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53Y1 - 의자 전용 (轉用) 이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의자 전용 (轉用) 이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53Y1
KR900007153Y1 KR2019870004709U KR870004709U KR900007153Y1 KR 900007153 Y1 KR900007153 Y1 KR 900007153Y1 KR 2019870004709 U KR2019870004709 U KR 2019870004709U KR 870004709 U KR870004709 U KR 870004709U KR 900007153 Y1 KR900007153 Y1 KR 900007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plate
desk
auxiliary plat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4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9091U (ko
Inventor
정인기
Original Assignee
정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기 filed Critical 정인기
Priority to KR201987000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153Y1/ko
Publication of KR880019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9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자전용(轉用)이 가능한 책상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측면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용도별로 나타낸 변형 예시도.
제6도는 상판(床板)과 보조판간의 이음에 쓰이는 경첩의 사시도.
제7도는 부싱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4,5 : 신축간
6 : 보조판 7 : 경첩
8 : 다리체 8a : 앞다리
8b : 뒷다리 9 : 가동다리
13 : 밴드 15 : 버팀대
71.72.73 : 경첩(7)의 부재 71a : 안내부
72b : 호상면
본 고안은 의자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상판과 여기에서 덧붙인 보조판의 높이 및 기울기를 자유로이 선택 조정함으로서 신장에 관계없이 언제나 편한자세로 독서등을 할 수 있게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협소한 장소에서의 책상으로서의 효용성을 최대한으로 살리고 아울러 경량화의 함께 용도에 따라 쓰임새에 맞는 형태로의 변형성을 강조함으로써 운반 및 용도를 다양화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참고로 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상판에다가 보조판을 전개 또는 조립한 이른바 종래의 간이 독서대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 종류의 간이 독서대는 대체로 상판자세는 물론 서적이나 노트를 세웠을때 이를 뒤받춰주는 받침대 즉 보조판의 기울기와 높이를 자유로이 선택 조정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어른아이 할것없이 누구나 편한 자세로써 독서 또는 사무를 보는 데 많은 불편이 있었다.
즉 상판의 높이가 어린이게 적합한 칫수로 책정된 독서대일 경우에는 이보다 신장면에서 월등한 어른이 사용하기에 불편할 밖에 없고 이와 반대되는 경우에는 어린이가 사용하게 불편해진다.
또 독서를 할때에는 올바른 앉은자세를 취해야만 편하게 그리고 오랜시간 지치지 않고 계속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고 그래서 도서관이나 독서실에 비치된 책상은 그 상판이 몸쪽으로 낮게 경사진 것이 많다.
그런데 종래의 간이 독서대나 책상에 있어서의 상판은 수평으로 놓인게 대부분이고, 그 나마 경사진 것일지라도 그 기울기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게된 것은 없었다.
또한 책을 비스듬히 세워 받춰두는 받침판이나 보조판의 경사도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종래의 간이사용 목적으로된 독서대 혹은 책상은 그 만큼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히 독서대는 다리가 약한 탓에 그리고 책상은 높이 때문에 의자로 사용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모든 문제를 해소한 것으로서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작성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을 옆에서 본 그림으로서 그림의 좌측을 정면으로 하여 설명하면 상판(1)의 저면 좌우측 앞뒤 부분에는 고정경첩부재(2) (3)가 부착되어 있고, 그 핀(2a) (3a)에는 일측신축간(4)과 가동다리(9)의 경첩부(4a) (9a)가 헐겁게 기워져서 이 핀(2a) (3a)을 중심축삼아 선회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신축간(5)은 뒷다리에 힌지 결합된 부재(18a)상에 아래끝이 고정되어 있다.
상판(1)의 뒷쪽에는 보조판(6)이 힌지 결합방식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동 두판의 연결에 쓰이는 경첩은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판측부재(71)에는 바깥쪽에 중간부재(72)의 하변쪽을 앞뒷면과 밑면 일부를 포위하듯 감싸면서 안내하는 안내부(71a)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재(72)는 축공(72b)과 동심원상에 놓이는 호상면(72a)이 앞끝 밑쪽에 형성되고 또한 이 호상면(72a)의 양끝에는 걸림턱(72c)이 그리고 뒷끝 아래쪽에는 밑이 터진 흠(72d)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보조판측부재(73)에는 상기 중간부재(72)에는 중간부재(72)의 홈(72d)에 끼워 걸리는(73a)이 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고정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부재의 힌지결합은 상판측부재(71)의 축공(71b)과 중간부재(72)의 축공(72b)을 핀(75)으로 접속하고 중간부재(72)는 그 들쩌귀(72e)를 보조판측부재(83)의 들저귀(73b)에 맞춰 다른 핀(76)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이뤄진다.
이때 중간부재(72)의 호상면(72a)은 상판측부재(71)의 안내부(71a)에 끼이고 그래서 중간부재(72)는 핀(75)를 중심으로 선회할때 상기 안내부(71a)에 끼워 부드럽게 지나다님으로써 이러한 선회동작은 안전이 도모될수 있으며, 그 선회폭은 양 걸림턱(72c)간의 범위내이다.
한편, 상기 모든 신축간(4) (5)중 앞쪽의 것을 다리체(8)의 앞다리(8a)에 그리고 뒷쪽의 것은 이 다리체(8)의 뒷다리(8b)에 있는 가동다리(9)에 각각 끼워져 있고, 이들 신축간(4) (5)을 지지하는 앞다리(8a)와 가동다리(9)의 아래끝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기움공(12a)이 뚫린 합성수지제 부상(12)이 끼워져 있고, 이 부싱의 끼움공(12a)으로 신축간(40(5)이 뀀뚫고 들어간다.
그리고 신축간(4) (5)의 원활한 신축조작을 도모하기 위하여 앞다리(8a)와 가동다리(9)의 아래끝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끼움공(12a)이 뚫린 합성수지제 부싱(12)이 끼워져 있고, 이 부싱의 끼움공(12a)으로 신축간(4) (5)이 꽤뚫고 들어간다.
상기 죔새(10) (11)는 이 부싱(12)을 가로방향으로 통과하여 부싱(12)에 끼워진 신축간(4) (5)에 그 앞끝이 접속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가동다리(9)상에는 죔새(14)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밴드(13)가 씌워져 있고 이 밴드(13)와 보조판(6)의 저면 일점간에는 버팀대(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상호간의 결합은 핀(16) (17)에 의해 헐겁게 접속되어 선회가능하도록 이뤄진다.
이와 같은 구조물로 이뤄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난 갖가지 변형예를 토대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앞뒤 신축간(4) (5)을 전혀 빼지 아니한 상태이고 상판(1)과 보조판(6)을 수평되게 반듯이 펼쳐놓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런 모습에서는 어린이들이 보통 책상으로 사용하는 경우라든가, 혹은 공작물을 다룰때 등의 평활작업대로 이용하기 편하다.
제2도는 제1도와 같은 자세에서 밴드(13)의 고정을 풀고 밀어올려서 보조판(6)을 기울인 다음 죔새(14)를 조이는 방법으로 변형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런 변형예에서는 서적이나 노우트를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세워놓고 독서나 사무를 볼때 유용하며 이와 같은 보조판(6)의 기울이는 밴드(13)를 가동다리(9)의 어느 위치에서 고정하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자유로이 조정할 수가 있다.
이렇게 변형할때 경첩(7)의 중간부재(72)는 그 호상부(72a)가 상판측부재 안내부(71a)에 의해 안전하게 유도되므로 보조판(6)은 축방향으로 기우뚱거리는일 없이 부드럽고 정숙한 기울기 조정을 위한 선회를 하게되고 또 중간부재(72)는 그 홈(72d)이 보조판 측부재(73)의 핀(73a)에 걸려 따라든다.
이와 같이 보조판(6)의 기울기 조정이 가능한 만큼 사용자의 취향에 알맞는 자세로써 편하게 독서등을 할수 있다.
제3도는 제1도와 같이 상판(1)과 보조판(6)이 수평을 이룬 형태에서 밴드(13)는 그대로 놔두고 각 죔새(10) (11)를 풀고서 신축간(4)과 가동다리(9)를 균일하게 빼올린 다음 풀었던 죔새(10) (11) (14)를 잠궈놓은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어린이에 비해 신장면에서 우월한 사람이 앉아서 독서등의 일을 볼때 혹은 어린이가 선자세로 공작등의 작업을 할때등의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4도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그림은 앞쪽 신축간(4)과 밴드(13)은 그대로 놔두고 뒷쪽 가동다리(9)만을 들어올려 상판(1)을 앞쪽으로 낮아지게 기울인 반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경첩(7)의 중간부재(72)는 그 홈(72d)에서 보조판측 부재(73)의 핀(73a)이 아리로 빠져나가 걸림이 없기 때문에 전혀 움직이지 않고 당초의 모습을 유지하게 된다.
이런 태양에서는 기운상판(1)에는 볼 책이나 쓸노트등을 올려놓고 반듯한 수평자세를 취한 보조판에는 학습에 필요한 도구라든지 혹은 기타 다른 물건을 안전하게 올려놔둘 수 있다.
이같은 상판(1)과 보조판(6)의 변형태양에서 그런 모습대로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5도는 상판(1)과 보조판(6)을 같은 기울기로 경사지게 조정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이때는 보조판(6)마저 경사지기 때문에 물컵같이 위험스러운, 물건은 올려놓는 것을 삼가야할 주의가 요망될 뿐 그 밖의 쓰임새는 앞에 설명한 바와 별반 다를게 없다.
이러한 여러변형 가운데 제2도와 같이 보조판(6)만을 기울인 상태에서는 의자로도 훌륭하다.
그리고 각 신축간(4) (5)과 가동다리(9), 버팀대(15)는 상판(1)과 보조판(6)의 높낮이 및 기울기가 변함에 따라 각 핀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 취향등에 맞게 상판 및 보조판의 높낮이와 그 기울기를 자유로이 선택 조정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하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편안한 자세로 독서나 학습등을 할 수있고, 또한 간이 의자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의 편익이 제공된다.
덧붙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있어서 한가지 변화를 구사할 수 있다.
즉, 가동다리(9)측 신축간(5)을 가동다리(9)의 윗끝에 결합된 경첩(9a)로 옮겨 붙이고 당해 부위에 죔새(19)를 설칭하여 상부에서의 신축조작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경은 단지 상부에서의 신축조작을 하부로 이전하는 것에 불과할 뿐 효과상으로 다를 바 없으므로 이같은 변경실시도 본 고안에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뒷쪽의 보조판(6)을 경첩(7)을 이용하여 결합한 상판(1)의 저면 앞뒤 좌우측에다가 신축간(4) 및 가동다리(9)를 선회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들 신축간(4)과 가동다리(9)를 다리체(8)의 앞다리(8a)그리고 뒷다리(8b)에 경첩(18)으로 결합한 부재(18a)상에 선택적으로 헐겁게 끼워 신축가능하고 또한 임의 위치에서든 고정가능하게 형성하며, 보조판(6)과 가동다리(9)상에 둘러씌운 밴드(13)간을 버팀대(15)로 연결하여 각 연결점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토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밴드(13)상에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전용이 가능한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경첩(7)이 안내부(71a)를 갖는 상판측 부재(71)와, 호상면(72a)및 홈(72d)를 가진 부재(72)그리고 핀(73a)을 가진 보조판측 부재로된 의자전용이 가능한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앞다리(8a)와 가동다리(9)의 아래끝에 중공형 부싱(12)을 끼우고 다시 여기에 신축간(4) (5)을 끼워 넣은 의자전용이 가능한 책상.
KR2019870004709U 1987-04-07 1987-04-07 의자 전용 (轉用) 이 가능한 책상 KR900007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709U KR900007153Y1 (ko) 1987-04-07 1987-04-07 의자 전용 (轉用) 이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709U KR900007153Y1 (ko) 1987-04-07 1987-04-07 의자 전용 (轉用) 이 가능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091U KR880019091U (ko) 1988-11-28
KR900007153Y1 true KR900007153Y1 (ko) 1990-08-06

Family

ID=1926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4709U KR900007153Y1 (ko) 1987-04-07 1987-04-07 의자 전용 (轉用) 이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1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091U (ko)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009806D1 (de) Zusammenklappbarer Kinderstuhl.
US6296304B1 (en) Inclined back support arrangement for folding furniture
US5035464A (en) Snack tray assembly
US5590607A (en) Portable shelf for notebook computers
US4632451A (en) Wheelchair table and desk attachments
US5711572A (en) Foldable table and seat assembly
DK0991344T3 (da) Seng, især hospitals- eller plejeseng
US4844537A (en) Dual purpose high chair and hook-on baby seat
US5346279A (en) Orthopedic appliance
KR900007153Y1 (ko) 의자 전용 (轉用) 이 가능한 책상
GB2076647A (en) Hammock for baby carriages
MX9606101A (es) Aparato plegable de superficie de soporte y de asiento.
US5497971A (en) Trigonal pyramidal bookstand
US2516265A (en) Combined headboard and support
JPS6429213A (en) Foldable bookshelf unit
US4699422A (en) Reclining and swingable chair
KR950008821Y1 (ko) 상하좌우 조절이 용이한 이동식 독서대
CN2130055Y (zh) 病床多用桌
US4177739A (en) Vertically adjustable table
KR930002912Y1 (ko) 절첩식 다용도 책상
EP0264607A3 (en) Folding piece of furniture
JPH045910A (ja) 学習机
KR200303632Y1 (ko) 보조 책상
US2895536A (en) Infant chair attachment for a table
RU2077246C1 (ru) Ученический сто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