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06Y1 - 가위의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가위의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06Y1
KR900007506Y1 KR2019880007022U KR880007022U KR900007506Y1 KR 900007506 Y1 KR900007506 Y1 KR 900007506Y1 KR 2019880007022 U KR2019880007022 U KR 2019880007022U KR 880007022 U KR880007022 U KR 880007022U KR 900007506 Y1 KR900007506 Y1 KR 900007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 member
blade plate
scissor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784U (ko
Inventor
기미가즈 이시다
쓰네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사보덴
쓰네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사보덴, 쓰네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사보덴
Publication of KR890015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6Hand-held edge trimmers or shears for law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6Hand-held edge trimmers or shears for lawns
    • A01G3/065Hand operated shears for law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위의 로크장치
제1도∼제16도는 본고안 가위의 로크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전체의 정면도.
제2도는 전체의 평면도.
제3도는 분해사시도.
제4도∼제6도는 핸들과 로크부재의 동작을 표시하는 일부분을 잘라내어서 표시한 약도이고, 제4도는 핸들을 최고로 닫은 상태.
제5도는 로크 상태.
제6도는 로크가 해제된 가위의 사용상태를 표시하고, 제7도는 아래 핸들만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 단면도.
제9도는 위핸들만의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X-X선 단면도.
제11도는 로크장치만의 정면도.
제12도는 로크장치만의 배면도.
제13도는 로크부재를 이동시킨 상태의 로크장치만의 배면도.
제14도는 로크장치만의 횡단면도.
제15도는 칼날판 유우닛의 축착부분의 종단면도.
제16도는 변형 실시예의 가위전체의 정면도.
제17∼제19도는 각각 종래의 로크장치의 일예를 표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칼날판 유우닛 2 : 핸들 유우닛
3, 4 : 칼날판 5 : 센터나사
7 : 스프링 10 : 위핸들
11 : 아랜핸들 12 : 핸들나사
20 : 연결막대 22 : 로크부재
23 : 캡 24 : 스프링
25 : 창구멍 26 : 가이드홈
33 : 절결부 34 : 오목한 곳
본 고안은 2개의 칼날판이 스프링에 의하여 개방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가위, 특히 원예용의 것으로서 호적한 가위로 칼날판의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Lock)장치에 관한 고안인 것이다.
가위, 특히 원예용의 가위에서는 사용하기 쉽게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사용하여 칼날판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일이 넓게 실시되어 있고, 이와같은 가위에서는 사용하지 않을때에 칼날판이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로크하여 두는 필요가 있다.
종래 가위의 로크장치는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대적으로 미끄럼회전운동을 행하는 한쌍의 칼날판의 한쪽 칼날판(A)에 걸림부재(B)를 축착(C)하여 두고, 다른쪽 칼날판(D)의 일부분에 걸거나 벗기게 한 것이나,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칼날판(A), (D)과 연동하는 핸들(E), (F)의 한쪽에 걸림부재(B)를 축착(C)하고 다른쪽 핸들에 걸거나 벗기게 한 것, 혹은 제1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핸들(F)의 기단부에 링형상이나 훅형상의 걸림부재(G)를 설치하여 다른쪽 핸들(E)에 걸거나 벗기게 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종래의 가위의 로크장치는 가위를 잡는 손과는 다른손 혹은 같은 손이라 할지라도 잡는 조작과는 다른 조작에 의하여 로크장치를 걸거나 벗기도록 할 필요가 있고, 작업성이 나쁘다고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닫은 상태에 있는 가위를 세게 잡을뿐이고 자동적으로 로크를 해제할 수 있는 로크장치를 창안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사용하기 쉬운 가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2개의 칼날판(3), (4)을 센터나사(5)에 의하여 축착하고, 이 칼날판(3), (4)을 스프링(7)에 의하여 개방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가위를 대상으로 하고, 한쪽의 칼날판(4) 혹은 그 핸들부에 다른쪽 칼날판(3) 혹은 그 핸들부에 향하여 자유롭게 진퇴할 수 있고, 약한 스프링(24)에 의하여 되돌려 오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로크부재(22)를 설치한다.
또, 로크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다른쪽 칼날판 혹은 그 핸들부에는 칼날판을 가장 닫은 상태일때에 상기한 로크부재(22)의 선단부가 자유롭게 진퇴가능하도록 한 절결부(33)를 설치하고, 절결부(33)안에 있어서 로크부재의 일부분이 칼날판(3), (4)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하여 절결부의 측면으로 눌러붙게 되어서 걸리게 되도록 한 것이다.
즉, 로크부재를 되돌려오게 하기위한 스프링(24)은 칼날판을 개방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기위한 스프링(7) 보다도 약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절결부안에 있어서의 로크부재의 걸림상태는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하여 로크부재와 절결부측면과의 누르는 힘으로 발생하는 마찰저항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절결부 측면의 일부분에 오목한 곳(34)을 설치하여 로크부재의 일부분이 끼워넣게하여도 좋다.
이런경우에 있어서도 칼날판을 가장 닫은 상태에서는 로크부재의 선단부가 진퇴가능하게 된다.
가위에는 전체가 2개의 칼날판을 센터나사로 축착한 칼날판 유우닛(1)과 2개의 핸들부재를 축착한 핸들 유우닛(2)으로서 구성하고, 핸들 유우닛(2)의 앞쪽에 칼날판 유우닛(1)을 장착하여 연결막대(20)의 한쪽끝을 칼날판(4)에, 다른쪽끝을 아래핸들(11)의 일부분에 연결한 것이 있다.
이와같은 것으로서는 2개의 핸들부재를 축착하는 회전중심부분에 로크부재(22)를 설치한다.
칼날판을 가장 닫은 상태, 즉 스프링(7)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핸들을 강하게 잡은 상태(제1도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표시한 핸들위치(Ⅰ))에서는 로크부재(22)의 선단부가 절결부(33)안으로 자유롭게 진퇴하도록 되어있다(제4도 참조).
로크부재(22)의 선단부를 절결부(33)안에 눌러 나아가게 한 상태로 핸들의 잡는 힘을 풀면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하여 칼날판이 약간 넓어진다(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핸들위치(Ⅱ).
그래서, 로크부재(22)의 위치와 절결부(33)의 위치가 빗나가게 되고, 이 엇갈림 바꾸어말하면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하여 로크부재의 일부분이 절결부(33)안의 측면에 눌러붙게 되어서 걸리게되고 로크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제5도 참조).
로크를 해제하고 가위를 사용할 경우는 핸들을 강하게 잡는다.
핸들을 잡고 아래핸들(11)이 제1도에 있어서의 핸들위치(Ⅰ)에 도달하면 로크부재(22)가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하여 되돌려오게 되어서 걸리는 상태가 해제되고, 아래핸들(11)은 제1도에 있어서의 핸들위치(Ⅰ) 내지 (Ⅲ)을 자유롭게 움직이고 칼날판(3), (4)을 개폐할 수 있다(제6도 참조).
제1도는 칼날판 유우닛과 핸들 유우닛으로 구성되는 가위에 응용한 실시예이지만 상기한 작용은 제16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더욱, 절결부의 측면에 로크부재의 일부분이 끼워들어가는 오못한 곳(34)을 설치할 경우에 이 오목한 곳(34)은 로크부재와의 마찰력을 증대하든지, 로크부재를 되돌려오게하는 힘을 떠받칠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하에, 본고안 가위의 로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제15도는 본고안 가위의 로크장치를 칼날판 유우닛(1)과 핸들 유우닛(2)으로 구성하고, 핸들 유우닛(2)의 선단부에 칼날판 유우닛(1)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상하방향의 핸들을 잡는 방향에 대하여 칼날판의 개폐방향이 평면에서 수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주로 잔디를 베어들여 저장하는데 이용되는 가위에 응용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고, 이 가위의 전체구조는 제1도∼제3도에 의하여 이해된다.
칼날판 유우닛(1)은 아래쪽의 칼날판(3)과 윗쪽의 칼날판(4)을 센터나사(5)로 축착하여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칼날판(3)의 기단부에는 핸들 유우닛(2)으로의 장착하기위한 통형상의 부재(6)가 고정되어 있다.
또, 윗쪽의 칼날판(4)에는 코일형상의 스프링(7)을 부착하기 위한 스프링자리(8)가 고정되어 있다.
칼날판(3)과 칼날판(4)을 관통하는 센터나사(5)의 하단부는 아래쪽의 칼날판(3)에 고정되어 있고, 센터나사(5)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붙여지는 조절나사(9)와 칼날판(4)에 고정되는 스프링자리(8)에 스프링(7)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걸어맞추게하여 스프링의 비트는 힘에 의하여 칼날판(3)과 칼날판(4)을 해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핸들 유우닛(2)은 위핸들(10)과 아래핸들(11)로서 구성하고, 양핸들부재를 핸들나사(12)로 축착함과 아울러 위핸들(10)의 앞끝면에는 전기한 칼날판 유우닛(1)의 통형상의 부재(6)를 장착하기 위한 원형의 자리(13)를 형성하고, 또한 통형상의 부재(6)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4)를 뚫어 설치하여 칼날판 유우닛(1)과 핸들 유우닛(2)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도면상(15)은 위핸들의 관통구멍(14)을 관통한 칼날판 유우닛의 통형상부재 선단부에 장착되는 빠지는 것을 막는 볼륨 너트(16) 및 (17)은 칼날판 유우닛의 함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 및 강철구이다.
아래핸들(11)의 하단부에는 금속구(18) 및 압정(19)을 사용하여 연결막대(20)의 한쪽끝이 연결시키고 이 연결막대(20)는 칼날판 유우닛(1)의 회전중심을 관통하여 칼날판(4) 옆쪽부분에 뚫어 설치한 연결구멍(21)에 연결하여 아래핸들(11)과 칼날판(4)이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핸들 유우닛(2)에는 위핸들(10)과 아래핸들(11)의 회전중심위에 핸들을 닫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장치를 설치한다.
이 로크장치는 앞뒤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로크부재(22)와 이 로크부재(22)를 수용하는 모자형상의 캡(23)과 로크부재(22)를 되돌아오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약한 스프링(2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1도∼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창구멍(25)을 설치한 캡(23)에는 가이드홈(26)에 따라서 도면에서 좌우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로크부재(22)를 수용하고, 이 로크부재(22)를 캡(23)의 창구멍(25)을 통하여 외부에서 손가락으로 소정의 치수(X)만큼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로크부재(22)와 캡(23)사이에 스프링(24)을 설치하여 로크부재(22)를 캡(23)안으로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고 있다.
캡(23)의 이면에는 부착하기 위한 다리(27), (27)를 튀어나오게 설치하고 있다.
제3도, 제7도 및 제8도에서 이해되는 것과 같이 아래핸들(11)의 축착부분에는 금속제의 아래핸들 본체에 합성수지제의 보스(28)를 성형하고, 그 표면에는 캡(23)에 튀어나오게 설치한 다리(27), (27)가 끼워넣게 되는 부착구멍(29), (29)을 설치함으로써 아래핸들(11)에 로크장치가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면상(30)은 연결막대(20)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멍, (31)은 핸들나사(12)가 끼워넣게 되는 축구멍이다.
아래핸들(11)이 축착되는 위핸들(10)은 제9도,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금속제의 위핸들본체에 합성수지재를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한 아래핸들에 장착한 로크장치 즉 축구멍(32)의 앞쪽에 있는 핸들을 세게 잡고 칼날판을 닫은 상태로 로크부재(22)의 선단부분이 출몰하는 위치와 합치하는 곳에 절결부(33)를 설치한다.
이 절결부(33)는 도면상의 막힌 구멍으로서 로크부재(22)가 원활하게 삽입되고 또한 로크부재의 상하측면과 마주보는 측면과의 사이에 되도록 적은 빈틈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하여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하의 핸들부재를 가장 세게 꽉 잡은 상태로 있는 아래핸들(11)이 핸들위치(Ⅰ)에 있을 경우는 로크부재(22)가 절결부(33)안으로 자유롭게 출몰한다.
따라서, 켑(23)의 창구멍(25)을 통하여 손가락으로 로크부재(22)를 눌러 나아가게하여 핸들의 잡는 힘을 약하게 하면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로크부재(22) 전체가 약간 회전하고, 그 위테두리의 선단부분이 절결부(33)의 위쪽면에 맞닿아 로크부재가 걸리게 되어 아래핸들이 핸들위치(Ⅱ)의 위치에서 로크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가위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5도에 표시한 로크상태에 있는 상하의 핸들을 세게 잡는다.
그러면, 로크부재(22)와 절결부 측면과의 맞닿는 상태가 풀리고, 스프링(24)의 작용에 의하여 로크부재(22)가 순간에 되돌아오게되어 아래핸들(11)은 제4도에 표시한 핸들위치(Ⅰ)와 제6도에 표시한 핸들위치(Ⅲ) 사이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5도에 표시나 로크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프링(7)에 의한 회전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로크부재(22)와 절결부 측면과의 마찰저항이 로크부재를 직접 작동시키는 스프링(24)에 의하여 발생하는 힘보다도 크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 회전력은 회전 중심에서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 위에 로크부재(22)를 설치할 경우는 보다 확실하게 로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로크부재(22)와 절결부 측면과의 빈틈을 되도록 적게하면 아래핸들(11)의 핸들위치(Ⅰ)와 핸들위치(Ⅱ)의 노는격이 되도록 적게 되는 것이다.
제16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핸들(10'), (11')은 각각 칼날판(3'), (4')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지가위이고, 양칼날판(3'), (4')은 센터나사(5')에 의하여 축착되고 스프링(7')으로 칼날판을 여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로크부재(22)를 핸들(11')의 앞끝부분에 장착하고, 로크부재(22)의 선단부분이 칼날판(3')에 형성된 절결부(33')에 자유롭게 출몰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절결부(33')안에는 오목한곳(34)을 형성함과 아울러 로크부재(22)의 선단부분을 부리형상으로 하여 이 부분이 오목한 곳(34)으로 끼워넣도록 하고 있다.
오목한곳(34)은 그 형상에 의해서도 같지 않지만 로크부재(22)와 절결부 측면과의 저항을 크게하는 작용 혹은 스프링(24)에 의하여 발생하는 로크부재(22)를 되돌아오게 하도록 하는 힘 그 자체를 떠받치게 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로크장치는 적어도 핸들을 같은 상태로서 손가락, 주로 엄지손가락이 미치는 범위에 설치함으로써 로크의 걸어맞춤은 로크부재를 눌러 나아가게 함과 아울러 핸들을 잡는 것을 약하게 한다고 하는 극히 간단한 동작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 가위의 로크장치에 의하면 핸들을 잡는 만큼의 동작으로 로크를 해제할 수 있어 극히 사용하기 쉬운 가위로 할 수 있다.
이것은 보통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도 로크장치를 걸거나 벗기는 동작이 간략화될 뿐만아니라 양손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을 경우나 한손으로 다른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면서 로크장치를 걸거나 벗김을 실시할 경우에 편리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로크장치를 핸들의 회전중심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는 칼날판을 여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발생하는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힘을 되도록 큰 힘으로 하여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절결부안에 오목한곳을 형성하는 것으로는 절결부안에 있어서의 로크부재를 지지하는 힘을 높일수 있는 것이다.
이들은 함부로 로크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로크를 해제할때의 작동을 확실하게 실시하기 위해서 되도록 큰 탄성의 스프링을 로크부재에 부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4)

  1. 2개의 칼날판(3), (4)을 센터나사(5)에 의하여 축착하고, 이 칼날판(3), (4)을 스프링(7)에 의하여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가위에 있어서, 한쪽의 칼날판(4) 혹은 그 핸들부분에 다른쪽 칼날판(3) 혹은 그 핸들부분으로 향하여 자유롭게 진퇴할 수 있는 약한 스프링(24)에 의하여 되돌아오게하는 방향을 힘을 더하게 하는 로크부재(22)를 설치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칼날판(3) 혹은 그 핸들부분에는 칼날판을 가장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한 로크부재의 선단부분이 자유롭게 진퇴가능한 절결부(33)를 설치하고, 절결부(33)안에 있어서 로크부재의 일부분이 칼날판(3), (4)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하는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하여 절결부의 측면에 눌러붙여서 걸리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의 로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위의 전체는 2개의 칼날판(3), (4)을 센터나사(5)에 의하여 축착한 칼날판 유우닛(1)과 위핸들(10) 및 아래핸들(11)의 2개의 핸들부재를 축착한 핸들 유우닛(2)으로 구성하고, 핸들 유우닛(2)의 선단부분에 칼날판 유우닛(1)의 기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칼날판 유우닛의 회전중심을 통하는 연결막대(20)의 한쪽끝을 칼날판(4)에 다른쪽끝을 아래핸들(30)의 일부분에 연결함과 아울러 2개의 핸들부재를 축착하는 회전중심부분에 로크부재(2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의 로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결부(33)안에 있어서의 로크부재(22)의 걸림수단은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한 로크부재(22)와 절결부 측면과의 누르는 힘으로 발생하는 마찰저항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의 로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결부(33)의 측면에는 로크부재(22)의 일부분이 끼워넣은 오목한곳(34)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의 로크장치.
KR2019880007022U 1988-01-22 1988-05-10 가위의 로크장치 KR9000075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07237U JPH0440445Y2 (ko) 1988-01-22 1988-01-22
JP???63-7237 1988-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784U KR890015784U (ko) 1989-08-18
KR900007506Y1 true KR900007506Y1 (ko) 1990-08-20

Family

ID=1166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022U KR900007506Y1 (ko) 1988-01-22 1988-05-10 가위의 로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440445Y2 (ko)
KR (1) KR900007506Y1 (ko)
DE (1) DE3810222A1 (ko)
GB (1) GB22148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15Y2 (ja) * 1990-10-25 1995-06-21 アル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摘果用カッター
GB2340428A (en) * 1998-08-17 2000-02-23 Fiskars Uk Ltd Cutting device
TWM350233U (en) * 2008-08-22 2009-02-11 Natura Innovation Ltd Gardening shear
CN102145491B (zh) * 2011-04-07 2013-04-03 梁运跃 水平切拿同步剪
CN103461013B (zh) * 2013-09-26 2014-10-22 梁运跃 改进型旋转切拿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6802A (en) * 1949-08-22 1952-02-20 Wilkinson Sword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nd pruning shears or secateurs and the like
GB961476A (en) * 1962-05-10 1964-06-24 Sidney Geoffrey Young Improvements in tools
GB1543657A (en) * 1976-08-04 1979-04-04 Wilkinson Sword Ltd Hand tools
GB2030502B (en) * 1978-09-09 1982-09-29 Wilkinson Sword Ltd Hand tools
DE8502660U1 (de) * 1985-02-01 1985-05-09 Walter Peters Werkzeugfabrik GmbH & Co, 5650 Solingen Scheren- oder zangenartiges handwerkzeug mit selbsttaetig entrastender verschlusska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40445Y2 (ko) 1992-09-22
JPH01112650U (ko) 1989-07-28
KR890015784U (ko) 1989-08-18
GB2214854A (en) 1989-09-13
GB8813709D0 (en) 1988-07-13
DE3810222A1 (de) 198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6311A (en) Shear with resilient latch
US4274200A (en) Lock open folding knife with side release
US5110165A (en) Biased check rail lock
US5058277A (en) Compound action cutting tool
US8813368B2 (en) Folding knife with blade locking mechanism
CA2102350C (en) Rotary blade actuator for a hand held cutter
US5560082A (en) Folding window operator handle
US4063766A (en) Sash lock
EP0607635B1 (en) Trimming scissors
EP1187702B1 (de) Exzenterspannzwinge
US20050223563A1 (en) Folding knife
US20050241154A1 (en) Folding knife having a locking mechanism
KR900007506Y1 (ko) 가위의 로크장치
US4662039A (en) Gripping device
US4536959A (en) Folding knife
US4167811A (en) Folding knife
US4832384A (en) Latch assembly
EP0649965A1 (en) Spring plunger latch assembly
US6618946B2 (en) Knife
US4648643A (en) Retrofit lever assembly for a door knob
US3937234A (en) Nail clipper
JPH056365Y2 (ko)
CA1078598A (en) Shear
CA1123182A (en) Retractable blade knife
GB2170548A (en) Latch safety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