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89B1 - 과할로겐화 에탄 유도체의 선택적 수소화방법 - Google Patents

과할로겐화 에탄 유도체의 선택적 수소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889B1
KR930000889B1 KR1019900020306A KR900020306A KR930000889B1 KR 930000889 B1 KR930000889 B1 KR 930000889B1 KR 1019900020306 A KR1019900020306 A KR 1019900020306A KR 900020306 A KR900020306 A KR 900020306A KR 930000889 B1 KR930000889 B1 KR 93000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perhaloethane
iridium
hydrogenation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718A (ko
Inventor
꼬뇽 쟝-마리
귀이 도미니끄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아또샹
쟝 르블랑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아또샹, 쟝 르블랑제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아또샹
Publication of KR91001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2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dehal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할로겐화 에탄 유도체의 선택적 수소화방법
본 발명은 하기 식(Ⅱ)의 퍼할로에탄의 촉매적 수소화에 의한 하기 식(Ⅰ)의 클로로플루오로에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CF3-CHFXCl2-X(Ⅰ)
CF3-CFXCl3-X(Ⅱ)
(상기식에서, X는 0 또는 1이다)
식(Ⅱ)에 속하는 두가지 물질은 1,1,1-트리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CF3CCl3)및1,1-디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CF3CFCl3)이고, 여기서 수소원자에 의한 염소원자의 치환은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CF3CHCl2)및 1-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CF3CHFCl)을 각각 산출한다.
화합물(Ⅱ)의 촉매적 수소화는 이미 기재되어 있지만, 단일 염소원자의 제거에 상응하는 생성물의 선택성은 낮다. 따라서, 280℃에서 5%의 팔라듐/챠콜을 함유하는 촉매상에서 1,1-디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가수소분해(hydrogenoly sis)(영국특허 제1,578,933)는 70%의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산출한다. 유사한 결과가 0.5% 팔라듐/챠콜을 함유하는 촉매상에서 게르바스티 등 (Gervasutti et al : Journal of Fluorine Chemistry, 1981,1,-20)에 의해 얻어졌는데 : 170℃에서 1,1,-디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가수소분해는 76%의 1,1,1 ,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산출한다.
0.5%의 레늄, 플라티늄 또는 로듐을 함유하는 챠콜-담지된 금속 촉매(각각 일본국 특허공보 제132,536/89,132,537/89 및 132,538/89호)가 또한 1,1-디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가수소분해에서 시험되었는데 ; 그 결과 1,1,1-트리플루오로에탄이 유의하게 형성되었으며, 이것은 200℃ 에서 30%에 달할수 있다. 게다가, 팔라듐 기재(일본국 특허공보 제172,348/89호) 또는 플라티늄 기재(일본국 특허공보 제 132,349/89 및 128,942/89호)의 바이메탈계 촉매상에서의 1,1-디클로로-1,2, 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완전한 탈염소가 또한 기재되어 있다.
단일 염소원자의 선택적 제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특허출원 제 106,051/82호(일본국 특허공보 제222,038/83호)에 따르면 화학적 환원에 아연-에탄올 쌍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재된 조건하에서 1,1,1-트리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에서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으로의 가수소분해의 선택성은 70%에 달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코스트가 높은 금속 아연의 사용 및 부생성물로서 파괴되어야 하는 염화아연의 산출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유리한 결과가 0.5% 팔라듐/(알루미나 또는 챠콜)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적 가수소분해에서 수득되는데 ; 175℃에서 챠콜상의 촉매를 사용하면, 1,1,1-트리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은 64%의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산출하며, 그리고 200℃에서 알루미나상의 촉매를 사용하면, 1,1-디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은 42%의 1-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산출한다.
이제, 단일 염소원자의 촉매적 제거는 만일 이리듐-기재 촉매를 사용한다면 상당히 선택적으로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식(Ⅱ)의 퍼할로에탄의 촉매적 수소화에 의한 식(Ⅰ)의 클로로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으로서, 지지체 위에 침착시킨 이리듐-기재 촉매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촉매에서 이리듐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이지만, 바람직하게로는 0.2 내지 8%이다.
지지체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것일 수 있으며 예를들면 알루미나, 플루오르화알루미늄 및 활성챠콜에서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지지체는, 200 내지 1500㎡/g(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g)의 비표면, 높은 다공도(0.3 내지 0.7㎤/g) 정적-베드 촉매화에 적합한 입자크기(1 내지 10㎜)를 가지는 챠콜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촉매는 지지체를 이리듐 유도체의 수용액 또는 유기용액으로 함침시키고 물 또는 용매를 증발시키고, 15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수소기류(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바)의 압력하에 열처리하여 금속을 유리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되는 이리듐 유도체의 종류는 전혀 중요하지 않으며 예를들면 클로라이드 클로로이리드산 또는 이의 암모늄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촉매는 또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제품, 예를들면 엥겔하르트 캄파니(Engelhard company)의 것일 수 있는데, 이것은 알루미나 또는 챠콜상에 0.5 내지 5%의 이리듐을 함유하는 촉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촉매적 수소화는 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의 온도에서 0.5 내지 8(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수소/퍼할로에탄(Ⅱ)의 몰비로써 1 내지 20바(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바)의 압력 및 촉매 매 1ℓ당 1 내지 20몰의 퍼할로에탄(Ⅱ)의 시간당 유속에서 수행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설명한다. 실시예 2~8에서, 결과들은 반응 생성물에 대하여 전환율(DC0) 및 선택율(S)의 전반적인 정도로서 표현된다.
반응기 입구 및 출구에서의 분석은 인-라인 증기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된다.
[실시예 1]
[촉매의 제조]
[촉매 A]
직경 1.8㎜의 압출물의 형태에서 0,6㎤/g의 다공도 및 950㎡/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활성챠콜 60ml(28g)을 회전식 증발기에 충전한다. 3시간동안 100℃에서 감암 (1kPa)하에 탈기시킨 후에, 2,6g의 IrCl3을 함유하는 삼염화이리듐·수화물(53.3% Ir)의 수용액 70ml를 도입하고, 그런 다음 물을 감압(1kPa)하에 증발제거하고, 이어서 100℃에서 건조한다. 다음으로, 생성물을 400℃에서 2시간동안 수소기류(10N1/h)하에 처리하고 5%의 이리듐을 함유하는 촉매 A를 이렇게 수득한다.
[촉매 B]
0.53g의 IrCl3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진행함으로써 1%의 이리듐을 함유하는 촉매 B를 수득한다.
[촉매 C]
수소처리를 400℃ 대신에 200℃에서 수행하는 것 이외에는 촉매 B를 제조하는 절차와 동일한 절차이다. 이렇게 수득된 촉매 C는 또한 1%의 이리듐을 함유한다.
[촉매 D]
그 절차는 촉매 A를 제조하는 바와 동일하지만, 활성챠콜 대신에, 직경 2-㎜의 비이드 형태에서 0.48㎤/g의 다공도 및 129㎡/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알루미나 동일 분량을 사용하고 0.35g의 IrCl3을 함유하는 염화이리듐의 수용액을 사용한다. 0.5%의 이리듐을 함유하는 촉매 D를 이렇게 수득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기술한 50ml의 촉매 A를 길이 45㎝ 및 내경 2. 72㎝의 인코넬 (Inconel)관에 도입하고, 이를 전기적으로 가열하고, 그런 다음 수소 및 1,1-디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혼합물을 하기표에 기재되어 있는 몰비로 그리고 유속 및 온도에서 통과시키는데, 표의 마지막 부분에 수득된 결과들을 기재한다.
[표 1]
대부분의 경우에, 단일 C-Cl 결합의 가수소분해의 선택성은 70% 이상이다.
비교로서, 본 발명에 따른 촉매 A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리고 동일한 지지체 위에 제조된 5%의 팔라듐을 함유하는 촉매로 대체하고 IrCl3대신에 PdCl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표 2에 요약된 결과들은, 상기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면 반응의 선택성이 명백하게 두개의 염소원자의 추출에 대해서 유리함을 보여준다.
[표 2]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장치에서 촉매 A의 충전물 25ml를 사용하여, 1,1-디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수소화의 시험을 다시 수행하고, 반면에 몰비 H2/CF3CHCl2는 감소된다.
시험들의 조작조건 및 수득된 결과들은 하기 표 3에 요약한다.
[표 3]
[실시예 4~7]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장치에서 촉매의 충전물 25ml를 사용하여, 1,1-디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여러가지 가수소분해의 시험을 수행하고, 촉매 B,C 및 D를 사용한다.
이들 시험들의 조작조건 및 결과들은 하기 표 4에 요약한다.
[표 4]
[실시예 8]
촉매 A의 새로운 충전물 50ml를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장치내로 도입하고, 여기에서 1,1,1-트리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CF3-CCl3)의 수소화를 수행한다.
이들 시험의 조작조건 및 수득된 결과들은 하기 표 5에 요약한다. 예상 생성물인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CF3CHCl2) 이외에도, 형성된 부산물은 주로 1,1,1-트리플루오로에탄(CF3CH3) 및 1-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CF3CH2Cl)이다.
[표 5]

Claims (10)

  1. 촉매외 이리듐의 함량이 0.1~10중량%이며 알루미나, 플루오르화알루미늄 또는 활성챠콜 지지체상에 침착시킨 이리듐-기재 촉매를 사용하고, 수소/퍼할로에탄(Ⅱ)의 몰비를 0.5~8로 하여 50~300℃의 온도 및 1~20바의 압력하에서 수소화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Ⅱ)의 퍼할로에탄의 촉매적 수소화에 의한 하기 일반식(Ⅰ)의 클로로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CF3-CHFXCl2-X(Ⅰ)
    CF3-CFXCl3-X(Ⅱ)
    (상기식에서, x는 0 또는 1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비표면적이 200~1500㎡/g이고, 다공도가 0.3~0.7㎤/g이며 입자크기가 1~10㎜인 활성챠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촉매의 이리듐 함량이 0.2~8%인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촉매의 이리듐 함량이 0.2~8%인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활성챠콜의 비표면적이 600~1200㎡/g인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화가 150~250℃의 온도 및 1~5바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퍼할로에탄(Ⅱ)의 몰비가 1~5인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퍼할로에탄(Ⅱ)의 몰비가 1~5이고, 수소화가 150~250℃의 온도 및 1~5바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퍼할로에탄(Ⅱ)의 시간당 유속이 촉매 1ℓ당 1~20몰인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퍼할로에탄(Ⅱ)의 시간당 유속이 촉매 1ℓ당 1~20몰이고, 수소/퍼할로에탄(Ⅱ)의 몰비가 1∼5이며 수소화가 150~250℃의 온도 및 1∼5바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제조 방법.
KR1019900020306A 1989-12-15 1990-12-11 과할로겐화 에탄 유도체의 선택적 수소화방법 KR930000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16643A FR2655982B1 (fr) 1989-12-15 1989-12-15 Fabrication de chlorofluoroethanes par hydrogenolyse selective de derives perhalogenes de l'ethane.
FR16643/1989 1989-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18A KR910011718A (ko) 1991-08-07
KR930000889B1 true KR930000889B1 (ko) 1993-02-11

Family

ID=938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306A KR930000889B1 (ko) 1989-12-15 1990-12-11 과할로겐화 에탄 유도체의 선택적 수소화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24495A (ko)
EP (1) EP0435705B1 (ko)
JP (1) JPH0694424B2 (ko)
KR (1) KR930000889B1 (ko)
AU (1) AU629718B2 (ko)
CA (1) CA2031689A1 (ko)
DE (1) DE69002747T2 (ko)
ES (1) ES2058855T3 (ko)
FR (1) FR2655982B1 (ko)
MX (1) MX1741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1780B1 (fr) * 1989-01-19 1991-04-19 Atochem Hydrogenolyse selective de derives perhalogenes de l'ethane
US5136113A (en) * 1991-07-23 1992-08-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talytic hydrogenolysis
US8158549B2 (en) * 2009-09-04 2012-04-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atalysts for fluoroolefins hydrogen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8933A (en) * 1977-05-24 1980-11-12 Ici Ltd Manufacture of halogenated hydrocarbons
JPH01100137A (ja) * 1987-10-12 1989-04-18 Central Glass Co Ltd 1,1,1−トリフルオロ−2,2−ジクロロエタンの製造法
JP2541256B2 (ja) * 1987-12-25 1996-10-09 旭硝子株式会社 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法
US4925998A (en) * 1988-12-27 1990-05-15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dehydrohalogenating aromatic halides
FR2641780B1 (fr) * 1989-01-19 1991-04-19 Atochem Hydrogenolyse selective de derives perhalogenes de l'ethane
EP0449977B1 (en) * 1989-02-03 1994-06-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mproved hydrogenolysis/dehydrohalogen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18A (ko) 1991-08-07
US5124495A (en) 1992-06-23
FR2655982A1 (fr) 1991-06-21
EP0435705B1 (fr) 1993-08-11
DE69002747D1 (de) 1993-09-16
FR2655982B1 (fr) 1992-03-27
ES2058855T3 (es) 1994-11-01
JPH03271237A (ja) 1991-12-03
CA2031689A1 (fr) 1991-06-16
AU629718B2 (en) 1992-10-08
JPH0694424B2 (ja) 1994-11-24
DE69002747T2 (de) 1994-01-20
AU6797490A (en) 1991-06-20
MX174199B (es) 1994-04-27
EP0435705A1 (fr) 199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6007A1 (en) CATALYTIC HYDROGENOLYSIS.
US5481051A (en) 2,2-dichlorohexafluoropropane hydrogenolysis
EP0799172B1 (en) Catalytic hydrogenolysis
JPH07106996B2 (ja) 飽和した、ふつ素を含有するが塩素を含有しない炭化水素の製造方法
JP2540409B2 (ja) クロロ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水素化分解による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
KR930000889B1 (ko) 과할로겐화 에탄 유도체의 선택적 수소화방법
KR920003098B1 (ko) 과할로겐화된 에탄 유도체의 선택적 촉매 수소화 반응
JP2897454B2 (ja) 1,1,1,2−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の精製法
US5302765A (en) Catalytic process for producing CF3 CHClF
US6218587B1 (en) Catalytic hydrogenolysis
US5463152A (en) Halofluorocarbon hydrogenolysis
US5679876A (en) Purification of pentafluoroethane
JP2712476B2 (ja) ジフルオロメチレン基を有するプロパンの製造法
US551054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fluorocarbons
JP2712475B2 (ja) ジフルオロメチレン基を有するプロパンの製造法
JP2581170B2 (ja) 1,1−ジクロロ−2,2,2−トリ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
JP2760136B2 (ja) 含水素クロロフルオロカーボン類の製法
JP2773390B2 (ja) 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法
KR100433081B1 (ko) 클로로플루오로카본과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의가수소분해방법
JP2580696B2 (ja) 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
JPH02273634A (ja) 1,1,1,2―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の精製法
JPH02131437A (ja) クロロテトラフルオロプロパン類の製造方法
UA65595C2 (en) Supported catalyst and method for producing fluorocarbons
JPH02204444A (ja) 含水素トリフルオロプロパン類および含水素ジフルオロプロパン類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