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440Y1 -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440Y1
KR920002440Y1 KR9201115U KR920001115U KR920002440Y1 KR 920002440 Y1 KR920002440 Y1 KR 920002440Y1 KR 9201115 U KR9201115 U KR 9201115U KR 920001115 U KR920001115 U KR 920001115U KR 920002440 Y1 KR920002440 Y1 KR 920002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trip
wiring
mounting
elastic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스오 기따무라
미쓰히로 다까끼
마사아끼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미요시 도시오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05268A external-priority patent/KR890007465A/ko
Application filed by 미요시 도시오,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요시 도시오
Priority to KR9201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덮개 및 배선기구와 함께 도시된 브래킷의 분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브래킷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절단선 8-8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된 브래킷의 부분 사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브래킷의 배면도.
제 5 도는 배면으로부터 바라본 브래킷의 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부터 바라본 부분의 부분 사시도.
제 7 도는 제 2 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 8 도는 제 2 도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원내 부분의 확대도.
제 10 도는 제 2 도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
제 11 도는 제 2 도의 선 D-D에 따른 단면도.
제 12 도는 제 2 도의 선 E-E에 따른 단면도.
제 13 도는 제 2 도의 선 F-F에 따른 단면도.
제 14 도는 제 2 도의 선 G-G에 따른 단면도.
제 15 도는 브래킷에 대한 배선기구의 스냅식 결합을 도시하고 있는 설명도.
제 16 도는 브래킷과 덮개사이에 끼워지는 금속제 내화판과 함께 도시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제 17 도는 제 2 도의 선 E-E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단면도.
제 18 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변형의 분해 사시도.
제 19 도는 제 18 도의 브래킷의 정면도.
제 20 도는 제 18 도의 브래킷의 배면도.
제 21 도는 배면으로부터 바라본 제 19 도의 브래킷의 사시도.
제 22 도는 브래킷에 대한 배선기구의 스냅식 결합을 예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선기구 2 : 스트랩
3 : 장착돌기 4 : 조작부
10 : 프레임 11 : 둘레 플랜지
12, 13 : 옆가장자리면 14, 15 : 끝가장자리면
16, 17, 18 : 구멍 19 : 슬릿
20 : 중앙 트인구멍 21 : 제 1 열부분
22 : 제 2 옆부분 23 : 강성 스트립
31 : 제 1 슬롯 32 : 제 2 슬롯
33 : 받침대 40 : 탄성스트립
41 : U자형상부 42 : 스커트
43 : 테이퍼 가이드 44 : 가이드 표면
45 : 가로 리브 46 : 추가탄성편
47 : 틈 48 : 간격
50 : 덮개판 51 : 창구
52 : 미늘 60 : 내화판
61 : 탭 62 : 오목부
63 : 톱니모양부 64 : 트인구멍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기용 소켓 스위치 종류의 모듈과 같은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의 설명]
배선기구 지지용 브래킷은 건물이나 가정집의 벽면에 전기용 소켓 및 스위치와 같은 배선기구를 설치하는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별다른 공구가 필요없이 배선기구를 용이하게 장착시키는 용도의 브래킷 조립체가 1983년 1월 6일자 일본국 특허공보 번호 제58-24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 종래의 브래킷은 배선기구 장착용 트인구멍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배선기구는 트인구멍의 옆 바아부분 또는 옆부분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상응하는 슬롯 속으로 스냅식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몸체부분의 어느 한쪽에 돌출된 장착돌기가 있는 스트랩을 구비한 모듈형의 것이다.
이 스냅식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옆부분 중의 하나에는 탄성스트립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탄성스트립과 상호협력하여 이들 사이에 장착돌기가 탄성스트립의 굴곡 또는 탄성변형에 의해 스탭식으로 끼워지는 슬롯을 형성한다.
상세히 기술하면, 탄성스트립은 바깥쪽으로 굴곡되도록 제작되어 있으므로 장착돌기가 탄성스트립을 지나 상응하는 슬롯속으로 끼워질수 있으며, 이와같이 끼워진 후에 탄성스트립은 안쪽으로 복귀되어 장착 돌기를 슬롯속으로 잠근다.
따라서 스냅식 결합은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탄성스트립을 굴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질수 있으므로 배선기구의 브래킷에 대한 장착 편의를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종래의 브래킷은 탄성스트립의 깊이가 증가될 수 밖에 없었는데 이 탄성스트립의 깊이의 증가는 탄성스트립의 브래킷의 평면과 수직한 평면에서 브래킷의 뒷쪽으로 뻗어있는 U자형상 힌지부를 각각 통하여 탄성스트립의 길이방향 끝에서 인접 옆부분에 결합된다는 구조적인 제약에 기인한다. 탄성스트립에 충분한 탄성변형량을 부여하기 위하여, U자형상 힌지부는 깊이방향으로 신장하고 이에 따라 브래킷의 전체 구조에 깊이의 증가를 부여시킨다.
그와 같은 깊이의 증가는 이에 상응하게 벽 보오드 또는 벽의 마감재에 구비된 구멍에 깊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벽의 마감재가 너무 얇아서 브래킷이나 심지어는 뒷쪽으로 돌출한 탄성 스트립조차 설비할 수 없는 특정장소에서는 문제점을 안겨줄지도 모른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탄성 스트립의 뒷쪽으로의 돌출량을 최소화하고 또한 배선기구의 스냅결합의 편리함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탄성변형량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준다.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은 병렬관계로 3개의 배선기구 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4각형 트인구멍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평행 옆부분을 가진 납작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배선기구는 그 몸체 부분이 트인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는 상태로 브래킷에 장착되며 배선기구가 프레임에 부착될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돌기가 몸체 부분의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있는 스트랩을 가지고 있다.
제 1 옆부분은 배선기구의 한쪽에 있는 장착돌기를 수납하기 위한 트인구멍으로 열린 일련의 길이방향 일정간격의 제 1 슬롯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탄성스트립이 제 2 옆부분을 따라서 그리고 바깥방향 일정간격 유지관계로 뻗어 있는데 이 탄성스트립은 배선기구의 다른쪽에 있는 장착돌기를 수납하는 트인 구멍으로 열린 일련의 제 2 슬롯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탄성스트립은 그 길이방향 끝에서 U자형상 힌지부를 통한 제 2 옆부분의 길이 방향끝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탄성 스트립이 바깥쪽으로 굴곡되어 장착돌기가 상응하는 슬롯속으로 맞물리고 또 슬롯으로부터 맞물림이 풀리게 될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탄성을 필요로 한다.
U자형상 힌지부는 프레임의 평면내에서 굽혀지므로 탄성 스트립은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내에서 굴곡되어 탄성스트립의 뒷쪽으로의 돌출량을 최소화 하면서 배선기구의 스냅결합을 이룰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용이한 설치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 호감을 불러 일으키게 하기 위하여 깊이를 최소로 유지시킨 배선기구 장착용 개량형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탄성 스트립은 제 2 슬롯의 갯수와 상응하는 갯수의 테이퍼 가이드를 구비한 중앙의 트인 구멍에 대향하는 내부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뒷쪽율로 돌출한 스커트를 일체적으로 포함한다.
각각의 테이퍼 가이드는 각각의 제 2 슬롯의 뒷가장자리로 부터 뒷쪽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경사져서 스커트의 뒤쪽 가장자리에서 끝이나는 가이드표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커트와 함께 탄성 스트립을 바깥쪽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장착돌기는 테이퍼 가이드 위를 미끄럼 이동하여 장착돌기가 가이드 표면을 지난 제 2 슬롯과 잠금맞물림 되도록 할수 있다.
이 테이퍼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장착돌기의 제 2 슬롯속으로 스냅식 맞물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래킷에 대한 배선기구의 부착 편의를 또한 향상시킬수 있는데, 이 점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다.
프레임은 벽에 직접 장착되는 둘레 플랜지를 가지는 벽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옆부분은 둘레플랜지로 부터 안쪽으로 일정간격 유지되어 있으므로 배선기구의 정면끝을 통하여 노출되는 창구를 가진 덮개를 수납하는데 적용되는 가장자리면을 남겨 두고 있다.
제 2 옆부분을 따라서 뻗어 있으며 U자형상 힌지부를 통하여 길이방향 끝에서 연결되는 탄성스트립은, 이 탄성스트립의 길이를 하나의 배선기구에 각각 상응하는 3개의 부분으로 분한하는 2개의 일정간격 가로 리브를 가지고 길이 방향 끝 중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슬롯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로 리브는 둘레플랜지와 인접한 가장자리면에 형성된 추가 탄성편과 제 2 옆부분에 각각 대향끝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추가 탄성편은 탄성 스트립과 평행관계로 탄성스트립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거리만큼 뻗어 있으며 가장자리면내에서 길이방향 끝에서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추가 탄성편은 프레임의 평면내에서 측면으로 탄성 굴곡될수 있다.
탄성스트립은 추가 탄성편과 상호 협력하므로 이 탄성스트립의 각각의 3개의 부분은 독립적으로 그리고 배선기구가 이 각각의 3개의 부분으로 부착되고 이 부분으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데 있어서 실제 동일량으로 굴곡될수 있는데, 여기에서 각각의 두 끝부분은 추가 탄성편중의 인접한 탄성편이 굴곡되게 될때 굴곡되게 하지만 중앙부분은 상기 추가 탄성편의 양자가 동시에 굴곡되게 될때 굴곡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간 부착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벽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며, 탄성스트립이 배선기구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도록 이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서 배열된 각각의 3개의 부분에서 실제로 동일한 굴곡량으로 굴곡될수 있는 독특한 구조적 배열을 가진 개량된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강성스트립과 스커트는 둘레 플랜지의 두께내에 있도록 프레임에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은 벽안의 상자속으로 뒷쪽으로 연결되는 탄성스트립은, 이 탄성스트립의 길이를 하나의 배선기구에 각각 상응하는 3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2개의 일정간격 가로 리브를 가지고 길이방향 끝 중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슬롯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로 리브는 둘레플랜지와 인접한 가장자리면에 형성된 추가 탄성편과 제 2 옆부분에 각각 대향끝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추가 탄성편은 탄성스트립과 평행관계로 탄성스트립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거리만큼 뻗어 있으며 가장자리면내에서 길이방향 끝에서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추가 탄성편은 프레임의 평면내에서 측면으로 탄성 굴곡될수 있다.
탄성스트립은 추가 탄성편과 상호 협력하므로 이 탄성스트립의 각각의 3개의 부분은 독립적으로 그리고 배선기구가 이 각각의 3개의 부분으로 부착되고 이 부분으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실제 동일량으로 굴곡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각각의 두 끝부분은 추가 탄성편중의 인접한 탄성편의 굴곡되게 될때 굴곡되게 되지만 중앙부분은 상기 추가 탄성편의 양자가 동시에 굴곡되게 될때 굴곡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간 부착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벽에 직접 장착될수 있으며, 탄성스트립이 배선기구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도록 이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서 배열된 각각의 3개의 부분에서 실제로 동일한 굴곡량으로 굴곡될수 있는 독특한 구조적 배열을 가진 개량된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강성스트립과 스커트는 둘레 플랜지의 두께내에 있도록 프레임에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은 벽안의 상자속으로 뒷쪽으로 돌출하는 배선기구 만으로 벽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벽표면에 대한 배선기구의 설치는 브래킷상의 뒤쪽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하여 벽표면에 구멍을 넓히는 것과 같은 부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벽표면의 구멍은 단지 배선기구의 뒷끝은 수납할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필요하고 스커트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칫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구멍주위의 벽표면에 대하여 브래킷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맞닿을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점은 많은 작업 부위에서 설치공정을 크게 단순화 시키며 따라서 이 점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 및 잇점과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부수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 1 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벽표면에 설치되는 데 적용되는 배선기구(1)장착용 벽 브래킷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배선기구(11)는 벽속에 매입된 상자(도시되어 있지 않음)속으로 매설되는 배선에 연결된다.
브래킷은 둘레 플랜지(11)를 가진 납작한 프레임(10)으로 구성된 4각형 박판 형상의 단일부재로서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프레임(10)의 중앙에는 배선기구(1)의 몸체 부분이 끼워지는 4각형 중앙트인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트인구멍(20)은 한쌍의 제 1 및 제 2 옆부분(21 및 22)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위치 및 전기용 소켓과 같은 3개의 배선기구(1)모듈을 수납한다.
각각의 배선기구(1)는 이 배선기구의 어느 한쪽에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장착돌기(3)를 가진 금속 스트랩(2)을 가지고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모듈이 배선기구(1)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옆부분(21 및 22)을 따라서 프레임(10)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슬롯(31 및 32)에 장착돌기(3)가 맞물리는 상태로 프레임에 지지된다.
창구(51)를 가진 덮개판(50)이 둘레 플랜지(11)내부에서 프레임(10)위에 놓여져서 배선기구(1) 또는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스위치의 조작부(4)의 정면끝 부분을 노출시킨다.
단지 덮개판(50)만이 단일의 배선기구(2)를 수납하는 크기의 창구(51)를 가지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2개 또는 3개의 배선기구에 상응하는 크기의 창구를 가진 다른 덮개판들도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옆부분(21 및 22)은 둘레플랜지(11)의 안쪽에서 뻗어서 이들 사이에 옆 가장자리면(12 및 13)을 남겨두고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 트인구멍(20)의 끝 가장자리와 길이방향 둘레플랜지(11)의 사이에는, 옆으로 기다란 구멍(16)과, 나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한 벽 또는 벽표면에 매입된 상자와의 연결용의 한쌍의 구멍(17)과 연장구멍(16)을 가지고 각각 형성된 각각의 끝 가장자리면(14 및 15)이 남겨져 있다.
이 옆 및 끝 가장자리면은 덮개판(50)에 의해 덮혀지는 데 이 덮개판은 뒷쪽으로 돌출된 미늘(52)이 프레임(10)의 측면둘레 플랜지(11)를 따라서 모서리부분과 중간 부분에 형성된 상응하는 구멍(18)속에 걸리는 상태로 프레임(10)에 부착된다.
제 1 옆부분(21)은 거의 변형이 되지 않은 강체로 제작되며 그 뒷부분에는 제 3, 4, 5 및 8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행관계로 뻗어 있는 강성 스트립(23)이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장착돌기(3)를 배선기구(1)의 일측에 수납하기 위하여 제 1 슬롯(31)이 형성된 곳은 바로 이 강성 스트립(23)안이다.
3개의 배선기구에 상응하여 3쌍으로 구비되어 있는 제 1 슬롯(31)은 제 1 옆부분(21)의 뒷면 바로 아래의 평면안에 있는 중앙 트인구멍(20)의 옆쪽에 개방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슬롯(31)은 또한 성형요구조건의 결과로서 제 1 옆부분(21)의 정면 표면에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제 1 도 내지는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옆부분(22)은 큰변형에 실제적으로 저항할수 있는 폭으로 되어 있지만 그 중간부분에서 단지 제한된 양만큼 굴곡되도록 되어 있다.
탄성적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제 2 옆부분(22)보다 더작은 폭을 가진 탄성스트립(40)은 제 2 옆부분(22)의 바깥쪽으로 평행관계로 뻗어 있다.
이 탄성스트립(40)은 그 길이방향 U자형상 힌지부(41)를 각각 통한 제 2 옆부분(22)의 인접끝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데 이 힌지부는 프레임(10)의 평면내에서 굽혀지므로 탄성 스트립(40)이 동일평면내에서 바깥쪽으로 굴곡될수 있다.
하나의 배선기구에 대하여 한쌍이 상응되는 3쌍의 제 2 슬롯(32)은 탄성스트립(40)의 길이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선택된 배선기구 또는 배선기구들(1)의 상응하는 장착돌기(3)를 수납하기 위하여, 제 2, 5, 8, 11 및 12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옆부분(22)의 뒷표면을 지나 중앙 트인구멍(20)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스커트(42)는 U자형상 힌지부(41)를 제외한 탄성스트립(40)의 길이로 부터 뒷쪽으로 일체로 돌출하고 있으며, 상응하는 제 2 슬롯(32)의 바로 뒤에 있는 부분에서 중앙트인구멍(20)과 대향하는 내부 표면위에 일련의 테이퍼 가이드(43)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테이퍼 가이드(43)는 장착돌기(3)를 상응하는 제 2 슬롯(32)속으로 안내하도록 각각의 제 2 슬롯(32)의 뒷가장자리부터 뒤를 향해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스커트(42)의 뒷쪽 가장자리에서 끝이난다.
탄성스트립(40)의 길이는, 각각 그 한쪽 끝에서 제 2 옆부분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길이방향 일정간격의 가로리브(45)에 의해 각각 제 2 슬롯(32)쌍을 가진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가로리브(45)의 다른쪽 끝은 탄성스트립(40)과 평행관계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추가탄성편(46)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추가 탄성편(46)은 옆으로 기다란 틈(47)에 의해 둘레 플랜지(11)로 부터 일정간격만큼 떨어져 있으며 측면둘레 플랜지(11)를 따라서 짧은 거리만큼 뻗어 있다.
탄성 스트립(40)의 길이를 3부분으로 분할하는 가로 리브(45)을 제공함으로써, 2개의 끝부분과 중간부분은 거의 동일한 측면굴곡량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배선기구는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3부분 중 어느 부분에라도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하면, 각각의 끝부분은 추가탄성편(46)중에서 인접한 탄성편이 굴곡되게 됨에 따라 바깥쪽으로 굴곡되게 되지만, 중간부분은 추가편의 양자가 굴곡되게 됨에 따라 바깥쪽으로 굴곡되게 된다.
각각의 부분이 굴곡됨에 있어서, 가로 리브(45)에 연결된 제 2 옆부분(22)의 중간부분은 바깥쪽으로 미소량 굴곡되게 되어 탄성스트립(40)의 끝 및 중간 부분이 동등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다시 말하면, 끝부분보다 더 굴곡될것같은 제 2 옆부분(22)의 중간부분은 각각의 가로리브에 의해 연결된 추가탄성편(46)의 굴곡과 상호협력하여 탄성스트립(40)이 3부분의 각각에서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굴곡이 일어나도록 한다.
배선기구(1)는 장착돌기(3)가 상응하는 제 1 및 제 2 슬롯(31 및 32)에 스냅식으로 맞물림으로써 프레임(10)에 부착된다.
제 15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배선기구(1)는 배선기구의 정면부분이 중앙트인구멍(20)속으로 돌출되며 배선기구(1)의 한쪽옆에 있는 장착돌기(3)가 제 1 슬롯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뒤로부터 프레임(10)속으로 위치된다.
이후 배선기구(1)가 앞쪽으로 눌려짐에 따라, 즉 배선기구(1)의 스트랩(2)이 제 1 및 제 2 옆부분(21 및 22)에 대하여 맞닿을때까지 도면상에서의 윗쪽으로 눌려짐에 따라, 장착돌기(3)은 상응하는 테이퍼 가이드(43)의 가이드 표면(44)에 대하여 가압되어 장착돌기(3)가 경사진 가이드 표면(44)을 타고 넘어 상응하는 제 2 슬롯(32)과 맞물림될수 있을 정도로 상응하는 부분에서 탄성스트립(40)을 탄성적으로 굴곡시키며, 그런 연후에 탄성스트립(40)은 고유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안쪽으로 복귀되어 장착돌기(3)가 제 2 슬롯(32)과 잠금식 맞물림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배선기구(1)는 스크류드라이버류와 같은 어떠한 부가적인 공구가 필요없이 장착돌기(3)의 스냅식 결합에 의해 브래킷에 부착될 수 있다.
배선기구(1)가 교환목적으로 브래킷으로 부터 분리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예컨대, 탄성스트립(40)이 바깥쪽으로 굴곡되도록 가압되어 장착돌기(3)가 제 2 슬롯(32)으로 부터 맞물림이 풀리게 된다.
이렇게 바깥쪽으로 굴곡시키는 것은 탄성스트립(40)과 제 2 옆부분(22)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48)속으로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동종류의 공구의 팁을 삽입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장착돌기(3)가 제 2 슬롯(32)으로부터 맞물림이 풀린후에, 배선기구(1)의 대향쪽에 있는 장착돌기(3)는 제 1 슬롯(31)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어 배선기구(1)를 완전히 분리시킬수 있다.
제 1 및 제 2 옆부분(21 및 22), 탄성스트립(40), 부가 탄성편(46), 및 가로리브(45)는 이들 정면표면들이 서로 서로 거의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중앙트인구멍(20)주위의 가장자리면에는, 덮개판의 정면이 둘레플랜지(11)의 정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둘레플랜지(11)의 영역내에 수납되는 덮개판(50)의 밑면과 맞닿는 잔여정면표면상에 위쪽으로 약간 돌출한 복수의 작은 받침대(3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6 도는 브래킷의 또 다른 용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내화판(60)이 프레임(10)과 덮개판(50)사이에 끼워진다.
이 판(60)은, 절곡탭(61)이 프레임(10)의 모서리에 있는 슬릿(19)에 끼워지며 또한 노치로 형성된 오목부(62)가 중앙트인구멍(20)주위의 가장자리면에 있는 받침대(33)과 맞물리는 상태로 프레임(10)에 부착된다.
또한 내화판(60)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덮개판(50)의 미늘(52)과 프레임(10)내의 구멍(18)과의 사이에서 걸림식 결합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톱니 모양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내화판(60)은 상호협력하는 덮개판(50)내의 창구(51)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의 트인구멍(64)를 구비하도록 선택될수 있다.
제 17 도에는 본 고안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은 제 1 실시예의 브래킷과의 직접 비교목적상 제 12 도에 상응한다.
제 2 실시예의 브래킷은 탄성스트립(40)으로 부터 뒷쪽으로 뻗어 있는 스커트(42)가 프레임(10)의 전체 두께내에 든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커트(42)의 뒷쪽 가장자리는 둘레플랜지(11)의 뒷가장자리와 동일평면을 이루므로, 브래킷이 설치될 때 스커트(42)는 둘레플랜지(11)와 함께 벽표면에 대하여 고정될수 있다. 이것은 벽표면에는 단지 배선기구(1)의 뒷돌출부를 수납할수 있는 크기의 구멍만이 있으면 되고 스커트(42)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칫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벽표면에 대한 배선기구의 설치편의를 향상시켜주고 추가적인 드릴작업이 제약을 받는 설치장소에서는 특히 잇점이 있다.
다른 구조적인 특징은 제 1 실시예 특징과 동일하며 이에 용이하게 참조되도록 동일 부재에는 동일부재번호가 사용되어 표시되어 있다.
제 18 도 내지 제 21 도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변형은 프레임(10)의 모서리들이 약간 둥글게 모따기 되어 있다는 부차적인 관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전체 도면에 걸쳐서 동일부재를 표시하는 데에는 동일 부재 번호가 사용되어 있다.

Claims (9)

  1. 기구장착용 브래킷에 있어서, 병렬관계로 복수의 배선기구를 수납할수 있는 4각형 트인구멍을 그 사이에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평행한 옆부분을 가지고 있는 납작한 프레임과, 상기 트인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배선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될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돌기를 갖춘 어느 한쪽에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고 있는 각각의 상기 배선 기구와, 각각의 배선기구의 어느 한쪽에 있는 상기 장착돌기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트인구멍으로 열려 있는 일련의 길이방향 일정간격 제 1 슬롯을 가지고 있는 제 1 옆부분과, 상기 제 2 옆부분을 따라서 일정간격유지관계로 바깥쪽으로 뻗어서 상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선기구의 다른쪽에 있는 상기 장착돌기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트인구멍으로 열려있는 일련의 제 2 슬롯을 가지고 있는 탄성스트립, 및 길이방향 끝에서 상기 프레임의 평면내에서 구부러져있는 U자형상 힌지부를 통하여 제 2 옆부분의 길이방향 끝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스트립이 상기 평면내에서 바깥쪽으로 굴곡되어 각각의 배선기구의 장착돌기가 상응하는 제 2 슬롯속으로 맞물리고 제 2 슬롯으로 부터 맞물림이 풀리도록 하는 상기 탄성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트립은 상기 트인구멍에 대향하는 내부표면위에 있는 테이퍼 가이드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뒷쪽 돌출스커트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테이퍼 가이드의 각각은 상기 제 2 슬롯의 각각의 뒷가장자리부터 그리고 바깥쪽으로 경사져서 상기 스커트의 뒷쪽 가장자리에서 끝이나며, 이에 따라 장착돌기는 상기 테이퍼 가이드위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스트립과 함께 상기 스커트를 바깥쪽으로 굴곡시켜 장착돌기가 상기 제 2 슬롯과 잠금식 물림될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3. 제 1 항에 있어서, 벽표면에 직접장착되는 둘레플랜지를 가지고 있으며, 병렬관계로 3개까지의 배선기구를 수납할수 있는 4각 형상의 트인구멍을 가지고 있는 상기 납작한 프레임과 ; 그 사이에 상기트인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위에 덮개판을 수납하기 위한 옆가장자리면을 상기 둘레 플랜지와 각각의 옆부분과 사이에 남겨놓은 상기 둘레 플랜지의 안쪽으로 일정간격 유지되어 있는 한쌍의 상기 제 1 및 제 2 옆부분과 ; 상기 트인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돌기를 갖춘 어느 한쪽에 구비된 스트립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적어도 하나의 장착돌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될수 있는 각각의 상기 배선기구와 ; 각각의 배선기구의 정면끝이 돌출하는 창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상기 덮개판과 ; 상기 제 1 옆부분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뻗도록 상기 프레임의 뒷면에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선기구의 한쪽에 있는 상기 장착돌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트인 구멍으로 열려 있는 일련의 길이방향 일정간격 제 1 슬롯을 가지고 있는 강성스트립과 ; 상기 제 2 옆부분을 따라서 일정간격유지관계로 바깥쪽으로 그러나 상기 둘레 플랜지의 안쪽으로 뻗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선기구의 다른쪽에 있는 상기 장착돌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트인구멍으로 열려져 있는 일련의 제 2 슬롯을 가지고 있는 탄성스트립과 ; 길이방향 끝에서 상기 프레임의 평면내에서 구부러져 있는 U자형상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옆부분의 길이방향 끝에 각각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스트립이 상기 평면내에서 바깥쪽으로 굴곡되어 각각의 배선기구의 장착돌기가 상응하는 제 2 슬롯속으로 맞물리고 제 2 슬롯으로 부터 맞물림이 풀리도록 하는 상기 탄성스트립과, 3개의 배선기구중의 하나와 각각 상응하며 상기 제 2 슬롯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각각 형성되어 있는 3개의 부분으로 상기 탄성스트립의 길이를 분할하는 2개의 일정간격 가로리브를 가지고 길이방향 끝들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탄성스트립과 ; 상기 탄성스트립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의 인접 둘레 플랜지와 평행관계로 각각 뻗어 있으며, 길이방향끝에서 상기 가장자리면에 일체적으로 각각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의 평면내에 측방향으로 각각 탄성 굴곡될 수 있는 2개의 탄성편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옆부분의 바깥쪽의 상기 가장자리면과, 상기 탄성스트립중에서 추가탄성편의 인접탄성편이 굴곡되게 됨에 따라 각각 굴곡되게 되는 2개의 끝부분과 상기 추가탄성편의 양자가 동시에 굴곡되게 됨에 따라 굴곡되게 되는 중간부분으로 되어 있는 상기 3부분의 각각에 상기 배선기구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3부분의 각각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바, 상기 탄성스트립의 상기 3부분의 각각이 실제 독립적으로 그리고 거의 동등한 량으로 굴곡될수 있도록 하는 바의 상기 추가 탄성편의 각각에 그리고 제 2 옆부분에 각각 일체적으로 그 끝이 연결되도록 상기 탄성스트립의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기 각각의 가로리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탄성편의 각각은 상기 가장자리면에 형성된 옆으로 기다란 틈을 통하여 인접 둘레 플랜지로 부터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는 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립은 상기 트인구멍에 대향하는 내부 표면위에 있는 테이퍼 가이드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뒷쪽 돌출스커트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테이퍼 가이드의 각각은 상기 제 2 슬롯의 각각의 뒷가장자리로 부터 뒷쪽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경사져서 상기 스커트의 뒷쪽 가장자리에서 끝이나며, 이에 따라 장착돌기는 상기 테이퍼 가이드 위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스트립과 함께 상기 스커트를 바깥쪽으로 굴곡시켜 장착돌기가 상기 제 2 슬롯과 잠금식 맞물림될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트립의 상기 3부분의 각각은 상기 배선 기구의 각각의 옆에 돌출되어 있는 2개의 장착돌기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한쌍으로 상기 제 2 슬롯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스트립은 상기 중앙트인 구멍에 대향하는 내부 표면에 있는 테이퍼 가이드를 가지고 형성된 뒷쪽 돌출 스커트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테이퍼 가이드의 각각은 상기 제 2 슬롯의 각각의 뒷가장자리로부터 뒷쪽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경사져서 상기 스커트의 뒷쪽 가장자리에서 끝이나며, 이에 따라 장착돌기는 상기 테이퍼 가이드 위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스트립과 함께 상기 스커트를 바깥쪽으로 굴곡시켜 장착돌기가 상기 제 2 슬롯과 잠금식 맞물림될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스트립과 상기 스커트는 뒷면이 벽표면에 맞닿음되는데 적용되는 상기 둘레 플랜지의 두께내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옆부분, 상기 탄성스트립 및 상기 추가탄성편은 이들 정면표면들이 거의 동일 평면내에서 배열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9. 제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둘레플랜지, 상기 제 1 및 제 2 옆부분, 상기 탄성스트립 및 상기 추가탄성편을 포함하도록 그리고 이러한 부재들의 정면표면들이 거의 동일 평면내에서 배열되도록 단일의 구조체로서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KR9201115U 1987-10-23 1992-01-25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KR920002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15U KR920002440Y1 (ko) 1987-10-23 1992-01-25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67415 1987-10-23
JP26741587 1987-10-23
KR1019880005268A KR890007465A (ko) 1987-10-23 1988-05-06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KR9201115U KR920002440Y1 (ko) 1987-10-23 1992-01-25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268A Division KR890007465A (ko) 1987-10-23 1988-05-06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440Y1 true KR920002440Y1 (ko) 1992-04-13

Family

ID=2733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115U KR920002440Y1 (ko) 1987-10-23 1992-01-25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4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0730C (en) Bracket for mounting wiring devices
US5223673A (en) Modular electrical outlet assembly
KR101249099B1 (ko) 전기 장치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전기 장치 및 지지프레임
US5992955A (en) Structure of computer
US5134754A (en) One-piece pull having snap-in action
JPH0368510B2 (ko)
US5700978A (en) Snap-together wall plates for ganged electrical device installations
US4966424A (en) Cabinet construction
US4873614A (en) Arrangement of a module within a casing frame
EP0487127B1 (en) Wall construction, with wall components fixed by means of blind couplings to framework components
US5484309A (en)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with interference fitting and latching parts
KR920002440Y1 (ko) 배선기구 장착용 브래킷
US6335484B1 (en) Electrical equipment support for attachment to trunking
JPH0132777Y2 (ko)
US4810842A (en) Frame assembly for mounting wiring devices to panel
JP2642635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GB2105922A (en) Mounting a wiring appliance in an aperture
JPH028483Y2 (ko)
JPH0260198A (ja) プリント板ガイドレールの取付構造
JPH01264514A (ja) 電気器具
KR900000703Y1 (ko) 냉장고 톱 패널의 전면판 조립구조
JPH0424929B2 (ko)
JPH0643293Y2 (ja) 可動間仕切
JP2848526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H01268417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