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566B1 - 악음 팰러미터 제어기능부설 전자악기 - Google Patents

악음 팰러미터 제어기능부설 전자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566B1
KR920006566B1 KR1019890006900A KR890006900A KR920006566B1 KR 920006566 B1 KR920006566 B1 KR 920006566B1 KR 1019890006900 A KR1019890006900 A KR 1019890006900A KR 890006900 A KR890006900 A KR 890006900A KR 920006566 B1 KR920006566 B1 KR 92000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itch
sound
detect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654A (ko
Inventor
시게오 사까시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 G10H1/053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205Spint reed, i.e. mimicking or emulating reed instruments, sensors or interfaces therefor
    • G10H2230/221Spint saxophone, i.e. mimicking conical bore musical instruments with single reed mouthpiece, e.g. saxophones, electrophonic emulation or interfacing aspec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악음 팰러미터 제어기능부설 전자악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관악기의 일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 a 및 b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전자 관악기의 좌측면도 및 정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프레스조작이 되고 있을때의 동작 플로우챠트.
제4도는 제2실시예의 프레스조작이 되고 있을때의 동작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전자관악기, 전자 찰(擦) 현악기, 전자 현악기와 같은 전자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레스조작, 립조작 또는 운궁(運弓)조작과 같은 연주입력 조작에 대응하며, 발생 되어야할 악음의 팰러미터를 제어하는 전자 악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수반하여 전자관악기, 전자찰 현악기, 전자 현악기등의 각종 전자악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 전자악기중, 전자 관악기는 취구부(吹口部)에 설치된 브레스센서 또는 립 센서에 의하여 인간의 브레스 조작 또는 립 조작을 전기 신호로 하며 검출하므로서, 전기적으로 발생되는 악음의 음량 또는 피치등을 미묘하게 제어할 수가 있어, 연주자의 감성에 맞춘 악음을 발생할 수 있는 전자 악기이다.
이러한 전자관악기로서는 예를들면 미국 특허 제3,767,833호, 동 제2,138,500호, 동 제 2,301,184호, 동 제2,868,876호, 동 제3,429,976호 및 동 제3,439,106호에 기재된 것이 공지된 바 있다. 이런 종류의 전자현악기에 있어서는 연주자가 손가락을 대기 쉬운 위치에 음고지정스위치군이 배치되어 있다. 연주자는 이들 복수의 스위치의 누르는 방법의 조합에 의하여서 1회의 조작으로 1개의 음고(음정)를 지정한다.
그리고 브레스조작의 강도가 소정이상이 되었을때에, 그 지정된 음고의 악음이 브레스 조작의 강도에 대응한 음량으로 방음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립 조작의 강도에 대응하여 악음의 피치가 미묘하게 변화하도록되어 있다.
그러하나, 어코오스틱한 관악기를 실제로 연주한 경우에는 숨의 불기 시작과 숨의 불어넣기를 중지할때는 불어넣는 숨의 량이 동일하여도 음색등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또, 동일한 음고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라 하여도, 그 음고에 대하여서도 다소의 피치의 어긋남이 생긴다. 일방 어코오스틱한 관악기의 경우 숨을 불기시작할때와 같이 불어넣는 숨의 강도가 서서히 강하게 되는 경우에는 숨새는 음이나 화이트 노이즈음이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 관악기는 부는 숨의 강도, 즉, 브레스 정보의 크기 또는 값만으로서 악음의 음량을 제어하고 부는 숨의 강도의 시간적 변화를 고려한 악음의 각종 팰러미터의 제어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관악기 특유의 연주효과를 충실하게 재현할 수는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것은 전자찰현악기나 전자현악기의 경우도 동일한 것이다. 예를들면 종래의 전자 찰현악기의 경우(미국특허 제4,765,219호, 불국특허 FR 2598017), 운궁조작의 속도에 대응하여 발생되어야할 악음의 음량을 제어할 수가 있지만, 운궁조작의 속도의 시간적 변화 경향에 상응하여 발생되어야할 악음의 팰러미터(음량, 음색, 효과 등)을 제어하고, 예를들면 운궁, 조작속도가 상승 경향의 경우는, 음량을 상승시킴과 함께 비브러트효과를 부가하고, 역으로 운궁조작 속도가 하강 경향의 경우는 음량을 하강함과 함께 토레모로 효과를 부가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었다.
동일하게 종래의 전자현악기의 경우(미국특허 제4,458,690호, 동 제4,580,479호) 토레모로아암의 조작 속도의 시간적인 변화나 현의 브래킹조작의 강도의 시간적인 변화경향을 고려하여, 발생하는 악음의 팰러미터를 제어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전통적인 자연찰 현악기, 자연 현악기로 얻어지는 연주 효과와 동일한 연주효과를 얻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통적인 자연악기에서 얻어지는 연주효과와 동일한 연주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전자악기를 제공하고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주입력상태의 시간적인 경향에 상응하여 상호상이한 팰러미터로 악음을 제어할 수가 있는 전자악기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브레이스 조작 또는 립조작의 소정시간당 변화경향에 상응하여 상호 상이한 팰러미터로 악음을 제어할 수가 있는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관악기 타입의 전자악기에 적용할 경우는 브레스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스 검출수단과,상기 브레스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브레스 조작력의 소정시간당의 변화경향을 검출하는 경향 검출수단과, 상기 경향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변화경향에 상응하여, 상호 상이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발생될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는 음고지정수단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음고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되어 있은 음고로서 악음의 팰러미터를 별개 독립하게 가변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용어 "브레스 조작력"은 취구부에 대하여 가해진 숨의 강도(숨의 속도 또는 숨의 양의 크기)를 의미한다. 또, 용어 "변화경향"은 소정의 시간당의 상기 브레스 조작력의 크기의 변화율 또는 변화 정도의 경향을 의미한다. 이 변화 경향은 대별하여 검출된 브레스 조작력의 소정시간당의 변화경향을 검출하는 경향검출수단과, 상기 경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변화경향에 상응하여, 상호 상이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발생 되어야할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는 음고지정수단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음고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가진 악음의 팰러미터를 별개독립하여 가변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갖인 전자악기가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용어 "브레스조작력"은 취구부에 대하여 가해진 숨의 강도(숨의 속도 또는 숨의 양의 크기)를 의미한다. 또 용어 "변화경향"은 소정의 시간당의 상기 브레스 조작력의 크기의 변화율 또는 변화정도의 경향을 의미한다. 이 변화경향은 대별하여 브레스 조작력이 상승경향에 있는가, 또는 하강경향에 있는가, 비변화경향에 있는가의 어느것인가에 분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전자 관악기 타입의 전자악기에 적용할 경우는 립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립 검출수단과, 상기 브레스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립조작력의 소정 시간당의 변화경향을 검출하는 경향 검출수단과, 상기 경향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변화경향에 상응하여 상호 상이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발생될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는 음고지정수단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정보에 상응하여,상기 음고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가진 악음의 팰러미터를 별개 독립되게 가변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가진 전자 악기가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용어 "립조작력"은 취구부를 깨우는 강도를 의미한다.
더우기 용어 "악음의 팰러미터"는 발생될 악음의 피치, 음색, 효과, 특수효과음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전자관악기 타입의 전자악기에 적용할 경우의 일 구성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현악기는 취구부에 대한 브레스 조작에만 또는 브레스조작과 립 조작의 쌍방, 또한 음고지정스위치군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악음을 악음발생수단에서 발음시킨다.
취구부는 예를들면 관형태의 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음고지정 스위치의 조합 또는 특정의 음고지정 스위치에 대한 음고 지정조작에 의하여 대응하는 음고를 지정한다. 음고지정스위치군은 적합하게는 상기 관형상의 통의 연주자가 손가락을 대기쉬운 위치에 설치된다.
또, 취구부에 대한 브레스조작 또는 립 조작의 강도의 적어도 일방을 센스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수단이 예를들면 취구부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센서수단의 검출하는 상기 센스 정보의 시간적 경과에 수반된 변화상태에 기준하여 악음을 제어하기 위한 악음정보를 작성하는 악음정보 작성수단이 예를들면 상기 관 형태의 통 내부에 설치된다.
더우기 음고지정 스위치군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의 악음을 상기 악음정보에 기준하여 제어하여 발음하는 악음발생수단이, 예를들면 상기 관형태의 통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연주자는 음고지정 스위치군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소망의 악음의 음고를 지정한다. 그리고 취구부를 부는 브레스조작만, 또는 브레스조작과 취구부를 깨무는 립 조작의 쌍방을 실시하므로서 연주가 개시된다. 이에 예를들면 브레스조작이 소정이상의 강도로 실시되므로서 음고 지정 스위치군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의 악음발생수단에서 발음된다.
이때 센서수단은 브레스조작의 강도 또는 립조작의 강도의 적어도 일방을 센스정보로서 검출하고, 악음정보설정수단에 출력한다.
악음 정보작성수단은 예를들면 소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센스정보를 판독입력하고, 상기 센스정보의 시간적 경과에 따른 변화상태에 기준하여 예를들면 악음발생수단에서 발음되고 있는 악음의 피치를 미묘하게 변화 시키거나, 화이트 노이즈음의 출력, 더우기 악음에 대한 비브러트효과의 부가등의 악음 제어를 하기 위한 악음정보를 작성하고, 악음발생수단에 출력한다.
악음발생수단, 악음 정보작성수단에서 입력되는 악음정보에 기준하여 예를들면, 현재 발음중의 악음의 피치를 미묘하게 변화 시키거나, 화이트 노이즈음의 출력, 더우기 악음에 대한 비브러트 효과의 부가 등을 한다.
악음 정보 작성수단은 예를들면 연속하여 판독입력한 센스정보의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인 때에만, 상기악음정보를 작성하거나, 더우기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연속 판독입력한 3개이상의 센스정보에 의하여 센스정보의 시간적 경과에 수반된 변화 상태를 판단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관악기에 의하면 브레스조작의 강도 또는 립조작의 강도의 시간적경과에 수반한 변화상태에 상응하여, 악음과 동시에 화이트노이즈음을 출력시키거나, 악음의 피치를 미묘하게 변화시키거나, 더우기 악음에 대하여 비브레트 효과를 부가하는 등의 악음의 특성제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전자 관악기 타입의 전자악기에 적용할 수 있을 뿐더러, 전자 찰현악기나 전자현악기와같은 다른 타입의 전자악기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을 상술한 전자관악기 타입의 전자악기 이외의 타의 타입의 전자악기에 적용한 경우는 연주 입력상태를 검출하는 연주 입력검출수단과,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연주입력정보의 시간적 변화 경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시간적 변화 경향에 대응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서, 발생되어야 할 악음의 팰러미터를 별개 독립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갖인 전자악기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용어 "연주 입력상태"는 전자현악기에 사용되는 토레모로아암의 회동 조작상태, 현에 대한 피치벤드조작상태현에 대한 브래킹조작상태 및 전자찰현악기에 사용되는 활의 운궁조작상태, 현에 대한 피치 벤드 조작상태 등을 의미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성]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관악기의 일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음고지정스위치 군(1)은 발생 되어야할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되고, 압하된 (온 상태가 된다) 스위치의 조합에 의하여 각 음고가 지정한다.
또, 음색, 효과 전환스위치군(2)은 악음의 음색의 선택 및 악음에 대한 각종효과를 부가하는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CPU(중앙처리장치) (3)는 예를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고, 음고지정스위치군(1)의 각 스위치의 스테이더스(온/오프상태)를 소정 시간간격으로 판독입력하고, 이 판독입력한 스테이 더스정보에서, 음고지정 스위치군(1)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판단한다. 그리고 음고의 지정이 변화된 경우에는 악음발생회로(4)에 새로 지정된 음고의 악음을 발생하기 위한 음고 정보를 출력한다.
더우기 CPU(3)는 음색, 효과 전환스위치군(2)의 각 스테이더스도 소정시간 간격으로 판독입력하고 있고, 판독입력한 스테이더스 정보에서 지정된 음색 또는 악음에 부가되는 효과를 판단한다. 그리고 지정된 음색을 발생하기 위한 음색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하는 동시에, 악음에 부가되는 효과의 종류를 CPU(3)내에 특별하게 도시되지 않은 기억영억에 기억한다.
또, 브레스센서(5)는 전자악기 본체의 취구부를 부는 숨의 강도를 감지하는 센서이 고, 브레스센서(5)의 감지정보는 제1의 전압검출회로(6)에 의하여 그 감지정보에 대응하는 전압에 변환되어, 제1의 A/D 변환기(7)에 가해진다. 제1의 A/D 변환기(7)는 가해지는 전압을 예를들면 8비트의 디지탈 브레스데이터로 변환하여 CPU(3)에 출력한다. CPU(3)는 제1의 A/D 변환기(7)에서 입력하는 디지탈 브레스데이터의 값에 기준하여, 악음의 발생을 개시하기 위한 키이 ON 정보, 악음의 발생을 정지하기 위한 키이 OFF 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하는 타이밍을 결정함과 함께 키이 ON시 및 그 이후에 있어서 방음하여야할 악음의 음량 레벨을 지정하는 음량정보를 생성하고,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
또한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CPU(3)는 제1의 A/D 변환기(7)를 통하여 연속하여 입력되는 디지탈 브레스데이터의 변화량 등에서 취구부를 부는 숨이 점차 강하게 되고 있는지, 또는 점차 약하게 되고 있는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의하여 악음의 제어정보(비브러트효과의 부가제어, 악음의 피치제어, 화이트 노이즈음의 출력제어등을 위한 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
악음발생회로(4)는 CPU(3)에서 가해지는 음색 정보 및 음 고정보에 기준하여, 음색, 효과 지정스위치군(2)에 의하여 지정된 음색, 효과로서, 음고 지정 스위치군(1)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가진 악음을 발생하는 회로이고, CPU(3)에서 키이 ON 정보가 가해지면 그 타이밍으로 대응하는 악음의 발생을 개시한다. 더우기 CPU(3)에서 브레스조작에 기준한 악음 제어정보가 가해진 경우에는 발생하는 악음에 대하여 비브러트 효과를 부가하거나, 악음과 동시에 화이트노이즈음을 출력하거나, 더우기 악음의 피치를 변화시키거나한다.
악음발생회로(4)에서 출력하는 악음이나 화이트노이즈음은 악음출력부(8)에 가해진다. 악음출력부(8)는 증폭회로(8-1) 및 스피이커(8-2)로 되었고, 악음발생회로(4)에서 가해지는 악음이나 화이트 노이즈음을 음성으로 하여 방음한다.
더우기 립센서(9)는 취구부를 깨무는 강도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립센서(9)의 감지정보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되어 제2의 A/D 변환기(11)에 가해진다.
제2의 A/D 변환기(11)는 제2의 전압 검출회로(l0)에서 가해지는 전압을 디지탈립 데이터로 변환하여 CPU(3)에 출력한다.
다음에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의하여 실현되는 전자 관악기의 외관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관형태 통부(14)와 취구부(15)로 형성된 관악기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도에서 설명한 음고 지정 스위치군(1), 음색, 효과 전환스위치군(2)은, 각각 관형태 통부(14)상의 연주자가 손가락을 대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도의 립센서(9)는 취구부(l5)의 입술을 대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브레스센서(5)는 취구부(15)와 관형태 통부(l4)의 접속위치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의 상기에서 표시한 이외의 각 구성요소는 제2A도 및 제2B도의 관형태통부(1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의 제1도,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구성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다음에서 설명한다. 더우기, 특별하게 지정이 없는것은 제1도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하기로 한다.
처음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개략동작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연주자는 음색, 효과전환 스위치군(2)를 조작한다. CPU(3)는 특별하게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 스위치군(2)의 조작내용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감시하고 있고, 그 설정 내용이 변경된 것을 검출한 경우,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지정된 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동 회로(4)는 지정된 음색의 악음을 발생하고, 지정된 효과가 부가되도록 그 내부상태를 변경한다.
다음에 연주자는 음고정스위치군(1)을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음고를 지정하면서, 취구부(15)에서 숨을 불어 넣으므로서 연주를 개시한다. 이 경우 CPU(3)는 음고지정스위치군(1)의 조작상태를 소정시간간격으로 감시하고 있고, 그 지정내용이 변경된 것을 검출한 경우, 그 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악음발생회로(4)는, 지정된 음고의 악음이 발생하도록 음고(음계)를 설정한다.
일방, 취구부(15)에서 불어 넣어진 숨의 강도는 브레스 센서(5)에 의하여 감지되고, 제1의 A/D 변환기(7)를 개재하여 디지탈의 브레스데이터로서 CPU(3)에 판독입력되지만, 이 브레스데이터가 소정치 이상이되었을 경우, 즉 연주자가 어느 강도이상의 숨을 불어 넣었을 경우에, CPU(3)에서 악음발생회로(4)에 키이 ON 정보가 출력되고, 이것에 의하여 악음발생회로(4)는 상기 조작에 의하여 지정된 음색, 음고보 악음의 발생을 개시한다. 반대로 연주자가 취구부(15)에 숨의 불어넣기를 중지하고, 상기 브레스데이터가 소정치이하로 되었을 경우에는 CPU(3)에서 악음발생회로(4)에 키이 OFF 정보가 출력되며, 이것에 의하여 악음발생회로(4)는 악음의 발생을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악음발생회로(4)에서 음고 지정스위치군(1)으로 지정한 음고의 악음이 발생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취구부(15)를 부는 숨의 강도의 변화를 연속하여 판독입력하는 브레스데이터의 변화량에 의하여 판단하고, 불기 시작할때와 같이 부는 숨의 강도가 점차 강하게 되는 경우라든가, 취구부(15)의 불어넣기를 중지한 경우와 같이 부는 숨의 강도가 점차 약해지는 경우의 각각에 상응하여 피치의 변조나 비브러트효과의 부가, 더우기 화이트 노이즈음의 출력등의 악음정보를 작성하고,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
제3도에 제1실시예의 CPU(3)에 의하여 실시되는 브레스 조작이 되었을때의 동작 폴로우챠트를 도시한것이다. 더우기 동도 폴로우챠트내에 표시된 버퍼 NEWB, 버퍼 OLDB는 각기 최신의 브레스데이터, 전회의 브레스데이터를 격납하는 버퍼이다(제1도 참조).
CPU(3)는 CPU(3) 내에 내장된 타이머 T1에서의 인터럽트(할입, 끼어들기)에 의하며 제3도의 동작 폴로우챠트를 실행한다.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3)는 제1의 A/D 변환기(7)를 통하여 브레스데이터를 끼여넣고, 그 브레스데이터를 버퍼 NEWB에 격납한다(SA1).
그리고 버퍼 NEWB에 격납되어 있는 브레스데이터에서 버퍼 OLDB에 격납되어 있는 전회 끼어 넣어진 브레스데이터를 감산하고, 그 감산결과를 A 레이지스터에 격납한다(SA2).
다음에 A 레지스터에 격납되어 있는 감산결과의 정부를 판별한다(SA3). 만일 감사결과가 정이면 브레스데이터의 값이 상승되어 있으므로 계속하여 감산결과 즉, 상승치가 "10H"(H는 16진수인 것을 표시함) 이상인가를 판별한다(SA4). 그리고 상승치가 10H 이상이면 악음발생회로(4)에 세트되어 있는 음고정보(피치정보)를 3센트 높게(UP)함과 동시에 화이트 노이즈음을 출력하기 위한 악음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가한다. 더우기 현재 비브러트효과가 악음발생회로(4)에 의하면 악음에 대한 비브러트효과의 부가를 중지하기위한 악음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SA5),
이와같이 브레스데이터의 상승치가 10H 이상이면, 음고정보를 3센트 높게 설정함과 함께, 화이트노이즈음을 출력하기 위한 악음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세트한다. 또 비브러트 효과가 부가되어 있으면, 비브러트 효과를 OFF하기 위한 악음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세트한다. 이 결과, 악음의 음고(피치)가 3센트높게 되는 동시에 화이트노이즈음이 출력되게 된다. 또 악음에 대하여 비브러트 효과가 부가되어 있으면 악음에 대한 비브러트 효과의 부가가 정지된다. 계속하여 버퍼 NEWB에 격납되어 있는 브레스데이터의 크기에 따라서 키이 ON/OFF 정보, 이니셜정보 또는 아프터 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SA6).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악음발생회로(4)가 악음을 발생하고 있지 않을경우에 상기 브레스데이터의 값이 소정치(키이 ON 개시의 한계치) 이상이라면 키이 ON 정보와 함께 소정의 음량을 지정하는 음량정보(이니셜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가한다. 이 결과로 상기 음량정보(이니셜정보)에 대응하는 음량으로 악음발생회로(4)에서 악음의 발음이 개시된다.
일방, 기히 악음발생회보(4)에서 악음이 발음되고 있을때에, 상기 브레스데이터가 키이 ON 개시의 한계치이상이며는, 상기 브레스데이터에 대응하는 음량정보(아프터정보)를 작성하고, 악음발생회로(4)에 가한다. 이결과 악음발생회로(4)에서 상기 음량정보(아프터정보)에 대응하는 음량으로 악음이 발음된다.
또한, 상기 브레스데이터가 키이 ON 개시의 한계치보다도 작고, 또한 악음발생회로(4)에서 현재 악음이 발음중이라면 케이 OFF 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가한다. 이결과 악음발생회로(4)의 악음의 발음이 정지한다.
다음은 버터 NEWB에 격납되어 있는 브레스데이터를 버퍼 OLDB에 전송한다(SA7).
일방, 상기 SA3에서 A 레지스터에 격납되어있는 브레스디이터의 감산결과가 부, 즉 브레스데이터가 하강되고 있으면 감산결과(하강치가 「10H」이상인가를 판별하고(SA8), 브레스데이터의 하강치 가 「10H」이상이라면, 악음발생회로(4)에 세트되어 있는 음고 정보(피치정보)를 3센트 낮게(DOWN)함과 함께, 화이트노이즈음의 출력중이라면 화이트노이즈음의 출력을 정지하기 위한 악음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가한다. 다시, 악음에 대하여 비브러트효과가 부가되어 있지 않으면, 악음에 대하여 비브러트효과를 부가하지 의한 악음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가한다(SA9).
이결과, 악음발생회로(4)의 발음하는 악음의 음고(피치)가 3센트낮게 되는 동시에 화이트 노이즈음이 출력되고 있으면, 화이트 노이즈음의 출력이 정지되고, 다시 악음에 대하여 비브러트효과가 부가되어 있지 아니하면 악음에 대하여 비브러트 효과가 부가되게 된다.
상기 SA9에 연속하여, 상기 SA6, SA7을 실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스데이터에 상응하여 키이의ON/OFF 정보, 이니셜정보 아프터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
상기 동작에 의하여 연주자가 취구부(15)를 부는 숨의 강도가 점차 강하게 되는 경우에는 악음의 음고의 음고지정스위치군(1)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보다도 3센트 높게 됨과 함께, 화이트 노이즈음이 출력된다. 따라서 불어넣기의 개시때와 같이 부는 숨의 강도가 현저하게 강해지는 경우에는 연주자의 지정하는 음고보다도 약간높은 음고를 갖인 악음이 발생됨과 함께 화이트 노이즈음이 출력되므로서 불어넣기의 개시시에도 어코오스틱한 관악기의 연주효과와 동일한 연주효과가 충실하게 재현된다.
또한 취구부(15)를 부는 숨의 강도가 점차약하게 되는 경우에는 악음의 음고가 음고지정스위치군(1)의 조작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보다도 3센트 낮어짐과 함께, 악음에 대하여 비브러트효과가 부가된다. 따라서 불어넣기를 중지한때와 같이 부는 숨의 강도가 현저하게 약하게 된 경우에는 연주자가 지정하는 음고보다도 약간 낮은 음고를 가진 악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악음에 대하여 비브러트 효과가 부가되므로 불어넣기 중지시에도 어코오스틱한 관악기의 연주효과와 동일한 연주효과가 충실하게 재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브레스조작이 된때의 동작폴로우챠트를 제4도에 도시한다.
더우기, 동 도면 폴로우챠트중에서 특히 도시없는 버퍼 NEWB, OLDB1, OLDE2는 각기 최신(금번)의 브레스데이터, 전회의 브레스데이터, 전전회의 브레스데이터를 격납하는 버퍼이다.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3)는 제1실시예의 SAl-SA2와 동일한 처리를 하고(SB1-SB2) A레지스터에 금회에 끼어넣은 브레스데이터에서 전회에 끼어넣은 브레스데이터를 감산한 결과를 격납한다.
그리고 레지스터에 격납된 감산결과가 「0」인가 어떠한가 판단한다(SB3).
만일 A 레지스터에 격납되어 있는 감산결과가 「0」이 아니다. 즉 금회의 프레스데이터가 전회의 프레스데이터에 대하여 변화되어 있으면, 다음에 상기 감산결과가 정인가 어떠한가 판별한다(SB4).
그리고, 상기 감산 결과가 정, 즉 브레스데이터가 전회보다드 크게 되어 있으면, 다시 버퍼 OLDB1에 격납되어 있는 전회의 브레스데이터가 버퍼 OLDB2에 격납되어 있는 전전회의 브레스데이터보다도 큰가 어떤가를 판별한다(SB5).
만일, 전회의 브레스데이터가 전전회의 브레스데이터보다도 크다면 전전회, 전회, 금회로 점차적으로 브레스데이터가 크게 되어 있으므로 취구부(15)를 부는 숨의 강도가 점차 강해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제3도에 도시한 상기 제1실시예의 SA5와 동일한 처리를 하고, 악음의 피치를 3센트를 높이거나, 화이트노이즈음을 출력하는등의 처리를 한다(SB6).
이어서 상기 제1실시예의 SA6과 동일한 처리를 하고, 버퍼 NEWB에 격납되어 있는 브레스데이터의 값에 응하여 키이 ON 정보, 키이 OFF 정보, 이니셜정보, 아프터정보등의 악음 제어정보를 악음발생회로(4)에 출력한다(SB7).
그리고 버퍼 OLDB1에 격납되어 있는 전회의 브레스데이터를 버퍼 OLDB2에 전송하고(SB8), 버퍼NEWB에 격납되어 있는 금회의 브레스데이터를 버퍼 OLDB1에 전송한다(SB9).
일방, 상기 SB5로 버퍼 OLDB1에 격납되어있는 전회의 브레스데이터가 버퍼 OLDB2에 격납되어 있는 전전회의 브레스데이터보다도 작으면 상기 SB7-SB9 처리를 한다.
즉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간격(타이머 인터럽트의 발생간격)으로 브레스데이터를 언속하여 3회 끼어넣고, 브레스데이터의 값이 끼어넣을때마다 커져 있으면, 취구부(15)를 부는 숨의 강도가 점차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SB4에서 A 레지스터에 격납되어 있는 감산결과 가부이라면, 버퍼 OLDB1에 격납되어 있는 전회의 브레스데이터가 버퍼 OLDB2에 격납되어 있는 전전회의 브레스데이터보다도 작은가 어떠한가 판별된다(SBl0).
그리고 전회의 브레스데이터가 전전회의 브레스데이터보다도 작으면, 제1실시예의 SA9와 동일한 처리,즉 악음의 음고를 3센트 낮게하거나, 악음에 대하여 비트러트효과를 부가하거나, 화이트노이즈음의 출력을 OFF하는 처리를 한다(SBl1).
이와같이 제2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소정시간 간격(타이머 인터럽터의 발생간격)으로 브레스데이터를 연속하여 3회 끼어넣고, 끼어넣을때마다 브레스데이터의 값이 작어져 있으면 취구부(15)를 부는 숨의 강도가 점차 약하게 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B10으로 전회의 브레스데이터가 전전회의 브레스데이터보다도 클경우, 또는 상기 SB11의 처리 종료후는 상기 SB7-SB9에 대하여 행한다.
또한, 상기 SB3에서 A 레지스터에 격납되어 있는 감산결과 「0」이라면 취구부(15)를 숨의 강도에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SB7-SB9의 처리를 한다.
더우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 금회의 브레스데이터의 값이 여하한 값으로 되었다하여도 불어넣는 숨의 강도의 상승(또는 하강)의 판단을 하고 있지만, 불어넣는 숨의 강도가 상승중인가의 판단은 금회의 브레스데이터가 소정치(예를들면,「3FH」) 이상으로 되었을때에만 하고, 불어넣는 숨의 강도가 하강중인가의 판단은 금회의 브레스데이터가 소정치(예를들면 「6FH」)이하인 때에만 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하면, 불어넣기 개시와 불어넣기 중지의 판단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상기 제1의 실시예 및 제2의 실시예에서는 브레스 제작에 의한 브레스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여 악음의 특성의 제어를 하고 있지만, 립조작에 의한 립데이터에 기준하여서도, 동일하게 하여 악음의 특성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악음에 대한 특성제어도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없이, 토레모로 효과, 프랜징, 페이딩, 컴프렛션, 기타의 각종 제어가 가능하다.
더우기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은 전자관악기에 적용할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들면 전자찰현악기나 전자현악기와 같은 타의 전자악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들면 연주입력검출수단을 구성하는 운궁조작속도 검출부나 토레모로아암조작속도검출부에서 검출된 시간적 변화경향에 대응한 제어 정보룔 출력하고, 이 제어정보에 따라서, 발생되는 악음의 팰러미터(음색이나 음량등)을 별개독립으로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Claims (19)

  1. 브레스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스검출수단과, 상기 브레스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브레스조작력의 소정시간당의 변화경향을 검출하는 경향검출 수단과, 상기 경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변화경향에 상응하여, 상호상이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발생할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는 음고 지정수단과, 상기출력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음고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가진 악음의 팰러미터를 별개 독립으로 가변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
  2. 립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립 검출수단과, 상기 립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립 조작력의 소정시간당의 변화경향을 검출하는 경향검출수단과, 상기 경향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변화경향에 상응하여, 상호상이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발생된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는 음고지정수단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음고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되어 있는 음고를 가진 악음의 팰러미터를 별개독립으로 가변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
  3. 연주입력상태를 검출하는 연주입력검출수단과,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연주입력정보의 시간적 변화경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시간적 변화경향에 대응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정보에 따라서 발생되어질 악음의 팰러미터를 별개독립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은 브레스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스센서수단으로 된 전자악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은 립조작시에 있어서의 립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립센서수단으로 된 전자악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연주입력정보를 대응하는 디지탈치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디지탈치의 소정시간 경과마다 검출하고, 당해 디지탈치가 증가경향이 있을 경우와 감소경향이 있을 경우와는, 상호상이한 제1 및 제2의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연주입력정보는 발생되어지는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1제어 정보는, 상기 연주입력정보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높은음고로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동시에 제1의 특수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2제어정보는, 상기 연주입력정보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낮은음고로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동시에, 상기 제1의 특수효과음과 상이한 제2의 특수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로 되는 전자악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며 검출된 연주입력정보를, 대응하는 디지탈치에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디지탈치를 소정시간경과마다 검출하는 디지탈치 검출수단과, 상기 디지탈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디지탈치를 적어도 3회이상 연속판독 입력하고, 그 판독입력한 디지탈치가 증가 경향에 있는가, 감소경향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 의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디지탈치가 증가 경향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제1제어 정보와상기 디지탈치가 감소경향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제2제어 정보와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연주입력정보는 발생될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기 의한 정보이고, 상기 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1제어정보는 상기 연주입력정보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높은 음고로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동시에, 제1의 특수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2제어정보는 상기 연주입력정보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낮은음고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동시에, 상기 제1의 특수효과음과 상이한 제2의 특수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로 되는 전자악기.
  10. 발생될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는 음고지정수단과, 연주입력상태를 검출하는 연주 입력검출수단과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연주입력정보의 시간적 경과에 따라서 변화상태의 태양을 검출하는 변화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변화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변화상태의 태양에 대응하여, 상기 음고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가진 악음의 팰러미터를 독립하여 가변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제어 정보출력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은 브레스 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스센서수단으로 된 전자악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은, 립조작시에 있어서의 립조작상태를 검출하는 립센서수단으로 된 전자악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출력수단은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연주입력정보를, 대응한 디지탈치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디지탈치의 소정시간경과마다 검출하고, 당해 디지탈치가 증가 경향에 있는 경우와 감소경향에 있는 경우와는 상호상이한 제1 및 제2의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1제어 정보는, 상기 음고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높은음고로 변경하는 정보인 동시에, 제1의 특수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2제어정보는, 상기 음고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낮은 음고에 변경하는 정보인 동시에, 상기 제1의 특수효과음과 상이한 제2의 특수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로 되는 전자악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수단은, 상기 연주입력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연주입력정보를 대응하는 디지탈치에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디지탈치를 소정시간경과마다 검출하는디지탈치 검출수단과, 상기 디지탈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디지탈치를 적어도 3회 이상 연속하여 판독입력하고, 그 판독입력한 디지탈치가 증가경향에 있는가, 감소경향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판단수단에 의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디지탈치가 증가경향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제1제어정보와 상기 디지탈치가 감소경향에 있음을 표시하는 제2제어 정보와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과를 보유하는 전자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1제어 정보는, 상기 음고 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높은음고로 변경하는 정보인 동시에, 제1의 특수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2제어 정보는, 상기 음고지정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를 낮은 음고로 변경하는 정보인 동시에 상기 제1의 특수효과음과 상이한 제2의 특수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로 되는 전자악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출력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정보에 의하여 제어된 상기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발생수단을 다시 보유하는 전자악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고지정수단은, 악기 본체상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발생수단 및 상기 음고지정수단은 악기 본체상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악기.
KR1019890006900A 1988-05-23 1989-05-23 악음 팰러미터 제어기능부설 전자악기 KR920006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67775U JPH01172100U (ko) 1988-05-23 1988-05-23
JP63-67775(U) 1988-05-23
JP63-67775 1988-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654A KR890017654A (ko) 1989-12-16
KR920006566B1 true KR920006566B1 (ko) 1992-08-08

Family

ID=1335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900A KR920006566B1 (ko) 1988-05-23 1989-05-23 악음 팰러미터 제어기능부설 전자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10801A (ko)
JP (1) JPH01172100U (ko)
KR (1) KR920006566B1 (ko)
GB (1) GB22207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324B2 (ja) * 1989-12-15 1996-06-19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JP3092808B2 (ja) * 1989-12-20 2000-09-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弦楽器
US5278350A (en) * 1990-01-19 1994-01-11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generating musical tone approximate to acoustic instrument for generating a sustaining tone, and musical tone control apparatus used in this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722795B2 (ja) * 1990-08-08 1998-03-09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合成装置
US5543580A (en) * 1990-10-30 1996-08-06 Yamaha Corporation Tone synthesizer
EP1585107B1 (en) * 2004-03-31 2009-05-13 Yamaha Corporation Hybrid wind instrument selectively producing acoustic tones and electric tones and electronic system used therein
JP4258498B2 (ja) * 2005-07-25 2009-04-30 ヤマハ株式会社 吹奏電子楽器の音源制御装置とプログラム
US7723605B2 (en) * 2006-03-28 2010-05-25 Bruce Gremo Flute controller driven dynamic synthesis system
EP2180825A4 (en) * 2007-08-28 2013-12-04 Neurofocus Inc EVALUATION SYSTEM OF THE EXPERIENCE OF A CONSUMER
JP6435644B2 (ja) * 2014-05-29 2018-1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楽器、発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8500A (en) * 1936-10-28 1938-11-29 Miessner Inventions Inc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usic
US2301184A (en) * 1941-01-23 1942-11-10 Leo F J Arnold Electrical clarinet
US2868876A (en) * 1951-06-23 1959-01-13 Ticchioni Ruggero Vocal device
US3439106A (en) * 1965-01-04 1969-04-15 Gen Electric Volume control apparatus for a singleton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3429976A (en) * 1966-05-11 1969-02-25 Electro Voice Electrical woodwind musical instrument having electronically produced sounds for accompaniment
US3767833A (en) * 1971-10-05 1973-10-23 Computone In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3938419A (en) * 1974-05-20 1976-02-17 David De Rosa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E2535181A1 (de) * 1975-08-06 1977-02-24 Cmb Colonia Management Elektronisches musikinstrument
US4193332A (en) * 1978-09-18 1980-03-18 Richardson Charles B Music synthesizing circuit
US4458690A (en) * 1982-05-24 1984-07-10 Novatec, Inc. Blood pressure monitor
US4580479A (en) * 1983-02-28 1986-04-08 Octave-Plateau Electronics Inc. Guitar controller
US4864625A (en) * 1985-09-13 1989-09-05 Casio Computer Co., Ltd. Effec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R2598017B1 (fr) * 1986-04-25 1990-10-05 Dianous Herve De Dispositif de commande d'un synthetiseur de frequences par un instrument de musique a cordes frottees.
US4765219A (en) * 1986-08-15 1988-08-23 Alm John A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915008A (en) * 1987-10-14 1990-04-10 Casio Computer Co., Ltd. Air flow response typ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919032A (en) * 1987-12-28 1990-04-24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instrument with a pitch data delay function
JPH01115795U (ko) * 1988-01-30 1989-08-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911713D0 (en) 1989-07-05
GB2220784A (en) 1990-01-17
US5010801A (en) 1991-04-30
JPH01172100U (ko) 1989-12-06
KR890017654A (ko) 1989-12-16
GB2220784B (en) 199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9592B2 (ja) 電子鍵盤楽器
KR920006566B1 (ko) 악음 팰러미터 제어기능부설 전자악기
CN112466265A (zh) 电子吹奏乐器及其控制方法
JP7140083B2 (ja) 電子管楽器、電子管楽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122641A (ja) 電子管楽器
JPH0546170A (ja) 吹奏楽器型センサ
JP2605761B2 (ja) 電子管楽器
JP6703304B2 (ja) 楽音制御装置、電子管楽器、楽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5150775A (ja) 電子管楽器
JP6710432B2 (ja) 楽音制御装置、電子楽器、楽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67418A (ja) 電子管楽器、楽音発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S6359157B2 (ko)
JP3252914B2 (ja) 電子管楽器
JPH03126093A (ja) 電子楽器
JP2002006838A (ja) 電子楽器及びその入力装置
JPH0412558Y2 (ko)
JPH079575B2 (ja) 空気流応答型電子楽器
JPH0219469B2 (ko)
JP3384297B2 (ja) 電子楽器
JP2604431B2 (ja) 電子管楽器
JP2510095Y2 (ja) 電子管楽器
JP6758593B2 (ja) 電子管楽器、楽音発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432394B2 (ko)
JPH0414099A (ja) 電子楽器
JPH07111628B2 (ja) 空気流応答型発音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