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814B1 - 드 릴 - Google Patents

드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814B1
KR910001814B1 KR1019870009525A KR870009525A KR910001814B1 KR 910001814 B1 KR910001814 B1 KR 910001814B1 KR 1019870009525 A KR1019870009525 A KR 1019870009525A KR 870009525 A KR870009525 A KR 870009525A KR 910001814 B1 KR910001814 B1 KR 91000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utting blade
shaft
ho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600A (ko
Inventor
오기나가히로아기
Original Assignee
닛겐 쯔루 가부시기가이샤
나리다 도시유기
유겡 가이샤 요시노 세이기
요시노 요오스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3136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29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3135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37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3136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37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6042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17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425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920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6042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6404U/ja
Application filed by 닛겐 쯔루 가부시기가이샤, 나리다 도시유기, 유겡 가이샤 요시노 세이기, 요시노 요오스게 filed Critical 닛겐 쯔루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6Bushings;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1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cylinder saws, e.g. trepanning; saw cylinders, e.g. having their cutting rim equipped with abrasive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rilling Too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드릴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장착부의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절단날의 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절단날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 드릴의 부분 절취 측면도.
제8도 a,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절단날의 일부 단면도 및 사시도.
제9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절단날의 일부 단면도.
제10도-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 또는 제11도 또는 제12도에서 도시된 드릴을 사용하여 뚫어진 재질내의 구멍을 도시한측단면도.
본 발명은 돌, 콘크리트, 금속등의 경질 작업편내에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질재질을 뚫을때 발생되는 조각들을 붙어 버리도록 공급되는 공기와 같은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통로가 축방향으로 축에 형성된 고속 회전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 콘크리트, 금속 등과 같은 경질 재질을 뚫기 위한 통상적인 드릴로서 부딛침날이 있는 절단날을 갖는 충격 비틀림 드릴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틀림 드릴로서 경질 재질에 구멍을 뚫는 작업은 압력하에 700rpm 내지 1000rpm의 속도로 드릴을 회전하면서 동시에 드릴의 축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가해서 수행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종래 드릴은 축방향에서의 진동과 회전이 되어야 하므로 드릴의 회전 속도는 증가될 수 없어 결과적으로 구멍 뚫는 효율이 개량될 수 없는 것이다. 더우기 구멍 뚫는 작업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등은 주위에 소음 공해가 될뿐 아니라 드릴장치에 손상을 줄 수도 있고 구멍 뚫어지는 재질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일본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공개 공보 소 60(1985) -87650(A) 및 일본국 특허 출원공개 공보 소 61(1986)-146412(A)호에서 진동이 없고 고속의 드릴 작업을 할 수 있는 드릴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모든 드릴은 선단부상에 원통형 절단날을 갖으며 원통형 절단날은 다이아몬드 입자를 포함하는 초경화 연마 분말을 소결하므로서 성형되며 고속에서 수행되는 드릴작업을 충분히 견디어 낼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제안된 드릴은 그 축을 따라서 유체통로를 형성하므로써 공기와 같은 유체를 인입할 수있고 그리고 드릴의 선단부에 위치된 절단날에서 유체를 뿜어낼 수 있으므로 드릴작업시에 발생되는 절단조각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고속으로 효율적인 드릴작업에 알맞는 드릴을 만들 수는 있으나 드릴과 드릴장치사이의 관계에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드릴홀더와 드릴장치 및 드릴의 착탈 설비와, 드릴장치에 드릴로 구성된 드릴 시스템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드릴시스템은 드릴상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드릴홀더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의하여 구성된 나사형 결합 구성이 적용된다. 그러나 주어진 대상체를 구멍을 뚫도록 1000rpm 이하의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종래의 비틀림 드릴과 비교할 때 상술된 고속 드릴은 드릴장치의 드릴홀더와 강력히 체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술된 바와같은 드릴 시스템내의 나사형 결합 구조는 드릴과 드릴홀더의 착탈이 되기 위해서는 드릴의 숫나사부와 드릴장치의 드릴홀더의 암나사부 사이에 매우 정밀한 공차가 있어야만 하나, 이러한 공차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릴의 떨림의 원인이 된다. 고속 드릴 장치의 드릴과 드릴홀더가 강력히 결합되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고속에서 경질 재질을 뚫을때에는 막대한 토크(torque)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질 재질을 뚫기 위한 이러한 형태의 드릴장치는 구멍 뚫기 작업시에 생성되는 절단조각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조각 배출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장치의 드릴흘더로서 확실히 유지 고정되며 떨림없이 안정된 고속 회전을 유지하므로서 경질 재질내에 구멍을 효율적으로 뚫을 수 있는 드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릴 작업시에 생성된 절단조각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드릴의 선단부에 위치된 절단날을 냉각시킬 수 있는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에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은 유체통로를 갖는 공동드릴축과, 드릴축의 선단부에 위치된 원통형 절단날과, 드릴축의 몸통부 또는 후단상에 형성되며 드릴장치의 드릴홀더에 고정될 나사부를 갖는 고정부와, 그리고 나사부에 인접하여 축의 선단부를 향하여 점점 굵어지는 직경을 갖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드릴의 나사부의 나사는 드릴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드릴의 회전방향으로 드릴을 회전시키므로서 더욱 조여지게 되며 즉 역나사로 되어 있다. 드릴의 나사부가 드릴장치의 드릴홀더내에 형성된 축방향 구멍내에 나사가 결합될때 드릴홀더의 축방향 구멍의 개구변은 드릴의 경사부와 일치되도록 되어 있어 드릴의 경사부내로 탄성적으로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부는 드릴홀더에 대하여 쐐기역활을 하므로서 드릴장치의 드릴홀더에 드릴이 빠르게 연결될수 있게 한다. 드릴의 경사부의 외측면에 알맞게 형성되었으며 드릴의 결합부에 수용되기 위한 원뿔형 축구멍을 갖는 드릴홀더를 활용하므로서 드릴을 드릴장치의 드릴홀더에 더욱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드릴홀더상에 작용하는 드릴의 경사부의 쐐기 효과는 드릴 작업시에 발생되는 반응력에 의하여 더욱 강하게 나타나므로 드릴과 드릴홀더가 서로 강력히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다른 설명에서 더욱 명료히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일실시예는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드릴은 축대의 축을 따라서 형성된 유체통로(2)를 갖는 공동 드릴축대 (1)와, 드릴축대(1)의 선단부에 설치된 원통형 절단날(10)과, 드릴축대(1)의 몸통부 즉 후단에 형성된 결합부(4)로 구성되므로서 드릴장치의 드릴홀더(H) 또는 전기 소형 드릴(A)에 결합될 수 있다. 축대(1)의 결합부(41)는 축대(1)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부(5)와, 나사부(5)에 인접된 경사부(6)로 구성된다. 나사부(5)는 암나사부(f)를 갖는 드릴흘더(H)내의 축(h)내로 결합되는 숫나사부를 갖는다.
나사부(5)의 나사는 드릴장치의 드릴홀더(H)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역 방향 나사이다. 즉 드릴축대(1)의 숫나사와 드릴흘더(H)의 앞나사는 드릴홀더의 축구멍(h)내의 고정되는 드릴축대(1)의 나사부(5)와 드릴장치로써 드릴을 역회전하는 방향으로 드릴홀더(H)를 돌림으로서 조여 준다.
경사부(6)의 후단축 최소직경은 나사부(5)상 숫나사부의 최소 직경과 같으며 경사부(6)의 외측 직경은 드릴축대(1)의 중간 부분을 향하여 점차 증가된다. 그러므로 나사부(5)가 드릴홀더(H)에 대하여 드릴축대(1)을 돌림으로서 드릴 홀더의 축구멍(h)내로 들어가며 축구멍(h)의 개구변(e)은 경사부(6)에 밀착된다.
또한 드릴축대의 나사(5)가 회전되어 드릴홀더의 축구멍(h)로 들어갈때 축구멍(h)의 개구변(s)은 경사부(6)내로 탄성적으로 결합되므로서 드릴축대(1)의 드릴홀대(H)에 단단히 결합되는 것이다. 더우기 드릴장치에 의하여 회전되는 드릴은 경질 재질의 구멍을 뚫을 때에 발생되는 반응을 수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반탄력은 드릴회전의 역방향에서 토크로 작용하며 드릴의 숫나사부가 드릴장치의 드릴홀더(H)의 축구멍내로 보다 깊게 삽입된다. 그결과로서 드릴과 드릴홀더는 안정되고 강력하게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릴홀더(H)에 개구변부(e)는 드릴을 경사부(6)와 주연부가접촉된다. 만약 서로가 선 접촉되는 드릴과 드릴홀대의 결합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면 암나사와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원축형 내측벽으로 구성된 축구멍(h)를 갖는 드릴홀더(H)가 사용될 수 있다. 축구멍(h)의 개구연부와 암나사 사이에 위치되는 원추형 내측벽은 드릴의 경사부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드릴의 경사부(6)는 드릴홀더(H)의 축구멍(h)에 원추형 내측벽과 면접촉 하므로서 드릴과 드릴홀더의 결합강도를 괄목하리만큼 개선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드릴축대(1)의 측을 따라서 형성된 유체통로(2)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같은 유체가 흐르는 이송부는 드릴홀더(H)의 몸통부에 형성되며 드릴장치(A)내에 설치된 구동모타(도시되지 않음)의 공동 회전축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이송부(P) 드릴축대(1)의 유체통로(2)내로 유입되는 유체는 드릴축대(1)의 선단부에 위치된 절단날(10)에서 분사된다. 드릴축대(1)의 선단부에 위치된 절단날(10)은 예를들어 다이아몬드 입자와 같은 초경도 연마 분말을 원통형내에 넣어 소성하므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원통형 절단날(10)은 세로로 찢어진 부분(12)에 의하여 분리되는 두개의 절단부(11)로 구성된다. 따라서 절단날(10)은 찢어진 부분(12)으로 구획지는 내측벽들과 절단부(11)의 외주포면들 사이의 교차변들에서 이루어지는 모서리부이다. 절단날(10)의 외측직경은 드릴축대(1)의 외측직경 보다 크다. 따라서 절단날(10)은 절단부(11)을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드릴축대(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분(13)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절단날(10)에 부착된 연결부분(13)은 원추형 구조이다. 이러한 연결부분(13)의 이러한 구조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드릴축대(1)의 선단부에서의 내측벽은 원추형이다. 그러므로 연결부분(13)의 외측표면과 축대(1)의 선단부의 내측 표면을 원추형으로 하므로서 연결부분(13)과 축대(1)의 선단부분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 조립시에 발생되는 결합강도가 증가되며 집적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절단날(10)을 드릴축대(1)에 용이하게 부착하며 조립시에 연결부분(13)과 드릴축대(1)의 중심을 쉽게 맞추기 위하여 연결부분(13)에는 스리브(15)가 설치되며 스리브(15)는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날의 축 방향으로 원추형 연결부분(13)의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연결부분(13)은 축을 따라서 찢어진 부분(12)내로 개방된 통공(16)을 갖는다. 이러한 통공(16)은 도관으로써 작용되도록 드릴축대(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그러므로 축대(1)의 내의 유체통로(2)에 유입되어 흐르는 유체의 유속은 연결부분(13)내의 통공(16)에서 증가된다. 연결부분(13)의 외측직경은 유체통로(2)의 내측직경과 같으나 절단날(10)의 외측직경은 드릴축대(1)의 외측직경보다 크다. 그러므로 절단날(10)이 회전되어 주어진 작업편내에 구멍을 뚫을 때에 절단날(10)내에 형성된 찢어진 부분(12)은 연결부분(13)의 부분(17)의 외측 공간을 통하여 뚫어진 구멍내의 드릴축대(1)에 주위의 공간과 연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드릴로서 제2도에서와 같이가 상선으로 도시된 구멍(0)를 형성하도록 경질 재질(S)이 구멍이 뚫어질때에 드릴축대(1)내의 유체통로(2)에 유입되어 연결부분(13)내의 구멍(16)을 통하여 분출되는 유체는 찢어진 부분(12)과 드릴축대(1)의 주위 공간을 통하여 구멍(0)의 외측으로 빠져 나온다. 이때에 구멍 뚫기 작업시에 발생된 절단 조각들은 소거되며 뚫어진 구멍(0)으로 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설명된 실시 예에서 연결부분(13)은 숫원뿔형이고 드릴축대(1)의 선단부는 암 원추형이다. 반대로 제5도에서는 연결부분(13')이 암원추형이고 드릴축대(1)의 선단부는 숫원추형이다. 이 경우에 연결부분(13')에는 드릴축대(1)내의 유체통로(2)에 삽입될 스리브(15')가 형성되며 이러한 스리브(15')는 연결부분(13)의 암원추형 표면의 최내측부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표시 번호로써 표시된 소자들은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기능과 구성이므로 여기에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제6도 및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축대의 결합부과 절단날이 약간 변형되었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는 전술된 실시 예들에서와 같은 동일한 번호와 표시로 표시된 소자들은 전술된 실시예의 것들과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갖으므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 실시 예에서 절단날(20)은 드릴축대(1)의 선단부에 충두(衝頭)결합되며 절단부분(21)의 축 중앙에서 편이된 통공(21)을 갖는 원통형 절단부(21)를 포함한다.
절단부(21)의 전면(23)에는 통공(21)의 개구와 절단부(21)의 축 중앙을 통과하는 전면홈(24)이 형성되며 주위 표면에는 전면홈(24)과 연결된 축홈들(25a, 25b)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들(24, 25a, 25b)은 호형단면을 갖으며 물론 횡단면에서는 장방형이다. 어떤 경우에는 이들 홈들이 흠들에 의하여 결정되는 벽들과 전면 또는 측표면과 사이의 교차변부에서 절단날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유체가 통과하는 통공이 절단날의 축 중앙을 따라서 형성된 드릴을 사용하여 경질 재질에 구멍을 뚫을때에 작업물의 구멍을 뚫으므로써 잘라지는 부분의 중앙부가 잘라지지 않고 기둥과 같이 남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절단날(20)내의 통공(22)이 편심되어 위치되며 전면홈(24)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6도 및 제7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드릴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절단날의 주위표면에 형성된 축홈들(25a, 25b)에 기인하여 절단효율을 크게 증가하며 또한 통공(22)에서 분사된 유체는 구멍 뚫기 작업시에 발생된 절단 조각들과 함께 축홈들(25a, 25b)을 통하여 방출된다.
통공(22)에서 방출된 유체의 대다수는 축홈(22b)에 대하여 통공(22)보다 가깝게 위치된 축홈(25a)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왜냐하면 통공(22)으로부터 축홈(25a)로의 통로는 통공(22)으로부터 축홈(25a)까지의 통로에서의 유체 저항 값이 작기 때문이다. 만약 절단날을 냉각하고 절단된 조각들은 제거하는 효과의 관점에서 본다면 제(8a)도 및 제8b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절단날(20)은 통공(22')의 개구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의 주위 측표면에 단일홈(25')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절단날(20)에는 전면홈이 없다. 이러한 절단날에서는 통공(22)에서 분출된 유체가 주위 측표면으로의 가장 짧은 통로가 축홈(25)으로 연장된 가장 긴 통로를 취한다. 즉 회전되는 절단날 내의 통공(22)로부터 분출되는 유체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동일하다. 만약 통공(22')과 축홈(24')의 크기, 직결 및 위치가 적합하게 설계되었다면 회전되는 절단날의 내중량은 잘 균형이 잡혔으므로 진동의 발생을 억압할 것이다. 그러므로 구멍 뚫기 작업시에 발생되는 열과 절단되는 조각들과 통공(22)에서 분출되는 유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제9도에서는 나선형 또는 원추형 요홈(23')이 전면에 형성된 절단날(20)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절단날의 구조로서 드릴 회전의 안정성이 개량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소자들은 제8a도와 제8b도에서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또 다른 절단날이 도시되어 있다. 드릴 작업시에 절단날의 선단의 중심에서 회전 속도는 "0"가 되므로 이론적으로 절단날의 중앙에서는 절단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절단날의 선단 표면의 중심부는 작업편을 문질러서 방사 방향으로 발생되는 절단날의 최소진동으로 연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에서의 절단효율은 매우 좋지 않다. 절단날의 선단 표면 중앙부에서 절단효율을 개량하기 위하여 절단날(30, 20', 30")에는 제10도 내지 제1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후단공간(31, 31', 31")과 후단공간(31, 31', 31")내의 최내측벽상에 비교적 큰 다이아몬드 조각(32)를 형성한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조각(32)는 절단날 중앙에서 약간 편심되어 위치된다. 다이아몬드 조각(32)의 일측모서리를 중앙에 위치시켜 작업편의 중심부에서 떠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10도에서 도시된 절단날(30)은 후단공간(31)을 형성하는 주위벽 내의 개방홈(34)를 갖는다. 개방홈(34)를 통하여 유체통로(2)에 유입되고 통공(33)을 통하여 분출되는 유체가 방출된다.
제11도의 절단날(30')의 외측주입표면에서는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길이 방향 축홈(3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통공(33)에서 분출된 유체는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제12도의 절단날(30")에서 제10도와 같이 개방홈(34)를 갖는 주위벽은 동축상에 위치된 외측연마부재(36)과 내측연마부재(37)로 구성된다.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는 외측연마부재(36)는 비교적 작은 연마 분말로서 만들어지고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내측연마부재(37)은 비교적 큰 연마 분말로 형성된다. 입자 크기가 다른 동축연마부재들과 후단 공간의 최내측벽에 위치된 다이아몬드 조각(32)를 갖는 이러한 구조로서 절단 효율은 대폭 증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외측 연마부재(37, 36)은 공간으로서 분리되어 위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물론 이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제10도 내지 제12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동일번호는 동일 소자를 나타낸다.
제1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이들 드릴에 따르면 구멍(0)은 절단날(30, 30', 30")에 의하여 재질(S)이 형성되나 구멍의 중앙 부분이 다이아몬드 조각(32)에 의하여 연마됨이 도시되어 있다.
다시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하면, 드릴축대(1)의 경사부(6)에는 경사부(6)의 표면과 경사진 내측벽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압축부(41)가 설치되며 경사진 내측벽은 드릴의 고정부(6)가 드릴홀더(H)의 축구멍 내에 밀접하여 고정되는 상태가 되도록 드릴홀더(H)의 축구멍을 형성한다. 드릴의 경사부(6)내의 압축부(4)에 기인하여, 만약 드릴이 드릴홀더에 결합하기 전에 절단 조각들과 같은 작은 이물질이 드릴홀더(H)의 축구멍 내에 인입된다면 드릴과 드릴홀더의 결합은 이물질에 의해서 심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드릴의 진동을 유발하는 불완전 결합은 방지될 수 있다. 압축부(41)의 설치 목적 이외에 이러한 압축부(41)는 경사부(6)라 드릴홀더(H)의 축구멍(h)의 내측표면과 두개의 외주위치(a,b)에서 접촉되도륵 형성된다.
더우기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드릴축대(1)에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T)가 끼워질 수 있는 다각형(도시된 실시예에서는 6각형)으로 형성된 지지부(4)가 형성된다. 드릴이 드릴장치의 드릴홀더(H)에 부착되거나 탈리될때, 공구(T)를 지지부(4)에 끼울수 있어 드릴 홀더에서 드릴을 쉽기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 따른 드릴은 드릴축대(1)상에 경사부(6)과 나사부(5)를 설치하므로서 드릴 장치의 드릴흘더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것은 드릴홀더(H)내의 축구멍(h)의 경사내벽 또는 개구변부가 드릴흘더의 축구멍 내의 드릴을 나사결합하므로서 경사부(6)내로 탄성적으로 물기 때문이다. 드릴이 콘크리트 재질과 같은 경질 작업편 내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구동된 경우에 드릴 장치의 드릴흘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나사부(5)의 역 나사부를 갖는 드릴을 회전시키므로서 발생되는 반탁력에 기인하여 결합강도는 더욱 강력하게 증가한다. 그러므로 드릴은 1000rpm 이상의 초고속으로 회전시에도 떨림이 없이 안정 되게 회전한다.
드릴축대(1)내의 유체통로(2)를 형성하는 측내벽의 두께는 회전하는 드릴의 관성 중량에 잘 균형잡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길이에 걸쳐서 최소한 주변방향으로 일정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일정한 벽두께를 갖는 드릴을 제공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경사부(6)을 형성하는 구형부가 있는 고형봉을 준비하고 봉의 축중심을 따라서 고형봉 내에 직선 통공을 정밀하게 뚫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드릴이 형성된다. 또 다르게는 제1도에 도시된 드릴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직선관을 냉관 작업이나 형철(瑩澈)작업으로 제조할 수 있다. 물론 드릴 축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드릴축대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았으나 드릴축대의 재질로서 탄소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드릴의 경사부(6)의 경사간도는 1°-8°의 범주가 좋으며 특히 1°-4°의 범위가 좋다.
이상에서 설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최상의 절단 특성을 갖는 개량된 고속 드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 기술을 응용한 여러가지 변형은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게 가능한 것이다.

Claims (18)

  1. 유체통로를 갖는 공동 드릴축대와, 드릴축대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드릴축대의 유체통로와 연통되는통공을 갖는 절단날을 포함하며, 드릴축대의 후단부에 나사부과 이 나사부에 인접한 경사부로 구성된 고정부를 설치하되 고정부의 직경은 드릴축대의 선단부를 향하여 점차 증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절단날은 찢어진 부분에 의하여 분할된 두개 절반의 절단부와, 드릴축대의 절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와 드릴축대의 선단부가 일치되는 윈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4.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에는 드릴축대의 유체통로내에 결합되는 시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5.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외측 직경은 절단날 보다 작아서 절단날내의 찢어진 부분이 후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6. 제1항에 있어서, 절단날에 형성된 통공이 축에 대하여 편심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7. 제1항에 있어서, 절단날의 전면과 측면에는 절단날내의 통공과 연통되는 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8. 제1항에 있어서, 통공이 편심되게 위치됨과 동시에 절단날의 주위측표면에는 통공에서 가장 먼 위치에 측홈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9. 제8항에 있어서, 절단날의 전면에는 나선형 또는 원추형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0. 제1 항에 있이서, 절단날에는 최내측벽상에 다이아몬드 조각이 설치된 후단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절단날에는 후단공간이 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한 개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드릴.
  12. 제10항에 있어서, 절단날의 외주 측면에는 측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3. 제10항에 있어서, 절단날은 비교적 작은 연마 입자들로 형성된 외측연마부재와, 비교적 큰 연마입자들로 형성된 내측연마부재로 형성하되 외측 및 내측연마부재를 동축상으로 배열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4. 제10항에 있어서, 통공이 편심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5. 제1항에 있어서, 스패너와 같은 공구가 끼워질 수 있는 지지구를 드릴축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드릴.
  16.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가 압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7. 제1항에 있어서, 나사부가 드릴 작업시에 드릴 축대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역방향 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18. 제1항에 있어서, 경사부가 1°내지 8°의 경사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KR1019870009525A 1986-08-29 1987-08-29 드 릴 KR910001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31360 1986-08-29
JP131360 1986-08-29
JP131361 1986-08-29
JP131359 1986-08-29
JP1986131360U JPH052295Y2 (ko) 1986-08-29 1986-08-29
JP1986131359U JPH033377Y2 (ko) 1986-08-29 1986-08-29
JP1986131361U JPH033378Y2 (ko) 1986-08-29 1986-08-29
JP60426 1987-04-21
JP1987060424U JPH072179Y2 (ja) 1987-04-21 1987-04-21 コンクリート穿孔用回転ドリル
JP6042587U JPS63169206U (ko) 1987-04-21 1987-04-21
JP1987060426U JPS63166404U (ko) 1987-04-21 1987-04-21
JP60424 1987-04-21
JP60425 1987-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00A KR880002600A (ko) 1988-05-10
KR910001814B1 true KR910001814B1 (ko) 1991-03-26

Family

ID=2755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525A KR910001814B1 (ko) 1986-08-29 1987-08-29 드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260026B1 (ko)
KR (1) KR910001814B1 (ko)
DE (1) DE37880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4151D0 (en) * 1990-02-23 1990-04-18 Lawrence Colin E Drill bit and shaft with compressed gas swarf clearance
FR2757622B1 (fr) * 1996-12-23 1999-02-05 Giat Ind Sa Dispositif de destruction de munitions enterrees ou de deminage
BE1013336A3 (nl) * 2000-03-01 2001-12-04 Diamant Boart Nv Buisvormige boor.
JP5615053B2 (ja) * 2010-06-17 2014-10-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総形カッ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総形カッターの研削工具
CN117182483B (zh) * 2023-11-02 2024-01-23 中山迈雷特数控技术有限公司 一种中空轴类零件的平衡工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2001A (en) * 1928-01-03 1930-08-05 Parker Rotary Stone Saw Compan Stone-cutting machine
US2638084A (en) * 1951-12-29 1953-05-12 Eli H Mclaughli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glass sheets
US2996061A (en) * 1959-01-26 1961-08-15 Super Cut Abrasive diamond core drill
FR1374214A (fr) * 1963-11-15 1964-10-02 Diamant Boart Sa Procédé et machine de sondage ou de forage d'un sol
FR1481678A (fr) * 1966-06-01 1967-05-19 Triplex Safety Glass Co Perfectionnements aux outils de coupe tubulaires servant à pratiquer des trous fraisés dans le verre
SU682379A2 (ru) * 1974-12-12 1979-08-30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Институт Сверхтвердых Материалов Ан Украинской Сср Инструмент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мелких отверстий в твердых и хрупких материалах
FR2602162B1 (fr) * 1986-08-01 1990-03-23 Begue Pierre Systeme de fixation d'un outil sur un organe porte-outil de machine-outil, parties constitu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0026B1 (en) 1993-11-10
DE3788094T2 (de) 1994-06-09
DE3788094D1 (de) 1993-12-16
EP0260026A3 (en) 1990-03-07
EP0260026A2 (en) 1988-03-16
KR880002600A (ko) 198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727B2 (en)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nd having fluid-conducting branch ducts
US6102486A (en) Frustum cutting bit arrangement
US5733078A (en) Drilling and threading tool
US5899642A (en) Milling cutter and method of assembly
US4664567A (en) Drill bit
US5137098A (en) Diamond tool for drilling and routing
US6071045A (en) Cutting insert and tool
US20050135888A1 (en) Cutting insert with helical geometry and holder therefor
CN102216010B (zh) 可调节的可转位钻头和模块化***以及夹持器
US5553682A (en) Rock drill
US20020041798A1 (en) Drill with countersinker for chip removing machining
WO2002005990A1 (fr) Outil de decoupe jetable
SE519895C2 (sv) Spets samt roterbart verktyg med utbytbar spets vid verktygets spånavverkande fria ände
US4955764A (en) Boring tool cooled from within made of a tool spiral and a clamping cylinder
US6986628B2 (en) Drill insert geometry having V-notched web
US4854788A (en) Drill
US4490080A (en) Hole cutting tool
US4395169A (en) Drill bit
KR910001814B1 (ko) 드 릴
JPH07112643B2 (ja) ドリル
US5655907A (en) Rotatable tool suitable for high speed drive
US7147414B2 (en) Spur point drill insert
US5893688A (en) Masonry drill bit
KR100982788B1 (ko) 조절 가능한 더블헤드 절삭공구
JP7368030B1 (ja) ダイヤモンドビ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