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609Y1 - 결 속 구 - Google Patents

결 속 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609Y1
KR930000609Y1 KR9214957U KR920014957U KR930000609Y1 KR 930000609 Y1 KR930000609 Y1 KR 930000609Y1 KR 9214957 U KR9214957 U KR 9214957U KR 920014957 U KR920014957 U KR 920014957U KR 930000609 Y1 KR930000609 Y1 KR 930000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foam
binding
binding tool
too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14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라 후류쭈
Original Assignee
오오다께 사부로
가부시기가이샤 니혼바녹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2856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38040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9142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467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9142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4675Y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50005517A external-priority patent/KR860001749A/ko
Application filed by 오오다께 사부로, 가부시기가이샤 니혼바녹크 filed Critical 오오다께 사부로
Priority to KR9214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B65D63/16Joints using buckles, wedges, or like locking members attached to th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결 속 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속구의 상부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결속구의 측면도로서 일부를 단면으로 보인 도면.
제3도는 제1도 결속구의 저부도.
제4도는 제1도 결속구가 절첩되고 자동잠금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결속구가 묶고자하는 대상물을 결속시키는데 이용되는 작동을 보인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Y-Y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 결속구의 사용에 있어 최종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8도는 제1실시예 결속구의 자동잠금을 해정하는 방법을 보인 측면도.
제9도는 제1실시예 결속구의 사용실시예를 보인도면.
제10도∼제1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10도는 제1도와 동일한 상부평면도이고,
제11도는 제10도의 측면도이다.
제12도는 저부 평면도이다.
제13도는 제2실시예 결속구의 사용시 최종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14도∼제1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14도는 제1도와 유사한 상부평면도이고,
제15도는 제14도의 측면도이며,
제16도는 저부평면도.
제17도는 제3실시예 결속구의 사용시 최종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18도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결속구의 상부 평면도.
제19도는 제4실시예 결속구의 사용시 최종상태를 보인 부분적인 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인 상부 평면도.
제21도는 사용중에 있는 제20도의 결속구를 보인 부분 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속구 2 : 상부체
3 : 하부체 4 :
5 : 포울부 6 : 표시부
7 : 돌기부 7a : 안내포울
8 : 안내홈 9 : 맞물림부
9a : 측벽 10 : 개구부
11 : 손잡이부
본 고안은 비닐자루나 망태자루의 입구를 밀폐하거나, 와이어등과 같은 선형체를 다발로 묶는데 사용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일반가정이나, 상점등에서는 과일, 채소, 감자등의 식료품을 담아 보관하는데는 비닐자루나 망태자루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의 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탄성물질(고무밴드)로 만들어지거나,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고 금속와이어 코어를 가진 폭이 좁은 짧은 형태의 졸을 사용한다.
탄성물질을 사용함에 있어 상기 자루들의 입구를 밀폐하기 위하여서는 탄성물질을 자루의 입구 근처의 소정부위 둘레로 여러번 감을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상기 종류의 폭이 좁고 짧은 형태의 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줄을 자루의 소정부위 둘레로 감고 그의 양단부 부분을 함께 여러번 꼬아야 한다.
특히 일용식료품을 담는 자루의 경우 식료품을 조금씩 자루로부터 꺼낼 때 마다 자주 열고 밀폐하여야 하는데 만일 탄성물질을 사용하면서 이 탄성물질을 여러번 감아서 자루 입구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경우 자루를 개방시킬때는 탄성 물질을 풀어내는데 시간이 걸릴뿐만 아니라 종종 경험하는 바와같이 감겨진 탄성물질이 얽혀져 있어 풀어내기가 어려우며 심지어는 탄성물질의 탄성을 없애버려야 하였다.
상기 폭이 좁고 짧은 줄의 경우 이들 줄이 꼬여지거나 특히 자신의 금속와이어 코어에 대하여 꼬아지면 이러한 꼬임은 거의 풀려지지 않으며, 이줄을 여러번 반복사용한 후에는 이줄의 반복사용을 하기 위한 효과적인 꼬임효과를 회복 시키기가 거의 어렵다.
더구나 자루를 이 줄로서 밀폐하거나 재밀폐할 때마다 이 줄을 꼬거나 제거하는 것은 어렵고 비효율적이다.
또한 자루의 입구를 밀폐하기 위하여 탄성물질과 폭이 좁고 짧은 줄을 사용하는데 상기의 어려움과 불편함과 선형체를 묶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어렵고 불편하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결속구로서, 합성수지로 일체로 만들어진 힌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힌지에서 둘로 절첩될 수 있는 상부체와 하부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체는 그의 전방 단부상에 포울부(pawl)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체는 그의 하측 전방단부상에 포울부와 맞물릴수 있는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상부체는 그의 하측상에 릿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체는 돌기부를 수용할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비닐자루나 망태자루등의 입구를 밀폐하거나,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선행체를 묶을 수 있는 합성수지재의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루의 입구를 밀폐하거나 선형체를 묶는 상태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풀어낼수 있는 플라스틱제의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효과적으로 반복사용될수 있는 플라스틱제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밀폐성능과 묶은 성능을 가지는 플라시특제의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로 용이하게 제조될수 있는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를 참고하면, 결속구(1)는 상부체(2)의 하부체(3)로 구성되며 이들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등과 같은 합성수지로서 일체로 주형되고 어느 하나가 다른 것위에 놓이는 방식으로 중심의 힌지(4)에서 절첩된다.
결속구(1)의 사용에서 통상 상부체(2)를 하부체(3)위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플라스틱 상부체(2)는 비교적 높은 압압력에 견디도록 비교적 단단한데,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체(2)는 비교적 두께가 두껍고 리브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중심의 힌지(40)로부터 떨어진 전방 단부에서 상부체(2)는 폭이 감소되고 힌지에 더욱 근접한 포울부(5)을 구비하고 있고, 표시부(6)가 형성되어 있어 거기에는 필요에 따라 심볼 마크를 부착할수도 있다.
상부체(2)는 하측 또는 후측단부에 힌지(4)의 근처로부터 그의 단부에서 포울부(5)까지 연장된 돌기부(7)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7)를 가급적 상부체(2)의 측면변부 사이에 있는 중심선 상에 위치 시키지만 돌기부(7)는 상부체(2)의 후측측면상의 어느 부위라도 형성될수 있는데, 이 경우는 이후 기술되는 하부체(3)에 형성한 개구부(10)내에 수용될수 있어야 한다.
돌기부(7)의 구조에 대하여서는 이 돌기부가 대상물(15)을 안전하게 적소에 유지시키도록 개구부(10)와 협동하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돌기부(7)는 가급적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 톱니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될수 있다.
또한 돌기부(7)는 단 하나의 선으로 또는 여러개의 병렬선으로 형성될수 있다.
하부체(3)은 개구부(10)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면 또는 후측측면과 힌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방 단부에는 상부체(2)의 포울부(5)가 수용되고 해정가능하게 쇄정되는 포킷 또는 공동으로 이루어진 맞물림부(9)가 측벽(9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은 상기의 돌기부(7)를 수용할수 있는 한 하부체(3)의 어느 임의의 부위에 형성될수 있으나, 가급적 하부체(3)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묶고자 하는 대상물(15)을 돌기부(7)와 협동하도록 적소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경우 개구부(10)은 필연적으로 전체 돌기부(7)를 그 내부로 수용할 필요가 없으나 가급적 돌기부(7)전부를 수용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맞물림부(9)는 이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부(11)는 맞물림부(9)에 있는 포울부(5)의 쇄정상태를 해정할 때 작동된다.
맞물림부(9)에 있는 중심에 안내홈(8)을 형성하고 톱니형 돌기부(7)의 전방단부에 안내포울(7a)을 형성하면 포울부(5)를 맞물림부(9)내로 압입할시 안내포울(7a)이 안내홈(8) 내에서 안내되어 포울부(5)의 압축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할수 있게 한다.
가급적 안내포울(7a)은 크기 및 위치에서 포울부(5)를 맞물림부(9)내에 쇄정시키기전 맞물림부(9)의 상단변부와 접촉될수 있도록 설계된다.
안내홈(8)을 상기와 같이 맞물림부(9)에 형성하므로 결속구(1)는 쇄정상태에서 상부체(2)는 결속구(1)측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한번 묶여진 대상물(15)은 상당한 힘이 그에게 가하여 지더라도 해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개념과 그에 따른 결속구(1)의 기본적인 배열은, 대상물(15) 실예를 들면 비닐자루의 소정부분에 결속구(1)의 상부체(2)를 설치하고, 대상물의 해당하측 부분을 상부체(2)보다 다소 유연한 하부체(3)에 의하여 지지하게 하면서, 상부에 위치된 상부체(2)의 전방단부에 있는 포울부(5)가 대상물(15)을 묶도록 하부에 위치된 하부체(3)의 전방 단부에서 맞물림부(9) 내로 끼워 맞춤되면서 결합되게 하는데 있다.
결속구(1)가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포울부(5)는 비교적 견고하게 주형되어야 하고 이 포울부(5)가 맞물림부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맞물림부 내로 원활히 안내되게 축조된다.
또한 측벽(9a)은 묶고자 하는 대상물의 어느 부분이라도 맞물림부(9)로 물려들어자기 않도록 작용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결속구(1)는 쇄정상태로부터 용이하게 해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체(3)은 비교적 유연하도록 형성되므로 결속구(1)의 종방향으로 v자 형상의 맞물림부(9)가 용이하게 흔들려진다.
동시에 손잡이부(11)는 가급적 맞물림부를 절곡시키는 작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맞물림부(9)의 전방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 제1실시예의 결속구(1)에 있어서, 돌기부(7)는 상부체(2)의 하측상에서 그의 전방 단부까지 중심부에 형성되면서, 결속구(1)의 절첩상태에서 전체 돌기부(7)가 하부체(3)의 개구부(10)내로 삽입될수 있도록 위치되고 묶고자 하는 대상물의 일부분을 접고 대상물의 접은 부분을 개구부(10)내로 밀어넣는 작용을 한다.
돌기부(7)는 톱니모양으로 불규칙하거나 오목하고 블록한 변부선으로 형성되어 대상물의 슬립을 방지한다.
제4도는 결속구(1)가 힌지(4)에 절첩되고 포울부(5)가 맞물림부(9)에 형성한 포킷내에서 쇄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결속구(1)를 사용하여 결속작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묶고자 하는 대상물(15)은 작동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절첩되는 상부체(2)와 하부체(3)사이에 위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체 및 하부체(2), (3)은 제5도에 도시와 같이 포울부(5)가 맞물림부(9)내로 수용되도록 화살표 A 및 B의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밀첩하게 접근된다.
이러한 작동중에, 대상물(15)의 어느부분은 상부체(2)의 하측면상에 있는 돌기부(7)에 의하여 제6도에 도시와 같이 하부체(3)에 형성한 개구부(10)내로 압입되며, 제5도 및 제7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비교적 매우 유연한 하부체(3)은 굴곡되므로, 하부체(3)의 맞물림부(9)가 포울부(5)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되고, 이에 의하여 맞물림부(9)에 형성된 걸림턱(12)는 그의 전방단부의 변부를 따라 포울부(5)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자루(15)를 단단히 묶을수 있다.
그 다음 결속구(1)의 쇄정상태를 해정하기 위하여서는 제8도에 도시와 같이 하부체(3)의 하측면을 엄지손으로 지지하고 손잡이부(11) 상에 검지(11)를 올려놓으면서, 화살표 C방향으로 손잡이부(11)를 진동시키고, 동시에 하부체(3)을 화살표 D 방향으로 그굽히면, 그에 의하여 걸림턱 톱니(12)가 포울(5)과 용이하게 분리된다.
제9도는 결속구의 사용 실예를 보인 것으로, 이 실예에서 결속구(1)는 비닐자루의 입구 근처의 어느 한 부위 둘레에 설치되어, 포울부(5)가 제7도에 도시와 같이 맞물림부(9)내에 쇄정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0도∼제13도에 예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결속구(1)는 상부체(2)의 전측면상의 전방단부에 폭을 줄지 않았으나 제10도에 도시와 같이 상부체(2)와 같이 동일폭으로 이루어진 포울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체(2)의 후측면상의 중심에 제11도에 도시와 같이 포울부(5)의 위치까지 연장되지 않은 돌기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체(3)은 그위 후측면상에 있는 전방단부에 후크형 구조의 맞물림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체(2)는 포울부(5)와 포울부(5)에 접속된 안내포울(7a)을 구비하고 있으며, 동시에 하부체(3)에는 포울부(5)를 수용하도록 측벽(9a)에 의하여 주머니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맞물림부(9)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맞물림부(13)는 측벽(9a)에 의한 주머니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또한 제1실시예에서 (7a)로 표기한 안내포울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13도에 도시와 같이 포울부(5)가 맞물림부(13)에 형성한 걸림턱(12)와 맞물려 있다.
제14도 내지 제17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실시예에서, 안내포울(7a)은 힌지(4)로부터 떨어져 있는 돌기부(7)의 전방단부에 형성되고 상부체(2)와 같은 동일폭을 가진 포울부(5)까지 이어져 있다.
하부체(3)의 맞물림부(13)는 안내홈(8)이 형성되어있다.
이 실시예의 결속구(1)의 쇄정배열은 포울부(5)가 걸림턱(12)와 맞물려져 있고 동시에 안내포울(7a)이 안내홈(8)내에서 안내되고 수용된다는데에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포울부(5)는 상붕체(2) (제1도) 보다 좁은 폭을 가지면서 맞물림부(9) (제7도)에 형성한 공동내에 수용된다.
이에 비하여 제3실시예에서는 포울부(5)가 상부체(2)와 동일폭을 가지며, 포울부(5)가 공동내에 수용되는 대신에 안내포울(7a)은 포울부(5)를 걸림턱(12)와 쇄정한 상태에서 안내홈(8)에 수용된다.
제18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속구(1)를 보인 것으로, 현가링(16)은 상부체(2)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의 결속구(1)은 제19도에 도시와 같이 그물형자루, 즉, 묶고자하는 대상물(15)의 입구를 밀폐하는 식으로 사용된다.
제20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의 결속구(1)를 보인 것으로, 현가링(16)은 결속구(1)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식으로 힌지(4)로부터 떨어져 있는 손잡이부(11)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다.
제21도는 제5실시예의 현가장치의 사용실예를 보이고 있다.
위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같이, 묶고자 하는 대상물(15)이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속구(1)의 상부체(2)와 하부체(3) 사이에 위치될 때, 하부체(3)은 대상물(15)의 하단변부의 윤곽에 따라 곡선을 그리면서 굴곡되므로, 맞물림부(9)가 제7도에서 화살표 E의 방향에서 포울부(5)의 측면을 향하여 효과적으로 이동되어 포올부와 안정하게 맞물려지게 한다.
묶고자 하는 대상물(15)의 두께가 두꺼우면 맞물림부(9)는 포울부(5)에 더욱 근접이동되어 포울부(5)와 더욱강하게 맞물려 진다.
결속구(1)의 자동 잠금 상태를 해정하는데 있어, 손잡이부(11)는 흔들려지면 하단부(3)가 제8도에 도시와 같이 하향으로 절곡되며, 이에 의하여 걸림턱(12)가 포울부(5)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결속구(1)에 있어서, 묶고자 하는 대상물(15)은 하부체(3)의 후측면 또는 하측면상에 형성한 돌기부(7)에 의하여 상부체(2)에 형성한 개구부(10) 내로 압입되므로 결속구(1)의 측방향 또는 횡방향의 변이를 방지할수 있게 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감속되는 폭을 가진 포울부(5)는 맞물림부(9)의 공동내에 수용되므로, 묶고자 하는 대상물(15)이 맞물림부(9)에 형성한 공동내에 우연히 물려 들어가지 않게하는데, 왜냐하면 대상물(15)이 측벽(9a)의 변부에서 정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돌기부(7)가 상부체(2)의 전방단부까지 계속이어져 형성되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거나 모든 경우에도 소정의 대상물(15)이 상부체(2)와 하부체(3)사이에 위치되면, 대상물(15)은 그를 가볍게 당기므로 간단히 힌지(4)의 측면을 향하여 원활히 이동되며, 그에 의하여 대상물(15)은 상부체(2)의 전방단부 또는 걸림턱(12)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적소에 안정하게 고정된다.
또한 돌기부(7)는 그의 전체가 개구부(10) 내에 수용되므로 묶고자 하는 자루의 입구를 밀폐하는데 있어, 대상물의 입구를 완벽하게 밀폐할수 있게 한다.
잘알수 있듯이, 제4도에 도시와 같이 상부체(2)와 하부체(3)사이에 대상물(15)을 위치시키지 않고 결속구(1)를 절첩한 상태에서는 상단한 간격이 포울부(5)와 맞물림부(9)사이에 형성되도록 상부체(2) 또는 하부체(3)의 길이를 설정할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결속구(1)에 있어서 유연성이 있는 하부체(3)는 상당한 정도까지 굴곡될수 있어 비교적 크기나 질량이 큰 대상물이 효과적으로 묶어질수 있다.
또한 잘알고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결속구(1)는 반복하여 사용되고 냉장고에 식료품을 저장하거나 식료품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자루의 입구를 밀폐하는 유용하다.

Claims (11)

  1. 상부체(2)와 하부체(3)가 힌지부(4)를 통하여 절곡가능하게 합성수지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부체(2)의 표면 선단부에는 포울부(5)가 또 하부체(3)의 어떤 선단부에는 전기포울부(5)와 맞물릴수 있는 맞물림부(9)가 각각 구비되었으며, 상부체(2)의 이면에는 돌기부(7)가 형성되고, 하부체(3)에는 돌기부(7)가 삽입가능한 개구부(10)가 형성되고, 하부체(3)가 상부체(2)보다 더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포울부(5)는 상부체(2)보다 폭이 좁고, 상부체(2)의 하단선단부에는 포울부(5)와 연속하여 안내포울(7a)이 구비되었으며 하부체(3)의 이면선단부에는 포울부(5)가 삽입가능한 맞물림부(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결속구.
  3. 제2항에 있어서, 맞물림부(9)에는 안내포울(7a)을 수용하는 안내홈(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결속구.
  4. 제1항에 있어서, 포울부(5)는 전기 돌기부(7)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포울부(5)의 폭은 상부체(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5. 제1항에 있어서, 포울부(5)는 상부체(2)와 폭이같고, 이 상부체(2)의 하면 선단부에는 전기 포울부(5)에 연속하게 이어진 안내포울(7a)이 형성되었으며, 전기 맞물림부(9)에는 안내포울(7a)를 수용하는 안내홈(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체(2)의 측방에 현가링(16)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7. 제1항에 있어서, 하부체(3)의 전방단부에 현가링(16)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8. 제1항에 있어서, 돌기부(7)가 상부체(2)의 이면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9. 제1항에 있어서, 개구부(10)가 하부체(3)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10. 제1항에 있어서, 돌기부(7)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결속구.
  11. 제1항에 있어서, 포울부(5)와 맞물림부(9)의 결합상태를 풀기위한 손잡이부(11)가 전기맞물림부(9)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KR9214957U 1984-08-13 1992-08-10 결 속 구 KR930000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14957U KR930000609Y1 (ko) 1984-08-13 1992-08-10 결 속 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122856 1984-08-13
JP12285684U JPS6138040U (ja) 1984-08-13 1984-08-13 固定具
JP1984191428U JPH0344676Y2 (ko) 1984-12-19 1984-12-19
JP84-191427 1984-12-19
JP1984191427U JPH0344675Y2 (ko) 1984-12-19 1984-12-19
JP84-191428 1984-12-19
KR1019850005517A KR860001749A (ko) 1984-08-13 1985-07-31 결속장치
KR9214957U KR930000609Y1 (ko) 1984-08-13 1992-08-10 결 속 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517A Division KR860001749A (ko) 1984-08-13 1985-07-31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609Y1 true KR930000609Y1 (ko) 1993-02-11

Family

ID=2752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4957U KR930000609Y1 (ko) 1984-08-13 1992-08-10 결 속 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6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7562A (en) Tie strip
US3548906A (en) Combined wire bag tie and handle
JP2515484B2 (ja) 結束帯
US4490886A (en) Binder for lines, rods, or tubes
US4270247A (en) Clasp
US4466159A (en) Adjustable tie strap
US4507828A (en) Bundling belt device
EP0112114B1 (en) Handle
US4377887A (en) Strap and connector system
US4663807A (en) Reusable clip
US3949449A (en) Integral one-piece cable tie
US5911368A (en) Cable tie
US3913178A (en) Tie strip
CA2416415C (en) Locking strap with handling structure
US20140259543A1 (en) Cable ties
JPH10512660A (ja) 自由端部が突出しない一定周囲長さの結束装置およびこの結束装置を用いた結束方法
US4742601A (en) Tying device
US5363536A (en) Closing band
GB2103277A (en) Adjustable tie strap
KR930000609Y1 (ko) 결 속 구
US6553632B1 (en) Buckle
US3972469A (en) Bag closure
JPH0344676Y2 (ko)
JP2000203624A (ja) 捩じり型結束紐
JPH04112038U (ja) 固縛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