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37B1 -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37B1
KR910000537B1 KR1019860008912A KR860008912A KR910000537B1 KR 910000537 B1 KR910000537 B1 KR 910000537B1 KR 1019860008912 A KR1019860008912 A KR 1019860008912A KR 860008912 A KR860008912 A KR 860008912A KR 910000537 B1 KR910000537 B1 KR 910000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cassette
spring
slid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540A (ko
Inventor
나리도 시바이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46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21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4657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074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4657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074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4656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0742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83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416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86473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9609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11B5/55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 G11B5/5521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across disk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2Positioning by moving the door or the co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제1a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록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동장치에 사용되는 카세트의 설명도.
제3도는 동장치의 요부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X 방향에서 본 요부설명도.
제5도는 마찬가지로 제3도의 Y 방향에서 본 요부설명도.
제6a도, 제6b도는 동장치의 요부설명도.
제7a도, 제7b도는 마찬가지로 제3도의 Z 방향에서 본 요부설명도.
제8도는 동장치의 이면쪽의 요부설명도.
제9a도, 제9b도, 제10도는 모두 마찬가지로 제3도의 Y 방향에서 본 요부설명도.
제11a도, 제11b도는 동장치의 요부설명도.
제12도는 동장치의 이젝트부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5 : 컴파아트먼트
8 : 개리지 9 : 베이스플레이트
10a,10b : 지지축 11 : 슬라이드플레이트
A, 11a : 절곡부 12 : 슬라이드플레이트
B, 12a : 랙부(톱니막대부) 13 : 헤드
14 : 스프링 16 : 슬라이더
16a : 결합구멍 16a : 결합홈
17 : 솔레노이드 18 : 개방스프링
19 : 훅판 20 : 기어플레이트
21 : 기어 22 : 기어
23 : 래칫 23a : 래칫의 톱니
24 : 캠종동부 25 : 슬라이드블록
26a~26d : 압압스프링 27a,27b : 슬라이드축
50 : 록 50a : 압압부
52 : 자기시이트 60 : 스프링
62 : 기어 63 : 캠
64 : 포인터 64a : 돌부
64b : 클릭부 67 : 카운터레버
67a,67b : 단부 68 : 축
69 : 스프링 71 : 스프링
72 : 조정판 74 : 스토퍼
80,81,82 : 조정나사 95 : 스프링
96,97 : 스토퍼핀 98 : 헤드플레이트
100 : 헤드핀 101 : 이젝트레버
103 : 스프링 104 : 결합레버
105 : 스토퍼 106 : 해제레버
본 발명은 자기시이트상에 영상신호등을 기록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를 이동시켜서 자기시이트상에 트랙을 형성해가는 기록장치의 헤드이동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스테핑모우터의 회전운동을 스티일벨트나 이송나사, 혹은 캠등을 사용해서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그러나, 전자스틸카메라등, 소형경량을 무엇보다도 목적으로 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스테핑모우터나 그 구동회로의 크기도 문제가 되고, 보다 더 소형화, 간소화를 주안점으로 해서 헤드이 기록시의 이동방향을 한정하여 메카니즘적으로 한쪽방향으로 차아지한 부세력으로 헤드를 이동시키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것은, 예를들면 래칫기구등을 사용하여, 솔레노이드의 1펄스마다 래칫을 1피치씩 이동시켜 가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으나, 그 경우 상술한 부세력을 어떻게 얻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어온다. 항상 부세력을 부여하도록 배치해 놓고, 솔레노이드로 이 부세력에 대항해서 헤드를 이동시켜서, 카세트장착기구의 개방동작으로 리세트한다고 하는 방법도 취할 수 있으나, 여기에서 솔레노이드의 파우어가 아무리하여도 커져버린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메타니즘적으로 차아지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뛰어난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에 부담을 주지 않고 간단한 구성이고 효율적으로 헤드의 이동을 행하는 메카니즘을 탑재한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세트되어 있는 카세트내의 복수의 트랙기록매체위에 기록헤드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의 밑판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밑판에 장착된 카세트 수납컴파아트먼트안으로 상기 카세트의 삽입에 반응하여 상기 카세트와 연동하고, 그의 방향이 상기 카세트 수납컴파아트먼트안으로의 상기 카세트의 삽입방향과 일치하는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밑판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와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와의 사이의 바이어스힘인, 상기 카세트의 삽입으로 인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 1 스프링의 베이어스힘을 받는 제 2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를 향하여 상기 제 1 스프링의 바이어스힘으로 인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카세트의 삽입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와 연동하는 제 1 스토퍼수단과,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를 향하여 상기 제 1 스프링의 바이어스힘으로 인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카세트의 삽입종료시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연동하는 제 2 스토퍼수단과, 상기 카세트의 삽입종료후에 상기 제 1 스토퍼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를 해제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스힘에 의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를 향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을 상기 기록헤드로 전달하여 상기 기록헤드가 상기 복수의 트랙기록매체를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치내에의 카세트의 장착동작이라는 불가결하고, 비교적 스트로우크가 크고, 또 장치의 힘을 이용해서 헤드이동의 스프링차아지를 행함으로서 위화감이 없고, 장치에의 부담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간단하게 헤드이동에 필요한 부세력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장치의 구성도이다. 카세트(12)는 셔터(2)에 의해서 헤드삽입구(후술)를 닫고 있으며, 이 셔터(2)는 화살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 때문에 카세트(1)를 화살표(4)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컴파아트먼트(5)내에 삽입함으로서, 셔터개폐기구(6)에 의해서 셔터(2)가 열린다. 카세트(1)가 컴파아트먼트(5)로부터 배출될 때, 셔터개폐기구(6)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셔터(2)는 닫힌다. 컴파아트먼트(5)는 카세트(1)가 삽입되는 쪽에 복수개의 안내편7(a)∼(7f)을 갖추고 있어,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개리지(8)는 컴파아트먼트(5)의 바깥쪽에 배설되어 있고, 모두 베이스플레이트(9)상의 지지축(10a)(10b)에 축지된다. 이 축지방향은 카세트(1)의 삽입방향, 즉 화살표(4)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카세트(1)를 삽입할때는 베이스플레이트(9)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에서 슬라이드시키게 된다. 단, 슬라이드방향은 베이스플레이트(9)에 대해서 평행하고,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와 연동하는데 지장이 없다. 슬라이드플레이트 B(12)는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위에 있고, 모두 카세트 삽입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9)위를 슬라이드하여, 헤드(13)의 이동이나 카세트(1)의 배출등을 행한다. 이 2매의 판은 스프링(14)에 의해서 서로 끌어당기고 있다. 슬라이더(16)의 차아지를 행하고, 솔레노이드(17)의 흡인력에 의한 2단구조클릭(후술함)의 작동에 따라서 헤드(13)의 이동을 행한다. 개리지(8)가 개방(도면과 같은 상태이나, 도면은 설명을 위하여 실제보다 많이 열려있음)되면, 개방스프링(18)이 훅판(19)을 그 돌부(19a)와 결합해서 이동시키고,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의 훅부(11b)의 결합을 풀고, 슬라이드플레이트 A(11)가, 카세트(1)의 삽입으로 차아지된 스프링(후술함)의 힘에 의해서 화살표(15)와 반대방향으로 나아간다. 이 움직임에 의해서 절곡부(11a)는 카세트(1)를 컴파아트먼트(5)밖으로 배출한다.
또 슬라이드플레이트 A(11)는 동시에 슬라이드플레이트 B(12)를 압압해감으로서, 슬라이드플레이트 B(12)의 랙부(12a), 기어플레이트(20)에 설치된 기어(21)(22)를 개재해서 래칫(23)에 작동이 전달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된 캠(후술함)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9)의 이면쪽에 배설된 베이스플레이트(98)를 외력에 의해서 화살표(99)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이 움직임을 슬라이더(16)에 전달하여, 캠종동부(24)를 캠으로부터 이간해서 헤드(13)를 초기위치로 가지고 간다. 슬라이더(16)는 슬라이드블록(25)에 압압스프링(26a)∼(26c)[(26d)는 후술함]과 조정나사(후술함)에 지지된 슬라이드축(27a)(27b)을 따라서 이동하고, 캠쪽으로 스프링부세되고 있다. 그 때문에 헤드플레이트(98)에 화살표(99)방향의 힘이 인가되지 않을때는 캠에 당접한다.
개리지(8)는 스프링(28)이 베이스플레이트(9)의 스프링걸림부(29)와 개리지의 스프링걸림부(30)에 걸려있으므로, 항상 열리려고 하고, 또 스프링(31)이 컴파아트먼트(5)를 개리지(8)로부터 떨어지도록 부세하고 있다. 지금, 카세트(1)를 컴파아트먼트(5)내에 삽입하고, 개리지(8)를 닫으면, 먼저 컴파아트먼트(5)가 높이 결정핀(32)에 당접할때까지 하강하고, 카세트(1)는 그 위치결정구멍(33a),(33b)이, 위치결정핀(34a)(34b)과 감합해서 위치결정되고, 그 2개의 핀과 높이결정핀(35)에 의해서 높이도 결정된다. 이 사이에, 카세트(1)의 착오소거방지클릭(36)과 결합하는 스위치(37)는 개리지(8)의 돌부(38)에 의해서 카세트(1)과 결합되지 않는 위치로 밀고 있다. 이후, 개리지(8)가 하강함으로서 압압스프링(39)이 카세트(1)를 지지하고, 삽입스프링(40)이 모우터(41)의 스핀들(42)에 센터코어(후술함)를 압입한다. 또, 패드스프링(43)에 의해서 개리지(8)에 지지된 패드플레이트(44)에는 PG(45)나 패드(46)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들도 패드높이결정핀(47a)(47b)이 패드(46)에 당접하고, 또, 높이조정나사(48)가 스핀들(42)의 중앙부(후술함)에 당접해서 위치결정된다. 이들 동작의 종료후, 개리지(8)의 록구멍(49)이 록(50)과 결합해서 개리지(8)를 고정한다. 개방하려면 압압부(50a)를 스프링(51)에 대향해서 압압함으로서, 록(50)의 결합이 해제되게 한다.
이와같이 해서 카세트(1)를 베이스플레이트(9)상에 고정하고, 헤드(13)에 의한 기록을 행하는 것이나, 각부의 동작에 관해서 보다 더욱 상세하게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사용되는 카세트(1)의 설명도이다. 내장된 자기시이트(52)는 센터코어(53)에 접착되어 있다. 이 센터코어(53)에는 위치결정벽(54a)(54b), 위치결정스프링(55), PG 요우크(56)가 설치되고, 스핀들(42)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 하우징(57)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33a)(33b)의 위치결정구멍이 있고, 위치결정핀(34a)(34b), 높이결정핀(35)에 의해서 위치결정된다. (58)은 셔터(2)가 화살표(3)방향으로 슬라이드한후(2'), 자기시이트(52)를 노정시키기 위하여 하우징(57)의 양쪽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창이고, 패드높이 결정핀(47a)(47b)도 이 창(58)안을 사용한다. (59)는 라벨이고, 사용된 월일등을 기재해서 정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6)의 착오소거방지클릭은 이면쪽에 설치되어, 기록한 내용을 잘못 소거하거나 중첩기록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제3도는 베이스플레이트(9)상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4도∼제8도는 각 구성요소의 설명도이고, 이상의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을 행한다. 제4도는 제3도 X 방향, 제5도는 Y 방향에서, 제7a,b도는 Z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 제8도는 이면쪽을 본 도면이다. 슬라이드플레이트 A(11)는 카세트(1)에 의해서 스프링(60)에 대항해서 화살표(15)방향으로 이동하여, 훅판(19)에 의해서 차아지된 상태[제4도(11')]로 유지된다. 훅판(19)는 개리지(8)가 하강할때는 개방스프링(18)이 휘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으나, 상승할때는 그 상태에 의해서 스프링(61)에 대항해서 이동하여 훅부(11b)와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슬라이드플레이트 A(11)는 화살표(15)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플레이트 B(12)는 스프링(14)에 의해서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와 서로 끌어당기고 있고, 최종적으로는 당접해서 그 스프링힘은 없어지고, 스프링(60)의 힘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상술한 바와같이 훅부(12a), 기어(21)(22)를 개재해서 래칫(23)과 일체화해서 설치된 기어(62)를 회전시키고, 캠(63)도 회전시킨다.
제6a도는 이때의 모양을 도시하고 있고, 포인터(64)는 래칫(23)과 결합하고 있으나, 래칫(23)이 축(65)에 대하여 화살표(66)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64')와 같이 움직여, 래칫(23)의 회전은 가능하다. (67)은 카운터레버이며, 축(68)을 포인터(64)와 공유하며, 그 단부(67a)를 스프링(69)에 의해서 끌어당겨서 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타단부(67b)가 베이스플레이트(9)의 스토퍼부(70)에 당접하고 있다. 이 카운터레버(67)는 포인터(64)를 상하부로부터 끼워넣도록 구성되고, 스프링(71)을 구비하여, 포인터(64)를 부세한다. 이 스프링(71)은 포인터(64)와 카운터레버6(78)가 서로 밀도록 구성하였으나, 물론 스프링(69)과 같이 베이스플레이트(9)와의 사이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포인터(64)의 돌부(64a)는 클릭부(64b)가 래칫(23)과 당접해서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67a)와의 사이에 간격(d)이 생긴다. 이들 스프링힘은 작아도 되기 때문에,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의 이동에는 그다지 부하로 작용하지 않는다.
즉, 특히 클릭부(64a)를 래칫(23)으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하지 않고, 간단히 캠(63)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헤드(13)는 슬라이더(16)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60)의 힘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의 움직임은, 스토퍼(74)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래칫(23)은 포인터(64)의 클릭부(64b)가, 톱니부(23a)와 맞물릴때의 캠(63)의 헤드(13)의 제 1 트랙위치를 부여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러나, 기어열이 맞물리는 부분에는 유격이 있으며, 또 래칫(23)등의 관성력에 의해서 톱니부(23a)가 오우버런해서, 캠(63)에 정확한 위치를 부여하는 상태보다도 나아가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래칫(23)에는 스토퍼핀(96), 또 베이스플레이트(9)에도 스토퍼핀(97)이 설치되어 있다. 이 2개의 스토퍼핀(96)(97)은 슬라이드플레이트 A(11)가 스토퍼(74)에 당접해서 정지하였을때에, 간격(d)이 발생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간격(d)은 래칫(23)이 오우버런해도, 다음의 톱니까지 나아가지 않을만큼의 길이로 되어 있다. 즉, 기어열의 유격에 의한 오우버런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체의 스프링(60)에 의한 충격은 이미 스토퍼(74)에서 받고 있으며, 특히 이들 스토퍼핀(96)(97)에는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고, 다만 오우버런을 방지할 뿐이다. 즉, 캠(63)을 확실하게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위한 힘은 다른부분에서 받고, 여분의 힘만을 래칫(23)에서 받도록 구성하여, 정확한 위치관계를 무너뜨리는 일이 없도록 배려되어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개리지(8)를 개방함으로서, 카세트(1)가 배출되고, 캠(63)도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즉, 헤드(13)도 초기위치로 캠(63)에 밀려서 복귀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이젝트동작에 의해서 직접 헤드(13)를 복귀시킬 경우의 설명을 한다. 즉,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드플레이트 B(12)의 이동에 앞서서 헤드플레이트(98)과 화살표(99)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은 이젝트레버로부터 직접 얻을 수 있으나, 후술한다. 슬라이더(16)에는 슬라이드블록(25), 베이스플레이트(9)를 관통해서, 베이스플레이트(9)의 이면쪽에서 헤드플레이트(98)의 블록부(98a)와 결합하는 헤드핀(100)이 설치되어 있다. 헤드플레이트(98)의 블록부(98a)는 통상, 헤드(13)가 최내주를 부여하는 위치와의 사이에 간격(e1)을 가지고 있으면, 헤드(13)의 이동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그런데, 이젝트레버에 의해서 부여되는 스트로우크(S1)는 간격(e1)을 가지고 있던 헤드플레이트(98)가 헤드핀(100)과 결합해서 헤드(13)를 그 최외주위치[캠(63)의 초기위치=제 1 트랙위치를 취하였을때에 캠종동부(24)와 캠(63)이 당접해서 헤드(13)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100')]까지 이동시키는 스트로우크(S2)보다 더욱 (e2)만큼 여분으로 이동한 위치(100")까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98'). 즉, 이 상태에서 캠(63)과 캠종동부(24)가 당접하는 일은 없으며, 상술한 바와같이 캠(63)의 초기위치에의 이동을 할 때, 캠(63)의 부하가 되지않고, 스프링(60)을 불필요하게 큰힘으로 하는 일이 없다. 또, 캠(63)등의 이동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충격도 없고, 캠(63)의 외주나 캠종동부(24)가 손상되거나 하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정밀한 위치결정(높이,기울기,트랙위치)이 요구되는 헤드(13)의 이동기구로서 극히 유효하다. 물론 개리지(8)의 개방은 이 헤드플레이트(98)의 이동후에 행해지도록 이젝트레버가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새로이 카세트(1)를 삽입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삽입방향은 베이스플레이트(9)에 평행하게 되고, 슬라이드플레이트 A(11)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해서 (11')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그러나, 슬라이드플레이트 B(12)는 제6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인터(64)와 래칫(23)이 결합하고 있어, 이동할 수 없고, 스프링(14)이 잡아당겨져서 슬라이드플레이트 B(12)에 슬라이드플레이트 A(11)방향, 즉 화살표(15)방향의 부세력이 부여된다. 이 힘은 상술한 바와같이, 개리지(8)가 개방되어서, 슬라이드플레이트 A(11)와 슬라이드플레이트 B(12)가 당접할때까지 존재하고, 제6b도에서는 화살표(75)방향의 힘이 된다. 이때문에 래칫(23)은 제6a도의 상태에서 안정된다. 개리지(8)를 닫는 동시에 헤드플레이트(98)도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헤드핀(100)은 자유스럽게 되므로 슬라이더(16)도 스프링(95)에 의해서, 캠(63)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되고, 헤드(13)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 차아지힘은 스프링(14)(60)에 대항하나, 스프링(14)은 스프링(76)에 의한 캠(63)과 캠종동부(24)와의 접촉 마찰력에 대항해서 래칫(23)을 회전할 수 있고, 스프링(60)은 포인터(64)와 래칫의 마찰력과, 카세트(1)를 배출하면서 슬라이드플레이트 A(11)가 이동할 수 있는 힘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다소 큰 힘이 되나, 카세트(1)의 삽입동작, 즉 인간의 손에 의한 동작 혹은 이 장치외의 기구로부터 얻을 수 있는 힘에 의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이 장치에 의해서 전혀 부하가 되지않고, 그 간소화나 소형화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14)은 2매의 판에 끌어당기는 힘을 부여할 뿐이고, 그 크기나 스프링(60)에 영항을 주는 일이 없고, 카세트(1)를 배출할때는 상술한 바와같이 헤드(13)는 헤드플레이트(98)에 의해서 이동되게 되어 있으므로 부하로 작용하지 않는다.
즉 차아지힘을 불필요하게 크게하는 일도 없고, 카세트 삽입시의 손에 주게되는 불쾌감이나, 타기구에 걸리는 부담도 적다. 또, 개리지(8)나 컴파아트먼트(5)의 축지방향을 카세트(1)의 슬라이드방향과 마찬가지로 함으로서, 이 카세트 삽입력을 용이하게, 베이스플레이트(9)상의 슬라이드힘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변환기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솔레노이드(17)에 통전한다. 제6b도와 같이 솔레노이드축(76)은 흡인되어서 화살표(77)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카운터레버(67)를, 핀(78)을 개재해서 스프링(69)에 대항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단부(67a)는 포인터(64)의 돌부(64a)에 당접하여, 마찬가지로 포인터(64)를 회전시킨다. 이때 카운터레버(67)의 클릭부(67b)는 래칫(23)과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그후 포인터(64)의 클릭부(64b)는 래칫으로부터 인가된다. 래칫(23)은 상술한 바와같이 화살표(75)방향으로 부세력이 있기 때문에 클릭부(67b)에 당접할때까지 회전한다. 이 회전량은 클릭부(64b)가 래칫(23)의 한개의 톱니를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런후에, 솔레노이드(17)에의 통전을 차단하고, 스프링(69)에 의해서 다시 제6a도의 상태로 복귀하게 한다. 이때, 래칫(23)은 1개의 톱니만큼 나아가 있으며, 캠(63)에 의해서 슬라이더(16)가 이동한다. 이와같이해서 헤드(13)를 솔레노이드(17)에의 통전 1회당 1트랙쌕 이동시킨다. 솔레노이드(17)의 흡인력은 스프링(69)과 화살표(75)방향의 부세력에 의한 래칫(23)과 포인터(64)와의 마찰력에 대항하는 것만으로도 되며, 극히 작은 힘으로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7)의 소형화나 에너지절약화에 크게 기여한다. 또 통전도 온-오프만으로 되기 때문에 회로구성도 간단해진다. 이 헤드(13)의 이동은, 제3도에서 화살표(73)와 반대방향으로 행해져서 (13')까지 이동한다. 또, 포인터(64)와 카운터레버(67)를 2단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헤드(13)의 위치결정, 즉 래칫(23)의 위치결정시에 카운터레버(67)와 포인터(64)와의 사이에 간격(d)을 갖게하여 카운터레버(67)가 영향을 주는 일이 없도록해서 그 정밀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 캠(63)을 초기위치로 복귀할때는 포인터(64)를 단독으로 이동시키며, 캠(63)을 이동시켜서 헤드(13)를 이송할때는 일체화해서 이동시키게하여 기구가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헤드(13)는 슬라이더(16)에 고착되어 있으나, 이 슬라이더(16)의 안내부재인 2개의 슬라이드축(27a)(27b)은 제7b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축(27a)은 슬라이더(16)의 결합구멍(16a)에 삽입되어 있다. (79)은 부시이다. 또 슬라이드축(27b)은 결합홈(16b)에 감합되어 있고, 슬라이드(27a)으로 상하좌우를, 슬라이드축(27b)으로 상하를 결정한다. 이때문에 슬라이드축(27a)은 도면과 같이 슬라이드블록(25)에 대하여 2개의 조정나사(80)(81)와 압압스프링(26b)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 상하좌우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타단부도 마찬가지 구성임). 또 슬라이드축(27b)은 조정나사(82)와 압압스프링(26c)으로 지지되어서 그 상하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타단부도 마찬가지 구성임). 이와같이 헤드(13)의 위치는 모우터(41)에 대한 미세한 상하좌우, 기울기등을 그 스트로우크 전체영역에 걸쳐서 완전히 조정가능하게 되며, 자기시이트(52)와의 접촉이나, 트랙정밀도를 유지하는데 매우 유효하다. 또 캠(63)과 슬라이더(16)와의 위치관계는 조정판(72)에 의해 조정가능하고, 헤드(13)의 위치는 캠(63)이나 래칫(23)이외에는 고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을지라도 충분히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개리지(8)등의 구성을 제9a도, 제9b도, 제10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들은 제3도의 Y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9도에서 제9a도는 개방상태, 제9b도가 카세트(1)를 모우터(41)에 세트한 상태이다. 제5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1)를 위치 결정하는 2개의 위치결정핀(34a)(34b)은 지지축(10a)(10b)을 연결하는 개리지(8) 및 컴파아트먼트(5)의 회전측으로부터 먼곳에 있으며, 카세트(1)의 탈착에 영향을 주는 것은 모우터(41)와 패드(46)등이다. 제9a도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들 부재나, 개리지(8)의 축방향, 카세트(1)의 창(58)내에 들어오는 패드(46)에 대한 위치선택방법에 의해서, 이 카세트(1)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그 개방각도를 작게한 상태에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카세트(1)를 탈착하는 상태에서 그 개방각도를 최소화하여, 먼지등의 침입이나 손가락등에 의한 내부에의 접촉등을 방지하고 있다. 개리지(8)의 개방각도는 지지축(10b)을 가진 부재와의 당접으로 결정되며, 개리지(8)에 대한 컴파아트먼트(5)의 개방각도는 컴파아트먼트(5)의 돌부(83)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제9a도로부터 제9b도에의 이동에 있어서, 삽입스프링(40)은, 제9a도에서는 카세트(1)가 탈착할 수 있을 만큼 컴파아트먼트(5)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대로 개리지(8)를 하강시키면, 개리지(8)와 컴파아트먼트(5)와의 상대각도는 스프링(31)에 의해서 유지된 그대로 카세트(1)가 모우터(41)에 세트되어 간다. 센터코어(53)는 스핀들(42)에 삽입되나, 그때 다소의 저항력이 있으며, 삽입이 불완전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컴파아트먼트(5)가 정지된 후에는 개리지(8)만이 하강을 계속하고, 삽입스프링(40)이 센터코어(53)를 압압해서 스핀들(42)에 확실하게 압입된다. 더욱 개리지(8)를 회동하강시키면, 컴파아트먼트(5)의 위쪽의 볼록편(84)과 삽입스프링(40)이 당접한다. 이때문에 선단부(40a)는 센터코어(53)로부터 위쪽으로 이간하여, 제9b도와 같이 되며, 센터코어(53)를 회전시키는데 있어서의 부하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개리지(8)에 설치된 삽입스프링(40)은 판스프링 1매라는 간단한 구성이면서, 센터코어(53)의 스핀들(42)에의 확실한 삽입과, 그후의 이간동작을 행할 수 있어 가치가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개리지(8)에 설치된 패드스프링(43)에 의해서 베이스플레이트(9)쪽으로 부세지지된 래드플레이트(44)에 배설된 PG(45)나 패드(46)도 도면과 같이 패드높이결정핀(47a)에 의해서 정밀하게 그 높이가 결정된다.
제10도는 패드플레이트(44)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패드(46)는 2개의 패드높이결정핀(47a)(47b)에 당접해서 높이가 결정된다. 패드플레이트(44)에는 모우터(41)의 중심부(85)에 상당하는 위치에 높이 조정나사(48)가 스프링(86)으로 부세되어서 유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높이 조정나사(48)를 최후의 1개로해서 패드플레이트(44), 즉 패드(46)나 PG(45)의 높이결정이 정확하게 행해진다. 그 평면적 위치에 대해서는 패드스프링(43)에 의해서 이미 결정된다.
이 결과, 헤드(13)와 자기시이트(52)와의 접촉이나, PG 핀(87)과 PG 요우크(56)와의 관계도 확실하게 보증되게 되어, 그 기록성능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PG 요우크(56)는 자기시이트(52)를 접착하고, 모우터(41)의 지지부(88)와 당접하는 자성판(89)과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이 자성판(89)을 흡착해서 위치결정이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마그네트(90)의 자력을 PG 핀(87)에 전달한다. 이것을 코일(91)로 검출하여 PG 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11a,b도를 사용하여 스위치(37)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1)의 탈착시, 그것을 방해하는 부품은 모두 그 경로밖으로 퇴피시키고 있다. 단, 착오기록방지클릭(36)은 개리지(8)의 축심부근에 있고, 그 스위치(37)도 그 부근에 있으므로 통상의 검출가능위치로부터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제11a도에서 볼 수 있다. 그래서 제11b도와 같이, 개리지(8)의 돌부(38)가, 개리지(8)의 개방시에 스위치(37)를 설치한 스위치플레이트(92)를 부세하는 스프링(93)에 대항해서 움직여서, 화살표(15) 방향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카세트(1)의 슬라이드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스위치플레이트(92)는 베이스플레이트(9)의 측벽부(도시하지 않음)에 축(94)에 의해서 축지되어 있고, 베이스플레이트(9)에 당접해서 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상태로부터 이동해서 카세트(1)의 슬라이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문에 개리지(8)의 축지방향의 결정에 스위치(37)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다른 특징을 살릴 수 있어 유효하다.
최후로 제12도를 사용해서 이젝트레버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젝트레버(101)를 화살표(10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103)으로 잡아당겨져 결합레버(104)도 마찬가지로 움직인다. 이 결합레버(104)는 상술한 헤드플레이트(98)를 화살표(99)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헤드(13)를 이동시킨다. 결합레버(104)의 결합부(104a)와 헤드플레이트(98)와의 사이에는 간격(f1)이 있기 때문에, 헤드플레이트(98)의 스트로우크(S1)와 간격(f1)을 합한 양만큼 나아간 곳에 스토퍼(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후 다시 스프링(103)에 대항해서 (f2)만큼 나아가면 해제레버(106)의 선단부(106a)에 당접해서 화살표(107)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타단부(106b)가 록(50)의 압압부(50a)를 화살표(108)방향으로 밀어서 개리지(8)를 해방한다. 이와 같이 이젝트레버(101)의 움직임을 연속하는 2개의 스트로우크(즉 f1+f2의 기간과 f2+α의 기간)로 구성해서, 먼저 헤드(13)의 이동, 그후 개리지(8)의 해방을 행하기 때문에 캠(63)과 캠종동부(24)가 당접하지 않고, 부하의 경감이나 충격의 회피를 확실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헤드(13)를 이젝트 동작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물론 캠(63)에 의해서 이동시켜도 되며, 부품점수도 부하나, 충격의 정도에 따라 형편이 좋은 쪽을 선택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장치내에의 카세트의 장착동작이라는 불가결하고 비교적 스트로우크가 크며, 또 장치와의 힘을 이용해서 헤드 이동의 스프링차아지를 행함으로서 위화감이 없고 장치에의 부담이 걸리지 않는 상태로 간단하게 헤드이동에 필요한 부세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내부에 세트되어 있는 카세트(1)내의 복수의 트랙기록매체(52)위에 기록헤드(13)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의 밑판(9)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밑판(9)에 장착된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안으로 상기 카세트(1)의 삽입에 반응하여 상기 카세트(1)와 연동하고, 그의 이동방향이 상기 카세트 수납컴파아트먼트(5) 안으로의 상기 카세트(1)의 삽입방향과 일치하는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밑판(9)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스프링(14)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 상호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의 사이의 바이어스힘인, 상기 카세트(1)의 삽입으로 인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이동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 1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을 받는 제 2 슬라이드부재(12)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를 향하여 상기 제 1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으로 인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카세트(1)의 삽입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와 연동하는 제 1 스토퍼수단(21),(22),(23),(62),(64)과,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를 향하여 상기 제 1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으로 인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카세트(1)의 삽입의 종료시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 연동하는 제 2 스토퍼수단(19)과, 상기 카세트(1)의 삽입종료후에 상기 제 1 스토퍼수단(21),(22),(23),(62),(64)으로부터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를 해제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가 상기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에 의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를 향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11)를 향하여 상기 제 2슬라이드 부재(12)의 이동을 상기 기록헤드(13)로 전달하여 상기 기록헤드(13)가 상기 복수의 트랙기록매체(52)를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하는 전달수단(17), (24), (63),(67),(64), (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1)에 바이어스힘을 가하여 상기 기록장치의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1)와 상기 밑판(9)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가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로부터 상기 카세트의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 안으로 상기 카세트(1)의 삽입에 의해서 바이어스힘을 상기 제 1 스프링(14)과 함께 생성하는 제 2 스프링(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13)가 상기 전달수단(17),(24),(63),(67),(64),( 23)과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기록헤드(13)를 소정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한 이젝터수단(9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수단(98)은, 제 5 스프링(103)을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제 1 레버(104)와 제 2 레버(101)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버(104)는 상기 기록헤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레버(101)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104)는, 상기 기록헤드(13)가 소정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의 덮개(8)를 열기 위하여 설치된 제 3 레버(106)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레버(101)는 상기 덮개(8)를 열기 위하여 제 3 레버(106)를 압압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기록의 종료시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를 상기 제 2 스토퍼수단(19)으로부터 해제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가 상기 카세트(1)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는 바이어스힘에 의해서 이동되고 상기 카세트(1)가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이동에 의해서 제거되도록 하는 해제수단(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가 상기 제 2 스프링(60)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 및 제 2 슬라이드부재(12)는 상기 제 1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여 상호 접촉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부재1(1),(12)의 접촉결과로써 상기 제 1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의 제거후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는 상기 제 2 스프링(60)의 바이어스힘에 의하여 상호 이동되어 상기 기록헤드(13)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 및 제 2 슬라이드부재(12)가 각각 연동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1)가 상기 기록장치내에 장착되는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안에 세트되고,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 및 제 2 슬라이드부재(12)의 세로축과 평행한 축(10a),(10b)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17),(23),(24),(63)(64),(67)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 제 2 슬라이드부재(12) 사이에서 발생된 상기 제 1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으로 인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의 이동에 의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를 상기 제 2 스토퍼수단(19)으로부터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 2 스프링(60)의 바이어스힘으로 인한 제 2 슬라이드부재(12)의 이동에 의한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래칫(23)과, 상기 래칫(23)과 연동가능한 제 1 포올부재(67) 및 제 2 포올부재(6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올부재(67)는 상기 래칫(23)으로부터 분리될때와 같은 방향으로 제 3 스프링(69)에 의해 경사지게되고, 상기 제 2 포올부재(64)는 상기 래칫(23)과 연동할때와 같은 방향으로 제 4 스프링(71)에 의해 경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올부재(67) 및 제 2 포올부재(64)는 포올작동수단(17)과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포올작동수단(17)은 상기 제 3 스프링(69) 및 제 4 스프링(71)에 대향하여 상기 제 1 포올부재(67) 및 제 2 포올부재(64)를 작동시켜 상기 제 1 포올부재(67)가 상기 래칫(23)과 연동하고 상기 제 2 포올부재(64)가 상기 래칫(23)과 연결차단되므로써, 상기 래칫(23)은 상기 래칫(23)의 톱니(23a)피치에 상당하는 소정의 양만큼 움직이고, 상기 래칫(23)의 소정양만큼의 이동은 상기 기록헤드(13)가 헤드구동수단(63),(24),(16)을 통하여 소정거리로 상기 기록매체(52)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해제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래칫(23)은 상기 제 1 포올부재(67) 및 제 2 포올부재(64)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소정위치까지 회전가능하여 상기 기록헤드(13)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구동수단(63),(24),(16)은, 상기 래칫(23)에 확고하게 축방향으로 고착된 캠(63)과, 상기 캠(63)에 접촉하여 부세된 캠종동부(24)와, 상기 캠(63)에 반응하여 선형으로 가동가능한 슬라이드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헤드(13)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6)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올부재(67) 및 제 2 포올부재(64)가 상기 포올작동수단(17)의 비작동동안에 상호로부터 간극을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수단(21),(22),(62),(64)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해제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가 소정의 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 2 스토퍼수단(19)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해제에 반응하여 상기 래칫(23)이 소정의 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래칫(23)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6)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6)에 있는 구멍 (16a)안에 삽입되고 제 1 판스프링(26a),(26b) 및 제 1 위치조정나사(80)(81)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안내축(27a)과, 상기 슬라이더부재(16)에 있는 홈(16b)에 고정되고 제 2 판스프링(26c),(26d) 및 제 2 위치조정나사(82)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안내축(27b)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안내축(27a) 및 제 2 안내축(27b)은 각각 위치조정나사(80),(81) 및 제 2 위치조정나사(82)에 의해 위치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8. 기록장치의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에 세트되어 있는 카세트(1)의 복수의 트랙기록매체(52)위에 기록헤드(13)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전자스틸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의 밑판(9) 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와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카세트(1)가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카세트(1)와 연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카세트(1)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고, 제 1 스프링(60)을 개재하여 상기 밑판(9)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스프링(60)의 바이어스힘이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 안으로 상기 카세트(1)의 삽입에 반응하여 발생되고 상기 카세트(1)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도록 하는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 상기 밑판(9)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2 스프링(14)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이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안으로 상기 카세트(1)의 삽입으로 인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슬라이드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 함께 상호를 향하여 끌어당기도록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의 사이에 발생되도록 하는 제 2 슬라이드부재(12)와,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안으로의 카세트(1)의 삽입으로 인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이동을 따라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카세트수납컴파아트먼트(5)안으로 상기 카세트(1)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제 1 스프링(60) 및 상기 제 2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에 대향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와 연동되는 제 1 스토퍼수단(21),(22),(23),(62),(64)과, 상기 카세트(1)의 삽입종료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를 향하여 상기 제 2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으로인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이동을 유지하도록 상기 종료위치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와 연동되는 제 2 스토퍼수단(19)과, 기록종료시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를 상기 제 2 스토퍼수단(19)으로부터 해제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가 상기 카세트(1)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인가되는 바이어스력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해제수단(18)과, 상기 제 2 스프링(14)의 바이어스힘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트랙에 관하여 상기 기록헤드(13)를 구동하기 위한 전달수단(17),(24),(63),(64),(67),(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17),(24),(63),(64),(67),(23)이,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11)의 해재로 인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12)의 이동에 관하여 상기 기록헤드(13)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KR1019860008912A 1985-11-01 1986-10-24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KR910000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46572A JPH0632178B2 (ja) 1985-11-01 1985-11-01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60246571A JPS62107477A (ja) 1985-11-01 1985-11-01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246569 1985-11-01
JP60246573A JPS62107478A (ja) 1985-11-01 1985-11-01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60246569A JPS62107426A (ja) 1985-11-01 1985-11-01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246571 1985-12-16
JP60283391A JPS62141683A (ja) 1985-12-16 1985-12-16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246573 1986-04-15
JP8647386A JPH0799609B2 (ja) 1986-04-15 1986-04-15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283391 1986-04-15
JP86473 1986-04-15
JP246572 1986-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540A KR870005540A (ko) 1987-06-09
KR910000537B1 true KR910000537B1 (ko) 1991-01-26

Family

ID=2755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912A KR910000537B1 (ko) 1985-11-01 1986-10-24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63214A (ko)
KR (1) KR910000537B1 (ko)
DE (1) DE3637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03B2 (ja) * 1987-06-12 1995-02-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5361181A (en) * 1988-06-29 1994-11-01 Canon Kabushiki Kaisha Disk holding device with attached phase detecting device and adjusting mechanism
JPH03219469A (ja) * 1990-01-25 1991-09-26 Asahi Optical Co Ltd ヘッド送り装置
KR20080099567A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8672A (en) * 1981-06-17 1982-12-21 Sony Corp Magnetic recorder
JPS5990229A (ja) * 1982-11-16 1984-05-24 Anritsu Corp 磁気ヘツドの位置決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63214A (en) 1988-08-09
DE3637247C2 (ko) 1990-07-19
KR870005540A (ko) 1987-06-09
DE3637247A1 (de) 198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5355A (en) Flexible disk drive apparatus
KR910000537B1 (ko)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GB2077984A (en) Cassette loading assembly
US6717769B2 (en) Eject button for disk drive with light pipe
US4701817A (en) Loading and ejecting mechanism for a magnetic tape cassette apparatus
US4786998A (en) Disk driving device
KR910000369B1 (ko) 전자스틸카메라의 기록장치
GB2084785A (en) Cassette tape player with cassette loading mechanism
US6301215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JPH041431B2 (ko)
JPH041428B2 (ko)
JPH0439145B2 (ko)
JPH041427B2 (ko)
KR100225749B1 (ko) 소형의 얇은 외관을 가진 테이터 저장 카트리지 테이프용 드라이브
JPH0799609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S62107482A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US4760479A (en) Cassett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employing a single reversible motor
JPH0441431B2 (ko)
EP0884725A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474792B2 (ko)
JPH0754605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装置
JPS6341145B2 (ko)
KR930002895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S63117364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JP2557644B2 (ja) カ−トリツジ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