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691Y1 - 신호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691Y1
KR900008691Y1 KR2019840001501U KR840001501U KR900008691Y1 KR 900008691 Y1 KR900008691 Y1 KR 900008691Y1 KR 2019840001501 U KR2019840001501 U KR 2019840001501U KR 840001501 U KR840001501 U KR 840001501U KR 900008691 Y1 KR900008691 Y1 KR 900008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operator
support
projec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1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852U (ko
Inventor
야스오 후나모또
마사하루 가시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호입력 장치
제 1 도 및 제 2 도는 종래의 신호 입력장치의 일예도로서, 제 1 도는 신호입력 장치의 전체를 가리키는 사시도.
제 2 도는 조작상태를 가리키는 측면도.
제 3 도 및 제 12 도는 본 고안 신호 입력장치의 실시의 일예로서 제 3 도는 신호입력 장치의 전체를 가리키는 사시도.
제 4 도는 장치 전체의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제 3 도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 7 도는 제 3 도의 B-B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C-C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 9 도는 상측의 하반부의 저면도.
제 10 도는 하측의 하반부의 저면도.
제 11 도는 상하의 하반부가 일체화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 10 도의 D-D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 12 도는 조작상태를 가리키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45a, 45b, 45c, 45d : 제 1 트리거스위치
31 : 지지통 57 : 스위치 조작자
75 : 지지체 87 : 손잡이부
본 고안은 신호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등의 신호처리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를 한손으로, 더욱이 손목의 동작만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가 있게금 하여 조작 감각 및 조작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작에 의한 피로의 경감을 꾀한 새로운 신호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신호처리 장치 이를테면 소위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한 신호처리 장치는 최근 눈부시게 보급되고 매우 다중 다양의 목적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컴퓨터등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종래부터 입력 장치의 키보드에 설치된 키버튼을 누름에 따라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것과같이 컴퓨터 등의 사용목적이 다양화 되어오면서 신호의 입력수단으로서 키 버튼을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적당하지 않은 경우가 생긴다. 예를들면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소위 텔레비젼게임을 행하는 경우 혹은 그래픽 액션을 행하는 경우 조작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이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입력 조작을 행한다. 이러한 경우 처리 신호를 키 버튼을 누름에 따라 입력하면 처리되는 화상이 화면의 다방향에 이동되는 것에 대하여 조작자의 조작은 키버튼을 누른다고 하는 단순한 압압 동작의 반복 때문에 처리되는 화상의 움긱임과 조작자의 신호입력 동작사이에 일체감을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왕왕 조작하여야할 키 버튼의 선택을 실수하고 혹은 키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늦어지게되고 게임이나 그래픽 액션을 생각한데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한 것과 같은 키버튼에 의한 신호입력 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틱형의 조작 레버를 다 방향으로 경사가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 레버를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시켰을 때 소정의 처리신호가 입력되도록 한 신호입력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그와 같은 조작 레버를 구비한 종래의 신호입력 장치(a)의 일예를 명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b는 얇은 하우징형으로 형성된 케이스이고, 이 케이스(b)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c는 케이스(b)의 상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대부(사다리꼴부)이다. d는 케이스(b)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대부(c)의 내부에 있어서 적당한 지지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축이고 이 레버축(d)의 대부(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레버(e)가 장착되어 있다. f는 그 상부가 레버(e)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푸시버튼이며 이 푸시버튼(f)에는 레버(e)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다른 스위치의 가동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축(d)의 하단은 케이스(b)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각 가동접점과 관계되어있고, 레버축(d)의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되었을때에 소정의 스위치가 조작되게금 되어 있다. 그리고 g는 코드이고 일단이 상기한 각 스위치와 접속되어 있고 타단에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코드(g)의 커넥터를 컴퓨터의 소정의 입력부에 끼워 넣으면 신호입력장치(a)와 컴퓨터의 입력부가 연결된다.
거기서 상기와 같은 신호 입력 장치(a)를 사용하여 이를테면 텔레비젼 게임이나 그래픽 액션을 행하면, 화상의 움직임과 일체감이 있는 신호 입력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즉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게임이나 그래픽액션의 프로그램에 미리레버(e)의 이차원적인 경사 방향과 대응한 화상의 처리 방향을 정의하여 두면 표시된 화상은 레버(e)의 경사방향과 똑같은 방향으로 이동처리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화상의 움직임과 일체감을 가지고 신호 입력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신호 입력 장치(a)에 의하면 조작에 현저한 지체와 피로를 수반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레버(e)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이 조작될 때 전체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움직임이 커지고, 따라서, 조작자는 팔의 전체를 움직이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와같이 팔이 전체를 움직이는 조작이기 때문에 조작의 스피드가 완만하게 됨과 동시에 현저하게 피로를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또 레버(e)의 전체가 기울어지면, 레버(e)를 조작하기 위하여 가해진 압압력은 레버(e)의 축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케이스(b)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신호입력장치(a)가 움직이는 문제가 있다.
이것 때문에 조작자는 한쪽편의 손으로 케이스(b)를 눌러두고 다른한쪽의 손으로 레버(e)를 기울이는 자세를 취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리고 레버(e)의 움직임이 크게 되기 때문에 자칫하면 스위치의 가동부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고 스위치가 고장나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이므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를 한손으로 더욱이 손목의 동작만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게금하여서 조작 감각 및 조작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작에 수반되는 피로의 경감을 꾀한 신호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 신호 입력장치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호처리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비치한 베이스와 그 베이스로부터 돌설된 지지통 및 지지체와, 이 지지통 및 지지체의 선단에 지지통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손잡이부와 일단이 이 손잡이부와 관계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와 관계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였을때에 상기 복수의 스위치중의 소정의 것이 조작되는 스위치 조작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고안 신호 입력장치의 상세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1은 약간 얇은 케이스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로서 돌로 나누어져 형성된 하반부(2)와 상반부(3)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다.
하반부(2) (제 10 도 참조)는 대략 장방형상의 저판부(4)와 저판부(4)의 외주에 붙어서 일체로 세어설치된 벽부(5)에 의하여 상면이 개구된 쟁반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저판부(4)의 앞쪽, 즉 제 10 도에 있어서의 좌측(이하,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이 방향을 장치의 앞쪽으로 하고 동 도면에 있어서의 우측을 장치의 뒤쪽으로 하며, 또, 동 도면에 있어서의 윗쪽은 장치의 좌측, 똑같이 아래쪽을 장치의 우측으로 한다.) 부분의 중앙부는 대략 ⊃자 형으로 절결된 절결부(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6)의 한쪽을 따른 부분에는 저 벽부(5)가 형성되고 있다. 저판부(4)의 각각의 각부에는 미끄럼 방지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이 미끄럼 방지부재(7)는 고무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에 의하여 형성되고, 중간부의 가는지름부(細徑部) (8)가 저판부(4)에 형성된 구멍(9)(제 11 도 참조)에 계합되고 또한 하부가 저판부(4)로부터 아래쪽에 돌출되어 저판부(4)에 장착되어 있다. 또 저판부(4)의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7)가 장착된 위치의 안쪽에 의한 위치에는 저판부(4)의 일부를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10)의 중심부에는 나사 삽통용의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12는 하반부(2)의 저판부(4)의 앞쪽으로 편의한 위치에 돌출설치된 돌기부이고 이 돌기부(12)의 상단면에는 두 개의 환사돌조(13, 14)가 동심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쪽의 환상돌조(13)의 내부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한 반구면형의 요부(15)로 되어있다. 그리고 저판부(4)의 상기 돌기부(12)의 주위에 있어서 돌기부(12)로부터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각각 등거리로 떨어진 위치와 뒤쪽에 편위한 위치등에 작은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17은 하반부(2)의 저판부(4)의 뒤쪽에 편위한 위치에 돌출설치된 대략 통형태의 돌기부로서 이 돌기부(17)의 내부에는 위쪽으로부터 보아 대략 십자형으로 교차된 리브(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17')의 돌기부(17)의 내주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절결(18)이 형성되어 있다.
19는 저판부(4)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부(17)와 벽부(5)의 뒤쪽의 부분사이에 좌우방향에 이간되고 또한 서로 향하여 설치된 스위치레버 지지편이고, 스위치레버 지지편(19) 상단에는 위쪽을 향하여 개구된 대략 반원형의 절결요부(20) (제 6 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레버 지지편(19) 사이에는 보강 리브(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2는 저판부(4)의 앞쪽에 편기한 부분의 주위에 배치되어서 돌출설치된 기반지지 돌기이고 각각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판부(4)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와 앞쪽에 가까이간 부분과의 각각의 좌우양측에 편위한 위치에 있어서 서로 L자형으로 절결된 쪽을 대향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또 상기 돌기부(17)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L자형으로 절결된 측을 저판부(4)의 앞쪽에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부(4)의 앞쪽에 근접한 위치에 벽부(5)의 앞쪽 벽부(5')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돌조(29)가 형성되어 있다.
상반부(3) (제 9 도 참조)는 대략 장망형상의 천판부(24)의 이 천판부(24)의 외주에 따라 설치된 벽부(25)에 의하여 하면이 개구된 대강 재이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천판부(24)의 앞쪽 부분의 중앙부는 대략 ㄷ자 형으로 절결된 절결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26)의 안에 따른 부분에는 낮은 벽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부(24)의 상기한 하반부(2)에 형성된 나사 삽통용 구멍(1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나사 결합용 구멍(27)을 가지고 돌기부(28)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29는 상반부(3)의 천판부(24)의 앞쪽에 편위한 위치에서 위쪽에 돌출하겠금 형성된 대부로서 이 대부(29)의 중심은 상기 하반부(2)에 형성된 이중의 환상돌조(13, 14)를 가지는 돌기부(12)의 축심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게금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대부(29)는 천판부(24)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좀 낮은 원추 대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있고, 그리고 대부(29)의 내부에는 요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부(29)에는 그 상단면의 외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한 원통형의 (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통(31)의 내주면에는 이 지지통(31)의 축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대부(29)의 상단면 중심부에는 삽통구멍(33)이 형성되어 이 삽통구멍(33)의 주위에는 계합공(34)이 형성되어 있다.
35는 대부(29)의 내부에 형성된 요부(30)의 개구모서리의 외측에 개구모서리와 약간 이간하여 배치되고 또한, 하반부(2) 축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환상돌조이다. 그리고, 이 환상돌조(35)는 상기한 하반부(2)에 돌출설치된 작은 돌기(16)의 위치를 지나가고 또한 돌기부(12)의 축심부를 중심으로 그려지는 원의 조금 외측 위치와 대응하도록 배이되어 있다.
36은 후술하는 기판의 부착용 나사가 결합되는 구멍(37)이 형성된 돌길부이고 천판부(24)의 중앙부로부터 조금 앞쪽으로 편위한 위치의 좌우양측에 하반부(2)축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38은 천판부(24)의 뒤쪽에 근접한 위치의 좌우양측에 형성된 계합돌기부이고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ㄷ자형의 개구부를 서로 대향시키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천판부(24)의 상기 계합돌기부(38)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조금 앞쪽에 가까이간 위치에 대략 장방형상의 개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천판부(24)의 앞쪽에 근접한 위치에는 천판부(24)의 전후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표시구멍(40a, 4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하반부(2)와 상반부(3)는 그 개구부를 맞되게 하는 것과 같이 하여 겹치고 그리고 하단부(2)의 돌기부(10)에 형성된 구멍(11)을 통하게 하는 나사(41)를 상반부(3)의 돌기부(28)에 형성된 구멍(27)에 결합함에 따라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이에 의하여 약간 얇은 하우징형으로 된 베이스(1)가 형성된다. 또, 상반부(3)와 하반부(2)가 일체적으로 결합됨에 따라서 베이스(1)의 앞측면의 중앙부에는 상반부(3)의 낮은 벽부(25')와 하반부(2)의 낮은 벽부(5')에 의하여 대략 장방형상의 개구부(42)가 형성된다.
43은 상기 베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린트 기판이고 복수의 트리거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즉, 프린트기판(43)은 그의 중앙부로부터 조금 앞쪽 가까이에 위치하여 삽통구멍(44)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있어서의 삽통구멍(44)의 주위에는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가 배치 고정되어 있다. 이들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가 배치된 위치는 삽통구멍(44)의 축심으로부터 전후 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등거리로 간격을 둔 위치로 되어있고 이 위치는 기판(43)이 베이스(1)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의 하반부(2)에 형성된 상기 작은 돌기(16)의 위치와 대응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43)의 상면에 있어서의 후단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는 제 3 트리거 스위치(46)가 배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는 그 상부에 압압자(47)가 설치되어 있고 압압자(47)가 아래쪽으로 압압되는 것에 의해 이들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와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접점이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압압자(47)는 상기한 압력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원상 복구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접점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48은 프린트 기판(43)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단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 고정된 절환 위치이고 좌우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자(49)가 전반에 돌출하게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43)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의 좌우 양측에 가까이간 위치에 기판고정용의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51은 상기 절환 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이고 절환스위치(48)의 조작자(49)의 선단부가 감합되는 요부(52)가 형성되고 또한 조작돌기(53)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측판(54)가 이 측판(54)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표시판(55)이 대략 역 ㄴ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일체 결합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판(55)의 상면에는 좌우로 이간하여 배치된 표시 요소(56a, 5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요소(56a, 56b)는 예를들면 황색의 테이프를 접착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프린트 기판(43)은 상반부(3)에 나사(41')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서 베이스(1)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즉, 프린트 기판(43)은 그의 상면 즉, 상기한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 그리고 절환스위치(48)가 장착된 측의 면이 상반부(3)의 천판부(24)의 하면과 대면된 상태로서 그 기판 고정용의 구멍(50)에 상반부의 천판부(24)로부터 돌출 설치된 상기 돌기부(36)의 선단부가 감합되고 이 돌기부(36)의 구멍(37)에 나사(41')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기판(43)은 이 돌기부(36)의 선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절환 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51)는 기판(43)이 상기한 것과 같이하여 상판부(3)에 고정되기 전에 절환스위치(48)의 조작자(49)에 감착되어 표시판(55)이 상반부(3)의 천판부(24) 하면에 따라 위치되고 또한, 절환스위치(48)의 조작자(49)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프린트 기판(43)이 상반부(3)에 고정되고 이 상태로서 상반부(3)와 하반부(2)가 상기한 것과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되면, 프린트 기판(43)의 삽통구멍(44)에 하반부(2)의 돌기부(12)가 삽통됨과 동시에, 프린트 기판(43)의 주위 모서리가 하반부(2)에 형성된 상기 기판 지지돌기(22)의 L자형의 절결부분 및 돌조(23)의 상면에 재치된다. 이에 의하여 프린트 기판(43)의 하반부(2)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하여 진다. 이와같이 하여 프린트 기판(43)은 베이스(1)의 소정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43)이 베이스(1)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면 하반부(2)에 형성된 작은 돌기(16)는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각 축심부와 대응하여 위치되고 프린트 기판(43)상의 이 각 제1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3트리거 스위치(46)가 장착된 부분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므로 이들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압압자(47)가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기판이 국부적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절환 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51)의 표시판(55)에 형성된 표시요소(56a, 56b)는 조작 손잡이(51)를 좌측으로 이동시켰을때에 좌측의 표시요소(56a)가 상반부(3)의 표시구멍(40a)을 통하여 표시되고 또 조작 손잡이(51)를 우측으로 이동시켰을때에 우측의 표시요소(56b)의 표시구멍(40b)을 통하여 표시되겠금 된다. 더욱이 이 표시요소(56a, 56b)은 후에 설명하는 좌우일체의 제 2 트리거 스위치의 어느쪽의 것이 선택되고 있는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57은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58은 보스부이고, 이 보스부(58)의 하면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5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59)의 하단은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60은 보스부(58)의 하면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되고 또한 보스부(58)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원환형으로 형성된 링이고, 이 링(60)과 보스부(48)는 복수의 연결핀(61)을 통해 일체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링(60)의 하면에는 약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압압돌기(62a, 62b, 62c, 62d)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또, 링(60)의 하면의 약 180도의 각도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선단이 링(60)의 외주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계합 돌기(63)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58)의 축심부에는 보스부(58)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핀(64)의 하단부가 매입형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 핀(64)의 상단부는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보스부(58)의 하면에는 그 외주모서리에 따라서 환상의 돌조(6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한 상반부(3)에 형성된 환상돌조(35)의 하단면에는 상기 스위치 조작자(57)의 링(60)에 돌출설치된 계합돌기(63)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돌기(6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스위치 조작자(57)는 코일스프링(67)에 의하여 상반부(3)의 천판부에 압접된 상태로서 베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베이스(1)의 상반부(3)의 하반부(2)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하반부(2)의 돌기부(12)의 내측의 환상돌조(13)에 코일 스프링(67)의 하단을 외부에서 끼우고 스위치 조작자(57)의 핀(64)을 상반부(3)의 대부(29)에 형성된 삽통구멍(33)을 통하여 지지통(31)내에 삽입하고 또한 링(60)을 상반부(3)의 환상돌조(35)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링(60)의 계합돌기(63)의 선단보를 상반부(3)의 환상돌조(35)에 형성된 가이드돌기(66) 사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계합홈부에 각각 계합시킨다. 이와같은 상태로부터 상반부(3)와 하반부(2)를 상기한 것과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하면 코일스프링(67)을 압축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스위치 조작자(57)의 보스부(58)의 하면에 형성된 환상돌조(65)의 내측에 감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보스부(58)의 하면에 돌출설치된 돌기(59)는 하반부(2)의 돌기부(12)의 요부(15)와 대략 동축상에 대응되고 또한 돌기(59)의 하단면은 요부(15)의 저면과 약간 이간하여 대응하게 된다. 그리하여 스위치 조작자(57)는 링(60)의 상면의 외주모서리에 기댄 부분이 코일스프링(67)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반부(3)의 요부(30)의 개구모서리에 압접 상태로 당접함과 동시에 각 압압돌기(62a, 62b, 62c, 62d)가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와 대략 동측상에, 그리고 약간 이간하여 대응되도록 된다.
더욱이 상기한 프린트기판(43)의 부착은 스위치 조작자(57)가 상반부(3)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후에 행하여 진다.
따라서 이와같이 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스위치 조작자(57)는 이것이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면 압압돌기(62a, 62b, 62c, 62d)는 어느 것이나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를 압압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들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는 어느 것이나 오프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 스위치 조작자(57)가 전후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압압돌기(62a, 62b, 62c, 62d)가 이것과 대응하는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의 압압자(47)를 압압하기 때문에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가 온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자(57)의 상기한 기울기 조작은 후술하는 손잡이부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68은 상기한 프린트 기판(43)에 장착된 제 3 트리거 스위치(46)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레버이고, 베이스(1)의 내부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69는 스위치 레버(68)의 후단면에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지축이고, 이 지축(69)의 양단부는 상단부(3)에 형성된 상기 ㄷ자형의 계합돌기부(38)에, 또, 중간부의 하측반부는 하반부(2)에 형성된 스위치레버 지지편(19)의 요부(2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70은 스위치 레버(68)의 앞측에 편위한 위치의 상방으로 대략 베드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압압부이고, 이 압압부(70)의 내부는 요부로 되어 있다. 71은 스위치 레버(68) 하면의 대략 중앙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통형돌기이고, 이 통형돌기(71)의 축심부에는 선단이 돌기(71)의 선단 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된 핀(7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 레버(68) 하면의 전단 모서리의 중앙부에 가까이한 위치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 압력핀(73)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74는 스위치 레버(68)와 상기한 하반부(2)에 형성된 통형의 돌기부(17)사이에 압축된 상태로서 개장되는 코일 스프링이다.
그리하여 스위치 레버(68)는 베이스(1) 내부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하반부(2)의 통형 돌기부(17)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십자형의 리브(17')의 절결(18)에 코일 스프링(74)의 하단을 감합하고 또, 스위치 레버(68)의 지축(69)의 양단을 상반부(3)의 ㄷ자형의 계합돌기부(38)에 계합하고 또한 압압부(70)를 상반부(3)의 개구부(39)에 위치하게 하고 이 상태로서 상반부(3)과 하반부(2)를 상기한 것과 같이하여 일체적으로 결합한다. 그러면 코일 스프링(74)은 압축된 상태로서 그 상단이 스위치 레버(68)의 통형돌기(71)내에 감합되고 또 지축(69)의 양단부에는 아래쪽으로부터 하반부(2)에 형성된 상기 스위치 레버 지지편(19)의 반원형의 요부(20)가 가볍게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하여 지축(69)은 베이스(1)의 상반부(3)에 접근한 위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스위치레버(68)의 상면이 코일스프링(74)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반부(3)에 접근한 위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스위치레버(68)의 상면이 코일스프링(74)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반부(3)의 천판부(24)의 하면에 압접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압력 핀(73)은 제 3 트리거 스위치(46)와 동축상에 위치되고 또한 압력핀(73)의 선단은 이 제 3 트리거 위치(46)의 압압자(47)와 약간 이간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리하여 스위치 레버(68)는 압압부(70)가 늘려짐에 따라서 지축(69)이 지지된 위치를 회동지점으로 하여 회동되고, 압력핀(73)이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압압자(47)를 압압하여 이로서 이 스위치(46)가 온으로 된다. 더욱이 스위치 레버(68)의 통형돌기(71)의 내부에 배치된 핀(72)은 스위치 레버(68)가 소정의 행정 즉, 스위치(46)의 압압자(47)가 압압되어 접저믈 폐쇄하는데 필요한 행정 만큼 회동된 시점에서 그 선단면이 하단부(2)의 통형돌기부(17)내의 십자형의 리브(17')의 상단면에 충합되어, 이에 의하여 스위치레버(68)가 필요이상으로 회동되어 스위치(46)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75는 베이스(1)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서 일체적으로 설치된 지지체이고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된 두부(頭部)(76)와 이 두부(76)의 하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여 일체 형성된 다리부(77)로 이루어진다. 즉, 두부(76)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고 또한 외주면이 반구형의 구면에 형성된 대략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두부(76)의 저판(78) 중앙부는 원형으로 개구(79)되어 있고, 이 개구(79)의 개구모서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통형의 보스부(80)가 일어선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스부(80)의 상단은 두부(76)의 상단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위치되고, 또한 보스부(80)의 상단 개구모서리는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 이 개구모서리(81)는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두부(76)의 내주면과 보스부(80)의 외주면과는 다수의 리브(82)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83은 두부(76)의 상단모서리의 약 120도 이간한 위치로부터 상방 및 외부쪽을 향하여 돌설된 계합돌기이고 이 계합돌기(83)의 선단은 두부(76)의 상단모서리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위치되어 있다.
다리부(77)는 두부(76)의 저판(78)의 외주모서리로부터 약간 내측에 가까이한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며, 하단부는 외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계지돌기(8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부(77)의 외측면의 중아에는 지지체(75)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계합돌조(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지지체(75)는 상반부(3)에 돌출설치된 상기 지지통(31)에 계착됨에 따라서 베이스(1)와 일체로 결합된다. 즉, 지지체(75)는 그 다리부(77)가 지지통(31)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때, 다리부(77)의 외측면에 형성된 계합돌조(85)는 지지통(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홈(32)과 계합된다. 그리고 지지체(75)는 그 두부(76)의 저판(78) 하면이 지지통(31)의 상단과 충합되는데까지 지지통(31)내에 삽입되면 다리부(77)의 하단에 형성된 계지돌기(84)가 상반부(3)의 대부(29) 상단면에 형성된 상기 계합구멍(34)의 모서리부와 계합된다. 이에 의하여 지지체(75)는 지지통(31)에 대하여 회전장치와 빠짐 방지가 행하여진 상태로서 장착되고 두부(76)가 지지통(3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더욱이 지지체(75)의 두부(76) 저판(78)에는 2곳이 절결부(8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스위치 조작자(57)의 핀(64)의 선단부는 지지체(75)의 보스부(8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87은 대략 하우징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이고 대략 둘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 하반부(88)와 상반부(89)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하반부(88)는 저판부(90)와 이 저판부(90)의 외주 모서리에 따라서 상반부(89)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주벽(91)에 의하여 상방을 향해 개구된 대략 쟁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벽(91)의 후측의 다른 부분보다 좀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벽(91)의 좌우 양측부의 후측에 가까이간 위치에는 절결부(92)가 형성되어 있다.
93은 저판부(90)의 약간 앞쪽에 편위한 위치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이고, 이 개구부(93)의 개구모서리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환상돌조(9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환상돌조(94)의 내측 상부는 구면형의 면(94')에 형성되어 있다. 95는 저판부(90)의 상기 개구부(93)의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 저판부(90)의 일부를 위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부이고, 그 중심부에는 나사 삽통용의 구멍(96)의 형성되어 있다. 97은 98은 저판부(90)의 후측에 가까이간 위치에 한조씩 배치된 스위치기판계합용의 돌기부이고, 한편의 돌기부(97)는 주벽(91)의 내측에 두개가 근접하여 형성되고, 또 다른쪽의 돌기부(98)는 ⊃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 ⊃자형의 개구부를 상기 한쪽의 돌기부(97)에 대향시키고, 저판부(90)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반부(89)는 천판부(99)와 이 천판부(99)의 외주 모서리에 따라서 하반부(88)측으로 돌출형성된 주위벽(100)에 의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된 대략 쟁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벽(100)의 후측의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좀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위벽(100)의 좌우 양측의 후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는 절결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102는 천판부(99)의 중심부로부터 약간 전반으로 치우진 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해 일체 돌설된 연결축이고, 이 연결축(102)의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멍(103)이 형성되고, 또한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조(10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조(104)는 연결축(102)의 축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것과 같이 배치되고 또한 하단은 연결축(10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의 위치에서 끝나고 있다. 그리고 돌조(104)의 하단은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105 및 106은 천판부(99)의 후측으로 치우진 위치에 좌우 한조씩 배치된 스위치 기판계합용의 돌기부이고 이들 돌기부(105, 106)의 형태는 상기한 하반부(88)에 형성된 돌기부(97, 98)와 똑같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형성 위치는 하반부(88)측의 돌기부(97, 98)와 대응하겠금 되어 있다. 107은 주위벽(100)의 후측 부분의 내면 중앙부에 이 주위벽(100)의 높이 방향에 따라 서로 조금 이간하여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이고 이들의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에는 상기한 지지체(75)의 두부(76)에 형성된 계합돌기(83)의 한쪽의 것이 스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 계합된다. 또 108은 주위벽(100)의 앞측의 부분과 좌측의 부분이 교차하는 다리부에 주위벽(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또한 서로 조금 떨어져서 형성된 다른 가이드 돌기부이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 사이에는 상기한 지지체(75)의 두부에 형성된 계합돌기(83)의 다른쪽것이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서 계합된다. 109는 나사가 결합되는 구멍(110)이 형성된 돌기부이고 천판부(99)의 좌우양측부에 있어서의 상기한 하반부(88)의 돌기부(95)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반부(89)와 하반부(88)는 그 각 개구부를 서로 맞대개하는 것과 같이 겹치게 하고, 또한 하반부(88)의 돌기부(95)에 형성된 구멍(96)을 삽통된 나사(111)를 상반부(89)의 돌기부(109)의 구멍(110)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서 대략 하우징형으로된 손납이부(87)가 형성된다.
그리고, 112a, 112b는 각기 스위치 기판(113)에 장착된 제 2 트리거 스위치이고 손잡이부(87)의 하반부(88)와 상반부(89)가 상기한 것과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될 때, 그 스위치 기판(113)이 하반부(88)와 상반부(89)에 의하여 보유됨에 의하여 손잡이부(87)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스위치기판(113)의 상단부는 상반부(89)에 형성된 상기 스위치 기판 보유용의 돌기부(105)와 돌기부(105)의 ㄷ자형 요부와의 사이에 계합되고, 또, 하단부는 하단부(88)에 형성된 상기 스위치 기판 보유용 돌기부(97)와 돌기부(98)의 ㄷ자형 요부 사이에 계합되어, 이에 의하여 스위치 기판(113)이 하반부(88)와 상반부(89)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보유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는 손잡이부(87)의 좌우 양측부에 절결부(92)와 절결부(101)의 협동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부(114)와 대응한 곳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한 것과 같이 하반부(88)와 상반부(89)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면, 상반부(89)의 주벽(100)에 형성된 절결부(101)와 하반부(88)의 주벽(91)에 형성된 절결부(92)의 각각의 개구부가 서로 접합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의 좌우양측면의 후측에 가까이간 위치에 개구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위치기판(113)이 상기한 것과 같이 하반부(88)와 상반부(89)의 소정 위치에 보유되면 스위치(112a, 112b)는 상기 개구부(114, 114)와 대응한 곳에 위치하게 된다.
115는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의 압압버튼이고, 이 압압버튼(115)의 내측에는 감합요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압압버튼(115)은 그 감합요부(116)내에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의 가동접점을 조작하는 가동자(117)로부터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된 조작축(118)이 감합됨에 따라서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에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그리하여, 스위치기판(113)은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에 압압 버튼(115)이 장착된 상태에서 하반부(88)와 상반부(89)에 의하여 보유된다.
그리하여 손잡이부(87)는 상기한 지지체(75)의 두부(76)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우선 손잡이부(87)의 하반부(88)는 지지체(75)가 지지통(31)에 장착되기 전에 그 저판부(90)에 형성된 개구부(93)에 지지체(75)의 다리부(77)를 삽통시켜, 이 상태에서 지지체(75)가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지지통(31)에 장착된다.
그래서 지지체(75)의 보스부(80)에 코일 스프링(119)의 하단부가 밀착상태로 외부에 끼여서 이 상태에서 하반부(88)에 대하여 상반부(89)가 상기한 것과 같이하여 나사(111)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가 지지체(75)의 선단부에 이 지지체(75)의 축방향과 약간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체(75)로부터 빠짐방지와 지지체(75)의 축둘레 방향으로의 회전방지가 행하여진다. 즉, 하반부(88)의 개구부(93)의 개구모서리에 형성된 구면(94')이 지지체(75)의 두부(76)의 구면형으로 형성된 외부면과 미끄럼접촉하고,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는 지지체(75)로부터의 빠짐방지가 행하여진다. 또, 상반부(89)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107) 및 가이드돌기부(108)간에 지지체(75)의 두부(76)에 돌출설치된 계합돌기(83)가 스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의 지지체(75)의 축둘레 방향에의 회전 방지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코일스프링(119)은 압축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상반부(89)의 연결축(102)이 돌출설치된 위치의 주위에 형성된 환상돌조(120)의 내측에 감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87)는 코일스프링(119)의 탄발력에 의하여 항항 상방을 향해 떠오르는 것같이 탄발 부세되기 때문에 하반부(88)의 환상돌조(94)의 상단 내면에 형성된 구면(94')이 지지체(75)의 두부(76)의 구면상의 외주면에 탄발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또, 상반부(89)로부터 돌출설치된 연결축(102)은 그 선단으로부터 중간부까지의 부분이 지지체(75)의 보스부(80) 내부에 삽통되어 돌조(104)의 원호형으로 형성된 하단부가 지지체(75)의 보스보(80) 요부 구면형의 개구모서리(81)와 좀 떨어져 위치된다. 따라서 손잡이부(87)는 이것이 아래쪽으로의 압압에 의하여 연결축(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조(104)의 원호형으로된 하단부가 지지체(75)의 보스부(80)의 요부 구면형으로 형성된 개구모서리(81)에 당접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는 연결축(102)의 돌조(104)의 하단부가 보스부(80)의 상단의 개구모서리(81)와 당접된 위치를 회동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어느쪽으로도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이 손잡이부(87)가 지지체(75)의 선단에 장착되면 상기한 스위치 조작자(57)의 핀(64)의 상단부는 손잡이부(87)의 연결축(102)의 구멍(103)에 감합되고, 이에 의하여 연결축(102)의 기울기 동작이 스위치 조작자(57)에 전달된다. 즉, 예를들면, 손잡이부(87)가 후방을 향해 회동되면 연결축(102)의 선단은 전방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자(57)는 전방으로 기울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자(57)는 그 보스부(58)의 하면에 돌출설치된 돌기(59)의 선단면이 베이스(1)의 돌기부(12)의 중심부에 형성되 요부(15)와 당접되는 점. 혹은 이 보스부(58)의 하면이 코일 스프링(67)의 상단에 위하여 지지된 점을 회동 지점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스위치 조작자(57)가 전방으로 기울게 되면, 그 링(60)의 앞쪽 부분이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링(60)의 앞쪽 부분에 돌출 설치된 압압돌기(62a)가 제 1 트리거 스위치(45a)의 압압자(47)를 눌러 압력을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이 제 1 트리거 스위치(45a)가 온된다(제 12 도에 실선으로 명시하는 상태), 그리고 상기한 것과 똑같이 하여 손잡이부(87)가 앞쪽을 향해 회동되면 스위치 조작자(57)는 뒤쪽으로 경동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스위치 조작자(57)의 압압돌기(62b)가 제 1 트리거 서위치(45b)의 압압자(47)를 압압하고 이에 따라서, 이 트리거 스위치(45b)가 온된다(제 12 도에 2점 쇄선으로 명시하는 상태). 다시, 똑같이 하여, 손잡이부(87)가 좌쪽을 향해 회동되면, 제 1 트리거 스위치(45c)가 온되고, 또, 손잡이부(87)가 우측을 향해 회동되면 제 1 트리거 스위치(45d)가 온된다.
그리고 손잡이부(87)를 초기 중립의 상태(제 6도 및 제 7 도에 명시하는 상태)로 복귀시키면 연결축(102)은 지지체(75)의 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스위치 조작자(57)은 초기의 상태로 돌아오고 이에 따라 스위치 조작자(57)의 압압돌기(62a, 62b, 62c, 62d)의 어느 것이라 하여도 어느 것의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를 온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
또한, 스위치 조작자(57)는 손잡이부(87)를 잡고 있던 손을 놓기만 하여도 초기의 중립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즉, 손잡이부(87)는 코일 스프링(119)의 탄발력에 의하여 항상 위로 떠올라가려고 하겠금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방향인가로 회동된 상태로서 손잡이부(87)로부터 손을 놓아주면 손잡이부(87)는 코일스프링(119)의 탄발력을 가장 안정된 상태로 받을수가 있는 자세, 즉, 상반부(89)의 천판부(99)가 코일스프링(119)의 축방향과 직교 하게금 위치하는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한다.
따라서 손잡이부(87)는 이것을 잡고 있던 손을 놓으면 자동적으로 초기의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연결축(102)의 선단부는 지지체(75)의 축심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자(57)의 핀(64)의 상단부로 지지체(75)의 축심위치로 복귀되고 이것으로 스위치 조작자(57)는 초기의 중립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그리고, 121은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와 신호처리 장치의 신호 입력 회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코드이고 (122)는 이 코드(121)의 선단에 설치된 커넥터이고 이 커넥터(122)가 도시하지 않은 신호처리 장치에 접속된다.
그리하여 이와같이 구성된 신호 입력차이는 예를 들면 이것을 사용하여 텔레비젼 게임 및 그래픽 액션을 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하여 사용된다. 또한 이 신호 입력장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는 미리 상기한 각 트리거 스위치의 어느 것이 온되었을 때에는 어떠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가를 정의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조작자는 그 잘쓰는 팔에 따라 절환스위치(48)의 회로를 절환해둔다. 즉, 손잡이부(87)의 좌우 양측부에 배치된 제 2 의 트리거 스위치(112a, 112b)는 절환스위치(48)를 절환함에 따라서 어느 것인가 일방의 스위치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이를테면 조작자의 잘 쓰는 팔이 오른팔인 경우에는 절환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51)를 좌로 스라이드하면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중의 손잡이부(87)의 좌측에 배치된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가 선택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손잡이부(87)를 우측손으로 잡고 이 상태에서 우측손의 엄지손가락이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에 설치된 압압 버튼(115)를 조작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절환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51)를 좌측으로 스라이드하면 베이스(1)의 상반부(3)에 형성된 좌측의 표시구멍(40a)에 상기한 표시요소(56a)가 표시되고 이에 의하여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중 좌측 트리거 스위치(112a)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 임이 표시된다.
거기서 조작자는 우측손으로서 손잡이부(87)를 잡는다. 이 손잡이부(87)의 잡는 방법은 특히 특정되는 일은 없지만 보다 빠르게 조작할 수가 있게금 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87)의 좌측에 대고 또 다른 손가락을 손잡이부(87)의 후면에 닿게하여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조작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손잡이(87)를 전후 또는 좌우의 어느 것인가의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주면 화상은 조작자가 손잡이부(87)를 회동하는 방향에 따른 방향성을 가지고 처리된다. 또, 조작자는 엄지 손가락에 의하여 압압버튼(115)를 눌러주면 그것에 의하면 화상에 대한 다른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더욱이 좌측손(우측을 잘 쓰는 경우)으로서의 스위치 레버(68)의 압압부(70)를 눌러주면 그것에 의하여 화상에 대한 또 다른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이상 기재된 바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신호입력 장치는, 신호처리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베이스와 이 베이스로부터 돌출설치된 지지통 및 지지체와, 이 지지통 및 지지체의 선단에 지지통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손잡이부와, 일단이 이 손잡이부와 관계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와 관계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 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 상기 복수의 스위치중의 소정의 것이 조작되는 스위치 조작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신호 입력 장치에 의하면 조작자에 의하면 조작되는 부재는 지지통 및 지지체의 선단에 배치된 손잡이부 뿐이고, 더구나, 이 손잡이부의 회동지점은 통행 지지부의 선단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감각 및 조작속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조작에 피로를 수반하는 일이 없다. 즉, 조작자가 손잡이부를 잡았을때의 손잡이부의 회동지점은 조작자의 손바닥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손목을 소정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손잡이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조작자의 동작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족하기 때문에 그 조작이 빠르고 또한 조작감이 좋으며 더욱이 조작이 수반하는 피로를 최소한도로 줄일 수가 있다.
또, 손잡이부를 회동조작하기 위하여 손잡이부에 가해진 조작자의 힘은 대략 통해 지지부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가해지기 때문에 손잡이부를 조작함에 따라서 신호 입력 장치 전체가 움직이게 되어버리는 걱정은 없다.
따라서, 이 종류의 장치를 한손으로 조작할 수가 있고 신호 입력 장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손잡이부를 조작하지 않은 쪽의 손에 의하여 장치를 누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점으로부터도 조작은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의 신호 입력 장치의 손잡이부는 이것이 지지되는 지지통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조작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은 이 지지통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손잡이부를 조작하는 감각이 삼차원적인 움직임으로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그래픽 화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있어서, 삼차원 방향으로 이동처리 되는 그래릭 액션등을 행하고저 할 때 화면에 표시된 화상이 삼차원적인 움직임을 보면서 그 움직임과 일체감을 얻으면서 손잡이부를 조작할 수가 있다. 따라서 조작감각이 향상됨과 동시에 입력하여야할 신호의 선택을 잘못하는 걱정이 없다.
이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조작부재를 한손으로 더욱이 손목 동작만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가 있게금 하여 조작 감각 및 조작속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조작에 수반되는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신호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에 설치해야 할 스위치를 손잡이부의 좌우양측에 배치하여 조작자의 잘 쓰는 팔에 맞춰 좌우 어느 것인가의 스위치를 조작할 수가 있게금 하였지만 이와같이 함에 따라서 우측손사용의 조작자이거나 좌측 손을 쓰는 조작자라도 그 잘쓰는 손에 의하여 조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보다 일층 향상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손잡이부와 스위치 조작자를 서로의 동작이 관련되겠금 관계시키는 수단으로서 스위치 조작자의 상단부를 손잡이부의 통형부에 감합하는 수단을 사용했지만 이것은 손잡이부의 중심부와 스위치 조작자의 상단부를 구형 조인트형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도 좋다.

Claims (1)

  1. 신호처리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를 구비한 베이스(1)와, 이 베이스로부터 돌출설치된 지지통(31) 및 지지체(75)와, 이 지지통(31) 및 지지체(75)의 선단에 지지통(31) 및 지지체(75)의 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손잡이부(87)와, 일단 이 손잡이부(87)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87)를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중의 소정의 것이 조작되는 스위치 조작자(5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
KR2019840001501U 1983-09-03 1984-02-24 신호입력 장치 KR9000086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52848 1983-09-03
JP1983152848U JPS6059910U (ja) 1983-09-30 1983-09-30 信号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852U KR850002852U (ko) 1985-05-30
KR900008691Y1 true KR900008691Y1 (ko) 1990-09-22

Family

ID=3033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1501U KR900008691Y1 (ko) 1983-09-03 1984-02-24 신호입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59910U (ko)
KR (1) KR9000086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0877A1 (ko) * 2000-05-24 2001-11-29 Youngventure Community Co., Ltd. Positio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using variation of duty ratio of an accelerome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1040B2 (ja) * 2000-10-31 2005-02-1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JP5021602B2 (ja) * 2008-10-31 2012-09-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位置検出装置及びシフト操作位置検出装置
JP5135554B2 (ja) * 2009-09-14 2013-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装置
JP6146779B2 (ja) * 2014-07-28 2017-06-1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1647B2 (ko) * 1972-05-15 1977-06-11
JPS5366600U (ko) * 1976-11-05 1978-06-05
JPS5458314A (en) * 1977-10-19 1979-05-1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Joy sti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0877A1 (ko) * 2000-05-24 2001-11-29 Youngventure Community Co., Ltd. Positio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using variation of duty ratio of an acceler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9060Y2 (ko) 1991-03-07
KR850002852U (ko) 1985-05-30
JPS6059910U (ja) 1985-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804B1 (ko) 오른손 모드와 왼손 모드가 변환 가능한 좌표 입력 디바이스
US6166721A (en) Mouse as computer input device having additional mechanism for controlling additional function such as scrolling
JP4276494B2 (ja) 入力装置
US6394906B1 (en) Actuating device for game machine
US6362810B1 (en) Tiltable joystick pointing device
KR970004304B1 (ko) 스프링 풀림장치(disconnect)를 갖는 조이스틱
US5260696A (en) Multiple signaling mouse with faceted surfaces
US8360883B2 (en) Operating device for game machine
US20020052237A1 (en) Operating device with pendulum joystick
US4613853A (en) X-Y Input device
JPH10214128A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多機能コントローラ
JPH09251347A (ja) 座標入力装置
US5491497A (en) Multi-way input device
KR900008691Y1 (ko) 신호입력 장치
US10350490B2 (en) Games controller
KR19990009118U (ko) 마우스장치
JPS61292734A (ja) 画面操縦方法および装置
US6429847B1 (en) Translatable cursor actuator control for a portable computer
US4816622A (en) Joystick assemblies
JP2005317376A (ja) 複合操作入力装置
JP4079162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3256076A (ja) 情報処理装置
JP2000325658A (ja) ゲーム機などに使用するコントローラ
JPH0975544A (ja)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CN110968207B (zh) 摇杆式触碰设备、可触碰操作设备和触碰设备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