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807Y1 - 필름의 감기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의 감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807Y1
KR950005807Y1 KR2019950010528U KR19950010528U KR950005807Y1 KR 950005807 Y1 KR950005807 Y1 KR 950005807Y1 KR 2019950010528 U KR2019950010528 U KR 2019950010528U KR 19950010528 U KR19950010528 U KR 19950010528U KR 950005807 Y1 KR950005807 Y1 KR 950005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ush
winding
bobbi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우이찌 와끼다
Original Assignee
도오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노 사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13107U external-priority patent/JP2560543Y2/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노 사다오 filed Critical 도오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50010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6Lateral-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름의 감기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감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감기장치의 푸쉬컵을 공기압 실린더에 의해 가압조작하는 공기압 회로도.
제 3 도는 소형기에 있어서 감기지름의 기계손실값의 변화를 도시하는 선도이며, 제 3a 도는 본 고안의 장치와 종래장치의 감기지름에 대한 기계손실값의 변화를 도시하는 선도, 제 3b 도는 본 고안의 장치와 종래장치의 감기 지름에 대한 기계손실값의 변화를 장력환산으로 표시한 선도.
제 4 도는 대형기에 있어서 감기지름의 기계손실값의 변화를 도시하는 선도이며, 제 4a 도는 본 고안의 장치와 종래장치의 감기지름에 대한 기계손실값의 변화를 도시하는 선도, 제 4b 도는 본 고안의 장치와 종래장치의 감기 지름에 대한 기계손실값의 변화를 장력환산으로 표시한 선도.
제 5 도는 종래의 감기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빈 16a, 68 : 푸쉬컵
22,26 : 공기압실린더 44 : 모우터
60 : 하우징 62 : 프레임
64 : 지지축 80 : 슬리이브
84 : 중간축 85 : 중간지지부
88 : 중간풀리 96 : 제 1 전자전환밸브
98 : 제 2 전자전환밸브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플라스틱 필름등의 박막물을 감는 장치에 관하며, 특히 로울필름의 장력을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는 감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필름감기장치에 있어서 감기장력은, 필름의 감기자세, 감기경도, 내부응력등의 감기성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장력은 고 정밀도로 제어될 필요가 있다.
종래, 이 장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감기모우터의 제어를 위시해서 각종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감기모우터를 아무리 고정밀도로 제어하여도, 각 기계요소의 기계손실이 큰 감기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전체로서 보면 정밀도는 저하되어 버린다.
감기모우터의 부하Q(kW)는의 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F : 필름의 장력(kg), V : 필름의 속도(m/min), Z : 기계손실(kW)
따라서 기계손실(Z)의 비율이 높고, 불안정하면, 아무리 모우터의 부하(Q)를 제어해도, 필름의 장력(F)의 정확한 제어는 할 수 없다.
또 최근에는 필름이 얇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필름의 장력이 저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감기축용의 접촉로울을 사용하거나 하여 약한 장력으로 감기를 행하는 등, 낮은 장력을 정밀도 좋게 제어할 필요성이 높아져 있다.
예를들면 두께 2~3μ의 필름에 있어서는 감기장력을 0.5~1kg/m 이하로 제어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저장력영역에서, 장력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제 5 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감기축 척의 구조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기계손실의 비율이 높으며, 장력의 제어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나 장력변동을 방지하는 등의 점에 있어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제 5 도는 종래의 양측 슬라이드식 감기축 척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면중 부호 10은 필름(12)을 감는 보빈이다. 이 보빈(10)의 양쪽 끝에는 한쌍의 테이퍼구멍(14a, 14b)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빈(10)의 양측에는 테이퍼구멍(14a,14b)에 각각 끼워맞춤하는 푸쉬컵(16a,16b)을 통하여 지지축(18a,18b)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지지축(18a,18b)은 보빈(10)의 회전축심상에 대향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지지축(18b)은 슬리이브(20)에 축방향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한쪽끝은, 공기압실린더(22)의 로드(24)에 접속됨과 함께, 그 다른쪽끝에는 푸쉬컵(16b)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지지축(18a)은 상기한 한쪽의 지지축(18b)과 똑같이 그 한쪽 끝에 푸쉬컵(16a)이 고정됨과 함께 그 다른쪽끝에는 푸쉬컵(16a)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압 실린더(26)의 로드(28)가 축받이(3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32)에 고정된 하우징(34)에는 슬리이브(36)가 축받이(38a,38b)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슬리이브(36)에 지지축(18a)이 키이(40)를 통하여 걸어맞춤하여 축방향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슬리이브(36)의 한쪽끝에는 타이밍풀리(42)가 고정되어 있고, 이 타이밍풀리(42)를 통하여 후술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슬리이브(36)가 회전구동된다.
즉, 이 구동수단은 모우터(44)의 출력축에 고정된 타이밍풀리(46)와 중간축(48)의 양쪽 끝에 고정된 대소의 타이밍풀리(50a,50b)와, 이들 풀리(46,50a,50b) 및 슬리이브(36)에 고정된 풀리(42)에 각각 걸려서, 슬리이브(36)에 감속회전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52a,52b)로 구성된다.
이 경우 지지축(18a)의 한쪽 끝에 접속된 피스톤로드(28)는 축받이 (30)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다른쪽 끝에 설치된 푸쉬컵(16a)은 키이(54)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보빈(10)의 양측에 배열설치된 이동수단인 공기압실린더(22,26)를 작동시켜서 지지축(18a,18b)을 전진이동시켜 각 지지축(18a,18b)의 양 끝에 있는 푸쉬컵(16a,16b)을 보빈(10)의 테이퍼구멍(14a,14b)에 가압끼워맞춤시킨다.
다음에, 모우터(44)를 기동하면 슬리이브(36)가 회전하고 동시에 지지축(18a)도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이 지지축(18a)의 회전에 의해 푸쉬컵(16a)이 회전하고 이에따라 보빈(10)이 회전구동되어 필름(12)이 감긴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이와같이 척부의 기능으로서는, 보빈(10)을 지지하고, 또한 필름을 감기위한 토오크를 전달하는 외에 빈 보빈, 감긴보빈의 붙이고 떼기를 위하여, 푸쉬컵의 전진과 후퇴이동이 필요하다.
이 푸쉬컵(16a,16b)의 지지축은 보빈의 양단중 한쪽 및 양쪽 슬라이드식의 것이 있으나 조작면에서는 양측식의 것이 뛰어나며, 대형기나 보빈의 붙이고 떼기를 자동화할 경우에는 양측 슬라이드식을 채용하는 일이 많다.
양측 슬라이드식을 채용할 경우의 구조상의 문제점으로서 구동측에서는 토오크를 전달하고 또한 푸쉬컵(16a,16b)을 이동시키기 위해 2중구조로 되고, 또 회전하중을 지지하는 축받이에 대해서 하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오버행(overhang))등 회전저항이 증대되어 버리는 일이다.
한편, 푸쉬컵의 한쪽 및 양쪽 슬라이드식에는 관계없이 보빈(10)을 지지하기 위한 쓰러스트럭을 필요로 하며, 이 힘이 클수록 축받이부에는 쓰러스트 하중의 작용에 의한 회전저항도 발생한다.
이 쓰러스트력의 값은, 푸쉬컵과 보빈의 끼워맞춤형상과, 보빈의 중량 및 테이퍼 끼워맞춤부의 마찰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동일 마찰력에 있어서는 끼워맞춤 테이퍼 각이 크고 보빈중량이 클수록 이것을 유지하기 위한 쓰러스트 하중이 필요하게 된다.
또 푸쉬컵의 끼워맞춤테이피각이 0°(평행)이면, 통상적으로 감기시에 쓰러스트 하중은 불필요하게 되지만 보빈과 푸쉬컵의 공극에 의한 진동, 편심등의 문제가 생긴다. 테이퍼각을 미소하게 하는 방법도 있으나 삽입후 죄임 효과로 이탈시에 잘 빠지지 않게되고 착탈성이 손상되는 수가 있다.
또, 척부가 직선형상의 것이므로 삽입후 내부가 벌어져 죄는 식으로 되어 이탈시에는 움츠리고 나서 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척로크장치도 있으나 동심성, 내하중능력, 구조스페이스등에서의 제약이 많으며, 채용되는 조건이 한정되는 등 종래의 척부에는 많은 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본원고안의 목적은, 보빈의 착탈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기계손실이 낮은 감기구동에 의해 낮은 장력, 높은 정밀도의 장력제어를 가능하게한 감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동일축선상에 각각 진퇴이동가능하게 배설된 한쌍의 지지축과, 상기 한쌍의 지지축의 단부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한쌍의 푸쉬컵과, 상기 한쌍의 푸쉬컵에 의해 양단을 가압지지하는 필름귄취용의 보빈과, 상기 한쌍의 지지축을 축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한쌍의 푸쉬컵의 어느 한쪽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필름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64)의 한쪽끝에는 중간지지부(85)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중간축(84)의 한 끝에 지지아암(86)을 통하여 연결되어 유지되고, 상기 지지축(64)의 다른쪽끝에는 회전전달부(72)가 설치된 푸쉬컵(68)이 장착되어, 상기 푸쉬컵의 회전전달부(72)는 상기 중간축(84)의 다른쪽 끝에 부착된 회전전달부(88)와 전달기구 (90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감기장치이다.
이 경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지지축에 부가되는 축방향의 작용력을 강, 약의 2단 변환이 가능하게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또 무오터와 푸쉬컵의 사이에 중간지지부를 배치하고, 이 중간지지부는 프레임에 고정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슬리이브와, 이 슬리이브에 회전전달이 가능하도록 걸어맞춤과 함께 축방향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축과, 모우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슬리이브의 한쪽 끝에 설치된 중간풀리와, 중간축의 한쪽끝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지지축의 한쪽 끝에 고정된 지지아암과, 푸쉬컵에 설치된 풀리에 벨트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중간축의 다른쪽 끝에 설치된 구동풀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축은 지지축의 축방향의 움직임과 동조해서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수단은, 반대회전 구동쪽의 푸쉬컵을 이동조작하는 유체압 실린더와 이것을 작동하는 유체압 공급회로와, 이 유체압 공급회로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전자전환밸브와, 이 제 1 전자전환밸브의 공급측에 접속된 고압설정의 압력조절밸브와, 제 2 전자전환밸브의 공급측에 접속된 저압설정의 압력조정밸브로 이루어지며, 제 2 전자전환밸브의 공급측에는 제 1 전자전화밸브가 접속되어 유체압 실린더는 푸쉬컵의 진퇴이동시에는 고압으로 조작되며, 보빈회전 구동시에는 저압으로 조작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고안에 관한 감기장치에 의하면 보빈의 착탈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기계손실을 저하시킬 수가 있으므로 낮은 장력범위에 있어서도 고정밀도의 장력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또 지지축의 구조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되는 축받이도 기계손실이 적은 축받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고안에 관한 감기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 5 도에 도시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감기장치의 전체도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60은 하우징을 도시하고, 이 하우징(60)은 프레임(62)에 고정되어 있다. 이 하우징(60)내에는 지지축(64)이 축방향으로만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64)의 한쪽끝은 축이동수단으로서의 공기압 실린더(26)의 로드(66)에 접촉되고 그 다른쪽끝에는 푸쉬컵(68)이 축받이(70)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푸쉬컵(68)에는 타이밍풀리(72)가 고정되어 후술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이 타이밍풀리972)를 통하여 푸쉬컵(68)을 직접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푸쉬컵(68)의 구동수단은, 출력축에 타이밍풀리(74)를 고정한 모우터(44)와, 이 모우터의 회전구동력을 푸쉬컵(68)에 전달하도록 모우터(44)와 푸쉬컵(68)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축(64)의 이동에 동조하는 중간지지부(858)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간지지부(85)는 프레임(62)에 고정된 하우징(76)과, 이 하우징(76)에 축받이(78a,78b)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슬리이브(80)와, 이 슬리이브(80)의 한쪽 끝에 고정된 타이밍풀리(81)와, 슬리이브(80)내에 슬라이드베어링(82a,82b)를 통하여 회전을 전달함과 함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중간축(84)과, 이 중간축의 한쪽끝을 베어링(86a)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지지축(64)의 한쪽 끝에 고정된 아암(86)과, 중간축(84)의 다른쪽 끝에 고정된 타이밍풀리(88)와, 타이밍풀리(74, 81 및 82, 72)에 각각 걸리는 타이밍벨트(90a, 90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타이밍벨트(90a, 90b)는 각각 텐션풀리에 의해 팽팽하게 가설되어 있지만, 이동측의 타이밍 벨트(90b)를 팽팽하게 가설하는 텐션풀리(92)는 이 텐션풀리(92) 내부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어링(94)을 통하여, 지지축(64)의 이동조작과 함께 동조 이동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푸쉬컵(68)에 토오크전달하는 데에 타이밍벨트를 사용한 예를 도시했으나 이것에 대신해서 벨트, 체인, 기어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중간축(84)을 지지하는 축받이로 슬라이드 베어링(82a,82b)을 사용하고 이 중간축(84)을 상기 지지축(64)에 연결해서 동조시키는 예를 도시했으나 이것을 구동측 또는 종동측의 타이밍풀리의 내부에 슬라이드 베어링을 설치해서 동조이동시킬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지지축(64)이 이동수단이 공기압실린더(26)의 작용에 의해 로드(66)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전진이동하면 이 지지축 앞끝의 푸쉬컵(68)은, 그 테이퍼부가 보빈(10)이 끝부분에 뚫어 설치되어 있는 테이퍼구멍에 끼워맞춰진다.
지지축(64)의 이동에 의해, 이 지지축(64)에 지지아암(86)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중간축(84)은 슬라이드 베러링(82a,82b)을 통하여 지지축(64)의 이동동작에 동조해서 이동하고, 이 중간축(84)에 고정되어 있는 풀리(88)도 똑같이 푸쉬컵(68)의 타이밍풀리(72)와 함께 동조해서 이동한다.
다음에 모우터(44)를 이동하면 중간축(14)은 타이밍풀리(74,81) 및 슬리이브(80)를 통하여 회전구동되고 동시에 타이밍풀리(88,72)에 걸려 있는 타이밍 벨트(90b)를 통하여 푸쉬컵(68)이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이 푸쉬컵(68)에 가압끼워 맞춤되어있는 보빈(10)이 회전구동되어 필름(12)이 감겨진다.
이와같이해서 푸쉬컵(68) 내부에 설치한 축받이(70)를 통하여 보빈(10)을 회전지지하는 축받이(70)의 외륜측이 푸쉬컵(10)에 직접 토오크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축(64)을 회전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종래에 지지축(18a)과 하우징(34)사이에 사용하고 있던 슬리이브(36) 및 지지축(18a) 끝부분과 로드(28)를 지지하는 축받이(30)는 불필요하게 된다(제 5 도 참조).
다음에 제 2 도를 참조하여, 푸쉬컵(68,16b)을 이동시켜서 보빈(10)을 가압지지하는 공기압실린더의 공기압회로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보빈(10)의 한쪽을 지지하는 회전구동측의 공기압실린더(26)는 전자전환밸브(100)에 의해 그전진, 후퇴를 제어시키며, 이 전자전환밸브(100)의 공기압원측에는 설정압력 5kg/㎠으로 설정된 압력조정밸브(102)에 접속되어 있다. 이 회전구동축의 공기압실린더(26)는, 실린더의 전진한계에서 푸쉬컵(68)의 위치를 일정한 전진한계로 하고 있다.
한편, 보빈(10)을 가압지지하는 반회전 구동축의 공기압실린더(22)는 서로 연이어 통하여 접속된 제 1 , 제 2의 전자전환밸브(96,98)을 통하여 제어되며, 또한 제 1 전자전환밸브(96)의 공기압원 측에는 설정압력 4kg/㎠로 설정된 압력제어밸브(104)가, 또한 제 2 전자전환밸브(98)의 공기압원측에는 설정된 압력 1kg/㎠로 설정된 압력제어밸브(106)가 접속되어 있다.
즉, 푸쉬컵(16b)의 붙이고 떼기 시에는 제 2의 전자전환밸브(98)를 도시한 상태, 그대로의 상태로 하고 제 1의 전자전환밸브(96)를 전환시킴으로써, 제 2의 전자전환밸브(98)를 통하여 설정압력 4kg/㎠의 고압으로 조작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회전구동측의 압력조정밸브(102)를 반회전구동측에 대해서 약간 높게(0.5~1kg/㎠)설정함으로써, 보빈(10)을 끼워넣을 때에 있어서 구동측 기준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또, 보빈(10)의 감기구동시에는 제 2 의 전자전환밸브(98)의 솔레노이드(98b)를 여자시켜서 전환시킴으로써 설정압력 1kg/㎠의 저압으로 상기 보빈(10)을 가압지지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해서 반회전구동측의 푸쉬컵(16b)을 가압하기 때문에, 지지축(18b)에 부가되는 축방향의 작용력을 강, 약의 2단계로 전환함으로써 푸쉬컵(16b,68)과 보빈의 끼워맞춤 테이퍼각도를 강압(최대 쓰러스트력)으로 붙이고 뗄수 있는 최송의 테이퍼각도로 하고 붙이고 떼기동작은 강압으로 행할 수가 있다.
또, 통상적인 필름감기시에는 보빈(10)의 중량을 지지하여도 이완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저압으로 컵(16b)을 가압하고 그것에 따라서 푸쉬컵(68) 측 및 (16b)측도 쓰러스트력이 저하하고 쓰러스트력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저항을 극력 낮게 할 수가 있다.
이것으로써 푸쉬컵(16b 및 68) 내부에 설치한 축받이(15,70)는 부하능력에 있어서도 깊은 홈의 볼베어링등의 저마찰의 축받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감기장치를 사용했을 경우의 소형기 및 대형기에 있어서의 기계손실값의 각 데이터는 제 3 도 및 제 4 도의 선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제 3a 도는 필름폭 2200mm의 소형기의 경우를 도시하며, 감기속도 200m/min에 있어서 보빈의 감기지름에 대한 기계손실(kW로 표시)을 도시하고 종래 구조의 감기장치의 기계손실값 A,B에 대해 본 고안의 장치에서는 C,D,E로 감소하고 있다.
또, 제 3b 도는 상기 기계손실값을 보빈의 감기지름에 있어서의 장력(kg)으로 환산한 것으로, 기계손실값 A~E는 상기와 똑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선도에 있어서,
A : 종래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200kg
사용축받이 : 원추로울베어링
B : 종래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50kg
푸쉬컵의 사용축받이 : 원추로울베어링
C : 본 고안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200kg
사용축받이 : 원추로울베어링
D : 본 고안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50kg
사용축받이 : 원추로울베어링
E : 본 고안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50kg
사용축받이 : 깊은홈 볼베어링을 도시한다.
제 4a 도는 필름폭 5200mm의 대형기의 경우를 도시하고, 감기속도 200m/min에 있어서 보빈의 감기지름에 대한 기게손실값(kW로 표시)을 도시하고 종래구조의 감기장치의 기계손실값 A,B에 대해, 본 고안의 장치에서는 C,D,E로 감소하고 있다.
또, 제 4b 도는 제 4a 도의 기계손실값을 보빈의 감기직경에 있어서의 장력(kg)으로 환산한 것으로, 기계손실값 A~E는 상기와 똑같은 경향을 도시하고 있다.
A : 종래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982kg
사용축받이 : 원추로울베어링
B : 종래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250kg
푸쉬컵의 사용축받이 : 원추로울베어링
C : 본 고안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982kg
사용축받이 : 원추로울베어링
D : 본 고안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250kg
사용축받이 : 원추로울베어링
E : 본 고안의 구조, 쓰러스트 하중=250kg
사용축받이 : 깊은홈 볼베어링을 도시한다.
상기 선도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대형기, 소형기에 있어서 본 고안의 감기장치의 기계 손실값은 종래구조의 감기장치에 비교해서 각각 감소되어 있으며, 깊은홈 볼베어링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특히 더 낮은 값을 나타낸다.
또 종래의 구조의 감기장치의 기계손실값이 감기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서는 감기지름이 증가해서 전혀변화가 없고 일정치를 나타내고 있다.
[고안의 효과]
상기한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관한 감기장치는 보빈의 착탈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기계손실을 낮출수가 있으므로 낮은 장력범위에 있어서도 고정밀도의 장력제어가 가능하다.
또 지지축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동력을 삭감할 수 있는 등의 많은 뛰어난 잇점을 가진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없이 본 고안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갖가지 설계변경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동일축선상에 각각 진퇴이동가능하게 배설된 한쌍의 지지축과, 상기 한쌍의 지지축의 단부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한쌍의 푸쉬컵과, 상기 한쌍의 푸쉬컵에 의해 양단을 가압지지하는 필름권취용의 보빈과, 상기 한쌍의 지지축을 축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한쌍의 푸쉬컵의 어느 한쪽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필름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64)의 한쪽끝에는 중간지지부(85)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중간축(84)의 한 끝에 지지아암(86)을 통하여 연결되어 유지되고, 상기 지지축(64)의 다른쪽끝에는 회전 전달부(72)가 설치된 푸쉬컵(68)이 장착되어, 상기 푸쉬컵의 회전전달부(72)는 상기 중간축(84)의 다른쪽 끝에 부착된 회전전달부(88)와 전달기구(90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감기장치.
KR2019950010528U 1990-10-30 1995-05-18 필름의 감기장치 KR950005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528U KR950005807Y1 (ko) 1990-10-30 1995-05-18 필름의 감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13107 1990-10-30
JP1990113107U JP2560543Y2 (ja) 1990-10-30 1990-10-30 巻取り装置
KR1019910019132A KR920007908A (ko) 1990-10-30 1991-10-30 필름의 감기장치
KR2019950010528U KR950005807Y1 (ko) 1990-10-30 1995-05-18 필름의 감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132A Division KR920007908A (ko) 1990-10-30 1991-10-30 필름의 감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07Y1 true KR950005807Y1 (ko) 1995-07-21

Family

ID=2731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528U KR950005807Y1 (ko) 1990-10-30 1995-05-18 필름의 감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8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3967B1 (en) Index table
US457338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 adjusting rotary movement
US6227777B1 (en) High speed drilling spindle with reciprocating shaft and double-gripping centrifugal chuck
US10883578B2 (en) High speed rod-style linear actuator
US6772655B2 (en) Harmonic drive
US7357065B2 (en) Compound linear motion and rotary actuator
US6626778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nit
KR950005807Y1 (ko) 필름의 감기장치
EP0448947A1 (en) Method of drilling of holes into the mantle of a cylinder in a paper machine and equipment for use in the method
JP2560543Y2 (ja) 巻取り装置
EP0432140A2 (en) Shaft assembly
US4398657A (en) Feeding device, in particular for the cycled feeding of rod or tape like material in presses, cutters, or the like
CA1260222A (en) Oscillator for a continuous casting mold
KR950001985B1 (ko) 전자기기의 자동조정용 작동기
US4048864A (en) Drive with continuously adjustable speed variation
US2842982A (en) Movement transmission
US5137224A (en) Winding spindle
JPH1034714A (ja) 射出成形機の射出ユニット
CN217073714U (zh) 一种印刷机压印装置的离合机构
KR20000070407A (ko) 공작 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툴헤드
CN220097950U (zh) 一种伸缩传动收卷轴
JP2570672B2 (ja) 微小回転装置
JP2975209B2 (ja) 巻線装置のスピンドル駆動機構
PL138569B1 (en) Spindle extension drive
CN85107142A (zh) 换挡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