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03Y1 -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903Y1
KR910003903Y1 KR2019910003983U KR910003983U KR910003903Y1 KR 910003903 Y1 KR910003903 Y1 KR 910003903Y1 KR 2019910003983 U KR2019910003983 U KR 2019910003983U KR 910003983 U KR910003983 U KR 910003983U KR 910003903 Y1 KR910003903 Y1 KR 910003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lug
jack
circuit elem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 쥬소
슈조 니시다
게이조 오꾸노
히데노미 미노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8079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9320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8190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4252Y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03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2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for coupling an active element with fibres without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fibres with plane ends, fibres with shaped ends, 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5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emiconductor devices activated by light through the light guide, e.g. thyristors, photo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속장치
제 1 도는 선행기술에서의 접속장치의 측면도.
제 2 도는 또하나의 선행기술에서의 접속장치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접속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 4a 도는 제 4b 및 제 4c 도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에 접속장치의 수컷부분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그중 제 4a 도는 그 정면도, 제 4b 도는 그 측면도, 제 4c 도는 제 4b 도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제 5a 도및 제 5b 도는 제 4a, b, c 도의 접속장치의 암컷부분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 5a 도는 그 정면도, 제 5b 도는 그 측면도.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플러그들이 전방끝부분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 7 도는 플러그의 단면 형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절연편 14, 56 : 차폐도체
15, 57 : L-채널도체 16, 60 : R-채널도체
17 : 돌출편 18, 31, 43 : 플러그
19, 30, 44 : 재크 20, 45 : 개구
32, 74 : 중앙도체 33, 36, 80 : 외부덮개
34, 38, 72, 81 : 절연체 35, 79 : 중앙핀
52 : 제2도체 53 : 제3도체
54, 82 : 광섬유 55 : 전방단말
58, 75 : 광소자 59 : 리드선
61, 76 : 회로요소 62, 77 : 지지판
71 : 핀재크 73 : 전도성 외부덮개
73a : 둥글게 형성된 가장자리 부분 78 : 핀플러그
80a : 테이퍼진 가장가지 부분 83 : 중앙구멍
84 : 가이드퍼스 85 : 접촉용 돌출몰
86 : 반원형 부분
본 고안은 헤드폰과 같은 음향장치와 음향재생장치 사이에 사용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섬유를 통하여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장치에 사용되는 선행기술에서의 접속장치들은 비교적 적은 양의 신호를 교환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많은 수의 신호를 교환하려 할 때에는 많은 접속장치를 사용해야하며 따라서 장치들 사이의 배선이 복잡하게 되어 불편을 초래한다.
제 1 도는 플러그(18)와 재크(19)를 구비하는 선행기술의 접속장치의 일예를 도시한다.
플러그(18)는 길죽한 전방돌출편(17)을 구비하며 이것은 종방향을 따라 3개의 전도체부분을 나누어지고 이 전도체들은 절연편(13)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서 여러개의 전기적 장치를 통하여 연결을 이루고 있다.
재크(19)는 차폐도체(14), L-채널도체(15) 및 R-채널도체(16)등으로 구성된다.
플러그(18)의 돌출편(17)이 개구(20)를 통하여 재크(19)내로 삽입될때, 플러그(18)와 재크(19)를 각각 구비한 음향장치들이 접속되는데 즉, 제 1, 제 2 및 제 3도체들이 각각 차폐도체(14), L-채널도체(15) 및 R-채널도체(16)와 접촉할 때 접속된다.
제 2 도는 RCA형 핀재크(30)와 핀플러그(31)를 구비하는 선행기술의 접속장치의 일예를 도시한다.
핀재크(30)는 중앙도체(32)와 접지된 외부덮개(33)를 구비하며 그 사이에는 절연체(34)가 위치하여 양자를 절연시키고 있다.
마찬가지로 핀플러그(31)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중앙핀(35)과 접지된 외부덮개(36)를 구비하며 그 사이에는 절연체(37)가 배치되어 양자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있어서 핀플러그(31)를 핀재크(30)내에 삽입함으로써, 접속을 성립시킬수 있고 이에 의해 재크(30)의 중앙도체(32)를 중앙핀(35)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시킬 수 있고 또 외부덮개(33 및 36)들을 상호 가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접속장치로서는 다만 하나의 전기적 장치의 신호만을 전송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단순한 구조로서 많은 수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또한 많은 수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광신호와 전기적신호양자에 대해 접속장치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목적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과 기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접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 접속장치는 수컷부분과 해당 암컷부분으로 구성되 있으며 수컷부분은 그 전방단말부위에서 광섬유의 일부를 노출시키며 암컷부분은 광섬유의 상기 노출된 부분을 통하여 전송되거나 수납되는 광신호의 광축상에 광소자를 포함하고 있어서 접속장치를 통하여 광신호를 추가적으로 교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도면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제 3 도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접속장치이며 플러그(43)와 재크(44)를 구비한다.
플러그(43)는 그 전방표면상에 길죽한 돌출편(42)을 구비하며, 제1도체(5), 제2도체(52) 및 제3도체(53)들은 절연체에 의해 상호 절연되어 두개의 전기적 장치가 상호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러그(43)내에 있어서 광섬유(54)들은 그 중앙측을 따라 길죽한 돌출핀(42)의 내부를 통하여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광섬유의 전방단말(55)은 돌출핀(42)의 전방단말에서 노출되어 있다.
재크(44)는 개구(45)를 구비하는데 이 개구를 통하여 풀로그(43)의 길죽한 돌출편(42)이 삽입되어 그 내부에 꼭 맞게 되어 있으며, 차폐도체(56)는 플러그(43)의 제1도체(51)와 접촉하게 되어 있고, L-채널도채(57)는 제 2 도에 (52)와 접촉하게되어 있고, R-채널도체(60)는 제3도체(53)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재크(44)의 내부에는 지지판(62)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지지판에는 플러그(43)가 개구(45)를 통하여 재크(44)내로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광섬유(54)의 전방단말(55)의 반대위치에 광소자(58)가 부착되어 있으며 즉 말하자면 광섬유(54)의 전방단말(55)을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의 광측상의 부착되어 있다.
회로요소(61)는 광소자(58)에 연결되며 광소자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재크(44)가 신호수납장치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광소자(58)는 광선수납요소일 수 있고, 재크(44)가 광전송장치편에 있는 경우에는 광소자는 LED와 같은 발광요소일 수 있다.
광소자(58)가 광선수납요소인 회로요소(61)는 증폭기와 콤퍼레이터를 구비하며 광소자(58)가 발광요소인 경우에는 드라이버(IC)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59번은 전기전신호의 입력 및 출력의 리드선을 가리킨다.
만약 두개의 음향장치 (제1장치 및 제2장치라함)를 전술한 형의 접속장치에 의해 접속시켰다면 플러그(43)는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제1장치에 연결되며 재크(44)는 제2장치에 부착된다.
케이블속에 수용된 것을 플러그(43)의 제1도체(51)에 연결된 차폐선, 제2도체(52)에 연결된 신호선, 제3도체(53)에 연결된 또 하나의 신호선, 및 광섬유(14)등이다.
플러그(43)의 길죽한 돌출편(42)이 개구(45)를 통하여 재크(44)내로 삽입될때, 플러그(43)의 제1도체(51)는 재크(44)의 차폐도체(56)와 접촉하게 되며 제2도체(52)는 L-채널도체(57)와 접촉하게 되고 제3도체(53)는 R-채널도체(60)와 접촉하게 되어 이어 따라 두개의 음향장치 사이의 전기적접속을 확립한다.
재크(44)가 광산호수납쪽에 있는 경우에는 광소자(58)는 광선수납요소가 되며 플러그(43)의 광섬유(54)를 통과하는 전방단말(56)에서 전송되어 광선수납요소에 의해 수납된다.
이 광신호는 전기적신호로 전환되고 회로(61)에 있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콤퍼레이터(IC)에 의해 논리수준신호로 전환되며 그후 리드선(59)을 통하여 제2음향장치내에 들어간다.
광신호가 재크(44)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는 광소자(58)는 발광요소이며 제2음향장치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는 리드선(59)를 통하여 회로(61)에 있는 드라이버(IC)에 의해 수납된다.
드라이버(IC)는 수납된 전기적신호에 의거 발광요소를 작동시켜 발광요소로부터 광신호를 발송케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전송된 광신호는 전방단말(55)을 통하여 플러그(43)의 광섬유(54)에 의해 수반되며 이 광섬유(54)를 통하여 제1음향장치에 입력되어 그것에서 처리된다.
재크(44)의 외부층은 차폐판역할을 하는 도체이기때문에 고성능 증폭기를 가진 IC의 안정도가 개선된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접속장치는 전기적신호 및 광신호에 의해 음향장치들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들의 접속이 간소화되며 많은 전기적신호들을 접지시킬때 생기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제 4a 도, 제 4b 도 및 제 4c 도와 제 5a 도 및 제 5b 도는 본 고안의 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핀재크(71)와 핀플러그(78)를 구비한다.
제 4a 도, 제 4b 도 및 제 4c 도를 참조하면 접속장치의 암컷부분역할을 하는 핀재크(71)는 절연체(72)를 구비하는데 이 절연체는 본체를 구성할 뿐아니라 다른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 핀재크는 절연체(72)의 전방에 재크(71)의 둘레에 있는 전도성 외부덮개(73), 절연체(72)의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도체(74) 및 지지판(77)등을 구비하는데 이 지지판을 절연체(72)의 후방단말에 위치하며 이 지지판위에 광소자(75) 및 회로요소(76)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5a 도 및 제 5b 도를 참조하면 접속장치의 수컷역할을 하는 핀클러그(78)는 중앙핀(79) 전도성의 부덮개(80), 절연체(81) 및 광성유(82)등을 구비하는데 상기 중앙핀(79)은 접촉핀역할을 하며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절연체(81)는 중앙핀(79)과 외부덮개(80)사이에 위치하여 이 양자를 서로 절연시키고 있으며 상기 광섬유(82)의 단말은 중앙핀(79)내에 위치한다.
핀플러그(78)는 핀재크(71)내에 삽입되어 결합하게끔 되어 있어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접속상태를 확립한다.
광소자(75)는 핀재크(71)의 지지판(77)중아에 부착되어 있어서 광섬유(82)의 단말표면에 대해 반대편에 위치하며 또한 핀플러그(78)가 핀재크(71)내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되면 광섬유(82)의 단말표면에서 광중앙측은 광소자(75)의 광수납 중앙부 또는 발광중앙부를 통하여 통과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접속장치를 광신호전송용장치에 사용할때 전기적신호를 광신호로 바꾸기 위한 LED와 같은 발광요소를 광소자(75)로 사용하게 되며 이 광소자에 가까이 위치하는 회로요소(76)는 드라이버IC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요소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반면에 접속장치를 광신호수납장치에 사용할 경우에는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바꾸기 위한 광트렌지스터와 같은 광수납요소가 광소자(75)로서 사용되며 회로요소(76)는 증폭기-콤퍼레이터(IC)를 구비하여 전기적신호를 증폭시키고 논리수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제 4b 도는 또한 터널과 같이 생긴 종방향중앙구멍(83)를 도시하는데 이 구멍은 전방단말(외부덮개(73)가 위치하는 곳)에서 후방으로 반쯤지나서 재크절연체(72)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83)은 핀플러그(78)의 중앙핀(79)이 그속에 공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모양과 규격을 구비한다.
중앙핀(79)과 접촉하게되어 있는 재크(71)의 중앙도체(74)는 가이드피스(84)들을 구비하는데 이 가이드피스들은 그 잔방단말에 각도진 U-형으로 형성되어 진다.
중앙부위에 향해 있는 접촉용 돌출몰(85)은 가이드피스(84)의 내표면상에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중앙핀(79)이 구멍(83)을 뚫고 들어가면 이 중앙핀을 외부방향으로 상기 돌출들을 탄력있게 가압하게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78)의 중앙핀(79)과 재크(71)의 중앙도체(74)사이에 견고한 접촉을 확립한다.
또한 중앙도체(74)는 반원형부분(86)을 형성하고 있어 지지판(77)의 중앙에 있는 광소자(75)와 광섬유(82)의 단말표면 사이에 전송되는 광신호들과 혼신을 일으키지 않게 한다.
재크(71)의 외부덮개(73)는 플러그(78)의 외부덮개(80)보다 약간 클뿐아니라 또한 둥글게 형성된 가장자리부위(73a)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78)의 외부덮개(80)는 또한 테이퍼진 가장자리 부위(80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78)는 재크(71)내로 원활하게 삽입되며 한편 플러그(78)의 외부덮개(80)가 탄성적인 외방변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와 재크사이에는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진다.
광섬유(82)의 단말 표면은 중앙핀(79)의 전방단말표면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중앙핀(79)은 다음과 같이 설계되어 있다.
즉 그 전방단말이 광소자(75)나 회로요소(76)에 닿거나 그것들을 파손시킬 수 없으며 이것은 재크(71)를 통하여 중앙구멍(83)내로 완전히 삽입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되게끔 설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구조의 접속장치를 다음과 같은 발광장치에 사용할때 즉, LED와 같은 발광자치를 광소자로서 사용하고 지지판(77)상에 회로요소로서 드라이버(IC)를 사용하고 플러그(78)가 재크(71)내에 삽입되는 이러한 장치에 상기 접속장치를 사용할때 재크(71)의중앙도체(74)와 플러그(78)의 중앙핀(79)사이에는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지며 또한 접지시킨 두개의 외부덮개(73 및 80)들 사이에도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광섬유(82)의 단말표면은 드라이버(IC)에 의해 작동화 된 LED 부터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으며 신호는 광섬유(82)를 통하여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속장치를 다음과 같은 광수납장치에 사용하였을때 즉 광트렌지스터와 같은 것을 광소자(75)로서 배치시키고, 증폭기-콤퍼레이터(IC)를 회로요소(76)로서 사용하고, 플러그(78)를 재크(71)내에 삽입한 그러한 장치에 사용할때 광섬유(82)를 동과한 광신호들을 광트렌지스터에 의해 전기적신호를 전화되며 증폭기-콤퍼레이터에 의해 처리되어 그후 출력된다.
위에서 제 3 도와 관련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재크(71)의 외부덮개(73)는 차폐역학을 하며 고차원증폭기를 구비한 회로요소가 재크(71)내에 존재한다 하더라도 소음을 감소시킨다.
본 고안의 선호된 실시예에 관한 위의 설명은 설명의 목적으로서만 제시한 것이다.
여기 발표한 형상대로 정확하게 본 고안은 한정 시키려는(소진성을 띄게하려는)의도가 아니며 전술한 원리하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들면 광섬유(54 또는 82)의 단말표면을 제 6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러그(42 또는 79)의 전방단말에서 돌출하게 할수도 있으며 또는 제 5b 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게 하는 대신에 제 6b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목하게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플러그의 돌출편은 반드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게 할 필요가 없다.
예를들면 제 7 도에 도시한 단면모양 및 기타 이 분야에 숙달된 사람이 분명히 인지할 수 있는 어떤 수정과 변형된 형태로 본 고안의 범위내에 포함되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전송 및 수신되는 광신호를 위한 광축상에 전방단말의 표면을 구비하는 광섬유를 포함한 플러그와, 그리고 상기한 플러그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재크로 구성하되, 상기의 재크는 지지판과 상기한 광측상에서 상기한 지지판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리고 상기한 플러그가 상기한 재크내로 완전히 삽입될때 상기한 광섬유의 전방단말의 표면을 마주보는 광소자와,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한 광소자에 접속되는 회로요소와, 상기한 회로요소로 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한 회로 요소에 접속되는 리드선과 그리고 소음을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한 지지판과 회로 요소 및 리드선과 근접하여 배치되어서 상기한 플러그가 상기한 재크내로 완전히 삽입될때 상기한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기에 적합한 차폐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플러그는 전방단말을 갖는 길죽한 돌출편을 구비하여 상기한 광섬유가 상기한 돌출편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방단말의 표면은 상기한 잔방단말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방단말의 표면은 상기한 전방단말로 부터 약간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방단말의 표면은 상기한 전방단말로 부터 약간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6. 전방단말을 구비하는 접속플러그를 수납하되, 상기한 접속 플러그는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전도체편과, 지지판과, 상기한 접속플러그가 완전히 상기한 접속재크내로 삽입될때 상기한 접속플러그의 전방단말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한 지지판에 의하여 지지되는 광소자와,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또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되 상기한 광소자 근처에서 상기한 지지판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접속되어 있는 회로요소와, 상기한 회로요소에 또는 회로요소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한 회로요소에 접속된 리드선 및 소음을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한 지지판, 상기한 회로요소 및 상기한 리드선 근처에 배치하되 상기한 접속 플러그가 상기한 재크내로 완전히 삽입될때 상기한 접속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기에 접합한 차폐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재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속재크는 내부에 전도성물질, 상기한 전도체편 및 상기한 회로요소로 이루어진 외부덮개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재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로요소는 증폭기와 비교기(comparator)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재크.
  9. 플러그와 재크를 구비하되, 상기한 플러그는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상기한 재크내로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되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섬유를 에워싸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한 광섬유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납하도록 하기 위하여 광축상에 전방단말의 표면을 갖도록 한 길죽한 돌출편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재크는 소음을 감소하기 위한 차폐도체와, 지지판과, 상기한 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납하고 또는 상기한 광섬유로 광신호를 전송하되, 상기한 플러그가 상기한 재크내로 완전히 삽입될때 상기한 광섬유의 전방 단말표면을 마주보고 있는 상기한 광축상의 위치에서 상기한 지지판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리고 근접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접속되는 회로요소에 접속되어 있는 광소자와, 상기한 회로요소에 접속되어 있는 리드선으로 구성하되 상기한 차폐도체는 상기한 지지판과, 상기한 광소자와, 상기한 회로요소 및 상기한 리드라인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한 플러그가 상기한 재크내로 완전히 삽입될때 상기한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재크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재크는 상기한 플러그가 상기한 재크내로 삽입될때 상기한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하기 위한 전도체편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재크는 상기한 광전송 또는 광수납의 광소자와 상기한 신호변환장치를 에워싸는 차폐도체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한 신호변환장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소자는 수광장치이고 그리고 상기한 회로요소는 증폭기와 비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광장치는 광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소자는 발광장치이고 그리고 상기한 회로요소는 드라이버 IC(interated circuit element)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KR2019910003983U 1986-05-28 1991-03-25 접속장치 KR910003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983U KR910003903Y1 (ko) 1986-05-28 1991-03-25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80793U JPS62193208U (ko) 1986-05-28 1986-05-28
JP61-80793 1986-05-28
JP1986081909U JPH0514252Y2 (ko) 1986-05-30 1986-05-30
JP61-81909 1986-05-30
KR870005261 1987-05-27
KR2019910003983U KR910003903Y1 (ko) 1986-05-28 1991-03-25 접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5261A Division KR870011719A (ko) 1986-05-28 1987-05-27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903Y1 true KR910003903Y1 (ko) 1991-06-07

Family

ID=2746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983U KR910003903Y1 (ko) 1986-05-28 1991-03-25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9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9566A (en) Optical fiber and electrical plug/jack interconnection device
US7160032B2 (en) Electro-optical composite connector, electro-optical composite cable, and network devices using the same
KR0129984Y1 (ko) 전기 커넥터
US9188757B2 (en) Cable assembly with electrical-optical hybrid cable
JPH0313989Y2 (ko)
US20060134983A1 (en) Electrical socket assembly and plug connector coupled thereto
ES293428Y (es) Un zocalo para conexion electrica con un miembro de contacto exterior y miembros de contacto de un conectador de clavijas
JPWO2003028169A1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20120302104A1 (en) Socket with several mating ports
WO2002027337A3 (en) High performance tester interface module
AU589873B2 (en)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having a contoured shell
US20040127098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KR100694401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50007602A (ko) 정합 커넥터 장착용 커넥터 및 그 차폐부
US6547595B2 (en)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GB1142794A (en) Coaxial connectors
KR0123950B1 (ko) 접속기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H0326514B2 (ko)
US6099332A (en) Connector with adaptable insert
KR910003903Y1 (ko) 접속장치
CN214068936U (zh) 高密度连接装置
JPH11214100A (ja) 光信号・電源用複合コネクタ装置
ATE37631T1 (de) Steckverbinder fuer koaxial abgeschirmtes kabel.
US11552430B2 (en)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