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23B1 -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23B1
KR950003523B1 KR1019900018078A KR900018078A KR950003523B1 KR 950003523 B1 KR950003523 B1 KR 950003523B1 KR 1019900018078 A KR1019900018078 A KR 1019900018078A KR 900018078 A KR900018078 A KR 900018078A KR 950003523 B1 KR950003523 B1 KR 95000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s
transmission
message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11130A (en
Inventor
데프레 훼미
Original Assignee
쏘시에떼 아노님 에흐쎄으
데프레 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시에떼 아노님 에흐쎄으, 데프레 훼미 filed Critical 쏘시에떼 아노님 에흐쎄으
Priority to KR101990001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523B1/en
Publication of KR92001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1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tree)구조 네트워크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ree structur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제 1 도 네트워크의 보조상호 연결장비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 다이어그램.2 is a schematic diagr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auxiliary interconnect equipment of the FIG. 1 network.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주상호 연결장비 2,3,10,13,16,20,23 : 하방향 단자1: Main mutual connection equipment 2,3,10,13,16,20,23: Downward terminal

12,15,22,25 : 사용자 장비 4,5 : 결선12,15,22,25: User equipment 4,5: Wiring

6,7,18 : 상방향 단자 8,9,19 : 보조상호 연결장비6,7,18: Upward terminal 8,9,19: Mutual interconnection equipment

11 : 커넥터11: connector

본 발명은 각 사용자 장비에 의해서 발생된 메시지를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로전달시키기 위한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s for delivering messages generated by each user equipment to all other user equipments.

그러나 이런 형태의 알려진 통신 네트워크는 최적 사용을 감소시키는 여러가지 결함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known communication network has several drawbacks that reduce its optimal use.

공지된 네트워크는 모든 사용자 장비가 메시지를 보내려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모든 사용자 장비의 체계적인 인테로게이션(interrogation)을 차례로 발생시킨다. 토큰(token)이라고 말해지는 이러한 인테로게이션은 모든 사용자 장비에 연결된 버스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리하여, 모든 사용자 장비로 둥근 로빈 또는 토큰의 체계적인 전송이 있게 되는데, 이는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 사용자 장비의 인테로게이션에 의해 좋지 못한 효율을 가져오며, 전송을 최대로 지연시키게 된다. 패시브 서포트(passive support)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이런 형태의 네트워크는 매우 복잡해지지 않고는 새로운 사용자 장비의 도입을 허용하지 않는다.Known networks in turn generate systematic interrogation of all user equipments in order to determine if all user equipments are to send a message. Such integration, referred to as a token, can be transmitted by a bus connected to all user equipment. Thus, there is a systematic transmission of round robin or tokens to all user equipment, which results in poor efficiency due to the incorporation of user equipment that does not send a message, and delays the transmission to the maximum. This type of network, which offers the advantage of using passive support, does not allow the introduction of new user equipment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잘 알려진 또다른 네트워크는 링(ring)에 상호 연결된 사용자 장비를 포함한다. 인테로게이션 또는 토큰은 그 링 주위를 순환하고 발생할 메시지를 갖는 사용자 장비에서만 멈춘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의 출력은 크게 개선되어 있지만 모든 사용자 장비가 데이타 및 인테로게이션에 의하여 선회되기 때문에 상당히 취약하다.Another well known network includes user equipment interconnected to a ring. The interrogation or token stops only at the user equipment that has a message that will cycle and occur around the ring. The output of such a network is thus greatly improved but is quite vulnerable since all user equipment is pivoted by data and interrogation.

또한 각 사용자 장비가 연속적으로 다른 사용자 장비의 송출을 수신하는 네트워크와 송수신 후 메시지의 동시적 송출 또는 충돌의 검출을 보증하는 검출수단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어떤 사용자 장비에 의한 송출요구에 대한 응답 시간을 보증하기 않는 결함이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의 크기와 출력이 증가할때 효율이 낮고, 충돌이 존재하게 되며, 충돌의 검출에 대하여 연속적인 재송출 시도전에 불확실한 기간의 대기절차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 detection means is known in which each user equipment continuously guarantees the detection of simultaneous transmission or collision of a message aft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network receiving the transmission of other user equipment. Such a network has a flaw that does not guarantee a response time for a transmission request by a user equipment. In addition, when the size and power of the network increases, there is low efficiency, collisions exist, and there is an uncertain period of waiting time before successive retransmission attempts for the detection of collisions.

이러한 후자형태의 네트워크에서, 특히 각각의 결선에 의하여 각각이 사용자 장비 또는 또다른 보조상호 연결장비의 상방향 게이트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하방향 단자를 포함하는 보조상호 연결장비의 단일 상방향 단자 또는 사용자 장비에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하방향 단자로 구성된 주상호 연결장비를 포함하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출된 모든 메시지가 계단식으로 모든 상호 연결장비로 전송되고 나서 그에 연결된 사용자 장비의 각각에 전송되는 소위 트리구조의 구성이 알려져 있다.In this latter type of network, in particular a single upstream terminal of the auxiliary interconnect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downward terminals each connected to an upward gate of the user equipment or another auxiliary interconnecting device by respective wiring or A so-called tree structure comprising main interconnection equipment consisting of at least two downward terminals connected to a user equipment, wherein all messages sent by the user equipment are cascaded to all interconnect equipment and then transmitted to each of the user equipment connected thereto. The configuration of is known.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트리구조의 구성에서 연속적인 수신과 충돌검출을 사용자 장비의 인테로게이션 모드로 대체하여 네트워크의 크기와 출력이 증가할 때에도 네트워크가 민감하게 되지 않고 새로운 사용자 장비의 도입을 쉽게 하면서 보증된 응답 시간을 확보하여 전반적인 네트워크의 성능을 좋게 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the continuous reception and collision detection with the integration mode of the user equipment in the configuration of such a tree structure so that the network is not sensitive even when the size and output of the network is increased, and the introduction of new user equipment is prevented. It's easy to get guaranteed response time and improve overall network performanc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각 사용자 장비는 먼저, 첫번째로 송출권한 신호를 수신했을 때만 메시지를 송출하고, 각 사용자 장비는 권한신호(authorization signal)의 사용을 완료시킨 후에 송출종료신호를 송출시키며, 주상호 연결장비는 그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로 부터 송출된 각 송출권한신호에 대하여 상기 하방양 단자에서 송출종료신호를 송출했을 때에만 송출권한신호를 상기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로 송출하고, 각 보조상호 연결장비는 자신이 상방향 단자에서 송출권한신호를 받았을 때와,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로 부터 송출된 각 송출권한신호에 대하여 상기 하방향 단자에서 송출종료신호를 수신했을 때만 송출권한신호를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로 송출하며, 각 보조상호 연결장비는 그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로 부터 송출된 각 송출권한신호에 대하여 상기 하방향 단자에서 송출종료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그 상방향 단자로 부터 송출종료신호를 송출하는데 특징이 있다.To this end, in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equipment first transmits a message only when first receiving a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and each user equipment sends a transmission termination signal after completing the use of an authorization signal. The main mutual connection equipment sends a transmission right signal to one of the lower terminals only when the transmission e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lower terminal for each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transmitted from one of the lower terminals. Each auxiliary interconnection device transmits only when it receives the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from the upstream terminal and when the transmission termin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ownward terminal for each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transmitted from one of the lower terminals. The authority signal is sent to one of the downward terminals, and each auxiliary interconnect equipment sends each transmitted from one of the downward termina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e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uplink terminal only when the transmission e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ownlink terminal.

그리하여 오직 하나의 사용자 장비만이 보통 사용되는 검출 시스템에 의지하지 않고 동시에 메시지를 확실하게 송출하여 이러한 보증이 전송모드 자체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Thus, only one user equipment can reliably send messages at the same time without resorting to the detection system normally used, so that this guarantee can be obtained by the transmission mode itself.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의 실시예에서, 각 사용자 장비는 메시지를 전송시킬 필요가 있을 때 권한요구신호를 송출하고, 각 상호연결장비는 하방향 단자에서 권한요구신호를 수신했을 때만 상기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에 송출권한신호를 송출하고, 각 보조상호 연결장비는 그 상방향 단자에서 수신된 각 송출권한신호가 상기 상방향 단자에서 그 자신이 송출한 송출종료신호보다 앞서는 때와, 그 하방향 단자로 부터 송출된 마지막 송출권항신호 이후 상기 하방향 단자중 적어도 한 단자에서 새로운 권한요구신호를 수신한 하방향 단자가 존재할 때에 그 상방향 단자에 권한요구신호를 송출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each user equipment sends out an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mit a message, and each interconnection equipment is one of the downlink terminals only when it receives an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from a downlink terminal. The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is sent to one terminal, and each auxiliary inter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each terminal when the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received at its upper terminal precedes the transmission end signal transmitted by itself at the upper terminal, and the lower terminal thereof. When there is a downlink terminal that has received a new right request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downlink terminals after the last outgoing righ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ight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plink terminal.

이러한 방법에서, 송출권한신호는 송출요구신호를 송출하지 않았던 사용자 장비로 전송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에서 그러한 요구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던 또다른 보조상호 연결장비로 전송되지도 않는다.In this way, the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which did not send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nor is it transmitted to another auxiliary interconnect equipment which did not receive such a request signal at one of the downward terminals.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교환된 신호들은 전 결선상에 보내진 조건 사이의 변화형태이고, 조건이 보내질 때 이는 적어도 수신된 복귀신호는 조건이 고려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signals exchanged are in the form of a change between the conditions sent on the entire wiring, when the conditions are sent, at least until the received return signal indicates that the conditions have been considered. do.

특히, 이러한 실시예는 간단하고, 또한 결선에서 순간적인 변화조건에서 생기는 왜란에 저항성이 있다.In particular, this embodiment is simple and resistant to disturbances occurring under instantaneous change conditions in the connection.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송출요구조건이 송출종료부재(absence of end of emittion)의 조건과 같고 송출종료조건은 송출요구부재의 조건과 같다. 송신될 조건수의 이러한 감소는 더욱 간단한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In this case, the discharging requirement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condition of the end of the emission member and the discharging end condition is the same as the discharging request member. This reduction in the number of conditions to be transmitted allows for simpler network configuration.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단일 전송회로는 결선의 각 방향으로 메시지, 권한조건, 권한부재의 조건, 송출종료의 조건 및 송출종료부재의 조건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각 전송회로에서 중지조건(rest condition), 메시지 및 무효 메시지와 같은 3개 형태의 신호들이 송신측에서 송신되며, 수신측에서 구별되고, 권한조건과 송출종료조건은 중지조건에 의하여 표현되고, 필요하다면 하방향 결선에 권한조건 송신을 현재 메시지의 송출종료까지 지연되도록 제공된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preferably, a single transmission circuit is used to transmit a message, an authorization condition, a condition of an authorization member, a condition of termination of transmission and a condition of transmission termination member in eac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hree types of signals such as rest condition, message and invalid message are transmitted at the sending side, are distinguished at the receiving side, authority condition and sending end condition are expressed by the stop condition and if necessary It is provided to delay the transmission until the end of the sending of the current message.

상호 연결요소의 단자들은 각각 출력단자에 중지검출조건을 보내는 수신기, 제어가 활성화되면 중지신호(rest signal)를 송출하는 송출기, 제어가 활성화되면 메시지를 재발생시키는 재발생기를 포함하는 상호연결요소를 버스에 연결하고, 재발생될 메시지가 없을 때 출력단자에서 그렇게 행하는 무효 메시지와 신호를 송출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모듈로 구성된다.Each of the terminals of the interconnect element busses an interconnect element including a receiver that sends a stop detection condition to an output terminal, a transmitter that emits a rest signal when control is activated, and a regenerator that regenerates a message when control is activated. And a module including a connector for sending an invalid message and a signal for doing so at the output terminal when there is no message to be regenerat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한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더욱 분명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구조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며, 제 2도는 한 실시예로서 제 1 도의 네트워크의 보조상호 연결장비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ree structur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uxiliary interconnection equipment of the network of FIG. 1 as an embodiment.

제 1 도에 보여진 예에서, 네트워크는 하방향 단자(2, 3)가 커넥터(4, 5) 각각에 의하여 보조상호 연결장비(SIE) (8, 9)의 상방향 단자(6, 7)에 연결되어 있는 주상호 연결장비(PIE) (1)를 포함한다. 주상호 연결장비의 제 3 하방향 게이트(10)는 커넥터(11)에 의하여 사용자 장비(12)에 연결된다. SIE(8)의 하방향 단자(13)는 커넥터(14)에 의하여 사용자 장비(15)에 연결되고, 그의 제 2 하방향 단자(16)는 결선(17)을 통하여 보조상호연결(19)의 상방향 단자(18)에 연결된다. SIE(19)의 3개 하방향 단자(20)는 각각 3개의 결선(21)에 의하여 3개의 사용자 장비(22)에 연결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network has a lower terminal (2, 3) connected to the upper terminal (6, 7) of the auxiliary interconnection equipment (SIE) (8, 9) by each of the connectors (4, 5). Includes connected PIE (1). The third downward gate 10 of the main interconnection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user equipment 12 by a connector 11. The lower terminal 13 of the SIE 8 is connected to the user equipment 15 by a connector 14, the second lower terminal 16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interconnect 19 via the wiring 17. It is connected to the upward terminal 18. The three downward terminals 20 of the SIE 19 are each connected to three user equipments 22 by three connections 21.

상호연결장비(9)의 2개 하방향 단자(23)는 두개의 결선(24)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다.The two downward terminals 23 of the interconnecting equipment 9 are each connected via two connections 24.

그러므로, 다단자 중계기(a multiterminal repeater)의 각 상호연결장비는 적어도 두개의 하방향 단자를 포함한다. 각 보조상호 연결장비는 또한 단일의 상방향 단자를 포함한다.Therefore, each interconnect device of a multiterminal repeater includes at least two downward terminals. Each auxiliary interconnect also includes a single upstream terminal.

사용자 장비에 의하여 그 각각의 결선에 송출된 모든 메시지(M)는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보조 및 주연결장비에 의하여 계단식으로 보급된다.All messages M sent by the user equipment in their respective connections are cascaded by the auxiliary and main connecting equipment to be received by all other user equipment.

설명된 구조는 종래의 트리구조의 구성이다.The structure described is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re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라, 각 사용자 장비(12,15,22,25)는 먼저 송출권한신호(A)를 수신했을 때만 메시지(M)(또는 일련의 메시지)를 송출시킨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equipment 12, 15, 22, 25 sends out a message M (or a series of messages) only when it first receives the sending authority signal A.

각 사용자 장비는 신호(A)의 사용을 종료시킨 후 송출종료신호(F)를 송출시킨다. 그리고 나서 새로운 메시지를 송출시키기 전에 새로운 신호(A)를 수신해야 한다.Each user equipment sends out the transmission end signal F after terminating the use of the signal A. FIG. Then a new signal A must be received before sending a new message.

각 SIE(8,9,19)는 상방향 단자에서 신호(A)를 수신했을 경우와 하방향 단자로 부터 송출된 각 신호(A)에 대하여 동일 하방향 단자에서 신호(F)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로 부터 신호(A)를 송출시킨다.When each SIE (8, 9, 19) receives a signal (A) at the upper terminal and receives a signal (F) at the same lower terminal for each signal (A) transmitted from the lower terminal Only send signal (A) from one of the down terminals.

게다가, 각 SIE(8,9,19)는 하방향 단자로 부터 송출된 각 신호(A)에 대하여 동일 단자에서 신호(F)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상방향 단자에 신호(F)를 송출시킨다.In addition, each SIE (8, 9, 19) sends a signal (F) to the upstream terminal only when the signal (F) is received at the same terminal for each signal (A) transmitted from the downlink terminal.

그러므로, 오직 하나의 사용자 장비(12,15,22,25)만이 똑같은 순간에 메시지(M)를 송출시킬 수 있다.Therefore, only one user equipment 12, 15, 22, 25 can send a message M at the same moment.

또한 본 발명은 신호(A)를 필요로 할 때, 즉, 메시지(M)를 송출할 준비가 되어 있을때, 각 사용자 장비(12,15, 22,25)가 권한요구신호(D)를 송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ach user equipment 12, 15, 22, 25 to send an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D when it needs signal A, i.e., when it is ready to send message M. FIG. Means for;

이 경우에, 각 주(1) 또는 보조(8,9,19) 상호연결장비는 먼저 하방향 단자에서 신호(D)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동일 하방향 단자로 부터 신호를 송신시킨다. 그러므로 신호(A)의 송출은 신호(D)의 수신에 종속된다. 게다가, 각 SIE(8,9,19)는 상방향 단자에서 수신된 각 신호(A)가 똑같은 상방향 단자에서 자신에 의하여 송출된 신호(F)에 앞선 경우와 마지막으로 송출된 신호(F) 이후 적어도 하나의 하방향 단자에서 신호(D)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상방향 단자로부터 신호(D)를 송출시킨다.In this case, each primary (1) or auxiliary (8, 9, 19) interconnection device transmits a signal from the same downlink terminal only upon first receiving a signal (D) at the downlink terminal. Therefore,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 A depends on the reception of the signal D. In addition, each SIE (8, 9, 19) has a case in which each signal A received at the upstream terminal precedes the signal F transmitted by the same at the same upstream terminal and the last transmitted signal F. Thereafter, the signal D is transmitted from the upward terminal only when the signal D is received at the at least one downward terminal.

이 실시에는 신호(D)를 송출했던 사용자만이 신호(A)를 보내는 것을 허용하며, 신호(F)는 수신된 나중 신호(A) 다음에 보내진다.This implementation allows only the user who sent the signal D to send a signal A, which is sent after the received later signal A.

본 발명의 특히 간단한 실시예에 따라, 신호(A,F 그리고 필요하다면 D)는 대응 결선을 따라 명백히 되는 조건 사이의 변환으로 실현된다. 어떤 조건이 보내질때, 적어도 수신된 복귀신호가 문제의 조건이 고려 되었다는 것을 나타낼때까지 유지된다.According to a particularly simp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s A, F and, if necessary, D are realized with a transition between the conditions manifested along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When a condition is sent, it remains at least until the received return signal indicates that the condition in question is considered.

신호(A)는 조건에서 조건(a)로의 변환에 의하여 실현되고, 신호(F)는 조건에서 조건(f)로의 변화에 의하여, 그리고 신호(D)의 경우에는 조건에서 조건(d)로의 변화에 의하여 실현된다.Signal A is a condition To the condition (a), the signal F is a condition To the condition (f) and in the case of the signal (D) Is realized by a change from a to d.

이리하여 결선상의 송신동안, 일시적인 조건에서 생기는 왜란에 민감하지 않은, 특히 간단하고 실제적인 구조가 얻어진다.This results in a particularly simple and practical structure which is insensitive to disturbances occurring in transient conditions during transmission on the connection.

다음식에 따라 조건을 재분류함으로써 구조는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Condi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By reclassifying, the structure can be further simplified.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결선의 각 방향으로 메시지(M), 조건및 송출측으로 전송되고 수신측과 구별되는 3개 타입, 즉 중지조건(rest condition)(R), 메시지(M) 및 무효 메시지(I)의 신호를 전송시키는 단일 전송회로가 사용된다. 중지조건(R)과 다른 신호(M 및 I)사이의 구별은 단자 각각에서 수행되기 쉽다.In this case the message (M), preferably in each direction of the wiring And a single transmission circuit which transmits a signal of three types, namely a rest condition R, a message M and an invalid message I, transmitted to the sending side and distinguished from the receiving sid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topping condition R and the other signals M and I is likely to be performed at each terminal.

조건(a) 및은 신호(R)에 의하여 실현되고, 결국 조건는 신호 (M 또는 I)에 의하여 실현된다.Condition (a) and Is realized by the signal R, and eventually the condition And Is realized by the signal M or I.

이런 경우에, 하방향 결선상에 조건(a)의 전송은, 적당한 경우에 필요하다면, 메시지의 끝과 이 메시지 자체의 마지막 부분의 특징을 규정하는 신호(S)의 동시적 송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시에 일어나는 메시지(M)의 송출 끝까지 지연된다.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of condition (a) on the downlink is not possible, due to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the signal (S)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d of the message and the last part of the message itself, if necessary. There is a delay until the end of the sending of the message M that occurs at the same time.

이리하여, 조건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조건(a)에서 조건으로의 변화가 조건이 인식되었던 결선의 다른 끝으로 보내기 위한 유일한 수단이라는 시실은 조건(a)가 적어도 조건의 수신때까지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Thus, the condition Condition (a) to change from Changes to the condition The fact that this is the only means to send to the other end of the perceived runoff is that condition (a) is at least the condition It is maintained until the reception of.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경제적인 송신수단의 사용을 허용한다.This embodiment allows the use of particularly economical transmission means.

한 실시예에 따라, 전송수단은 다음의 정의와 함께 HDLC 절차에 의하여 동시 모드에서 메시지의 부호화를 사용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on means uses the encoding of the message in the simultaneous mode by the HDLC procedure with the following definition.

- 중지조건(R), 6개 이상의 1의 시퀀스, 또는 모뎀을 사용할 때 실제 레벨에서 신호의 부재(캐리어의 부재), 또는A stop condition (R), a sequence of six or more ones, or the absence of a signal (absence of a carrier) at the actual level when using a modem, or

- 전송 또는 무효메시지(I), 플래그(01111110)의 시퀀스, 그리고-Send or invalid message (I), sequence of flags (01111110), and

- 적당한 메시지(M), HDLC 방향까지 트램(tram)으로 구성된다.Consists of a suitable message (M), tram up to the HDLC direction.

1에서 n까지 번호가 매겨진 n개의 모듈로 구성된 n개의 하방향 단자를 갖는 상호연결장비와 상방향 단자에 연결된 0번의 모듈을 보여주는 제 2도를 참조하면, 각 모듈은Referring to FIG. 2, which shows the interconnection equipment having n down terminals consisting of n modules numbered from 1 to n, and the zero module connected to the up terminals, each module is

- 비 중지조건(non-rest condition)의 검출을 출력상에 보내고 코맨드(c)가 활성될 때 버스에 연결되는 수신기(A),-Output detection of non-rest conditions Receiver (A) which is sent to the bus and is connected to the bus when the command (c) is activated,

- 코맨드가 활성될 때 중지신호(rest signal)를 송출시키는 송출기(B)를 포함하고 있다.Command And emitter B which emits a rest signal when is activated.

상호연결장비는 또한 메시지(M)를 재발생시키고 재발생될 메시지의 부재시 무효 메시지(I)와 출력상에 그렇게 수행했다는 신호를 송출시키는 재발생기(D)를 포함한다.The interconnecting equipment also regenerates the message (M) and outputs an invalid message (I) in the absence of the message to be regenerated. And a regenerator (D) which emits a signal that it has done so.

1 에서 n-1까지의 모듈 각각은 동식이 아래와 같은 논리 E에 의해서 제어된다.Each module from 1 to n-1 is controlled by the logic E below.

세트 d는앤드 (d1오아 d2)Set d And (d 1 ora d 2 )

앤드 (오아 A2)면 리세트 d AND ( Ora A 2 ) cotton reset d

d 앤드 a 앤드 d1앤드앤드 i면 세트 a1 d and a and d 1 and End i side set a 1

오아오아 a2면 리세트 a1 Oa Cucumber a 2 side reset a 1

d 앤드 a 앤드 d2앤드면 세트 a2 d and a and d 2 and Cotton set a 2

오아면 리세트 a2 Oa Cotton reset a 2

a가 수신될 때, a1은 d1이 수신될 때까지 송출되고, a2는 d2가 수신될 때까지 송출되고 나서 d는 송출되는 것을 멈춘다.When a is received, a 1 is sent out until d 1 is received, a 2 is sent out until d 2 is received, and then d stops being sent out.

a1의 송출은 어느 메시지 (M)의 재발생 및 송신이 종료될 때까지 지연된 또는The sending of a 1 is delayed until the re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any message (M) ends or

모듈(ψ)은 아래 수식의 제어조합논리를 포함한다.The module (ψ) includes the control combination logic of the following equation.

a = sa = s

g = d 앤드 g = d

발생기(G)는 모듈(ψ)의 단자(g)가 활성될 때 모듈(ψ)의 송출기 (B)의 방향으로 무효 메시지(I)를 강제로 송출시킨다.The generator G forces the invalid message I in the direction of the emitter B of the module ψ when the terminal g of the module ψ is activated.

이 조립체는 상호연결장비(IE)가 그 단자(ψ)에서 수신된 권한을 처분한다면 그 차례가 올 때 상호연결장비(IE)가 요구하는 하방향 단자의 각각에 차례로 이를 분배하고 그 권한의 사용끝을 보내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This assembly, in turn, distributes the rights received at that terminal (ψ) to each of the downstream terminals required by the interconnect equipment (IE) at the turn and uses them in turn. Make sure to send the end.

대쉬선(dashed lines)의 결선(26)은 직접 결선(d-a)을 나타낸다. 주상호 연결장비에서 모듈(ψ)이 생략 되고 논리 E1의 레벨에서 직접 d-a 결선(26)으로 교체될 수 있다.The connection 26 of dashed lines represents the direct connection da. In main interconnect equipment, the module (ψ) can be omitted and replaced by a da connection 26 directly at the level of logic E 1 .

Claims (6)

각각의 결선(4,5)을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장비(15,22,25) 또는 다른 보조상호 연결장비(19)의 상방향 단자(18)에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하방향 단자(13,16,20,23)를 포함하는 보조상호 연결장비(8,9)의 단일 상방향 단자(6,7)에 연결되거나 사용자 장비(12)에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하방향 단자(2,3)를 갖는 주상호 연결장비(1)를 포함하며, 사용자 장비(12,15,22,25)에 의하여 송출된 메시지가 계단식으로 모든 상호연결장비(1,8,9,19)로 전송된 후 이에 연결된 사용자 장비(12,15,22,25)의 각각에 전송되는 각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출된 메시지를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로 전달시키기 위한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각 사용자 장비(12,15,22,25)는 먼저 송출권한신호를 수신했을때만 메시지를 송출하며, 권한신호의 사용을 마친 후에 송출종료신호를 송출시키고, 주상호 연결장비(1)는 하방향 단자(2,3)중 한 단자에 송출된 각 송출권한신호에 대하여 똑같은 하방향 단자(2,3)로 부터 송출종료신호를 수신했을 때만 그 하방향 단자(2,3)중 한 단자에 송출권한신호를 송출시키며, 각 보조상호 연결장비(8,9,19)는 그 자신이 상방향 단자(6,7,18)에 송출권한신호를 수신했을 때와 하방향 단자(13,16,20,23)중 한 단자에 송출된 각 송출권한신호를 위하여 똑같은 하방향 단자(13,16,20,23)에 송출종료신호를 수신했을 때만 그 하방향 단자(13,16,20,23)중 한 단자에 송출권한신호를 송출시키며, 그 하방향 단자(13,16,20,23)중 한 단자에 송출된 각 송출권한신호에 대하여 그 하방향 단자(13,16,20,23)에 송출종료신호를 수신했을 때만 그 상방향 단자(6,7,18)에 송출종료신호를 송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방법.At least two down terminals 13, 16, connected to the up terminals 18 of the respective user equipment 15, 22, 25 or other auxiliary interconnect equipment 19 via respective connections 4, 5; Main mutual with at least two downward terminals 2,3 connected to a single upward terminal 6,7 of the auxiliary interconnection equipment 8,9 comprising 20,23 or to user equipment 12 A connection device (1), the message sent by the user equipment (12, 15, 22, 25) is cascaded to all the interconnect equipment (1, 8, 9, 19) and then connected to the user equipment (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user equipments for delivering a message sent by each user equipment transmitted to each of 12, 15, 22, and 25 to all other user equipments, each user equipment (12, 15, 22, 25). First transmits the message only when the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is received, and sends out the transmission termination signal after finishing the use of the authority signal. The connecting device 1 receives only the transmission end signal from the same lower terminal (2, 3) for each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sent to one of the lower terminals (2, 3). (3) transmits the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to one of the terminals, and each auxiliary interconnection device (8, 9, 19) has its own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at the upstream terminals (6, 7, 18) The downlink terminal 13 only when the transmission end signal is received at the same downlink terminal 13, 16, 20, 23 for each outgoing authorization signal sent out to one of the directional terminals 13, 16, 20, and 23. A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is sent to one of the terminals 16, 20, and 23, and for each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sent to one of the downward terminals 13, 16, 20, and 23, the down terminal 13,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user equip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e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pward terminal (6, 7, 18) only when the transmission end signal is received at 16, 20, 2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장비(12,15,22,25)는 메시지를 전송시킬 필요가 있을때만 권한요구신호를 송출시키고, 각 상호연결장비(1,8,9,19)는 하방향 단자(2,3,10,13,16,20,23)에 권한요구신호를 수신했을 때만 그 하방향 단자중 한 단자에 송출권한신호를 송출시키며, 각 보조상호 연결장비(8,9,19)는 상방향 단자(6,7,18)에 수신된 각 송출권한신호가 그 자신에 의하여 상기 상방향 단자(6,7,18)에 송출된 송출종료신호 보다 앞서게 된 때와, 하방향 단자(13,16,20,23)에 송출된 마지막 송출권한신호 이후 새로운 권한요구신호를 수신한 하방향 단자(13,16,20,23)가 있을때만 상기 상방향 단자(6,7,18)에 권한요구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방법.2. The user equipment (12) of claim 1, wherein each user equipment (12, 15, 22, 25) issues an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send a message, and each interconnect equipment (1, 8, 9, 19) has a downlink terminal. Only when (2,3,10,13,16,20,23) receives the authority request signal, it sends out the authority signal to one of the lower terminals, and each auxiliary interconnection equipment (8,9,19) Is when each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received at the upstream terminals 6, 7, and 18 is preceded by the transmission end signal sent out to the upstream terminals 6, 7, and 18 by itself, and Authority is granted to the upward terminals 6, 7, 18 only when there is a downward terminal 13, 16, 20, 23 that has received a new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since the last transmission authority signal transmitted to 13, 16, 20, 23.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user equipment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교환된 신호가 결선을 따라 보내지는 조건사이의 변화에 의하여 실현되고, 조건이 보내질 때 적어도 수신된 복귀신호는 문제의 조건이 고려되었음을 나타낼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방법.A user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exchanged signal is realized by a change between the conditions sent along the wiring, and when the conditions are sent, at least the received return signal is maintained until the condition in question is considere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devices. 제 2 항에 있어서, 송출요구조건(d)이 송출종료의 부재조건과 같고 송출종료의 조건(f)은 송출요구조건의 부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방법.The delivery condition (d) is an absence condition of completion of delivery. Is the same as above and the condition (f)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user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bsence of. 제 4 항에 있어서, 결선의 각 방향으로 단일 전송회로가 메시지(M), 권한조건(a), 권한부재의 조건, 송출종료의 조건및 송출종료의 부재조건을 전송시키는데 사용되고, 각 전송회로에서, 중지조건(R), 메시지(M)및 무효 메시지(I)의 3개 형태의 신호가 송출측에서 전송되고 수신측에서 구별되며, 권한 조건(a)및 메시지 끝조건이 중지조건에 의하여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 방법.5. A single transmission circuit in eac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single transmission circuit comprises a message (M), an authorization condition (a), and an authorization absence condition. , Terms of termination And absence of termination In each transmission circuit, three types of signals, a stop condition (R), a message (M) and an invalid message (I), are transmitted at the sending side and distinguished at the receiving side, and the authorization condition (a) and End of message condition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user equipments, which is realized by this stopping condi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요소의 단자(2,3,6,7,13,16,20,23)는 각각 중지조건의 검출을 출력(S)에 보내는 수신기(A), 코멘드가 활성될 때 중지신호를 송출시키는 송출기(B), 및 그 코맨드가 활성될때 버스에 연결되는 커넥터(C)를 포함하는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상호연결요소는 메시지(M)를 재발생시키며, 재발생될 메시지(M)의 부재시에 무효 메시지(I)와 출력상에 그렇게 수행했다는 신호를 송출시키는 재발생기(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간의 통신방법.The receiver (A), comman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erminals (2, 3, 6, 7, 13, 16, 20, 23) of the interconnecting elements respectively send detection of the stopping condition to the output (S). A transmitter B for sending a stop signal when the signal is activated, and a command thereof Consists of a module comprising a connector (C) connected to the bus when it is activated, the interconnecting element regenerating the message (M), in the absence of the message (M) to be regenerated and outputting an invalid message (I). And a regenerator (D) for transmitting a signal that said oper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the phase.
KR1019900018078A 1990-11-09 1990-11-09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KR950003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078A KR950003523B1 (en) 1990-11-09 1990-11-09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078A KR950003523B1 (en) 1990-11-09 1990-11-09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30A KR920011130A (en) 1992-06-27
KR950003523B1 true KR950003523B1 (en) 1995-04-13

Family

ID=1930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078A KR950003523B1 (en) 1990-11-09 1990-11-09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52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30A (en) 199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9502B1 (en)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ports of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network of interconnected nodes, and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network of interconnected nodes, and a nodal unit for use as a node in a method or system as aforesaid
US4451827A (en) Loc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US5018139A (en)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US4792947A (en) Method of multi-address communication
EP0224132B1 (en) Optical composite transceiver
US4345250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with collision avoidance
EP0254472A2 (en) Data flow control arrangement for local area network
EP0244117A2 (en) A method of duplex data transmission using a send-and-wait protocol
EP0074672B1 (en) Asynchronous data bus system
EP0239567A1 (en) Bandwidth efficient multipoint date communication system
US4393497A (en) Loop switching system
EP0439646A1 (en) Optical star network protocol and system with minimised delay between consecutive packets
US4570162A (en) Local area networks
Spragins Loop transmission systems-Mean value analysis
KR950003523B1 (en)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user equipment
US4815070A (en) Node apparatus for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multi-conjunction architecture
US4634812A (en) Method of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microcomputers in a decentralized process control system, particularly for telephone systems
US4641300A (en) Digital tie line
RU2269154C1 (en) Telecommunication multi-functional multiplexer
SU1080180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JP3086246B2 (en) Communication network
JP2739239B2 (en) Node device of communication network
Farrington et al. An optical-fiber multiterminal data system for aircraft
SU1183977A1 (en) Interface for linking subscribers with communication channel
KR930006031B1 (en) Message transfer part system by common channel signal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