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58B1 -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58B1
KR920003958B1 KR1019890009904A KR890009904A KR920003958B1 KR 920003958 B1 KR920003958 B1 KR 920003958B1 KR 1019890009904 A KR1019890009904 A KR 1019890009904A KR 890009904 A KR890009904 A KR 890009904A KR 920003958 B1 KR920003958 B1 KR 920003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contact
control
lev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016A (ko
Inventor
히로도시 오이시
다쓰노리 이께다
마나부 소가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52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0022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52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002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310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52248U/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523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002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5231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00226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0000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6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 H01H89/08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with both devices using the same contact p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제어핸들오프에서 원격조작 오프상태의 측면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표면덮개를 일부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이면덮개를 일부 제거한 상태의 이면도.
제 4 도는 제어핸들 자동에서 원격조작 오프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5 도는 제어핸들 자동에서 원격조작 온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6 도는 트립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7 도는 전자부의 분해사시도.
제 8 도는 제 1 도 구성의 블록도.
제 9 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
제 10 도는 3상 유도전동기의 종래 운전계통도.
제 11 도는 종래것의 표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차단기 케이스, 5a : 표면덮개,
5b : 베이스 5c : 이면덮개
6 : 전원측단자 8, 17 : 접점부
26 : 전자코일 28 : 고정철심
30 : 가동철심 34 : 전달레버
200 : 전자부 50 : 제어핸들
63 : 제어레버 300 : 제어기구부
400 : 과전류트립부 78 : 부하측단자
이 발명은 회로차단기 본래의 차단기능에 고빈도 장수명의 개폐기능을 겸해 갖는 원격조작시 회로차단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제 10 도는 3상 유도전동기(M)의 종래의 운전계통도를 표시하며,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기(M)는 각각 독립한 배선차단기(1) 및 전자접촉기(2)를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는 주회로기구를 통하여 도시생략한 전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하는 이유는 상기 배선용차단기(1)가 단락시 또는 과부하시에 주회로기구나 전동기(M)등의 기기 및 전로를 보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그 허용개폐회수가 대략 10000회 이하이므로 전원개폐와 같은 개폐빈도가 극심한 장소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 원격조작하는 것도 어렵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개폐빈도가 많은 곳에서는 전자접촉기(2)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단독 사용한 경우 단략사고등에 의하여 회로에 다량의 전류가 흐르면은 접점이 용착, 용손하여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부득이 상기와 같이 배선용차단기(1)와 전자접촉기(2)의 종측접속을 하며 다빈도개폐와 원격조작을 보완하는 동시에 접점의 용착, 용손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배선용차단기(1)와 전자접촉기(2)를 제 11 도와 같이 케이스(3)에 통합하여 수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배선용차단기(1)와 전자접촉기(2)를 케이스(3)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배선용차단기(1)와 전자접촉기(2)를 별도 제조하여야 됨은 물론 이들 각 기구를 케이스(3)에 설치 내지 각 기구 상호간의 배선도 복잡하게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3) 내부에 대형 공간을 필요로 하여 대형화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구성체로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원격조작시의 저자부에 의하여 고빈도 장수명의 개폐성능을 얻게 되고 또한 제어기구부에 의하여 전자부를 분리시켜 과전류트립부에 의하여 고속차단성능을 얻게 되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의한 원격조작식 차단기는 접점부를 전자코일과 고정철심과 가동철심으로 된 전자부와 제어레버와 제어핸들을 갖추고 또한 제어핸들의 오프시에는 제어레버를 보지하며 제어핸들의 자동시에는 제어레버를 이이들(idle)로 하는 제어기구부와 과전류트립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의한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는 다극적에 대하여 상간벽내에 제어레버를 배치하고, 차단기 케이스를 표면덮개와 베이스와 이면덮개로서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의 표면덮개측으로부터 상기 전자부와 상기 제어기구부와 상기 과전류트립부를 조립하여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의 이면덮개측으로부터 상기 접점부를 조립하여 삽입하고, 상기 접점부를 절연벽에 의하여 격리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한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는 베이스내를 구획하는 절연벽을 배치하고, 베이스에 이면덮개를 고정하였을때 상기 절연벽과 이면덮개로서 차단기 케이스의 양측벽에 통하는 배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양측벽에 배기공을 각각 설치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핸들의 오프시에 오프상태의 상기 제어레버와 이 제어레버에 계합할 수 있는 오프상태의 가동철심측사이에 공극을 설치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제어핸들을 자동위치로 하면은 제어레버가 아이들이 되므로, 제어기구를 통하지 않고 원격조작식의 전자부에 의하여 제어레버를 통해 접점부 개폐할 수 있는 동시에 관전류가 흘렀을때는 전자부를 분리하여 관전류트립부에 의하여 제어기구부를 트립하고 제어레버를 통하여 접점부를 개리시켜 차단한다. 또, 이 발명에서는 차단기 케이스의 설치면상에 전자부와 접점부를 배치하고, 제어기구부를 상기 전자부에 인접하는 상기 접점부상에 배치하며, 또 과전류트립부를 상기 제어기구부에 인접시켜 상기 접점부상에 배치하였으므로 소형이 되며, 접점부를 절연벽에 의하여 격리하였으므로 전자부와 제어기구부와 과전류트립부가 접점부의 아크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배기통로와 배기공을 설치하였으므로 접점부의 고열가스배출이 촉진되며, 제어핸들의 오프시에 오프상태의 제어레버와 이 제어레버에 계합할 수 있는 오프상태의 가동철심측간의 공극을 설치하였으므로 접점의 개리거리가 과부하단락시에는 크게 되고 통상 전류원격 개폐시에 작게 된다.
다음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 1 도 - 제 7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제어핸들 오프에서 원격조작 오프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표면덮개를 일부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이면덮개를 일부 제거한 상태의 이면도, 제 4 도는 제어핸들 자동에서 원격조작 오프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5 도는 제어핸들 자동에서 원격조작 온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도의 개략도, 제 6 도는 트립상태를 제 1 도의 개략도, 제 7 도는 전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서, 5는 차단기 케이스이며, 표면덮개(5a)와 베이스(5b)와 이면덮개(5c)로 구성되고 있다.
6은 베이스(5b)로 삽입보지된 전원측단자이며, 외선접속용의 단자나사(7)를 갖추고 있다.
8은 베이스(5b)의 이면측에 보지된 전원측고정이며 일단은 나사(7a)에 의하여 전원측단자(6)에 접속되어 있다.
9는 전원측단자(8)의 하단에 용착한 전원측 고정접점, 10은 좌우양측에 전원측 가동접점(11)과 부하측 가동접점(12)을 갖춘 가동자, 13은 절연물로 된 가동자홀더이며 가동자(10)를 끼워맞추어 보지하고 있다.
14는 각 극에 걸치는 크로스바로 그 홈(14a)에 가동자홀더(13)를 접동자재하게 끼워맞추어 수납하고 있다.
15는 가동자(10)를 폐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이며, 이면덮개(5c)의 스프링받이부(5d)에 수납되어 있다.
16은 부하측 가동접점(12)과 대향하는 부하측 고정접점이며 부하측 고정자(17)에 용착되어 있다.
18A, 18B는 가동자홀더(13)의 좌우양측에 배치한 소호부이며 절연판(18a)과 배기판(18b)에 의하여 포위되고 또한 자성체로 된 리그드(18c)가 있다.
19는 베이스(5b)와 이면덮개(5c)에 의하여 형성된 배기통로이며 배기공(20)이 설치되어 있다. 21은 피팅(fitting)으로 이면덮개(5c)에 접동자재하게 보지되며 또한 스프링(22)에 의하여 우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5b)의 이면덮개(5c)간에 형성된 공간부에 접점부(8)-(17)가 수납되어 있으며 크로스바(14)는 베이스(5b)의 개구(23)에 의하여 상부와 연락되어 있다.
다음은 베이스(5b)이 표면측의 전언측단자(6)측에는 전자부(200)가 나사(24)에 의하여 베이스(5b)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전자부(200)는 제 7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형상의 자석프레임(25)내에 전자코일(26)이 삽입되어 상부로부터 코일(26)의 구멍(26a)와 자석프레임(25)의 개구부(25a), (25b)내에 쉐이딩코일(shading coil:27)이 고정된 고정철심(28)의 각부(28a-28c)가 각각 삽입되고, 고정철심(28)의 절제부(28d), (28d)와 자석프레임(25)간에 각 탄성체(29)(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를 삽입하여 고정철심(28)의 자석프레임(25)으로부터의 이탈방지와 가동철심(30)에 의한 충격력흡수를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가동철심(30)은 홀더(31)에 스토퍼(3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홀더(31)의 양단에는 각 베어링부(31a)가 설치되어 있고 각축(33)에 의하여 전달레버(34)의 각 베어링부(34a)가 회전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또, 전달레버(34)는 자석프레임(25)에 축(35)으로 지지되고 전달레버(34)의 각 돌기부(34b)와 자석프레임(25)의 각 돌기부(25c)간에 걸칠 각 인장스프링(36)에 의하여 가동철심(30)과 고정철심(28)간을 개리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도면중, 38, 37은 보조스위치이며, 나사(39), (40)에 의하여 자석프레임(25)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 액츄에이터(37a), (38a)는 홀더(31)의 각 돌기부(31b)와 계합하여 가동철심(30)의 동작으로 온, 오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면중, 41은 단자대이며 단자(42)가 압입되어 있고 외선접속용 단자나사(43)을 갖추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3조 6개의 단자(42)중 양단의 2조 4개의 단자(42)는 보조스위치(37), (38)에 도선(44)에 의하여 접속되어서 보조스위치용 단자대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또 내측의 1조 2개의 단자(42)내의 1개는 리밋스위치(45)를 경유하여 코일(26)에 또한 다른 1개는 직접코일(26)에 접속되어 있다. 즉, 리밋스위치(45)와 전자부(200)의 코일(26)이 직렬접속되어 있다. 리밋스위치(45)는 자석프레임(25)에 나사(4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단자나사(43)는 표면덮개(5a)의 개구부(47)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전선(도시생략)이 접속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단자대(41)는 각 고정각부(41a)에 의하여 자석프레임(25)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48는 단자덮개이며 단자대(41)의 단자나사(43)가 불필요하게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있다.
다음에 베이스(5b)의 표면측 중간부에는 제어기구부(300)가 배치되어 있다.
49는 베이스(5b)에 나사(49a)에 의하여 고정된 기구프레임, 50은 기구프레임(49)에 축(5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어핸들이며 표면덮개(5a)의 개구(52)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수동조작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내부 돌출부(50a)는 핀(53)에 의하여 링크(54)에 연계되어 토글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링크(54)의 타단에는 롤러(55)가 회전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56은 레버이며, 기구프레임(49)에 축(5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선단부는 래치에 계지되어 있다. 래치(57)는 기구프레임(49)에 축(58)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비틀림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59는 기구프레임(49)에 축(6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트립바이버 비틀림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힘이 부가되고 래치(57)에 계합하게 되어 있다.
61은 기구프레임(49)의 각 U홈(49b)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보지된 압판이며 인장스프링(62)에 의하여 상향으로 힘을 가하고 상단면에 롤러(55)가 올라타는 동시에 레버(56)가 계합하고 있다.
63는 기구프레임(49)에 축(6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어레버이며, 일단(63a)은 크로스바(14)와 계합하고 타단(63b)은 전달레버(34)의 계지부(34c)와 계합하는 동시에 압판(61)의 구멍(61a)내에 계합되어 있다.
제 1 도에서는 제어핸들(50)이 오프상태이므로, 제어레버(63)는 상방향으로 압판(61)을 통하여 인장스프링(62)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다. 즉, 가동자(10)에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5)의 하중보다는 인장스프링(62)의 하중이 크기 때문에 제어레버(63)는 제 1 도의 상태로 보지되고 양접점(9), (11), (12), (16)이 개리한다. 또, 이때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레버(63)의 타단(63b)와 전달레버(34)의 계지부(34c)간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베이스(5b)의 표면측의 부하측에는 바이메탈과 플런저형 전자석으로 된 과전류트립부(400)가 배치되어 있다.
65는 제 1 의 요크이며, 일단(65a)에는 부하측고정자(17)가 나사(66)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바이메탈(67)에 용접되고 조정나사(68)를 갖추고 있다.
69는 보빈이며 내부에 제 1 요크(65)에 코킹된 중공의 코어(70)의 플런저(71)를 갖추고 있다. 플런저(71)는 검출용 압축스프링(72)에 의하여 상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또, 플런저(71)의 선단(71a)은 트립바(59)의 U홈(59a)과 계합하고 있어 플런저(71)가 코어(70)방향으로 흡입되면은 트립바(59)를 비틀림스프링에 대향하여 회전시킨다.
73은 로드이며 코어(70)의 중공부, 베이스(5b)의 구멍(74), 크로스바(14)의 구멍(14a)를 경유하여 가동자홀더(10)까지 신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플런저(71)가 코어(70)방향으로 흡입되면은 플런저(71)가 로드(73)를 통하여 가동자홀더(10)를 타격하고 양접점(9), (11), (12), (16)을 개리시킨다. 75는 제 1 요크(65)에 코킹된 제 2 요크, 76은 코일이며 일단은 바이메탈(67)의 선단에 가요동연선(77)에 의하여 접속되고 타단은 부하측단자(78)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측단자(78)에 외선접속용의 단자나사 (79)가 설치되어 있다.
80은 작동편이며 제 1 요크(65)에 축(8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동시에 트립바(59)와 계합하는 암(80a)을 보유하고 있다. 트립시간의 조정은 조정나사(68)의 회전에 의하여 바이메틸(67)의 선단과 작동편(80)의 갭을 변화시켜서 행한다.
다음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제 3 도에 표시하는 제어핸들(50)의 오프상태에서 제어핸들(50)를 우로 전도시켜 제어핸들(50)을 자동위치에 설정하면은 제 4 도와 같이 링크(54)가 신장하여 압판(61)이 인장스프링(62)에 대항하여 하강하고 제어레버(63)의 구속을 해제한다.
제어레버(63)는 접점부(8)-(17)의 압축스프링(15)에 의하여 크로스바(14)를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자부(200)의 전달레버(34)와의 갭이 없어지면은 전달레버(34)에 힘을 가하고 있는 인장스프링(36)에 의하여 정지된다. 즉, 압축스프링(15)의 하중보다 인장스프링(36)의 하중이 크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때 가동자(10)는 전달레버(34)와 제어레버(63)의 간극이 없어진 만큼 상승하고 양접점(9), (11), (12), (16)간의 개리거리는 제 1 도-제 3 도의 상태보다 어느 정도 감소한다. 그리고, 제 4 도에 표시하는 핸들자동에서 전자부(200)가 무여자일때(원격오프때)리밋스위치(45)는 압판(61)의 동작을 검지하고 온상태로 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단자(42)에 전압을 인가하면은 코일(26)이 여자되어서 가동철심(30)이 고정철심(28)에 흡입된다.
이 가동철심(30)과 함께 전달레버(34)가 인장스프링(36)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어레버(63)을 해제하기 때문에 자동자(10)는 압축스프링(15)에 의하여 상승하고 양접점 (9), (11), (12), (16)이 폐로된다. 이 핸들자동에서 여자일때(원격온일때)를 제 5 도를 표시한다.
이때 홀더(31)의 돌기부(31b)는 보조스위치(37), (38)의 액추에이터(37a)(38a)를 밀어서 보조스위치(37), (38)의 접점을 동작시킨다. 또 가동철심(30)은 고정철심(28)에 급격하게 충돌하지만 탄성체(29)에 의하여 충격력이 흡수된다.
다음은 제 5 도에서 단자(42)에 대한 인가를 차단하면은 가동철심(30)이 인장스프링(36)에 의하여 개리방향으로 동작하고 또, 인장스프링(36)의 인력에 의한 전달레버(34)에 의하여 제어레버(6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가동자(10)의 압축스프링(15)을 극복하고 양접점(9), (11), (12), (16)을 개리시켜 다시 제 4 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렇게 하여 제 4 도와 제 5 도의 상태를 반복하여 즉 제어기구부(300)를 통하지 않고 원격조작(전압인가)에 의하여 접점을 개폐할 수 있다.
그런데, 제 5 도의 온상태에서 전류는 전원측단자(6)→전원측 고정자(8)→전원측 고정접점(9)→전원측 가동접점(11)→가동자(10)→부하측 기동접점(12)→부하측 고정접점(16)→부하측 고정자(17)→제1요크(65)→바이메탈(67)→가요동연선(77)→코일(76)→부하측단자(78)로 흐른다.
그리고, 제 5 도에서 과전류가 흐르면은 바이메탈(67)은 우방향으로 만곡하고 자동편(80)을 통하여 트립바(59)를 비틀림스프링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57)를 비틀림스프링에 대항하여 시계방향회전시킨다.
이 래치(57)의 회전에 의하여 레버(56)가 해제되므로 압판(61)은 인장스프링(62)에 의하여 롤러(55)를 레버(56)와 함께 좌측으로 밀어 젖히고 상승하며, 제어레버(63)를 밀어 스프링(15)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양접점(9), (11), (12), (16)을 개리시킨다.
이 트립상태를 제 6 도에 표시한다.
이때 동시에 리밋스위치(45)도 양판(61)의 상승에 의하여 오프가 되고 코일(26)를 소자하므로 오프동작과 같이 가동철심(30)이 개리되며 전달레버(34)를 통하여 제어레버(63)에 의하여 양접점(9), (11), (12), (16)을 개로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한다. 즉 접점부(8)-(17)에 인장스프링(62)과 인장스프링(36)의 2개의 스프링 하중이 작용하고 압축스프링(15)에 대하여 대단히 강한 힘으로 양접점(9), (11), (12), (16)을 개리시킨다.
다음은 제 5 도에서 단락전류가 흐르면은 코일(76)에 의하여 플런저(71)는 코어(70)의 방향에 순시흡인되고 트립바(59)를 비틀림스프링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바이메탈(67)의 동작시와 마차가지로 기구를 트립시키는 동시에 플런저(71)가 로드(73)가 통하여 직접 가동자홀더(13)을 타격하여 양접점(9), (11), (12), (16)을 캐리시킨다.
접점간에 발생한 아크는 가동자(10)와 각 고정자(8), (17)간에 각각 이행하고 이어서 양 아크러나(82), (83)와 각 고정자(8), (17)간에 이동하여 각 리그드(18c)에 의하여 분단소호된다.
그리고, 각 소호부(18A), (18B)에서 발생한 고열가스는 각 배기판(18b)의 구멍(도시생략)을 경유하여 배기통로(19)를 통하여 각 배기공(20)에서 외부로 배기된다. 리셋조작은 제 6 도의 상태에서 제어핸들(50)을 좌방향(오프방향)으로 전도시켜 레버(56)가 롤러(55)를 우로 밀어 압판(61)상에 얹힌 상태로 래치(57)와 계합하여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제 1 도-제 7 도의 실시예 구성을 블록도로 표시하면은 제 8 도와 같이 되다. 이 제 8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 1 도-제 7 도의 실시예에서는 차단기 케이스(5)를 부착하는 설치면(L)에 대하여 전자부(200)와 접점부(8-17)를 한줄로 배치하고 제어기구부(300)를 전자부(200)에 인접하는 접점부(8-17)상에 배치하고 또 과전류트립부(400)를 제어기구부(300)에 인접시켜 접점부(8-17)상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소형이 된다.
그리고, 이들 배치는 제 9 도와 같이 제어기구부(300)의 일부 및 과전류트립부(400)의 일부가 설치면(L)에 도달하는 형상의 배치로 하여도 되며 제 9 도에서 제어기구부 (300)과 과전류트립부(400)은 환치하여도 된다.
또, 제 1 도-제 7 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3극이면은 제어레버(63)를 상간격(M)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극간 형성즉 차단기 케이스(5)의 폭이 박형이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단략전류가 흘러서 코일(76)에 의하여 플런저(71)가 흡인되었을때에 제어기구부(300)의 트립 동작과 동시에 플런저(71)가 로드(73)가 통하여 직접 가동자홀더(13)를 타격하여 양접점(9), (11), (12), (16)을 개리시킨다고 설명하였지만은 순간적으로는 플런저(71)가 로드(73)를 통하여 직접 가동자홀더(13)을 타격하여 접점을 개리시키는 것이 먼저이다.
이와 같이 플런저(71)에 의하여 직접 점검을 개리시키면은 트립시의 접점 개시시간이 빨라지고 또한 개리속도가 빨라지므로 집점개리력이 크게 되어서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접점의 용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베이스(5b)에 내부를 구획하는 절연벽(5A)를 배치하여 접점부(8)-(17)를 수납하면은 절연벽(5A)에 의하여 접점부(8)-(17)이 격리되므로 전자부(200)와 제어기구부(300)와 과전류트립부(400)이 접점부(8)-(17)의 아크에 노출되지 않으며 절연 성능이 열화되지 않는다.
또 베이스(5b)에 이면덮개(5c)를 고정하였을때 절연벽(5A)와 이면덮개(5c)로서 차단기 케이스(5)의 양측벽에 통하는 배기통로(19)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벽에 배기공(20)을 각각 설치하였으므로 각 소호부(18A), (18B)에서 발생한 고열가스는 각각의 배기판(18b)의 구멍(도시생략)을 경유하여 전원측에서는 배기통로(19)를 통과하여 배기공(20)에서 외부로 배출되고 또 하부측에서는 배기공(20)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고열가스는 배기공(20)가까이에서 급격히 넓어지는 공간에 의하여 압력이 저하하는 동시에 용융물이 분산이 되므로 고열가스의 배출이 보다 촉진되며 또한 용융물의 외부방출이 감소된다.
더우기 차단기 케이스(5)를 표면덮개(5a)와 베이스(5b)와 이면덮개(5c)로서 구성하고 베이스(5b)에 표면덮개(5a)측으로부터 전자부(200)와 제어기구부(300)와 과전류트립부(400)를 조립하여 삽입하는 동시에 베이스(5b)에 이면덮개(5c)측으로부터 접점부(8)-(17)를 조립하여 삽입하면은 조립성이 양호하고 보수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제 1 도의 제어핸들 오프의 원격조작 오프상태에서 제어레버(63)의 타단(63b)과 전달레버(34)의 계지부(34c)간에 간극을 설치하면은 제 4 도와 같은 제어핸들 자동에서 원격조작 오프의 상태 즉, 통상전류 원격개폐시에는 접점개리거리가 축소되므로 소형의 전자부(200)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는 동시에 충격저하에 의한 전기적 기계적 내구수명이 향상되며 제 6 도와 같은 과부하단락시에는 접점거리가 크게 되므로 차단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접점소모가 저감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은 하나의 구성체로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원격조작식의 전자부에 의하여 고빈도장 수명의 개폐성능을 얻게 되며 또한 제어기구부에 의하여 전자부를 분리시켜 과전류트립부에 의하여 고속차단성능을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가동접점(11), (12)과 고정접점(19), (16)와 가동접점(11), (12)을 고정접점축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5)을 갖춘 접점부와, 인장스프링(62)의 인장력을 통하여 상기 가동접점(11), (12)을 상기 접점부의 개방 방향으로 미는 제어레버(62)와 상기 인장스프링(62)에 연결되고 이 인장스프링(62)을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제어핸들(50)이 있는 제어기구부(300)와, 상기 제어핸들(50)이 상기 인장스프링(62)을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조작된 상태로 자동으로 하고, 이 자동상태에서 통전가능한 원격 제어용의 단자(42)와 이 단자(42)의 통전시에 고정철심(28)측으로 흡인되고는 가동철심(30)이 있는 전자부(200)와, 상기 가동철심(30)의 흡인시에 상기 조작레버(63)를 통하여 상기 가동접점(11), (12)의 폐쇄방향으로 힘을 해제하는 전달레버(34)와, 그리고 과전류의 검출시에 상기 제어기구부(300)를 트립시키는 과전류트립부(400)을 구비하고, 상기 자동상태에서는 상기 인장스프링(62)이 수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11), (12)와 고정접점(9), (16)의 사이가 단축되어서 된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200)와 상기 접점부를 차단기 케이스의 설치면상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어기구부(300)를 상기 전자부(200)에 인접한 상기 접점부상에 배치하며, 상기 관전류트립부(400)를 상기 제어기구부(300)에 인접시켜 상기 접점부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레버(63)를 다극의 상간벽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트립부(400)에는 플런저형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플런저의 과전류에 의한 동작시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개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200)와 상기 제어기구부(300)와 상기 과전류트립부(400)를 표면덮개(5a)와 베이스(5b)와 이면덮개(5c)로 된 차단기 케이스(5)의 상기 베이스(5b)의 표면덮개(5a)측으로부터 조립하여 삽입하며 상기 접점부를 절연벽(5A)에 의하여 격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내를 구획하는 절연벽(5A)을 배치하고 베이스(5b)에 이면덮개(5c)를 고정하였을때 상기 절연벽(5A)과 이면덮개(5c)로서 차단기 케이스(5)의 양측벽에 통하는 배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양측벽에 배기공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핸들(50)의 오프시에 오프상태에 있는 상기 제어레버(63)와, 이 제어레버(63)에 계합할 수 있는 오프상태의 상기 가동철심(30)측사이에 공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1019890009904A 1988-10-06 1989-07-12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920003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2312A JPH02100227A (ja) 1988-10-06 1988-10-06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63-252312 1988-10-06
JP63-252311 1988-10-06
JP???63-252310 1988-10-06
JP63252310A JPH02100225A (ja) 1988-10-06 1988-10-06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1988131089U JPH0252248U (ko) 1988-10-06 1988-10-06
JP63-252312 1988-10-06
JP63-252313 1988-10-06
JP63-131089 1988-10-06
JP???63-252311 1988-10-06
JP???63-252313 1988-10-06
JP88-252310 1988-10-06
JP???63-131089 1988-10-06
JP63252313A JPH02100228A (ja) 1988-10-06 1988-10-06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63252311A JPH02100226A (ja) 1988-10-06 1988-10-06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016A KR900007016A (ko) 1990-05-09
KR920003958B1 true KR920003958B1 (ko) 1992-05-18

Family

ID=2752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904A KR920003958B1 (ko) 1988-10-06 1989-07-12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53735A (ko)
EP (1) EP0362843A3 (ko)
KR (1) KR920003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6997D0 (en) * 1989-07-25 1989-09-13 Jaguar Cars Electrical supply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H0428134A (ja) * 1990-05-23 1992-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リレー
JPH0428135A (ja) * 1990-05-23 1992-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リレー
JPH0428130A (ja) * 1990-05-23 1992-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リレー
IT1283162B1 (it) * 1996-07-15 1998-04-07 Gewiss Spa Interruttore elettrico automatico modulare e componibile,con ottimizzazione degli spazi utilizzati
GB0120748D0 (en) 2001-08-25 2001-10-17 Lucas Aerospace Power Equip Generator
US7111195B2 (en) 2002-02-25 2006-09-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external clock to obtain multiple synchronized redundant computers
US20030212473A1 (en) * 2002-02-25 2003-11-13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ing system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747356B2 (en) 2002-02-25 2010-06-29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protectio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7058482B2 (en) * 2002-02-25 2006-06-06 General Electric Company Data sample and transmission modules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s
AU2003230563A1 (en) * 2002-02-25 2003-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node electronics unit architecture
US7532955B2 (en) 2002-02-25 2009-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Distributed protection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7636616B2 (en) 2003-02-25 2009-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Protection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7342474B2 (en) * 2004-03-29 2008-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configured to be remotely operated
US7692112B2 (en) * 2006-01-10 2010-04-06 Siemens Industry, Inc. Control module
WO2007135201A1 (es) * 2006-05-19 2007-11-29 General Electric Company Alojamiento para disyuntor de un solo polo
DE102006057647A1 (de) * 2006-12-07 2008-06-19 Abb Ag Installationsgerät mit einer Doppelunterbrechung
US8803640B2 (en) * 2012-08-29 2014-08-12 Carling Technologies, Inc.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US9859084B2 (en) * 2013-09-12 2018-01-02 Carling Technologies, Inc.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with manual reset
CN104485264B (zh) * 2015-01-04 2016-06-15 温州圣普电气有限公司 一种小型漏电断路器重合闸装置
US9728348B2 (en) * 2015-12-21 2017-08-08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electronic trip unit
US10535484B2 (en) * 2017-11-29 2020-01-14 Schneider Electric USA, Inc. Noncontact solenoid for miniature circuit breakers with a movable frame and magnetic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82A (en) * 1861-07-23 Improvement in machines for rolling candy
US4449055A (en) * 1977-08-19 1984-05-15 Greer Richard H Circuit breaker control device
FR2516304A1 (fr) * 1981-11-09 1983-05-13 Telemecanique Electrique Interrupteur a commande mecanique et ouverture automatique
FR2535520A1 (fr) * 1982-11-03 1984-05-04 Merlin Gerin Appareil de coupure de courant telecommande
JPS6030029A (ja) * 1983-07-28 1985-02-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ゃ断器
FR2570872B1 (fr) * 1984-09-27 1988-08-26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utation a composition variable
US4625190A (en) * 1985-03-04 1986-11-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motely controlled solenoid operated circuit breaker
US4636760A (en) * 1985-04-10 1987-01-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Low voltage circuit breaker with remote switching function
JPH0789465B2 (ja) * 1985-07-12 1995-09-27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や断器
US4623859A (en) * 1985-08-13 1986-11-18 Square D Company Remote control circuit breaker
US4725799A (en) * 1986-09-30 1988-02-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remote control
DE3634456C1 (en) * 1986-10-09 1988-02-11 Kopp Gmbh & Co Kg Heinrich Remotely controllable line protection circuit breaker having a switching status indication
FR2611082B1 (fr) * 1987-02-13 1993-05-28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interrupteur de protection a ouverture et fermeture telecommandables
DE8705806U1 (de) * 1987-04-22 1988-08-18 Klöckner-Moeller Elektrizitäts GmbH, 5300 Bonn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ät mit elektromagnetischem Antrieb
FR2628260B1 (fr) * 1988-03-04 1990-07-20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de protection a contacts commandables par un electroaim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53735A (en) 1991-10-01
KR900007016A (ko) 1990-05-09
EP0362843A3 (en) 1991-06-05
EP0362843A2 (en) 1990-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958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920003466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EP0490332B1 (en) Circuit breaker
KR920006061B1 (ko) 회로차단기의 솔레노이드 가동형 작동기구
KR100923683B1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920003959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US6310528B1 (en) Overcurrent-tripp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1172978B1 (ko) 회로차단기
KR950013425B1 (ko) 트립 지연 자기 회로를 갖는 회로 차단기
KR920003957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JP4147347B2 (ja) 配線用遮断器
US3299377A (en) Synchronous operating mechanisms for controlling circuit breakers
JPH02109229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H02109231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KR920004652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JP3358983B2 (ja) 回路遮断器とその電圧引き外し装置
JPH02100228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H02100225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KR101098930B1 (ko)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JPH02100226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JPH0332029Y2 (ko)
JPH02100227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RU2276424C2 (ru) Вакуумный контактор
JPH02109232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KR19990028928U (ko)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