(12) 및 드라이브(20)를 제어하기 위한 재생제어신호(C2) 및 구동제어신호(C1)를 발생한다. 구동제어신호(C1)에 응답하는 드라이브(20)는 모터(21)의 구동을 제어하며, 재생앰프(12)는 헤드(11)를 통해 읽혀지는 신호를 증폭한 다음 복조부(13)로 공급한다. 복조부(1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신장부(14)를 거쳐 제 1 메모리(15)로 공급된다. 이때, 제어부(17)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제어헤드를 통해 테이프로부터 읽혀지는 비데오 테이프의 현재위치 즉, 기록/재생을 위한 헤드(11)가 주행하는 비데오 테이프상의 현재위치인 헤드주행위치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의 비데오 테이프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비교한다(단계 59). 단계 59에서 두 위치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는 선택된 화상이 저장된 테이프위치를 찾아갈때까지 주변기기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단계 59에서 선택화상위치정보와 헤드주행위치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는 비데오번지검색모드 및 화상검색모드를 오프상태로 전환하며 저장된 토글키데이타를 "0"으로 재설정한다(단계 60). 그런 다음, 제어부(17)는 OSD 모드를 오프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신호(C2)를 발생하고 (단계 61), 제 2 도의 장치가 재생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62). 한편, 전술한 화상검색동작중에, 사용자의 키누름에 응답하는 키입력부(34)로부터 새로운 화상검색키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7)는 저장하고 있던 코글키데이타의 값을 "1"에서 "0"으로 변경하여 저장하고(단계 47). 화상검색모드 및 OSD 모드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OSD 블록(29) 및 펄스발생기(19)를 제어한다(단게 48, 49). 이러한 제 2 도 장치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하여 저장해 두었던 화상으로부터 재생동작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53 that there is no key input,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whether a numeric key (or a combination of a cursor moving key and an enter key) is input (step 55). If there is an input of a numeric key,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peripheral devices to read out the selecte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page number and image number selected by the key input (step 56). Then, the controller 17 switches the video address search mode for searching for the tape position where the selected image is stored (step 57).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8 that the video address search mode is switched on,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playback control signal C2 and drive control signal C1 for controlling the playback amplifier 12 and the drive 20. Occurs. The drive 20 in response to the drive control signal C1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21, and the reproducing amplifier 12 amplifies the signal read through the head 11 and then supplies it to the demodulator 13. do. The data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3 is supplied to the first memory 15 via the data expansion unit 14.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ideo tape read from the tape through the control head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the head traveling position and the user, which is the current position on the video tape on which the head 11 for recording / reproducing travels.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n the video tape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comparison is compared (step 59).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9 that the two positions are not identical to each other,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peripheral devices until it finds the tape position where the selected image is stored. By repetition of this opera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9 that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head driving posi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controller 17 switches off the video address search mode and the image search mode and turns off the stored toggle key data. Reset to 0 "(step 60). Then, the control unit 17 generates a control signal C2 for switching the OSD mode to the off state (step 61), and controls the apparatus of FIG. 2 to perform the playback operation (step 62). On the other hand, if a new image search key input is generated from the key input section 34 in response to the user's key press during the above-described image search operation, the controller 17 changes the value of the stored coggle key data from " 1 " Change to 0 "and save (step 47). The OSD block 29 and the pulse generator 19 are controlled to turn off the image search mode and the OSD mode (steps 48 and 49).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tart the playback operation from the image that he has selected and stored.

제 2 도 장치가 재생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데이타를 테이프에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llustrates a process of inserting image data selected by a user into a tape while a device performs a playback operation.

화상검색키의 입력이 없으면 저장하고 있던 토글키데이타의 값이 "1"이 아닌 상태에서 삽입키 입력이 발생하면(단계 63). 제어부(17)는 재생모드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주변기기들을 제어한다(단계 64). 이 경우, 제 2 도 장치는 재생동작에 의해 비데오 테이프로부터 읽혀지는 신호를 신호합성기(18)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상에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단계 64의 수행에 의해, 헤드(11)를 통해 비데오 테이프로부터 읽혀지는 신호는 복조부(13) 및 데이터신장부(14)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데이터신장부(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동시에 제 1 메모리(15) 및 디코더(22)로 인가된다. 디코더(22)는 데이터신장부(14)로부터 인가되는 재생신호에 근거하여 오디오윈도우신호(AUDIO_WIND)를 발생한다. 제어부(17)는 디코더(22)로부터의 오디오윈도우신호 (AUDIO_WIND)의 인가여부에 근거하여 테이프상을 주행하는 헤드(11)의 현재위치가 오디오데이타영역(제 3 도 참조)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65) 단계 65에서 헤드 (11)의 현재주행위치가 오디오데이타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는 오디오윈도우신호(AUDIO_WIND)가 인가되는 동안 기록제어신호(REC_ON)를 발생하며 오디오윈도우신호(AUDIO_WIND)가 인가되지 않는 동안에는 재생제어신호(PB_ON)를 발생한다. 그 결과, 제 2 도 장치는 오디오윈도우신호(AUDIO _WIND)가 인가되는 동안에는 기록모드로 동작하며, 오디오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동안에는 재생모드로 동작한다(단계 66) 단계 66이 수행되면, 제어부(17)는 삽입키데이타를 "1"로 설정하여 저장한다(단계 67). 그런다음, 제어부(17)는 단계 68을 수행한다. 단계 68에서, 제어부(17)는 디코더(22)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윈도우신호(AUDIO_WIND)에 근거하여, 제 1 메모리(15)에 저장된 화상데이타가 데이터압축부(30)로 공급되도록 제 1 메모리(15)를 제어하며, 제 1 메모리(15)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가 데이타압축부(30)로 공급되도록 하는 선택제어신호(SEL1)를 발생한다. 제 1 메모리(15)로부터 선택된 화상의 화상데이타가 제 1 멀티플렉서(MUX1)를 통해 데이터압축부(30)로 인가되면, 제어부(17)는 선택화상위치정보와 화상 식별정보를 발생하여 데이터압축부(30)로 공급한다. 여기서, 선택화상위치정보는 비데오 테이프에 대한 헤드(11)의 현재위치로서, 제어헤드(미도시)를 통해 검출된다. 그리고, 화상식별정보는 현재 선택된 화상을 이전에 선택된 화상들로부터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검색에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제어신호(INS)내의 페이지번호들 및 화상번호들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데이터압축부(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에 대응하는 선택화상데이타, 선택화상위치정보 및 화상식별정보를 압축하여 변조부(31)로 출력한다. 변조부(31)는 데이터압축부(30) 로부터의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도록 변조하며, 기록용 앰프(32)는 변조된 신호를 적절히 증폭하여 헤드(11)로 공급하고, 헤드(11)는 인가되는 신호를 자기테이프에 기록한다. 단계 68로이 선택된 화상데이타는 비데오테이프의 선택화상데이타영역에 기록되며, 그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 및 화상식별정보는 제어데이타영역에 기록된다. 제어부(17)는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단계 63에 의해 삽입키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는 저장된 삽입키데이타가 "1"인지를 판단한다(단계 71). 삽입키데이타의 값이 "1"이면 즉, 삽입모드상태이면, 제어부(17)는 선택된 화상의 삽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72). 선택된 화상이 서브코드영역에 완전히 기록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7)는 선택된 화상이 테이프에 기록중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어신호(C3)를 발생한다(단계 73). 이때, OSD 블록(29)에 의해 생성된 OSD 신호는 신호합성기(1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현시된다. 따라서, 화면상에는 선택된 화상이 테이프에 기록중임이 표시된다. 단계 72에서 선택된 화상의 삽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는 선택화상의 테이프기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OSD 블록(29)를 제어하며(단계 74), 삽입키데이타를 "0"으로 전환한다(단계 75). 단계 75의 수행에 의해 삽입키데이타가 "0"으로 변경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새로운 삽입키가 입력되면(단계 63), 제어부(17)는 재생모드를 온상태로 변경하기 위하여 주변기기들을 제어한다. 이런 경우, 단계 65에서는 헤드(11)의 현재주행위치가 오디오데이타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제어부(17)는 재생제어신호(PB_ON)를 발생하여 재생모드가 온상태로 되게 하며 기록모드가 오프상태로 되게 한다(단계 69). 그리고 제어부(17)는 삽입키데이타를 "0"으로 변경한다(단계 70). 이러한 과정에 의해 하나의 선택화상에 대한 데이터가 비데오테이프상에 기록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삽입동작을 반복하기 위한 사용자 키입력의 반복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수의 화상들의 비데오 테이프상에 기록될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no input of the image retrieval key, if an insertion key input occurs while the value of the stored toggle key data is not "1" (step 63).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peripheral devices to keep the playback mode on (step 64). In this case, the second apparatus continuously displays the signal read out from the video tape by the reproducing operation on the screen via the signal synthesizer 18 and the display. By performing step 64, the signal read out from the video tape through the head 11 is output through the demodulator 13 and the data extension 14. At this time, the signal output from the data expansion unit 14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first memory 15 and the decoder 22. The decoder 22 generates the audio window signal AUDIO_WIND based on the reprodu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data extension 14.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d 11 traveling on the tape is located in the audio data area (see FIG. 3) based on whether the audio window signal AUDIO_WIND is applied from the decoder 22. (Step 6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5 that the current running position of the head 11 is located in the audio data area, the controller 17 generates a recording control signal REC_ON while the audio window signal AUDIO_WIND is applied. The reproduction control signal PB_ON is generated while the audio window signal AUDIO_WIND is not applied. As a result, the second apparatus operates in the recording mode while the audio window signal AUDIO_WIND is applied, and operates in the reproducing mode while the audio signal is not applied (step 66). ) Sets the insertion key data to "1" and stores it (step 67). Then, the controller 17 performs step 68. In operation 68, the controller 17 may be configured to supply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15 to the data compression unit 30 based on the audio window signal AUDIO_WIND applied from the decoder 22. 15, and generates a selection control signal SEL1 for supplying data output from the first memory 15 to the data compression section 30. When image data of an image selected from the first memory 15 is applied to the data compression unit 30 through the first multiplexer MUX1, the controller 17 generates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and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the data compression unit. Supply to (30). Here,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s detected by a control head (not shown)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d 11 with respect to the video tape.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for distinguishing the currently selected image from previously selected images, and is determined based on the page numbers and the image numbers in the control signal IN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image search. The data compression unit 30 compresses the selected image data,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outputs them to the modulator 31. The modulator 31 modulates the data from the data compression unit 30 so that the data can be recorded on the magnetic tape. The recording amplifier 32 amplifies the modulated signal appropriately and supplies the head 11 to the head 11. 11) records the applied signal on the magnetic tape. The image data selected in step 68 is recorded in the selected image data area of the video tape, and the corresponding image position information and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re recorded in the control data area. If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that there is no insertion key input in step 63 while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the controller 17 determines whether the stored insertion key data is "1" (step 71). If the value of the insertion key data is "1", that is, in the insertion mode, the control unit 17 determines whether insertion of the selected image is completed (step 72). If the selected picture has not been completely recorded in the subcode area, the control unit 17 generates a control signal C3 to indicate that the selected picture is being recorded on the tape (step 73). At this time,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block 29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signal synthesizer 18. Thus, on the screen, it is displayed that the selected image is being recorded on the tap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72 that the insertion of the selected image has been completed, the control unit 17 controls the OSD block 29 to indicate that the tape recording of the selected image has been completed (step 74), and the insertion key data is set to "0". Switch (step 75). When the insertion key data is changed to " 0 " by the execution of step 75 and a new insertion key is input in the stored state (step 63),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peripheral devices to change the playback mode to the on state. In this case, since it is determined in step 65 that the current running position of the head 11 is not located in the audio data area, the control unit 17 generates the playback control signal PB_ON to turn the playback mode on and the recording mode. Is turned off (step 69). The controller 17 changes the insertion key data to "0" (step 70). By this process, data for one selected image is recorded on the video t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rd on the video tape of the plurality of images selected by the user by repetition of the user key input for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insertion operation.

다음으로, 화상검색모드 및 OSD 모드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상에 나타내어진 화상들중의 하나를 삭제 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case in which the user deletes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image search mode and the OSD mode on state will be described below.

제어부(17)는 단계 71까지를 수행하여 삽입키데이타가 "1"이 아니면, 제어부(17)는 삭제키입력여부를 판단한다(단계 76). 삭제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7)는 삭제키에 의해 선택된 화상의 화상번호를 "0"으로 변경하고(단계 77), 변경된 화상번호를 제 2 메모리(22)의 해당 화상데이타에 대한 번지값으로 지정한다. 따라서, 화상번호 "0"을 갖는 선택화상이 포함된 페이지의 선택된 화상들이 화면상에 재생되는 경우, 화상번호 "0"을 갖는 화상을 제외한 나머지 화상들만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화상번호가 "0"으로 설정된 선택화상은 다시 시작되는 화상검색모드에서 테이프 또는 메모리로부터 읽혀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화상들중에서 소정 화상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선택화상들에 화상번호를 다시 부여함으로써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77이 수행된 경우 또는 단계 76에서 삭제키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7)는 단계 41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7 performs up to step 71, and if the insertion key data is not "1", the control unit 17 determines whether the deletion key is input (step 76). When the delete key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17 changes the picture number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delete key to " 0 " (step 77), and changes the changed picture number to the corresponding picture data of the second memory 22. Specify as address. Therefore, when the selected pictures of the page including the selected picture having the picture number "0" are reproduced on the screen, only the remaining pictures except the picture having the picture number "0"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ince the selected picture in which the picture number is set to "0" is not read from the tape or the memory in the picture search mode to be restarted, the time taken to find a predetermined picture among the pictures previously selected by the user can be shortened. If necessary, image number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reassigning image numbers to selected images. When step 77 is performed or when there is no delete key input in step 76, the controller 17 performs a process after step 41.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선택된 화상들 및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비데오테이프의 일부의 오디오영역 특히, 비데오 테이프의 앞단 또는 뒷단에만 기록하여 화상검색을 할 수 있는 내용과, 비데오 테이프의 허용되는 모든 오디오영역에 선택된 화상들 및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반복적으로 기록하므로써, 어떤 위치에서도 화상검색을 곧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범주내에서 가능하다.Although not mention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tents can be searched by recording the selected images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only in a part of the audio area of the video tape, in particular in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video tape, and in the video tape. It is also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perform image retrieval immediately at any position by repeatedly recording the selected images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 all audio area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검색장치는, 비데오 테이프의 특정영역에 기록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들에 대한 화상데이타와 선택화상위치정보 및 화상식별정보를 사용하여 화상검색을 수행하므로써, 데이터블록마다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화상을 검색하는 기존의 화상검색장치에 비하여 효과적인 화상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비데오 테이프의 특정영역에 기록되는 선택된 화상들을 사용자 자신의 요구에 따라 추가로 기록 또는 삭제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retrie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data retrieval by using image data,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and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mages selected by a user recorded in a specific area of a video tap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mage retrieval apparatus which retrieves an image by using each index, the effect of enabling effective image retrieval is brought.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lected images recorded in a specific area of the video tape can be additionally recor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user's own requirements.

Claims (15)

비데오 테이프 플레이어를 위한 화상검색방법에 있어서, 재생모드중에 화면상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들중에서 복수개의 화상들을 선택하는 단계 : 선택된 화상들 및 그 화상들이 기록된 비데오 테이프상의 연속화상중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비데오 테이프의 오디오영역에 기록하는 선택 화상기록단계 : 상기 선택화상기록단계에 의해 비데오 테이프의 소정영역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화상 및 그 선택화상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재생하여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정보들중에서 복수개의 선택화상들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개의 선택된 화상들중 하나를 다신 선택하는 단계 : 및 비데오 테이프를 주행시키며, 상기 다시 선택된 화상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와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에 의한 헤드주행위치가 일치하는 비데오 테이프위치로부터의 화상재생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검색방법.An image retrieval method for a video tape player, comprising: selecting a plurality of images among images continuously displayed on a screen during a playback mode: selecting the selected images and their positions in the continuous image on the video tape on which the images are recorded; Selective image recording step of recording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in the audio area of the video tape: at least one selected image record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video tape by the selective image recording step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Storing and reproducing: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on the screen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storing step;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again; and driving a video tape And the selected pictur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icture again. And starting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from the video tape position at which the information and the head running position due to the running of the video tape coincide. 제 1 항에 있어서, 비데오 테이프의 오디오영역에 기록된 상기 선택화상 및 그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방법.2. The image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leting the selected image recorded in the audio area of the video tape and corresponding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화상표시단계는 저장된 복수개의 선택화상들을 동시에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방법.The image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lected image display step displays a plurality of stored selected images simultaneously on the scree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선택단계는 전체화면에 표시되는 선택화상들을 구분하는 인덱스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하며 화면에 표시된 인덱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화상을 재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방법.The image of claim 3, wherein the reselection step displays an index for distinguishing the selected images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using the on-screen display and reselects a predetermined image using the index displayed on the screen. Search method. 비데오 테이프 플레이어를 위한 화상검색장치에 있어서, 오디오영역과 비데오영역으로 구분되는 정보 기록영역을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들에 대한 선택화상신호들 및 각 선택화상이 갖는 비데오 테이프상의 연속화상에 관련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화상위치정보가 오디오영역에 기록된 비데오 테이프 : 상기 비데오 테이프에 기록된 화상신호를 재생출력하는 신호재생수단 : 상기 신호재생수단의 출력신호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 상기 신호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신호로부터 선택화상신호 및 선택화상의 선택 화상위치정보를 추출 및 저장하는 신호추출수단 : 재생모드, 기록모드, 상기 선택화상신호 및 선택 화상이 갖는 연속화상상의 위치정보를 기록매체에 삽입하는 삽입모드, 선택화상이 갖는 연속화상상의 위치를 찾아가는 화상검색모드 및 화면상에 나타난 소정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키들을 갖는 명령입력수단 : 상기 제 1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신호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선택화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 : 상기 제 1 메모리 및 제어수단의 출력신호들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신호기록수단 : 및 상기 명령입력수단의 키입력에 응답하여, 재생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중 연속화상에 관한 화상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삽입모드의 경우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신호 및 그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비데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화상검색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이 갖는 상기 연속화상상의 비데오 테이프상의 연속화상들에 관련한 기록위치로부터 재생동작을 시작하도록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검색장치.An image retrieval apparatus for a video tape player, comprising: an information recording area divided into an audio area and a video area, and which relates to selection image signals for images selected by a user and continuous images on a video tape of each selection image; A video tape in which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posi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an audio area: Signal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recorded on the video tape: First memory for storing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Reproducing the signal Signal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and storing the selected image signal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signal reproduced by the means: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ntinuous image included in the reproduction mode, the recording mode, and the selected image signal and the selected image Insertion mode to insert in the media, finds the position of the continuous image of the selected image Command input means having a thin image search mode and input keys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mag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emory and a selected image signal extracted by the signal extraction means : Signal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memory and the control means to the recording medium: and in response to a key input of the command input means, an image relating to a continuous image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in the reproduction mode. The signal is displayed on the screen.In the insert mode, the same image signal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re recorded on the video tape.In the image search mode,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To start the playback operation from the recording position relative to the continuous images on the video tape of the continuous image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said mea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입력수단은 삭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삭제모드시에 화면상에서 선택된 화상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신호 및 선택화상위치정보를 상기 비데오 테이프로부터 삭제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6. The video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mmand input means further comprises a key for selecting a deletion mode, and wherein the control means outputs the selected image signal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lected on the screen in the deletion mode. And a function for deleting from the image.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화상표시수단은 화상검색모드인 경우 다수의 선택화상을 동시에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The image retriev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image display means simultaneously displays a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on the screen in the image retrieval mode. 제 7 항에 있어서,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화상들을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The image retriev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n on-screen display for displaying an index for distinguishing image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n on-screen display. 제 8 항에 있어서,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들은 정지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The image retriev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e same time are still imag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추출수단은 상기 신호재생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비데오영역이 기록된 화상신호와 상기 오디오영역에 기록된 화상신호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윈도우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윈도우 펄스발생부 : 상기 윈도우펄스신호에 근거하여 선택화상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신호 및 선택화상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선택화상신호 추출부 : 및 상기 선택화상신호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선택화상신호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signal extracting means receives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and generates a window pulse signal for distinguishing the image signal recorded in the video region from the image signal recorded in the audio region. A pulse generation unit: a selection image signal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selection image signal and selection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mage based on the window pulse signal: and storing the selection image signal extracted by the selection image signal extracting unit And a second memory.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기록수단은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중에서 삽입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 및 그 화상이 갖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변조하여 비데오 테이프의 오디오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7. The imag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signal recording means modulates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in the insertion mode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among the image signals stored in the first memory, and records them in the audio area of the video tape. The image retrieval apparatus which makes it the specifi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삽입모드의 경우 신호재생수단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재생수단이 동작하지 않는 시간동안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not to operate in the insertion mode and displays an image signal stored in the first memory on the screen during the time when the reproducing means does not operate. An image retrieval device. 비데오 테이프 플레이어를 위한 화상검색장치에 있어서, 오디오영역과 비데오영역으로 구분되는 정보기록영역을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들에 대한 선택화상신호들 및 각 선택화상이 갖는 비데오테이프상의 연속화상에 관련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화상위치정보가 오디오영역에 기록된 비데오 테이프 : 상기 비데오 테이프에 기록된 화상신호를 재생출력하는 신호재생수단 : 상기 신호재생수단의 출력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 상기 신호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신호로부터 선택화상신호 및 선택화상의 선택화상위치정보를 추출 및 저장하는 신호추출수단 : 재생모드, 기록모드, 상기 선택화상신호 및 선택화상이 갖는 연속화상상의 위치정보를 비데오 테이프의 오디오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삽입모드, 선택화상이 갖는 연속화상에 대한 비데오테이프위치를 찾아가는 화상검색모드 및 화면상에 나타난 소정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키들을 갖는 명령입력수단 :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 :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를 상기 비데오 테이프에 기록하는 신호기록수단 : 및 상기 명령입력수단의 키입력에 응답하여, 재생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중 연속화상에 관한 화상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삽입모드의 경우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신호 및 그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선택화상위치정보를 비데오 테이프에 기록하고, 화상검색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이 갖는 연속화상상의 비데오 테이프 상의 연속화상들에 관련한 기록위치로부터 재생동작을 시작하도록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상검색장치.An image retrieval apparatus for a video tape player, comprising: an information recording area divided into an audio area and a video area, and which relates to selection image signals for images selected by a user and continuous images on a video tape of each selection image; A video tape having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position information recorded in an audio area: signal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recorded on the video tape: memory for storing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in the signal reproducing means Signal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and storing the selected image signal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signal reproduced by the video signal; reproducing mode, the recording mod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ntinuous image of the selected image signal and the selected image. Insertion mode for recording in the audio area Command input means having an image search mode for finding a videotape position for the video tape and input keys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mag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on a screen: imag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on the video tape; and in response to a key input of the command input means, in the reproducing mode, an image signal relating to a continuous image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case of the image search mode, the same image signal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elected imag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re recorded on the video tape, and in the image retrieval mode, the continuous image on the video tape of the continuous image of the user selected image is recorded. Control to control the means to start the playback operation from the associated recording position Image retrieval apparatus including a stag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수단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개의 선택화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각 화상들마다에 부여되는 인덱스 신호를 선택화상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The image retriev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said image display means displays an index signal applied to each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elected image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selected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each oth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저당된 선택화상들중에서 화상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검색장치15. The image retriev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said control means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display of the selected images stored in the memory by the image display means.
KR1019920020379A 1992-10-31 1992-10-31 An image search method and device in video tape recorder KR950013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379A KR950013259B1 (en) 1992-10-31 1992-10-31 An image search method and device in video tape rec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379A KR950013259B1 (en) 1992-10-31 1992-10-31 An image search method and device in video tape rec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839A KR940009839A (en) 1994-05-24
KR950013259B1 true KR950013259B1 (en) 1995-10-26

Family

ID=1934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379A KR950013259B1 (en) 1992-10-31 1992-10-31 An image search method and device in video tape rec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2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586B2 (en) * 1997-07-09 2005-01-12 株式会社デノン Video playback device
KR100636910B1 (en) * 1998-07-28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Search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839A (en) 199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82848A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US6301431B1 (en) Reproducing apparatus
US4860122A (en) Device for reproducing a sequence of still pictures with an audio portion and without motion pictures between successive still pictures
KR950013259B1 (en) An image search method and device in video tape recorder
JP3295473B2 (en) Video disk recorder with real-time editing function
US5043831A (en) Erasing device
JP4585641B2 (en) Recorded video search device and search method
JPH0686222A (en) Still picture reproducing device
KR100351801B1 (en) Index search device of dvcr
US63515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hoto information in digital cassette recorder (DVCR)
JPS62180686A (en) Sound recording system for still picture disk
JPH07226062A (en) Device for reproducing multi-media data
KR0174935B1 (en) Video tape for randomly playing and method for playing using the video tape
JP2590929B2 (en) Image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JP2801224B2 (en) Image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KR0176454B1 (en) Record/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of tape with a password of each program
JP2738265B2 (en)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device
KR0178727B1 (en) Digital camcorder having electronic still camera function
JP2515779B2 (en) Still image playback device with audio
JP3505375B2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video recording program
JP4305082B2 (en) Video recording / playback device
KR19980067874A (en) How to display angle information in multi-angle playback system
JPH0832992A (en) Image reproducing device
KR20000043169A (en) Additional service data recorded dummy data section and method for offering additional service
JP2000092426A (en) Video cassette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