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048B1 - 인터로이킨-2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로이킨-2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048B1
KR920005048B1 KR1019850002345A KR850002345A KR920005048B1 KR 920005048 B1 KR920005048 B1 KR 920005048B1 KR 1019850002345 A KR1019850002345 A KR 1019850002345A KR 850002345 A KR850002345 A KR 850002345A KR 920005048 B1 KR920005048 B1 KR 920005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nterleukin
aqueous solution
solu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378A (ko
Inventor
야스시 미꾸라
겐스께 아사다
하지메 도구찌
Original Assignee
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바야시 이꾸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7156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156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13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224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371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97527A/ja
Application filed by 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바야시 이꾸시로 filed Critical 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13IL-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948Microorganisms using viruses or cell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0Chemistry: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peptides or proteins; ligni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Y10S530/827Proteins from mammals or birds
    • Y10S530/828Can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30/00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01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14Lymphokine; related peptides
    • Y10S930/141Interleu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터로이킨-2의 안정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약제로서 유용한 인터로이킨-2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로이킨-2(이하에서는 때때로 약자 IL-2로 표기한다)는 생체내 면역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암의 제거 또는 면역절충 상태로부터의 회복 또는 그 개선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공헌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T세포 및 천연 킬러세포의 성장인자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단백질이다[Nature, 302, 305-310(1983)]. 이러한 생리학적 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IL-2는 새로운 형태의 항암제 또는 면역결핍에 대한 치료제로 이용될 것이 매우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IL-2가 불안정하고 냉동 또는 동결건조과정 중에 또는 동결건조후의 보존과정중에 특히 동결건조중의 건조단계에서 그 활성을 쉽게 상실하고 동결건조된 IL-2 제제를 재용해시켜 수득한 용액이 통상적으로 혼탁한 것으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IL-2를 치료를 목적으로 하여 사용하는데 있어 매우 불리한 점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는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안정한 IL-2 조성물을 생산하는데 성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인체 혈청알부민, 환원 화합물 또는 그 둘을 동시에 함유하고 pH가 3∼6인 용액상의 IL-2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행함에 있어서, IL-2는 어떠한 포유동물에서 유래한 것이어도 좋지만 특히 인체 유래 IL-2가 바람직하다. IL-2는 천연물 또는 재조합 DNA가 술에 의한 생성물이어도 좋지만 후자가 바람직하다.
IL-2는 보통 IL-2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한다.
IL-2의 바람직한 예는 유전자 조작에 의해 생성된 비글리코실화 인체 IL-2로써 하기의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1
식중 X는 메티오닌 또는 수소이다. 또한 이들의 혼합물도 쓰인다.
상기 식(I)에서, 각 아미노산은 생화학 명명법의 IUPAC-IUB에 의거한 약어로 나타내었다.
IL-2는 바람직하게는 20,000∼80,000활성단위/mg의 비활성을 갖고 또 이것은 1∼80,000활성단위/ml, 바람직하게는 10∼50,000활성단위/ml, 더 바람직하게는 50∼5,000활성단위/ml의 활성을 갖는 IL-2 수용액의 형태로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원료물질인 상기의 IL-2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같은 염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IL-2 정제 과정중에 상기의 용액이 염에 오염된 경우에는 사용하기전에 한외여과등으로 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 혈청알부민(이하에서는 약어"HSA"로 표기한다)은 어느 등급이어도 괜찮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임상학적으로 적용할때에는, 상기의 HSA는 비경구투여에 허용되는 품질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건강한 사람의 혈장을 원료로 하여 에탄올 부분분리법의 콘(Cohn)의 여섯번째 방법으로 부분분리하고 정제한 HSA를 출발물질로 사용한다[J.Am.Chem.Soc.68, 459-475(1946)].
상기한 HSA는 또한 안정제로서 아세틸트립토판 소듐 또는 소듐 카프릴레이트를 함유할 수도 있다.
HSA의 첨가량은 상기한 범위내의 IL-2 농도를 갖는 IL-2 수용액 1ml당 바람직하게 0.1∼50mg, 더 바람직하게는 0.5∼20mg이다.
환원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환원 화합물이고 따라서 글루타치온(환원된 형태; 이하에서는 간단히 글루타치온이라 한다), 티옥트산, N-아세틸시스테인, N-아세틸호모시스테인, 티오디글리콜, 티오에탄올아민, 모노티오글리세롤, 디티오트레이톨 및 1∼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티오알카논산(예, 티오글리콜산, 티오말산), 및 아스코르브산 및 그들의 염 같이 설퍼를 함유하는 환원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것은 글루타치온, 티옥트산, N-아세틸시스테인 및 아스코르브산 등의 산성화합물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글루타치온 및 아스코르브산이다.
상기한 환원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둘 또는 이상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환원 화합물은 상기한 범위내의 농도를 갖는 IL-2 수용액 1ml당 0.01mg 보다 적지 않은 양,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20mg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HSA 및 환원화합물을 상기한 범위내에서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둘중 하나만을, 바람직하게는 HSA 하나만을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은 나아가 아미노산, 특히 글리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및 프롤린 같은 모노아미노지방족 아미노산 및 고리족 아미노산, 글루코오스 및 만노오스 같은 단당류, 소르비톨 및 만니톨 같은 당알코올, 및 그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유도체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부가적인 첨가물 중에 글리신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부가적 첨가물들은 상기한 IL-2 수용액 1ml당 단당류 및 당알코올은 10∼100mg의 양 그리고 아미노산은 5∼50mg의 양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은 나아가 염화나트륨 같은 등장제, 숙신산, 타르타르산 또는 시트르산 같은 완충용액,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IL-2 조성물은 동결건조과정중의 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볼때 염화나트륨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을 pH 3∼6, 바람직하게는 3∼5.5,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5로 하기 위해서는, 산성 환원화합물 또는 글루탐산 같은 산성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또는 더 필요하거나 산성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염산 또는 인산 같은 무기산, 또는 숙신산, 타르타르산 또는 시트르산 같은 유기산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특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조성물의 pH를 조절한다.
상기 IL-2 조성물의 안정성은 IL-2 조성물 용기내의 공간을 제거하거나, 그 공간을 질소로 채움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동결물질, 동결건조물 등의 형태, 특히 동결건조물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 : 1∼80,000활성단위/ml 농도의 IL-2 수용액에 HSA 및/또는 환원화합물을 예정된 농도만큼 가한 후, 상기한 방법대로 pH 조정을 한다.
예를들면, 단당류, 당알코올 및 아미노산을 상기한 각각의 농도대로 가할 수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등장제, 계면활성제등을 더 가할 수 있다. HSA외의 다른 물질들을 가할 경우에 pH 조정은 상기한 방법대로 최종 수용액이 상기 범위내의 pH를 갖도록 실시한다. 이렇게하여 수득한 IL-2 조성은 하기에 설명할 방법에 따라 동결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생산해내는 원료물질로 이용된다.
예를들어, IL-2 조성물의 동결물은 상기 수용액을 -80°∼-20℃에서 동결시킴으로써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동결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80°∼-10℃에서 보관한다.
예를들어, IL-2 조성물의 동결건조물은 상기한 동결된 조성물을 감압하에 공지의 방법대로 건조시키거나 또는 상기의 수용액 또는 상기의 동결된 조성물을 녹여 만든 수용액을 상기 방법대로 동결시키고, 원하는 대로 분배한 후 공지의 방법에 의해 감압하에 생성된 동결된 조성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생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용액 형태의 IL-2 조성물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생산된 IL-2, HSA 또는/및 환원 화합물, pH 조정제 등을 함유한 동결건조물을 단당류, 당알코올,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필요하다면 염산으로 pH를 조정한 용매에 재용해시킴으로써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된 IL-2 조성물을 주사용 제제로 생산할 경우에는 각각 멸균 여과를 시킨 IL-2 함유 수용액과 첨가물 함유 수용액을 혼합하거나 또는 IL-2 함유 수용액 및 첨가물 함유 수용액의 혼합물을 멸균 여과시켜 정제한 후, 혼합물을 무균 상태로 바이알 등에 분배하고 바이알내의 혼합물을 상기 방법대로 동결건조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결건조물을 아미노산, 단당류 또는 당알코올 등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용해시킬 경우에는, 수용액을 멸균여과시킨 후 앰풀 등에 분배하고 용매로 사용하기 전에 오토클레이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은 보관, 동결 및 동결건조 과정중에 생기는 IL-2 활성의 감소가 최소이고, 동결건조물로 사용할때 그를 용해시킨 용액이 맑고 투명하다는 특성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 특히 동결건조물의 형태는 개선된 외곽을 가지며 용기벽에의 흡착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동결건조했을때 아미노산을 함유한 조성물 또는 개선된 외관을 보인다. 또한 주사에 의한 투여시의 고통도 효과적으로 경감된다.
단당류 함유 조성물 또한 주사에 의한 투여시 고통 완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이 제공한 IL-2 조성물중에, 동결건조물은 안정화된 IL-2 분말로 수득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주사용 제제로 사용할때, 동결건조물을 예를들면 0.5∼100ml의 주사용 증류수 또는 생리 식염수에, 또는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동결건조물과 조성이 비슷한, 즉 글리신 같은 아미노산, 글루코오스 등의 단당류 또는 필요하다면 pH 조정제로서의 만나톨 같은 당알코올을 함유한 수용액 0.5∼100ml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근육내 또는 정맥 내 투여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적당한 담체, 부형체 또는 희석제를 이용하여 만든 구강, 비강, 눈 또는 귀를 통한 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은 독성이 낮으며, 공지의 IL-2 제제와 같은 목적 및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내에 활성단위(U)로 나타낸 IL-2 활성 데이타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얻었다 : 즉, IL-2 함유시험시료를 IL-2 농도의존방식으로 증식할 수 있는 생쥐 세포주의 배지내 현탁액에 가한다. 배양후, 삼중수소화 티미딘의 흡수를 지표로 삼아 상기 세포주의 증식을 결정한다. 분석에 있어, 표준 IL-2(IU.ml)를 항상 시험시료와 비교하면서 사용하고 그 둘의 활성비로부터 시험 사료의 활성을 활성단위로 계산한다.
특히, IL-2 의존 생쥐 세포주[NKC 3; Hinuma etal.,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09, 363(1982)]는 20% FCS(태내송아지 혈청)을 가한 인체 IL-2 함유 조정배지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5% CO2존재하에 37℃에서 준배양함으로써 유지시킨다. 세포를 무혈청 RPMI 1640 배지로 두번 세척하고 20% FCS 첨가-RPMI 1640 배지에 6×105세포/ml의 농도가 되도록 재현탁시킨다.
모든 IL-2 함유 시험 시료를 96웰의 평평한 바닥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Nunc.덴마아크)의 제1열 웰에 50μℓ씩 분배하고, 각 웰 마다 50μℓ의 20% FCS 첨가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제12열이 될때까지 2배씩 희석해 나간다. 그리고 상기 NKC3 세포 현탁액을 50μℓ씩 각 웰에 가한다. 5% CO2존재하에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는데, 20시간 배양후 각 웰에 1μCi의 삼중수소화 티미딘(Amersham, 영국)을 가한다. 세포수집기(Flow, 미국)를 사용하여 유리 여과기에 세포를 수집하고 액체 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삼중수소화 티미딘의 흡수를 측정한다. 동시에, 표준 IL-2 시료의 삼중수소화 흡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을 수행한다.
활성 단위(U)의 계산을 프로피트 방법[Journal of Immunology, 120, 2027(1978)]에 따라 수행한다. 표준 IL-2 시료(37℃, 5% CO2존재하에 40μg의 콘카나발린 A 및 15ng/ml의 12-0-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13-아세테이트를 가한 10% FCS 첨가 RPMI 1640 배지에서 5×106/ml의 인체 말초 혈액 림포사이트를 48시간 배양한 배양 상층액의 활성을 1U/ml로 정의한다. 희석물중의 최대 흡수를 100%으로 간주하고, 각 희석 단계의 흡수 %를 계산한다. 얻어진 수치를 보통 확률지에 플로트하고 50% 흡수에 해당하는 희석률을 그래프를 통해 결정한다.) 각 IL-2 함유시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50% 흡수에 해당하는 희석률을 결정한다.
시료의 IL-2 농도(U/ml)를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
Figure kpo00002
하기의 참고예에 기재된 형질 전환된 에스케리키아 콜리 DH 1/pTF4는 일본국 재단법인 발효연구소(IFO)에 IFO-14299로 기탁되어 있으며, 1984년 4월 6일부터는 일본국 통상 산업성 공업 기술원 미생물 공업 기술 연구소(FRI)에 FREM BP-628로 기탁되어 있다.
하기의 실시예 및 참고예에서 본 발명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거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에에서 사용한 원료용액은 참고예에 설명한 방법에 의해 수득한 비글리코실화 인체 IL-2 단백질 용액이다.
[실시예 1]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시켜 조제한 2,450활성단위의 인체 IL-2 함유 수용액(0.5ml)에 10mg의 글루타치온 또는 아스코르브산 함유 용액(0.5ml)을 멸균 여과시킨 후 가한다. 이렇게 수득한 두 수용액(각 1ml, 각각 pH 3.4 및 pH 3.5)을 바이알에 넣어 -40℃에서 동결시키고 동결건조시킨다. 그리고 바이알내의 빈 공간을 N2가스로 채우고 밀봉한다.
글루타치온 또는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지 않은 수용액 동일량과 글루타치온 또는 아스크로브산 대신 동결건조제조에 자주 쓰이는 만니톨 25mg을 함유한 수용액 동일량을 대조로 사용하여 동일 방법으로 동결건조시킨다.
이 동결건조물을 각각 1ml의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용해도(정화도) 및 역가를 검사한다. 역가에 대하여는, 동결건조전의 수용액의 역가를 100%로 간주하고 잔류%를 계산한다. 제1표의 결과가 나타내듯이, 본 발명에 IL-2 조성물은 대조에 비해 용해도 및 잔류역가에 있어 월등하게 우세하다.
[표 1]
Figure kpo00003
[실시예 2]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시켜 제조한 7,680활성단위의 인체 IL-2 함유 수용액(0.5ml)에 2mg의 글루타치온 또는 아스크로브산 함유용액(0.5ml)을 멸균여과한 후 가한다. 이렇게 수득한 두 수용액(각 1ml, 각각 pH 3.6 및 pH 3.7)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시키고, 동결건조물에 대해 조작후 즉시 용해도에 대해 그리고 25℃에서 한달간 보조후 용해도 및 잔류 역가에 대한 검사를 한다. 얻은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04
[실시예 3]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시켜 제조한 7,680활성단위의 인체 IL-2 함유 수용액(0.5ml)에 5ml의 HSA, 2mg의 글라타치온 또는 아스크로브산 함유하는 용액(0.5ml)을 멸균 여과시킨 후 가한다. 이렇게 얻은 두 수용액(각 1ml, pH 4.1 및 pH 4.2)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시키고, 동결건조물에 대해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해도 및 잔류역가를 검사한다.
그 결과를 제 3 표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kpo00005
[실시예 4]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시켜 제조한 7,680 활성단위의 인체 IL-2 함유 수용액(0.5ml)에 5mg의 HSA, 9mg의 염화나트륨 및 2mg의 글루타치온 또는 아스크로브산을 함유하는 용액(0.5ml)을 멸균 여과한 후 가한다. 두 수용액(각 1ml, pH 4.1 및 pH 4.2)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동결건조하고, 동결건조물에 대해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해도 및 잔류역가 검사를 실시한다.
결과를 제 4 표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kpo00006
실시예 5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하여 제조한 7,680활성단위의 인체 IL-2 함유 수용액(0.5ml)에 50mg의 만니톨 및 2mg의 글루타치온 또는 아스코르브산 함유 용액(0.5ml)을 멸균 여과시킨 후 가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두 수용액(각 1ml, 각각 pH 3.4 및 pH 3.6)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동결건조시키고 결건조물에 대해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해도 및 잔류역가를 검사한다.
결과를 제 5 표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kpo00007
* 25℃에서 6일간 보관후 측저한 데이타.
[실시예 6]
원료 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하여 제조한 23,350 활성단위의 인체 IL-2 함유 수용액(0.5ml)에 5mg의 글루타치온 및 23mg의 글리신 완충용액을 함유하는 수용액(0.5ml)을 멸균 여과시킨후 가한다. 이렇게 얻은 수용액(1ml, pH 3.7)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시키고, 동결건조물에 대해 조작후 즉시 및 40℃에서 3주간 보존한후에 용해도 및 잔류역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다.
결과를 제 6 표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kpo00008
[실시예 7]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하여 조제한 1,790 또는 130 활성단위의 인체 IL-2 함유수용액(0.5ml)에 2mg의 글루타치온, 5mg의 HSA 및 9mg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0.5ml)을 멸균 여과시킨 후 가한다. 이렇게 수득한 두 수용액(각 1ml, 둘다 pH 3.9)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하고, 조작후 즉시 및 40℃에서 1주일간 보존한후 동결건조물의 용해도 및 잔류역가에 대해 검사한다.
결과를 제 7 표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kpo00009
[실시예 8]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하여 제조한 1,860 또는 116 활성단위의 인체 IL-2 함유수용액(0.5ml)에 2mg의 글루타치온, 1mg의 HSA 및 23mg의 글리신 완충용액을 함유하는 수용액(0.5ml)을 멸균 여과시킨 후 가한다. 두 수용액(각 1ml, pH 3.8 및 pH 3.9)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하고 조작후 즉시 및 40℃에서 1주일간 보존한후 동결건조물의 용해도 및 잔류역가에 대해 검사한다.
결과를 제 8 표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kpo00010
[실시예 9]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하여 조제한 17,600 활성단위의 인체 IL-2를 함유하는 수용액(0.5ml)에 5mg의 HSA를 함유하고 pH가 4인(염산으로 조절한다) 멸균시킨 수용액(0.5ml) 또는 5mg의 HSA 및 9mg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고 pH가 4인(염산으로 조절한다) 멸균시킨 수용액(0.5ml)을 가한다. 이렇게 얻어진 두 수용액(각 1ml)을 바이알에 넣고, -40℃에서 동결시키고, 동결건조시킨다. 그 후에 바이알 내의 빈 공간을 N2가스로 채우고 바이알을 밀봉한다.
이 동결건조물을 조작후 바로 또는 40℃에서 0.5개월 동안 보존한후 각각 1ml의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용액에 대해 용해도(정화도) 및 역가 검사를 실시한다. 역가에 관해서는, 동결건조시키기 전의 수용액의 역가를 100%로 잡고 여기에 근거하여 잔류 %를 계산하였다. 제 9 표에 나타낸 결과가 지시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은 용해도 및 잔류역가에 있어서 현저하게 뛰어나다.
[표 9]
Figure kpo00011
[실시예 10]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시켜서 제조한 4,115 활성단위/ml의 인체 IL-2를 함유하는 수용액(0.5ml)에 5mg의 HSA, 5mg의 HSA+9mg의 염화나트륨, 5mg의 HSA+23mg의 글리신, 또는 5mg의 HSA+50mg의 만니톨을 함유하고 pH가 4.0(염산으로 조절한다)인 멸균시킨 수용액(0.5ml)을 가한다. 얻어진 4종류의 수용액(각 1ml)을 바이알에 넣고, -40℃에서 동결시키고, 동결건조시킨다. 그후에 바이알의 빈 공간을 N2가스로 채우고 각 바이알을 밀봉한다. 대조로서는, IL-2만의 수용액 및 pH조절제를 함유하지 않는 여러 종류의 IL-2 수용액을 동량 사용하고, 상기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시킨다.
이 동결건조물들에 대해 외관 검사를 한후, 각각 1ml의 주사용 증류수, 0.9% 생리 식염수, 5% 글루코오스 수용액, 5% 소르비톨 수용액 또는 5% 만니톨 수용액에 재용해시키고, 용액들에 대해 pH 및 용해도(정화도) 검사를 한다.
제10표에 나타낸 결과대로,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은 대조물에 비해 그 용해도에 있어 현저하게 뛰어나다. 특히 HSA 및 글리신이 함유되고 약 4의 pH를 갖는 동결건조물은 용해도에서 뛰어나다.
[표 10]
Figure kpo00012
[실시예 11]
실시예 9의 방법에 의해 얻고 여과를 통해 대장균을 제거하고 1,620 또는 128 활성단위의 IL-2, 5mg의 HSA 및 23mg의 글리신을 함유하며 pH가 4.0인(염산으로 조정한다) 두 수용액(각 1ml)을 실시예 9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건조시키고 동결건조물에 대해 조작후 즉시 그리고 40℃에서 1주, 2주 및 4주일간 보존한후 실시예 9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해도 및 잔류역가 검사를 실시한다.
얻어진 결과를 제11표에 나타내었다.
[표 11]
Figure kpo00013
[실시예 12]
원료용액을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하고 멸균 여과시켜 제조한 2,450 활성단위의 인체 IL-2를 함유하는 수용액(0.5ml)에 주사용 증류수(0.5ml), 10mg의 글루타치온, 글루타치온 디소듐염, 아스코르브산 또는 소듐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멸균 여과액(0.5ml) 또는 염산에 의해 산성상태로 조정되고 10mg의 글루타치온 디소듐염 또는 소듐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멸균 여과액(0.5ml)을 가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7종류의 수용액을 바이알에 넣고, -40℃에서 동결시키고, 동결건조 시킨다. 그후에 바이알내의 빈 공간을 N2가스로 채우고 바이알을 밀봉한다. 이 동결건조물들을 각 1ml의 주사용 증류수에 재용해 시키고, 용액에 대해 pH 및 용해도(정화도) 검사를 실시한다. 제12표에 나타낸 결과가 지시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IL-2 조성물은 대조에 비해 용해도에 있어 월등하게 뛰어나다.
[표 12]
Figure kpo00014
참고예
비글리코실화 인체 IL-2 단백질용액의 제조방법
(i) 한국 특허출원 제 7430/1984호 명세서의 실시예 3에서 수득한 인체 IL-2 유전자 함유 형질전환체 에스케리키아콜리(이.콜리) DH1/pTF4를 250-ml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 내의 1% 박토 트립톤(디프코 실험실, 미합중국), 0.5% 박토 효모추출액(디프코 실험실, 미합중국), 0.5% 염화나트륨 및 7μg/ml 테트라시클린을 함유하는 액체 배지(pH7.0) 50ml에 접종한 후 회전 진탕 배양법으로 37℃에서 밤새 배양한다. 배양액을 0.5% 카사미노산, 0.5% 글루코오스 및 7μg/ml 테트라시클린을 함유하는 M9 배지 2.5l를 포함하는 5l용 단지 발효기에 옮기고 37℃에서 4시간 동안 통기와 교반을 실시한 후, 3-β-인돌릴아크릴산(25μg/ml)을 가하고 동일 조건하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배양액(2.5l)을 원심분리하고 세포를 수집하고 -80℃에서 동결시키고 보존한다.
(ii) 상기(i)에서 수득하고 동결상태에서 보관시킨 세포(37.5g)을 7M 구아니딘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0.1M 트리스. HCl을 함유하는 500ml의 여과용매(pH7.0)에 균일하게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4℃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생성된 분해물 용액을 28,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453ml의 상층액을 수득한다.
(iii) 상기(ii)에서 수득한 상층액을 0.01M 트리스. HCl 완충용액(pH8.5)을 이용하여 투석하고 19,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얻어진 상층액(458ml)을 단백질 흡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사전에 미리 0.01M 트리스. HCl 완충용액(pH8.5)으로 평형화한 DE52(DEAE-셀루로오스, 화트만, 영국)컬럼(50ml 부피)에 채운다. 선형 NaCl 농도 구배(0∼0.15M NaCl, 1l)를 형성함으로써 IL-2를 용출시킨다. 활성분획(105ml)을 합하고, YM-5막(아미콘,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10.2ml로 농축시키고, 0.1M 트리스. HCl(pH8.0)-1M NaCl 완충용액으로 평형화한 세파크릴 S-200(파미시아, 스웨덴)컬럼 (500ml부피)을 이용하여 겔 여과시킨다. 활성분획(56ml)을 YM-5막을 이용하여 4.9ml로 되게 농축시킨다. 얻어진 농축물을 울트라포어 RPSC(알텍스, 미합중국)컬럼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 용출계를 이용하여 고수율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한다.
컬럼, 울트라 포어 RPSC(4.6×75cm) ; 컬럼온도 ; 30℃ ; 용리액 A,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99.9% 물 ; 용리액 B,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99.9% 아세토니트릴, 용출 프로그램, 0분(68%A+32% B)-25분(55%A+45%B)-35분(45%A+35%B)-45분(30%A+70%B)-48분(100%B) ; 용출속도, 0.8ml/분 ; 검출파장, 230nm. 상기 조건하에서 약 39분의 체류시간을 나타내는 활성분획을 수집하고 7.5mg의 비글리코실화 인체 IL-2 단백질[비활성, 30,000U/mg ; 출발물질로부터의 활성 회수율, 48.2% ; 단백질의 순도 9%(농도계로 측정한다)]을 함유하는 용액 15ml을 수득한다.

Claims (25)

  1. 인터로이킨-2 수용액에 인체 혈청 알부민, 환원 화합물 또는 그 둘 모두가 첨가하고, 그 용액의 pH를 3∼6이 되도록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혈청 알부민, 환원 화합물 또는 그 둘 모두를 함유하고 pH3∼6을 나타내도록 조절된 용액상의 인터로이킨-2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터로이킨-2가 인체 인터로이킨-2인 방법.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인터로이킨-2가 재조합 인터로이킨-2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인체 인터로이킨-2가 비글리코실화된 인체 인터로이킨-2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인터로이킨-2가 20,000∼80,000 활성단위/mg의 비활성을 갖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터로이킨-2가 수용액상으로서 1∼80,000 활성단위/ml의 농도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염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인체 혈청 알부민을 함유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인체 혈청 알부민의 수용액상으로서 0.1∼50mg/ml의 농도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환원 화합물을 함유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환원 화합물이 산성 환원 화합물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산성 환원 화합물이 글루타치온, 티옥트산, N-아세틸시스테인, 1∼7 탄소원자의 티오알카논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환원 화합물이 수용액상으로서 0.05∼20mg/ml의 농도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인체 혈청 알부민 및 환원 화합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모노아미노 지방족 아미노산, 고리족 아미노산, 단당류, 당알코올 또는 이들을 병행하여 더 함유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모노아미노 지방족 아미노산을 더 함유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모노아미노 지방족 아미노산이 수용액상으로서 5∼50mg/ml의 농도인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가 3∼5.5인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수용액, 동결물, 또는 동결건조물의 형태인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동결건조물의 형태인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동결된 조성물을 얻기위해 생성된 용액을 더 동결시키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동결건조된 조성물을 얻기위해 생성된 용액을 더 동결건조 시키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을 산성 환원 화합물, 산성 아미노산, 무기산 또는 완충용액 또는 유기산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수용액을 무기산으로 조절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수용액을 산성 환원 화합물로 조절하는 방법.
KR1019850002345A 1984-04-09 1985-04-08 인터로이킨-2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 KR920005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568 1984-04-09
JP71568/1984 1984-04-09
JP59071568A JPS60215631A (ja) 1984-04-09 1984-04-09 インタ−ロイキン−2組成物
JP13226/1985 1985-01-25
JP60013226A JPS60222424A (ja) 1985-01-25 1985-01-25 インタ−ロイキン−2組成物
JP37184/1985 1985-02-25
JP60037184A JPS61197527A (ja) 1985-02-25 1985-02-25 インタ−ロイキン−2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378A KR850007378A (ko) 1985-12-04
KR920005048B1 true KR920005048B1 (ko) 1992-06-26

Family

ID=2728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345A KR920005048B1 (ko) 1984-04-09 1985-04-08 인터로이킨-2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4645830A (ko)
EP (1) EP0158487B1 (ko)
KR (1) KR920005048B1 (ko)
AU (1) AU579359B2 (ko)
CA (1) CA1285478C (ko)
DE (1) DE3583880D1 (ko)
DK (1) DK148885A (ko)
ES (1) ES8603271A1 (ko)
IE (1) IE58161B1 (ko)
IL (1) IL74823A (ko)
NZ (1) NZ211702A (ko)
PH (1) PH22897A (ko)
PT (1) PT802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5919A (en) * 1984-04-25 1990-05-15 Roland Mertelsmann Purified interleukin 2
US4992271A (en) * 1982-09-23 1991-02-12 Cetus Corporation Formulation for lipophilic IL-2 proteins
US5702699A (en) * 1982-09-23 1997-12-30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lipophilic proteins
US5643566A (en) * 1982-09-23 1997-07-01 Cetus Corporation Formulation processes for lipophilic proteins
US4853332A (en) * 1982-10-19 1989-08-01 Cetus Corporation Structural genes, plasmids and transformed cells for producing cysteine depleted muteins of biologically active proteins
US4569790A (en) * 1984-03-28 1986-02-11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microbially produced interleukin-2 and purified recombinant interleukin-2 compositions
DE3583880D1 (de) * 1984-04-09 1991-10-0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tabile interleukin-2-zusammensetzung.
US4908434A (en) * 1984-04-25 1990-03-13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Process for preparing purified interleukin-2
US4908433A (en) * 1984-04-25 1990-03-13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Uses of interleukin-2
US5393512A (en) * 1985-01-14 1995-02-28 Vanderheyden; Jean-Luc Stable therapeutic radionucl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JPH0645551B2 (ja) * 1986-01-07 1994-06-15 塩野義製薬株式会社 インタ−ロイキン−2組成物
US4933433A (en) * 1986-01-31 1990-06-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ombinant interleukin-2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it
CA1290249C (en) * 1986-04-09 1991-10-08 Cetus Corporation COMBINATION THERAPY USING INTERLEUKIN-2 AND/OR INTERFERON-.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
US4832686A (en) * 1986-06-24 1989-05-23 Anderson Mark E Method for administering interleukin-2
DE3621828A1 (de) * 1986-06-28 1988-01-14 Biotest Pharma Gmbh Stabilisierung eines fuer therapeutische zwecke, insbesondere beim menschen, bestimmten interleukin-2-praeparates sowie dieses praeparat enthaltende stabilisierte waessrige loesung oder feststoff
AU598300B2 (en) * 1986-09-04 1990-06-21 Cetus Corporation Succinylated interleukin-2 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5037644A (en) * 1986-10-27 1991-08-06 Cetus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recombinant interleukin-2 and formulation processes
CA1292686C (en) * 1986-10-27 1991-12-03 Ze'ev Shak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recombinant interleukin-2 and formulation process
US5508031A (en) * 1986-11-21 1996-04-16 Cetus Oncology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biological damage using a free-radial scavenger and interleukin-2
US4938956A (en) * 1987-04-01 1990-07-03 International Minerals & Chemical Corp. Synergistic immunostimulating composition and method
CA1339757C (en) 1987-04-16 1998-03-17 Robert F. Halenbeck Production of purified biologically active, bacterially produced recombinant human csf-1
US4931543A (en) * 1987-05-11 1990-06-05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microbially produced interleukin-2
US5004605A (en) * 1987-12-10 1991-04-02 Cetus Corporation Low p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recombinant β-interferon
US5763394A (en) * 1988-04-15 1998-06-09 Genentech, Inc. Human growth hormone aqueous formulation
US5096885A (en) * 1988-04-15 1992-03-17 Genentech, Inc. Human growth hormone formulation
US5981485A (en) * 1997-07-14 1999-11-09 Genentech, Inc. Human growth hormone aqueous formulation
US5078997A (en) * 1988-07-13 1992-01-07 Cetus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terleukin-2 containing physiologically compatible stabilizers
FR2635527B1 (fr) * 1988-07-28 1992-06-12 Roussel Uclaf Il2 humaine recombinante non glycosylee sous forme reduite, son procede d'obtention et son application comme medicament
FR2639232A1 (fr) * 1988-10-21 1990-05-25 Sanofi Sa Medicaments contenant une interleukine-2 glycosylee
US5417970A (en) * 1988-10-21 1995-05-23 Sanofi Drugs containing a glycosylated interleukin-2
WO1990006127A1 (en) * 1988-12-06 1990-06-1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STABILIZED COMPOSITION OF INTERLEUKIN-1$g(b)
US5104651A (en) * 1988-12-16 1992-04-14 Amgen Inc. Stabilized hydrophobic protein formulations of g-csf
DE68912582T2 (de) * 1989-01-09 1994-08-11 Meiji Milk Prod Co Ltd Anti-hiv-mittel.
DE3900649A1 (de) * 1989-01-11 1990-07-12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zur abloesung eines analyten von seinem bindeprotein
CA1339070C (en) * 1989-01-26 1997-07-29 Wulf Droge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cysteine deficiency
US5140010A (en) * 1989-09-28 1992-08-18 Immunobiology Research Institute Stabilized aqueous formulations of thymopentin
IT1240314B (it) * 1989-09-28 1993-12-07 Immunobiology Research Institutes, Inc. Formulazioni acquose stabilizzate di piccoli peptidi.
US5116944A (en) * 1989-12-29 1992-05-26 Neorx Corporation Conjugates having improved characteristics for in vivo administration
US5580577A (en) * 1990-01-11 1996-12-03 Herzenberg; Leonard A. Method of treating the symptoms of human rhinovirus infection
US5270057A (en) * 1990-03-20 1993-12-14 Akzo N.V. Stabilized gonadotropin containing preparations
US5384132A (en) * 1990-03-20 1995-01-24 Akzo N.V. Stabilized gonadotropin containing preparations
US5252708A (en) * 1990-11-23 1993-10-12 Roussel Uclaf Preparation process for a protein containing at least one intramolecular disulphide bridge by oxidation, at a pH of less than 5.0 of corresponding reduced recombinant protein
ES2143457T3 (es) * 1991-03-19 2000-05-16 Huntsman International Tradin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masas espumadas basadas en elastomeros de poliurea.
FR2684878B1 (fr) * 1991-12-12 1994-02-11 Roussel Uclaf Composition pharmaceutique stabilisee d'il2 humaine recombinante non glycosylee sous forme reduit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5358708A (en) * 1993-01-29 1994-10-25 Schering Corporation Stabilization of protein formulations
WO1995002411A1 (en) * 1993-07-16 1995-01-26 Mallinckrodt Veterinary Limited Stabilised polypeptide growth factor formulation at low ph
US6242417B1 (en) 1994-03-08 2001-06-05 Somatogen, Inc.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hemoglobin
US6270757B1 (en) * 1994-04-21 2001-08-07 Genetics Institute, Inc. Formulations for IL-11
US6207641B1 (en) * 1995-03-10 2001-03-27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FN-γ inducing polypeptide or factor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IFN-γ susceptive diseases
US7135458B1 (en) * 1995-11-15 2006-11-14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Interferon-γ inducing polypeptid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monoclonal antibody thereto, and methods of use
US5656730A (en) * 1995-04-07 1997-08-12 Enzon, Inc. Stabilized monomeric protein compositions
US6540993B1 (en) 1995-06-27 2003-04-01 Wyeth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ing a topical formulation of IL-11
US6126933A (en) * 1995-06-27 2000-10-03 Genetics Institute Methods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s by administering IL-11
EP2311436A1 (en) 1998-04-27 2011-04-20 Altus Pharmaceuticals Inc. Stabilized protein crystals,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and methods of making them
US6979442B1 (en) 1998-08-17 2005-12-27 Pfizer Inc. Stabilized protein compositions
AU4314900A (en) * 1999-04-28 2000-11-17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Parenteral medicinal composition containing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 frag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same
DE19930676B4 (de) 1999-07-02 2006-01-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Insulin, Insulinderivaten und/oder deren Vorläufer in komplexen Mischungen bei deren Lagerung in wäßrigen Lösungsmitteln
IL149008A0 (en) * 1999-10-04 2002-11-10 Chiron Corp Stabilized liquid polypeptide-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6890896B1 (en) 1999-11-18 2005-05-10 Ceremedi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unteracting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ree radicals
EP1232174B1 (en) 1999-11-18 2013-05-01 Ischemi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unteracting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ree radicals
US6689353B1 (en) * 2000-06-28 2004-02-10 Bayer Pharmaceuticals Corporation Stabilized interleukin 2
WO2002092781A2 (en) * 2001-05-17 2002-11-21 Ceremedix, Inc. Peptide compounds for counteracting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ree radicals
DE10159245A1 (de) * 2001-12-03 2003-06-18 Degussa Stabile, saure, wässrige Lösung enthaltend alpha-Liponsäure(-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DE10204792A1 (de) * 2002-02-06 2003-08-14 Merck Patent Gmbh Lyophilisierte Zubereitung enthaltend Immuncytokine
US20040022792A1 (en) * 2002-06-17 2004-02-05 Ralph Klinke Method of stabilizing proteins at low pH
ES2321297T3 (es) 2003-01-08 2009-06-04 Novartis Vaccines And Diagnostics, Inc. Composiciones acuosas estabilizadas que comprenden inhibidor de la via del factor tisular (ivft) o variante del inhibidor de la via del factor tisular.
WO2007147590A2 (en) * 2006-06-22 2007-12-27 Gambro, Inc. Solution and method to reduce, treat and/or prevent oxidative stress and cell activation
RU2739078C2 (ru) 2010-04-27 2020-12-21 ЭсСиАйЭл Текнолоджи ГмбХ Стабильные во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белка MIA/CD-RAP
AR093297A1 (es) 2012-10-31 2015-05-27 Amgen Res (Munich) Gmbh Formulacion liquida que comprende un compuesto neutralizante de gm-csf
EP2914289B1 (en) 2012-10-31 2019-05-22 Takeda GmbH Lyophilized formulation comprising gm-csf neutralizing compound
MX2016002177A (es) 2013-08-30 2016-06-28 Takeda Gmbh Anticuerpos neutralizantes de gm-csf para usarse en el tratamiento de artritis reumatoide o como analgesicos.
BR112016025126B1 (pt) 2014-05-07 2024-02-15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Composição aquosa compreendendo anticorpo neutralizante de gmcsf, e uso da mesma
US10793327B2 (en) 2017-10-09 2020-10-06 Terumo Bct Biotechnologies, Llc Lyophilization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CA3130700A1 (en) 2019-03-14 2020-09-17 Terumo Bct Biotechnologies, Llc Lyophilization container fill fix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220141299A (ko) 2020-01-14 2022-10-19 신테카인, 인크. Il2 오르토로그 및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1756A (en) * 1981-04-14 1983-08-30 Immunex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human interleukin 2
US4404280A (en) * 1981-07-16 1983-09-13 Steven Gillis Process for preparing murine interleukin 2 in the presence of interleukin 1 from an interleukin 2 nonproducer malignant cell line and cell line therefor
DE3149360A1 (de) * 1981-12-12 1983-06-16 Biotest-Serum-Institut 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reinigung und/oder phytohaemagglutinin-abtrennung von human-interleukin-2"
US4447355A (en) * 1982-04-07 1984-05-08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tabilizing a tumor necrosis factor and a stable aqueous solution or powder containing the same
US4457916A (en) * 1982-08-31 1984-07-03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tabilizing Tumor Necrosis Factor and a stable aqueous solution or powder containing the same
US4490289A (en) * 1982-09-16 1984-12-25 Hoffmann-La Roche Inc. Homogeneous human interleukin 2
US4462940A (en) * 1982-09-23 1984-07-31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human β-interferon-like polypeptides
US4518584A (en) * 1983-04-15 1985-05-21 Cetus Corporation Human recombinant interleukin-2 muteins
JPS60115528A (ja) * 1983-11-28 1985-06-22 Takeda Chem Ind Ltd ヒトインタ―ロイキン―2蛋白質を含有する抗腫瘍用または免疫機能低下疾患治療用組成物
US4604377A (en) * 1984-03-28 1986-08-05 Cetus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microbially produced interleukin-2
US4530787A (en) * 1984-03-28 1985-07-23 Cetus Corporation Controlled oxidation of microbially produced cysteine-containing proteins
US4569790A (en) * 1984-03-28 1986-02-11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microbially produced interleukin-2 and purified recombinant interleukin-2 compositions
DE3583880D1 (de) * 1984-04-09 1991-10-0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tabile interleukin-2-zusammensetzung.
US4578335A (en) * 1984-05-21 1986-03-25 Immunex Corporation Interleukin 2 receptor
US4572798A (en) * 1984-12-06 1986-02-25 Cetus Corporation Method for promoting disulfide bond formation in recombinant prote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85478C (en) 1991-07-02
PT80247A (en) 1985-05-01
DK148885A (da) 1985-10-10
KR850007378A (ko) 1985-12-04
AU4083985A (en) 1985-10-17
DK148885D0 (da) 1985-04-02
IL74823A (en) 1989-07-31
EP0158487B1 (en) 1991-08-28
IE58161B1 (en) 1993-07-28
US4812557A (en) 1989-03-14
PT80247B (pt) 1987-10-20
AU579359B2 (en) 1988-11-24
ES542028A0 (es) 1985-12-16
NZ211702A (en) 1988-11-29
IL74823A0 (en) 1985-07-31
PH22897A (en) 1989-01-19
EP0158487A3 (en) 1987-08-19
IE850902L (en) 1985-10-09
EP0158487A2 (en) 1985-10-16
US4645830A (en) 1987-02-24
DE3583880D1 (de) 1991-10-02
ES8603271A1 (es) 198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048B1 (ko) 인터로이킨-2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
US4496537A (en) Biologically stable alpha-interferon formulations
CN1033738C (zh) 含有粒性的细胞集落刺激因子的稳定药剂及其生产方法
US6004549A (en) Crystalline protein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US4714611A (en) Stable composition of gamma-interferon
EP0364491A1 (en) Stabilized formulations of gamma interferons
EP064121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L-6 stabilized with a non-reducing sugar
EP0168008A2 (en) Stable composition of gamma-interferon
US5288487A (en) Human monocyte-macrophage-CSF preparations
US20030118548A1 (en) Human interferon-beta formulations
KR880002037B1 (ko) 인터페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5534251A (en) Stabilized il-1α medicinal composition
JPH07145070A (ja) 医薬組成物
JPH0361652B2 (ko)
CN1660407A (zh) 含胸腺五肽的液体制剂及其制备方法
JPH0378847B2 (ko)
RU2107511C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рекомбинантного негликозилированного интерлейкина человека в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м виде il-2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AU629549B2 (en) Homogeneous dimeric m-csf and storage stable formulations thereof
EP0385385B1 (en) Human monocyte-machrophage-CSF preparations
JPS61197527A (ja) インタ−ロイキン−2組成物
KR960013439B1 (ko) 안정한 상피세포 성장인자(egf) 조성물
EP0401379B1 (en) STABILIZED COMPOSITION OF INTERLEUKIN-1$g(b)
JP2589094B2 (ja) 抗悪性腫瘍剤
RU2252752C2 (ru) Готов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инсулина человека короткого действия
JPS60155136A (ja) γ型インタ−フエロ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