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23Y1 -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 Google Patents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23Y1
KR910006123Y1 KR2019880015179U KR880015179U KR910006123Y1 KR 910006123 Y1 KR910006123 Y1 KR 910006123Y1 KR 2019880015179 U KR2019880015179 U KR 2019880015179U KR 880015179 U KR880015179 U KR 880015179U KR 910006123 Y1 KR910006123 Y1 KR 910006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lease bar
slab
concret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783U (ko
Inventor
이명화
Original Assignee
이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화 filed Critical 이명화
Priority to KR2019880015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123Y1/ko
Publication of KR900006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04C5/0631Reinforcing mats combined with separate prefabricated reinforcement cages or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제 1 도는 이 고안의 일부를 표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상부재 2 : 요입부
3 : 돌출부 4, 5 : 연결부
6 : 이형봉강 7 : 결착부재
본 고안은 합판등에 의한 기초형틀의 설치와 철근의 배근 작업이 필요없이 즉시 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한 콘크리트게 건축물에 있어서의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한 철근형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슬래브를 구축할 경우에는 아래에 받침대를 대고 합판등으로된 기초형틀을 수평으로 지지한 후 그위에 철근을 간격을 두고 배설한 후 그위로 콘크리트를 철근으로부터 적당한 높이에 다다를 때까지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슬래브를 형성할때에는, 기초형틀을 수평으로 지지한 후, 그위에 철근을 배설하는 작업이 매우 번잡하고 또한 현장시공이기 때문에 시일이 소요되는 것이었으며, 기초형틀은 받침대에 의해 밑에서 지지하는 것이므로 상층의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하층의 슬래브가 먼저 양생이 완료되어져 있어야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고층의 콘크리트 건축물을 구축할 경우에는 아래층서부터 순서대로 슬래브를 구축하여야 하고 앞에 적은 것과 같이 철근의 배설작업이 현장시공이기 때문에 시일이 많이 걸려 전체의 공사기일이 길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으로 고안되어진 것이 본 고안의 철근형틀인 것이며, 건축현장에서의 철근의 배설작업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층마다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여 공사기일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형틀판이되는 판상부재의 상방에 철근봉을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결착부재에 의하여 고정시켜서된 철근이 설치된 형틀을 요지로 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형틀판이되는 판상부재의 상방에 2개의 이형봉강(異形捧鋼)을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철사와 같은 결착부재로 고정시켜서되는 철근이 설치된 형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철근형틀은 보 또는 기둥과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의 골격이 되는 철골구조체등에 봉강이 설치된 면을 위로하여 편상부재 또는 봉강을 고정한 후 위로부터 콘크리트를 봉강이 매몰되도록 소요높이까지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판에 적당한 방청(防淸) 가공을 한 판상부재(1)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부(2)와 돌출부(3)을 교대로 형성하여 폭방향의 양측부에는 돌출부(3)가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굴곡부를 형성하고, 판상부재(1)의 일측단은 하방으로 절곡하여 연결부(4)를 형성하며, 타측단은 상방으로 절곡하여 연결부(5)를 형성하므로서 판상부재(1)를 여러개 연결할 경우 상방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콘크리트가 밑으로 새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판상부재(1)에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철근이 되는 이형봉강(6) 2개를 상하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철사와 같은 결착부재(7)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상부재(1)의 요입부(2) 상방중앙에 상측이형봉강(6)과 하측이형봉강(6)과의 간격(d)을 하측이형봉강(6)과 판상부재(1)와의 간격(C)의 약 2배의 간격으로하여 결착부재(7)에 의해 고정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측이형봉강(6)의 단부에서 판상부재(1)로 향하여 구부리거나 수직재(8)을 설치하므로서 하측이형봉강(6)의 양단과 간격을 유지하게 하고 그 하단을 판상부재(1)에 용착하여 이형봉강의 부착강도와 전체의 휨강도를 증가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이형봉강(6)(6)을 배치하기 위하여 철사와 같은 결착부재(7)를 사용하여 상하로 배치된 이형봉강(6)(6) 사이에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판상부재(1)의 길이방향에 따라 하측이형봉강(6)의 상면과 상측이형봉강(6)의 하면사이에 교대로 3각 형상의 부분이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용착하며, 상측이형봉강(6)에도 같은 식으로 철사와 같은 결착부재(7)를 판상부재(1)의 폭방향에 따라 돌출부(3) 상면 및 상측이형봉강(6)의 상부에 융착하여 2개의 이형봉강(6)(6)을 전기한 수직부재(8)에 의하여 공중에 매달린 것 같이 설치한다.
본 고안에서는 판상부재(1)의 폭 a는 600ㅡ850m/m 길이 b는 3,000m/m 전후로 선정하는 것이 취급과 타부재와의 크기를 고려하여 바람직한 태양이다.
또한 이형봉강(6)은 직경 10ㅡ13㎜, 체결부재(7)의 직경은 4ㅡ5㎜의 것이 이용되어 진다. 또한 하측이형봉강(6)의 축심과 판상부재(1)에 있어서의 요입부(2)의 아래면과의 간격(C)은 30ㅡ55㎜, 상측 이형봉강(6)의 축심과 하측이형봉강(6)의 축심사이의 거리(d)는 62ㅡ110㎜로서 각각의 사용대상에 따라 설정되어진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에 의하여 슬래브를 구축할때에는 먼저 보 또는 기둥과 같은 철골구조체에 이형봉강(6)이 배치된 면을 위로하여 판상부재(1)의 연결부(4)(5)를 이으면서 결합하고, 길이방향은 단부를 중복되게 겹치면서 슬래브를 철 전체부분에 걸쳐 형틀을 배치한다. 이렇게 하여 배치된 형틀위에 콘크리트(9)를 상측이형봉강(6)보다 높게 타설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를 형성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판상부재에 철근역할을 하는 봉강을 결착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시킨 것이므로 형장시공에서의 철근의 배설작업이 생략되고 또한 종래에는 하층의 슬래브가 양생이 종료된 후에야 그 위층의 슬래브를 구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판상부재 또는 봉강을 직접 보 또는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철골구조체에 설치하기 때문에 각층의 슬래브를 동시에 구축할 수 있어 공사기일의 단축에 따른 공사비의 절감을 가져오는 등 매우 유용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사용 후 형틀의 세척이나 철기둥의 번잡한 작업도 생략되는 것이다.

Claims (1)

  1. 양측단부에 각기 연결된 연결부(4)(5)를 형성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요입부(2)와 돌출부(3)를 형성시킨 판상부재(1)의 요입부(2) 부분 상측에 철근역할을 하는 봉강(6)(6)을 상, 하간격을 두고 평행되게 위치시키고, 수직부재(8) 및 결착부재(7)에 의하여 상, 하이형봉강(6)(6) 및 판상부재(1)를 고정시켜서된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KR2019880015179U 1988-09-14 1988-09-14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KR910006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179U KR910006123Y1 (ko) 1988-09-14 1988-09-14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179U KR910006123Y1 (ko) 1988-09-14 1988-09-14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783U KR900006783U (ko) 1990-04-03
KR910006123Y1 true KR910006123Y1 (ko) 1991-08-17

Family

ID=1927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179U KR910006123Y1 (ko) 1988-09-14 1988-09-14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1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783U (ko) 199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3200A (en) Pre-cast building element and method
KR20160039855A (ko)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KR100646363B1 (ko)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JP3701078B2 (ja) 道路床版工法
KR910006123Y1 (ko) 슬래브구축용 철근형틀
JPH10227010A (ja) 橋梁床版用の主鉄筋付き鋼製型枠及びそれを用いた橋梁の床版施工法
JPH0248497Y2 (ko)
JPH0122827Y2 (ko)
KR0137466Y1 (ko)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JPH06193178A (ja) フラットスラブの構築工法
JP3358047B2 (ja) 大型床版の製造方法及び構造体の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傾斜床の施工方法
JP278445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基礎
JPH02120446A (ja) プレキャスト版
JPH0634491Y2 (ja) 型枠兼用床版材
JPH0235168A (ja) パネルゾーンの型枠
JPH0523093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梁型枠部材
KR930005630B1 (ko) 건축물의 조립식 슬라브
KR920002117B1 (ko)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방법
JPH082260Y2 (ja) 断熱床構造材
JP2518568Y2 (ja) コンクリート柱への鉄骨梁の接続構造
JPH09242182A (ja) 中空部材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JPH0334963Y2 (ko)
JP2636858B2 (ja) フラツトスラブの施工法
JPH0113122Y2 (ko)
JPS5941564A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ト構造物の配筋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60124

Effective date: 199705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