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791Y1 -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791Y1
KR950002791Y1 KR92013909U KR920013909U KR950002791Y1 KR 950002791 Y1 KR950002791 Y1 KR 950002791Y1 KR 92013909 U KR92013909 U KR 92013909U KR 920013909 U KR920013909 U KR 920013909U KR 950002791 Y1 KR950002791 Y1 KR 950002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ckrest
rod
ratchet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594U (ko
Inventor
황철
Original Assignee
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철 filed Critical 황철
Priority to KR92013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791Y1/ko
Publication of KR940002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등받이 2 : 래칫구동수단
3 : 링크구동수단 4 : 링크수단
21 : 손잡이 22 : 힌지축
23 : 스프링 24 : 로드
31 : 스프링고정판 32 : 래칫
33 : 연결축 34 : 로드작동판
35 : 로드 36 : 스프링
41a, 41b : 고정힌지점 41c, 41d : 이동힌지점
42 : 주링크 43 : 부링크
44 : 이동링크 45 : 고정링크
42a : 장공
본 고안은 의자류의 등받이만을 등판과는 독립적으로 착석자가 원하는 임의의 전방위치로 이동·고정 또는 원상복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예컨대 안락의자류의 자동차운전석의자, 기차나 장거리 버스의 의자 및 이발용 의자등에서는 등판전체가 단지 후방으로만 착석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이동·고정 또는 원상복귀되게 하는 메카니즘이 있었으나, 이는 수면등 주로 휴식을 착석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것이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무용 의자류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원용, 중역용으로 대분하는바, 전자의 경우는 전적인 실용성 추구로 소형의 밑판, 등판, 팔걸이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때는 의자의 밑판과 착석자의 하체는 대체로 책상 아래에 수용되고 착석자의 상체는 등판에 불완전하나마 의지되나, 후자 소위 중역용의 경우는 사원용과는 달리 착석자의 권위의식 제고의 목적과 안락의자와 같은 안락추구 목적등의 비실용성 추구로 인하여 대형의 밑판, 등판, 팔걸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의자 자체만도 책상밑으로의 수용이 불가능하여 착석자가 책상위에서 두팔을 올려 놓고 열람, 필기등의 동작을 진행할때 착석자의 하체는 둔부의 일부분만 밑판에 얹혀지나 상체는 등판에 의지가 전혀 안되는 허공상태에 있게되어 보통 궁여지책으로 보조용 방석을 상비하여 자세에 따라 적당히 형상을 고쳐가며 등받이 보조용으로 억지로 사용하는 것이 관례화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의 설명처럼 일반적으로 동일규격으로 대량생산된 의자류가 천차만별한 착석자들의 체형을 세밀하게 고려할 수 없는 상황임을 감안하여 등받이 만을 착석자가 원하는 전방 임의의 위치로 가변·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원상복귀등의 동작이 극히 간단한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손잡이의 이동에 의하여 래칫(ratchet)을 구동시키는 1조의 래칫구동수단과,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판과 일측에는 래칫을 가지고 있고 다른 일측에는 연결축을 가지고 있으며 소정된 위치에 로드작동판을 가지고 있는 로드를 구비하여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1조의 링크구동수단과, 2개의 고정힌지점과 2개의 이동힌지점을 가지며 상기 로드의 연결축에 연결되는 장공을 가진 주링크와, 부링크, 이동링크 및 고정링크로 구성된 1조의 링크수단을 구비하여 등받이를 등판의 전방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되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인데, 제2도는 등받이(1)가 등판(11)에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제3도는 등받이(1)가 등판(11)의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1조의 래칫구동수단(2)과 상기 래칫구동수단(2)에 의하여 구동되는 1조의 링크구동수단(3)과 상기 링크구동수단(3)에 의하여 구동되는 1조의 링크수단(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조의 래칫구동수단(2)은 힌지축(2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21)와, 상기 손잡이(21)를 눌렀을때 복원가능하게 하는 스프링(23)과, 후술하는 링크구동수단(3)에 래칫(32)에 걸림 또는 해제되어 링크구동수단(3)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24)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래칫구동수단(2)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를 당기거나 눌러서 래칫에 걸림 또는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통상적인 구성 즉, 일례를 들면 손잡이를 누름버튼식으로 하고 이에 다수의 로드를 서로 힌지로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구성 또는 손잡이의 단부에 직접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작동시키는 구성등 통상적인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1조의 링크구동수단(3)은 외부케이스(30)에 고정된 스프링고정판(31)과, 일측에는 래칫(32)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편에는 연결축(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된 위치에 로드작동판(34)을 구비하고 있는 로드(35)와 스프링(36)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36)은 로드(35)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고정판(31)과 로드작동판(34)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35)의 연결축(33)은 후술하는 링크수단(4)의 주링크에 형성된 장공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1조의 링크수단(3)은 2개의 고정힌지점(41a, 41b)과 2개의 이동힌지점(41c, 41d)을 가지며 상기 로드(35)의 연결축(33)에 연결되는 장공(42a)을 가진 주(主)링크(42)와 부(副)링크(43), 이동링크(44) 및 고정링크(45)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는 1조의 래칫구동수단(2)과 1조의 링크구동수단(3)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의 링크수단(4)은 4개의 링크(42, 43, 44, 45)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등받이(1)가 이동시에 평행으로 이동한다는 장점이 있는 한편,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 또한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링크수단(5)을 1개의 고정힌지점(51a)과 이동힌지점(51b)을 가지며 일단에 장공(52a)이 형성된 1개의 링크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힌지점(51b)에 등받이(1)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6은 밑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작동도인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작동도에 있어서 1조의 래칫구동수단(2)과 1조의 링크구동수단(3) 및 1조의 링크수단(4), (5)은 동일한 구성이 의자의 좌우에 각각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측은 생략하고 있다.
먼저, 제2도는 등받이(1)이가 등판(11)의 안쪽으로 묻혀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착석자가 밑판(6) 깊숙히 둔부 및 상체를 얹어 놓으면 자연스럽게 상체는 등받이(1)가 파묻힌 등판(11) 전체에 기대어져 의지케 되는 것이며, 상황이 바뀌어 상체를 전면으로 끌어당기어 책상위에 두팔을 얹어서 열람, 필기등의 동작을 지속 할 경우, 착석자의 둔부·하체는 밑판(6)의 앞뒤 길이중 상당히 앞쪽에 위치케 되면서 상체는 등판(11) 전체로부터 떨어진 허공에 위치케되어 의지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구동수단(2)의 손잡이를 화살표(가)의 방향으로 밀게 되면 손잡이(21)와 연결된 로드(24)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로드(24)의 단부가 링크구동수단(3)의 래칫(32)으로 부터 해제되고, 이에 따라 링크구동수단(3)의 스프링(36)이 신장되면서 로드작동판(34)을 밀게되어 로드(35)는 화살표(나)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로드(35)의 일단부에 있는 연결축(33)이 링크수단(4)의 주링크(4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42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링크(42)를 밀게되는데, 이때 주링크(42)와 부링크(43)는 고정힌지점(41a, 41b)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이동링크(44)와 고정링크(45)로 서로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힌지점(41a, 41b)을 중심으로 주링크(42)와 부링크(43)가 회전하면서 이에 고정설치된 등받이(1)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착석자는 등받이가 적당한 위치에 왔을때 래칫구동수단(2)의 손잡이(21)를 놓으면 손잡이(21)는 스프링(23)의 탄력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로드(24)의 단부가 링크구동수단(3)의 래칫(32)에 걸리게 되므로 등받이(1)는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등받이(1)를 등판에 묻히게 하기 위하여는 착석자가 상기 래칫구동수단(2)의 손잡이(21)를 화살표(가)의 방향으로 내린상태에서 착석자의 등으로 등받이(1)를 밀어 등판(11)에 묻히게 한 상태에서 손잡이(21)를 놓으면 된다.
이제,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래칫구동수단(2)과 링크구동수단(3)의 작동은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구동수단(2)의 손잡이를 화살표(가)의 방향으로 밀게 되면 손잡이(21)와 연결된 로드(24)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로드(24)의 단부가 링크구동수단(3)의 래칫(32)으로 부터 해제되고, 이에 따라 링크구동수단(3)의 스프링(36)이 신장되면서 로드작동판(34)을 밀게되어 로드(35)는 화살표(나)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로드(35)의 일단부에 있는 연결축(33)이 링크수단(5)의 주링크(5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52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링크(52)를 밀게되는데, 이때 주링크(42)는 고정힌지점(51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단부에 이동힌지(51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등받이(1)의 각도는 이동힌지(51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착석자가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등으로 조절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등받이(1)를 등판(11)에 묻히게 하기 위하여는 착석자가 상기 래칫구동수단(2)의 손잡이(21)를 화살표(가)의 방향으로 내린상태에서 착석자의 등으로 등받이(1)를 밀어 등판(11)에 묻히게 한 상태에서 손잡이(21)를 놓으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대량생산된 의자류가 천자만별한 착석자들의 체형을 세밀하게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등받이 만을 착석자가 원하는 전방 임의의 위치로 가변·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원상복귀등의 동작이 극히 간단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링크구동수단이 의자의 팔걸이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링크구동수단의 설치위치는 밑판의 내부나 밑판의 저면 또는 의자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손잡이(21)의 이동에 의하여 래칫(32)을 구동시키는 1조의 래칫구동수단(2)과, 스프링(36)과 상기 스프링(36)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판(31)과 일측에는 래칫(32)을 가지고 있고 다른 일측에는 연결축(33)을 가지고 있으며 소정된 위치에 로드작동판(34)을 가지고 있는 로드(35)를 구비하여 스프링(36)의 탄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35)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1조의 링크구동수단(3)과, 2개의 고정힌지점(41a, 41b)과 2개의 이동힌지점(41c, 41d)을 가지며 상기 로드(35)의 연결축(33)에 연결되는 장공(42a)을 가진 주링크(42)와, 부링크(43), 이동링크(44) 및 고정링크(45)로 구성된 1조의 링크수단(4)을 구비하여 등받이(1)를 등판(11)의 전방위치로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의 링크수단이 1개의 고정힌지점(51a)과 이동힌지점(51b)을 가지며 일단에 장공(52a)이 형성된 1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힌지점(51b)에 등받이(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링크수단(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92013909U 1992-07-28 1992-07-28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950002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909U KR950002791Y1 (ko) 1992-07-28 1992-07-28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909U KR950002791Y1 (ko) 1992-07-28 1992-07-28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594U KR940002594U (ko) 1994-02-15
KR950002791Y1 true KR950002791Y1 (ko) 1995-04-15

Family

ID=1933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909U KR950002791Y1 (ko) 1992-07-28 1992-07-28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7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594U (ko) 199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779B2 (en) Structure for an infant's rocket
US3179466A (en) Reclining chair
US6715827B1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used in high chair for infants, toddlers, and small children
CN113995271A (zh) 座椅装置
KR930004458B1 (ko) 안락 의자
JP4456265B2 (ja) 椅子における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US3162483A (en) Rocker chair with tau-cushion seat construction
US20070063563A1 (en) Tiltable chair accommodating male and female user seating position preferences
US5681085A (en) Rocking armchair with reclining seat and back
US5197781A (en) Reclining apparatus
KR950002791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US3055707A (en) Adjustable headrest for reclining chairs
KR950002792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JPH0313233Y2 (ko)
KR200427731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JPS6342848Y2 (ko)
KR940006717B1 (ko) 리클라이닝(reclining)장치
KR100214023B1 (ko) 이동가능한 아암레스트를 갖춘 차량용 좌석의자
JP2519186Y2 (ja) ベビーカーの背もたれ機構
JP3118362U (ja) 椅子の調整式背もたれの連動調整構造
KR200172190Y1 (ko) 흔들의자
JPH11309039A (ja) 腰掛用足掛装置
KR200145887Y1 (ko) 자동차시트용 아암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960000751Y1 (ko) 의자의 팔걸이 높이 및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