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832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832B1
KR930005832B1 KR1019900013163A KR900013163A KR930005832B1 KR 930005832 B1 KR930005832 B1 KR 930005832B1 KR 1019900013163 A KR1019900013163 A KR 1019900013163A KR 900013163 A KR900013163 A KR 900013163A KR 930005832 B1 KR930005832 B1 KR 93000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input
piece
displa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822A (ko
Inventor
고이찌 가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기기
제1도 내지 제18도는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를 소형 퍼스널콤퓨터에 적용한 실시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퍼스널콤퓨터의 사시도.
제2도는 역시 아래서 보 사시도.
제3도는 입력 겸 표시부와 본체부를 열어보인 사시도.
제4도는 분해사시도이며, (a)는 입력 겸 표시부의 분해사시도, (b)는 본체부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입력 겸 표시부와 본체부를 연 상태의 평면도.
제6도는 입력 겸 표시부와 본체부를 연 상태에서 각각의 상반부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입력 겸 표시부와 본체부와 닫혀서 록되어 가는 상태를 (a) 내지 (d)의 순서를 따라 나타낸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0도는 본체부의 요부를 상하로 분할한 분해사시도.
제11도는 메모리카드의 삽착부의 덮개체가 열려있는 상태를 (a) 내지 (c)의 순서를 따라 나타낸 요부의 단면도.
제12도는 메모리카드의 삽착부의 덮개체가 록되어 가는 상태를 (a) 내지 (c)의 순서를 따라 나타낸 요부의 일부절결 확대평면도.
제13도는 전지수납부의 덮개판이 록되어 다시 벗겨져 가는 상태를 (a) 내지 (f)의 순서를 따라 나타낸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4도는 전지수납부의 덮개판이 록되어 가는 상태를 (a) 내지 (c)의 순서를 따라 나타낸 제13도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도.
제15도는 버튼형 전지홀더부를 도시한 것이며, (a)는 일부절결사시도, (b)는 버튼형 전지를 수납한 상태의 확대단면도.
제16도는 보이스메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수화기재치부에 수화기가 재치된 상태의 측면도.
제18도는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기기 2 : 입력표시부
4 : 제1의 상자체 8 : 제2의 상자체
21,21',52,56,59,62 : 회전연결부재 144,153 : 신호처리회로
본원 발명은 신규의 전자(電子)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입력조작면과 정보표시면을 겸용한 입력표시부 및 입력표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입력표시부를 콤팩트하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는 입력표시부를 제1의 상자체에 설치하고, 신호처리회로를 제2의 상자체에 설치하고, 이들 제1의 상자체와 제2의 상자체를 회전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제2의 상자체가 입력표시부를 덮는 제1의 위치와 입력표시부를 노출시켜서 입력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입력조작을 행하지 않을 때는 입력표시부가 제2의 상자체에 의해서 덮여져 파손등의 위험이 해소되고, 또 입력표시부가 별개의 상자체에 설치되므로, 그 형상을 작게할 수 있고, 입력조작을 행하기 쉽게 된다.
입력조작면과 정보표시면을 겸용한 입력표시부를 가진 전자기기 예를들면 워드프로세서나 저자수첩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들 전자기기는 신호처리회로나 전원부를 수납한 상자체의 상면부에 입력표시부를 배치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입력표시부가 상자체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입력표시부가 파손될 위험성이 크며, 예를들면 이것을 손으로 들고다니는데 문제가 있다.
또, 하나의 상자체 안에 신호처리회로나 전원부까지 수납하고 있으므로 상자체가 커지고, 특히 평면형상을 작게하면 두께가 커지고, 입력조작 특히 입력펜을 사용한 수서입력(手書入力)의 조작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입력표시부를 제1의 상자체에 설치하고, 신호처리회로를 제2이 상자체에 설치하고, 이들 제1의 상자체와 제2의 상자체를 회전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제2의 상자체가 입력표시부를 덮는 제1의 위치와 입력표시부를 노출시켜서 입력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제2의 상자체를 제1의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입력표시부가 덮여지기 때문에 입력표시부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상태로 되므로, 이 상태에서 들고다녀도 위험은 없고, 휴대성이 향상된다. 또, 입력표시부를 신호처리회로등 기타의 부분으로부터 나누어서 제1의 상자체에 설치하였으므로, 이 입력표시부가 설치된 제1의 상자체가 소형으로, 특히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른바 수서입력방식을 채용한 경우의 입력조작의 조작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의 상세를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를 소형의 퍼스널콤퓨터에 적용한 것이다.
a. 퍼스널콤퓨터의 개요
도면중 (1)이 퍼스널콤퓨터이다.
퍼스널콤퓨터(1)는 각기 다른 상자체로 구성된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로 이루어지며, 입력 겸 표시부(2)의 한쪽에지와 본체부(3)의 한쪽에지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도에 도시한바와같이,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가 서로 겹치도록 닫힌 상태가 되고, 이 닫힌 상태에서 겨드랑이에 끼거나 손으로 들 수 있다. 또, 사용할때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를 대략 180˚의 각도로 열고, 입력 겸 표시부(2)가 바로 자기앞에 위치한 상태에서 책상위나 무릎위에 놓거나 또는 손바닥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다.
입력 겸 표시부(2)의 상자체(4)의 상면, 즉 열었을 때 상측을 향하는 면(4a)에는 그 대부분의 영역을 점하도록 액정태블릿패널(5)이 끼워져 있으며, 입력펜(6)에 의한 문자입력 및 아이콘조작 등을 행하고, 또 필요한 표시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액정태블릿패널(5)은 예를들면 액정표시패널 위에 투명한 입력 태블릿이 겹쳐진 것이다.
(7), (7), …은 상자체(4)의 상면(4a)중 액정태블릿패널(5)의 우측옆에 따라 배설된 조작버튼이다.
본체부(3)의 상자체(8)의 상면, 즉 열었을 때 상층을 향하는 면(8a)의 바로 앞쪽, 즉 입력 겸 표시부(2)측에 치우친 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팬수납요부(凹部)(9)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입력펜(6) 및 그 접속코드(10)가 수납되도록 되어있다.
기타, 본체부상자체(8)의 상면에는 전지수납부(11), 스피커(12), 각종 조작버튼(13), (13), …이나 조작다이얼(14)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4)내에는 액정태블릿패널(5)의 표시회로나 입력회등이 수납되고, 본체부 상자체(8) 내에는 CPU나 메모리등의 퍼스널콤퓨터(1)의 연산제어부나 기억부, 각종 인터페이스 등이 수납되어 있다.
b. 상자체
다음에, 상기 상자체(4), (8)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상자체(4), (8)의 기본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상자체(4), (8)에 형성되거나 또는 장착되는 각 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b-1.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4)는 하반부(15)와 상반부(16)로 이루어진다.
하반부(15)는 평면형상이고 가로가 긴 장방향을 한 저판부(17)와 이 저판부(17)의 둘레에지에서 세워지주벽부(18)에 의해 얕은 접시모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주벽부(18)중 대향측부(18a)의 위에지의 중앙부로부터는 반대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단부로 감에 따라 위쪽으로 만곡하여 약 4분의 1원에 상당하는 부분원통형으로 된 통요소(19)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주벽부(18)의 대향측부(18a)의 위에지중 좌우 양단에 근접된 위치로부터는 대향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단부로 감에 따라 위쪽으로 만곡하여 약 4분의 1원에 상당하는 부분원통형을 한 수통(受筒)요소(20), (20')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통요소(20), (20')의 외단부 즉 좌측의 수통요소(20)의 좌단부 및 우측의 수통요소(20')의 우단부에는 덮개부(20a), (20'a)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다.
(21), (21')는 베어링체이며, 정면형상에 대략 L자형의 판형상으로 된 지지편(21a), (21'a)과, 이 지지편(21a), (21'a)의 상단을 향하는 측에 치우친 상태로 연설된 짧은 원통형의 베어링부(21b), (2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베어링부(21b), (21'b)의 축방향은 좌우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편(21a), (21'a)의 주벽부(18)의 대향측부(18a)의 내측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서 그 베이링부(21b), (21'b)가 상기 수통요소(20), (20')위에 재치된 것과 같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22)는 통요소부재이며, 좌우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된 장착편(23)과, 이 장착편(23)에서 세워진 지지편(24), (25)과 이 지지편(24), (25)의 상단에 연설된 통요소부(26), (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통요소부 (26), (27)는 지지편(24), (25)의 대향측으로 돌출되고, 축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뻗는 동시에 요부가 아래쪽을 향한 반원통형으로 되어 잇으며, 상호 대향단에는 폐색벽(26a), (2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편(23)이 저판부(17)에서 세워 설치된 장착시크(28), (28)에 고정되고, 통요소부(26), (27)가 상기 통요소(19) 위에 재치된 상태로 되고, 이로써 통요소부(26), (27)의 하측이 통요소(19)에 의해 대략 덮여지고, 내단이 닫히며 좌우양단이 개구된 통형부(29a), (29b)가 형성된다.
상반부(16)는 평면형상이고 가로가 긴 장방향을 한 천판부(30)와 이 천판부(30)의 바로 앞에서, 좌우양측 에지의 3개의 에지의 약간 내측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계합벽(31), (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천판부(30)의 대향측 에지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또한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된 통요소(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요소(32)는 대략 반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축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뻗고, 요부가 아래방향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천판부(30)의 대향측 에지의 좌우양단에 근접된 위치로부터는 위쪽을 향해서 또한 대향측을 향해서 돌출된 수통요소(33), (33')가 형성되어 있다. 수통요소(33), (33')는 대략 반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축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뻗고, 요부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수통요소(33), (33')의 외단부 즉 좌측의 수통요소(33)의 좌단부 및 우측의 수통요소(33')의 우단부에는 복부(覆部)(33a), (33'a)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다.
또, 천판부(30)의 대향측 에지중 통요소(32)와 수통요소(33), (33') 사이의 2개소로부터는 받이테(手錄)(34), (34')가 반대쪽 및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받이테(34), (34')는 그 상면이 부분원통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잇다.
그리하여, 하반부(15) 위에 상반부(16)가 겹쳐지고, 상반부(16)의 계합벽(31), (31), ‥‥‥이 하반부(15)의 주벽부(18)의 내측에 겹쳐지고, 또한 주벽부(18)와 계합벽(31), (31), ‥‥‥. 이 도시하지 않은 계합수단에 의해 맞추어지고, 다시 하반부(15)와 상반부(16)가 복수개소 나사로 결합되어서 상자체(4)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반부(15)의 통요소(19)와 상반부(16)의 통요소(32)가 맞대어져서 상기 통요소부재(22)의 통요소부(26), (27)를 에워싼 외측의 통형부(35)가 형성된다.
(36)은 천판부(30)에 형성된 큰 창이며, 상기 액정태블릿패널(5)은 내측으로부터 이 창(36)을 가리도록 상자체(4) 내에 배치된다.
(37)은 상자체(4)내에 있어서 액정태블릿패널(5)의 하측에 배치된 프린트기판이다.
(38), (38), ‥‥‥은 상기 프린트기판(37)으로부터 인출된 코드이며, 이들 코드(38), (38), ‥‥‥는 상기 통형부(29a)가 삽통되어서 이 통형부(29a)의 좌단으로부터 상자체(4)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하반부(15)중 상기 조작버트(7), (7),‥‥‥에 대응한 위치에 조작스위치(39), (39), ‥‥‥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 잭부재(40)가 우측 바로 앞에 배치되어 있고, 이 잭부재(40)의 잭(40a)는 주벽부(18)의 우측부(18b)에 형성된 구멍(41)으로부터 외부에 면하고 있다.
(42)는 하반부(15)의 우측 바로 앞에 배치된 마이크로폰이며, 주벽부(18)의 바로 앞부분(18c)의 우단부에 형성된 소공(43), (43), (43)을 통해서 외부에 대하고 있다.
(44), (44),‥‥‥는 상기 조작스위치(39), (39), ‥‥‥, 잭부재(40) 및 마이크로폰(42)으로부터 인출된 코드이며, 이들 코드(44), (44), ‥‥‥는 상기 통형부(29b)가 삽통되어서 통형부(29b)의 우단으로부터 상자체(4)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그리고, (45), (45)는 코드(38), (38), ‥‥‥의 선단에 접속된 코넥터, (46), (46), (46)은 코드(44), (44), ‥‥‥의 선단에 접속된 코넥터이다.
b-2. 본체부상자체
본체부상자체(8)도 하반부(47)와 상반부(4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기서 상하의 관계는 상제차(4), (8)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의 상하이며, 또 입력 겸 표시부(2)측을 바로 앞쪽 내지는 앞쪽, 본체부(3)측을 향하는 쪽 내지는 뒤쪽으로 한다.
하반부(47)은 평면형상이고 가로가 긴 장방형을 한 저판부(49)와 이 저판부(49)의 둘레에지에서 세워설치된 주벽부(50)로 이루어진다.
주벽부(50)의 바로 앞측부(50a)의 중앙부와 양측단 사이의 위치로부터 바로 앞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단부로 감에 따라 위쪽으로 만곡하여 약 4분의 1원에 상당하는 부분원통형으로 된 통요소(51), (51')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52)는 축부재이며,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형상으로 된 장착부(53)와, 이 장착부(53)의 좌단부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또한 바로 앞쪽으로 돌출설치된 통형의 지지부(54)와, 이 지지부(54)의 좌우단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원주형의 축부(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지지부(54), 축부(55)가 모두 축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뻗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축부(55)는 지지부(54) 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재(52)의 장착부(53)가 주벽부(50)의 바로 앞축부(50a)의 내측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지지부(54)는 상기 통요소(51)의 좌단부위에 재치되도록 위치하고, 축부(55)는 통요소(51)의 좌단으로 돌출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축부(55)는 상기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4)의 베어링부(21b)에 회전할 수 있게 끼워지고, 이것에 의해 좌측의 힌지결합이 행하여 진다.
(56)은 우측의 베어링부재이며, 판형상으로 된 장착부(57)와 이 장착부(57)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또한 바로 앞쪽으로 돌출설치된 지지부(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59)는 금속으로 형성된 축제이며, 짧은 원주형으로 되고, 지지부(58)에 그 우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고정된 마찰축(59a)과, 마찰축(59a) 보다 소경으로 마찰축(59a)의 우단면의 중심부로부터 우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회전축(59b)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장착부(57)가 주벽부(50)의 바로 앞측부(59a)의 내측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서 지지부(58)가 상기 통요소(51')의 우단부위에 재치되도록 위치되고, 축체(59)가 통요소(51')의 우단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돌출된 상태로 된다.
한편, 입력 겸 표시부(2)에 설치된 베어링부(21'b)의 좌단면으로부터는 통체(60)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통체(60) 및 베어링부(21'b)의 중심을 관통한 베어링공(61)이 형성되어 있다. (62)는 코일스프링이며, 이 코일스프링(62)은 상기 통체(60)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리고 통체(60)에 바깥끼움되며, 또한 접착등 적절한 수단에 의해 통체(6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62)은 그 좌단부(62a)가 통체(60)의 좌단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상자체(8)에 설치된 상기 회전축(59b)이 베어링공(61)에 좌측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게 삽통되고, 또 마찰축(59b)이 코일스프링(62)의 좌단부(62a)에 안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회전축(59b)의 베어링부(21'b)의 우단으로부터 돌출한 단부에 E링(63)을 장착고정시켜, 이 회전축(59b)의 베어링공(61)으로부터의 이탈방지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해서 상자체(4)와 (8)의 우측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마찰축(59a)의 외경은 코일스프링(62)의 내경과 같든가,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마찰축(59a)과 코일스프링(62)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축체(59)가 상기 마찰력에 의해 코일스프링(62)의 지름을 넓히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그다지 저항이 없으나, 코일스프링(62)의 지름을 좁히는 방향 즉 역방향으로 회전할때에는 큰 저항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를 여는 방향이 역방향이 되고, 닫는 방향이 순방향이 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를 180°까지 열 수 있으나, 90°에서 180°까지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켜 사용하는 경우, 본체부(3)가 자중에 의해서 더욱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반부(48)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가로가 긴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바로 앞측에지의 좌우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얕은 절결(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64)의 좌우양단에 근접된 위치에 축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요부가 아래쪽을 향한 반원통형의 통요소(65), (65')가 바로 앞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하반부(47)와 상반부(48)가 결합되면, 하반부(47)의 통요소(51), (51')와 상반부(48)의 상반부(48)의 통요소(65), (65')에 의해서 통형부(66), (66')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통형부(66), (66')는 그 내측에 있어서 상자체(8)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자체(4)와 (8)이 힌지결합되면 상자체(8)의 통형부(66)는 상자체(4)의 통형부(35)와 수통요소(20), (33) 사이에 위치하고, 통형부(66')는 통형부(35)와 수통요소(20'), (3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38), (38),…는 통형부(29a)의 좌단으로부터 나온 후 통형부(66)를 지나 상자체(8)내에 들어가고, 또 코드(44), (44),…는 통형부(29b)의 우단으로부터 나온 후 통형부(66')를 지나서 상자체(8)내에 들어가게 된다.
(67)은 상자체(8) 내에 배치된 프린트기판이며, 상기 코넥터(45), (45), (46), (46), (46)은 이 프린트기판(67)에 설치된 코넥터(68), (68), …에 접속된다.
c. 록기구
다음에,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를 닫은 상태로 록하기 위한 록기구를 설명하다.
(69)는 훅편이며, 상자체(8)의 대향측단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훅편(69)의 상단으로부터는 오른쪽으로 돌출한 클릭편(6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클릭편(69a)의 우상에지는 우측으로 처진 경사에지(69b)로 되어 있다.
(70)은 상자체(4)에 설치된 록부이며, 상기 훅편(69)을 계탈할 수 있도록 록하기 위한 것이다.
(71)은 상자체(4)의 하반부(15)의 바로 앞쪽 주벽부(18c)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와 약간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저판부(17)에서 세워설치된 안내벽이며, 이 안내벽(71)의 우단으로부터 바로 앞쪽 주벽부(18c)쪽으로 향해서 지지벽(71a)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자체(4)의 바로 앞쪽 주벽부(18c)중 상기 안내벽(71)의 대략 중앙부와 대향한 위치에 좌우로 긴 슬릿(72)이 형성되어 있다.
(73)은 좌우방향으로 긴 슬라이드체이며, 횡단면형상으로 후방으로 개구한 ㄷ자형으로 하고 있다.
슬라이드체(73)의 전측편(前側片)(74)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는 피안내돌기(74a)가 전방향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이드체(73)는 상기 안내벽(71)과 바로 앞쪽 주변부(18c)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치되고, 그리고 피안내돌기(74a)가 바로 앞쪽 주벽부(18c)에 형성된 슬릿(72)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통된다.
(75)는 상기 피안내돌기(74a)의 슬릿(72)을 통하여 바로 앞쪽주벽부(18c)의 앞쪽으로 돌출한 부분에 부착된 손잡이이며, 조작자는 그 손잡이에 의해 슬라이드체(73)를 슬라이드시키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체(73)의 슬라이드범위는 피안내돌기(74a)가 슬릿(72)의 좌단에 접촉되는 위치와 우단에 접촉되는 위치와의 사이이다.
(74b)는 전측편(74)의 후면중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수압편(受壓片)이며, 이 수압편(74b)과 상기 지지벽(71a)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7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체(73)에는 좌측을 향한 이동력이 가해져 있으며, 슬라이드체(73)에 우측에의 이동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한 이동범위의 좌단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드체(73)의 상편(77)의 좌반분의 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구멍(7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78)의 개구에지중 우단의 에지(78a)가 계지에지가 된다.
(79)는 상기 구멍(78)을 대략 완전히 보완하는 평면형상을 가진 폐색판이며, 구멍(78)을 폐색한 상태에서 그 좌단부가 슬라이드체(73)의 전측편(74)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지지축(8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81)은 토션스프링이며, 그 코일부(81a)가 상기 지지축(80)에 바깥끼움되고, 한쪽의 암(81b)이 슬라이드체(73)의 상편(77)의 좌단부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며, 다른쪽의 암(81c)이 폐색판(79)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접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폐색판(79)에는 그 회전단 즉 우단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에의 회전력이 가해져 있다.
그리고, 폐색판(79)의 우단부 하면으로부터는 우측을 향해서 스토퍼편(79a)이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편(79a)이 상기 계지에지(78a)의 하면과 계합함으로써, 폐색판(79)이 그 이상 위쪽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고, 이 상태로 폐색판(79)은 구멍(78)을 대략 완전히 폐색한 상태가 된다.
(82)는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4)의 상반부(16)의 천판부(30)의 바로 앞쪽 에지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가로가 긴 삽통공이며, 상기 록부(70)의 폐색판(79)의 우단부와 계지에지(78a)에 걸친 위치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를 닫으면, 본체부(3)측의 훅편(69)이 압력 겸 표시부(2)의 삽통공(82)를 지나 상자체(4)내에 진입하고, 그 경사에지(69b)의 좌단에 치우친 부분이 록부(70)의 계지에지(78a)에 접촉된다(제9a도 참조). 이 상태로부터 다시 훅편(69)이 상자체(4)내로 진입하면, 그 경사에지(69b)에 의해서 계지에지(78a)가 우측으로 경사진 아래쪽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슬라이드체(73)는 압축코일스프링(76)의 탄발력에 항거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제9b도 참도). 이로 인해 훅편(69)은 다시 상자체(4)내로 들어간 수 있고, 또 훅편(69)의 하단에 의해서 압압되어서, 폐색판(79)은 토션스프링(81)의 탄발력에 항거하여 아래쪽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하여, 훅편(69)의 클릭편(69a)이 슬라이드체(73)의 상편(77)으로부터 아래쪽의 위치에 달하면(제9c도 참조), 계지에지(78a)를 우측으로 압압하고 있던 힘이 제거되므로, 슬라이드체(73)는 압축코일스프링(76)의 탄발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고, 계지에지(78a)가 클릭편(69a)의 상측으로 오며, 이로써 클릭편(69a)에 계지에지(78a)에 계합하는 상태로 되기(제9d도 참조) 때문에,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2)의 닫힌 상태가 록되어 크릭편(69a)과 계지에지(78a)의 계합을 풀지 않는 한 입력 겸 표시부(2)의 본체부(3)는 열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록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상자체(4)의 앞면에 위치한 손잡이(75)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로써, 슬라이드체(73)가 압축코일스프링(76)의 탄발력에 항거하여 우측으로 이동되어서 계지에지(78a)가 훅편(69)의 클릭편(69a)의 위쪽으로부터 우측으로 도피하므로, 입력 겸 표시부(2d)와 본체부(3)를 열수 있다.
그리고,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를 열면, 지금까지 폐색판(79)을 아래쪽으로 압압하고 있던 훅편(69)이 위쪽으로 도피해가므로, 폐색판(79)은 토션스피링(81)의 탄발력에 의해 위쪽을 향해서 회전되어서 구멍(78)을 폐색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퍼스널콤퓨터(1)의 사용중에 있어서 상자체(4)의 상면 바로 앞에 형성된 삽통공(82)이 폐색된 상태로 되어 보기에 좋다.
d. 입력펜 및 그 수납요부
펜수납요부(9)는 본체부상자체(8)의 상반부(48)에 그 바로 앞쪽에지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펜수납요부(9)는 좌측의 대략 3분의 1의 부분(9a)에 비하여 우측의 대략 3분의 2의 부분(9b)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폭협구(幅狹部)(9a)의 좌단내면에는 삽통공(8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폭광부(幅廣部)(9b)의 후측내면의 좌단부에는 구멍(84)으로부터 요부(9)내에 면하고 있다.
태블릿의 좌표지정장치로서의 입력펜으로서는 몇가지 방식의 것이 있으나, 본원 발명에 있어서, 액정태블릿패널(5)의 좌표점지정장치로서는 정전감압형(靜電感壓型)의 입력펜(6)이 채용되고 있다.
입력펜(6)의 선단부는 그 나머지부분에 비해 가늘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시 이 세경부(細經部)(6a)의 선단에 접촉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코드(10)는 나선형으로 감겨 있으며, 입력펜(6)의 후단으로부터 도출되며, 선단에 플러그(10a)가 접속되어 있다.
이리하여, 입력펜(6)은 플러그(10a)가 잭(85a)에 삽착(揷着)되어서 사용된다. 또, 플러그(10a)를 잭(85a)에 삽착한 채, 입력팬(6) 및 접속코드(10)를 수납요부(9)내에 수납해 둘 수 있가. 즉, 입력펜(6)의 세경부(6a)를 삽통공(83)에 삽통한 상태로 입력펜(6)을 폭협부(9a) 및 폭광부(9b)의 바로 앞족에 수납하고, 접속코드(10)를 폭광부(9b)의 후측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10a)는 요부(9)내에 면한 잭(85a)만이 아니라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4)의 우측면 바로 앞쪽끝에 면한 잭(40a)에 삽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하기 편리한쪽의 잭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a)을 삽착하는 잭은 이것만이 아니라 상자체(4)나 (8)의 다른 부위에 면하게 해도 된다.
e. 메모리카드삽착부
(86)은 메모리카드, 예를들면 IC 카드의 삽착부이다.
(87)은 본체부상자체(8)의 하반부(47)의 주벽부(50) 좌측부(50b)의 약간 위쪽에지에 치우친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된 삽입구이다. 좌측주벽부(50b)중 삽입구(87)의 양 옆에 위치한 부분에는 상단가까이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요부(88), (8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저판부(49)의 좌측에지중 요부(88), (88)와 이들 사이의 부분에 대응한 부분(89)아 얕게 절결되어 있다.
(90)은 상자체(8)내의 상기 삽입구(87)와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 카드코넥터이며, 상기 삽입구(87)로부터 삽입된 IC카드(91)의 접속단(91a)이 삽착되고, 이로써 IC카드(91)가 도시하지 않은 회로와 접속된다.
(92), (92)는 좌측주벽부(50b)의 우에지중 삽입구(87)의 양단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 절결이다.
(93)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덮개체이다. (94)는 덮개체(93)의 주부(主部)이며, 전후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단부는 약간 우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95), (95)는 전방에서 보아 대략 역 L자형을 한 완편(婉片)이며, 주부(94)의 내면, 즉 우측면의 전후양단으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보다 약간 위의 위치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일체로 돌출설치되고 있다. 완편(95), (95)의 선단부의 외면, 즉 앞쪽의 완편(95)의 앞면 및 뒤쪽의 완편(95)의 후면에는 지점돌기(95a), (95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부(88), (88)의 서로 먼 쪽의 측면, 즉 뒤쪽의 요부(88)의 후면 및 앞쪽의 요부(88)의 전면의 내측 하단부에는 받이구멍(88a), (88a)이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완편(95), (95)의 지점돌기(95a), (95a)가 받이구멍(88a), (88a)에 회전할 수 있게 끼워지며, 이것에 의해 덮개체(93)는 지점돌기(95a), (95a)와 받이구멍(88a), (88a)과의 감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메모리카드삽입구(87)을 개폐하다.
그리고, 본체부(3)를 평면(96)상에 재치한 상태에서 덮개체(93)가 열렸을 경우, 약간 열린상태에서 주부(94)의 하단부가 상기 면(96)에 충돌하여(제11b도 참조), 그이상은 열수 없다. 따라서 IC 카드(91)를 교환하는 경우등에는 본체부(3)를 상기 면(96)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로 함으로써 덮개체(93)를 완전히 열고 삽입구(87)를 개방할 수 있다(제11c도 참조).
덮개체(93)의 주부(94)의 내면중 위에지에 따른 위치에 전후로 이간하여 계합자(97), (97)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계합자(97), (97)에는 선단에 개구한 계합절결(98), (9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계합절결(98), (98)의 개구단(98a), (98a)은 협애부(狹隘部)로 되어 있고, 그리고, 덮개체(93)가 위에지에 형성된 상기 계합자(97), (97)는 좌측주벽부(50b)의 위에지에 형성된 상기 절결(92), (92)내에 위치된다(제12c도 참조).
(99), (99)는 상자체(8)의 상반부(48)의 좌측에지하면으로부터 상기 절결(92), (92)내에 돌출하도록 돌출설치된 계합핀이다.
이리하여, 덮개체(93)가 닫힐 때, 계합자(97), (97)의 계합절결(98), (98)의 협애부(8a), (98a)가 재료가 지닌 가요성에 의해 확개(擴開)되고(제12b도 참조), 계합핀(99), (99)이 계합절결(98), (98)과 계합하며 (제12c도 참조), 이로인해 덮개체(93)는 닫힌 위치에 클릭스톱된다.
(100)은 덮개체(93)의 주부(94)의 외면상단에 치우친 위치에 돌출설치된 돌조(突條)이며, 덮개체(93)를 열 때는 이 돌조(100)의 상면에 손가락 또는 손가락끝을 걸어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덮개체(93)에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고, 계합자(97), (97)의 계합절결(98), (98)의 협애부(98a), (98a)가 계합핀(99), (99)에 의해 확개되어, 계합절결(98), (98)과 계합핀(99), (99)과의 계합이 해제된다.
(101)은 상자체(8)의 상단부(48)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된 슬라이더(slider)이다. 슬라이더(101)는 좌우방향으로 긴 세폭(細幅)의 판형상으로 된 주부(102)와 이 주부(102)의 우단에 전후방향으로 뻗는 방향에서 연결된 작용부(103)가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주부(102)의 좌단에는 절결(102a)이 형성되고, 도 좌단에 근접된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긴 구멍(102b)이 형성되어 있다.
작용부(103)의 전단부(103a)는 압압부가 되고, 또 후단에는 스프링걸이편(103b)이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104)는 압압금구이며, 좌우방향으로 뻗는 각홈(角홈)으로 된 안내부(104a)와 안내부(104a)의 위에지로부터 옆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장착편(104b), (104b), (104b)과 안내부(104a)의 뒤에지부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스프링걸이편(104c)이 금속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착편(104b), (104b), (104b)에 형성된 장착공에 상반부(4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지지핀이 삽통되고, 또한 이 지지판중 상기 장작공이 삽통되어서 장착편(104b), (104b), (104b)의 하측으로 돌출한 부분이 코킹되어서 압압금구(104)가 상반부(48)의 하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1)는 그 주부(102)가 압압금구(104)의 안내부(104a)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또 상반부(4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안내핀(105)이 주부(102)의 긴 구멍(102b)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삽통된다. 이와같이 해서 슬라이더(101)는 상반부(48)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106)은 인장코일스프링이며, 슬라이더(101)의 스프링걸이편(103b)과 압압금구(104)의 스프링걸이편(14c)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더(101)에는 좌측을 향한 이동력이 가해져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01)에 이것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동안은 그 좌단부에 형성된 절결(102a)내에 상기 계합핀(99), (99)의 하나(후측의 것)가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제12a도 참조). 그리고 상기 덮개체(93)가 닫히면, 그 후측의 계합자(97)의 우단으로 슬라이더(101)의 주부(102)의 좌단면이 압압되고, 슬라이더(101)는 인장코일스프링(106)의 인장력에 항거하여 약간 우측으로 이동된다(제12b,c도 참조).
(107)은 상반부(48)에 지지된 프린트기판(108)에 지지된 스위치이며, 그 피압압자(170a)는 스위치상자체(107b)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101)의 압압부(103a)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체(93)가 삽입구(87)를 닫은 위치에 있을대는 슬라이더(10)는 인장코일스프링(106)의 인장력에 항거하여 약간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압압부(103a)는 스위치(107)의 피압압자(107a)에 우측으로부터 근접하고 있으나 이것을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된다(제12c도 참조).
그리고, 슬라이더(101)가 그 절결(102a)과 계합핀(99)이 계합된 상태에 있을 때(즉,덮개체(93)가 폐색위치로부터 조금이라도 개방위치를 향해서 회전되었을 때는 이 상태로 됨)는 슬라이더(101)의 압압부(103a)에 의해서 스위치(107)의 피압압자(107a)가 밀어 넣어져서 스위치(107)가 전원오프신호를 발하도록 되어 있다(제12b,C도 참조).
그리고, 전원오프신호가 발해지면, 본체에 있어서 사용중의 데이터퇴피가 행하여 진다.
단지, 데이터의 퇴피에는 다소의 시간, 예를들면 2초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며, 이 퇴피가 완료되기전에 즉 전원이 오프되기전에 사용자가 IC 카드(91)를 메모리카드장착부(86)로부터 뽑아내면, IC 카드(91)중의 데이터가 파괴되어 버릴 염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같이 사용상태, 즉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를 서로 180°로 열어 평면(96)상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는 덮개체(93)가 IC 카드(91)를 꺼낼 수 있는 상태까지는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한 데이터퇴피를 위한 시간을 벌 수 있게 되고, 부주의로 인한 조작에 의해서 IC 카드(91)중의 데이터가 파괴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 전지수납부
전지수납부(11)는 본체부상자체(8)의 후부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109)는 상반부(48)의 후부좌측에 형성된 개구부이며, 가로가 긴 장방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이 개구부(109)의 좌측에 인접해서 전후의 길이가 개구부(109)의 전후폭의 5분의 3정도의 전후방향으로 긴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10)의 앞쪽에 인접한 위치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슬라이드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9)와 개구부(110) 및 슬라이더구멍(111)의 형성부와의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가로대(12)의 상면은 상반부(48)의 상면 보다 약간 낮게되어 있다.
(113), (113), (113)은 개구부(109) 및 (110)의 개구면으로부터 약간 아래의 위치로부터 돌출설치된 받이턱이며,이들 받이턱(113,(113), (113)의 상면은 상기 가로대(112)의 상면과 동일한 면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앞턱과 뒤턱에 형성된 받이턱(113), (113)의 우단부에는 절결(114), (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대(112)의 상면중 개구부(109)와 (110) 사이의 부분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위치에는 절결(115)의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가로대(112)의 바로 앞쪽끝에도 절결(116)이 형성되고, 이 절결(116)은 바로 앞쪽(116a)이 깊고, 뒤쪽(116b)게 얕게 형성되어 있다.
(117)은 상반부(48)의 하면과 상반부(48)의 하면에 고정된 지지부재(18)와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지지된 슬라이더이다.
(117a)는 슬라이더(117)의 상면에 돌출설치된 손잡이이며, 상기 슬라이더구멍(111)내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위치되어 있다.
또, (117b)는 슬라이더(117)의 우측면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록편이며, 상기 가로대(112)에 형성된 절결(116)의 상부내에 위치해 있으며, 그 전단부 상면은 앞이 처진 경사면(17c)으로 형성되어 있다.
(117d)는 슬러이더(117)의 후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스프링걸이편이다.
그리고, 이 스프링걸이편(117d)과 상기 압압금구(104)에 형성된 스프링걸이편(14d) 사이에 안장코일스프링(119)이 배설되고,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더(117)에 전방을 향한 이동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슬라이더(117)의 록편(117b)은 통상 절결(116)의 바로 앞측부(116a)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120)은 상자체(48)의 하반부(47)중 상기 개구부(109)에 대앙한 위치에 형성된 전지수납부이며, 단자(120a), (120a)가 배설되어 있다.
(121)은 가로가 긴 장방형상의 판형으로 된 덮개판이며, 상기 개구부(109)에 꼭 끼워지는 크기로 되어 있다.
덮개판(121)의 하면우단의 전후양단부로부터는 우측을 향해 계합편(121a), (121a)은 전방에서 보아 위쪽으로 개구된 ㄷ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우단부상면(121b), (121b)은 덮개판(121)의 하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게 되어 있다. 또 덮개판(121)의 하면의 좌단부중 전단에 치우친 위치로부터 계지편(122)이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되고, 이 계지편(122)의 하단부로부터는 후방을 향해 계지클릭(122a)이 돌출설치되고, 이 계지클릭(112a)의 하단에지(122b)는 뒤가 올라간 경사에지로 되어 있다.
이리하여, 덮개판(121)을 이것으로 개구부(109)를 대략 덮도록 또한 우측이 쳐지게 경사시킨 상태로 하여 계합편(121a), (121a)을 개구부(109)의 전후 양 에지에 위치한 받이턱(113), (113)의 우단부에 형성된 절결(114), (114)로부터 상자체(8)내에 삽입하고, 덮개판(121)의 우단에지가 욱측의 받이턱(113)에 닿도록 한다(제14a도 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 덮개판(121)을 그 우측에지와 우측받이턱(113)과의 접촉부를 회전지점으로 하여 그 좌단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덮개판(121)의 계지핀(122)의 경사에지(122b)가 절결 바로 앞쪽(116a)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록편(117b)의 경사면(117c)에 접촉된다(제13b도 참조).
이 상태로부터 다시 덮개판(121)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면, 계지편(122)의 경사에지(122b)가 록편(117b)의 경사면(117c)을 아래로 경사진 후방을 향해서 압압하기 때문에, 이 압압력을 록편(117b)을 통해서 받은 슬라이더(117)가 인장코일스프링(119)의 인장력에 항거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덮개판(121)은 그 둘레에지부가 각 받이턱(113), (113), (113) 및 가로대(112)의 상면에 재치되는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고, 개구부(109)를 덮은 상태로 된다(제13c도 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 덮개판(121)의 계합핀(121a), (121a)은 그 우단부 상면(121b), (121b)이 덮개판(121)의 하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상반부(48)의 하면에 접촉해서 약간 아래쪽으로 휘어지고(제14b,c도 참조), 이것에 의해 덮개판(121)좌단을 약간 위쪽으로 튀어오르려는 히미 축적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계지클릭(122a)이 록편(117b)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제13c도 참조), 슬라이더(117)가 인장코일스프링(119)의 인장력에 의해서 전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제13d도 참조), 록편(117b)이 계지클릭(122a)의 상측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덮개판(121)은 전지수납요부(120)의 상부개구부(109) 닫은 위치에 록된다.
그리고, 덮개판(121)을 열때는 손잡이(117a)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더(117)가 인장코일스프링(119)의 인장력에 항거하여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 록편(117b)이 절결(116)의 바로 앞측부(116a)의 상부로부터 후측(116b)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덮개판(121)의 계지클릭(122a)에 계지하고 있던 것이 없어지고, 따라서 계합편(121a), (121a)에 축적되어 있던 힘에 의해서 덮개판(121)의 좌단부가 약간 떠오른다. 그러면, 이 떠오른 덮개판(121)의 좌단부를 위쪽으로 회전시키고, 마지막으로 계합편(121a), (121a)을 절결(114), (114)로부터 상자체(8) 밖으로 끌어내면 된다.
(123)은 전지수납요부(120)내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충전타입의 전지이다.
(124)는 상기 전지수납요부(120)의 좌측에 인접해서 형성된 수납요부이며, 평면으로 보아 전후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납요부(124)에는 단자(125), (125)가 배설되어 있으며, 또 이 수납요부(124)를 형성하고 있는 주벽(126)의 우측부 위에지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얕은 절결(12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반부(47)와 상반부(48)가 결합되어서 상자체(8)가 형성되면, 이 절결(126a)과 상기 가로대(112)의 좌측면 하단에 의해서 계합공(127)이 형성된다.
(128)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버튼형 전지홀더이다. 이 버튼형 전지홀더(128)는 상면판(129)과, 이 상면판(129)으로부터 아래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지지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면판(129)은 상기 개구부(110)에 꼭 끼워지는 크기의 판형으로 되어 있고, 자기판(130)은 상면판(129)의 하면의 우측에 치우친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지지판(130)의 상단부으로부터 중간정도 약간 하측에 이르는 위치까지 옆쪽에서 보아 위쪽에 개구한 ㄷ자형을 한 슬릿(130a)이 형성되고, 이 슬릿(130a)에 둘러싸여진 부분이 계합편(131)으로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계합편(131)의 우측면 하단부에 계합클릭(131a)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지지판(1130)의 좌측면의 하단부에는 지지돌기(130b), (130b)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지지판(130)의 좌측면중 이 지지돌기(130b), (130b)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지지판(130)의 좌측면중 이 지지돌기(130b), (130b)와 상면판(129)에 의해 에워싸인 전지지지부(132)에 예를들면 리튬전지등의 버튼형 전지(133)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형 전지홀더(128)는 그 전지지지부(132)에 버튼형 전지(133)를 지지한 상태로 지지판(130)이 개구부(110)로부터 수납요부(124)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지지판(130)이 수납요부(124)내에 삽입되면, 버튼형 전지(133)가 수납요부(124)내에 배설된 단자(125), (125)와 접촉되고, 또 상면판(129)은 개구(110)를 폐색한 상태에서 받이턱(113) 및 가로대(112)위에 재치되고, 또 계합클릭(131a)이 계합공(127)과 계합되어서 지지판(130)이 수납요부(124)로부터 탈락하지않도록 록된다. 또한, 이 버튼형 전지(133)는 예를들면 메모리백업용이나 시계용의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버튼형 전지홀더(128)를 상자체(8)로부터 떼어낼 경우에는 상기 덮개판(121)을 상자체(8)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면판(129)의 우측단면과 가로대(112)상면 사이에 손가락을 넣고 상면판(129)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덮개판(121)을 상자체(8)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이 버튼형 전지홀더(128)를 상자체(8)로부터 떼어낼 수 없다.
g. 보이스메모
(134)는 본체부상자체(8)의 우측면에 형성된 보이스메모조작부이며, 녹음 조작버튼(135a), 재생조작버튼(135b), 정지조작버튼(135c), 음량조정노브(135d)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136)은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4)의 하반부(15)의 하면중 뒤에지에 따라 좌우로 길게 형성된 얕은 요부이며, 입력 겸 표시부(2)와 본체부(3)를 닫은 상태에서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손으로 든 경우에 손가락끝이 이 요부(136)에 걸려서 파지하기 쉽고, 또 이와같이 파지한 상태에서 퍼스널콤퓨터(1)는 안면높이까지 들올리면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4)의 앞면우단에 배치한 마이크로폰(42)이 입앞에 위치하고, 상기 보이스메모조작부(134)가 눈압에 오므로(제16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상태), 이 (134)에 배설된 각 조적버튼이나 노브(135a)-(135d)를 조작하기 쉽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본체부(3)에는 녹음용 IC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생각난 것이나 비망록을 보이스메모로서 기록해 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h. 수화기재치부
(137)은 본체부상자체(8)의 상면중 우측후부에 형성된 수화기재치부이다.
(138), (138)…은 방음공(妨音孔)이며, 상반부(48)의 하면에 부착된 스피커(12)에 대응한 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음공(138), (138)…을 에워싼 위치에는 평면형상이고 둥그스름하면서 4각형을 이루는 돌조(1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조(139)는 좌측의 것이 낮고 우측의 것이 높아지도록 그 능선이 좌로 처지게 경사져 있다.
이리하여,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화기의 수화기(140)의 송화부(送話部)(140a)를 상기 돌조(139)위에 재치한 경우, 돌조(139)의 능선이 송화부(140a)의 면에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접촉되고, 수화기(140)의 자세가 안정된다.
이것은 이 퍼스널콤퓨터(1)에 장착된 또는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에 의한 주소록 또는 전화번호부를 오토다이얼러로서 사용할 때 매우 사용성이 편리하고 양호하다.
i. 기 타
기타, 상기 퍼스널콤퓨터(1)에 있어서는 입력 겸 표시부(2)에는 액정태블릿패널(5)외에 필요최소한의 것밖에 배치하지 않도록하고, 기타의 것은 본체부(3)에 배치하도, 입력 겸 표시부(2)의 두게를 될 수 있는 한 얇게하여, 입력펜(6)에 의한 입력조작을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141), (141),…은 본체부상자체(8)의 하반부(47)의 하면의 4모서리에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 높이가 낮은 돌출부, (142), (142),…는 이 돌출부(141), (141),…에 매입된 고무시트이며, 본 퍼스널콤퓨터(1)를 미끄러지기 쉬운 면상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퍼스널콤퓨터(1)가 함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43), (143)은 입력 겸 표시부상자체(4)의 하반부(15)의 하면중 앞에지에 치우친 좌우양단에 근접된 위치로부터 돌출설치된 작은 돌기이다.
j. 하드웨어 구성
이 퍼스널콤퓨터(1)에 있어서, 내장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144)는 CPU, (145)는 그 버스라인이며, 이 버스라인(145)을 통해서 각종 기능 IC 등이 접속되어 있다.
(146)은 ROM 이며, 이 ROM(146)에는 장치 전체의 시스템프로그램외에 예를들면 워드프로세서기능용의 가나문자-한자변환 프로그램 및 그것을 위한 사전데이타, 다시 수서(手書)입력에 대한 인식프로그램 및 그것을 위한 사전 데이터등의 기록되어 있다.
(147)은 워킹용의 RAM, (148)은 전원(133)이 병설된 백업 RAM이다.
(149)는 타이머 IC이며, 이 IC(149)도 전원(133)으로 구동되는 동시에, 수정진동자(150)로부터의 클록을 게수하여 항상 그 시점의 년월일 및 시각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다.
(151)은 액정태블릿패널(5)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표시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콘트롤러이며, 이 콘트롤러(151)는 CPU(144)에 의해 제어되는 동시에, CPU(144)에서 작성된 표시데이터가 V-RAM(152)에 기입되고, 이 기입된 데이터가 콘트롤러(151)를 통하여 표시부에 공급된다.
(153)은 액정태블릿패널(5)의 입력부 및 입력펜(6)의 인터페이스회로이며, 이 인터페이스회로(153)에서 액정태블릿패널(5)에 기록된 데이터가 CPU(144)에 공급된다.
(154)는 고체녹음의 처리회로이며, 마이크로폰(42)으로부터의 음성신호가 AD변환등 처리되어서 CPU(144)를 통해서 백업 RAM(148)에 기억된다. 또, 백업 RAM(148)에 기억된 음성신호데이터는 처리회로(154)에서 AD 변환등 처리되어 혼합기(155)를 통해서 스피커(12)에 공급된다.
(156)은 다이얼러회로이며, CPU(144)로부터 임의의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가 공급되면 이른바 푸시폰의 듀얼톤에 상당하는 음향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혼합기(155)를 통해서 스피커(12)에 공급된다.
(157)은 키인터페이스회로이며, 상술한 조작버튼, 조작다이얼 등 (7), (7)…, (13), (13),…(14), (135), (135),…등의 스위치군으로부터의 신호가 직접 또는 전원회로(158)를 통해서 공급되고, 소정의 변환된 신호가 CPU(144)에 공급된다.
(159), (160)은 IC 카드 및 확장시의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회로이며, 각각 카드코넥터(9), 확장슬롯코넥터(16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하드웨어의 대부분은 본체부상자체(8)내에 수납된다.
이상 기재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는 입력조작면과 정보표시면을 겸용한 입력 표시부를 가진 제1의 상차제와, 상기 입력표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를 최소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제2의 상자체와, 상기 제1,제2의 상자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제2의 상자체가 입력표시부를 덮는 제1의 위치와 입력표시부를 노출시켜서 입력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제2의 상자체를 제1의 위치로 함으로써 입력표시부가 덮어지고, 입력표시부가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는 상태로 되므로, 이 상태로 휴대해도 위험은 없으며, 휴대성이 향상된다. 또, 입력표시부를 신호처리회로등 기타의 부분으로부터 나누어서 제1의 상자체에 설치하였으므로, 이 입력표시부가 설치된 제1의 상자체가 소형으로 특히 박형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이른바 수서입력방식을 채용한 경우의 입력조작의 조작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에에서는 본원 발명을 소형퍼스널콤퓨터에 적용한 것을 나타냈으나, 본원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조작면과 정보표시면을 겸용한 입력표시부 및 입력표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를 구비한 전자기기이면, 워드프로세서, 전자수첩 기타의 것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는 본원 발명의 전자기기의 실시예 있어서의 구체화의 경우 일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것들에 의해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입력조작면과 정보표시면을 겸용한 입력표시부를 가진 제1의 상자체와, 상기 입력표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를 최소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제2의 상자체와, 상기 제1, 제2의 상자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제2의 상자체가 입력표시부를 덮는 제1의 위치와 입력표시부를 노출시켜서 입력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19900013163A 1989-09-20 1990-08-25 전자기기 KR930005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43872A JP2969677B2 (ja) 1989-09-20 1989-09-20 電子機器
JP89-243872 1989-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822A KR910006822A (ko) 1991-04-30
KR930005832B1 true KR930005832B1 (ko) 1993-06-25

Family

ID=1711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163A KR930005832B1 (ko) 1989-09-20 1990-08-25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19177A3 (ko)
JP (1) JP2969677B2 (ko)
KR (1) KR930005832B1 (ko)
AU (1) AU623803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746A (ko) * 2016-12-20 2018-06-28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 형태의 바퀴를 갖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9329B (it) 1992-03-12 1996-03-12 Olivetti & Co Spa Calcolatore portatile con coperchio
JP3077378B2 (ja) * 1992-04-09 2000-08-14 ソニー株式会社 タブレット入力装置の入力ペン収納機構
JP2002091614A (ja) * 2000-09-13 2002-03-29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2004139185A (ja) * 2002-10-15 2004-05-13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04165649A (ja) 2002-10-21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5175003A (ja) 2003-12-08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カップリングコンデンサ及び半導体集積回路
KR102298206B1 (ko) * 2019-12-02 2021-09-06 (주)웅진씽크빅 태블릿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0726B (en) * 1983-11-30 1988-01-20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Office terminals
JPS643966U (ko) * 1987-06-26 1989-01-11
GB8719829D0 (en) * 1987-08-21 1987-09-30 Randall S Information storage device
DE3851021T2 (de) * 1987-09-02 1995-01-26 Laitram Corp Tragbarer Computer mit grosser Bildschirmdarstell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746A (ko) * 2016-12-20 2018-06-28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 형태의 바퀴를 갖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3803B2 (en) 1992-05-21
AU6211290A (en) 1991-05-02
EP0419177A2 (en) 1991-03-27
JP2969677B2 (ja) 1999-11-02
KR910006822A (ko) 1991-04-30
JPH03105512A (ja) 1991-05-02
EP0419177A3 (en) 199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6868B1 (en) Handheld computer keyboard system
US5555157A (en) Enclosure for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over catch member engageable with two different housing catch members
KR100621605B1 (ko) 휴대형 컴퓨터를 위한 케이스
US5111361A (en) Device having a slider portion and a stand portion for titling a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JPH0895669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US5200883A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n external battery mounting portion and optional device mounting portion
KR930005832B1 (ko) 전자기기
JPH1131025A (ja) Pcカードスロット
JP2002358150A (ja) 入力装置と共に使用される電子機器支持装置
US20020186525A1 (en) Attachment for handheld digital devices
US20040184228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latch mechanism to fix housings overlaid and connected by hinges
US5438530A (en) Portable electronic computer with tracking device
WO2000010878A2 (en) Keyboard/case for handheld computers
JPH1195867A (ja) 取り外し可能なカード形の電子部品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JPH03105545A (ja) 電子機器
JP2923389B2 (ja) 手書き入力可能なハンドヘルド・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3345459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本体に着脱可能な拡張装置
JP3788838B2 (ja) 無線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JPH0445049Y2 (ko)
JPH07319585A (ja) 情報処理装置
JP2847799B2 (ja) 電子機器
KR100616304B1 (ko) 휴대 단말기
JPH0313809Y2 (ko)
JP3346801B2 (ja) 電子機器
JPH04359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