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946Y1 - 접동자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접동자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946Y1
KR900010946Y1 KR2019870015304U KR870015304U KR900010946Y1 KR 900010946 Y1 KR900010946 Y1 KR 900010946Y1 KR 2019870015304 U KR2019870015304 U KR 2019870015304U KR 870015304 U KR870015304 U KR 870015304U KR 900010946 Y1 KR900010946 Y1 KR 900010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lide
support
sliding memb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5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390U (ko
Inventor
세이시 아이사와
Original Assignee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가다오카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가다오카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5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3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2Arrangements of 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동차의 취부구조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명도로서, 제1도는 접동자받침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단면도
제3도는 접동자받침의 사시도.
제4도는 접동차받침의 요부확대 사시도.
제5도는 접동자의 사시도.
제6도는 접동자의 요부확대 사시도.
제7도는 접동자의 접동자받침에 고정된 상태의 평면도.
제8(a), (b), (c)도는 접동자를 접동자받침에 취부한 공정도,
제9도는 제8도(b)의 상태에서의 요부사시도.
제10도는 종래예의 가변저항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접동자받침 12 : 돌기
13 : 입상완 14 : 후크부
17 : 凹 18 : 접동자
18a : 장홈 19 : 입상편
19a : 절곡부 19b : 교락편
20 : 구멍
본 고안은 로터리스위치. 가변저항기 등에 사용되는 접동자의 접동자 받침에로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0도는 종래의 가변저항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종래, 탄성을 가진 금속판으로 되는 접동자(1)를 절연물로 이루어지는 접동자받침(2)에 취부하려면, 접동차 받침(2)에 취부용 돌기(3)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돌기(3)에 접동자(1)의 취부구멍(4)을 끼운 후, 선단을 압착하여 부착하였다.
그러나, 접동자받침(2)을 가변저항기에 조립하여 넣은 경우, 접동자(1)의 접동자편(1a)은 저항기판(5)위의 저항체(6)에 탄력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접동자(1)는 화살표 B방향의 반발력을 받지만 접동자(1)의 단부(1b)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3)에 응력이 집중되며, 따라서 이 돌기(3)가 파손되어 접동자(1)가 접동자받침(2)에서 빠져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시에 빠져버릴 우려가 없고, 확실히 취부될 수 있는 접종자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동자의 단부에 장홈과 이 장홈의 근방에 탄성을 가진 입상편을 설치하며, 한편, 접동자받침에는 전술의 입상편과 걸어 맞추는 것이 가능한 후크부를 가진 입상완을 설치하고, 전술한 접동자와 접동자받침의 어느 것인가의 일측에 돌기를, 타측에 이 돌기를 끼워맞추는 구멍을 설치하며, 또한 전술한 접동자의 입상편의 절곡부 근방에 대응하는 접동자 받침 부분에 凹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본 고안에 의하면, 접동자와 접동자받침의 어느 것의 일측에 설치된 돌기를 타측에 설치된 구멍에 끼워맞춤으로서, 접동자는 접동자받침의 취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또한 접동자의 입상편의 상단과 접동자받침에 설치된 입상완의 후크부는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접동자는 접동자받침의 취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벗겨져서 빠져버리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접동자의 단부의 입상편이 접동자받침의 입상완의 후크부에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접동자가 저항면과 반대방향의 반발력을 받아도, 접동자받침의 압착 붙임을 실시한 돌기에 응력이 집중하는 일이 없게 되어 이 돌기가 파손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접동자는 접동자받침에 취부될 때 접동자의 입상편이 일단 접동자받침의 凹부에 삽입된 후에 자기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에 복귀하여 접동자받침에 설치된 후크부에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양자의 확실한 걸어 맞춤이 행하여 진다.
이하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명도로서, 제1도는 접동자받침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제3도는 접동자받침의 사시도, 제4도는 접동자의 요부확대사시도, 제5도는 접동자의 사시도, 제6도는 접동자의 요부사시확대도, 제7도는 접동자가 접동자받침에 고정된 상태의 평면도, 제8도 (a),(b),(c)는 접동자를 접동자받침에 취부하는 공정도, 제9도는 제8도의 (b)의 상태에서의 요부사시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11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접동자받침, 12는 이 접동자받침(11)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후술하는 접동자의 취부용 돌기, 13은 동일한 접동자받침(11)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강성을 가진 입상완으로서,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단에 후크부(14)가 설치되어 있다. 15는 통공, 16은 도시가 생략된 저항기판을 취부하는 축, 17은 상기의 통공(15)에서 축(16)의 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된 테이퍼를 설치한 凹부이다.
제5도에 있어 18은 탄성금속재로 형성되는 접동자로서 단부에 장홈(18a)를 가진다. 19는 이 접동자(18)의 일단부의 장홈(18a)의 근방에서 절곡형성된 탄성을 가진 입상편으로서 절곡부(19a)에는 절곡가공을 실시한 R부(라운드부)를 형성하고 있다. 19b는 장홈(18a)과 선단 사이에 형성된 탄성을 가진 교락편, 20은 접동자받침(11)의 돌기(12)에 끼워맞추는 구멍, 18b는 접동자편이다.
다음에 제8도를 사용하여 접동자(18)를 접동자받침(11)에 취부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8도(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동자(18)의 구멍(20)을 접동자받침(11)의 돌기(12)에 대향시키고, 접동자(18)의 입상편(19)의 절곡부(19a)를 접동자받침(11)의 후크부(14)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치구를 사용하여 접동자(18)를 접동자받침(11)의 방향(화살표 방향)에 눌러 넣는다.
그러하면 동일한 도면(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동자받침(11)의 돌기(12)에 접동자(18)의 취부구멍(20)의 끼워 맞추어짐과 동시에, 접동자(18)의 입상편(19)의 절곡부(19a)와, 접동자받침(11)의 입상완(13)의 후크부(14)는 맞닿아 접합하기에 이르고, 결국 접동자(18)의 입상편(19)의 교락편(19b)은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c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접동자(18)을 다시 하방으로 누르면, 접동자(18)의 교락편(19b)과 접동자받침(11)의 후크부(14)의 걸어 맞춤이 풀어져서, 접동자(11)의 입상편(19)의 절곡부(19a)의 근방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동자받침(11)의 凹부(17)의 테이퍼면에 따라서 끼워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접동자(18)의 누르는 것을 중지하면 동일한 도면(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동자(18)의 입상편(19)의 교락편(19b)은 자기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고, 접동자(18)의 입상편(19)의 상단과 접동자받침(11)의 입상완(13)의 후크부(14)는 걸어 맞추어진다.
그 후, 돌기(12)중 하나의 돌기(12a)의 선단을 압착붙인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동자받침(11)의 돌기(12)에 접동자(18)의 구멍(20)을 끼워 맞추는 것으로 접동자(18)는 접동자받침(11)의 취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서 이동이 저지되고, 또한 접동자(18)의 입상편(19)의 상단과 접동자받침(11)에 설치된 입상완(13)의 선단에 설치된 후크부(14)는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접동자(18)는 접동자받침(11)의 취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벗겨져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접동자(18)의 입상편(19)의 상단은, 접동자받침(11)의 입상완 (18)의 후크부(14)에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접동자받침(11)을 가변저항기에 조립하여 넣은 상태에서 접동자(18)가 저항면과 반대방향의 반력을 받아도, 접동자받침(11)의 압착 붙임을 실시한 돌기(12a)에 응력이 집중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이돌기(12a)는 파손되는 일이 없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접동자(18)는 접동자받침(11)에 확실히 고정된다.
또한, 접동자(18)는 접동자받침(11)에 취부할 때, 접동자(18)의 절곡부(19a)의 근방이 일단 접동자받침(11)의 凹부 (17)에 삽입된 후에, 자기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입상편(19)의 상단이 접동자받침(11)에 설치된 입상완(13)의 선단의 후크부(14)에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양자의 확실한 걸어 맞춤이 이루어진다.
또한, 접동자(18)는 단부에 장홈(18a)을 설치하여 입상편(19)을 절곡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입상편(19)이 후크부(14)에 맞닿아 접합할 때,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락편(19b)이 C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변형이고, 따라서 취부시에 큰 힘을 요하지 않아 취부도 용이하다. 또한, 입상편(19)은 절곡부(19a)에 절곡가공을 실시하여 R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소위 리브효과가 생겨서, 입상편(19)의 수직방향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동자(18)에 돌기를 설치하고, 접동자(11)에 이 돌기의 끼워 맞추는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고, 접동자받침(11)의 凹부(17)에는 반드시 테이퍼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상완(13), 후크부(14)는 강성을 가지도록 기재되어 있지만, 탄성을 가져도 좋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접종자와 접동자받침의 어느 것인가의 일측에 설치된 돌기를 타측에 설치된 구멍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하여, 접동자는 접동자받침의 취부면에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또한, 접동자의 입상편의 상단과 접동자받침에 설치된 입상완의 후크부는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접동자의 접동자받침의 취부면에 수직방향의 벗겨져 빠지는 것이 저지되어서, 접동자는 접동자받침에 확실히 고정된다.
또한 접동자는 접동자받침에 취부할 때, 접동자가 일단 접동자받침의 凹부에 삽입된 후에 자기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접동자받침에 설치된 후크부에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양자의 걸어 맞춤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접동자의 취부는 접동자의 상방에서 누르면 되기 때문에, 자동기기에 의한 생산이 용이하다.

Claims (1)

  1. 접동자의 단부에 장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장홈의 근방에 탄성을 가진 입상편을 설치하고, 접동자받침에는 상기 입상편과 걸어 맞춤이 가능한 후크부를 가진 입상완을 설치하며, 상기 접동자와 접동자받침중의 어느 한쪽의 돌기를, 다른 한쪽에 이 돌기의 끼워맞춤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접동자의 입상편의 절곡부의 근방에 대응하는 접동자받침 부분에 凹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자의 취부구조.
KR2019870015304U 1987-01-31 1987-09-07 접동자의 취부구조 KR9000109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210 1987-01-31
JP1987012210U JPH054252Y2 (ko) 1987-01-31 1987-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390U KR880015390U (ko) 1988-09-15
KR900010946Y1 true KR900010946Y1 (ko) 1990-12-08

Family

ID=3080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5304U KR900010946Y1 (ko) 1987-01-31 1987-09-07 접동자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4252Y2 (ko)
KR (1) KR900010946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6201U (ko) * 1971-04-10 1972-11-24
JPS5631843U (ko) * 1979-08-22 1981-03-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21407U (ko) 1988-08-05
JPH054252Y2 (ko) 1993-02-02
KR880015390U (ko) 198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7052A (en) Support for circuit boards
KR970007152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브레이드의 피봇조인트
KR900010946Y1 (ko) 접동자의 취부구조
JPH0536246Y2 (ko)
JPH046233Y2 (ko)
KR100315086B1 (ko) 판재고정구
KR870002831Y1 (ko) 스냅고정구의 소켓측편
JPS643135Y2 (ko)
JPH0411988B2 (ko)
JPH0356942Y2 (ko)
JPS6339995Y2 (ko)
US3151716A (en) Molding fastener
JPH0125459Y2 (ko)
JPS6231946Y2 (ko)
JP2527986Y2 (ja) 摺動子の取付構造
KR200210785Y1 (ko) 토글스위치의 접점구조
JPH0249624Y2 (ko)
JPH0138925Y2 (ko)
JPS6028811Y2 (ja) 部品取付装置
KR900002526Y1 (ko) 슬라이드 스위치의 차폐판의 부착구조
KR0126119Y1 (ko) 세탁기의 마스코트 결합구조
JPH0117796Y2 (ko)
JPH0537292Y2 (ko)
JPH0338905Y2 (ko)
JPS61288325A (ja) メタル釦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