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429B1 - Cassette tape recorder capable cannel division and editing dubing - Google Patents

Cassette tape recorder capable cannel division and editing dub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429B1
KR930003429B1 KR1019900013845A KR900013845A KR930003429B1 KR 930003429 B1 KR930003429 B1 KR 930003429B1 KR 1019900013845 A KR1019900013845 A KR 1019900013845A KR 900013845 A KR900013845 A KR 900013845A KR 930003429 B1 KR930003429 B1 KR 930003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ck
switching
switch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05135A (en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429B1/en
Publication of KR92000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Landscapes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In cassette tape recorder for recording from a playing back signal of its exclusive A-deck to a recording B-deck, the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switching means for outputting the reproduced signal at A-deck, with selection of L- channel and R-channel, and at B-deck according to connection of leaf switch, a second switching means for outputting the selected signal of the first switching means and a similar stereo signal of its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switch modes, a third switching means for outputting the recording signal of B-deck from the selected signal and the external input signal in the first switching means according to switch modes.

Description

채널 구분 편집 더빙이 가능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Cassette tape recorder with dubbed channel editing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도.1 is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테이프의 기록 포맷(FORMAT).2 is a recording format of a tape (FORMA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4 : 헤드 5,6,9,11 : 재생용 등화 증폭기1-4: head 5,6,9,11: equalization amplifier for reproduction

7,8 : 헤드 절환 스위치 10,12 : 녹음용 등화 증폭기7,8 head switching switch 10,12 equalization amplifier for recording

14-17, 20-23, 30-34 : 신호 절환 스위치 26,29 : 믹서14-17, 20-23, 30-34: signal selector switch 26, 29: mixer

27 : 하이 주파수 감쇄부 28 : 로우 주파수 감쇄부27: high frequency attenuator 28: low frequency attenuator

35,36 : 출력 앰프 38 : 모우드 스위치35,36: output amplifier 38: mode switch

39 : 마이크 앰프 40 : 외부 입력 앰프39: microphone amplifier 40: external input amplifier

본 발명은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테이프 상에 음성신호와 악기음등의 신호를 L-채널과 R-채널로 구분하여 기록하고 더빙시에는 음성신호만 편집 기록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 구분 편집 더빙이 가능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sette tape recorder, in which a channel-type editing dubbing is provided in which a signal such as a voice signal and a musical instrument sound is recorded on the tape separately into an L-channel and an R-channel, and only an audio signal can be edited and recorded when dubbing. Possible cassette tape recorder.

종래의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음성신호와 악기음 등의 기타 신호를 합성시켜 L-채널과 R-채널에 기록 시킴으로써 재생시 음성신호와 악기음 등의 신호를 구분시킬 수 없어 악기음 등의 반주신호에 자신의 목소리를 기록시킬 수 없고 단지 음성신호와 악기음 등의 반주신호가 합성된 신호음만을 재생하거나 더빙이 가능하였다.In conventional cassette tape recorders, audio signals and other signals such as musical instruments are synthesized and recorded on L-channels and R-channels, so that signals such as audio signals and musical instrument sounds cannot be distinguished during playback. His voice could not be recorded, and only the sound of the accompaniment such as voice signal and instrument sound could be reproduced or dubbed.

즉 종래의 테이프에는 제2(a)도에서와 같이 음성신호와 악기음 등의 반주신호가 혼합되어 기록되어 있으므로 혼합된 상태의 신호를 더빙시킬 수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tape,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는 음성신호 및 악기음 등의 반주신호를 L-채널과 R-채널로 구분하여 기록되게 하고 더빙시에는 음성신호를 다른 외부 신호로 교체하여 편집 더빙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 구분 편집 더빙이 가능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iment signals such as voice signals and musical instrument sounds are divided into L-channels and R-channels and recorded, and when dubbing, the channel-type edit dubbing is performed so that the editing dubbing is possible by replacing the voice signal with another external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provide a cassette tape recorder as follows.

재생전용 A덱크에서 재생된 신호를 녹음 재생 B덱크에서 기록시키는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A덱크에서 L-채널과 R-채널로 구분되어 재생된 신호나 B덱크에서 재생된 신호를 리프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선택하는 제1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에서 선택된 L-채널 신호와 R-채널 신호를 혼합시킨후 주파수 감쇄시켜 의사 스테레오 신호를 만드는 의사 스테레오 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의사 스테레오 신호 발생수단과 제1스위칭 수단의 출력 신호를 모우드 스위치의 절환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제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의 출력과 마이크 및 외부 입력 신호를 선택하여 B덱크의 기록 신호로 출력시키는 제3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A cassette tape recorder for recording a signal reproduced from a playback-only A deck in a recording / reproduction B deck, wherein a signal separated by an L-channel and an R-channel in the A deck or a signal reproduced from a B deck is connected to a leaf switch. A first stereo switching means for selecting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means, a pseudo stereo signal generating means for mixing a L-channel signal and an R-channel signal selected by the first switching means, and then frequency attenuating a pseudo stereo signal to generate the pseudo stereo signal; Second switching means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eans and the first switching means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mode switch,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first switching means, a microphone and an external input signal as a recording signal of B deck; And third switching means.

즉, 본 고안은 A덱크의 헤드(1)(2)에서 재생되어 재생용 등화 증폭기(5)(6)에서 증폭된 재생신호는 B덱크의 재생용 등화 증폭기(9)(11)에서 증폭된 재생신호와 신호 절환 스위치(14-17)에 의하여 선택되며 이때 신호 절환 스위치(14-17)는 A덱크 재생 리프 스위치(19)와 B덱크 재생 리프 스위치(18)의 접속에 따라 온/오프되어지게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oduced in the head (1) (2) of the deck A and the amplified signal in the equalization amplifier (5) (6) for reproduction is amplified in the equalization amplifier (9) (11) for reproduction of the B deck. It is selected by the playback signal and the signal switching switch 14-17, wherein the signal switching switch 14-17 is turned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of the A-deck regeneration leaf switch 19 and the B-deck regeneration leaf switch 18. It is configured to lose.

그리고 상기 신호 절환 스위치(14-17)를 통과한 신호는 절환 스위치(31)(34)에 인가됨과 동시에 믹서(26)에서 혼합된후 각각 고역과 저역 주파수를 감쇄시키는 하이 주파수 감쇄부(27)와 로우 주파수 감쇄부(28)를 통하여 신호 절환 스위치(32)(33)에 인가되게 구성된다. 모우드 스위치(38)의 모우드 절환에 의하여 온/오프 되어지는 신호 절환 스위치(31-34)의 출력은 출력 앰프(35)(36)를 통하여 헤드폰이나 스피커로 출력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 14-17 is applied to the switching switch 31 and 34 and mixed in the mixer 26, and then the high frequency attenuator 27 attenuates the high and low frequencies, respectively. And a low frequency attenuator 28 to be applied to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2 and 33. The outputs of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1 to 34 which are turned on / off by the mode switching of the mode switch 38 are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headphones or the speakers through the output amplifiers 35 and 36.

한편 마이크 앰프(39)를 통과한 마이크 입력 신호와 외부 입력 앰프(40)를 통과한 외부 입력 신호는 신호 절환 스위치(21)(22)에 인가됨과 동시에 믹서(29)에서 혼합된 후 하이 주파수 감쇄부(27)와 로우 주파수 감쇄부(28)에 인가되게 구성되며 상기 신호 절환 스위치(14-17)의 출력은 신호 절환 스위치(20)(23)에 인가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모우드 스위치(38)의 모우드 선택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는 신호 절환 스위치(20-23)의 출력은 녹음용 등화 증폭기(10)(12)를 통하여 증폭된후 헤드 절환 스위치(7)(8)를 통하여 B덱크의 헤드(3)(4)에서 기록되게 구성된다. 이때 헤드 절환 스위치(7)(8)는 B덱크 기록 리프 스위치(13)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phone input signal passing through the microphone amplifier 39 and the external input signal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input amplifier 40 are applied to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21 and 22 and mixed at the same time in the mixer 29, and then high frequency attenuation. It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the unit 27 and the low frequency attenuator 28, the output of the signal switching switch 14-17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0) (23). The output of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0-23 whose on / off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of the mode switch 38 is amplified through the recording equalization amplifiers 10 and 12, and then the head switching switch 7 ( 8) to be recorded at the heads 3 and 4 of the B deck. At this time, driving of the head switching switches 7 and 8 is selected by the B-deck recording leaf switch 13.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25,37은 인버터로써 모우드 스위치(38)에 의해 선택된 콘트롤 신호(S)(T)(U)를 반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각 신호 절환 스위치(14-17)(20-23)(30-34)는 콘트롤 신호가 하이레벨로 인가될때 "온"되고 로우레벨로 인가될때 "오프"되는 스위치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제2(b)도에서와 같이 테이프에 음성신호 및 악기음 등의 반주신호를 구분하여 기록되게 하고 더빙시 음성신호만을 다른 입력 신호로 교체하여 복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24, 25 and 37 invert the control signals S, T and U selected by the mode switch 38 as an inverter. Each of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4-17, 20-23, and 30-34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that is "on" when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high level and "off" when it is applied to the low level.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second (b) is to record the accompaniment signal such as voice signal and instrument sound on the tape as shown in Figure 2 and to copy only the audio signal to another input signal when dubbing.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대한 작용 효과를 노르말 더빙 모우드(모우드 1), 더빙 편집 기록 모우드(모우드 2), 외부 입력 편집 기록 모우드(모우드 3)로 나누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ividing into a normal dubbing mode (mode 1), a dubbing editing record mode (mode 2), and an external input editing record mode (mode 3).

첫째, 재생 전용 A덱크로 부터 재생된 신호를 녹음 재생 B덱크로 기록시키는 노르말 모우드(모우드 1)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 경우는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그대로 다른 테이프에 기록시키는 일반적인 더빙 동작으로써 이때에는 모우드 스위치(38)를 모우드 1으로 절환시켜 주어야 하며 A덱크는 재생동작, B덱크는 기록동작시켜야 한다. 이때 A덱크를 재생시키면 A덱크의 재생 리프 스위치(19)가 "온"되게 되고 B덱크를 기록 동작시키면 B덱크의 기록 리프 스위치(13)는 "온"되게 된다.First, the normal mode (mode 1) for recording the signal reproduced from the playback-only A deck to the recording and playback B deck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it is a general dubbing operation in which the signal recorded on the tape is recorded on another tape as it is. At this time, the mode switch 38 should be switched to Mode 1, and A deck should be played back and B deck should be written. At this time, when the A deck is reproduced, the reproduction leaf switch 19 of the A deck is " on ", and the recording leaf switch 13 of the B deck is " on "

따라서 A덱크의 헤드(1)(2)에서 재생된 L-채널 및 R-채널 신호는 재생용 등화 증폭기(5)(6)에서 증폭되게 되고 등화 증폭기(5)(6)에서 증폭된 신호(A)(B)는 신호 절환 스위치(14)(17)를 통하여 재생신호(E)(F)로 출력되어진다. 이때 A덱크의 재생 리프 스위치(19)는 "온"상태이므로 신호 절환 스위치(14)(17)는 "온"되고 B덱크의 재생 리프 스위치(18)는 "오프"상태이므로 신호 절환 스위치(15)(16)는 "오프"되게 된다.Therefore, the L-channel and R-channel signals reproduced in the head (1) 2 of the A deck are amplified by the equalization amplifiers 5 and 6 for reproduction and the signals (amplified by the equalization amplifiers 5 and 6). A) and (B) are outputted as reproduction signals E and F through signal switching switches 14 and 17. At this time, since the regeneration leaf switch 19 of the A deck is in the "on" state,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4 and 17 are "on" and the regeneration leaf switch 18 of the B deck is in the "off" state, so the signal switching switch 15 16 is " off ".

그리고 재생신호(E)(F)는 신호 절환 스위치(20)(23)에 인가됨과 동시에 신호 절환 스위치(31)(34)를 통하여 출력 앰프(35)(36)에 재생신호(Q)(R)로 인가되므로 출력 앰프(35)(36)에서 출력된 재생신호를 헤드폰이나 스피커로 모니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모우드 스위치(38)가 모우드 1에 절환되어 있으므로 콘트롤 신호(S)는 하이레벨이 인가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31)(34)를 "온"시키게 되고 신호 절환 스위치(32)(33)는 인버터(37)에서 반전된 로우레벨이 인가되어 "오프"되게 된다. 그리고 모우드 스위치(38)가 모우드 1위치이므로 콘트롤 신호(T)(U)가 로우레벨이 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21)(2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인버터(24)(25)에서 하이레벨로 반전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20)(23)를 "온"시키게 된다.The reproduction signals E and F are applied to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20 and 23, and the reproduction signals Q and R are output to the output amplifiers 35 and 36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1 and 34. Since it is applied to the output signal (35) 36 can be monitored by the headphones or speakers. In this case, since the mode switch 38 is switched to the mode 1, the control signal S is applied with a high level to turn on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1 and 34 and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2 and 33 are inverters. The low level inverted at 37 is applied and " off ". And since the mode switch 38 is the one-position mode, the control signal (T) (U) becomes a low level to turn off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21) and (22) and at the same time the high level in the inverter (24) (25). Inverted to "turn on"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0, 23).

따라서 재생신호(E)(F)는 신호 절환 스위치(20)(23)를 통하여 녹음용 등화 증폭기(10)(12)에서 증폭된후 헤드 절환 스위치(7)(8)를 통하여 헤드(3)(4)에서 기록되게 된다. 이때 B덱크의 녹음 동작을 선택하였으므로 B덱크 녹음 리프 스위치(13)가 "온"되어 헤드 절환 스위치(7)(8)는 도면의 도시에서 하방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A덱크의 헤드(1)(2)에서 재생된 신호가 B덱크의 헤드(3)(4)를 통하여 그대로 기록되게 된다. 이와 같은 노르말 더빙 모우드시의 신호 흐름을 살펴보면 헤드(1)(2)에서 재생된 신호는 신호 절환 스위치(14)(17)(31)(34)를 통하여 출력 앰프(35)(36)를 통하여 모니터 됨과 동시에 신호 절환 스위치(14)(17)를 통과한 재생신호는 신호 절환 스위치(20)(23)를 통하여 녹음용 등화 증폭기(10)(12)를 통하여 헤드 절환 스위치(7)(8)를 통하여 헤드(3)(4)에서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A덱크에서 재생된 신호를 B덱크의 테이프에 그대로 복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reproduction signal (E) (F) is amplified by the recording equalization amplifiers (10) and (12)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20) and (23), and then the head (3) through the head switching switches (7) and (8). In (4) it is recorded. At this time, since the recording operation of the B deck is selected, the B deck recording leaf switch 13 is "on" so that the head switching switches 7 and 8 are connected downward in the drawing. That is, the signal reproduced in the head (1) 2 of the A deck is recorded as it is through the head (3) 4 of the B deck. Looking at the signal flow of the normal dubbing mode, the signal reproduced in the head (1) (2) through the output amplifier (35) 36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 (14) (17) (31) (34) The reproduced signal that is monitored and passed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4 and 17 is transferred to the head switching switch 7 and 8 through the recording equalizing amplifiers 10 and 12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20 and 23. Through the head (3) (4). Therefore, the signal reproduced from the A deck can be copied to the tape of the B deck as it is.

둘째, 재생전용 A덱크에서 재생된 음성신호와 악기음 신호 중음성신호를 삭제하고 외부 마이크 신호를 신호와 함께 녹음 재생 B덱크에서 기록되게 하는 더빙 편집 기록 모우드에 대하여 살펴본다. 즉, 더빙 편집 기록 모우드는 A덱크에서 재생된 신호를 B덱크에서 다른 테이프에 복사시키되 L-채널의 음성신호만 새로운 입력 신호로 대체하여 기록시키는 모우드이다. 이 경우는 모우드 스위치(38)를 모우드 2로 절환시켜야 하며 A덱크에서는 L-채널에 음성신호가 기록되고 R-채널에 악기음 등의 반주신호가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시켜야 한다. 그러면 헤드(1)에서 재생된 L-채널의 음성신호은 재생용 등화 증폭기(5)에서 증폭되고 헤드(2)에서 재생된 R-채널의 반주신호는 재생용 등화 증폭기(6)에서 증폭되며 상기 등화 증폭기(5)(6)에서 증폭된 재생신호(A)(B)는 신호 절환 스위치(14)(17)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때 더빙 모우드이므로 A덱크의 재생 리프 스위치(19)는 "온"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14)(17)를 "온"시키고 B덱크의 재생 리프 스위치(18)는 "오프"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15)(16)를 "오프"시키게 된다.Second, the dubbing edit recording mode for deleting the voice signal and the instrument sound signal neutral voice signal reproduced in the reproduction-only A deck and recording the external microphone signal together with the signal in the recording reproduction B deck will be described. In other words, the dubbing editing recording mode is a mode in which a signal reproduced from A deck is copied to another tape in B deck, but only the L-channel audio signal is replaced with a new input signal. In this case, the mode switch 38 should be switched to mode 2, and in the A deck, a voice signal is recorded on the L-channel, and a tape on which accompaniment signals such as musical notes are recorded is recorded on the R-channel. The audio signal of the L-channel reproduced by the head 1 is then amplified by the equalization amplifier 5 for reproduction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of the R-channel reproduced by the head 2 is amplified by the equalization amplifier 6 for reproduction. The reproduction signals A and B amplified by the amplifiers 5 and 6 flow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4 and 17. At this time, the regeneration leaf switch 19 of the A deck is " on " to turn on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4 and 17, and the regeneration leaf switch 18 of the B deck is " off " 15) 16 is " off ".

그리고 신호 절환 스위치(14)(17)를 통과한 신호는 L-채널과 R-채널로 각각 독립된 신호이므로 믹서(26)를 통하여 합성된 신호(I)를 출력시키고 합성된 신호(I)는 의사 스테레오를 만들기 위하여 하이 주파수 감쇄 필터(27)와 로우 주파수 감쇄 필터(28)를 통하여 신호 절환 스위치(32)(33)에 인가되게 된다.Since the signals passed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4 and 17 are independent signals to the L-channel and the R-channel, the synthesized signal I is output through the mixer 26 and the synthesized signal I is pseudo. The high frequency attenuation filter 27 and the low frequency attenuation filter 28 are applied to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2 and 33 to make stereo.

따라서 믹서(26)와 하이 주파수 감쇄 필터(27) 및 로우 주파수 감쇄 필터(28)를 통과한 신호(O)(P)는 의사 스테레오 신호가 된다. 이때 모우드 스위치(38)가 모우드 2의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콘트롤 신호(S)는 로우레벨이 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31)(34)는 "오프"시키고 로우레벨의 콘트롤 신호(S)는 인버터(37)에서 하이레벨로 반전되므로 신호 절환 스위치(32)(33)는 "온"되게 된다. 따라서 하이 주파수 감쇄 필터(27)와 로우 주파수 감쇄 필터(28)를 통과한 의사 스테레오 신호(O)(P)는 신호 절환 스위치(32)(33)를 통하여 출력 앰프(35)(36)에서 증폭된후 출력되게 되므로써 헤드폰이나 스피커를 이용하여 모니터할 수 있다.Therefore, the signal O (P) passing through the mixer 26, the high frequency attenuation filter 27, and the low frequency attenuation filter 28 becomes a pseudo stereo signal. At this time, since the mode switch 38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mode 2, the control signal S becomes low level so that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1 and 34 are " off " and the low level control signal S is the inverter 37. Signal inversion switch 32, 33 is " on " Accordingly, the pseudo stereo signal O (P) passing through the high frequency attenuation filter 27 and the low frequency attenuation filter 28 is amplified by the output amplifiers 35 and 36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2 and 33. After being output, it can be monitored using headphones or speakers.

한편 신호 절환 스위치(14)(17)를 통과한 재생신호(E)(F)는 각각 신호 절환 스위치(20)(23)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모우드 스위치(38)가 모우드 2로 절환되어 있으므로 콘트롤 신호(T)는 하이레벨, 콘트롤 신호(U)는 로우레벨로 인가되게 되며 하이레벨의 콘트롤 신호(T)는 신호 절환 스위치(21)를 "온"시킴과 동시에 인버터(25)에서 반전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20)를 "오프"시키게 되고 로우레벨의 콘트롤 신호(U)는 신호 절환 스위치(2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인버터(24)에서 반전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23)를 "온"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production signals E and F passing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4 and 17 are applied to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20 and 23, respectively. At this time, since the mode switch 38 is switched to mode 2, the control signal T is applied at a high level, the control signal U is applied at a low level, and the high level control signal T is applied to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1. At the same time, it is inverted in the inverter 25 to "turn off"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0 and the low level control signal U "turns off"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2 and at the same time the inverter 24. Is reversed to turn on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3.

따라서 A덱크의 재생신호(E)는 신호 절환 스위치(20)의 "오프"로 B덱크에 인가되지 못하나 A덱크의 재생신호(F)는 신호 절환 스위치(23)의 "온"으로 B덱크에 인가되어 녹음용 등화 증폭기(12)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녹음용 등화 증폭기(10)에는 마이크로 입력되어 마이크 앰프(39)에서 증폭된 마이크 입력 신호(J)가 "온"된 신호 절환 스위치(21)를 통하여 인가되게 된다.Therefore, the reproduction signal E of the A deck is not applied to the B deck by the "off" of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0, but the reproduction signal F of the A deck is the "on" of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3 to the B deck. It is applied to the equalization amplifier 12 for recording. At this time, the microphone input signal J, which is micro-input and amplified by the microphone amplifier 39, is applied to the recording equalizing amplifier 10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1 "on".

그리고 녹음용 등화 증폭기(10)(12)의 출력은 헤드 절환 스위치(7)(8)를 통하여 헤드(3)(4)에서 기록되게 되며 이때 헤드 절환 스위치(7)(8)는 B덱크 녹음 리프 스위치(13)의 "온"으로 도면의 하방과 접속되어진다. 즉 헤드(3)에는 외부 마이크 입력 신호가 인가되게 되고 헤드(4)에는 헤드(2)에서 재생된 신호가 인가되게 되므로 원래 테이프에 기록된 R-채널의 반주신호에 새로운 마이크 입력 신호를 L-채널로 편집하여 더빙시킬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더빙 편집 기록 모우드(모우드 2)에는 본래 테이프의 L-채널에 기록된 음성신호 대신 새로운 외부 입력 신호를 복사하고 R-채널에는 본래 테이프에 기록된 반주신호를 복사시키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가수의 노래를 삭제하고 반주신호에 맞추어 자신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The output of the equalizing amplifiers 10 and 12 for recording is recorded at the heads 3 and 4 through the head switching switches 7 and 8, wherein the head switching switches 7 and 8 are recorded in the B deck.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gure by "on" of the leaf switch 13. That is, since the external microphone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head 3 and the signal reproduced from the head 2 is applied to the head 4, the new microphone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accompaniment signal of the R-channel originally recorded on the tape. The channel can be edited and dubbed. In this way, the dubbing editing record mode (mode 2) copies a new external input signal instead of the audio signal originally recorded on the L-channel of the tape,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originally recorded on the tape to the R-channel. It is possible to delete and to record its own audio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accompaniment signal.

셋째로 외부 입력 편집 기록 모우드(모우드 3)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 경우는 덱크만을 이용하여 L-채널에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기록하고 L-채널에는 옥스(AUX)단자로 입력되는 외부 반주신호를 기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경음악에 맞추어 자신의 노래를 기록한 테이프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외부 입력 편집 기록 모우드시에는 모우드 스위치(38)가 모우드 3로 절환되게 되므로 콘트롤 신호(T)(U)는 모두 하이레벨이 되게 된다.Third, we look at the external input editing record mode (mode 3). In this case, you can record the microphone input signal into the L-channel using only the deck, and record the external accompaniment signal into the L-channel into the AUX terminal. You will be able to create a tape that records your records. During the external input edit recording mode, the mode switch 38 is switched to mode 3, so that the control signals T and U are all at the high level.

따라서 신호 절환 스위치(21)(22)는 "온"되고 신호 절환 스위치(20)(23)는 인버터(24)(25)에 의하여 "오프"되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 입력단(MIC IN)으로 입력되어 마이크 앰프(39)에서 증폭된 마이크 입력신호(J)는 신호 절환 스위치(21)를 통하여 녹음용 등화 증폭기(10)에 인가되게 되고 옥스(AUX) 입력단(AUX IN)으로 입력되어 외부 입력 앰프(40)에서 증폭된 외부 입력 신호(M)는 신호 절환 스위치(22)를 통하여 녹음용 등화 증폭기(12)에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녹음용 등화 증폭기(10)(12)에 인가된 신호는 헤드 절환 스위치(7)(8)를 통하여 헤드(3)(4)에 인가되게 되므로 기록되는 테이프의 L-채널에는 마이크 입력 신호가 기록되고 R-채널에는 외부 입력 신호가 기록되게 되어 마이크 입력으로 사용자의 노래를 입력시키고 외부 입력으로 경음악을 입력시키면 경음악에 맞추어 사용자의 노래가 기록된 테이프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us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21 and 22 are " on " and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20 and 23 are " off " by the inverters 24 and 25. Then, the microphone input signal J, which is input to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MIC IN and amplified by the microphone amplifier 39, is applied to the recording equalization amplifier 10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1, and the AUX input terminal ( The external input signal M, which is input to AUX IN and amplified by the external input amplifier 40, is applied to the recording equalization amplifier 12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 22. Since the signal applied to the equalizing amplifiers 10 and 12 for recording is applied to the heads 3 and 4 through the head switching switches 7 and 8, the microphone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L-channel of the tape to be recorded. Recorded and an external input signal is recorded on the R-channel, so that the user's song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nput and the instrumental music is input to the external input to obtain a tape in which the user's song is record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mental music.

한편 마이크 앰프(39)와 외부 입력 앰프(40)에서 증폭된 신호(K)(L)는 믹서(29)에서 혼합된후 하이 주파수 감쇄부(27)와 로우 주파수 감쇄부(28)에 인가되게 되며 이때 신호 절환 스위치(30)는 콘트롤 신호(U)가 하이레벨이므로 "온"되게 된다. 그리고 하이 주파수 감쇄부(27)와 로우 주파수 감쇄부(28)에서 주파수 감쇄된 의사 스테레오 신호(O)(P)는 신호 절환 스위치(32)(33)와 출력 앰프(35)(36)를 통하여 출력되게 되므로써 스피커나 헤드폰을 이용하여 모니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콘트롤 신호(S)가 로우레벨이므로 인버터(37)에서 반전되어 신호 절환 스위치(32)(33)를 "온"시키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s K and L amplified by the microphone amplifier 39 and the external input amplifier 40 are mixed in the mixer 29 and then applied to the high frequency attenuator 27 and the low frequency attenuator 28. At this time, the signal switching switch 30 is " on " because the control signal U is at a high level. In addition, the pseudo stereo signal O (P) frequency attenuated by the high frequency attenuator 27 and the low frequency attenuator 28 is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2 and 33 and the output amplifiers 35 and 36. The output allows you to monitor using speakers or headphones. At this time, since the control signal S is at a low level, the control signal S is inverted to turn on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32 and 33.

한편 녹음 재생 B덱크를 재생 동작시킬 경우를 살펴본다. B덱크의 재생 동작시 B덱크 녹음 리프 스위치(13)가 "오프"되어 헤드 절환 스위치(7)(8)가 도면과 같은 위치로 접속되어 헤드(3)(4)에서 재생된 신호는 재생용 등화 증폭기(9)(11)에서 증폭된후 신호 절환 스위치(15)(16)에 인가되게 되며 이때 B덱크 재생 리프 스위치(18)가 "온"되므로 신호 절환 스위치(15)(16)는 "온"되게 된다. 따라서 B덱크 재생신호는 A덱크 재생신호 경로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출력되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let's take a look at the case of playing the recording playback B deck. During the playback operation of the B deck, the B deck recording leaf switch 13 is " off " so that the head switching switches 7 and 8 are connected to the position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ignals reproduced by the heads 3 and 4 are for playback. After being amplified by the equalization amplifiers 9 and 11, it is applied to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5 and 16, wherein the B-deck regeneration leaf switch 18 is " on " On ". Therefore, the B deck reproduction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A deck reproduction signal path.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음성신호와 악기음의 반주신호를 L-채널과 R-채널로 구분되어 기록되게 하고 R-채널의 반주신호는 그대로 복사하고 L-채널의 음성신호만 교체하여 복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가수의 노래를 지우고 자신의 노래로 기록하여 재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어학용 테이프에 있어서는 대화 형식의 녹음 편집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로 더빙 동작시킬 수 있어 좀더 효과적으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sette tape recorder, the accompaniment signal of the audio signal and the instrument sound is recorded into the L-channel and the R-channe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of the R-channel is copied as it is and the L-channel audio signal. Only by replacing and copying, the singer's song can be erased, recorded as his own song, and played back. Also, the language tape can be edited in a conversational format. Therefore, if the cassette tape rec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ubbed in various forms, the cassette tape recorder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Claims (3)

재생 전용 A덱크의 재생신호를 녹음 재생 B덱크에 기록시키는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A덱크에서 L-채널과 R-채널로 구분되어 재생된 신호와 B덱크에서 재생된 신호를 재생 리프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제1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에서 선택된 L-채널과 R-채널의 신호를 혼합시키고 하이 주파수와 로우 주파수를 감쇄시켜 의사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시키는 의사 스테레오 신호 발생 수단의 의사 스테레오 신호와 상기 제1스위칭 수단에서 선택된 신호를 모우드 스위치의 절환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단으로 출력시키는 제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에서 선택된 신호와 마이크 및 외부 입력 신호를 모우드 스위치의 절환에 따라 B덱크의 기록 신호로 출력시키는 제3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 채널 구분 편집 더빙이 가능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A cassette tape recorder for recording a reproduction signal of a reproduction-only A deck into a recording reproduction B deck, wherein a signal reproduced by being divided into an L-channel and an R-channel in an A deck and a signal reproduced in a B deck is connected to a reproduction leaf switch. A first switching means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 means, and a pseudo stereo signal generating means for mixing the signals of the L-channel and the R-channel selected by the first switching means and attenuating the high and low frequencies to output a pseudo stereo signal. A second switching means for selecting a pseudo stereo signal and a signal selected by the first switching means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mode switch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to an output terminal, and a signal selected by the first switching means, a microphone and an external input signal of the mode switch. Channel-division editing dubbing composed of third switching means for outputting the recording signal of B deck according to the switching This cassette cassette recorder available. 제1항에 있어서, A덱크 헤드(1)(2)에서 재생되어 재생용 등화 증폭기(5)(6)에서 증폭된 신호와 B덱크 헤드(3)(4)에서 재생되어 재생용 등화 증폭기(9)(11)에서 증폭된 신호를 덱크 리프 스위치(18)(19)의 접속에 따라 선택하는 신호 절환 스위치(14-17)로 제1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 절환 스위치(14-17)에서 선택된 신호를 믹서(26)에서 혼합시킨후 하이 주파수와 로우 주파수를 감쇄시켜 의사 스테레오 신호를 만드는 하이 주파수 감쇄부(27)와 로우 주파수 감쇄부(28)로 의사 스테레오 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 절환 스위치(14)(17)와 하이 주파수 감쇄부(27) 및 로우 주파수 감쇄부(28)의 출력을 모우드 스위치(38)의 절환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단으로 출력시키는 신호 절환 스위치(31-34)로 제2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채널 구분 편집 더빙이 가능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The signal equaliz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reproduced in the A deck head (1) (2) and amplified in the reproduction equalization amplifier (5) (6) and reproduced in the B deck head (3) (4) is used for reproduction. 9) A signal switching switch 14-17 which selects the signal amplified in (11)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deck leaf switches 18, 19, and having a first switching means and the signal switching switch 14-17. And a high frequency attenuator 27 and a low frequency attenuator 28 for mixing the signals selected in the mixer 26 to attenuate the high frequency and the low frequency to form a pseudo stereo signal. Signal switching switch (31-34) which selects the output of the signal switching switch (14), the high frequency attenuator (27), and the low frequency attenuator (28)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mode switch (38) and outputs it to the output terminal. A cassette capable of channel-editing editing dubbing with a second switching means Tape recorder.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 앰프(39)와 외부 입력 앰프(40)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하이 주파수 감쇄부(27)와 로우 주파수 감쇄부(28)에 인가시키는 믹서(29)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앰프(39) 및 외부 입력 앰프(40)의 출력 신호와 신호 절환 스위치(14)(17)의 출력 신호를 모우드 스위치(38)의 절환으로 선택하여 B덱크 헤드(3)(4)에 인가시키는 신호 절환 스위치(20-23)로 제3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채널 구분 편집 더빙이 가능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2. The mix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ixer 29 for mix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microphone amplifier 39 and the external input amplifier 40 to be applied to the high frequency attenuator 27 and the low frequency attenuator 28. The output signal of the microphone amplifier 39 and the external input amplifier 4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witching switches 14 and 17 are selected by the switching of the mode switch 38 and applied to the B deck heads 3 and 4. A cassette tape recorder capable of channel-division editing dubbing having a third switching means by a signal switching switch (20-23).
KR1019900013845A 1990-08-31 1990-08-31 Cassette tape recorder capable cannel division and editing dubing KR930003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845A KR930003429B1 (en) 1990-08-31 1990-08-31 Cassette tape recorder capable cannel division and editing dub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845A KR930003429B1 (en) 1990-08-31 1990-08-31 Cassette tape recorder capable cannel division and editing dub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135A KR920005135A (en) 1992-03-28
KR930003429B1 true KR930003429B1 (en) 1993-04-29

Family

ID=1930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845A KR930003429B1 (en) 1990-08-31 1990-08-31 Cassette tape recorder capable cannel division and editing dub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42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135A (en) 199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46579A (en) Music reproducing device
KR930003429B1 (en) Cassette tape recorder capable cannel division and editing dubing
ES8200782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selective attenuation of reproduced signals to facilitate comprehension of external speech signals
KR0132888B1 (en) Selective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KR930003430B1 (en) Cassette tape recorder system capable self dubing
JPH0316138Y2 (en)
JP2002358087A (en) Sound recorder
JPH05130699A (en) Sound reproducing device
KR100201308B1 (en) Background sound mixing device and method for variable speed reproduction of voice signal
JPH0316140Y2 (en)
JPS5847762B2 (en) Rokuon Saisei Hoshiki
JPH0650804Y2 (en) Microphone mixing equipment
KR970010527B1 (en) Pattern generating apparatus for dcc
KR100261903B1 (en) Editing recorder include scratch
JPS6158891B2 (en)
KR19980050409U (en) Upbringing apparatus of compound apparatus
JPH0650803Y2 (en) Microphone mixing equipment
JPH0627977A (en) Karaoke device
KR960005645B1 (en) Record/player of voice signal
JPH1165575A (en) On-vehicle music software generation system, audio system and record medium thereof
JPH0351766Y2 (en)
KR100209567B1 (en) Control device for edit and record of vcr in one body type with disk reproducer
JPH0693285B2 (en) Microphone mixing equipment
JPH0388174A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al piece
KR19990069188A (en) Portable digital audio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